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7421A - Led 형광 램프 - Google Patents

Led 형광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7421A
KR20110137421A KR1020100057344A KR20100057344A KR20110137421A KR 20110137421 A KR20110137421 A KR 20110137421A KR 1020100057344 A KR1020100057344 A KR 1020100057344A KR 20100057344 A KR20100057344 A KR 20100057344A KR 20110137421 A KR20110137421 A KR 20110137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ode
anode
cathode
external connection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7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4629B1 (ko
Inventor
박명구
Original Assignee
금호전기주식회사
박명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전기주식회사, 박명구 filed Critical 금호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7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4629B1/ko
Priority to PCT/KR2011/004087 priority patent/WO2011159048A2/ko
Publication of KR20110137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7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05B45/3725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 H05B45/39Circuits containing inverter brid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05B45/3725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 H05B45/375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using buck topolog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05B45/3725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 H05B45/385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using flyback topolo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형광 램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부;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부와 병렬로 연결된 정전류 제어부;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부와 병렬로 연결된 용량성 소자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전자식 안정기의 종류와 상관없이 정전류 특성을 유지하는 형광 램프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LED 형광 램프{LED FLUORESCENT LAMP}
본 발명은 LED 형광 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함께 사용되는 안정기의 특성과 무관하게 정전력 특성을 유지하는 LED 형광 램프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과거 인디케이터와 같은 소전력 지시등용으로밖에 사용되지 못하던 LED(Light Emitting Diode)의 광 효율이 실생활에 사용될 수 있을 만큼 향상되고 있다.
또한, LED는 다른 광원들과 달리 수은이 함유되지 않은 친환경 광원으로, 휴대 단말기용 백라이트, LCD TV용 백라이트(BLU), 차량용 램프 및 일반 조명 등에 사용되는 차세대 광원으로 널리 각광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 100여년 동안 조명의 주 광원으로 사용되어 왔던 저전력 효율 특성을 갖는 백열등이나, 수은과 같은 환경 폐기물을 포함하고 있는 형광등이 LED 램프로 대체되고 있는 추세이다.
LED 램프를 백열등이나 할로겐 램프 등을 대체하는 용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기존의 백열등이나 할로겐 램프를 제거하고 어떠한 구성의 추가도 없이 LED 램프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LED 램프를 일반 조명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형광등을 대체하는 용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기존의 배선을 교체하거나 전용 안정기를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등기구 자체를 변경하여야 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LED 램프를 형광등 대체용으로 사용하기에는 경제적 및 시간적 측면에서 큰 부담이 되는 상황이다. 이러한 이유로, 여러 가지 측면에서 많은 장점을 갖는 LED 형광램프가 아직까지 보급 초기 단계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다양한 종류의 전자식 형광등용 안정기에 적용이 가능하고, 또한 일반 상용 교류 전원에 직접 연결하여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안정기의 종류의 변경 및 인가 전압의 변경과 같은 외부 동작 조건의 변화와는 무관하게 안정된 전류 특성을 갖는 LED 형광 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형광 램프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부,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부가 출력포트에 연결되는 정전류 제어부, 및 상기 정전류 제어부의 입력포트에 연결되는 제 1 용량성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 상기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의 일단에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연결핀을 포함하는 제 1 외부 연결 회로부;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의 타단에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연결핀을 포함하는 제 2 외부 연결 회로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형광 램프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부,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부와 병렬로 연결된 정전류 제어부,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부와 병렬로 연결된 제 1 용량성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 제 1 내지 제 4 외부 연결핀; 일단이 상기 제 1 내지 제 4 외부 연결핀에 각각 연결되는 제 2 내지 제 5 용량성 소자; 애노드는 상기 제 2 용량성 소자의 타단에 연결되고, 캐소드는 상기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부의 애노드측에 연결되는 제 1 전류 제어 다이오드; 애노드는 상기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부의 캐소드 측에 연결되고, 캐소드는 상기 제 3 용량성 소자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 2 전류 제어 다이오드; 애노드는 상기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부의 캐소드측에 접속되고, 캐소드는 상기 제 4 용량성 소자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 3 전류 제어 다이오드; 및 애노드는 상기 제 5 용량성 소자의 타단에 연결되고, 캐소드는 상기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부의 애노드측에 연결되는 제 4 전류 제어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LED 형광 램프에 의하면,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부를 정전류 제어부의 출력 포트에 연결하고 제 1 용량성 소자를 정전류 제어부의 입력 포트에 연결함으로써,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부의 부하에 정전류를 공급하여 전자식 안정기의 변화에 무관하게 정전력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LED 형광램프의 양단이 서로 대칭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기존의 전자식 형광등용 안정기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으며, 인가 전압의 변경과 같은 외부 동작 조건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된 전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등기구 내부의 배선을 교체하거나 전용 안정기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존의 형광등을 대체할 수 있음은 물론,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형광 램프의 보급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100)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100)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의 (a) 및 (b)는 벅 컨버터의 개략도 및 시간에 따른 동작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도 2의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 내에서의 동작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정전류 제어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LED 형광 램프(1000)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LED 형광 램프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LED 형광 램프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LED 형광 램프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LED 형광 램프의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LED 형광 램프의 제 6 실시형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LED 형광램프를 하프브릿지(Half Bridge) 방식의 형광등용 안정기에 사용한 경우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LED 형광램프를 인스턴트 스타트(Instant-Start) 방식의 전자식 형광등 안정기에 사용한 경우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LED 형광램프를 인스턴트 방식의 전자식 안정기에 적용한 경우의 회로구성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LED 형광램프를 직렬공진 방식의 전자식 안정기에 연결한 회로도이다.
도 16은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부에 흐르는 전류에 대한 타이밍 다이어그램(Timing Diagram)을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일반 상용 전원의 자기식 안정기에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LED 형광램프를 장착한 경우의 회로구성도이다.
도 18은 일반 상용 교류 전원을 LED 형광 램프(1000)에 직접 연결한 경우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100)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100)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부(110),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부가 출력포트에 연결되는 정전류 제어부(120), 및 상기 정전류 제어부의 입력포트에 연결되는 제 1 용량성 소자(C1)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류 제어 다이오드(D1) 또는 제 2 전류 제어 다이오드(D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부(110)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가 직렬로 연결된 것은 물론이고, 복수의 발광다이오드가 직렬로 연결된 하나의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부가, 다시 이와 같은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부와 병렬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 LED)는 발광층에서 정공과 전자의 재결합(recombination)에 의해 감소하는 만큼의 에너지 레벨에 대응하는 파장을 갖는 빛을 방출하게 된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는, 다양한 배치구조로 직병렬로 연결된 복수 개의 발광다이오드의 조합을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부(110)로 정의한다.
본 제 1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발광다이오드가 직렬로 연결된 상태의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부(110)를 도시하였다. 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본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100)가 장착되는 형광 램프의 구조 및 크기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며, 이하 동일하다.
정전류 제어부(120)의 입력포트에는 제 1 용량성 소자(C1)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정전류 제어부는 상기 제 1 용량성 소자(C1)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상기 정전류 제어부에 부하로 접속된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부(110)에 정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본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부(110)에 흐르는 전류를 정전류 제어부(120)를 통해 제어함으로써, 외부에 사용되는 안정기의 차이에 따라 LED 형광 램프의 소비전력의 변화, 인가 전압이 변화할 때의 LED 형광 램프의 소비전력의 변화, 및 이전의 자기식 안정기를 사용했을 경우 LED 램프 내의 소비전력의 변화 등을 보완할 수 있다. 정전류 제어부(120)에 관하여는 후술하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정전류 제어부(120)의 일측에는 제 1 전류 제어 다이오드(D1)가 연결되거나, 정전류 제어부(120)의 타측에는 제 2 전류 제어 다이오드(D2)가 연결될 수 있다. 제 1 전류 제어 다이오드(D1) 및 제 2 전류 제어 다이오드(D2)는 극성을 지니고 있는 제 1 용량성 소자(C1)를 충전시킬 수 있는 순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정전류 제어부의 입력포트에는 제 1 용량성 소자(C1)가 병렬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용량성 소자(C1)는 에너지 탱크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일반 상용 전원(50Hz/100V, 60Hz/220V), 고주파용 전자식 안정기 또는 저주파용 자기식 안정기로부터 인가되는 여러 가지 형태의 전력에너지를 저장한 후 상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에 주전력을 공급하는 에너지 탱크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100)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본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100)는 도 1에 도시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100)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도 3의 (a) 및 (b)는 벅 컨버터의 개략도 및 시간에 따른 동작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방식의 벅 컨버터(Buck Converter)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면 도 3의 (a)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사용된 벅 컨버터는 직류전원, 하나의 인덕터(L), 하나의 트랜지스터 스위치(SW), 하나의 다이오드(D), 하나의 커패시터(C) 및 하나의 저항(R)으로 구성되는 간단한 구조로 될 수 있다. 여기서,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부(LED array)를 간략히 도식화하기 위해서 하나의 저항(R)으로 놓았다.
그 기본 동작을 살펴보면, 트랜지스터 스위치(S)가 온(on)되게 되면, 직류 전원의 전하는 (+)전원 단자 → 인덕터(L) → 저항(R) 및 캐패시터(C) → (-)전원 단자의 경로로 전류가 흘러 일차적으로 입력전원으로부터의 에너지를 인덕터(L)에 저장하게 된다. 여기서, 스위치(S)의 온(on) 구간 동안에는, VD = Vi, VL = Vi - Vo이다. 이 때, 다이오드는 역방향으로 바이어스가 걸려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그리고, 트랜지스터 스위치(S)가 오프(off) 되어 있는 구간 동안에는, 스위치(S)의 온(on) 구간 동안에 인덕터(L)에 저장되어 있던 에너지에 의해, 부하인 저항(R)으로 이 에너지를 전달하는 것과 같이 하여 연속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 때, 스위치(S)의 오프(off) 구간 동안에는, VD = 0, VL = - Vo이다. 즉 다이오드의 순방향으로 인덕터(L)에 저장된 에너지가 저항(R)으로 공급되게 된다.
벅 컨버터의 형태에는 인덕터(L)의 전류치가 0까지 떨어지는지 여부에 따라 연속모드(Continuous mode) 및 단속모드(Discontinuous mode)의 2 종류의 동작모드가 있는데, 본 발명에서와 같은 LED 형광램프는 소요 전력의 양이 20-30와트(Watt) 정도로 스위칭의 전체 변환 주기 동안 전달될 수 있는 양보다 충분히 작기 때문에 스위칭의 일부 구간 동안 인덕터(L)를 통해 흐르는 전류값이 0이 되는 구간(Dead Band)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Dead Band 동안에는 VD = Vo, VL = 0이다.
아래에 이와 같은 단속모드에 있어서의 컨버터의 기본 동작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컨버터가 정상상태(Steady state)에서 동작한다고 가정하면 스위칭 주기의 시작과 끝에서 인덕터(L) 내부의 에너지는 같은 값을 가지며 단속모드의 경우에는 0이 된다.
이는 인덕터 전압(VL)(VL은 빨간색으로 도시된 선)의 평균 전압치가 0, 즉, 도 3의 (b)의 Voltage에 나타낸 스위치(S)의 온(on) 구간의 사각형의 면적과 오프(off) 구간의 면적이 같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아래의 수학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Vi 는 입력전압, Vo 는 출력전압, D는 듀티 사이클(duty cycle), T는 순환주기이다.
Figure pat00002
상기 수학식 1로부터 δ 값을 구하면
Figure pat00003
와 같이 나타낼 수 있고, 수식의 간략화를 위해, 스위칭 주기 동안 정전압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커다란 캐패시터를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부에 병렬로 접속하면 부하인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부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정전류 특성을 지닌다. 이는 캐패시터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평균치가 0 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Figure pat00004
여기서,
Figure pat00005
은 인덕터(L) 전류의 평균치를 나타낸다.
도 3의 (b)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인덕터 전류의 파형은 삼각파의 형태를 나타내므로 이를 다시 기하학적으로 나타내면,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와 같다.
인덕터 전류는 시작점에서는 0 이며 Ton 구간 동안에 ILmax 까지 상승하며, 이는
Figure pat00008
와 같이 나타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수학식 6을 수학식 5에 대입하면,
Figure pat00009
와 같이 나타낼 수 있고,
수학식 7을 수학식 3에 대입하면, 출력전압 Vo는,
Figure pat00010
과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수학식 8로부터 단속모드 컨버터의 경우에는 출력전압(Vo)은 입력전압(Vi)과 듀티 사이클(D)뿐만 아니라 인덕터(L)의 인덕턴스와 순환주기(T) 및 출력전류(Io)의 함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100)는 도 1에 도시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100)와 마찬가지로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부(110), 정전류 제어부(120) 및 제 1 용량성 소자(C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전류 제어부(120)는 구동 IC(121), 다이오드(D3), 파워 MOSFET(MFET), 저항(R1, R2), 및 인덕터(L1)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100)는, 제 1 전류 제어 다이오드(D1) 또는 제 2 전류 제어 다이오드(D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구동 IC(121)는 제 1 용량성 소자(C1)에 병렬로 연결되어 제 1 용량성 소자(C1)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정전류로써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부(LED array)로 공급하며, 제 1 전류 제어 다이오드(D1), 및 제 2 전류제어 다이오드(D2)는 각각 정전류 제어부(120)의 일측 및 타측에 연결되어 안정화된 전원을 공급한다.
구동 IC(121)는 입력 단자(VIN), 게이트 단자(GATE), 접지 단자(GND), VDD 단자, LD 단자, CS 단자, RT 단자, PWM_D 단자를 포함한다. 입력단자(VIN) 및 접지단자(GND)를 통해 제 1 용량성 소자(C1)의 전압이 인가되어 저항(R1)을 통해 접지된 RT 단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주파수로 발진 동작을 개시토록 하고 게이트 단자(GATE)는 파워 MOSFET의 게이트에 연결되어 파워 MOSFET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파워 MOSFET의 드레인 측은 파워 MOSFET가 온(on)되었을 때의 스위칭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인덕터(L1)를 개재하여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부(110)의 캐소드 측과 연결되며, CS 단자는 파워 MOSFET의 소스측과 연결되어 저항(R2)을 통해 얻어진 발광다이오드 어레이(110)의 전류 특성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의 기본 구성은 플라이 백(Fly back) 모드 동작을 기본으로 한 벅컨버터이며, 파워 MOSFET의 드레인측에는 다이오드(D3)의 애노드가 접속되어, 이 다이오드(D3)를 통해 파워 MOSFET의 온(on) 구간에 인덕터(L1)에 저장된 에너지가 파워 MOSFET의 오프(off) 구간 동안에 인덕터(L1) → 다이오드(D3) →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부(110)의 경로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상기 구동 IC(121)의 기본 동작은, 구동 IC(121)의 VDD에 인가되는 전압이 UVLO(Under Voltage Lock Operation)를 넘어서게 되면 구동 IC(121)로부터 게이트 구동신호가 출력되며 출력전류는 파워 MOSFET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첨두치를 제한함으로 해서 제어되게 된다. 파워 MOSFET의 전류를 감지하기 위해 파워 MOSFET의 소스 단자와 접지 사이에 전류 감지 저항(R2)을 접속하여 이 전류감지 저항(R2)에서 얻어진 전압을 구동 IC(121)의 전류 감지(CS)핀에 인가하여 이 전류감지(CS)핀의 전압이 첨두전류 감지전압(Peak current sense voltage)의 임계치를 넘어서게 되면 파워 MOSFET의 게이트 구동신호를 종료하여 파워 MOSFET는 꺼지게 된다. 이 때의 임계치는 각 구동 IC의 특성에 따라 각기 다를 수 있으며 내부적으로 미리 세팅되거나 구동 IC의 제어핀(LD)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프로그램될 수도 있다.
여기서, 벅 컨버터 제어방식은 고정된 주파수의 클럭 펄스의 듀티 사이클을 변화시켜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펄스폭변조(PWM :Pulse Width Modulation) 제어방식, 고정된 펄스폭을 가진 클럭 주기를 변화시켜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펄스주파수변조(PFM : Pulse Frequency Modulation) 제어방식, 또는 출력 전압 오류에 따라 고정된 필스로 출력되는 클럭을 제어하여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가변주파수 변조(VFM : Variable Frequency Modulation) 제어방식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도 2의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 내에서의 동작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구동 IC(121)의 CS 단자의 전압 파형(a),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부(LED array)에 흐르는 전류 파형(b), 및 MOSFET의 드레인 전압 파형(c)을 나타내고 있다.
도 2의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의 회로 구성은, 위에서 설명한 도 3의 벅 컨버터의 구성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위에서 설명한 도 3의 (b)의 인덕터(L)의 전류 그래프(IL)와, 도 4의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부(LED array)(110)의 전류파형이 동일하게 삼각파의 형태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파워 MOSFET(MFET)이 온(On)되어 있는 동안,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부(LED array)(110)의 전류와 구동IC(121)의 CS단자의 전압이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CS단자의 전압이 상승하다가 첨두전류 감지전압(Peak current sense voltage)의 임계치를 넘어서게 되면 파워 MOSFET(MFET)의 게이트 구동신호를 종료하여 파워 MOSFET(MFET)는 오프(Off)되게 된다. 파워 MOSFET(MFET)이 오프된 경우, 구동IC(121)의 CS단자의 전압이 그라운드와 동일하게 O가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파워 MOSFET(MFET)이 온(On)이 된 경우, 제 1 용량성 소자(C1)의 전압이 인가되어,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부(LED array) → 인덕터(L1) → 파워 MOSFET(MFET) → 저항(R2) → 그라운드의 경로로 전류가 흘러 일차적으로 제 1 용량성 소자의 양단간의 전압으로부터의 에너지를 인덕터(L1)에 저장하게 된다.
그러다, 파워 MOSFET(MFET)이 오프(Off)되면, 부하인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부(LED array)(110)로 이 에너지를 전달하는 것과 같이 하여 연속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두 가지 형태의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100)를 예시하였다. 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발광다이오드가 직렬로 연결된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부(110) 또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가 직렬로 연결된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부가 병렬로 복수 개가 결합된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부(110), 이와 같은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부(110)가 출력 포트에 연결되는 정전류 제어부(120)와, 이 정전류 제어부(120)의 입력 포트에 연결되는 제 1 용량성 소자(C1)를 포함하는 형태라면, 모두 본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100)에 포함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정전류 제어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도 2에 도시한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100)의 구동 IC(121)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IC(121)는 입력 단자(VIN), 게이트 단자(GATE), 접지 단자(GND), VDD 단자, LD 단자, CS 단자, RT 단자, PWM_D 단자를 포함한다.
구동 IC(121)의 내부 구성을 살펴보면, 하나의 정전압 레귤레이터(Reg), 2개의 비교 연산기(Comparator)(CM), 하나의 OR 게이트, 하나의 RS 플립플롭, 하나의 AND 게이트, 및 하나의 내부 오실레이터(OSC)를 포함한다.
정전압 레귤레이터(Reg)는 VIN 단자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의 고전압을 받아들여 구동 IC(121)를 구동하기 위한 안정화 전원을 만드는 역할을 하고, 2개의 비교 연산기(CM)는 서로 병렬로 배치되며 이들의 입력측의 (+) 단자는 CS 단자에 연결되고 2개의 차등 증폭기(CM) 중 하나의 입력측의 (-) 단자에는 내부에 미리 설정된 소정전압(예 : 250mV)이 인가되며 다른 하나의 차등 증폭기(CM)의 입력측의 (-) 단자는 선형조광(LD : Linear dimming) 단자와 연결된다. 또한, 2개의 비교 연산기의 출력들은 OR 게이트의 입력측으로 연결되며 이 OR 게이트의 출력은 RS 플립플롭의 리셋(Reset) 단자에 연결되고 RS 플립플롭의 세트(Set) 단자에는 내부 발진기(Oscillator)로부터의 출력이 인가된다. RS 플립플롭의 출력단자(Q)는 PWM 디밍(PWM-D) 신호와 함께 AND 게이트의 입력으로 인가되어, PWM 디밍 신호가 온(on)되어있는 구간 동안에 파워 MOSFET(MFET)를 흐르는 전류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에서는 파워 MOSFET를 온(on)시키나 이 값을 넘어서면 파워 MOSFET를 오프(off) 시킴으로써 미리 설정된 정전류 특성으로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부(110)를 구동시킨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100)를 포함하는 LED 형광 램프(10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LED 형광 램프(1000)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여기에서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은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100)를 포함하는 LED 형광 램프(1000)의 회로도를 도시하였다. 도 1 내지 도 5에서는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100)라고 표현하였으나, 이하부터는 LED 형광 램프(1000)의 일부 구성요소이므로,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100)라고 표현한다.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100)와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100)는 서로 동일한 회로에 해당하므로, 동일한 참조 부호를 표기한다. 즉,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100)의 내부 구성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LED 형광 램프(1000)는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100), 제 1 외부 연결 회로부(200), 제 2 외부 연결 회로부(300), 제 1 및 제 2 전류 제어 다이오드(D8, D9), 제 1 내지 제 4 경로 제어 다이오드(D10 내지 D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전류 제어 다이오드(D8, D9)는 위에서 설명한 제 1 전류 제어 다이오드(D1), 및 제 2 전류 제어 다이오드(D2)와 동일한 다이오드일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10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이므로, 여기에서는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외부 연결 회로부(200)는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100)의 일단에 연결되는 것으로,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100)에 전압을 공급한다. 제 1 외부 연결 회로부(200)는 전압을 공급받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연결핀(P1, P2), 제 1 및 제 2 외부 연결핀(P1, P2)과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100)의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C3, C4)(제2 용량성 소자, 제3 용량성 소자)를 포함한다.
또한, 제 1 외부 연결 회로부(200)는 제 1 및 제 2 외부 연결핀(P1, P2)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D4, D5)(제1 다이오드, 제2 다이오드)를 더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다이오드(D4, D5)는 제 1 및 제 2 외부 연결핀(P1, P2)과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100)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되, 제 2 용량성 소자 및 제 3 용량성 소자(C3, C4)와는 병렬로 연결된다.
또한, 제 1 외부 연결 회로부(200)는 제 1 및 제 2 외부 연결핀(P1, P2)과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100)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저항(R3, R4)(제1 저항 및 제2 저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 1 및 제 2 저항(R3, R4)은 제 2 및 제 3 용량성 소자(C3, C4), 및 제 1 및 제 2 다이오드(D4, D5)와는 병렬로 연결된다. 이 때, 제 1 및 제 2 저항(R3, R4)은 전자식 안정기의 인버터(미도시)의 초기 트리거 구동을 위한 전류 공급을 위한 것이다.
제 2 외부 연결 회로부(300)는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100)의 타단에 연결되는 것으로, 제 1 외부 연결 회로부(200)와 마찬가지로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100)에 전압을 공급한다. 제 2 외부 연결 회로부(300)는 전압을 공급받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연결핀(P3, P4)(제 3 외부 연결핀, 및 제 4 외부 연결핀), 제 3 및 제 4 외부 연결핀(P3, P4)과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100)의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C5, C6)(제 4 및 제 5 용량성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내지 제5 용량성 소자는, 각각 제1 내지 제4 연결핀 중 적어도하나를 통해 다양한 방식의 형광등용 안정기 회로에 접속될 수 있으며, 이 때 주파수 변화에 따른 형광등용 안정기 회로내의 임피던스를 변화시켜 LED 어레이부를 흐르는 전류가 제어될 수 있게 하므로 기존의 형광등용 안정기를 변경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2 외부 연결 회로부(300)는 제 3 및 제 4 외부 연결핀(P3, P4)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D6, D7)(제 3 다이오드 및 제 4 다이오드)를 더 포함한다. 제 3 및 제 4 다이오드(D6, D7)는 제 3 및 제 4 외부 연결핀(P3, P4)과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100)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되, 제 4 및 제 5 용량성 소자(C5, C6)와는 병렬로 연결된다.
또한, 제 2 외부 연결 회로부(300)는 제 3 및 제 4 외부 연결핀(P3, P4)과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100)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저항(R5, R6)(제 3 저항 및 제 4 저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 3 및 제 4 저항(R5, R6)은 제 4 및 제 5 용량성 소자(C5, C6), 및 제 3 및 제 4 다이오드(D6, D7)와는 병렬로 연결된다. 제 3 및 제 4 저항(R5, R6)는 전자식 안정기의 인버터의 초기 트리거 구동을 위한 전류 공급을 위한 것이다.
제 1 외부 연결 회로부(200) 및 제 2 외부 연결 회로부(300)의 사이에는 제 1 및 제 2 전류 제어 다이오드(D8, D9), 및 제 1 내지 제 4 경로 제어 다이오드(D10 내지 D1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전류 제어 다이오드(D8, D9)는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100)와 제 1 외부 연결 회로부(200) 혹은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100)와 제 2 외부 연결 회로부(300)의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것으로,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100) 내에서 전류가 순방향으로 흐르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100)의 양단에 각각 제 1 및 제 2 전류 제어 다이오드(D8, D9)가 연결된 상태를 예시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 1 및 제 2 전류 제어 다이오드(D8, D9) 중 하나의 전류 제어 다이오드만 포함될 수도 있다.
제 1 내지 제 4 경로 제어 다이오드(D10 내지 D13)는 제 1 외부 연결 회로부(200) 및 제 2 외부 연결 회로부(300)의 사이에서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100)와 병렬로 연결되되, 제 1 외부 연결 회로부(200)의 제 1 및 제 2 다이오드(D4, D5)와 역방향으로 연결된다. 제 1 내지 제 4 경로 제어 다이오드(D10 내지 D13)는 본 LED 형광 램프(1000)가 형광등용 안정기에 장착될 때 장착된 형광등용 안정기의 종류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교류 전압의 위상 변화와 무관하게 무극성, 대칭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LED 형광 램프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7에 도시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LED 형광 램프(1000)의 회로도는 도 6에 도시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LED 형광 램프(1000)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표기하였으며,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LED 형광 램프(1000)는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100), 제 1 외부 연결 회로부(200), 제 2 외부 연결 회로부(300), 제 1 및 제 2 전류 제어 다이오드(D8, D9) 및 제 1 내지 제 4 경로 제어 다이오드(D10 내지 D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전류 제어 다이오드(D8, D9)는 위에서 설명한 제 1 전류 제어 다이오드(D1) 및 제 2 전류 제어 다이오드(D2)와 동일한 다이오드일 수 있다.
다만, 제 1 외부 연결 회로부(200)는 제 1 및 제 2 외부 연결핀(P1, P2), 제 2 및 제 3 용량성 소자(C3, C4), 및 제 1 및 제 2 다이오드(D4, D5)만을 포함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 1 외부 연결 회로부(200)는 위 제 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제 1 및 제 2 저항(R3, R4)를 포함하지 않는 구성이다.
제 2 외부 연결 회로부(300)도 제 3 및 제 4 외부 연결핀(P3, P4), 제 4 및 제 5 용량성 소자(C5, C6), 및 제 3 및 제 4 다이오드(D6, D7)만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 2 외부 연결 회로부(300)는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제 2 외부 연결 회로부(300)에 포함되어 있는 제 3 및 제 4 저항(R5, R6)을 포함하지 않는 구성이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4 저항(R3 내지 R6)은 전자식 안정기의 인버터의 초기 트리거 구동을 위한 전류 공급을 위한 것으로, 형광램프의 필라멘트를 거쳐 안정기의 초기 트리거 동작이 이루어지는 직렬 공진 방식의 하프 브릿지형의 전자식 안정기를 제외하면 제 1 내지 제 4 저항(R3 내지 R6)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형광 램프(1000)의 회로 구성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LED 형광 램프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LED 형광 램프(1000)의 회로도를 살펴본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LED 형광 램프(1000)는 도 7에 도시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형광 램프(1000)의 회로도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며, 몇 가지 부분에서 회로 구성상의 차이가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LED 형광 램프(1000)는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100), 제 1 외부 연결 회로부(200), 제 2 외부 연결 회로부(300), 제 1 및 제 2 전류 제어 다이오드(D8, D9) 및 제 1 내지 제 4 경로 제어 다이오드(D14 내지 D17)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전류 제어 다이오드(D8, D9)는 위에서 설명한 제 1 전류 제어 다이오드(D1), 및 제 2 전류 제어 다이오드(D2)와 동일한 다이오드일 수 있다.
다만, 제 1 외부 연결 회로부(200) 내의 제 2 및 제 3 용량성 소자(C3', C4'), 및 제 1 및 제 2 다이오드(D4', D5')가 서로 직렬로 연결되고, 제 2 외부 연결 회로부(300) 내의 제 4 및 제 5 용량성 소자(C5', C6'), 및 제 3 및 제 4 다이오드(D6', D7')가 서로 직렬로 연결된다.
제 1 외부 연결 회로부(200) 내의 제 2 및 제 3 용량성 소자(C3', C4'), 및 제 1 및 제 2 다이오드(D4', D5')가 서로 직렬로 연결됨에 따라, 제 1 및 제 2 경로 제어 다이오드(D14, D15)의 캐소드 측 및 애노드 측의 연결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경로 제어 다이오드(D14)의 캐소드 측은 제 1 외부 연결 회로부(200)의 제 2 용량성 소자(C3')와 제 1 다이오드(D4') 사이에 연결되고, 애노드 측은 제 2 외부 연결 회로부(300)의 제 3 다이오드(D6')의 애노드 측에 연결된다.
또한, 제 2 경로 제어 다이오드(D15)의 캐소드 측은 제 1 외부 연결 회로부(200)의 제 1 다이오드(D4')의 캐소드 측에 연결되고, 애노드 측은 제 2 외부 연결 회로부(300)의 제 3 다이오드(D6')와 제 3 용량성 소자(C5') 사이에 연결된다.
또한, 제 3 경로 제어 다이오드(D16)의 캐소드 측은 제 1 외부 연결 회로부(200)의 제 2 다이오드(D5')의 캐소드 측에 연결되고, 애노드 측은 제 2 외부 연결 회로부(300)의 제 4 다이오드(D7')와 제 4 용량성 소자(C6')의 사이에 연결된다.
또한, 제 4 경로 제어 다이오드(D17)의 캐소드 측은 제 1 외부 연결 회로부(200)의 제 2 용량성 소자(C4')와 제 2 다이오드(D5') 사이에 연결되고, 애노드 측은 제 2 외부 연결 회로부(300)의 제 4 다이오드(D7')의 애노드 측에 연결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LED 형광 램프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LED 형광 램프(1000)의 회로도를 살펴본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형광 램프(1000)는 도 7에 도시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형광 램프(1000)의 회로도와 유사한 구성을 갖지만, 일부 구성상의 차이가 있다.
제 1 외부 연결 회로부(200)는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제 2 및 제 3 용량성 소자(C3, C4)와 제 1 및 제 2 다이오드(D4, D5)를 포함하고, 제 2 외부 연결 회로부(300)는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제 4 및 제 5 용량성 소자(C5, C6)와 제 3 및 제 4 다이오드(D6, D7)를 포함한다. 또한, 제 1 외부 연결 회로부(200)와 제 2 외부 연결 회로부(300)의 사이에는 전류 제어 다이오드인 제 1 및 제 2 전류 제어 다이오드(D8, D9)가 포함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LED 형광 램프(1000)는 제 1 및 제 2 경로 제어 다이오드(D18, D19)를 포함한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 1 및 제 2 경로 제어 다이오드(D18, D19)는 제 2 실시형태에서의 경로 제어 다이오드(D10 내지 D13)와는 그 연결 구조가 상이하다.
제 1 경로 제어 다이오드(D18)는 캐소드 측이 제 1 전류 제어 다이오드(D8)의 캐소드 측과 연결되고, 애노드 측은 제 2 외부 연결 회로부(300)의 제 3 다이오드(D6')의 캐소드 측 및 제 4 용량성 소자(C5)와 연결된다. 또한, 제 2 경로 제어 다이오드(D19)는 캐소드 측이 제 1 외부 연결 회로부(200)의 제 2 다이오드(D5)의 캐소드 측 및 제 3 용량성 소자(C4)와 연결되고, 애노드 측은 제 2 전류 제어 다이오드(D9)의 애노드 측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LED 형광램프(1000)에서 경로제어 다이오드(D18 및 D19)는 다양한 형광등용 안정기에서 제 1 내지 제 4 연결핀(P1 내지 P4)에 인가되는 전압의 위상변화와 무관하게 LED 형광램프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2 내지 제 5 용량성소자(C3 내지 C6)에 각각 병렬 연결되는 제 1 내지 제 4 다이오드(D4, D5, D6, D7)는 전부 그 극성을 반대 방향으로 연결하여도 전류가 흐르는 경로만이 달라질 뿐이며 기본적인 동작은 전술하는 바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LED 형광 램프의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LED 형광램프는 일반 형광램프와 달리 인버터 동작 초기부터 정상부하로 보이게되며, 이를 저항으로 간략화하여 R이라 놓으면, 부하특성은 인버터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캐패시터 C에 부하저항 R이 병렬접속된 형태를 보이고, 이 병렬 부하의 복합 어드미턴스(Complex Admittance)를 Yrc라 놓으면, Yrc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11
Yrc의 복합임피던스를 Zrc라 놓으면, Zrc는 다음과 같이 R과 C의 함수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12
도 10을 참조하여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LED 형광 램프(1000)의 회로도를 살펴본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LED 형광 램프(1000)는 도 7에 도시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형광 램프(1000)의 회로도와 유사한 구성을 갖지만, 일부 회로 상의 구성은 차이가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회로 상의 지점을 제1 내지 제4 노드(node 1 ~ node 4)로 부르기로 한다.
제 1 외부 연결 회로부(200)는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제 2 및 제 3 용량성 소자(C3, C4)와 제 1 및 제 2 다이오드(D8, D9)를 포함하고, 제 2 외부 연결 회로부(300)는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제 4 및 제 5 용량성 소자(C5, C6)와 제 3 및 제 4 다이오드(D10, D11)를 포함한다. 하지만,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형광 램프(1000)에 포함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전류 제어 다이오드(D8, D9)와는 다른 역할 및 동작을 나타내는 제어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LED 형광 램프(1000)는 제 1 내지 제 4 전류 제어 다이오드(D24 내지 D27)를 포함한다. 제 1 전류 제어 다이오드(D24)의 애노드는 제 2 용량성 소자(C3)의 타단(즉 노드 1)에 연결되고, 그 캐소드는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부(100)의 애노드측에 연결된다. 제 2 전류 제어 다이오드(D25)의 경우, 그 애노드는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부(100)의 캐소드 측에 연결되고, 그 캐소드는 제 3 용량성 소자(C4)의 타단(즉 노드 2)에 연결된다. 제 3 전류 제어 다이오드(D27)의 경우, 그 애노드는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부(100)의 캐소드측에 접속되고, 그 캐소드는 제 4 용량성 소자(C5)의 타단(노드 3)에 연결된다. 제 4 전류 제어 다이오드(D26)의 경우, 그 애노드는 제 5 용량성 소자(C6)의 타단(즉 노드 4)에 연결되고, 그 캐소드는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부(100)의 애노드측에 연결된다.
또한, 제 1 다이오드(D8)의 경우, 그 애노드는 제 1 외부 연결핀(P1)에 연결되고, 캐소드는 제 1 전류 제어 다이오드(D24)의 애노드에 연결된다. 제 2 다이오드(D9)의 경우, 그 애노드는 제2 전류 제어 다이오드(D25)의 캐소드에 연결되고, 그 캐소드는 제 2 외부 연결핀(P2)에 연결된다. 제 3 다이오드(D10)의 경우, 그 애노드는 제 3 전류 제어 다이오드(D27)의 캐소드에 연결되고, 그 캐소드는 제 3 외부 연결핀(P3)에 연결된다. 제 4 다이오드(D11)의 경우, 그 애노드는 제 4 외부 연결핀(P4)에 연결되고, 그 캐소드는 제 4 전류 제어 다이오드(D26)의 애노드에 연결된다.
경로 제어 다이오드에 대해서 살펴보면, 제 1 경로 제어 다이오드(D20)의 경우, 그 캐소드는 제 1 외부 연결핀(P1)에 연결되고, 그 애노드는 제 3 전류 제어 다이오드(D27)의 캐소드(즉 노드 3)에 연결된다. 제 2 경로 제어 다이오드(D21)의 경우, 그 캐소드는 제 1 전류 제어 다이오드(D24)의 애노드(즉 노드 1)에 연결되고, 그 애노드는 제 3 외부 연결핀(P3)에 연결된다. 제 3 경로 제어 다이오드(D22)의 경우, 그 캐소드는 제 4 외부 연결핀(P4)에 연결되고, 그 애노드는 제 2 전류 제어 다이오드(D25)의 캐소드(즉 노드 2)에 연결된다. 제 4 경로 제어 다이오드(D23)의 경우, 그 캐소드는 제 4 전류 제어 다이오드(D26)의 애노드(즉 노드 4)에 연결되고, 그 애노드는 제 2 외부 연결핀(P2)에 연결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LED 형광 램프의 제 6 실시형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LED 형광 램프(1000)의 회로도를 살펴본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형광 램프(1000)는 도 8에 도시한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형광 램프(1000)의 회로도와 유사한 구성을 갖지만, 일부 구성상의 차이가 있다.
제 1 외부 연결 회로부(200)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 2 및 제 3 용량성 소자(C3', C4')와 제 1 및 제 2 다이오드(D4', D5')를 포함하고, 제 2 외부 연결 회로부(300)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제 4 및 제 5 용량성 소자(C5', C6')와 제 3 및 제 4 다이오드(D6', D7')를 포함한다. 또한, 제 1 외부 연결 회로부(200)와 제 2 외부 연결 회로부(300)의 사이에는 제 1 및 제 2 전류 제어 다이오드(D8, D9)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LED 형광 램프(1000)는 제 1 및 제 2 경로 제어 다이오드(D28, D29), 및 제 3 및 제 4 경로 제어 다이오드(D30, D31)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경로 제어 다이오드(D28)의 경우, 그 애노드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회로부(100)의 캐소드 측에 연결되고, 그 캐소드는 제 1 다이오드(D4')의 애노드와 연결된다. 제 2 경로 제어 다이오드(D29)의 경우, 그 애노드는 제 3 다이오드(D6')의 캐소드와 연결되고 그 캐소드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회로부(100)의 애노드 측에 연결된다. 제 3 경로 제어 다이오드(D30)의 경우, 그 애노드는 제 4 다이오드(D7')의 캐소드와 연결되고 그 캐소드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회로부(100)의 애노드 측에 연결된다. 제 4 경로 제어 다이오드(D31)의 경우, 그 애노드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회로부(100)의 캐소드 측과 연결되고 그 캐소드는 제 2 다이오드(D5')의 애노드에 연결된다.
도 6 내지 도 11에 다양하게 변형 가능한 형광 램프(1000)의 회로도를 예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LED 형광 램프(1000)의 회로도는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외부 연결 회로부(200), 및 제 2 외부 연결 회로부(300) 각각이 한 쌍의 외부 연결핀을 구비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하였다. 하지만, 이 또한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외부 연결 회로부(200), 및 제 2 외부 연결 회로부(300)에 구비되는 외부 연결핀은 본 형광 램프(1000)가 장착되는 전자식 안정기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한 형광 램프(1000)는 제 1 내지 제 4 외부 연결핀(P1 내지 P4)을 통해 다양한 안정기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이때,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형광 램프(1000)가 장착되는 전자식 안정기는 하프브릿지(Half bridge) 방식, 인스턴트 스타트(Instant start) 방식, 프로그램 스타트(Program start) 방식, 스타터(Starter) 램프 방식, 및 래피드 스타트(Rapid start) 방식의 안정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LED 형광램프를 하프브릿지(Half Bridge) 방식의 형광등용 안정기에 사용한 경우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하프브릿지 방식의 형광등 안정기는, 스위칭 소자로 구성된 하프브릿지 인버터의 스위칭 출력점에 인덕터와 커패시터로 직렬 공진 회로를 구성하고, 커패시터 양단에 걸리는 직렬공진 전압으로 형광등을 초기 점등시키고, 일단 형광등이 점등된 후에 형광등에 흐르는 안정화 전류는 직렬공진 회로의 인덕터로 제어하는 방식이다.
전원이 인가되면 저항(R7) → 저항(R4) → 저항(R3) → 안정기 내부저항(R8) → 저항(R5) → 저항(R6) → 캐패시터(C3)의 경로로 전류가 흘러 캐패시터(C3)가 충전이 되고, 이 값이 다이악(DIAC)의 기동 임계전압값을 넘어서게 되면 스위칭 트랜지스터(Q62)가 초기 구동되게 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Q61)가 온(on)상태가 되어 A점의 전위가 Vs가 되면, 공진전류는 인덕터Lo → C4 → C3 → C2 → C5 → D6 → 2Co의 경로로 흐르게 되고, 반대로 스위칭 트랜지스터(Q62)가 온 상태가 되면 A점은 접지전위가 되어 반대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범용성을 위하여 LED형광램프(140)는 대칭성을 가져야 하므로, LED 형광램프(140)의 연결핀에 따라 극성을 가져서는 안되기 때문에 LED 형광램프(140) 내부의 커패시터 C3 내지 C6를 같은 값인 C4로 놓으면, 상기의 C3 - C2 - C5의 직렬로 이루어진 복합 캐패시터 Ca의 값은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13
여기서, C4 << C2의 경우, 캐패시터의 값은 Ca = C4 / 2로 나타낼 수 있고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임피던스(Z)값은 커지게 되며, 그만큼 LED 형광램프(140)에 흐르는 전류는 감소하게 되어 캐패시터 C4의 값을 변화시킴에 의해 임의로 전류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LED 형광램프를 인스턴트 스타트(Instant-Start) 방식의 전자식 형광등 안정기에 사용한 경우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인스턴트 스타트 방식의 전자식 형광등용 안정기는, 트랜스포머 T1, T2와 커패시터 C12로 구성되는 회로의 자체 발진동작에 의하여, 스위칭 소자의 Q71, Q72가 스위칭 동작을 지속토록 하고, 스위칭점 (A)의 출력을 AC적으로는 쇼트 상태이며 DC적으로는 1/2 Vcc인 직렬로 연결된 커패시터 C12의 중점인 (B)점에, 트랜스포머 T2의 1차 권선 T2-1으로 연결하여, 트랜스포머 T2의 2차 권선 T2-2에 유기되는 고전압으로 형광램프를 초기 방전시키고, 일단 방전이 이루어진 후에는 램프부하와 직렬로 연결된 커패시터 C13에 의해 안정화 램프 전류를 제어하는 방식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정기를 사용하는 경우, 전자식 안정기의 출력선이 제 1 외부 연결핀(P1) 및 제 3 외부 연결핀(P3)에 연결되었을 때의 기본 동작을 살펴보면, 트랜스포머 T2-1는 자체 발진에 의하여 2차 권선 T2-2에 고주파의 AC 전압을 유기시키며 (D)점을 기준으로 (C)점이 (+) 전위인 경우, (C)점 → C13 → C3' → D4' → D8 →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부(100) → D9 → D6' → C5' → (D)점의 경로로 전류가 흐르고, (C)점이 (-) 전위가 되는 구간에서는 (D)점 → C5' → D15 → D8 →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부(100) → D9 → D14 → C3' → C13 → (C)점의 경로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에 흐르는 전류값은 전자 안정기의 내부에 들어 있는 캐패시터 C13과 C3' 및C5'의 직렬 복합 임피던스에 의해 제어되게 되며, 상기 C3' 및 C5'의 값을 변화시킴으로써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캐패시터 C3' - C6'의 값을 C2로 놓으면 이 캐패시터의 복합 임피던스(Z)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14
제 2 연결핀(P2)과 제 4 연결핀(P4)은 대칭성을 위한 단자이며, 기본동작은 연결핀(P1) 및 연결핀(P3)에 전자 안정기의 출력선이 접속된 경우와 동일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LED 형광램프를 인스턴트 방식의 전자식 안정기에 적용한 경우의 회로구성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자식 안정기의 출력선이 제 1 연결핀(P1)과 제 3 연결핀(P3)에 연결되었을 때의 기본동작을 살펴보면, 트랜스포머 T2-1는 자체 발진에 의하여 2차 권선 T2-2에 고주파의 AC 전압을 유기시키고 (D)점을 기준으로 하여 (C)점이 (+) 전위인 경우, (C)점 → C1 → D4 → D8 →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부(100) → D9 → C5 → (D)점의 경로로 전류가 흐르고, (C)점이 (-)전위가 되는 구간에서는 (D)점 → D6 → D18 →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부(100) → D19 → C3 → C1 → (C)점의 경로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에 흐르는 전류값은 전자 안정기의 내부에 들어 있는 캐패시터 C1과 C41 및 C44의 직렬 복합 임피던스에 의해 제어되게 되며, 상기 C41 및 C44의 값을 변화시킴으로써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캐패시터 C3 - C6 의 값을 C2로 놓으면 이 캐패시터의 복합 임피던스(Z)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15
제 2 연결핀(P2)와 제 4 연결핀(P4)는 대칭성을 위한 단자이며, 기본동작은 제 1 연결핀(P1) 및 제 3 연결핀(P3)에 전자 안정기의 출력선이 접속된 경우와 동일하다.
위에서 하프브릿지 방식의 형광등용 안정기와 인스턴트 스타트 방식의 전자식 형광등 안정기에 적용되는 것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은 전자식 안정기의 예를 든 것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LED 형광 램프(1000)는 상기 나열한 전자식 안정기 방식 이외에 다른 전자식 안정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LED 형광램프를 전자식 안정기에 연결한 회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LED 형광램프 내부의 다이오드 전압을 무시하면, 제 3, 제 4 연결핀(P3, P4)을 기준으로 하여 전자 안정기 내부의 공진용 캐피시터 C에 걸리는 전압 Vc의 전위가 (+)가 되는 주기, 즉 제 1 및 제 2 연결핀(P1, P2)에 인가되는 전압이 (+)인 주기에는 정현파 전압의 전위가 상승하여 발광 다이오드 회로부의 제 1 용량성 소자(C1)의 전위값(Vdc)에 이르면, 전류는 D8 → D24 →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부(100) → D27 → D10, D8 → D24 →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부(100) → D25 → D22, D23 → D26 →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부(100) → D27 → D10, 및 D23 → D26 →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부(100) → D25 → D22의 복수 경로로 흘러, 상기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부(100) 내에 있는 제1 용량성 소자(C1)가 충전될 수 있다. 다시 이 전압이 하강하여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의 제 1 용량성소자(C1)의 전위(Vdc) 이하로 내려가게 되면 본 발광 다이오드 구동회로부(100)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 구동회로부(100) 내의 제1 용량성 소자(C1)는 충전되지 않게 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연결핀(P1, P2)에 (-) 전압이 인가되는 (-) 주기에서는 전위가 하강하여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부(100)의 제 1 용량성 소자(C1)의 전위(Vdc)보다 더 낮아지게 되면, 다시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여 D11 → D26 →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부(100) → D25 → D9, D11 → D26 →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부(100) → D27 → D20, D21 → D24 →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부(100) → D25 → D9, 및 D21 → D24 →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부(100) → D27 → D20의 복수 경로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부에 인가되는 전압의 첨두치는 다이오드에서의 전압강하를 무시하면 인가전압 Vm sin(wt + θ)의 최대치 Vm이 인가된다.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부의 제 1 용량성 소자(C1)의 충전 전하량과 방전 전하량이 균형을 이루는 점에서 직류 전압치(Vdc)의 평균값이 안정화되게 되며 이 직류 전압치는 정전압원(Voltage source)로 간주될 수 있으므로 제 1 용량성 소자(C1)에 인가된 직류전압치(Vdc),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부(110)의 직렬 연결된 LED의 갯수 및 캐패시터(C3 - C6)의 용량값에 의해 LED 형광램프의 소비전력을 임의로 가변시킬 수 있다.
도 16은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부에 흐르는 전류에 대한 타이밍 다이어그램(Timing Diagram)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0 - ta 구간 : (C4 - D22) 및 (D23 - C6)의 경로로 캐패시터 C4와 C6가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100)에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는 시점 ta까지 충전된다.
ta - tb 구간 : D8 → D24 →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부(100) → D27 → D10, D8 → D24 →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부(100) → D25 → D22, D23 → D26 →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부(100) → D27 → D10, 및 D23 → D26 →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부(100) → D25 → D22의 복합경로로 주전류가 흐른다.
tb - π 구간 :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부(100)에 주전류가 흐르지 않으며, 캐패시터 C4 와 C6에 충전되어 있던 전압이 tc 구간까지 방전한다.
π - tc 구간 : (D20 - C3) 및 (C5 - D21)의 경로로 캐패시터 C3 과 C5가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부(100)에 전류가 흐르는 시점 tc까지 충전된다.
tc - td 구간 : D21 → D24 →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부(100) → D25 → D9, D11 → D26 →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부(100) → D25 → D9, D21 → D24 →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부(100) → D27 → D20, D11 → D26 →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부(100) → D27 → D20 의 복합경로로 주전류가 흐른다.
td - 2π 구간 : 발광 다이오드 구동회로부(100)에 주전류가 흐르지 않으며, 캐패시터 C3 과 C5에 충전되어 있던 전압이 ta 구간까지 방전한다.
2π - (2π + ta) 구간 : 발광 다이오드 구동회로부(100)에는 주전류가 흐르지 않으며, (C4 - D22) 및 (D23 - C6)의 경로로 캐패시터 C4 와 C6가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100)에 전류가 흐르는 시점 (2π + ta)까지 Vdc 값으로 충전되고, C3와 C5에 충전되어 있던 전압이 방전한다.
여기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 구동회로부(100)에 흐르는 전류는 실질적으로 상기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부(100) 내의 제1 용량성 소자(C1)에 흘러 상기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부 내의 LED어레이를 구동시킬 수 있는 구동전압을 상기 제1 용량성 소자(C1)에 충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LED 형광램프의 경우 내장되어 있는 캐패시터 C3 내지 C6의 값을 Ca라 놓으면, LED 어레이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td - ta, tb - tc 구간에는 인버터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캐패시터 C에 2Ca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것과 같이 동작하며,이 때의 실효 캐패시턴스 Cr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16
따라서, 상기 식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렬공진회로의 특성함수 Q0 = 1/(w0RC)와 같이 나타낼 수 있으므로, 캐패시턴스가 커지게 되면 Q0 값은 작아지게 되어 LED 형광램프 양단에 걸리는 전압 Vc의 값이 작아지게 되며, 이 Ca 값을 변화시켜서 LED 형광램프에 흐르는 전류의 최대치 및 전류가 흐르는 구간을 제어할 수 있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LED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외부 연결회로부(200) 및 제 2 연결회로부(300) 각각이 한 쌍의 외부 연결핀을 구비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하였지만 이 또한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외부 연결회로부(200) 및 제 2 외부 연결회로부(300)에 구비되는 외부 연결핀은 본 형광램프(1000)가 장착되는 전자식 안정기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위에서는 하프브릿지 방식의 전자식 형광등 안정기와 인스턴트 스타트 방식의 전자식 형광등 안정기에 적용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것은 전자식 안정기의 예를 든 것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LED 형광램프(1000)는 상기 나열한 전자식 안정기 방식 이외에 다른 전자식 안정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7은, 일반 상용전원의 자기식 안정기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LED 형광램프를 장착한 경우의 회로구성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LED 형광램프의 제 2 외부 연결핀(P2)에 자기식 안정기(L)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자기식 안정기(L)는 교류전원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고 교류전원의 타단은 제 4 연결핀(P4)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LED 형광램프(1000)는,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부(100)의 제 1 용량성 소자(C1)에 자기식 안정기(L)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에너지를 저장한 후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100)의 구동 IC의 내부 전력 제어 설정치에 의해 정전류를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에 공급하는 것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 따른 LED 형광램프(1000)는 자기식 안정기(L)의 특성과 무관하게 정전력 특성을 유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나머지 LED 형광 램프(1000)에 대한 구성은 도 7을 참조하여 위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4 외부 연결핀(P4)을 기준으로 제2 외부 연결핀(P2)의 전위가 (+)인 경우, 전류는 P2 → D5 → D8 →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부(100) → D9 → D7 → P4 의 경로로 흐를 수 있다. 제 2 외부 연결핀(P2)의 전위가 (-)인 경우에는 P4 → D12 → D8 →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부(100) → D9 → D13 → P2 경로로 흐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C4 및 C6의 값에 의해 상기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에 흐르는 전류값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8은 일반 상용 교류 전원을 LED 형광 램프(1000)에 직접 연결한 경우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과 마찬가지로, LED 형광 램프(1000)에, 일반 상용 교류(AC) 전원을 제 2 외부 연결핀(P2)과 제 4 외부 연결핀(P4)에 직접 연결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LED 형광 램프(1000)는, 자기식 안정기를 배제하고 일반 상용 교류(AC) 전원에 직접 연결해도 사용이 가능한 장점을 갖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4 외부 연결핀(P4)을 기준으로 제 2 외부 연결핀(P2)의 전위가 (+)인 경우, 전류는 P2 → D5 → D8 →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부(100) → D9 → D7 → P4 의 경로로 흐를 수 있다. 제 2 외부 연결핀(P2)의 전위가 (-)인 경우에는 P4 → D12 → D8 →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부(100) → D9 → D13 → P2 경로로 흐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C4 및 C6의 값에 의해 상기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에 흐르는 전류값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0 : LED 형광 램프 100 :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
110 :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부 120 : 정전류 제어부
200 : 제1 외부 연결 회로부 300 : 제2 외부 연결 회로부

Claims (19)

  1. 복수의 발광다이오드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부,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부가 출력포트에 연결되는 정전류 제어부, 및 상기 정전류 제어부의 입력포트에 연결되는 제 1 용량성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
    상기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의 일단에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연결핀을 포함하는 제 1 외부 연결 회로부;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의 타단에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연결핀을 포함하는 제 2 외부 연결 회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LED 형광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류 제어부는,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부에 입력되는 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형광 램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부 연결 회로부 및 상기 제 2 외부 연결 회로부 각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연결핀과 상기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용량성 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형광 램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부 연결 회로부는, 제 1 외부 연결핀 및 제 2 외부 연결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외부 연결 회로부는, 제 3 외부 연결핀 및 제 4 외부 연결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형광 램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용량성 소자는,
    일단은 상기 제 1 외부 연결핀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의 애노드측 단자와 연결되는 제 2 용량성 소자;
    일단은 상기 제 2 외부 연결핀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의 애노드측 단자와 연결되는 제 3 용량성 소자;
    일단은 상기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의 캐소드측 단자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3 외부 연결핀과 연결되는 제 4 용량성 소자; 및
    일단은 상기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의 캐소드측 단자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4 외부 연결핀과 연결되는 제 5 용량성 소자;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형광 램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부 연결 회로부 및 상기 제 2 외부 연결 회로부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의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부 내에서 전류가 순방향으로 흐르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류 제어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형광 램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류 제어 다이오드는,
    캐소드가 상기 발광다이오드 회로부의 애노드 측에 연결되고 애노드가 상기 제 2 용량성소자 및 제 3 용량성 소자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 1 전류 제어 다이오드; 및
    애노드가 상기 발광다이오드 회로부의 캐소드 측에 연결되고 캐소드가 상기 제 4 용량성소자 및 제 5 용량성 소자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 2 전류 제어 다이오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형광 램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부 연결 회로부 및 상기 제 2 외부 연결 회로부 각각은,
    상기 제 2 내지 제 5 용량성 소자와 각각 병렬로 연결되는 제 1 내지 제 4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형광 램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다이오드는, 애노드가 상기 제 1 외부 연결핀에 연결되고 캐소드가 상기 제 1 전류 제어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다이오드는, 애노드가 상기 제 2 외부 연결핀에 연결되고 캐소드가 상기 제 1 전류 제어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연결되며,
    상기 제 3 다이오드는, 캐소드가 상기 제 3 외부 연결핀에 연결되고 애노드가 상기 제 2 전류 제어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연결되며,
    상기 제 4 다이오드는, 캐소드가 상기 제 4 외부 연결핀에 연결되고 애노드가 상기 제 2 전류 제어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형광 램프.
  10. 제 9 항에 있어서,
    애노드는 제 3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연결되고 캐소드는 제 1 외부 연결핀과 연결되는 제 1 경로 제어 다이오드;
    애노드는 제 3 외부 연결핀과 연결되고 캐소드는 제 1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연결되는 제 2 경로 제어 다이오드;
    애노드는 제 4 외부 연결핀과 연결되고 캐소드는 제 2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연결되는 제 3 경로 제어 다이오드; 및
    애노드는 제 4 다이오드의 애노드와 연결되고 캐소드는 제 2 외부 연결핀에 연결되는 제 4 경로 제어 다이오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형광 램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량성 소자에 병렬 연결되는 제 1 저항;
    상기 제 3 용량성 소자에 병렬 연결되는 제 2 저항;
    상기 제 4 용량성 소자에 병렬 연결되는 제 3 저항; 및
    상기 제 5 용량성 소자에 병렬 연결되는 제 4 저항;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LED 형광 램프.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다이오드는, 애노드가 상기 제 1 외부 연결핀에 연결되고 캐소드가 상기 제 1 전류 제어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다이오드는, 애노드가 상기 제 2 외부 연결핀에 연결되고 캐소드가 상기 제 1 전류 제어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연결되며,
    상기 제 3 다이오드는, 애노드가 상기 제 3 외부 연결핀에 연결되고 캐소드가 상기 제 2 전류 제어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연결되며,
    상기 제 4 다이오드는, 애노드가 상기 제 4 외부 연결핀에 연결되고 캐소드가 상기 제 2 전류 제어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형광 램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애노드가 상기 제 2 전류제어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연결되며 캐소드가 상기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의 애노드측에 연결되는 제 1 경로 제어 다이오드; 및
    애노드가 상기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의 캐소드측에 연결되며 캐소드가 상기 제 1 전류 제어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연결되는 제 2 경로 제어 다이오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형광 램프.
  14. 제 7 항에 있어서,
    애노드가 상기 제 2 용량성 소자의 타단에 연결되고 캐소드가 상기 제 1 전류 제어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연결되는 제 1 다이오드;
    애노드가 상기 제 3 용량성 소자의 타단에 연결되고 캐소드가 상기 제 1 전류 제어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연결되는 제 2 다이오드;
    캐소드가 상기 제 4 용량성 소자의 타단에 연결되고 애노드가 상기 제 2 전류 제어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연결되는 제 3 다이오드; 및
    캐소드가 상기 제 5 용량성 소자의 타단에 연결되고 애노드가 상기 제 2 전류 제어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연결되는 제 4 다이오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형광 램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애노드는 제 3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연결되고 캐소드는 제 1 다이오드의 애노드와 연결되는 제 1 경로 제어 다이오드;
    애노드는 제 3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연결되고 캐소드는 제 1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연결되는 제 2 경로 제어 다이오드;
    애노드는 제 4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연결되고 캐소드는 제 2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연결되는 제 3 경로 제어 다이오드; 및
    애노드는 제 4 다이오드의 애노드와 연결되고 캐소드는 제 2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연결되는 제 4 경로 제어 다이오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형광 램프.
  16. 제 14 항에 있어서,
    애노드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 구동회로부의 캐소드 측에 연결되고 캐소드는 제 1 다이오드의 애노드와 연결되는 제 1 경로 제어 다이오드;
    애노드는 제 3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연결되고 캐소드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 구동회로부의 애노드 측에 연결되는 제 2 경로 제어 다이오드;
    애노드는 제 4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연결되고 캐소드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 구동회로부의 애노드 측에 연결되는 제 3 경로 제어 다이오드; 및
    애노드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 구동회로부의 캐소드 측과 연결되고 캐소드는 제2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연결되는 제 4 경로 제어 다이오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형광 램프.
  17. 복수의 발광다이오드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부,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부와 병렬로 연결된 정전류 제어부,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 어레이부와 병렬로 연결된 제 1 용량성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부;
    제 1 내지 제 4 외부 연결핀;
    일단이 상기 제 1 내지 제 4 외부 연결핀에 각각 연결되는 제 2 내지 제 5 용량성 소자;
    애노드는 상기 제 2 용량성 소자의 타단에 연결되고, 캐소드는 상기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부의 애노드측에 연결되는 제 1 전류 제어 다이오드;
    애노드는 상기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부의 캐소드 측에 연결되고, 캐소드는 상기 제 3 용량성 소자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 2 전류 제어 다이오드;
    애노드는 상기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부의 캐소드측에 접속되고, 캐소드는 상기 제 4 용량성 소자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 3 전류 제어 다이오드; 및
    애노드는 상기 제 5 용량성 소자의 타단에 연결되고, 캐소드는 상기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부의 애노드측에 연결되는 제 4 전류 제어 다이오드;
    를 포함하는 LED 형광램프.
  18. 제 17 항에 있어서,
    애노드는 상기 제 1 외부 연결핀에 연결되고, 캐소드는 상기 제 1 전류 제어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연결되는 제 1 다이오드;
    애노드는 상기 제 2 전류 제어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연결되고, 캐소드는 상기 제 2 외부 연결핀에 연결되는 제 2 다이오드;
    애노드는 상기 제 3 전류 제어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연결되고, 캐소드는 상기 제3 외부 연결핀에 연결되는 제 3 다이오드; 및
    애노드는 상기 제 4 외부 연결핀에 연결되고, 캐소드는 상기 제 4 전류 제어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연결되는 제 4 다이오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형광램프.
  19. 제 18 항에 있어서,
    캐소드는 상기 제 1 외부 연결핀에 연결되고, 애노드는 상기 제 3 전류 제어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연결되는 제 1 경로 제어 다이오드;
    캐소드는 상기 제 1 전류 제어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연결되고, 애노드는 상기 제3 외부 연결핀에 연결되는 제 2 경로 제어 다이오드;
    캐소드는 상기 제 4 외부 연결핀에 연결되고, 애노드는 상기 제 2 전류 제어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연결되는 제 3 경로 제어 다이오드; 및
    캐소드는 상기 제 4 전류 제어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연결되고, 애노드는 상기 제 2 외부 연결핀에 연결되는 제 4 경로 제어 다이오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형광램프.
KR1020100057344A 2010-06-17 2010-06-17 Led 형광 램프 KR101144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344A KR101144629B1 (ko) 2010-06-17 2010-06-17 Led 형광 램프
PCT/KR2011/004087 WO2011159048A2 (ko) 2010-06-17 2011-06-03 Led 형광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344A KR101144629B1 (ko) 2010-06-17 2010-06-17 Led 형광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421A true KR20110137421A (ko) 2011-12-23
KR101144629B1 KR101144629B1 (ko) 2012-05-11

Family

ID=45348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7344A KR101144629B1 (ko) 2010-06-17 2010-06-17 Led 형광 램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44629B1 (ko)
WO (1) WO201115904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491B1 (ko) 2012-09-24 2020-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명장치
US9439250B2 (en) 2012-09-24 2016-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riving light emitting diode (LED) lamps using power received from ballast stabilizers
KR20140118625A (ko) 2013-03-29 2014-10-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엘이디 발광 모듈
CN104754823B (zh) * 2015-02-13 2017-06-30 广州市莱帝亚照明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电子镇流器的led灯管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787B1 (ko) * 2008-02-13 2010-09-16 금호전기주식회사 Led 전구형 램프
KR101002895B1 (ko) * 2008-10-16 2010-12-21 박명구 Led 형광램프
KR100935996B1 (ko) * 2008-12-05 2010-01-06 금호전기주식회사 형광등을 대체 가능한 led 형광램프
KR100981854B1 (ko) * 2008-11-04 2010-09-13 박명구 Led 형광램프
KR100933076B1 (ko) * 2009-02-05 2009-12-21 금호전기주식회사 Led 형광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59048A9 (ko) 2012-03-15
WO2011159048A3 (ko) 2012-02-09
KR101144629B1 (ko) 2012-05-11
WO2011159048A2 (ko) 201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1301B2 (en) LED fluorescent lamp
TWI434603B (zh) 發光二極體驅動電路及控制電路
US8698409B2 (en)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fixture using the same
JP5051862B1 (ja) 直管型発光ダイオード式照明灯
TWI445440B (zh) 驅動電路
KR20110118573A (ko) 스위칭 전원의 제어 회로, 제어 방법 및 그들을 이용한 발광 장치 및 전자기기
JP2012204026A (ja) 固体光源点灯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と照明システム
CN102612206A (zh) Led驱动装置以及led照明装置
US20150002032A1 (en) Led converter with adaptive pfc and resonant converter
JP4909369B2 (ja) 蛍光ランプ形状のledランプ
US9119274B2 (en) Resonant converter control
KR101144629B1 (ko) Led 형광 램프
KR20110062243A (ko) 형광등용 안정기를 이용한 led 조명 장치
US8362704B2 (en) Capacitance reducing method for a pulsed activated device and associated devices
TWI420970B (zh) 照明裝置
KR101933823B1 (ko) 복수의 컨버터가 내장된 전원공급 장치를 구비한 led 조명장치
CN108650738A (zh) 一种led控制电路
CN102428753B (zh) Led驱动电路
KR20050043646A (ko) 램프의 기능 이상의 경우에 계속하여 동작할 수 있는컨버터를 구비한 전자 안정기
Shirinzad et al. A single soft switched resonant LED driver circuit
KR20110139553A (ko) 조명용 역률 보상 회로 및 구동 방법
KR101777566B1 (ko) 엘이디 램프
Kathiresan et al. A non-isolated converter design with time-multiplexing control topology for un-binned high-power LEDs in parallel operation for off-grid solar-PV streetlamps
CN219204740U (zh) 一种交流输出驱动led灯管及荧光灯管的调光控制电路
CN1358057A (zh) 直交流转换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