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209U - 뒷목가리개 탈부착 모자 - Google Patents

뒷목가리개 탈부착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209U
KR20120001209U KR2020100008384U KR20100008384U KR20120001209U KR 20120001209 U KR20120001209 U KR 20120001209U KR 2020100008384 U KR2020100008384 U KR 2020100008384U KR 20100008384 U KR20100008384 U KR 20100008384U KR 20120001209 U KR20120001209 U KR 2012000120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
fastening means
fastening
shawl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3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3546Y1 (ko
Inventor
이오승
Original Assignee
(주)청림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림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주)청림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20201000083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546Y1/ko
Publication of KR201200012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2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5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5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42B1/241Pockets therefor; Head coverings with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2Hats; Stiff cap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8Coverings for protecting hats, caps or hoods against dust, rain, or sunshin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2Button fast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73Attac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04Wrappers or flexible covers non-rectangular
    • B65D65/08Wrappers or flexible covers non-rectangular with fastening elements, e.g. slide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자에 있어서,
모자 크라운과 모자 챙의 봉제 영역 중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연결고리들;
모자 크라운의 하단부에 둘레 방향으로 설치된 제 1 체결수단들; 및
상기 제 1 체결수단들에 대응하여 착탈되는 제 2 체결수단들이 상측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모자의 뒤쪽으로 펼쳐지는 뒷목가리개;를 포함하며,
상기 뒷목가리개의 상기 상측 단부의 좌우 양쪽 끝단에, 각각 체결편이 설치되고, 이 체결편의 끝단에 모자의 상기 한 쌍의 연결고리를 통해 체결되는 제 3 체결수단을 더 포함하는, 뒷목가리개 탈부착 모자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뒷목가리개 탈부착 모자{CAP HAVING A REAR NECK COVER}
본 고안은 모자에 관한 것이며, 특히 뒷목가리개를 부착하여 햇빛으로부터 착용자의 뒷목 피부를 보호하는 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자는 햇볕 등으로부터 착용자의 얼굴을 가리기 위한 차양과 머리가 수용되는 크라운이 봉제되어 이루어진다. 이런 형태의 대표적인 모자로 야구모자로 불리는 캡(CAP)이 있이 있으며, 벙거지(Hat)이나 차양모(Sun Cap)도 다소의 형태적 차이는 있지만 마찬가지이다. 위와 같은 종래의 모자는 전방 위쪽에서 조사되는 햇빛으로부터 어느 정도 안면을 보호할 수 있다. 그러나 착용자의 목 뒷부분의 피부 또는 햇볕에 노출되는 어깨 등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에서 뒷목가리개가 부착된 모자가 제안되거나, 뒷목가리개를 착탈할 수 있는 모자가 제안되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46401호 "보조 차광천이 구비된 모자"(선행문헌 1)는 보조 차광천(20)을 모자의 하단 내주연부를 따라 재봉하여 고정한 모자를 제안하였다. 이 선행문헌 1에 따르면 보조 차광천을 이용하여 햇빛으로부터 착용자의 피부를 보호하며, 보조 차광천이 불필요할 때에는 뒤로 묶어 사용할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보조 차광천이 고정식으로 부착된 위 선행문헌 1과 달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90351호 "두건겸용 모자"(선행문헌 2)는 차양천(200)을 다수의 단추 결합부재에 의해 착탈 가능하도록 한 기술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문헌 2의 모자에는 다수의 단추결합부재(102)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 1의 모자는 보조 차광천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자가 차광천의 사용을 원치 않을 때에도 차광천이 일체로 결합된 모자를 착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매우 불편하였다. 특히 보편적인 모자의 형태를 크게 훼손하는 단점이 있어서 보편적인 사용이 지대한 불이익이 초래되었다. 더욱이 모자의 배면에 사이즈 조절 수단이 구비된 통상의 모자에는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행문헌 2의 모자의 경우에, 차양천을 착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선행문헌 1의 모자보다는 개선되었으나, 차양천으로 모자의 크라운 부분의 전 영역을 커버하기 때문에 차양천을 뒤집어 쓴 형태가 되어 착용감이 갑갑하고 그 형태도 우스꽝스러워서 모자의 심미성을 크게 훼손하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오늘날 패션 산업의 발전과 개성을 강조하는 문화적 현상이 보편화 됨에 따라서, 모자 산업도 기능성만 강조하던 종래의 관습에서 벗어나 패션의 중요한 요소로서 심미성이 강조되고 있는 추세이다. 즉, 햇빛 차단과 머리 보호라는 모자의 전통적인 기능성에서, 심미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모자 산업이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산업 현상의 근본적인 배경에는 기능성뿐만 아니라 심미성도 함께 고려하여 모자를 구매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욕구가 존재한다. 즉, 모자의 소비계층은 모자의 공지된 기능성에서 심미감이 가미된 심미적 기능성이나 편리함을 추구하고 경향을 이동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모자를 착용하였을 때의 외관이 얼마나 아름답게 보일 수 있는가, 자신이 착용한 의류와 얼마나 어울릴 수 있느냐 라는 패션 감각 요소가 구매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모자를 착용할 때의 착용감도 무시할 수 없다. 모자의 가장 큰 결점은 머리를 보호해 주는 순기능 외에 머리를 갑갑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어떤 기능이 보완된 모자가 갑갑함을 초래하여 착용감을 저하시키면 실제 판매되지도 않고 산업적으로 생산되기도 힘든 문제점을 보이게 된다.
본 고안의 발명가는 이러한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연구 노력한 결과 본 고안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착탈식으로 뒷목가리개를 모자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그 부착을 위해 모자에 구성되는 착탈수단이 모자 외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함에 있다. 이로써 뒷목가리개의 햇빛 차단 기능을 충실히 수행함과 동시에, 그와 같은 기능을 위해 모자의 형태를 부분적으로 훼손하거나 심미감에 악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부가하는 종래의 단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은, 햇빛으로부터 착용자의 피부를 보호하는 모자의 기능과 패션의 한 요소로 정착하고 있는 모자의 심미적 기능을 모두 충실히 달성함으로써,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모자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모자에 의해 뒷목가리개를 착용함에 있어서도 일반 모자를 착용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착용감도 저하시키지 않으며, 착용자의 목 뒷부분뿐만 아니라 얼굴 측면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자에 있어서, 모자 크라운과 모자 챙의 봉제 영역 중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연결고리들;
모자 크라운의 하단부에 둘레 방향으로 설치된 제 1 체결수단들; 및
상기 제 1 체결수단들에 대응하여 착탈되는 제 2 체결수단들이 상측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모자의 뒤쪽으로 펼쳐지는 뒷목가리개;를 포함하며,
상기 뒷목가리개의 상기 상측 단부의 좌우 양쪽 끝단에, 각각 체결편이 설치되고, 이 체결편의 끝단에 모자의 상기 한 쌍의 연결고리를 통해 체결되는 제 3 체결수단을 더 포함하는, 뒷목가리개 탈부착 모자를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뒷목가리개 탈부착 모자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3 체결수단은, 상기 체결편의 한쪽 단부와 상기 뒷목가리개의 상기 상측 단부의 좌우 양쪽 끝단이 만나는 부분에 형성되는 제 3 체결수단 제1개소와 상기 체결편들의 다른 부분에 형성된 제 3 체결수단 제2개소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체결편들을 상기 한 쌍의 연결고리 안으로 각각 인입한 다음에, 상기 제 3 체결수단 제1개소와 상기 제 3 체결수단 제2개소를 상호 결합함으로써, 상기 뒷목가리개의 상기 상측 단부의 좌우 양쪽 끝단을 모자에 결합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 3 체결수단의 제1개소는 암 또는 수단추이거나 암 또는 수 벨크로파스너이며, 또한, 상기 제 3 체결수단의 제2개소는 수 또는 암단추이거나 수 또는 암 벨크로파스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걸개 부재이어도 좋다.
위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착탈식으로 뒷목가리개의 상단부를 모자 크라운의 하단부를 따라 착탈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착용자의 뒷목 부분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그 부착을 위해 모자에 구성되는 착탈수단이 모자 외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동시에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두건 부착형 모자에 비하여 모자의 외관을 훼손하는 요소가 없으며, 햇빛으로부터 착용자의 피부를 보호하는 모자의 기능과 패션의 한 요소로 정착하고 있는 모자의 심미적 기능을 모두 충실히 달성할 수 있게 되었고, 그 결과, 소비자의 욕구를 더욱 충족시킬 수 있는 뛰어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잠정적인 효과는 본 고안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모자(100)의 사시도이며, 뒷목가리개(200)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뒷목가리개(2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뒷목가리개(200)의 체결편(250)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도 1의 모자(100)와 도 2의 뒷목가리개(200)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 연결고리(150)를 매개로 모자(100)와 뒷목가리개(200)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6은 모자(100)와 뒷목가리개(200)를 결합한 상태에서 제 4 체결수단(211, 213)을 상호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모자(101)의 사시도이며, 뒷목가리개(200)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다.
※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모자(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모자 크라운(110)과 모자 챙(120)의 다양한 디자인, 색상, 봉제선들은 본 고안의 핵심적인 요지와는 무관하기 때문에, 생략되거나 또는 본 도면의 형상과 달리 변형될 수 있음을 먼저 부언해 둔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자는 그 정면에서 모자 크라운(110)과 모자 챙(120)이 봉제된다. 이때 그 봉제 영역 중 좌우 양측에 한 쌍의 연결고리(150, 151)가 설치된다. 예컨대 끈과 같은 소정 두께의 부재의 양단부를 모자 크라운(110)과 모자 챙(120)이 만나서 봉제되는 부위에서 함께 봉제함으로써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모자의 양 측면 부분에서, 모자 크라운(110)의 하단부에 둘레 방향으로 모자 챙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2개씩 제 1 체결수단들(141, 142, 좌측 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도면의 모자(100)에는 사이즈 조절수단(130)이 있지만, 이는 임의적인 수단으로 없어도 무방하다. 또한, 제 1 체결수단들의 숫자에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 1의 모자(100)에 착탈되는 뒷목가리개(200)의 구성의 일 예는 도 2가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뒷목가리개(200)의 단부(210)를 따라, 상단부(도면에서는 밑부분)에는 4개의 제 2 체결수단들(203, 205, 206, 207)이 설치되어 있으며, 양 측면의 하단부에는 한 쌍의 제 4 체결수단(211, 21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2 체결수단들(203, 205, 206, 207)은 상기 모자의 제 1 체결수단(141, 142 …)에 대응하여 착탈된다. 상기 제 4 체결수단(211, 213)은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뒷목가리개(200)를 착용할 때에 착용자의 정면 목 아래 부분에서 뒷목가리개를 중앙으로 모아주는 역할을 한다.
뒷목가리개(200)의 상측 단부 중앙 부근에는 주름영역(215)이 존재할 수 있다. 이 영역(210) 안에는 고무 밴드가 삽입되어 있어서 소정의 탄성을 가지며 주름져 있으며, 뒷목가리개(200)의 상측 단부가 모자(100)의 뒤쪽에서 더욱 밀접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상기 뒷목가리개(200)의 단부(210) 중, 상단부와 양측 단부가 교차하는 위치, 즉 상측 단부의 좌우 양쪽 끝단에는 소정 길이의 각각 체결편(250, 251)이 설치된다. 이 체결편(250, 251)은 상기 모자의 연결고리(150, 151) 안으로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2~5cm의 길이를 갖는 것이 좋다. 이 체결편(250, 251)의 한쪽 단부에는 제 3 체결수단 제1개소(201, 209)가 형성되고, 다른 쪽 부분에는 제 3 체결수단 제2개소(220, 221)이 설치된다. 상기 제 3 체결수단 제1개소(201, 209)는 체결편(250, 251)과 뒷목가리개(200)의 상측 단부의 좌우 양쪽 끝단이 만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이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상기 모자(100)와 뒷목가리개(200)를 상호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다. 모자의 우측에서 모자(100)의 제 1 체결수단(141)과 뒷목가리개(200)의 제 2 체결수단(203)이 결합하며, 모자(100)의 제 1 체결수단(142)과 뒷목가리개(200)의 제 2 체결수단(205)이 결합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죄측도 마찬가지이다. 모자 챙(120) 부분에서는 전술한 연결고리(150)에 상기 체결편(250)이 인입된 상태에서 제 3 체결수단 제1개소(201)와 제2개소(220)을 결합함으로써(좌측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뒷목가리개(200)의 상단과 모자(100)가 완전히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이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결합함으로써, 뒷목가리개(200)는 착용자의 목과 뒷부분을 완전히 커버할 수 있게 된다.
그와 같은 상태에서, 제 4 체결수단(211, 213)을 상호 결합함으로써, 뒷목가리개(200)가 착용자의 정면으로 모아질 수 있기 때문에, 햇빛과 시선으로부터 착용자의 얼굴 양측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형태예]
(1) 상기 4종의 체결수단들에 있어서, 도면의 실시예는 암수 단추(소위 <돗도>라고 호칭되기도 한다)로 이루어져 있다. 결합과 분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가장 강하게 고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그와 같은 암수 단추가 아니라 소위 <찍찍이>라고 칭해지는 벨크로파스너로 하여도 좋다. 또한, 암수 단추의 크기나 재질, 벨크로파스너의 크기나 종류 등에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2)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3 체결수단은 제1개소와 제2개소를 갖도록 하며, 제1개소(201, 209)는 암단추, 제2개소(220, 221)는 수단추의 형태를 갖고 있지만, 바람직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제1개소는 수단추, 제2개소는 암단추일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개소는 암 또는 수 벨크로파스너, 이에 대응하여 제2개소는 수 또는 암 벨크로파스너일 수 있다.
(3)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3 체결수단은 제1개소와 제2개소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개소와 제2개소를 구분함이 없이, 즉 제1개소가 없이, 제2개소가 걸개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걸개 부재는 자물쇠 형태를 갖는 공지의 부재로서, 통상 가방멜빵 양 끝에 설치되어 가방 멜빵을 가방에 착탈하는 형태의 걸개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걸개 부재는 상기 체결편(250, 251)의 끝단에 설치된다.
(4) 본 고안의 뒷목가리개(200)는 통풍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다수의 메쉬를 갖는 망사 부재로 이루어져 있지만, 천연직물, 합성수지재 직물, 피혁물, 또는 편물 등의 다양한 재질 상의 변형이 있어도 좋다.
(5) 본 고안은 모자(100)는 야구 모자의 형태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썬캡이나 벙거지 등의 다른 형태의 모자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7의 실시형태는 소위 썬캡이라고 하는 차양모(101)에 본 고안을 적용한 형태이다. 여기서 모자 챙(101)은 도 1의 실시형태와 차이는 없으나, 크라운의 경우 윗부분이 개방되어 헤어밴드로 변형된 경우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자 크라운이 차양모의 헤어밴드 부분으로 정의될 것이다. 또한, 도면 예에서는 헤어밴드 부분에 설치되는 체결수단들이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제 1 체결수단에 대응하는 체결수단들을 가질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의 형상과 수치는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어서 그 형상과 수치에 의해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되거나 그것으로만 본 고안의 구성을 한정하여서는 아니 된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첨언한다.

Claims (4)

  1. 모자에 있어서,
    모자 크라운과 모자 챙의 봉제 영역 중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연결고리들;
    모자 크라운의 하단부에 둘레 방향으로 설치된 제 1 체결수단들; 및
    상기 제 1 체결수단들에 대응하여 착탈되는 제 2 체결수단들이 상측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모자의 뒤쪽으로 펼쳐지는 뒷목가리개;를 포함하며,
    상기 뒷목가리개의 상기 상측 단부의 좌우 양쪽 끝단에, 각각 체결편이 설치되고, 이 체결편의 끝단에 모자의 상기 한 쌍의 연결고리를 통해 체결되는 제 3 체결수단을 더 포함하는, 뒷목가리개 탈부착 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체결수단은, 상기 체결편의 한쪽 단부와 상기 뒷목가리개의 상기 상측 단부의 좌우 양쪽 끝단이 만나는 부분에 형성되는 제 3 체결수단 제1개소와 상기 체결편들의 다른 부분에 형성된 제 3 체결수단 제2개소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체결편들을 상기 한 쌍의 연결고리 안으로 각각 인입한 다음에, 상기 제 3 체결수단 제1개소와 상기 제 3 체결수단 제2개소를 상호 결합함으로써, 상기 뒷목가리개의 상기 상측 단부의 좌우 양쪽 끝단을 모자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뒷목가리개 탈부착 모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체결수단은 암수단추, 벨크로파스너 또는 걸개 부재인, 뒷목가리개 탈부착 모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체결수단의 제1개소는 암 또는 수단추이거나 암 또는 수 벨크로파스너이며,
    상기 제 3 체결수단의 제2개소는 수 또는 암단추이거나 수 또는 암 벨크로파스너인, 뒷목가리개 탈부착 모자.
KR2020100008384U 2010-08-12 2010-08-12 뒷목가리개 탈부착 모자 KR2004635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384U KR200463546Y1 (ko) 2010-08-12 2010-08-12 뒷목가리개 탈부착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384U KR200463546Y1 (ko) 2010-08-12 2010-08-12 뒷목가리개 탈부착 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209U true KR20120001209U (ko) 2012-02-22
KR200463546Y1 KR200463546Y1 (ko) 2012-11-09

Family

ID=45939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384U KR200463546Y1 (ko) 2010-08-12 2010-08-12 뒷목가리개 탈부착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54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863B1 (ko) 2019-05-16 2020-02-10 고두현 뒷목가림 차양이 일체로 구비된 썬 캡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282Y1 (ko) 1999-11-16 2000-05-01 배찬수 자외선 차단 모자
KR100760031B1 (ko) 2006-05-01 2007-09-18 이삼준 안전모용 착탈그늘막
KR100743682B1 (ko) * 2006-10-14 2007-07-30 이삼준 차양막이 설치되는 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3546Y1 (ko) 2012-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6799B1 (en) Helmet covers
US20210345694A1 (en) Apparel with Integrated Reusable Health Protective Face Mask and Methods for Wearing Same
CA2879259A1 (en) Hood
US20140013486A1 (en) Reversible storage visor, cap and sun hat
US20150047098A1 (en) Knitted Rain Cap
US20140223637A1 (en) Bespoke cap for dreadlocks
US20110107500A1 (en) Headgear for protection against environmental effects
US3968521A (en) Combined head and neck wear
US20140223636A1 (en) Reversible sun visor
JP3110940U (ja) 帽子
KR200456313Y1 (ko) 착탈부가 은폐된 뒷목가리개를 구비한 모자
JP3219279U (ja) 日除け帽子
KR200463546Y1 (ko) 뒷목가리개 탈부착 모자
KR102236609B1 (ko) 트임을 통해 기능전환하는 얼굴가리개를 장착한 얼굴가리개옷
KR200473814Y1 (ko) 가발 탈착 모자
US10820647B2 (en) Wearable hairpiece for partial head covering
KR20120001212U (ko) 뒷목가리개 탈부착 모자
KR20120001210U (ko) 뒷목가리개 탈부착 모자
KR20120001211U (ko) 뒷목가리개 탈부착 모자
KR200473552Y1 (ko) 차양부가 구비된 모자
US10076148B2 (en) Bespoke cap having two distinct fabric patterns
KR200458395Y1 (ko) 장식기능이 강화된 햇빛가리개 모자
KR200459476Y1 (ko) 사이즈 조절 모자
JP3202931U (ja) 日除け帽子
KR101179220B1 (ko) 뒷목가리개 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