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057A - 오르골 테라피 침대 - Google Patents

오르골 테라피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057A
KR20120002057A KR1020100062748A KR20100062748A KR20120002057A KR 20120002057 A KR20120002057 A KR 20120002057A KR 1020100062748 A KR1020100062748 A KR 1020100062748A KR 20100062748 A KR20100062748 A KR 20100062748A KR 20120002057 A KR20120002057 A KR 20120002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music box
therapy
orgel
mu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2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영옥
Original Assignee
황영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영옥 filed Critical 황영옥
Priority to KR1020100062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2057A/ko
Publication of KR20120002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0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03Lighting, radio, telephone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bedst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F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1/00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1/06Musical boxes with plucked teeth, blades, or the lik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sychology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오르골 테라피 침대(1000)는 침대의 상판(10)의 하면에 울림통(90)이 설치되고 상기 울림통(90)의 내부에 오르골(50)이 설치된다. 상기 울림통(90)은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오르골(50)은 상기 침대의 상판(10)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침대의 상판(10)은 상기 침대받침부(70)에 놓여 있다.

Description

오르골 테라피 침대{Bed for orgel therapy}
본 발명은 오르골 테라피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침대에 편안하게 누워 오르골의 소리와 진동에 의하여 정신적 휴양과 안정을 취할 수 있는 오르골 테라피 침대에 관한 것이다.
오르골은 길이가 다른 금속판을 음계순으로 달아놓고 이에 접한 가시와 같은 바늘이 촘촘히 붙은 원봉(또는 원판)을 부착해 태엽이나 모터의 힘으로 원통(또는 원판)을 돌리면 바늘이 금속판을 튕겨 소리가 나도록해 자동적으로 음악이 연주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오르골이 내는 소리는 저주파부터 고주파까지의 다양한 진동수를 포함하며, 뇌간과 시상하부를 자극하여 혈류를 촉진시키고, 알파파가 생성되도록 하고, 교감신경을 진정시키며, 부교감신경을 자극하고, 이에 따라 인체를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유도하며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깊은 잠에 들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오르골을 이용한 테라피(therapy)가 시도되고 있는데 신경안정과 불면증 해소, 스트레스 해소, 편안한 휴식과 안정, 재활치료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이 오르골의 소리가 테라피로서 이용될 수 있는 것은 그 음악의 아름다움과 더불어 오르골이 만들어내는 특유의 3KHZ로부터 10KHZ까지의 저주파로부터 고주파까지의 진동수 때문이다.
이러한 오르골이 만들어내는 특유의 진동을 단순히 공기를 매질로 하여 귀로 듣기보다는 침대에 누워 소리를 들으면서 동시에 몸으로 느낄 수 있다면 그 효과가 배가되어 침대에 누운 사용자는 편안하고 안정적인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되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오르골이 만들어내는 진동을 소리와 더불어 몸으로 느낄 수 있어 편안하고 안정적인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침대가 요청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요청을 만족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르골이 만들어내는 진동을 소리와 더불어 몸으로 느낄 수 있어 편안하고 안정적인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오르골 테라피 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란 본 발명은 침대에 있어서, 상기 침대의 상판의 하면에 설치된 울림통과; 상기 울림통 내부에 설치된 오르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르골 테라피 침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울림통은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오르골은 상기 침대의 상판의 하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침대는 침대받침부가 제공되어 상기 침대의 상판은 상기 침대받침부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침대의 상판에는 구멍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오르골은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고 타이머가 장착되며, 상기 침대에는 상기 모터와 타이머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오르골 연주에 따른 음악을 단순히 공기를 매질로 하여 소리로서 청취하는 것을 넘어 침대에 누워 오르골 선율의 진동을 몸으로서 체험하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편안하고 안정적인 휴식을 취하고 오르골 테라피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과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르골 테라피 침대의 구조를 보이는 도면;
도 3은 오르골내장울림통이 침대상판에 부착된 것을 보이는 절개도;
도 4는 오르골내장울림통이 침대상판에 부착된 것을 하부에서 바라본 평면절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르골 테라피 침대를 보이는 도면.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르골 테라피 침대(1000)의 분해도를 보이고 도 2는 조립된 상태를 보인다.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침대상판(10)이 제공되고 그 하부에는 침대받침부(70)가 제공되어 상기 침대상판(10)은 상기 침대받침부(70)에 놓여진다.
상기 침대받침부(70)는 평행한 두 개의 가로부재(71)(71)와 이들 가로부재(71)(71)를 가로질러 놓인 세 개의 세로부재(73)(73)(73)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침대상판(10)의 하면에 오르골내장울림통(100)이 설치된다.
즉 상기 침대상판(10)의 하면에 울림통(90)이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오르골(50)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울림통(90)은 상면이 개방되고 나머지 면들은 폐쇄된 형태인데, 상기 오르골(50)은 상기 침대상판(10)의 하면에 부착되고 있다.
상기 침대상판(10)에는 다수개의 관통공(8)이 형성되고 있는데 이것은 오르골(50)의 소리의 진동을 침대상판(10)이 빠르게 전달시키도록 한다.
상기 침대(1000)에는 오르골조작부(20)가 설치되고 있는데 이것은 모터로 작동되는 오르골(50)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상기 오르골내장울림통(100)이 상기 침대상판(10)에 부착된 것을 보이는 절개도이고 도 4는 하부에서 바라본 평면절개도이다.
상기 오르골(50)은 오르골케이스(59)가 제공되고 그 내부에 오르골본체(58)가 설치되는데, 이 경우 상기 오르골케이스(59)가 상기 침대상판(10)의 하면에 부착되고 있다.
상기 오르골(58)은 태엽에 의하여 작동되는 것이 설치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저속모터(583)에 의하여 작동되는 것이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타이머(584)가 설치된다.
상기 조작부(20)는 상기 저속모터(583)와 타이머(584)의 작동을 조작한다. 이에 따라 침대에 누운 사용자는 조작부(20)의 조작을 통하여 오르골의 작동을 ON/OFF 할 수 있으며 또한 그 작동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침대(1000)에 누운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20)를 조작하여 상기 오르골(58)을 작동시키면 오르골이 작동하여 음악이 연주되고 이에 따라서 아름다룬 선율이 만들어지는데 이러한 선율은 울림통(90)에 의하여 울려져 외부로 전달이 되는데, 공기매질을 통과한 것은 침대에 누운 사용자의 귀로 전달되고, 한편 울림통(90)의 개방부에 접한 침대상판(10)을 통하여 진동의 형태로서 침대에 누운 사용자의 몸으로 전달된다.
이 경우 오르골내장울림통(100)이 바로 침대의 머리쪽에 위치하여 침대에 누운 사용자는 그 진동을 바로 머리에서 느낄 수 있으며 진동을 통하여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되고 그 진동은 침대상판(10)을 따라 하부로 전달된다.
특별히, 상기 침대상판(10)은 다수개의 관통공(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침대받침대(70)에 놓여 있어 그 진동이 용이하고 빠르게 전파된다.
이와 같이 되어 본 발명에 따른 오르골 테라피 침대(1000)에 누운 사용자는 침대상판(10)의 하부에서 공명된 오르골의 연주에 따른 진동을 공기매질을 통하여 소리로 듣고 한편으로는 침대상판(10)으로 전달되는 진동으로서 몸으로 느끼고 듣게 되어 편안하고 안정적인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르골 테라피 침대(2000)를 보이는데 이것은 유아용이다. 침대상판(210)의 하면에 오르골내장울림통(2100)이 설치되어 있으며 조작부(220)에 의하여 오르골의 작동이 조작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오르골 연주에 따른 음악을 단순히 공기를 매질로 하여 소리로서 청취하는 것을 넘어 침대에 누워 오르골 선율의 진동을 몸으로서 체험하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편안하고 안정적인 휴식을 취하고 오르골 테라피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로서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권리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한다.
1000, 2000: 오르골 테라피 침대
10: 침대상판
90: 울림통
59: 오르골 케이스
58: 오르골 본체
70: 침대받침부

Claims (5)

  1. 침대에 있어서,
    상기 침대의 상판의 하면에 설치된 울림통과;
    상기 울림통 내부에 설치된 오르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르골 테라피 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울림통은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오르골은 상기 침대의 상판의 하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르골 테라피 침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는 침대받침부가 제공되어 상기 침대의 상판은 상기 침대받침부에 놓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르골 테라피 침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의 상판에는 구멍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르골 테라피 침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르골은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고 타이머가 장착되며, 상기 침대에는 상기 모터와 타이머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르골 테라피 침대.
KR1020100062748A 2010-06-30 2010-06-30 오르골 테라피 침대 KR201200020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748A KR20120002057A (ko) 2010-06-30 2010-06-30 오르골 테라피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748A KR20120002057A (ko) 2010-06-30 2010-06-30 오르골 테라피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057A true KR20120002057A (ko) 2012-01-05

Family

ID=45609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748A KR20120002057A (ko) 2010-06-30 2010-06-30 오르골 테라피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205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4625B2 (en) Vibroacoustic water system
KR940011208B1 (ko) 음에 의해 신체에 영향을 주는 장치
JP3151302U (ja) 精神状態誘導機能付き按摩椅子
JPS62129055A (ja) 音波を利用した治療装置
KR101548693B1 (ko) 비염개선용 마사지기
US20100179458A1 (en) Vibroacoustic sound therapeutic system and method
CN109331318A (zh) 一种具备全方面治疗功能的失眠治疗仓
KR100795923B1 (ko) 캡슐형 테라피 베드
JP5686362B2 (ja) 音響療法用ベッド
US20110061661A1 (en) Purr pillow
KR20120002057A (ko) 오르골 테라피 침대
EP2262463A1 (en) Vibroacoustic bathing system
EP1827351A1 (en) Harmonic vibro-massage unit
US2520172A (en) -sound intensifier
WO2018068402A1 (zh) 一种可穿戴式脑波引导助眠催眠装置
CN201418858Y (zh) 复合型低音频声脉经络理疗装置
CN205988462U (zh) 一种用于缓解青少年考试焦虑的装置
RU135891U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подушка
Aarts et al. An electro-acoustic implementation of Tibetan bowls: Acoustics and perception
CN202554761U (zh) 一种声波治疗头
FI89452C (fi) Anordning foer att med ljud inverka pao maenniskokroppen
KR101389033B1 (ko) 활성수 치료기
CN201642820U (zh) 可改善微循环的头套
TWM576783U (zh) 寵物互動食物容器
RU2019113845A (ru) Способ терапевтического лечения и самолечения посредством музыкального инструмента хомус (хомусотерап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