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716A - Flood prevention system based on gis and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Flood prevention system based on gis and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716A
KR20120000716A KR1020100061124A KR20100061124A KR20120000716A KR 20120000716 A KR20120000716 A KR 20120000716A KR 1020100061124 A KR1020100061124 A KR 1020100061124A KR 20100061124 A KR20100061124 A KR 20100061124A KR 20120000716 A KR20120000716 A KR 20120000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d
vulnerability
analysis
index
rainf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11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15121B1 (en
Inventor
양동민
Original Assignee
노아솔루션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아솔루션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아솔루션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1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121B1/en
Publication of KR20120000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7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1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40Controlling or monitoring, e.g. of flood or hurricane; Forecasting, e.g. risk assessment or ma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PURPOSE: A flood protection system based o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s provided to suggest flood defense measures using the vulnerability index of a local feature. CONSTITUTION: A flood defense system acquires a vulnerability index according to a lattice area. The flood defense system determines a usage level using the acquired vulnerability index. The flood defense system exhibits effective countermeasures. The flood defense system establishes the optimized method according to the effective countermeasures.

Description

지아이에스 기반의 홍수방어 시스템 및 그 방법{Flood prevention system based on GIS and method of the same}Flood prevention system based on GIS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이상홍수 취약성 지수와 범람 위험도를 조합하여 선택적 홍수방어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esenting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selective flood defense strategy by combining an abnormal flood vulnerability index and flood risk.

기후변화, 이상기후라는 단어가 어색하지 않을 만큼 세계 곳곳에서 예측할 수 없는 현상이 출현하고 있다. 남아시아 지역의 폭우, 미국 동부지역의 폭염, 폭풍 및 홍수와 더불어 작년 우리나라에 발생한 8월 집중호우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상현상은 20세기와는 상당한 차이가 있으며 특히, 과거에는 관측된 적이 없고 일반적으로 일정한 주기나 패턴에 따라 발생하지 않아 이에 대한 예측과 적절한 대응방안 미흡으로 큰 피해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연자료 또는 평균개념에 근거한 기존 연구에서 비정상적인 기후 즉, 극한 사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극한 사상의 정의를 포함하여 일자료를 이용한 장기간의 발생빈도와 지속기간에 대한 연구가 점차 요구되고 있다.Unpredictable phenomena are appearing around the world so that the word climate change and abnormal climate are not awkward. For example, the heavy rains in South Asia, the heat waves in the eastern United States, storms and floods, together with the August heavy rains in Korea last year. These phenomena differ significantly from those in the 20th century, and in particular, they have not been observed in the past and generally do not occur according to a certain period or pattern, which is a major cause of great damage due to the lack of predictions and appropriate countermeasures. have. Accordingly, in order to analyze abnormal climates, that is, extreme events, in the existing studies based on annual data or average concepts, studies on long-term occurrence frequency and duration using daily data including definitions of extreme events are increasingly required.

지난 몇 십년간의 홍수방어 노력에도 불구하고 홍수로 인한 피해의 규모는 감소하지 않고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주된 이유는 급격한 도시화와 산업화에 따른 피해 요소의 집중의 원인과 집중호우, 돌발홍수 같은 기상이변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동안의 홍수대응 노력은 주로 구조물적인 관점에서 접근하였으나, 이미 도시화의 진행 정도에 따라 하천변의 구조적인 대책의 한계점이 나타나기도 하며, 많은 예산 소요로 인하여 완벽한 구조적 대책을 수립하는데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Despite flood defense efforts over the last few decades, the magnitude of flood damage has not increased. The main reason for this may be the cause of the concentration of the damage factors caused by rapid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nd extreme weather such as torrential rain and sudden floods. The flood response efforts have been approached mainly from the structural point of view, but there are some limitations of structural measures along the riverside depending on the progress of urbanization, and there are limitations on establishing the perfect structural measures due to a large budget.

이러한 구조적 대책은 주로 하천변을 따라 선의 개념에서 접근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홍수 피해 양상은 단순 제방 범람과 같은 일차적인 문제로 발생되지 않으며, 홍수 발생 시 피해 규모도 지역적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복합적인 피해 원인과 다양한 피해요소를 다 고려한 구조적 대책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지역 또는 지구별 중요도에 따른 적절한 홍수대응책이 필요하다.These structural measures are approached mainly from the concept of good along the river. However, recent flood damage patterns are not caused by primary problems such as simple levee flooding, and the magnitude of damages in flood occurrences also varies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Since there are limitations in structural measures that consider these complex causes and various damage factors, appropriate flood response measures are needed according to regional or regional importance.

중요 시설물이나, 중요 지역에 한해서는 어떠한 피해도 일어나지 않는 방재의 개념에 따른 설계가 필요하고, 어떤 지역은 시설물의 재건설 비용이 피해액보다 훨씬 커서 다른 대안이 필요할 수 있다. 홍수방어 대책을 수립할 때 어느 지역이 홍수에 취약한가를 파악하여 제일먼저 투자가 이루어지고 대책이 세워져야 하나 이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만한 근거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It is necessary to design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 of disaster prevention where no damage occurs in critical facilities or in critical areas, and in some areas, the cost of reconstruction of the facilities is much higher than the damage, so other alternatives may be needed. When establishing countermeasures against flood defenses, it is necessary to find out which areas are vulnerable to flooding and to invest first and establish countermeasures, bu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basis for objectively evaluating them.

우리나라의 방재정책은 주로 복구 및 대응에 주를 이루고 있고, 예방 및 대비에는 많은 예산을 투입하지 않고 있다. 행정적인 예방책에 대한 점검보다는 실질적이고 활용성 높은 재해에 대한 예방 대비가 필요한 실정이다.Korea's disaster prevention policy is mainly focused on recovery and response, and does not put much budget on prevention and preparation. Rather than checking for administrative preventive measures,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preventive actions against actual and useful disasters.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는 치수안전도를 설정하기 위해서 공간적인 비교가 가능하고, 수문 요소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이 요소까지 포괄하여 단위구역의 치수특성 및 사회경제적인 가치를 함께 평가할 수 있는 지수인 홍수피해잠재능(Potential Flood Damage: PFD, 이하 PFD)을 제시하였다. PFD는 현재 단위구역별 치수특성을 파악하고 단위구역간의 치수 투자우선 순위를 산정하거나, 대규모 단위의 치수종합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판단지수로서 여러 사업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PFD는 유역을 관리하는데 있어서 중규모유역, 소규모유역의 잠재성과 취약성을 정량적으로 표시할 뿐, 그 대응방안이나 실질적인 홍수대응 방안을 제시하지는 못하고 있으며 이를 치수안전도로 인정하는데 있어서 그 이론적인 부분이 취약한 실정이다.In the water long-term comprehensive plan, flood damage can be compared in order to establish the safety of flood control, and it is an index that can evaluate the dimension characteristics and socio-economic value of the unit area including not only hydrological elements but also socio-economic factors. Potential Flood Damage (PFD) was presented. The PFD is currently applied to various projects as a judgment index for understanding the 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each unit area, calculating the dimensional investment priority among the unit areas, or establishing a comprehensive size plan for large scale units. However, the PFD quantitatively displays the potential and vulnerability of medium and small watersheds in managing watersheds, and does not provide a countermeasure or a practical flood response plan. It is true.

일반적으로 재난관리측면에서는 예방, 대비, 대응, 복구의 4단계로 재난관리를 수행하고 있다. 여기에서 예방은 댐, 하천 등의 구조적 대책 및 내홍수화와 같은 시설물별 대책을 의미하고, 대비는 위험성 평가 즉 홍수모형이나 통계적 방법을 통한 위험성을 근거로 대비책을 세우는 것을 의미하며, 대응은 비구조적인 부분에서 신속한 대피나 상황보고 등을 통한 인명피해 최소화 과정을 의미하고, 복구는 다음 홍수 사상이나, 다음해의 홍수에 대비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의미한다. 우리들이 말하는 홍수 예측 기술은 대비를 위해서 필요한 기술이나 최근 전 세계적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되면서, 대비의 단계에서 위험성 평가와 함께 취약성 평가가 강조되고 있다.In terms of disaster management, disaster management is generally carried out in four stages: prevention, preparedness, response and recovery. In this context, prevention means structural measures such as dams and rivers, and countermeasures such as flooding, and contrast means establishing a countermeasure based on risk assessment, that is, risks through flood modeling or statistical methods. In general, the process of minimizing human injury through rapid evacuation or status reporting, and restoration means various activities to prepare for the next flood event or the next year's flood. The flood forecasting technique we speak of is a necessary technique for preparation, but as the paradigm shifts around the world recently, vulnerability assessment is emphasized along with risk assessment at the stage of preparation.

자연재해 중 홍수와 관련된 홍수사상 또는 홍수사상의 발생확률을 나타내는 재해위험성(hazard), 홍수위험지역에 있는 경제적 자산이나 인명의 노출성(exposure), 그리고 홍수방어능력의 부족을 의미하는 취약성(vulnerability)의 세 가지 요소들을 곱함으로써 홍수 위험을 표현 할 수 있다.Flood hazards associated with flooding during natural disasters (hazards), the exposure to economic assets or lives in flood-hazardous areas, and vulnerability (lack of flood protection). The risk of flooding can be expressed by multiplying the three factors

홍수위험성 분석이란 과거에 얼마나 많은 피해가 얼마나 자주 발생했는가를 의미하는 것으로 다른 말로 얼마나 홍수에 노출이 되어 있는가를 의미한다. 반면, 취약성이란 잠재되어 있는 재해 피해의 가능성을 분석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취약성 평가는 과거의 피해 현황을 기반으로 하여 현재와 미래의 재해에 대한 약점과 강점을 파악하여 예방 및 대응을 하는데 필요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Flood risk analysis refers to how much damage has occurred in the past and how often it has been exposed to flooding. Vulnerabilities, on the other hand, can be said to analyze the potential for potential disaster damage. In other words,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is a process necessary to prevent and respond to the weaknesses and strengths of current and future disasters based on past damages.

따라서 이러한 재난관리에서 예방과 대비의 측면에서 그 지역의 재해에 대한 강함과 약함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지역 특성에 맞는 홍수대응 방안을 수립하는 방법이 요구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establishing a flood response plan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by quantitatively evaluating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disasters in the region in terms of prevention and preparedness in such disaster management.

한편, 수자원분야에 있어서 의사결정자는 이·치수의 안정적 대책을 위한 개발, 개발에 의한 환경파괴나 생태 변화의 최소화, 개발에 의한 수혜자와 피해자의 타협점 모색, 개발편익 분배에 대한 지역간, 단체간의 효율성과 형평성 사이의 최적점 결정 등의 다평가기준을 동시에 만족하는 계획을 수립하여야만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water resources sector, decision makers should develop and develop measures for the stable measures of the two dimensions, minimize the environmental damage or ecological change by development, seek the compromise of beneficiaries and victims by development, and cross-regional and group efficiency for distribution of development benefits. A plan must be developed that simultaneously meets the multi-valuation criteria, such as determining the optimal point between and equity.

특히, 홍수대응방안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측면에서는 홍수 대응책의 홍수량 저감 효과와 사업비용, 이로 인한 환경적 영향 및 대응책 수립의 최적 입지 조건 등 다양한 부분을 고려해야만 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복잡한 의사결정과정을 지원할 체계적인 정보의 제공도 요구된다 할 것이다.In particular, in supporting the decision-making of flood response measures, various aspects such as the flood reduction effect of the flood countermeasures, the project cost, the environmental impacts thereof and the optimal location conditions for establishing the countermeasures should be considered. Therefore, it is also required to provide systematic information to support the complex decision making process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기존의 치수안전도 평가 방법인 홍수피해잠재능(PFD)이 유역간의 잠재위험도만 보여줄 뿐 대책이나 적용성에 그 한계가 있음을 고려하여, 유역단위의 속성정보와 행정구역 단위의 속성정보를 이용하여 기상학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지형학적, 수문학적 취약성을 고려할 수 있는 평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considering that the existing flood safety potential (PFD), which is a conventional method for evaluating dimensional safety, only shows the potential risk between the watersheds, there is a limitation in the measures or applicability Therefore, it is to provide an evaluation system that can consider meteorological, social, economic, environmental, topographical and hydrological vulnerabilities by using the attribution information of the watershed unit and the attribution information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uni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GIS 기반의 시스템으로 구축함으로서 사용자에게 공간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목적에 맞게 취약성 평가 지표의 가중치를 결정하여 평가 가능하도록 하게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atial information to the user by building in a GIS-based system, and to be able to determine the weight of the vulnerability evaluation index according to the user's purpos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취약성 지수를 제시함으로써 기존의 홍수피해잠재능(PFD)와 유사한 기능을 하도록 구축하되, 취약성 지수를 산정하는데 이용된 속성자료를 유역보다 작은 하천의 세부 단위에서 지역의 취약여부를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stablish a function similar to the existing Flood Damage Potential (PFD) by presenting a vulnerability index, but the vulnerability of the area in the granular unit of the stream smaller than the watershed by the attribution data used to calculate the vulnerability index It is to provide a system that can check whether or no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히 이상홍수취약성지표(EFVI)를 이용하는 이상홍수 취약성 평가시스템(EFVS)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홍수피해잠재능(PFD)를 개선할 지수의 선정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유역 특성에 맞는 적정 홍수방어 방향과 실질적인 홍수대응 전략 수립의 기본 자료가 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o select an index that will improve the Flood Damage Potential (PFD), especially in constructing the Flood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System (EFVS) using the Flood Flood Vulnerability Index (EFVI). The objective was to provide a range of information that could be the basis for the proper direction of flood defense and the basis for establishing a practical flood response strateg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이상홍수를 평가하기 위한 정량적인 기법으로 지역의 이상홍수에 대한 취약성 지수를 개발하여 이를 이용한 GIS기반의 취약성 평가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취약성 지수를 산정하기 위한 취약성 지표의 선정과 지수의 산정방안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이와 동시에 선정된 지표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방법과 지역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지형학적, 인문 사회적, 경제학적 자료와 시설물 자료를 D/B화 하였다. 또한 구축된 자료는 시공간 자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공간분석을 위한 형태로 구축하여 지역의 피해현황 및 피해유형 분석, 강수 및 기상학적 극한사상에 대한 분석, 지역의 잠재 위험도 분석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분석기법의 전산 시스템화를 통하여 이상기후에 대비한 시설물의 설계 기준 강화 및 홍수방어 대책 수립의 기본 정보로 활용 될 수 있도록 하였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ives, we first developed a vulnerability index for abnormal floods in the region as a quantitative technique for evaluating abnormal floods and built a GIS-based vulnerability assessment system using them. To this end, we conducted a study on the selection of vulnerability indicators to calculate the vulnerability index and the calculation method of the index, and at the same time, the methodology for quantitatively evaluating the selected indicators and the topographical and humanities that can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In addition, economic data and facility data were converted into D / B. In addition, the constructed data was constructed in the form of spatial analysis so that it can be used as space-time data so that it can be used to analyze the damage status and type of damage, analysis of precipitation and meteorological extreme phenomena, and analysis of potential risk of the region. Through computerization of the technique, it can be used as the basic information for strengthening the design criteria of facilities for the preparation of abnormal weather and establishing flood defense measures.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은, 격자로 구분된 영역마다 취약성 지표를 중첩하여 부여하는 단계; 상기 중첩된 취약성 지표를 이용하여 등급을 정하는 단계; 상기 등급별 대응방안을 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대응방안을 서바이벌 방식의 조건 수렴여부에 따라 최적 대안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superimposing the vulnerability index for each area separated by a grid; Ranking using the nested vulnerability indicators; Presenting a countermeasure for each grade; And setting an optimal alternative according to whether the condition of convergence of the survival method is me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은 격자로 구분된 영역마나 취약성 지표를 중첩하여 부여하는 단계; 상기 중첩된 취약성 지표를 이용하여 등급을 정하는 단계; 상기 취약성 지표가 높게 나타난 지역의 주요 시설물을 조회하는 단계; 및 과거 또는 미래의 범람 정보를 중첩하여 상기 시설물별 현황을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superimposing the area mana vulnerability index divided by a grid; Ranking using the nested vulnerability indicators; Querying major facilities of a region where the vulnerability index is high; And presenting the current status of each facility by overlapping past or future flood informa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취약성 지수를 이용하여 지역 특성을 정량적으로 반영한 홍수방어 대안 제시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lternative flood defense that quantitatively reflects local characteristics using the vulnerability index.

도 1은 일본의 홍수 취약성 지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홍수 취약성 평가를 위한 접근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홍수 취약성지표의 분류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이상홍수 취약성지표의 선정 및 가중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이상홍수 취약성지표의 중첩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이상홍수 취약성지표의 중첩에 관한 모식도
도 7은 이상홍수 취약성지표의 산정 모식도
도 8은 취약성 요소별 결과도출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강우-유출 모의 흐름도
도 10은 홍수범람 모식도
도 11은 지속기간 5일 최대 강수량의 경향성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극한사항 분석결과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극한사항 분석결과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기후변화에 따른 재해위험 영향 평가 과정 모식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회를 위한 초기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상관측지점 조회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약성분석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중치부여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취약성 분석결과 차트 및 등급별 대응 방안 제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선택적 홍수대안 설정을 위한 구조를 모식화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약성 요소별 결과 도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요 시설물에 대한 중요도 평가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홍수방어를 위한 침수 흔적도 표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요시설물에 따른 위험도 분석결과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도 분석결과에 따른 위험시설현황정보 조회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26은 EFVS 1단계와 PFD의 결과를 비교한 도면
도 27은 EFVS와 PFD를 비교한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사결정에 따른 대안 및 시나리오 조회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홍수방어 대안 제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 대응사례 조회화면을 도시한 도면
1 is a diagram showing the flood vulnerability index of Japan
2 illustrates an approach for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lassification of the flood vulnerability inde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election and weight of abnormal flood vulnerability index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verlapping method of an abnormal flood vulnerability index.
6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superposition of abnormal flood vulnerability index
7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calculation of abnormal flood vulnerability index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sult graph for each vulnerability element.
9 is a flow-flow simulation flow chart
10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flooding flood
FIG. 11 shows the tendency of maximum rainfall for five days in duration.
12 is a view showing the limit analysis result screen
Fig. 13 is a diagram showing the limit analysis result screen.
14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process of evaluating disaster risk impacts due to climate change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itial screen for inqui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illustrating a weather observation point inquiry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ulnerability analysis resu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eighted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ulnerability analysis result chart and a screen for providing a countermeasure for each gr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for setting a selective flood alternative.
2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sult derivation screen for each vulnerability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2 is a view illustrating an evaluation screen for importance of important fac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3 is a view illustrating a submerged trace diagram display screen for selective flood defen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isk analysis result screen according to main fac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ngerous facility status information inquiry screen according to a risk analysis resu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6 is a diagram comparing the results of EFVS step 1 and PFD
27 shows a comparison of EFVS and PFD.
2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lternative and scenario inquiry screen according to a deci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for alternative flood defense presen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0 is a view showing an overseas response example inquiry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의 개념에 대해 설명한다.First,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어느 지역의 홍수에 대한 안전을 규명하려면 먼저 안전에 대한 정의를 내려야 한다. 안전이라는 개념은 각 사용주체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명확하게 정의 내리기는 힘들지만 다음과 같이 4가지로 정의 할 수 있다. 첫째, 안전은 「재해로부터 자유로운 것(freedom from hazard)」으로 인적·물적 피해를 가져올 수 있는 모든 상태의 위험을 사전에 방지하는 소위 ‘근원적 안전성 확보’ 방법을 의미한다. 둘째, 안전은 「위험 노출로부터 사람과 재산을 보호하는 것(protection of accidents)」으로 보호시설 및 보호 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안전은「사고 또는 재해 발생을 방지하는 것(prevention of accidents)」으로 교육 및 홍보 등 을 이용한 예방을 의미한다. 넷째, 안전은 「위험성을 받아들일 수 있는 수준으로 관리하는 것(acception if risk)」으로 위험성 평가(risk assessment)를 통하여 재해가 발생할 확률과 강도를 받아들일 수 있는 수준으로 낮추는 것으로서 상당히 과학적·객관적이다. 이는 계량화된 현대적 안전관리가 필요함을 의미한다.In order to identify the safety of floods in an area, it is necessary to first define safety. Since the concept of safety is different for each user, it is difficult to define clearly, but it can be defined in four ways as follows. First, safety refers to the so-called 'fundamental safety' method that prevents any risk of any condition that can cause human and material damage by freedom from hazard. Second, safety refers to the installation of protective facilities and protective devices by `` protecting people and property from dangerous exposure ''. Third, safety means "prevention of accidents," which means prevention using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Fourth, safety is "acception if risk," which is a scientific and objective way of reducing the probability and intensity of disasters to an acceptable level through risk assessment. to be. This means that quantified modern safety management is needed.

자연재해 중 홍수와 관련된 홍수사상 또는 홍수사상의 발생확률을 나타내는 재해위험성(hazard), 홍수위험지역에 있는 경제적 자산이나 인명의 노출성(exposure), 그리고 홍수방어능력의 부족을 의미하는 취약성(vulnerability)의 세 가지 요소들을 곱함으로써 홍수 위험을 표현 할 수 있다고 하였으며, 특히, 홍수 사상의 결과로 나타나는 노출성과 취약성의 결합 형태를 C로 표현하여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내었다.Flood hazards associated with flooding during natural disasters (hazards), the exposure to economic assets or lives in flood-hazardous areas, and vulnerability (lack of flood protection). The risk of flooding can be expressed by multiplying the three factors, and in particular, the combination of exposure and vulnerability resulting from the flood event is expressed in C as follows.

R = P X CR = P X C

R=홍수위험도(Risk)R = Risk

P=재해위험성(Hazard)P = Hazard

C노출성(Exposure)X취약성(Vulnerability)
CExposure X Vulnerability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홍수위험성 분석이란 과거에 얼마나 많은 피해가 얼마나 자주 발생했는가를 의미하는 것으로 다른 말로 얼마나 홍수에 노출이 되어 있는가를 의미한다. D&E Reference Center(1998)는 지역의 안전을 평가하기 위해서 “어떤 지역의 재해 위험성과 위험 발생확률을 산정하기 위해 지역의 재해위험(Hazards)과 취약도(Vulnerability)를 결정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Benouar과 Mimi(2001)는 취약도(vulnerability)는 재해 위험성(Hazard)의 각 요인별 약점과 강점이라고 정의하였다. 즉 취약성이란 잠재되어 있는 재해 피해의 가능성을 분석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2002년 UN의 보고서에서는 취약성을 어느 지역과 사회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홍수의 영향에 대해서 물리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인 요인의 결과로 나타나는 조건이나 상태를 의미한다고 정의하였다.As discussed earlier, flood risk analysis refers to how much damage has occurred in the past and how often it has been exposed. In order to assess local safety, the D & E Reference Center (1998) said, “To determine local hazard risks and vulnerability to estimate risk hazards and probability of occurrence in a region”. Benouar and Mimi (2001) also defined vulnerability as the weakness and strength of each factor of disaster hazard. In other words, vulnerabilities can be analyzed by analyzing the potential for potential disaster damage. In 2002, the UN report defined vulnerability as a condition or condition that results from physical,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factors about the effects of a continual increase in flooding in some regions and societies.

구체적인 취약성 지표의 제시로는 Pearce(1993)가 취약성을 지형-물리적인 요소와 지도상의 다양한 요소를 포함한 위험을 관리하는 지표로 정의하면서, 지형학적 요소, 지리학적 요소, 교통과 사회 인프라 시설, 중요 건물과 교량, 인문학적인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외에도 다양한 취약성 관련 정의가 있으나, 그 내용은 동일 강도의 홍수에 노출되었을 때 발생가능한 피해의 크고 낮음을 대략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정도를 표시하는데에 일치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전 세계적으로 잠재적인 즉, 발생 가능한 여러 취약성 인자들에 대한 다양한 접근 및 연구가 진행중이다. 예를 들어 최근에 빈발하는 이상기후에 의한 이상홍수 현상은 기상학적 취약성의 관점에서 연구되어지고, 급격한 도시화에 의한 인구 증가는 사회학적 취약성 관점에서 연구가 진행 중이다. To present specific indicators of vulnerability, Pearce (1993) defines vulnerabilities as indicators for managing risk, including topographic-physical elements and various elements on the map, with topographic, geographic, traffic and social infrastructure, and important buildings. He also had to consider bridges, bridges, and humanities. In addition, there are various definitions of vulnerability, but their content is consistent with the extent to which we can roughly determine the magnitude of the damage that can occur when exposed to floods of the same intensity. For this reason, a variety of approaches and studies are underway around the world of potential, potentially vulnerable, factors. For example, the recent flooding phenomenon caused by frequent abnormal weather has been studied in terms of meteorological vulnerability, and the population growth due to rapid urbanization is being studied in terms of sociological vulnerability.

위험성 평가와 취약성 평가는 어느 지역의 안전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동시에 고려되어야 할 요소이다. 얼마나 자주, 얼마나 크게 피해가 발생했는가?라는 질문은 과거 지향적이라면, 피해 발생시 어떤 요소들이 피해를 주로 입을 것이며, 피해를 가중시켰는가?라는 질문은 미래 지향적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취약성 평가는 과거의 피해 현황을 기반으로 하여 현재와 미래의 재해에 대한 약점과 강점을 파악하여 예방 및 대응을 하는데 필요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Risk assessments and vulnerability assessments are factors to be considered at the same time in assessing safety in a given area. The question of how often and how large was the damage? Was past-oriented, but what factors would most likely cause damage and aggravated the damage? In other words,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is a process necessary to prevent and respond to the weaknesses and strengths of current and future disasters based on past damages.

일본은 우리나라와 비슷한 기후대에 위치하고 있고 생활 문화와 도시 형성 과정이 유사하다. 또한 태풍 및 지진과 해일 등 다양한 재해유형에 노출되어 있어서 재해와 관련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상홍수 취약성과 관련하여 일본국토성 국토기술정책종합연구소(National Institute for Land and infrastructure Management; NILIM)에서 개발한 홍수취약성지수(Flood Vulnerability Index, FVI)가 있다. 도 1은 일본의 홍수취약성 지표이며, 그 산정식은 아래와 같다.Japan is located in a climatic zone similar to ours, and has a similar life culture and urban formation process. In addition, many researches related to disasters have been conducted since they are exposed to various types of disasters such as typhoons, earthquakes, and tsunamis. There is a Flood Vulnerability Index (FVI) developed by the National Institute for Land and Infrastructure Management (NILIM) related to abnormal flood vulnerabilities. 1 is a flood vulnerability index of Japan, and the formula is as follows.

홍수취약성지수(FVI)=C(기후요소)+H(수문지질학적요소)+S(사회경제적요소)-M(대책요소)Flood Vulnerability Index (FVI) = C (Climatic Factor) + H (Hydrogeological Factor) + S (Socioeconomic Factor) -M (Response Factor)

본 발명에서는 이상홍수 취약성 평가를 위한 접근 방법을 해외 연구 사례 및 국내의 이상기후 관련 연구 등을 검토하여 도 2와 같이 접근하고자 하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roach for the abnormal flood vulnerability evaluation was examined as an example of FIG.

하나는 상향식 접근 방법으로 우리가 생활하는 생활공간에 대한 취약성 접근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극한 사상 분석을 통한 기상학적 취약성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형학적, 사회적, 환경적, 경제적 취약성을 평가하고 이와 동시에 과거 홍수로 인해 발생된 피해 규모 및 발생 확률을 반영한 취약성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다른 한가지 방법은 하향식 접근 방법으로 이는 이상홍수와 관련 있는 이상기후 측면에서의 접근이라고 할 수 있다. 상향식 접근이 우리가 밟고 있는 공간에 주 대상이 선정되어 있다면, 하향식 접근은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선정하고 이를 모의한 결과에 따른 이상호우 영향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상호우의 변동성을 평가하여 대상 유역에 대한 이상홍수 취약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One is the bottom-up approach, which is a vulnerability approach to the living space in which we live. This is a method of deriving meteorological vulnerabilities through extreme event analysis and evaluating the topographic, social, environmental and economic vulnerabilities based on them, and at the same time, evaluating the vulnerabilities reflecting the magnitude and probability of damage caused by past floods. The other is a top-down approach, which is an approach in terms of abnormal climate associated with abnormal floods. If the bottom-up approach is selected as the main target in our space, the top-down approach selects climate change scenarios, evaluates the effects of the downpours based on the simulation results, and then evaluates the volatility of the downpours in the target watershed. It is to evaluate the abnormal flood vulnerability.

한편, 본 발명에서는 취약성에 관한 상기와 같은 분류를 기초로 하여 홍수 취약성을 기상학적 취약성, 수문-지형학적 취약성, 사회-경제적 취약성, 홍수방어 취약성으로 구분하였다.(도 3 참조) 수문-지형학적 취약성은 기존의 PFD의 위험성 부분과 유사한 부분들이 있으며, 이는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홍수 취약성 산정의 기본 이론이 위험(Risk)=위험성(Hazard) x 취약성(Vulnerability)에 기초하여 제시되고 있기 때문이다. 위험성의 부분을 유역경사, 유출계수 등을 고려하였고, 과거 침수흔적도 및 침수 이력 및 피해액 등을 이용하여 고려하였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od vulnerability is classified into meteorological vulnerability, hydrologic-geometric vulnerability, socio-economic vulnerability, and flood defense vulnerability based on the above classification of the vulnerability. (See FIG. 3). Vulnerabilities are similar to those of the existing PFD, since the basic theory of flood vulnerability esti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ented based on Risk = Hazard x Vulnerability. The risk factors were considered by watershed slope, runoff coefficient, and the like, using past flooding traces, flooding history, and damage.

상기와 같은 구분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산정식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Looking at the equa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lassification as follows.

EFVI(이상홍수취약성지표)=C(Climate component)+G(Hydro-Geological component)+S(Socio-Economic component)-P(Protection component)Abnormal Flood Vulnerability Index (EFVI) = C (Climate component) + Hydro-Geological component (G) + Socio-Economic component (S)-Protection component (P)

다양한 지표가 사용되는 이상홍수 취약성 산정식은 지표의 가중치에 따라서 그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밖에 없다. 이는 지표의 가중치 부여 방법 및 배점에 따라서 전체적인 분석 결과가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는 위험성이 존재한다는 의미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수차례의 실무 전문가들의 자문을 거쳐 너무 많은 지표를 사용하기 보다는 일단 이상홍수 발생시 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는 대표적인 지표들을 선정하여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도 4 참조) 이 때 가중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AHP 분석(Saaty, 1980)을 통하여 결정하였으며, 이때 이상적 배분에 의한 우선순위를 부여하였다.The abnormal flood vulnerability estimation formula, which uses various indicators, may have different results depending on the weight of the indicator. This means that there is a risk that the overall analysis results may differ depending on the weighting method and the scoring of the indicators. In order to improve these problems, this study conducted a study by selecting representative indicators that could increase the damage in case of abnormal floods, rather than using too many indicators after consulting several practical experts. At this time, the weight was determined through AHP analysis (Saaty, 1980)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priority was given by ideal distribution.

이상홍수 취약성 지표를 이용한 분석 시스템은 많은 DB가 구축되어 연산되는 과정이 필요하나 이는 시스템 구동 속도에 영향을 주고, 이상홍수 대응에 있어서 적절한 값을 적정시기에 제시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DB는 소방방재청 및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WAMIS)의 자료를 이용하여 기 구축된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각 자료를 상술한 평가 방법에 따라 평가하고, 평가결과를 레이어 형태의 지도로 도출하여 각 취약성 지표의 분석 결과 레이어를 중첩하여 평가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도 5 및 도 6 참조)The analysis system using the abnormal flood vulnerability index require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calculating a large number of databases, but this affects the speed of system operation and may not provide an appropriate value at the appropriate time in response to the abnormal flood.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B utilizes the data already established by using the data of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and the National Water Resources Management System (WAMIS), evaluates each data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valuation method, and maps the evaluation results in a layered map. The method was used to evaluate the overlapped layers of the analysis result of each vulnerability index. (See FIGS. 5 and 6).

한편, 이상홍수 취약성 지표를 이용한 최종 취약성 지수의 산정방법은 도 7에 도시 되는 바와 같다. 도 7에서 맨 왼쪽 레이어의 숫자는 각각의 유역에 대한 취약성 표의 속성값을 나타내며, 이 값들은 그 취약성 지표 레이어의 최대값으로 각 소유역의 값을 나누어 표준화하게 된다. 이렇게 결정된 값이 두 번째 그림을 의미하고 두 번째 그림에서 보여지는 박스의 숫자는 AHP 분석을 통해 나타난 가중치를 의미한다. 이 가중치가 표준화된 속성값에 곱해지고 이 값들을 중첩하여 최종 취약성 값을 계산하게 된다. 이렇게 계산된 취약성 값은 다시 중첩된 최종 레이어의 유역 최대값으로 나누어서 0-1 사이의 값을 나타나게 된다. 이 값을 0-0.1, 0.1-0.2, 0.2-0.3,....의 구간으로 나누어 1-10으로 재 표유역게 되고 이 값들이 최종 이상홍수 취약성 분석 값이 된다.Meanwhile, a method of calculating the final vulnerability index using the abnormal flood vulnerability index is shown in FIG. 7. In FIG. 7, the leftmost layer represents the attribute values of the vulnerability table for each watershed, and these values are normalized by dividing each subwatershed value by the maximum value of the vulnerability index layer. The value thus determined refers to the second figure, and the number of boxes shown in the second figure refers to the weights shown by the AHP analysis. This weight is multiplied by the standardized attribute values, and these values are superimposed to calculate the final vulnerability value. The computed vulnerability value is then divided by the watershed maximum of the final nested layer, resulting in a value between 0-1. This value is divided into intervals of 0-0.1, 0.1-0.2, 0.2-0.3, ..., and re-flooded to 1-10, which is the final anomaly vulnerability analysis value.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계산된 이상홍수취약성지표(EFVI)는 지표별 레이어 속성값을 다 이용하여 계산된 값이므로 기상학적 취약성, 수문-지형학적 취약성, 사회-경제적 취약성, 홍수방어 취약성의 4개 요소별 산정 값들도 구할 수 있다. 요소별 산정값은 표준화 과정을 거쳐 0-1 사이 범위의 값을 갖게 되고(도 8 참조), 이 값에 따른 이상홍수 대응 방안을 1차적으로 제시하게 된다.The abnormal Flood Vulnerability Index (EFVI) calculated through this process is calculated by using all the layer property values of each indicator. Therefore, each of the four factors of meteorological vulnerability, hydrologic-geometric vulnerability, socio-economic vulnerability, and flood defense vulnerability Estimates can also be obtained. The estimated value for each element has a value ranging from 0-1 through standardization process (see FIG. 8), and proposes a countermeasure for abnormal floods based on this value.

표 1은 이렇게 나온 홍수방어 전략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으로, 1-10의 등급으로 표시되는 유역을 조건에 따라서 A, B, C, D, E, F 그룹으로 재분류하여 그룹에 맞는 적정 홍수방어 대책을 제시하고 있다.Table 1 shows the direction of this flood defense strategy. Reclassify watersheds in grades 1-10 into groups A, B, C, D, E, and F, depending on conditions, to ensure appropriate flood protection for the group. Proposed measures.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이상홍수 취약성 지수의 값이 같은 등급이 나오더라도, 상기 본 발명의 산정식 Equ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value of the abnormal flood vulnerability index is the same grade as shown in Table 1,

“EFVI(이상홍수취약성지표)=C(Climate component)+G(Hydro-Geological component)+S(Socio-Economic component)-P(Protection component)”에서의 취약성 요소 값의 분포에 따라서 구조적, 비구조적 대책의 강도가 다르게 나오도록 구성했다.Structural and non-structural, depending on the distribution of vulnerability component values in “EFVI (Emergency Flood Vulnerability Index) = C (Climate component) + H (Hydro-Geological component) + S (Socio-Economic component) -P (Protection component)” The strength of the measures was configured to be different.

그룹group 대책Measures 등급Rating AA 홍수방어 시설의 강화가 필요하며 구조적 대책 우선수립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flood defense facilities and establish structural measures first. 1010 10등급 전체Grade 10 overall 99 홍수방어 취약성 > 0.75 &
수문지형학적 취약성 > 0.75
Flood Defense Vulnerability> 0.75 &
Hydrogeological Vulnerability> 0.75
BB 홍수 방어시설의 강화가 필요하지만 A 그룹에 비해 지역적 여건을 고려하여 구조적 대책 모색Reinforcement of flood defenses is needed, but structural measures are considered in consideration of local conditions compared to Group A 99 A 그룹을 제외한 9등급 전체All 9 grades except Group A 88 홍수방어 취약성 > 0.75 or
사회경제적 취약성 > 0.75 or
수문지형학적 취약성 > 0.75
Flood Defense Vulnerability> 0.75 or
Socioeconomic vulnerability> 0.75 or
Hydrogeological Vulnerability> 0.75
77 홍수방어 취약성 > 0.75 or
수문지형학적 취약성 > 0.75 or
사회경제적 취약성 > 0.75
Flood Defense Vulnerability> 0.75 or
Hydrogeological Vulnerability> 0.75 or
Socioeconomic Vulnerability> 0.75
CC 홍수방어 시설의 강화가 필요하며 구조적, 비구조적 대책 동시 수립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flood defense facilities and establish structural and unstructured measures simultaneously. 88 B 그룹을 제외한 8등급 전체All 8 grades except Group B 77 B 그룹을 제외한 7등급 전체All 7 levels except Group B 66 6등급 전체6th grade 55 홍수방어 취약성 > 0.6 &
사회경제적 취약성 > 0.6
Flood Defense Vulnerability> 0.6 &
Socioeconomic Vulnerability> 0.6
44 홍수방어 취약성 > 0.6 &
사회경제적 취약성 > 0.5
Flood Defense Vulnerability> 0.6 &
Socioeconomic Vulnerability> 0.5
DD 홍수방어 시설이 필요하나 비구조적 대책에 중점Flood defense facilities are required but focus on unstructured measures 55 C 그룹을 제외한 5등급 전체All 5 grades except C group 44 C 그룹을 제외한 4등급 전체All 4 grades except C group 33 수문지형학적 취약성 > 0.5 or
사회경제적 취약성 > 0.5
Hydrogeological Vulnerability> 0.5 or
Socioeconomic Vulnerability> 0.5
EE 홍수방어 시설은 충분, 비구조적 대책 마련Flood defense facility is sufficient, and there is unstructured countermeasure 33 D 그룹을 제외한 3등급 전체All 3 levels except D group 22 2등급 전체Grade 2 overall FF 자연친화적 도시계획 수립에 따른 유역 관리Watershed Management based on Nature-Friendly Urban Planning 1One 1등급 전체Grade 1 overall

한편, 홍수범람모델을 모의하여 침수가 예상되는 지역의 방재대책 및 재해정보지도 등의 작성을 위한 기본 자료로 활용하였다.Meanwhile, the flood flood model was simulated and used as basic data for preparing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and disaster information maps in areas where flooding is expected.

홍수범람도는 과거의 침수흔적과 가상의 홍수범람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침수가 예상되는 지역을 미리 예측한 지도로서 방재대책 및 재해정보지도 등의 작성을 위한 기본 자료로 활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상기후로 발생되는 이상홍수에 대한 홍수 방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하천의 계획규모를 초과하는 강우사상, 제방의 붕괴 및 월류 등의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수리·수문학적인 모의와 분석을 통하여 이상홍수 취약성 지수 산정에 대한 반영, 취약성 분석에 사용되는 기본 자료를 제시한다.Flood Flood Map is a map that predicts the area where flooding is expected through previous flood traces and simulated flood flooding. It is used as basic data for preparing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and disaster information maps.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mprove flood protection against abnormal floods caused by abnormal weather, scenarios such as rainfall events, bank collapses, and overflows exceeding the planned scale of rivers are generated, and mathematical and hydrological simulations and analysis are performed. Through this study, basic data used in the analysis of vulnerability and vulnerability analysis are presented.

빈도규모 시나리오를 생성하는데 있어서, 빈도규모는 범람해석을 위한 기초 데이터 구성이라 할 수 있으며, 빈도설정은 대상지역의 기점 및 종점부의 각종 홍수사상 및 데이터의 규모를 나타내는 값으로 홍수규모를 표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적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대상유역의 설계빈도를 초과하는 것을 이상홍수라 정의하기로 한고, 특정 유역의 설계빈도 이상을 적용하여 범람모의 및 시나리오를 작성한다.In generating the frequency scale scenario, the frequency scale is the basic data structure for the flood analysis, and the frequency setting is a value representing the size of various flood events and data of the starting point and the end point of the target area. It can be seen to apply for the purpos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excess of the design frequency of the target watershed is an abnormal flood, and the overflow simulation and scenarios are prepared by applying the design frequency abnormality of a specific watershed.

파제 및 월류에 의한 시나리오는 하도내 본류 홍수가 제내지로 범람되는 상황을 나타내는 것으로, 월류에 의한 범람모의는 계획빈도를 초과하는 사상을 적용하여 자연 월류 되는 지점에 대해 홍수범람도를 작성하고 파제 시에는 일시적으로 제방이 재내지 표고까지 붕괴된다는 가정 하에 범람모의를 실시한다.The scenarios of breakwaters and overflows represent the situation where the mainstream flooding in the underland floods into the mines, and the flooding simulation by overflows creates flood flood maps at the point where natural overflows are applied by applying the event exceeding the planned frequency. In cities, flood simulations are conduct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banks will temporarily collapse to re-elevation.

파제 및 월류 등에 의한 붕괴지점을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나, 실질적으로 파제지점을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 하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수공구조물의 취약한 부분이나 구조물 및 제방저부의 지질형태, 하도형태 및 현장조사 등의 분석으로 홍수범람구역의 선정이 가능할 것이다.It is very important to predict the collapse point due to breakage and overflow, but it is not practical to accurately predict the breakdown point. However, it is possible to select flood flood zones by analyzing the fragile parts of the hand structure, the geological form of the structure and the bottom of the levee, the form of the channel and the field survey.

확률강우량 산정을 위해서는 자료수가 많을수록 보다 안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확률통계처리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20~30년 이상의 자료가 필요하다. 기초자료로는 기상청 또는 건교부의 우량관측소로부터 산정되는 지속시간별 확률강우량 정보이다.In order to calculate the probability rainfall, the more data is available, the more stable the result is. In order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the probability statistics processing, at least 20 ~ 30 years of data are required. The basic data is the probability rainfal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ime calculated from the quality observation station of the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or the Ministry of Bridge.

강우-유출 해석은 강우에 대한 빈도해석을 통해 설정된 확률강우량을 유역의 물리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유출모형으로 홍수를 추적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대상유역의 설계홍수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강우의 공간적인 분포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적절한 소유역 분할과 도달시간 및 저류상수 등의 최적화 된 매개변수를 적용하여 하도를 통한 홍수추적과 설계기준지점에서 홍수수문곡선의 합성을 통해 홍수량을 산정하여야 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의 순서를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도 9와 같다.Rainfall-runoff analysis is a method of tracking floods with a runoff model represent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watershed, using the probability rainfall set by frequency analysis of rainfall. In order to estimate the design flood volume of the target watershed, the flood tracking through the sewer and the flood hydrograph at the design reference point are applied by applying optimized parameters such as subwatershed segmentation, arrival time, and storage constant to reflec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rainfall. The amount of flooding should be estimated through the synthesis of. Looking at the sequence of such a series of processes is generally as shown in FIG.

상기 과정을 바탕으로 유효강우량 및 매개변수, 그리고 홍수량을 산정한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해당 유역의 홍수범람 모의를 HEC-RAS 등을 이용하여 진행한다.Based on the above process, effective rainfall, parameters, and floods are estimated. And through this, flood flood simulation of the watershed is carried out using HEC-RAS.

한편, 홍수범람도(Flood Inundation map)는 홍수로 발생되는 자연재해를 방어하기 위한 비구조적 대책의 하나이며 홍수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한 지도이다. 홍수범람지도는 과거의 홍수로 재해와 발생한 지역에서 침수의 범위와 피해 규모 등을 지도상에 표시한 홍수재해지도(Flood disaster map)와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범위와 침수심, 침수지속시간 및 침수면적 등과 같은 공학적 해석에 의해 모의된 홍수위험지도(Flood hazard map 또는 Flood risk map)로 구분할 수 있다. 홍수범람모의 작업을 통하여 얻어진 홍수범람지도는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다.On the other hand, the Flood Inundation Map is one of the unstructured measures to protect the natural disasters caused by the flood and is a map displayi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flood. Flood flood maps are flood disaster maps that show the extent and magnitude of flooding in areas affected by past floods, and the extent, depth of flooding, flood duration, and flooding in the future. It can be divided into flood hazard map or flood risk map simulated by engineering analysis such as area. A flood flood map obtained through the work of the flood flood cap is as shown in FIG. 10, for example.

한편, 극한 기후 특성과 정의는 지역마다 또는 나라마다 차이가 있는데, 이는 같은 크기의 강우가 발생하더라도 과거 경험 여부 및 피해에 따른 대처 능력 또는 지역이나 유역의 사회적 기반시설 구축과 같은 심리적이고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느끼는 위험도나 취약성은 상대적으로 다르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extreme climatic characteristics and definitions vary from region to region or country to country, which means that even if rainfall of the same size occurs, psychological and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ability to cope with past experiences and damages, or building social infrastructure in regions or watersheds This is because the risks and vulnerabilities you feel are relatively different.

강우에 대하여 예를 들면, 이전의 강우 발생 시기를 벗어나 출현한 강우 사상 자체를 극한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해에 비하여 비가 많이 왔다는 양적인 측면만이 아니라 장마기간 이후에도 비가 왔다는 사실 즉, 기간적인 측면에서도 극한 기상 사상을 해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Rainfall, for example, can be explained to the extreme of the storm event itself that emerged outside the previous period of rainfall. The fact that it rained after the rainy season, as well as the quantitative fact that it rained a lot compared to other years, means that extreme weather events can be interpreted in terms of period.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거부터 관측된 강우량, 평균 온도, 최고 및 최저 온도를 이용하여 극한 기후의 변화를 보다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정의 및 방법론을 제시하고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우선, 우리나라 전역에 위치한 기상청 산하 66개 관측소의 일 강우 및 일 최대, 최소와 평균 기온 자료를 사용하여 장기간에 걸친 강우와 기온의 극한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지수 분석 결과를 분석한 후 각 지수와 그 결과에 따라 계절 및 공간적인 분포 양상을 파악하였다.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definitions and methodologies for more objec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extreme climate change using rainfall, average temperature, high and low temperature observed in the past and presents the results. First, we analyze the results of an index analysis that can determine the extreme conditions of rainfall and temperature over a long period of time using daily rainfall, daily maximum, minimum, and average temperature data from 66 stations located in Korea. Based on the results, seasonal and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were identified.

비정상적인 기후가 요인이 되는 극한 기상 사상이란, 예측되지 않은 이례적인 현상으로 과거 30년동안 관측된 적이 없는 기상현상을 의미한다. 일정한 시기의 출현, 반복성과 같은 주기나 패턴을 보이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과거부터 꾸준히 지속된 현상들이 아니기 때문에 일반적인 결론을 유추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어 본 발명에서는 지수화를 통한 경향성 분석에 통계학적 방법이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특히 유럽연합에서 극한기상이 얼마나 자주 또, 어떠한 크기로 발생할지와 그 경향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2002년부터 약 4년에 걸쳐 진행된 STARDEX(Statistical and Regional dynamical Downscaling of Extremes for European regions) 프로젝트는, 다른 연구와는 달리 99th와 같이 아주 극심한 상태보다는 상대적으로 보통에 가까운 사상에 기준을 두어 강우와 온도에 대한 지수를 제시함으로써 변화정도나 경향성 파악을 적용에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하여 본 발명에 적용하였다. Extreme weather events, caused by unusual climates, are unpredictable and unusual events that have not been observed in the past 30 years. It is characterized by not showing cycles or patterns such as the appearance and repeatability of a certain period of time. In addition, since it is not a phenomenon that has persisted since the past, it is difficult to infer a general conclusion.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determined that a statistical method should be applied to the trend analysis through indexing. In particular, how often again the extreme weather in the European Union, and what occurs in any size STARDEX (Sta tistical and R egional dynamical D ownscaling of Ex tremes for European regions) conducted over a period of about four years since 2002 to analyze the trends project Unlike other studies, the present invention judges that there is no great difficulty in applying the grading degree or trend grading by presenting an index for rainfall and temperature based on a relatively near-normal idea rather than a very extreme state such as 99th. Applied to.

강우 관련 극한 지수Rainfall-related extreme index 집중호우 한계점Torrential rain threshold 강우 발생일의 90%의 양(㎜/day)
90th percentile of rainy day amounts(㎜/day)
Volume of 90% of rainfall occurrence days (mm / day)
90th percentile of rainy day amounts (mm / day)
지속기간 5일 최대 강수량5 days maximum rainfall 최대 5일 총강우량(㎜)
Greatest 5-day total rainfall(㎜) max rainfall of 5-day duration
Maximum rainfall for 5 days (mm)
Greatest 5-day total rainfall (㎜) max rainfall of 5-day duration
습윤일의 강우강도Rainfall intensity on wet days 단일 강우강도(강우발생일의 강우량)
Simple daily intensity(rainfall intensity of a rainy day)
Single rainfall intensity (rainfall on rainfall day)
Simple daily intensity (rainfall intensity of a rainy day)
최대 건조 지속 기간Drying duration 연속 무강우의 일의 최대 일수
Maximum number of consecutive dry days
Maximum number of days in consecutive rain
Maximum number of consecutive dry days
집중호우 한계점 이상 강우량 비율Rainfall ratio above the heavy rainfall threshold 발생한 사상의 총 강우량의 비율>장기간 90%
% of total rainfall from events>long-term 90th percentile
Percentage of total rainfall over time> 90%
% of total rainfall from events> long-term 90th percentile
집중호우 한계점 이상 발생빈도Occurrences above the threshold of heavy rainfall 다수의 사상>장기간 강우 발생일의 90%
Number of events>long-term 90th percentile of raindays
Many events> 90% of long-term rainfall days
Number of events> long-term 90th percentile of raindays
기온 관련 극한 지수Temperature-related extreme indices Hot-day 한계점Hot-day threshold 최고온도 90%(℃)-계절별 가장 더운 낮의 10%
Tmax 90th percentile(℃)-the 10th hottest day per season
Maximum temperature 90% (℃)-10% of the hottest day of the season
Tmax 90th percentile (℃) -the 10th hottest day per season
Cold-night 한계점Cold-night threshold 최저온도 10%(℃)-계절별 가장 추운 밤의 10%
Tmin 10th percentile(℃)-the 10th coldest night per season
Minimum temperature 10% (℃)-10% of the coldest night of the season
Tmin 10th percentile (℃) -the 10th coldest night per season
동결일수Freezing days 동결일수 최저온도<0℃
Number of frost days Tmin<0℃
Freezing Day Minimum Temperature <0 ℃
Number of frost days Tmin <0 ℃
최대 혹서기 기간Maximum heat period 일정 기준온도 이상의 값을 갖는 혹서기 기간
Heat wave duration(days)
Cold periods with values above a certain reference temperature
Heat wave duration (days)

표 2에서 제시한 지수들은 특정 퍼센타일(percentile)에 해당하는 값을 산출하는 방법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대상 지역 매년(365일 또는 366일) 일자료를 값의 크기에 따라 순서대로 오름 또는 내림차순으로 배열하고 각 지수에서 제시한 조건에 따라 상위 열 번째까지에 해당하는 값을 취하는 방식이다. 이들은 분석하려는 지역의 지형, 토지이용상태, 면적과 같은 물리적 요소와 사회적 기반 시설 구축 여부에 따른 특성값을 상대적으로 비교 및 평가할 수 있다.The indexes presented in Table 2 are arranged in ascending or descending order of daily data (365 or 366 days) of the target area to be analyzed in order to calculate the value for a specific percentage. According to the condition suggested by each index, the value up to the tenth column is taken. They can compare and evaluate the relative values of physical factors such as terrain, land-use status, and area of the area being analyz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infrastructure.

과거부터 극한 사상이 관측되기 시작한 최근까지 우리나라 기상 사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앞서 제시한 지수를 바탕으로 각 관측소의 일(daily)자료를 이용하였다. 우리나라에 위치한 기상청 관할 관측소는 66개로 위치한다.In order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s weather events from the past until the extreme events began to be observed, the daily data of each station was used based on the above-mentioned indexes. There are 66 weather stations under the jurisdiction of Korea.

상기 우리나라에 위치한 66개 관측소별 지수값을 산정하고, 또한, 시·공간적 분포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전반에 걸쳐 각 지수에 대한 공간변화를 고려하고 그 경향성을 상대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계절별로 비교 및 분석하였다. 이 때, 분석한 지수값들의 경향성 증감에 다라 각각 “+”와 “-” 기호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도 11 참조) 예를 들어, 지수의 분석 결과가 양의 값을 갖는 경우 경향성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기호로 표시하였고, 상대적으로 기호의 크기가 클수록 다른 관측 지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두드러지는 것을 나타낸다. 단, 기호의 크기는 각 지수에 따른 계절적 특성에 따라 별도로 산정하였으며, 계절은 겨울철(12월∼2월), 봄철(3월∼5월), 여름철(6월∼8월), 가을철(9월∼11월)로 구분하였다.In order to calculate the index values of the 66 stations located in Korea, and to grasp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patterns, it is necessary to compare seasonally and to consider the spatial change of each index throughout Korea and to evaluate the trends relatively. Analyzed. At this time, depending on the tendency increase and decrease of the analyzed index values, they may be represented by “+” and “-” symbols, respectively (see FIG. 11). For example, when the index analysis result has a positive value, the tendency is increased. The symbol "+" is used to indicate that the symbol is larger, and the larger the symbol is, the more prominent it is compared to other observation points. However, the size of the symbol was calculat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season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each index, and the seasons were winter (December to February), spring (March to May), summer (June to August), and autumn (9). Month to November).

그리고 그러한 결과를 표 및 그래프로 나타내면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다.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s and graphs as shown in Figs.

기후변화에 의한 강수량과 강도의 증가는 댐과 같은 수공구조물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며, 댐이 붕괴할 경우, 댐 하류 유역에 막대한 피해를 초래 할 수 있기 때문에 댐의 설계 시에는 가능최대강수량(Probable Maximum Preciptiation)을 고려하도록 되어있다. 가능최대강수량은 대기 중의 수분량과 이슬점 온도에 의해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온도가 1℃ 상승하면 약 10% 증가한다. 만일, 기후변화에 의해 온도가 1℃~2℃ 상승한다고 가정한다면, 가능최대강수량이 10% 이상 증가 되는 것은 충분히 가능할 것이다. 이처럼 기후변화는 수공시설물을 설계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변수인 극한 수문사상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수공 관련 기반시설물을 계획하고 설계하는 수공기술자들에게 있어 기후변화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은 이제 현실이 되고 있다.Increases in precipitation and strength due to climate change have a profound effect on hand structures such as dams, and if the dam collapses, it can cause enormous damage to the downstream waters of the dam. Preciptiation is considered. The maximum possible amount of precipitation is determined by the moisture content in the atmosphere and the dew point temperature, which typically increases by about 10% with a 1 ° C rise in temperature. If we assume that the temperature rises by 1 ° C ~ 2 ° C due to climate change, it would be possible to increase the maximum possible precipitation by more than 10%. As climate change changes the extreme hydrologic phenomena,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 the design of handicrafts, it is now becoming a reality for hydrotechnical engineers who plan and design handicraft infrastructure.

이러한 기후변화가 물 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도구는 IPCC 권장 시나리오인 SRES 기반의 GCM과 RCM 자료가 이용되고 있으며 점차 지역적이고 세밀한 기후변화 정보를 추출하기 위하여 기존 GCM 자료에 축소기법을 적용하는 방법과 더불어 최근에는 고해상도를 지닌 RCM 자료를 이용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부분적으로 RCM 자료가 이용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그 적용 가능성 여부 검토가 충분하지 검정되지 않아 GCM 자료 분석에 국한되어 있는 실정이다. The most widely used tool for assessing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the water cycle is the use of SCC-based GCM and RCM data, which is an IPCC recommended scenario, and is gradually applied to existing GCM data to extract local and detailed climate change information. In addition to applying the reduction technique, recent researches using RCM data with high resolution have been conducted. However, although RCM data are partially used in Korea, the applicability of the RCM data has not been tested enough, so it is limited to GCM data analysis.

본 발명에서는 미래 기후변화가 극한강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기 위하여 IPCC SRES A2 온난화가스시나리오를 이용하여 고해상도(27km×27km)의 기상청 RegCM3 RCM자료로부터 격자별 일 단위 강수시계열 자료를 모의하였다. 또한, 편이보정 기법과 비정상성 축소기법을 이용하여 전국 관측소 지점별 극한강우자료로 시공간적 규모를 축소한 후 지속기간(고정시간) 24시간에 대하여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그리고 기후변화가 우리나라에 지속시간(고정기간) 24시간 확률강우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전역의 기상청 관할 관측소 66개소를 대상으로 하였다.In order to evaluate how future climate change affects extreme rainfall, the daily precipitation time series data per grid were simulated from the high-resolution (27km × 27km) Meteorological Agency RegCM3 RCM data using IPCC SRES A2 warming gas scenario. In addition, the probability rainfall amount was estimated for 24 hours of duration (fixed time) after reducing the temporal and temporal scale by the extreme rainfall data for each station point using shift correction and abnormality reduction techniques.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on the 24-hour probability rainfall in Korea (fixed period), we surveyed 66 stations in Korea.

기후변화가 확률강우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국내에서 널리 적용되고 있는 확률가중모멘트법(PWM)을 이용하여 매개변수를 추정하였으며, 검정, Kolmogorov-Smirnov(KS) 검정, Cramer Von Mises(CVM) 검정, Probability Plot Correlation Coefficient (PPCC) 검정 방법을 이용하여 매개변수를 검정한 결과 Gumbel 분포형이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확률강우량 산정 시 강우분석 프로그램 FARD 2006을 이용하여 재현기간 2년, 5년, 10년, 20년, 30년, 50년, 70년, 80년, 100년, 200년, 300년, 500년에 대하여 각 빈도별로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on the probability rainfall, the present invention estimates the parameters by using the PWM, which is widely applied in Korea, test, Kolmogorov-Smirnov (KS) test, Cramer Von Using the Mises (CVM) test and the Probability Plot Correlation Coefficient (PPCC) test, the Gumbel distribution was found to be appropriate. When calculating the probability rainfall, the reproducing period is 2, 5, 10, 20, 30, 50, 70, 80, 100, 200, 300, 500 years using the rainfall analysis program FARD 2006. For each frequency, the probability rainfall was calculated.

기후변화가 재해위험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많은 연구들이 진행중에 있으나, 기후변화가 국지적인 상세값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적인 값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본 발명에서는 기후변화의 변동성 및 이로 인해 재해가 발생되었을 때 지역의 재해 취약성을 이용하여 재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평가하기 위하여 232개 시군구 단위로 우리나라 전국을 평가하였다. 재해 영향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취약성 부분으로는 인구밀도와 지역내총생산을 이용하였다. 각 단계별로 극한강우변동지수(Extreme Volatility Index; EVI), 인간위험지수Human Risk Index; HRI), 재해영향지수(Disaster Impact Index; DII)를 개발하여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이러한 평가 흐름은 도 14와 같다.Although many studies are underway to evaluate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disaster risk,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nse that climate change provides a local value rather than a local detailed valu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ability and Was attempted to assess the impact on disasters by using local disaster vulnerabilities. To evaluate this, the whole country was evaluated in 232 city and county districts. In order to consider the impact of disasters, we used population density and Gross Domestic Product as vulnerabilities. Extreme Volatility Index (EVI), Human Risk Index; HRI) and Disaster Impact Index (DII) were developed and evaluated, and this evaluation flow is shown in FIG. 14.

본 발명에서는 RCM 강수량자료부터 산정된 재현기간별 확률강우량과 현재 자료를 이용한 재현기간별 확률 강우량의 차를 이용하여 미래기후변화와 현재와의 강우량 변동폭을 이용하여 극한강우변동지수(Extreme Volatility Index; EVI)를 개발하였다. EVI의 산출방법은 다음 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eme Volatility Index (EVI) is based on the future climate change and the current rainfall variation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obability rainfall amount by the reproduction time and the probability rainfall by the reproduction time using the current data. Developed. The calculation method of EVI can be expressed as follows.

EVI=RL(T)-RL(t)EVI = RL (T) -RL (t)

where, RL() ; Return Level where, RL (); Return level

RL(T); 실제 일어난 값 RL (T); Actual value

RL(t); 설계 값 RL (t); Design value

이를 이용하여 격자별로 미래 강우량을 모의하고, 행정구역별로 환산하여 50년, 100년, 200년, 300년, 500년 빈도로 자료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다시 현재의 동일 강우빈도값과 비교하여 그 결과를 산출하면 그 일례가 표 3과 같았다.Using this data, the future rainfall was simulated by grid, and the data were constructed at 50, 100, 200, 300, and 500 years in terms of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same current rainfall frequency. When calculated, the example was as Table 3.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상기 극한강우변동지수는 설계빈도 개념에서 접근한다면 미래의 이상기후에 대비한 시설기준 강화의 하나의 근거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extreme rainfall fluctuation index may be used as a basis for strengthening the facility standard for future abnormal climate if approached from the concept of design frequency.

본 발명에서는 도시화에 따른 인구집중부분을 취약성 지표롤 선정하여 계산된 EVI과 인구밀도를 고려하여 인간위험지수(HRI)를 평가하였다. 인구밀도를 사용한 이유는 기후변화를 고려해 모의한 결과값이 지역적으로 명확한 값이 아니라 공간적 분포이기 때문에 232개 지자체 스케일에 적정한 사회적, 인문적 취약성으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지표이기 때문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uman risk index (HRI) was evaluated in consideration of the calculated EVI and population density by selecting the fragility index roll as a part of urbanization. The reason for using population density is that the simulated results considering climate change are generally used as social and human vulnerabilities that are appropriate for 232 municipal scales because the results are spatially distributed rather than regionally clear.

HRI=EVI X 인구HRI = EVI X Population

일반적으로 재정자립도가 높은 지자체일수록 지역은 재해 안전도가 높게 나타나며 이는 사회 기반 시설 및 재해 취약시설에 대한 예산 투자가 지자체 역량으로 가능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앞에서 산정된 HRI의 결과가 사회적 취약성 측면에서 약한 부분에 대해 접근했다면 지자체의 재정지수를 고려하는 경우는 재해에 대한 경제적 강점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평가를 수행하기 위하여 지역내총생산(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GRDP)를 이용하여 재해영향지수(Disaster Impact Index; DII)를 제시하였다.In general, the higher the financial independence, the higher the level of disaster safety in the region, which can be attributed to the local government's ability to invest in infrastructure and vulnerable facilities. If the results of the above-mentioned HRI approached weak areas of social vulnerability, considering the local government's financial index, it can be said to represent economic strength against disaster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aster Impact Index (DII) is presented using the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GRDP).

DII=HRI/GRDPDII = HRI / GRDP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according to drawing.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된 이상홍수 취약성 지수와 범람 위험도를 조합하여 선택적 홍수방어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GIS 기반의 홍수 방어 분석 시스템을 제공한다. 시스템은 기상학적, 수문지형학적, 사회경제적, 홍수방어 취약성분석 결과를 표출하기 위하여 GIS 기반으로 시스템 구축하였다. GIS상의 각각 레이어(layer)를 취약성지표들로 구축하고, 하나의 레이어가 취약성지표를 나타내며, 취약성 요소인 기상학적, 수문지형학적, 사회경제적, 홍수방어 취약성에 해당하는 항목들은 중첩하여 요소별 취약성분석결과 표출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IS-based flood defense analysis system as a system for presenting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selective flood defense strategy by combining the above-mentioned flood vulnerability index and flood risk. The system was constructed based on GIS to express the results of meteorological, hydrogeological, socioeconomic and flood defense vulnerability analysis. Each layer on the GIS is constructed with vulnerability indicators, one layer represents the vulnerability indicators, and items corresponding to the vulnerable factors, such as meteorological, hydrogeological, socioeconomic and flood defense vulnerabilities, overlap each other. Expres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자료 중 위에서 별도로 설명한 본 발명의 창작과정에서 고안된 신규의 방법에 의하여 생성된 지수, 지표, 홍수범람모식도 등의 각종 정보 이외의 것들은, 기상청, 소방방재청 및 건교부 등의 각 기관에서 축적하고 있는 내용으로서, 특히 지아이에스(GIS) 자료는, 국가지리정보시스템에 의하여 관리되고 있거나 추가 가능한 자료를 말한다. Basically, the data used in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than the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he index, the indicator, the flood flooding schematic diagram generated by the novel method devised in the creative process described above separately, the Meteorological Agency,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Accumulated by each organization such as GIS data, in particular, refers to data that are managed or can be added by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우선, 본 발명의 홍수방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the flood defens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s follows.

[유역현황 조회단계][Watershed Status Inquiry Ste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15와 같은 초기화면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itial screen as shown in FIG. 15 is provided.

GIS정보를 기초로 한 유역현황은 총21개 유역 현황의 내용이 선택에 따라 조회된다. 여기서, 유역제원현황은 유역면적, 좌안면적, 우안면적, 유역둘레, 유역평균폭, 유역평균경사, 형상 인자, 형상계수, 단일형상계수, 원형비, 세장률, 수계밀도, 수계빈도, 수계유지상수, 섬세비, 기복비, 상대기복, 기복수, 유역내최고표고를 포함한다.
The watershed status based on GIS information is retrieved based on the selection of a total of 21 watershed statuses. Here, the watershed specifications include watershed area, left eye area, right eye area, watershed circumference, watershed average width, watershed average slope, shape factor, shape factor, monolithic factor, circular ratio, elongation rate, water density, water frequency, water retention Includes constants, delicacies, ups and downs, relative ups and downs, ups and downs, and high water level elevation.

[기상관측지점조회 단계][Weather observation point inquiry ste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기상관측지점은 총 76개 관측지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6에서와 같이, 지도상의 기상관측지점을 선택하면 기상자료 조회가 가능하다. 기상자료 조회는 기간별 강우량, 최고기온, 평균기온, 최저기온의 정보를 조회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기상관측지점별 극한 기상사상 분석을 실행할 수 있으며, 결과보기를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eorological observation point is composed of a total of 76 observation points. As shown in Figure 16, if the weather observation point on the map is selected, it is possible to query the weather data. The weather data query inquires the information of rainfall, maximum temperature, average temperature and minimum temperature by period. The analysis of extreme weather events for each weather observation point described above can be executed and can be confirmed by viewing the results.

[취약성분석 단계][Vulnerability Analysis Steps]

취약성 지표별 취약성 분석을 위한 단계이다. 각 분석 결과는 GIS를 통해 10등급으로 구분되어 표시된다. 그리고 각 등급별 정보는 예를 들어 색상 범례창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This is the step for vulnerability analysis by vulnerability indicator. Each analysis result is divided into 10 grades through GIS. And the information of each grade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color legend window, for examp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의 표 4에서와 같은 항목으로 취약성 분석을 실행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ulnerability analysis is performed with items as shown in Table 4 below.

구분division 취약성 지표Vulnerability indicator Hazard AnalysisHazard Analysis ○ 유역경사도, 불투수율, 홍수위험지역(과거), 토사유출(산사태)위험
지역, 해안수위 위험지역, 홍수피해규모지도
○ Watershed slope, impermeability, flood risk area (past), soil runoff (landslide) risk
Area, coastal water hazard area, flood damage scale map
Social AnalysisSocial analysis ○ 인구밀도, 재정지수○ Population density, financial index Economic AnalysisEconomic Analysis ○ 지역내 총생산(GRDP)○ Regional GDP (GRDP) Climatic AnalysisClimatic Analysis ○ 극한강우사상의 빈도, 일강우사상의 빈도○ Frequency of extreme rainfall and daily rainfall

취약성 지표의 산정과 분석은 상기에 설명한 방법을 따르며, 그 결과화면은 도 17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The calculation and analysis of the vulnerability index follow the method described above, and the result screen may be displayed as shown in FIG. 17.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기존의 이상홍수 취약성 지표의 계산방법은 상대비교를 통하여 이상적 분배 방법을 적용하여 가장 큰값을 기준으로 각 소유역별 값을 계산하는 방식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 방법은 지표의 특성에 따라 변별력이 없거나, 가장 큰값이 이상치처럼 클 경우 영향을 너무 많이 받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로는 지표별 자료의 표준화 및 정규화 방법을 이용하여 새롭게 지표를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ntional method of calculating the abnormal flood vulnerability index was used to calculate the value for each subwatershed based on the largest value by applying the ideal distribution method through relative comparison. However, since the evaluation method is not discriminate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cator, or if the largest value is as large as an outlier, it may be affected too much. It is possible to calculate a new index using the normalization method.

또한, 분석 상황에 따라서, 기존 지표에서 변별력이 없고, 그 의미가 중복되는 지표가 무엇인지 확인하여 그 지표를 새로이 분류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재 홍수 취약성 및 미래의 홍수 취약성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지표는 유출계수, 과거 피해규모 지표, 유역 경사도 지표, 인구밀도 지표, 재정지수 지표, 외수방어능력 지표 6개이며 홍수대안 설정을 위하여 선택되는 시설물 지표로는 소방서와 응급시설, 정수처리장, 배수펌프장, 발전시설, 병원을 이용하였다. 현재 홍수 취약성에서는 이에 추가적으로 침수흔적도 지표와 기상학적 취약성 지표로 관측자료의 지속기간 5일 최대 강수량(여름)을 이용하였고 미래의 홍수 취약성에 대해서는 기후변화를 통해 모의된 강수량의 지속시간 5일 최대 강수량을 이용하고자 하였다. 또한 홍수범람 예상도 작성을 통하여 홍수범람 예상 면적비를 이용한 지표를 이용하였다.In addition, depending on the analysis situation, it may be possible to classify the indicators newly by identifying which indicators have no discriminating power in the existing indicators and whose meanings overlap. For example, alternatively, the indicators commonly used in the present flood vulnerability and the future flood vulnerability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runoff coefficients, past damage scale indicators, watershed slope indicators, population density indicators, financial index indicators, and external waters. Six indicators of defensive capacity were used, and the selected indicators for setting up flood alternatives were fire stations, emergency facilities, water treatment plants, drainage pump stations, power generation facilities, and hospitals. In addition, the current flood vulnerability uses a maximum of five days of precipitation (summer) for observational data as a flood indices and meteorological vulnerability indicator. For the future flood vulnerability, the maximum of five days of rainfall simulated by climate change is used. Precipitation was to be used. In addition, the flood flood prediction map was used to use indicators using the estimated flood area ratio.

취약성 평가를 이렇게 구분한 이유는 이상홍수 대응을 위해서는 상향식 접근과 하향식 접근이 필요한데, 하향식 취약성에서 기후변화를 고려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향식에 있어서 현재까지 강우 패턴을 통한 분석 결과와 미래의 분석 결과를 비교하여 잠재적인 기상학적 영향을 평가할 수 있다.Vulnerability assessments are classified in this way because they require a bottom-up and top-down approach to respond to abnormal floods, because climate change can be considered in top-down vulnerabilities. In top-down, the results of the current rainfall patterns and future analyzes can be compared to assess potential meteorological impacts.

상기와 같은 고려를 통하여 새로이 선택된 지표들은 표 5에서와 같다.
The newly selected indices based on the above considerations are shown in Table 5.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평가지표별 가중치 부여 단계][Weighting Steps by Evaluation Indicator]

취약성 분석에 사용되는 평가지표별 가중치를 설정하는 과정이다. 도 18은 이러한 가중치 부여가 가능하도록 하는 화면의 일 예이다. 본 가중치는 물론 분석의 목적 및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값이다. 각 지표별 가중치를 입력하여 이를 취약성 분석에 반영한다.
This is the process of setting the weight for each evaluation index used for vulnerability analysis. 18 is an example of a screen for enabling such weighting. This weight is, of course, a value that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environment of the analysis. The weight of each indicator is input and reflected in the vulnerability analysis.

[취약성 분석결과 차트 및 등급별 대응방안 제시 단계][Vulnerability Analysis Result Charts and Levels of Countermeasures]

취약성 분석 실행 후, 해당 소유역을 클릭하여 취약성 분석결과를 차트로 확인하는 과정이다. 기상학적, 수문·지형학적, 사회·경제적, 홍수방어 취약성에 대한 분석결과를 차트로 확인할 수 있으며, 각 결과 등급에 따른 대응 방안을 확인할 수 있다. 대응방안은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제시될 수 있다.After executing the vulnerability analysis, click on the subwatershed to check the results of the vulnerability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meteorological, hydrologic, topographical, socio-economic and flood defense vulnerabilities can be identified in charts, and countermeasures can be identified for each class of results. Countermeasures can be presented as in Table 1 above.

한편, 일반적으로 치수사업의 대안 평가를 위해서는 수자원 분야에서는 다기준 의사결정론을 많이 이용한다. 다기준 의사결정(MCDM,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은 최선의 대안을 선정하는 의사결정 문제에서 다수의 기준이 고려되어야 하는 경우의 의사결정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다기준 의사결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서바이벌 방식의 조건 수렴여부에 따라 최적 대안 설정하고, 설정된 대안을 외국의 이상홍수 대응 사례와 비교하여 의사결정에 참조 사항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선택하였다.On the other hand, in the water resource field, multi-criteria decision-making is commonly used for evaluating alternatives for watershed projects.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MCDM) is a decision where multiple criteria must be considered in the decision problem of selecting the best alternativ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erform such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the optimal alternative is set according to the condition convergence of the survival method, and the selected alternative is compared with the foreign flood response case, and the method that can provide a reference to the decision is selected. .

이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서 도 20과 같은 홍수대안 설정의 기본 구조를 설정하였다. 그림에서 속성은 기상학적, 수문-지형학적, 사회-경제적, 홍수방어 취약성의 4개의 속성이 되며, 대안은 앞에서 언급한 구조적 대안과 비구조적 대안이 입력된다. In order to apply this method, the basic structure of flood alternative setting as shown in FIG. In the figure, the attributes are four attributes: meteorological, hydro-geologic, socio-economic, and flood defense vulnerabilities. The alternatives are the structural and non-structural alternatives mentioned above.

[선택적 홍수방어 단계][Optional Flood Defense Stage]

홍수방어 대안은 기본적으로 구조적 방법과 비구조적 방법이 있다. 구조적 방법은 대표적으로 댐, 저수지, 조절지 설치, 하도내 개선 방안 등을 들 수 있다. 최근 댐은 환경적 논란 때문에 대안으로 설정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기존 저수지 증고나, 조절지 설치, 하도개선 정도로 들 수 있다. 하도 개선은 하도 굴착, 축제, 제방증고, 제방폭 확대 등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하도 개선효과로 구분한다.Flood defense alternatives are basically structured and unstructured. Structural methods typically include dams, reservoirs, installations of reservoirs, and ways to improve within the channel. Recently, dams are difficult to set as an alternative due to environmental controversy, which can be considered as substantial reservoir improvement, installation of reservoirs, and improvement of the channel. The improvement of the roadway includes the excavation of roadway, festivals, dike promotion, and the expansion of the bank width.

본 발명에서는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선택 가능한 구조적 홍수대응책으로 제방증고, 하천개수, 저류지 설치, 조절지 설치, 댐 건설, 배수펌프장 설치 및 증량을 선택하였다. 구조적 대책외에 비구조적 대책으로는 30분 대피계획(EAP), 내홍수화 적용, 이주 대책의 3가지 정도를 선택하였다. 실제로 30분 대피계획과 이주대책은 사회적 취약성을 감소시키는 가장 좋은 대안이며, 내홍수화는 수문지형학적 취약성과 홍수방어 취약성 모두에 영향을 준다고 볼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lected structural flood countermeasures to support the decision-making, embankment test, river reclamation, reservoir installation, control station installation, dam construction, drainage pump station installation and increase were selected. In addition to the structural countermeasures, three non-structural countermeasures were selected: the 30-minute evacuation plan (EAP), flooding, and migration measures. Indeed, 30-minute evacuation plans and migration measures are the best alternatives to reduce social vulnerability, while flooding affects both hydrogeographic and flood defense vulnerabilities.

본 발명에서 이러한 대안을 취약성 분석 결과와 조합하여 최적 대안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시스템의 결과는 지수로 나타나지만 지수는 각기 4개군의 취약성 분석 결과를 포함하고 있다.(도 21 참조)In the present invention, this alternative was combined with the vulnerability analysis results to set the optimal alternative. The results of the system are shown as indices, but the indices contain the results of vulnerability analysis for each of the four groups (see Figure 21).

도 21에서 하늘색으로 최종 이상홍수 취약성이 평가된 지역은 수문-지형학적 취약성은 높지 않으나 상대적으로 홍수방어 취약성이 높으므로 하천 정비 및 배수 펌프 등 구조적 홍수방어 대책에 역량을 집중하여야 하며, 반대로 빨간색으로 평가된 지역에서는 홍수방어 취약성은 낮으나, 수문-지형학적 취약성과 기후학적 취약성이 높게 나타난 지역으로 대표적으로 강원도와 같은 곳임을 알 수 있다. 이 지역은 구조적 대책은 이미 어느 일정수준에 다달아 있으므로 비구조적 대응책으로 내홍수화 및 대응계획 수립, 상황전파 및 풍수해보험과 같은 방법을 적용해야 함을 알 수 있다.In the area where the last abnormal flood vulnerability was evaluated in light blue in FIG. 21, hydrologic-geographical vulnerability was not high but relatively high flood defense vulnerability. Therefore, capacity should be concentrated on structural flood defense measures such as river maintenance and drainage pump, and conversely in red. In the evaluated areas, flood defense vulnerability is low, but hydrologic-geometric and climate vulnerabilities are high. In this region, structural measures have already reached a certain level, and as such, it is understood that measures such as flooding and response planning, situation propagation and feng shui insurance should be applied as unstructured countermeasures.

이렇게 도출된 결과만으로 어떤 방안으로 접근해야 할 것은 나타나나 구조적 대책중 어떤 대책이 더 좋은지는 분석을 통하여 계산이 되어야 한다.It is suggested that the approach should be approached only by the result, but it should be calculated by analyzing which of the structural measures is better.

홍수방어 대안 설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어떤 대안을 세우는 것인가 이지만 어느 지역을 목표로 최선의 대안을 세울것인가도 매우 중요하다. 기존의 유역종합치수계획은 유역의 최종 출구점에서의 홍수량을 만족시키기 치수안전도를 설정하고 있는데 이러한 접근 방법은 실질적으로 유역 내부의 중요 시설물에 대한 중요도를 고려하지 못하는 것이다.The most important thing in setting up flood defense alternatives is what is the alternative, but it is also important in which area the best alternatives are to be established. Existing watershed comprehensive dimensions have established dimensional safety to satisfy floodwaters at the watershed's final exit point. This approach does not actually consider the importance of critical facilities within the watershed.

위에서는 기후변화를 고려한 기상학적 취약성 분석에 대해서 도출된 결과를 설명하였는데, 이상홍수, 기후변화, 국지성 돌발홍수, 집중호우 등이 과거에는 잘 언급되지 않는 단어였다는 것을 생각해본다면 이러한 현상들이 최근에는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bov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meteorological vulnerability considering the climate change are explained. If we consider that abnormal floods, climate change, localized sudden floods, and heavy rainfall were words that were not mentioned well in the past, these phenomena have become frequent in recent years. It can be seen that this is happening.

현재의 시설물이 가지고 있는 치수역량이 100이라면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였을 때는 대부분 100을 초과하는 홍수가 발생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홍수는 피할 수 없는 위험이 된다. 만약 규모가 150정도 되는 홍수로 인하여 하천의 좌안이 침수 되었을 때 피해액이 1억이고, 우안이 잠겼을 경우 피해액이 100억이라면 좌안, 우안에 50씩의 치수역량이 집중되는 것보다는 좌안에 100을 집중하여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상홍수 취약성 분석 시스템을 통하여 계산된 EFVI는 일차적으로 소유역 단위의 취약성을 나타낸다. If the current capacity of the facility has 100, most of the floods exceeded 100 when such a phenomenon occurred. In such cases, flooding is an inevitable risk. If the left eye of the river is flooded due to the flooding of 150 or so, if the left eye is flooded, and if the right eye is locked, the damage is 10 billion, focusing 100 on the left eye rather than 50 pulp capacity on the left and right eyes.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damage. EFVI, calculated by the Flood Flood Vulnerability Analysis System, primarily represents vulnerability in subwatershed units.

그런데, 상기 EFVI의 결과는 표준유역 또는 표준유역보다 작은 유역 사이즈의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직접적인 홍수대안을 선정하는데 있어 단순 참고수준으로밖에 이용할 수 없다. 따라서 EFVI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역보다 작은 지구 단위에서 적정 홍수대안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즉, EFVI값이 높게 나타난 지역을 선택하여 그 지역의 과거 피해이력 및 여러 특성을 살펴보고 이 지역을 선택하고, 유역내에 침수 흔적이 많은 곳이 선택되어 지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However, the results of the EFVI show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tandard watershed or watershed size smaller than the standard watershed, which can only be used as a simple reference level in selecting a direct flood alternative.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FVI, the appropriate flood alternatives were selected at the district level smaller than the watershed. In other words, by selecting a region with high EFVI value, the past damage history and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were selected, this region was selected, and the system was selected to select a lot of flooding traces in the watershed.

이를 위해서 먼저 이상홍수 취약성 지표 중 중요 시설물 지표를 활용하여 지구내의 위험성을 평가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먼저 지구를 일정 격자로 나누어서(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30m 격자 사이즈 이용) 격자내의 위험성 정도를 시설물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To this end, first of all, we applied a method to evaluate the risks in the district by using the important facility indicators among the abnormal flood vulnerability indexes. First, by dividing the earth into a certain gri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30m grid size) the degree of risk in the grid was evaluated using the facility.

여기에서 중요도를 표시하는 시설물의 대상은 소방서와 응급시설, 병원, 학교 등 홍수 발생시 효율적 대응 및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설과 폐기물 처리시설, 매립지, 정수처리장, 발전시설 등 환경 및 경제적 영향이 있는 시설물, 그리고 마지막으로 배수펌프장처럼 치수시설물이 그 대상으로 선정하였다.Here, the targets of the facilities that indicate the importance are the facilities that have an environmental and economic impact such as fire treatment facilities, emergency facilities, hospitals, schools, etc. to efficiently respond to flood occurrences and reduce damages, waste treatment facilities, landfills, water treatment plants, and power generation facilities. And lastly, the pulp facility was selected as the drainage pumping station.

도 22는 이렇게 나눈 격자 한 가운데 중요 시설물이 위치해 있을 경우, 그 시설물의 중요도를 색으로 표현한 방법으로, 지구내의 위험시설물별로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되어 하천의 상류, 하류, 좌안, 우안에서 중요 시설물의 가치가 어디가 더 높은지를 상대적으로 비교 할 수 있게 된다.22 is a method of expressing the importance of the facilities in color when the important facilities are located in one of the grids divided in this way, and evaluated by the same method for each dangerous facility in the district, and the value of the important facilities in the upstream, downstream,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ream. Will be able to compare where is higher.

이러한 결과는 침수흔적도를 이용한 취약성 분석결과일 경우, 실제로 시스템에서 특정유역 중 취약성이 높게 나타난 유역을 선택하면 도 23과 같이 지역으로 줌인이 되고 그 지역의 침수흔적도가 나타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result of vulnerability analysis using the flooding trace, when the watershed in which the vulnerability is particularly high among the specific watersheds is selected in the system, it is zoomed in to the region as shown in FIG. 23 and the flooding trace of the region appears.

도 23에서처럼 시설물의 중요도 평가가 이루어지면 그 시설물이 과거 침수 흔적도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시설물이 하천을 중심으로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도 쉽게 판단할 수 있다. 이렇게 시설물 중요도 분석이 끝나면 도 23의 경우 하천의 우안을 보호하기 위한 홍수대응 방안을 수립하게 된다. When the importance evaluation of the facility is made as shown in FIG. 23,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facility is in the past inundation trace, and it is easy to determine where the facility is located around the river. After the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facilities, the flood response plan for protecting the right eye of the river is established in FIG.

도 23에서는 유역내 하천의 상세 제원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유역의 취약성 분석결과, 침수실적, 시설물 현황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우측의 각 평가지표를 선택하여 해당 시설물 또는 해당 지표의 취약성 분석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위험도 분석을 통해 주요시설물별 중요도에 따른 취약성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분석된 영역 내 주요 시설물 현황을 분석할 수 있다. 분석결과는 도 24 및 도 25와 같다.In FIG. 23, detailed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rivers in the watershed can be confirmed, and the results of vulnerability analysis, flooding performance, and facility status of the watershed can be confirmed. Then, by selecting each evaluation index on the right side, you can check the vulnerability analysis result of the facility or the index. Through risk analysis, we can analyze the vulnerability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each major facilit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status of major facilities in the analyzed area. The analysis results are shown in FIGS. 24 and 25.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지역내에서도 어느 하천을, 그리고 하천의 좌안과 우안중 어디를 선택적으로 홍수 대응해야 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Through this proces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ich streams within the region and which of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reams should be selectively flooded.

본 발명에서 개발된 EFVI의 적정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안성천 유역의 기존의 PFD 분석결과와 비교해보면 어느 정도 위치적인 부분에서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도 26을 통하여 알 수 있다. EFVS 의 1단계의 그림에서는 유역의 세분화에 따른 부분과, 사회적 취약성 지표의 높은 가중치로 인한 도시 지역의 취약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이는 입력된 취약성 지표의 가중치의 변경을 통하여 쉽게 눈으로 확인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order to examine the adequacy of the EFVI develop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from FIG. 26 that a similar aspect is shown in some locations compared to the existing PFD analysis results of the Anseong stream basin. In the first-stage diagram of EFVS, we can see that the urban area's vulnerability is high due to the watershed segmentation and the high weight of the social vulnerability index. There is an advantage that you can check.

이러한 장점은 이상홍수 취약성 평가 시스템을 EFVI계산 및 선택적 홍수방어의 2단계로 나누고 단계별 취약성 지표의 가중치를 사용자가 입력 가능하도록 구성한 면에서 도시 계획이나 방재 관련 공무원이 지역 개발 및 사용에 따른 재해 유형별 취약성을 판단할 수 있다면 면에서 큰 장점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얻은 PFD와의 비교 결과는 도 27과 같다.
These advantages are divided into two stages of EFVI calculation and selective flood defense, and the user can input the weight of the vulnerabilities indicator for each stage. If you can judge this can be a big advantage. Comparison with PFD obtained based on these results is shown in FIG. 27.

[의사결정지원 단계][Decision support stage]

본 발명에 따른 이상홍수 취약성 분석 시스템은 기상학적, 수문-지형학적, 사회-경제적, 홍수방어 취약성분석 결과를 표출하고 취약성에 해당하는 항목들은 중첩하여 요소별 취약성분석결과를 제시한다. 이렇게 나타난 요소별 취약성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홍수대안별 취약성 저감 정도에 따라서 적정 홍수대응 방안을 선택하고 선택된 대안들에 대한 경제성 분석을 통하여 최적이 아닌 최선의 대응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abnormal flood vulnerability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presses the results of meteorological, hydro-geologic, socio-economic and flood defense vulnerability analysis, and presents the vulnerability analysis results for each element by overlapping items corresponding to the vulnerability. Based on the results of vulnerability analysis for each factor, we selected the appropriate flood response method according to the degree of vulnerability reduction by each flood alternative and suggested the best countermeasure, not optimal, through economic analysis on the selected alternatives.

상기 의사결정을 위한 홍수대응 방안은 경제성분석 및, 구조적 대책으로서 농업용 저수지제체증고, 홍수조절용 저류지, 하도개선 등을 포함하는 수문 분석에 따른 저감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The flood response method for decision making may include an economic analysis and a reduction effect due to hydrological analysis including structural increase of agricultural reservoirs, flood control reservoirs, and improvement of sewerage as structural measures.

이러한 방법이 가능한 것은 이번에 구축한 시스템이 GIS 기반의 자료를 이용하였고, 각 자료의 최소 스케일이 30m 격자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지역의 구분을 도시, 도농복합, 연안, 농촌 지역등의 구분이 가능하고, 하천의 유무, 피해규모의 유무, 도시화율 정도 등이 분석되어 표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method is possible because this system uses GIS-based data, and the minimum scale of each data is composed of 30m grid, so the area can be divided into cities, urban and rural complexes, coastal and rural areas. This is because the presence of rivers, the amount of damage, and the degree of urbanization can be analyzed and expressed.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여 보면 의사결정을 통해 선택적 홍수방어 대안을 제시하고, 각 대안별 예상 시나리오를 확인할 수 있다. 각 대안별 예상시나리오 확인 후, 각 대안에 따른 가중치 분석을 통해 해당 유역 내 최적의 대안을 선택할 수 있는 의사결정 지원 기능을 제공한다.Referring to FIGS. 28 and 29, alternative flood protection alternatives may be suggested through decision making, and expected scenarios for each alternative may be identified. After identifying the forecast scenarios for each alternative, we provide decision support to select the best alternative in the watershed through weight analysis for each alternative.

한편, 상기 의사결정에 있어서는 선택적 홍수방어 대안 검색 후, 해외 대응사례를 조회할 수 있도록 선택된 홍수방어 대안에 대한 분류별 해외 대응사례를 DB화 하여 제공할 수 있다.(도 30 참조)
On the other hand, in the decision-making, after the selective flood defense alternative search, the foreign response case by category for the selected flood defense alternative can be provided as a DB so that the foreign countermeasures can be inquired (see FIG. 30).

본 발명의 시스템은, 상기의 취약성 평가 지표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GIS 데이터베이스, 각종 통계자료의 데이터베이스, 기타 본 발명의 내용으로 개발된 분석방법으로 도출된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자료를 조회하고 연산하며 저장하는 기능을 하는 각종 분석용 모듈이 포함되어 있는 서버, 그리고 상기 서버와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로 구성된다. 상기 분석용 모듈은 위에서 설명한 각 단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서버와 동일 장소 또는 원격지에서 연결할 수 있다.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base storing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index, a GIS database, a database of various statistical data, a database storing information derived by an analysis method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nd data of the database. It consists of a server that contains a variety of analysis modules for the function of querying, calculating and storing, and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server. The analysis module is provided to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above-described steps, and the user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the server at the same location or at a remote location.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라서 제공되는 시스템의 화면에 마련된 메뉴를 이용하여 상기에 언급된 각 단계를 수행하도록 요청하게 되며, 상기 분석용 모듈들에는 그와 같은 사용자 요청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알고리즘이 미리 마련되어 있어서,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취합한 뒤 분석과정을 거쳐 사용자에게 원하는 결과를 돌려주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알고리즘의 내용은 위의 본 발명에 따른 지아이에스 기반의 홍수방어 방법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과정이 포함되어 있다.The user requests to perform each of the above-mentioned steps by using a menu provided on the screen of the system provi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nalysis module includes an algorithm for performing such a user request in advance. It is prepared to access various databases, collect necessary information, and then return the desired result to the user through an analysis process. Here, the contents of the algorithm include the process described in each step of the GS-based flood defens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단지 홍수만이 아니라 산사태, 토석류, 지진, 해일과 같은 다양한 재해 유형에 대한 전반적인 취약성을 평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재해 유형에 직접적으로 영향이 있다고 판단되는 취약성 지수를 조합한 구체적인 취약성 값을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재해 유형에 따른 구체적인 값의 표출과 함께 전반적인 취약성 지표에서 그 재해 유형에 해당되는 취약성 지표의 가중치를 높게 책정함으로써 이러한 목적에 맞는 값을 산출할 수 있다는 의미가 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assess the overall vulnerability of various disaster types such as landslides, earthquakes, earthquakes and tsunamis, but also floods, as well as specific vulnerabilities that combine vulnerability indexes that are believed to directly affect each type of disaster. It can be applied as a system that can evaluate the value. This may mean that the value for this purpose can be calculated by expressing a specific value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ster and by weighting the vulnerability index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disaster in the overall vulnerability index.

Claims (10)

격자로 구분된 영역마다 취약성 지표를 중첩하여 부여하는 단계;
상기 중첩된 취약성 지표를 이용하여 등급을 정하는 단계;
상기 등급별 대응방안을 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대응방안을 서바이벌 방식의 조건 수렴여부에 따라 최적 대안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아이에스 기반의 홍수방어 방법.
Superimposing and assigning a vulnerability index to each area separated by a grid;
Ranking using the nested vulnerability indicators;
Presenting a countermeasure for each grade; And
A method of flood control based on GS, characterized in that for setting the optimum alternative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convergence of the survival measures.
격자로 구분된 영역마다 취약성 지표를 중첩하여 부여하는 단계;
상기 중첩된 취약성 지표를 이용하여 등급을 정하는 단계;
상기 취약성 지표가 높게 나타난 지역의 주요 시설물을 조회하는 단계; 및
과거 또는 미래의 범람 정보를 중첩하여 상기 시설물별 현황을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아이에스 기반의 홍수방어 방법.
Superimposing and assigning a vulnerability index to each area separated by a grid;
Ranking using the nested vulnerability indicators;
Querying major facilities of a region where the vulnerability index is high; And
GIS-based flood defense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presenting the current status of each facility by overlapping the past or future flood information.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성 지표는 기후학적, 수문-지형학적, 사회경제적 및 홍수방어 취약성으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아이에스 기반의 홍수방어 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vulnerability indicators are classified as climatic, hydro-geological, socio-economic and flood defense vulnerabiliti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대안을 설정하는 단계 이후에는 의사결정을 위한 예상 시나리오를 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아이에스 기반의 홍수방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GIS-based flood defens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esenting an expected scenario for decision making after the step of setting the optimal alternativ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별 현황을 제시하는 단계 이후에는 의사결정을 위한 예상 시나리오를 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아이에스 기반의 홍수방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After presenting the status of each facility, the flood defense method based on the G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presenting the expected scenario for the decision.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결정을 위한 예상 시나리오는 경제성분석, 또는 구조적 대책으로 또농업용 저수지제체증고, 홍수조절용 저류지, 하도개선을 포함하는 수문 분석쟐어서, 저감효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아이에스 기반의 홍수방어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wherein the predicted scenario for decision making is economic analysis, or structural measures, and hydrological analysis including agricultural reservoir increase, flood control reservoir, and sewer improvement, which includes a reduction effect. GS-based flood defens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결정을 위한 예상 시나리오는 대응되는 해외 대응사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아이에스 기반의 홍수방어 방법.6. The method of claim 4 or 5, wherein the anticipated scenario for decision making includes a corresponding overseas response cas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과거 또는 미래의 범람 정보는 침수흔적도 또는 범람모의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아이에스 기반의 홍수방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past or future flood information is a flood control method based on G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undation trace or flood inten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시설물은 홍수 발생시 효율적 대응 및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설, 환경 및 경제적 영향이 있는 시설물 및 치수시설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아이에스 기반의 홍수방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main facility is a GS-based flood defens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facility, the environmental and economic impact of the facility to reduce the damage and efficient response and flood damag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성 지표는 가중치가 부여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아이에스 기반의 홍수방어 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vulnerability indicator is a GS-based flood defens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being weighted.
KR1020100061124A 2010-06-28 2010-06-28 Flood prevention system based on GIS and method of the same KR1013151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124A KR101315121B1 (en) 2010-06-28 2010-06-28 Flood prevention system based on GIS and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124A KR101315121B1 (en) 2010-06-28 2010-06-28 Flood prevention system based on GIS and method of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716A true KR20120000716A (en) 2012-01-04
KR101315121B1 KR101315121B1 (en) 2013-10-07

Family

ID=45608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1124A KR101315121B1 (en) 2010-06-28 2010-06-28 Flood prevention system based on GIS and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121B1 (en)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425B1 (en) * 2012-06-21 2014-09-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Method for multi-site calibration on unitary watershed system
CN105067072A (en) * 2015-07-27 2015-11-18 湖南大麓管道工程有限公司 Water-level rising early-warning system and method
KR101670920B1 (en) * 2016-04-20 2016-11-01 대한민국 Apparatus for providing heavy rain forecasting and warning and method thereof
WO2019013470A1 (en) * 2017-07-11 2019-01-1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Coastal pollution prevention method generation device for coping with marine pollution accidents, and method therefor
KR20200046660A (en) * 2018-10-25 2020-05-07 주식회사 포드림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disaster safety and method thereof
CN112380766A (en) * 2020-11-11 2021-02-19 广州市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Method, system,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for determining and displaying drainage basin waterlogging water volume
CN112508271A (en) * 2020-12-04 2021-03-16 张红岩 GIS-based territorial space planning optimization method and system
KR20210052888A (en) * 2019-11-01 2021-05-11 노아에스앤씨 주식회사 System for selecting flood protection alternative and method for selecting optimal flood protection alternative
KR20210077228A (en) 2019-12-17 2021-06-25 (주)지오시스템리서치 Flooding Prediction System
KR20210077229A (en) 2019-12-17 2021-06-25 (주)지오시스템리서치 Typhoon Dismissal Prediction System Using Deep Learning Model
KR102278683B1 (en) * 2020-11-26 2021-07-16 (주)헤르메시스 Apparatus for calculating a flood damage risk index, and method thereof
KR102297368B1 (en) * 2021-04-09 2021-09-03 주식회사 부린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ssessments and reports on the safety of public facilities in small rivers
CN113656870A (en) * 2021-08-11 2021-11-16 上海河口海岸科学研究中心 Method for determining optimal measurement time period of estuary artificial dredging channel examination water depth
CN115994686A (en) * 2022-11-21 2023-04-21 中国科学院地理科学与资源研究所 Multidimensional flood risk assessment method based on game theory combined weighting
KR102532636B1 (en) * 2022-11-29 2023-05-16 주식회사 지엔씨환경솔루션 Method of calculating the vulnerability index of water treatment facilities due to natural disasters
KR102528035B1 (en) * 2021-12-09 2023-05-18 주식회사 유에프오에스트로넛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quality of golf course using superposition layering techniqu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3355B1 (en) * 2018-09-27 2019-07-24 대한민국 Apparatus for generating forest fire vulnerability map and method thereof
CN109767042A (en) * 2019-01-17 2019-05-17 中国人民解放军陆军工程大学 Works of service team for civil air defence's site selecting method based on land used assessment
KR102277856B1 (en) 2020-04-29 2021-07-1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Socio-hydrological system for supporting decisions on water resources policy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350252B1 (en) * 2021-04-14 2022-01-12 대한민국 The method to build and use map library dataset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735B1 (en) 2001-04-25 2004-07-15 노삼규 Risk Information System using geographic inforam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50090158A (en) * 2004-03-08 2005-09-13 (주) 천진엔지니어링 A method for calculating the runoff of basin using the clipping of a digital map
KR20070108318A (en) * 2006-02-22 2007-11-09 박상우 System and method for regional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KR100745646B1 (en) 2007-04-04 2007-08-0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Developing web-based prototype system for disseminating flood prevention information publicly using gis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425B1 (en) * 2012-06-21 2014-09-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Method for multi-site calibration on unitary watershed system
CN105067072A (en) * 2015-07-27 2015-11-18 湖南大麓管道工程有限公司 Water-level rising early-warning system and method
KR101670920B1 (en) * 2016-04-20 2016-11-01 대한민국 Apparatus for providing heavy rain forecasting and warning and method thereof
WO2019013470A1 (en) * 2017-07-11 2019-01-1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Coastal pollution prevention method generation device for coping with marine pollution accidents, and method therefor
KR20190006794A (en) * 2017-07-11 2019-01-2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Coastline clean up method generation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for response to oil and hns(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 spill accidents at sea
KR20200046660A (en) * 2018-10-25 2020-05-07 주식회사 포드림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disaster safety and method thereof
KR20210052888A (en) * 2019-11-01 2021-05-11 노아에스앤씨 주식회사 System for selecting flood protection alternative and method for selecting optimal flood protection alternative
KR20210077228A (en) 2019-12-17 2021-06-25 (주)지오시스템리서치 Flooding Prediction System
KR20210077229A (en) 2019-12-17 2021-06-25 (주)지오시스템리서치 Typhoon Dismissal Prediction System Using Deep Learning Model
CN112380766A (en) * 2020-11-11 2021-02-19 广州市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Method, system,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for determining and displaying drainage basin waterlogging water volume
CN112380766B (en) * 2020-11-11 2024-01-30 广州市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Watershed waterlogging amount determining and displaying method, system,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2278683B1 (en) * 2020-11-26 2021-07-16 (주)헤르메시스 Apparatus for calculating a flood damage risk index, and method thereof
CN112508271A (en) * 2020-12-04 2021-03-16 张红岩 GIS-based territorial space planning optimization method and system
KR102297368B1 (en) * 2021-04-09 2021-09-03 주식회사 부린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ssessments and reports on the safety of public facilities in small rivers
CN113656870A (en) * 2021-08-11 2021-11-16 上海河口海岸科学研究中心 Method for determining optimal measurement time period of estuary artificial dredging channel examination water depth
KR102528035B1 (en) * 2021-12-09 2023-05-18 주식회사 유에프오에스트로넛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quality of golf course using superposition layering technique
CN115994686A (en) * 2022-11-21 2023-04-21 中国科学院地理科学与资源研究所 Multidimensional flood risk assessment method based on game theory combined weighting
KR102532636B1 (en) * 2022-11-29 2023-05-16 주식회사 지엔씨환경솔루션 Method of calculating the vulnerability index of water treatment facilities due to natural disast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5121B1 (en) 2013-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5121B1 (en) Flood prevention system based on GIS and method of the same
Yin et al. Multiple scenario analyses forecasting the confounding impacts of sea level rise and tides from storm induced coastal flooding in the city of Shanghai, China
Hawchar et al. A GIS-based framework for high-level climate change risk assessment of critical infrastructure
Loudyi et al. Flood risk management practices in Morocco: facts and challenges
Farid et al. Assessment of flood risk reduction in Bengawan Solo River: A case study of Sragen Regency
King et al. RiskScape New Zealand: A multihazard loss modelling tool
Chia et al. Flood resilience of urban river restoration projects: Case studies in Hong Kong
Chou et al. Identification and assessment of heavy rainfall–induced disaster potentials in Taipei City
Shiau et al. Physiographic drainage-inundation model based flooding vulnerability assessment
Dorji Adaptive human settlement planning for glacier lake outburst floods in Bhutan
Albu et al. GIS IMPLEMENTATION ON DAM-BREAK FLOOD VULNERABILITY ANALYSIS-A CASE STUDY OF CĂTĂMĂRĂȘTI DAM, BOTOȘANI, ROMANIA.
Herron et al. Climate change data and risk assessment methodologies for the Caribbean
Kewessa Evaluation of flood mitigation alternatives for flood prone area of upper awash sub-basin (upstream of Koka Dam) a master’s thesis
Torrieri et al. Spatial cost benefit analysis in flood risk management: Evidence from a case study in Italy
Wang et al. Design of integrated toolkit for coastal natural disaster risk assessment based on GIS technology
Cui et al. Disaster Risk Assessment
Koslan Comparative analysis of Houston, Texas and New York City, New York’s incorporation of climate adaptive strategies in long term disaster recovery plans after large-scale hurricanes
Muangthong et al. Flood Decision Support System with Emerged Multiple Data Resources and Technologies
Ming An integrated assessment framework for quantifying and forecasting water-related multi-hazard risk
Agarwal Modeling electric grid vulnerability induced by natural events using machine learning and geospatial analysis
Moon et al. Mitigating Urban Flood Hazards: Hybrid Strategy of Structural Measures
Ghimire Approach to multi-disaster risk assessment and policy recommendation for disaster resilient urban development: A study of Birgunj–Simara Corridor
Bloetscher Watershed Master Planning Tools to Support National Flood Insurance Program and Community Rating System Goals for Lowering Insurance Premiums for At-Risk Communities
Suarez Stochastic Methodology to Quantify Flood-Risk for Coastal and Inland Areas
Ramamurthy et al. Flood Risk Assessment, Mapping and Planning by Gis-Decision Support Systems: A Case Study in Kerala State, In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