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8741A -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8741A
KR20110138741A KR1020100058806A KR20100058806A KR20110138741A KR 20110138741 A KR20110138741 A KR 20110138741A KR 1020100058806 A KR1020100058806 A KR 1020100058806A KR 20100058806 A KR20100058806 A KR 20100058806A KR 20110138741 A KR20110138741 A KR 20110138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ponse data
control information
downlink component
uplink control
aggregation enviro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8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1305B1 (ko
Inventor
홍성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00058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305B1/ko
Priority to PCT/KR2011/004515 priority patent/WO2011162531A2/en
Priority to US13/806,488 priority patent/US9451596B2/en
Publication of KR20110138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8741A/ko
Priority to US15/240,623 priority patent/US1043328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305B1/ko
Priority to US16/549,119 priority patent/US1107109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57Block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7Inter-user or inter-terminal allocation
    • H04L5/0041Frequency-non-contiguo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4Rate requirement of the data, e.g. scalable bandwidth, data prior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n개의 다운링크 요소반송파를 통하여 수신하여 복호한 n개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n개의 응답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n개의 응답 데이터에 매핑 룰을 적용하여 통합 응답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응답 데이터를 블록코딩하여 부호화된 통합 응답 데이터를 산출하여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in Carrier Aggregation}
본 명세서는 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이 발전해나감에 따라 사업체들 및 개인들과 같은 소비자들은 매우 다양한 무선 단말기들을 사용하게 되었다.
현재의 3GPP 계열의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등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벗어나 영상, 무선 데이터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는 고속 대용량의 통신 시스템으로서, 유선 통신 네트워크에 준하는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을 뿐 아니라, 정보 손실의 감소를 최소화하고, 시스템 전송 효율을 높임으로써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절한 오류검출 방식이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또한, 송수신되는 정보가 정확하게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이 제공되는데, 통신 시스템이 발전함에 따라, 보다 유연하고 확장 가능하게 송수신 정보를 확인하는 기술을 요구하게 되었다. 특히,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하게 되거나, 다양한 반송파를 사용하는 경우,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많아짐에 따라 각각의 데이터들에 대한 확인 및 확인 결과를 송신하는 과정에 있어서 소요되는 데이터의 양이 늘어나게 됨에 따라,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 따라 가변하는 길이의 상향제어 정보를 효율적으로 송수신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n개의 다운링크 요소반송파를 통하여 수신하여 복호한 n개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n개의 응답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n개의 응답 데이터에 매핑 룰을 적용하여 통합 응답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응답 데이터를 블록코딩하여 부호화된 통합 응답 데이터를 산출하여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은 기지국이 사용자 단말로부터 부호화된 통합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부호화된 통합 응답 데이터를 블록 디코딩하여 통합 응답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통합 응답데이터에 디매핑 룰을 적용하여 n개의 응답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n개의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n개의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를 통해 송신하였던 서브프레임과 관련하여 추가 프로세스 여부를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송신하는 장치는 사용자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n개의 다운링크 요소반송파를 통하여 n개의 서브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한 n개의 서브프레임을 복호화하는 복호화부, 상기 복호화한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n개의 응답 데이터를 산출하는 검증부, 상기 n 개의 응답 데이터에 매핑 룰을 적용하여 통합 응답 데이터를 산출하는 제어정보 생성부, 상기 통합 응답 데이터를 블록코딩하는 부호화부, 및 상기 부호화부에서 부호화된 통합 응답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 n개의 다운링크 요소반송파를 통하여 서브프레임을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송신한 서브프레임에 대한 부호화된 통합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한 부호화된 통합 응답 데이터를 블록 디코딩하여 통합 응답데이터를 산출하는 복호화부, 및 상기 블록 디코딩된 통합 응답데이터에 디매핑 룰을 적용하여 n개의 응답 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n개의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n개의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를 통해 송신하였던 서브프레임과 관련하여 추가 프로세스 여부를 판단하는 검증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업링크 제어 채널의 형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에서 다수의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에 대하여 응답 데이터를 산출하고, 이를 상향링크를 통해 제공하기 위해 응답 데이터를 변환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에서 업링크 요소 반송파를 통해 수신한 통합응답데이터에서 다수의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산출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양한 종류의 응답 데이터가 생성될 경우의 매핑룰을 적용하여 통합 응답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에서 통합응답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각각의 요소반송파에 대한 응답 데이터로 변환하는 디매핑룰을 적용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DTX를 송신하지 않는 경우, 각각의요소반송파에 대하여 매핑룰을 적용하여 통합응답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드뮬러 (20, A) 코드 구성표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드뮬러 (32, O) 코드 구성표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매핑룰이 하나의 요소 반송파에 대하여 번들링을 수행하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매핑룰이 둘 이상의 요소 반송파에 대하여 번들링을 수행하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이 통합 응답데이터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이 통합 응답데이터를 수신하여 각각의 요소반송파의 특성에 따라 응답 데이터를 확인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합 응답데이터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합 응답데이터를 수신하여 각각의 요소반송파의 특성에 따라 응답 데이터를 확인하는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호화부와 복호화부의 구성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시스템을 도시한다.
무선통신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시스템은 단말(10; 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20;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단말(10)과 기지국(20)은 아래에서 설명할 실시예와 같은 확장된 채널주정용 기준신호 생성기술을 적용하며, 이에 대해서는 도 3 이하를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말(10)은 무선 통신에서의 사용자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및 LTE, HSPA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지국(20)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단말(10)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20) 또는 셀(cell)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B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및 릴레이 노드(relay node) 통신범위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10)과 기지국(20)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가지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Long Term Evolution) 및 LTE-advanced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 통신 분야 등의 자원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무선통신 분야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기술분야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은 상향링크 및/또는 하향링크 HARQ를 지원할 수 있으며, 링크 적응(link adaptation)을 위해 CQI(channel quality indicator)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다중 접속 방식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예컨데, 하향링크는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사용하고, 상향링크는 SC-FDM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사용할 수 있는 것과 같다..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계층들은 통신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접속 (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제1계층(L1), 제2 계층(L2), 제3 계층(L3)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1 계층에 속하는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한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업링크 제어 채널의 형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UE)가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업링크(uplink) 통신은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을 이용한다. PUCCH를 통해 전송되는 정보의 실시예로는 다운링크 패킷에 대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에 대한 응답(ACK/NACK 또는 ACK/NAK) 정보, 채널 품질에 대한 지시정보(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그리고 RI(Rank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와 같은 다운링크 전송에 대한 MIMO 피드백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LTE의 PUCCH에서는 도 2와 같은 제어 정보의 형식(control information format)을 사용한다.
한편, 3GPP LTE-A(LTE Advanced)에서는 다수의 상하향 요소반송파(CC, Componet Carrier)를 결합하는 반송파집합화(CA, Carrier Aggregation)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 다수의 하향반송파(DLCC, Downlink CC)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한 HARQ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상향링크(Uplink)로의 ACK/NAK전송이 필요하다. 즉, 다수의 하향 요소반송파의 정보를 전송하는데 있어 효율적으로 송신하는 것이 필요하다. 물론, 기존의 하나의 요소 반송파를 이용하는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고려하는 것도 필요하다.
즉, CA환경하에서는 UE가 상향으로 전송되어야 할 ACK/NAK의 개수는 UE가 사용하는 하향 링크의 CC들의 개수에 따라 비례하여 증가한다. 도 2에서 살펴본 1a/1b 형식으로 HARQ 결과를 ACK/NACK(NAK) 형식으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증가하는 반송파들의 수를 반영하기 어려우므로, 확장된 형식(format)이 필요하다. 한편, 도 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2형식(format 2)은 CQI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부분인데, 2형식은 4~13비트의 정보전송이 가능한 전송방식을 의미하고 주로 CQI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2형식이 CQI정보에 더하여 ACK/NAK정보를 전송하는 경우가 확장(Extended) CP의 경우에 발생하기만 하지만 이것은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이하,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는 1, 2비트보다 긴 2형식(format 2) 정보의 양을 이용하여 다수의 하향 반송파에 대한 HARQ 정보를 제공하는 방안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HARQ 정보는 상향 제어 정보의 일 실시예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1~2비트만을 지원하는 1a/1b형식의 확장형식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하향링크 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eNB)에서 사용자 단말(UE)에게 전송하는 데이터에 대한 물리적 채널을 의미하며, 상향링크 또는 업링크는 사용자 단말(UE)에서 기지국(eNB)에게 전송하는 데이터에 대한 물리적 채널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하향링크 요소반송파와 상향링크 요소반송파가 다수인 경우에, 주요한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게 되는 요소반송파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 주요 상향 링크 요소 반송파(Primary Uplink CC), 주요 하향 링크 요소 반송파(Primary Downlink CC)라 한다. 이하 응답 데이터는 수신한 데이터를 검증하여 데이터가 오류 없이 전송되었는지 또는 아닌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응답 데이터는 하나의 요소 반송파(CC)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검증할 수 있다. 또한, 둘 이상의 응답 데이터를 결합하여 하나의 응답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응답 데이터는 번들링(bundling) 응답 데이터라고 한다. 그리고, 수신한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들 전부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통합 응답 데이터라고 한다.
LTE 또는 LTE-A 시스템을 일 실시예로 할 경우, 사용자 단말이 패킷을 수신하여, 이를 복호화하는 과정에서 제어 정보 채널(PDCCH)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제어 정보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 채널(PDSCH)를 복호화한 결과 오류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ACK 또는 NACK을 응답 데이터로 할 수 있다. 또한, 수신한 패킷에 제어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서 PDCCH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DTX가 응답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또한 응답 데이터에는 SR(Scheduling Request)와 같이 네트워크 상황 정보를 확인하고, 기지국에 대한 소정의 프로세스를 요청하는 제어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3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에서 다수의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에 대하여 응답 데이터를 산출하고, 이를 상향링크를 통해 제공하기 위해 응답 데이터를 변환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서브프레임은 제어정보와 데이터정보를 포함하여 물리적인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단위로서 프레임, 블록등의 다른 표현이 가능하다. 기지국(310)는 k개의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들(301, 302, ..., 309)을 통해 송신 서브프레임들을 송신한다. 송신 서브프레임은 제어 채널(제어 정보)과 데이터 채널(데이터 정보)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320)는 상기 k개의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들(301, 302, ..., 309)을 통해 서브프레임을 수신한다. 수신한 서브프레임들이 오류없이 전송되었는지를 체크하여 응답데이터(321, 322, ..., 329)를 생성한다. 오류없이 전송되었는지에 대한 보다 자세한 실시예로, LTE 또는 LTE-A 시스템을 일 실시예로 할 경우, 사용자 단말이 수신한 서브프레임을 복호화하는 과정에서 제어 정보 채널(PDCCH)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제어 정보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 채널(PDSCH)를 복호화한 결과 오류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ACK 또는 NACK을 응답 데이터로 할 수 있다. 또한, 수신한 서브프레임에 제어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서 PDCCH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DTX가 응답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또한 응답 데이터에는 SR(Scheduling Request)와 같이 네트워크 상황 정보를 확인하고, 기지국에 대한 소정의 프로세스를 요청하는 제어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수신한 데이터의 오류 발생 여부는 CRC와 같은 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한 응답 데이터들을 하나의 통합 응답데이터(340)로 생성하기 위하여 매핑룰(330)을 적용한다. 매핑룰(330)는 각각의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들에 대한 HARQ 응답 데이터를 기지국(310)이 확인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데, 그 변환하기 위한 매핑 룰의 일 실시예로는 다운링크 요소반송파들의 위치에 따라, 혹은 다운링크 요소반송파들의 가중치 정보를 적용하여, 혹은 소정의 함수를 적용하는 예가 될 수 있다. 통합응답데이터(340)가 생성되면, 이 데이터가 업링크 요소 반송파를 통해 사용자 단말(320)에서 기지국(310)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부호화 과정을 진행하는데, 이 부호화 과정은 부호기(350)에서 진행된다. 부호화 과정의 일 실시예는 소정의 정보 비트인 통합 응답 데이터(340)를 블록코드 부호기를 사용하여 펑처링(puncturing) 또는 반복(repetition)을 수행할 수 있다. 부호기(350)를 통하여 산출된 부호화된 통합 응답데이터(360)는 하나의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를 통해 송신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하나의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는 주요 상향 링크 요소 반송파의 일 실시예가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에서 업링크 요소 반송파를 통해 수신한 통합응답데이터에서 다수의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산출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앞서 도 3의 사용자 단말(320)와 기지국(310)간에 진행되는 과정이다. 도 3에서 부호화된 통합응답데이터(360)는 업링크 요소 반송파인 ULCC1(401)을 통해 기지국(310)에 전송된다. 기지국은 복호기(420)를 사용하여 통합 응답데이터(430)를 복호화한다. 그리고 복호화한 통합응답데이터(430)에 디매핑 룰(440)을 적용하여 각각의 요소 반송파별 응답 데이터(451, 452, ..., 459)를 산출한다. 산출한 결과, 어떤 요소 반송파에서 재전송이 필요한지 판단(460)하여 그 결과에 따라 재전송을 진행한다. 도 4의 460에서는 재전송 여부를 판단하였으나, 응답 데이터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여 재전송 여부 뿐만 아니라 스케쥴링 요청에 대한 추가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즉 응답 데이터가 SR과 같은 제어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이에 해당하는 프로세스를 추가로 진행할 수 있다.
도 3, 4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각각의 요소반송파들에 대한 응답데이터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해 구성할 수 있는 응답데이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각 요소반송파에서 적용되는 전송방식은 전송모드로 표현되고 전송모드는 여러가지가 존재하지만 ACK/NACK의 요구량 측면으로 비추어볼 때 두 가지 종류가 존재한다. 즉, 하나의 코드워드로 이루어지는 전송방식으로 하나의 ACK/NACK비트만을 요구하는 경우와 두개의 코드워드로 구성되어 2개의 ACK/NACK비트들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의 수신자체 여부를 나타낼 수도 있다. PDCCH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를 이용하여 PDSCH를 복호화하여, 이에 대한 ACK/NACK을 표현할 수 있지만 PDCCH가 수신되지 않은 상황에서 UE는 이러한 상황을 eNB에게 알리기 위하여 DTX를 송신할 수 있다.
응답 데이터가 가질 수 있는 정보의 다양성을 고려하면 ACK/NACK정보와 DTX가 포함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 단말이 하나의 CC의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에 대하여 HARQ를 고려하여 나타내어야 할 정보량은 다음과 같은 경우로 분류될 수 있다.
하나의 코드워드인 경우, 두 가지(1비트)로 나타낸다. 일 실시예로 ACK는1, NACK는 0으로 할 수 있다.
두 개의 코드워드 네 가지(2비트) 값으로 나타낸다. 일 실시예로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첫번째 코드워드가 NACK, 두번째 코드워드가 NACK인 경우에는 0, 첫번째 코드워드가 NACK, 두번째 코드워드가 ACK인 경우에는 1, 첫번째 코드워드가 ACK, 두번째 코드워드가 NACK인 경우에는 2, 첫번째 코드워드가 ACK, 두번째 코드워드가 ACK인 경우에는 3으로 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코드워드와 DTX 정보를 구별하여 송신할 경우에는 세가지 값으로 나타내는데 일 실시예로 ACK는1, NACK는 0, 그리고 DTX는 2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코드워드와 DTX 정보를 구별하여 송신할 경우에는 다섯 가지 값으로 나타낸다. 일 실시예로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첫번째 코드워드가 NACK, 두번째 코드워드가 NACK인 경우에는 0, 첫번째 코드워드가 NACK, 두번째 코드워드가 ACK인 경우에는 1, 첫번째 코드워드가 ACK, 두번째 코드워드가 NACK인 경우에는 2, 첫번째 코드워드가 ACK, 두번째 코드워드가 ACK인 경우에는 3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DTX인 경우에는 4로 할 수 있다.
물론, 응답 데이터에 상기 ACK, NACK, DTX 정보 이외에도 SR과 같이 제어 정보가 송신될 수 있다. 이는 시스템의 구현 과정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양한 종류의 응답 데이터가 생성될 경우의 매핑룰을 적용하여 통합 응답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앞서, 요소반송파 별로 코드워드의 개수에 따라, 그리고 DTX의 송신 여부에 따라 UE가 수신한 데이터의 오류 여부를 판단하여 전송해야 할 응답 데이터의 종류는 다양해진다. 한편,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각각의 요소 반송파에 대하여 어떤 코드워드로 전송되는지, 그리고 DTX를 수신하는지 여부 등에 대한 정보는 공유된 상태이다. 각각의 요소 반송파별로 가질 수 있는 정보의 최대값을
Figure pat00001
로 나타내고자 한다. 이는 특정 요소 반송파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의 오류 여부에 대한 응답 데이터가 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의미하며, 앞서 살펴본 코드워드의 개수와 DTX 전송 여부에 따라 요소반송파 j(CCj)에 대한
Figure pat00002
값은 2, 3, 4, 5 중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이는 일 실시예에 의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Figure pat00003
는 서브프레임별로, 특정 요소반송파 CCj에 대한 응답데이터를 의미한다. 따라서, 응답 데이터가 ACK인지, NACK인지, 또는 DTX인지 등에 따라 설정되는 값이 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매핑룰의 일 실시예로 수학식 1을 적용한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4
이는 각 요소 반송파별로 응답 데이터가 될 수 있는 값의 종류 및 해당 응답 데이터를 사용하여 요소반송파 별로 소정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통합 응답데이터를 생성하는 매핑 룰의 일 실시예이다. 상기 가중치는 다수의 응답 데이터를 하나의 통합 응답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정보로, 표 1의 경우, Fj를 이용하여
Figure pat00005
와 같이 산출되는 것이 일 실시예이다. 수학식 1을 매핑룰로 적용할 경우 산출되는 값(input)이 통합응답데이터이며, 보다 상세한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5와 같다.
표 1은 각각의 요소반송파 별로 가질 수 있는 값의 특성을 보여준다.
[표 1]
Figure pat00006
표 1을 살펴보면, 하나의 코드워드인 경우(CC3인 경우), ACK는1, NACK는 0로 할 수 있으며, 두 개의 코드워드를 사용하는 경우(CC4인 경우), 첫번째 코드워드가 NACK, 두번째 코드워드가 NACK인 경우에는 0, 첫번째 코드워드가 NACK, 두번째 코드워드가 ACK인 경우에는 1, 첫번째 코드워드가 ACK, 두번째 코드워드가 NACK인 경우에는 2, 첫번째 코드워드가 ACK, 두번째 코드워드가 ACK인 경우에는 3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코드워드와 DTX 정보를 구별하여 송신할 경우(CC1인 경우)에는 ACK는1, NACK는 0, 그리고 DTX는 2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코드워드와 DTX 정보를 구별하여 송신할 경우(CC2인 경우)에는 첫번째 코드워드가 NACK, 두번째 코드워드가 NACK인 경우에는 0, 첫번째 코드워드가 NACK, 두번째 코드워드가 ACK인 경우에는 1, 첫번째 코드워드가 ACK, 두번째 코드워드가 NACK인 경우에는 2, 첫번째 코드워드가 ACK, 두번째 코드워드가 ACK인 경우에는 3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DTX인 경우에는 4로 할 수 있다.
상기 표 1의 응답데이터 개수와 응답데이터를 이용하여 수학식 1을 매핑룰로 적용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5와 같다.
도 5의 500의 실시예에서는 CC1이 가장 작은 가중치를 가지고, CC2, CC3, CC4 순서로 가중치를 가지는 경우를 예로 한다. 구현방식에 따라, 가중치는 역순으로 할 수 있고, 미리 정의된 순서에 따라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이 CC1, CC2, CC3, CC4를 다운링크 요소반송파로 사용하는데, 이때 가중치를 높은 순서로는 CC4, CC1, CC3, CC2로 설정하여 약속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가능하며, 도한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이 요소 반송파를 새로이 할당하거나 제거하는 과정에서 미리 약속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추가된 요소 반송파에 높은 가중치를 두는 방식도 가능하다.
수학식 1을 다음과 같이 도 5의 경우에 맞게 변형하면 수학식 2와 같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7
수학식 2에 표 1의 Fj와 Gj를 적용하면 도 5에서 전개되는 과정(510)과 같다. 가중치는 CC1, CC2, CC3, CC4의 순서로 되며, CC1에 대한 응답 데이터인 G1은 그대로 통합 응답데이터에 더해지며, CC2의 응답 데이터인 G2는 가중치인 F1이 곱해진다. 한편, CC3의 응답 데이터인 G3에는 가중치 F1과 F2가 곱해지며, CC4의 응답 데이터인 G4에 가중치 F1, F2, F3가 각각 곱해진다. 가중치는 응답 데이터가 하나의 통합 응답데이터에 구분될 수 있도록 포함시키기 위한 것이다. 일 예로 10진수의 경우에는 자릿수로 나타낼 수 있고, 2진수인 경우에도 해당 비트의 위치로 나타낼 수 있다. 응답 데이터가 가질 수 있는 값의 크기, 즉 Fj의 값이 가변하므로, 수학식 1 또는 2와 같이 적용하여 통합 응답 데이터에서 각각의 응답 데이터가 구별 가능하도록 가중치가 곱해져서 더해지는 방식으로 통합 응답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산출되는 통합응답데이터는 112가 된다.
112라는 통합 응답데이터는 2bit로 변환되어 도 3에서 살펴본 부호기(350)를 통해 부호화된 통합응답데이터가 된다. 부호기 및 부호화 과정은 후술하고자 한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에서 통합응답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각각의 요소반송파에 대한 응답 데이터로 변환하는 디매핑룰을 적용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도 6에서 디매핑룰은 앞서 살펴본 수학식 1, 2를 참조하여 구성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은 해당 요소 반송파의 전송 모드와 DTX를 응답데이터의 하나의 값으로 포함시킬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이미 공유한 상태이다. 이는 기지국이 상기 전송 모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에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당연히 유추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기지국은 도 6의 600(Fj)과 같은 정보를 시스템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한 상태이다. 각각의 응답데이터(Gj)에 대해서는 수학식 1, 2 및 도 5의 과정을 역으로 적용하여 각각의 요소반송파에 대한 응답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역으로 적용하기 위한 프로그램 유사코드(pseudo code)는 610과 같으며, 이를 600에 적용하여 얻은 정보는 620과 같다. 그 결과 각각의 요소반송파에 대한 응답 정보를 630과 같이 확인할 수 있다. 610의 코드에서 %(모듈러)는 나머지를 구하는 연산자이며, INT는 정수값을 취하는 함수이다.
610의 유사코드의 구현을 표 1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서 112라는 통합 응답 데이터를 산출하였다. 여기에 대해 112를 tempinput 값에 입력한다. 그리고 G1, G2, G3, G4를 구하는데, 먼저 G1은 tempinput을 F1, 즉 3으로 모듈러 연산을 수행하면 1이 된다. 이 1이 G1이 된다. 그리고 tempinput은 원래의 tempinput 값을 F1으로 나누어 정수값을 취한다. 그 결과 tempinput은 37이 된다.
그리고 37에 대하여 G2를 구하기 위하여 F2인 5를 모듈러 연산을 수행하면 2가 된다. 그리고 tempinput은 다시 5로 나눈 정수값인 7이 된다.
이후 7에 대하여 G3를 구하기 위해 F3인 2를 모듈러 연산을 수행하면 1이 된다. 그리고 tempinput을 F3인 2로 나누면 3이 된다.
마지막으로 3에 대하여 G4를 구하기 위하여 4를 모듈러 연산하면 3이 도출된다. 즉, 610의 유사 코드를 구현하게 되면, G1, G2, G3, G4는 각각 1, 2, 1, 3이 된다.
도 5에서는 응답 데이터를 가지는 요소 반송파들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이 매핑 룰의 일 실시예인 가중치 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응답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이 제시되어 있으며, 도 6에서는 통합 응답 데이터를 수신한 기지국이 앞서 살펴본 디매핑룰을 적용하여 각각의 요소 반송파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도 5, 6에서는 DTX를 송신하는 경우를 살펴보았으나 DTX를 송신하지 않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보다 간단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DTX를 송신하지 않는 경우, 각각의요소반송파에 대하여 매핑룰을 적용하여 통합응답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은 k개의 요소 반송파들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한다(711, 712, 713, ..., 719). 수신한 각각의 데이터에 대하여 응답 데이터를 생성한다. CC1과 CCk는 코드워드가 2개이므로 응답 데이터는 721과 729와 같이 4개의 정보를 필요로 하며 2bit로 구성가능하다. 한편, CC2와 CC3는 코드워드가 1개이므로 응답데이터는 722와 723과 같이 2개의 정보가 필요하므로 1bit로 구성가능하다. 따라서, 이들 각각의 응답데이터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결합하는 매핑룰(730)을 적용하여 통합응답데이터(740)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통합응답데이터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부호기(750)를 통해 부호화되어 기지국으로 송신된다.
마찬가지로 기지국에서는 부호화된 통합응답데이터를 복호화한 후, 통합응답데이터에서 각각의 요소반송파의 코드워드와 응답데이터가 나열된 순서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요소반송파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의 오류 여부를 나타내는 응답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통합 응답 데이터는 기지국으로 하여금 송신한 데이터들의 재전송 여부를 판단하게 하는 기준 정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통합 응답 데이터는 정확하게 송수신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는 블록 코딩(Block Coding)을 제시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실시예로 리드뮬러 코드를 적용하여 통합 응답 데이터를 코딩하고자 한다. 리드뮬러 코드 이외에도 다른 블록 코딩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드뮬러 (20, A) 코드 구성표이다. (20, A) 비트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A라는 길이의 입력 비트를 최대 20 bit의 크기의 코드로 생성하는 것이며, 오류 가능성을 낮추기 위해서는 A는 4~13bit로 적용할 수 있다. 입력되는 비트의 길이를 A(
Figure pat00008
), 출력되는 비트의 길이를 B(
Figure pat00009
)라 할 경우, (20, A) 비트를 생성하는 방법은 도 8의 표(
Figure pat00010
)와 수학식 3을 아래와 같이 적용시킬 수 있다. B의 값은 20이 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pat00011
,
i = 0, 1, 2, ..., B-1
수학식 3을 이용할 경우, 통합 응답 데이터는 2진수인
Figure pat00012
로 변환되어 수학식 3과 도 8의 표를 적용하여 부호화된 응답 데이터
Figure pat00013
로 산출될 수 있으며, 이 부호화된 응답데이터는 기지국으로 전송된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드뮬러 (32, O) 코드 구성표이다. (32, O) 비트를 생성하기 위하여 O라는 길이의 입력 비트를 32 bit 크기의 코드(또는 반복할 경우, 48비트의 크기)로 생성하는 것이다. 도 8과 유사하게 수학식 4와 표 9를 적용하여 출력 비트를 생성할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pat00014
i = 0, 1, 2, ..., B-1
수학식 4와 도 9의 표(
Figure pat00015
)를 적용시켜 통합 응답데이터를 부호화할 수 있다. 즉, 통합 응답 데이터는 2진수인
Figure pat00016
로 변환되어 수학식 4과 도 9의 표를 적용하여 부호화된 응답 데이터
Figure pat00017
로 산출될 수 있으며, 이 부호화된 응답데이터는 기지국으로 전송된다.
수학식 4를 적용할 경우, 32비트 길이의 출력값을 얻을 수 있으며, 보다 큰 출력 비트를 얻고자 할 경우에는
Figure pat00018
를 얻기 위하여 수학식 5를 적용할 수 있다.
[수학식 5]
Figure pat00019

도 8, 9 및 수학식 3, 4, 5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매핑 룰을 통해 산출된 통합 응답 데이터는 각각의 요소 반송파별로 할당가능한 최소한의 정보만을 포함시킬 수 있으므로, 통합 응답 데이터의 길이가 가변적으로 변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부호화를 통한 데이터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매핑룰의 일 실시예인 수학식 1을 이용하여 통합 응답 데이터를 생성하고, 수학식 3, 4를 이용하여 부호화된 통합 응답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통합 응답 데이터의 길이(2진수의 길이)가 네트워크의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변화할 경우, 수학식 3의 입력 비트의 길이인 A, 수학식 4의 입력 비트의 길이인 O가 변화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부호화된 정보의 정확한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통합응답데이터가 가질 수 있는 값의 최대 범위를 수학식 6과 같이 로그 계산하여 올림 계산을 할 경우 이진수의 최대 길이(MaxLength)를 얻을 수 있으며, 해당 이진수의 길이(MaxLength)는 곧 수학식 3의 입력 비트의 길이인 A, 수학식 4의 입력 비트의 길이인 O가 된다.
[수학식 6]
Figure pat00020
또한, 최대 통합응답데이터의 값은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각각의 요소반송파별로 가질 수 있는 응답데이터의 종류의 최대값을 통해 구할 수 있다. 표 1의 예에서 Fj들이 그러한 값을 구하는 입력값이 된다. 따라서, 수학식 7, 8과 같이 최대 입력 비트의 길이를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7의 경우는 Fj의 값이 모두 2의 지수 값(2, 4, 8, ...)의 값을 가지는 경우이며, 수학식 8은 Fj의 값들 중 하나 이상이 2의 지수 값이 아닌 경우(3, 5, ...)에 적용할 수 있다.
[수학식 7]
Figure pat00021
[수학식 8]
Figure pat00022
표 1의 경우를 적용할 경우, 수학식 8을 적용할 수 있으며, 그 결과 MaxLength는 7이 되며, 수학식 3, 4에서의 입력 비트의 길이는 7이 될 수 있다. 이 정보는 기지국과 UE가 각각의 요소 반송파의 전송 모드 및 미리 설정된 정보에 의하여 판별할 수 있는 정보이다. 즉, 입력비트가 작아지면, eNB가 복호 과정에서 계산의 범위를 제한하여 계산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입력비트의 크기가 작을 때 상대적으로 성능이 좋아지는 블록부호의 성능개선효과를 얻을수 있다. 입력 비트의 크기가 작고, 입력 비트에 대한 정보가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이 공유할 경우, 복호화를 위한 계산량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블록부호는 작은 입력 비트에서 에러가 발생할 확률이 낮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리드뮬러(Reed Muller)부호의 일종인 (20,A)부호 또는 (32, O)부호는 입력비트의 크기에 따라 부호의 성능이 달라지는데, 입력비트의 크기가 클수록 부호의 성능이 저하가 발생하고 입력비트의 크기가 작을수록 부호의 성능이 상대적으로 우수하다. 요소반송파 집합화 환경하에서 ACK/NAK정보의 전송을 위한 비트요구량은 요소반송파의 개수, 각반송파별 전송 방식등에 따라 다르고 변동가능하므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를 적용하여 가변적인 길이로 비트를 할당할 경우, 부호의 입력 비트를 줄이게 되는데, 이를 복호화하는 과정에서 가변적인 길이를 기지국에서 미리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복호화 성능, 즉 디코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응답 데이터는 하나의 요소 반송파 또는 둘 이상의 요소반송파의 오류 여부를 번들링(bundling)하여 제공할 수 있다. 번들링은 다수의 ACK/NAK비트를 로지컬 AND(logical AND) 또는 로지컬 OR(logical OR) 오퍼레이션(operation)을 통해 대표되는 ACK/NAK값을 얻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과정은 매핑 룰에서 응답 데이터를 변환하여 통합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도 10과 도 11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매핑룰이 하나의 요소 반송파에 대하여 번들링을 수행하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에서 매핑 룰(1030)은 CC1(1011), CC4(1014)의 응답 데이터를 각각 번들링한다. CC1(1011), CC4(1014)는 코드워드가 2이며, DTX를 전송하지 않는데, 이에 대한 응답 데이터가 0, 1, 2, 3이 아니라, 0과 1만 가지도록 번들링 할 수 있다. 즉, 모든 코드워드가 ACK인 경우에만 1로 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0으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 경우, CC1(1011), CC4(1014)는 2개의 코드워드를 사용하지만 1bit의 응답 데이터를 생성하게 되며, 그 외 CC2(1012), CC3(1013)는 각각 2bit, 1bit의 응답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응답 데이터는 앞서 살펴본 수학식 1을 적용하여 통합 응답데이터(1040)에 포함되어 부호기(1050)를 거쳐 부호화된 통합 응답 데이터(1060)가 기지국으로 송신된다. 한편, 기지국은 복호화를 수행하여 확보한 통합응답데이터에서, 어떤 CC에 대해 번들링이 이루어졌는지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정보를 확보한 상태이므로, 번들링된 정보를 통해 응답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C1의 응답 데이터로 1이 송신된 경우, 두 개의 코드워드 모두에 대해 ACK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0이 송신된 경우, 두 개의 코드워드 중 하나이상 NACK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매핑룰이 둘 이상의 요소 반송파에 대하여 번들링을 수행하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CC1(1111), CC2(1112)는 1개의 코드워드를 사용하며 DTX를 미포함한다. 한편, CC3(1113)은 2개의 코드워드를 포함하며 DTX를 미포함하며, CC4(1114)는 2개의 코드워드를 포함하며 DTX를 포함한다. 이들을 통합 응답데이터(1140)으로 생성하는 매핑룰(1130)는 CC1(1111)과 CC2(1112)의 ACK 또는 NACK에서 1121과 같이 모두 ACK인 경우에만 0으로 응답 데이터를 설정하며 그 외에는 1로 응답데이터를 설정하도록 번들링할 수 있다. CC3(1113)와 CC4(1114)는 DTX 포함 여부에 따라 각각 4가지 또는 5가지의 응답 데이터를 가질 수 있으므로 1123, 1124와 같이 응답데이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응답데이터를 통합응답데이터(1140)으로 매핑하고, 부호기(1150)를 통해 부호화된 통합응답데이터(1160)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기지국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부호화된 통합응답데이터를 복호화한 후, 통합 응답데이터에서 1121, 1123, 1124와 같은 응답 데이터를 추출하는데, 1121에서는 두 개의 요소 반송파(1111, 1112)의 ACK 또는 NACK 정보가 번들링되어 있으므로, 1인 경우에는 두 개의 요소 반송파(1111, 1112)에서 데이터 전송이 성공했음을 확인하고, 0인 경우에는 두 개의 요소 반송파(1111, 1112)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오류가 발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번들링은 도 10, 11 이외에도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요소 반송파 내에서 적용하는 번들링, 요소 반송파 간에 적용하는 번들링, 그리고 일정 기간(서브 프레임)동안의 응답 데이터를 번들링 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에 대한 번들링은, 서브 프레임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전체에 대해 ACK/NACK을 응답 데이터로 하는 예를 포함한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이 통합 응답데이터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n개의 다운링크 요소반송파를 통하여 서브프레임을 수신한다(S1210). 그리고 수신한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복호화를 수행한 후(S1220), n개의 응답 데이터를 산출한다(S1230). 도 10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하나의 요소 반송파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산출하는 과정에서 번들링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n개의 다운링크 요소반송파 중 둘 이상의 코드워드를 사용하는 제 1 다운링크 요소반송파를 통하여 수신한 데이터에 대하여 코드워드별로 송수신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코드워드별로 확인한 결과를 대표하는 하나의 응답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수신한 서브프레임은 제어정보와 데이터정보를 포함하여 물리적인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단위로서 프레임, 블록등의 다른 표현이 가능하다. 상기 서브프레임을 복호화하는 과정은 여러가지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먼저, SPS(Semi Persistent Scheduling)가 동작하는 경우, PDCCH는 초기에만 전송되며 그 이후 변경이 발생할 때까지 전송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PDCCH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SPS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PDCCH가 포함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판단하고, 그 이후 PDCCH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이전에 수신한 PDCCH를 이용하여 PDSCH를 복호화할 수 있다.
상기 요소 반송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서브프레임을 이용하여 전송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정보 채널이 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PDCCH가 될 수 있다. PDCCH는 복호화를 통해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PDCCH와 같은 제어정보 채널을 복호화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PDCCH의 경우, 응답 데이터는 ACK, NACK와 DTX, 그리고 SR(Scheduling Request)와 같은 제어 정보가 포함될 수 있는데, DTX는 PDCCH가 전송되지 않았다는 판단 결과를 의미한다. 이는 특정 요소 반송파에서는 PDCCH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사용자 단말은 자신이 요소 반송파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과정에서 PDCCH를 발견하지 못한 경우에는 ACK, NACK와 달리, DTX라는 응답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응답 데이터에는 SR은 스케쥴링을 진행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가 부가적으로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표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하나의 코드워드를 사용하는 경우 DTX와 SR을 모두 포함시키고자 할 경우에도 2bit로 응답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두개의 코드워드를 사용하는 경우에 DTX와 SR을 모두 포함시키고자 할 경우에도 3bit로 응답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복호화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로 i) 수신한 서브프레임을 복호화하여 PDCCH가 포함되었는지 확인하고, ii) PDCCH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DTX를 송신할 수 있으며, iii) PDCCH가 포함된 경우, PDSCH를 통하여 ACK/NACK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n개의 응답 데이터에 매핑 룰을 적용하여 통합 응답 데이터를 산출한다(S1240). 상기 매핑룰은 앞서 수학식 1과 도 5, 6 등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를 기준으로 설정된 가중치를 상기 응답 데이터에 적용하여 통합 응답 데이터를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중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가 상기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가지는 순위,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의 전송 모드, 또는 DTX를 응답 데이터로 포함시킬 것인지 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매핑룰은 앞서 도 11과 같이 요소반송파들의 응답 데이터를 번들링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n개의 응답 데이터 중에서 둘 이상의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에 대한 둘 이상의 응답 데이터를 대표하는 하나의 응답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합 응답 데이터를 블록코딩하여 부호화된 통합 응답 데이터를 산출한다(S1250). 상기 블록 코딩은 상기 통합 응답 데이터를 2진수로 변환하여 리드뮬러 (20, A) 또는 (32, O)의 입력 비트로 하여 코딩할 수 있다. 이 경우, 통합 응답 데이터의 길이가 가변되는데, 이러한 가변적인 길이에 의해 보다 신뢰성 높은 코딩이 진행될 수 있다. 블록코딩을 통해 부호화가 완료되면, 부호화된 통합 응답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에 송신한다(S1260).
도 1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이 통합 응답데이터를 수신하여 각각의 요소반송파의 특성에 따라 응답 데이터를 확인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기지국은 사용자 단말에 n개의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를 통해 서브프레임을 송신한다. 상기 송신한 서브프레임은 무선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로, 패킷, 프레임, 무선 심볼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서브프레임의 특징으로 먼저, SPS(Semi Persistent Scheduling)가 동작하는 경우, PDCCH는 초기에만 서브프레임에 포함되어 전송되며 그 이후 변경이 발생할 때까지 PDCCH는 포함되지 않고 전송되지 않는다. 한편 SPS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에는 PDCCH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 PDCCH는 포함된 데이터 채널(PDSCH)를 복호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부호화된 통합 응답 데이터를 수신한다(S1320). 그리고, 상기 수신한 부호화된 통합 응답 데이터를 블록 디코딩하여 통합 응답데이터를 산출한다(S1330). 이때, 상기 통합 응답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해 통합 응답 데이터의 원래 길이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상기 블록 디코딩에 적용할 수 있다. 즉,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통합 응답 데이터(2진수)의 길이는 요소반송파의 전송 모드와 DTX 포함 여부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표 1의 Fj 값을 구할 수 있고, 이를 수학식 7, 8 등에 적용하여 통합 응답 데이터(2진수)의 길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이를 블록디코딩시 복호화할 코드의 길이로 하여 복호화할 경우, 디코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리드뮬러(Reed Muller)부호의 일종인 (20,A)부호 또는 (32, O)부호는 입력비트의 크기에 따라 부호의 성능이 달라지는데, 입력비트의 크기가 클수록 부호의 성능이 저하가 발생하고 입력비트의 크기가 작을수록 부호의 성능이 상대적으로 우수하다. 요소반송파 집합화 환경하에서 ACK/NAK정보의 전송을 위한 비트요구량은 요소반송파의 개수, 각반송파별 전송 방식 등에 따라 다르고 변동가능하므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를 적용하여 가변적인 길이로 비트할당할 경우, 부호의 입력 비트를 줄이게 되는데, 이를 복호화하는 과정에서 가변적인 길이를 기지국에서 미리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복호화 성능, 즉 디코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복호화를 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요소 반송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Fj 값을 산출하여 통합 응답 데이터의 길이를 산출할 경우, 디코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복호화를 통하여 산출된 통합 응답데이터에 디매핑 룰을 적용하여 n개의 응답 데이터를 산출한다(S1340). 상기 디매핑룰은 상기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를 기준으로 설정된 가중치를 이용하여 각각의 다운링크 요소반송파에 대한 응답 데이터에 산출할 수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 상기 가중치는 상기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가 상기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가지는 순위,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의 전송 모드, 또는 DTX를 응답 데이터로 포함시킬 것인지 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따라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번들링된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는데, 앞서 도 1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통합 응답 데이터에서 둘 이상의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의 응답 데이터의 대표값을 산출하여 상기 둘 이상의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의 각각의 응답 데이터로 산출할 수 있다.
각각의 요소반송파들에 대한 n개의 응답 데이터를 산출한 후, 상기 n개의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n개의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를 통해 송신하였던 서브프레임과 관련하여 추가 프로세스 여부를 판단한다(S1350). 이 경우, 도 10에서와 같이 요소 반송파 내의 코드워드별로 번들링된 응답 데이터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n개의 다운링크 요소반송파 중 둘 이상의 코드워드를 사용하는 제 1 다운링크 요소반송파에 대한 응답 데이터가 나타내는 대표값을 이용하여 해당 다운링크 요소반송파에 대한 재전송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추가 프로세스 여부도 판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DTX, SR과 같은 응답 데이터가 송신될 경우에 별도의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것이 필요한지 기지국에서 판단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송신한 서브프레임이 제어 정보 채널, 특히, PDCCH의 경우, 상기 응답 데이터는 ACK, NACK와 DTX, 그리고 SR(Scheduling Request)이 포함될 수 있다. DTX는 PDCCH가 전송되지 않았다는 사용자 단말측의 판단 결과를 의미한다. 이는 특정 요소 반송파에서는 PDCCH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도 있는데, 사용자 단말은 이러한 요소 반송파에서 PDCCH가 수신조차 되지 않아 포함되지 않았다고 알려올 수 있다. 이 경우, DTX라는 응답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응답 데이터에는 SR은 스케쥴링을 진행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가 부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반송파 집합화 환경하에서 시스템에서 고려되는 전체 CC의 개수를 N이라 가정할 경우, 특정 UE에 할당된 CC의 개수((UE specific)를 n이라고 가정하면, n은 N보다 작거나 같은 값을 가지며 eNB의 스케쥴링에 의해 변화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상위계층시그널링에 의해 UE에게 알려지고 UE에 따라 다른 CC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UE에게 할당된 반송파의 개수가 n인 경우 각 요소반송파는 CC1, CC2, ..., CCn으로 표현할 수 있는데 이는 시스템에서 절대적으로 구분되어지는 요소반송파가 UE에게 특정하게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요소반송파 CC1, CC2, ..., CCn에서 각각 다운링크 할당(DL grant)을 나타내는 PDCCH가 eNB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면 PDCCH에 의해 하향링크의 서브프레임 단위의 PDSCH가 할당된다. 이 때 요소반송파 CC1, CC2, ..., CCn에 대하여 항상 PDCCH가 존재하는 것은 아니며 순시적으로 이중 일부의 요소반송파에만 PDCCH가 존재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합 응답데이터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전체 구성은 수신부(1410), 복호화부(1420), 검증부(1430), 제어정보생성부(1440), 부호화부(1450), 그리고 송신부(1460)으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도 14는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사용자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n개의 다운링크 요소반송파를 통하여 서브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부(1410), 상기 수신한 서브프레임을 복호화하는 복호화부(1420), 그리고 복호화하여 오류 여부를 확인하여 n개의 응답 데이터를 산출하는 검증부(1430), 상기 n 개의 응답 데이터에 매핑 룰을 적용하여 통합 응답 데이터를 산출하는 제어정보 생성부(1440), 그리고 상기 통합 응답 데이터를 블록코딩하는 부호화부(1450)와 상기 부호화부에서 부호화된 통합 응답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송신부(1460)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정보 생성부(1440)은 매핑룰을 포함하는데, 앞서 살펴본 수학식 1을 매핑룰로 할 경우, 상기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를 기준으로 설정된 가중치를 상기 응답 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가중치 정보란 상기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가 상기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가지는 순위,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의 전송 모드, 또는 DTX를 응답 데이터로 포함시킬 것인지 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복호화부(1420)가 상기 서브프레임을 복호화하는 과정은 여러가지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먼저, SPS(Semi Persistent Scheduling)가 동작하는 경우, PDCCH는 초기에만 전송되며 그 이후 변경이 발생할 때까지 전송되지 않는다. PDCCH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SPS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PDCCH가 포함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판단하고, 그 이후 PDCCH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이전에 수신한 PDCCH를 이용하여 PDSCH를 복호화할 수 있다.
상기 요소 반송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서브프레임에 포함시켜 전송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정보 채널이 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PDCCH가 될 수 있다. PDCCH는 복호화를 통해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PDCCH와 같은 제어정보 채널을 복호화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PDCCH의 경우, 응답 데이터는 ACK, NACK와 DTX, 그리고 SR(Scheduling Request)와 같은 제어 정보가 포함될 수 있는데, DTX는 PDCCH가 전송되지 않았다는 판단 결과를 의미한다. 이는 특정 요소 반송파에서는 PDCCH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사용자 단말은 자신이 요소 반송파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과정에서 PDCCH를 발견하지 못한 경우에는 검증부(1430)에서 ACK, NACK와 달리, DTX라는 응답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응답 데이터에는 SR은 스케쥴링을 진행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가 부가적으로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표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하나의 코드워드를 사용하는 경우 DTX와 SR을 모두 포함시키고자 할 경우에도 2bit로 응답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두개의 코드워드를 사용하는 경우에 DTX와 SR을 모두 포함시키고자 할 경우에도 3bit로 응답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복호화부(1420)는 i) 수신한 서브프레임을 복호화하여 PDCCH가 포함되었는지 확인하고, ii) PDCCH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DTX를 송신할 수 있으며, iii) PDCCH가 포함된 경우, PDSCH를 복호화 하고, 이후 검증부(1430)에서 ACK/NACK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검증부(1430)는 도 10에서 살펴본 번들링을 수행할 수 있는데, 상기 n개의 다운링크 요소반송파 중 둘 이상의 코드워드를 사용하는 제 1 다운링크 요소반송파를 통하여 수신한 데이터에 대하여 코드워드별로 송수신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코드워드별로 확인한 결과를 대표하는 하나의 응답 데이터를 산출하게 된다.
또한 제어정보 생성부(1440) 역시 도 11에서 살펴본 요소 반송파들 간의 응답 데이터를 번들링 할 수 있는데, 상기 n개의 응답 데이터 중에서 둘 이상의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에 대한 둘 이상의 응답 데이터를 대표하는 하나의 응답 데이터를 산출하게 된다.
블록 코딩은 상기 통합 응답 데이터를 2진수로 변환하여 리드뮬러 (20, A) 또는 (32, O)의 입력 비트로 하여 코딩할 수 있다. 이 경우, 통합 응답 데이터의 길이가 가변되는데, 이러한 가변적인 길이에 의해 보다 신뢰성 높은 코딩이 진행될 수 있다. 블록코딩을 통해 부호화가 완료되면, 송신부(1460)는 부호화된 통합 응답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에 송신한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합 응답데이터를 수신하여 각각의 요소반송파의 특성에 따라 응답 데이터를 확인하는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기지국은 사용자 단말에 n개의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를 통해 서브프레임을 송신한다. 이는 송신부(1540)를 통해 진행된다. 상기 송신한 서브프레임은 제어정보와 데이터정보를 포함하여 물리적인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단위로서 프레임, 블록등의 다른 표현이 가능하다. 상기 서브프레임의 특징으로 먼저, SPS(Semi Persistent Scheduling)가 동작하는 경우, PDCCH는 초기에만 서브프레임에 포함되어 전송되며 그 이후 변경이 발생할 때까지 PDCCH는 포함되지 않고 전송되지 않는다. 한편 SPS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에는 PDCCH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 PDCCH는 포함된 데이터 채널(PDSCH)를 복호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장치인 기지국의 구성은 크게 수신부(1510), 복호화부(1520), 검증부(1530), 송신부(1540)으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에 n개의 다운링크 요소반송파를 통하여 서브프레임을 송신하는 송신부(1540).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송신한 서브프레임에 대한 부호화된 통합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1510), 상기 수신한 부호화된 통합 응답 데이터를 블록 디코딩하여 통합 응답데이터를 산출하는 복호화부(1520), 상기 블록 디코딩된 통합 응답데이터에 디매핑 룰을 적용하여 n개의 응답 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n개의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n개의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를 통해 송신하였던 서브프레임에 대한 추가 프로세스 여부를 판단하는 검증부(1530)를 포함한다.
상기 검증부(1530)의 디매핑룰은 상기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를 기준으로 설정된 가중치를 이용하여 각각의 다운링크 요소반송파에 대한 응답 데이터에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가중치는 상기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가 상기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가지는 순위,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의 전송 모드, 또는 DTX를 응답 데이터로 포함시킬 것인지 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검증부(1530)는 도 10, 1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번들링된 응답 데이터를 대표값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도 10의 경우와 같이, 검증부(1530)는 상기 n개의 다운링크 요소반송파 중 둘 이상의 코드워드를 사용하는 제 1 다운링크 요소반송파를 대한 응답 데이터가 나타내는 대표값을 이용하여 해당 다운링크 요소반송파에 대한 재전송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 11과 같이, 검증부(1530)는 상기 통합 응답 데이터에서 둘 이상의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의 응답 데이터의 대표값을 산출하여 상기 둘 이상의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의 각각의 응답 데이터로 산출할 수 있다.
검증부(1530)는 상기 통합 응답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해 통합 응답 데이터의 원래 길이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상기 블록 디코딩에 적용할 수 있다. 즉,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통합 응답 데이터(2진수)의 길이는 요소반송파의 전송 모드와 DTX 포함 여부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표 1의 Fj 값을 구할 수 있고, 이를 수학식 7, 8 등에 적용하여 통합 응답 데이터(2진수)의 길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이를 블록디코딩시 복호화할 코드의 길이로 하여 복호화할 경우, 디코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리드뮬러(Reed Muller)부호의 일종인 (20,A)부호 또는 (32, O)부호는 입력비트의 크기에 따라 부호의 성능이 달라지는데, 입력비트의 크기가 클수록 부호의 성능이 저하가 발생하고 입력비트의 크기가 작을수록 부호의 성능이 상대적으로 우수하다. 요소반송파 집합화 환경하에서 ACK/NAK정보의 전송을 위한 비트요구량은 요소반송파의 개수, 각반송파별 전송 방식 등에 따라 다르고 변동가능하므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를 적용하여 가변적인 길이로 비트할당할 경우, 부호의 입력 비트를 줄이게 되는데, 이를 복호화하는 과정에서 가변적인 길이를 기지국에서 미리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복호화 성능, 즉 디코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복호화를 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요소 반송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Fj 값을 산출하여 통합 응답 데이터의 길이를 산출할 경우, 디코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검증부(1530)에서 판단하게 되는 추가 프로세스는 응답 데이터가 NACK인 경우에는 이에 대한 후속 처리가 될 수 있으며, DTX, SR과 같은 응답 데이터가 송신될 경우에 별도의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것이 필요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송신한 서브프레임이 제어 정보 채널, 특히, PDCCH의 경우, 상기 수신한 응답 데이터는 ACK, NACK와 DTX, 그리고 SR(Scheduling Request)이 포함될 수 있다. DTX는 PDCCH가 전송되지 않았다는 사용자 단말측의 판단 결과를 의미한다. 이는 특정 요소 반송파에서는 PDCCH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도 있는데, 사용자 단말은 이러한 요소 반송파에서 PDCCH가 수신조차 되지 않아 포함되지 않았다고 알려올 수 있다. 이 경우, DTX라는 응답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응답 데이터에는 SR은 스케쥴링을 진행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가 부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호화부와 복호화부의 구성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의 부호화부(1440)와 도 15의 복호화부(1520)의 구성의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펑처링(puncturing) 또는 반복(repetition)과 관련된 부분(1640, 1660)은 블록부호의 응용에 따라 존재할수도 있고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블록부호는 일반적으로 리드뮬러부호형태를 의미하며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로 20,A) 또는 (32,O)코드가 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블록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1610은 정보 비트로 통합 응답 데이터가 부호화부에 입력되는 것을 나타낸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통합 응답 데이터의 최대 길이(MaxLength)를 결정하여이를 이용하여 블록코드 부호기(1630)에 입력 비트의 길이로 적용하여 통합 응답 데이터를 부호화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복호화부(1520)에서도 요소 반송파의 특성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응답 데이터의 최대 길이(MaxLength)를 결정하여(1670), 이를 이용하여 블록코드 복호기(1680)에 복호화할 데이터의 길이로 적용하여 통합 응답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적용할 경우, CA상황하에서 상향링크로 전송되는 ACK/NACK정보를 소정의 블록부호형태(예를 들어 리드 뮬러)로 부호화할 경우 CC의 개수 및 MIMO방식여부, DTX체크 여부에 따라 전송될 정보의 길이라 변화하므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2)

  1. 사용자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n개의 다운링크 요소반송파를 통하여 수신하여 복호한 n개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n개의 응답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n개의 응답 데이터에 매핑 룰을 적용하여 통합 응답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응답 데이터를 블록코딩하여 부호화된 통합 응답 데이터를 산출하여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는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제어 정보 채널을 복호화하며, 상기 제어 정보 채널이 지시하는 데이터 채널을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응답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채널을 검증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제어 정보 채널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룰은 상기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를 기준으로 설정된 가중치를 상기 응답 데이터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상기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가 상기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가지는 순위,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의 전송 모드, 또는 DTX를 응답 데이터로 포함시킬 것인지 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응답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n개의 다운링크 요소반송파 중 둘 이상의 코드워드를 사용하는 제 1 다운링크 요소반송파를 통하여 수신한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코드워드별로 송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코드워드별로 확인한 결과를 대표하는 하나의 응답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응답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n개의 응답 데이터 중에서 둘 이상의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에 대한 둘 이상의 응답 데이터를 대표하는 하나의 응답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코딩은 상기 통합 응답 데이터를 2진수로 변환하여 리드뮬러 (20, A) 또는 (32, O)의 입력 비트로 하여 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9. 기지국이 사용자 단말로부터 부호화된 통합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부호화된 통합 응답 데이터를 블록 디코딩하여 통합 응답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통합 응답데이터에 디매핑 룰을 적용하여 n개의 응답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n개의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n개의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를 통해 송신하였던 서브프레임과 관련하여 추가 프로세스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였던 서브프레임은 제어정보 채널을 포함하는,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데이터는 상기 송신하였던 서브프레임에 제어정보 채널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디매핑룰은 상기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를 기준으로 설정된 가중치를 이용하여 각각의 다운링크 요소반송파에 대한 응답 데이터에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상기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가 상기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가지는 순위,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의 전송 모드, 또는 DTX를 응답 데이터로 포함시킬 것인지 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n개의 다운링크 요소반송파 중 둘 이상의 코드워드를 사용하는 제 1 다운링크 요소반송파를 대한 응답 데이터가 나타내는 대표값을 이용하여 해당 다운링크 요소반송파에 대한 재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응답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통합 응답 데이터에서 둘 이상의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의 응답 데이터의 대표값을 산출하여 상기 둘 이상의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의 각각의 응답 데이터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디코딩은 상기 요소 반송파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 응답 데이터의 길이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정보를 상기 블록 디코딩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17. 사용자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n개의 다운링크 요소반송파를 통하여 n개의 서브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한 n개의 서브프레임을 복호화하는 복호화부;
    상기 복호화한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n개의 응답 데이터를 산출하는 검증부;
    상기 n 개의 응답 데이터에 매핑 룰을 적용하여 통합 응답 데이터를 산출하는 제어정보 생성부;
    상기 통합 응답 데이터를 블록코딩하는 부호화부; 및
    상기 부호화부에서 부호화된 통합 응답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송신하는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부는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제어 정보 채널을 복호화하고, 상기 제어 정보 채널이 지시하는 데이터 채널을 복호화하며,
    상기 응답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채널을 검증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송신하는 장치.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부는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제어 정보 채널의 유무를 판단하는,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송신하는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룰은 상기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를 기준으로 설정된 가중치를 상기 응답 데이터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송신하는 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상기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가 상기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가지는 순위,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의 전송 모드, 또는 DTX를 응답 데이터로 포함시킬 것인지 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송신하는 장치.
  22.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부는 상기 n개의 다운링크 요소반송파 중 둘 이상의 코드워드를 사용하는 제 1 다운링크 요소반송파를 통하여 수신한 데이터에 대하여 코드워드별로 송수신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코드워드별로 확인한 결과를 대표하는 하나의 응답 데이터를 산출하는,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송신하는 장치.
  23.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 생성부는 상기 n개의 응답 데이터 중에서 둘 이상의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에 대한 둘 이상의 응답 데이터를 대표하는 하나의 응답 데이터를 산출하는,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송신하는 장치.
  24.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코딩은 상기 통합 응답 데이터를 2진수로 변환하여 리드뮬러 (20, A) 또는 (32, O)의 입력 비트로 하여 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송신하는 장치.
  25. 사용자 단말에 n개의 다운링크 요소반송파를 통하여 서브프레임을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송신한 서브프레임에 대한 부호화된 통합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한 부호화된 통합 응답 데이터를 블록 디코딩하여 통합 응답데이터를 산출하는 복호화부;
    상기 블록 디코딩된 통합 응답데이터에 디매핑 룰을 적용하여 n개의 응답 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n개의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n개의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를 통해 송신하였던 서브프레임과 관련하여 추가 프로세스 여부를 를 판단하는 검증부를 포함하는,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한 서브프레임은 제어정보 채널을 포함하는,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송신하는 장치.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데이터는 상기 송신하였던 서브프레임에 제어정보 채널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송신하는 장치.
  28.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디매핑룰은 상기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를 기준으로 설정된 가중치를 이용하여 각각의 다운링크 요소반송파에 대한 응답 데이터에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상기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가 상기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가지는 순위,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의 전송 모드, 또는 DTX를 응답 데이터로 포함시킬 것인지 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30.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부는 상기 n개의 다운링크 요소반송파 중 둘 이상의 코드워드를 사용하는 제 1 다운링크 요소반송파를 대한 응답 데이터가 나타내는 대표값을 이용하여 해당 다운링크 요소반송파에 대한 재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31.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부는 상기 통합 응답 데이터에서 둘 이상의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의 응답 데이터의 대표값을 산출하여 상기 둘 이상의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의 각각의 응답 데이터로 산출하는,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32.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디코딩은 상기 요소 반송파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 응답 데이터의 길이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정보를 상기 블록 디코딩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KR1020100058806A 2010-06-21 2010-06-21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701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806A KR101701305B1 (ko) 2010-06-21 2010-06-21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PCT/KR2011/004515 WO2011162531A2 (en) 2010-06-21 2011-06-21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in carrier aggregation environment
US13/806,488 US9451596B2 (en) 2010-06-21 2011-06-21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in carrier aggregation environment
US15/240,623 US10433287B2 (en) 2010-06-21 2016-08-18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in carrier aggregation environment
US16/549,119 US11071096B2 (en) 2010-06-21 2019-08-23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in carrier aggregation environ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806A KR101701305B1 (ko) 2010-06-21 2010-06-21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741A true KR20110138741A (ko) 2011-12-28
KR101701305B1 KR101701305B1 (ko) 2017-02-13

Family

ID=45371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8806A KR101701305B1 (ko) 2010-06-21 2010-06-21 반송파 집합화 환경에서 상향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9451596B2 (ko)
KR (1) KR101701305B1 (ko)
WO (1) WO201116253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23873B2 (ja) 2010-05-06 2015-05-27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端末装置及び応答信号マッピング方法
WO2012047038A2 (ko) * 2010-10-08 2012-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30125695A (ko) 2012-05-09 2013-11-19 주식회사 팬택 인터밴드 tdd 전송 방식에서 채널 셀렉션 전송을 위한 harq-ack 인덱스 매핑 및 업링크 자원 할당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EP2849401B1 (en) * 2012-05-10 2017-07-19 LG Electronics Inc. Encoding method and encoding apparatu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9635644B2 (en) 2012-08-10 2017-04-25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coverage enhancements
EP3192204B8 (en) * 2014-09-10 2020-02-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access nod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US9686742B1 (en) * 2015-09-10 2017-06-20 Mbit Wireless, Inc.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power consumption in standby mode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20230064573A1 (en) * 2021-09-02 2023-03-02 Qualcomm Incorporated Cross-carrier feedback with sidelink carrier aggreg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8978A2 (en) * 2008-08-11 2010-02-1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0508783A (ja) * 2006-10-31 2010-03-18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Ackチャネルに基づいてオーバヘッドを低減する方法及び装置
US20100272048A1 (en) * 2009-04-24 2010-10-2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feedback for component carrier aggregation
US20120182914A1 (en) * 2009-09-03 2012-07-19 Panasonic Corporation Feedback scheme for providing feedback on plural transmission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249B1 (ko) * 2008-08-11 2016-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EP2234308A1 (en) * 2009-03-23 2010-09-29 Panasonic Corporation Retransmission mode signa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08783A (ja) * 2006-10-31 2010-03-18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Ackチャネルに基づいてオーバヘッドを低減する方法及び装置
WO2010018978A2 (en) * 2008-08-11 2010-02-1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00272048A1 (en) * 2009-04-24 2010-10-2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feedback for component carrier aggregation
US20120182914A1 (en) * 2009-09-03 2012-07-19 Panasonic Corporation Feedback scheme for providing feedback on plural transmiss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33287B2 (en) 2019-10-01
US11071096B2 (en) 2021-07-20
US20130100918A1 (en) 2013-04-25
WO2011162531A2 (en) 2011-12-29
US20160360521A1 (en) 2016-12-08
KR101701305B1 (ko) 2017-02-13
WO2011162531A3 (en) 2012-05-03
US9451596B2 (en) 2016-09-20
US20190380126A1 (en) 2019-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224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pp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US10057891B2 (en) Selecting a codeword and determining a symbol length for uplink control information
US110710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in carrier aggregation environment
KR101789618B1 (ko) 다중 안테나 전송 기법을 지원하기 위한 효율적인 제어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US116955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or reception of data in communication system
US20220039088A1 (en) Transmitting method and receiving method for control informatio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KR20110039154A (ko) Ack/nack 피드백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통신장치
US202303701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or reception of data in communication system
US8599760B2 (en) Error propagation protection in non-binary multiple ACK/NACKS
US2022040051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ssion or reception of data and control signal in communication system
KR101835023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환경에 따라 응답 정보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 및 응답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CN117296268A (zh) 用于物理层间优先级uci复用的模块化设计
JP2019146258A (ja) 制御情報を送信するための方法、ユーザ機器、及び基地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