KR20120002412U - 분리수거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분리수거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412U
KR20120002412U KR2020100010033U KR20100010033U KR20120002412U KR 20120002412 U KR20120002412 U KR 20120002412U KR 2020100010033 U KR2020100010033 U KR 2020100010033U KR 20100010033 U KR20100010033 U KR 20100010033U KR 20120002412 U KR20120002412 U KR 201200024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on chamber
waste
cylinder
collec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0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명
Original Assignee
이상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명 filed Critical 이상명
Priority to KR20201000100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2412U/ko
Publication of KR201200024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41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65F1/0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the receptacles being divided in compartments by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76Sor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2종의 쓰레기를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는 분리수거 쓰레기통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 쓰레기통은 통체와, 상기 통체의 내부 공간을 제1 수거실과 제2 수거실로 구획하는 분리벽과, 상기 분리벽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수거실로부터 상기 제2 수거실로 경사지는 제1 위치와 상기 제2 수거실로부터 상기 제1 수거실로 경사지는 제2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한 회전플레이트와, 상기 통체의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노출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상기 제1 위치 또는 상기 제2 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한 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리수거 쓰레기통{WASTE BIN FOR SEPARATE COLLECTION}
본 고안은 2종의 쓰레기를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는 분리수거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리수거 쓰레기통은 일반쓰레기와 재활용쓰레기를 구분하여 수거하기 위한 구조를 가진다. 종래기술의 분리수거 쓰레기통의 일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분리수거 쓰레기통(10)은 상측에 투입구(11a, 12a)가 각각 설치된 일반쓰레기용 쓰레기통(11)과 재활용쓰레기용 쓰레기통(12)을 구비한다. 일반쓰레기용 쓰레기통(11) 및 재활용쓰레기용 쓰레기통(12)은 각각 1종의 쓰레기를 수거하도록 제조된다. 또한, 복수 종류의 쓰레기를 분리수거하기 위해서는 복수개의 쓰레기통이 필요하고, 이들이 나란히 설치되어 1조의 분리수거 쓰레기통을 구성한다. 즉, 종래기술의 분리수거 쓰레기통은 1종의 쓰레기를 수거하도록 형성된 쓰레기통을 복수개 구비하므로, 그 설치면적이 크고 각 쓰레기통에 각각 쓰레기를 투입해야 하는 점에서 사용상 불편한 점이 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통체를 사용하여 2종의 쓰레기를 분리수거할 수 있는 분리수거 쓰레기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 쓰레기통은 통체와, 통체의 내부 공간을 제1 수거실과 제2 수거실로 구획하는 분리벽과, 분리벽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제1 수거실로부터 제2 수거실로 경사지는 제1 위치와 제2 수거실로부터 제1 수거실로 경사지는 제2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한 회전플레이트와, 통체의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노출되고 회전플레이트를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한 노브를 포함한다.
분리벽의 상단에 배치되고 회전플레이트와 접촉하여 회전플레이트의 경사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체의 내벽면으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가이드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 쓰레기통에 의하면, 사용자는 버리고자 하는 쓰레기의 종류에 따라 노브를 회전시킴으로써 2종의 쓰레기를 하나의 쓰레기통에 분리하여 버릴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 쓰레기통은 좁은 공간에도 설치가능하다. 또한, 하나의 분리수거 쓰레기통을 통해 2종의 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으므로 주변 환경의 미관을 크게 해치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분리수거 쓰레기통의 일예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 쓰레기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리수거 쓰레기통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분리수거 쓰레기통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 쓰레기통(100)은 통체(110)와, 분리벽(120)과, 회전플레이트(130)와, 노브(140)를 포함한다.
통체(110)는 하부 통체(111)와 상부 통체(11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통체(111)는 지면에 설치되어 쓰레기들을 수용하는 부분이다. 하부 통체(111)는 원기동 모양 또는 다각기둥 모양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부 통체(112)는 하부 통체(111)의 상측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부 통체(1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통형을 가질 수 있다. 하부 통체(111) 및 상부 통체(112)는 별도로 제조되어 결합가능하게 구성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부 통체(112)에는 쓰레기의 투입을 위한 투입부(112a)가 구비된다. 일 예로서, 투입부는 상부 통체(112)에서 항상 개방되어 있는 개구부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투입부는 상부 통체(112)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벽(120)은 하부 통체(111)의 내부 공간을 2개의 수거실, 즉 제1 수거실(111a)과 제2 수거실(111b)로 구획한다. 이 실시예에서, 분리벽(120)은 하부 통체(111)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도록 하부 통체(111)의 측벽부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분리벽(120)에 의해 구획되는 제1 수거실(111a)과 제2 수거실(111b)은 동일한 체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분리벽(120)은 어느 한 쪽의 수거실의 체적이 더 크도록 하부 통체(111)의 일측 벽에 치우치게 위치할 수도 있다. 회전플레이트(130)의 설치높이를 고려하여 분리벽(120)의 상단은 하부 통체(111)의 양측 벽부 보다 낮게 형성된다. 투입부(112a)를 통해 투입된 쓰레기는 회전플레이트(130)의 위치에 따라 분리벽(120)에 의해 구획된 어느 한 쪽의 수거실(111a 또는 111b)(즉, 사용자가 선택한 수거실)로 낙하할 수 있다.
회전플레이트(130)는 분리벽(120)의 상측에서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회전축(131)은 하부 통체(111)의 전후방 벽에 각각 2개가 배치되어 회전플레이트(130)의 양측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거나, 하부 통체(111)의 전후방 벽에 걸쳐 길게 설치되어 회전플레이트(130)를 전체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플레이트(13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어느 한쪽으로 경사지게 위치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회전플레이트(130)는 제1 수거실(111a)로부터 제2 수거실(111b)로 경사지는 제1 위치와 제2 수거실(111b)로부터 제1 수거실(111a)로 경사지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회전플레이트(130)는 상기 제1 및 제2 위치에서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위치하여, 그 상면으로 투입된 쓰레기가 제1 및 제2 위치에서 각각 개방된 수거실로 미끄러지거나 굴러서 낙하하도록 유도한다. 즉, 투입부(112a)를 통해 투입된 쓰레기는 회전플레이트(130)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그 상면을 따라 낙하하여 분리벽(120)에 의해 구획된 어느 한 쪽의 수거실(111a 또는 111b)로 수용된다. 이를 위해, 회전플레이트(130)는 제1 및 제2 위치에서 투입된 쓰레기가 회전플레이트(130)의 단부와 하부 통체(111)의 내벽면 사이를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노브(140)는 회전플레이트(130)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회전플레이트(130)와 함께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또는, 노브(140)는 회전축(131)과 결합되고 회전축(131)은 회전플레이트(1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노브(140)는 회전플레이트(130)와 결합되어 통체(110)의 외측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즉, 사용자가 노브(140)를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플레이트(130)가 회전하여, 제1 및 제2 수거실(111a, 111b) 중 어느 하나는 폐쇄시키고 다른 하나는 개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 쓰레기통(100)은 스토퍼(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50)는 분리벽(120)의 상단에 고정되어 회전플레이트(130)의 최대 경사각도를 제한한다. 최대 경사각도는 쓰레기가 회전플레이트(130)를 따라 잘 미끄러지도록 적절하게 정해질 수 있다. 회전플레이트(130)와 스토퍼(150)의 접촉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스토퍼(150)는 탄성의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 쓰레기통(100)은 제1 및 제2 가이드플레이트(161, 1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가이드플레이트(161, 162)는 하부 통체(111)의 양측의 내벽면으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제1 및 제2 가이드플레이트(161, 162)는 투입부(112a)를 통해 투입된 쓰레기를 회전플레이트(13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회전플레이트(130)가 최대 경사각도로 위치할 때(즉, 회전플레이트(130)가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로 회전되어 있을 때), 제1 가이드플레이트(161) 또는 제2 가이드플레이트(162)는 회전플레이트(130)와 거의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투입부(112a)를 통해 투입된 쓰레기는 제1 가이드 플레이트(161) 또는 제2 가이드플레이트(162)와 회전플레이트(130)를 따라 안내되어 분리벽(120)에 의해 구획된 제1 수거실(111a) 또는 제2 수거실(111b)로 낙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 쓰레기통(100)은 통체의 외벽에 부착되고 쓰레기의 종류를 나타내는 제1 및 제2 표시부(171, 1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노브(140)가 제1 표시부(171) 또는 제2 표시부(172)를 향하도록 회전시킴으로써 투입할 쓰레기의 종류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표시부(171, 172)는 분리수거 쓰레기통(100)의 설치 장소 및 수거할 쓰레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표시부(171, 172)는 쓰레기의 종류를 나타내는 도형 또는 문자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분리수거 쓰레기통
110 : 통체
111, 112 : 하부 및 상부 통체
111a, 111b : 제1 및 제2 분리수거실
112a: 투입부
120 : 분리벽
130 : 회전플레이트
131 : 회전축
140 : 노브
150 : 스토퍼
161, 162 : 제1 및 제2 가이드플레이트
171, 172 : 제1 및 제2 표시부

Claims (3)

  1. 통체와,
    상기 통체의 내부 공간을 제1 수거실과 제2 수거실로 구획하는 분리벽과,
    상기 분리벽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수거실로부터 상기 제2 수거실로 경사지는 제1 위치와 상기 제2 수거실로부터 상기 제1 수거실로 경사지는 제2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한 회전플레이트와,
    상기 통체의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노출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상기 제1 위치 또는 상기 제2 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한 노브를 포함하는
    분리수거 쓰레기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벽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와 접촉하여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경사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분리수거 쓰레기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체의 내벽면으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가이드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분리수거 쓰레기통.
KR2020100010033U 2010-09-29 2010-09-29 분리수거 쓰레기통 KR2012000241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033U KR20120002412U (ko) 2010-09-29 2010-09-29 분리수거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033U KR20120002412U (ko) 2010-09-29 2010-09-29 분리수거 쓰레기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412U true KR20120002412U (ko) 2012-04-06

Family

ID=46606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033U KR20120002412U (ko) 2010-09-29 2010-09-29 분리수거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2412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42907A (zh) * 2015-11-25 2017-05-31 上海市格致中学 多功能垃圾桶
CN109205132A (zh) * 2017-07-03 2019-01-15 合肥中科奥威智能科技有限公司 垃圾分选机器人
CN113335795A (zh) * 2021-05-27 2021-09-03 武汉理工大学 一种双侧倾倒机构和垃圾分类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42907A (zh) * 2015-11-25 2017-05-31 上海市格致中学 多功能垃圾桶
CN109205132A (zh) * 2017-07-03 2019-01-15 合肥中科奥威智能科技有限公司 垃圾分选机器人
CN113335795A (zh) * 2021-05-27 2021-09-03 武汉理工大学 一种双侧倾倒机构和垃圾分类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2412U (ko) 분리수거 쓰레기통
KR101523021B1 (ko) 가변형 분리수거 쓰레기통
EP3015041B1 (en) Vacuum cleaner
KR101841240B1 (ko) 쓰레기 분리수거함
CN103158960A (zh) 一种自分类垃圾箱
EP1978161A3 (en) Device for clearing and/or excavating trenches
US20120267362A1 (en) Expanding Garbage Receptacle
CN209814865U (zh) 一种自动压缩垃圾桶
EP2953870A1 (en) Bin for collecting garments
CA2814568A1 (en) Bin having inner liner within outer shell
KR101369553B1 (ko) 분할 개폐되는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KR101381093B1 (ko) 다기능 쓰레받기
KR102166658B1 (ko) 쓰레받기 장치
CN209209587U (zh) 一种可堆叠垃圾桶
JP3168197U (ja) 細断屑受け具及びシュレッダー
KR960033513A (ko) V자형 용기 약제분할장치의 집진장치
RU126688U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сбора, временного хранения и отправки на утилизацию ртутьсодержащих отходов
US20110089277A1 (en) Compact Manual Shredder
KR20240072512A (ko) 가정용 쓰레기 분리수거장치
CN213922515U (zh) 垃圾桶
CN208711859U (zh) 小型多功能废弃药品销毁器
KR102063312B1 (ko) 복수의 분리수거통의 고정대
ES2906999T3 (es) Dispositivo para el tratamiento y la separación de residuos sólidos inorgánicos
CN211568966U (zh) 一种家庭分类垃圾桶
WO2022140824A1 (pt) Lixeira rotativa de coleta seletiv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