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5443A - 상판을 높은 높이 및 낮은 높이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대 - Google Patents

상판을 높은 높이 및 낮은 높이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5443A
KR20110135443A KR1020100055161A KR20100055161A KR20110135443A KR 20110135443 A KR20110135443 A KR 20110135443A KR 1020100055161 A KR1020100055161 A KR 1020100055161A KR 20100055161 A KR20100055161 A KR 20100055161A KR 20110135443 A KR20110135443 A KR 20110135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upper plate
sides
top plate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5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0857B1 (ko
Inventor
박용남
Original Assignee
박용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남 filed Critical 박용남
Priority to KR1020100055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0857B1/ko
Publication of KR20110135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5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14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bench top
    • B25H1/16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bench top in h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판을 높은 높이 및 낮은 높이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상판을 받쳐 줄 수 있도록 상판 저부의 네모서리부분 각각에 절첩가능하게 부착되는 받침다리가 형성되어 있는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받침다리는,
상기 상판을 바닥에서 높은 위치에 있도록 긴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상판의 저부 네모서리부분 각각에 고정 부착된 고정힌지에 직각상으로 회전절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힌지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긴받침다리와;
상기 긴다리보다 짧은 길이를 가진 채 긴다리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판 저부에 고정 부착된 고정힌지에 직각상으로 회전절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힌지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짧은받침다리;를 한쌍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상판을 높은 높이 및 낮은 높이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대{Work table}
본 발명은 상판을 높은 높이 및 낮은 높이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의 취향이나 작업장의 여건에 따라 양반다리 자세 및 무릎굻은 자세로 바닥에 앉아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의자에 앉은 자세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상판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부품을 조립하여 완제품이나 반제품을 생산하여 납품하는 조립공장에서는 각 부품을 조립하기 위한 작업대를 사용하고 있다.
종래 기술의 작업대는 일어선 자세로 작업을 하거나 또는 의자에 앉아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상판의 설치높이를 높게 하기 위해 길이가 긴 받침다리로 지지되는 높은 작업대와, 무릎굻은 자세 내지 양반다리 자세로 바닥에 앉아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상판의 설치높이를 낮게 하기 위해 길이가 짧은 받침다리로 지지되는 낮은 작업대로 구분되고 있다.
따라서 각종 부품을 조립하는 공장에서는 작업자의 취향이나 신체조건 및 조립작업현장의 여건에 따라 긴다리로 지지되는 높은 작업대와 짧은 다리로 지지되는 낮은 작업대 중 어느 하나의 작업대를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작업자의 신체조건이나 취향 또는 조립작업현장의 여건과는 상관없이 긴받침다리가 부착된 높은 작업대를 사용하여 제품의 조립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편리한 경우와, 조립하고자 하는 제품의 조립특성상 짧은 받침다리로 된 낮은 작업대를 사용하여 조립하는 것이 용이할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는데, 이런 경우에는 높은 작업대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할 때에는 낮은 작업대는 접어서 보관하여야 하며, 이와 반대로 짧은 받침다리의 낮은 작업대를 펼쳐놓고 작업을 수행하여야 할 때에는 높은 작업대는 접어서 보관하게 된다.
때문에, 조립공장에서는 조립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긴받침다리의 높은 작업대와 짧은받침다리의 낮은 작업대를 동시에 구비해놓는 경우가 있는데, 이와 같이 높은 작업대 및 낮은 작업대 두 종류를 모두 준비하게 될 경우에는 작업대의 구입비가 많아져 경제적으로 부담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높은 작업대 및 낮은 작업대 중 사용하지 않게 되는 작업대를 안전하게 보관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될 뿐 아니라 사용하지 않는 작업대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보관장소를 마련하는 데에도 많은 경비가 소요되므로 경제적인 부담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한대의 작업대를 이용하여 의자에 앉은 자세로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은 작업대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바닥에 무릎굻은 자세 내지 양반다리 자세로 앉아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낮은 작업대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두 종류의 기능을 만족할 수 있게 하는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판을 받쳐 줄 수 있도록 상판 저부의 네모서리부분 각각에 절첩가능하게 부착되는 받침다리가 형성되어 있는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받침다리는,
상기 상판을 바닥에서 높은 위치에 있도록 긴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상판의 저부 네모서리부분 각각에 고정 부착된 고정힌지에 직각상으로 회전절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힌지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긴받침다리와;
상기 긴다리보다 짧은 길이를 가진 채 긴다리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판 저부에 고정 부착된 고정힌지에 직각상으로 회전절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힌지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짧은받침다리;
를 한쌍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다리는 긴받침다리와 짧은받침다리를 한쌍으로 하여 상판의 저부 네모서리부분 각각에 총 네쌍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판의 저부 네모서리부분 각각에 고정 부착된 고정힌지의 양측 고정브라켓을 관통하는 힌지축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가동힌지의 양측 가동브라켓에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점으로 하여 호형상으로 형성되는 원호안내홈이 직각을 이루는 각도범위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호안내홈의 양단에는 원호안내홈의 간격보다 큰 직경을 갖는 양측 걸림홈이 원호안내홈과 연결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힌지의 양측 고정브라켓 내측으로 마주하도록 돌출된 양측 돌출부를 관통하여 상기 가동힌지의 양측 가동브라켓 각각에 형성된 원호안내홈을 따라 원호상으로 회전이동이 가능하도록 축설되는 회전제어축의 양단에는 상기 원호안내홈의 양단에 형성된 양측 걸림홈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끼워진 채 원호안내홈 방향으로는 회전이동이 제어되도록 걸림되는 외경을 갖는 양측 회전제어돌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제어축의 양측 회전제어돌부 중 일측 회전제어돌부에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연장축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의 연장축 끝단에는 손가락으로 눌러주는 누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제어축은 고정힌지의 일측 돌출부에 일단이 지지된 채 타단은 고정힌지의 타측 돌출부에 지지되는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고정힌지의 양측 돌출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탄력설치된 채 상기 양측 회전제어돌부가 가동힌지의 양측 가동브라켓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원호안내홈의 양단에 형성된 양측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동힌지의 회전절첩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판의 저부 네모서리부분 각각에 한쌍씩 형성되는 긴받침다리와 짧은받침다리들 중 상판의 좌,우측 각각에서 전,후방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대칭 설치된 양측 긴받침다리 및 양측 긴받침다리 각각을 연결하는 양측 보강연결간에는 상판의 저부에 고정 부착된 볼협지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삽착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판의 저부 네모서리부분 각각에 한쌍씩 절첩가능하게 부착되는 긴받침다리 및 짧은받침다리 각각에는 상판을 받쳐주기 위해 각 받침다리를 수직상으로 펼쳤을 때 상판 저부에 고정 부착된 고정고리에 착탈가능하게 결착되는 가동고리를 구비하고 있는 체결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대를 사용하는 작업자가 작업장에서 조립하고자 하는 각종 조립부품의 조립작업을 의자에 앉아서 수행하고자 할 때에는 상판의 저부 네모서리부분 각각에 한쌍씩 부착되어 있는 긴받침다리와 짧은받침다리 중 짧은받침다리는 상판의 저부에 밀착되게 접어놓고 긴받침다리만을 수직상으로 펼쳐서 상판을 높은 높이로 받쳐놓고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자가 양반다리 자세나 무릎굻는 자세로 바닥에 앉아서 조립작업을 하고자 할 때에는 상판의 저부 네모서리부분에 한쌍씩 부착되어 있는 긴받침다리는 상판 저부에 밀착시킨 상태로 접어놓고 짧은받침다리만을 수직상으로 펼쳐서 상판을 낮은 높이로 받쳐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작업장에서는 한대의 작업대를 가지고 높은 높이의 작업대 및 낮은 높이의 작업대 두대의 작업대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작업대를 높은 작업대로 사용할 때 및 낮은 작업대로 사용할 때의 정면도이며,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작업대를 높은 작업대로 사용할 때 및 낮은 작업대로 사용할 때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작업대의 상판 저부 네모서리부분에 한쌍씩 형성되어 있는 긴받침다리와 짧은받침다리를 접어놓은 상태로 나타낸 저면도이며,
도 4는 도 2a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로 나타낸 본 발명의 긴받침다리를 접었을 때 상판의 저부에 고정 부착된 볼협지구에 긴받침다리의 보강연결간에 부착된 삽착구를 결착시킨 작동상태도이고,
도 6은 도 4의 C-C선 단면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상판 저부에 긴받침다리 및 짧은받침다리를 절첩가능하게 부착시키기 위한 고정힌지와 가동힌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면 및 저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상판을 높은 높이 및 낮은 높이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대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은 작업대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작업대(1)는 상면이 평면상으로 형성된 상판(2)과, 상기 상판의 저부 네모서리부분 각각에 절첩가능하게 부착되는 받침다리(3)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다리(3)는 상판(2)의 저부 네모서리부분 각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다리(3)는 작업대(1)의 상판(2)이 높은 높이(H)에 위치하도록 받쳐줄 수 있는 긴 길이로 형성된 긴받침다리(3a)와, 상기 상판(2)을 낮은 높이(h)에 위치하도록 받쳐줄 수 있는 짧은 길이로 형성된 짧은받침다리(3b)가 한쌍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받침다리(3)는 한쌍을 이루는 긴받침다리(3a)와 짧은받침다리(3b)가 상판(2)의 저부 네모서리부분 각각에 총 네쌍으로 설치된다.
상기 받침다리(3)를 형성하는 긴받침다리(3a) 및 짧은받침다리(3b) 각각은 상판(2)의 저부에 고정 부착되는 고정힌지(4)에 대하여 직각의 범위내에서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조립되는 가동힌지(5)에 의하여 상기 상판(1)의 저부 네모서리부분에 직각상으로 절첩가능하게 부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상판(2)의 저부 모서리부분에 고정 부착되는 고정힌지(4)의 양측 고정브라켓(41)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힌지축(6)의 양단에는 가동힌지(5)의 양측 가동브라켓(51)이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동힌지(5)의 양측 가동브라켓(51) 각각에는 힌지축(6)을 중심으로 하여 직각을 이루는 범위내에서 호형상으로 형성되는 원호안내홈(5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호안내홈(52)의 양단에는 원호안내홈의 간격보다 큰 직경을 갖는 양측 걸림홈(5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힌지(4)의 양측 고정브라켓(41) 각각의 내측에는 상기 가동힌지(5)의 양측 가동브라켓(51) 각각에 형성된 양측 원호안내홈(52)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제어축(7)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양측 돌출부(71)(7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제어축(7)은 양측 가동브라켓(51)에 형성된 원호안내홈(52)의 따라 회전이동이 가능한 직경을 가지고 있는데, 상기 고정힌지(4)의 일측 돌출부(51)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관통하는 회전제어축(7)의 양단에는 상기한 원호안내홈(52)의 양단에 형성된 걸림홈(53)과 같은 직경으로 형성된 양측 회전제어돌부(71)(72)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양측 회전제어돌부(71)(72)는 원호안내홈(52)의 양단에 형성된 걸림홈(53)에 끼워진 상태로 위치하게 될 때에는 회전제어축(7)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되지만 원호안내홈(52) 방향으로는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제어축(7)의 양측 회전제어돌부(71)(72) 중 일측 회전제어돌부(71)는 고정브라켓(41)의 일측 돌출부(42) 외측에 위치하면서 걸림홈(53)에 걸림된 상태에서 회전제어축(7)의 축방향(도 5의 도면상 좌측방향 참조)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며, 또한 타측 회전제어돌부(72)는 원호안내홈(52)의 걸림홈(53)과 고정힌지(4)의 타측 돌출부(43)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제어축(7)의 축방향(도 5의 도면상 좌측방향 참조)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회전제어축(7)의 양측 회전제어돌부(71)(72) 사이에는 스프링(73)이 탄력설치되는데, 상시 스프링(73)의 일단은 고정힌지(4)의 일측 돌출부(42)에 지지되고 타단은 타측 회전제어돌부(72)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제어축(7)은 항시 스프링(73)의 탄력이 작용하는 방향 즉, 도 5를 기준할 때 도면상 우측방향을 향해 탄력적으로 이동하려는 작용이 나타나게 되며, 상기 스프링(73)의 탄력에 의해 회전제어축(7)이 도면상(도 5 참조) 우측으로 이동하려는 작용에 의해 일측 회전제어돌부(71)가 일측 원호안내홈(52) 각각의 양단에 형성된 양측 걸림홈(53) 중 일측 걸림홈(53)에 삽입됨과 동시에 고정힌지(4)의 일측 돌출부(42)가 형성된 고정브라켓(41)의 외측에 지지되면서 정지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에는 상기 회전제어축(7)의 타측 회전제어돌부(72)도 타측 원호안내홈(52)의 양단에 형성된 양측 걸림홈(53) 중 일측 걸림홈(53)에 끼워진 상태가 되어 회전제어축(7)의 회전작동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제어축(7)의 타측 회전제어돌부(72)의 단부에는 연장축(74)이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축(74)의 끝단에는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눌러주는 누름부(7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누름부(75)를 눌러주게 되면 회전제어축(7)은 도 5의 도시를 기준할 때 도면상 좌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면서 스프링(73)이 탄력적으로 압축됨과 동시에 양측 회전제어돌부(71)(72)는 양측 원호안내홈(52)의 걸림홈(53)에서 도면상 우측으로 이완(도 5의 가상선부분 참조)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제어축(7)이 양측 원호안내홈(52)을 따라 회전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가동힌지(5)를 회전작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 누름부(75)에 가하던 힘을 제저하게 되면 상기 회전제어축(7)은 압축되었던 스프링(7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도면상(도 5 참조) 우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므로 양측 회전제어돌부(71)(72)는 다시 양측 원호안내홈(52)의 양단에 형성된 양측 걸림홈들 중 일측 걸림홈(53)에 끼워져 가동힌지(5)의 회전작동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힌지(4) 및 가동힌지(5)는 작업대(1)의 상판(2)과 받침다리(3)를 형성하는 긴받침다리(3a)와 짧은받침다리(3b)가 철재로 제작되어 있을 경우에는 용접으로 부착되는 것이며, 또는 상기 상판(2)과 받침다리(3)가 목재로 제작되어 있을 때에는 나사못 등으로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나사조립공(부호 생략)이 복수개씩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업대(1)의 상판(2) 저부 네모서리부분에 한쌍씩 형성된 받침다리(3)의 긴받침다리(3a) 및 짧은받침다리(3b)들 중 좌,우측에서 위치하여 전,후방으로 서로 마주하는 양측 긴받침다리(3a) 및 양측 짧은받침다리(3b) 각각은 보강연결간(8a)(8b)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양측 긴받침다리(3a)를 연결하는 보강연결간(8a)은 양측 긴받침다리(3a)의 하단부분을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짧은받침다리(3b)를 연결하는 보강연결간(8b)은 양측 짧은받침다리(3b)의 상단부분을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측 긴받침다리(3a)의 하단을 연결하는 보강연결간(8a)에는 양측 긴받침다리(3a)를 상판(2) 저부로 접었을 때 밑으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양측 긴받침다리(3a)를 상판(2) 저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삽착구(81)와 볼협지구(8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삽착구(81)는 보강연결간(8a)의 상,하 양면에 대칭상으로 각각 하나씩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삽착구(81) 각각에는 삽입돌부(81a)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볼협지구(82)에는 상기 삽착구(81)의 삽입돌부(81a)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채 스프링으로 탄력설치된 두개의 볼(82a)이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판(2)의 저부 좌,우측 각각에 전,후방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된 양측 긴받침다리(3a)를 상판(2)의 저부로 접었을 때 상기 양측 긴받침다리(3a)를 연결하는 보강연결간(8a)의 상,하 양면에 고정 부착된 삽착구(81)에 돌출된 삽입돌부(81a)가 볼협지구(82)의 양측 볼(82a) 사이로 삽입될 때에는 상기한 양측 볼(82a)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탄력적으로 후퇴하였다가 상기한 삽착구(81)의 삽입돌부(81a)가 삽입이 완료되면 원위치로 복귀하여 삽입돌부(81a)를 탄력적으로 협착하게 되며, 이로 인해 보강연결간(8a)이 볼협지구(82)의 양측 볼(82a)에 탄력적으로 지지된 상태가 되므로써 양측 긴받침다리(3a)는 상판(2) 저부에 접어놓은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보강연결간(8b)는 양측 짧은받침다리(3b)의 상단부분을 연결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작업대(1)를 낮은 높이로 사용하기 위해 짧은받침다리(3b)를 펼쳐서 상판(2)을 받쳐줄 때 양측 짧은받침다리(3b)를 연결하는 보강연결간(8b)이 높은 위치에 있도록 하므로써 바닥에 앉아서 작업을 하게 되는 작업자의 무릎이 닿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판(2)의 저부 좌,우측 각각에서 전,후방으로 서로 마주하게 설치되는 양측 긴받침다리(3a) 및 양측 짧은받침다리(3b) 각각은 일측 긴받침다리(3a) 및 일측 짧은받침다리(3b)만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고정힌지(4)와 가동힌지(5)에 의해 상판(2) 저부에 절첩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이며, 타측 긴받침다리 및 타측 짧은받침다리를 힌지축에 의해 단순히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 및 가동힌지(도시 생략)에 의해 상판(2) 저부에 절첩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양측 긴받침다리(3a)와 짧은받침다리(3b) 각각은 회전제어축(7)에 의해 회전작동이 제어되는 고정힌지(4) 및 가동힌지(5)에 의해 상판(2) 저부에 부착되어 있는 일측 긴받침다리(3a) 및 일측 짧은받침다리(3b) 각각을 작업자가 수동으로 접어주거나 또는 펼쳐주게 되면 보강연결간(8a)(8b)에 의해 연결된 타측 긴받침다리 및 타측 짧은받침다리도 함께 접어주는 방향이나 펼쳐주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판(2)의 저부 네모서리부분 각각에 한쌍씩 절첩가능하게 부착되는 받침다리(3)의 긴받침다리(3a) 및 짧은받침다리(3b) 각각에는 체결부재(9)가 하나씩 부착되어 있는데, 상기 체결부재(9)는 긴받침다리(3a) 및 짧은받침다리(3b) 각각에 고정부착되는 고정부착부(91)와, 상기 고정부착부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몸체(92)와, 상기 몸체에 걸림되어 있는 가동고리(93) 및 상판(2)의 저부에 고정 부착되는 고정고리(94)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긴받침다리(3a)를 펼쳐서 상판(2)을 받쳐줄 때에는 긴받침다리(3a)에 부착되어 있는 체결부재(9)의 가동고리(92)를 상판(2) 저부에 고정 부착된 고정고리(94)에 걸어주므로써 수직상으로 기립되어 상판(2)을 지지하는 긴받침다리(3a)을 튼튼하게 붙잡아줄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상기 짧은받침다리(3b)를 펼쳐서 상판(2)을 지지하게 될 때에도 체결부재(9)의 가동고리(92)를 고정고리(94)에 걸어준 상태로 체결부재(9)를 체결하게 되면 짧은받침다리(3b)의 기립상태는 튼튼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작업대(1)를 의자 등에 앉아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상판(2)을 도 1a 및 도 2a의 도시와 같이 높은 높이(H)로 설치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상판(2)의 저부 네모서리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받침다리(3) 각각에서 긴받침다리(3a)만을 펼쳐주는데, 이때에는 상판(2)의 좌,우측 각각에서 전,후방으로 서로 마주하는 양측 긴받침다리(3a)들 중 일측 받침다리(3a)의 상단에 부착되어 있는 가동힌지(5)의 회전제어축(7) 일단에 형성된 누름부(75)를 손가락으로 눌러주게 되면 양측 회전제어돌부(71)(72)가 양측 원호안내홈(52)의 걸림홈(53)에서 빠져나오게 되며(도 5의 가상선부분 참조), 이에 따라 가동힌지(5)는 힌지축(6)을 회전기점으로 하여 회전작동이 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작업자는 긴받침다리(3a)를 수직상으로 펼쳐서 기립시키게 되는데, 이때 작업자는 양측 긴받침다리(3a)를 연결하고 있는 보강연결간(8a)에 부착된 양측 삽착구(81)의 삽입돌부(81a)가 상판(2) 저부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볼협지구(82)에서 빠져나올 수 있을 정도의 힘으로 일측 긴받침다리(3a)를 펼쳐주는 방향으로 잡아당기거나 밀어주게 되면 상기 보강연결간(8a)의 양측 삽착구(81)는 볼협지구(82)에서 분리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보강연결간(8a)에 의해 양측 긴받침다리(3a)는 함께 펼쳐주는 방향으로 기립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판(2)의 좌,우측에서 전,후방으로 서로 마주하고 있는 양측 긴받침다리(3a)를 기립시킨 다음에는 각 긴받침다리(3a)의 상단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체결부재(9)의 가동고리(92)를 상판(2) 저부에 부착된 고정고리(94)에 걸어준 상태로 상기 체결부재(9)를 체결하게 되면 상판(2)을 받쳐주는 긴받침다리(3a)들 각각은 회전제어축(7)에 의해 회전이 제어된 상태로 고정됨과 동시에 각 체결부재(9)에 의해 튼튼하게 부착된 상태로 상판(2)을 높은 높이(H)로 받쳐주게 되므로써 작업자는 의자에 앉아있는 자세로 작업대(1)의 상판(2) 위에 조립하고자 하는 부품을 조립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작업대(1)의 상판(2)을 도 1b 및 도 2b의 도시와 같이 낮은 높이(h)로 설치해놓고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상판(1)의 저부 네모서리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긴받침다리(3a) 전부를 상판(2) 저부에 밀착시킨 상태로 접어주고 짧은받침다리(3b)를 수직상으로 펼쳐서 상판(2)을 지지토록 하면 긴받침다리(3a)는 상판(2) 저부에 밀착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긴받침다리(3a)를 접어줄 때에도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판(2)의 저부 좌,우측에서 전,후방으로 서로 마주하고 있는 양측 긴받침다리들 중 회전제어축(7)이 구비된 가동힌지(5)가 부착되어 있는 일측 긴받침다리(3a)를 접어주게 되면 보강연결간(8a)에 의해 연결된 타측 긴받침다리도 함께 접혀지는 상태가 되는데, 이때에도 작업자는 손으로 회전제어축(7)의 누름부(75)를 눌러서 양측 회전제어돌부(71)(72)가 원호안내홈(52)의 일측 걸림홈(53)에서 이완되게 하면서 일측 긴받침다리(3a)를 접어주는 것이며, 이와 같은 작동으로 양측 긴받침다리(3a)를 상판(2) 저부에 밀착되게 접어주게 되면 보강연결간(8a)의 상,하면에 부착된 양측 삽착구(81)의 삽입돌부(81a)가 상판(2) 저부에 고정 부착된 볼협지구(82)에 탄력적으로 삽입 고정되므로써 상기 상판(2)의 저부 네모서리부분 각각에 부착되어 있는 짧은받침다리(3b)들을 수직상으로 기립작동시켜서 작업대(1)를 낮은 높이(h)로 설치하여 사용하게 될 때 상판(2) 저부에 밀착된 각 긴받침다리(3a)들은 밑으로 처지는 현상이나 덜렁거리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짧은받침다리(3b)를 수직상으로 기립작동시킬 때에는 앞에서 긴받침다리(3a)를 수직상으로 기립작동시킬 때와 동일한 방법으로 일측 짧은받침다리(3b)에 부착되어 있는 가동힌지(5)의 회전제어축(7) 일측에 형성된 누름부(75)를 눌러준 상태에서 기립시키는 것인데, 이때에도 일측 짧은받침다리(3b)를 기립시키게 되면 보강연결간(8b)에 의해 연결된 타측 짧은받침다리도 함께 기립작동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짧은받침다리(3b)를 기립작동시킨 후에도 체결부재(9)의 가동고리(92)를 고정고리(94)에 걸어준 상태에서 체결시키게 되면 짧은받침다리(3b)는 체결부재(9)에 의해 상판(2) 저부에 튼튼하게 부착된 상태로 상판(2)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짧은받침다리(3b)를 펼쳐서 작업대(1)를 낮은 높이(h)로 설치해 놓고 바닥에 앉아서 작업을 할 때 보강연결간(8b)은 양측 짧은받침다리(3b)의 상단부분에 부착된 상태이므로 작업자가 낮은 높이(h)로 설치된 작업대(1)의 좌,우 양측에서 양반다리 자세 및 무릎굻는 자세로 앉을 때 무릎이 닿지 않게 되는 것이다.
1 : 작업대 2 : 상판
3a : 긴받침다리 3b : 짧은받침다리
4 : 고정힌지 41 : 고정브라켓
42,43 : 돌출부 5 : 가동힌지
51 : 가동브라켓 52 : 원호안내홈
53 : 걸림홈 6 : 힌지축
7 : 회전제어축 71,72 : 회전제어돌부
73 : 스프링 74 : 연장축
75 : 누름부 8a,8b : 보강연결간
81 : 삽착구 82 : 볼협지구
9 : 체결부재 91 : 고정부착부
92 : 몸체 93 : 가동고리
94 : 고정고리

Claims (4)

  1. 상판을 받쳐 줄 수 있도록 상판 저부의 네모서리부분 각각에 절첩가능하게 부착되는 받침다리가 형성되어 있는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받침다리는,
    상기 상판을 바닥에서 높은 위치에 있도록 긴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상판의 저부 네모서리부분 각각에 고정 부착된 고정힌지에 직각상으로 회전절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힌지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긴받침다리와;
    상기 긴다리보다 짧은 길이를 가진 채 긴다리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판 저부에 고정 부착된 고정힌지에 직각상으로 회전절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힌지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짧은받침다리;
    를 한쌍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판을 높은 높이 및 낮은 높이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다리는 긴받침다리와 짧은받침다리를 한쌍으로 하여 상판의 저부 네모서리부분 각각에 총 네쌍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판을 높은 높이 및 낮은 높이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저부 네모서리부분 각각에 고정 부착된 고정힌지의 양측 고정브라켓을 관통하는 힌지축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가동힌지의 양측 가동브라켓에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점으로 하여 호형상으로 형성되는 원호안내홈이 직각을 이루는 각도범위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호안내홈의 양단에는 원호안내홈의 간격보다 큰 직경을 갖는 양측 걸림홈이 원호안내홈과 연결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힌지의 양측 고정브라켓 내측으로 마주하도록 돌출된 양측 돌출부를 관통하여 상기 가동힌지의 양측 가동브라켓 각각에 형성된 원호안내홈을 따라 원호상으로 회전이동이 가능하도록 축설되는 회전제어축의 양단에는 상기 원호안내홈의 양단에 형성된 양측 걸림홈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끼워진 채 원호안내홈 방향으로는 회전이동이 제어되도록 걸림되는 외경을 갖는 양측 회전제어돌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제어축의 양측 회전제어돌부 중 일측 회전제어돌부에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연장축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의 연장축 끝단에는 손가락으로 눌러주는 누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제어축은 고정힌지의 일측 돌출부에 일단이 지지된 채 타단은 고정힌지의 타측 돌출부에 지지되는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고정힌지의 양측 돌출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탄력설치된 채 상기 양측 회전제어돌부가 가동힌지의 양측 가동브라켓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원호안내홈의 양단에 형성된 양측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동힌지의 회전절첩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판의 저부 네모서리부분 각각에 한쌍씩 형성되는 긴받침다리와 짧은받침다리들 중 상판의 좌,우측 각각에서 전,후방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대칭 설치된 양측 긴받침다리 및 양측 긴받침다리 각각을 연결하는 양측 보강연결간에는 상판의 저부에 고정 부착된 볼협지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삽착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판을 높은 높이 및 낮은 높이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대.
  4. 제 1 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저부 네모서리부분 각각에 한쌍씩 절첩가능하게 부착되는 긴받침다리 및 짧은받침다리 각각에는 상판을 받쳐주기 위해 각 받침다리를 수직상으로 펼쳤을 때 상판 저부에 고정 부착된 고정고리에 착탈가능하게 결착되는 가동고리를 구비하고 있는 체결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판을 높은 높이 및 낮은 높이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대.
KR1020100055161A 2010-06-11 2010-06-11 상판을 높은 높이 및 낮은 높이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대 KR101260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161A KR101260857B1 (ko) 2010-06-11 2010-06-11 상판을 높은 높이 및 낮은 높이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161A KR101260857B1 (ko) 2010-06-11 2010-06-11 상판을 높은 높이 및 낮은 높이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5443A true KR20110135443A (ko) 2011-12-19
KR101260857B1 KR101260857B1 (ko) 2013-05-06

Family

ID=45502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5161A KR101260857B1 (ko) 2010-06-11 2010-06-11 상판을 높은 높이 및 낮은 높이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0857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158Y1 (ko) * 2005-05-11 2005-08-19 최진수 상다리 절첩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0857B1 (ko) 2013-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4988B2 (en) Stand for supporting a computing device
US20170000255A1 (en) Electric height adjustable desk with synchronous moving mechanical footrest
KR20160100175A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US9661923B2 (en) Table and accessory unit assembly and method of docking accessory unit to table
KR20120083324A (ko) 테이블 및 좌석 장치
KR101272310B1 (ko) 테이블 상판의 각도조절장치
GB1604659A (en) Stools
US9533410B2 (en) Foldable stand
TWI546488B (zh) 可收折腳架
EP1874155A1 (en) Improvements to a table
JP2013520248A (ja) 物体の安定化
JP2008104876A6 (ja) 折り畳みテーブル
KR101260857B1 (ko) 상판을 높은 높이 및 낮은 높이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대
US2978114A (en) Folding tripod with folding platform
US20060254858A1 (en) Folding sawhorse
JP2008104876A (ja) 折り畳みテーブル
KR102317285B1 (ko) 낚시대 받침틀 파지기능을 구비한 전폭 조절식 좌대받침틀
US20180177290A1 (en) Integrated foldable table tennis table
KR101317146B1 (ko) 테이블 상판의 각도조절장치
CA2975870A1 (en) Work and storage table
CN104172748B (zh) 一种多功能课桌
JP6185496B2 (ja) 折畳み可能な支持装置
US5647285A (en) Folding article of furniture
KR20140121999A (ko) 책상 겸용 월 베드
RU2434565C1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съемный подлокотни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