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897U - 선박용 바스켓형 케이블 트레이 - Google Patents
선박용 바스켓형 케이블 트레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01897U KR20120001897U KR2020100009324U KR20100009324U KR20120001897U KR 20120001897 U KR20120001897 U KR 20120001897U KR 2020100009324 U KR2020100009324 U KR 2020100009324U KR 20100009324 U KR20100009324 U KR 20100009324U KR 20120001897 U KR20120001897 U KR 20120001897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r
- cable tray
- runner
- vertical
- bar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용 바스켓형 전로(Main Cable Tray; 이하 "케이블 트레이"라 한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NEMA-8C(강도 규정)을 적정 강도로 유지하면서 φ4.2mm 런너 바 및 세로 바를 라운더 바(Rounder Bar) 형상의 단일 재질 및 구조로 하고 중량은 종래에 비해 1/3 ~ 1/4정도 경량화한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선), PO-PAX(여객화물겸용선), CRUISE(크루즈)와 같은 부가가치가 높은 선박에 적용할 수 있는 선박용 바스켓형 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케이블 트레이로서, 케이블이 적재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설치된 다수의 런너 바: 상기 다수의 런너 바와 수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세로 바; 상기 다수의 런너 바 중 최외각의 런너 바와 이 런너 바와 세로 바가 만나는 지점에서 수직으로 설치된 다수의 수직 가이드 바; 상기 다수의 수직 가이드 바에 직각으로 설치된 다수의 수평 가이드 바; 및 상기 다수의 수직 가이드 바에 인접하여 설치된 다수의 서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NEMA-8C(강도 규정)을 적정 강도로 유지하면서 φ4.2mm 런너 바 및 세로 바를 라운더 바(Rounder Bar) 형상의 단일 재질 및 구조로 하고 중량은 종래에 비해 1/3 ~ 1/4정도 경량화한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선), PO-PAX(여객화물겸용선), CRUISE(크루즈)와 같은 부가가치가 높은 선박에 적용할 수 있는 선박용 바스켓형 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케이블 트레이로서, 케이블이 적재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설치된 다수의 런너 바: 상기 다수의 런너 바와 수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세로 바; 상기 다수의 런너 바 중 최외각의 런너 바와 이 런너 바와 세로 바가 만나는 지점에서 수직으로 설치된 다수의 수직 가이드 바; 상기 다수의 수직 가이드 바에 직각으로 설치된 다수의 수평 가이드 바; 및 상기 다수의 수직 가이드 바에 인접하여 설치된 다수의 서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선박용 바스켓형 전로(Main Cable Tray; 이하 "케이블 트레이"라 한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량의 케이블을 효과적으로 배치하여 주변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케이블 배치에 따른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현장에 설치가 용이한 선박용 바스켓용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트레이는 공장이나 선박 및 대형건물 등에서 다량의 케이블이 배치되는 경로를 사전에 확보하여 케이블을 배치하는데 따른 배치공간과 배치시간을 줄이고 배치된 케이블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블 트레이를 미리 설치한 후 설치된 케이블 트레이의 경로를 따라 케이블을 차례대로 배치하게 된다.
통상 케이블 트레이에는 건물, 선박 등의 실내의 각 부분에서 전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다량의 전선들이 안내되며, 작업자가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직접 올라가거나 사다리 등을 이용해 올라가서 일측에서 케이블을 잡아당기고 다른 작업자는 타측에서 케이블을 공급하며 개별의 케이블을 지정된 배선경로에 따라 안치시키면서 배선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는 천장에 평면상으로 고정됨에 따라 많은 면적을 차지하여 다량의 케이블이 배선될 때에는 천장에 다수 개의 케이블 트레이가 복잡하게 설치되어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고, 다수개의 케이블이 서로 접촉되어 발열시 공기냉각이 원활치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개방된 상면을 통해서 작업하므로 작업 시야가 좁고, 작업조건이 취약하여 케이블 트레이 상에의 배선작업에만도 시간과 인력이 크게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현재 세계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전선 설치용 케이블 트레이는 Hanger + Runner Bar(Runner Bar는 38×6t Flat Bar 또는 25A/32A SPP Pipe, 그리고 Hanger는 2.3t Steel Plate) 구조로 NEMA-12C(강도 규정)에 준하는 요건으로 과잉설계/제작되어 선박에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전선 설치용 케이블 트레이는 중량 관리 선박(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RO-PAX, CRUISE 등)의 적용에는 부적합하다.
도 1에 종래 기술의 여러 형태의 케이블 트레이를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 형태의 케이블 트레이는 사다리 타입(LADDER TYPE), 단일형(SINGLE) 그리고 원형 타입(ROUND TYPE) 등 여러 가지가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는 케이블을 묶어주는 행어(Hanger;20) 및 케이블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런너 바(Runner Bar;10)로 구성된다. 상기 행어(20)에는 바인더를 삽입하기 위한 바인더 삽입구멍(20a)이 다수 개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행어와 런너 바가 과잉설계 제작되어 선박에 적용되고 있으며, 바인더 삽입구멍(20a)에 일일이 바인더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작업이 번거로울뿐만 아니라 작업 안전성에도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배경하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NEMA-8C(강도 규정)을 적정 강도로 유지하면서 φ4.2mm 런너 바 및 세로 바를 라운더 바(Rounder Bar) 형상의 단일 재질 및 구조로 하고 중량은 종래에 비해 1/3 ~ 1/4정도 경량화한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선), PO-PAX(여객화물겸용선), CRUISE(크루즈)와 같은 부가가치가 높은 선박에 적용할 수 있는 선박용 바스켓형 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선박에서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케이블 트레이로서, 케이블이 적재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설치된 다수의 런너 바: 상기 다수의 런너 바와 수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세로 바; 상기 다수의 런너 바 중 최외각의 런너 바와 이 런너 바와 세로 바가 만나는 지점에서 수직으로 설치된 다수의 수직 가이드 바; 상기 다수의 수직 가이드 바에 직각으로 설치된 다수의 수평 가이드 바; 및 상기 다수의 수직 가이드 바에 인접하여 설치된 다수의 서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선박에 적용되는 케이블 트레이를 NEMA-8A/B/C(강도 규정)에 적합한 정도를 유지할 수 있고, 하중이 무겁고 단가가 비싼 철판을 사용하지 않는 대신 하중이 가볍고 가격이 싼 소정 굵기 원형강으로 제작하여 종래에 비해 중량이 1/4 ~ 1/3 감소될 뿐만 아니라 케이블을 바인더로 묶을 공간이 넓어지므로 생산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여러 종류의 케이블 트레이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선박용 바스켓형 케이블 트레이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본 고안의 케이블 트레이의 평면도이고, 도 2b 및 2c는 본 고안의 케이블 트레이의 아이소 뷰(ISO VIEW)를 도시하는데, 도 2b는 1단형의 케이블 트레이를 도시하고, 도 2c는 2단형의 케이블 트레이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선박용 바스켓형 케이블 트레이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본 고안의 케이블 트레이의 평면도이고, 도 2b 및 2c는 본 고안의 케이블 트레이의 아이소 뷰(ISO VIEW)를 도시하는데, 도 2b는 1단형의 케이블 트레이를 도시하고, 도 2c는 2단형의 케이블 트레이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바스켓형 케이블 트레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에 있어서 동일, 유사의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유사의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선박용 바스켓형 케이블 트레이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본 고안의 케이블 트레이의 평면도이고, 도 2b 및 2c는 본 고안의 케이블 트레이의 아이소 뷰(ISO VIEW)를 도시하는데, 도 2b는 1단형의 케이블 트레이를 도시하고, 도 2c는 2단형의 케이블 트레이를 도시한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케이블 트레이에 있어서 세로 바(20')와 런너 바(10')는 종래와는 달리 φ4.2mm 원형강으로 이루어지므로 기존의 철재 구조에 비해 중량이 1/4 ~ 1/3 정도 경량화되고, 서포트(30)는 종래와 같이 스틸재료로 구성되지만 단면이 ㄱ자 형으로 구성된다. 런너 바(10')와 세로 바(20')는 다수 개로 구성되고, 런너 바와 런버 바 사이의 거리는 대략 150mm로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바인더 삽입구멍에 바인더를 삽입할 필요가 없이 런너 바들 사이에 바인더를 넣어서 케이블들을 묶으면 되므로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케이블 트레이는 트레이에 놓여 지는 케이블(도시 않음)을 가이드하기 위한 수직 가이드 바(40) 및 수평 가이드 바(40a)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가이드 바(40)는 최외각의 런너 바(10')와 이 런너 바와 세로 바가 만나는 지점에서 수직으로 설치되고 수직 가이드 바(40)에 직각으로 수평 가이드 바(40a)가 설치된다. 따라서 런너 바(10')와 세로 바(20')가 트레이의 수직벽면을 형성한다. 상기 수직 가이드 바(40)에 인접하여 상기 서포트(30)가 설치된다. 수평 가이드 바(40a)는 또한 서포트(30)를 픽싱하는데도 사용된다. 즉, 서포트(40)는 하단에서 U 볼트로 형성된 고정부재(30a)로 고정된다. 서포트(40)는 선박의 천정에 평면상으로 고정된다. 상기 수직 가이드 바(40) 및 수평 가이드 바(40a)를 설치함으로써 트레이에 놓여 지는 케이블을 묶은 바인더가 손상되는 경우에도 케이블이 케이블 트레이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된다.
도 2c에 도시된 케이블 트레이는 2단으로 형성되므로 많은 량의 케이블을 적재할 수 있다. 그 밖의 구성은 도 2c에 도시한 케이블 트레이의 구성과 같다. 본 고안에서는 1단 또는 2단으로 구성되는 케이블 트레이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천정에 고정되는 서포트의 고정강도 및 원형강의 강도에 따라 2단으로 한정되지 않고 그 이상의 다 단으로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선박에 적용되는 케이블 트레이를 NEMA-8A/B/C(강도 규정)에 적합한 정도를 유지할 수 있고, 하중이 무겁고 단가가 비싼 철판을 사용하지 않는 대신 하중이 가볍고 가격이 싼 소정 굵기 원형강으로 제작하여 종래에 비해 중량이 1/4 ~ 1/3 감소될 뿐만 아니라 케이블을 바인더로 묶을 공간이 넓어지므로 생산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바스켓형 케이블 트레이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예시 목적이지 이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고자 함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이하의 부속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며, 본 고안의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형태는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런너 바 20: 행어
20a: 바인더 삽입구멍 10': 세로 바
20': 세로 바 30: 서포트
30a: 고정부재 40: 수직 가이드 바
40a: 수평 가이드 바
20a: 바인더 삽입구멍 10': 세로 바
20': 세로 바 30: 서포트
30a: 고정부재 40: 수직 가이드 바
40a: 수평 가이드 바
Claims (3)
- 선박에서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케이블 트레이로서,
케이블이 적재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설치된 다수의 런너 바:
상기 다수의 런너 바와 수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세로 바;
상기 다수의 런너 바 중 최외각의 런너 바와 이 런너 바와 세로 바가 만나는 지점에서 수직으로 설치된 다수의 수직 가이드 바;
상기 다수의 수직 가이드 바에 직각으로 설치된 다수의 수평 가이드 바; 및
상기 다수의 수직 가이드 바에 인접하여 설치된 다수의 서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바스켓형 케이블 트레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는 그 하단에서 상기 수평 가이드 바와 함께 고정 부재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바스켓형 케이블 트레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런너 바와 상기 다수의 세로 바가 형성하는 평면이 케이블 트레이의 일단을 형성하며, 상기 케이블 트레이는 일단 또는 다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바스켓형 케이블 트레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9324U KR20120001897U (ko) | 2010-09-06 | 2010-09-06 | 선박용 바스켓형 케이블 트레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9324U KR20120001897U (ko) | 2010-09-06 | 2010-09-06 | 선박용 바스켓형 케이블 트레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1897U true KR20120001897U (ko) | 2012-03-14 |
Family
ID=58043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09324U Withdrawn KR20120001897U (ko) | 2010-09-06 | 2010-09-06 | 선박용 바스켓형 케이블 트레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01897U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9538B1 (ko) * | 2013-12-16 | 2015-05-12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시추선의 캣워크 구조체 |
KR20170001907U (ko) | 2015-11-23 | 2017-05-31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및 이를 가지는 선박 |
KR101966777B1 (ko) * | 2018-05-25 | 2019-04-08 | 정일수 |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
CN115021177A (zh) * | 2022-07-08 | 2022-09-06 |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 船舶电缆支撑件 |
-
2010
- 2010-09-06 KR KR2020100009324U patent/KR20120001897U/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9538B1 (ko) * | 2013-12-16 | 2015-05-12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시추선의 캣워크 구조체 |
KR20170001907U (ko) | 2015-11-23 | 2017-05-31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및 이를 가지는 선박 |
KR101966777B1 (ko) * | 2018-05-25 | 2019-04-08 | 정일수 |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
CN115021177A (zh) * | 2022-07-08 | 2022-09-06 |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 船舶电缆支撑件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37156B1 (en) | Cable support hook | |
KR20120001897U (ko) | 선박용 바스켓형 케이블 트레이 | |
KR20130026849A (ko) | 전선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이선 방법 | |
KR20120002451U (ko) | 선박용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 |
KR20150012683A (ko) | 케이블 포설 장치 | |
KR20150087593A (ko) | 벨트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장치 | |
KR20120030051A (ko) | 미부착된 천장 패널과 천장 빔을 가진 천장 상에 물체를 부착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 |
KR200467320Y1 (ko) | 케이블 배관용 배선 클램프 | |
KR20200094575A (ko) | 풍력타워의 tp영역 내 해저케이블의 횡배열 정리방법 | |
KR20200025259A (ko) | 열경화성 smc 복합섬유 기반 선박용 케이블 트레이 | |
US20130139375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cable and conduit | |
KR102462734B1 (ko) | 내진 현수 장치 | |
KR20140003753U (ko) | 케이블 트레이용 커버 | |
KR20140005495U (ko) | 케이블 트레이 | |
KR200463853Y1 (ko) | 착탈식 수직지지부재를 구비한 케이블 트레이 | |
KR20120008940A (ko) | 케이블 트레이 | |
KR20160022696A (ko) | 해상파일 설치용 선박 | |
JP4328337B2 (ja) | 光ケーブルの吊線支持部材 | |
KR20130001875U (ko) | 선박용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 | |
CN214755316U (zh) | 一种高强度电缆桥架 | |
KR20140005570A (ko) | 보조 전로용 체결식 행거 | |
KR200468510Y1 (ko) | 케이블 트레이 | |
KR20150002389U (ko) | 케이블 트레이 | |
KR20220157175A (ko) | 케이블 트레이 | |
KR20100064792A (ko) | 케이블 트레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00906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UC1204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