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6510A - 차량의 인증방식 비상 시동방법 및 그 시동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인증방식 비상 시동방법 및 그 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6510A
KR20110136510A KR1020100056581A KR20100056581A KR20110136510A KR 20110136510 A KR20110136510 A KR 20110136510A KR 1020100056581 A KR1020100056581 A KR 1020100056581A KR 20100056581 A KR20100056581 A KR 20100056581A KR 20110136510 A KR20110136510 A KR 20110136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vehicle
unit
power supply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6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문원
허유미
Original Assignee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6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6510A/ko
Publication of KR20110136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65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시동방법 및 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모빌라이져 기능의 스마트키의 배터리 방전 또는 고장으로 인해 차량의 시동에 실패한 경우, 휴대용 저장장치 또는 휴대폰을 USB포트와 같은 접속장치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고, 이에 따라 비상 시동을 걸 수 있도록 하는 시동방법 및 그 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키의 방전, 고장 또는 분실로 인해, 정상적인 시동을 걸 수 없는 경우에, 휴대용 저장장치의 공인인증서나 휴대폰의 USIM칩을 이용하여 손쉽게 사용자를 인증하고, 비상 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 별도의 특별한 장치를 도입하지 않고서도, 비상 시동을 위한 인증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차량의 인증방식 비상 시동방법 및 그 시동장치 {EMERGENCY ENGINE START OF VEHICLE THROUGH AUTHENTICA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시동방법 및 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모빌라이져 기능의 스마트키의 배터리 방전 또는 고장으로 인해 차량의 시동에 실패한 경우, 휴대용 저장장치 또는 휴대폰을 USB포트와 같은 접속장치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고, 이에 따라 비상 시동을 걸 수 있도록 하는 시동방법 및 그 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의 도난 방지는 물론, 차량 도어의 개방 및 시동 편의성을 위해, 이모빌라이저 기능을 갖는 스마트키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스마트키 시스템은 차량의 소유자가 물리적인 열쇠나 리모컨 버튼을 사용하는 일 없이, 잠금을 해제하여 엔진을 시동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스마트키의 동작시에는, 차량의 엔진 ECU와 스마트키 사이에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여 보안 암호 인증을 하게 되어 있는데, 차량의 LF안테나가 구동되어 스마트키로 LF를 송신하고, LF 수신 후에는 스마트키에서 자동으로 RF를 송신하게 되며, RF안테나를 통해 스마트키 모듈에서 이를 인증하는 과정을 거친후 도어를 해제하거나 엔진을 시동할 수 있도록 한다.
스마트키 시스템은 일반적인 상황에서 운전자가 스마트키를 소지하면 차량에서 이를 인지하여 키 삽입없이 시동버튼을 눌러 시동을 걸 수 있지만, 스마트키의 배터리가 방전되었거나, 고장으로 인해 통신거리가 짧아지거나, 통신이 불가능해진 경우에는 스마트키를 차량에서 인식하지 못하게 되므로, 비상 시동을 하여야만 한다.
비상 시동이란, 스마트키를 차량에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에, 차량 내부의 트랜스폰더 통신모듈과 근접한 거리로 이동시켜 스마트키 내부의 트랜스폰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을 사용하는데, 스마트키 홀더 또는 시동스위치 노브 내 안테나 코일을 이용하여 스마트키 내 트랜스폰더의 암호화 코드를 감지하여, 암호 인증을 통해 시동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비상 시동 방식은, 스마트키를 별도의 위치에 근접 배치시키거나 장착시켜야 하는데, 최근의 인키(INKEY) 타입 차량에서는 그 장착 위치가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으며, 키셋트 부를 활용하는 경우에는 안테나 송수신 효율이 감쇠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새로운 비상 시동 방식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마트키 외에 별도의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된 공인인증서나 휴대폰에 구비되는 USIM칩을 차량에 접속시켜 사용자 인증을 함으로써, 차량의 비상 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동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저장장치 또는 휴대폰 등을 이용한 인증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제반 구성을 포함하여, 별도의 특별한 구성을 추가하지 않고서도, 비상 시동을 위한 인증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동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인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장치; 상기 저장장치의 데이터를 읽기 위해 접속 가능하게 하는 접속부; 상기 접속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공급신호부; 및 상기 저장장치로부터 읽은 데이터를 통해 인증작업을 수행하고, 인증 결과에 따라 인증이 성공되면 차량을 시동 가능하도록 하고, 인증이 실패하면 시동이 불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인증방식 비상 시동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저장장치는 휴대용 저장장치이고,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의 저장공간에는 공인인증서가 저장되어 있으며, 공인인증서를 통한 인증에 필요한 암호 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장치는 USIM칩이거나, 또는 USIM칩을 내장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이며, 상기 USIM칩 내에는 개인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USIM칩 내에 저장된 개인 식별 정보와 비교하기 위한 기준 개인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공급신호부는: 물리적 키에 의해 차량의 도어가 오픈되거나 또는, 사이드미러가 일정 횟수 이상 접혔다 펴지거나 또는, 입력부를 통해 일정 시간 이상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전원공급부에 전원 공급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1) 전원공급신호부의 전원 공급 신호 출력에 따라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단계; (2) 상기 (1) 단계에 의해 차량 상태가 ACC ON 또는 IGN ON 상태로 되는 단계; (3) 제어부가 접속부에 연결된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된 공인인증서 데이터를 리드하는 단계; (4) 입력부를 통해 공인인증을 위한 비밀번호 또는 암호를 입력받는 단계; (5) 입력받은 비밀번호 또는 암호를 통해 공인인증서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6) 상기 (5) 단계에서의 인증이 성립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시동이 가능한 시동 단계로 전환시키고, 인증이 성립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시동이 불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인증방식 비상 시동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1) 전원공급신호부의 전원 공급 신호 출력에 따라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단계; (2) 상기 (1) 단계에 의해 차량 상태가 ACC ON 또는 IGN ON 상태로 되는 단계; (3) 제어부가 접속부에 연결된 USIM칩에 저장된 개인 식별정보 데이터를 리드하는 단계; (4) 리드한 상기 개인 식별정보 데이터와, 상기 제어부에 기 저장되어 있는 기준 개인 식별정보 데이터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5) 상기 (4) 단계에서의 인증이 성립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시동이 가능한 시동 단계로 전환시키고, 인증이 성립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시동이 불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인증방식 비상 시동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키의 방전, 고장 또는 분실로 인해, 정상적인 시동을 걸 수 없는 경우에, 휴대용 저장장치의 공인인증서나 휴대폰의 USIM칩을 이용하여 손쉽게 사용자를 인증하고, 비상 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 별도의 특별한 장치를 도입하지 않고서도, 비상 시동을 위한 인증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일반적인 스마트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 시동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 시동 시스템의 블럭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신호공급부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 및 접속부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동 방법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동 방법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 구성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스마트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키(1)와 스마트키ECU(5) 사이의 통신을 통해 상호 인증이 되면 시동을 걸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시동스위치(7)를 통해 엔진ECU(6)를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 시동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스마트키(1)의 방전, 고장, 성능 저하, 분실 등으로 인해 정상적인 무선 통신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에는, 개인이 손쉽게 휴대하고 다닐 수 있으며, 널리 보유하고 있는 USB메모리나 외장형 하드디스크와 같은 휴대용 저장장치(2)나 USIM칩(3)을 구비하고 있는 무선단말기나 휴대폰(4)을 사용하여 시동을 위한 인증을 하도록 한다.
이러한 휴대용 저장장치(2)나 USIM칩(3) 등은 차량의 일측에 마련된 접속부(8)에 직접 접촉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해 차량 운전석 전방의 대시보드 일측에 USB단자나 커넥터를 구비하도록 한다. 따라서 휴대용 저장장치(2)나 USIM칩(3)의 정보를 리드하기 위해, 차량에서 휴대용 저장장치(2)나 USIM칩(3)측으로 필요한 소정의 전원만 공급하면, 별도의 무선 송수신할 필요도 없이 데이터를 받을 수 있게 되며, 기존과 같이 스마트키를 순간적으로 충전하거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유도 코일을 배치하는 구성과 같은 복잡한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 시동 시스템의 블럭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비상 시동을 위해서 차량 내에는 입력부(10), 접속부(20), 시동스위치(30), 제어부(40), 전원공급신호부(50) 및 전원공급부(60)를 구비한다.
입력부(10)는 통상의 키버튼 또는 키패드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현되는 방식으로 터치에 의해 숫자를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키버튼 등의 입력부(10)는 대시보드에 위치하는 오디오 장치의 버튼 중 일부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내비게이션용 모니터나 오디오용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에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입력부(10)는 사용자가 공인인증서가 저장된 휴대용 저장장치(2)인 USB메모리를 대시보드의 USB단자로 구현된 접속부(20)에 삽입한 후, 인증을 하기 위한 비밀번호로서의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접속부(20)는 각종 휴대용 저장장치(2)와 접촉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단자로 구성될 수 있으며, USIM칩은 물론 SD카드, MICRO SD카드 등의 다양한 저장매체가 삽입되어 리드될 수 있도록 하는 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60)는 휴대용 저장장치(2)의 공인인증서 정보나, USIM칩의 인증 정보를 읽기 위해, 접속부(20) 측으로 필요한 전원을 소정의 시간동안 공급하는 부분이며, 전원공급신호부(50)는 상기 전원공급부(60)가 접속부(20) 측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부분이다.
전원공급신호부(5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의 특정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전원공급부(60)를 통해 접속부(20)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게끔 제어한다.
제어부(40)는 휴대용 저장장치(2)로부터 읽어들인 공인인증서와, 입력부(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암호를 상호 비교하며 인증하는 작업을 통해, 정당한 암호/비밀번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는 차량을 시동가능한 상태로 전환시키는 기능을 하여 시동스위치(30)의 동작이 입력되면 차량이 시동되도록 하며, 인증이 실패한 경우에는 계속적으로 시동이 불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USIM칩으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 인증정보를 검증하여, 기보유하고 있는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에는 차량을 시동가능한 상태로 전환시키는 기능을 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시동이 불가능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신호공급부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양한 방식으로 전원신호공급부(50)가 제어를 시작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일 예로 예비적으로 사용되는 통상의 금속키(물리적키)로 차량의 도어키부(52)를 통해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정당한 키를 사용하지 않고, 악의적으로 문을 여는 것은 해당되지 않음), 전원신호공급부(50)가 이를 감지하면 ACC 또는 IGN1 ON 상태가 유지되어 일정 시간동안 접속부(2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미러(54)를 소정 횟수(예컨대 두 번) 접었다 피는 동작을 통해 ACC 또는 IGN1 ON 상태가 되도록 하거나, 휴대용 저장장치(2) 등을 접속부(20)인 USB 포트에 삽입한 채로 오디오의 전원버튼(56)을 길게(예컨대 3초 이상) 누르는 경우에 ACC 또는 IGN1 ON 상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접속부(2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 및 접속부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입력부(10)는 대시보드의 오디오 장치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오디오 장치의 일부에는 키버튼(1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키버튼(12)은 공인인증서 암호를 입력할 때 사용된다.
또한 대시보드에는 접속부(20)를 구성할 수 있는데, USB메모리와 같은 휴대용 저장장치(2)가 삽입될 수 있도록 USB단자(22)를 형성하거나, USIM칩이 삽입되기 위한 USIM칩단자(24)를 형성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각종 연결선, 젠더를 이용하여 USIM칩이 내장된 휴대폰(4)을 직접 연결하게 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동 방법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량 도어를 열거나, 사이드 미러를 접었다 피는 식으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전원신호공급부(50)가 전원공급부(60)를 제어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 후(S110), 차량은 ACC ON 상태 또는 IGN1 상태가 된다(S120). 이 후 접속부(20)에 공인인증서가 저장된 USB메모리와 같은 휴대용 저장장치(2)를 삽입하여 연결하면(S130), 그 후 인증 암호를 입력하라는 안내 또는 메세지가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거나, 스피커로 출력된다. 이 때 사용자는 공인인증서의 비밀번호를 입력부(10)를 통해 입력하게 되고, 제어부(40)는 입력된 암호를 통해 공인인증서의 인증을 수행하게 된다(S150). 공인인증서의 인증이 성공되면 시동걸 수 있는 상태가 되어, 시동스위치를 누르거나 돌림으로써 비상 시동 절차가 완료되고(S160), 만약 비밀번호가 틀리거나, 공인인증서가 잘못된 경우에는, 인증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시동 불가 처리를 하게 된다(S170).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동 방법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마찬가지로 전원신호공급부(50)가 전원공급부(60)를 제어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 후(S210), 차량은 ACC ON 상태 또는 IGN1 상태가 된다(S220). 이 후 접속부(20)에 USIM칩(3)이나 이를 내장한 휴대폰, 휴대단말기(4)를 삽입하거나 연결하면(S230), 그 후 USIM칩에 저장된 개인 식별정보를 리드하여, 제어부(40)가 기보유하고 있던 기준 개인 식별정보와 일치하는지 검증을 수행한다(S240). 경우에 따라서는 이 때 별도의 사용자 암호를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받음으로써, 이 중의 안전장치를 마련할 수도 있다. USIM칩의 정보와 제어부(40)의 기보유 식별정보가 일치하게 되면 시동걸 수 있는 상태가 되어, 시동스위치를 누르거나 돌림으로써 비상 시동 절차가 완료되고(S250), 만약 이 정보가 일치하지 않거나, 비밀번호가 틀리게 되면 사용자 검증이 실패된 것으로 판단하여, 시동 불가 처리를 하게 된다(S260).
이러한 방식을 통해 사용자는 널리 사용되는 공인인증서나 USIM칩을 사용하여, 스마트키 없이도 손쉽게 비상 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와 같은 변경은 청구항의 청구범위 기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스마트키 2 : 휴대용(USB)저장장치
3 : USIM칩 4 : 휴대폰
5 : 스마트키ECU 6 : 엔진ECU
7 : 시동버튼 10 : 입력부
12 : 키버튼 20 : 접속부
22 : USB단자 24 : USIM칩단자
30 : 시동스위치 40 : 제어부
50 : 전원공급신호부 52 : 도어키부
54 : 사이드미러 56 : 오디오전원버튼
60 : 전원공급부

Claims (6)

  1. 인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장치;
    상기 저장장치의 데이터를 읽기 위해 접속 가능하게 하는 접속부;
    상기 접속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공급신호부; 및
    상기 저장장치로부터 읽은 데이터를 통해 인증작업을 수행하고, 인증 결과에 따라 인증이 성공되면 차량을 시동 가능하도록 하고, 인증이 실패하면 시동이 불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인증방식 비상 시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장치는 휴대용 저장장치이고,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의 저장공간에는 공인인증서가 저장되어 있으며,
    공인인증서를 통한 인증에 필요한 암호 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인증방식 비상 시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장치는 USIM칩이거나, 또는 USIM칩을 내장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이며, 상기 USIM칩 내에는 개인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USIM칩 내에 저장된 개인 식별 정보와 비교하기 위한 기준 개인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인증방식 비상 시동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신호부는:
    물리적 키에 의해 차량의 도어가 오픈되거나 또는, 사이드미러가 일정 횟수 이상 접혔다 펴지거나 또는, 입력부를 통해 일정 시간 이상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전원공급부에 전원 공급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인증방식 비상 시동장치.
  5. (1) 전원공급신호부의 전원 공급 신호 출력에 따라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단계;
    (2) 상기 (1) 단계에 의해 차량 상태가 ACC ON 또는 IGN ON 상태로 되는 단계;
    (3) 제어부가 접속부에 연결된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된 공인인증서 데이터를 리드하는 단계;
    (4) 입력부를 통해 공인인증을 위한 비밀번호 또는 암호를 입력받는 단계;
    (5) 입력받은 비밀번호 또는 암호를 통해 공인인증서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6) 상기 (5) 단계에서의 인증이 성립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시동이 가능한 시동 단계로 전환시키고, 인증이 성립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시동이 불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인증방식 비상 시동방법.
  6. (1) 전원공급신호부의 전원 공급 신호 출력에 따라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단계;
    (2) 상기 (1) 단계에 의해 차량 상태가 ACC ON 또는 IGN ON 상태로 되는 단계;
    (3) 제어부가 접속부에 연결된 USIM칩에 저장된 개인 식별정보 데이터를 리드하는 단계;
    (4) 리드한 상기 개인 식별정보 데이터와, 상기 제어부에 기 저장되어 있는 기준 개인 식별정보 데이터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5) 상기 (4) 단계에서의 인증이 성립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시동이 가능한 시동 단계로 전환시키고, 인증이 성립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시동이 불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인증방식 비상 시동방법.
KR1020100056581A 2010-06-15 2010-06-15 차량의 인증방식 비상 시동방법 및 그 시동장치 KR201101365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581A KR20110136510A (ko) 2010-06-15 2010-06-15 차량의 인증방식 비상 시동방법 및 그 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581A KR20110136510A (ko) 2010-06-15 2010-06-15 차량의 인증방식 비상 시동방법 및 그 시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510A true KR20110136510A (ko) 2011-12-21

Family

ID=45503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6581A KR20110136510A (ko) 2010-06-15 2010-06-15 차량의 인증방식 비상 시동방법 및 그 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65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73642B2 (en) 2015-01-23 2019-01-08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Telematics system with PIN-controlled external SIM to prevent vehicle pirac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73642B2 (en) 2015-01-23 2019-01-08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Telematics system with PIN-controlled external SIM to prevent vehicle pirac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3110B1 (ko) 지문 인식 카드 및 지문 인식 카드를 이용한 카드 동작 방법
KR101109935B1 (ko) 휴대폰 액세서리를 인증하는 방법 및 장치
US9134956B2 (en) In-vehicle system, vehicle control method, and vehicle control system
US7882541B2 (en) Authentication system i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using mobil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5247124B2 (ja) 認証装置、車載装置および認証システム
JP2018531826A (ja) 車両の起動方法
US7813773B2 (en) Electronic key apparatus for vehicle
KR101899334B1 (ko) 지문 인식 카드 및 지문 인식 카드를 이용한 전원 동작 방법
KR101667990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4537291A (zh) 屏幕界面的解锁方式和屏幕界面的解锁装置
CN103538561A (zh) 汽车启动控制系统及方法
KR20190029403A (ko) 차량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20190202401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US11077828B2 (en) Vehicle smart entry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20110136510A (ko) 차량의 인증방식 비상 시동방법 및 그 시동장치
KR102448579B1 (ko) 지문 인식 카드 및 지문 인식 카드를 이용한 카드 동작 방법
CN101149638A (zh) 上电时序控制装置、计算机系统、上电控制系统及其方法
KR100857084B1 (ko) 유에스비 스마트키를 이용한 비상시동 시스템 및 그시동방법
KR101119754B1 (ko) 차량도어의 무선개폐기능 및 차량의 무선 시동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JP2000129977A (ja) オートロック機構制御用送信機および受信機とその運用方法
KR101901792B1 (ko) 샤크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인증키를 이용한 차량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950662B1 (ko) 네트웍을 이용한 스마트 카드의 인증방법
KR20180103805A (ko) 지문 인식 카드 및 지문 인식 카드를 이용한 전원 동작 방법
KR20070049701A (ko)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인증 기능을 구비하는 카오디오/비디오 시스템 및 인증 방법
JP2005354257A (ja) 認証方法、移動通信端末装置及びカード型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