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739A -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739A
KR20120001739A KR1020117022446A KR20117022446A KR20120001739A KR 20120001739 A KR20120001739 A KR 20120001739A KR 1020117022446 A KR1020117022446 A KR 1020117022446A KR 20117022446 A KR20117022446 A KR 20117022446A KR 20120001739 A KR20120001739 A KR 20120001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vigation key
digital content
key
numeric valu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2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7336B1 (ko
Inventor
피터 로서
씨 웨슬리 월린
제니퍼 로스
티모시 조벨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001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5Reproducing at a different information rate from the information rate of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04N21/42213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 H04N21/42215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by measuring the time interval during which a key is pressed, e.g. for inputting sequences of digits when selecting a televis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4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arket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디지털 미디어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기술이 본원에 개시되어 있다. 일 측면에서,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는 한편, 썸네일과 같은 스냅샷이 디스플레이되어 탐색 위치에 연계된 미디어 컨텐츠의 표상을 사용자에게 보여주게 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이동 키의 기능이 일시적으로 변경된다. 이러한 일시적인 변경으로 인해 사용자는 소망하는 위치를 매우 정확하게 탐색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입력 키를 보다 적게 누르게 된다. 또한, 이러한 변경은 일시적이기 때문에, 보다 많은 융통성을 갖게 된다.

Description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제어 방법{CONTROLLING PLAYBACK OF MEDIA CONTENT}
방송 중인 또는 녹화된 TV, DVD(digital versatile disks) 등을 비롯한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많은 기존의 기술들에는 여러 가지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리모콘에 있는 다양한 "이동 키(transport keys)"(또한, "트릭 플레이(trick play)" 키라고도 함)를 사용하여, 미디어 컨텐츠의 다른 위치를 탐색할 수 있다. 특정 예시로서, 사용자는 녹화 TV에서 빨리 감기를 하여 다른 위치를 탐색할 수 있고, 방송 중인 TV 신호가 버퍼링된 경우, 되감기를 하여 방송 중인 TV의 이전 위치로 돌아갈 수 있다. 사용자가 "건너뛰기(skip)" 버튼을 누를 때마다 소정의 시간만큼 앞으로 건너뛰게 되는 또 다른 기술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는 시행 착오를 겪는 추측 게임으로, 결과적으로는 버튼을 많이 누르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녹화 TV 프로그램를 보는 경우, 광고가 시작되면, 사용자는 건너뛰기 버튼을 한번 이상 눌러 광고를 건너뛰려고 한다. 그러나, 광고를 모두 건너뛴 다음에는, 사용자는 보통 다시 보기(replay)를 눌러 TV 프로그램에서 건너뛴 부분이 없는 지를 확인하려고 한다.
미디어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기술이 본원에 개시되어 있다. 일 측면에서,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playback)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는 한편, 썸네일(thumbnail)과 같은 스냅샷이 디스플레이되어 탐색 위치에 연계된 미디어 컨텐츠의 표상(representation)을 사용자에게 보여주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정상적인 재생을 보는 와중에, 탐색 위치의 컨텐츠를 미리 볼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이동 키의 기능이 일시적으로 변경된다. 이러한 일시적인 변경으로 인해 사용자는 소망하는 위치를 매우 정확하게 탐색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입력 키를 보다 적게 누르게 된다. 또한, 이러한 변경은 일시적이기 때문에, 보다 많은 융통성을 갖게 된다.
일 측면에서, 디지털 컨텐츠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동안, 디지털 컨텐츠에서의 하나 이상의 다른 위치를 탐색하기 위한 요청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다. 디지털 컨텐츠를 계속 표시하는 한편, 디지털 컨텐츠의 하나 이상의 다른 위치에 연계된 하나 이상의 표상이 제공된다.
일 측면에서, 비디오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동안, 숫자 값 및 이동 키의 선택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다. 이동 키의 기능은 숫자 값에 따라서 일시적으로 변경된다. 이동 키 기능의 일시적인 변경에 기반하여 비디오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다.
본 요약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추가적으로 설명되는 일련의 컨셉을 간략화된 형태로 소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요약은 특허청구된 대상의 핵심적인 특징 또는 필수적인 특징을 밝히기 위한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된 대상의 범위를 결정하는 데 일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도 아니다.
도 1(a)은 사용자가 탐색하고자 하는 위치의 비디오를 나타내는 스냅샷과 함께 녹화 비디오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b)는 사용자가 탐색하고자 하는 위치의 비디오를 나타내는 스냅샷과 함께 방송 중인 비디오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원에 기술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3은 디지털 컨텐츠의 다른 위치에 연계된 표상과 함께 디지털 컨텐츠를 표시하는 프로세스의 일 실시예의 절차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디지털 컨텐츠의 다른 위치를 탐색하기 위한 요청에 대한 응답 프로세스의 일 실시예의 절차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사용자가 지도 경로 상의 다른 위치를 탐색하는 동안, 지도 경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프로세스의 일 실시예의 절차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이동 키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변경하는 프로세스의 일 실시예의 절차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이동 키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변경하는 세부 사항의 일 실시예의 절차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위한 플랫폼으로 동작하는 방송-가능 컴퓨터(broadcast-enabled computer)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기술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팅 환경의 일 실시예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a)는 녹화 파일의 다른 위치의 비디오를 나타내는 스냅샷(125)과 함께 메인 디스플레이(107)에서 녹화 비디오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스냅샷(125)은 사용자가 녹화 파일의 새로운 위치를 탐색할 때마다 바뀐다. 타임라인(108)은 녹화 분량이 6 시간 3 분임을 보여준다. 디스플레이 화면(110)의 대부분에서 녹화 비디오 컨텐츠가 정상 속도로 재생될 수 있다. 비디오에 연계된 오디오 컨텐츠도 비디오 신호와 동기화되어 재생된다. 타임라인(108)은 메인 디스플레이(107)에서 보여지는 현 위치가 녹화 분량의 1시간 53분째임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타임라인(108)에 따라 셔틀(115)을 이동시켜 녹화 비디오의 새로운 위치를 탐색할 수 있다. 스냅샷(125)은 셔틀 위치에서의 비디오 컨텐츠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스냅샷(125)는 4 시간 33 분에서의 비디오에 해당하는, (메인 디스플레이(107)와 비교하여) 그 크기가 상당히 축소된 이미지인 "썸네일"일 수 있다. 비디오의 썸네일을 생성하는 기술은 2008년 8월 14일에 공개된 미국 공개 특허 제 2008/0192840 호 "Smart Video Thumbnail"에 기술되어 있으며, 다목적으로 그 전체가 참조로서 본원에 인용된다. 한편, 스냅샷(125)은 썸네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스냅샷(125)은 정적 이미지(예컨대, 정지 프레임(still frame))일 수 있으며, 또는 셔틀(115)이 고정된(stationary) 경우라도 다수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스냅샷(125)이 이미지일 필요는 없다. 보다 일반적으로, 스냅샷(125)은 셔틀 위치에 연관된 표상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좋다. 스냅샷(125)은 제목, 장면 묘사와 같이, 이미지 데이터가 아닐 수도 있다.
사용자가 타임라인(108)에 따라 셔틀(115)을 움직이면, 일련의 스냅샷(125)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사용자가 셔틀(115)의 움직임을 멈춘 후에, 메인 디스플레이(107)의 컨텐츠가 셔틀(115)에 연계된 위치에 해당하는 비디오로 전환되기 전에 잠깐의 준비 기간이 있다. 즉, 스냅샷(125)에 있던 컨텐츠가 메인 디스플레이(107)로 이동하게 된다. 그 다음에, 스냅샷(125)이 디스플레이에서 사라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새로운 위치를 탐색할 수 있게 되고, 메인 디스플레이(107)가 새로운 위치로 전환되기 전에 그 컨텐츠를 미리 보기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새로운 위치로 전환하지 않기로 결정하면, 이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107)는 현 위치에서의 오디오/비주얼 신호를 계속 표시하므로, 탐색 프로세스 동안에 보기(및 듣기)가 방해받지 않게 됨을 알 것이다.
도 1(b)는 사용자가 탐색하고자 하는 위치의 비디오를 나타내는 스냅샷(125)과 함께 방송 중인 비디오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타임라인(108)은 방송 중인 TV 프로그램의 시작 시각과 종료 시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타임라인(108)은 ("방송 중인 TV 버퍼 시작" 및 "버퍼 끝"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방송 중인 TV 신호의 버퍼링된 버전을 이용할 수 있는 시간 영역을 나타낸다. 본 예시에서, 사용자는 셔틀(115)을 시각 12:46:29로 이동시켰다. 스냅샷(125)은 그 시점에서의 방송 중인 TV 신호의 표상을 보여준다. 스냅샷(125)은 정지 프레임이거나 일련의 프레임들, 또는 이미지가 아닌 데이터일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107)는 방송 중인 TV 버퍼의 어떤 부분이라도 재생할 수 있다.
셔틀(115)의 동작은, 사용자가 타임라인(108)에 따라 셔틀(115)을 이동시킴에 따라 일련의 스냅샷(115)이 디스플레이된다는 점에서 도 1(a)의 예시와 유사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사용자가 셔틀(115)의 움직임을 멈춘 후에, 메인 디스플레이(107)의 컨텐츠가 셔틀(115)에 연계된 위치에 해당하는 비디오로 전환되기 전에 잠깐의 준비 기간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새로운 위치를 탐색할 수 있고, 메인 디스플레이(107)가 새로운 위치로 전환되기 전에 그 컨텐츠를 미리 보기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새로운 위치로 전환하지 않기로 결정하면, 이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107)는 현 위치에서의 방송 중인(또는 버퍼링된) TV를 계속 제공하므로, 탐색 프로세스 동안에 보기(및 듣기)가 방해받지 않게 됨을 알 것이다.
또한, 도 1(b)는 비디오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가 마우스나 기타 장치로 선택할 수 있는 제어키들(126)을 도시한다. 키(126)에는 (왼쪽에서 오른쪽 순서로) 정지 키(stop key), 다시 보기 키, 되감기 키(rewind key), 재생 키(play key) 및 두 개의 빨리 감기 키(fast forward keys)(저속 및 고속)가 포함된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키들(126)은 메인 디스플레이(107) 또는 셔틀(115)을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냅샷(125)을 디스플레이하지 않으면서 메인 디스플레이(107)에서 방영되는 것을 단순히 되감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메인 디스플레이(107)가 정상 속도로 비디오 신호를 표시하는 대신, 키(126)의 선택에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107)가 표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스냅샷(125) 요청을 위해 선택되는 스냅샷 버튼(132)이 제공된다. 사용자가 스냅샷 버튼(132)을 선택한 후 타임아웃 기간 내에 어느 하나의 키(126)를 선택하면, 셔틀(115)의 위치가 키(126)에 의해 제어된다. 미세 조정 버튼들(fine tuning buttons, 133 및 134)은, 사용자가 더 이상 어떤 키(126)도 선택하지 않은 이후 준비 시간 동안 스냅샷(125)에 연계된 비디오의 위치를 앞뒤로 조금씩 이동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사용자가 선택 버튼(135)을 선택하면, 셔틀(115)(또는, 스냅샷(125))에 연계된 비디오 컨텐츠의 위치가 메인 디스플레이(107)에 정상 속도로 표시된다. 오디오 신호는 메인 디스플레이(107)에서 재생되는 비디오와 동기화될 수 있다.
도 1(a) 및/또는 1(b)의 디스플레이는 컴퓨터 시스템, TV, 이동 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개인 네비게이션 장치, 비디오 게임 콘솔 등을 비롯한 전자 장치의 일부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전자 장치에 통합될 수도 있고, 전자 장치와 분리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스냅샷(125)이 디스플레이 화면(110)의 대부분을 차지할 수도 있음을 알 것이다. 예를 들어, 스냅샷(125)이 별개의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보여지는 실시예에서는, 스냅샷(125)이 디스플레이 화면 전부를 차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원에 기술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 시스템(200)의 일례를 도시한다. 시스템(200)은 프로그램 소스들(204(1) 내지 204(4))에 접속된 다수의 전자 장치들(214(1) 내지 214(4))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소스(204)는 전자 장치(214)에 의해 수신되는 특정 신호의 소스를 말한다. 소스(204)는 지역 TV 안테나(204(1)), 케이블 방송 시스템(204(2)), 위성(204(3)), 컨텐츠 서버(204(4)) 등을 포함하며, 이들로서 제한되지는 않는다.
지역 TV 안테나(204(1))는 지역 TV(또는 라디오) 방송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케이블 방송 시스템(204(2))은 케이블 TV 공급자로부터의 컨텐츠를 제공한다. 위성 (204(3))은 위성 TV 공급자를 위한 신호를 제공한다. 컨텐츠 서버(204(4))는 인터넷 TV 공급자로부터의 신호를 제공한다. 도 2에는 몇몇 예시적인 프로그램 소스(204)만이 도시되어 있다. 프로그램 소스(204)에서 전송되는 신호는 TV 프로그램, 영화, 광고, 음악 및 유사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컨텐츠를 비롯한 컨텐츠를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프로그램 소스(204)로부터의 신호는 TV에 국한되지 않는다.
전자 장치(214)는 수많은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14(1))는 안테나(224)에 연결되어 지역 TV 방송국으로부터 프로그램 컨텐츠를 수신한다. 이러한 예에서, 전자 장치(214(1))는 TV 세트로, 다른 전자 장치들(214(2) 내지 214(4))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214(1))는 전자 장치들(214(2) 및 214(3))에 직접 접속하여 프로그램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지만, 다이어그램을 불분명하지 않게 하기 위해 도 2에는 이러한 접속이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일 실시예에서, 시스템(200)은 튜너(tuner)가 없는 TV 세트를 포함한다.
전자 장치(214(2))는 케이블 네트워크(217)에 연결되어 케이블 시스템(204(2))으로부터 프로그램 컨텐츠를 수신한다. 전자 장치(214(2))는 셋톱박스라고도 한다. 전자 장치(214(3))는 위성 접시(212)에 연결되어 위성(204(3))으로부터 프로그램 컨텐츠를 수신한다. 전자 장치(214(3))는 셋톱박스 또는 위성 수신기라고도 한다. 전자 장치(214(4))는 네트워크(220, 예컨대, 인터넷)에 연결되어 컨텐츠 서버(204(4))로부터 프로그램 컨텐츠를 수신한다. 또한, 전자 장치(214(4))는 인터넷 상에 있지 않은 네트워크 소스로부터 프로그램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214(4))는 개인용 컴퓨터라고도 한다. 전자 장치들(214(1) 내지 214(4))은 컨텐츠를 추출하기 위해 신호에 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튜너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개인용 컴퓨터(214(4))는 프로그램 컨텐츠를 재생하고 녹화할 수 있다. 개인용 컴퓨터(214(4))가 컨텐츠를 온더 플라이(on-the-fly)로 녹화함으로써, 사용자는 개인용 컴퓨터(214(4))에서 재생되고 있는 방송 중인 TV를 일시 정지시키거나 되감을 수 있다. 개인용 컴퓨터(214(4))는 다양한 방식으로 프로그램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개인용 컴퓨터(214(4))가 튜너 카드를 구비함으로써, 직접 프로그램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튜너 카드를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face) 확장 슬롯에 연결시켜, 개인용 컴퓨터(214(4)) 내부에 튜너 카드를 설치할 수 있다. 또는, 튜너 카드는 USB(Universal Serial Bus) 케이블 등으로 컴퓨터(214(4))에 연결되는 외부 하드웨어일 수도 있다. 튜너 카드는 예를 들어, 안테나(224), 케이블 연결(217) 및 위성 접시(212)에 연결될 수 있다.
튜너 카드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싱글 튜너, 디지털 신호를 위한 싱글 튜너, 아날로그와 디지털 신호 중 어느 한 쪽을 수신하도록 변경가능한 하이브리드 튜너 및 아날로그 튜너 및 디지털 튜너 모두를 포함하는 콤비네이션 튜너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이브리드 튜너는 어느 한 시점에서 아날로그 튜너와 디지털 튜너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하이브리드 튜너는 다른 유형의 튜너로 동작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콤비네이션 튜너는 아날로그 및 디지털 튜너를 포함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을 녹음하면서 아날로그 방송을 시청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어떤 튜너 카드는 두 개(또는 그 이상)의 디지털 튜너들 및/또는 두 개(또는 그 이상)의 아날로그 튜너들을 가진다.
한편, 컴퓨터(214(4))(또는 다른 전자 장치(214))는 컨텐츠 서버(204(4))로부터 프로그램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해, 튜너 카드와 같은 특수 하드웨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원에서, 튜너는, 전자 장치(214)가 다른 네트워크(220) 기반 방송국(예컨대, TV 또는 라디오 방송국)으로부터 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어떠한 조합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서 이러한 튜너는 "가상 튜너(virtual tuner)"라고도 할 수 있다. 네트워크(220) 기반 방송국의 일례로써, 웹 사이트로부터 "인터넷 TV"를 스트리밍하는 ABC(American Broadcasting Corporation)와 같은 방송 네트워크가 있다. 많은 판매업체에서 인터넷 TV를 수신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제품의 일례로, 워싱톤 레드몬드의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으로부터 상용화된 마이크로소프트 미디어룸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들 수 있다.
또한, 개인용 컴퓨터(214(4))는 다른 전자 장치들(214(1) 내지 214(3))에 연결되어, 이 전자 장치들(214(1) 내지 214(3))의 튜너로부터 프로그램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214(4))는 셋톱박스들(214(2), 214(3)) 중 어느 한쪽에 연결되어, 그로부터 출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개인용 컴퓨터(214(4))는 소프트웨어를 실행시켜, 전자 장치(214(2) 또는 214(3))로부터의 신호 출력을 처리하여 개인용 컴퓨터(214(4))에 TV 프로그램 등을 재생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의 일례로써, 워싱톤 레드몬드의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으로부터 상용화 된 미디어 센터 엔터테인먼트 센터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컴퓨터의 튜너 카드의 출력에 기반하여 TV 컨텐츠를 재생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개인용 컴퓨터(214(4))는 튜너를 통해 소스들(204(1) 내지 204(4))로부터 프로그램 컨텐츠를 수신 및 재생할 수 있으며, 튜너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일 수 있다.
전자 장치(214)는 사용자가 미디어 재생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셔틀(115) 및/또는 메인 디스플레이(107)를 제어하기 위해 "리모콘"(804(1))을 사용할 수 있다. 리모콘은 보통 TV, 셋톱박스, 비디오 레코더 및 DVD 플레이어를 비롯한 전자 장치들을 제어하는 데에 사용된다. 통상, 이러한 리모콘은 키(126)에 해당하는 키들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리모콘에는, 일반적으로 버튼(132 내지 135)으로 사용되는 키들이 없을 수 있다. 리모콘(804(1))은 특별히 버튼(132 내지 135)을 구현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특정 키의 선택에 따라 리모콘(804(1))이 출력하는 코드가 프로그램되어, 전자 장치(214)에서 버튼(132 내지 135)인 것처럼 해석되는 코드를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리모콘(814(1))은 특별한 프로그래밍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다른 기능으로 통상 사용되는 리모콘(814(1))의 하나 이상의 키가 버튼들(132 내지 135)을 구현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214)의 소프트웨어(또는 기타 로직)는 이러한 키들에 대한 코드를, 리모콘(814(1))의 그 키들에 연계된 통상의 기능 대신, 버튼들(132 내지 135)이 선택된 것으로 해석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셔틀(115) 및/또는 메인 디스플레이(107)를 제어하도록 "마우스"(804(2))가 사용될 수도 있다.
시스템(200)의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214)는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해 내장된 로직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서, 재생을 제어하는 로직이 소프트웨어를 통해 구현된다. 한편, 재생을 제어하는 로직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인용 컴퓨터(214(4))가 재생을 제어하게 된다. 그러나, 또 다른 전자 장치가 재생을 제어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재생 제어가 다수의 장치들에서 공유될 수도 있다.
예시된 시스템(200)은 단지 운영 환경의 일례일 뿐임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설명은 특허청구된 대상의 적용 범위를 이러한 운영 환경의 하나의 유형으로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그보다는, 본원에 기술된 원리들은 특허청구된 대상의 사상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유사하거나 다른 환경에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디지털 컨텐츠의 다른 위치에 연계된 표상과 함께 현 위치에 연계된 디지털 컨텐츠를 표시하는 프로세스(300)의 일 실시예의 절차에 관한 순서도이다. 프로세스(300)의 절차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인스트럭션으로써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인스트럭션이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때, 프로세서가 프로세스(300)의 절차를 실행하게 된다. 현 위치에 연계된 디지털 컨텐츠를 표시할 때, 그 현 위치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정상 속도로 비디오를 재생할 때, 현 위치는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디지털 컨텐츠의 시간 인덱스일 수 있다.
스텝 302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지털 컨텐츠가 표시된다. 방송 중인 또는 녹화된 비디오를 정상 속도로 재생하는 두 가지 예를 들 수 있으나, 이로서 프로세스(300)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GPS(global position satellite)를 사용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 장치에서 프로세스(300)가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컨텐츠는 디지털화되어 저장된 지도 데이터 및 관련 컨텐츠(예컨대, 스트리트 레벨 뷰 및 음식점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300)가 네비게이션 장치에서 실행되는 세부 사항에 대해 도 5의 프로세스(500)에서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스텝 304에서, 디지털 컨텐츠에서 하나 이상의 다른 위치("탐색 위치")를 탐색하고자 하는 요청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다. 도 1(a) 및 도 1(b)의 예들에서, 사용자는 탐색을 위해 리모콘(804(1)) 또는 마우스(804(2)) 등의 입력 장치를 사용하여 셔틀(115)을 이동시킨다. 몇몇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리모콘(804(1))을 사용하여 "이동 키" 또는 "트릭 플레이 키"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키들은 빨리 감기, 되감기, 건너뛰기 및 다시 보기 키를 포함하지만, 이들로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는 통상적으로 컴퓨터 시스템과 상호 작용하는 "마우스"(804(2))와 같은 장치를 통해 셔틀(115)을 이동시킬 수도 있다. 마우스(804(2))는 셔틀(115)을 "드래그(drag)"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마우스(804(2)) 등으로 선택가능한 키들(126) 및 기타 버튼(132 내지 135)이 디스플레이 화면(110)에 마련될 수 있다.
스텝 306에서, 현 위치의 디지털 컨텐츠가 정상 속도로 계속 표시되는 동안에도 탐색 위치들에 연계된 하나 이상의 표상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셔틀(115)을 이동시킴에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107)에서는 비디오가 정상 속도로 계속 재생되는 한편, 하나 이상의 스냅샷(125)이 표시된다.
도 4는 오디오/비디오 컨텐츠의 다른 위치를 탐색하기 위한 요청에 대한 응답 프로세스(400)의 일 실시예의 절차에 관한 순서도이다. 프로세스(400)는 방송 중인 또는 녹화된 비디오를 재생시킬 수 있는 전자 장치에서 구현가능하다. 프로세스(400)의 시작 전에, 전자 장치가 방송 중인 또는 녹화된 오디오/비디오 컨텐츠를 재생시키도록(이는 프로세스(300)의 스텝 302에 해당) 사용자가 조치를 취한다.
스텝 402에서, 이동 키가 선택된다. 스텝 402는 프로세스(300)의 스텝 304의 일 구현예이다. 사용자가 리모콘(804(1))의 키를 누르거나 또는 마우스(804(2))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키(126)를 선택함으로써 선택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스냅샷(125)은 사용자가 이를 분명하게 요청할 때에만 제공된다. 따라서, 이러한 일부 구현예에서는, 스냅샷(125)이 요청되었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요청이 없다면, 그 선택은, 스냅샷(125) 없이 컨텐츠를 메인 디스플레이(107)에서 직접 처리하는 요청으로 해석된다.
스텝 404에서, 새로운 탐색 위치의 인덱스가 결정된다. 인덱스는 (녹화된 또는 버퍼링된) 비디오 컨텐츠에서 위치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인덱스는 시간 인덱스, 프레임 인덱스 등일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빨리 감기 키를 계속 누르고 있으면, 비디오 컨텐츠에서 탐색하는 빨리 감기 속도의 함수인 시간량이 현재 시간 인덱스에 더해져 인덱스가 계산된다.
스텝 406에서, 스텝(404)에서 결정된 시간 인덱스에 대한 스냅샷(125)이 존재하거나 용이하게 준비가능한지 여부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시간 인덱스에 대한 스냅샷들(125)이 저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그 결정은 그 시간 인덱스에 가까운 스냅샷(125)을 탐색하는 것이다. 또한, 스냅샷(125)이 "온더 플라이"로 생성될 수 있는 경우에는, 스냅샷(125)을 용이하게 준비할 수 있다. 스냅샷(107)이 존재하거나 용이하게 준비할 수 있다면, 스텝 408에서, 메인 디스플레이(125)에 비디오가 정상 속도로 계속 표시되는 한편, 스냅샷(125)이 디스플레이(110)에 제공된다. 시간 인덱스가 스냅샷(125)과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현재 그 시간 인덱스에 대한 스냅샷(125)이 사용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스텝 410에서, 스냅샷 없이 시간 인덱스가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가 계속해서 이동 키를 선택하는 한, 추가 스냅샷(125)이 생성되게 된다. 스텝 412에서 이동 키가 여전히 선택된 것으로 결정되면, 스텝 404로 되돌아가도록 제어되어 새로운 탐색 위치에 대한 인덱스가 결정된다. 따라서, 프로세스(400)는, 사용자가 이동 키를 계속 선택하고 있는 동안 다수의 스냅샷(125)이 제공되는, 스텝 404 내지 412 간의 루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빨리 감기 키를 선택하고 있는 동안, 추가적인 스냅샷(125)이 주기적으로 생성될 것이다. 사용자는 리모콘(804(1))의 빨리 감기 키를 계속 누르고 있음으로써, 또는 빨리 감기 키를 한 번 이상 눌러 빨리 감기 키를 "락인(lock in)"시킴으로써, 빨리 감기 키 선택을 지속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정지 키, 재생 키를 선택하거나 빨리 감기 키를 다시 누름으로써 또는 이 밖의 기법으로 빨리 감기 키 선택을 중지시킬 수 있다. 되감기 키의 선택 및 "선택 해제"는 빨리 감기 키와 유사할 수 있다.
빨리 감기 키와 되감기 키 이외의 키들은 연속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건너뛰기 키를 계속 누르고 있으면, 이는 다수의 건너뛰기를 요청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각각의 새로운 요청은, 사용자가 건너뛰기 키를 일정 시간(이는 사용자가 건너뛰기 키를 계속 누름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동안 누르고 있는 것에 기반할 수 있다. 각각의 새로운 요청으로 건너뛰게 되는 비디오의 양은, 고정되거나 또는 건너뛰기 요청의 횟수(또는 사용자가 건너뛰기 키를 유지하는 시간의 길이)의 함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처음에는 30초를 건너뛰다가, 사용자가 건너뛰기 키를 계속 누르고 있으면, 건너뛰는 비디오의 양이 증가한다. 이동 키가 반드시 "연속된 선택"을 지원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다시 보기 키를 누르고 있을지라도, 이는 단일 요청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이동 키의 선택을 중단하면, 준비 클럭이 시작된다(스텝 414). 준비 클럭은 사용자에게 위치 탐색을 " 미세 조정"하거나 탐색 동작을 중단시킬 기회를 제공하기 충분한 정도의 만료 시간을 가지는 타이머이다.
이 준비 기간 중에는 아무때나, 사용자가 스냅샷(125)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416에서, 사용자가 이동 키 또는 미세 조정 키(예컨대, 도 1(b)의 133, 134)를 선택하였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사용자가 이러한 키를 선택하였다면, 어떤 키가 선택되었는지에 따라 처리가 달라진다. 다시 한번, 스텝 404로 되돌아가도록 제어되어, 또 다른 인덱스를 결정하게 된다. 미세 조정 키들(133, 134)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스냅샷(125)이 조금 이동한다. 즉, 탐색 위치가 조금 이동하는 것이다. 스텝(404 내지 416)은 프로세스(300)의 스텝 306의 일 구현예이다. 프로세스(400)의 나머지 스텝들이 프로세스(300)의 스텝들에 명시적으로 대응하지는 않는다.
이 준비 기간 중에는 아무때나, 사용자가 탐색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418에서, 사용자가 탐색 동작 중단을 선택하였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사용자가 탐색 동작을 중단하기로 결정하였다면, 스냅샷(125)은 더 이상 디스플레이되지 않고, 메인 디스플레이(107)의 컨텐츠가 정상 동작으로 계속 표시된다(420). 아무 적절한 키 또는 기타 입력으로 중단 요청을 할 수 있다.
이 준비 기간 동안에는 아무때나, 사용자는 스냅샷(또는 탐색) 위치로 "이동"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메인 디스플레이(107)를 스냅샷(205)에 연계된 위치로 전환하는 선택을 할 수 있다. 스텝 422에서, 사용자가 스냅샷 위치로 이동하기로 선택하였는지가 결정된다. 선택한 경우에는, 메인 디스플레이(107)의 표시가 전환되어, 스냅샷(125)에 연계된 위치에서 정상 속도로 재생이 시작된다(스텝 426). 오디오 신호는 비디오 신호와 동기화되어 재생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사용자는 재생 키를 선택함으로써 스냅샷 위치로 이동하는 요청을 하지만, 또 다른 입력을 사용할 수도 있다. 스텝 428에서, 스냅샷(125)의 표시는 중지된다.
사용자의 동작 없이 준비 시간이 끝난 경우에는(스텝 424), 사용자가 메인 디스플레이(107)를 스냅샷 위치로 전환하길 원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스텝 426으로 진행하도록 제어되어 메인 디스플레이(107)를 스냅샷 위치로 전환한다. 그러나, 스텝 424에서 타이머의 만료 시에 다른 선택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자동으로 메인 디스플레이(107)로 전환하는 대신, 사용자에게 전환을 원하는 지를 상기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스텝 420에서와 마찬가지로 탐색 동작이 중단될 수 있다.
도 5는 사용자가 지도 경로 상의 다른 위치의 탐색 요청에 대한 응답 프로세스(500)의 일 실시예의 절차에 관한 순서도이다. 프로세스(500)는 개인용 전자 네비게이션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이 장치는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의 도움을 받아서 특정 스텝들을 실행할 수 있다. 일 구현예로, 사용자가 두 지점 사이의 경로 안내(directions)를 요청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네비게이션 장치는 경로를 결정하거나, 이를 다른 장치로부터 얻게 된다.
스텝 502에서, 경로 상 사용자의 현 위치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지도에 표시된다. 스텝 502는 프로세스(300)의 스텝 302의 일 실시예이다. 이러한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디지털 컨텐츠는 지도를 포함하는 것은 물론, 네비게이션 경로 안내를 단계별로(step by step)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디지털 컨텐츠에서 위치는 위치에 기반하여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컨텐츠는 네비게이션 장치에서 제안되는 지도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지도 경로는 디지털 컨텐츠에서의 선형적인 진행(linear progression)으로 생각될 수 있다. 진행은 경로의 길이 또는 경로를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경로를 이동하는데 걸리는 추정된 또는 실제 시간 등)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지도 경로에서의 위치는 디지털 컨텐츠에서의 위치와 연계될 수 있다.
스텝 504에서, 지도 경로 상의 다른 위치로의 탐색 요청이 수신된다. 스텝 504는 프로세스(300)의 스텝 304의 일 실시예이다. 이러한 탐색은 시간 기반 탐색 또는 거리 기반 탐색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사용자가 한 시간 후에 지날 경로 부분 근처에 있는 음식점에 관심을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경로를 따라 한 시간 앞으로 탐색하기 위한 요청을 한다. 이에 대해, 전자 장치(214)는 사용자가 한 시간 후에 경로의 어디에 있을지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시간 범위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입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타임라인(108)을 따라 셔틀(115)을 이동시키거나, 또는 지도 경로에 따라 셔틀(115)을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텝(504)은 다수의 위치("탐색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텝 506에서, 스텝 502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지도가 계속 제공되고 있는 동안, 하나 이상의 탐색 위치에 연계된 표상이 제공된다. 스텝 506은 프로세스(300)의 스텝 306의 일 구현예이다. 예를 들어, 이 표상은 탐색 위치 근방에 있는 음식점 리스트(특정 가격대, 종류, 체인점 등에서의 음식 서빙)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이 표상은 경로에 따른 스트리트 레벨 뷰일 수 있다.
사용자가 탐색을 계속함에 따라(스텝 504), 표상이 바뀔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탐색에 따라, 스트리트 레벨 뷰 또는 음식점 리스트가 바뀌게 된다. 또한, 메인 디스플레이(107)에서는 단계적인 경로 안내와 함께 지도를 계속 보여줄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실례로써, 동승자가 경로 상 앞으로 나올 음식점을 찾거나 앞으로 나올 복잡한 턴(turn)을 살피는 동안, 운전자는 경로 안내(예를 들면, 음성 안내(audio prompts))를 계속 수신할 수 있다.
도 6은 이동 키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변경하는 프로세스(600)의 일 실시예의 절차에 관한 순서도이다. 프로세스(600)는 개인용 컴퓨터, TV, 셋톱박스, 이동 전화, 개인용 네비게이션 장치 등을 비롯한 전자 장치(214)에서 실행될 수 있다. 프로세스(600)는 탐색 위치의 표상(스냅샷(125)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프로세스(300) 또는 프로세스(400) 등의 기법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프로세스(600)는 스냅샷(125)을 표시하지 않고도 사용될 수 있다. 스텝 602에서, 전자 장치(214)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비디오가 재생된다.
스텝 604에서, 숫자 값을 지정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리모콘(804(1))의 키패드의 숫자를 누르고, 리모콘(804(1))은 전자 장치(214)에 코드를 전송한다.
스텝 606에서, 숫자 값을 수신하는 특정 시간 내에 이동 키가 선택되었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리모콘(804(1))의 키패드의 이동 키를 누르고, 리모콘(804(1))은 전자 장치(214)에 코드를 전송한다. 이동 키는 다시 보기, 되감기, 재생, 빨리 감기 및 건너뛰어 재생(skip play) 키 등을 포함하나, 이들로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타임아웃 기간 내에 이동 키가 선택되지 않는다면, 숫자 입력은 채널을 변경하는 요청으로 해석된다(스텝 607). 이동 키가 타임아웃 기간 내에 선택된다면, 스텝 608로 진행하도록 제어된다.
스텝 608에서, 이동 키의 기능이 숫자 값에 따라 일시적으로 변경된다. 도 7의 프로세스(700)에서 스텝 608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일시적으로 변경하는 일례로, 숫자 값을 시간 값으로 해석하고, 빨리 감기 키의 기능을 그 양만큼 앞으로 뛰어넘는 것으로 변경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일시적인 변경이란 이동 키의 일반적인 기능이 어느 시점에서 돌아오는 것을 의미한다. 이동 키가 한번 더 선택되면 그 기능이 돌아올 수도 있다. 즉, 이동 키를 한 번 선택하는 동안에만 그 변경이 지속될 수 있다. 그러나, 일시적으로 변경된 것은 경우에 따라서는 일정 시간 동안 지속될 수도 있다.
스텝 610에서, 이동 키의 일시적인 변경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에 비디오가 표시된다. 도 1(a)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녹화 비디오 컨텐츠에 기반하는 다음의 예시를 통해, 이동 키의 일시적인 변경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숫자 "2, "4" 및 "9"를 선택한 후 재생 키를 선택했을 때, 메인 디스플레이(107)에는 현 위치인 1 시간 53 분에서의 녹화 비디오 파일이 재생되고 있다. 이 숫자들은 녹화 파일의 시각 2:49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디스플레이(107)는 자동으로 전환되어 녹화 파일의 시각 2:49에서의 컨텐츠를 정상 속도로 재생한다. 이 숫자들은 다른 많은 방식들로 해석될 수 있다.
도 7은 이동 키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변경하는 프로세스(700)의 일 실시예의 절차에 관한 순서도이다. 프로세스(700)는, 프로세스(600)의 스텝 606에서 이동 키가 시간 내에 선택되었다고 결정되는 경우에 시작된다. 프로세스(700)에는 어떤 이동 키가 선택되었는지에 따라 다양한 경로가 있다. 이동 키가 되감기 키라면, 스텝 702가 실행된다. 되감기 키의 일반적인 기능은, 사용자가 되감기 키를 계속 선택하고 있는 한 비디오를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하면서 또는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뒤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되감기 키의 기능은 숫자 입력에 기반한 시간만큼 뒤로 건너뛰는 것으로 일시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되감기 키를 계속해서 누르고 있을 필요가 없게 된다.
스텝 702에서, (예컨대, 프로세스(600)의 스텝 604에서 이전에 수신된) 숫자 입력이 시간 값으로 변환된다. 이러한 예에서, 변환은 분과 초로 된다. 예를 들면, 숫자 입력이 "1" "3" "0"이라면, 이는 1 분 30 초로 변환될 수 있다. 스텝 704에서, 현재 시간 인덱스가 그 시간 값만큼 감해진다. 예를 들어, 현재 시간 인덱스란 메인 디스플레이(107)에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비디오에 연계된 인덱스를 말한다. 현재 시간 인덱스가 1:53:42(시:분:초)라면, 새로운 인덱스는 1:52:12가 된다. 스텝 706에서, 시간 인덱스의 유효 여부가 결정된다. 유효하지 않다면, 사용자는 이를 경고받게 된다(스텝 708).
시간 인덱스가 유효하다면, 장치가 현재 스냅샷 모드에 있는 지에 따라 동작이 결정된다(스텝 710). 스냅샷 모드가 아니라면, 새로운 시간 인덱스로의 탐색이 스텝 712에서 실행된다. 이러한 탐색은 새로운 시간 인덱스에 기반하여 메인 디스플레이(107)를 바꾸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메인 디스플레이(107)가 녹화 파일의 위치 1:52:12에 있는 컨텐츠를 정상 속도로 재생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나서, 프로세스(700)가 종료된다.
사용자가 스냅샷(125) 모드인 상태에서 현재 탐색하고 있다면, 스텝 714에서 새로운 시간 인덱스에 따라 스냅샷(125)이 업데이트된다. 예를 들어, 스냅샷(125)이 현재 4:33:00에 있을 때, 사용자가 "1" "3" "0"과 되감기 키를 입력한다면, 스냅샷(125)은 4:31:30으로 다시 조금 이동한다. 정확히 4:31:30의 스냅샷(125)이 없으면, 근처 시간의 스냅샷(125)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후에, 프로세스(700)는 준비 클럭을 시작하는, 프로세스(400)의 스텝 414로 진행하도록 제어된다. 도 4의 프로세스(400)를 다시 참조하면, 스텝 416에서 이동 키가 선택되었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선택은 사용자가 이동 키를 선택하여 유지하고 있거나, 또는 사용자가 숫자 값 다음에 이동 키를 선택하는 것을 말한다(예컨대, 프로세스(600)의 스텝 604, 606). 사용자가 이동 키를 선택하고 유지하고 있는 경우, 스텝 404로 진행하도록 제어되어 새로운 시간 인덱스를 결정하게 된다. 사용자가 숫자 값 다음에 이동 키를 입력하는 경우, 프로세스(700)로 진행하도록 제어되어 어떤 이동 키가 선택되었는지에 따라 처리하게 된다.
다시 프로세스(700)를 참조하여, 빨리 감기(FWD) 키의 처리가 논의될 것이다. 빨리 감기 키의 일반적인 기능은, 사용자가 빨리 감기 키를 계속 선택하고 있는 동안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비디오의 앞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빨리 감기 키의 기능은 숫자 입력에 기반하여 일정 시간 만큼 앞으로 점프하거나 건너뛰는 것으로 일시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빨리 감기 키를 계속 선택하고 있을 필요가 없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빨리 감기 키의 처리는 되감기 키의 처리와 유사하다.
스텝 722에서, 숫자 값은 시간으로 변환된다. 스텝 724에서, 현재의 시간 인덱스가 계산된 시간에 따라 증가한다. 이후에, 빨리 감기 키의 처리는 스텝 706으로 진행되며, 이는 앞서 논의된 바 있다.
다음으로, 재생 키의 처리가 논의된다. 재생 키의 일반적인 기능은, 현재 다른 속도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위치의 비디오 컨텐츠의 정상 속도 재생을 재개하는 것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빨리 감기 속도가 너무 빨라서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처럼, 경우에 따라서는, 비디오가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 있다. 재생 키는, 입력한 숫자 값에 따라 새로운 위치로 점프하는 것으로 일시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스텝 732에서, 비디오 컨텐츠가 실제 시간(clock) 기반인지(예컨대, 방송 중인 비디오) 여부가 결정된다. 한편, 녹화 비디오 컨텐츠는 녹화 파일의 시작에 대응하는 절대적인 시작 시각 0:00을 가진다고 간주한다.
실제 시간 기반 비디오의 경우, 스텝 734에서 숫자 입력이 실제 시간 기반 시각으로 변환된다. 예를 들어, 입력 "1" "2" "3" "0"은 12:30 pm으로 변환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은 절대 시간으로 변환될 수 있다. 도 1(b)의 예를 참조하면, 이는 12:30 pm에 해당하는 비디오 버퍼 위치로의 점프를 요청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실제 시간 기반 매체는 녹화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 처리는 스텝 706으로 진행하고, 다른 이동 키들에서와 마찬가지로 계속된다.
실제 시간 기반이 아닌 비디오의 경우, 입력 숫자 값은 녹화 파일의 시작부터의 시간과 분으로 변환된다(스텝 738). 예를 들어, 입력 "1" "3" "0"은 녹화 파일의 1 시간 30분으로 변환될 수 있다. 도 1(a)의 예를 참조하면, 녹화 비디오 파일의 1 시간 30 분의 위치로의 점프를 요청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건너뛰기는 방송 중인 미디어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b)를 참조하면, 입력 "2" "3"은 방송 중인 TV의 시작 또는 방송 중인 TV 버퍼의 시작으로부터 23 분 위치로의 점프 요청으로 해석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 처리는 스텝 706으로 진행하고, 다른 이동 키들에서와 마찬가지로 계속된다.
다음은, 건너뛰기 키의 처리가 논의될 것이다. 건너뛰기 키의 일반적인 기능은 소정의 시간을 앞으로 건너뛰어 그 시점에서 비디오를 정상 속도로 재생하는 것일 수 있다. 건너뛰기 키의 일시적인 변경으로, 소정의 건너뛰기 시간을 일시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스텝 742에서, 입력 숫자 값이 정수 "N"으로 변환된다.
스텝 744에서, 현재 시간 인덱스는 정수에 기반하여 증가한다. 예를 들어, 건너뛰기 키는 그 키에 연계된 소정의 건너뛰기 시간(예컨대, 30 초)을 가지고 있다. 소정의 건너뛰기 시간에 정수가 곱해져, 총 건너뛰기 시간이 된다. 현재 시간 인덱스가 총 건너뛰기 시간에 의해 조절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친숙한 TV 프로그램의 광고를 건너뛰기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첫 광고 시간에 항상 3 분 30초의 광고가 나간다는 것을 알고 있을 수 있다. 건너뛰기 키는 그 키에 연계된 소정 값인 30 초(기본 건너뛰기 시간)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7을 선택한 다음에 건너뛰기 키를 선택함으로써, 광고 전체를 자동으로 건너뛰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건너뛰기 키는 그 키에 연계된 반응 시간을 가진다. 예를 들면, 정상 모드에서 30 초를 건너뛰는 대신에, 실제로 29 초를 건너뛰고, 사용자의 반응 시간으로 대략 1 초를 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예는 3 분 29 초를 건너뛰고, 동일한 1 초의 반응 시간을 제공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건너뛰기 키에 대한 일시적인 변경은, 어떤 컨텐츠가 광고이고 어떤 컨텐츠가 프로그램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비디오 컨텐츠를 분석해야 하는 복잡한 알고리즘(예컨대, 오디오 볼륨을 분석함)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우아한 해결책이다. 그러나, 많은 TV 프로그램에서 광고가 나가는 시간의 패턴은 매우 고정적이어서, 사용자가 주어진 광고 시간에 정확하게 얼마나 많이 건너뛰어야 하는 지를 빨리 습득할 수 있다. 다른 광고 시간들은 다른 간격을 가질 수 있으며, 사용자는 사실상 원하는대로 건너뛰기 키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재정의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총 건너뛰기 시간이 결정된 후에, 처리는 스텝 706으로 진행된다.
다음으로, 다시 보기 키의 처리가 논의될 것이다. 다시 보기 키는 소정의 시간을 거슬러 가서 그 지점부터 비디오 컨텐츠를 다시 재생하는 일반적인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 다시 보기 키의 일시적인 변경은 소정 시간을 일시적으로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스텝 752에서, 입력 숫자 값이 정수 "N"으로 변환된다. 스텝 754에서, 다시 보기가 거슬러 점프하는 양이 N에 따라 조절된다. 예를 들어, 다시 보기가 보통 30 초를 거슬러 가면, 다시 보기는 N에 따라서, 30 초의 몇 배 또는 몇 분의 일을 거슬러 가도록 조절될 수 있다. 건너뛰기 키에서처럼, 반응 시간에 대한 보상을 할 수 있다.
본원의 기술은 프로그램 모듈을 비롯한 컴퓨터로 실행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것과 관련하여 기술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은 특정 태스크를 실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그램, 객체,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의 기술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링크된 원격 처리 장치들로 태스크가 실행되는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될 수도 있다.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메모리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로컬 및 원격 컴퓨터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재생 제어를 위해, 전자 장치(214)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실행시킨다. 전자 장치(214)는 이 인스트럭션이 실행되는 프로세서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스(300, 400, 500, 600 및/또는 700)의 적어도 일부 스텝들은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인스트럭션이 구현된 것일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매체는 전자 장치(214)가 액세스할 수 있는 모든 이용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인스트럭션,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를 비롯한 정보의 저장을 위한 방법이나 기술로 구현되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이동식 및 비이동식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기타 메모리 기술, CD-ROM, DVD(digital versatile disks) 또는 기타 광학 저장 장치, 자기 카세트,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 또는 기타 자기 저장 장치, 또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데 사용되고 전자 장치(214)에서 액세스할 수 있는 기타 모든 매체를 포함하나,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몇몇 실시예를 구현하지만, 이러한 것이 모든 실시예에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는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스(300, 400, 500, 600 및/또는 700)의 적어도 일부 스텝들이 ASIC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정 예로써, 클라이언트(214)의 일부분이 ASIC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적어도 일부의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214(4))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전자 장치(214(4))의 적어도 일부를 구현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방송 가능 전자 매체 장치(800)의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장치(800)는 중앙 처리 장치(860)를 포함하며, 중앙 처리 장치(860)는 프로세서(862), 휘발성 메모리(864, 예컨대, RAM) 및 프로그램 메모리(866, 예컨대, ROM, 플래시, 디스크 드라이브,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CD-ROM 등)를 가지고 있다. 장치(800)는 하나 이상의 입력 장치(804, 예컨대, 키보드, 마우스 등), 비디오 디스플레이(110, 예컨대, VGA, SVGA), 및 스테레오 시스템과의 접속을 위한 스테레오 I/O(872)를 가지고 있다.
장치(800)는 네트워크(220) 상의 적절한 주소 또는 네트워크(220)에 없는 주파수에 맞추는 하나 이상의 튜너를 가지고 있다.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튜너는 케이블(217), 안테나(224]) 또는 위성 접시(212)에 접속된 튜너 카드(866)일 수 있다. 또는, 튜너는 모뎀(868)을 통해 컨텐츠 서버(204(4))에 액세스 가능하게 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가상 튜너"(899)일 수 있다. 튜너 카드(876)는 아날로그와 디지털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 카드(876)는 MPEG 인코딩된 디지털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는 물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데이터 파일 형태의 프로그래밍 정보를 포함하는 많은 다른 형태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장치(800)는, 데이터 네트워크(220)에 다이얼 업(dial-up) 액세스를 제공하여 백 채널(back channel) 또는 서버(204(4))로의 직접적인 링크를 제공하는 모뎀(868)을 가지고 있다. 백 채널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모뎀(868)이 네트워크 카드, RF 수신기 또는 백 채널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기타 유형의 포트/수신기로 대체될 수도 있다.
장치(800)는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운영 체제를 실행한다. 운영 체제는 동시에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멀티태스킹 운영 체제일 수 있다. 운영 체제는 "윈도우"이라고 불리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특별히 정의된 영역에 애플리케이션이나 문서를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윈도우 환경(graphical user interface windowing environment)를 이용할 수 있다.
장치는, 필요한 경우에 서버(204(4))로부터 전송되는 인가(authorization) 및 세션 키들을 수신하는 키 리스너(key listener,880)와 함께 도시되어 있다. 키 리스너(880)에서 수신하는 키들은, 세션 키들과 데이터의 암호 해석을 하도록 구현되는 암호화 보안 서비스에서 사용된다. 암호화 서비스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된다. 안전한 조작 방지(tamper-resistant) 하드웨어 장치(882)가 CPU(860)의 외부에 제공되며, 프로세서(862)에서 실행되는 두 소프트웨어 레이어들(884, 886)은 암호화 하드웨어(882)의 리소스에 대한 액세스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소프트웨어 레이어들은, 암호화 서비스(예컨대, 암호화(encryption), 암호 해석(decryption), 서명 또는 인증)를 요청하는 애플리케이션에 기능을 제공하는 CAPI(cryptographic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884)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CSP(cryptographic service providers, 886)은 CAPI에서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CAPI 레이어(884)는 요청된 암호화 기능을 실행하는 적절한 CSP를 선택한다. CSP들(886)은 암호화 장치(882)와 함께, 암호화 키 관리, 암호화/암호 해석 서비스, 해싱 루틴(hashing routines), 디지털 서명 및 인증 업무 등의 다양한 암호화 기능을 실행한다. 하나의 CSP가 모든 기능을 다 처리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지만, 다른 CSP가 암호화, 암호 해석, 서명 등의 특정 기능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CSP들(886)은, CAPI의 요청에 따라 장착되고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CAPI(884)를 통해 호출될 수 있는 DLL(dynamic linked libraries)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기술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팅 환경의 일 실시예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 9의 컴퓨팅 환경은 도 2의 시스템의 전자 장치(214)를 구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9의 컴퓨팅 시스템 환경(1000)은 단지 적절한 컴퓨팅 환경의 일례일 뿐이지, 본원의 기술의 사용 또는 기능의 범위를 임의로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또한, 컴퓨팅 환경(1000)은 예시적인 운영 환경(1000)에서 설명되는 컴포넌트의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과 관련된 어떤 종속성 또는 요건을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원 기술을 구현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은 컴퓨터(1010)의 형태인 범용 컴퓨팅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1010)의 컴포넌트들은 처리 장치(1020), 시스템 메모리(1030), 및 시스템 메모리를 포함하는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를 처리 장치(1020)에 연결시키는 시스템 버스(10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로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시스템 버스(1021)는 다양한 버스 아키텍처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는 메모리 버스 또는 메모리 컨트롤러, 주변 기기 버스와 로컬 버스를 포함하는 여러 유형의 버스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구조는 ISA(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버스, MCA(Micro Channel Architecture) 버스, EISA(Enhanced ISA) 버스,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 Association) 로컬 버스와, 메자닌(Mezzanine) 버스라 알려진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버스를 포함하지만, 이들로서 제한되지 않는다.
컴퓨터(1010)는 전형적으로 다양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 시스템 메모리(1030)는 ROM(read only memory, 1031) 및 RAM(random access memory, 1032)과 같은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형태인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스타트업 동안 같은 때에 컴퓨터(1010) 내의 구성요소들 사이의 정보 전송을 돕는 기본 루틴을 포함하는 기본 입출력 시스템(BIOS, 1033)은 전형적으로 ROM(1031)에 저장된다. RAM(1032)은 전형적으로 처리 장치(1020)에 의해 즉시 액세스 가능 및/또는 즉시 동작되는 데이터 및/또는 프로그램 모듈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9는 운영 체제(1034),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035), 다른 프로그램 모듈(1036), 및 프로그램 데이터(1037)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들로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컴퓨터(1010)는 다른 이동식/비이동식, 휘발성/비휘발성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는 비이동식, 비휘발성 자기 매체에 판독 또는 기록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040), 이동식, 비휘발성 자기 디스크(1052)에 판독 또는 기록하는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1051), 및 CD ROM 또는 다른 광학 매체와 같은 이동식, 비휘발성 광 디스크(1056)에 판독 또는 기록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1055)를 도시하고 있다. 예시적인 운영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이동식/비이동식, 휘발성/비휘발성 컴퓨터 저장 매체는, 자기 테이프 카세트, 플래시 메모리 카드, DVD,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고체 RAM, 고체 ROM 등을 포함하며, 이들로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041)는 전형적으로 인터페이스(1040)와 같은 비이동식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스템 버스(1021)에 연결되며,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1051)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1055)는 전형적으로 인터페이스(1050)와 같은 이동식 메모리 인터페이스에 의해 시스템 버스(1021)에 연결된다.
앞서 논의되었고 또한 도 9에 도시된 드라이브 및 그 관련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인스트럭션,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및 컴퓨터(1010)를 위한 다른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9에서,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041)는 운영 체제(1044),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045), 다른 프로그램 모듈(1046) 및 프로그램 데이터(1047)를 저장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운영 체제(1034),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035), 다른 프로그램 모듈(1036) 및 프로그램 데이터(1037)와 동일할 수도 다를 수도 있음을 알 것이다. 운영 체제(1044),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045), 다른 프로그램 모듈(1046), 및 프로그램 데이터(1047)는, 최소한 이들이 상이한 카피들임을 나타내기 위해 본원에서 상이한 번호가 부여된다. 사용자는 키보드(1062), 및 일반적으로 마우스, 트랙볼, 또는 터치 패드로 불리는 포인팅 장치(804(2))를 비롯한 입력 장치들을 통해 명령어 및 정보를 컴퓨터(1010)에 입력할 수 있다. 다른 입력 장치들(도시되지 않음)은 마이크, 조이스틱, 게임 패드, 위성 접시, 스캐너, 리모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입력 장치들은 보통 시스템 버스에 연결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060)를 통해 처리 장치(1020)에 접속되지만, 병렬 포트, 게임 포트,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를 비롯한 다른 인터페이스 및 버스 구조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다. 모니터(110) 또는 다른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도 비디오 인터페이스(1090)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스템 버스(1021)에 접속된다. 모니터뿐만 아니라, 컴퓨터들은, 출력 주변 기기 인터페이스(1090)를 통해 접속될 수 있는 스피커(1097) 및 프린터(1096)를 비롯한 다른 주변 기기 출력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1010)는 원격 컴퓨터(1080)와 같은 하나 이상의 원격 컴퓨터들에 대한 논리적인 연결들을 사용하여 네트워킹된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다. 원격 컴퓨터(1080)는 개인용 컴퓨터, 서버, 라우터, 네트워크 PC, 피어 장치(peer device) 또는 다른 공통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으며, 단지 메모리 저장 장치(1081)만이 도 9에 도시되어 있지만, 전형적으로 컴퓨터(1010)와 관련하여 전술한 다수의 또는 모든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논리적인 연결은 LAN(local area network, 1071) 및 WAN(wide area network, 1073)을 포함하지만, 또한 다른 네트워크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네트워킹 환경들은 사무실, 기업(enterprise-wide) 컴퓨터 네트워크, 인트라넷 및 인터넷에 흔하다.
LAN 네트워킹 환경에서 사용될 때, 컴퓨터(10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또는 어댑터(1070)를 통해서 LAN(1071)에 연결된다. WAN 네트워킹 환경에서 사용될 때, 컴퓨터(1010)는 전형적으로 모뎀(1072) 또는 인터넷과 같은 WAN(1073)을 통해 통신을 구축하기 위한 다른 수단을 포함한다.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할 수 있는 모뎀(1072)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060), 또는 다른 적절한 메카니즘을 통해 시스템 버스(1021)에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킹 환경에서, 컴퓨터(1010) 또는 그 일부분에 관련하여 도시된 프로그램 모듈들이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는 메모리 장치(1081) 상에 존재하는 원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1085)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네트워크 연결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컴퓨터들 간에 통신 링크를 구축하는 다른 수단이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 구조적인 특징 및/또는 방법론적인 액트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정의된 대상이 반드시 전술한 특정한 특징이나 액트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전술한 특정한 특징 및 액트는 특허청구범위를 구현하는 예시적인 형태로 개시된 것이다.

Claims (15)

  1.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기계로 구현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지털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302) -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상기 표시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현 위치에 연계됨 - 와,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서의 하나 이상의 다른 위치를 탐색하기 위한 요청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304)와,
    상기 현 위치에 연계된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계속 표시하는 동안,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위치와 연계된 하나 이상의 표상(representations)을 제공하는 단계(306)를 포함하는
    기계로 구현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지털 컨텐츠를 표시하는 상기 단계는 정상 속도로 오디오 및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계로 구현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지털 컨텐츠를 표시하는 상기 단계는 단계별 경로 안내(turn-by-turn directions)를 하는 지도와 지도 상의 현 위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계로 구현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서의 하나 이상의 다른 위치를 탐색하기 위한 요청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동 키가 선택되었다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계로 구현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이동 키의 선택에 기반하여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계로 구현된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이동 키의 선택에 기반하여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 이상의 위치의 마지막이 최종 탐색 위치인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표시하는 상기 단계에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상기 현 위치를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상기 최종 위치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계로 구현된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키의 선택에 기반하여 상기 오디오-비디오 컨텐츠에서의 탐색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숫자 값을 지정하는 제 1 입력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숫자 값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 키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계로 구현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 값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 키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변경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숫자 값에 기반하여 시간 인덱스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시간 인덱스에 기반하여, 상기 오디오-비주얼 컨텐츠에서의 상기 현 위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계로 구현된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 값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 키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변경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숫자 값에 기반하여 시간 인덱스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오디오-비주얼 컨텐츠에서의 상기 현 위치를 상기 시간 인덱스로 바꾸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계로 구현된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서의 하나 이상의 다른 위치를 탐색하기 위한 요청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이동 키가 선택되었다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이동 키의 선택에 기반하여,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위치 중 처음을 결정하는 단계와,
    만료가 되는 타이머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타이머의 만료 이전에 제 2 이동 키가 선택되었다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이동 키의 선택에 기반하여,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위치 중 두번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계로 구현된 방법.
  11.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매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매체는 일련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며,
    상기 인스트럭션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비디오를 재생하고(602),
    상기 비디오를 표시하는 동안 숫자 값을 지정하는 제 1 입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고(604),
    이동 키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제 2 입력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며(606),
    현재 인덱스를 변경하기 위해, 상기 숫자 값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 키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변경하고(608),
    상기 이동 키의 일시적인 변경에 기반하여 상기 비디오를 표시하도록(610) 하게 하는
    전자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 값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 키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변경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숫자 값을 시간 값으로 변환하고,
    상기 시간 값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 키의 기능을 앞으로 건너뛰거나 뒤로 건너뛰도록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 값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 키의 기능을 변경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숫자 입력에 기반하여 계수를 결정하고,
    상기 이동 키의 기능을 상기 계수와 상기 이동 키에 연계된 소정의 시간량의 곱에 기반하여 앞으로 건너뛰거나 뒤로 건너뛰도록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 값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 키의 기능을 변경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숫자 값을 시계 시각(time of day)으로 변환하고,
    상기 시각에 의해 정의된 상기 비디오에서의 위치로 건너뛰도록 상기 이동 키의 기능을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 값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 키의 기능을 변경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숫자 값을 시간으로 변환하고,
    상기 시간에 의해 정의된 상기 비디오에서의 위치로 건너뛰도록 상기 이동 키의 기능을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117022446A 2009-03-26 2010-03-02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제어 방법 KR1017273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411,906 US8849101B2 (en) 2009-03-26 2009-03-26 Providing previews of seek locations in media content
US12/411,906 2009-03-26
PCT/US2010/025972 WO2010111001A2 (en) 2009-03-26 2010-03-02 Controlling playback of media cont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739A true KR20120001739A (ko) 2012-01-04
KR101727336B1 KR101727336B1 (ko) 2017-04-14

Family

ID=42781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2446A KR101727336B1 (ko) 2009-03-26 2010-03-02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849101B2 (ko)
EP (1) EP2412157A4 (ko)
JP (1) JP2012521714A (ko)
KR (1) KR101727336B1 (ko)
CN (1) CN102362313B (ko)
RU (1) RU2011139110A (ko)
WO (1) WO201011100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9052A1 (en) * 2012-01-20 2013-07-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media content interface in image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03440A1 (en) * 2009-05-27 2010-12-02 Hulu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playing a media program and an arbitrarily chosen seek preview frame
US8787698B2 (en) 2009-09-04 2014-07-22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directional texture generation using image warping
US8619098B2 (en) * 2009-09-18 2013-12-31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generating co-salient thumbnails for digital images
US8599219B2 (en) 2009-09-18 2013-12-03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generating thumbnail summaries for image collections
KR101691829B1 (ko) * 2010-05-06 201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30173760A1 (en) * 2010-09-20 2013-07-04 Humax Co., Ltd. Processing method to be implemented upon the occurrence of an expression switch in http streaming
US20120151343A1 (en) * 2010-12-13 2012-06-14 Deep Tags, LLC Deep tags classification for digital media playback
US9363579B2 (en) * 2010-12-22 2016-06-07 Google Inc. Video player with assisted seek
US8861868B2 (en) 2011-08-29 2014-10-14 Adobe-Systems Incorporated Patch-based synthesis techniques
US11314405B2 (en) * 2011-10-14 2022-04-26 Autodesk, Inc. Real-time scrubbing of online videos
KR101527038B1 (ko) 2012-02-24 2015-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TWI517696B (zh) * 2012-05-28 2016-01-11 正文科技股份有限公司 呈現器與控制器與其管理方法
KR101192966B1 (ko) * 2012-06-05 2012-10-19 (주)티비스톰 방송 프로그램 재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렌더링 장치 및 그 방법
CN103581755A (zh) * 2012-07-19 2014-02-12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控制内容回放的设备、系统和方法
US9215490B2 (en) 2012-07-19 2015-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 playback
EP2741518A1 (en) * 2012-12-04 2014-06-11 Alcatel Lucent Method for rendering a multimedia asset, a related system, media client and related media server
KR101463535B1 (ko) * 2012-12-12 2014-11-2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진행 구간 영역의 제어를 통한 재생구간을 탐지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
US20140189766A1 (en) * 2012-12-28 2014-07-03 Sling Media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eeking within recorded media stored on a set-top box
US9769546B2 (en) 2013-08-01 2017-09-19 Hulu, LLC Preview image processing using a bundle of preview images
KR20150121459A (ko) * 2014-04-21 2015-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VoD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 및 클라이언트 장치와 그 서비스 제공 방법
EP3146730B1 (en) * 2014-05-21 2019-10-16 Dolby International AB Configuring playback of audio via a home audio playback system
KR20160014226A (ko) * 2014-07-29 2016-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620810B2 (en) 2015-05-15 2020-04-14 Spotify Ab Method and a system for performing scrubbing in a video stream
WO2017003779A1 (en) * 2015-06-30 2017-01-05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layback of media using a single control
KR101667736B1 (ko) * 2015-09-25 2016-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6454447A (zh) * 2016-10-11 2017-02-22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视频播放处理方法、装置及电视
CN106231343A (zh) * 2016-10-11 2016-12-14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视频播放处理方法、装置及电视
US20190069006A1 (en) * 2017-08-29 2019-02-28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Seeking in live-transcoded videos
US11675563B2 (en) * 2019-06-01 2023-06-13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content applications
US10990263B1 (en) 2019-09-03 2021-04-27 Gopro, Inc. Interface for trimming videos
US11157556B2 (en) 2019-12-20 2021-10-26 Sling Media Pvt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humbnail generation for a video device
CN113132753A (zh) 2019-12-30 2021-07-16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及装置、视频封面生成方法及装置
US11777881B2 (en) 2021-01-29 2023-10-03 Apple Inc. User interfac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processes for sharing portions of content item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80716A1 (en) * 2004-09-28 2006-04-13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ng video content
US20090063981A1 (en) * 2007-09-03 2009-03-05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8337A (en) * 1992-04-10 2000-01-25 Avid Technology, Inc. Media composer including pointer-based display of sequentially stored samples
US6154771A (en) * 1998-06-01 2000-11-28 Mediastra, Inc. Real-time receipt, decompression and play of compressed streaming video/hypervideo; with thumbnail display of past scenes and with replay, hyperlinking and/or recording permissively intiated retrospectively
JP3396639B2 (ja) * 1998-09-30 2003-04-14 株式会社東芝 階層記憶装置及び階層記憶制御方法
US7401351B2 (en) * 2000-12-14 2008-07-15 Fuji Xerox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video navigation and client side indexing
JP3663626B2 (ja) * 2001-09-18 2005-06-22 ソニー株式会社 ビデオ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情報記録媒体、並びにデータ構造
US7152209B2 (en) * 2003-03-28 2006-12-19 Microsoft Corporation User interface for adaptive video fast forward
JP4168837B2 (ja) 2003-06-03 2008-10-2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生成装置、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再生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US20050071782A1 (en) * 2003-09-30 2005-03-31 Barrett Peter T. Miniaturized video feed generation and user-interface
TW200537941A (en) 2004-01-26 2005-11-16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Replay of media stream from a prior change location
US20050185921A1 (en) * 2004-02-20 2005-08-25 Dale Skra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video and audio program editing
US20050216752A1 (en) * 2004-03-26 2005-09-29 Microsoft Corporation Common scrambling
KR20060012746A (ko) * 2004-08-04 2006-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재생 시작 위치를 선택 가능한 영상 재생장치 및 그제어방법
US20070016611A1 (en) * 2005-07-13 2007-01-18 Ulead Systems, Inc. Preview method for seeking media content
EP1830361A1 (en) * 2006-03-02 2007-09-05 Sony Corporation Image displaying method and video playback apparatus
CN101395592A (zh) 2006-03-03 2009-03-25 美国唯美安视国际有限公司 基于电影工作室的网络分发系统与方法
US8037506B2 (en) * 2006-03-03 2011-10-11 Verimatrix, Inc. Movie studio-based network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MX2008012873A (es) 2006-04-06 2009-04-28 Kenneth H Ferguson Metodo y aparato para control de programacion del contenido de medios.
US8218616B2 (en) * 2006-06-30 2012-07-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addition of video thumbnail
US9154842B2 (en) * 2006-11-02 2015-10-0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customizable video playback controls
WO2008083868A1 (en) 2007-01-12 2008-07-17 Nokia Siemens Networks Gmbh & Co. K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udio and/or video data
US20090195355A1 (en) * 2008-02-01 2009-08-06 Cynthia Sue Mitchell Methods and apparatus for place shifting content to a vehicle entertainment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80716A1 (en) * 2004-09-28 2006-04-13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ng video content
US20090063981A1 (en) * 2007-09-03 2009-03-05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9052A1 (en) * 2012-01-20 2013-07-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media content interface in image display device
US9459753B2 (en) 2012-01-20 2016-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media content interface in image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62313A (zh) 2012-02-22
KR101727336B1 (ko) 2017-04-14
JP2012521714A (ja) 2012-09-13
US8849101B2 (en) 2014-09-30
US20100251121A1 (en) 2010-09-30
EP2412157A2 (en) 2012-02-01
WO2010111001A3 (en) 2010-11-18
EP2412157A4 (en) 2013-02-20
WO2010111001A2 (en) 2010-09-30
RU2011139110A (ru) 2013-03-27
CN102362313B (zh) 201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7336B1 (ko)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제어 방법
US1110911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time based preview image for a video stream
US10121514B2 (en) Video preview based browsing user interface
US8624908B1 (en) Systems and methods of transitioning from buffering video to recording video
US20030221194A1 (en) Fast-advance while recording on-demand content
JP2009017259A (ja) 電子機器、コンテンツ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699495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storing program events in an enhanced history buffer
US20060098943A1 (en) Content re-lock control
US20220353567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trick function viewing of media content
US20100306807A1 (en)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and Content Reproduction Method
JP2011066817A (ja) 車両用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1242758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녹화상태 확인방법
JP2008141379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