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9230A - 다수의 송신 키를 포함하는 멀티 심 단말기 및 그의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다수의 송신 키를 포함하는 멀티 심 단말기 및 그의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9230A
KR20110049230A KR1020090106153A KR20090106153A KR20110049230A KR 20110049230 A KR20110049230 A KR 20110049230A KR 1020090106153 A KR1020090106153 A KR 1020090106153A KR 20090106153 A KR20090106153 A KR 20090106153A KR 20110049230 A KR20110049230 A KR 20110049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user identification
light emitting
identification card
emit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6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상
김석근
현상민
백인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6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9230A/ko
Priority to CN200920277147XU priority patent/CN201667652U/zh
Priority to US12/776,633 priority patent/US20110105081A1/en
Publication of KR20110049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92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16Mechanic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identification devices, e.g. cards or chips; with connectors for programming identification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0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user and terminal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card read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송신 키를 포함하는 멀티 심 단말기 및 그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다수의 사용자 식별 카드가 장착 가능한 멀티 심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사용자 식별 카드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다수의 송신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사용자 식별 카드와 일대일로 대응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화 키, LED, 발광 다이오드, 멀티 심 단말기, 동시대기 단말기

Description

다수의 송신 키를 포함하는 멀티 심 단말기 및 그의 운용 방법{MUTI-SIM TERMINAL HAVING PLURAL TRANSMISSION-KEY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본 발명은 멀티 심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송신 키를 포함하는 멀티 심 단말기 및 그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휴대 단말기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MP3 기능, 모바일 방송 수신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카메라 기능 등 다양한 옵션 기능을 포함하게 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두 개 이상의 사용자 식별 카드 예를 들면 CDMA 용 사용자 식별 카드 및 GSM 용 사용자 식별카드를 장착할 수 있는 멀티 심 단말기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 멀티 심 단말기는 통화 발신, 메시지 발신 시 장착된 다수의 사용자 식별 카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도록 선택하는 과정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다수의 사용자 식별 카드 중 어느 하나를 마스터(master)로 설정하고, 마스터로 설정된 사용자 식별 카드를 이용하여 통화 발신, 메시지 발신 등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종래 멀티 심 단말기는 통화 발신, 메시지 발신 등의 수행 시 매번 이용할 사용자 식별 카드를 선택하거나, 마스터로 설정된 사용자 식별 카드만을 이용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 멀티 심 단말기는 통화 요청 송수신 또는 문자 메시지 송수신 등의 송수신 이벤트 발생 시 사용자가 상기 송수신 이벤트와 관련된 사용자 식별 카드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자 식별 카드를 용이하게 선택하여 송신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는 다수의 송신 키를 포함하는 멀티 심 단말기 및 그의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송수신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송수신 이벤트와 관련된 사용자 식별 카드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다수의 송신 키를 포함하는 멀티 심 단말기 및 그의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두 개의 사용자 식별 카드를 포함하는 멀티 심 단말기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사용자 식별 카드가 장착되는 적어도 두 개의 장착부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사용자 식별 카드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적어도 두 개의 송신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의 사용자 식별 카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사용자 식별 카드와 일대일로 대응하는 적어도 두 개의 송신 키 및 적어도 두 개의 발광부를 포함하는 멀티 심 단말기의 운용 방법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송신 키 중 어느 하나가 활성화 되는 송신 이벤트가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활성화된 송신 키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카드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 이벤트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송신 키를 포함하는 멀티 심 단말기 및 그의 운용 방법은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자 식별 카드를 이용하여 송신 이벤트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송수신 이벤트와 관련된 사용자 식별 카드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이하에서, "사용자 식별 카드(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 SIM)"는 특정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저장한 장치이다. 이러한 상기 사용자 식별 카드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UIM(User Identification Module) 등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다수의 사용자 식별 카드가 하나의 무선 통신부, 저장부 및 하나의 제어부를 공유하는 멀티 심 단말기(Multi-SIM terminal)를 예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심 단말기는 사용자 식별 카드가 서로 다른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다수의 무선 통신부,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심 단말기(100)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심 단말기(100)는 표시부(130)가 상단에 위치하고, 입력부(140)가 하단에 위치하는 바 타입(Bar type)의 단말기로 가정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멀티 심 단말기(100)는 두 개의 사용자 식별 카드 즉, 제1사용자 식별 카드(171) 및 제2사용자 식별 카드(181)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심 단말기(100)는 제1사용자 식별 카드(171)와 연동된 제1송신 키(141) 및 제1발광부(161)와, 제2사용자 식별 카드와 연동된 제2송신 키(142) 및 제2발광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멀티 심 단말기(100)의 후면(표시부(130)의 뒷면)에는 상기 제1사용자 식별 카드(171) 및 제2사용자 식별 카드(181)가 장착되는 장착부들의 적어도 일부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제1윈도우 창(191) 및 제2윈도우 창(19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송신 키(141)는 제1사용자 식별 카드(171)와 연동되어 동작하고, 상 기 제2송신 키(142)는 제2사용자 식별 카드(181)와 연동되어 동작한다. 상기 제1송신 키(141) 및 제2송신 키(142)는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 메시지, 데이터 전송 요청 등을 포함하는 송신 이벤트를 수행하기 위한 통화 키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송신 키(141)가 활성화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심 단말기(100)는 제1사용자 식별 카드(171)를 이용하여 송신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화 번호 입력 후 제1송신 키(141)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멀티 심 단말기(100)는 제1사용자 식별 카드(171)의 사용자 인증 정보(예컨대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통화 요청을 기지국에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송신 키(142)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멀티 심 단말기(100)는 제2사용자 식별 카드(181)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통화 요청을 기지국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1발광부(161)는 제1사용자 식별 카드(171)와 연동되어 동작되고, 상기 제2발광부(162)는 제2사용자 식별 카드(181)와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발광부(161) 및 제2발광부(16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40)와 표시부(1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발광부(161)는 제1사용자 식별 카드(171)와 관련된 송수신 이벤트 발생 시 활성화 될 수 있다. 상기 제2발광부(162)는 제2사용자 식별 카드(181)와 관련된 송수신 이벤트 발생 시 활성화 될 수 있다. 상기 제1발광부(161) 및 제2발광부(162)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할 수 있다.
상기 제1윈도우 창(191) 및 제2윈도우 창(192)은 제1사용자 식별 카드(171) 및 제2사용자 식별 카드(181)가 장착되는 장착부들(미도시)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 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윈도우 창들(191, 192)를 통해 제1사용자 식별 카드(171) 및 제2사용자 식별 카드(181)의 장착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윈도우 창들(191, 192)를 통해 제1사용자 식별 카드(171)가 장착된 제1장착부(미도시)의 색상 및 제2사용자 식별 카드(181)가 장착되는 제2장착부(미도시)의 색상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윈도우 창들(191, 192)는 하나의 윈도우 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멀티 심 단말기(100)는 다수의 사용자 식별 카드와 연동된 송신 키를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송신 요청 시 종래와 달리 사용자 식별 카드를 선택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심 단말기(100)는 제1사용자 식별 카드(171)와 관련된 송수신 이벤트 발생 시 제1발광부(161)를 활성화(ON)하고, 제2사용자 식별 카드(181)와 관련된 송수신 이벤트 발생 시 제2발광부(162)를 활성화(ON)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현재 발생한 송수신 이벤트와 관련된 사용자 식별 카드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심 단말기(100)는 상기 제1사용자 식별 카드가 장착되는 제1장착부(미도시)의 색상, 제1송신 키(141)의 색상 및 제1발광부(161)의 발광 색을 일치시키고, 상기 제2사용자 식별 카드가 장착되는 제2장착부(미도시)의 색상, 제2송신 키(142)의 색상 및 제2발광부(162)의 발광 색을 일치시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멀티 심 단말기(100) 에 장착된 사용자 식별 카드의 상태를 알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윈도우 창을 통해 사용자 식별 카드의 장착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식별 카드가 장착된 장착부의 색상을 통해 해당하는 송신 키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이 제1발광부(161) 및 제2발광부(162)의 실장 위치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제1발광부(161) 및 제2발광부(162)는 멀티 심 단말기(100)의 다양한 위치 예컨대 스피커(200)의 양 옆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심 단말기(100)는 바 타입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심 단말기(100)는 폴더 타입(folder type), 슬라이드 타입(slide type) 등 다양한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심 단말기(100)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멀티 심 단말기(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심 단말기(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멀티 심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50), 표시부(130), 저장부(120), 제1장착부(170), 제2장착부(180), 제어부(110), 발광부(160), 및 입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장착부(170)는 제1사용자 식별 카드(171)를 포함하고, 상기 제2장착부(180)는 제2사용자 식별 카드(181)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160)는 제1발광부(161) 및 제2발광부(162)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140)는 제1송신 키(141) 및 제2송신 키(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장착부(170)는 제1사용자 식별 카드(SIM1, 171)가 삽입되는 장치로서, 상기 제1사용자 식별 카드(171)와 제어부(110)를 연결해주는 인터페이스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사용자 식별 카드(171)는 특정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2장착부(180)는 제2사용자 식별 카드(SIM2, 181)가 삽입되는 장치로서, 상기 제2사용자 식별 카드(181)와 제어부(110)를 연결해주는 인터페이스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사용자 식별 카드(181)는 특정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50)는 특정 무선 통신 방식(예컨대 CDMA, GSM, WCDMA 등)으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150)는 제어부(1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변조(Modulate)하고 주파수 상승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송신부(미도시)와,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주파수 하향 변환하고 복조(Demodulate)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하는 수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통신부(150)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 통화 요청, 화상 통화 요청 및 문자 메시지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2에서는 상기 무선 통신부(150)가 하나인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무선 통신부(150)는 상기 사용자 식별 카드가 서로 다른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다수의 무선 통신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는 멀티 심 단말기(100)의 각종 메뉴 화면을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30)는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화상 통화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3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miting Diode : OLED)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가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표시부(130)는 입력 수단으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40)는 숫자 또는 다양한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를 위한 입력 키 및 기능 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입력부(140)는 음악 재생을 위한 MP3 키, 오디오 신호의 출력 볼륨을 조정할 수 있는 볼륨 키 및 적어도 4 방향을 가지는 방향 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부(140)는 상기 제1사용자 식별 카드(171)와 관련된 송신 요청을 수행하기 위한 제1송신 키(141)와 제2사용자 식별 카드(181)와 관련된 송신 요청을 수행하기 위한 제2송신 키(14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심 단말기(100)는 다수의 사용자 식별 카드와 일대일로 대응하는 송신 키를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종래와 달리 송신 이벤트 수행을 위한 사용자 식별 카드를 선택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상기 발광부(160)는 전원 공급 시 발광하는 소자로써, 멀티 심 단말기(100)의 동작 상태 예를 들어, 다수의 사용자 식별 카드 중 송수신 이벤트와 관련된 사 용자 식별 카드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외부에 노출되어 실장된다. 상기 발광부(160)는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이하 LED)가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광부(160)는 제1사용자 식별 카드(171)와 연동된 제1발광부(161) 및 제2사용자 식별 카드(181)와 연동된 제2발광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발광부(161)는 제1사용자 식별 카드(171)와 관련된 송수신 이벤트 발생 시 활성화되고, 상기 제2발광부(162)는 제2사용자 식별 카드(181)와 관련된 송수신 이벤트 발생 시 활성화되어 발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발광부(161) 및 제2발광부(162)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발광부(161) 및 제2발광부(162)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점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현재 통화 요청, 문자 메시지 및 데이터 송수신 요청을 포함하는 송수신 이벤트와 관련된 사용자 식별 카드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20)는 멀티 심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20)는 멀티 심 단말기(100)을 부팅 시키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 OS), 멀티 심 단말기(10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및 멀티 심 단말기(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저장부(120)는 제1사용자 식별 카드(41)와 관련된 송수신 이벤트(통화 요청, 문자 또는 데이터 송수신 요청) 발생 시 제1발광부(161)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2사용자 식별 카드(42)와 관련된 송수신 이벤트 발생 시 제2발광부(162)를 활성화하도록 발광부(160)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심 단말기(100)가 하나의 저장부(12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멀티 심 단말기(100)는 서로 다른 다수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각 무선 통신 방식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각각 저장하는 다수의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멀티 심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멀티 심 단말기(100)의 내부 블록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10)는 제1송신 키(141) 및 제2송신 키(142) 중 어느 하나로부터 송신 이벤트(예컨대 통화 요청, 문자 메시지 송신 등)가 발생하는 경우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카드를 이용하여 송신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통화를 요청하기 위하여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전화 번호 입력 후 제1송신 키(141)를 입력하면 제1사용자 식별 카드(171)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화 요청을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통화를 요청하기 위하여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전화 번호 입력 후 제2송신 키(142)를 입력하면 제2사용자 식별 카드(181)를 이용하여 상기 통화 요청을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외부에 노출된 제1발광부(161) 및 제2발 광부(162)를 통하여 상기 멀티 심 단말기(100)의 동작 상태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송수신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여 발광부(1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제1사용자 식별 카드(171)와 관련된 송수신 이벤트 발생 시 제1발광부(161)를 활성화하고, 제2사용자 식별 카드(181)와 관련된 송수신 이벤트 발생 시 제2발광부(162)를 활성화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송수신 이벤트에 대응하는 발광부가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점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멀티 심 단말기(100)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 방송 수신을 위한 방송 수신 모듈, MP3 모듈과 같은 디지털 음원 재생 모듈 등의 부가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들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심 단말기(100)는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심 단말기(100)에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송신 키를 포함하는 멀티 심 단말기(100)의 운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송신 키를 포함하는 멀티 심 단말기(100)의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다.
상기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301 단계에서 부팅 과정 이 완료된 후 대기 상태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10)는 303 단계에서 송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송신 이벤트는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 메시지 송신 및 무선 인터넷 접속 요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03 단계에서 송신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305 단계로 진행하여 제1사용자 식별 카드(171)와 관련된 송신 이벤트인지 확인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제1송신 키(141)가 활성화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305 단계에서 제1사용자 식별 카드(SIM1, 171)와 관련된 송신 이벤트인 경우 즉, 제1송신 키(141)가 활성화된 경우 제어부(110)는 307 단계로 진행하여 제1사용자 식별 카드(171)의 사용자 인증 정보(예컨대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송신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전화 번호를 입력 후 제1송신 키(141)를 입력하면 제어부(110)는 제1사용자 식별 카드(171)에 할당된 기지국에 통화 요청을 송신하도록 무선 통신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제1사용자 식별 카드(171)의 전화 번호를 발신자 정보에 포함하여 통화 요청을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305 단계에서 제1사용자 식별 카드(171)와 관련된 송신 이벤트가 아닌 경우 즉, 상기 제2송신 키(142)가 활성화된 경우 제어부(110)는 309 단계로 진행하여 제2사용자 식별 카드(SIM2, 181)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송신 이벤트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전화 번호를 입력 후 제2송신 키(142)를 입력하면 제어부(110)는 제2사용자 식별 카드(181)에 할당된 기지국에 통화 요청을 송신하도록 무선 통신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제2사용자 식별 카드(121)의 전화 번호를 발신자 정보에 포함하여 통화 요청을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303 단계에서 송신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제어부(110)는 311 단계로 진행하여 수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신 이벤트는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 메시지 수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11 단계에서 수신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10)는 321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음악 재생 요청에 따라 음악 재생 기능을 수행하거나, 방송 수신 요청에 따라 방송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311 단계에서 수신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313 단계로 진행하여 제1사용자 식별 카드(SIM1, 171)와 관련된 수신 이벤트인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313 단계에서 제1사용자 식별 카드(171)와 관련된 수신 이벤트인 경우 제어부(110)는 315 단계로 진행하여 제1발광부(161)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상기 제1발광부(161)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기 설정된 주기로 점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발광부(161)는 기 설정된 제1색상으로 발광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313 단계에서 제1사용자 식별 카드(171)와 관련된 송신 이벤트가 아닌 경우 즉, 상기 제2사용자 식별 카드(SIM2, 181)와 관련된 수신 이벤트인 경우 제어부(110)는 317 단계로 진행하여 제2발광부(162)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상기 제2발광부(162)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기 설정된 주기로 점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발광부(162)는 상기 제1색상과 구분되는 제2색상으로 발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10)는 319 단계에서 종료 신호가 입력되는지 확인하여 종료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전원을 오프할 수 있다. 반면에 종료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10)는 303 단계로 복귀하여 상술한 과정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3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송신 이벤트 발생 시 제어부(110)는 해당하는 송신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카드와 연동된 발광부를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제1사용자 식별 카드(171)와 관련된 송신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제1발광부(161)를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일정 주기를 가지고 제1색상으로 점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제2사용자 식별 카드(181)와 관련된 송신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제2발광부(162)를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일정 주기를 가지고 제2색상으로 점멸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하나의 제어부, 저장부 및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멀티 심 단말기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심 단말기는 서로 다른 다수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다수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다수의 제어부, 다수의 저장부 및 다수의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두 개의 사용자 식별 카드(171, 181)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사용자 식별 카드(171, 181)에 각각 대응하여 두 개의 발광부(161, 162), 두 개의 송신 키(141, 142)와 두 개의 윈도우 창(191, 192)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이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심 단말기는 세 개 이상의 사용자 식별 카드를 포함하는 경우 이에 상응하여 세 개 이상의 송신 키, 세 개 이상의 발광부 및 세 개 이상의 윈도우 창을 포함할 수 도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송신 키를 포함하는 멀티 심 단말기 및 그의 운용 방법은 다수의 사용자 식별 카드에 대응하는 송신 키를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사용자 식별 카드 선택 과정없이 송신 이벤트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신 이벤트와 연동된 사용자 식별 카드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송신 키를 포함하는 멀티 심 단말기 및 그의 운용 방법에 대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심 단말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심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심 단말기의 운용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Claims (14)

  1. 적어도 두 개의 사용자 식별 카드를 포함하는 멀티 심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사용자 식별 카드가 장착되는 적어도 두 개의 장착부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사용자 식별 카드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적어도 두 개의 송신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심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사용자 식별 카드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적어도 두 개의 발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심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송신 키 중 어느 하나가 활성화되는 송신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활성화된 어느 하나의 송신 키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카드 정보를 이용하여 송신 이벤트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심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이벤트는
    통화 요청 송신, 문자 메시지 송신 및 데이터 송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심 단말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발광부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심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송수신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송수신 이벤트에 대응하는 발광부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심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 이벤트에 대응하는 발광부를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기 설정된 주기로 점멸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심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사용자 식별 카드가 장착되는 적어도 두 개의 장착부의 적어도 일부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윈도우 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심 단말기.
  9. 적어도 두 개의 사용자 식별 카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사용자 식별 카드와 일대일로 대응하는 적어도 두 개의 송신 키 및 적어도 두 개의 발광부를 포함하는 멀티 심 단말기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송신 키 중 어느 하나가 활성화 되는 송신 이벤트가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활성화된 송신 키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카드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 이벤트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심 단말기의 운용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송신 키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카드와 관련된 발광부를 활성화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심 단말기의 운용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를 활성화하는 과정은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일정 주기로 점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심 단말기의 운용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사용자 식별 카드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 식별 카드와 관련된 수신 이벤트가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어느 하나의 사용자 식별 카드와 대응하는 발광부를 활성화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심 단말기의 운용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를 활성화하는 과정은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일정 주기로 점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심 단말기의 운용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를 활성화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발광부를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심 단말기의 운용 방법.
KR1020090106153A 2009-11-04 2009-11-04 다수의 송신 키를 포함하는 멀티 심 단말기 및 그의 운용 방법 KR2011004923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153A KR20110049230A (ko) 2009-11-04 2009-11-04 다수의 송신 키를 포함하는 멀티 심 단말기 및 그의 운용 방법
CN200920277147XU CN201667652U (zh) 2009-11-04 2009-12-08 具有多个发送按键的多卡终端
US12/776,633 US20110105081A1 (en) 2009-11-04 2010-05-10 Multi-sim terminal having a plurality of transmission key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153A KR20110049230A (ko) 2009-11-04 2009-11-04 다수의 송신 키를 포함하는 멀티 심 단말기 및 그의 운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230A true KR20110049230A (ko) 2011-05-12

Family

ID=43268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6153A KR20110049230A (ko) 2009-11-04 2009-11-04 다수의 송신 키를 포함하는 멀티 심 단말기 및 그의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105081A1 (ko)
KR (1) KR20110049230A (ko)
CN (1) CN20166765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3754A (ko) * 2012-09-10 2014-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및 그 단말기
KR20160054556A (ko) * 2013-09-12 2016-05-16 더 보잉 컴파니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및 그 작동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653B1 (ko) * 2010-06-21 2017-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사용자 식별 모듈을 이용한 다중 운영체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701834B1 (ko) * 2010-06-22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통신 데이터 송신 및 통신 리스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US9167373B2 (en) * 2010-10-14 2015-10-20 Nokia Technologies Oy Multiple SIM support with single modem software architecture
US8494585B2 (en) 2011-10-13 2013-07-23 The Boeing Company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with accessory functions and related methods
EP2587854A1 (en) 2011-10-31 2013-05-01 Money and Data Protection Lizenz GmbH & Co. KG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GB201120445D0 (en) 2011-11-28 2012-01-11 Nokia Corp Method and apparatus
KR102052699B1 (ko) 2013-03-21 2019-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컨택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US9497221B2 (en) 2013-09-12 2016-11-15 The Boeing Company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reof
US9819661B2 (en) 2013-09-12 2017-11-14 The Boeing Company Method of authorizing an operation to be performed on a targeted computing device
WO2016209896A1 (en) * 2015-06-26 2016-12-29 Intel IP Corporation Transmission toggle uplink compensation
US9877275B2 (en) * 2016-01-05 2018-01-23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SIM sele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8814A (ja) * 1989-09-21 1991-05-09 Yokogawa Hewlett Packard Ltd パルス幅確保回路及びクロック伝送方法
US20070129103A1 (en) * 2005-12-05 2007-06-07 Al-Shaikh Saleh A Cellular phone having multiple lines
US20090117935A1 (en) * 2005-06-01 2009-05-0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operational interface controlled by a proximity sensor
KR20090080719A (ko) * 2008-01-22 2009-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식별 카드 선택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멀티스탠바이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23074C2 (de) * 1998-05-22 2002-08-29 Ericsson Telefon Ab L M Mobilstation, Mobilfunk-Kommunikationsnetz und Kommunikationsverfahren unter Verwendung von mehreren Teilnehmerprofilen
TWM255595U (en) * 2003-10-29 2005-01-11 Chuan-Tian Hung Multi-card two-way transmitting/receiving handset
US20060022950A1 (en) * 2004-07-09 2006-02-02 Qualcomm Incorporated Multi-func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60040638A1 (en) * 2004-08-17 2006-02-23 Mcquaide Arnold Jr Hand-held remote personal communicator & controller
GB0604573D0 (en) * 2006-03-07 2006-04-19 Ghost Telecom Ltd Method and apparatus of interfacing and connecting a wireless devices(s) and a wireless network for in-and out-going SMS, voice-and data-call(s) routing
US7929993B2 (en) * 2007-08-30 2011-04-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SIM-based mobile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8814A (ja) * 1989-09-21 1991-05-09 Yokogawa Hewlett Packard Ltd パルス幅確保回路及びクロック伝送方法
US20090117935A1 (en) * 2005-06-01 2009-05-0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operational interface controlled by a proximity sensor
US20070129103A1 (en) * 2005-12-05 2007-06-07 Al-Shaikh Saleh A Cellular phone having multiple lines
KR20090080719A (ko) * 2008-01-22 2009-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식별 카드 선택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멀티스탠바이 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3754A (ko) * 2012-09-10 2014-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및 그 단말기
KR20160054556A (ko) * 2013-09-12 2016-05-16 더 보잉 컴파니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및 그 작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05081A1 (en) 2011-05-05
CN201667652U (zh)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9230A (ko) 다수의 송신 키를 포함하는 멀티 심 단말기 및 그의 운용 방법
KR101065341B1 (ko)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통신 방법
TWI419532B (zh) 通信系統、用戶識別卡及其操作方法
US8447358B2 (en) Multi-standby terminal and method of providing tool kit menu thereof
US20120178500A1 (en) Communication operating method, portable device including dual sim card and, network system supporting the same
KR100724423B1 (ko) 하나의 심 카드 소켓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제어방법
US8805338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mmunication of a dual-standby portable terminal
US20090215490A1 (en) Methods for handling proactive commands for one or more subscriber identity cards and systems utilizing the same
KR20180087888A (ko) 제어를 받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연결 방법 및 장치
CN103384377A (zh) 用于管理模块标识信息的方法和系统及其装置
CN101422024A (zh) 从外部设备对移动通信设备的呼叫发起进行的载波类型选择
CN113691270B (zh) 一种sim模块的管理方法及电子设备
KR20110127315A (ko) 듀얼 스탠바이 모드 단말기의 통신 방법 및 장치
US9723639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KR20110103625A (ko) 듀얼 스탠바이 휴대용 단말기 및 오디오 패스 연결 방법
CN111010721A (zh) 无线配网方法、无线配网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392320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030114192A1 (en) Method for accessing extended capabilities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KR20100093701A (ko) 동시대기 단말 및 그의 통화 중 대기음 제공 방법
KR101624746B1 (ko) 휴대 단말기의 동작 상태 표시 방법 및 장치
CN113543276A (zh) 网络接入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4667750A (zh) 信息上报方法及装置、存储介质
CN105554306A (zh) 移动终端及其双芯片系统升级方法
KR10167025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 방법
CN100525333C (zh) 电话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