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297A - Method for controlling a device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a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297A
KR20120000297A KR1020100060592A KR20100060592A KR20120000297A KR 20120000297 A KR20120000297 A KR 20120000297A KR 1020100060592 A KR1020100060592 A KR 1020100060592A KR 20100060592 A KR20100060592 A KR 20100060592A KR 20120000297 A KR20120000297 A KR 20120000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storage
information
time
time inter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5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33487B1 (en
Inventor
정신재
권용태
김양환
이훈봉
차주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0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3487B1/en
Priority to PCT/KR2011/004640 priority patent/WO2011162576A2/en
Priority to EP20110798411 priority patent/EP2587729B1/en
Priority to US13/806,924 priority patent/US9836803B2/en
Publication of KR20120000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2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4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56Special tariff meters
    • G01R11/64Maximum meters, e.g. tariff for a period is based on maximum demand within that perio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6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power transmission l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Abstract

PURPOSE: A device control method is provided to identify electric power information and compare a battery charging cost with a predetermined cost, thereby saving electric charges. CONSTITUTION: An on-peak time interval and off-peak time interval are recognized(S10). A battery charging cost of a battery charging time interval and a predetermined cost are compared(S20). A battery charging process is performed during the battery charging time interval when the battery charging cost is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cost(S30). A battery charging starting time of the battery charging time interval is included in the on-peak time interval. A battery charging finishing time of the battery charging time interval is included in the off-peak time interval.

Description

디바이스의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a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a device

본 발명은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전력을 사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 device that can save electricity costs and can efficiently use electric power.

현재 가정에서 사용되는 전기제품 또는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사무기기 등과 같은 전기제품을 위한 전력망은 일반적으로 전력발전소, 송전선로 및 배선선로의 순서를 통하여 공급되는 것이 특징이다. Currently, power grids for electrical appliances such as electrical appliances used in homes or office equipment used in offices are generally supplied in the order of power plants, transmission lines, and wiring lines.

상기 전력망은 분산전원이 아닌 중앙전원의 성격을 가지며, 나아가 중앙에서 주변부로 퍼져나가는 방사형구조이고, 수요자 중심이 아닌 일방향의 공급자 중심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The power grid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central power source, not a distributed power source, and further has a radial structure that spreads from the center to the periphery, and is characterized by being a supplier center in one direction rather than a consumer center.

또한, 그 기술기반은 아날로그 또는 전자기계적이다. 그런데, 전술한 전력망은 사용 전력에 대한 가격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전력거래소를 통하여 제한적으로만 알 수 있었다. 또한, 가격제도 사실상의 고정가격제이기 때문에 가격변화를 통한 수요자에 대한 인센티브와 같은 유인책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The technology base is also analogue or electromechanical. However, the above-described electric power grid was not able to know the price information on the power used in real time, but was limited only through the power exchange. In addition, since the price system is actually a fixed price system, there is a problem that incentives such as incentives to consumers through price changes cannot be us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에너지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차세대 전력망, 소위 "지능형 전력망(Smart Grid, 지능형 전력망)"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중이다. 지능형 전력망이라 함은 현대화된 전력기술과 정보통신 기술의 융합과 복합을 통하여 구현된 차세대 전력시스템 및 이의 관리체제를 의미한다.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nd improve the energy efficiency, research on the next generation power grid, a so-called "Smart Grid" (Intelligent Power Grid), is being actively conducted. The intelligent power grid refers to the next generation power system and its management system, which are realized through the convergence and complex of modern power technology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의 전력망은 중앙에 집중되어 생산자가 통제하는 수직적, 중앙 집중적인 네트워크인 반면에, 지능형 전력망은 수요자에게 더 집중되어 있고, 수요자와 공급자 간의 상호작용을 가능케 해주는 수평적, 협력적, 분산적 네트워크이다. As mentioned above, the current grid is a centralized, vertical and centralized network controlled by the producer, whereas the intelligent grid is more focused on the consumer and horizontal, cooperative to enable interaction between the consumer and the supplier. Enemy, distributed network.

그런데, 지능형 전력망이 전력수요자 입장에서 구현되기 위해서는 하나 이상의 가전기기가 연결되는 네트워크가 일방적으로 전력을 받기만 하는 것에서 벗어나서 전력공급원과 전력정보에 관하여 양방향 통신을 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있다. However, in order for an intelligent power grid to be implemented from a power consumer's point of view, there is a necessity for two-way communication regarding a power supply source and power information, instead of unilaterally receiving power from a network to which one or more home appliances are connected.

또한, 전기제품을 포함하는 각 종 디바이스 사용 시 실시간으로 전기요금을 판단하고, 전기요금이 높은 시간대인 경우에는 디바이스의 사용을 자제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미리 축전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에너지 및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In addition, when using a variety of devices including electrical appliances in real time to determine the electricity bill, when the time is a high electricity rate to induce the use of the device, and by using the energy stored in advance effectively by using energy and There is a growing need for a method of controlling a device that can save on electricity costs.

본 발명은 특정 시간에 따라 전력정보가 변동되는 전력망 하에서, 상기 전력정보를 인식하고, 축전 비용과 소정 금액을 비교하여 축전 여부를 전기요금을 절약하고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 method of a device that recognizes the power information and compares the power storage cost with a predetermined amount in a power grid in which the power information is changed according to a specific time, thereby saving electricity charges for power storage and efficiently using power. The task is to solve the problem.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기요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정보가 소정값을 초과하는 온피크 시간구간과 상기 소정값 이하가 되는 오프 피크 시간구간을 인식하는 단계; 축전 시간 구간의 축전 비용과 소정 금액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축전 비용이 소정 금액 이하인 경우에 축전 시간 구간 동안 축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r more power information including the electricity bill is recognized on-peak time intervals exceeding a predetermined value and off-peak time intervals that fall below the predetermined value Making; Comparing a power storage cost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f power storage time intervals; And performing power storage during a power storage time interval when the power storage cost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amount.

또한, 상기 축전 시간 구간은 축전 개시 시각과 축전 종료 시각이 모두 오프 피크 시간구간에 속하는 시간 구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storage time interval may be a time interval in which both the power storage start time and the power storage end time belong to the off peak time period.

또한, 상기 축전 시간 구간은 축전 개시 시각이 온 피크 시간구간에 속하고, 축전 종료 시각이 오프 피크 시간구간에 속하는 시간 구간일 수 있다.The power storage time interval may be a time interval in which the power storage start time belongs to an on peak time period and the power storage end time belongs to an off peak time period.

또한, 상기 축전 시간 구간은 축전 개시 시각이 오프 피크 시간구간에 속하고, 축전 종료 시각이 온 피크 시간구간에 속하는 시간 구간일 수 있다.The power storage time interval may be a time interval in which the power storage start time belongs to an off peak time period and the power storage end time belongs to an on peak time period.

또한, 상기 축전 시간 구간은 축전 개시 시각과 축전 종료 시각이 모두 온 피크 시간구간에 속하는 시간 구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storage time interval may be a time interval belonging to a peak time period in which both a power storage start time and a power storage end time are on.

또한, 상기 전력정보는 전기요금, 전기요금의 변화율, 전력량, 전력량의 변화율, 전기요금의 평균값 및 전력량의 평균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electric charge, a change rate of an electric charge, an amount of electricity, a change rate of an electric charge, an average value of an electric charge, and an average value of an electric power.

또한, 상기 전력정보는 계통 전원의 전력 정보 및 분산 전원의 전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information may include power information of a system power source and power information of a distributed power source.

또한, 상기 분산 전원의 전력 정보는 기후 정보 및 분산 전원의 운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information of the distributed power supply may include climate information and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distributed power supply.

또한, 상기 소정값은 소정 시간 구간 동안의 전력정보의 산술 평균값, 이동 평균값, 가중 평균값 및 소정 시간 구간 동안의 전력정보의 변화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valu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rithmetic mean value, a moving average value, a weighted average value, and a rate of change of power information during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또한, 상기 소정값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디바이스의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통하여 산정되거나, 상기 전력정보를 제공하는 전력공급원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value may be set by a user, calculated through a microcomputer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device, or provided by a power supply source providing the power information.

또한, 상기 소정금액은 축전 허용 금액, 특정 디바이스의 구동 예정 시간, 소비전력량 및 상기 디바이스의 구동 예정 시간이 포함되는 시간 구간의 전력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근거로 결정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amount of money may be determined based on at least one or more of power storage allowance, predetermined driving time of a specific device, power consumption amount, and power information of a time interval including driving scheduled time of the device.

또한, 상기 소정금액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디바이스의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통하여 산정되거나, 상기 전력정보를 제공하는 전력공급원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amount may be set by a user, calculated through a microcomputer controlling the driving of a device, or provided by a power supply source providing the power information.

또한, 상기 온 피크 시간구간과 오프 피크 시간구간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상기 전력정보와 상기 디바이스에 설정된 상기 소정값을 비교함으로써 인식되거나, 상기 디바이스 외부에서 제공되는 온 피크 시간구간과 오프 피크 시간구간의 정보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recognizing the on-peak time period and the off-peak time period, the on-peak time period is recognized by comparing the power information provided to the device and the predetermined value set in the device, or provided outside the device It can be recognized by the information of the and off-peak time period.

또한, 상기 축전을 수행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 또는 마이컴에 의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storage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by a user input or a microcomputer.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계통 전원의 전기요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계통 전력정보 및 및 분산 전원의 전기 요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분산 전력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계통 전원 또는 분산 전원을 통한 축전 시간 구간의 축전 비용과 소정 금액을 비교하는 단계; 및 어느 한 전원을 이용한 축전 비용이 소정 금액 이하인 경우에 축전 시간 구간 동안 축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step of recognizing one or more system power information including the electricity bill of the system power source and one or more distributed power information including the electricity bill of the distributed power source; Comparing the power storage cost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f power storage time intervals through the system power or distributed power supply; And performing power storage during a power storage time interval when the power storage cost using any power source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amount.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특정 시간에 따라 전력정보가 변동되는 전력망 하에서, 상기 전력정보를 인식하고, 축전 비용과 소정 금액을 비교하여 축전 여부를 전기요금을 절약하고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der the power grid that the power information is changed according to a specific time, the power information is recognized, and whether the power storage by comparing the power storage cost with a predetermined amount It can save electricity bill and use electricity efficiently.

도 1은 지능형 전력망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에너지관리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어블록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특정 시간에 따라 변동되는 전기요금과 축전 시간 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들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ntelligent power grid.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ower supply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power supply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a power supply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tro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9 are graphs for explaining an electric charge and a power storage time interval that change according to a specific time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스마트 그리드의 개략도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 그리드는 화력발전이나 원자력발전 또는 수력발전을 통하여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소와, 신재생에너지인 태양광 또는 풍력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소와 풍력발전소를 포함한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mart grid, a smart grid includes a power plant that generates power through thermal power, nuclear power or hydropower, and a solar power plant and a wind power plant using solar or wind power as renewable energy. .

그리고, 상기 화력발전 또는 원자력발전소 또는 수력발전소는 송전선을 통하여 전력소로 전력을 보내고, 전력소에서는 변전소로 전기를 보내어 전기가 가정이나 사무실 같은 수요처로 분배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thermal power plant or nuclear power plant or hydroelectric power station transmits power to a power station through a transmission line, and the power station sends electricity to a substation so that the electricity is distributed to a demand destination such as a home or an office.

그리고, 신재생 에너지에 의하여 생산된 전기도 변전소로 보내져 각 수요처로 분배되도록 한다. 그리고, 변전소에서 송전된 전기는 전력저장장치를 거쳐서 삼무실이나 각 가정으로 분배된다.The electricity produced by the renewable energy is also sent to substations to be distributed to each customer. The electricity transmitted from the substation is distributed to the office or each household via the power storage device.

가정용 전력네트워크(HAN, Home Area Network)를 사용하는 가정에서도 태양광이나 PHEV(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Plug in Hybrid Electric Vehicle)에 장착된 연료전지를 통하여 전기를 자체적으로 생산하여 전기를 자체공급할 수 있고, 남는 전기는 외부에 되팔수도 있다. Even in homes that use the Home Area Network (HAN), it is possible to supply electricity by producing electricity by itself through fuel cells mounted on solar power or PHEV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The remaining electricity can also be sold outside.

그리고, 사무실이나 가정에는 스마트 계측장치가 마련되어서 각 수요처에서 사용되는 전력 및 전기요금을 실시간을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현재 사용되는 전력량 및 전기요금을 인지하여 상황에 따라 전력소모량이나 전기요금을 줄이는 방안을 강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measur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office or home to identify the real-time power and electricity bills used at each demand source. Through this, the user recognizes the amount of electricity and the electricity bill currently used, and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e power consumption or the electricity bill according to the situation. Measures to reduce the

한편, 상기 발전소, 전력소, 저장장치 및 수요처는 양방향 통신이 되기 때문에 수요처에서 일방적으로 전기를 받도록 하는 것만을 떠나서, 수요처의 상황을 저장장치, 전력소, 발전소로 통지함으로써 수요처의 상황에 맞게 전기 생산 및 전기분배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power plant, power station, storage device and the source of demand ar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only the unilaterally receive electricity from the source of demand, and notify the storage, power station, and power plant of the demand source to produce electricity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source of demand. Electric distribution can be performed.

한편, 상기 스마트 그리드에서는 수요처의 실시간 전력관리 및 소요전력의 실시간 예측을 담당하는 에너지관리장치(EMS, Energy Management System) 및 전력의 소모량을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계측장치(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가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Meanwhile, in the smart grid, an energy management system (EMS), which is responsible for real-time power management and real-time prediction of power consumption, and an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MI), which measures power consumption in real time, are pivotal. Play the role of person.

여기서 스마트 그리드 하에서의 계측장치는 오픈 아키텍쳐를 근거로 하여 소비자를 통합하려는 기반기술로서 소비자에게는 전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전력공급자에게는 시스템상의 문제를 탐지하여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한다. Here, the measuring device under the smart grid is a basic technology for integrating consumers on the basis of open architecture, and provides consumers with the ability to efficiently use electricity, and provides power providers with the ability to operate the system efficiently by detecting problems in the system. do.

여기서, 오픈아키텍쳐란 일반적인 통신망과는 달리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에서 전기기구가 어느 제조업체에서 제조되었는지 상관없이 모든 전기기구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기준을 의미한다. Here, the open architecture, unlike a general communication network, refers to a standard that allows all electric device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regardless of which manufacturer the electric device is manufactured in a smart grid system.

따라서, 상기 스마트 그리드에서 사용되는 계측장치는 "가격 대 장치(Prices to Devices)" 와 같은 소비자 친화적인 효율성 개념을 가능케 한다. Thus, the instrumentation used in the smart grid enables a consumer friendly efficiency concept such as "Prices to Devices."

즉, 전력시장의 실시간 가격신호가 각 가정에 설치된 에너지관리장치(EMS)를 통하여 중계되며, 에너지관리장치(EMS)는 각 전기장치와 통신을 하며 이를 제어하므로 사용자는 에너지관리장치(EMS)를 보고 각 전기장치의 전력정보를 인식하고 이를 기초로 소모전력량이나 전기요금 한계설정 등과 같은 전력정보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에너지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That is, the real-time price signal of the electric power market is relayed through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installed in each home, and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communicates with and controls each electric device so that the user can control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By recognizing the power information of each electric device and performing the power information processing such as the amount of power consumption or the electric charge limit setting based on the power information, energy and cost can be saved.

여기서 에너지관리장치(EMS)는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사용되는 로컬에너지관리장치(EMS)와, 상기 로컬에너지관리장치(EMS)와 양방향 통신을 하여 로컬에너지관리장치(EMS)에서 취합된 정보를 처리하는 중앙에너지관리장치(EMS)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is a local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used in the office or at home, and the local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by performing bidirectional communication to process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local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It is preferably composed of a central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스마트 그리드에서 공급자와 수요자간의 전력정보에 관한 실시간 통신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실시간 전력망 반응"을 현실화 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서, 피크 수요(peak demand)를 맞추는데 소요되는 높은 비용을 줄일 수 있다. The smart grid enables real-time communication of power information between suppliers and consumers, enabling "real-time grid response" to be realized, thereby reducing the high cost of meeting peak demand.

도 2는 스마트 그리드의 주요 수요처인 가정에서의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10)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10)은 각 가정에 공급되는 전력 및 전기요금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계측장치(스마트미터)(20)와, 상기 계측장치(스마트미터)(20)와 연결되며 가전장치와 같은 복수개의 전기장치와 연결되고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에너지관리장치(EMS)(30)을 구비한다.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supply network system 10 in a home, which is a major demand source of a smart grid, and the power supply network system 10 may measure in real time the power and electricity rates supplied to each home. An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30 connected to a device (smart meter) 20 and the measurement device (smart meter) 20 and connected to a plurality of electrical devices such as a home appliance and controlling their operation Equipped.

여기서,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30)는 현재의 전기 소모상태 및 외부의 환경(온도, 습도)를 표시하는 화면(31)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입력버튼(32) 등을 구비한 단말기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30 has a screen 31 for displaying the current state of electricity consumption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temperature, humidity), and provides an input button 32 or the like which can be operated by a user. It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form of a terminal provided.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는 다시 가정 내부의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냉장고(101), 세탁기 및 건조기(102), 에어컨(103), TV(105) 또는 조리기기(104)와 같은 전기제품과 연결되어, 이들과 양방향 통신을 하게 된다.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is connected to electrical appliances such as the refrigerator 101, the washing machine and the dryer 102, the air conditioner 103, the TV 105 or the cooking appliance 104 through the home network. The two side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이러한 통신은 무선 또는 PLC와 같은 유선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Such communication may be via wireless or wired, such as a PLC.

그리고, 각 전기제품들도 다른 전기제품들과 연결되어 통신이 가능해지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lectrical appliances are arranged to be connected to other electrical appliances so that communication is possible.

한편, 상기 전기제품들에는 필요한 경우 각각의 전기제품에 단독으로 또는 전체 전기제품에 공용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축전지(200~205)가 연결되어 있으며, 각 축전지는 상호간에 연결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electrical appliances are connected to the storage battery 200 to 205 that can supply power to each electrical product alone or in common to the entire electrical product, if necessary, each battery is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축전지(200~205)는 외부의 전력을 공급받아서 축전을 한 후 필요할 때 전력을 전기제품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The storage batteries 200 to 205 serve to supply electricity to electric products when necessary after power storage by receiving external power.

도 3은 본 발명의 에너지관리장치(EMS)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는 터치패널(33)을 구비한 단말기 형태를 띠고 있다. FIG. 3 shows an embodiment of an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takes the form of a terminal having a touch panel 33.

상기 터치패널(33)에는 현재 전기사용량, 및 전기요금, 그리고 누적된 히스토리에 의하여 예상되는 예상요금 및 이산화 탄소 발생량과 같은 금일의 에너지 정보와, 현재 시간 구간의 전기요금 및, 다음 시간구간의 전기요금 그리고, 전기요금이 변하는 시간대를 포함하는 실시간 에너지 정보 및 날씨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31)이 표시된다. The touch panel 33 includes current energy information such as current electricity consumption, electricity charges, and estimated charges and carbon dioxide generation amount estimated by accumulated history, electricity charges of the current time interval, and electricity of the next time interval. A screen 31 is displayed in which real-time energy information and weather information including a time period in which the rate and the electricity rate change are displayed.

그리고, 터치패널의 화면(31)은 각 전기제품의 시간대별 전력소모량 및 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포함하며, 상기 각 전기제품에 연결된 축전지 또는 공용축전지에 축전된 축전량을 인식하기 용이한 그래프도 포함하고 있다.In addition, the screen 31 of the touch panel includes a graph showing a power consumption amount and a change in time of each electrical appliance, and a graph for easily recognizing the electrical storage stored in a storage battery or a common storage battery connected to each electrical appliance. It is included.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각 축전량이 충분한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This allows the user to easily determine whether or not each power storage amount is sufficient.

한편, 이러한 화면(31)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전기제품의 동작 등을 설정할 수 있는 버튼부(32)가 마련된다.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screen 31 is provided with a button unit 32 that allows the user to set the operation, etc. of the electrical appliance as needed.

이러한 버튼부(32)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자기가 사용하고자하는 전력량 또는 전기요금의 한계를 설정할 수 있고, 이러한 설정에 따라 에너지관리장치(EMS)(30)는 각 전기제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By using the button unit 32, the user can set a limit of the amount of electricity or electricity bill that he or she wants to use, and according to this setting,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3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electric product. Will be.

도 4는 스마트 그리드 하에서의 전력공급원과, 가정 내의 전기제품에 대한 전력공급을 담당하는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 4 show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power supply network system that is in charge of power supply for a power supply under a smart grid and electrical appliances in a home.

여기서, 전력공급원은 일반적인 발전장비(화력, 원자력, 수력)을 구비하거나 신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 지열)등을 이용한 발전장비등을 구비한 전력회사(50)가 될 수 있고 , 또한, 각 가정에 구비될 수 있는 자가 태양광발전시설(51)과, 차량에 구비될 수 있는 연료전지(52)를 포함하고 있다.Here, the power supply source may be a power company 50 having general power generation equipment (fire power, nuclear power, hydropower) or power generation equipment using renewable energy (solar, wind, geothermal) and the like. It includes a self-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y 51 that can be provided in each home, and a fuel cell 52 that can be provided in a vehicle.

이러한 전력공급원은 상기 계측장치(스마트미터)(20)와 연결되고, 상기 계측장치(스마트미터)(20)는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30)와 연결된다.This power supply source is connected to the measuring device (smart meter) 20, the measuring device (smart meter) 20 is connected to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30).

여기서,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30)의 구성을 보면, 제어부(35) 및 입력부(38), 통신부(34), 표시부(39)를 포함하고 있다. Here, the configuration of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30, the control unit 35, the input unit 38, the communication unit 34, the display unit 39 is included.

상기 통신부(34)는 가정내의 전기제품, 즉, 냉장고(101), 세탁기 또는 건조기(102), 그리고, 공기조화기(103), 조리기기(104) 등과 통신을 하며, 이들의 전력정보 및 구동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The communication unit 34 communicates with electrical appliances in a home, that is, a refrigerator 101, a washing machine or a dryer 102, an air conditioner 103, a cooking appliance 104, and the like, and power information and driving thereof. It is responsib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제어부(35)는 상기 입력부(38)에 의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정보 및 기존에 누적된 전기제품의 동작 및 전력사용 히스토리 정보, 그리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량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이들 정보를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전기제품들의 동작을 제어하고, 이들 전기제품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5 grasps the setting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by the input unit 38, the operation and power usage history information of the existing electric products, and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in real time, and obtains these information. Processing in real time controls the operation of electrical appliances and controls the power supplied to these electrical appliances.

그리고, 상기 각 전기제품에는 축전지(201~204)가 마련되고, 각각의 축전지는 다른 축전지와 연결된다. 한편, 전력수요처, 즉 댁내의 전력네트워크 자체에는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공용축전지(200)가 연결된다. And, each of the electrical appliances is provided with a battery 201 ~ 204, each battery is connected to another battery. On the other hand, a common storage battery 200 that can be used in common is connected to the power demand, that is, the power network itself in the home.

상기 공용축전지(200)는 각 전기제품에 연결된 축전지(201~204)에 비하여 축전용량이 크고, 각 전기제품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즉, 각 전기제품에 연결된 축전지(201~204)는 해당 전기제품에 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나, 상기 공용축전지(200)는 전력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모든 전기제품에 전력을 공할 수 있는 것이다. The common storage battery 200 has a larger capacity than the storage batteries 201 to 204 connected to each electrical product, and functions to supply power to each electrical product. That is, the storage batteries 201 to 204 connected to each electrical appliance serve to provide power to the electrical appliances, but the common storage battery 200 may supply power to all electrical appliances connected to the power network.

상기 공용축전지(200) 및 상기 축전지(201~204)들은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30)의 통신부(34)와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The common storage battery 200 and the storage batteries 201 to 204 may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unit 34 of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30.

상기 공용축전지(200) 및 상기 축전지(201~204)에는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30)의 제어부(35)의 축전명령에 따라서 전기가 축전된다. Electricity is stored in the common storage battery 200 and the storage batteries 201 to 204 according to a power storage command of the control unit 35 of 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EMS) 30.

또한, 상기 공용축전지(200) 및 상기 축전지(201~204)들은 상기 제어부(35)의 제어명령에 따라 축전된 전력을 각각의 축전지가 연결된 전기제품에 공급하거나 다른 전기제품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mon storage battery 200 and the storage batteries 201 to 204 may supply power stored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ler 35 to an electrical product to which each storage battery is connected or to supply other electrical products. .

그러나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제품 중 냉장고(101)와 같이, 24시간 계속 동작되어야 하는 전기제품 내부에 에너지관리장치(EMS)(30)를 마련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However, as shown in FIG. 5, it is also conceivable to provide an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30 in the electrical appliance, such as the refrigerator 101, which should be operated continuously for 24 hours.

이러한 특성을 갖는 전기제품의 제어부(101a) 및 축전지(201)와 별도로 에너지 관리장치(EMS)(30)의 제어부(35), 통신부(34), 입력부(38), 표시부(39)를 마련하여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30)에 의하여 모든 전기제품의 동작신호 및 전력정보가 송수신되고 처리되도록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A control unit 35, a communication unit 34, an input unit 38, and a display unit 39 of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30 ar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101a and the storage battery 201 of the electrical appliance having such characteristics. It is also conceivable for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30 to transmit and receive operating signals and power information of all electrical appliances.

위와 같은 에너지 관리장치(EMS)(30)의 위치를 제외하고는 그 동작은 도4에서 이루어지는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겠다. Except for the location of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30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operation is the same as in FIG. 4,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서 상기 공용축전지(200) 및 각 전기제품에 연결된 축전지(201~204), 그리고 이들의 축전을 위하여 사용되는 에너지관리장치(EMS)(20, 그리고 상기 축전지(201~204)가 연결되는 전기제품을 통칭하여 디바이스(Device)라고 하겠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on storage battery 200 and the storage batteries 201 to 204 connected to each electric product, and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20 used for their storage, and the storage batteries 201 to 204 are connected Collectively, electrical appliances will be called devices.

따라서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이라고 하면, 축전을 위하여 축전명령을 내리는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20) 이거나 또는 각 전기제품의 제어방법일 수도 있고, 아니면 독립적으로 축전을 수행하는 상기 공용축전지(200) 또는 상기 각 전기제품에 연결되는 축전지(201~204)의 제어방법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Therefore, the control method of the device may be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20 that issues power storage commands for power storage, or may be a control method of each electric product, or the common storage battery 200 that independently performs power storage. Alternatively, the method may be interpreted as a control method of the storage batteries 201 to 204 connected to each electric product.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어블록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특정 시간에 따라 변동되는 전기요금과 축전 시간 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들이다.6 is a contro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7 to 9 are graphs for explaining an electric charge and a power storage time interval that vary according to a specific time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은 전기요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정보가 소정값을 초과하는 온피크 시간구간과 상기 소정값 이하가 되는 오프 피크 시간구간을 인식하는 단계(S10)와 축전 시간 구간의 축전 비용과 소정 금액을 비교하는 단계(S20, 30) 및 상기 축전 비용이 소정 금액 이하인 경우에 축전 시간 구간 동안 축전을 수행하는 단계(S40, 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the method for controlling 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n-peak time period in which at least one or more power information including an electric charge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and an off-peak time interval in which the predetermined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value. Recognizing the step (S10) and the step of comparing the power storage cost and the predetermined amount of power storage time interval (S20, 30) and the step of performing power storage during the power storage time interval when the power storage cost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amount (S40, 50) It includes.

여기서, 상기 전력정보는 전기요금, 전력량, 전기요금의 변화율, 전력량의 변화율, 전기요금의 평균값 및 전력량의 평균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력공급자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ower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an electric charge, an amount of electricity, a rate of change of the rate of electricity, a rate of change of the amount of electricity, an average value of the rate of electricity and an average value of the amount of electricity, and may be provided by a power supplier.

또한, 상기 전력정보는 계통 전원의 전력정보 및 신재생 에너지와 같은 분산 전원의 전력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분산 전원의 전력 정보는 기후 정보 및 분산 전원의 운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산 전원의 운전 정보라 함은 기후 정보를 반영하여, 전력 생산량, 발전비용 및 전기요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전기요금의 정도에 따라 계통 전원 및 분산 전원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축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information may include power information of a distributed power source such as power information of the grid power supply and renewable energy, and the power information of the distributed power supply may include climate information and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distributed power supply. Here,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distributed power supply may include at least one of power generation amount, power generation cost, and electricity rate by reflecting climate information. That is, power storage can be performed by selectively using a grid power supply and a distributed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degree of electric charge.

또한, 상기 인식하는 단계(S10)는 전력 정보를 수집, 획득하는 단계(S11) 및 수집, 획득된 전력 정보를 가공 또는 판단(S12)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recognizing (S10) may include collecting and obtaining power information (S11) and processing or determining (S12) the collected and obtained power information.

또한, 전력정보를 수집, 획득하는 단계는 전력정보를 전력공급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collecting and acquiring power information may include receiving power information from a power supplier.

또한, 전력정보를 가공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가공되거나, 전력공급자에 의해 가공될 수 있으며, 디바이스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콤에서 산정될 수도 있고, 전술한 에너지 관리 장치에서 산정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processing the power information may be processed by the user, or may be processed by the power supplier, may be calculated in the microcompute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evice, may be calculated in the above-described energy management device.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온 피크 시간 구간과 오프 피크 시간 구간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상기 전력정보와 상기 디바이스에 설정된 상기 소정값을 비교함으로써 인식되거나, 상기 디바이스의 외부에서 제공되는 온 피크 시간 구간과 오프 피크 시간 구간의 정보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7, the step of recognizing the on peak time period and the off peak time period may be recognized by comparing the power information provided to the device with the predetermined value set in the device, or external to the device. It may be recognized by the information of the on peak time interval and the off peak time interval provided by the.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과 관련된 지능형 전력망에서는 예를 들어, 특정 일, 특정 주 또는 특정 월을 주기로 전기요금이 변동될 수 있으며, 특히, 특정 일에서도 특정 시간에 따라 전기요금이 변동되며, 예를 들어, 전력 사용량이 많은 온 피크 시간(On Peak Time) 구간에서는 전력 사용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오프 피크 시간(Off Peak Time) 구간에 비하여 전기요금이 비싸게 책정된다.Referring to FIG. 7, in the intelligent power gr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n electric charge may be changed at a specific day, a specific week, or a specific month, and in particular, the electric charg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 specific time on a specific day. For example, in an On Peak Time section in which power consumption is high, an electric charge is set higher than in an Off Peak Time section in which power consumption is relatively low.

또한, 지능형 전력망 하에서 전력 공급자는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으로 구분되는 각 시간 구간에 대한 전기요금 정보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under the intelligent power grid, the power provider may supply the user with electricity rate information for each time interval divided by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여기서, 전기요금 정보는 현재 시각이 포함되는 시간 구간 이후의 전기 요금정보까지 미리 알 수 있는 스케쥴 정보 형태 또는 현재 시각이 포함되는 시간 구간의 전기 요금정보만 알 수 있고, 이후 시간 구간의 전기요금 정보는 해당 시간 구간에서만 알 수 있는 실시간 정보 형태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전자는 현재 시각에서 이후 구간의 전기요금정보를 미리 알 수 있으므로 예측이 용이하고, 후자는 현재 시각에서 이후 구간의 전기요금정보를 알 수 없으므로 예측이 어렵다는 차이를 갖는다.Here, the electricity rate information may be known only in the form of schedule information that can be known in advance to the electricity rate information after the time interval including the current time or the electricity rate information of the time interval including the current time, and the electricity rate information of the time interval thereafter Can be classified into a form of real-time information that can be known only in the corresponding time interval, the former is easy to predict because the electricity price information of the next section from the current time in advance, the latter is easy to forecast The difference is that it is difficult to predict because it is unknown.

예를 들어, 후속하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구분되는 각 구간에 대한 전기요금 정보(스케쥴 정보 형태)라 함은, 매일 낮 12시, 또는 밤 12시에 이후 24 시간 동안의 전력 요금정보를 1시간 또는 30분의 시간 구간으로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electricity rate information (schedule information format) for each section divided into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hat follows, the power bill information for 24 hours after 12 noon day or 12 o'clock every day for 1 hour Alternatively, it may be provided by being divided into a time period of 30 minutes.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에너지 관리장치 등을 통하여 24 시간 동안의 전력 요금을 미리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실시간적인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구분되는 각 구간에 대한 전기 요금 정보라 함은, 예를 들어 5분 또는 30분 간격으로 앞으로 5분 또는 30분 동안의 전기 요금 정보를 계속해서 수령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앞으로 최대 5분 또는 30분 동안의 전기 요금 정보는 알 수 있지만, 그 이상의 전기 요금정보는 알기가 곤란하다.In detail, the user may check the power rate for 24 hours in advance through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On the other hand, the electric charge information for each section divided into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n real time means, for example, to continuously receive the electric charge information for the next 5 or 30 minutes at intervals of 5 or 30 minutes, for example. do. Therefore, the user can know the electricity rate information for up to 5 minutes or 30 minutes in the future, it is difficult to know more electricity rate information.

전술한 바와 같이, 지능형 전력망 하에서는 전력 공급자와 수요처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며, 전력 공급자는 수요처의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그 이후 시간의 전기요금을 탄력적으로 책정할 수 있으며, 수요처는 이러한 전기요금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전기제품의 구동 시기를 연기하거나, 구동 중인 전기제품의 사용을 중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요처는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으며, 전력 공급자는 효율적으로 전력을 분배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under the intelligent power grid,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power supplier and the demand source is possible, and the power supplier can monitor the power usage of the demand source in real time and flexibly set an electricity rate thereafter. Can be received in real time to postpone the start of the appliance or stop the use of the appliance in operation, thereby enabling the customer to save on electricity bills and allowing the power supplier to distribute power efficiently. .

이러한 지능형 전력망 하에서, 사용자 또는 수요처는 전기요금을 절약하기 위하여 온 피크 시간 구간에서 전기제품의 구동시간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Under this intelligent power grid, it is desirable for the user or the customer to reduce the running time of the electrical appliance in the on-peak time interval in order to save the electricity bill.

마찬가지로, 수요처는 전기요금이 저렴한 시간 구간에 축전을 수행하고, 전기요금이 비싼 시간 구간에 축전된 전력을 사용하여 디바이스를 구동시킬 수 있다.Similarly, the consumer may perform power storage in a time period where the electric charge is low, and drive the device using power stored in the time period when the electric charge is expensive.

한편, 온 피크 시간 구간 및 오프 피크 시간 구간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양한 방법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일 실시태양으로 전기요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정보와 소정값을 비교하여 온 피크 시간 구간과 오프 피크 시간 구간을 구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n-peak time interval and the off-peak time interval as a relative concept, can be defined in a variety of ways, in one embodiment the on-peak time interval and off by comparing a predetermined value with at least one or more power information including the electricity bill Peak time intervals can be distinguished.

여기서, 상기 소정값은 소정 시간 구간 동안의 전력정보의 산술 평균값, 소정 시간 구간 동안의 전력정보의 최소값과 최대값의 평균값, 소정 시간 구간 동안의 전력정보의 이동 평균값과 가중 평균값 및 소정 시간 구간 동안의 전력정보의 변화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predetermined value is an arithmetic mean value of power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 average value of minimum and maximum values of power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 moving average value and a weighted average value of power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rate of change of the power information.

또한, 이러한 소정값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디바이스의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통해 산정되거나, 상기 전력정보를 제공하는 전력공급원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value may be set by a user, calculated through a microcomputer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device, or provided by a power supply source providing the power information.

따라서, 전술한 전력정보(예를 들어, 전기요금)와 소정값(예를 들어, 특정 일, 주, 월의 전기요금의 평균값)을 비교하여 전력정보가 소정값을 초과하는 시간 구간을 온 피크 시간구간으로, 전력정보가 소정값 이하가 되는 시간 구간을 오프 피크 시간 구간으로 인식할 수 있다.Therefore, the above-mentioned power information (e.g., electricity rate) is compared with a predetermined value (e.g., an average value of electricity rates for a specific day, week, and month), and the peak on time period when the power information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is on peak. In the time section, a time section in which the power information becomes a predetermined value or less may be recognized as an off peak time section.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전력 정보와 소정값의 비교를 통하여, 특정 시간 구간에서는 전력 정보, 온 피크 시간 구간 및 오프 피크 시간 구간을 인식한 후, 축전 시간 구간의 축전 비용을 판단할 수 있다.Then,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mparing the power information and a predetermined value, after recognizing the power information, on-peak time interval and off-peak time interval in a specific time interval, the power storage time The storage cost of the section can be determined.

이때, 상기 축전 시간 구간은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ower storage time interval may be determined as follows.

도 8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축전 시간 구간은 축전 개시 시각과 축전 종료 시각이 모두 오프 피크 시간구간에 속하는 시간 구간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8A, the power storage time interval may be a time interval in which both the power storage start time and the power storage end time belong to the off peak time period.

이와는 다르게, 도 8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축전 시간 구간은 축전 개시 시각이 온 피크 시간구간에 속하고, 축전 종료 시각이 오프 피크 시간구간에 속하는 시간 구간일 수 있다.Alternatively, referring to FIG. 8B, the power storage time interval may be a time interval in which the power storage start time belongs to an on peak time period and the power storage end time belongs to an off peak time period.

이와는 다르게, 도 8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축전 시간 구간은 축전 개시 시각이 오프 피크 시간구간에 속하고, 축전 종료 시각이 온 피크 시간구간에 속하는 시간 구간일 수 있다.Alternatively, referring to FIG. 8A, the power storage time interval may be a time interval in which the power storage start time belongs to an off peak time period and the power storage end time belongs to an on peak time period.

이와는 다르게, 도 8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축전 시간 구간은 축전 개시 시각과 축전 종료 시각이 모두 온 피크 시간구간에 속하는 시간 구간일 수 있다.Unlike this, referring to FIG. 8A, the power storage time interval may be a time interval in which both a power storage start time and a power storage end time belong to an on peak time period.

즉, 축전 시간 구간은 모두 오프 피크 시간 구간에 포함될 수도 있고, 일부 시간 구간이 온 피크 시간 구간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모두 온 피크 시간 구간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축전 시간 구간은 연속적인 시간 구간일 수도 있고, 단속적으로 복수 회 이루어진 시간 구간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at is, all of the power storage time interval may be included in the off-peak time interval, some time interval may be included in the on-peak time interval, all may be included in the on-peak time interval. On the other hand, the power storage time interval may be a continuous time interval, or may be a time interval made a plurality of times intermittently.

전술한 바와 같이, 온 피크 시간 구간과 오프 피크 시간 구간의 구분은 소정값과의 상대적 차이에 의한 것이므로, 축전 시간 구간 역시 온 피크 시간 또는 오프 피크 시간 구간의 구별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은 아니며, 온 피크 시간 구간 및 오프 피크 시간 구간은 축전 시간 구간을 결정하는 하나의 요소에 해당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ivision of the on-peak time period and the off-peak time period is based on a relative difference between a predetermined value, the storage time period is also not determined solely by the distinction of the on-peak time or off-peak time period, and on-peak The time interval and the off peak time interval correspond to one element that determines the power storage time interval.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은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축전을 수행하기 위하여, 축전 시간 구간의 축전 비용과 소정 금액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축전 비용이 소정 금액 이하인 경우에 축전 시간 구간 동안 축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refore, the control method of th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comparing a power storage cost and a predetermined amount of power storage time intervals and performing a power storage time when the power storage cost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amount, in order to perform power storage at a lower cost. Performing power storage during the interval.

여기서, 상기 소정금액은 축전 허용 금액, 특정 디바이스의 구동 예정 시간, 소비전력량 및 상기 디바이스의 구동 예정 시간이 포함되는 시간 구간의 전력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근거로 결정될 수 있다.Here, the predetermined amount of money may be determined based on at least one or more of the power storage allowance, the scheduled driving time of a specific device,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and the power information of a time interval including the scheduled driving time of the device.

즉, 상기 소정금액은 온 피크 및 오프 피크 시간 구간에 관계없이 사용자 등에 의하여 미리 결정된 축전 허용 금액으로 결정될 수도 있고, 이때, 축전 비용이 축전 허용 금액 이하인 경우에 축전 시간 구간 동안 축전이 수행될 수 있다. That is, the predetermined amount of money may be determined as a predetermined storage allowance amount by a user or the like regardless of the on-peak and off-peak periods. In this case, when the storage cos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torage allowance amount, the storage may be performed during the storage period. .

또한, 상기 소정금액은 축전된 전력이 사용되는 디바이스의 구동 예정 시간이 포함되는 시간 구간의 전력 정보(예를 들어, 계통 전원의 전기요금)를 근거로 결정될 수고 있고, 이때 축전 비용이 디바이스의 구동에 따른 전기요금 이하인 경우에 축전 시간 구간 동안 축전이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amount of money may be determined based on power information (eg, an electric charge of a grid power supply) of a time interval that includes a scheduled time of driving a device in which the stored power is used, and the power storage cost is driven by the device. In the case of less than the electric charge according to the power storage may be performed during the power storage time interval.

또한, 축전 시간 구간 동안 축전을 수행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 또는 디바이스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컴에 의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performing power storage during the power storage time interval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by a microcomputer for controlling a user input or driving of the device.

또한, 상기 소정금액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디바이스의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통하여 산정되거나, 상기 전력정보를 제공하는 전력공급원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amount may be set by a user, calculated through a microcomputer that controls driving of the device, or provided by a power supply source that provides the power information.

지금까지는 하나의 외부 전원, 예를 들어 계통 전원의 전기요금과 축전 비용을 비교하여, 축전 비용이 소정 금액 이하인 경우에 축전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하나의 외부 전원에 제한되지 않고, 복수의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Up to now, a case where power storage is performed when the power storage cost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amount by comparing the electric charge and power storage cost of one external power source, for example, a system power sourc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ne external power source. It may also be applied to a case where power is supplied from a plurality of external power sources.

여기서, 복수의 외부 전원이라 함은 계통 전원(예를 들어, 한국전력공사) 및 복수의 분산 전원(예를 들어, 태양열, 지열 및 풍력)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plurality of external power sources may include a grid power source (for example,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and a plurality of distributed power sources (for example, solar, geothermal, and wind power).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은 계통 전원의 전기요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계통 전력정보 및 및 분산 전원의 전기 요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분산 전력정보를 인식하는 단계와 계통 전원 또는 분산 전원을 통한 축전 시간 구간의 축전 비용과 소정 금액을 비교하는 단계 및 어느 한 전원을 이용한 축전 비용이 소정 금액 이하인 경우에 축전 시간 구간 동안 축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recognizing one or more grid power information including an electricity bill of a grid power supply and one or more distributed power information including an electricity bill of a distributed power supply; Comparing the power storage cost of the power storage time interval through the power source and a predetermined amount, and performing power storage during the power storage time interval when the power storage cost using any power source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amount.

즉, 계통 전원 또는 분산 전원으로부터 제공되는 전력 정보(예를 들어, 전기 요금)를 인식하여, 각 전원을 통하여 축전하는 경우의 축전 비용을 산출하고, 이를 소정 금액과 비교한 후, 어느 한 전원에 의한 축전 비용이 소정 금액 이하인 경우에 축전 시간 동안 축전을 수행하도록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In other words, by recognizing the power information (for example, electric charge) provided from the grid power supply or distributed power supply, the power storage cost in the case of power storage through each power supply is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the predetermined amount, and then to any one power supply. The device can be controlled to perform power storage for a power storage time when the power storage cost by the power storage device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amount.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특정 시간에 따라 전력정보가 변동되는 전력망 하에서, 상기 전력정보를 인식하고, 축전 비용과 소정 금액을 비교하여 축전 여부를 전기요금을 절약하고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der the power grid that the power information is changed according to a specific time, the power information is recognized, and whether the power storage by comparing the power storage cost with a predetermined amount It can save electricity bill and use electricity efficiently.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isclo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various ordinary knowledg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ddi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 20: 계측장치
30: 에너지관리장치 31: 표시부
32: 입력부 34: 통신부
35: 제어부 40: 시계/타이머
10: power supply network system 20: measuring device
30: energy management device 31: display unit
32: input unit 34: communication unit
35: control part 40: clock / timer

Claims (15)

전기요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정보가 소정값을 초과하는 온피크 시간구간과 상기 소정값 이하가 되는 오프 피크 시간구간을 인식하는 단계;
축전 시간 구간의 축전 비용과 소정 금액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축전 비용이 소정 금액 이하인 경우에 축전 시간 구간 동안 축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Recognizing an on-peak time period in which at least one power information including an electric charge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and an off-peak time period that falls below the predetermined value;
Comparing a power storage cost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f power storage time intervals; And
And performing power storage during a power storage time interval when the power storage cost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amou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 시간 구간은 축전 개시 시각과 축전 종료 시각이 모두 오프 피크 시간구간에 속하는 시간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power storage time section is a device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both the power storage start time and the power storage end time belong to the off-peak time peri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 시간 구간은 축전 개시 시각이 온 피크 시간구간에 속하고, 축전 종료 시각이 오프 피크 시간구간에 속하는 시간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power storage time section is a time section in which a power storage start time belongs to an on peak time section and a power storage end time belongs to an off peak time s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 시간 구간은 축전 개시 시각이 오프 피크 시간구간에 속하고, 축전 종료 시각이 온 피크 시간구간에 속하는 시간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power storage time section is a device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storage start time belongs to the off-peak time period, the power storage end time belongs to the on-peak time peri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 시간 구간은 축전 개시 시각과 축전 종료 시각이 모두 온 피크 시간구간에 속하는 시간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power storage time section is a device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storage start time and the power storage end time both belong to the on-peak time peri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정보는 전기요금, 전기요금의 변화율, 전력량, 전력량의 변화율, 전기요금의 평균값 및 전력량의 평균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power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n electric charge, a change rate of an electric charge, an amount of power, a change rate of an electric charge, an average value of an electric charge, and an average value of an electric charg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정보는 계통 전원의 전력 정보 및 분산 전원의 전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power information includes power information of a system power supply and power information of a distributed power supply.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전원의 전력 정보는 기후 정보 및 분산 전원의 운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ower information of the distributed power supply includes climate information and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distributed power supp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값은 소정 시간 구간 동안의 전력정보의 산술 평균값, 이동 평균값, 가중 평균값 및 소정 시간 구간 동안의 전력정보의 변화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predetermined value includes at least one of an arithmetic mean value of the power information during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 moving average value, a weighted average value, and a rate of change of the power information during the predetermined time interval.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값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디바이스의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통하여 산정되거나, 상기 전력정보를 제공하는 전력공급원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predetermined value may be set by a user, calculated through a microcompute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evice, or provided by a power supply source providing the power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금액은 축전 허용 금액, 특정 디바이스의 구동 예정 시간, 소비전력량 및 상기 디바이스의 구동 예정 시간이 포함되는 시간 구간의 전력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근거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predetermined amount of money is controlled based on at least one or more of the power storage allowance, the predetermined time for driving the specific device,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and the power information of the time interval including the scheduled time for driving the devic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금액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디바이스의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통하여 산정되거나, 상기 전력정보를 제공하는 전력공급원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And the predetermined amount of money is set by a user, calculated through a microcomputer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device, or provided by a power supply source providing the power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 피크 시간구간과 오프 피크 시간구간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상기 전력정보와 상기 디바이스에 설정된 상기 소정값을 비교함으로써 인식되거나,
상기 디바이스 외부에서 제공되는 온 피크 시간구간과 오프 피크 시간구간의 정보에 의해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Recognizing the on peak time period and the off peak time period,
Recognized by comparing the power information provided to the device with the predetermined value set in the device, or
And a method of recognizing the information by an on-peak time period and an off-peak time period provided outside the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을 수행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 또는 마이컴에 의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performing the power storage is a control method of a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utomatically made by a user input or a microcomputer.
계통 전원의 전기요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계통 전력정보 및 및 분산 전원의 전기 요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분산 전력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계통 전원 또는 분산 전원을 통한 축전 시간 구간의 축전 비용과 소정 금액을 비교하는 단계; 및
어느 한 전원을 이용한 축전 비용이 소정 금액 이하인 경우에 축전 시간 구간 동안 축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Recognizing one or more system power information including an electricity bill of a system power source and one or more distributed power information including an electric bill of a distributed power source;
Comparing the power storage cost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f power storage time intervals through the system power or distributed power supply; And
And performing power storage during a power storage time interval when the power storage cost using any power source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amount.
KR1020100060592A 2010-06-25 2010-06-25 Method for controlling a device KR1017334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592A KR101733487B1 (en) 2010-06-25 2010-06-25 Method for controlling a device
PCT/KR2011/004640 WO2011162576A2 (en) 2010-06-25 2011-06-24 Network system
EP20110798411 EP2587729B1 (en) 2010-06-25 2011-06-24 Network system
US13/806,924 US9836803B2 (en) 2010-06-25 2011-06-24 Network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592A KR101733487B1 (en) 2010-06-25 2010-06-25 Method for controlling a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297A true KR20120000297A (en) 2012-01-02
KR101733487B1 KR101733487B1 (en) 2017-05-10

Family

ID=45608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592A KR101733487B1 (en) 2010-06-25 2010-06-25 Method for controlling a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3487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74530B2 (en) 2006-06-26 2008-11-05 キヤノン株式会社 Electronic device apparatus having a charging circuit
JP2008306832A (en) * 2007-06-07 2008-12-18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Power storage system
JP2010004674A (en) 2008-06-20 2010-01-07 Fujitsu Ten Ltd Electronic contro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3487B1 (en) 201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8433A (en) A measuring method for consumption quantity of electricity of an electric appliance
KR20110049030A (en) An energy mangement system,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an electric appliance having an energy management function
KR101142220B1 (en) Home electricity energy management apparatus and integrated electricity energ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apparatus
US20120204044A1 (en) Method of controlling network system
KR101721873B1 (en) Control Method for Electric Device
KR20110042862A (en) An electric power supply network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KR20120000026A (en) Network system
KR101084156B1 (en) Illumination and air-conditioning system
KR101181783B1 (en)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air-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619961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 appliance
KR101636085B1 (en) Network system and energy consumption component
KR101925025B1 (en) A method for controlling energy management device
KR101733487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device
KR20140032717A (en) Refrigerator
KR20120016740A (en) Smart device
KR101668701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device
KR20120005666A (en) A control method of a communication component
KR20120005188A (en) A control method of a electric appliance
KR20110042863A (en) A network system supplying electric pow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74954B1 (en) A control method of a communication component
KR20120032211A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759747B1 (en) Electric appliance
KR101760522B1 (en) Controlling mehtod of electric appliance
KR101629320B1 (en) A control method of a communication component
KR20120029566A (en) A network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