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9623A - 입체영상 구현을 위한 양안융합계측기 - Google Patents

입체영상 구현을 위한 양안융합계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9623A
KR20110139623A KR1020100059798A KR20100059798A KR20110139623A KR 20110139623 A KR20110139623 A KR 20110139623A KR 1020100059798 A KR1020100059798 A KR 1020100059798A KR 20100059798 A KR20100059798 A KR 20100059798A KR 20110139623 A KR20110139623 A KR 20110139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measuring
unit
convergence angle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9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상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에스토테크니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에스토테크니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에스토테크니카
Priority to KR1020100059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9623A/ko
Publication of KR20110139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6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96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적 3D 영상 구현을 위한 양안융합계측기에 관한것으로서 실시간으로 카메라간의 거리, 피사체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스크린, TV,DMB 어떤 매체로 재생되더라도 3D영상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촬영단계부터 이러한 설정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양안융합계측기룰 제공한다.

Description

입체영상 구현을 위한 양안융합계측기{APPARATUS FOR CONTROLLUNG CONVERGENCE ANGLE FOR MULTIPL TYPE 3D SCREE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크기별로 다른 상태값을 적용하여 온전한 3D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크기별로 다른 상태값을 적용하여 온전한 3D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입체영상은 기본적으로 두눈의 거리에 의해 발생하는 좌안과 우안의 각기 다른 영상을 뇌에서 합성하였을때 보여지는 영상이다. 그런데 사물과 두눈과의 거리가 17미터 이상이 되면 일반적으로 두눈은 해당 사물을 평면으로 인식하는데 지평선과 먼산등이 이러한 예에 해당한다.
이처럼 3D영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사물과 두눈과의 거리및 사물과 두눈이 이루는 각도가 중요하며 거리 및 각도(폭주각이라고함)이 맞지 않을 경우 3D 형태로 보이지 않고 단순한 평면형태의 영상으로 보이게 된다.
또한, 3D영상이 보여지는 곳이 극장의 스크린인지 , 집안의 TV인지 휴대용 DMB 인지에 따라 이러한 각도 및 거리가 달라지기 때문에 영상을 촬영할때부터 이러한 각도 조건을 적용하여 촬여하여야 하지만 현재는 스크린을 기준으로 개략적으로 설정된 값만으로 촬영할 뿐이다. 따라서, 이러한 영상을 TV나 기타 매체를 통하여 방송할 때 3D영상으로의 감상이 불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것으로서 두 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3D영상을 촬영할 때 피사체와의 거리 및 카메라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여 어떠한 매체로도 감상이 가능한 3D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3D영상 구현을 위한 양안융합계측기를 제공하는데. 상기 계측기는 피사체와 카메라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1측정부(11)와 두 개의 카메라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2측정부(12)와 미리설정된 폭주각의 범위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4)와;
제1측정부와 제2측정부의 측정값을 토대로 현재의 폭주각을 계산하며 이 값이 상기 메모리부(14)에 미리 설정된 값의 범위안에 있는지를 검토하는 제어부(13)와 폭주각이 미리 설정된 범위안에 있는지를 표시하는 출력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장치에 의하여 어떠한 매체에서도 감상이 가능한 3D영상을 촬영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1내지 도5는 폭주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최적의 양안 융합기준을 찾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최적의 양안 융합 기준이란 3D영상을 온전하게 감상할 수 있는 범위를 말하는데 피사체와 두 개의 카메라가 이루는각이 약 1.5도인 경우 최적의 카메라 거리가 되는데 통상 영화를 촬영할 때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카메라의 노출이 맞추어지기 때문에 피사체의 거리를 변경시켜 폭주각을 변화시키기 보다는 카메라 간의 거리를 변화시키는 것이 더 용이하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 피사체와의 거리도 함께 변화시키도록 할 수 있다. 도1에서는 h의 약 26%되는 거리가 x(카메라간의 거리)로 나왔는데 일반적으로 h의 22%되는 정도되는 x가 양안융합이 가능한 범위라고 알려져 있다.
도2는 스크린 크기별 최적/최대시차의 값을 표시한 것으로 영화관, TV,PC, 모바일의 화소와 크기를 고려하여 1픽셀이 이루는 각도 1도를 이루는 픽셀을 계산하고 최적시차와 최대시차를 계산한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도3은 최대/최적시차를 계산한 방법을 도시하며 스크린의 끝부분에 있을때도 시청이 가능하도록 하는 값을 도출해낸다.
도4는 시차량에 따른 영상의 융합범위를 나타내는데 입체감을 느끼도록 하기 위해서는 수직시차와 수평시차가 일정한 범위내에 있어야 하며 적-녹, 황-청 패턴에 따라서 입체시의 성립조건이 틀려지는데 평균적으로 두이미지의 차이가 13분 정도일때 가장 융합이 잘된다.
도5는 양안 융합의 시간조건으로 사람에 따라 편차가 크지만 양안 시차가 13분 수준에서 최적값을 보인다는 것을 알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안융합계측기의 구성을 도시한다. 양안융합계측기는 카메라의 어느 한쪽이나 카메라의 외부에 설치되어 실시간으로 피사체와 카메라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또한 카메라간의 간격을 측정하여 현재 폭주각이 얼마인지를 계산하게 되며 폭주각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넘어가게 되면 실시간으로 이를 알려주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안융합계측기는 피사체와 카메라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1측정부(11)와 카메라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2측정부(12)를 가지며 제어부(13)는 제1측정부와 제2측정부의 측정값을 토대로 현재의 폭주각을 계산하며 이 값이 메모리부(14)에 미리 설정된 값의 범위안에 있는지를 검토한후 출력부(15)를 통하여 알리게 된다. 출력부는 적,녹의 색깔이나 소리출력등이 가능할 수 있다. 제어부의 폭주값 및 최대시차값의 계산은 위에 설명된 방법에 의한다. 제1측정부와 제2측정부는 거리 측정을 위하여 사용되는 공지된 방법(초음파, 레이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11: 제1측정부 12: 제2측정부
13: 제어부 14: 메모리부
15: 출력부

Claims (1)

  1. 입체영상 구현을 위한 양안융합계측기로서,
    피사체와 카메라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1측정부(11)와
    두 개의 카메라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2측정부(12)와
    미리설정된 폭주각의 범위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4)와;
    제1측정부와 제2측정부의 측정값을 토대로 현재의 폭주각을 계산하며 이 값이 상기 메모리부(14)에 미리 설정된 값의 범위안에 있는지를 검토하는 제어부(13)와
    폭주각이 미리 설정된 범위안에 있는지를 표시하는 출력부(15)를포함하는, 입체영상 구현을 위한 양안융합계측기
KR1020100059798A 2010-06-23 2010-06-23 입체영상 구현을 위한 양안융합계측기 KR201101396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798A KR20110139623A (ko) 2010-06-23 2010-06-23 입체영상 구현을 위한 양안융합계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798A KR20110139623A (ko) 2010-06-23 2010-06-23 입체영상 구현을 위한 양안융합계측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623A true KR20110139623A (ko) 2011-12-29

Family

ID=45505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9798A KR20110139623A (ko) 2010-06-23 2010-06-23 입체영상 구현을 위한 양안융합계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962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86471A (zh) * 2018-07-05 2019-01-11 歌尔股份有限公司 引线高度的检测方法及装置
CN110470228A (zh) * 2019-09-17 2019-11-19 福州大学 一种利用姿态角估计的双目视觉测距方法及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86471A (zh) * 2018-07-05 2019-01-11 歌尔股份有限公司 引线高度的检测方法及装置
CN109186471B (zh) * 2018-07-05 2021-02-19 歌尔光学科技有限公司 引线高度的检测方法及装置
CN110470228A (zh) * 2019-09-17 2019-11-19 福州大学 一种利用姿态角估计的双目视觉测距方法及系统
CN110470228B (zh) * 2019-09-17 2020-09-01 福州大学 一种利用姿态角估计的双目视觉测距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32166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selecting a stereoscopic imaging viewpoint pair
CN103533340B (zh) 移动终端的裸眼3d播放方法和移动终端
KR20160042808A (ko) 홀로그래픽 3d 장면을 시뮬레이팅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시각 디스플레이 방법
KR20110124473A (ko) 다중시점 영상을 위한 3차원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CN203838470U (zh) 裸眼3d拍摄和显示装置及其显示屏
US20130202191A1 (en) Multi-view image generat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US9082225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djusting stereoscopic image, television set and stereoscopic glasses
US20170294052A1 (en) System, Method and Software for Producing Virtual Three Dimensional Images that Appear to Project Forward of or Above an Electronic Display
JP2011193348A (ja) 立体画像表示装置の視差量決定装置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
US9479761B2 (en) Document camera, method for controlling document camera, program, and display processing system
WO2018000892A1 (zh) 一种全景立体影像的成像方法、装置及系统
KR101408591B1 (ko) 무안경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JP2011141381A (ja) 立体画像表示装置及び立体画像表示方法
TWI486052B (zh) 立體影像處理裝置以及立體影像處理方法
KR20110139623A (ko) 입체영상 구현을 위한 양안융합계측기
Xu et al. Guidelines for capturing high quality stereoscopic content based on a systematic subjective evaluation
JP5223096B2 (ja) 3d映像撮影制御システム、3d映像撮影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40063536A (ko) 다면 상영을 위한 영상 보정 시스템 및 방법
Hasmanda et al. The modelling of stereoscopic 3D scene acquisition
KR100952045B1 (ko) 왜곡 없는 3차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2244466A (ja) 立体画像処理装置
CN105491367A (zh) 一种立体影视拍摄装置
TW201325201A (zh) 可追蹤觀看者的立體顯示器
TWI579593B (zh) 攝影模組及其補償影像之方法
EP2652955A1 (en) Improved stereoscopic shoo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