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7624A - 브러쉬 효과 처리를 위한 영상처리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브러쉬 효과 처리를 위한 영상처리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7624A
KR20110137624A KR1020100057653A KR20100057653A KR20110137624A KR 20110137624 A KR20110137624 A KR 20110137624A KR 1020100057653 A KR1020100057653 A KR 1020100057653A KR 20100057653 A KR20100057653 A KR 20100057653A KR 20110137624 A KR20110137624 A KR 20110137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image
brush effect
representative valu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7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용
임상균
변남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7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7624A/ko
Priority to EP11168604A priority patent/EP2397992A1/en
Priority to US13/158,070 priority patent/US20110310124A1/en
Publication of KR20110137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76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001Texturing; Colouring; Generation of texture or colou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본 영상 처리 방법에 따르면, 처리 대상이 되는 픽셀과 그 주변 픽셀들 중 하나가 같은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픽셀에 대한 브러쉬 효과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브러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브러쉬 효과 처리를 위한 영상처리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Image processing method for brush effect and display apparatus applied the same}
본 발명은 브러쉬 효과 처리를 위한 영상처리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본 영상에 브러쉬 효과를 부가하기 위한 영상처리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진이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이 중 대표적인 기능으로 NPR (Non Photo-realistic Rendering) 기능을 들 수 있다.
NPR은 사진을 있는 그대로 처리하지 않고, 다양한 효과를 부여하여 비사실적으로 처리하는 영상처리 기법이다. NPR 처리된 사진은 사물의 사실적 표현과는 달리 주제를 부각시키기 위하여 사소한 것을 과장하거나 중요하지 않은 것들은 과감히 생략하여 표현하게 된다. 이와 같은 NPR은 게임, 애니메이션, 광고, 영화 등에서 활용되고 있다.
NPR은 입력 영상에 대해 비사실적 렌더링 처리를 하는 방법으로 여러 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NPR은 사진을 색연필화, 펜화, 유화, 수채화, 만화, 스케치 등으로 표현되도록 처리하는 방식들이 있다.
이들 중에서, 유화 또는 수채화의 느낌을 살리기 위한 영상 처리로 브러쉬 효과를 위한 NPR을 들 수 있다. 종래의 브러쉬 효과를 구현하기 위한 NPR 방법으로는 픽셀 기반(Pixel Based) 방식 및 Literation 방식이 있다.
하지만, 픽셀 기반(Pixel Based) 방식은 브러쉬 효과가 미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Literation 방식은 많은 처리 시간 및 높은 CPU처리 파워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Literation 방식은 실시간으로 처리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동영상에 대해서는 지원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고품질의 브러쉬 효과를 더욱 간략한 방식으로 처리하기 위한 NPR 방식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처리 대상이 되는 픽셀과 그 주변 픽셀들 중 하나가 같은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픽셀에 대한 브러쉬 효과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은, 입력된 영상에 대해 처리 대상이 되는 픽셀인 제1 픽셀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픽셀의 주변 픽셀들 중 하나인 제2 픽셀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픽셀과 상기 제2 픽셀이 같은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픽셀에 대한 브러쉬 효과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브러쉬 효과 처리 수행단계는, 상기 제1 픽셀과 상기 제2 픽셀이 같은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픽셀과 상기 제2 픽셀이 같은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1 픽셀의 이전 픽셀에서 브러쉬 효과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픽셀에 대한 브러쉬 효과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픽셀과 상기 제2 픽셀이 같은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픽셀의 원본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픽셀에 대한 브러쉬 효과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제1 픽셀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문턱값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픽셀 및 상기 제2 픽셀의 주변 픽셀들을 포함하는 픽셀 블럭의 대표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문턱값과 상기 대표값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픽셀과 상기 제2 픽셀이 같은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대표값이 상기 문턱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픽셀과 상기 제2 픽셀이 다른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대표값이 상기 문턱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제1 픽셀과 상기 제2 픽셀이 같은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대표값 산출단계는, 이하의 수식에 의해 상기 제2 픽셀의 대표값(Area_Det)을 산출할 수도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에서, Area_Det[p(x+j, y+i)]는 제2 픽셀(p(x+j, y+i))의 대표값
그리고, 상기 문턱값 설정단계는, 상기 제1 픽셀이 포함된 영역의 종류에 따라 상기 문턱값의 크기가 달라지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픽셀 선택단계는, 상기 제1 픽셀의 주변 픽셀들 중 하나를 랜덤 좌표를 이용하여 선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랜덤좌표는, LFSR(Linear Feedback Shift Register)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입력 영상이 동영상인 경우, 한 프레임마다 상기 랜덤 좌표를 초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픽셀 선택단계는, 상기 제1 픽셀을 둘러싼 8개의 픽셀들 중 하나를 제2 픽셀로 선택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된 영상에 대해 처리 대상이 되는 픽셀인 제1 픽셀을 선택하고, 상기 제1 픽셀의 주변 픽셀들 중 하나인 제2 픽셀을 선택하며, 상기 제1 픽셀과 상기 제2 픽셀이 같은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픽셀에 대한 브러쉬 효과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브러쉬 효과 처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1 픽셀과 상기 제2 픽셀이 같은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1 픽셀과 상기 제2 픽셀이 같은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1 픽셀의 이전 픽셀에서 브러쉬 효과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픽셀에 대한 브러쉬 효과 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제1 픽셀과 상기 제2 픽셀이 같은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픽셀의 원본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픽셀에 대한 브러쉬 효과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1 픽셀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문턱값을 설정하고, 상기 제2 픽셀 및 상기 제2 픽셀의 주변 픽셀들을 포함하는 픽셀 블럭의 대표값을 산출하며, 상기 문턱값과 상기 대표값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픽셀과 상기 제2 픽셀이 같은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대표값이 상기 문턱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픽셀과 상기 제2 픽셀이 다른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대표값이 상기 문턱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제1 픽셀과 상기 제2 픽셀이 같은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이하의 수식에 의해 상기 제2 픽셀의 대표값(Area_Det)을 산출할 수도 있다.
Figure pat00002
여기에서, Area_Det[p(x+j, y+i)]는 제2 픽셀(p(x+j, y+i))의 대표값
그리고,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1 픽셀이 포함된 영역의 종류에 따라 상기 문턱값의 크기가 달라지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1 픽셀의 주변 픽셀들 중 하나를 랜덤 좌표를 이용하여 선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랜덤좌표를 생성하는 LFSR(Linear Feedback Shift Register);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입력 영상이 동영상인 경우, 한 프레임마다 상기 랜덤 좌표를 초기화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1 픽셀을 둘러싼 8개의 픽셀들 중 하나를 제2 픽셀로 선택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 대상이 되는 픽셀과 그 주변 픽셀들 중 하나가 같은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픽셀에 대한 브러쉬 효과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브러쉬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브러쉬 효과 처리시에 경계 영역을 판단할 수 있게 되므로 원 영상의 윤곽을 보존할 수 있게 되고, 영상의 종류에 따라 브러쉬 효과의 정도를 달리하여 그림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브러쉬 효과의 처리 과정이 간략화되어 실시간 브러쉬 효과 처리가 가능하게 되어, 동영상에도 브러쉬 효과를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액자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에 대한 브러쉬 효과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FSR을 이용한 랜덤 좌표 생성에 관하여 도시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리 대상이 되는 제1 픽셀과 그 주변의 8개의 픽셀을 포함하는 픽셀 블럭을 선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덤 좌표를 이용하여 제2 픽셀이 선택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셀의 영역이 동일한 경우 및 다른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 효과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 효과 처리의 실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 효과 적용 전후의 영상을 도시한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 효과 적용 전후의 다른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액자(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액자(100)는 기능블럭(110), 통신부(120), 조작부(130), 저장부(140), 영상 처리부(150), 디스플레이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기능블럭(110)은 전자 액자(100)의 본연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기능블럭(110)은 영상(특히, 사진, 동영상)에 대한 재생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통신부(120)는 외부 기기에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 망 등을 통해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통신부(120)는 외부 기기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을 수도 있다.
조작부(13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조작부(130)는 사용자로부터 화면에 표시된 다양한 아이템들에 대한 선택 명령 등에 대응되는 조작을 입력받는다. 조작부(130)는 터치스크린, 버튼, 마우스, 터치패드, 리모컨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전자 액자(10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들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영상 데이터들이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영상 처리부(150)는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영상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60)로 출력한다. 이 때, 영상 처리부(150)는 입력된 영상에 대한 브러쉬 효과를 부가하기 위해, 입력된 영상을 비사실적 랜더링(Non-Photorealistic Rendering : NPR) 처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영상 처리부(150)가 브러쉬 효과를 부가하기 위해 NPR 처리하는 과정에 대해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에서, 입력 영상은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신호 또는 영상 데이터뿐만 아니라, 저장부(140)로부터 영상 처리부(150)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 또는 영상 데이터도 포함한다.
영상 처리부(150)는 입력된 영상에 대해 브러쉬 효과를 위한 처리 대상이 되는 픽셀인 제1 픽셀을 선택한다. 그리고, 영상 처리부(150)는 제1 픽셀의 주변 픽셀들 중 하나인 제2 픽셀을 선택한다. 여기에서, 선택된 제2 픽셀은 제1 픽셀의 주변 픽셀들을 대표하는 픽셀이 된다.
예를 들어, 영상 처리부(150)는 제1 픽셀의 주변 픽셀을 제1 픽셀을 둘러싼 8개의 픽셀들로 설정하고, 제1 픽셀을 둘러싼 8개의 픽셀들 중 하나를 제2 픽셀로 선택할 수도 있다. 즉, 영상 처리부(150)는 제1 픽셀을 중심으로 하는 9개의 픽셀을 하나의 처리 단위로 설정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며, 이와 다른 개수 및 방식으로 주변 픽셀을 설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때, 영상 처리부(150)는 랜덤 좌표를 이용하여 제1 픽셀의 주변 픽셀들 중 하나를 제2 픽셀로 선택한다. 여기에서, 랜덤 좌표는 브러쉬 효과의 구현을 위해 영상 데이터를 대체하기 위한 주변 픽셀을 무작위로 선택하기 위해 사용되는 좌표이다. 이와 같이, 영상 처리부(150)는 랜덤 좌표를 이용함으로써, 더 자연스러운 브러쉬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영상 처리부(150)는 랜덤좌표를 생성하는 LFSR(Linear Feedback Shift Register)을 포함한다. LFSR은 랜덤 x좌표 및 y좌표를 생성한다. LFSR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3c에 도시되어 있다. 도 3c에 대해서는 추후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영상 처리부(150)는 입력 영상이 동영상인 경우, 한 프레임마다 랜덤 좌표를 초기화한다. 이는 동영상의 프레임 간의 랜덤 좌표가 동일해야 플리커(flicker) 발생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150)는 매 프레임이 끝날때 마다 LFSR의 상태값(state value)을 초기값으로 업데이트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영상 처리부(150)는 랜덤 좌표를 이용하여 제1 픽셀의 주변 픽셀들 중 하나를 랜덤하게 제2 픽셀로 선택하게 된다.
그리고, 영상 처리부(150)는 제1 픽셀과 제2 픽셀이 같은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하에서는 제1 픽셀과 제2 픽셀이 같은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영상 처리부(150)는 제1 픽셀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문턱값을 설정한다. 여기에서, 문턱값은 동일한 영역이라고 인식될 수 있는 영상 데이터의 최대 차이값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문턱값은 SAD(Sum of Absolute Difference)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영상 처리부(150)는 제1 픽셀이 포함된 영역의 종류에 따라 문턱값의 크기가 달라지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픽셀이 포함된 영역이 인물 영상에 해당되는 영역인지 풍경 영상에 해당되는 영역인지 여부에 따라 문턱값은 서로 다른 값이 될 수 있다.
그 후에, 영상 처리부(150)는 제2 픽셀 및 제2 픽셀의 주변 픽셀들을 포함하는 픽셀 블럭의 대표값을 산출한다. 이 때, 제2 픽셀의 주변 픽셀들은 제2 픽셀을 둘러싸고 있는 8개의 픽셀들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대표값은 제2 픽셀 및 주변 픽셀들의 영상 데이터값에 대한 SAD 값이 될 수도 있다. 영상 처리부(150)는 제2 픽셀 및 주변 픽셀들의 SAD 값을 이하의 수식 1에 의해 대표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
[수식 1]
Figure pat00003
여기에서, Area_Det[p(x+j, y+i)]는 제2 픽셀(p(x+j, y+i))의 대표값
이와 같이, 영상 처리부(150)는 제2 픽셀의 대표값을 산출한 후에, 문턱값과 대표값의 크기에 따라 제1 픽셀과 제2 픽셀이 같은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영상 처리부(150)는 대표값이 문턱값보다 큰 경우 제1 픽셀과 상기 제2 픽셀이 다른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영상 처리부(150)는 대표값이 문턱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제1 픽셀과 제2 픽셀이 같은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결정하게 된다.
그 후에, 영상 처리부(150)는 제1 픽셀과 제2 픽셀이 같은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처리의 대상이 되는 영상 데이터를 달리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제1 픽셀과 상기 제2 픽셀이 같은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영상 처리부(150)는 제1 픽셀의 이전 픽셀에서 브러쉬 효과 처리된 영상 데이터(즉, 프라퍼게이션(propagation)된 픽셀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픽셀에 대한 브러쉬 효과 처리를 수행한다. 이때의 브러쉬 효과 처리는 제1 픽셀 및 제1 픽셀의 주변 픽셀들의 영상 데이터 값들이 모두 제2 픽셀의 영상 데이터 값이 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제2 픽셀의 영상 데이터 값은 브러쉬 효과 처리된 영상 데이터의 제2 픽셀 값을 나타낸다.
반면, 상기 제1 픽셀과 상기 제2 픽셀이 같은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영상 처리부(150)는 제1 픽셀의 원본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픽셀에 대한 브러쉬 효과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의 브러쉬 효과 처리는, 제1 픽셀 및 제1 픽셀의 주변 픽셀들의 영상 데이터 값들이, 주변 픽셀들 중 제1 픽셀과 가장 유사도가 낮은 픽셀의 영상 데이터 값이 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제1 픽셀과 가장 유사도가 낮은 픽셀의 영상 데이터 값은 원본 영상 데이터값이 사용된다. 그리고, 영상 처리부(150)는 원본 영상 데이터 값들을 이용하여 제1 픽셀과 가장 유사도가 낮은지 주변 픽셀을 검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영상 처리부(150)는 제1 픽셀과 제2 픽셀이 같은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브러쉬 효과를 달리 적용하기 때문에, 브러쉬 효과 처리시에 경계 영역을 판단할 수 있게 되므로 원 영상의 윤곽을 보존할 수 있게 된다. 즉, 영상 처리부(150)는 원 영상의 윤곽은 그대로 유지된 상태에서 브러쉬 효과를 표현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는 영상에 브러쉬 효과를 적용하더라도 영상 내의 사물을 더욱 명확히 구분할 수 있게 된다.
영상 처리부(150)는 상술한 처리과정을 모든 픽셀에 대해 수행하게 된다. 그러면, 입력된 영상은 각 픽셀들의 색상이 뭉개지는 효과의 영상처리가 수행되기 때문에, 입력된 영상에 브러쉬 효과가 표현된다. 이에 따라, 영상 처리부(150)는 입력된 영상에 브러쉬 효과가 표현되도록 영상 처리를 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영상 처리부(150)에서 브러쉬 효과가 부가되도록 처리된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16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 PDP(Plasma Display Panel),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이용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조작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자 액자(1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영상 처리부(150)의 상술한 기능 및 동작이 구현되도록 제어한다.
전자 액자(100)는 상술한 구성에 의해 브러쉬 효과를 수행하게 되어, 브러쉬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브러쉬 효과의 처리 과정이 간략화되어 실시간 브러쉬 효과 처리가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전자 액자(100)는 동영상에도 브러쉬 효과를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에 대한 브러쉬 효과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일단, 전자 액자(100)는 영상을 입력받는다(S210). 여기에서, 입력되는 영상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 또는 영상 데이터와 전자 액자(100)에 내장된 저장매체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 또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그 후에, 전자 액자(100)는 입력된 영상에서 브러쉬 효과를 부가하기 위한 처리 대상이 되는 픽셀인 제1 픽셀을 선택한다(S220). 제1 픽셀을 선택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4에 개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리 대상이 되는 제1 픽셀과 그 주변의 8개의 픽셀을 포함하는 픽셀 블럭을 선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액자(100)는 입력된 영상에 대해 왼쪽 상단의 픽셀부터 우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처리 대상인 제1 픽셀을 선택해 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4에서 p(x,y)가 최초 처리 대상 픽셀로 선택된다. 그리고, p(x,y)의 처리가 완료되면, p(x+1,y)를 처리 대상으로 선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우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처리대상 픽셀을 선택하고, 우측 끝까지 모두 처리되면, 아래 방향으로 한줄 내려가 p(x,y+1) 픽셀부터 다시 우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처리하게 된다.
이 때, p(x,y)가 처리 대상 픽셀로 선택되면, 제1 픽셀블럭(410)이 브러쉬 효과 처리 단위로 선택된다. 즉, 도 4의 경우, 처리 대상 픽셀을 중심으로 하는 3*3 개의 픽셀들을 브러쉬 효과 처리 단위로 설정하고, 제1 픽셀 블럭(410)의 픽셀들은 모두 같은 영상 데이터 값을 가지도록 처리된다. 그리고, p(x+1,y)가 처리 대상 픽셀로 선택되면, 제2 픽셀블럭(420)이 브러쉬 효과 처리 단위로 선택된다.
이와 같이, 전자 액자(100)는 좌측 상단의 픽셀부터 순차적으로 처리대상 픽셀로 선택하게 된다.
다시 도 2로 돌아가, 전자 액자(100)는 LFSR(Linear Feedback Shift Register)을 이용하여 랜덤 좌표를 생성한다(S230). LFSR은 시프트 레지스터의 일종으로, 레지스터에 입력되는 값이 이전 상태 값들의 선형 함수로 계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때 사용되는 선형 함수는 주로 배타적 논리합(XOR)이다. LFSR의 초기 값은 시드(seed)라고도 부른다.
LFSR의 동작은 결정론적이기 때문에, LFSR로 생성되는 값의 수열은 그 이전 값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레지스터가 가질 수 있는 값의 갯수는 유한하기 때문에, LFSR에 의해 생성되는 수열은 특정한 주기에 의해 반복된다. 하지만 선형 함수를 잘 선택한다면 주기가 길고 무작위적으로 보이는 수열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특성에 입각하여, LFSR은 의사 난수, 의사 난수 잡음(PRN), 빠른 디지털 카운터, 백지화 수열 등의 분야에서 사용된다. 따라서, LFSR은 랜덤 좌표를 생성하는데도 사용될 수 있다.
랜덤 좌표를 생성하는 과정 및 LFSR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에 대해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FSR을 이용한 랜덤 좌표 생성에 관하여 도시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FSR의 상태값 중 하나인 F_state_value를 선택하는 것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F_state_value는 매 프레임에 대해 첫번째 픽셀값이 된다. 즉, 도 3a에서 제1 프레임(310) 및 제2 프레임(320)에 대해서도, F_state_value는 항상 좌측 상단의 맨 첫번째 픽셀값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덤 좌표를 도식화한 것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덤 좌표는 일정한 규칙이 없이 고르게 분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FSR(35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LFSR(350)는 레지스터 영역이 x 좌표 영역과 y 좌표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x 좌표와 y 좌표를 랜덤하게 출력한다.
또한, LFSR(350)은 LFSR_state 값을 초기값으로 입력받게 된다. 여기에서 LFSR_state 값은 F_state_value 와 P_state_value가 멀티플렉서(340)에 의해 멀티플렉싱되어 생성된다. 여기에서, F_state_value는 매 프레임마다 입력되는 초기값을 나타내고, P_state_value는 각 픽셀마다 입력되는 초기값을 나타낸다. 따라서, LFSR(350)에서 출력되는 값은 그 특성상 F_state_value 와 P_state_value에 의해 결정되게 된다.
전자 액자(100)는 입력 영상이 동영상인 경우, 한 프레임마다 랜덤 좌표를 초기화하기 F_state_value를 초기값으로 업데이트한다. 그러면, LFSR(350)은 매 프레임마다 동일한 랜덤 좌표를 출력하게 된다. 동영상의 매 프레임마다 다른 형태의 랜덤 좌표가 적용되면, 각 프레임에 대한 브러쉬 효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플리커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동영상의 프레임 간의 랜덤 좌표가 동일해야 플리커(flicker)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전자 액자(100)는 한 프레임마다 F_state_value를 초기값으로 업데이트하게 된다.
전자 액자(100)는 이와 같은 구성의 LFSR(350)을 이용하여 랜덤 좌표를 생성하게 된다.
다시, 도 2로 돌아가, 전자 액자(100)는 랜덤 좌표를 이용하여 제1 픽셀의 주변 픽셀들 중 하나인 제2 픽셀을 선택한다(S240). 여기에서, 선택된 제2 픽셀은 제1 픽셀의 주변 픽셀들을 대표하는 픽셀이 된다. 여기에서 주변 픽셀은 처리 단위가 되는 픽셀 블럭에 포함된 픽셀들 중에서 제1 픽셀을 제외한 나머지 픽셀들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전자 액자(100)는 제1 픽셀의 주변 픽셀을 제1 픽셀을 둘러싼 8개의 픽셀들로 설정하고, 제1 픽셀을 둘러싼 8개의 픽셀들 중 하나를 제2 픽셀로 선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픽셀 블럭은 제1 픽셀을 중심으로 한 9개의 픽셀들을 포함하게 된다. 즉, 전자 액자(100)는 제1 픽셀을 중심으로 하는 9개의 픽셀을 하나의 처리 단위로 설정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며, 이와 다른 개수 및 방식으로 주변 픽셀을 설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때, 전자 액자(100)는 랜덤 좌표를 이용하여 제1 픽셀의 주변 픽셀들 중 하나를 제2 픽셀로 선택한다. 여기에서, 랜덤 좌표는 브러쉬 효과의 구현을 위해 영상 데이터를 대체하기 위한 주변 픽셀을 무작위로 선택하기 위해 사용되는 좌표이다. 이와 같이, 전자 액자(100)는 랜덤 좌표를 이용함으로써, 더 자연스러운 브러쉬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덤 좌표를 이용하여 제2 픽셀이 선택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 제1 픽셀은 현재 p(x,y)이다. 이 상태에서, 도 5는 랜덤 좌표를 이용하여 p(x+1,y+1)이 제2 픽셀로 선택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p(x+1,y+1)는 p(x,y)에 대한 픽셀 블럭(510)의 내에 존재하는 주변 픽셀 중 하나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 처리부(150)는 랜덤 좌표를 이용하여 제1 픽셀의 주변 픽셀들 중 하나를 랜덤하게 제2 픽셀로 선택하게 된다.
다시 도 2로 돌아가, 전자 액자(100)는 제1 픽셀에 대한 문턱값을 설정하게 된다(S250). 여기에서, 문턱값은 동일한 영역이라고 인식될 수 있는 영상 데이터의 최대 차이값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문턱값은 SAD(Sum of Absolute Difference)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전자 액자(100)는 제1 픽셀이 포함된 영역의 종류에 따라 문턱값의 크기가 달라지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픽셀이 포함된 영역이 인물 영상에 해당되는 영역인지 풍경 영상에 해당되는 영역인지 여부에 따라 문턱값은 서로 다른 값이 될 수 있다.
그 후에, 전자 액자(100)는 제2 픽셀 및 제2 픽셀의 주변 픽셀들을 포함하는 픽셀 블럭의 대표값을 산출한다(S260). 이 때, 제2 픽셀의 주변 픽셀들은 제2 픽셀을 둘러싸고 있는 8개의 픽셀들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픽셀이 p(x+1, y+1)인 경우, 전자 액자(100)는 p(x+1, y+1)를 둘러싸고 있는 8개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픽셀 블럭(520)을 대표값 산출을 위해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대표값은 제2 픽셀 및 주변 픽셀들의 영상 데이터값에 대한 SAD 값이 될 수도 있다. 전자 액자(100)는 제2 픽셀 및 주변 픽셀들의 SAD 값을 상술된 수식 1에 의해 대표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
그 후에, 전자 액자(100)는 대표값이 문턱값보다 작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한다(S270). 만약, 대표값이 문턱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S270-Y), 전자 액자(100)는 제1 픽셀과 제2 픽셀이 같은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결정하게 된다(S273). 그리고, 전자 액자(100)는 제1 픽셀의 이전 픽셀에서 브러쉬 효과 처리된 영상 데이터(즉, 프라퍼게이션(propagation)된 픽셀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픽셀에 대한 브러쉬 효과 처리를 수행한다(S276). 이때의 브러쉬 효과 처리는 제1 픽셀 및 제1 픽셀의 주변 픽셀들의 영상 데이터 값들이 모두 제2 픽셀의 영상 데이터 값이 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제2 픽셀의 영상 데이터 값은 브러쉬 효과 처리된 영상 데이터의 제2 픽셀 값을 나타낸다.
반면, 대표값이 문턱값보다 큰 경우(S270-N), 전자 액자(100)는 제1 픽셀과 제2 픽셀이 서로 다른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결정한다(S283). 그리고, 전자 액자(100)는 제1 픽셀의 원본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픽셀에 대한 브러쉬 효과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S286). 이때의 브러쉬 효과 처리는, 제1 픽셀 및 제1 픽셀의 주변 픽셀들의 영상 데이터 값들이, 주변 픽셀들 중 제1 픽셀과 가장 유사도가 낮은 픽셀의 영상 데이터 값이 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제1 픽셀과 가장 유사도가 낮은 픽셀의 영상 데이터 값은 원본 영상 데이터값이 사용된다. 그리고, 전자 액자(100)는 원본 영상 데이터 값들을 이용하여 제1 픽셀과 가장 유사도가 낮은 주변 픽셀을 검색하게 된다.
그 후에, 전자 액자(100)는 입력 영상의 모든 픽셀이 브러쉬 효과 처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290). 만약, 모든 픽셀이 처리되지 않았다면(S290-N), 전자 액자(100)는 다음으로 처리할 대상인 제1 픽셀을 선택하게 된다(S220).
반면, 입력된 영상에 대해 모든 픽셀이 처리된 경우(S290-Y), 전자 액자(100)는 입력 영상에 브러쉬 효과를 부가하는 처리과정을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전자 액자(100)는 제1 픽셀과 제2 픽셀이 같은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브러쉬 효과를 달리 적용한다. 따라서, 전자 액자(100)는 브러쉬 효과 처리시에 경계 영역을 판단할 수 있게 되므로 원 영상의 윤곽을 보존할 수 있게 된다. 즉, 전자 액자(100)는 원 영상의 윤곽은 그대로 유지된 상태에서 브러쉬 효과를 표현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는 영상에 브러쉬 효과를 적용하더라도 영상 내의 사물을 더욱 명확히 구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자 액자(100)는 상술한 과정에 의해 브러쉬 효과를 수행하게 되어, 브러쉬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브러쉬 효과의 처리 과정이 간략화되어 실시간 브러쉬 효과 처리가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전자 액자(100)는 동영상에도 브러쉬 효과를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영역의 구분 및 브러쉬 효과 적용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셀의 영역이 동일한 경우 및 다른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처리 대상인 제1 픽셀이 p(x,y)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p(x,y)를 중심으로 하는 픽셀 블럭의 내부는 제1 영역(610) 및 제2 영역(620)으로 구분되어 있다. 제1 영역(610)은 p(x-1,y-1), p(x,y-1), p(x-1,y)로 3개의 픽셀이 포함된다. 그리고, 제2 영역(620)은 p(x+1,y-1), p(x,y), p(x+1,y), p(x-1,y+1), p(x,y+1), p(x+1,y+1)로 5개의 픽셀이 포함된다.
따라서, p(x+1,y+1)이 제2 픽셀로 선택된 경우, 전자 액자(100)는 제1 픽셀과 제2 픽셀이 동일한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결정하게 된다. 반면, p(x-1,y-1)이 제2 픽셀로 선택된 경우, 전자 액자(100)는 제1 픽셀과 제2 픽셀이 서로 다른 영역에 포함된 것으로 결정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 효과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 대상이 되는 픽셀 블럭(710)에 포함된 픽셀들은 각각 F(0)에서 F(8)까지의 계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F(0) 내지 F(8)의 계수는 원본 영상의 데이터를 일부 반영하기 위해 적용되는 계수에 해당된다.
이 경우, 전자 액자(100)는 대체된 각 픽셀의 영상 데이터 값에 각각에 대응되는 계수를 곱하여 픽셀의 최종 영상 데이터 값을 결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2 픽셀이 p(x,y-1)로 선택되고 제1 픽셀과 제2 픽셀이 같은 영역인 경우, 전자 액자(100)는 픽셀 블럭(710)의 모든 픽셀들의 영상 데이터 값을 p(x,y-1)의 영상 데이터 값으로 대체하게 된다. 그 후에, 전자 액자(100)는 픽셀 블럭(710)에 포함된 픽셀들 각각의 영상 데이터 값에 F(0)에서 F(8)까지 각각의 계수를 곱한다. 이 과정을 통해, 전자 액자(100)는 브러쉬 효과를 위한 영상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즉, 전자 액자(100)는 제2 픽셀의 영상 데이터 값뿐만 아니라, 각 픽셀들에 설정된 계수를 함께 고려하여 픽셀의 최종 영상 데이터값을 결정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 효과 처리의 실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다음 픽셀에 해당되는 p(x+1, y)을 제1 픽셀로 하고, p(x+1, y)를 중심으로 하는 픽셀 블럭(810)을 처리 단위로 하여 브러쉬 효과 부가를 위한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전자 액자(100)는 도 8의 경우에도, 도 7에 적용된 방식과 동일하게 브러쉬 효과를 적용하기 위한 영상 처리를 p(x+1, y)에 대해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액자(100)는 제2 픽셀의 영상 데이터 값뿐만 아니라, 각 픽셀들에 설정된 계수를 함께 고려하여 픽셀의 최종 영상 데이터값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9a 내지 도 10b를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 효과를 적용한 영상을 설명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 효과 적용 전후의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는 브러쉬 효과를 적용하기 전의 원본 영상이고, 도 9b는 브러쉬 효과를 적용한 영상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 효과 적용 전후의 다른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는 브러쉬 효과를 적용하기 전의 원본 영상이고, 도 10b는 브러쉬 효과를 적용한 영상이다.
도 9b 및 도 10b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 효과는 영상의 윤곽은 그대로 유지된 채로, 윤곽 내부의 컬러들이 뭉개지도록 표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 효과 처리 방법에 따를 경우, 영상의 형태는 그대로 유지된 상태에서 사진이 수채화 또는 유화로 변환된 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자 액자(100)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입력된 영상을 NPR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라면 어떤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자 앨범 외에도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PMP, MP3, 휴대폰, 노트북, PDA 등이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전자액자 110 : 기능블럭
120 : 통신부 130 : 조작부
140 : 저장부 150 : 영상 처리부
160 : 디스플레이부 170 : 저장부

Claims (20)

  1. 입력된 영상에 대해 처리 대상이 되는 픽셀인 제1 픽셀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픽셀의 주변 픽셀들 중 하나인 제2 픽셀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픽셀과 상기 제2 픽셀이 같은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픽셀에 대한 브러쉬 효과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효과 처리 수행단계는,
    상기 제1 픽셀과 상기 제2 픽셀이 같은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픽셀과 상기 제2 픽셀이 같은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1 픽셀의 이전 픽셀에서 브러쉬 효과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픽셀에 대한 브러쉬 효과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픽셀과 상기 제2 픽셀이 같은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픽셀의 원본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픽셀에 대한 브러쉬 효과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제1 픽셀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문턱값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픽셀 및 상기 제2 픽셀의 주변 픽셀들을 포함하는 픽셀 블럭의 대표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문턱값과 상기 대표값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픽셀과 상기 제2 픽셀이 같은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대표값이 상기 문턱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픽셀과 상기 제2 픽셀이 다른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대표값이 상기 문턱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제1 픽셀과 상기 제2 픽셀이 같은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값 산출단계는,
    이하의 수식에 의해 상기 제2 픽셀의 대표값(Area_Det)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방법.
    Figure pat00004

    여기에서, Area_Det[p(x+j, y+i)]는 제2 픽셀(p(x+j, y+i))의 대표값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문턱값 설정단계는,
    상기 제1 픽셀이 포함된 영역의 종류에 따라 상기 문턱값의 크기가 달라지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픽셀 선택단계는,
    상기 제1 픽셀의 주변 픽셀들 중 하나를 랜덤 좌표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좌표는,
    LFSR(Linear Feedback Shift Register)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이 동영상인 경우, 한 프레임마다 상기 랜덤 좌표를 초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픽셀 선택단계는,
    상기 제1 픽셀을 둘러싼 8개의 픽셀들 중 하나를 제2 픽셀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방법.
  11. 입력된 영상에 대해 처리 대상이 되는 픽셀인 제1 픽셀을 선택하고, 상기 제1 픽셀의 주변 픽셀들 중 하나인 제2 픽셀을 선택하며, 상기 제1 픽셀과 상기 제2 픽셀이 같은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픽셀에 대한 브러쉬 효과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브러쉬 효과 처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1 픽셀과 상기 제2 픽셀이 같은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1 픽셀과 상기 제2 픽셀이 같은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1 픽셀의 이전 픽셀에서 브러쉬 효과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픽셀에 대한 브러쉬 효과 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제1 픽셀과 상기 제2 픽셀이 같은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픽셀의 원본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픽셀에 대한 브러쉬 효과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1 픽셀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문턱값을 설정하고, 상기 제2 픽셀 및 상기 제2 픽셀의 주변 픽셀들을 포함하는 픽셀 블럭의 대표값을 산출하며, 상기 문턱값과 상기 대표값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픽셀과 상기 제2 픽셀이 같은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대표값이 상기 문턱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픽셀과 상기 제2 픽셀이 다른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대표값이 상기 문턱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제1 픽셀과 상기 제2 픽셀이 같은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이하의 수식에 의해 상기 제2 픽셀의 대표값(Area_Det)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Figure pat00005

    여기에서, Area_Det[p(x+j, y+i)]는 제2 픽셀(p(x+j, y+i))의 대표값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1 픽셀이 포함된 영역의 종류에 따라 상기 문턱값의 크기가 달라지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1 픽셀의 주변 픽셀들 중 하나를 랜덤 좌표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랜덤좌표를 생성하는 LFSR(Linear Feedback Shift Register);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입력 영상이 동영상인 경우, 한 프레임마다 상기 랜덤 좌표를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1 픽셀을 둘러싼 8개의 픽셀들 중 하나를 제2 픽셀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00057653A 2010-06-17 2010-06-17 브러쉬 효과 처리를 위한 영상처리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13762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653A KR20110137624A (ko) 2010-06-17 2010-06-17 브러쉬 효과 처리를 위한 영상처리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EP11168604A EP2397992A1 (en) 2010-06-17 2011-06-02 Image processing method for brush effect and display apparatus applying the same
US13/158,070 US20110310124A1 (en) 2010-06-17 2011-06-10 Image processing method for brush effect and display apparatus apply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653A KR20110137624A (ko) 2010-06-17 2010-06-17 브러쉬 효과 처리를 위한 영상처리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624A true KR20110137624A (ko) 2011-12-23

Family

ID=44462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7653A KR20110137624A (ko) 2010-06-17 2010-06-17 브러쉬 효과 처리를 위한 영상처리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310124A1 (ko)
EP (1) EP2397992A1 (ko)
KR (1) KR20110137624A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52734B1 (en) * 1999-04-29 2003-04-22 Smoothware Desig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composite image based on at least two input images
US7929798B2 (en) * 2005-12-07 2011-04-19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noise reduction while preserving edges for imagers
US7894685B2 (en) * 2008-07-01 2011-02-2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ringing artifa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310124A1 (en) 2011-12-22
EP2397992A1 (en) 201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70558B (zh) 使用深度学习的数字图像完成
JP6726946B2 (ja) レンダリング方法、レンダリング装置及び電子装置
JP7432005B2 (ja) 二次元画像の三次元化方法、装置、機器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70213394A1 (en) Environmentally mapped virtualization mechanism
AU2006287351A1 (en) 2D editing metaphor for 3D graphics
CN108701351A (zh) 一种图像显示增强方法及装置
Bruckner et al. Hybrid visibility compositing and masking for illustrative rendering
CN106933467A (zh) 智能水印移动方法
JP4593513B2 (ja) 3次元表示方法、3次元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680672B1 (ko) 텍스쳐 효과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09065001B (zh) 一种图像的降采样方法、装置、终端设备和介质
CN108235138A (zh) 预览视频的方法、处理装置及其计算机系统
CN112516595B (zh) 岩浆渲染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20110137634A (ko) 스케치 영상 생성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04574473B (zh) 一种基于静态图片生成动态效果的方法和装置
KR2011013763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npr 처리방법
CN113935891B (zh) 像素风格的场景渲染方法、设备及存储介质
Yoon et al. Video painting based on a stabilized time-varying flow field
KR20110137624A (ko) 브러쉬 효과 처리를 위한 영상처리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92060A (ko) 텍스트를 포함하는 모자이크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2051995B (zh) 一种图像渲染的方法、相关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550327B1 (ko) 영상 업스케일링 방법 및 장치
JP2004201004A (ja) 3次元映像表示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189687B1 (ko) 3차원 캐릭터의 생성 방법
Guo et al. Real-time image distortion correction system based on improved bilinear interpolation algorith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