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682U - 찻 숟가락(차시) - Google Patents

찻 숟가락(차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682U
KR20120001682U KR2020100009095U KR20100009095U KR20120001682U KR 20120001682 U KR20120001682 U KR 20120001682U KR 2020100009095 U KR2020100009095 U KR 2020100009095U KR 20100009095 U KR20100009095 U KR 20100009095U KR 20120001682 U KR20120001682 U KR 2012000168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bamboo
roots
sculpture
r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0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재석
Original Assignee
서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재석 filed Critical 서재석
Priority to KR20201000090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1682U/ko
Publication of KR201200016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68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4Pressing or stamping ornamental designs on surface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나무로 제작되어지는 찻 숫가락(차시)에 관한 것으로 찻통에 담겨진 차의 입자를 덜어내어 찻통에 덜어 차를 만들어 마실 수 있도록 되는 것으로, 한 그루의 대나무를 캐내어 뿌리를 가공하여 손잡이로 사용하면서 상기 뿌리의 전단의 죽대를 절개하여 죽근은 손잡이로 사용하면서 다양한 조각을 형성하고, 이러한 조각을 투각의 형태로 구현 함으로서 저중량의 실현과 건조과정에서의 형태변형을 방지하면서 작품성을 구현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나무의 뿌리를 1차로 불로 연소시켜 손잡이와 수푼을 구분토록 하면서 뿌리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토록 한 후 뿌리부분을 인두 등으로 가공하여 손잡이를 구현하고, 구현된 손잡이에는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하여 테두리와 그 중앙에 조각을 형성토록 한 것이다.
이러한 조각도 테두리와 구분되어지면서 투각으로 형성토록 함으로서 뿌리의 중량을 저감토록 함은 물론 조각된 디자인을 강조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조작에 금박이나 은박 또는 도금이나 도색등에 의하여 다양한 색상을 구현토록 함으로서 고급의 작품성을 갖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찻 숟가락(차시){a teaspoon}
본 고안은 대나무로 제작되어지는 찻 숫가락에 관한 것으로 찻통에 담겨진 차의 입자를 덜어내어 찻통에 덜어 차를 만들어 마실 수 있도록 되는 것으로, 한 그루의 대나무를 캐내어 뿌리를 가공하여 손잡이로 사용하면서 상기 뿌리의 전단의 대나무를 절개하여 뿌리는 손잡이로 사용하면서 다양한 조각을 형성하고, 이러한 조각을 투각의 형태로 구현 함으로서 저중량의 실현과 건조과정에서의 형태변형을 방지하면서 작품성을 구현토록 한 것이다.
현재 전통차를 마시는 예법으로 알려진 다도에서 차를 마시는 방법은 찻잔을 왼손바닥에 올려놓고 오른손으로 잡고 마시는 것이다.
이때 차의 색과 향기, 맛을 느끼며 마시되 3?4번에 나누어 마시면서 찻잔에 전해지는 차의 온기와 찻잔(특히 도자기)의 질감도 음미하면서 차를 입안에 넣고 머금었다가 삼킴으로서 차의 다섯가지 맛을 고루 맛보고, 차의 풍취도 느낄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차의 여향은 차맛의 으뜸이기 때문에 여향을 놓치지 않도록 하고, 녹빛 찻물이 모세혈관까지 퍼진다는 생각을 하며 마시면 심리적 평온도 동시에 느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때 마시는 차중에서도 분말로 이루어진 말차(분말차)일 경우에는 다도와 별도로 다구를 구비하여야 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것이 다완. 차선. 차선꽃이. 말차용 차시 및 가루찻통이다. .
참고로 다구의 종류와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찻사발(다완) : 가루차를 마실 때 쓰이는 사기로 된 사발이다.
차선 : 찻솔이라고도 하고, 찻사발에 가루차를 넣고 더운 물을 부어 차와 물이 잘 섞이게 휘저어 거품을 내게하는 도구이다.
이때 차선을 저으며 거품을 내게하는 행위를 격불이라 하고 이렇게 생긴 거품을 유화, 녹유, 설유, 운유 등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차선꽂이 : 차를 내면서 사용한 차선을 모양이 흐트러지지 않고 본래의 모양대로 잘 마르도록 하기 위해 꽂아 두는 다구를 말한다.
통상 차선꽂이의 모양과 크기는 차선의 모양과 같아야 하고, 아랫부분에는 공기구멍을 많이 뚫어 공기의 흐름이 원할하게 해야한다. 이는 젖은 차선이 차선꽂이의 형태대로 빨리 마르게 하기 위해서이다.
차시(차측,차칙) : 가루차를 떠서 찻사발에 넣는 것을 말한다.
가루찻통, 말차호, 차합 : 가루차를 담는 용기로서 통의 형태로 만든 것과 항아리, 합의 형태로 만든 것이 있다.
이때 가루찻통은 대부분 원통이나 각이진 통으로 되어 있고, 말차호는 항아리 형태로 되어 있으며, 차합은 몸통과 뚜껑의 크기가 비슷하며 대부분 둥글납작하게 만들어져 있다.
표자 :물뜨게라고도 하는 표자는 물항아리에 물을 떠서 차솥에 붓거나, 솥에서 끓는 물을 떠서 다관이나 식힘그릇으로 옮기는데 쓰는 도구이다. 예전에는 차맷돌이나 다연으로 가루낸 차를 물이 끓는 솥에 넣고 휘젓거나, 끓인 차를 떠서 다완에 부어 마시는데 쓰였다.
차관(차우리개) : 차와 물을 넣고 차를 우리는 용기. 다기를 선택할 때 가장 잘 골라야 하는 것이 차관이다. 기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찻종(찻잔) : 차를 마시는 용기. 찻잔이라고도 하고 찻종이라고도 한다. 위가 벌어진 것을 찻잔이라 하고, 엎어놓으면 종의 형태 또는 종지 모양을 찻종이라 한다.
숙우(물식힘그릇) : 녹차는 물을 끓여 70℃ 정도로 식혀 사용하기 때문에 필요한 용기이다.
찻잔받침 : 찻종(찻잔)을 올려놓는 용기로, 도자기보다 나무로 만든 것이 편리하다. 찻종이 도자기이기 때문에 받침까지 도자기이면 부딪치고 무겁다.
차수건(차행주) : 다기의 물기를 닦을 때 사용하는 흰 면으로 만든 것.
차상 : 다기를 올려놓고 차를 우려야 하므로, 높이가 낮아야하고 직사각형 형태가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탕관 : 찻물을 끓이는 용기. 도자기, 철, 동 등이 있으나, 도자기로 된 것이 많이 유통된다. 전기로 물을 끓이는 것을 대신 사용할 수 있다.
차화로 : 탕관의 물을 끓일 수 있는 용기로, 요즘은 화로 안에 전기곤로를 넣어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할 뿐 아니라, 차생활의 운치도 배가시킨다.
퇴수기(물 버리는 그릇) : 찻종을 예온한 물을 버리는 그릇. 찻잎 찌꺼기 등도 이 그릇에 버린다.
따라서 이러한 종류의 다기를 필요에 다라 선택하여 준비한 후 차를 마실 경우에는 차를 차갑게 마시는 것보다 따뜻하게 마시는 것이 좋고, 그때그때 우려 마시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가장 차의 맛을 결정하는 가루차나 차잎은 대부분 ㄷ도기보다는 대나무를 사용한 차시와 관련된 것이다.
현재 대나무를 사용한 차시(찻 숟가락)은 대나무의 마디를 사용하여 손잡이를 구현토록 함으로서 그 미감적인 가치가 떨어져 품질의 저하는 물론 대나무의 특성을 제대로 구현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인 대나무 즉 황죽이나 또는 오죽을 사용하기 위하여는 소금물로 쪄서 응달에서 10년을 건조토록 하여야만 사용도중에 건조되면서 갈라짐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도 마디를 손잡이로 사용할 경우에는 손잡이와 차시의 수푼부분에 구분이 불가능하여 별도의 재료를 사용하거나 또는 다양한 재질을 결합토록 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로 인하여 대나무 특유의 장점을 살리지 못하고, 품질의 저하를 가져오게 되어 10년간의 건조과정에 의하여 가공되어지는 대나무 차시의 값어치가 떨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한 그루의 대나무를 뿌리째 캐내어 뿌리부분을 손잡이로 사용함으로서 작품성을 강조하면서 기능적인 부분에서 디자인의 다양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나무의 뿌리와 연결되는 대나무의 밑단을 1차로 불로 연소시켜 손잡이와 수푼을 구분토록 하면서 뿌리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토록 한 후 뿌리부분을 가공하여 손잡이를 구현하고, 구현된 손잡이에는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하여 테두리와 그 중앙에 조각을 형성토록 한 것이다.
또한 조각도 테두리와 구분되어지면서 투각으로 형성토록 함으로서 뿌리의 중량을 저감토록 함은 물론 조각된 디자인을 강조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조작에 금박이나 은박 또는 도금이나 도색등에 의하여 다양한 색상을 구현토록 함으로서 고급의 작품성을 갖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죽대에 연결된 죽근을 손잡이로 사용하면서 이러한 손잡이에 다양한 조각에 의하여 작품성을 갖도록 하여 사용시 죽대의 갈라짐을 방지하기 위한 10여년의 숙성에 의한 값어치를 갖도록 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외관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의 가공공정도
도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4는 본 고안의 손잡이의 조각체가 투각으로 형성된 상태의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의 조각체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일 실시 예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한 그루의 대나무를 채내어 죽근(대나무의 뿌리)과 죽근(10)에 연결되는 죽대(20)(대나무의 밑단)를 구분되게 하여 제조하고자 하는 차시(100)의 길이에 따라 죽대(20)와 죽근(10)을 일정길이와 모양으로 가공하는 제1공정과;
이때 죽대(20)의 상면이 개구되어지면서 개구면(21)이 형성되는 부분과 죽근이 동일수평면을 형성되게 가공함으로서 제품의 품질이 우수하게 되는 것이고, 이때 죽근과 죽대의 경계에는 내입홈(22)을 형성하면서 그 상면에 다양한 조각면(23)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조각면에는 그림이나 글자등을 인쇄나 각인토록 함으로서 다양한 디자인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공정에 의하여 가공된 것을 죽근(10)에만 1차로 불로 연소시켜 손잡이와 수푼을 구분토록 하면서 죽근(10)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토록 하는 제2공정과;
이때 연소에 의하여 뿌리표면에 박힌 돌가루나 각종 잡티등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고, 연소에 의하여 균등의 서식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2공정에 의하여 가공된 상태에서 죽근(10)부분만을 손잡이로 조작한 후 인두로 연소시켜 검정색으로 구현하는 제3공정과;
이때 미세한 부분들에 대하여 추가로 표면을 가공하게 되는 것이다.
제3공정에 의하여 손잡이를 구현하고, 이때 구현된 손잡이에는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하여 테두리(11)와 그 중앙에 조각체(12)을 형성토록 하는 제4공정과;
이때 조각체(12)를 테두리(11)와 구분되어지면서 투각으로 형성토록 함으로서 죽근(10)의 중량을 저감토록 함은 물론 조각된 조각체(12)의 디자인을 다양한 형태로 강조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조각체(12)가 테두리(11)와 분리되어지면서 투각의 형태로 조각되면서 공간부(13)가 형성됨으로 균열방지를 위하여 숙성될 경우에 숙성의 용이성과 갈라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조각체(12)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테두리(11)의 폭(a)보다 얇게 형성함으로서 사용도중이라도 조각체(12)의 손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4공정에 의하여 구현된 조각체에 도색이나 금.은박을 구현하는 제5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조작체의 표면에 금박이나 은박 또는 도금이나 도색등에 의하여 다양한 색상을 구현토록 함으로서 고급의 작품성을 갖도록 한 것이다.
이때 도색이나 도금은 물론 금박이나 은박에 의하여 색상을 구현함으로서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갖게 되는 것이다.
10: 죽근 11: 테두리
12: 조각체 13: 공간부
20: 죽대 21: 개구면
22: 내입홈 23: 조각면

Claims (5)

  1. 죽대와 죽근으로 이루어지고, 죽대는 절개하여 개구면을 형성하고, 죽근은 가공하여 테두리와 조각체를 형성한 찻 숟가락(차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의 내측에 형성되는 조각체는 투각에 의하여 통공이 형성토록 한 찻 숟가락(차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각체는 테두리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찻 숟가락(차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각체에는 도금이나 도색이 이루어진 찻 숟가락(차시)
  5.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죽근은 1차로 불로 연소하여 이물질을 떨어내고 그 상태에서 연마하여 가공하고 손잡이로 조작한 후 인두로 연소시켜 검정색으로 구현한 후 조각에 의하여 테두리와 조각체로 구현하고, 상기 조각체의 표면에는 도색등에 의하여 제조되는 찻 숟가락(차시)


KR2020100009095U 2010-08-31 2010-08-31 찻 숟가락(차시) KR2012000168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095U KR20120001682U (ko) 2010-08-31 2010-08-31 찻 숟가락(차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095U KR20120001682U (ko) 2010-08-31 2010-08-31 찻 숟가락(차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682U true KR20120001682U (ko) 2012-03-08

Family

ID=46606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095U KR20120001682U (ko) 2010-08-31 2010-08-31 찻 숟가락(차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168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811B1 (ko) * 2012-10-26 2014-07-24 정성훈 인두그림이 장식된 공예품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811B1 (ko) * 2012-10-26 2014-07-24 정성훈 인두그림이 장식된 공예품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83366C2 (ru) Чайная чашка и способ ее выполнения
CN204862372U (zh) 一种防止茶叶飞溅的玻璃壶
KR20120001682U (ko) 찻 숟가락(차시)
CN210077262U (zh) 一种紫陶壶
KR20120052202A (ko) 대나무로 찻 숟가락(차시)을 제조하는 방법.
JP2015208668A (ja) 急須
JP2965289B2 (ja) 一杯立て紅茶の抽出器具および抽出方法
CN211022240U (zh) 一种限制流量的茶叶滤杯、茶具
KR200434951Y1 (ko) 일회용 찻컵
JP3206626U (ja) お茶の浸出具セット
CN204617926U (zh) 组合式雷响茶具
CN2330262Y (zh) 壶海一体的壶具
KR20040027493A (ko) 내열강화유리/내열산화강자기특수내열페인트도장그림문자숫자디자인차주전자본체·손잡이·내용물유출부분·간격·90°/180°·직접연결형손잡이·화상미끄럼방지·맞물림플라스틱캡회전조립형휘슬장치뚜껑손잡이맞물림장치·공기차단뚜껑·연결망총천연색한약다림차주전자전자식·동영상카메라·음석인식·감광소자·lcd창·스크린·패드/센서버튼류·온도감지봉히터형태/알루미늄코일센서형태/센서버튼스윗치형태/전기충전교환밧데리형태자동탈부착장치 유무선겸용/유선/무선총천연색한약다림차주전자
CN219206478U (zh) 一种便于更换茶叶的陶瓷茶具
CN210540503U (zh) 一种带过滤盖的陶瓷泡茶杯
JP3193755U (ja) 急須
CN207511125U (zh) 一种新型方便面泡面杯
CN217743876U (zh) 便携耐用的硅胶茶具
CN206414097U (zh) 一种煮茶茶壶
CN208709238U (zh) 一种取茶勺
JPS6123353Y2 (ko)
CN213189025U (zh) 一种盖碗
KR200260698Y1 (ko) 접시기능을 갖는 냄비뚜껑
CN211324400U (zh) 一种方便放茶叶的翻转式茶具
JP2006167016A (ja) 急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