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905A - 방화문 개방 유지 및 비상 해제장치 - Google Patents

방화문 개방 유지 및 비상 해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905A
KR20120001905A KR1020100062524A KR20100062524A KR20120001905A KR 20120001905 A KR20120001905 A KR 20120001905A KR 1020100062524 A KR1020100062524 A KR 1020100062524A KR 20100062524 A KR20100062524 A KR 20100062524A KR 20120001905 A KR20120001905 A KR 20120001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latch
steel ball
fire do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2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4047B1 (ko
Inventor
석정희
Original Assignee
석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정희 filed Critical 석정희
Priority to KR1020100062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4047B1/ko
Publication of KR20120001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4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4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10Covers; Hou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38Cams; R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96Screw mechanis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방화문을 일정 각도에서 열린 상태로 유지하면서 화재 발생 등 비상시에는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방화문 개방 유지 및 비상 해제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개시된 장치는 방화문이 개폐되는데 따라서 회전되는 회전캠(210), 이 회전캠의 캠 변위에 따라 회전요동하면서 그 회전을 저지할 수 있는 캠래치(310)를 이용하여 방화문이 일정 각도 이상으로 개방되면 그 일정 각도에서 그 개방 상태를 유지한다. 방화문의 개방 유지 상태에서 화재 발생 등 비상시에는 솔레노이드작동기를 작동시켜 그 개방 유지 상태를 해제시킨다. 이 장치는 방화문 도어클로저에 대한 부하를 최소화하여 평상시 노인이나 어린이도 쉽게 방화문을 열 수 있고, 아울러 작은 솔레노이드작동기로로도 원활하게 동작하는 잇점이 있다. 따라서 평상시 출입하는 이용자의 편리와 안전에 효과적이며, 또한 장치를 소형화하고 원가상승 요인을 줄일 수 있는 한편, 비상 작동 이후에도 그대로 재사용할 수 있는 유지관리 등 경제성에서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방화문 개방 유지 및 비상 해제장치{FIRE DOOR HOLD-OPEN AND EMERGENCY RELEASE DEVICE}
본 발명은 방화문을 일정 각도에서 열린 상태로 유지하면서 화재 발생 등 비상시에는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방화문 개방 유지 및 비상해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업무용 빌딩 등의 각 세대 출입구나 비상구에는 화재 발생시의 화염이나 연기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방화문이 설치된다. 방화문은 언제 발생할지도 모를 화재에 대비하여 항상 닫혀 있어야 안전하므로, 규정에 따라 도어클로저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도록 설치되고 있는데, 그 방화문을 개방 상태로 영구적으로 고정하는 발굽 모양 고정쇠 등을 장치해서도 안됨은 물론, 별도의 쐐기를 괴어 고정하는 일도 금지돼 있다. 그렇기 때문에 방화문을 출입하는 이용자들은 출입을 위해 방화문을 매번 열고 통행해야 하는 번거러움을 감수할 수 밖에 없었고, 방화문 안쪽 실내를 지속적으로 환기시킬 수도 없었다. 이러한 불편을 이유로 방화문은 이용자들에 의해 인위적으로 개방 고정됨으로써, 정작 화재 발생 등 비상시에는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종종 있다.
방화문을 출입하는 이용자들의 불편을 없애고 그 본래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방화문을 평상시 개방 상태로 둘 수 있게 하면서, 화재 발생 등 비상시에는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장치가 제공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하기 인용된 특허문헌들은 방화문을 평상시 열어 둘 수 있고, 화재 등 비상시에는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종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인용 특허문헌들에 개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장치들은 공통적으로 방화문을 일정 각도 위치에서 개방 상태로 구속하기 위해 공통적으로 도어클로저 아암(arm)에 연결된 회전체, 이 회전체에 삽입된 강구(鋼球)와 스프링, 그리고 상기 회전체와 문틀 사이에 설치된 안내판을 구비한다. 회전체는 방화문이 개폐되는데 따라서 양방향으로 회전되는데, 이 회전체에는 그 회전 중심과는 편심된 위치에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이 있고, 그 구멍에 상기 강구와 스프링이 삽입된다. 강구는 스프링에 의해 안내판에 접촉 가압된다. 안내판에는 강구가 접촉하는 동일 원주상에 안내홈과 상기 일정 각도에 대응한 위치에서 그 강구를 일시적으로 가두기 위한 고정홈이 있다. 즉, 방화문이 개방되면 회전체와 함께 강구가 안내판의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일정 각도 위치에서 고정홈에 일시 가두어진다. 고정홈에 가두어진 강구를 가압하는 스프링의 탄력에 대응한 구속력은 도어클로저에 의한 문의 닫힘력을 능가하고, 그래서 방화문은 그 개방 상태로 유지된다. 물론 이 상태에서 문을 당겨 놓으면 강구가 고정홈에서 안내홈으로 이동하여 그 구속력을 잃게 되므로 방화문은 도어클로저에 의해 닫힌다.
종래기술에 따른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방화문의 개방 유지 상태에서, 화재 발생 등 비상시의 해제수단에 따라 퓨즈(fuse)의 용단특성을 이용하는 퓨즈식(하기 특허문헌 1 내지 3), 솔레노이드기구와 래치를 이용하는 솔레노이드식(하기 특허문헌 4), 모터와 래치를 이용하는 모터식(하기 특허문헌 4 및 5)으로 구분될 수 있다.
퓨즈식은 퓨즈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용단되는 특성을 이용한 것으로, 전술한 회전체 후단과 스프링받이 사이에 일정 두께를 가진 퓨즈를 개재하여 그 두께만큼 스프링이 더 수축되게 지지하고, 그 퓨즈가 화재에 의해 일정 온도로 가열되면 끊어져 탈락하게 구성한다. 즉, 퓨즈가 탈락하면 그 두께만큼 스프링이 신장되어 그 탄력이 약화되고 이 경우 전술한 고정홈에 가두어진 강구에 의한 구속력은 도어클로저에 의한 닫힘력보다 약화되어, 방화문이 그 도어클로저에 의해 닫히는 것이다.
솔레노이드식은 전술한 퓨즈 대신 별도 탄성체에 의해 벌어져 탈락하게 되는 래치를 구성하고 그 래치를 솔레노이드작동기의 플런저로 상시 구속한다. 화재 등 비상시에는 솔레노이드작동기가 작동하여 플런저를 당기고 그 플런저에 의해 구속되어 있던 래치가 벌어지면서 상기 회전체 후단과 스프링받이 사이에서 탈락하고, 마찬가지 결과로 방화문이 도어클로저에 의해 닫히게 되는 것이다.
모터식은 앞의 솔레노이드작동기 대신 회전축을 이용하여 래치를 상시 구속하고 그 작동시 해제하는 방식이다.
KR 10-0269846 B1 (2000-10-16) KR 10-0315054 B1 (2001-11-24) KR 20-0268363 Y1 (2002-03-16) KR 10-0426098 B1 (2004-04-06) KR 10-0574416 B1 (2006-04-28)
전술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 강구와 스프링에 의해 회전체의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마찰력으로 방화문을 구속하려면 그 스프링의 탄력이 충분히 커야 하는데, 방화문 개폐구간에서는 그 마찰력이 오히려 도어클로저에 부하로 작용하게 된다. 그래서 평상시 방화문을 열 때 힘이 더 들어 불편함은 물론, 이로 인해 어린이나 노인들에게는 방화문을 열고 통행하는 것이 쉽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비상시 신속히 탈출하지 못해 치명적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성을 배제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비상해제를 위한 수단으로서, 전술한 퓨즈식은 퓨즈가 화재 발생후 용단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방화문이 즉시 닫히지 않는 문제점을 가지며, 일단 용단된 퓨즈는 재사용이 불가하여 비경제적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반면, 전술한 래치는 퓨즈에 비하여 솔레노이드작동기나 모터에 의해 빠르게 조작되므로 화재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고, 또 재용사용이 가능한 잇점을 가진다. 그러나 래치 구조가 조잡하여 조립이 어렵고, 불량으로 인한 오동작이 많으며, 탈락된 다음에는 전문 기술자에 의한 재조립이 불가피하여 그 유지보수에 여전히 비경제적이다.
한편, 전술한 솔레노이드작동기나 모터는 화재시 정전에 대비한 비상 전원으로서의 별도의 축전지를 필요로 한다. 그런데 솔레노이드작동기와 모터 그리고 별도의 축전지 등은 공간을 많이 차지함은 물론, 모두 고가의 부품들이다. 게다가 전술한 강구를 가압하는 스프링의 탄력에 대응하여 충분한 출력으로 설계되어야 하기 때문에 장치 전체의 소형화가 어렵고, 원가상승 요인도 매우 컸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일거에 해결할 수 있는 개선된 솔레노이드식으로서, 도어클로저에 대한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구속력으로 방화문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고, 소형의 솔레노이드작동기와 소형의 축전지를 사용할 수 있고, 또 재조립하지 않고도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화문 개방 유지 및 비상 해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개방 유지 및 비상 해제장치는 문틀에 고정설치되는 하우징을 가지며, 이 하우징 내에 회전캠, 캠래치, 래치홀더, 결합스프링, 록킹레버, 솔레노이드작동기, 및 제어회로를 장착하여, 평상시에는 방화문이 일정 각도 이상으로 열릴 때 그 일정 각도에서 상기 캠래치에 의한 회전캠의 회전 저지로 방화문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고, 비상시에는 상기 솔레노이드작동기가 작동하여 상기 캠래치에 의한 회전캠의 회전 저지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방화문이 도어클로저에 의해 닫히도록 구성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캠은 하우징 외부의 방화문에 설치된 도어클로저의 아암과 연결되어 그 방화문이 개폐되는데 따라서 양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지지되고 그 회전에 따라 반경방향으로 변위하도록 돌출한 캠돌출부를 가진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캠래치는 상기 하우징 내에 피벗으로 지지되고 상기 회전캠과 접촉하여 그 변위에 따라 회전요동하면서 그 회전캠의 캠돌출부를 걸어서 그 회전캠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저지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래치홀더는 상기 캠래치와 같은 피벗에 회전요동할 수 있게 지지되는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결합스프링은 상기 캠래치와 래치홀더 사이에 간격을 두고 개재되어 그 양측이 함께 회전요동하게 상시 신장되어 있고 그 래치홀더에 대해 캠래치가 회전요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수축될 수 있는 탄력을 보유하는 일반적인 코일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록킹레버는 상기 하우징 내에 다른 피벗으로 지지되어 상기 캠래치에 의한 회전캠의 회전 저지의 상태가 유지되게 상기 래치홀더를 구속하거나 해제하도록 요동하는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솔레노이드작동기는 상기 록킹레버와 연결되는 플런저를 가지며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래치홀더의 구속이 해재되도록 그 플런저를 당기는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솔레노이드작동기의 전원으로 축전지를 포함하며, 상시 사용전원으로부터 그 축전지를 충전하면서, 비사시 정전되면 그 축전지의 전원으로 솔레노이드작동기를 작동시키는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개방 유지 및 비상 해제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기 회전캠의 캠돌출부에는 오목한 래치홈이 있고, 상기 캠래치에는 그 오목한 래치홈에 대응한 크기로서 상기 회전캠의 캠돌출부와 구름접촉하면서 그 래치홈에 안착하여 걸수 있는 캠롤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캠에는 그 회전중심과는 거리를 두고 그 중심방향으로 관통하는 강구수납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강구수납홈에 삽입되는 강구와, 이 강구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강구스프링, 그리고 상기 회전캠과 상기 하우징 내면 사이에 고정 설치되어 그 강구의 회전이동을 안내하는 강구안내홈 및 강구를 일시적을 가두기 위한 강구고정홈을 갖는 캠지지판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캠에는 상기 캠돌출부와는 다른 높이로 그리고 방화문의 개폐 구간에 대응한 범위에서 반경이 일정한 원형캠부와 이 원형캠부의 상기 일정 각도에 대응한 위치에 오목한 보조강구고정홈이 있고, 상기 하우징에는 그 원형캠부를 향해 외부로 관통한 보조강구수납홈이 있고, 그 보조강구수납홈에 삽입되는 보조강구와 이 보조강구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보조강구스프링 및 이 보조강구스프링의 탄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나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개방 유지 및 비상해제장치는 회전캠의 캠작용에 따라 그 반경 방향으로 변위하는 캠래치로 그 회전캠을 회전을 저지함으로써 방화문을 개방 유지하므로, 종래의 축방향으로 가압하는 강구와 스프링에 의한 마찰력보다 훨씬 작은 힘으로 그 회전캠을 저지 또는 그 저지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클로저에 대한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일반인은 물론, 노인이나 어린이도 쉽게 방화문을 열 수 있게 하여 편리와 안전에 유리한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방화문이 개방 유지된 상태에서 화재 발생 등 비상시 작동하는 솔레노이드작동기의 출력이 작아도 되므로 그것과 함께 비상 전원으로서의 축전지의 출력을 대폭 낮추어서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고 원가상승 요인을 최소화하는데 유리한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발생 등 비상 작동 이후에 솔레노이드작동기의 전원이 차단되면 모든 부품들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여 재조립 없이 그대로 재사용할 수 있어 유지관리에도 유리한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개방 유지 및 비상 해제장치가 적용된 방화문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개방 유지 및 비상 해제장치의 하우징 내 배치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개방 유지 및 비상 해제장치에 구비되는 회전캠 어셈블리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개방 유지 및 비상 해제장치에 구비되는 캠래치 어셈블리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개방 유지 및 비상 해제장치에 구비되는 록레버 어셈블리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개방 유지 및 비상 해제장치의 하우징 내 배치도로서 방화문이 닫혀 있는 초기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개방 유지 및 비상 해제장치의 하우징 내 배치도로서 방화문이 개방 유지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개방 유지 및 비상 해제장치의 하우징 내 배치도로서 도 7의 상태로부터 방화문이 강제로 닫히는 경우의 그 초기 동작 상태를 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개방 유지 및 비상 해제장치의 하우징 내 배치도로서 도 7의 상태로부터 화재 발생 등 비상시의 그 초기 동작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개방 유지 및 비상 해제장치에 관한 상술한다. 첨부된 도면은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형태로서 참조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면에 나타난 구성요소들은 과장되거나 일부 생략되는 등 실제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1은 방화문을 나타낸다. 방화문(1)은 2는 문틀(2)에 돌쩌귀(3)를 중심으로 하여 바깥쪽(도면에서 지면 아래쪽)으로 회전 개폐되는 여닫이식 문이다. 방화문(1)은 사람에 의해 열린 후 도어클로저(4)에 저절로 닫힌다. 이러한 방화문(1)에 대하여, 본 발명의 장치(6)는 문틀(2)에 고정 설치되고 도어클로저(4)의 아암(5)과 연결되어, 그 방화문(1)이 일정 각도 이상으로 열린 경우에, 그 일정 각도에서 방화문(1)을 개방 상태로 유지시키고, 비상시 해제한다. 본 발명의 장치(6)는 또한 그 일정 각도에서 개방 유지된 방화문을 당겼을 때에도 그 개방 유지 상태를 해제한다. 방화문의 개방 유지 상태가 해제되면, 방화문이 도어클로저에 의해 저절로 닫히게 됨은 물론이다. 본 발명 장치(6)의 표시창(7) 안쪽에는 예를 들면 발광다이오드 등의 램프가 설치되는데, 그 램프는 방화문 개방 유지시 점등되고 방화문이 닫히면 소등됨으로써 본 발명 장치의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 장치(6)는 하우징(100)을 가지며, 이 하우징(100) 내에 배치되는 회전캠 어셈블리(200), 캠래치 어셈블리(300), 록레버 어셈블리(400), 솔레노이드작동기(500), 그리고 제어회로 유니트(600)로 구성된다.
하우징(100)은 도 3 내지 도 5에 부분적으로 나타난 바아 같은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20)으로 결합되며, 각 부품을 조립하고 전술한 문틀에 고정하기에 적합한 구조로 된다.
전술한 회전캠 어셈블리(200)는 도 3과 같이 회전캠(210), 캠지지판(220,220'), 캠축(230)과 베어링(240,240'), 두쌍의 강구(250,250')와 강구스프링(260), 그리고 보조강구(270)와 보조강구스프링(280)으로 이루어진다.
회전캠(210)은 그 중심을 관통한 축구멍(212), 180° 위치에 축방향으로 나란히 관통한 2개의 강구수납홈(214), 가장자리 일부분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캠돌출부(215), 이 캠돌출부(215)의 정점 부위에 중심 방향으로 오목한 대략 반원형인 걸림홈(216), 가장자리 일부분에 상기 캠돌출부(215)와는 다른 높이에서 반경이 일정한 원형캠부(217), 그리고 원형캠부(217) 일단부에 반구형으로 오목한 보조강구홈(218)을 가진다.
상기 회전캠(210)의 축구멍(212)에는 캠축(230)이 끼워진다. 캠축(230)은 각형부(231)에 의해 공회전없이 회전캠(210)과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그 양단에 베어링(240,240')을 통해 상부 및 하부하우징(110,120)에 형성된 베어링지지부(111,121)에 지지된다. 또한 캠축(231)은 그 하단의 각축부(232)가 하부하우징(120)의 베어링지지부(121)를 통과하여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어클로저의 아암(5) 단부와 별도의 볼트 요소로 체결된다. 즉, 방화문이 개폐되는데 따라서 그 방화문에 부착된 도어클로저가 함께 이동하면서 그 아암(5)이 회전되어지고, 이러한 아암(5)의 회전에 따라 상기 캠축(230)과 함께 회전캠(210)이 양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캠축(231)은 회전캠(210)과 한 몸체로도 제작가능하지만, 방화문의 설치 조건에 따라 방향을 바꾸어 고정할 수 있도록 별도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캠(210)의 강구수납홈(214)에는 강구(250,250')가 스프링(260)과 함께 수납되고, 그 스프링(260)에 의해 상부 및 하부하우징(110,120)에 형성된 강구마찰홈(112,122)에 탄력적으로 접촉된다.
캠지지판(220,220')은 상하 한쌍으로 구비된 것으로, 각각 상부 및 하부하우징(110,120)의 바닥에 밀착되고 거기에 형성된 돌기(113,123)로 고정 지지된다. 이 캠지지판(220,220')의 강구안내홀(222)은 회전캠(210)이 회전될 때 강구(250,250')가 강구마찰홈(112,122)과 접촉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고, 강구고정홀(223)은 그 강구(250,250')를 일시적으로 가두기 위한 것이다. 이 캠지지판(220,220')은 각각 상부 및 하부하우징(110,12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부하우징(120)에는 그 측벽부를 관통하여 전술한 회전캠의 중심을 향하는 보조강구수납홈(114)과 나사부(115)가 형성되어 전술한 보조강구(270)와 보조스프링(280)을 수납한다. 보조강구(270)는 보조스프링(280)에 의해 회전캠(210)의 원형캠부(217)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며, 보고강구고정홈(218)에서 일시적으로 가두어진다. 부호 116은 보조강구수납홈9114)의 덮개이고, 부호 281은 보조스프링(280)의 탄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나사이다.
전술한 회전캠(210)의 원형캠부(217)는 방화문의 개폐구간에 대응한 범위 이상으로 형성된 것이고, 전술한 캠돌출부(215)의 걸림홈(216)과 강구고정홈(223) 및 보조강구고정홈(218)은 방화문을 개방 유지할 위치에 대응한 것이다.
전술한 캠래치 어셈블리(300)는 도 4와 같이 캠래치(310), 캠롤러(320), 래치홀더(330), 홀더보조블록(340), 피벗(350), 결합스프링(360) 및 토션스프링(370)으로 이루어진다.
캠래치(310)는 피벗(350)에 회전요동가능하게 지지되며, 그 피벗을 중심으로 구분되는 일단부(312)와 타단부(313)로 이루어지고, 그 일단부(312)에 캠롤러(320)가 축(321)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래치홀더(330)는 같은 피벗(250)에 회전요동가능하게 지지되며, 그 회전요동을 저지하기 위한 걸림단(332), 캠래치(310)의 타단부(313)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결합스프링(360)을 받쳐주기 위한 스프링받침부(333), 및 캠래치(310)의 그 타단부(313)를 벌어지지 않게 받쳐주기 위한 래치받침부(334)를 가진다.
홀더보조블록(340)은 걸림턱(341)을 가지며, 래치홀더(330)의 걸림단(332)에 리벳팅으로 고정된다. 이 홀더보조블록(340)은 래치홀더(330)와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캠래치(310)와 래치홀더(330)를 지지하는 피벗(350)은 그 양단이 상부 및 하부하우징(110,120)의 보스(116,126)에 끼워져 고정된다.
결합스프링(360)은 탄력적으로 신축될 수 있는 것으로서 캠래치(310)의 타단부(313)와 래치홀더(330)의 스프링받침부(333) 사이에서 상시 신장되고, 래치홀더(330)에 대해 캠래치(310)가 회전요동하는 것이 허용되도록 수축될 수 있다.
토션스프링(370)은 하부하우징(120)의 돌기(127)와 고정링(371)으로 지지되고, 그 일단이 캠래치(310)의 핀홀(314)에 끼워지고 그 타단이 하부하우징(120)의 벽부에 지지되고 상호 수축된 상태로 설치됨으로써, 캠래치(310)의 일단부(312)에 지지된 캠롤러(320)가 전술한 회전캠(320)과 상시 접촉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 토션스프링(370)은 꼭 필요한 것은 아니다.
전술한 록킹레버 어셈블리(400)는 록레버(410), 록킹보조블록(420), 피벗(430), 스페이서 롤러(440)로 이루어진다.
록킹레버(410)는 피벗(430)에 회전요동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 록킹단(411)과 연결단(412)을 가진다.
록킹보조블록(420)은 록킹레버(410)의 록킹단(411)에 리벳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전술한 홀더보조블록(340)의 걸림단(341)을 걸어서 구속하기 위한 록킹단(421)을 가진다. 그러나 이 록킹보조블록(420)은 록킹레버(410)와 일체로 될 수 있다.
록킹레버(410)를 지지하는 피벗(430)은 그 양단이 상부 및 하부하우징(110,120)의 보스(119,129)에 끼워져 고정된다.
스페이서 롤러(440)는 록킹레버(410)가 피벗(430)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록킹레버(410)의 연결단(412)은 도 6 내지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작동기(500)의 플런저(510)와 연결된다. 플런저(510)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상시 돌출해 있으며, 솔레노이드작동기(500)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자적 추력에 의해 당겨져서 록킹레버(410)를 연동시킨다.
제어회로기판(600)에는 축전지(622)와 2개의 마이크로스위치(623,624) 및 발광다이오드(625)을 포함하여, 평상시 외부의 상용전원으로부터 축전지(622)를 충전하면서 화재 등으로 인해 정전되면 그 축전지(610) 전원을 솔레노이드작동기(500)에 인가하고, 또한 일측 마이크로스위치(620)로 발광다이오드(640)를 점등하고, 타측 마이크로스위치(630)로 그 발광다이오드(640)를 소등하는 제어회로 요소가 탑재된다. 여기서 마이크로스위치(620,630)는 전술한 방화문의 개폐구간에 대응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전술한 회전캠(210)의 원형캠부(217)와 접촉함으로써 각각 방화문이 닫히는 초기 위치와 개방 유지되는 위치를 알리는 신호를 스위칭한다. 이와 같은 제어회로는 통상적인 기술수준에서 쉽게 구현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구체적인 회로 구성에 관한 예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방화문이 닫혀 있는 경우이다. 방화문이 닫혀 있는 경우, 평상시는 솔레노이드작동기(500)가 비작동 상태로서 그 플런저(510)가 돌출해 있고, 록킹레버(410)의 록킹단(421)에 래치홀더(330)의 걸림단(421)이 걸려 있음으로써 그 래치홀더(330)의 도면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요동이 저지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캠래치(310)에 설치된 캠롤러(320)가 회전캠(210)의 원형캠부(217)에 살짝 접촉하게 되고, 강구(250,250')는 캠지지판(220,220')의 강구안내홈(222,222')에 놓이고, 보고강구(270)는 회전캠(210)의 원형캠부(217)와 접촉해 있게 된다. 한편, 발광다이오드(625)는 소등된 상태이고, 이를 통해 방화문이 현재 닫혀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은 방화문이 일정 각도로 열려 있는 경우이다. 방화문이 일정 각도로 열려 있는 경우에도, 솔레노이드작동기(500)와 록킹레버(410)와 래치홀더(330) 및 캠래치(310) 모두 앞의 도 6과 같은 자세로 있게 되며, 다만 방화문이 열린 그 일정 각도만큼 회전캠(210)이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그 회전캠(210)의 캠돌출부(215)가 캠래치(310)의 캠롤러(320) 위치에 놓여, 그 캠돌출부(215)의 래치홈(215)이 캠래치(300)의 캠롤러(320)에 걸려 있는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회전캠(210)에는 도어클로저에 의한 닫힘력이 작용함에도 불구하고 그 회전캠(210)이 구속되어 방화문의 개방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도 7에 있어서, 결합스프링(360)의 탄력이 충분하면 캠래치(310)의 캠롤러(320)와 캠돌출부(215)의 래치홈(216)에 의해 회전캠(210)의 구속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그 구속력은 단지 회전캠(210)을 걸고 있는 정도에 불과하여 종래와는 달리 전술한 도어클로저에 대한 부하로 거의 작용하지 않게 된다. 다만, 강구(250,250')와 강구고정홈(223,223') 및 보조강구(270)와 보조강구홈(218)은 그 구속력을 분담하여 상기 결합스프링(360)의 탄력을 작은 값으로 설계할 수 있게 해 주며, 그 결합스프링(360)의 탄력을 줄임으로써 이후, 방화문을 쉽게 닫을 수 있는 것이다(도 8 참조). 한편, 이 상태에서는 마이크로스위치(623,624)의 각 스위칭 상태가 회전캠(210)의 원형캠부(217)에 의해 각각 반전되어, 발광다이오드(625)가 점등되어 있게 되며, 따라서 방화문이 정상적으로 개방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방화문이 개방 유지된 상태(도 7)에서 방화문을 닫는 경우의 그 초기 동작을 보인다. 개방 유지된 방화문을 닫는 방향으로 당기면, 그 방향에 대응하여 회전캠(210)이 도면에서 시계방향(실선 살표 참조)으로 강제 회전되며, 이때 회전캠(210)의 캠돌출부(215)에 의해 캠롤러(320)가 밀쳐짐에 따라 캠래치(310)가 결합스프링(360)을 수축시키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그 캠래치(310)의 캠롤러(320)와 래치홈(216)에 의한 회전캠(210)의 구속 상태가 해제되며, 그 이후에는 도어클로저 작용에 의해 방화문이 닫히게 되는 것이다.
도 8의 점선 화살표는 방화문을 초기 상태(도 6)에서 일정 각도 이상으로 여는 경우의 그 일정 각도 부근에서의 동작을 보이다. 즉, 이 경우는 회전캠(210)이 앞의 경우와 반대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캠래치(310)는 그 캠돌출부(215)의 변위를 따라 물러났다 복귀하는 작용에 의해 그 일정 각도에서 도 7의 상태로 되는 것이다.
다음 도 9는 방화문이 개방 유지된 상태(도 7)에서 화재 발생 등 비상시의 그 초기 동작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 화재가 발생되고 그 화재감지가 이를 감지하면 자동으로 상용전원이 차단되는데, 이와 같이 사용전원이 차단되면 제어회로에 의해 축전지(622)의 전원이 솔레노이드작동기(500)에 인가되고, 솔레노이드작동기(500)는 플런저(510)를 당긴다. 플러저(510)가 당겨지면, 록킹레버(410)가 도면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그 록킹단(421)이 래치홀더(330)의 걸림단(341)에 이탈된다. 그러면 래치홀더(330)가 캠래치(310)와 함께 용이하게 회전요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어, 도어클로저 작용에 따른 회전캠(210)의 회전에 의해 그 회전캠(210)의 구속이 용이하게 해제되어지며, 따라서 그 이후부터는 도어클로저에 의해 방화문이 자동으로 닫히는 것이다.
도 9와 같은 작용으로 방화문이 일정 각도 이내로 닫히면, 캠래치(310)와 래치홀더(330)는 토션스프링(340)에 의해 복귀하게 되고, 축전지(622) 전원이 방전되고 또는 화재 진압후 상용전원이 정상적으로 복구되어 솔레노이드작동기(500)의 작동이 중단되면 그 플러저(510)와 록킹레버(410)도 복귀하여, 다시 도 6의 초기 상태로 된다.
한편, 도 6과 같은 초기 상태에서는, 회전캠(210)의 원형캠부(217)에는 캠롤러(340)와 보조강구(270)가 각각 토션스프링(340)과 보조스프링(280)으로 가압 접촉하게 되는데, 그 가압 접촉하는 방향이 축방향과 직교하는 법선 방향이고, 또 그 캠롤러(340)와 보조강구(270) 모두 구름접촉하므로 도어클로저에 의한 회전캠(210) 회전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아니한다. 한편, 전술한 강구스프링(260)으로 가압되는 강구(250,250')의 접촉 마찰력이 축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의 그 강구스프링(260)은 전술한 바와 같은 캠래치(310)의 구속력을 분담하기 위한 것이므로, 종래 그것의 탄력보다는 아주 작은 것으로, 이로인한 도어클로저의 부하부담은 극히 적은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장치에도 불구하고, 평상시 방화문을 여는 것이 수월함은 물론, 노인이나 어린이도 쉽게 열고 통행할 수 있어 훨씬 편리하고 안전한 것이다.
100;110,120: 하우징, 210: 회전캠, 215: 캠돌출부, 216: 래치홈, 310: 캠래치, 320: 캠롤러, 330: 래치홀더, 410: 록킹레버, 500: 솔레노이드작동기, 600: 제어회로기판, 622: 축전지

Claims (4)

  1. 문틀에 고정설치되는 하우징을 가지며, 이 하우징 내에 지지되고 외부의 방화문에 설치된 도어클로저의 아암과 연결되어 그 방화문이 개폐되는데 따라서 양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고 그 회전에 따라 반경방향으로 변위하도록 돌출한 캠돌출부를 가지는 회전캠과, 상기 하우징 내에 피벗으로 지지되고 상기 회전캠과 접촉하여 그 변위에 따라 회전요동하면서 상기 캠돌출부를 걸어서 상기 회전캠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저지할 수 있게 된 캠래치와, 이 캠래치와 같은 피벗에 회전요동할 수 있게 지지된 래치홀더와, 그 캠래치와 래치홀더 사이에 간격을 두고 개재되어 그 양측이 함께 회전요동하게 상시 신장되어 있고 그 래치홀더에 대해 캠래치가 회전요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수축될 수 있는 탄력을 보유하는 결합스프링과, 상기 하우징 내에 다른 피벗으로 지지되어 상기 캠래치에 의한 회전캠의 회전 저지의 상태가 유지되게 상기 래치홀더를 구속하거나 해제하도록 요동될 수 있는 록킹레버, 이 록킹레버와 연결되는 플런저가 있고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래치홀더의 구속이 해제되도록 그 플런저를 당기는 솔레노이드작동기, 축전지를 포함하며 평상시 상용전원으로부터 그 축전지를 충전하면서 정전시 그 축전지 전원으로 상기 솔레노이드작동기를 작동하는 제어회로가 구비되어, 방화문이 상기 캠돌출부 위치에 대응하는 일정 각도 이상으로 열린 경우 그 일정 각도에서 상기 캠래치에 의한 회전캠의 회전 저지로 방화문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고, 비상시에는 상기 솔레노이드작동기가 작동하여 그 캠래치에 의한 회전캠의 회전 저지 상태를 해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개방 유지 및 비상 해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캠의 캠돌출부에는 오목한 래치홈이 있고, 상기 캠래치에는 그 래치홈에 대응한 크기로서 상기 회전캠의 캠돌출부와 구름접촉하면서 그 래치홈에 안착하여 걸수 있는 캠롤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개방 유지 및 비상해제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회전캠에는 그 회전중심과는 거리를 두고 그 중심방향으로 관통하는 강구수납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강구수납홈에 삽입되는 강구와, 이 강구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강구스프링, 그리고 상기 회전캠과 상기 하우징 내면 사이에 고정 설치되어 그 강구의 회전이동을 안내하는 강구안내홈 및 강구를 일시적을 가두기 위한 강구고정홈을 갖는 캠지지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개방 유지 및 비상 해제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캠에는 상기 캠돌출부와는 다른 높이로 그리고 방화문의 개폐 구간에서 반경이 일정한 원형캠부와 이 원형캠부의 상기 일정 각도에 대응한 위치에 오목한 보조강구고정홈이 있고, 상기 하우징에는 그 원형캠부를 향해 외부로 관통한 보조강구수납홈이 형성되어 있고, 그 보조강구수납홈에 삽입되는 보조강구와 이 보조강구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보조강구스프링 및 이 보조강구스프링의 탄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나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개방 유지 및 비상 해제장치.
KR1020100062524A 2010-06-30 2010-06-30 방화문 개방 유지 및 비상 해제장치 KR101194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524A KR101194047B1 (ko) 2010-06-30 2010-06-30 방화문 개방 유지 및 비상 해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524A KR101194047B1 (ko) 2010-06-30 2010-06-30 방화문 개방 유지 및 비상 해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905A true KR20120001905A (ko) 2012-01-05
KR101194047B1 KR101194047B1 (ko) 2012-10-24

Family

ID=45609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524A KR101194047B1 (ko) 2010-06-30 2010-06-30 방화문 개방 유지 및 비상 해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40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22721A (zh) * 2016-08-30 2017-03-22 瓯宝安防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防火门闭门装置
KR102502240B1 (ko) * 2022-06-27 2023-02-21 주식회사 제이드솔루션 화재감지기와 연동된 출입문 개폐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9846B1 (ko) 1997-10-02 2000-10-16 김영조 도어클로즈용 도어의 걸림장치
KR100315054B1 (ko) 1998-11-03 2001-11-24 김영조 도어클로즈용 도어의 걸림장치
KR100426098B1 (ko) 2003-09-09 2004-04-06 주식회사 디.씨.에스 화재확산방지를 위한 도어클로저 어셈블리
KR100574416B1 (ko) 2003-10-08 2006-04-28 (주) 경진에스디에스 방화용 도어클로저의 도어걸림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22721A (zh) * 2016-08-30 2017-03-22 瓯宝安防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防火门闭门装置
KR102502240B1 (ko) * 2022-06-27 2023-02-21 주식회사 제이드솔루션 화재감지기와 연동된 출입문 개폐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4047B1 (ko) 201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09732C2 (ru) Замок
EP2113048B1 (en) Latch assembly
KR100269846B1 (ko) 도어클로즈용 도어의 걸림장치
EP1863733B1 (en) Safety lock for elevator landing door detecting intrusion in the shaft through the landing door and elevator thus equipped
US3935614A (en) Electromechanical door holder-closer
JP2016514234A (ja) エンジン逆噴射装置の鎖錠
BRPI0615005B1 (pt) A rotating lock having a locking arm which can be pivoted parallel to the main rotation axis
KR101194047B1 (ko) 방화문 개방 유지 및 비상 해제장치
KR20120132250A (ko) 도어 스토퍼 장치
KR20070056722A (ko) 접이식 방화문
RU2060225C1 (ru) Система безопасности для распашной двери шахты лифта
US7448426B2 (en) Failsafe door closing device of a fire proof rolling door
DK2385196T3 (en) Lock
US20220162894A1 (en) Hold-open arrester arrangement having a hold-open function to hold a door open
DK2385194T3 (en) Lock
KR200223101Y1 (ko) 출입문용 피벗힌지
KR100866262B1 (ko) 방화문용 자동개폐 장치
KR100853747B1 (ko) 방화문용 자동개폐 보조장치
PT1321609E (pt) Dispositivo de abertura de porta de acordo com o princípio de corrente de repouso
KR101571401B1 (ko) 도어 개폐 핸들 잠금 장치
EP3088644B1 (en) Door stopper and door security assembly
SK4572003A3 (en) Mechanism for manoeuvring a door
KR200279145Y1 (ko) 방화문
US20240191546A1 (en) Door-strike
KR100457891B1 (ko) 도어 클로저용 도어의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