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6026A - 증강현실 데이터 최적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증강현실 데이터 최적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6026A
KR20110136026A KR1020100055783A KR20100055783A KR20110136026A KR 20110136026 A KR20110136026 A KR 20110136026A KR 1020100055783 A KR1020100055783 A KR 1020100055783A KR 20100055783 A KR20100055783 A KR 20100055783A KR 20110136026 A KR20110136026 A KR 20110136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apping
rendering
augmented reality
virtual re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5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8630B1 (ko
Inventor
김재형
홍종철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100055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630B1/ko
Publication of KR20110136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6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4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3D imag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강현실 데이터 최적화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현실세계를 촬영한 실제현실 데이터 상의 객체에 가상현실 데이터를 표시하는 증강현실 장치와 연결된 서버에 포함되어 상기 증강현실 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량을 최적화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장치에 가상현실 데이터의 매핑 및 렌더링에 필요한 I(I≥1)개의 색상 데이터, J(J≥1)개의 배경 데이터, K(K≥1)개의 텍스쳐 데이터를 포함하는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제공하여 저장시키는 매핑/렌더링 데이터 제공수단과, 상기 증강현실 장치로 가상현실 데이터 전송시, 상기 증강현실 장치에 저장된 매핑/렌더링 데이터 중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를 매핑/렌더링하는데 사용될 i(0≤i≤I)개의 색상 데이터, j(0≤j≤J)개의 배경 데이터, k(0≤k≤K)개의 텍스쳐 데이터를 식별하는 데이터 식별 정보를 결정하는 데이터 식별 정보 결정수단과,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의 매핑/렌더링에 사용될 하나 이상의 색상 데이터, 배경 데이터, 텍스쳐 데이터 중 상기 증강현실 장치에 저장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색상 데이터, 배경 데이터, 텍스쳐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확인하는 매핑/렌더링 데이터 확인수단과, 상기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에 대응하는 폴리곤(Polygon) 데이터와 데이터 식별 정보를 상기 증강현실 장치로 전송하고, 하나 이상의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가 확인되면,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에 대응하는 폴리곤(Polygon) 데이터와 데이터 식별 정보 및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상기 증강현실 장치로 전송하는 가상현실 데이터 전송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증강현실 데이터 최적화 시스템{System for Optimizing a Augmented Reality Data}
본 발명은 증강현실 장치에 가상현실 데이터의 폴리곤 데이터에 매핑/렌더링될 색상 데이터, 배경 데이터 및 텍스쳐 데이터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미리 저장한 후, 증강현실 운영 서버로부터 상기 증강현실 장치로 가상현실 데이터의 폴리곤 데이터와 상기 증강현실 장치에 저장된 매핑/렌더링 데이터 중 상기 폴리곤 데이터에 매핑/렌더링될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식별하는 매핑/렌더링 데이터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증강현실 장치에서 상기 수신된 매핑/렌더링 데이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상기 수신된 폴리곤 데이터에 매핑/렌더링하여 상기 증강현실 운영 서버에서 상기 증강현실 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량을 최적화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되는 현실은 카메라를 통해 실제 세계를 촬영한 실제현실(Full Reality)과 실제 세계에는 존재하지 않으나 컴퓨터를 통해 만들어진 가상 세계를 표현하는 가상현실(Virtual Reality)로 나뉘며, SF(Science Fiction) 영화와 같이 미리 정해진 장면 시나리오에 따라 블루스크린 앞에서 실제현실을 촬영하고 여기에 가상현실을 조합한 크로마키현실(Chroma-Key Reality)이 존재하며, 크로마키현실은 분류 상 가상현실에 속한다.
최근 정보 통신 지속적인 기술의 발전으로 실제현실 상의 객체에 실시간으로 가상현실 데이터를 표시하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이 제안되었다. 증강현실은 SF영화와 같이 미리 정해진 장면 시나리오가 없다는 점, 실제현실을 블루스크린 앞에서 촬영하지 않는 점에서 크로마키현실과 구분된다.
상기 증강현실에서 실제현실 상에 가상현실 데이터를 표시할 객체를 결정하는 방법으로는, 실제현실에 마커(Marker)를 표시한 후 상기 마커를 인식하여 상기 마커 상에 가상현실 데이터를 표시하는 마커 방식 증강현실과, 실제현실에 마커를 표시하지 않고 실제현실 상의 객체를 직접 인식하여 가상현실 데이터를 표시하는 마커리스(Markerless) 증강현실이 존재한다. 현재 마커 방식 증강현실은 각각의 마커를 이용하여 몇 가지 시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나 마커 구성에 대한 표준화가 전혀 존재하지 않으며, 마커리스 증강현실은 스튜디오에서 미리 정해진 객체를 촬영한 실제현실을 이용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객체 인식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시범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상기 증강현실에서 실제현실에 가상현실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으로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어 저장매체에 저장된 실제현실로부터 마커/마커리스 방식으로 객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객체 상에 가상현실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과,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 촬영되는 실제현실로부터 마커/마커리스 방식으로 객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객체 상에 가상현실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이 존재하며, 상술된 방법 이외에 카메라를 통해 실제현실을 촬영하지 않고 인간의 눈이 그 너머의 실제현실을 바라보는 투명한 물건(예컨대, 안경, 고글, 유리창 등)을 투명 디스플레이로 이용하고 센서 기술을 통해 상기 인간의 눈이 투명 디스플레이 너머의 객체를 인식하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가상현실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이 이론적으로 존재한다.
한편 상기 증강현실을 위한 가상현실 데이터를 통신망 상의 서버에서 상기 증강현실 장치로 전송하는 방식은, 폴리곤 데이터에 색상, 배경, 텍스쳐가 매핑/렌더링된 가상현실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방식과, 상기 폴리곤 데이터와 색상, 배경, 텍스쳐를 포함하는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함께 증강현실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증강현실 장치에서 가상현실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식이 존재하는데,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방식은 증강현실 장치에 과도한 통신 트래픽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고, 상기 증강현실 장치에서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식은 상기 증강현실 장치의 자원을 지나치게 소모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증강현실 장치에 가상현실 데이터의 폴리곤 데이터에 매핑/렌더링될 색상 데이터, 배경 데이터 및 텍스쳐 데이터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미리 저장한 후, 증강현실 운영 서버로부터 상기 증강현실 장치로 가상현실 데이터의 폴리곤 데이터와 상기 증강현실 장치에 저장된 매핑/렌더링 데이터 중 상기 폴리곤 데이터에 매핑/렌더링될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식별하는 매핑/렌더링 데이터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증강현실 장치에서 상기 수신된 매핑/렌더링 데이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상기 수신된 폴리곤 데이터에 매핑/렌더링하여 상기 증강현실 운영 서버에서 상기 증강현실 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량을 최적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데이터 최적화 시스템은, 현실세계를 촬영한 실제현실 데이터 상의 객체에 가상현실 데이터를 표시하는 증강현실 장치와 연결된 서버에 포함되어 상기 증강현실 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량을 최적화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장치에 가상현실 데이터의 매핑 및 렌더링에 필요한 I(I≥1)개의 색상 데이터, J(J≥1)개의 배경 데이터, K(K≥1)개의 텍스쳐 데이터를 포함하는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제공하여 저장시키는 매핑/렌더링 데이터 제공수단과, 상기 증강현실 장치로 가상현실 데이터 전송시, 상기 증강현실 장치에 저장된 매핑/렌더링 데이터 중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를 매핑/렌더링하는데 사용될 i(0≤i≤I)개의 색상 데이터, j(0≤j≤J)개의 배경 데이터, k(0≤k≤K)개의 텍스쳐 데이터를 식별하는 데이터 식별 정보를 결정하는 데이터 식별 정보 결정수단과,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의 매핑/렌더링에 사용될 하나 이상의 색상 데이터, 배경 데이터, 텍스쳐 데이터 중 상기 증강현실 장치에 저장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색상 데이터, 배경 데이터, 텍스쳐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확인하는 매핑/렌더링 데이터 확인수단과, 상기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에 대응하는 폴리곤(Polygon) 데이터와 데이터 식별 정보를 상기 증강현실 장치로 전송하고, 하나 이상의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가 확인되면,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에 대응하는 폴리곤(Polygon) 데이터와 데이터 식별 정보 및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상기 증강현실 장치로 전송하는 가상현실 데이터 전송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데이터 최적화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가 확인되면, 상기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 중 상기 증강현실 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기 설정된 기준 트래픽 이상의 트래픽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증강현실 장치에서 상기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상기 폴리곤 데이터에 매핑/렌더링하기 위해 상기 증강현실 장치의 자원을 기 설정된 기준 값 이상 소모하는 우선 적용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확인하는 우선 적용 데이터 확인수단과, 상기 우선 적용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상기 폴리곤 데이터에 매핑/렌더링시키는 우선 매핑/렌더링 처리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 전송수단은, 상기 우선 적용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가 매핑/렌더링된 폴리곤 데이터를 상기 증강현실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우선 적용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제외한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를 하나 이상을 상기 증강현실 장치로 더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증강현실 장치에 가상현실 데이터의 폴리곤 데이터에 매핑/렌더링될 색상 데이터, 배경 데이터 및 텍스쳐 데이터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미리 저장함으로써, 증강현실 운영 서버에서 고용량의 가상현실 데이터를 상기 증강현실 장치로 전송하지 않고,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를 구성하는 폴리곤 데이터와 상기 증강현실 장치에 저장된 매핑/렌더링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 식별 정보만 상기 증강현실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증강현실 운영 서버에서 상기 증강현실 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량을 최적화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증강현실 장치에서 상기 저장된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폴리곤 데이터를 매핑/렌더링하기 위해 기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의 자원을 소모하는 경우, 상기 자원을 소모하는 매핑/렌더링 데이터만 상기 폴리곤 데이터에 우선 매핑/렌더링한 후 상기 증강현실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증강현실 운영 서버에서 상기 증강현실 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량을 최적화함과 동시에 상기 증강현실 장치의 자원 소모량을 최소화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증강현실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증강현실 장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폴리곤 데이터에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매핑/렌더링하여 가상현실 데이터를 구성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증강현실 데이터를 최적화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증강현실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현실세계를 촬영한 실제현실 데이터 상의 객체에 가상현실 데이터를 표시하는 증강현실 장치(200)와 연결된 증강현실 운영 서버(100)에서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량을 최적화하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증강현실 시스템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도면1에서 상기 증강현실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수단을 증강현실 운영 서버(100)의 구성요소 형태로 상기 증강현실 운영 서버(100) 내에 도시하였으나, 상기 수단들이 증강현실 운영 서버(100) 구성요소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각 수단이 별도의 서버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두개 이상의 수단이 조합되어 서버 형태로 구현되거나, 일부 수단은 서버 형태로 구현되고 나머지 수단은 증강현실 운영 서버(100)의 구성요소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며, 상기 수단들의 구현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증강현실 시스템은, 실제현실 데이터를 획득하는 기능, 가상현실 데이터를 획득하는 기능, 상기 실제현실 데이터로부터 가상현실 데이터를 표시할 객체를 결정하는 기능, 상기 실제현실 데이터 상의 객체에 가상현실 데이터를 표시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한 증강현실 장치(200)와,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로 가상현실 데이터를 전송하는 증강현실 운영 서버(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증강현실 운영 서버(100)는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에서 실제현실 데이터를 상기 증강현실 운영 서버(10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로 제공할 하나 이상의 실제현실 데이터를 저장하는 실제현실 D/B(155)를 구비하거나, 또는 통신 연결하여 운영한다.
상기 실제현실 데이터는 실제 세계를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이미지 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실제현실 데이터는 해당 실제현실 데이터를 설명하는 태그, 키워드, 문자열을 포함하는 실제현실 메타 정보와 연계되어 상기 실제현실 D/B(155)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강현실 운영 서버(100)는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에서 가상현실 데이터를 상기 증강현실 운영 서버(10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로 제공할 하나 이상의 가상현실 데이터를 저장하는 가상현실 D/B(160)를 구비하거나, 또는 통신 연결하여 운영한다.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는 점과 선의 벡터 값으로 이루어진 폴리곤(Polygon) 데이터와, 상기 폴리곤 데이터에 매핑/렌더링할 색상 데이터, 배경 데이터 및 텍스쳐(Texture) 데이터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매핑(mapping)/렌더링(Rendering)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는 해당 가상현실 데이터를 설명하는 태그, 키워드, 문자열을 포함하는 가상현실 메타 정보와 연계되어 상기 가상현실 D/B(160)에 저장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증강현실 운영 서버(100)는,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로부터 실제현실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실제현실 요청 정보 수신수단(105)과, 상기 실제현실 데이터 요청 정보를 판독하거나 또는 상기 실제현실 데이터 요청 정보와 실제현실 D/B(155)에 저장된 실제현실 메타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로 전송할 실제현실 데이터를 추출하는 실제현실 데이터 추출수단(110)과, 상기 추출된 실제현실 데이터를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로 전송하는 실제현실 데이터 전송수단(115)을 구비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실제현실 데이터를 직접 획득하거나, 또는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에 투명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경우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로 실제현실 데이터를 전송하는 수단들은 생략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실제현실 요청 정보는 상기 실제현실 D/B(155)에 저장된 실제현실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실제현실 데이터와 실제현실 메타 정보와 매칭되는 태그, 키워드, 문자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특정 실제현실 데이터를 요청하는 주소, 데이터식별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증강현실 운영 서버(100)는,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에 가상현실 데이터의 매핑 및 렌더링에 필요한 I(I≥1)개의 색상 데이터, J(J≥1)개의 배경 데이터, K(K≥1)개의 텍스쳐 데이터를 포함하는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제공하여 저장시키는 매핑/렌더링 데이터 제공수단(120)을 구비한다.
상기 매핑/렌더링 데이터 제공수단(120)은 상기 가상현실 D/B(160)에 복수의 매핑/렌더링 데이터 중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로 미리 제공할 I(I≥1)개의 색상 데이터, J(J≥1)개의 배경 데이터, K(K≥1)개의 텍스쳐 데이터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I개의 색상 데이터와 J개의 배경 데이터 및 K개의 텍스쳐 데이터에 데이터 식별 정보를 할당한 후,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가 할당된 I개의 색상 데이터와 J개의 배경 데이터 및 K개의 텍스쳐 데이터를 포함하는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구성하여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로 전송하고,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는 상기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수신하여 메모리부(235)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매핑/렌더링 데이터 제공수단(120)은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로 제공된 I개의 색상 데이터와 J개의 배경 데이터 및 K개의 텍스쳐 데이터를 포함하는 매핑/렌더링 데이터와 각 데이터 식별 정보 및 증강현실 장치(200) 식별정보를 연결하여 저장매체(도시생략)에 저장하여,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로 제공된 I개의 색상 데이터와 J개의 배경 데이터 및 K개의 텍스쳐 데이터가 무엇인지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증강현실 운영 서버(100)는,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로부터 가상현실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가상현실 요청 정보 수신수단(125)과, 상기 가상현실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에 저장된 매핑/렌더링 데이터 중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를 매핑/렌더링하는데 사용될 i(0≤i≤I)개의 색상 데이터, j(0≤j≤J)개의 배경 데이터, k(0≤k≤K)개의 텍스쳐 데이터를 식별하는 데이터 식별 정보를 결정하는 데이터 식별 정보 결정수단(130)과,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의 매핑/렌더링에 사용될 하나 이상의 색상 데이터, 배경 데이터, 텍스쳐 데이터 중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에 저장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색상 데이터, 배경 데이터, 텍스쳐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확인하는 매핑/렌더링 데이터 확인수단(135)과, 상기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에 대응하는 폴리곤(Polygon) 데이터와 데이터 식별 정보를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로 전송하고, 하나 이상의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가 확인되면,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에 대응하는 폴리곤(Polygon) 데이터와 데이터 식별 정보 및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로 전송하는 가상현실 데이터 전송수단(150)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가상현실 요청 정보는 상기 가상현실 D/B(160)에 저장된 가상현실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데이터의 가상현실 메타 정보와 매칭되는 태그, 키워드, 문자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특정 실제현실 데이터를 요청하는 주소, 데이터식별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현실 요청 정보 수신수단(125)을 통해 증강현실 장치(200)로부터 가상현실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 결정수단(130)은 상기 가상현실 D/B(160)로부터 상기 가상현실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가상현실 데이터의 폴리곤 데이터와, 상기 폴리곤 데이터를 매핑/렌더링하는데 필요한 i(0≤i≤I)개의 색상 데이터, j(0≤j≤J)개의 배경 데이터, k(0≤k≤K)개의 텍스쳐 데이터를 식별하는 데이터 식별 정보를 결정한다.
만약 상기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가 확인되지 않으면(=상기 가상현실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가상현실 데이터의 폴리곤 데이터를 매핑/렌더링하는데 사용될 모든 매핑/렌더링 데이터가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에 이미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 전송수단(150)은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에 대응하는 폴리곤(Polygon) 데이터와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에 저장된 매핑/렌더링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 식별 정보를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로 전송한다.
반면 하나 이상의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가 확인되면(=상기 가상현실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가상현실 데이터의 폴리곤 데이터를 매핑/렌더링하는데 사용될 매핑/렌더링 데이터 중 일부(또는 전체)가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에 이미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 전송수단(150)은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에 대응하는 폴리곤(Polygon) 데이터와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에 저장된 매핑/렌더링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 식별 정보 및 상기 확인된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로 전송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증강현실 운영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가 확인되면, 상기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 중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로 전송하기 위해 기 설정된 기준 트래픽 이상의 트래픽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에서 상기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상기 폴리곤 데이터에 매핑/렌더링하기 위해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의 자원을 기 설정된 기준 값 이상 소모하는 우선 적용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확인하는 우선 적용 데이터 확인수단(140)과, 상기 우선 적용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상기 폴리곤 데이터에 매핑/렌더링시키는 우선 매핑/렌더링 처리수단(145)을 구비하며,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 전송수단(150)은, 상기 우선 적용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가 매핑/렌더링된 폴리곤 데이터를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로 전송하고, 상기 우선 적용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제외한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를 하나 이상을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로 더 전송한다.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 결정수단(130)을 통해 하나 이상의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가 확인되면(=상기 가상현실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가상현실 데이터의 폴리곤 데이터를 매핑/렌더링하는데 사용될 매핑/렌더링 데이터 중 일부(또는 전체)가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에 이미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우선 적용 데이터 확인수단(140)은 상기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 중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로 전송하기 위해 기 설정된 기준 트래픽 이상의 트래픽이 발생하는 매핑/렌더링 데이터, 또는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에서 상기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상기 폴리곤 데이터에 매핑/렌더링하기 위해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의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및 그래픽 성능을 기 설정된 기준 값 이상 소모하는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우선 적용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로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우선 적용 데이터 확인수단(140)은 상기 매핑/렌더링 데이터의 용량이 기 설정된 용량 이상이거나, 또는 상기 폴리곤 데이터 중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폴리곤에 매핑/렌더링되는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우선 적용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우선 적용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가 결정되면, 상기 우선 매핑/렌더링 처리수단(145)은 상기 우선 적용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상기 폴리곤 데이터에 우선 매핑/렌더링시키고,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 전송수단(150)은, 상기 우선 적용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가 매핑/렌더링된 폴리곤 데이터를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로 전송하고, 상기 우선 적용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제외한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를 하나 이상을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로 더 전송한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증강현실 장치(200)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증강현실 장치(200)에 가상현실 데이터의 폴리곤 데이터에 매핑/렌더링될 색상 데이터, 배경 데이터 및 텍스쳐 데이터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미리 저장한 후, 증강현실 운영 서버(100)로부터 가상현실 데이터의 폴리곤 데이터와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에 저장된 매핑/렌더링 데이터 중 상기 폴리곤 데이터에 매핑/렌더링될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식별하는 매핑/렌더링 데이터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매핑/렌더링 데이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상기 수신된 폴리곤 데이터에 매핑/렌더링하여 상기 증강현실 운영 서버(100)에서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량을 최적화하는 증강현실 장치(200)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증강현실 장치(200)는 실제현실 데이터를 획득하는 기능, 가상현실 데이터를 획득하는 기능, 상기 실제현실 데이터로부터 가상현실 데이터를 표시할 객체를 결정하는 기능, 상기 실제현실 데이터 상의 객체에 가상현실 데이터를 표시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한 장치의 총칭으로서, 상기 실제현실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식, 가상현실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식, 객체를 결정하는 방식 및 상기 객체에 가상현실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식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들어, 상기 실제현실 데이터는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 입력되거나, 또는 장치 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통신망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가 표시될 객체는 마커/마커리스 방식 중 어느 방식을 이용하여 결정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객체에 가상현실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식은 실제현실 데이터와 가상현실 데이터를 조합한 하나의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방식, 출력 데이터에 실제현실 계층(Layer)와 가상현실 계층을 구비하고 실제현실 데이터는 실제현실 계층에 표시하고 가상현실 데이터는 가상현실 계층에 표시하는 방식, 투명 디스플레이 너머의 객체 위치에 가상현실 데이터만 표시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는 장치를 구성하는 구조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들어,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는 하나의 케이스 내에 각 구성부가 통합 구비된 독립 장치 형태, 연결된 두개 이상의 장치에 각 구성부가 분리되어 구비된 연동 장치 형태, 특정 물건/건물/공간에 설치된 형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는, 제어부(205), 메모리부(235) 및 출력부(210)를 구비하며, 실제현실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식에 따라 카메라부(230)를 더 구비하고, 가상현실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식에 따라 통신부(220)를 더 구비하고, 실제현실 데이터 상의 객체를 결정하는 방식에 따라 센서부(225)를 더 구비하고, 사용자 조작을 위한 조작부(21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5)는 물리적으로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와 버스를 포함하며, 기능적으로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에 구비된 프로그램이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드되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되도록 처리하는 기록매체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본 도면2는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에 구비되는 프로그램 구성부를 편의상 상기 제어부(205)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모리부(235)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며, 기능적으로 상기 제어부(205)로 로딩될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사용하는 데이터 셋트를 저장/유지하는 저장매체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의 기본 동작을 운영/제어하는 시스템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에 구비되는 각종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235)는 상기 실제현실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메모리부(235)는 상기 실제현실 데이터를 획득하는 실제현실 획득수단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210)는 실제현실 데이터 상의 객체에 가상현실 데이터를 표시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하며, LCD와 같은 일반 출력장치와 안경, 고글, 유리창과 같은 투명 출력장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230)는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로 구성된 카메라로부터 래스터(Raster) 기반의 실제현실 데이터를 비트맵 방식으로 독출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실제현실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부(230)는 상기 획득되는 실제현실 데이터 중 센서 입력에 필요한 특정 데이터만 선택적으로 획득하는 센서부(225)의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부(230)는 상기 실제현실 데이터를 실시간 획득하는 실제현실 획득수단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20)는 어느 하나의 통신 규격과 프로토콜에 따라 유선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의 통신망에 접속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망을 서버(또는 장치)와 통신채널을 연결하거나 또는 다른 증강현실 장치(200)와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220)는 통신망 상의 서버(또는 장치)에 저장된 실제현실 데이터를 수신하는 실제현실 획득수단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220)는 통신망 상의 서버(또는 장치)에 저장된 가상현실 데이터를 수신하는 가상현실 획득수단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25)는 어느 하나의 센서로부터 아날로그 신호 또는 디지털 신호 형태의 센서신호를 획득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는 환경 변화에 따라 전기적 신호(예컨대, 저항, 전류, 전압)를 발생시키는 전기적 신호 센서와, 상기 카메라와 같이 실제현실 데이터를 획득한 후 상기 실제현실 데이터 중 센서 입력에 필요한 특정 데이터만 선택적으로 획득하는 카메라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센서가 카메라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센서부(225)는 상기 카메라부(230)와 통합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15)는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에 사용자 조작이 필요한 경우, 상기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는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215)는 키 버튼을 구비하여 사용자 조작에 필요한 정보를 키 입력받는 키 입력 모듈과, 상기 출력부(210)와 연동하여 통해 사용자 조작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는 터치 스크린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부(230) 또는 센서부(225)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손 동작, 몸 동작 및 눈 움직임 중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사용자 조작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식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는, 가상현실 데이터의 매핑 및 렌더링에 필요한 I(I≥1)개의 색상 데이터, J(J≥1)개의 배경 데이터, K(K≥1)개의 텍스쳐 데이터를 포함하는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240)와, 상기 수신된 I개의 색상 데이터, J개의 배경 데이터 및 J개의 텍스쳐 데이터를 포함하는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메모리부(235)에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245)를 구비하며, 상기 I개의 색상 데이터, J개의 배경 데이터 및 J개의 텍스쳐 데이터에는 고유한 데이터 식별 정보가 할당되어 있다.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증강현실 운영 서버(100)에서 상기 I개의 색상 데이터, J개의 배경 데이터 및 J개의 텍스쳐 데이터를 포함하는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구성하여 전송하면, 상기 데이터 수신부(240)는 상기 통신부(220)를 통해 상기 증강현실 운영 서버(100)로부터 상기 I개의 색상 데이터, J개의 배경 데이터 및 J개의 텍스쳐 데이터를 포함하는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245)는 상기 수신된 I개의 색상 데이터, J개의 배경 데이터 및 J개의 텍스쳐 데이터를 포함하는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메모리부(235)에 저장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실제현실 획득수단을 통해 실제현실 데이터를 입력하는 실제현실 입력부(250)와, 상기 실제현실 데이터로부터 가상현실 데이터를 출력할 객체를 인식하는 객체 인식부(255)와, 상기 객체에 표시할 가상현실 데이터를 결정하는 가상현실 결정부(260)와, 상기 증강현실 운영 서버(100)로 상기 결정된 가상현실 데이터를 요청하는 가상현실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265)와, 상기 증강현실 운영 서버(100)로부터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에 대응하는 폴리곤 데이터와 데이터 식별 정보 및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하나 이상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270)와, 상기 수신된 데이터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메모리부(235)에 저장된 매핑/렌더링 데이터 또는 상기 수신된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상기 수신된 폴리곤 데이터에 매핑/렌더링하여 가상현실 데이터를 구성하는 매핑/렌더링부(275)와, 상기 매핑/렌더링을 통해 구성된 가상현실 데이터를 상기 실제현실 데이터 상의 객체에 표시하여 상기 출력부(210)를 통해 출력하는 증강현실 출력부(280)를 구비한다.
상기 실제현실 입력부(250)는 상기 카메라부(23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가상현실 데이터를 표시하여 상기 출력부(210)를 통해 출력할 실제현실 데이터로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메모리부(235)에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메모리부(235)로 실시간 저장되는 데이터를 가상현실 데이터를 표시하여 상기 출력부(210)를 통해 출력할 실제현실 데이터로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통신부(220)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가상현실 데이터를 표시하여 상기 출력부(210)를 통해 출력할 실제현실 데이터로 입력한다.
상기 실제현실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객체 인식부(255)는 상기 실제현실 데이터를 판독하여 가상현실 데이터를 출력할 하나 이상의 객체를 인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객체 인식부(255)는 상기 실제현실 데이터를 판독하여 마커를 검출하고, 상기 마커가 검출된 위치를 가상현실 데이터를 출력할 객체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커는 미리 정의된 기호, 부호, 문양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객체 인식부(255)는 상기 실제현실 데이터를 판독하여 색상/채도 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색상/채도 값을 판독하여 상기 색상/채도를 기준으로 구분되는 영역의 경계 선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경계선을 연결 및 조합하여 기 설정된 기하학 구조를 갖는 하나 이상의 객체 영역을 인식하고, 상기 객체 영역을 가상현실 데이터를 출력할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색상/채도 값은 RGB(Red, Green, Blue) 팔레트 값을 색상/채도로 변환하는 행렬식을 통해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실제현실 데이터가 카메라부(230)를 통해 실시간 입력되는 경우, 상기 객체 인식부(255)는 상기 센서부(225)와 카메라부(230)의 시선 방향을 일치시킨 후, 상기 카메라부(23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의 좌표계와 상기 센서부(225)를 통해 센싱되는 센싱신호의 좌표계를 매칭하여 특정 센서신호가 검출되는 좌표 값을 가상현실 데이터를 출력할 객체로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실제현실 데이터에 객체 위치를 판별하기 위한 메타 데이터가 포함되거나 또는 링크된 경우, 상기 메타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를 출력할 객체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가상현실 결정부(260)는 상기 실제현실 데이터로부터 검출된 객체에 표시할 가상현실 데이터를 결정한다. 만약 상기 실제현실 데이터 상의 객체에 표시할 가사현실 데이터가 어느 하나의 가상현실 데이터로 고정되는 경우, 상기 가상현실 결정부(260)는 상기 고정된 상기 객체 인식부(255)를 통해 인식된 객체에 표시할 가상현실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객체가 마커를 통해 인식된 경우, 상기 가상현실 결정부(260)는 상기 마커 모양/형태/색상/구조를 판독하여 상기 객체에 표시할 가상현실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마커에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가 부호화되어 포함된 경우, 상기 가상현실 결정부(260)는 상기 객체 인식부(255)를 통해 인식된 마커에 포함된 부호화 정보를 인식 및 판독하여 상기 객체에 표시할 가상현실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가상현실 결정부(260)는 상기 객체 인식부(255)를 통해 인식된 객체의 모양/형태/색상/구조를 판독하여 상기 객체에 표시할 가상현실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실제현실 데이터에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한 별도의 표시가 포함된 경우, 상기 표시를 판독하여 상기 객체 인식부(255)를 통해 인식된 객체에 표시할 가상현실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실제현실 데이터가 메모리부(235)에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통신부(220)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이고, 상기 실제현실 데이터에 가상현실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한 메타 데이터가 포함되거나 또는 링크된 경우, 상기 가상현실 결정부(260)는 상기 메타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객체 인식부(255)를 통해 인식된 객체에 표시할 가상현실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객체에 표시할 가상현실 데이터가 결정되면, 상기 정보 전송부(265)는 상기 증강현실 운영 서버(100)로 상기 결정된 가상현실 데이터를 요청하는 가상현실 요청 정보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수신부(270)는 상기 증강현실 운영 서버(100)로부터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에 대응하는 폴리곤 데이터와 상기 메모리부(235)에 저장된 매핑/렌더링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매핑/렌더링부(275)는 상기 메모리부(235)로부터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메모리부(235)로부터 확인된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상기 수신된 폴리곤 데이터에 매핑/렌더링하여 상기 객체에 표시할 가상현실 데이터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수신부(270)는 상기 증강현실 운영 서버(100)로부터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에 대응하는 폴리곤 데이터와 상기 메모리부(235)에 저장된 매핑/렌더링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 식별 정보 및 상기 메모리부(235)에 저장되지 않은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수신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매핑/렌더링부(275)는 상기 메모리부(235)로부터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메모리부(235)로부터 확인된 매핑/렌더링 데이터와 상기 수신된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상기 수신된 폴리곤 데이터에 매핑/렌더링하여 상기 객체에 표시할 가상현실 데이터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수신부(270)는 상기 증강현실 운영 서버(100)로부터 우선 적용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가 매핑/렌더링된 폴리곤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메모리부(235)에 저장된 매핑/렌더링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 식별 정보 및 상기 메모리부(235)에 저장되지 않은 매핑/렌더링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더 수신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매핑/렌더링부(275)는 상기 메모리부(235)로부터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메모리부(235)로부터 확인된 매핑/렌더링 데이터와 상기 수신된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상기 우선 적용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가 매핑/렌더링된 폴리곤 데이터에 추가 매핑/렌더링하여 상기 객체에 표시할 가상현실 데이터를 구성한다.
상기 증강현실 출력부(280)는 상기 실제현실 입력부(250)를 통해 입력되는 실제현실 데이터 상의 객체에 상기 매핑/렌더링을 통해 구성된 가상현실 데이터를 표시한 후, 상기 출력부(210)를 통해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증강현실 출력부(280)는 상기 실제현실 데이터 상의 객체에 투명영역을 포함하는 가상현실 데이터를 중첩시켜 증강현실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증강현실 데이터를 상기 출력부(2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증강현실 출력부(280)는 실제현실 계층과 가상현실 계층을 포함하는 증강현실 데이터 포맷을 구성한 후, 상기 증강현실 데이터 포맷의 실제현실 계층에 상기 실제현실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실제현실 데이터의 객체 위치에 대응하는 가상현실 계층에 가상현실 데이터를 출력하여 상기 출력부(2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출력부(210)가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증강현실 출력부(280)는 상기 객체 인식부(255)를 통해 결정된 투명 디스플레이 상의 객체 위치에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만 표시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폴리곤 데이터에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매핑/렌더링하여 가상현실 데이터를 구성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증강현실 장치(200)에 매핑/렌더링 데이터가 미리 저장된 경우, 증강현실 서버는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로 폴리곤 데이터와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에 저장된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식별하는 데이터 식별정보를 전송하며, 경우에 따라 상기 폴리곤 데이터에 표시할 텍스트 데이터를 더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는 상기 수신된 폴리곤 데이터에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매핑하고, 상기 매핑된 폴리곤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가상현실 데이터를 구성한다.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증강현실 데이터를 최적화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상기 도면2에 도시된 증강현실 장치(200)에 가상현실 데이터의 폴리곤 데이터에 매핑/렌더링될 색상 데이터, 배경 데이터 및 텍스쳐 데이터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미리 저장한 후, 증강현실 운영 서버(100)로부터 가상현실 데이터의 폴리곤 데이터와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에 저장된 매핑/렌더링 데이터 중 상기 폴리곤 데이터에 매핑/렌더링될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식별하는 매핑/렌더링 데이터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매핑/렌더링 데이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상기 수신된 폴리곤 데이터에 매핑/렌더링하여 상기 증강현실 운영 서버(100)에서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량을 최적화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증강현실 데이터를 최적화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증강현실 운영 서버(100)에서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 중 우선 적용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결정하여 가상현실 데이터의 폴리곤 데이터에 우선 매핑/렌더링하여 증강현실 장치(200)로 전송하는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상기 유추 가능한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4를 참조하면, 증강현실 운영 서버(100)에서 증강현실 장치(200)로 가상현실 데이터의 매핑 및 렌더링에 필요한 I(I≥1)개의 색상 데이터, J(J≥1)개의 배경 데이터, K(K≥1)개의 텍스쳐 데이터를 포함하는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제공하면(400),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는 상기 I개의 색상 데이터, J개의 배경 데이터 및 J개의 텍스쳐 데이터를 포함하는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수신하여 메모리부(235)에 저장한다(405).
이 후,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에서 증강현실을 표시할 실제현실 데이터가 입력되면(410),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는 상기 실제현실 데이터를 판독하여 가상현실 데이터를 표시할 객체를 인식하고(415), 상기 객체에 표시할 가상현실 데이터를 결정한 후(420), 상기 증강현실 운영 서버(100)로 상기 결정된 가상현실 데이터에 대응하는 가상현실 요청 정보를 전송한다(425).
상기 증강현실 운영 서버(100)는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에 저장된 매핑/렌더링 데이터 중 상기 가상현실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를 매핑/렌더링하는데 사용될 i(0≤i≤I)개의 색상 데이터, j(0≤j≤J)개의 배경 데이터, k(0≤k≤K)개의 텍스쳐 데이터를 식별하는 데이터 식별 정보를 결정하고(430),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의 매핑/렌더링에 사용될 하나 이상의 색상 데이터, 배경 데이터, 텍스쳐 데이터 중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에 저장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색상 데이터, 배경 데이터, 텍스쳐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확인한다(435).
만약 상기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가 확인되지 않으면(=상기 가상현실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가상현실 데이터의 폴리곤 데이터를 매핑/렌더링하는데 사용될 모든 매핑/렌더링 데이터가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에 이미 저장되어 있으면)(440), 상기 증강현실 운영 서버(100)는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에 대응하는 폴리곤 데이터와 데이터 식별 정보를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로 전송하고(445),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는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된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확인한 후(450), 상기 확인된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통해 상기 폴리곤 데이터를 매핑/렌더링하여 가상현실 데이터를 구성하고(455), 상기 구성된 가상현실 데이터를 상기 실제현실 데이터 상의 객체에 표시하여 출력한다(475)
반면 하나 이상의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가 확인되면(=상기 가상현실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가상현실 데이터의 폴리곤 데이터를 매핑/렌더링하는데 사용될 매핑/렌더링 데이터 중 일부(또는 전체)가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에 이미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440), 상기 증강현실 운영 서버(100)는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에 대응하는 폴리곤 데이터와 데이터 식별 정보 및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로 전송하고(460),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는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된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확인한 후(465), 상기 수신된 매핑/렌더링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를 통해 확인된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상기 폴리곤 데이터에 매핑/렌더링하여 가상현실 데이터를 구성하고(470), 상기 구성된 가상현실 데이터를 상기 실제현실 데이터 상의 객체에 표시하여 출력한다(47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하나 이상의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가 확인되면, 상기 증강현실 운영 서버(100)는 상기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 중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로 전송하기 위해 기 설정된 기준 트래픽 이상의 트래픽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에서 상기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상기 폴리곤 데이터에 매핑/렌더링하기 위해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의 자원을 기 설정된 기준 값 이상 소모하는 우선 적용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우선 적용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상기 폴리곤 데이터에 매핑/렌더링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증강현실 운영 서버(100)는 상기 우선 적용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가 매핑/렌더링된 폴리곤 데이터를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로 전송하고, 상기 우선 적용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제외한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를 하나 이상을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로 더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증강현실 장치(200)는 상기 우선 적용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가 매핑/렌더링된 폴리곤 데이터에 추가로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매핑/렌더링하여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를 구성할 수 있다.
100 : 증강현실 운영 서버 120 : 매핑/렌더링 데이터 제공수단
125 : 가상현실 요청 정보 수신수단 130 : 데이터 식별 정보 결정수단
135 : 매핑/렌더링 데이터 확인수단 140 : 우선 적용 데이터 확인수단
145 : 우선 매핑/렌더링 처리수단 150 : 가상현실 데이터 전송수단
200 : 증강현실 장치

Claims (2)

  1. 현실세계를 촬영한 실제현실 데이터 상의 객체에 가상현실 데이터를 표시하는 증강현실 장치와 연결된 서버에 포함되어 상기 증강현실 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량을 최적화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장치에 가상현실 데이터의 매핑 및 렌더링에 필요한 I(I≥1)개의 색상 데이터, J(J≥1)개의 배경 데이터, K(K≥1)개의 텍스쳐 데이터를 포함하는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제공하여 저장시키는 매핑/렌더링 데이터 제공수단;
    상기 증강현실 장치로 가상현실 데이터 전송시, 상기 증강현실 장치에 저장된 매핑/렌더링 데이터 중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를 매핑/렌더링하는데 사용될 i(0≤i≤I)개의 색상 데이터, j(0≤j≤J)개의 배경 데이터, k(0≤k≤K)개의 텍스쳐 데이터를 식별하는 데이터 식별 정보를 결정하는 데이터 식별 정보 결정수단;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의 매핑/렌더링에 사용될 하나 이상의 색상 데이터, 배경 데이터, 텍스쳐 데이터 중 상기 증강현실 장치에 저장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색상 데이터, 배경 데이터, 텍스쳐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확인하는 매핑/렌더링 데이터 확인수단; 및
    상기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에 대응하는 폴리곤(Polygon) 데이터와 데이터 식별 정보를 상기 증강현실 장치로 전송하고, 하나 이상의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가 확인되면,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에 대응하는 폴리곤(Polygon) 데이터와 데이터 식별 정보 및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상기 증강현실 장치로 전송하는 가상현실 데이터 전송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데이터 최적화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가 확인되면, 상기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 중 상기 증강현실 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기 설정된 기준 트래픽 이상의 트래픽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증강현실 장치에서 상기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상기 폴리곤 데이터에 매핑/렌더링하기 위해 상기 증강현실 장치의 자원을 기 설정된 기준 값 이상 소모하는 우선 적용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확인하는 우선 적용 데이터 확인수단;
    상기 우선 적용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상기 폴리곤 데이터에 매핑/렌더링시키는 우선 매핑/렌더링 처리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가상현실 데이터 전송수단은,
    상기 우선 적용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가 매핑/렌더링된 폴리곤 데이터를 상기 증강현실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우선 적용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를 제외한 전송 대상 매핑/렌더링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를 하나 이상을 상기 증강현실 장치로 더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데이터 최적화 시스템.
KR1020100055783A 2010-06-14 2010-06-14 증강현실 데이터 최적화 방법 KR101638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783A KR101638630B1 (ko) 2010-06-14 2010-06-14 증강현실 데이터 최적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783A KR101638630B1 (ko) 2010-06-14 2010-06-14 증강현실 데이터 최적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026A true KR20110136026A (ko) 2011-12-21
KR101638630B1 KR101638630B1 (ko) 2016-07-11

Family

ID=45502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5783A KR101638630B1 (ko) 2010-06-14 2010-06-14 증강현실 데이터 최적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863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8128A (ko) * 2013-02-28 2014-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증강 현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576538B1 (ko) * 2015-05-12 2015-12-21 주식회사 아이아라 평면 도안 입체화 구현 장치
KR20160068186A (ko) * 2014-12-05 2016-06-15 주식회사 서머너즈엔터테인먼트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1598974A (zh) * 2014-06-03 2020-08-28 苹果公司 用于呈现与真实对象相关的数字信息的方法和系统
US11133993B2 (en) 2019-02-28 2021-09-2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ugmented/mixed reality virtual venue pipeline optimiz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299A (ko) * 1997-06-13 1999-01-15 양승택 무인정찰기 시스템의 운용 방법
KR19990084348A (ko) * 1998-05-04 1999-12-06 정선종 증강현실을 이용한 헬기 운항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00025350A (ko) * 1998-10-10 2000-05-06 정선종 증강 현실을 이용한 관광 망원경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EP1060772A2 (en) * 1999-06-11 2000-12-20 Mixed Reality Systems Laboratory Inc. Apparatus and method to represent mixed reality space shared by plural operators, game apparatus using mixed reality apparatus and interface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299A (ko) * 1997-06-13 1999-01-15 양승택 무인정찰기 시스템의 운용 방법
KR19990084348A (ko) * 1998-05-04 1999-12-06 정선종 증강현실을 이용한 헬기 운항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00025350A (ko) * 1998-10-10 2000-05-06 정선종 증강 현실을 이용한 관광 망원경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EP1060772A2 (en) * 1999-06-11 2000-12-20 Mixed Reality Systems Laboratory Inc. Apparatus and method to represent mixed reality space shared by plural operators, game apparatus using mixed reality apparatus and interface method thereof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8128A (ko) * 2013-02-28 2014-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증강 현실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1598974A (zh) * 2014-06-03 2020-08-28 苹果公司 用于呈现与真实对象相关的数字信息的方法和系统
CN111598974B (zh) * 2014-06-03 2023-12-22 苹果公司 用于呈现与真实对象相关的数字信息的方法和系统
KR20160068186A (ko) * 2014-12-05 2016-06-15 주식회사 서머너즈엔터테인먼트 증강 현실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576538B1 (ko) * 2015-05-12 2015-12-21 주식회사 아이아라 평면 도안 입체화 구현 장치
WO2016182167A1 (ko) * 2015-05-12 2016-11-17 주식회사 아이아라 평면 도안 입체화 구현 장치
US11133993B2 (en) 2019-02-28 2021-09-2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ugmented/mixed reality virtual venue pipeline optimization
US11528198B2 (en) 2019-02-28 2022-12-1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ugmented/mixed reality virtual venue pipeline optimiz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8630B1 (ko) 2016-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288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termina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of secure data using augmented reality
US1068128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R object
KR101746838B1 (ko) 진열대를 이용한 증강현실 운영 방법
US20140331334A1 (en) Display System, Display Method, Display Terminal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ed With Display Program
CN109413399A (zh) 使用深度图合成对象的装置及其方法
KR20110136026A (ko) 증강현실 데이터 최적화 시스템
KR20110136024A (ko) 증강현실 장치 간 정보 공유 방법
JP2022000795A (ja) 情報管理装置
KR20110136018A (ko) 알에프아이디 리더를 구비한 증강현실 장치
CN112999654A (zh) 图像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1692764B1 (ko) 가상 점을 이용한 증강현실 제공 방법
KR20110136035A (ko) 실제현실 적응형 증강현실 장치
KR101214674B1 (ko) 텍스트를 포함하는 모자이크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680124B1 (ko) 이종 플랫폼 간 증강현실 전달 방법
KR20170005373A (ko) 맞춤형 증강현실 제공 방법
KR20120009639A (ko) 사용자 조건을 이용한 선택적 가상객체 데이터 운용방법 및 이를 위한 증강현실 장치와, 기록매체
KR101679844B1 (ko) 이종 플랫폼 간 증강현실 제공 방법
KR101792250B1 (ko) 실제현실 적응형 증강현실 제공 방법
KR20170086005A (ko) 거리 차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제공 방법
KR102117510B1 (ko) 증강현실의 선택적 가상객체 표시 방법
KR101803532B1 (ko) 증강현실 품질 제어 방법
KR101168599B1 (ko) 거리 구간 별 가상객체를 표시하는 장치
KR20200091196A (ko) 사용자 피드백을 이용한 증강현실 콘텐츠 데이터 최적화 방법
KR20170143476A (ko) 사용자 조건을 이용한 증강현실의 선택적 가상객체 표시 방법
CN115965616B (zh) 一种虹膜图像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