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753U - 전기 음향 변환기 - Google Patents
전기 음향 변환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00753U KR20120000753U KR2020100007649U KR20100007649U KR20120000753U KR 20120000753 U KR20120000753 U KR 20120000753U KR 2020100007649 U KR2020100007649 U KR 2020100007649U KR 20100007649 U KR20100007649 U KR 20100007649U KR 20120000753 U KR20120000753 U KR 20120000753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 sub
- sound
- conversion unit
- sig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디오 신호를 음향으로 변환시켜 방사되고, 메인 공기 조절홀을 가지는 메인 음향 변환유닛과, 상기 메인 음향 변환 유닛과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대향되도록 타측에 배치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일한 오디오 신호에 의해 음향이 방사되며, 일면에 서브 공기 조절홀을 가지는 서브 음향 변환유닛 및 상기 서브 음향 변환유닛의 음향신호가 상기 메인 음향 변환유닛의 음향신호와 동일한 신호로 방사 되도록 상기 메인 음향 변환유닛 및 서브 음향 변환유닛 사이에 형성되는 음향 조절부와, 상기 메인 음향 변환유닛 및 서브 음향 변환유닛을 수용하며, 일면에 상기 음향을 외부로 방사하기 위해 방사공간을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음향조절부는 상기 음향신호를 보상하여 상기 방사공간으로 음향신호가 방사되도록 하며, 상기 메인 음향 변환유닛에서 방사되는 음향 신호와, 상기 서브 음향 변환유닛에서 방사되는 음향신호를 상기 메인 및 서브 공기 조절홀을 통해 통기도를 따라 상기 음향신호를 조절하고, 일체로 형성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일측에 배치된 메인 음향 변환유닛과 상기 서브 음향 변환유닛의 음향 신호가 동일한 공간에서 조절되어 상기 방사공간을 통해 외부로 방사되는 전기 음향 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보조 음향변환 유닛을 더 구비하여 하나의 하우징에 메인 음향 변환유닛 및 보조 음향 변환유닛을 수용하여 음향신호를 보상하여 보다 선명하고, 고해상도의 음질을 구현하기 위한 전기 음향 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음향 변환기는 단일의 음향 변환 유닛으로 진동판의 전면에서 발생한 음과 후면에서 발생한 음이 서로 간섭하여 발생하는 현상이다. 저음의 경우 파장이 길므로 유니트는 +음압과 -음압을 같은 위치에서 발생시키고 있다고 볼 수 있고 전면에서 나온 음(+음압)과 후면에서 발생한 음(-음압)이 서로 상쇄되어 버려 저음 발생이 불가능하다. 고음은 진동판의 크기와 관련되는데, 청취위치에 따라 +음압과 -음압이 서로 시간차를 가지고 도달하며 이것들간에 서로 보강, 상쇄 간섭이 발생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빗살 필터(comb filter)현상이 발생하여 음질이 좋지 않게 된다.
또한, 종래의 전기 음향 변환기는 진동판의 진동시 찌그러짐 편 진동 등의 손실이 발생하여 음향신호의 저하를 가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하우징 일정 부위에 포트 설치하여 이곳으로 초저음을 내보내는 구조와는 달리, 외형 하우징을 밀폐형으로 구성하여 순간 반응특성을 좋게 하기 위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 전기 음향변환기의 진동판의 진동시 찌그러짐, 편 진동 등의 손실이 발생하여 음향신호의 저하를 보상하기 위해 보조 음향 변환유닛을 더 구비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메인 음향 변환유닛 및 서브 음향 변환유닛 사이에 음향조절부를 형성하여 진동판의 진동시 음향 신호가 공기 조절홀에 통기도를 따라 음향 신호를 조절할 수 있는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하우징 내부에 메인 음향 변환유닛 및 서브 음향 변환유닛을 일체로 수용하여 동일한 음향 신호로 진동하기 때문에 선명한 음향신호를 방사 하고, 고해상도의 음질을 구현하는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는 오디오 신호를 음향으로 변환시켜 방사되고, 메인 공기 조절홀을 가지는 메인 음향 변환유닛과; 상기 메인 음향 변환 유닛과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대향되도록 타측에 배치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일한 오디오 신호에 의해 음향이 방사되며, 일면에 서브 공기 조절홀을 가지는 서브 음향 변환유닛; 및 상기 서브 음향 변환유닛의 음향신호가 상기 메인 음향 변환유닛의 음향신호와 동일한 신호로 방사 되도록 상기 메인 음향 변환유닛 및 서브 음향 변환유닛 사이에 형성되는 음향 조절부와; 상기 메인 음향 변환유닛 및 서브 음향 변환유닛을 수용하며, 일면에 상기 음향을 외부로 방사하기 위해 방사공간을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음향조절부는 상기 음향신호를 보상하여 상기 방사공간으로 음향신호가 방사되도록 하며, 상기 메인 음향 변환유닛에서 방사되는 음향 신호와, 상기 서브 음향 변환유닛에서 방사되는 음향신호를 상기 메인 및 서브 공기 조절홀을 통해 통기도를 따라 상기 음향신호를 조절하고, 일체로 형성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일측에 배치된 메인 음향 변환유닛과 상기 서브 음향 변환유닛의 음향 신호가 동일한 공간에서 조절되어 상기 방사공간을 통해 외부로 방사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메인 음향 변환유닛은 자력을 발생시키는 메인 마그네트와; 상기 메인 마그네트에 연결 결합되고, 상기 메인 마그네트에서 발생되는 자력을 순환시켜 자기장을 이루게 하는 메인 요크와; 상기 메인 요크 및 메인 마그네트에 의해 형성되어 제어하는 메인 자력회로와; 상기 메인 마그네트 및 메인 요크 사이에 위치하는 메인 보이스 코일과; 상기 메인 보이스 코일과 연결되는 메인 진동판과; 상기 메인 진동판과 상기 메인 마그네트 사이에 상기 메인 진동판을 지지하기 위해 배치되는 메인 지지링과; 상기 메인 요트 상부에 배치되어 통기도에 따라 상기 메인 공기 조절 홀에 공기양을 조절하는 메인 부직포와; 상기 메인 부직포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메인 보이스 코일에 연결시키는 메인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서브 음향 변환유닛은 자력을 발생시키는 서브 마그네트와; 상기 서브 마그네트에 연결 결합되고, 상기 서브 마그네트에서 발생되는 자력을 순환시켜 자기장을 이루게 하는 서브 요크와; 상기 서브 요크 및 서브 마그네트에 의해 형성되어 제어하는 서브 자력회로와; 상기 서브 마그네트 및 서브 요크 사이에 위치하는 서브 보이스 코일과; 상기 서브 보이스 코일과 연결되는 서브 진동판과; 상기 서브 진동판과 상기 서브 마그네트 사이에 상기 서브 진동판을 지지하기 위해 배치되는 서브 지지링과; 상기 서브 요트 상부에 배치되어 통기도에 따라 상기 서브 공기 조절홀에 공기양을 조절하는 서브 부직포와; 상기 서브 부직포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서브 보이스 코일에 연결시키는 서브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음향조절부는 외부로부터 밀폐가 되어 상기 메인 및 서브 공기 조절홀의 통기도를 조절하여 음향신호가 발생되는 밀폐형 구조를 갖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의 하우징 일정 부위에 포트 설치하여 이곳으로 초저음을 내보내는 구조와는 달리, 외형 하우징을 밀폐형으로 구성하여 순간 반응특성을 좋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보조 음향 변환유닛을 구비하여 종래의 전기 음향변환기의 진동판을 진동시 찌그러짐, 편 진동 등의 손실이 발생하여 음향신호의 저하를 보상하기 위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메인 음향 변환유닛 및 서브 음향 변환유닛 사이에 음향조절부를 형성하여 진동판의 진동시 음향 신호가 공기 조절홀에 통기도를 따라 음향 신호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하우징 내부에 메인 음향 변환유닛 및 서브 음향 변환유닛을 일체로 수용하여 동일한 음향 신호로 진동하여 선명한 음향신호를 방사하고, 고해상도의 음질을 구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변환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변환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변환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신호 주파수의 그래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변환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변환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신호 주파수의 그래프.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의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음향 변환기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변환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변환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음향변환기의 단면도이다.
먼저 전기 음향 변환기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진동판 뒷면에 얇은 구리선 등을 원통형으로 감아 놓은 보이스 코일로 인해 소리를 내게 하는 것으로서, 앰프에서 보이스 코일로 전류가 들어오면 보이스 코일은 자장을 띄게 된다. 이때 보이스 코일 뒷면에 있는 자석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진동판이 앞뒤로 움직이면서 소리를 내게 되는 것이 기본 원리이다.
이어서,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오디오 신호를 음향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전기 음향 변환기로서, 단일의 하우징(100)에서 일측에 메인 음향 변환유닛(10)을 가지며 타측에는 서브 음향 변환유닛(20)을 가지고, 메인 음향 변환유닛(10)과 서브 음향 변환유닛(20) 사이에는 밀폐되는 공간 즉, 음향 조절부(30)를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메인 음향 변환유닛(10)과 서브 음향 변환유닛(20)은 동일한 오디오 신호에 의해 동작되며, 메인 음향 변환유닛(10)에 의해 전체적인 음향 특성이 이루어지며 서브 음향 변환유닛(20)에 의해 음향의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다시 말해, 서브 음향 변환유닛(20)의 음향신호가 메인 음향 변환유닛(10)의 음향신호와 동일한 신호로 방사 되도록 음향조절부(30)에서 음향신호를 보상하여 방사공간(40)으로 음향신호를 동일한 방향으로 방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먼저, 하우징(100) 내부 일측에 배치되는 메인 음향 변환유닛(10)의 내부 구조를 살펴보면 자력을 발생시키는 메인 마그네트(11)와, 메인 마그네트(11)에 연결 결합되고, 메인 마그네트(11)에서 발생되는 자력을 순환시켜 자기장을 이루게 하는 메인 요크(12)와, 메인 요크(12) 및 메인 마그네트(11)에 의해 형성되어 제어하는 메인 자력회로(미도시)와, 메인 마그네트(11) 및 메인 요크(12) 사이에 위치하는 메인 보이스 코일(13)과, 메인 보이스 코일(13)과 연결되는 메인 진동판(18)과, 메인 진동판(18)과 메인 마그네트(11) 사이에 메인 진동판(18)을 지지하기 위해 배치되는 메인 지지링(14)과, 메인 요크(12) 상부에 배치되어 통기도에 따라 메인 공기 조절 홀(17)에 공기양을 조절하는 메인 부직포(16)와, 상기 메인 부직포(16) 상부에 배치되어 오디오 신호를 메인 보이스 코일(13)에 연결시키는 메인 기판(15)을 포함한다.
이어서, 하우징(100) 내부 타측에 배치되는 서브 음향 변환유닛(20)의 내부 구조도 동일하게 자력을 발생시키는 서브 마그네트(21)와, 서브 마그네트(21)에 연결 결합되고, 서브 마그네트(21)에서 발생되는 자력을 순환시켜 자기장을 이루게 하는 서브 요크(22)와, 서브 요크(22) 및 서브 마그네트(11)에 의해 형성되어 제어하는 서브 자력회로(미도시)와, 서브 마그네트(21) 및 서브 요크(22) 사이에 위치하는 서브 보이스 코일(23)과, 서브 보이스 코일(23)과 연결되는 서브 진동판(28)과, 서브 진동판(28)과 서브 마그네트(21) 사이에 서브 진동판(28)을 지지하기 위해 배치되는 서브 지지링(24)과, 서브 요크(22) 상부에 배치되어 통기도에 따라 서브 공기 조절홀(27)에 공기양을 조절하는 서브 부직포(26)와, 서브 부직포(26) 상부에 배치되어 오디오 신호를 서브 보이스 코일(23)에 연결시키는 서브 기판(25)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음향 변환유닛(10)은 메인 마그네트(11)와, 메인 요크(12)에 의해 메인 자력회로(미도시)가 형성되고, 그 사이에 메인 보이스 코일(13)이 위치하여 오디오 신호에 따라 상하로 진동을 하게 되며 메인 보이스 코일(13)의 동작에 따라 메인 보이스 코일(13)에 연결되어 있는 메인 진동판(18)이 진동을 하며 오디오 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하게 된다.
메인 음향 변환유닛(10)의 일면에는 메인 진동판(18)의 동작을 원활하게 하고 서브 음향 변환유닛(20)과의 연계동작을 위해 공기조절이 가능한 메인 및 서브공기 조절홀(17,28)을 통해 음항신호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하우징(100) 타측에 배치되는 서브 음향 변환유닛(20)도 메인 음향 변환유닛(10)과 동일하게 서브 마그네트(21)와, 서브 요크(22)에 의해 서브 자력회로(미도시)가 형성되고, 그 사이에 서브 보이스 코일(23)이 위치하여 오디오 신호에 따라 상하로 진동을 하게 되며 서브 보이스 코일(23)의 동작에 따라 서브 보이스 코일(23)에 연결되어 있는 서브 진동판(28)이 진동을 하며 오디오 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하게 됨과 아울러, 메인 음향 변환유닛(10)의 보조역할을 하여 메인 음향 변환유닛(10)과 서브 음향 변환유닛(20) 사이에 밀폐된 음향조절부(30)를 통해 메인 진동판(18)의 진동시 찌그러짐, 편 진동 등의 손실을 보상하여 서브 음향 변환유닛(20)의 서브 진동판(28)이 항상 메인 진동판(18)과 동일한 신호로 진동을 하게 되므로 선명한 음향신호와 고해상도의 음질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하우징(1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일체로 형성되는 하우징(100)은 메인 음향 변환유닛(10)과 서브 음향 변환유닛(20)을 수용함으로써, 음향신호가 동일한 공간에서 음향조절부(30) 또는 메인 및 서브 공기 조절홀(17,28)에 의해 조절되어 하우징(100) 일면에 형성되는 방사공간(40)을 통해 음향이 외부로 방사되는 것이다. 이어서 하우징(100)의 내부는 메인 및 서브 진동판(28)을 기준으로 전면과 후면이 밀폐로 분리되어있다. 즉, 메인 및 서브 진동판(28) 앞, 뒤를 본드로 차폐시켜 밀폐구조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메인 및 서브 진동판(18,28)이 앞쪽으로 진동하게 되면 메인 및 서브 진동판(18,28) 뒤쪽의 면적이 커지면서 외부의 공기가 메인 및 서브 공기 조절 홀(17,27)을 통해 유닛 내부로 들어오게 되는 구조가 되며, 반대로 메인 및 서브 진동판(18,28)이 뒤쪽으로 진동하게 되면 메인 및 서브 진동판(18,28) 뒤쪽의 면적이 작아 지면서 내부의 공기가 메인 및 서브 공기 조절 홀(17,27)을 통해 외부로 밀려나가게 된다.
따라서, 메인 및 서브 진동판(18,28)을 경계로 앞과 뒤는 밀폐가 되고, 메인 및 서브 기판(15,25)과 메인 및 서브 요크(12,22) 중간에 위치한 메인 및 서브 부직포(16,26)재질에 따라 통기도를 조절하여 메인 및 서브 진동판(18,28)의 진동폭을 조절하게 되므로 메인 음향 변환유닛(10)의 뒤쪽과 서브 음향 변환유닛(20)의 앞쪽 공간은 외부로부터 밀폐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음향 변환유닛(10)과 서브 음향 변환유닛(20)은 같은 음향 신호로 진동하기 때문에 통합해서 설명하였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신호 주파수의 그래프이다.
음향 조절부(30)에 관한 추가설명을 더 하자면, 서브 음향 변환유닛(20)을 더 구비함으로써, 서브 진동판(28)의 저역돔과 고역돔 사이의 찌그러짐 등을 방지하여 500Hz~3000Hz에서 약 5dB의 음압증대 효과를 나타냄과 아울러 전 주파수 대역에서 일률적인 음압을 이루게 되어 이상적인 음의 실현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음향 조절부(30)의 크기를 크게 또는 작게 설계하여 주파수 그래프 특성을 높이거나 줄일 수 있으므로 원하는 주파수 그래프를 만들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10: 메인 음향 변환유닛 20: 서브 음향 변환유닛
30: 음향 조절부 40: 방사공간
11: 메인 마그네트 12: 메인 요크
13: 메인 보이스코일 14: 메인 지지링
15: 메인 기판 16: 메인 부직포
17: 메인 공기 조절홀 18: 메인 진동판
21: 서브 마그네트 22: 서브 요크
23: 서브 보이스코일 24: 서브 지지링
25: 서브 기판 26: 서브 부직포
27: 서브 공기 조절홀 28: 서브 진동판
30: 음향 조절부 40: 방사공간
11: 메인 마그네트 12: 메인 요크
13: 메인 보이스코일 14: 메인 지지링
15: 메인 기판 16: 메인 부직포
17: 메인 공기 조절홀 18: 메인 진동판
21: 서브 마그네트 22: 서브 요크
23: 서브 보이스코일 24: 서브 지지링
25: 서브 기판 26: 서브 부직포
27: 서브 공기 조절홀 28: 서브 진동판
Claims (4)
- 오디오 신호를 음향으로 변환시켜 방사되고, 메인 공기 조절홀을 가지는 메인 음향 변환유닛;
상기 메인 음향 변환 유닛과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대향되도록 타측에 배치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일한 오디오 신호에 의해 음향이 방사되며, 일면에 서브 공기 조절홀을 가지는 서브 음향 변환유닛; 및
상기 서브 음향 변환유닛의 음향신호가 상기 메인 음향 변환유닛의 음향신호와 동일한 신호로 방사 되도록 상기 메인 음향 변환유닛 및 서브 음향 변환유닛 사이에 형성되는 음향 조절부;
상기 메인 음향 변환유닛 및 서브 음향 변환유닛을 수용하며, 일면에 상기 음향을 외부로 방사하기 위해 방사공간을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음향조절부는 상기 음향신호를 보상하여 상기 방사공간으로 음향신호가 방사되도록 하며,
상기 메인 음향 변환유닛에서 방사되는 음향 신호와, 상기 서브 음향 변환유닛에서 방사되는 음향신호를 상기 메인 및 서브 공기 조절홀을 통해 통기도를 따라 상기 음향신호를 조절하고,
일체로 형성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일측에 배치된 메인 음향 변환유닛과 상기 서브 음향 변환유닛의 음향 신호가 동일한 공간에서 조절되어 상기 방사공간을 통해 외부로 방사되는 전기 음향 변환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음향 변환유닛은
자력을 발생시키는 메인 마그네트;
상기 메인 마그네트에 연결 결합되고, 상기 메인 마그네트에서 발생되는 자력을 순환시켜 자기장을 이루게 하는 메인 요크;
상기 메인 요크 및 메인 마그네트에 의해 형성되어 제어하는 메인 자력회로;
상기 메인 마그네트 및 메인 요크 사이에 위치하는 메인 보이스 코일;
상기 메인 보이스 코일과 연결되는 메인 진동판;
상기 메인 진동판과 상기 메인 마그네트 사이에 상기 메인 진동판을 지지하기 위해 배치되는 메인 지지링;
상기 메인 요크 상부에 배치되어 통기도에 따라 상기 메인 공기 조절 홀에 공기양을 조절하는 메인 부직포;
상기 메인 부직포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메인 보이스 코일에 연결시키는 메인 기판;을 포함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음향 변환유닛은
자력을 발생시키는 서브 마그네트;
상기 서브 마그네트에 연결 결합되고, 상기 서브 마그네트에서 발생되는 자력을 순환시켜 자기장을 이루게 하는 서브 요크;
상기 서브 요크 및 서브 마그네트에 의해 형성되어 제어하는 서브 자력회로;
상기 서브 마그네트 및 서브 요크 사이에 위치하는 서브 보이스 코일;
상기 서브 보이스 코일과 연결되는 서브 진동판;
상기 서브 진동판과 상기 서브 마그네트 사이에 상기 서브 진동판을 지지하기 위해 배치되는 서브 지지링;
상기 서브 요크 상부에 배치되어 통기도에 따라 상기 서브 공기 조절홀에 공기양을 조절하는 서브 부직포;
상기 서브 부직포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서브 보이스 코일에 연결시키는 서브 기판;을 포함하는 전기 음향 변환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조절부는 외부로부터 밀폐되기 위한 밀폐형 구조를 갖는 전기 음향변환기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7649U KR200459713Y1 (ko) | 2010-07-21 | 2010-07-21 | 전기 음향 변환기 |
PCT/KR2011/005284 WO2012011711A2 (ko) | 2010-07-21 | 2011-07-19 | 전기 음향 변환기 |
JP2013512550A JP2013531936A (ja) | 2010-07-21 | 2011-07-19 | 電気音響変換機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7649U KR200459713Y1 (ko) | 2010-07-21 | 2010-07-21 | 전기 음향 변환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0753U true KR20120000753U (ko) | 2012-02-02 |
KR200459713Y1 KR200459713Y1 (ko) | 2012-04-12 |
Family
ID=45497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07649U KR200459713Y1 (ko) | 2010-07-21 | 2010-07-21 | 전기 음향 변환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2013531936A (ko) |
KR (1) | KR200459713Y1 (ko) |
WO (1) | WO2012011711A2 (ko)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307996A (ja) * | 1996-05-15 | 1997-11-28 | Megasera:Kk | 圧電スピーカ |
CN1311712C (zh) * | 2000-12-26 | 2007-04-18 | 安德斯·萨格伦 | 同心共平面的多频带电-声转换器 |
JP2002238093A (ja) * | 2001-02-09 | 2002-08-23 | Pioneer Electronic Corp | 電気−機械−音響変換器 |
KR200338060Y1 (ko) * | 2003-10-14 | 2004-01-13 | 이호재 | 보이스 코일이 결합된 피에조 세라믹 진동판을 이용한 다기능 전자 음향 변환기의 구조 |
-
2010
- 2010-07-21 KR KR2020100007649U patent/KR200459713Y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
- 2011-07-19 WO PCT/KR2011/005284 patent/WO2012011711A2/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07-19 JP JP2013512550A patent/JP2013531936A/ja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3531936A (ja) | 2013-08-08 |
WO2012011711A3 (ko) | 2012-03-15 |
KR200459713Y1 (ko) | 2012-04-12 |
WO2012011711A2 (ko) | 2012-01-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77322B1 (ko) | 크로스오버 이중 스피커 | |
JP7250993B1 (ja) | 同軸スピーカー | |
JP3199236U (ja) | 逆方向音波イヤホン | |
KR102167307B1 (ko) | 밀폐형 음향 서스펜션 챔버를 구비한 라우드스피커 인클로저 | |
CN109756828A (zh) | 发声装置以及电子设备 | |
US10621965B2 (en) | Acoustic apparatus | |
KR101092958B1 (ko) | 이어셋 | |
KR101423841B1 (ko) | 내부 공명 챔버가 구비된 마이크로스피커 | |
JP6379239B2 (ja) | 聴取器用スピーカモジュールおよび聴取器 | |
US11528563B2 (en) | Hybrid receiver having fixing bracket for drivers | |
WO2023185412A1 (zh) | 发声模组和电子设备 | |
KR102453587B1 (ko) | 마이크 일체형 리시버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어폰 | |
CN109951769B (zh) | 具有多个振动板的音响设备 | |
JP2011259378A (ja) | 透明音響壁体 | |
JP2008187598A (ja) | スピーカ装置及び表示装置 | |
KR200459713Y1 (ko) | 전기 음향 변환기 | |
US12047722B2 (en) | Electroacoustic earcups for open-back headphones | |
KR100676422B1 (ko) | 다점 구동형 멀티웨이 슬림 평판 스피커 시스템 | |
JP3192501U (ja) | 電気音響変換機 | |
KR102694789B1 (ko) | 드라이버 설치용 브라켓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리시버 | |
JP7573654B2 (ja) | 同軸スピーカー | |
KR102420266B1 (ko) | 스피커 어셈블리 | |
JP2017005413A (ja) | 振動板、動電型スピーカー、ヘッドホンユニット並びにヘッドホン | |
JP6563262B2 (ja) | ダイナミックヘッドホンユニット及びその振動板の共振周波数設定方法 | |
JP4562629B2 (ja) | 平面スピー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