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8543A - 스마트 사용자 식별 모듈을 이용한 다중 운영체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사용자 식별 모듈을 이용한 다중 운영체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8543A
KR20110138543A KR1020100058477A KR20100058477A KR20110138543A KR 20110138543 A KR20110138543 A KR 20110138543A KR 1020100058477 A KR1020100058477 A KR 1020100058477A KR 20100058477 A KR20100058477 A KR 20100058477A KR 20110138543 A KR20110138543 A KR 20110138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ng system
control unit
display unit
booting
mod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8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5653B1 (ko
Inventor
윤진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8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5653B1/ko
Priority to EP11000056.9A priority patent/EP2397941B1/en
Priority to US12/986,175 priority patent/US8959324B2/en
Publication of KR20110138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8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06Loading of operating system
    • G06F9/441Multiboot arrangements, i.e. selecting an operating system to be loa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스마트 사용자 인증 모듈을 이용하여 복수의 운영체제를 구동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컴퓨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 제 1 운영체제를 구비하는 제 1 메모리; 상기 제 1 운영체제와 상이한 제 2 운영체제를 구비하는 제 2 메모리 및 상기 제 2 운영체제에 대한 연산을 수행하기 위한 제 2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입자 식별 모듈(SIM); 및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이 소정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이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상기 제 1 운영체제의 부팅 또는 상기 제 2 제어부에 의한 연산을 통한 상기 제 2 운영체제의 부팅이 선택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 1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사용자 식별 모듈을 이용한 다중 운영체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UAL OS SYSTEM USING A SMART SIM MODU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스마트 사용자 인증 모듈을 이용하여 복수의 운영체제를 구동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 식별 모듈(SIM: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이하 "SIM"이라 칭함) 카드는 가입자 식별 모듈을 구현한 IC 카드로, GSM 표준을 따르는 이동 단말기의 필수 요소이다. 이와 유사하게, 범용 사용자 식별 모듈(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이하 "USIM"이라 칭함)은 GSM 표준의 SIM이 확장된 것으로 3세대 이동통신(3G/4G) 단말기에 사용된다.
SIM/USIM 카드는 보통 이동 단말기의 배면 커버 내부의 슬롯에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SIM/USIM 카드는 내부 메모리에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어서 어느 단말이건 본 카드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로 쓸 수 있다. 사용자 인증이 되므로 단말기에 관계없이 과금 문제가 해결될 수 있으며, 보안이 뛰어나서 전자상거래 등에서도 효용성이 높다.
현재는 2세대 통신(2G/CDMA)에서 3세대 통신(3G/4G)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있으며, 보다 3세대 통신이 보급됨에 따라 SIM/USIM 카드의 수요가 늘어가고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식별 모듈을 구비하는 카드에는 보다 대용량의 저장수단이 구비되며 비교적 저전력을 사용하여 연산 기능까지 구현되는 비메모리 반도체(즉, ㅍ)까지 구비되고 있으며 이는 스마트 사용자 식별 모듈(Smart SIM, 이하 "스마트 SIM"이라 칭함) 카드라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스마트 SIM 카드에 구비되는 다양한 반도체 소자의 기능을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를 위한 제어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의 저장매체 및 프로세서를 통하여 편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의 저장매체 및 프로세서를 통하여 둘 이상의 운영체제를 동시에 구동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여 각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서로 다른 운영체제의 실행화면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컴퓨터 시스템은 제 1 운영체제를 구비하는 제 1 메모리; 및 제 2 운영체제를 구비하는 제 2 메모리 및 제 2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입자 식별 모듈(SIM)이 소정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연산을 통한 상기 제 1 운영체제의 부팅 또는 상기 제 2 제어부에 의한 연산을 통한 상기 제 2 운영체제의 부팅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 1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제 1 운영체제 및 제 1 제어부를 구비하는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제 2 운영체제 및 제 2 제어부를 구비하는 가입자 식별 모듈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결과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이 인식되면,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 1 제어부의 연산을 통한 상기 제 1 운영체제의 부팅 및 상기 제 2 제어부의 연산을 통한 상기 제 2 운영체제의 부팅을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 결과에 따른 운영체제의 부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시스템은 스마트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의 저장매체 및 프로세서를 통하여 둘 이상의 운영 체제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의 저장매체를 통하여 이동 통신망을 통한 데이터 통신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복수의 운영체제 실행화면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랩탑(lap-top) 타입의 시스템에 두 개의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스마트 SIM 카드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두 개의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시스템에 스마트 SIM 카드가 연결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시스템에 스마트 SIM 카드가 연결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시스템에서 운영체제 선택 및 선택된 운영체제에 따른 기능 실행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시스템에서 스마트 SIM 카드의 식별 모듈을 이용한 운영체제 에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둘의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시스템에서 운영체제 선택 및 선택된 운영체제에 따른 기능 실행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둘의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시스템에서 둘의 운영체제를 동시에 구동하여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컴퓨터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컴퓨터 시스템에는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디지털 TV 및 데스크탑 컴퓨터 등을 포함한다.
컴퓨터 시스템 구조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에는 메인 칩셋(140), 주 디스플레이부(151), 2차 디스플레이부(153), 시스템 메모리(160), 제 1 내지 제 3 인터페이스 모듈(171 내지 173) 및 중앙처리장치(CPU, 1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명령 입력을 위한 키보드, 마우스, 터치 센서, 마이크, 카메라 등의 입력 장치와 스피커, 프린터 등의 출력장치 및 전원 공급장치 등이 추가로 본 컴퓨터 시스템에 구비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먼저 메인 칩셋(140)은 일반적인 컴퓨터 시스템의 메인보드(main board)에 구비되는 칩셋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히는 각 구성요소들을 연결하고 제어하는 핵심적인 컨트롤러 칩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메인 칩셋은 메모리와 그래픽을 제어하는 노스브리지(NB: North Bridge)와 인터페이스 등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사우스브리지(SB: South Bridge)를 지칭하는 것으로, 각 브리지는 개별적인 소자로 구현될 수도 있고, 하나의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노스브리지는 별도로 구비되는 그래픽 연산 장치(GPU) 또는 그를 포함하는 그래픽 카드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그래픽 카드의 별도 구비 여부에 관계 없이 그래픽에 관련된 제어를 총괄하는 것으로 본다.
다음으로, 주 디스플레이부(151)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실행되는 운영체제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프로세서(180)의 그래픽 연산 결과 또는 메인 칩셋의 제어에 따라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의 구현 형태에 따라 주 디스플레이부(151) 외에 적어도 하나의 2차 디스플레이부(153)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시스템의 본체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둘 이상 구비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153)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CPU(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은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부(160)에는 적어도 하나의 운영체제가 설치된 것으로 가정한다.
제 1 내지 제 3 인터페이스 모듈(171 내지 173)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되는 내장기기 또는 외부기기를 말한다. 인터페이스 모듈은 범용 직렬 버스(USB)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메인 칩셋(140)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모듈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USB 저장매체, 스마트 SIM/SIM/USIM, 각종 무선 인터페이스 표준을 만족하는 모뎀 등이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CPU, 180)는 통상적으로 컴퓨터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중앙처리장치(180)와 메인 칩셋(140)을 함께 "제어부"라 칭한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랩탑(lap-top) 타입의 시스템에 두 개의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이 랩탑 또는 노트북 타입으로 구현되는 경우, 2차 디스플레이부(153)는 입력장치인 키보드에 인접하여 주 디스플레이부(151) 보다 작은 형태로 노트북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b에 나타난 2차 디스플레이부의 구비위치 및 컴퓨터 시스템의 타입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태블릿 PC, 데스크탑 PC, PMP 등의 다양한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2차 디스플레이부 또한 컴퓨터 시스템 본체와 별도로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스마트 SIM 카드의 구조
상술한 바와 같이, 최근 사용자 식별 모듈에는 비교적 대용량(예를 들어 1기가바이트 또는 그 이상)의 메모리 소자가 구비될 수 있으며, ARM9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 적합한 프로세서가 탑재되어 스마트 SIM 카드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SIM 카드의 구조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스마트 SIM 카드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SIM 카드는 제 3 인터페이스 모듈(173)로서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되는 것을 가정한다. 스마트 SIM 카드(173)는 ARM9과 같은 저전력 모바일 기기에 적합한 제 2 프로세서(또는 제 2 CPU, 185)를 탑재하며, DRAM, SDRAM과 같은 메모리 소자(16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 소자(165)에는 가입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 시스템의 메모리부(160)에 설치된 운영체제(OS)와 같거나 다른 OS가 설치 또는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 소자(165)에 설치 또는 저장된 OS는 제 2 CPU를 통한 연산으로 구동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메모리부(160)에 설치된 OS와는 상이한 타입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모리 소자(165)에 설치된 OS는 리눅스(Linux), 안드로이드(Android), 윈도 모바일(WM)과 같이 일반적인 컴퓨터 시스템에 설치되는 운영체제가 아닌 모바일 기반의 운영체제일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소자(165)는 연결될 컴퓨터 시스템에 구비되는 이동통신 모뎀 등을 구동시키기 위한 드라이버(driv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SIM카드(173)는 SIM 인터페이스부(175)를 통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본체, 예를 들어 제 2 인터페이스 모듈(172)과 연결될 수 있다. 제 2 인터페이스 모듈이 이동통신 모뎀(예를 들어, 3G/4G 규격의 모뎀 또는 Linux에서 동작하는 모뎀)인 경우, 제 2 프로세서(185)가 메모리 소자(165)에 설치된 OS를 구동하여 이동통신 모뎀(172)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이동 통신망을 통한 데이터 통신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 2 프로세서(185)는 메인 칩셋(140)과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정보 등을 메인 칩셋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메인 칩셋(140)은 제 2 프로세서로부터 전달되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이용하여 주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2차 디스플레이부(153)를 통하여 제 2 프로세서(185)가 수행한 연산의 결과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제 2 프로세서는 사용자 인증 모듈의 제어부라 칭할 수도 있다.
한편, 일반적인 SIM/USIM 카드는 6핀(PIN) 방식으로 컴퓨터 시스템 또는 이동 단말기에 연결되나, 스마트 SIM 카드는 기존의 6핀 단자에 USB 2.0 규격의 2PIN을 추가하여 총 8PIN 단자를 사용하여 컴퓨터 시스템과 연결될 수 있다. USB 2.0 규격은 컴퓨터 시스템의 바이오스(BIOS) 단에서도 인식이 가능하기 때문에 메모리부(160)에 설치된 OS로 부팅(Booting)하지 않고도 인식될 수 있다.
스마트 SIM 카드와 컴퓨터 시스템의 결합
이하에서는 상술한 컴퓨터 시스템과 스마트 SIM 카드가 결합된 형태를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두 개의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시스템에 스마트 SIM 카드가 연결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스템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a에서는 도 1a를 참조하여 설명한 컴퓨터 시스템의 제 3 인터페이스 모듈(173)로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스마트 SIM이 연결된 상황을 가정한다.
또한, 제 1 인터페이스 모듈(171)에는 무선 랜(Wi-Fi)/랜(LAN) 규격을 만족하는 모뎀이, 제 2 인터페이스 모듈(172)에는 이동 통신망(3G/4G)과 교신하기 위한 모뎀이 구비되는 것으로 가정하며, 각 인터페이스 모듈은 USB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메인 칩셋(14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SIM 인터페이스(175)를 통하여 스마트 SIM(173)은 이동 통신망과 교신하기 위한 모뎀(172)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제 2 프로세서(185)는 상기 모뎀(172)을 제어할 수 있다.
메인 칩셋(140)은 제 2 프로세서(185)로부터 전달되는 출력신호를 선택적으로 주 디스플레이부(151) 및 2차 디스플레이부(153)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메인 칩셋(140)은 경우에 따라 메모리부(160)에 설치되어 CPU(180)를 통해 구동되는 OS의 출력신호와 메모리 소자(165)에 설치되어 제 2 프로세서(185)를 통해 구동되는 OS의 출력신호를 동일하거나 상이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각각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의 CPU(180)는 스마트 SIM에 내장된 메모리 소자(165)에 포함된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에뮬레이션(emulation)하여 이동 통신 모뎀(172)을 제어하여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거나 해당 소자(165)에 포함된 모바일 컨텐츠를 재생할 수도 있다.
한편, 2차 디스플레이부(153)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의 시스템 구조의 일례가 도 3b에 나타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시스템에 스마트 SIM 카드가 연결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3b에 도시된 시스템은 도 3a와 비교하여 전체적으로 유사한 구성을 가지나, 2차 디스플레이부(153)가 생략되고, 주 디스플레이부(151) 하나만이 시스템에 포함된다. 이러한 경우, 메인 칩셋(140)은 메모리부(160)에 설치되어 CPU(180)를 통해 구동되는 OS의 출력신호와 메모리 소자(165)에 설치되어 제 2 프로세서(185)를 통해 구동되는 OS의 출력신호를 선택적으로 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거나, 주 디스플레이부(151)의 영역을 소정 형태로 분할하여 각각의 출력신호에 할당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컴퓨터 시스템 및 스마트 SIM 카드를 이용한 다중 OS 구동 및 무선 인터페이스 사용을 위한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시스템 메모리(160)에는 x86기반의 OS, 즉 윈도우 계열 (예를 들어, Win ME, XP, Vista, 7 등)이 설치된 것으로 가정하며, 스마트 SIM 카드의 메모리부(165)에는 모바일 기반의 OS(예를 들어, 리눅스 또는 안드로이드)가 설치된 것으로 가정한다.
하나의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경우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이 하나의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경우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시스템에서 운영체제 선택 및 선택된 운영체제에 따른 기능 실행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에 전원이 인가되거나 사용자가 메인 스위치를 조작함에 따라 컴퓨터 시스템이 활성화되고, 제어부에 의해 바이오스(BIOS)가 로드된다(S401).
여기서 바이오스(BIOS; Basic Input/Output System)란 넓은 의미로 컴퓨터 시스템에 탑재된 프로그램 중에서 하드웨어와 가장 낮은 수준에서 입출력을 담당하는 프로그램을 가리킨다. 좁은 의미의 정의에선 IBM-PC(X86) 호환 기종에 탑재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바이오스는 컴퓨터에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중간 형태를 가지는 펌웨어의 일종으로, 대부분 소프트웨어가 하드웨어를 제어하고 하드웨어에 의해 변경되거나 생성된 정보를 소프트웨어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전달하는 등 인간의 신경망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바이오스는 메모리부(160)에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SIM은 USB 2.0 규격 또는 그 상위 버전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되며, USB 2.0 규격에서는 BIOS 단에서의 인식을 지원하기 때문에 제어부는 바이오스 로드 상태에서 스마트 SIM의 연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02).
스마트 SIM이 인식되는 경우 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표시되는 소정의 시각효과를 통하여 스마트 SIM이 인식됨을 사용자에 알릴 수 있고, 그 일례로 스마트 SIM 로고 또는 메시지 창 등을 들 수 있다(S403).
제어부는 인식된 스마트 SIM의 메모리(165)를 읽고 그에 OS 설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04).
만일 스마트 SIM에 OS가 설치된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모바일 기반의 OS(즉, Linux 또는 Android)가 스마트 SIM의 제 2 프로세서(185)에 의한 연산으로 부팅개시될 수 있다(S405).
이때, 사용자의 선택은 바이오스 로드 및 모바일 기반의 OS가 설치된 스마트 SIM의 인식 후에 일반 OS와 모바일 기반의 OS의 선택이 가능한 소정 형태의 선택창 또는 메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고,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사용자 명령 입력장치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모바일 기반의 OS가 설치된 스마트 SIM이 인식된 경우 자동으로 스마트 SIM을 통한 부팅이 수행되도록 바이오스를 미리 설정해둘 수도 있다.
모바일 기반의 OS로 부팅되는 경우 이동통신 모뎀(172)이 제 2 프로세서(185)에 의해 제어되어 이동 통신 기반의 데이터 통신이 수행될 수 있으며, 해당 OS의 디스플레이 정보는 메인 칩셋(140)을 통하여 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S406).
이때, 이동통신 모뎀(172)을 제어하기 위하여 스마트 SIM에 내장된 메모리(165)에 구비된 모뎀(172)용 드라이버가 로드될 수 있다.
만일, 2차 디스플레이부(153)가 구비되는 경우라면 모바일 기반의 OS 실행화면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주 디스플레이부(151) 및/또는 2차 디스플레이부(153)에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S402 단계에서 스마트 SIM이 인식되지 않거나 스마트 SIM에 OS가 탑재되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부팅절차에 따라 시스템 메모리부(160)에 설치된 OS(윈도우 기반)가 로드되어 부팅이 개시될 수 있다(S411).
이러한 경우에도 이동통신 모뎀을 통한 데이터 통신이나 스마트 SIM의 메모리부(165)에 저장된 모바일 컨텐츠가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시스템 메모리부(160)에는 윈도우 계열 OS에서 동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에뮬레이션(emulation)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이용될 수 있다. 즉, 에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이동통신 단말기의 환경을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현하고, 시스템 CPU(180)가 스마트 SIM에 내장된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모뎀(172)을 제어하여 이동통신 망을 통한 인증으로 이동통신망을 통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모바일 기반의 OS가 로드된 것과 유사한 효과(S406)가 있으며,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라도 스마트 SIM에 저장된 모바일 컨텐츠를 읽어와 재생할 수 있다(S413, S414).
상술한 에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시스템에서 스마트 SIM 카드의 식별 모듈을 이용한 운영체제 에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상태도이다.
먼저 도 5의 (a)를 참조하면, 시스템 메모리(160)부에 설치된 에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은 시스템 메모리(160)에 탑재된 OS상에서 동작하며, 소정 크기의 창(window) 또는 전체화면으로 주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초기에 에뮬레이션할 모바일 OS의 종류가 선택될 수 있다.
모바일 OS의 종류가 선택되면 도 5의 (b)와 같이 이동 단말기 상에서 해당 모바일 OS를 구동시킨 것과 유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스마트 SIM에 저장된 모바일 컨텐츠를 재생, 편집, 삭제 등의 관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에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은 각 OS에 적합한 파일 포맷을 상대 OS가 인식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이동통신망의 속도가 더 빠른 지역에서는 모바일 OS를 통해 접속한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윈도 컨텐츠에 대응되는 모바일 컨텐츠를 다운받고 윈도에서 인식될 수 있는 파일로 변환하여 윈도에서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는 기능도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경우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이 하나의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경우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시스템이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경우에도 상술한 에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되는 가정은 동일한 것으로 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둘의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시스템에서 운영체제 선택 및 선택된 운영체제에 따른 기능 실행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 흐름도이다.
처음부터 시스템 메모리(160)에 탑재된 OS로 부팅을 개시하는 방법은 도 4의 S401 단계 내지 S411 단계와 유사하므로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고, 도 6에서는 처음부터 스마트 SIM에 탑재된 모바일 기반 OS로 부팅을 개시하는 것을 가정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에 전원이 인가되거나 사용자가 메인 스위치를 조작함에 따라 컴퓨터 시스템이 활성화되고, 제어부에 의해 바이오스(BIOS)가 로드될 수 있다. 다만, 도 6에서는 시스템에 별도의 하드웨어 스위치(편의상 "smart on" 버튼이라 칭함)가 구비되며, 해당 스위치가 조작되는 경우 제어부는 바로 스마트 SIM에 탑재된 OS를 통한 부팅을 개시하도록 할 수 있다(S601).
그에 따라 BIOS가 로드되고(S602) 바이오스 단에서 USB 인터페이스를 통한 스마트 SIM의 인식이 개시된다(S603).
현재까지의 과정은 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표시될 수 있으나, 설정에 따라 smart on 버튼을 통한 부팅이 개시되는 경우 주 디스플레이부(151) 및 2차 디스플레이부(153) 모두를 통해 표시되거나 2차 디스플레이부를 통해서만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S604).
이후 스마트 SIM에 탑재된 모바일 OS가 선택됨(S605)에 따라 선택된 OS를 통한 부팅이 수행되며(S606) 부팅과정은 스마트 SIM에 내장된 제 2 프로세서(185)에 의한 연산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바일 기반의 OS로 부팅이 완료되면 이동통신 모뎀(172)이 제 2 프로세서(185)에 의해 제어되어 이동 통신 기반의 데이터 통신이 수행될 수 있으며, 해당 OS의 디스플레이 정보는 메인 칩셋(140)을 통하여 주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2차 디스플레이부(153)에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선택(예를 들어, 시스템에 구비된 하드웨어 키버튼의 조작)에 따라 주 디스플레이부(151)는 시스템 메모리부(160)에 탑재된 OS를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S611).
이러한 경우, 시스템 CPU(180)가 활성화되어 시스템 메모리부(160)에 탑재된 OS(윈도우 계열)를 통한 부팅이 수행되어 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S612).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시스템 OS와 2차 디스플레이부(153)에 표시되는 모바일 기반의 OS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시스템 OS를 통하여 제어되는 LAN/Wi-Fi 모뎀(171)을 이용한 데이터 교환과 모바일 OS를 통하여 제어되는 이동통신 모뎀(172)를 이용한 데이터 교환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스마트 SIM이 연결된 하나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CPU를 통해 서로 다른 OS를 구동할 수 있으며, 각각 다른 방식의 모뎀을 제어하여 상이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교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한편, 2차 디스플레이부(153)에서 표시되던 모바일 OS가 종료되는 경우, 사용자는 다시 스마트 SIM의 제 2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모바일 OS를 재가동시키거나, 도 4의 S412 내지 S414 단계와 같이 에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이동통신 모뎀(172)을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각 디스플레이부는 서로 다른 OS를 각각 표시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두 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부가 시스템에 구비되는 경우라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만 활성화시켜 두 OS의 동작화면이 동시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 디스플레이부(151)만을 사용하는 경우 시스템 OS를 전체화면으로 표시하고, 그 중 일부 영역에 창(window) 형태로 모바일 OS가 실행되는 화면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인터넷 연결 관점에서의 다중 OS 시스템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인터넷 또는 그에 준하는 통신망에 연결하는 방법의 관점에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둘의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시스템에서 둘의 운영체제를 동시에 구동하여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4의 S401 단계 내지 S404 단계, S401 단계 내지 S411 단계 또는 도 6의 S601 단계 내지 S605 단계를 통하여 시스템 OS 및 모바일 OS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부팅이 수행될 수 있다(S701).
어떠한 OS를 통해 먼저 부팅이 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해당 OS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구비되는 아이콘/메뉴 또는 시스템에 구비되는 하드웨어 버튼 등이 조작됨에 따라 다른 OS가 동일한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이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선택될 수 있다(S702).
선택된 OS가 모바일 OS인 경우에는 스마트 SIM의 제 2 프로세서(185)를 이용하여 스마트 SIM 메모리(165)에 탑재된 모바일 OS의 부팅이 개시된다(S703)
부팅이 완료되면, 스마트 SIM 메모리에 내장된 이동통신(또는 Linux) 모뎀 드라이버가 로드됨에 따라 제 2 프로세서(185)는 인터페이스 모듈(175)을 통하여 이동통신 모뎀(172)을 제어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스마트 SIM 메모리에 저장된 가입자 식별정보를 통하여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이 수행될 수 있다(S704).
인증절차가 종료됨에 따라 이동통신 모뎀(172)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망(3G/4G)을 통한 데이터 교환이 수행될 수 있다(S705)
만일 선택된 OS가 시스템에 탑재된 OS인 경우 해당 OS를 통해 부팅이 수행된다(S711).
그에 따라 윈도 기반에서 동작하는 LAN/Wi-Fi 등을 통한 일반적인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다(S712).
다만, 선택된 OS가 시스템에 탑재된 OS인 경우에라도 상술한 바와 같이 에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가입자 식별 정보로 인증을 받고 이동통신 모뎀(172)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한 데이터 교환이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을 통하여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시스템 OS와 2차 디스플레이부(153)에 표시되는 모바일 기반의 OS를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시스템 OS를 통하여 제어되는 LAN/Wi-Fi 모뎀(171)을 이용한 데이터 교환과 모바일 OS를 통하여 제어되는 이동통신 모뎀(172)를 이용한 데이터 교환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스마트 SIM이 연결된 하나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CPU를 통해 서로 다른 OS를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각각 다른 방식의 모뎀을 제어하여 상이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교신을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반적인 OS에서 LAN/Wi-Fi 등을 통한 일반적인 인터넷 접속과 에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으로 이동 통신망(3G/4G) 모뎀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이동 통신망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도 있다.
결국, 사용자는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통신 인터페이스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LAN/Wi-Fi를 이용할 수 없는 지역에 있거나, Wi-Fi 망이 지원하는 단말기 이동 속도를 상회하여 실질적으로 Wi-Fi망을 사용할 수 없을 때(비교적 고속으로 이동하는 교통 수단 내에 있는 경우)에 인터넷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윈도우에서 구동되는 에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이나 모바일 OS를 통하여 이동 통신 모뎀을 구동하여 이동 통신망(3G/4G)을 통한 데이터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단순히 신속한 인터넷 사용이 필요한 경우에도 크롬 OS를 통한 신속한 부팅으로 윈도우 부팅시간에 해당하는 시간을 절약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일반적으로 3G/4G 통신망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는 비교적 이용 요금이 비싸기 때문에 사용자가 LAN/Wi-Fi가 지원되는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라면 일부러 이동 통신망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윈도우로 부팅을 수행하고 LAN/Wi-Fi 인터페이스를 통한 인터넷 접속으로 통신 요금을 절약하거나, 소정 패킷 용량에 대한 정액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잔여 패킷을 아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LAN/Wi-Fi 및 이동 통신망을 모두 이용할 수 있는 경우 두 가지 통신 인터페이스를 자유롭게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데이터 다운로드 시간을 절약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6)

  1.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
    제 1 운영체제를 구비하는 제 1 메모리;
    상기 제 1 운영체제와 상이한 제 2 운영체제를 구비하는 제 2 메모리 및 상기 제 2 운영체제에 대한 연산을 수행하기 위한 제 2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입자 식별 모듈(SIM); 및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이 소정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이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상기 제 1 운영체제의 부팅 또는 상기 제 2 제어부에 의한 연산을 통한 상기 제 2 운영체제의 부팅이 선택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 1 제어부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이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 상으로 상기 제 1 운영체제의 부팅 또는 상기 제 2 운영체제의 부팅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기 위한 메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모리는 바이오스(BIOS)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정 인터페이스는 범용 직렬 버스(USB)이고,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바이오스가 로드된 상태에서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의 연결 여부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메인 칩셋을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운영체제의 부팅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제 2 운영체제의 출력 영상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 상으로 표시되도록 상기 메인 칩셋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하드웨어 키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하드웨어 키버튼이 조작되는 경우 상기 제 2 운영체제의 부팅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되, 상기 제 1 운영체제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모뎀 및 상기 제 2 운영체제에 의해 구동되는 제 2 모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제 2 모뎀을 통하여 외부 장치와 무선인터페이스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운영체제는 일반적인 컴퓨터 시스템에서 구동되는 x86 계열의 운영체제이고,
    상기 제 2 운영체제는 리눅스 계열의 모바일 운영체제이며,
    상기 제 2 모뎀은 제 3 세대(3G) 또는 제 4세대(4G) 표준 규격의 이동통신 모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모리는 이동통신 망에서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가입자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무선인터페이스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가입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망에서 인증 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는 제 1 디스플레이부 및 제 2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제어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에 선택적으로 상기 제 2 운영체제의 출력 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메인 칩셋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운영체제가 실행될 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 1 운영체제가 추가로 부팅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운영체제의 출력 영상이 상기 제 2 운영체제의 출력 영상과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표시되도록 상기 메인 칩셋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1 운영체제의 출력 영상이 상기 제 2 운영체제의 출력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과 동일한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각각의 출력 영상이 차지하는 영역을 서로 달리하여 표시되도록 상기 메인 칩셋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제 2 모뎀의 사용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제 1 모뎀을 통하여 외부와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1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이 인식 결과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상기 인식 결과 및 선택가능한 운영체제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16. 제 1 운영체제 및 제 1 제어부를 구비하는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 2 운영체제 및 제 2 제어부를 구비하는 가입자 식별 모듈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결과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이 인식되면,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 1 제어부의 연산을 통한 상기 제 1 운영체제의 부팅 및 상기 제 2 제어부의 연산을 통한 상기 제 2 운영체제의 부팅을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 결과에 따른 운영체제의 부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스템 제어방법.
KR1020100058477A 2010-06-21 2010-06-21 스마트 사용자 식별 모듈을 이용한 다중 운영체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785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477A KR101785653B1 (ko) 2010-06-21 2010-06-21 스마트 사용자 식별 모듈을 이용한 다중 운영체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EP11000056.9A EP2397941B1 (en) 2010-06-21 2011-01-05 Dual os system using a smart sim modu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2/986,175 US8959324B2 (en) 2010-06-21 2011-01-07 Dual OS system using a smart SIM modu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477A KR101785653B1 (ko) 2010-06-21 2010-06-21 스마트 사용자 식별 모듈을 이용한 다중 운영체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543A true KR20110138543A (ko) 2011-12-28
KR101785653B1 KR101785653B1 (ko) 2017-10-16

Family

ID=44069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8477A KR101785653B1 (ko) 2010-06-21 2010-06-21 스마트 사용자 식별 모듈을 이용한 다중 운영체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959324B2 (ko)
EP (1) EP2397941B1 (ko)
KR (1) KR1017856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9378A1 (en) * 2018-01-10 2019-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19402B2 (en) * 2011-07-06 2014-08-26 Sony Corporation System for displaying image from mobile device on a display in a computer by booting the computer with limited operating system and relinquishing bus control to the mobile device
FR2991085B1 (fr) * 2012-05-23 2016-03-11 Morpho Procede et carte a puce pour transmettre des informations
CN102779053A (zh) * 2012-06-18 2012-11-14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利用移动存储卡启动手机操作系统的方法和终端
JP6305284B2 (ja) * 2014-09-10 2018-04-04 株式会社東芝 携帯可能電子装置
US10120696B2 (en) * 2015-03-19 2018-11-06 Sony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usability of a communication device
US10747548B2 (en) * 2018-02-06 2020-08-18 Dell Products, L.P. Manufacturing information handling systems with operating system-specific hardware and/or firmware components
CN109086243A (zh) * 2018-10-15 2018-12-25 上海旭宇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带lte通讯功能的安卓系统核心控制板
EP3949429A4 (en) * 2019-06-26 2022-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IT
CN113238804B (zh) * 2021-05-17 2022-06-28 深圳掌酷软件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终端息屏状态下指定应用唤醒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24623B2 (en) * 2002-03-28 2008-09-09 O2 Micro International Limited Personal computer integrated with personal digital assistant
CA2387328C (en) * 2002-05-24 2012-01-03 Diversinet Corp. Mobile terminal system
US6987961B1 (en) * 2004-06-28 2006-01-17 Neomagic Corp. Ethernet emulation using a shared mailbox between two processors in a feature phone
US20060183505A1 (en) * 2005-02-15 2006-08-17 Willrich Scott Consulting Group, Inc. Digital mobile planner
US20090182546A1 (en) * 2006-07-25 2009-07-16 Nxp B.V. Mobile device comprising an operating system emulator
WO2008042989A2 (en) * 2006-10-03 2008-04-10 Snapin Softwar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toring or performing functions within removable memory
US7779243B2 (en) * 2006-12-29 2010-08-17 Intel Corporation Dual operating system computing system
JP5082647B2 (ja) * 2007-07-24 2012-11-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加入者識別モジュール、加入者識別モジュール用プログラム
KR101007200B1 (ko) * 2008-06-09 2011-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통신 방법
CN101408846B (zh) * 2008-11-24 2011-04-13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杀毒软件升级的方法及相应的终端和系统
KR20110049230A (ko) * 2009-11-04 2011-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송신 키를 포함하는 멀티 심 단말기 및 그의 운용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9378A1 (en) * 2018-01-10 2019-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948945B2 (en) 2018-01-10 2021-03-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with multiple operating system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97941B1 (en) 2019-05-01
US20110312383A1 (en) 2011-12-22
US8959324B2 (en) 2015-02-17
KR101785653B1 (ko) 2017-10-16
EP2397941A1 (en) 201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5653B1 (ko) 스마트 사용자 식별 모듈을 이용한 다중 운영체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1050873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external electronic device
US2021013277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figuring display thereof
EP3483715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CN105630129B (zh) 用于降低功耗的功率控制方法和装置
WO2018191900A1 (zh) 显示控制方法及装置
US10983588B2 (en) Low power mode
CN103229156B (zh) 多操作系统环境中的对接系统的自动配置
US10318328B2 (en) Method for managing operating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0366029B2 (en) Data transceiving method and device
US10068315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display
US10254883B2 (en) Electronic device for sensing pressure of inpu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US10606607B2 (en) Selecting operating systems based on a computing device mode
US11079930B2 (en)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content cards
US20220253207A1 (en)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12771489A (zh) 控制异构操作系统和电子设备的执行的方法及其存储介质
US20140267096A1 (en) Providing a hybrid touchpad in a computing device
KR102320810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672282B1 (ko) 단일 운영체제 시스템에서의 다중 운영체제 지원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US20150128082A1 (en) Multi-language input method and multi-language input apparatus using the same
CN118132174A (zh) 一种跨系统内容显示方法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