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453U - 용기 이물질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용기 이물질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453U
KR20120000453U KR2020100007285U KR20100007285U KR20120000453U KR 20120000453 U KR20120000453 U KR 20120000453U KR 2020100007285 U KR2020100007285 U KR 2020100007285U KR 20100007285 U KR20100007285 U KR 20100007285U KR 20120000453 U KR20120000453 U KR 201200004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ter
container
matter inspection
information acquisi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72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희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1000072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0453U/ko
Publication of KR201200004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45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0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a container or its contents
    • G01N21/9018Dirt detection in contain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4Investigating contamination, e.g. du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튜브용기 내부를 검사할 수 있는 용기 이물질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바닥면에 지지되는 기체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만이 개방되어 튜브용기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갖는 이물질 검사 안내수단과, 이물질 검사 안내수단 상부의 임의 위치에 설치되고 튜브용기 내부의 이물질유무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획득수단과, 정보획득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정보획득수단으로부터 얻어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불량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있게 된다.

Description

용기 이물질 검사장치{FOREIGN MATTER INSPECTION APPARATUS FOR CONTAINER}
본 고안은 용기 이물질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약 등이 수납되는 용기 내부의 이물질유무를 검사하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줌으로써, 불량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있도록 한 용기 이물질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튜브용기는 치약, 화장품, 의약품, 세제류 등 점성을 갖는 각종 내용물을 효과적으로 수납하여 보관토록 하는 용기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튜브용기는 합성수지(폴리에틸렌)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외부에서 인위적으로 표면을 압착함으로써 내용물이 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튜브용기는 점성을 갖는 내용물을 주입한 후, 일련의 여러 공정을 거쳐 제품으로 완성되는 바, 내용물을 주입하기 전 튜브용기의 내부에 이물질이 들어있는 경우 주입되는 내용물과 혼합되어 불량품을 양산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튜브용기 내부를 일일이 소정의 확인장치를 통해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는 등의 이물질유무 확인작업을 수행하고는 있으나, 이물질유무 확인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정확한 확인작업을 수행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치약 등이 수납되는 용기 내부의 이물질유무를 검사하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줌으로써, 불량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있도록 한 용기 이물질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바닥면에 지지되는 기체; 상기 기체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만이 개방되어 튜브용기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갖는 이물질 검사 안내수단; 상기 이물질 검사 안내수단 상부의 임의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튜브용기 내부의 이물질유무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획득수단; 및 상기 정보획득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정보획득수단으로부터 얻어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용기 이물질 검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정보획득수단은 피사체를 촬영하여 가시화된 단층영상 또는 3차원 입체영상 등을 획득(capture)하는 SXGA 또는 UXGA급 고화질 BW카메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이물질 검사장치에 의하면, 치약 등이 수납되는 용기 내부의 이물질유무를 검사하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줌으로써, 불량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이물질 검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정보획득수단으로부터 획득된 튜브용기 내부의 이물질유무에 대한 정보의 전송과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이를 달성하는 본 고안의 구성 및 그의 작용효과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 의해서 좀 더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이물질 검사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110)와, 기체(110)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물질 검사 안내수단(120)과, 튜브용기(150) 내부의 이물질유무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획득수단(130)과, 디스플레이부(142)를 갖는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체(110)는 바닥면에 지지가능한 사각프레임 구조를 이루어 마련된다.
이물질 검사 안내수단(120)은 기체(110)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물질 검사 안내수단(120)은 상부만이 개방된 컵(Cup) 형태를 이루는 수납부(122)가 원형으로 배열되어 구비된다. 수납부(122)는 컵 형태 외에 상부가 개방된 박스(Box) 형태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납부(12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6개로 마련될 수 있고, 그 갯수를 달리하여 작업환경에 맞게 구비할 수도 있다.
정보획득수단(130)은 이물질 검사 안내수단(120)의 상부 임의 위치에 설치된다. 정보획득수단(130)의 설치위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검사 안내수단(120)을 구성하는 수납부(122)와 수직하는 방향의 상부에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정보획득수단(130)은 피사체(튜브용기의 내부)를 촬영하여 가시화된 단층영상 또는 3차원 입체영상 등을 획득(capture)하는 SXGA 또는 UXGA급 고화질 BW카메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정보획득수단(130)은 기존의 C-qm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고, IEEE 1394 방식을 채용하여 고화질의 단층영상 또는 3차원 입체영상 등을 획득할 수 있는 SXGA급 또는 UXGA급 등 다양한 BW카메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IEEE 1394 방식을 채용한 고성능
정보획득수단(130)은 안정적인 전송속도를 제공(예를 들어, 기본적으로 100Mbps, 200Mbps, 400Mbps 등의 전송속도를 제공)할 수 있고, 별도의 호스트 컨트롤러가 필요없게 된다.
또한, 정보획득수단(130)은 연결된 다른 기기의 전원이 꺼지더라도 전원이 차단되는 일이 없으며, 순차적으로 획득되는 튜브용기(150) 내부의 이물질유무 정보를 실시간으로 연속적인 전송이 가능하고, 디지탈 데이터를 아날로그로 바꿀 필요가 없는 디지탈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는 등의 탁월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기체(110)의 일측에 위치하여 정보획득수단(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된다.
제어부(140)는 이물질 검사 안내수단(120)의 회전정도를 제어할 수 있고, 정보획득수단(130)의 정보획득방식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에는 정보획득수단(130)에 의해 얻어진 튜브용기(150) 내부의 이물질유무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주는 디스플레이부(142)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이물질 검사장치(100)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체(110)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이물질 검사 안내수단(120)의 수납부(122)에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내용물이 주입되지 않은 튜브용기(150)를 수납한다.
이 후, 이물질 검사 안내수단(120)을 회전시켜 수납부(12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다음, 수납부(122)와 수직하는 방향에 설치된 정보획득수단(130)을 통해 튜브용기(150) 내부를 촬영하여 제어부(140) 측으로 전송시킨다.
이와 같이, 제어부(140)측으로 전송되어진 튜브용기(150) 내부의 이물질유무 정보는 제어부(140) 측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부(142)를 통해 표시되는 데, 이를 통해, 이물질이 들어있는 튜브용기(150)를 제거하여 불량율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원 고안의 권리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원 고안이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는 본원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내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용기 이물질 검사장치, 110 : 기체,
120 : 이물질 검사 안내수단, 122 : 수납부,
130 : 정보획득수단, 140 : 제어부,
142 : 디스플레이부, 150 : 튜브용기.

Claims (2)

  1. 바닥면에 지지되는 기체;
    상기 기체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만이 개방되어 튜브용기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갖는 이물질 검사 안내수단;
    상기 이물질 검사 안내수단 상부의 임의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튜브용기 내부의 이물질유무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획득수단; 및
    상기 정보획득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정보획득수단으로부터 얻어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용기 이물질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획득수단은 피사체를 촬영하여 가시화된 단층영상 또는 3차원 입체영상 등을 획득(capture)하는 SXGA 또는 UXGA급 고화질 BW카메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이물질 검사장치.
KR2020100007285U 2010-07-09 2010-07-09 용기 이물질 검사장치 KR2012000045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285U KR20120000453U (ko) 2010-07-09 2010-07-09 용기 이물질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285U KR20120000453U (ko) 2010-07-09 2010-07-09 용기 이물질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453U true KR20120000453U (ko) 2012-01-17

Family

ID=45843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7285U KR20120000453U (ko) 2010-07-09 2010-07-09 용기 이물질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0453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9947A (ko) 2016-11-04 2018-05-14 (주)아모레퍼시픽 용기 내부의 이물질 검사 장치
KR102049554B1 (ko) 2018-10-12 2019-11-27 박찬종 열교환기의 튜브시트 세정용 초소형 내시경 장치
KR102162126B1 (ko) 2019-11-27 2020-10-06 유동현 증기발생기의 튜브시트용 검사 장치
CN111795976A (zh) * 2020-06-30 2020-10-20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四十一研究所 一种基于机器视觉技术的软管包装空管异物在线检测装置及方法
KR102570728B1 (ko) 2022-12-23 2023-08-25 곽필규 투명용기 내의 이물질 검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9947A (ko) 2016-11-04 2018-05-14 (주)아모레퍼시픽 용기 내부의 이물질 검사 장치
KR102049554B1 (ko) 2018-10-12 2019-11-27 박찬종 열교환기의 튜브시트 세정용 초소형 내시경 장치
KR102162126B1 (ko) 2019-11-27 2020-10-06 유동현 증기발생기의 튜브시트용 검사 장치
CN111795976A (zh) * 2020-06-30 2020-10-20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四十一研究所 一种基于机器视觉技术的软管包装空管异物在线检测装置及方法
KR102570728B1 (ko) 2022-12-23 2023-08-25 곽필규 투명용기 내의 이물질 검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0453U (ko) 용기 이물질 검사장치
JP5918508B2 (ja) 液相中の固形物検出用の装置および方法
CN105827954A (zh) 用于容器的图像获取装置及图像处理系统
EP2395765A3 (en)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stereoscopic image display program,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stereoscopic image display system, and stereoscopic image display method
CN105652330A (zh) 便携式背散射成像检查设备及成像方法
EP2369424A3 (en) Toner Replenish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oner Replenishing Device
EP1024455A3 (en) Method and device of synthesizing panorama image from ultrasonic images
EP2068271A3 (en) Detection of an object in an image
CN112149658B (zh) 目标物尺寸确定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5751866B2 (ja) 容器内充填物検査装置、及び充填物充填装置
JPS62220844A (ja) 異物検査装置
CN206505030U (zh) 一种汽车冲压自动线检测装置
JP5499289B1 (ja) キャップ検査装置
CN108259731A (zh) 一种自动变焦的相机装置、系统及方法
EP2680225A3 (en) Diagnosis imaging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07960833A (zh) 储物装置和烹饪器具
AU2019446366A1 (en) Commodity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US20100008566A1 (en) 3D model reconstruction acquisition based on images of incremental or decremental liquid level
CN203838140U (zh) 一种六氟化硫气体的毒性试验装置
CN205449836U (zh) 便携式背散射成像检查设备
CN109632653B (zh) 基于摄像头的血浆乳糜和溶血检测装置及方法
JP4508848B2 (ja) 異物検出方法
EP2769176A1 (en) Optical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a complexly formed object
CN206975041U (zh) 基于图像cmos传感器的胶体金免疫分析装置
CN207439945U (zh) 一种试纸检测装置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