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6008A - 손가락 착용식 단말기의 신호 입력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손가락 착용식 단말기 - Google Patents

손가락 착용식 단말기의 신호 입력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손가락 착용식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6008A
KR20110136008A KR1020100055760A KR20100055760A KR20110136008A KR 20110136008 A KR20110136008 A KR 20110136008A KR 1020100055760 A KR1020100055760 A KR 1020100055760A KR 20100055760 A KR20100055760 A KR 20100055760A KR 20110136008 A KR20110136008 A KR 20110136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inger
input
input device
wear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5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양두
Original Assignee
박양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양두 filed Critical 박양두
Priority to KR1020100055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6008A/ko
Publication of KR20110136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60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손가락 착용식 입력기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 상기 손가락 착용식 입력기를 손가락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시키는 신호 변환부, 변환된 무선신호를 단말기에 송신하는 신호 송신부 및 상기 신호를 변경 할 수 있는 신호 세팅부를 포함하는 손가락 착용식 입력기 및 상기 손가락 착용식 입력기의 입력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손가락 착용식 단말기의 신호 입력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손가락 착용식 단말기{Method of putting a signal into terminal using an thimble type of input unit and an thimble type of input unit}
사용자가 손가락 착용식 입력기를 착용시, 키보드의 존재 여부에 상관없이 접촉면이 있으면 언제든지 원하는 신호를 단말기에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된다.
단말기의 기술이 발전해 가면서, 단말기의 크기가 소형화되고 있다. 예컨데, 스마튼폰의 경우 그 크기가 매우 작지만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보다 다양한 입력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소형 단말기의 경우 휴대성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입력의 방식이 제한되어 있어 신속하고 정확한 입력이 어려울 때가 있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하여, 스크린을 통해 직접 입력을 받거나, 단말기에 일체형으로 장착되어있는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을 받는다, 이런 입력장치는 스크린의 가시성을 축소시키거나, 입력기기의 크기가 작아 입력이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휴대성과 고기능성을 동시에 요구하는 단말기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신속하고 정확한 입력을 제공해주기 위한 입력기기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최근에는 스마트폰이 보편화 되면서, 게임 및 문서작성에 필요한 입력 기술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손가락에 착용하는 방식으로 무선신호를 발생시켜 단말기에 입력을 하는 방법을 개시함으로써, 접촉면과 무선신호 탐지장치만 있으면 언제든지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환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착용식 입력기는 손가락 착용식 입력기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 상기 손가락 착용식 입력기를 손가락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시키는 신호 변환부, 변환된 무선신호를 단말기에 송신하는 신호 송신부 및 상기 신호를 변경할 수 있는 신호 세팅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착용식 입력기의 입력 방법은 손가락 착용식 입력기를 손가락에 고정시키는 단계,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발생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신호를 변경하여 새로운 입력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손가락에 착용하는 방식으로 무선신호를 발생시켜 단말기에 입력을 하는 방법을 개시함으로써, 접촉면과 무선신호 탐지장치만 있으면 언제든지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환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 전환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착용식 입력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손가락 착용식 입력기(11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손가락 착용식 입력기(110)는 신호 발생부(111), 신호 변환부(113), 신호 송신부(114), 신호 세팅부(115), 고정부(116)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발생부(111)는 접촉 감지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 감지부(112)는 손가락 착용식 입력기(110)와 면의 접촉 여부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변환부(113)은 신호 발생부(111)에서 발생한 신호를 상기 손가락 착용식 입력기의 고유한 입력신호에 따라 무선신호로 발생한다. 예컨데, 엄지 손가락에 착용한 손가락 착용식 입력기(110)의 신호가 'ㄱ'일 경우 해당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한다.
신호 세팅부(115)는 신호 발생기(111)가 발생하는 고유의 신호를 새로운 신호로 변경하여 다른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예컨데, 엄지 손가락에 착용한 손가락 착용식 입력기(110)의 신호가 'ㄱ'일 경우 신호 세팅부를 이용하여 'ㄴ'으로 변경 할 경우 다음 번 입력시 신호는 'ㄴ'을 발생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116)는 신축성 잇는 소재로 구성되어 손가락 착용식 입력기(110)와 손가락의 접촉면을 밀착시켜 손가락과 손가락 착용식 입력기(110)를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접촉 감지부(112)는 접촉 감지부(112)가 면에 접촉 시 압력을 감지하여 압력이 발생시 압력발생 여부를 신호 발생부에 전달한다. 예컨데 엄지 손가락에 착용된 손가락 착용식 입력기(110)의 접촉 감지부(112)를 바닥에 접촉시킨 후 힘을 주면 압력이 발생하고 이때 접촉 감지부(112)는 압력을 감지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착용식 입력기의 입력 방법을 도시화한 순서도이다.
단계(S210)에서는 손가락을 손가락 착용식 입력기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210)에서는 신축성 있는 소재로 구성된 상기 고정부가 손가락과 상기 손가락 착용식 입력기를 밀착시켜 고정시킨다.
단계(S220)에서는 상기 손가락 착용식 입력기와 면의 접촉여부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220)에서는 접촉면에 압력이 발생하였을 경우 상기 접촉 감지부에서 압력을 감지하여 단계(S240)으로 넘어간다
만약 압력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압력이 발생할 때까지 대기한다.
단계(S230)은 일정 이상의 압력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아무런 신호도 발생하지 않는 단계이다.
단계(S240)는 상기 접촉 감지부에서 압력을 감지할 경우 상기 손가락 착용식 입력기에 세팅되어있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단계(S250)는 단계(S240)에서 발생한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한다.
단계(S260)는 단계(S250)에서 발생한 무선신호를 송신하여 단말기가 상기 무선신호를 탐지할 수 있도록 한다.
110: 손가락 착용시 입력기
111: 신호 발생부
112: 접촉 감지부
113: 신호 변화부
114: 신호 송신부
115: 신호 세팅부
116: 신호 고정부

Claims (10)

  1. 손가락 착용식 입력기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부;
    상기 손가락 착용식 입력기를 손가락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시키는 신호 변환부;
    변환된 무선신호를 단말기에 송신하는 신호 송신부; 및
    상기 신호를 변경 할 수 있는 신호 세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착용식 입력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부는,
    상기 손가락 착용식 입력기와 면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변환부는 상기 신호 발생부에서 발생한 상기 신호를 상기 손가락 착용식 입력기의 고유한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신호를 상기 무선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착용식 입력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세팅부는, 상기 신호 발생기가 발생하는 상기 신호를 다른 신호로 변경하여 새로운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착용식 입력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착용시 손가락과 상기 손가락 착용식 입력기의 접촉면을 밀착시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착용식 입력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감지부는, 접촉 시 압력을 감지하여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착용식 입력기.
  6. 손가락 착용식 입력기의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손가락 착용식 입력기를 손가락에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시키는 단계;
    변환된 무선신호를 단말기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를 변경하여 새로운 입력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착용식 입력기의 입력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는,
    상기 손가락 착용식 입력기와 면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 발생부에서 발생한 상기 신호를 접촉된 상기 손가락 착용식 입력기의 고유한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착용식 입력기의 입력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입력으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 발생기가 발생하는 상기 신호를 다른 신호로 변경하여 새로운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착용식 입력기의 입력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을 고정하는 단계는,
    착용시 손가락과 상기 손가락 착용식 입력기의 접촉면을 밀착시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착용식 입력기의 입력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는,
    접촉 시 압력을 감지하여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착용식 입력기의 입력 방법.

KR1020100055760A 2010-06-14 2010-06-14 손가락 착용식 단말기의 신호 입력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손가락 착용식 단말기 KR201101360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760A KR20110136008A (ko) 2010-06-14 2010-06-14 손가락 착용식 단말기의 신호 입력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손가락 착용식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760A KR20110136008A (ko) 2010-06-14 2010-06-14 손가락 착용식 단말기의 신호 입력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손가락 착용식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008A true KR20110136008A (ko) 2011-12-21

Family

ID=45502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5760A KR20110136008A (ko) 2010-06-14 2010-06-14 손가락 착용식 단말기의 신호 입력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손가락 착용식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60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6179A (ko) * 2019-08-29 2021-03-10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무인 비행체의 실시간 군집비행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6179A (ko) * 2019-08-29 2021-03-10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무인 비행체의 실시간 군집비행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5016B2 (en) Input assis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1104749B1 (ko) 정보입력 기능을 가지는 마우스패드
RU2519351C2 (ru) Тактильный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ий интерфейс для электр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EP277042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object in user device
KR20070097948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의 표시 객체 위치 고정방법 및 이를 구현한 이동 단말기
CN115088269A (zh) 耳部可穿戴装置
KR101984737B1 (ko) 광 터치 패널과 터치 펜을 포함하는 터치 시스템 및 터치 시스템에서 간섭 광신호 제어 방법
KR20100070092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이종기기의 디스플레이를 입출력장치로 이용하기 위한 핸드폰 구동방법
US20060077175A1 (en) Machine-human interface
KR102568710B1 (ko) 전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12145971A (ja) 手書き文字入力装置および携帯端末
KR20080103327A (ko) 가상 키 입력 장치 및 가상 키 입력 방법
JP5368134B2 (ja) 携帯電子機器
KR100980473B1 (ko) 터치패널을 이용한 키입력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10109341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입력 패턴을 판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10136008A (ko) 손가락 착용식 단말기의 신호 입력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손가락 착용식 단말기
CN101859199A (zh) 键盘装置
JP2009157834A (ja) 電子機器
US10310729B2 (en) Mobile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KR100651745B1 (ko) 착용형 촉각 센서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그리고 착용형 문자 인식 장치
KR20100115396A (ko) 삼각측량법을 이용한 무선 손가락 마우스
KR101095012B1 (ko) 반지형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JP2012173749A (ja) 入力装置、設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6053779A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および携帯式コンピュータ。
KR10099988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