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8866A - 렌즈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플래쉬 - Google Patents

렌즈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플래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8866A
KR20110138866A KR1020100059006A KR20100059006A KR20110138866A KR 20110138866 A KR20110138866 A KR 20110138866A KR 1020100059006 A KR1020100059006 A KR 1020100059006A KR 20100059006 A KR20100059006 A KR 20100059006A KR 20110138866 A KR20110138866 A KR 20110138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onditional expression
camera flash
distanc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9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천호
오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9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8866A/ko
Publication of KR20110138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88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64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G03B2215/0567Solid-state light source, e.g. LED, las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89Diffusors, filters or refraction means
    • G03B2215/0592Diffusors, filters or refraction means installed in front of light emit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플래쉬용 렌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는 상부면, 상부면의 반대편인 하부면, 그리고 상부면과 하부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갖는 렌즈 몸체를 포함하되, 렌즈 몸체는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면을 향해 연장되며, 상부면에 대향되는 제1 조절면과 측면에 대향되는 제2 조절면을 정의하는 홈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렌즈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플래쉬{lens and camera flash with the same}
본 발명은 렌즈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플래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 플래쉬용 광원의 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렌즈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플래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카메라는 플래쉬 모드 촬영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카메라 플래쉬를 구비한다. 이 중 원통형의 방전 튜브를 구비하는 카메라 플래쉬는 고용량의 캐패시터가 요구되므로, 그 크기가 크고, 전력소비가 높다. 따라서, 상기 원통형의 방전 튜브는 컴팩트형 카메라에는 적용하기 어렵고, 또한 환경친화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의 컴팩트형 디지털 카메라에는 발광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하는 카메라 플래쉬가 적용된다. 상기와 같은 카메라 플래쉬는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광 방사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렌즈를 구비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카메라 플래쉬는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된 광이 상기 렌즈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광 손실이 크게 발생되어, 광원의 조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의 손실을 줄여 조도를 향상시키는 렌즈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카메라의 촬영 화면에 집중되도록 하여, 광원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렌즈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의 손실을 감소시켜 조도를 향상시킨 렌즈를 구비하는 카메라 플래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카메라의 촬영 화면에 집중되도록 하여, 광원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렌즈를 구비하는 카메라 플래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는 상부면, 상기 상부면의 반대편인 하부면, 그리고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갖는 렌즈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렌즈 몸체는 상기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상부면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상부면에 대향되는 제1 조절면과 상기 측면에 대향되는 제2 조절면을 정의하는 홈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플래쉬는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의 상부에 배치된 렌즈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렌즈 몸체는 상부면, 상기 상부면의 반대편인 하부면 및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가지고, 상기 홈은 상기 상부면에 대향되는 제1 조절면, 상기 측면에 대향되는 제2 조절면, 그리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입사받는 개방된 하부를 정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조절면은 아래의 제1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제1 조건식)
Figure pat00001
R : 상기 제1 조절면의 곡률반경
h : 상기 하부면과 상기 제1 조절면 사이의 거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면은 아래의 제2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제2 조건식)
Figure pat00002
Ф : 상기 상부면의 장축 직경
t :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 간의 거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면과 상기 제2 조절면의 거리는 아래의 제3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t :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 간의 거리
h : 상기 하부면과 상기 제1 조절면 간의 거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이 아래의 제4 조건식을 만족하도록 구성된 카메라 플래쉬용 렌즈.
(제4 조건식)
Figure pat00004
t∈[0.1]
t : 상기 측면 상에 위치하는 가상의 점들의 상대적 위치
P0,: 상기 상부면에 접하는 측면의 일측 끝단에 위치된 가상점
P1 : 상기 측면의 중앙에 위치된 가상점
P2 : 상기 하부면에 접하는 측면의 타측 끝단 상에 위치된 가상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조절면은 아래의 제5 조건식을 만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5 조건식)
Figure pat00005
z(r) : 상기 제1 조절면의 정점에서 높이 r까지의 수평거리,
c : 곡률(1/R)
k : conic constant
A, B .... K, L : 3차, 4차 내지 13차, 15차 계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홈은 원기둥 및 사각기둥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렌즈 몸체는 플라스틱 및 실리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는 상부면, 상기 상부면의 반대편인 하부면 및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갖는 렌즈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몸체는 상기 렌즈 몸체의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상부면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상부면에 대향되는 제1 조절면과 상기 측면에 대향되는 제2 조절면을 정의하는 홈을 구비하되, 상기 제1 조절면 및 상기 측면은 곡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조절면은 상기 상부면을 향해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은 상기 제2 조절면을 향해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조절면은 상기 측면을 향해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조절면은 상기 렌즈 몸체의 중심을 상하로 수직하게 가로지르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하부면으로 갈수록, 상기 중심선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는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손실을 줄여, 광원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는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카메라의 촬영 화면에 집중되도록 광의 방사각도를 조절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렌즈는 카메라 플래쉬의 중앙조도 및 주변조도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플래쉬는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손실을 줄이는 렌즈를 구비함으로써, 발광 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플래쉬는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카메라의 촬영 화면에 집중되도록 광의 방사각도를 조절하는 렌즈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플래쉬는 중앙조도 및 주변조도를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렌즈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렌즈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플래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플래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렌즈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렌즈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렌즈(100)는 디지털 카메라(미도시됨)에 구비되는 카메라 플래쉬 광원의 광 방사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렌즈(100)는 렌즈 몸체(110) 및 상기 렌즈 몸체(110)에 형성된 홈(120)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렌즈 몸체(110)는 상부면(112), 하부면(114), 그리고 상기 상부면(112)과 상기 하부면(114)을 연결하는 측면(116)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부면(112)은 평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상부면(112)은 곡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부면(112)이 곡면인 경우, 상기 상부면(112)은 상기 하부면(114)을 향해 대체로 볼록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상부면(112)은 상기 하부면(114)을 향해 대체로 오목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상부면(112)은 상기 카메라 플래쉬의 광원(미도시됨)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상기 카메라의 촬영 화면 내에 집중되도록, 상기 광의 방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측면(116)은 평면 또는 곡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측면(116)이 평면인 경우, 상기 측면(116)은 상기 렌즈 몸체(110)의 중심을 상하로 수직하게 가로지르는 중심선(X)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면(112)으로부터 상기 하부면(114)으로 갈수록, 상기 중심선(X)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측면(116)이 곡면인 경우, 상기 측면(116)은 상기 중심선(X)을 향해 대체로 오목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측면(116)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 중 상기 측면(116)에 입사되는 광을 상기 상부면(112)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홈(120)은 상기 렌즈(100) 내부에 빈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홈(120)은 상기 렌즈(100)의 하부면(114)으로부터 상기 렌즈 몸체(110)의 내부로 연장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홈(120)은 대체로 사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구조의 홈(120)은 개방된 하부(122), 제1 조절면(124) 및 제2 조절면(126)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개방된 하부(122)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광을 입사받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1 조절면(124)은 상기 상부면(112)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대체로 곡면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제1 조절면(124)은 상기 상부면(112)을 향해 오목한 형상을 갖는 곡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절면(124)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상기 렌즈 몸체(110)의 상부면(112) 중앙을 향해 모아지도록, 상기 광의 방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 조절면(126)은 상기 측면(116)과 대체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조절면(126)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 중 상기 제2 조절면(126)에 입사되는 광을 상기 제1 조절면(124)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렌즈(102)는 도 1에 도시된 렌즈(100)에 비해, 원기둥 형상의 홈(130)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홈(130)은 정원의 기둥 또는 타원형의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 기둥 및 원기둥 형상의 홈들(120, 130)을 구비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렌즈(100)에 구비되는 홈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의 렌즈(100)는 아래와 같은 제1 내지 제5 조건식들을 만족하도록 구성되어질 수 있다.
(1) 제1 조건식
Figure pat00006
R : 제1 조절면(124)의 곡률반경
h : 하부면(114)과 제1 조절면(124) 사이의 거리
상기 제1 조건식은 상기 카메라의 촬영 화면에서의 중앙조도를 높이고, 이와 더불어 충분한 주변조도를 확보하기 위한 조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앙 주도는 상기 카메라의 촬영시, 상기 촬영 화면의 대체로 중앙 영역에서의 조도일 수 있으며, 상기 주변조도는 상기 촬영 화면의 대체로 가장자리 영역에서의 조도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조건식은 상기 제1 조절면(124)의 형상을 정의하는 조건으로서, 상기 제1 조건식의 하한값이 1.5보다 낮은 경우, 상기 중앙조도는 높아지지만, 상기 주변조도가 요구되는 조도값에 비해 감소하게 되어, 상기 카메라의 플래쉬 모드 촬영시, 주변 피사체가 어둡게 촬영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제1 조건식의 상한값이 3.5보다 높은 경우, 상기 주변조도는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나, 상기 중앙조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져, 선명한 영상을 얻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다.
(2) 제2 조건식
Figure pat00007
Ф : 상부면(112)의 장축 직경
t : 상부면(112)과 하부면(114) 간의 거리
상기 제2 조건식은 상기 렌즈 몸체(110)의 상부면(112)의 장축 직경 길이를 정의하는 조건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조건식의 하한값이 1.5보다 낮은 경우, 상기 주변조도는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나, 상기 렌즈(100)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상기 제2 조건식의 상한값이 2.5보다 높은 경우, 상기 중심조도는 향상되나, 상기 주변조도가 떨어지게 되어, 야간 사진 촬영시에 주변 피사체가 어둡게 촬영될 수 있다.
(3) 제3 조건식
Figure pat00008
t : 상부면(112)과 하부면(114) 간의 거리
h : 하부면(114)과 제1 조절면(124) 간의 거리
상기 제3 조건식은 상기 렌즈(110)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상기 렌즈(110)의 수축 현상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조건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렌즈(110)를 사출 형성 방식으로 형성하는 경우, 상기 렌즈(110)는 고온 및 고압 분위기에서 상기 렌즈(110) 형성을 위한 재료, 예컨대 수지, 유리, 플라스틱, 및 실리콘 등을 가공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술한 재료들의 수축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축 현상이 발생되면 렌즈(110) 형상의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렌즈(110)는 상기 상부면(112)과 상기 제1 조절면(124) 간의 거리가 감소할수록, 상기 상부면(112)과 상기 제1 조절면(124) 사이의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렌즈 몸체(110)의 중심 부분에 대한 수축이 크게 발생되어, 상기 광원의 광 이동경로가 기설정된 이동경로로부터 왜곡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 조건식을 만족하도록, 상기 상부면(112)과 상기 하부면(114) 간의 거리(t)와 상기 하부면(114)과 상기 제1 조절면(124) 간의 거리(h)의 비 하한값이 2.5 이상이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렌즈(100)의 수축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4) 제4 조건식
Figure pat00009
t∈[0.1]
t : 상기 측면(116) 상에 위치하는 가상의 점들의 상대적 위치
P0,: 상기 상부면(112)에 접하는 상기 측면(116)의 일측 끝단에 위치된 가상점
P1 : 상기 측면(116)의 중앙에 위치된 가상점
P2 : 상기 하부면(114)에 접하는 상기 측면(116)의 타측 끝단 상에 위치된 가상점
상기 제4 조건식은 상기 측면(116)의 곡률 및 형상을 정의하는 조건일 수 있다. 상기 제4 조건식을 만족하는 상기 측면(116)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되는 광 중 상기 측면(116)에 입사된 광을 상기 상부면(112)을 향하도록 반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4 조건식을 만족하는 구조의 측면(116)은 상기 광원의 광이 상기 카메라의 촬영 화면에 모아지도록, 상기 광의 방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5) 제5 조건식
Figure pat00010
z(r) : 제1 조절면(124)의 정점에서 상기 제1 조절면(124)의 최외각 까지의 직선거리,
c : 곡률(1/R)
k : conic constant
A, B .... K, L : 3차, 4차 내지 13차, 15차 계수
상기 제5 조건식은 상기 제1 조절면(124)의 곡률 및 형상을 정의하는 조건일 수 있다. 상기 제5 조건식을 만족하는 구조의 제1 조절면(124)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상기 카메라의 촬영 화면에 집중되도록, 상기 광의 방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플래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앞서 살펴본 렌즈에 대해 중복되는 내용들은 생략하거나 간소화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플래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플래쉬(200)는 앞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렌즈(100)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카메라 플래쉬(200)는 광원(210) 및 상기 광원(210)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렌즈(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210)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210)은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면이 상기 렌즈(100)의 홈(120)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원(21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대부분은 상기 홈(120)의 개방된 하부(122)를 통해 상기 렌즈(100)의 렌즈 몸체(110)로 입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메라 플래쉬(200)는 상기 광원(210) 및 상기 렌즈(100)를 둘러싸는 반사체(220) 및 상기 렌즈(100)의 하부에 구비된 플래쉬 모듈 본체(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체(220)는 상기 광원(21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카메라의 촬영 화면을 향해 모아지도록, 상기 광의 방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반사체(220)에는 상기 광원(210)의 광 색상을 백색광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형광물질을 포함할 수동 있다. 상기 플래쉬 모듈 본체(230)는 상기 광원(210)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플래쉬 모들 본체(230)는 상기 광원(210)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렌즈(100)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플래쉬(200)는 광원(210)의 광 방사각도를 조절하는 렌즈(100)를 구비하되, 상기 렌즈(100)는 내부에 홈(120)이 형성된 렌즈 몸체(110)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홈(120)에 의해 정의된 제1 조절면(124) 및 제2 조절면(126)에 의해, 상기 광원(21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카메라의 촬영 화면 내로 모아지도록, 상기 광원의 광 방사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렌즈 몸체(110)의 상부면(112) 및 측면(116) 또한, 상기 광을 상기 촬영 화면 내로 모아지도록, 상기 광의 방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렌즈(100)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플래쉬(200)는 광원(210)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상기 렌즈(21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광의 손실을 최소화시키므로, 카메라 플래쉬(200)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렌즈(100)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플래쉬(200)는 카메라의 촬영 화면의 중앙조도를 향상시키고, 이와 더불어 충분한 주변조도를 확보할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됨으로써, 카메라 촬영 화면의 중앙조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충분한 주변조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과 같은 다른 발명을 이용하는데 당업계에 알려진 다른 상태로의 실시, 그리고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렌즈
110 : 렌즈 몸체
112 : 상부면
114 : 하부면
116 : 측면
120 : 홈
122 : 개방된 하부
124 : 제1 조절면
126 : 제2 조절면

Claims (19)

  1. 상부면, 상기 상부면의 반대편인 하부면, 그리고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갖는 렌즈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렌즈 몸체는 상기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상부면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상부면에 대향되는 제1 조절면과 상기 측면에 대향되는 제2 조절면을 정의하는 홈을 구비하는 카메라 플래쉬용 렌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면은 아래의 제1 조건식을 만족하는 카메라 플래쉬용 렌즈.
    (제1 조건식)
    Figure pat00011

    R : 상기 제1 조절면의 곡률반경
    h : 상기 하부면과 상기 제1 조절면 사이의 거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은 아래의 제2 조건식을 만족하는 카메라 플래쉬용 렌즈.
    (제2 조건식)
    Figure pat00012

    Ф : 상기 상부면의 장축 직경
    t :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 간의 거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과 상기 제2 조절면의 거리는 아래의 제3 조건식을 만족하는 카메라 플래쉬용 렌즈.
    Figure pat00013

    t :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 간의 거리
    h : 상기 하부면과 상기 제1 조절면 간의 거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이 아래의 제4 조건식을 만족하도록 구성된 카메라 플래쉬용 렌즈.
    (제4 조건식)
    Figure pat00014

    t∈[0.1]
    t : 상기 측면 상에 위치하는 가상의 점들의 상대적 위치
    P0,: 상기 상부면에 접하는 측면의 일측 끝단에 위치된 가상점
    P1 : 상기 측면의 중앙에 위치된 가상점
    P2 : 상기 하부면에 접하는 측면의 타측 끝단 상에 위치된 가상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면은 아래의 제5 조건식을 만족하도록 구성된 카메라 플래쉬용 렌즈.
    (제5 조건식)
    Figure pat00015

    z(r) : 상기 제1 조절면의 정점에서 높이 r까지의 수평거리,
    c : 곡률(1/R)
    k : conic constant
    A, B .... K, L : 3차, 4차 내지 13차, 15차 계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원기둥 및 사각기둥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렌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몸체는 플라스틱 및 실리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렌즈.
  9. 상부면, 상기 상부면의 반대편인 하부면 및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갖는 렌즈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몸체는 상기 렌즈 몸체의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상부면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상부면에 대향되는 제1 조절면과 상기 측면에 대향되는 제2 조절면을 정의하는 홈을 구비하되,
    상기 제1 조절면 및 상기 측면은 곡면인 카메라 플래쉬용 렌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면은 상기 상부면을 향해 오목한 형상을 갖는 카메라 플래쉬용 렌즈.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은 상기 제2 조절면을 향해 오목한 형상을 갖는 카메라 플래쉬용 렌즈.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절면은 상기 측면을 향해 오목한 형상을 갖는 카메라 플래쉬용 렌즈.
  13.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절면은 상기 렌즈 몸체의 중심을 상하로 수직하게 가로지르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하부면으로 갈수록, 상기 중심선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진 형상을 갖는 카메라 플래쉬용 렌즈.
  14.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의 상부에 배치된 렌즈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렌즈 몸체는 상부면, 상기 상부면의 반대편인 하부면 및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가지고,
    상기 홈은 상기 상부면에 대향되는 제1 조절면, 상기 측면에 대향되는 제2 조절면, 그리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입사받는 개방된 하부를 정의하는 카메라 플래쉬 모듈.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면은 아래의 제1 조건식을 만족하는 카메라 플래쉬용 렌즈.
    (제1 조건식)
    Figure pat00016

    R : 상기 제1 조절면의 곡률반경
    h : 상기 하부면과 제1 조절면 사이의 거리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은 아래의 제2 조건식을 만족하는 카메라 플래쉬용 렌즈.
    (제2 조건식)
    Figure pat00017

    Ф : 상기 상부면의 장축 직경
    t :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 간의 거리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과 상기 제2 조절면의 거리는 아래의 제3 조건식을 만족하는 카메라 플래쉬용 렌즈.
    Figure pat00018

    t :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 간의 거리
    h : 상기 하부면과 상기 제1 조절면 간의 거리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116)이 아래의 제4 조건식을 만족하도록 구성된 카메라 플래쉬용 렌즈.
    (제4 조건식)
    Figure pat00019

    t∈[0.1]
    t : 상기 측면 상에 위치하는 가상의 점들의 상대적 위치
    P0,: 상기 상부면에 접하는 상기 측면의 일측 끝단에 위치된 가상점
    P1 : 상기 측면의 중앙에 위치된 가상점
    P2 : 상기 하부면에 접하는 상기 측면의 타측 끝단 상에 위치된 가상점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면은 아래의 제5 조건식을 만족하도록 구성된 카메라 플래쉬용 렌즈.
    (제5 조건식)
    Figure pat00020

    z(r) : 상기 제1 조절면의 정점에서 높이 r까지의 수평거리,
    c : 곡률(1/R)
    k : conic constant
    A, B .... K, L : 3차, 4차 내지 13차, 15차 계수
KR1020100059006A 2010-06-22 2010-06-22 렌즈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플래쉬 KR201101388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006A KR20110138866A (ko) 2010-06-22 2010-06-22 렌즈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플래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006A KR20110138866A (ko) 2010-06-22 2010-06-22 렌즈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플래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866A true KR20110138866A (ko) 2011-12-28

Family

ID=45504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9006A KR20110138866A (ko) 2010-06-22 2010-06-22 렌즈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플래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886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35968B2 (en) 2012-10-29 2014-09-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LED lens and LED package using the same
KR20150067861A (ko) * 2013-12-10 2015-06-19 희성전자 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용 광 편향 렌즈
US9328896B2 (en) 2013-01-22 2016-05-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Lens for controlling illuminance distribution and light-emitting diode package including the lens
KR101987623B1 (ko) * 2017-12-06 2019-06-12 주식회사 옵티맥 발광 패키지
AT524838A4 (de) * 2021-06-17 2022-10-15 Optronia Gmbh Totalreflexionslins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35968B2 (en) 2012-10-29 2014-09-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LED lens and LED package using the same
US9328896B2 (en) 2013-01-22 2016-05-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Lens for controlling illuminance distribution and light-emitting diode package including the lens
KR20150067861A (ko) * 2013-12-10 2015-06-19 희성전자 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용 광 편향 렌즈
KR101987623B1 (ko) * 2017-12-06 2019-06-12 주식회사 옵티맥 발광 패키지
AT524838A4 (de) * 2021-06-17 2022-10-15 Optronia Gmbh Totalreflexionslinse
AT524838B1 (de) * 2021-06-17 2022-10-15 Optronia Gmbh Totalreflexionslin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3552B2 (en) Camera flash lens and portable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070041199A1 (en) Illuminator, led illuminator, and imaging device with illuminator
WO2021227778A1 (zh) 补光透镜、补光灯模组、镜头组件及电子设备
KR20110138866A (ko) 렌즈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플래쉬
WO2013065408A1 (ja) Led発光装置及びled発光装置用レンズ
US20120176801A1 (en) Flash lens and flash module employing the same
CN101351744A (zh) 闪光装置及具有此类闪光装置的便携终端
US8740398B2 (en) Camera flash module
KR101076320B1 (ko) 휴대기기용 프레넬 렌즈
EP3695262B1 (en) Lens for use in flash device
KR20090128103A (ko) 엘이디 플래시 렌즈
KR20120079665A (ko) 카메라 플래시 발광소자용 렌즈
US20140204588A1 (en) Led luminous flux converting lens and ligh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00068313A (ko) 발광체 플래시 렌즈
KR20100065607A (ko) 카메라 플래시용 렌즈
KR100942138B1 (ko) Led용 집광 렌즈
JP2014010285A (ja) 照射角可変の照射装置および撮像装置
KR100902044B1 (ko) 전반사를 이용한 카메라 플래시 장치
KR101128284B1 (ko) Led용 집광 렌즈
KR20110054162A (ko) 발광소자 패키지
KR101087569B1 (ko) 엘이디 플래시 렌즈 유닛
JP2005078929A (ja) 照明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213069429U (zh) 光斑均匀的闪光灯罩
CN210462892U (zh) 一种舞台光束灯镜头
CN210107290U (zh) 大角度透镜及安防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