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6658B1 - 쓰레받기 장치 - Google Patents

쓰레받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6658B1
KR102166658B1 KR1020190144208A KR20190144208A KR102166658B1 KR 102166658 B1 KR102166658 B1 KR 102166658B1 KR 1020190144208 A KR1020190144208 A KR 1020190144208A KR 20190144208 A KR20190144208 A KR 20190144208A KR 102166658 B1 KR102166658 B1 KR 102166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coupled
dustpan
dus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송희
조민서
조민지
Original Assignee
강송희
조민서
조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송희, 조민서, 조민지 filed Critical 강송희
Priority to KR1020190144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6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2Dust pans; Crumb tr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9Details of suction cleaner tools for addition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25G1/04Handle constructions telescopic; extensible; sectio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스크레이퍼부가 형성되어 청소하면서 발생되는 먼지의 효과적인 수거가 가능한 쓰레받기 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쓰레받기 장치는 바닥판의 양측 및 후방에 제1공간을 둘러싸는 격벽들이 형성되는 용기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부의 후방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회동 방향에 따라 상기 제1공간을 밀폐 또는 개방하도록 형성되는 커버부 및 상기 용기부의 후방에 결합되는 손잡이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의 후방 상단에는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레버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쓰레받기 장치{DUSTPAN APPARATUS}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쓰레받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쓰레기를 수거하는 쓰레받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쓰레받기는 빗자루와 함께 사용되어 바닥의 먼지 또는 쓰레기를 수거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청소도구이고, 최근에는 청소기의 사용으로 특수한 환경에서 사용하는 용도로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쓰레받기는 먼지 또는 쓰레기를 수거하는 과정에서 빗자루에 부착된 먼지 또는 쓰레기가 정상적으로 쓰레받기로 분리되어 수거되지 않아 빗자루를 털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2648호는 금속분리쓰레받기을 개시하고 있고,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8808호는 저장공간이 구비된 쓰레받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쓰레받기를 사용하면서 발생되는 먼지들을 효과적으로 수거하는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스크레이퍼부가 형성되어 청소하면서 발생되는 먼지의 효과적인 수거가 가능한 쓰레받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쓰레받기 장치는 바닥판의 양측 및 후방에 제1공간을 둘러싸는 격벽들이 형성되는 용기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부의 후방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회동 방향에 따라 상기 제1공간을 밀폐 또는 개방하도록 형성되는 커버부 및 상기 용기부의 후방에 결합되는 손잡이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의 후방 상단에는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레버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저면에 돌출되고 끝단 일부분은 전방 및 후방 각각을 향해 절곡된 제1 및 제2돌출부들이 상기 용기부의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서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번갈아가며 배치되는 스크레이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길이조절이 가능한 자바라 또는 슬라이딩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내부공간이 상기 제1공간과 연결되도록 상기 용기부에 결합되는 제1관 및 상기 제1관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쓰레받기 장치는 상기 제2관의 내부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구동하면 상기 제1공간의 공기 또는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형성되는 흡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쓰레받기 장치는 빗자루에 부착된 먼지 또는 쓰레기들의 효과적인 수거가 가능하고, 덮개를 통해 먼지 또는 쓰레기가 쓰레받기 장치에 수거되는 과정에서 먼지가 비산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쓰레받기 장치는 손잡이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좁은 입구를 가지는 쓰레기통이나 비닐봉지에 수거된 먼지 또는 쓰레기의 배출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쓰레받기 장치의 사시도들.
도 2는 도 1의 쓰레받기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쓰레받기 장치의 사시도 및 단면도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쓰레받기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쓰레받기 장치의 흡입부의 분해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쓰레받기 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쓰레받기 장치의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쓰레받기 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쓰레받기 장치의 사시도 및 단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3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레받기 장치(100)는 용기부(200) 및 커버부(300)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쓰레받기는 빗자루와 함께 사용되어 바닥의 먼지 또는 쓰레기를 수거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청소도구이고, 최근에는 청소기의 사용으로 특수한 환경에서 사용하는 용도로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쓰레받기는 먼지 또는 쓰레기를 수거하는 과정에서 빗자루에 부착된 먼지 또는 쓰레기가 정상적으로 쓰레받기로 분리되어 수거되지 않아 빗자루를 털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쓰레받기 장치(100)는 빗자루에 부착된 먼지 또는 쓰레기들의 효과적인 수거가 가능하고, 덮개를 통해 먼지 또는 쓰레기가 쓰레받기 장치(100)에 수거되는 과정에서 먼지가 비산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쓰레받기 장치(100)는 손잡이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좁은 입구를 가지는 쓰레기통이나 비닐봉지에 수거된 먼지 또는 쓰레기의 배출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용기부(200)는 바닥판(205), 제1격벽(210), 제2격벽(220) 및 제3격벽(230)들을 포함한다.
용기부(200)의 일단부는 제1공간(10)의 후방을 차단하는 격벽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부는 일단부의 전방 일측 및 타측 일부분이 전방을 향해 제1공간(10)의 일측 및 타측을 차단하는 측벽 형태로 점진적으로 높이가 감소하면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일단부의 하부는 밑판 형태로 제1공간(10)의 하부를 커버하며 양측 측벽들의 길이만큼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바닥판(205)은 제1공간(10)의 하부를 커버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전방의 끝단 일부분은 전방을 향해 축소되면서 연장되어 상부에 경사면이 형성된다.
제1격벽(210)의 일단은 상하부로 연장된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바닥판(205)의 일단부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바닥판(205)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전방을 향해 높이가 점진적으로 축소되면서 연장된다.
제2격벽(220)의 일단은 상하부로 연장된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바닥판(205)의 일단부 타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바닥판(205)의 타측 가장자리를 따라 전방을 향해 높이가 점진적으로 축소되면서 연장된다.
제3격벽(230)의 일단은 상하부로 연장된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제1격벽(210)의 일단 내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바닥판(205)의 일측 및 타측 사이의 거리만큼 바닥판(205)의 후방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제2격벽(220)의 일단 내측면에 결합된다.
제3격벽(230)의 중앙 하부에는 제3격벽(230)의 전면의 직사각형 형태의 일부분이 후방을 향해 함몰되어 제1공간(10)과 제3격벽(230)의 후방에 해당하는 공간을 연결하는 통로(11)가 형성된다.
통로(11)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3격벽(230)의 내측면 하부는 바닥판(205)의 상부면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형성되어 서로 단차없이 연결되고, 바닥판(205)의 상부면에 수거되는 먼지 또는 쓰레기는 바닥판(205)의 후방을 하부를 향해 기울이면 중력에 의해 용이하게 통로(11) 및 손잡이부(400)를 통해 외부로 배출이 가능하다.
제4격벽(240)의 일단은 제3격벽(230)의 일단 상부면에 플레이트 형태로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제3격벽(230)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제2격벽(220)의 일단 상부면에 결합된다.
커버부(300)는 커버(310), 회동부(320), 레버(330) 및 스크레이퍼부(340)들을 포함한다.
커버부(300)의 일단부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경첩 또는 힌지를 통해 용기부(200)의 일단부 상부에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커버부(300)의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어 일단부의 회동에 따라 용기부(200)와 함께 제1공간(10)을 밀폐시키거나 개방시킨다.
구체적으로, 커버(310)의 일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회동부(320)를 통해 제4격벽(240)의 전방 모서리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제1격벽(210) 또는 제2격벽(220)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제1격벽(210) 또는 제2격벽(220)의 타단까지 연장된다.
회동부(320)들 각각은 경첩 또는 힌지로서, 제4격벽(24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되고, 각각의 일단부는 제4격벽(240)에 결합되며, 각각의 타단부는 일단부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되는 축을 기준으로 결합되어 커버(310)의 후방에 연결된다.
레버(330)의 일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커버(310)의 후방 중앙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후방을 향해 소정의 각도만큼 절곡된 후 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레버(330)의 상부에는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된 반원기둥들이 레버(330)의 상부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서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레버(330)에 결합되어 레버(330)를 누르는 과정에서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스크레이퍼부(340)는 제1돌출부(342) 및 제2돌출부(344)들을 포함한다.
스크레이퍼부(340)는 커버(310)의 전방 하부에서 하부를 향해 돌출되고, 하부 끝단 일부분이 전방 및 후방 각각을 향해 절곡된 제1 및 제2돌출부들이 용기부(200)의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서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번갈아가며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스크레이퍼부(340)는 청소 중 또는 청소 후에 빗자루에 부착된 먼지 또는 쓰레기들을 제1공간(10)으로 수거하기 위해 사용되고, 빗자루를 커버(310) 및 바닥판(205) 사이에 삽입시킨 후, 커버(310)를 닫고, 빗자루를 쓰레받기 장치(100)와 분리시켜 먼지 또는 쓰레기를 제1공간(10)을 향해 분리시킨다.
구체적으로, 제1돌출부(342)들 각각의 일단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서로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커버(310)의 전방쪽 저면에 각각 결합되며, 소정의 거리만큼 커버(310)의 저면과 수직하도록 하부를 향해 연장된다.
제1돌출부(342)들 각각의 타단은 일단에서 커버(310)의 저면과 평행하도록 전방을 향해 절곡되고, 소정의 거리만큼 전방을 향해 연장되며, 타단 끝단은 축소되면서 연장되어 날카롭게 형성된다.
제2돌출부(344)들 각각의 일단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제1돌출부(342)들 각각의 일단 사이에서 서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된 상태로 커버(310)의 전방쪽 저면에 각각 결합되며, 소정의 거리만큼 커버(310)의 저면과 수직하도록 하부를 향해 연장된다.
제2돌출부(344)들 각각의 타단은 일단에서 커버(310)의 저면과 평행하도록 후방을 향해 절곡되고, 소정의 거리만큼 후방을 향해 연장되며, 타단 끝단은 축소되면서 연장되어 날카롭게 형성된다.
따라서, 먼지 또는 쓰레기가 부착된 빗자루를 제1공간(10)으로 삽입시킨 후 커버(310)를 닫고 빗자루를 당기면 빗자루에 부착된 먼지 또는 쓰레기가 제1 및 제2돌출부(342, 344)들을 통해 분리되어 제1공간(10)으로 효과적으로 분리된다.
한편, 쓰레받기 장치(100)는 스크레이퍼부(340) 대신에 스크레이퍼부(350)가 부착될 수 있고, 스크레이퍼부(350)는 제1돌출부(352) 및 제2돌출부(354)들을 포함한다.
스크레이퍼부(350)는 커버(310)의 전방 하부에서 하부를 향해 돌출되고, 하부 끝단 일부분이 전방 및 후방 각각을 향해 절곡된 제1 및 제2돌출부들이 용기부(200)의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서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번갈아가며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돌출부(352)들 각각의 일단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서로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커버(310)의 전방쪽 저면에 각각 결합되며, 소정의 거리만큼 커버(310)의 저면과 수직하도록 하부를 향해 연장된다.
제1돌출부(352)들 각각의 타단은 일단에서 커버(310)의 저면과 평행하도록 전방을 향해 절곡되고, 소정의 거리만큼 전방을 향해 상하부로 파형을 이루며 파형기둥 형태로 연장되며, 타단 끝단은 축소되면서 연장되어 날카롭게 형성된다.
제2돌출부(354)들 각각의 일단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제1돌출부(352)들 각각의 일단 사이에서 서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된 상태로 커버(310)의 전방쪽 저면에 각각 결합되며, 소정의 거리만큼 커버(310)의 저면과 수직하도록 하부를 향해 연장된다.
제2돌출부(354)들 각각의 타단은 일단에서 커버(310)의 저면과 평행하도록 후방을 향해 절곡되고, 소정의 거리만큼 후방을 향해 상하부로 파형을 이루며 파형기둥 형태로 연장되며, 타단 끝단은 축소되면서 연장되어 날카롭게 형성된다.
따라서, 먼지 또는 쓰레기가 부착된 빗자루를 제1공간(10)으로 삽입시킨 후 커버(310)를 닫고 빗자루를 당기면 빗자루에 부착된 먼지 또는 쓰레기가 제1 및 제2돌출부(352, 354)들을 통해 분리되어 제1공간(10)으로 효과적으로 수거된다.
또한, 제1 및 제2돌출부(352, 354)들 각각의 타단에 형성된 파형기둥들에 의해 빗자루에 부착된 먼지 또는 쓰레기가 효과적으로 제1공간(10)으로 분리되는 장점이 있다.
손잡이부(400)는 제1관(410) 및 제2관(420)들을 포함한다.
손잡이부(400)의 일단은 내부공간을 둘러싸는 관 형태로 형성되어 용기부(200)의 일단부 후방에 제1공간(10)과 상기 내부공간이 연결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 및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손잡이부(400)는 자바라 또는 슬라이딩 구조 형태로 형성되어 전방을 향해 축소되거나 후방을 향해 확장되면서 길이가 연장되고, 사용자는 커버부(300)로 제1공간(10)을 밀폐시킨 상태에서 손잡이부(400)를 하부를 향해 기울여 제1공간(10) 내부의 먼지 또는 쓰레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관(410)의 일단은 사각 관 형태로 제3격벽(230)의 후방에 결합되어 통로(11) 주변을 둘러싸고, 타단은 관 형태를 유지하면서 후방 및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제2공간(12)을 둘러싼다.
제1관(410)의 제2공간(12) 안쪽 일측 및 타측 내측면들 각각에는 제1관(4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된 바 형태로 제1관(410)의 일측 및 타측 내측면들 각각에서 외측을 향해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 및 제2레일홈들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레일홈들 각각은 제1관(410)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 형성되고, 제2관(420)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는 상기 제1 및 제2레일홈들 각각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레일홈들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제2관(420)의 일단은 제1관(41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사각관형태로 형성되어 제2공간(12)에서 제1관(410)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제3공간(13)을 둘러싼다.
제2관(420)의 일단쪽 일측 및 타측에는 제1 및 제2 돌기들이 각각 형성되어 제2공간(12)의 내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레일홈들 각각에 삽입되고, 제2관(420)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레일홈들 각각의 내부에서 이동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용기부(200)를 원거리까지 이동시켜 쓰레기를 수거하는 경우, 제2관(420)을 후방 및 상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시켜 편리하게 원거리의 쓰레기 수거가 가능하다.
또한, 쓰레받기 장치(100)는 제1공간(10)의 먼지 또는 쓰레기가 손잡이부(400)를 통해 배출되는 경우 제2관(420)이 제1관(410)의 내부에 삽입되어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먼지 또는 쓰레기 배출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쓰레받기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쓰레받기 장치의 흡입부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쓰레받기 장치(120)는 흡입부(500) 및 손잡이부(600)들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4들의 쓰레받기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및 5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레받기 장치(120)는 흡입부(500) 및 손잡이부(600)들을 포함한다.
쓰레받기 장치(120)는 손잡이부(600)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미니 공기흡입부를 통해 제1공간(10)에 수거된 먼지 또는 쓰레기를 손잡이부(600)의 내부에 배치되는 흡입부(500)를 통해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손잡이부(600)는 제1관(410) 및 제2관(430)들을 포함한다.
손잡이부(600)의 제1관(410)은 도 1 내지 4들의 손잡이부(400)의 제1관(4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2관(430)은 버튼(432)을 포함한다.
제2관(430)의 일단은 제1관(41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사각관형태로 형성되어 제2공간(12)에서 제1관(410)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1관(410)과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제3공간(13)을 둘러싼다.
제2관(430)의 일단쪽 일측 및 타측에는 제1 및 제2 돌기들이 각각 형성되어 제2공간(12)의 내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레일홈들 각각에 삽입되고, 제2관(430)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레일홈들 각각의 내부에서 이동한다.
버튼(432)은 제2관(430)의 타단 일측면에서 외측을 향해 원기둥 형태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2관(430)의 일측면에서 제3공간(13)을 향해 삽입되거나 제2관(430)의 일측을 향해 돌출이동이 가능하도록 제2관(430)과 슬라이딩 결합된다.
흡입부(500)는 바디(510), 브러시(520), 필터(530), 팬(550), 모터(560), 먼지필터(570) 및 캡(580)들을 포함하고, 바디(510)는 스위치(512) 및 다공판(514)들을 포함한다.
흡입부(500)의 일단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제2관(43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제2관(430)의 연장방향을 따라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구동에 따라 내부의 모터 및 팬들이 작동하여 제1공간(10) 내부의 먼지 또는 쓰레기를 흡입한다.
구체적으로, 바디(510)의 일단은 그물망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타단 일측에는 외측을 향해 원기둥 형태로 연장되는 스위치(512)가 형성된다.
스위치(512)의 외측면은 흡입부(500)가 손잡이부(60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버튼(432)의 내측면과 밀착되고, 사용자가 버튼(432)을 누르면, 버튼(432)이 제3공간(13)의 내부로 이동하면서 스위치(512)를 구동시킨다.
스위치(512)가 바디(510)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모터 및 팬이 구동하고, 흡입부(500)는 바디(510)의 전방에 해당하는 위치의 먼지 또는 쓰레기를 흡입부(500)의 내부로 흡입한다.
다공판(514)은 복수의 직육면체 형태의 홀들이 형성되는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고, 바디(510)의 일단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바디(510)의 전방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브러시(520)의 일단은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어 바디(510)의 타단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축소되면서 소정의 거리만큼 후방을 향해 연장되며, 타단 끝단에는 솔이 형성된다.
필터(530)의 일단은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바디(510)의 타단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면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의 가장자리 일부분이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내부에 배치되는 포진필터(540)를 둘러싼다.
필터(530)는 공기의 통과는 가능하면서 미세먼지 또는 먼지를 필터링하는 필터 소재로 제작되고, 바디(510)에 부착되어 바디(510)의 내부로 미세먼지 또는 먼지가 이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포진필터(540)의 일단은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필터(530) 내부의 일단 내측면과 밀착되고, 타단은 일단의 가장자리 일부분이 필터(530)의 연장방향을 따라 필터(530)의 타단까지 연장된다.
포진필터(540)는 청소기에 사용되는 포진필터로서, 제1 및 제2관(410, 430)들 각각을 통해 유입되는 제1공간(10) 내부의 먼지 또는 쓰레기를 수거하는 봉투 기능을 한다.
팬(550)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에 소형 모터가 형성되며, 바디(510)의 내부에서 다공판(514)의 내측면에 밀착되며, 스위치(512)의 구동을 통해 정회전하면, 제1공간(10)으로부터 먼지 또는 쓰레기를 흡입한다.
팬(550)의 정회전에 따라 제1공간(10)에서부터 제1관(410) 및 제2관(430)들을 지나 포진필터(540)에 수거되는 먼지 또는 쓰레기는 흡입부(500)를 손잡이부(600)에서 분리한 후에 포진필터(540)만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모터(560)는 바디(510)의 내부에서 팬(550)의 후방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모터(560)의 구동축은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팬(550) 중앙의 상기 소형모터와 연결된다.
모터(560)는 상기 소형모터의 부족한 출력을 개선하기 위해 구동하고, 사용자가 스위치(512)를 누르는 횟수에 따라 정회전 강도가 증가하여 팬(550)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킨다.
먼지필터(570)는 직육면체 형태의 공기필터로서, 외측면들은 필터(530)의 내부에 삽입되어 필터(530)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흡입부(500)가 손잡이부(60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포진필터(540)를 분리시킨 후 필터(530)의 내부에 삽입시킬 수 있다.
캡(580)의 일단은 격자 형태로 직사각형 형태의 통공들이 형성되는 그물망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의 가장자리 일부분이 연장되어 사각 관 형태로 형성된다.
캡(580)의 타단은 브러시(520)가 분리된 상태의 바디(510)의 타단을 둘러싸면서 바디(510)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바디(510)와 결합된 상태에서 손가락이나 신체의 일부분이 바디(51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먼지필터(570) 및 캡(580)들이 포진필터(540) 및 브러시(520)들 각각을 대신하여 흡입부(500)에 장착되고, 흡입부(500)가 손잡이부(600)와 분리된 상태인 경우, 흡입부(500)의 구동으로 주변의 공기정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바디(510)의 상부면에는 복수의 연결부(515)들이 형성되어 스크레이퍼부(340)의 제1돌출부(342)들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515)의 일단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바디(510)의 일단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의 일측 일부분이 바디(510)의 타단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연결부(515)들 각각의 타단의 일측 및 타측 사이의 거리는 제1 및 제2돌출부(342, 344)들 사이의 거리보다 작거나 동일하고, 사용자가 흡입부(500)를 손잡이부(600)에서 분리한 후 연결부(515)들 각각의 타단을 제1 및 제2돌출부(342, 344)들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시키면, 제1돌출부(342)의 타단은 연결부(515)들 각각의 일단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흡입부(500)를 분리한 후 연결부(515)들을 통해 흡입부(500)를 스크레이퍼부(340)에 결합시켜 쓰레받기 장치(120)를 사용하면서 흡입부(500)를 통해 먼지들을 효과적으로 수거하여 먼지가 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쓰레받기 장치 200: 용기부
300: 커버부 400, 600: 손잡이부
500: 흡입부

Claims (5)

  1. 바닥판의 양측 및 후방에 제1공간을 둘러싸는 격벽들이 형성되는 용기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부의 후방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회동 방향에 따라 상기 제1공간을 밀폐 또는 개방하도록 형성되는 커버부; 및
    상기 용기부의 후방에 결합되는 손잡이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의 후방 상단에는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레버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는 저면에 돌출되고 끝단 일부분은 전방 및 후방 각각을 향해 절곡되며, 각각이 상기 용기부의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서로 번갈아가며 배치되는 제1 및 제2돌출부들이 형성되는 스크레이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받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길이조절이 가능한 자바라 또는 슬라이딩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받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내부공간이 상기 제1공간과 연결되도록 상기 용기부에 결합되는 제1관; 및
    상기 제1관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받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관의 내부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구동하면 상기 제1공간의 공기 또는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형성되는 흡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받기 장치.








KR1020190144208A 2019-11-12 2019-11-12 쓰레받기 장치 KR102166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208A KR102166658B1 (ko) 2019-11-12 2019-11-12 쓰레받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208A KR102166658B1 (ko) 2019-11-12 2019-11-12 쓰레받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6658B1 true KR102166658B1 (ko) 2020-10-16

Family

ID=73035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208A KR102166658B1 (ko) 2019-11-12 2019-11-12 쓰레받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6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02270A1 (en) * 2020-12-29 2022-06-30 Chan Moon Park Multipurpose cleaning ki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684Y1 (ko) * 1997-10-24 2000-03-02 이종갑 손잡이 길이조절이 가능한 쓰레받기
KR20170100823A (ko) * 2016-02-26 2017-09-05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수집함이 구비된 쓰레받기
KR20180054048A (ko) * 2016-11-14 2018-05-24 서동민 흘림방지커버와 개구부가 있는 쓰레받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684Y1 (ko) * 1997-10-24 2000-03-02 이종갑 손잡이 길이조절이 가능한 쓰레받기
KR20170100823A (ko) * 2016-02-26 2017-09-05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수집함이 구비된 쓰레받기
KR20180054048A (ko) * 2016-11-14 2018-05-24 서동민 흘림방지커버와 개구부가 있는 쓰레받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02270A1 (en) * 2020-12-29 2022-06-30 Chan Moon Park Multipurpose cleaning k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71569B1 (en) Dust collecting unit of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with the dust collecting unit
KR100871483B1 (ko) 집진장치 및 이를 가지는 진공 청소기
KR100880492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RU2228133C2 (ru) Циклонный пылесборник пылесоса и пылесос
EP1733669B1 (en) Dust collection vessel and vacuum cleaner comprising such dust collector
CA2445242C (en)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dirt cup and separate filter drawer
US8499398B2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TWI789718B (zh) 清掃機站、清掃機系統及其控制方法
JP2004283327A (ja) 電気掃除機
GB2137896A (en) Suction cleaner
US7694384B2 (en) Vacuum cleaner
JP2008154801A (ja) 集塵容器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KR102166658B1 (ko) 쓰레받기 장치
US6286177B1 (en) Under cabinet vacuum device
JP2006320455A (ja) 集塵容器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KR101052182B1 (ko) 구석 청소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청소기
KR20090122652A (ko) 청소기
KR102527189B1 (ko) 청소기 스테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시스템과, 청소기 시스템을 이용한 잔여 먼지 제거 방법
KR101039491B1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KR102406189B1 (ko) 청소기 시스템
JP2003153830A (ja) 床用定置式集塵装置
JP2001161619A (ja) 掃き込みブラシ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吸塵装置
KR200481386Y1 (ko) 유연한 연결관을 갖는 쓰레받기
KR20220168476A (ko)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기 시스템
KR100833360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