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344A - 자동변속기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344A
KR20120001344A KR1020100062085A KR20100062085A KR20120001344A KR 20120001344 A KR20120001344 A KR 20120001344A KR 1020100062085 A KR1020100062085 A KR 1020100062085A KR 20100062085 A KR20100062085 A KR 20100062085A KR 20120001344 A KR20120001344 A KR 20120001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arrier
clutch
coupled
su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2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6232B1 (ko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2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6232B1/ko
Publication of KR20120001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62Gearings having three or more central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2003/445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without permanent connection between the input and the set of orbital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003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 F16H2200/0056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the gear ratios comprising seven forward spe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0082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reverse speeds
    • F16H2200/0091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reverse speeds the gear ratios comprising three reverse spe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20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 F16H2200/2002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sets of orbital gears
    • F16H2200/2012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sets of orbital gears with four sets of orbital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진 7속 및 후진 3속의 변속단을 구현할 수 있는 자동변속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유성기어세트와, 제2유성기어세트와, 제3유성기어세트와, 제4유성기어세트를 포함하므로 전진 7속 및 후진 3속의 변속단을 구현할 수 있는 자동변속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변속기 {AUTO TRANSMISSION}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진 7속 및 후진 3속의 변속단을 구현할 수 있는 자동변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그 차량의 주행속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자동변속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자동변속기의 다단 변속 메카니즘은, 복수의 유성기어세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복수의 유성기어세트가 조합된 파워 트레인은 엔진 토크를 변환하여 전달하는 토크 컨버터로부터 회전동력이 입력되면 이를 다단으로 변속하여 출력축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은 많은 변속단을 보유할수록 동력 성능 및 연료 소비율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보다 많은 변속단을 구현할 수 있는 파워 트레인이 요구되고 있다.
동일 수의 변속단을 구현하더라도 유성기어세트의 조합 방법에 따라 내구성 및 동력 전달 효율, 그리고 크기 및 중량 등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보다 견고하고 동력 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소형화 할 수 있는 파워 트레인의 개발을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인 자동변속기는 전진 5속 및 후진 1속의 변속단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동력 성능 및 연료 소비율을 향상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전진 7속 및 후진 3속의 변속단을 구현할 수 있는 자동변속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스에 연결되는 제1선기어와, 상기 제1선기어에 기어 결합되는 제1캐리어와, 상기 제1캐리어와 기어 결합되고 제1클러치를 매개로 입력축에 연결되는 제1링기어를 포함하는 제1유성기어세트; 제2클러치를 매개로 상기 입력축에 연결되는 제2선기어와, 상기 제2선기어와 기어 결합되고 제3클러치를 매개로 상기 입력축에 연결되는 제2캐리어와, 상기 제2캐리어와 기어 결합되고 상기 제1캐리어에 연결되고 제1브레이크를 매개로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는 제2링기어를 포함하는 제2유성기어세트; 상기 제2선기어에 연결되는 제3선기어와, 상기 제3선기어와 기어 결합되는 제3캐리어와, 상기 제3캐리어와 기어 결합되고 상기 제2캐리어에 연결되고 제2브레이크를 매개로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는 제3링기어를 포함하는 제3유성기어세트; 및 상기 제3선기어에 연결되는 제4선기어와, 상기 제4선기어와 기어 결합되고 상기 제3캐리어에 연결되고 출력축과 연결되는 제4캐리어와, 상기 제4캐리어와 기어 결합되고 제3브레이크를 매개로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는 제4링기어를 포함하는 제4유성기어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클러치, 상기 제2클러치 및 상기 제3클러치는 상기 제1유성기어세트와 상기 제2유성기어세트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클러치, 상기 제2클러치 및 상기 제3클러치는 상기 제1유성기어세트와 비교하여 상기 입력축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에 연결되는 제1선기어와, 상기 제1선기어에 기어 결합되고 제1클러치를 매개로 입력축에 연결되는 제1캐리어와, 상기 제1캐리어와 기어 결합되는 제1링기어를 포함하는 제1유성기어세트; 제2클러치를 매개로 상기 입력축에 연결되는 제2선기어와, 상기 제2선기어와 기어 결합되고 제3클러치를 매개로 상기 입력축에 연결되는 제2캐리어와, 상기 제2캐리어와 기어 결합되고 상기 제1링기어에 연결되고 제1브레이크를 매개로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는 제2링기어를 포함하는 제2유성기어세트; 상기 제2선기어에 연결되는 제3선기어와, 상기 제3선기어와 기어 결합되는 제3캐리어와, 상기 제3캐리어와 기어 결합되고 상기 제2캐리어에 연결되고 제2브레이크를 매개로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는 제3링기어를 포함하는 제3유성기어세트; 및 상기 제3선기어에 연결되는 제4선기어와, 상기 제4선기어와 기어 결합되고 상기 제3캐리어에 연결되고 출력축과 연결되는 제4캐리어와, 상기 제4캐리어와 기어 결합되고 제3브레이크를 매개로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는 제4링기어를 포함하는 제4유성기어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캐리어는, 상기 제1선기어와 기어 결합되는 제1피니언; 및 상기 제1피니언과 기어 결합되고 상기 제1링기어와 기어 결합되는 제2피니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클러치, 상기 제2클러치 및 상기 제3클러치는 상기 제1유성기어세트와 상기 제2유성기어세트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클러치, 상기 제2클러치 및 상기 제3클러치는 상기 제1유성기어세트와 비교하여 상기 입력축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클러치를 매개로 입력축에 연결되는 제1선기어와, 상기 제1선기어와 기어 결합되고 케이스에 연결되는 제1캐리어와, 상기 제1캐리어와 기어 결합되는 제1링기어를 포함하는 제1유성기어세트; 제2클러치를 매개로 상기 입력축에 연결되는 제2선기어와, 상기 제2선기어와 기어 결합되고 제3클러치를 매개로 상기 입력축에 연결되는 제2캐리어와, 상기 제2캐리어와 기어 결합되고 상기 제1링기어에 연결되고 제1브레이크를 매개로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는 제2링기어를 포함하는 제2유성기어세트; 상기 제2선기어에 연결되는 제3선기어와, 상기 제3선기어와 기어 결합되는 제3캐리어와, 상기 제3캐리어와 기어 결합되고 상기 제2캐리어에 연결되고 제2브레이크를 매개로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는 제3링기어를 포함하는 제3유성기어세트; 및 상기 제3선기어에 연결되는 제4선기어와, 상기 제4선기어와 기어 결합되고 상기 제3캐리어에 연결되고 출력축과 연결되는 제4캐리어와, 상기 제4캐리어와 기어 결합되고 제3브레이크를 매개로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는 제4링기어를 포함하는 제4유성기어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캐리어는, 상기 제1선기어와 기어 결합되는 제1피니언; 및 상기 제1피니언과 기어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제1링기어와 기어 결합되는 제2피니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클러치, 상기 제2클러치 및 상기 제3클러치는 상기 제1유성기어세트와 상기 제2유성기어세트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클러치, 상기 제2클러치 및 상기 제3클러치는 상기 제1유성기어세트와 비교하여 상기 입력축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는 4개의 유성기어세트, 3개의 클러치 및 3개의 브레이크를 조합하여 전진 7속 및 후진 3속의 변속단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연결구조가 단순하여 자동변속기의 설계가 용이하고 소형화될 수 있으며 자동변속기의 동력 성능 및 소비율을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작동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전진 7속 및 후진 3속 속도선도가 도시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전진 7속 및 후진 3속 속도선도가 도시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전진 7속 및 후진 3속 속도선도가 도시된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작동표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전진 7속 및 후진 3속 속도선도가 도시된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는 제1유성기어세트(10)와, 제2유성기어세트(30)와, 제3유성기어세트(50)와, 제4유성기어세트(70)를 포함한다.
제1유성기어세트(10)는 케이스(1)에 연결되는 제1선기어(S1)와, 제1선기어(S1)에 기어 결합되는 제1캐리어(C1)와, 제1캐리어(C1)와 기어 결합되고 제1클러치(CL1)를 매개로 입력축(82)에 연결되는 제1링기어(R1)를 포함한다.
제2유성기어세트(30)는 제2클러치(CL2)를 매개로 입력축(82)에 연결되는 제2선기어(S2)와, 제2선기어(S2)와 기어 결합되고 제3클러치(CL3)를 매개로 입력축(82)에 연결되는 제2캐리어(C2)와, 제2캐리어(C2)와 기어 결합되고 제1캐리어(C1)에 연결되고 제1브레이크(B1)를 매개로 케이스(1)에 연결되는 제2링기어(R2)를 포함한다.
제3유성기어세트(50)는 제2선기어(S2)에 연결되는 제3선기어(S3)와, 제3선기어(S3)와 기어 결합되는 제3캐리어(C3)와, 제3캐리어(C3)와 기어 결합되고 제2캐리어(C2)에 연결되고 제2브레이크(B2)를 매개로 케이스(1)에 연결되는 제3링기어(R3)를 포함한다.
제4유성기어세트(70)는 제3선기어(S3)에 연결되는 제4선기어(S4)와, 제4선기어(S4)와 기어 결합되고 제3캐리어(C3)에 연결되고 출력축(84)과 연결되는 제4캐리어(C4)와, 제4캐리어(C4)와 기어 결합되고 제3브레이크(B3)를 매개로 케이스(1)에 연결되는 제4링기어(R4)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구성을 각각 회전요소로 분류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링기어(R1)는 제1회전요소(N1)를 이루고, 제1캐리어(C1)는 제2회전요소(N2)를 이루고, 제1선기어(S1)는 제3회전요소(N3)를 이룬다.
또한, 제2링기어(R2)는 제4회전요소(N4)를 이루고, 제2캐리어(C2)와 제3링기어(R3)는 제5회전요소(N5)를 이루고, 제4링기어(R4)는 제6회전요소(N6)를 이룬다.
또한, 제3캐리어(C3)와 제4캐리어(C4)는 제7회전요소(N7)를 이루고, 제2선기어(S2)와 제3선기어(S3)와 제4선기어(S4)는 제8회전요소(N8)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제2회전요소(N2)와 제4회전요소(N4)는 설명을 위해 구분한 것으로서, 실제로는 항상 직결되어 있으므로 동일한 회전요소이다.
제1회전요소(N1) 내지 제8회전요소(N8)는 제1클러치(CL1), 제2클러치(CL2), 제3클러치(CL3), 제1브레이크(B1), 제2브레이크(B2) 및 제3브레이크(B3)로 이루어지는 6개의 마찰요소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거나 구속되면서 전진 7속 및 후진 3속의 변속단을 구현하게 된다.
제1회전요소(N1)는 제1클러치(CL1)에 의해 입력축(82)에 가변 연결되고, 제3회전요소(N3)는 케이스(1)에 연결되어 회전되지 않고, 제2회전요소(N2)는 제4회전요소(N4)에 직결되므로 감속 출력을 행하게 된다.
따라서 제1회전요소(N1), 제2회전요소(N2) 및 제3회전요소(N3)를 포함하는 제1유성기어세트(10)는 감속 출력을 행하는 감속유성기어세트를 이루게 된다.
제1클러치(CL1)는 입력축(82)과 제1회전요소(N1)를 가변 연결하고, 제2클러치(CL2)는 입력축(82)과 제8회전요소(N8)를 가변 연결하고, 제3클러치(CL3)는 입력축(82)과 제5회전요소(N5)를 가변 연결한다.
또한, 제1브레이크(B1)는 케이스(1)와 제4회전요소(N4)를 가변 연결하고, 제2브레이크(B2)는 케이스(1)와 제5회전요소(N5)를 가변 연결하고, 제3브레이크(B3)는 케이스(1)와 제6회전요소(N6)를 가변 연결한다.
또한, 제7회전요소(N7)는 출력축(84)과 연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설치되는 제1클러치(CL1), 제2클러치(CL2) 및 제3클러치(CL3)는 제1유성기어세트(10)와 제2유성기어세트(30) 사이에 배치되므로 도 1에 도시되 바와 같이 구성된 자동변속기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진 1속으로 출력되는 경우에는 제2클러치(CL2) 및 제3브레이크(B3)가 작동되므로 입력축(82)을 통해 전달되는 동력은 제8회전요소(N8)를 통해 제7회전요소(N7)에 전달된 후에 출력축(84)을 통해 출력된다.
이때, 제3브레이크(B3)의 작동에 의해 제4링기어(R4)가 구속되므로 제8회전요소(N8)를 이루는 제4선기어(S4)로부터 제4캐리어(C4)로 동력이 전달된 후에 출력축(84)을 따라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전진 2속으로 출력될 경우에는 제2클러치(CL2) 및 제2브레이크(B2)가 작동되므로 입력축(82)을 통해 전달되는 동력은 제8회전요소(N8)를 통해 제7회전요소(N7)로 전달된 후에 출력축(84)을 통해 출력된다.
이때, 제2브레이크(B2)의 작동에 의해 제3링기어(R3)가 구속되므로 제8회전요소(N8)를 이루는 제3선기어(S3)로부터 제3캐리어(C3)로 동력이 전달된 후에 출력축(84)을 따라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전진 3속으로 출력될 경우에는 제2클러치(CL2) 및 제1브레이크(B1)가 작동되므로 입력축(82)을 통해 전달되는 동력은 제8회전요소(N8)를 통해 제7회전요소(N7)로 전달된 후에 출력축(84)을 통해 출력된다.
이때, 제1브레이크(B1)의 작동에 의해 제2링기어(R2)가 구속되므로 제8회전요소(N8)를 이루는 제2선기어(S2)로부터 제2캐리어(C2)로 동력이 전달되고 제2캐리어(C2)와 연결된 제3링기어(R3)를 통해 제3캐리어(C3)로 동력이 전달되어 출력축(84)으로 출력된다.
전진 4속으로 출력될 경우에는 제1클러치(CL1) 및 제2클러치(CL2)가 작동되고, 전진 5속으로 출력되는 경우에는 제2클러치(CL2) 및 제3클러치(CL3)가 작동되고, 전진 6속으로 출력되는 경우에는 제1클러치(CL1) 및 제3클러치(CL3)가 작동되고, 전진 7속으로 출력되는 경우에는 제3클러치(CL3) 및 제1브레이크(B1)가 작동된다.
또한, 후진 1속으로 출력되는 경우에는 제1클러치(CL1) 및 제3브레이크(B3)가 작동되고, 후진 2속으로 출력되는 경우에는 제1클러치(CL1) 및 제2브레이크(B2)가 작동되고, 후진 3속으로 출력되는 경우에는 제3클러치(CL3) 및 제3브레이크(B3)가 작동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진 7속 및 후진 3속 각각의 변속단이 구현될 때에는 3개의 클러치 및 3개의 브레이크로 이루어지는 6개의 마찰요소 중에 2개의 마찰요소가 작동되어 각각의 변속단을 구현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는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와 기술구성이 동일하며, 제1클러치(CL1), 제2클러치(CL2) 및 제3클러치(CL3)는 제1유성기어세트(110)와 비교하여 입력축(182)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클러치(CL1), 제2클러치(CL2) 및 제3클러치(CL3)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자동변속기의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 있어 자동변속기의 크기를 줄이거나 레이아웃을 최적화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전진 7속 및 후진 3속 속도선도가 도시된 그래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는 제1유성기어세트(210)와, 제2유성기어세트(230)와, 제3유성기어세트(250)와, 제4유성기어세트(270)를 포함한다.
제1유성기어세트(210)는 케이스(200)에 연결되는 제1선기어(S1)와, 제1선기어(S1)에 기어 결합되고 제1클러치(CL1)를 매개로 입력축(282)에 연결되는 제1캐리어(C1)와, 제1캐리어(C1)와 기어 결합되는 제1링기어(R1)를 포함한다.
제2유성기어세트(230)는 제2클러치(CL2)를 매개로 입력축(282)에 연결되는 제2선기어(S2)와, 제2선기어(S2)와 기어 결합되고 제3클러치(CL3)를 매개로 입력축(282)에 연결되는 제2캐리어(C2)와, 제2캐리어(C2)와 기어 결합되고 제1링기어(R1)에 연결되고 제1브레이크(B1)를 매개로 케이스(200)에 연결되는 제2링기어(R2)를 포함한다.
제3유성기어세트(250)는 제2선기어(S2)에 연결되는 제3선기어(S3)와, 제3선기어(S3)와 기어 결합되는 제3캐리어(C3)와, 제3캐리어(C3)와 기어 결합되고 제2캐리어(C2)에 연결되고 제2브레이크(B2)를 매개로 케이스(200)에 연결되는 제3링기어(R3)를 포함한다.
제4유성기어세트(270)는 제3선기어(S3)에 연결되는 제4선기어(S4)와, 제4선기어(S4)와 기어 결합되고 제3캐리어(C3)에 연결되고 출력축(284)과 연결되는 제4캐리어(C4)와, 제4캐리어(C4)와 기어 결합되고 제3브레이크(B3)를 매개로 케이스(200)에 연결되는 제4링기어(R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는 입력축(282)이 제1클러치(CL1)를 매개로 제1캐리어(C1)에 연결되고, 제1선기어(S1)가 케이스(200)에 연결되고, 제1링기어(R1)에 제2링기어(R2)가 연결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1캐리어(C1)는 제1선기어(S1)와 기어 결합되는 제1피니언(212)과, 제1피니언(212)과 기어 결합되고 제1링기어(R1)와 기어 결합되는 제2피니언(214)을 포함하는 더블 피니언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1클러치(CL1), 제2클러치(CL2) 및 제3클러치(CL3)는 제1유성기어세트(210)와 제2유성기어세트(230) 사이에 배치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는 제3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와 기술구성이 동일하며, 제1클러치(CL1), 제2클러치(CL2) 및 제3클러치(CL3)는 제1유성기어세트(310)와 비교하여 입력축(382)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클러치(CL1), 제2클러치(CL2) 및 제3클러치(CL3)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자동변속기의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 있어 자동변속기의 크기를 줄이거나 레이아웃을 최적화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전진 7속 및 후진 3속 속도선도가 도시된 그래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는 제1유성기어세트(410)와, 제2유성기어세트(430)와, 제3유성기어세트(450)와, 제4유성기어세트(470)를 포함한다.
제1유성기어세트(410)는 제1클러치(CL1)를 매개로 입력축(482)에 연결되는 제1선기어(S1)와, 제1선기어(S1)와 기어 결합되고 케이스(400)에 연결되는 제1캐리어(C1)와, 제1캐리어(C1)와 기어 결합되는 제1링기어(R1)를 포함한다.
제2유성기어세트(430)는 제2클러치(CL2)를 매개로 입력축(482)에 연결되는 제2선기어(S2)와, 제2선기어(S2)와 기어 결합되고 제3클러치(CL3)를 매개로 입력축(482)에 연결되는 제2캐리어(C2)와, 제2캐리어(C2)와 기어 결합되고 제1링기어(R1)에 연결되고 제1브레이크(B1)를 매개로 케이스(400)에 연결되는 제2링기어(R2)를 포함한다.
제3유성기어세트(450)는 제2선기어(S2)에 연결되는 제3선기어(S3)와, 제3선기어(S3)와 기어 결합되는 제3캐리어(C3)와, 제3캐리어(C3)와 기어 결합되고 제2캐리어(C2)에 연결되고 제2브레이크(B2)를 매개로 케이스(400)에 연결되는 제3링기어(R3)를 포함한다.
제4유성기어세트(470)는 제3선기어(S3)에 연결되는 제4선기어(S4)와, 제4선기어(S4)와 기어 결합되고 제3캐리어(C3)에 연결되고 출력축(484)과 연결되는 제4캐리어(C4)와, 제4캐리어(C4)와 기어 결합되고 제3브레이크(B3)를 매개로 케이스(400)에 연결되는 제4링기어(R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는 입력축이 제1클러치(CL1)를 매개로 제1선기어(S1)에 연결되고, 제1캐리어(C1)가 케이스(400)에 연결되고, 제1링기어(R1)에 제2링기어(R2)가 연결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1캐리어(C1)는 제1선기어(S1)와 기어 결합되는 제1피니언(412)과, 제1피니언(412)과 기어 결합되고 케이스(400)에 연결되고 제1링기어(R1)와 기어 결합되는 제2피니언(414)을 포함하는 더블 피니언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1클러치(CL1), 제2클러치(CL2) 및 제3클러치(CL3)는 제1유성기어세트(410)와 제2유성기어세트(430) 사이에 배치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는 제5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기술구성과 동일하며, 제1클러치(CL1), 제2클러치(CL2) 및 제3클러치(CL3)는 제1유성기어세트(510)와 비교하여 입력축(582)에 가깝게 배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클러치(CL1), 제2클러치(CL2) 및 제3클러치(CL3)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자동변속기의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 있어 자동변속기의 크기를 줄이거나 레이아웃을 최적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차량용 자동변속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차량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자동변속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케이스 10 : 제1유성기어세트
30 : 제2유성기어세트 50 : 제3유성기어세트
70 : 제4유성기어세트 82 : 입력축
84 : 출력축

Claims (11)

  1. 케이스에 연결되는 제1선기어와, 상기 제1선기어에 기어 결합되는 제1캐리어와, 상기 제1캐리어와 기어 결합되고 제1클러치를 매개로 입력축에 연결되는 제1링기어를 포함하는 제1유성기어세트;
    제2클러치를 매개로 상기 입력축에 연결되는 제2선기어와, 상기 제2선기어와 기어 결합되고 제3클러치를 매개로 상기 입력축에 연결되는 제2캐리어와, 상기 제2캐리어와 기어 결합되고 상기 제1캐리어에 연결되고 제1브레이크를 매개로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는 제2링기어를 포함하는 제2유성기어세트;
    상기 제2선기어에 연결되는 제3선기어와, 상기 제3선기어와 기어 결합되는 제3캐리어와, 상기 제3캐리어와 기어 결합되고 상기 제2캐리어에 연결되고 제2브레이크를 매개로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는 제3링기어를 포함하는 제3유성기어세트; 및
    상기 제3선기어에 연결되는 제4선기어와, 상기 제4선기어와 기어 결합되고 상기 제3캐리어에 연결되고 출력축과 연결되는 제4캐리어와, 상기 제4캐리어와 기어 결합되고 제3브레이크를 매개로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는 제4링기어를 포함하는 제4유성기어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러치, 상기 제2클러치 및 상기 제3클러치는 상기 제1유성기어세트와 상기 제2유성기어세트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러치, 상기 제2클러치 및 상기 제3클러치는 상기 제1유성기어세트와 비교하여 상기 입력축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4. 케이스에 연결되는 제1선기어와, 상기 제1선기어에 기어 결합되고 제1클러치를 매개로 입력축에 연결되는 제1캐리어와, 상기 제1캐리어와 기어 결합되는 제1링기어를 포함하는 제1유성기어세트;
    제2클러치를 매개로 상기 입력축에 연결되는 제2선기어와, 상기 제2선기어와 기어 결합되고 제3클러치를 매개로 상기 입력축에 연결되는 제2캐리어와, 상기 제2캐리어와 기어 결합되고 상기 제1링기어에 연결되고 제1브레이크를 매개로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는 제2링기어를 포함하는 제2유성기어세트;
    상기 제2선기어에 연결되는 제3선기어와, 상기 제3선기어와 기어 결합되는 제3캐리어와, 상기 제3캐리어와 기어 결합되고 상기 제2캐리어에 연결되고 제2브레이크를 매개로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는 제3링기어를 포함하는 제3유성기어세트; 및
    상기 제3선기어에 연결되는 제4선기어와, 상기 제4선기어와 기어 결합되고 상기 제3캐리어에 연결되고 출력축과 연결되는 제4캐리어와, 상기 제4캐리어와 기어 결합되고 제3브레이크를 매개로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는 제4링기어를 포함하는 제4유성기어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캐리어는,
    상기 제1선기어와 기어 결합되는 제1피니언; 및
    상기 제1피니언과 기어 결합되고 상기 제1링기어와 기어 결합되는 제2피니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러치, 상기 제2클러치 및 상기 제3클러치는 상기 제1유성기어세트와 상기 제2유성기어세트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러치, 상기 제2클러치 및 상기 제3클러치는 상기 제1유성기어세트와 비교하여 상기 입력축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8. 제1클러치를 매개로 입력축에 연결되는 제1선기어와, 상기 제1선기어와 기어 결합되고 케이스에 연결되는 제1캐리어와, 상기 제1캐리어와 기어 결합되는 제1링기어를 포함하는 제1유성기어세트;
    제2클러치를 매개로 상기 입력축에 연결되는 제2선기어와, 상기 제2선기어와 기어 결합되고 제3클러치를 매개로 상기 입력축에 연결되는 제2캐리어와, 상기 제2캐리어와 기어 결합되고 상기 제1링기어에 연결되고 제1브레이크를 매개로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는 제2링기어를 포함하는 제2유성기어세트;
    상기 제2선기어에 연결되는 제3선기어와, 상기 제3선기어와 기어 결합되는 제3캐리어와, 상기 제3캐리어와 기어 결합되고 상기 제2캐리어에 연결되고 제2브레이크를 매개로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는 제3링기어를 포함하는 제3유성기어세트; 및
    상기 제3선기어에 연결되는 제4선기어와, 상기 제4선기어와 기어 결합되고 상기 제3캐리어에 연결되고 출력축과 연결되는 제4캐리어와, 상기 제4캐리어와 기어 결합되고 제3브레이크를 매개로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는 제4링기어를 포함하는 제4유성기어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캐리어는,
    상기 제1선기어와 기어 결합되는 제1피니언; 및
    상기 제1피니언과 기어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제1링기어와 기어 결합되는 제2피니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러치, 상기 제2클러치 및 상기 제3클러치는 상기 제1유성기어세트와 상기 제2유성기어세트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러치, 상기 제2클러치 및 상기 제3클러치는 상기 제1유성기어세트와 비교하여 상기 입력축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KR1020100062085A 2010-06-29 2010-06-29 자동변속기 KR101106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085A KR101106232B1 (ko) 2010-06-29 2010-06-29 자동변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085A KR101106232B1 (ko) 2010-06-29 2010-06-29 자동변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344A true KR20120001344A (ko) 2012-01-04
KR101106232B1 KR101106232B1 (ko) 2012-01-20

Family

ID=45609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085A KR101106232B1 (ko) 2010-06-29 2010-06-29 자동변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62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26084A (zh) * 2012-03-28 2014-10-29 爱信艾达株式会社 自动变速器装置
CN109442009A (zh) * 2018-12-20 2019-03-08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变速传动机构及轮式驱动机械
CN113474578A (zh) * 2019-03-12 2021-10-01 西格玛动力总成股份有限公司 变速器组件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5474B1 (ko) 1997-10-08 2001-12-28 이계안 차량용5속자동변속기의파워트레인
KR101241042B1 (ko) * 2006-03-15 2013-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7속 자동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KR100764715B1 (ko) 2006-06-21 2007-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의 8속 파워트레인
KR100793887B1 (ko) 2006-08-14 2008-0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26084A (zh) * 2012-03-28 2014-10-29 爱信艾达株式会社 自动变速器装置
CN109442009A (zh) * 2018-12-20 2019-03-08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变速传动机构及轮式驱动机械
CN113474578A (zh) * 2019-03-12 2021-10-01 西格玛动力总成股份有限公司 变速器组件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6232B1 (ko) 201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4655B1 (ko) 차량용 무단변속기
KR101172304B1 (ko) 자동변속기용 동력전달장치
KR100957140B1 (ko) 자동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JP6541395B2 (ja) 車両用多段自動変速機
JP5860140B2 (ja) 自動変速機装置
KR20130063895A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KR101459890B1 (ko) 자동변속기의 8속 파워트레인
JP2009047303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パワートレイン
JPWO2013146032A1 (ja) 自動変速機装置
WO2013146027A1 (ja) 自動変速機装置
JP5902438B2 (ja) 車両用多段変速機のギヤトレーン
KR101106232B1 (ko) 자동변속기
KR20160070429A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JP2010203542A (ja) ダブルクラッチ自動変速機
JPWO2013146028A1 (ja) 自動変速機装置
KR101231884B1 (ko) 자동변속기용 동력전달장치
KR101072311B1 (ko)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KR101106233B1 (ko) 자동변속기
KR100803303B1 (ko) 자동변속기의 8속 파워트레인
KR101293299B1 (ko) 자동변속기용 동력전달장치
KR101234668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성기어트레인
KR20080099010A (ko) 자동변속기의 8속 파워트레인
KR100803301B1 (ko) 자동변속기의 8속 파워트레인
KR20090127735A (ko)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KR101231885B1 (ko) 자동변속기용 동력전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