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495U - 치약용기가 부착된 칫솔 - Google Patents

치약용기가 부착된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495U
KR20120001495U KR2020100008810U KR20100008810U KR20120001495U KR 20120001495 U KR20120001495 U KR 20120001495U KR 2020100008810 U KR2020100008810 U KR 2020100008810U KR 20100008810 U KR20100008810 U KR 20100008810U KR 20120001495 U KR20120001495 U KR 2012000149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toothbrush
opening
container
discharge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8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수 진 배
Original Assignee
수 진 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 진 배 filed Critical 수 진 배
Priority to KR20201000088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1495U/ko
Publication of KR201200014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49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46B11/0058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with a metered dosag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95Removable or interchangeable brush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약이 일정량씩 손쉽게 배출될 수 있는 치약용기가 부착된 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은 칫솔과 이 칫솔의 일측에 위치되는 치약 공급부로 구성된다. 치약 공급부는 칫솔의 일측이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중공형 본체, 본체 내에 위치하는 치약용기, 일측은 치약용기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며 다른 측은 본체의 칫솔방향 단부에 고정된 채로 탄성 왕복운동을 하면서 치약을 치약용기로부터 칫솔방향으로 배출하는 배출펌프, 칫솔에 대향하는 방향의 본체 단부에 위치되어 치약용기의 타측 단부를 가압함으로써 배출펌프를 본체에 대해 가압하는 역할을 하는 누름부, 및 배출펌프로부터 배출되는 치약을 칫솔로 전달하는 노즐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치약용기가 부착된 칫솔{Toothbrush with a toothpaste container }
본 고안은 치약이 담긴 용기가 부착된 칫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약이 일정량씩 손쉽게 배출될 수 있는 치약용기가 부착된 칫솔에 관한 것이다.
치약이 담긴 용기가 칫솔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하다는 등의 여러 유용한 면이 있기 때문에 관련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한국특허공개 2005-19006호는 칫솔의 손잡이부 후단부를 탈착 가능한 치약용기로 구성하고, 필요에 따라 치약용기를 빼내어서 치약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 방법은 칫솔과 치약용기를 별도로 휴대하던 통상적인 경우보다 편리하나, 치약을 다 사용한 경우에는 칫솔과 함께 폐기해야 하므로 반복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한국등록실용신안 416406호에는 치약용기의 후단부에 피스톤을 부착하고 이 피스톤에 의해 형성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용기의 치약을 소량씩 칫솔방향으로 배출시키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이 방식은 반복사용이 가능하나, 치약이 칫솔모 하단부로 공급되므로 사용에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반복사용이 가능하며 치약이 칫솔모 상단부로 공급되되 원하는 양만큼 배출됨으로써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한 치약용기가 부착된 칫솔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칫솔과 이 칫솔의 일측에 위치되는 치약 공급부로 구성되되, 치약 공급부가 칫솔의 일측이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중공형 본체, 본체 내에 위치하는 치약용기, 일측은 치약용기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며 다른 측은 본체의 칫솔방향 단부에 고정된 채로 탄성 왕복운동을 하면서 치약을 치약용기로부터 칫솔방향으로 배출하는 배출펌프, 칫솔에 대향하는 방향의 본체 단부에 위치되어 치약용기의 타측 단부를 가압함으로써 배출펌프를 본체에 대해 가압하는 역할을 하는 누름부, 및 배출펌프로부터 배출되는 치약을 칫솔로 전달하는 노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용기가 부착된 칫솔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노즐은 칫솔모 상단을 향함으로써 배출펌프로부터 배출되는 치약을 칫솔모 상단으로 공급한다.
본 고안에 사용되는 배출펌프는 평상시에는 치약용기의 치약이 유입되어 있고 필요 시에 배출펌프를 압축하면 유입되어 있던 치약이 상기 노즐을 통해 칫솔모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다. 배출펌프의 용량은 일정하므로 이로 유입되는 치약의 양은 항상 일정하나 배출되는 치약의 양은 누름부의 가압에 의존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배출펌프는 1) 칫솔방향의 개방단부를 갖는 원형의 제1 동체, 제1 동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치약용기 방향의 개방단부를 갖되 이 개방단부에는 볼 밸브 정지부가 형성되는 원형의 제2 동체, 및 제1 동체와 제2 동체를 연결하는 경사부로 구성되는 중공형 동체, 2) 제1 동체 내에 위치하는 복귀 스프링, 3) 치약용기의 치약이 제2 동체의 개방부를 통해 배출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나 이 개방부를 통해 유출되는 것은 방지하는 작용을 하는 볼 밸브, 4) 제1 동체의 개방단부에 고정되는 마개, 및 5) 일측 단부가 상기 노즐에 연결되며 배출펌프의 마개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배출관, 이 배출관의 타측 단부 근방에 외측방향 돌기부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지지부, 배출관의 타측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배출관으로 연통되는 개구를 갖는 개폐구부, 이 개폐구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복귀 스프링의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1, 2 지지부 사이에서 개폐구부를 따라 왕복운동하면서 개폐구부의 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이동부로 구성되고, 복귀 스프링과 마개 사이에 위치되어 제1 동체 내를 왕복운동하는 작동 밸브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치약용기가 부착된 칫솔은 반복사용이 가능하며 치약이 칫솔모 상단부로 공급되되 배출량이 어느 정도 조절됨으로써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칫솔모 방향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배출펌프의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7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치약용기가 부착된 칫솔(1)은 칫솔(2)과 이 칫솔의 일측에 위치되는 치약 공급부(3)로 구성된다.
치약 공급부(3)는 중공형 본체(10), 이 중공형 본체 내에 위치하는 치약용기(15), 치약용기의 치약을 칫솔로 공급하는 배출펌프(20), 누름부(13), 및 배출펌프로부터 배출되는 치약을 칫솔로 전달하는 노즐(27)을 포함한다.
본체(10)는 치약용기(15)가 위치되도록 중공형으로 그 일측 단부는 단부벽(12)에 의해 폐쇄되나 타측 단부는 치약용기를 넣거나 빼낼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본체(10)의 개방단부에는 누름부(13)가 위치하는데, 이 누름부는 치약용기(15)의 단부와 결합하여 이를 가압함으로써 배출펌프(20)를 본체(10)의 단부벽(12)에 대해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누름부(13)는 이러한 기능을 달성하는 한, 도시된 형태 외에 다른 어떠한 형태를 가져도 무방하다. 본체(10)의 폐쇄단부에는 외측에 나사부가 형성되는 원통형 제1 고정벽(11)이 형성된다.
칫솔(2)은 칫솔모(5)와 칫솔모판(4)으로 구성된다. 칫솔모판(4)의 일측 단부는 내측에 나사부가 형성되는 원통형 제2 고정벽(7)과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부(6)에 고정되며, 제2 고정벽(7)이 본체(10)의 제1 고정벽(11)과 서로 나사결합함으로써 칫솔(2)은 본체(1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하게 된다(도 1 및 도 2 참조). 칫솔(2)은 본체(10)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덮개(14)에 의해 외부로부터 보호된다.
치약용기(15)는 치약을 다 사용한 후에는 다시 치약을 담을 수 있도록 누름부(13) 방향이 개방된 중공형 원통형상을 가지며 반대방향은 치약용기의 치약을 칫솔로 일정량만큼만 공급하는 배출펌프(20)와 연결된다. 배출펌프(20)와 연결되는 부분에 다수의 구멍(17)이 뚫린 흡입관(16)을 치약용기 내에 위치시켜서 이 흡입관을 통해 치약이 용이하게 배출펌프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 흡입관은 임의적인 것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흡입관 없이 치약용기의 배출펌프 방향 단면을 깔때기 모양으로 형성시켜서 치약이 용이하게 배출펌프 방향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치약용기의 치약을 칫솔로 일정량만큼만 공급하는 배출펌프(20)는 양측이 개방되는 중공형 동체(21), 이 동체 내에 위치하는 복귀 스프링(23)과 볼 밸브(25), 중공형 동체(21)의 일측 개방단에 위치되는 마개(29), 및 복귀 스프링과 마개 사이에 위치되어 왕복운동하는 작동밸브(22)로 구성된다.
동체(21)는 칫솔(2)방향으로 개방되는 개방단부를 갖는 원형의 제1 동체(30), 이 제1 동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치약용기(15) 방향으로 개방되는 개방단부를 갖는 원형의 제2 동체(32), 및 이들 제1 동체와 제2 동체를 사선으로 연결하는 경사부(31)를 포함한다. 상기 복귀 스프링(23)은 제1 동체(20) 내에 위치하며 제2 동체(3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져서 복귀 스프링의 일측은 자연스럽게 경사부(31)에 의해 지지 된다. 제2 동체(32)의 개방단부에는 제2 동체의 직경을 감소시키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볼 밸브 정지부(33)가 위치되어서 제2 동체 내에 위치되는 볼 밸브(25)는 치약용기의 치약이 제2 동체(32)의 개방부를 통해 배출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나 이 개방부를 통해 유출되는 것은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복귀 스프링(23)과, 제1 동체(30)의 칫솔방향 개방단부에 위치되는 마개(29) 사이에 위치되어 왕복운동하는 작동밸브(22)는 배출관(41), 제1 지지부(43)와 제2 지지부(47), 이들 두 지지부 사이에 위치되는 개폐구부(45), 및 개폐구부 외측에 위치되는 이동부(49)로 구성된다(도 3 및 도 4 참조).
배출관(41)은 치약을 배출하는 관으로 제1 동체(30)의 칫솔방향 개방단부에 위치되는 마개(29)를 관통하여 연장되며 그 일측 단부는 치약을 칫솔모로 공급하는 노즐(27)과 연결된다. 이 배출관(41)의 타측 단부 근방에는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돌기부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지지부(43)가 위치되며 배출관(41)은 제1 지지부를 지나 어느 정도 더 연장된다. 작동밸브(22)의 치약용기 방향 단부에는 제2 지지부(47)가 형성된다. 제2 지지부(47)는 치약용기 방향으로 개방되는 원형 요홈(48)을 가지며, 이 요홈(48)에는 상기 복귀 스프링(23)의 일측 단부가 수용된다. 배출관(41)의 타측 단부와 제2 지지부(47) 사이에는 일정길이를 갖는 개폐구부(45)가 형성되며, 이 개폐구부(45)에는 배출관(41)으로 연통되는 개구(46)가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는 개폐구부(45)가 원통형 몸체를 가지며 이 몸체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홈이 형성되고, 이 홈이 배출관(41)까지 연장되어 홈과 배출관이 연통됨으로써 홈이 개구(46) 역할을 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치약이 개구(46)를 통해 배출관(41)까지 유동해 갈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개폐구부(45) 외측에는 제1 지지부(43)와 제2 지지부(47) 사이에서 개폐구부를 따라 왕복운동하면서 개폐구부의 개구(46)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이동부(49)가 위치된다. 이동부(49)는 제1 지지부(43)와 제2 지지부(47) 사이를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이들 지지부(43,47) 사이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개폐구부 외측에 환형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출관(41)은 제1 지지부(43)를 지나 연장되고 이 연장부의 단부에는 개폐구부의 개구(46)가 연결되므로 제1 지지부(43)와 제2 지지부(47) 사이를 따른 이동부(49)의 왕복운동에 따라 개구(46)가 개방 또는 폐쇄된다. 즉, 이동부(49)가 제2 지지부(47)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지지부와 접하게 되면 개구(46)는 폐쇄되고, 이동부(49)가 제1 지지부(43) 방향으로 이동하면 개구(46)는 개방되기 시작하여 이동부(49)가 제1 지지부(43)와 접하게 되면 개구(46)는 최대로 개방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사용하여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배출관(41)은 본체(10)의 단부벽(12)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복귀 스프링(23)이 신장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배출펌프(20) 단부와 단부벽(12)은 서로 이격하여 있다. 이제 누름부(13)를 눌러 가압하면, 치약용기와 함께 배출펌프(20) 단부는 단부벽(12)을 향해 이동하면서 복귀 스프링(23)은 압축되고, 배출펌프(20)의 동체(21) 내에 있는 유체(치약)는 가압된다. 이 가압에 의해 볼 밸브(25)는 볼 밸브 정지부(33)에 의해 이동이 정지될 때까지 치약용기 방향으로 이동하여서 본체 제2 동체(32)의 치약방향 개방단부는 볼 밸브(25)에 의해 폐쇄된다. 누름부(13)의 가압에 의해 복귀 스프링(23)이 가압되면서 배출펌프(20) 단부가 단부벽(12)을 향해 이동하는 경우, 이동부(49)는 동체(21)의 제1 동체(30) 내벽에 의해 저항을 받으면서 개폐구부(45)를 따라 제 1 지지부(43)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동부(49)의 이러한 이동에 따라 개폐구부(45)의 개구(46)가 개방되기 시작하여 이동부(49)가 제1 지지부(43)와 접하게 되면 개구(46)는 최대로 개방 된다. 계속적인 가압에 의해 압축된 치약은 개구(46)를 통해 유입되어 배출관(41)으로 유동하고, 다시 노즐(27)을 통해 칫솔모(5)로 배출된다(도 6 참조).
노즐(27)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펌프(20)로부터 배출되는 치약을 칫솔모(5) 상단으로 공급한다. 노즐(27)은 치약을 사용하고자 할 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모 상단을 향하도록 하고, 치약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칫솔모판(4)으로 눌러서 칫솔모판(4)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가요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노즐(27)은 사용자의 양치질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이제 누름부(13)에 가해진 압력을 해제하면 전술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역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압축된 복귀 스프링(23)이 복귀하면서 배출펌프(20) 단부는 단부벽(12)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이동부(49)는 동체(21)의 제1 동체(30) 내벽에 의해 저항을 받으면서 개폐구부(45)를 따라 제 2 지지부(47)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동부(49)의 이러한 이동에 따라 개폐구부(45)의 개구(46)는 폐쇄되기 시작하여 이동부(49)가 제2 지지부(47)와 접하게 되면 개구(46)는 완전히 폐쇄된다. 동체(21) 내의 배출전 치약이 차지하고 있던 공간은 누름부(13)의 가압에 의해 부피가 감소되었다가(이에 따라 유체인 치약은 압축됨) 치약이 배출된 후에는 빈 공간 상태로서 복귀 스프링(23)에 의해 본래의 부피상태로 복귀하게 되며, 이때 이 공간은 부압상태로 된다. 동체(21) 내부가 부압상태로 되면, 치약용기(15)에는 상압이 걸려 있으므로 압차에 의해 치약은 볼 밸브(25)를 밀어 내면서 동체(21) 내로 유입된다(도 7 참조).
본 고안에 따른 치약용기가 부착된 칫솔(1)은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치면서 치약을 치약용기로부터 칫솔모로 배출하게 되며, 동체(21) 내의 치약이 수용되는 공간은 일정하나 누름부의 가압력을 조절함으로써 필요한만큼의 치약이 배출되게 된다.
이상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칫솔과 이 칫솔의 일측에 위치되는 치약 공급부로 구성되되,
    치약 공급부가 칫솔의 일측이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중공형 본체, 본체 내에 위치하는 치약용기, 일측은 치약용기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며 다른 측은 본체의 칫솔방향 단부에 고정된 채로 탄성 왕복운동을 하면서 치약을 치약용기로부터 칫솔방향으로 배출하는 배출펌프, 칫솔에 대향하는 방향의 본체 단부에 위치되어 치약용기의 타측 단부를 가압함으로써 배출펌프를 본체에 대해 가압하는 역할을 하는 누름부, 및 배출펌프로부터 배출되는 치약을 칫솔로 전달하는 노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용기가 부착된 칫솔.
  2. 제 1항에 있어서, 치약용기가 부착된 칫솔이 칫솔덮개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용기가 부착된 칫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이 배출펌프로부터 배출되는 치약을 칫솔모 상단으로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용기가 부착된 칫솔.
  4. 제 1항에 있어서, 배출펌프가,
    1) 칫솔방향의 개방단부를 갖는 원형의 제1 동체, 제1 동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치약용기 방향의 개방단부를 갖되 이 개방단부에는 볼 밸브 정지부가 형성되는 원형의 제2 동체, 및 제1 동체와 제2 동체를 연결하는 경사부로 구성되는 중공형 동체,
    2) 제1 동체 내에 위치하며, 동체의 경사부에 의해 일측이 탄성지지되도록 제2 동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복귀 스프링,
    3) 제2 동체의 개방단부 근방에 위치하며, 치약용기의 치약이 제2 동체의 개방부를 통해 배출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나 이 개방부를 통해 유출되는 것은 방지하는 작용을 하는 볼 밸브,
    4) 제1 동체의 개방단부에 고정되는 마개, 및
    5) 일측 단부가 상기 노즐에 연결되며 배출펌프의 마개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배출관, 이 배출관의 타측 단부 근방에 외측방향 돌기부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지지부, 배출관의 타측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배출관으로 연통되는 개구를 갖는 개폐구부, 이 개폐구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복귀 스프링의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1, 2 지지부 사이에서 개폐구부를 따라 왕복운동하면서 개폐구부의 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이동부로 구성되고, 복귀 스프링과 마개 사이에 위치되어 제1 동체 내를 왕복운동하는 작동 밸브로 구성되어서,
    상기 누름부를 눌러서 배출펌프를 본체에 대해 가압하는 경우에는 중공형 동체의 경사부와 작동밸브의 지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복귀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중공형 동체가 칫솔방향으로 이동하며 작동밸브의 이동부 역시 칫솔방향으로 이동하여 개폐구부의 개구가 개방되고, 이때 볼 밸브에 의해 개방단부가 폐쇄된 제2 동체와 제1 동체 내에 있던 치약이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고, 누름부에 가해진 압력을 해제하는 경우에는 압축된 복귀스프링이 신장되면서 종공형 동체가 치약용기 방향으로 이동하며 작동밸브의 이동부 역시 치약용기 방향으로 이동하여 개폐구부의 개구가 폐쇄되고, 이때 볼 밸브에 의해 폐쇄되었던 제2 동체의 개방단부가 개방되면서 치약용기의 치약이 중공형 동체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용기가 부착된 칫솔.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부가 원통형 몸체와 이 몸체를 따라 형성되는 홈으로 구성되되 이 홈이 상기 배출관까지 연장되어서 개폐구부의 개구 역할을 하며, 작동밸브는 개폐구부 외측에 위치되는 환형형상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용기가 부착된 칫솔.
KR2020100008810U 2010-08-24 2010-08-24 치약용기가 부착된 칫솔 KR2012000149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810U KR20120001495U (ko) 2010-08-24 2010-08-24 치약용기가 부착된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810U KR20120001495U (ko) 2010-08-24 2010-08-24 치약용기가 부착된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495U true KR20120001495U (ko) 2012-03-06

Family

ID=46173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810U KR20120001495U (ko) 2010-08-24 2010-08-24 치약용기가 부착된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149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34905C2 (ru) Резервуар для текучей среды для портатив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индивидуального ухода
CN102026730B (zh) 喷射装置器械
US5397194A (en) Fountain cleaning device
JP6277561B2 (ja) クリームタイプ真空化粧品容器
KR101127411B1 (ko) 푸시헤드를 갖춘 펌프디스펜서
US20110070016A1 (en) Water pump toothbrush
US20060133886A1 (en) Shampooing brush
US20120246856A1 (en) Self-foaming shaving brush
KR101248363B1 (ko) 직압 분사식 화장도구
KR100789295B1 (ko) 파우더 토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KR100840590B1 (ko) 화장도구용 노즐 및 이를 구비한 화장도구
KR20080005628A (ko) 매니큐어
KR20170063927A (ko) 도포기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물품 및 메이크업 제품 공급기
US11096551B2 (en) Foam dispensing cleaning tool
KR101325922B1 (ko) 액상화장품 용기
KR20120001495U (ko) 치약용기가 부착된 칫솔
KR200471478Y1 (ko) 내용물 절약형 용기
KR100895882B1 (ko) 화장품 용기의 슬라이딩 펌핑장치
JP5732312B2 (ja) 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
US20090144922A1 (en) Toothbrush
WO2007120033A1 (es) Sistema mejorado de alimentación de pintura para brocha y rodillo con accesorios
KR200362352Y1 (ko) 겔상 파운데이션 용기
KR200467811Y1 (ko) 화장품 용기
KR200397881Y1 (ko) 분리된 가압판과 피스톤 로드를 갖는 치약이 내장된 칫솔
JP7244668B2 (ja) 液体残量消費のための双方向ポンピング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