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6291A - 스트립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 Google Patents

스트립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6291A
KR20110136291A KR1020100056182A KR20100056182A KR20110136291A KR 20110136291 A KR20110136291 A KR 20110136291A KR 1020100056182 A KR1020100056182 A KR 1020100056182A KR 20100056182 A KR20100056182 A KR 20100056182A KR 20110136291 A KR20110136291 A KR 20110136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block
wall structure
resistor
retain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6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학봉
Original Assignee
(주)메카모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카모아 filed Critical (주)메카모아
Priority to KR1020100056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6291A/ko
Publication of KR20110136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62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폭 방향으로 형성된 수평홈과, 상기 수평홈의 양측에 연결되어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홈을 포함하는 블럭과, 상기 수평홈과 수직홈에 삽입되는 스트립과, 상기 블럭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스트립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저항체 블럭을 포함하되, 상기 관통공은 상기 블럭의 상면 또는 하면에서 볼 때 상기 스트립이 닿는 부분이 곡선 형태로 된 스트립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트립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Wall structure for Strip}
본 발명은 도로와 경계를 이루는 주택부지, 산기슭 등의 경사면에 설치되는 스트립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660356
개시된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시공방법 및 이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띠형 섬유보강재는, 블록과 띠형 섬유보강재를 사용하여 조립식 보강토 옹벽을 축조함에 있어서, 블록을 지지하기 위한 띠형 섬유보강재를 부자재를 사용하지 않고 블록에 직접 연결시킬 수 있도록 보강토 옹벽면을 이루는 블록의 보강재 삽입홈에 토목용 섬유재인 이중스트립, 즉 띠형 섬유보강재의 선단부가 반폭으로 접힌 상태로 구조계산식에 근거하여 띠형 섬유보강재의 뒷 길이를 펴서 끼움 설치되고, 못으로 고정하였다.
상기 띠형 섬유보강재의 끝 부분을 못으로 고정하였으나 토압상승과, 고정용 못에 의하여 어느 한 부분이라도 섬유보강재가 찢어졌을 경우 섬유보강재가 이탈하면서 전체적으로 옹벽 붕괴현상이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저항체 블럭에 지지되는 스트립이 이탈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안정적인 스트립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트립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은 폭 방향으로 형성된 수평홈과, 상기 수평홈의 양측에 연결되어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홈을 포함하는 블럭과, 상기 수평홈과 수직홈에 삽입되는 스트립과, 상기 블럭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스트립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저항체 블럭을 포함하되, 상기 관통공은 상기 저항체 블럭의 상면 또는 하면에서 볼 때 상기 스트립이 닿는 부분은 곡선 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트립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의 상기 관통공은 상기 저항체 블럭의 전후 방향을 기준을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스트립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블럭에 수평홈과 수직홈에 스트립을 적재하고, 적재된 스트립을 저항체 블럭의 관통공에 삽입하여 블럭과, 저항체 블럭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고, 저항체 블럭이 파손되지 않는 이상 스트립이 이탈할 수 없기 때문에 안정성에 뛰어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럭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스트립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은 폭 방향으로 형성된 수평홈(20)과, 상기 수평홈(20)의 양측에 연결되어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홈(21)을 포함하는 블럭(30)과, 상기 수평홈(20)과 수직홈(21)에 삽입되는 스트립(40)과, 상기 블럭(30)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스트립(40)이 관통되는 관통공(45)이 형성된 저항체 블럭(50)을 포함하되, 상기 관통공(45)은 상기 저항체 블럭(50)의 상면 또는 하면에서 볼 때 상기 스트립(40)이 닿는 부분은 곡선 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옹벽구조물의 상기 관통공(45)은 상기 저항체 블럭(50)의 전후 방향을 기준을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럭(30)은 줄무늬(23)가 형성된 상부블럭(24)과, 상기 상부블럭(24)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하부블럭(2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블럭(24)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있고, 상기 블럭(30)의 상면, 즉, 상기 상부블럭(24)의 상측에는 다수개의 줄무늬(23)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블럭(24)의 하단에는 하부블럭(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블럭(25)은 상기 상부블럭(24)보다 너비가 좁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블럭(25)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제1곡선부(25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곡선부(25a)에 연결되어 외측으로 볼록하게 제2곡선부(25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블럭(24)에는 다수개의 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멍(22)에 핀(p)을 삽입하여, 상기 블럭(30)을 다단으로 적층할 수 있다.
상기 블럭(30)에는 폭 방향으로 형성된 수평홈(20)과, 상기 수평홈(20)의 양측에 연결되어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홈(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홈(21)은 상기 수평홈(22)의 좌측단부에 연결되는 제1수직홈(21a)과, 상기 수평홈(22)의 우측단부에 제2수직홈(21b)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평홈(20)과 수직홈(21)의 깊이는 후술할 스트립(40)의 크기보다 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홈(20)과 수직홈(21)에 스트립(40)이 삽입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립(40)은 토목용 스트립으로서, 길이가 긴 형태로 흙 속에 매설되어 토압에 저항할 수 있는 보강재이다.
상기 스트립(40)은 접지 않고 편 상태로 상기 수평홈(20)과 수직홈(21a,21b)에 연속으로 삽입된다.
상기 스트립(40)을 편 상태로 상기 수평홈(20)과 수직홈(21a,21b)에 삽입되기 때문에 시공이 좀 더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트립(40)은 상기 수평홈(20)과 수직홈(21)에 삽입된 후, 후술할 저항체 블럭(50)의 관통공(45)에 삽입된다.
상기 블럭(30)의 후방에는 상기 스트립(40)이 관통되는 관통공(45)이 형성된 저항체 블럭(50)이 설치된다.
상기 저항체 블럭(50)은 콘크리트 블럭으로 구성되며, 직사각형의 상자의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저항체 블럭(50)의 내부에는 관통공(45)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도 3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기 관통공(45)은 상기 블럭(30)의 상면 또는 하면에서 볼 때 상기 스트립(40)이 닿는 부분이 곡선 형태로 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공(45)은 상기 저항체 블럭(50)의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대칭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45)의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의 제일 아랫 부분이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공(45)의 가운데 부분은 거리가 좁고, 바깥으로 갈수록 거리가 멀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45)의 구성으로, 상기 저항체 블럭(50) 사용시 사용 방향을 자유 자재로 바꿔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스트립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초가 다져진 지면에 블럭(30)과, 저항체 블럭(50)을 다수개 설치한다.
이후, 블럭(30)의 수평홈(20)과, 수직홈(21a,21b)에 스트립(40)을 삽입한다.
그리고, 스트립(40)을 저항체 블럭(50)의 관통공(45)에 삽입한다.
마지막으로, 다짐된 배면토를 포설한다.
본 발명은 블럭에 수평홈과 수직홈에 스트립을 삽입하고, 삽입된 스트립을 저항체 블럭의 관통공에 삽입하여 블럭과, 저항체 블럭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고, 저항체 블럭이 파손되지 않는 이상 스트립이 이탈할 수 없기 때문에 안정성에 뛰어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20 : 수평홈 21 : 수직홈 30 : 블럭
40 : 스트립 45 : 관통공 50 : 저항체 블럭

Claims (2)

  1. 폭 방향으로 형성된 수평홈과, 상기 수평홈의 양측에 연결되어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홈을 포함하는 블럭;
    상기 수평홈과 수직홈에 삽입되는 스트립;
    상기 블럭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스트립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저항체 블럭;을 포함하되,
    상기 관통공은 상기 저항체 블럭의 상면 또는 하면에서 볼 때 상기 스트립이 닿는 부분은 곡선 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저항체 블럭의 전후 방향을 기준을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KR1020100056182A 2010-06-14 2010-06-14 스트립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KR201101362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182A KR20110136291A (ko) 2010-06-14 2010-06-14 스트립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182A KR20110136291A (ko) 2010-06-14 2010-06-14 스트립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291A true KR20110136291A (ko) 2011-12-21

Family

ID=45502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6182A KR20110136291A (ko) 2010-06-14 2010-06-14 스트립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629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80367A4 (en) * 2016-06-29 2020-04-15 Daihan Cork Co., Ltd. STRIP-SHAPED REINFORCEMENT MATERIAL AND REINFORCEMENT MATERIAL ARRANGEMENT THEREFOR
KR102132732B1 (ko) * 2019-09-03 2020-07-10 타스산업개발(주) 블록 형상 저항체 및 띠형 보강재를 이용한 옹벽 설치용 기구, 이를 이용한 옹벽 설치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80367A4 (en) * 2016-06-29 2020-04-15 Daihan Cork Co., Ltd. STRIP-SHAPED REINFORCEMENT MATERIAL AND REINFORCEMENT MATERIAL ARRANGEMENT THEREFOR
KR102132732B1 (ko) * 2019-09-03 2020-07-10 타스산업개발(주) 블록 형상 저항체 및 띠형 보강재를 이용한 옹벽 설치용 기구, 이를 이용한 옹벽 설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3474B1 (ko) 건축물 기초공사용 흙막이 구조
KR101126666B1 (ko) 수직배수 유도형 네일옹벽
KR100997727B1 (ko) 절토부 옹벽 시공구조 및 설치방법
KR101448216B1 (ko) 다중파일이 구비된 흙막이벽
KR20110136291A (ko) 스트립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KR20110098597A (ko) H형강 가이드 프레임
KR20090056669A (ko)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
KR20180106715A (ko)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
KR101939892B1 (ko) 해체가 용이하도록 다단의 흙막이벽을 서로 다른레일에 배치하는 흙막이구조물 및 이의 설치 및 해체방법
KR101308822B1 (ko) 식생용 블록 및 호안용 블록의 결속구조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348339B1 (ko) 비개착공법용 지중압입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567853B1 (ko) 토류판 구조물
KR20150107437A (ko) 수직 옹벽 축조용 블록 유닛
KR100776778B1 (ko) 송·배전용 파형관의 보호 및 고정을 위한 간격재
KR101765115B1 (ko) 블록을 이용한 중력식 옹벽시공구조
KR101032476B1 (ko) 강봉을 이용한 블럭식 암버럭 옹벽
JP2006207174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擁壁
KR200463001Y1 (ko) 식생옹벽블록 배치구조
KR200387146Y1 (ko) 연결식 옹벽축조용 블록
KR20060119854A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100665600B1 (ko) 보강토 옹벽 블록
KR101328438B1 (ko) 담장용 블록의 기초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블록조 담장
KR100650065B1 (ko) 건축공사용 흙막이 시설
KR102494390B1 (ko) 식생 절토부 패널식 철근콘크리트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6329824B2 (ja) 山留部材及び路面覆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