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4517A - 무선통신장치들에 있어서 자가 동기화의 영향을 최소화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장치들에 있어서 자가 동기화의 영향을 최소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4517A
KR20110134517A KR1020117026598A KR20117026598A KR20110134517A KR 20110134517 A KR20110134517 A KR 20110134517A KR 1020117026598 A KR1020117026598 A KR 1020117026598A KR 20117026598 A KR20117026598 A KR 20117026598A KR 20110134517 A KR20110134517 A KR 20110134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chronization
base station
self
wireless device
network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6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5589B1 (ko
Inventor
발렌틴 에이. 게오르기우
라비 파란키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134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4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15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one node acting as a reference for the oth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2Mutual synchroniz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3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 H04J3/0638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nodes; Internode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기지국에 의한 자가 동기화를 위한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네트워크 정보는 무선통신장치로 전송된다.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제1시간기간을 나타낸다. 상기 제1시간기간은 기지국에 의한 사일런스 기간이다. 동기화 신호들은 제1시간기간 동안 모니터링된다. 모니터링 동기화 신호들은 송신하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장치들에 있어서 자가 동기화의 영향을 최소화{MINIMIZING THE IMPACT OF SELF SYNCHRO-NIZATION 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본 출원은 2009년 4월 8일에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User Equipment Impact with Self Synchronization"란 명칭으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1/167,653호에 관한 것이며, 이를 우선권으로 청구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통신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무선통신장치들에 있어서 자가 동기화(self synchronization)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시스템들과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시스템들은 세계 수많은 사람들이 통신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무선통신시스템은 다수의 이동국(mobile station)들에 통신을 제공할 수도 있는데, 그 이동국들 각각은 기지국에 의해 서비스될 수도 있다.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기지국들은 동기적으로 작동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각각의 기지국들은 동일 소스와 클럭들을 동기화시킬 수도 있다. 동기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간섭 관리(interference management)와 같은 개선책들이 달성될 수도 있다.
현재 적소에 있는 무선통신시스템들 이외에, 새로운 부류의 소형 기지국들이 출현(emerge)했다. 이들 소형 기지국들은 유저의 집에 설치될 수도 있고, 현존하는 브로드밴드 인터넷 접속들을 이용하여 이동국들에 옥내 무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이들 미니어처 기지국들은 DSL(Digital Subscriber Line) 라우터 또는 케이블 모뎀을 통해 이동장치의 네트워크 및 인터넷에 접속된다. 이들 미니어처 기지국들을 동기화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들에 의해 이점들이 실현될 수도 있다.
기지국에 의한 자가 동기화를 위한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네트워크 정보는 무선통신장치로 전송된다.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기지국에 의한 사일런스의 기간인 제1시간기간을 나타낸다. 동기화 신호들은 상기 제1시간기간 동안 모니터링된다. 동기화 신호들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송신하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기지국은 현재 계층(current stratum)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동기화 신호들은 동기화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하여 현재 계층 이하의 계층을 갖는 기지국들에 지정된 슬롯들을 포함하는 제2시간기간에서 송신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시간기간은 동기화 신호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현재 계층 이하의 계층을 갖는 기지국들에 지정된 슬롯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 선언을 포함할 수도 있다. 공통기준신호(CRS)가 동기화 노드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상기 기지국은 트랙킹을 위해 CRS를 이용할 수도 있다.
공통기준신호(CRS)는 상기 현재 계층보다 큰 계층에 대한 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으로 선언된 서브프레임들에서 송신될 수도 있다. 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으로 선언된 서브프레임들은 제2시간기간의 일부일 수도 있다. 공통기준신호(CRS)는 상기 현재 계층 이하의 계층에 대한 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으로 선언된 서브프레임들에서 트랙킹될 수도 있다.
동기화 신호는 탐색될 수도 있다. 상기 동기화 신호가 획득되었는 지의 여부가 결정될 수도 있다. 현재 계층은 상기 동기화 신호가 획득된 경우에 상기 동기화 신호를 토대로 결정될 수도 있다.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사일런스의 기간 동안 DRX(discontinuous receive) 모드에 진입하도록 하나 이상의 무선통신장치들에 지시하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또한 무선통신장치를 위한 슬립 시간(sleep time)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기지국이 자가 동기화를 수행하는 경우에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을 식별할 수도 있다.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기지국이 자가 동기화를 수행하는 경우에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을 암시적으로(implicitly) 나타내는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동기화 신호들은 동기화 소스에 의해 전송될 수도 있다. 동기화 신호들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동기화 소스를 시간-트랙킹(time-tracking)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주파수 에러 정정은 동기화 소스를 시간-트랙킹하면서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하는 것은 파워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킨 다음, 상기 파워를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딥 페이드(deep fade)를 모방(mimic)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공통기준신호(CRS)가 송신되지 않는 서브프레임들에 그리고 그 주위에 상기 무선통신장치에 대한 스케줄링된 송신들을 포함하지 않는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하는 것은 또한 슬롯의 마지막 2개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들 상에서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를 이용하여 자가 동기화를 달성하면서, 상기 무선통신장치에 공통기준신호(CRS)를 동시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하는 것은 또한 슬롯의 마지막 2개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 상에서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를 이용하여 자가 동기화를 달성하면서, 상기 무선통신장치에 공통기준신호(CRS)를 동시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기지국은 HeNB(home evolved NodeB)일 수도 있다. 상기 무선통신장치는 레거시(legacy) 유저 장비(UE)일 수도 있다. 사일런스의 기간은 네트워크에 의해 조정될 수도 있다.
자가 동기화를 위하여 구성된 무선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무선장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들을 포함한다. 상기 명령들은 무선통신장치에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다.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기지국에 의한 사일런스의 기간인 제1시간기간을 나타낸다. 상기 명령들은 또한 상기 제1시간기간 동안 동기화 신호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다. 동기화 신호들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송신하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자가 동기화를 위하여 구성된 무선장치가 또한 기재되어 있다. 상기 무선장치는 무선통신장치에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기지국에 의한 사일런스의 기간인 제1시간기간을 나타낸다. 상기 무선장치는 또한 상기 제1시간기간 동안 동기화 신호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동기화 신호들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송신하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기지국에 의한 자가 동기화를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은 내부에 명령들을 구비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명령들은 무선통신장치에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기지국에 의한 사일런스의 기간인 제1시간기간을 나타낸다. 상기 명령들은 또한 상기 제1시간기간 동안 동기화 신호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한다. 동기화 신호들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송신하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도 1은 다수의 무선장치들을 구비한 무선통신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기지국의 자가 동기화를 위한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HeNB(home evolved NodeB)로부터 무선통신장치로의 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선언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정보의 송신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HeNB(home evolved NodeB)로부터 무선통신장치로의 DRX(discontinuous receive) 모드 메시지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정보의 송신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HeNB(home evolved NodeB)로부터 무선통신장치로의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정보의 송신을 예시한 도면;
도 6은 HeNB(home evolved NodeB)로부터 무선통신장치로의 서브프레임 인덱스(subframe index)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정보의 송신을 예시한 도면;
도 7은 다수의 조정된 사일런스 기간(coordinated silence period)들을 갖는 자가 동기화를 예시한 타이밍도;
도 8은 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들을 이용하는 자가 동기화를 위한 방법의 흐름도;
도 9는 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들을 이용하는 트랙킹(tracking)을 예시한 타이밍도;
도 10은 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들을 이용하는 자가 동기화를 위한 또다른 방법의 흐름도;
도 11은 자가 동기화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
도 12는 다수의 무선장치들과 그들의 각각의 계층을 갖는 무선통신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기지국 내에 포함될 수도 있는 소정의 구성요소들을 예시한 도면; 및
도 14는 무선통신장치 내에 포함될 수도 있는 소정의 구성요소들을 예시한 도면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는 전세계적으로 적용가능한 3세대(3G) 이동전화 명세를 정의하고자 하는 통신 협회들의 그룹들 간의 제휴이다. 3GPP LTE(Long Term Evolution)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이동전화 표준을 개선하고자 하는 3GPP 프로젝트이다. 상기 3GPP는 차세대의 이동 네트워크들, 이동 시스템들 및 이동 기기들에 대한 명세들을 정의할 수도 있다.
3GPP LTE에 있어서, 이동국 또는 이동 기기는 "유저 장비"(UE)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기지국은 eNB(evolved NodeB)로 지칭될 수도 있다. 반-자동(semi-autonomous) 기지국은 HeNB(home evolved NodeB)로 지칭될 수도 있다. 따라서, HeNB(home evolved NodeB)는 eNB의 일례일 수도 있다. 상기 HeNB(home evolved NodeB) 및/또는 HeNB(home evolved NodeB)의 커버리지 지역은 펨토셀, 피코셀, HeNB(home evolved NodeB) 셀 또는 CSG(closed subscriber group) 셀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1은 다수의 무선장치들을 갖는 무선통신시스템(100)을 보여준다. 무선통신시스템(100)들은 보이스, 데이터 등과 같은 각종 타입의 통신 컨텐트를 제공하도록 폭넓게 배치된다. 이들 시스템들은 이용가능한 시스템 자원들(예컨대, 대역폭 및 송신 전력)을 공유하여 다수의 유저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접근 시스템들일 수도 있다. 무선장치는 기지국(104) 또는 무선통신장치(114)일 수도 있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서버(102) 또한 도 1에 예시되어 있다.
기지국(104)은 하나 이상의 무선통신장치들(114)과 통신하는 국이다. 기지국(104)은 또한 액세스포인트(access point), 방송 송신기, NodeB, evolved NodeB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고, 그것들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기지국"이란 용어가 본 명세서에 사용될 것이다. 각각의 기지국(104)은 특정 지리학 영역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기지국(104)은 하나 이상의 무선통신장치(114)들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셀"이란 용어는 기지국(104) 및/또는 상기 용어가 사용되는 맥락에 따라 기지국의 커버리지 지역으로 지칭될 수 있다.
무선시스템(예컨대, 다중-접근 시스템)에서의 통신들은 무선 링크 상에서의 송신들을 통해 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통신 링크는 SISO(single-input and single-output), MISO(multiple-input and single-output), 또는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시스템을 통해 수립될 수도 있다. MIMO 시스템은 데이터 송신을 위한 다수의 (NT) 송신 안테나들과 다수의 (NR) 수신 안테나들이 각각 구비된 송신기(들) 및 수신기(들)를 포함한다. SISO 및 MISO 시스템들은 MIMO 시스템의 특정 인스턴스(instance)들이다. 상기 MIMO 시스템은 상기 다수의 송신 및 수신 안테나들에 의해 생성된 추가적인 차원(dimensionality)들이 이용된다면 개선된 성능(예컨대, 보다 높은 스루풋, 보다 큰 용량, 또는 개선된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시스템(100)은 MIMO를 이용할 수도 있다. MIMO 시스템은 TDD(time division duplex)와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시스템들 양자 모두를 지원할 수도 있다. TDD 시스템에 있어서, 포워드 및 리버스 링크 송신들은 동일한 주파수 영역 상에서 있으므로, 상호주의(reciprocity) 원리가 상기 리버스 링크 채널로부터 상기 포워드 링크 채널의 추정을 가능하도록 한다. 이는 송신하는 무선장치가 상기 송신하는 무선장치에 의하여 수신되는 통신들로부터 송신 빔포밍 게인(transmit beamforming gain)을 추출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무선통신시스템(100)은 이용가능한 시스템 자원들(예컨대, 대역폭 및 송신 전력)을 공유하여 다수의 무선통신장치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접근 시스템일 수도 있다. 이러한 다중-접근 시스템들의 예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SC-FDMA(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들, 및 SDMA(spatial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을 들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들" 및 "시스템들"이란 용어는 종종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 CDMA 네트워크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cdma2000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UTRA는 W-CDMA 및 LCR(Low Chip Rate)을 포함하는데 반해, cdma2000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커버한다. TDMA 네트워크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OFDMA 네트워크는 Evolved UTRA(E-UTRA), IEEE 802.11, IEEE 802.16, IEEE 802.20, Flash-OFDMA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UTRA, E-UTRA 및 GSM은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의 일부이다. LTE는 E-UTRA를 이용하는 UMTS의 릴리즈(release)이다. UTRA, E-UTRA, GSM, UMTS 및 LTE는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라 명명된 기구로부터의 문헌들에 기재되어 있다. cdma2000는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2"(3GPP2)라 명명된 기구로부터의 문헌들에 기재되어 있다. 명확성을 위하여, 상기 기술들의 소정의 양상들은 LTE에 대하여 후술되고, LTE 전문 용어가 하기 설명의 대부분에서 사용된다.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은 단일 캐리어 변조 및 주파수 도메인 이퀄라이제이션을 이용한다. SC-FDMA 시스템은 OFDMA 시스템과 유사한 성능 및 본질적으로 동일한 전체적인 복잡성을 가진다. SC-FDMA 신호는 그것의 고유(inherent) 단일 캐리어 구조 때문에 보다 낮은 PAPR(peak-to-average power ratio)을 가진다. SC-FDMA는 특히 보다 낮은 PAPR(peak to average power ratio)이 송신 전력 효율의 관점에서 이동 단말에 크게 이점이 있는 업링크 통신들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그것은 현재 3GPP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Evolved UTRA에 있어서 업링크 다중 접근 기법에 대한 소용되는 가설(working assumption)이다.
무선 네트워크에 있어서 기지국(104)들 간의 동기화는 간섭 관리 또는 가상 MIMO와 같은 수많은 이점들을 수반한다. 전통적으로, 셀룰러 네트워크 동기화는 기지국(104)들과 동일 장소에 있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들을 이용하여 달성된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들 및/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들이 제조 비용 고려, 전력 소비 제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들로의 가시선(line-of-sight)의 결핍 및 기타 원인들로 인하여 동기화 목적들을 위하여 항상 이용가능한 것은 아니다. 이러한 시나리오들에 있어서는, 대안적인 동기화 전략들이 필요할 수도 있다. 이러한 하나의 시나리오는 LTE 또는 LTE-A에 사용된 이종 배치(heterogeneous deployment)들이다.
통상적인 기지국(104) 이외에 HeNB(home evolved NodeB)들, 피코셀들 및 펨토셀들과 같은 저전력 기지국(104)들이 사용된다. 피코셀은 통상적인 기지국(104)들보다 훨씬 작은 스케일로 작동하는 네트워크 조작자에 의해 제어되는 기지국(104)을 지칭할 수도 있다. 펨토셀은 통상적인 기지국(104)들보다 훨씬 더 작은 스케일로 작동하는 소비자에 의해 제어되는 기지국(104)을 지칭할 수도 있다. 펨토셀은 폐쇄된 가입자 그룹(closed subscriber group)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펨토셀, 피코셀 및 HeNB(home evolved NodeB)는 유사한 송신 전력들과 커버리지 지역들을 가질 수도 있다. 펨토셀, 피코셀 및 HeNB(home evolved NodeB)는 그들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수신하기 쉽지 않은 옥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펨토셀, 피코셀 또는 HeNB(home evolved NodeB)는 심지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구비하지 못할 수도 있다. 통상적인 기지국(104)은 매크로 기지국(104)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동기화되지 않은 기지국(104)은 이미 동기화된 기지국(104)으로부터의 동기화를 도출할 수도 있다. 일단 기지국(104)이 이미 동기화된 기지국(104)으로부터 동기화를 도출한 경우, 새롭게 동기화된 기지국(104)은 상기 이미 동기화된 기지국(104)에 의해 송신된 동기화 신호들을 계속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기지국(104a)은 제2기지국(104b)으로부터의 동기화를 도출할 수도 있다. 상기 제1기지국(104a)은 상기 제2기지국(104b)에 의해 송신되는 동기화 신호들(송신)(110b)을 계속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상기 제2기지국(104b)으로부터 상기 제1기지국(104a)에 의해 수신되는 동기화 신호들은 동기화 신호들(수신)(110a)로 지칭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기지국(104a)은 동기화를 도출하기 위하여 동기화 신호들(수신)(110a)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2기지국(104b)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서버(102)와 직접 동기화될 수도 있다. 상기 제2기지국(104b)은 매크로 evolved NodeB로 지칭될 수도 있다. 상기 제2기지국(104b)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할 수도 있어, 상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서버(102)와 직접 동기화할 수 있다.
상기 제1기지국(104a)은 또한 제3기지국(104b)에 동기화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제1기지국(104a)은 동기화 신호들(송신)(108a)을 송신할 수도 있다. 상기 제1기지국(104a)으로부터 상기 제3기지국(104c)에 의해 수신되는 동기화 신호들은 동기화 신호들(수신)(108b)로 지칭될 수도 있다. 상기 제3기지국(104c)은 상기 동기화 신호들(수신)(108b)을 사용하여 동기화를 도출할 수도 있다.
상기 제1기지국(104a)은 하나 이상의 무선통신장치(114)들과 통신할 수도 있다. 무선통신장치(114)는 또한 단말, 액세스 단말, 유저 장비(UE), 가입자 유닛, 국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고, 그것들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무선통신장치(114)는 셀룰러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장치, 무선모뎀, 핸드헬드 장치, 랩탑 컴퓨터 등일 수도 있다. 무선통신장치(114)는 임의의 주어진 순간에 다운링크(116) 및/또는 업링크(118)를 통해 어떤 기지국(104)과도 통신하지 않거나, 하나 또는 다수의 기지국(104)과 통신할 수도 있다. 상기 다운링크(116)(또는 포워드 링크)는 기지국(104)으로부터 무선통신장치(114)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상기 업링크(118)(또는 리버스 링크)는 무선통신장치(114)로부터 기지국(104)으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무선통신장치(114)와의 통신의 일부로서, 상기 제1기지국(104a)은 공통기준신호(CRS)(120)를 상기 무선통신장치(114)에 송신할 수도 있다. 상기 공통기준신호(CRS)(120)는 셀 탐색, 초기 획득 및 다운링크(116) 채널 품질 측정들을 위하여 상기 무선통신장치(114)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기지국(104a)은 상기 기지국과 상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서버 간의 중간 동기 노드(intermediate synchronous node)들의 현재 개수(106)를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104)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서버(102) 간의 중간 동기 노드들의 개수(106)는 계층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1에서, 상기 제1기지국(104a)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서버(102) 간의 중간 동기 노드들의 현재 개수(106)는 하나이다(제2기지국(104b)). 따라서, 상기 제1기지국(104a)은 Stratum-1의 현재 계층을 가진다.
상기 제1기지국(104a)은 조정된 사일런스 모듈(coordinated silence module; 112)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기지국(104a)은 상기 제2기지국(104b)으로부터 동기화를 획득할 수도 있고, 동기화를 상기 제3기지국(104b)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기지국(104a)이 상기 제2기지국(104b)으로부터 동기화를 획득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1기지국(104a)은 상기 제2기지국(104b)으로부터 동기화 신호들(송신)(110b)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상기 제2기지국(104b)으로부터 동기화 신호들(송신)(110b)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상기 제1기지국(104a)은 제1기지국(104a)이 통상적으로 송신할 수도 있는 일부 슬롯들에서 상기 무선통신장치(114)에 송신하는 것을 중단하여야 할 수도 있다. 이들 송신들은 상기 공통기준신호(CRS)(120) 뿐만 아니라 다른 네트워크 정보 또는 데이터 전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사일런스의 기간들은 상기 제1기지국(104a)으로부터의 송신들을 예상하는 것 및/또는 채널 측정들을 수행하는 것을 시도하는 중인 무선통신장치(114)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상기 무선통신장치(114)가 일부 서브프레임들에서 스케줄링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무선통신장치(114)는 여전히 상기 제1기지국(104a)으로부터 상기 공통기준신호(CRS)(120)의 송신을 예상할 수도 있다. 상기 제1기지국(104a)이 상기 제2기지국(104b)의 동기화 신호들(송신)(110b)을 모니터링 중이거나 동기화 신호들(송신)(108a)을 상기 제3기지국(104c)에 송신 중인 경우, 상기 제1기지국(104a)은 상기 공통기준신호(CRS)(120)를 상기 무선통신장치(114)에 송신하지 못할 수도 있다. 상기 무선통신장치(114) 및 전체 무선통신시스템(100)을 방해하지 않기 위하여, 이들 조정된 사일런스 기간들의 영향이 최소화될 필요가 있다.
상기 조정된 사일런스 모듈(112)은 각각의 조정된 사일런스 기간의 스타팅 시간들과 길이를 결정할 수도 있다. 각각의 조정된 사일런스 기간에 대한 스타팅 시간 및 길이는 상기 무선통신네트워크(100)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상기 조정된 사일런스 모듈(112)은 무선통신장치(114) 상에서 조정된 사일런스 기간들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상기 무선통신장치(114) 상에서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자가 동기화를 지원하기 위하여 상이한 방법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정된 사일런스 모듈(112)은 업커밍 조정된 사일런스 기간들을 상기 무선통신장치(114)에 통지할 수도 있다. 또다른 예로는, 상기 조정된 사일런스 모듈(112)은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109a) 또는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109b)와 같은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공통기준신호(CRS)(120)를 계속 송신하면서 상기 제2기지국(104b)과의 동기화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PSS/SSS(109)는 슬롯의 마지막 2개의 OFDM 심볼들만을 점유하고, 시간 도메인 또는 주파수 도메인에 있어서 상기 공통기준신호(CRS)(120)와 중첩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공통기준신호(CRS)(120)는 여전히 상기 제1기지국(104a)이 상기 제2기지국(104b)의 PSS/SSS(109)를 모니터링하는 동안 송신될 수 있다. 상기 PSS/SSS(109)를 트랙킹하는 것은 상기 제1기지국(104a)이 도너 제2기지국(104b)의 PSS/SSS(109)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자신의 PSS/SSS 송신을 셧 다운시킬 필요가 있을 수도 있으므로 일부 역호환성(backwards compatibility)을 희생시킬 수도 있다. 또다른 예로서, 상기 조정된 사일런스 모듈(112)은 점진적으로 상기 무선통신장치(114)에 대한 전력을 저하시킨 다음 전력을 증가시켜 페이드(fade)를 모방(mimic)한다. 상기 무선통신장치(114)는 전파 환경에 의해 야기되는 공통기준신호(CRS)(120)의 부재를 해석하고, 개선을 위한 조건들을 대기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페이드의 지속기간 및 이식(implantation)에 좌우될 수도 있다.
도 2는 기지국(104)의 자가 동기화를 위한 방법(200)의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200)은 상기 제1기지국(104a)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기지국(104a)은 HeNB(home evolved NodeB)일 수도 있다. 상기 제1기지국(104a)은 상기 제1기지국(104a)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서버(102) 간의 중간 동기 노드들의 현재 개수(106)를 결정할 수도 있다(202). 기지국(104)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서버(102) 간의 중간 동기 노드들의 개수(106)는 계층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기지국(104a)은 그 후에 상기 제1기지국(104a)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서버(102) 간의 중간 동기 노드들의 현재 개수(106)를 토대로 제1의 조정된 사일런스 기간 및 제2의 조정된 사일런스 기간을 결정할 수도 있다(204). 추가적인 조정된 사일런스 기간들 또한 결정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기지국(104a)은 무선통신장치(114)에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206).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결정된 제1의 조정된 사일런스 기간 및 상기 결정된 제2의 조정된 사일런스 기간을 기초로 할 수도 있다.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무선통신장치(114) 상에서 상기 조정된 사일런스 기간들의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된 정보일 수도 있다.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 선언을 포함할 수도 있다. 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에 있어서, 송신은 동일 자원 블럭을 이용하여 evolved NodeB들의 시간-동기화 세트로부터 일어난다. 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의 사용이 에어 컴바이닝(air combining)을 통해 가능함으로써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을 개선할 수도 있다. 서브프레임이 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인 것으로 선언된다면, 무선통신장치(114)는 이러한 서브프레임의 추후 부분을 무시할 것이다. 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 선언들은 도 3과 관련하여 추가적으로 상세히 후술한다.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DRX(discontinuous receive) 모드 메시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DRX(discontinuous receive) 모드 메시지는 무선통신장치(114)를 보다 긴 시간 기간 동안 슬립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보다 긴 시간 기간은 제1의 조정된 사일런스 기간 및/또는 제2의 조정된 사일런스 기간과 일치할 수도 있다. 상기 무선통신장치(114)는 그 후에 상기 제1기지국(104a)으로부터의 송신들의 결핍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을 수도 있다. DRX(discontinuous receive) 모드 메시지들은 도 4와 관련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케줄링 정보는, 송신들이 상기 제1기지국(104a)으로부터 상기 무선통신장치(114)로 스케줄링되는 경우에 상기 무선통신장치(114)에 표시될 수도 있다. 공통기준신호(CRS)(120)가 송신되지 않는 서브프레임들에서 그리고 그 주위에서는 상기 무선통신장치(114)에 대한 임의의 송신들을 스케줄링하지 않음으로써, 조정된 사일런스 기간들을 이용하는 영향이 최소화될 수도 있다. 스케줄링 정보는 도 5와 관련하여 추가적으로 상세히 후술한다.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서브프레임 인덱스는 상기 제1기지국(104a)이 송신하지 않을 서브프레임들을 상기 무선통신장치(114)에 통지할 수도 있다. 무선통신장치(114)가 상기 제1기지국(104a)이 자가 동기화를 수행하고 있는 서브프레임들을 아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장치(114)는 공통기준신호(CRS)(120) 추정치에 대해 상기 서브프레임들을 이용하는 것을 피할 수도 있다. 서브프레임 인덱스들은 도 6과 관련하여 추가로 후술한다.
상기 제1기지국(104a)이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무선통신장치(114)에 전송한 후, 상기 제1기지국(104a)이 상기 제1의 조정된 사일런스 기간 동안 동기화 신호들(송신)(110b)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208). 상기 동기화 신호들(송신)(110b)은 상기 제2기지국(104b)과 같은 동기화 기지국(104)에 의해 송신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기지국(104a)은 상기 동기화 신호들(송신)(110b)을 모니터링하면서(208) 송신들을 중단시킬 수도 있다. 일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기지국(104a)은 상기 동기화 신호들(송신)(110b)을 모니터링하면서 상기 공통기준신호(CRS)(120)를 계속 송신할 수도 있다.
상기 제1기지국(104a)은 상기 제2의 조정된 사일런스 기간 동안 동기화 신호들(송신)(108a)을 송신할 수도 있다(210). 상기 동기화 신호들(송신)(108a)은 인근 기지국(104) 모두가 그들을 수신할 수 있도록 방송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기지국(104a)은 상기 제2의 조정된 사일런스 기간 동안 상기 무선통신장치(114)에 대하여 임의의 송신들을 전송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일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기지국(104a)은 상기 동기화 신호들(송신)(108a)을 송신하면서 상기 공통기준신호(CRS)(120)를 계속 송신할 수도 있다. 상기 제1기지국(104a)은 주파수 에러 정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212). 일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기지국(104a)은 동기화 소스를 시간-트랙킹하면서(즉, 제2기지국(104b)으로부터 동기화 신호들(송신)(110b)을 수신하면서) 주파수 에러 정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212). 상기 제1기지국(104a)은 또한 타이밍 에러 정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3은 HeNB(home evolved NodeB)(304)로부터 무선통신장치(314)로의 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선언(322)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정보(311)의 송신을 예시한다. 도 3의 HeNB(home evolved NodeB)(304)는 도 1의 제1기지국(104a)의 일 구성일 수도 있다. 도 3의 무선통신장치(314)는 도 1의 무선통신장치(114)의 일 구성일 수도 있다.
상기 네트워크 정보(311)는 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 선언(322)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 선언(322)은 상기 시스템 정보 메시지들(예컨대, SIB(system information block)) 중 하나에 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을 나타내는 비트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들로서 선언된 서브프레임들의 부분들이 상기 무선통신장치(314)에 의해 무시될 수도 있다. 상기 HeNB(home evolved NodeB)(304)는 트랙킹을 위하여 동기화 기지국(104)(즉, 제2기지국(104b))에 의해 송신된 공통기준신호(CRS)(120)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동기화 기지국(104)은 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을 선언할 필요가 없다.
도 4는 HeNB(home evolved NodeB)(404)로부터 무선통신장치(414)로의 DRX(discontinuous receive) 모드 메시지(424)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정보(411)의 송신을 예시한다. 도 4의 HeNB(home evolved NodeB)(404)는 도 1의 제1기지국(104a)의 일 구성일 수도 있다. 도 4의 무선통신장치(414)는 도 1의 무선통신장치(114)의 일 구성일 수도 있다. 상기 DRX(discontinuous receive) 모드 메시지(424)는 DRX(discontinuous receive) 모드에 진입하도록 무선통신장치(414)에 지시할 수도 있는데, 여기서 상기 무선통신장치(414)는 연장된 시간 기간 동안 슬립한다. 상기 HeNB(home evolved NodeB)(404)가 자가 동기화를 수행하는 경우(즉, 제1의 조정된 사일런스 기간 및 제2의 조정된 사일런스 기간 동안)에 상기 무선통신장치(414)가 슬립한다면, 상기 자가 동기화는 상기 무선통신장치(414)의 성능에 영향을 주지 못할 수도 있다. 무선통신장치(414)는 (RRC(Radio Resource Control)와 같은) 상부층들에 의한 DRX(discontinuous receive) 모드를 위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DRX(discontinuous receive) 모드 메시지(424)는 상기 무선통신장치(414)가 슬립하는 시간(슬립 시간 470) 및 상기 무선통신장치(414)가 제어 채널을 탐색하는 시간(탐색 시간 471)의 양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는 HeNB(home evolved NodeB)(504)로부터 무선통신장치(514)로의 스케줄링 정보(525)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정보(511)의 송신을 예시한다. 도 5의 HeNB(home evolved NodeB)(504)는 도 1의 제1기지국(104a)의 일 구성일 수도 있다. 도 5의 무선통신장치(514)는 도 1의 무선통신장치(114)의 일 구성일 수도 있다. 상기 스케줄링 정보(525)는 조정된 사일런스 기간들 동안 상기 무선통신장치(514)에 대하여 임의의 송신들을 스케줄링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조정된 사일런스 기간들을 상기 무선통신장치(514)에 암시적으로 통지할 수도 있다.
도 6은 HeNB(home evolved NodeB)(604)로부터 무선통신장치(614)로의 서브프레임 인덱스(626)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정보(611)의 송신을 예시한다. 도 6의 HeNB(home evolved NodeB)(604)는 도 1의 제1기지국(104a)의 일 구성일 수도 있다. 도 6의 무선통신장치(614)는 도 1의 무선통신장치(114)의 일 구성일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프레임 인덱스(626)는 상기 HeNB(home evolved NodeB)(604)가 송신하지 않을 서브프레임들을 상기 무선통신장치(614)에 명시적으로(explicitly) 통지할 수도 있다. 상기 HeNB(home evolved NodeB)(604)에 의한 자가 동기화의 효과는, 상기 HeNB(home evolved NodeB)(604)로부터의 송신들이 수신되지 않을 경우, 상기 무선통신장치(614)가 서브프레임들을 알게 된다면 최소화될 수도 있다. 상기 서브프레임 인덱스(626)는 또한 상기 서브프레임이 다운링크(116) 송신들에 사용되지 않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다. 상기 무선통신장치(614)로의 서브프레임 인덱스(626)의 전송은, 상기 무선통신장치(614)가 레거시 장치인 경우에 지원되지 못할 수도 있지만, 미래 릴리즈(future release)들에서는 지원될 수도 있다. 상기 서브프레임들은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예컨대, 서브프레임 인덱스(626)의 함수로서).
도 7은 다수의 조정된 사일런스 기간(730)들과 함께 자가 동기화를 예시하는 타이밍도이다. 각각의 조정된 사일런스 기간(730)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704)의 자가 동기화에 대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의 조정 사일런스 기간(730a)은 제1기지국(704a) 및 제2기지국(704b)의 자가 동기화에 대응할 수도 있다. 상기 제1기지국(704a)은 Stratum-1의 계층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제2기지국(704b)은 Stratum-0의 계층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제1기지국(704a)은 상기 제2기지국(704b)으로부터 동기화를 도출할 수도 있다. 상기 제2기지국(704b)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소스(102)로부터 동기화를 도출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의 조정된 사일런스 기간(730a) 동안, 상기 제1기지국(704a)은 동기화 신호들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고(734), 상기 제2기지국(704b)은 동기화 신호들을 송신할 수도 있다(732a). 상기 제1기지국(704a)은 상기 제2기지국(704b)을 포함한 다수의 기지국(104)들로부터의 동기화 신호들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734). 상기 동기화 신호들은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109a) 및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109b)와 같은 동기화 신호들(송신)(110b)일 수도 있다. 상기 제2기지국(704b)은 상기 제1기지국(704a) 이외에 다른 기지국(104)에 동기화 신호들을 송신할 수도 있다(732a). 제3기지국(704c)은 상기 제1기지국(704a)으로부터 동기화를 도출할 수도 있다. 상기 제3기지국(704c)은 Stratum-2의 계층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제1의 조정된 사일런스 기간(730a) 동안, 상기 제3기지국(704c)은 동기화 신호들에 대하여 모니터링하도록 시도하면서(738a) 사일런스 상태로 남아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제3기지국(704c)이 상기 네트워크에서의 변화를 검출한다면, 상기 제3기지국(704c)은 이에 따라 계층을 수정할 수도 있다.
제2의 조정된 사일런스 기간(730b)은 상기 제1기지국(704a), 상기 제2기지국(704b) 및 상기 제3기지국(704c)의 자가 동기화에 대응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의 조정된 사일런스 기간(730b) 동안, 상기 제1기지국(704a)은 이러한 동기화 신호들(송신)(108a)과 같은 동기화 신호들을 송신할 수도 있다(736a). 상기 제1기지국(704a)은 상기 제3기지국(704c)을 포함한 다수의 기지국(104)들에 동기화 신호들을 송신할 수도 있다(736a). 상기 제2의 조정된 사일런스 기간(730b) 동안, 상기 제3기지국(704c)은 동기화 신호들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738b). 상기 제2기지국(704b)은 또한 상기 제2의 조정된 사일런스 기간(730b) 동안 동기화 신호들을 송신할 수도 있다(732b).
제3의 조정된 사일런스 기간(730c)은 상기 제1기지국(704a), 상기 제2기지국(704b) 및 상기 제3기지국(704c)의 자가 동기화에 대응할 수도 있다. 상기 제3의 조정된 사일런스 기간(730c) 동안, 상기 제3기지국(704c)은 동기화 신호들을 송신할 수도 있다(740). 상기 제1기지국(704a)은 상기 제3의 조정된 사일런스 기간(730c) 동안 동기화 신호들을 송신할 수도 있다(736b). 또한, 상기 제2기지국(704b)은 상기 제3의 조정된 사일런스 기간(730c) 동안 동기화 신호들을 송신할 수도 있다(732c). 다른 기지국들(104)(도시되지 않음)은 상기 제3기지국(704c)에 의해 송신되는 동기화 신호들을 수신할 수도 있다.
도 8은 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들을 이용하는 자가 동기화를 위한 방법(800)의 흐름도이다. 도 8의 방법(800)은 제1기지국(104a)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기지국(104a)은 HeNB(home evolved NodeB)(304)일 수도 있다. 상기 제1기지국(104a)은 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으로서 서브프레임을 선언하는 네트워크 정보(311)를 무선통신장치(114)에 전송할 수도 있다(802).
상기 제1기지국(104a)은 그 후에 상기 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의 제1부분 동안 동기화 기지국(104b)의 공통기준신호(CRS)를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804). 상기 제1기지국(104a)은 상기 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의 제2부분 동안 동기화 신호들(송신)(108a)을 송신할 수도 있다(806).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들을 가질 수도 있다(즉, 각각의 슬롯은 서브프레임의 일부일 수도 있음). 상기 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의 제1부분(또는 제1슬롯)은, 상기 제2부분(또는 제2슬롯)이 송신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는 동안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일 구성에 있어서는, 전체 서브프레임이 모니터링 또는 송신에 사용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무선통신장치(114)는 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들로서 선언된 서브프레임들을 무시할 수도 있다.
도 9는 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들을 이용하는 트랙킹을 예시한 타이밍도이다. HeNB(home evolved NodeB)(314)는 동기화를 트랙킹하기 위하여 서브프레임(948)에 대한 송신을 정지할 수도 있다. 동기화 트랙킹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HeNB(home evolved NodeB)(314)는 이러한 서브프레임(948)을 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인 것으로 선언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은 동기화 경로에 있어서 다수의 홉(hop)들을 고려한다. 또한, 무선통신시스템(100)에서의 모든 노드들이 (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들을 동시에 모두 선언함으로써) 조정된 형태로 트랙킹할 수 있으므로, 간섭을 최소화하게 된다.
매크로 evolved NodeB(942), 제1의 HeNB(home evolved NodeB)(944) 및 제2의 HeNB(home evolved NodeB)(946)에 대한 타이밍 구조들이 예시되어 있다. 도 9의 매크로 evolved NodeB(942)는 도 1의 제2기지국(104b)의 일 구성일 수도 있고, Stratum-0의 계층을 가질 수도 있다. 도 9의 제1의 HeNB(home evolved NodeB)(944)는 도 1의 제1기지국(104a)의 일 구성일 수도 있고, Stratum-1의 계층을 가질 수도 있다. 도 9의 제2의 HeNB(home evolved NodeB)(946)는 도 1의 제3기지국(104c)의 일 구성일 수도 있고, Stratum-2의 계층을 가질 수도 있다.
제1서브프레임(948a) 동안, 상기 매크로 evolved NodeB(942)는 공통기준신호(CRS)를 송신할 수도 있다(950a). 상기 제1의 HeNB(home evolved NodeB)(944)는 또한 공통기준신호(CRS)(120)를 송신할 수도 있다(952a). 또한, 상기 제2의 HeNB(home evolved NodeB)(946)는 공통기준신호(CRS)를 송신할 수도 있다(956).
도 9의 제2서브프레임(948b)은 도 7의 제1의 조정된 사일런스 기간(730a)의 일 구성일 수도 있다. 상기 매크로 evolved NodeB(942)는 상기 제2서브프레임(948b) 동안 공통기준신호(CRS)를 송신할 수도 있다(950b). 상기 제1의 HeNB(home evolved NodeB)(944)는 상기 제2서브프레임(948b) 동안 동기화 신호들을 수신할 수도 있다(954). 따라서, 상기 제1의 HeNB(home evolved NodeB)(944)는 상기 제1의 HeNB(home evolved NodeB)(944)와 통신하는 상기 무선통신장치(114)들에 대하여 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으로서 상기 제2서브프레임(948b)을 선언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제2의 HeNB(home evolved NodeB)(946)는 또한 상기 제2서브프레임(948b) 동안 동기화 신호들을 수신할 수도 있다(958a). 따라서, 상기 제2의 HeNB(home evolved NodeB)(946)는 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으로서 상기 제2서브프레임(948b)을 선언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일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2의 HeNB(home evolved NodeB)(946)는 보다 낮은 계층을 갖는 또다른 기지국(104)으로부터 제2서브프레임(948b) 동안 동기화 신호들을 발견 및 수신할 수도 있다(958a).
도 9의 제3서브프레임(948c)은 도 7의 제2의 조정된 사일런스 기간(730b)의 일 구성일 수도 있다. 상기 매크로 evolved NodeB(942)는 상기 제3서브프레임(948c) 동안 공통기준신호(CRS)를 송신할 수도 있다(950c). 상기 제1의 HeNB(home evolved NodeB)(944)는 또한 상기 제3서브프레임(948c) 동안 공통기준신호(CRS)(120)를 송신할 수도 있다(952b). 상기 제2의 HeNB(home evolved NodeB)(946)는 상기 제1의 HeNB(home evolved NodeB)(944)로부터 상기 제3서브프레임(948c) 동안 동기화 신호들을 수신할 수도 있다(958b). 그러므로, 상기 제2의 HeNB(home evolved NodeB)(946)는 상기 제2의 HeNB(home evolved NodeB)(946)와 통신하는 상기 무선통신장치(114)들에 대하여 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으로서 상기 제3서브프레임(948c)을 선언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들을 이용하는 것은 전체 네트워크가 동일한 동기화 소스(예컨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서버(102)와 같은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를 이용하고 루프들이 생성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한다. 이는 각각의 HeNB(home evolved NodeB)(944, 946)가 자신의 도너 기지국(104)의 계층보다 큰 것으로 자신의 계층을 선언하기 때문이다. HeNB(home evolved NodeB)(944, 946)의 계층 개수는 자가-구성된다. 또한, 상기 HeNB(home evolved NodeB)(944, 946)는 최하의 이용가능한 계층을 갖는 노드를 트랙킹하도록 시도한다. 따라서, 이는 상기 HeNB(home evolved NodeB)(944, 946)를 가능한 한 GNSS의 타이밍에 근접되도록 허용한다. 상기 계층 개수는 (셧 오프되는 HeNB(home evolved NodeB)(944, 946)들과 같은) 조건들을 변경함에 따라 변할 수도 있는 동적 품질이다.
도 10은 자가 동기화를 위한 또다른 방법(1000)의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1000)은 기지국(104a)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기지국(104a)은 HeNB(home evolved NodeB)(304)일 수도 있다. 상기 기지국(104a)은 우선 파워업될 수도 있다(1002). 상기 기지국(104a)은 그 후에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또는 CRS(Common Reference Signal)와 같은) 동기화 신호를 탐색할 수도 있다(1004). 상기 기지국(104a)이 동기화 신호를 탐색하는 동안, 상기 기지국(104)으로부터의 송신들이 턴 오프될 수도 있다. 상기 기지국(104a)은 그 후에 동기화 신호가 획득되었는 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1006). 동기화 신호가 획득되지 않고 상기 기지국(104a)이 TDD(time division duplexing) 모드에서 작동 중인 경우, 상기 기지국(104a)은 동기화 신호를 계속 탐색할 수도 있다(1004). 동기화 신호가 획득되지 않고 상기 기지국(104a)이 FDD(frequency division duplexing) 모드에서 작동 중인 경우, 상기 기지국(104a)은 서칭 시간이 시작할 때까지 송신할 수도 있다(1007). 일단 서칭 시간이 시작하면, 상기 기지국(104a)은 동기화 신호들을 탐색하는 것으로 리턴할 수도 있다(1004).
동기화 신호가 획득되었다면, 상기 기지국(104a)은 현재 계층을 결정할 수도 있다(1008). 상기 현재 계층은 동기화 신호를 방송하는 동기화 기지국(104b)의 계층보다 큰 것일 수도 있다. 동기화 기지국(104b)의 계층은 상기 동기화 신호의 방송에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기지국(104a)은 동기화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하여 현재 계층 이하의 계층을 갖는 기지국들에 지정된 슬롯들에서 (공통기준신호(CRS)(120)와 같은) 동기화 신호들을 송신할 수도 있다(1010). 상기 기지국(104a)은 또한 동기화 신호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현재 계층 이하의 계층을 갖는 기지국들에 지정된 슬롯들에서 (공통기준신호(CRS)(120)와 같은) 동기화 신호들을 트랙킹할 수도 있다(1012). 다시 말해, 상기 기지국(104a)은 제1의 조정된 사일런스 기간에서 동기화 신호들(송신)(108a)을 송신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의 조정된 사일런스 기간 동안, 상기 현재 계층 이하의 계층을 갖는 모든 기지국(104)들 또한 동기화 신호들을 송신할 것이다. 상기 기지국(104a)은 제2의 조정된 사일런스 기간에서 사일런스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고 동기화 신호들(수신)(110a)을 트랙킹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의 조정된 사일런스 기간 동안, 상기 현재 계층보다 큰 계층을 갖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104) 또한 동기화 신호들을 트랙킹할 수도 있다.
각각의 계층에 대한 사일런스의 기간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의 사일런스 기간 동안, Stratum-0의 계층을 갖는 모든 기지국(104)들이 송신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의 사일런스 기간 동안, 다른 기지국(104)들 모두(즉, Stratum-1, Stratum-2...의 계층을 갖는 기지국들)은 동기화 신호들을 모니터링하면서 사일런스 상태로 유지된다. 제2의 사일런스 기간 동안, Stratum-1 및 Stratum-0의 계층을 갖는 모든 기지국(104)들이 송신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의 사일런스 기간 동안, 다른 기지국(104)들 모두(즉, Stratum-2, Stratum-3...의 계층을 갖는 기지국들)은 동기화 신호들을 모니터링하면서 사일런스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기지국(104a)은 그 후에 동기화가 획득되었는지/트랙킹이 성공적이 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1014). 동기화가 획득되었고/트랙킹이 성공적이라면, 상기 기지국(104a)은 새로운 현재 계층을 도출할 수도 있다(1008). 동기화가 획득되지 않고/트랙킹이 성공적이지 않는다면, 상기 기지국(104a)은 동기화 신호를 탐색하는 것(1004)으로 리턴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법에 의해 초래된 오버헤드(overhead)는 기지국(104a)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소스(102) 간의 홉들의 개수에 좌우될 수도 있다. 상기 오버헤드는 모든 320개 서브프레임들에서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곱하는 홉들의 개수로서 계산될 수도 있다. 상기 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 방법은 주파수 동기화 및 잠재적으로는 시간 동기화를 도출하기 위하여 FDD(frequency division duplexing)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1은 자가 동기화 네트워크 정보(311)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1100)의 흐름도이다. 도 11의 방법은 무선통신장치(114)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통신장치(114)는 HeNB(home evolved NodeB)(304)로부터 네트워크 정보(311)를 수신할 수도 있다(1102). 상기 네트워크 정보(311)는 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 선언(322), DRX(discontinuous receive) 모드 메시지(424), 스케줄링 정보(525), 또는 서브프레임 인덱스(626)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무선통신장치(114)는 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들로 선언된 서브프레임들(948)의 추후 부분을 무시할 수도 있다(1104). 상기 무선통신장치(114)는 또한 조정된 사일런스 기간 동안 DRX(discontinuous receive) 모드에 들어갈 수도 있다(1106). 상기 무선통신장치(114)는 상기 HeNB(home evolved NodeB)(304)가 자가 동기화를 위하여 사용하는 CRS(common reference signal) 추정을 위해 서브프레임(948)들을 이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도 있다(1108).
도 12는 다수의 무선장치들과 그들 각각의 계층(1262, 1264, 1266)을 갖는 무선통신시스템(1200)을 보여준다. 상술된 바와 같이, 계층은 기지국(1204)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서버(1202) 간의 중간 동기 노드들의 개수를 지칭한다. 상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서버(1202)로부터 한 홉 이격된 기지국(1204a)은 Stratum-0(1262a)의 계층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서버(1202)로부터 두 홉 이격된 기지국들(1204b-c)은 Stratum-1(1262b-c)의 계층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서버(1202)로부터 세 홉 이격된 기지국(1204d)은 Stratum-2(1262d)의 계층을 가질 수도 있다.
각각의 기지국(1204)은 상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서버(1202)에 정렬하여 바로 선행하는 기지국(1204)의 계층을 토대로 계층을 도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tratum-2(1262d)의 계층을 갖는 기지국(1204d)은 Stratum-1(1262b)을 갖는 기지국(1204b)으로부터 계층을 도출할 수도 있다. 동기화되지 않은 HeNB(home evolved NodeB)(1260)는 상기 HeNB(home evolved NodeB)(1260)가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는 각각의 기지국(1204)으로부터 계층을 도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HeNB(home evolved NodeB)(1260)는 상기 기지국(1204d)의 Stratum-2(1262d)를 토대로 Stratum-3(1264)을 도출할 수도 있다. 상기 HeNB(home evolved NodeB)(1260)는 또한 상기 기지국(1204c)의 Stratum-1(1262c)을 토대로 Stratum-2(1266)를 도출할 수도 있다. 상기 도출된 계층(1264, 1266)은 선행 기지국(1204)의 계층(1262)보다 큰 것일 수도 있다. 상기 HeNB(home evolved NodeB)(1260)는 동기화 기지국으로서 대응하는 최저 계층(1262)을 갖는 기지국(1204)을 선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HeNB(home evolved NodeB)(1260)는 동기화 기지국으로서 기지국(1204c)을 선택하고, 현재 계층으로서 Stratum-2(1266)를 선택할 수도 있다.
도 13은 기지국(1301) 내에 포함될 수도 있는 소정의 구성요소들을 예시한다. 기지국은 또한 액세스포인트, 방송 송신기, NodeB, evolved NodeB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고, 그것들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기지국(1301)은 프로세서(1303)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1303)는 범용 단일- 또는 다중-칩 마이크로프로세서(예컨대, ARM), 특수용의 마이크로프로세서(예컨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마이크로컨트롤러, 프로그램가능한 게이트 어레이 등일 수도 있다. 상기 프로세서(1303)는 중앙처리유닛(CPU)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단일 프로세서(1303)만이 도 13의 기지국(1301)에 도시되어 있지만, 대안적인 구성에서는, 프로세서들의 조합(예컨대, ARM 및 DSP)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기지국(1301)은 또한 메모리(1305)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1305)는 전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전자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305)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자기디스크저장매체, 광저장매체, RAM 내의 플래시메모리장치,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포함된 온-보드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및 그 조합들을 포함하는 것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데이터(1307) 및 명령들(1309)은 상기 메모리(1305)에 저장될 수도 있다. 상기 명령들(1309)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들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세서(1303)에 의해 실행가능할 수도 있다. 상기 명령들(1309)을 실행하는 것은 상기 메모리(1305)에 저장되는 데이터(1307)의 사용을 수반할 수도 있다. 상기 프로세서(1303)가 상기 명령들(1309)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명령들의 각종 부분들(1309a)은 상기 프로세서(1303) 상으로 로딩될 수도 있고, 데이터의 각종 피스들(1307a)은 상기 프로세서(1303) 상으로 로딩될 수도 있다.
상기 기지국(1301)은 또한 상기 기지국(1301)과 신호들을 송수신하도록 하기 위하여 송신기(1311) 및 수신기(131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송신기(1311) 및 수신기(1313)는 집합적으로 송수신기(1315)로 지칭될 수도 있다. 안테나(1317)는 상기 송수신기(1315)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기지국(1301)은 또한 다수의 송신기들, 다수의 수신기들, 다수의 송수신기들 및/또는 추가적인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도시되지 않음).
상기 기지국(1301)의 각종 구성요소들은, 파워버스, 제어신호버스, 상태신호버스, 데이터버스 등을 포함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버스들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명확성을 위하여, 각종 버스들은 버스 시스템(1319)으로서 도 13에 예시되어 있다.
도 14는 무선통신장치(1414) 내에 포함될 수도 있는 소정의 구성요소들을 예시한다. 상기 무선통신장치(1414)는 액세스 단말, 이동국, UE 등일 수도 있다. 상기 무선통신장치(1414)는 프로세서(1403)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1403)는 범용 단일- 또는 다중-칩 마이크로프로세서(예컨대, ARM), 특수용의 마이크로프로세서(예컨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마이크로컨트롤러, 프로그램가능한 게이트 어레이 등일 수도 있다. 상기 프로세서(1403)는 중앙처리유닛(CPU)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단일 프로세서(1403)만이 도 14의 무선통신장치(1414)에 도시되어 있지만, 대안적인 구성에서는, 프로세서들의 조합(예컨대, ARM 및 DSP)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통신장치(1414)는 또한 메모리(1405)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1405)는 전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전자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405)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자기디스크저장매체, 광저장매체, RAM 내의 플래시메모리장치,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포함된 온-보드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및 그 조합들을 포함하는 것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데이터(1407) 및 명령들(1409)은 상기 메모리(1405)에 저장될 수도 있다. 상기 명령들(1409)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들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세서(1403)에 의해 실행가능할 수도 있다. 상기 명령들(1409)을 실행하는 것은 상기 메모리(1405)에 저장되는 데이터(1407)의 사용을 수반할 수도 있다. 상기 프로세서(1403)가 상기 명령들(1409)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명령들의 각종 부분들(1409a)은 상기 프로세서(1403) 상으로 로딩될 수도 있고, 데이터의 각종 피스들(1407a)은 상기 프로세서(1403) 상으로 로딩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통신장치(1414)는 또한 상기 무선통신장치(1414)와 신호들을 송수신하도록 하기 위하여 송신기(1411) 및 수신기(141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송신기(1411) 및 수신기(1413)는 집합적으로 송수신기(1415)로 지칭될 수도 있다. 제1안테나(1417a) 및 제2안테나(1417b)는 상기 송수신기(1415)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통신장치(1414)는 또한 다수의 송신기들, 다수의 수신기들, 다수의 송수신기들 및/또는 추가적인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도시되지 않음).
상기 무선통신장치(1414)의 각종 구성요소들은, 파워버스, 제어신호버스, 상태신호버스, 데이터버스 등을 포함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버스들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명확성을 위하여, 각종 버스들은 버스 시스템(1419)으로서 도 14에 예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들은, 직교 멀티플렉싱 기법을 기초로 하는 통신 시스템들을 포함한 각종 통신 시스템들에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통신 시스템들의 예로는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SC-FDMA(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등을 들 수 있다. OFDMA 시스템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을 이용하는데, 이는 전체적인 시스템 대역폭을 다수의 직교 서브-캐리어들로 파티션하는 변조 기술이다. 이들 서브-캐리어들은 또한 톤(tones), 빈(bins) 등으로 불릴 수도 있다. OFDM에 의하면, 각각의 서브-캐리어가 데이터로 독립적으로 변조될 수도 있다. SC-FDMA 시스템은 시스템 대역폭에 걸쳐 분산되는 서브-캐리어들 상에서 송신하도록 IFDMA(interleaved FDMA)를 이용하거나, 인접한 서브-캐리어들의 블럭 상에서 송신하도록 LFDMA(localized FDMA)을 이용하거나, 또는 인접한 서브-캐리어들의 다수의 블럭들 상에서 송신하도록 EFDMA(enhanced FDMA)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변조 심볼들은 OFDM을 갖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그리고 SC-FDMA를 갖는 시간 도메인에서 전송된다.
상기 "결정하는(determining)"이란 용어는 폭넓은 범위의 액션들을 포괄하므로, "결정하는"은 계산하는 것, 연산하는 것, 처리하는 것, 도출하는 것, 조사하는 것, 찾아보는 것(예컨대, 테이블, 데이터베이스 또는 또다른 데이터 구조에서 찾아보는 것(looking up)), 확인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하는"은 수신하는 것(예컨대, 정보를 수신하는 것), 접근하는 것(예컨대, 메모리 내의 데이터에 접근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하는"은 해결하는 것, 선택하는 것, 고르는 것, 수립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대로"란 어구는 명확하게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만을 토대로"란 의미가 아니다. 다시 말해, 상기 "토대로"란 어구는 "~만을 토대로" 및 "적어도 ~를 토대로" 양자 모두를 기술한다.
상기 "프로세서"란 용어는 범용 프로세서, 중앙처리유닛(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 상태 머신 등을 포괄하는 것으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일부 상황들 하에, "프로세서"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을 지칭할 수도 있다. 상기 "프로세서"란 용어는 처리장치들의 조합, 예컨대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계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기타 이러한 구성을 지칭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란 용어는 전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전자 구성요소를 포괄하는 것으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 메모리란 용어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NVRAM(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플래시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 매체, 레지스터들 등과 같은 각종 타입의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를 지칭할 수도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가 메모리와 정보를 기록 및/또는 판독할 수 있다면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하는 것이라고 한다. 프로세서에 통합되는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하게 된다.
상기 "명령들" 및 "코드"란 용어는 임의의 타입의 컴퓨터-판독가능 문장(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명령들" 및 "코드"란 용어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 루틴들, 서브-루틴들, 함수들, 프로시저들 등을 지칭할 수도 있다. "명령들" 및 "코드"는 단일 컴퓨터-판독가능 문장 또는 수많은 컴퓨터-판독가능 문장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함수들은 하드웨어에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에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함수들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로서 저장될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또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이란 용어는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접근가능한 임의의 유형적인 저장매체를 지칭한다. 예시일뿐 비제한적으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기타 광학 디스크 저장 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혹은 기타 자기 저장 장치들, 또는 명령들이나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전달 또는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디스크 및 디스크(disk and disc)는, CD(compact disc), 레이저 디스크(laser disc), 광 디스크(optical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및 Blu-ray® 디스크(disc)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한편, 디스크(disc)들은 데이터를 레이저들을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들은 기술된 방법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단계들이나 액션들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의 단계들 및/또는 액션들은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서로 상호교환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구체적인 순서의 단계들이나 액션들이 기술되어 있는 방법의 적절한 동작들을 위하여 요구되지 않는 한, 구체적인 단계들 및/또는 액션들의 순서 및/또는 사용은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수정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 도 8 및 도 10 ~ 도 11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들과 기술들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들 및/또는 기타 적절한 수단들은 디바이스에 의해 다운로딩될 수 있고 및/또는 그렇지 않으면 디바이스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서버에 결합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각종 방법들이 저장수단(예컨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CD 또는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물리적인 저장매체 등)을 통해 제공될 수 있어, 디바이스가 상기 저장수단을 디바이스에 커플링하거나 제공할 때에 각종 방법들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본 청구항들은 위에서 설명된 것과 정확히 동일한 구성 및 구성요소들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각종 수정, 변경 및 변형들이 본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시스템들, 방법들 및 장치들의 배열, 동작 및 세부사항에 있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Claims (52)

  1. 기지국에 의해 자가 동기화(self synchronization)하는 방법으로서,
    무선통신장치에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제1시간기간을 나타내고, 상기 제1시간기간은 상기 기지국에 의한 사일런스(silence) 기간임 ―; 및
    상기 제1시간기간 동안 동기화 신호들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기화 신호들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송신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가 동기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현재 계층(current stratum)을 구비하고,
    상기 자가 동기화 방법은 제2시간기간에서 동기화 신호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시간기간은 동기화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현재 계층 이하의 계층을 갖는 기지국들을 위해 지정된 슬롯들을 포함하는,
    자가 동기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간기간은 동기화 신호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현재 계층 이하의 계층을 갖는 기지국들을 위해 지정된 슬롯들을 포함하는,
    자가 동기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 선언(declaration)을 포함하는,
    자가 동기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 동기화 방법은 동기화 노드로부터 CRS(common reference signal)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은 트랙킹을 위해 상기 CRS를 이용하는,
    자가 동기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현재 계층을 구비하고,
    상기 자가 동기화 방법은 상기 현재 계층보다 큰 계층에 대한 MBSFN으로서 선언된 서브프레임들에서 CRS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MBSFN으로서 선언된 서브프레임들은 제2시간기간을 포함하는,
    자가 동기화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현재 계층을 구비하고,
    상기 자가 동기화 방법은 상기 현재 계층 이하의 계층에 대한 MBSFN으로서 선언된 서브프레임들에서 CRS(common reference signal)를 트랙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가 동기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 동기화 방법은,
    동기화 신호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동기화 신호가 획득되었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동기화 신호가 획득된 경우에 상기 동기화 신호를 토대로 현재 계층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가 동기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사일런스 기간 동안 DRX(discontinuous receive) 모드에 진입하도록 하나 이상의 무선통신장치들에 지시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자가 동기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무선통신장치에 대한 슬립 시간(sleep time)을 포함하는,
    자가 동기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기지국이 자가 동기화를 수행하는 경우에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을 식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자가 동기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프레임 인덱스는 상기 기지국이 자가 동기화를 수행하는 경우에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을 암시적으로(implicitly) 나타내는,
    자가 동기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신호들은 동기화 소스에 의해 전송되는,
    자가 동기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신호들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동기화 소스를 시간-트랙킹(time-track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가 동기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소스를 시간-트랙킹하면서 주파수 에러 정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가 동기화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파워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킨 다음 상기 파워를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딥 페이드(deep fade)를 모방(mimic)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가 동기화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스케줄링 정보는 CRS(common reference signal)가 송신되지 않는 서브프레임들에 그리고 그 주위에 상기 무선통신장치로의 비스케줄링된 송신들을 포함하는,
    자가 동기화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슬롯의 마지막 2개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들 상에서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를 이용하여 자가 동기화를 달성하면서 상기 무선통신장치에 CRS(common reference signal)를 동시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가 동기화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슬롯의 마지막 2개의 OFDM에 있어서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를 이용하여 자가 동기화를 달성하면서 상기 무선통신장치에 CRS(common reference signal)를 동시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가 동기화 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HeNB(home evolved NodeB)인,
    자가 동기화 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장치는 레거시(legacy) UE(user equipment)인,
    자가 동기화 방법.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일런스 기간은 네트워크에 의해 조정(coordinate)되는,
    자가 동기화 방법.
  23. 자가 동기화를 위하여 구성된 무선장치로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들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무선통신장치에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고 ―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제1시간기간을 나타내고, 상기 제1시간기간은 기지국에 의한 사일런스 기간임 ―;
    상기 제1시간기간 동안 동기화 신호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며,
    상기 동기화 신호들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송신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현재 계층을 구비하고,
    상기 명령들은 제2시간기간에서 동기화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추가로 실행가능하며,
    상기 제2시간기간은 동기화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현재 계층 이하의 계층을 갖는 기지국들을 위해 지정된 슬롯들을 포함하는,
    무선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간기간은 동기화 신호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현재 계층 이하의 계층을 갖는 기지국들을 위해 지정된 슬롯들을 포함하는,
    무선장치.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 선언을 포함하는,
    무선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동기화 노드로부터 CRS(common reference signal)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실행가능하고,
    상기 무선장치는 트랙킹을 위해 상기 CRS를 이용하는,
    무선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장치는 현재 계층을 구비하고,
    상기 명령들은 상기 현재 계층보다 큰 계층에 대한 MBSFN으로서 선언된 서브프레임들에서 CRS(common reference signal)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실행가능하며,
    상기 MBSFN으로서 선언된 서브프레임들은 제2시간기간을 포함하는,
    무선장치.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장치는 현재 계층을 구비하고,
    상기 명령들은 상기 현재 계층 이하의 계층에 대한 MBSFN으로서 선언된 서브프레임들에서 CRS(common reference signal)를 트랙킹하도록 추가로 실행가능한,
    무선장치.
  30.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동기화 신호를 탐색하고;
    상기 동기화 신호가 획득되었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동기화 신호가 획득된 경우에 상기 동기화 신호를 토대로 현재 계층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실행가능한,
    무선장치.
  31.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사일런스 기간 동안 DRX(discontinuous receive) 모드에 진입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무선통신장치들에 지시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무선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무선통신장치에 대한 슬립 시간을 포함하는,
    무선장치.
  33.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무선장치가 자가 동기화를 수행하는 경우에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을 식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장치.
  3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프레임 인덱스는 상기 무선장치가 자가 동기화를 수행하는 경우에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을 암시적으로 나타내는,
    무선장치.
  3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신호들은 동기화 소스에 의해 전송되는,
    무선장치.
  3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신호들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동기화 소스를 시간-트랙킹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동기화 소스를 시간-트랙킹하면서 주파수 에러 정정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실행가능한,
    무선장치.
  3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하는 것은 파워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킨 다음 상기 파워를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딥 페이드를 모방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장치.
  39.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스케줄링 정보는 CRS(common reference signal)가 송신되지 않는 서브프레임들에 그리고 그 주위에 상기 무선통신장치로의 비스케줄링된 송신들을 포함하는,
    무선장치.
  40.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하는 것은 슬롯의 마지막 2개의 OFDM 심볼들 상에서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를 이용하여 자가 동기화를 달성하면서 상기 무선통신장치에 CRS(common reference signal)를 동시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장치.
  41.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하는 것은 슬롯의 마지막 2개의 OFDM 심볼들 상에서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를 이용하여 자가 동기화를 달성하면서 상기 무선통신장치에 CRS(common reference signal)를 동시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장치.
  42.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장치는 HeNB(home evolved NodeB)인,
    무선장치.
  43.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장치는 레거시 UE(user equipment)인,
    무선장치.
  4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일런스 기간은 네트워크에 의해 조정되는,
    무선장치.
  45. 자가 동기화를 위하여 구성된 무선장치로서,
    무선통신장치에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 ―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제1시간기간을 나타내고, 상기 제1시간기간은 기지국에 의한 사일런스 기간임 ―; 및
    상기 제1시간기간 동안 동기화 신호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동기화 신호들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송신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장치.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현재 계층을 구비하고,
    상기 무선장치는 제2시간기간에서 동기화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2시간기간은 동기화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현재 계층 이하의 계층을 갖는 기지국들을 위해 지정된 슬롯들을 포함하는,
    무선장치.
  47.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간기간은, 동기화 신호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상기 현재 계층 이하의 계층을 갖는 기지국들에 지정된 슬롯들을 포함하는,
    무선장치.
  48.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 선언을 포함하는,
    무선장치.
  49. 기지국에 의한 자가 동기화를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상기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은 내부에 명령들을 구비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무선통신장치에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코드 ―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제1시간기간을 나타내고, 상기 제1시간기간은 상기 기지국에 의해 사일런스 기간임 ―; 및
    상기 제1시간기간 동안 동기화 신호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동기화 신호들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송신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현재 계층을 구비하고,
    상기 명령들은 제2시간기간에서 동기화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코드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2시간기간은 동기화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현재 계층 이하의 계층을 갖는 기지국들을 위해 지정된 슬롯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
  51.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간기간은, 동기화 신호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현재 계층 이하의 계층을 갖는 기지국들을 위해 지정된 슬롯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
  52.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정보는 MBSFN(multimedia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 선언을 포함하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
KR1020117026598A 2009-04-08 2010-04-08 무선 통신 장치들에 있어서 자가 동기화의 영향을 최소화 KR1012955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765309P 2009-04-08 2009-04-08
US61/167,653 2009-04-08
US12/755,288 US8730938B2 (en) 2009-04-08 2010-04-06 Minimizing the impact of self synchronization 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12/755,288 2010-04-06
PCT/US2010/030434 WO2010118260A1 (en) 2009-04-08 2010-04-08 Minimizing the impact of self synchro-nization 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517A true KR20110134517A (ko) 2011-12-14
KR101295589B1 KR101295589B1 (ko) 2013-08-12

Family

ID=42934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6598A KR101295589B1 (ko) 2009-04-08 2010-04-08 무선 통신 장치들에 있어서 자가 동기화의 영향을 최소화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8730938B2 (ko)
EP (3) EP2417808B1 (ko)
JP (4) JP5599867B2 (ko)
KR (1) KR101295589B1 (ko)
CN (1) CN102379144B (ko)
BR (1) BRPI1012588B1 (ko)
ES (1) ES2427184T3 (ko)
TW (1) TWI444071B (ko)
WO (1) WO201011826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4093A (ko) * 2014-01-28 2016-10-0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Lte 에 있어서 발견 신호들 및 네트워크 동기화 신호들 설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02935B2 (en) * 2009-06-19 2014-12-02 Lg Electronics Inc. Synchronization acquisition method and apparatus in multi-carrier system
KR101573001B1 (ko) * 2009-08-24 2015-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기 및 그의 기준 신호 이용 방법
CA2778281A1 (en) * 2009-10-30 2011-05-05 Nokia Siemens Networks Oy Henb blind detection for hierarchy configuration
US9277520B2 (en) 2010-04-06 2016-03-0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ad-hoc wireless networks
CN102387543B (zh) * 2010-09-02 2015-08-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时分双工系统中动态子帧的配置方法及装置
US8923197B2 (en) * 2011-06-01 2014-12-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to transmit and receive synchronization signal and system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3089344A1 (en) * 2011-12-15 2013-06-2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ducing interference of user equipment in wireless access system, and the user equipment for the same
US9491755B2 (en) * 2012-03-09 2016-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to transmit and receive synchronization signal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14117322A1 (zh) * 2013-01-29 2014-08-07 华为技术有限公司 同步方法和基站
CN104009827B (zh) * 2013-02-22 2019-05-2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用户设备专用解调参考信号的传输方法及设备
CN104009831B (zh) * 2013-02-22 2017-12-0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用户专用解调参考信号传输和数据解调方法及设备
CN104080171B (zh) * 2013-03-25 2017-09-08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终端与家庭基站的通信方法、基站及终端
US9750044B2 (en) * 2013-05-10 2017-08-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network synchronization
EP3031146B1 (en) 2013-08-08 2019-02-20 Intel IP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lectrical downtilt adjustment in a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system
US9326122B2 (en) 2013-08-08 2016-04-26 Intel IP Corporation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packet based device-to-device (D2D) discovery in an LTE network
WO2015068144A1 (en) * 2013-11-10 2015-05-1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Over-the-air frequency and time synchronization for small cells
US9661657B2 (en) * 2013-11-27 2017-05-23 Intel Corporation TCP traffic adaptation in wireless systems
US9167544B2 (en) 2014-01-28 2015-10-2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Device to device synchronization method applicable to user equipment and user equipment using the same
EP3090579A4 (en) 2014-01-31 2016-12-14 Huawei Tech Co Ltd DEVICE, NETWORK AND METHOD FOR CELL DISCOVERY
WO2015117018A1 (en) 2014-01-31 2015-08-06 Huawei Technologies Co., Ltd. Device, network, and method for network adaptation and utilizing a downlink discovery reference signal
CN104918318A (zh) * 2014-03-11 2015-09-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空口同步的方法和系统
US9936469B2 (en) 2014-11-03 2018-04-03 Qualcomm Incorporated User equipment-centric medium access control layer-based signaling between a base station and UE
US10383076B2 (en) 2015-04-30 2019-08-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used in radio nodes and associated radio nodes
CN107567698B (zh) * 2015-05-08 2021-04-13 苹果公司 可配置同步信号和信道设计的设备和方法
KR102332471B1 (ko) 2015-05-08 2021-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동기 신호 검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7371232B (zh) * 2016-05-13 2019-08-16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同步信息的发送时间间隔的处理方法及装置
CN108632842B (zh) * 2017-03-17 2020-06-16 华为技术有限公司 失步确定方法及装置
US10873920B2 (en) * 2017-10-09 2020-12-22 Qualcomm Incorporated Timing and frame structure in an integrated access backhaul (IAB) network
US11575542B2 (en) 2017-11-17 2023-02-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ing a radio link monitoring evaluation period
US11329857B2 (en) * 2020-05-05 2022-05-10 Nanya Technologies Corporation Cellular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8041B1 (en) * 1997-12-15 2004-03-16 Telefonaktiebolaget Lm (Publ) Base station transmit power control in a CDMA cellular telephone system
DE19849458A1 (de) 1998-10-28 2000-05-04 Philips Corp Intellectual Pty Drahtloses Netzwerk mit einer Taktsynchronisation
ES2207129T3 (es) 1999-03-29 2004-05-16 Cit Alcatel Procedimiento para sincronizar estaciones de base en una red de comunicaciones inalambricas.
US6714563B1 (en) 1999-04-26 2004-03-30 Cisco Technology, Inc. Network clock synchronization scheme
EP1605610B1 (en) * 2000-04-07 2014-03-2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Base station synchroniz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FR2808160B1 (fr) 2000-04-21 2004-05-28 Mitsubishi Electric Inf Tech Procede de determination de la position d'une station mobile d'un reseau de telecommunication mobile
US6665541B1 (en) 2000-05-04 2003-12-16 Snaptrack,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using mobile GPS receivers to synchronize basestations in cellular networks
US6876651B1 (en) * 2000-09-21 2005-04-05 Ericsson Inc. Cascaded parallel phase locked loops
JP4627870B2 (ja) * 2000-11-27 2011-02-09 京セラ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装置
JP4514938B2 (ja) * 2000-11-27 2010-07-28 京セラ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装置
WO2002098024A1 (en) * 2001-05-26 2002-12-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using mobile gps stations to synchronize basestations
US6975653B2 (en) * 2001-06-12 2005-12-13 Agilent Technologies, Inc. Synchronizing clocks across sub-nets
KR100414930B1 (ko) 2001-11-08 2004-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가 통화 중에 인접 셀과의 동기를 맞추는방법
EP1355450B1 (en) 2002-04-10 2006-10-25 Lucent Technologies Inc. Channel overlap mitigation in wireless LANs using a central medium access control
KR20050098009A (ko) * 2002-05-06 2005-10-10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배터리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동기화 방법
KR100735344B1 (ko) * 2004-08-16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들 간의 시간 동기 획득 방법 및 시스템
EP1815650B1 (de) 2004-11-25 2009-03-1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zur synchronisation und datenuebertragung
JP2006211016A (ja) 2005-01-25 2006-08-10 Hitachi Communication Technologies Ltd 移動通信システム
US7844289B2 (en) * 2006-03-06 2010-11-30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of base stations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EP1876729A1 (en) 2006-07-05 2008-01-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Bandwidth asymmetric communication system
CA2642017C (en) * 2006-07-25 2012-09-18 Il-Gyu Kim Cell search method, forward link frame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forward link frame structure
US8149733B2 (en) 2006-08-25 2012-04-03 Raytheon Bbn Technologies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synchronizing communication networks
WO2008058149A2 (en) 2006-11-07 2008-05-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inforcement of broadcast transmissions in mbsfn inactive areas
US8125930B2 (en) 2006-12-13 2012-02-28 Rockstar Bidco Lp Protocol for clock distribution and loop resolution
US7729336B2 (en) 2007-03-28 2010-06-01 Harris Corporation Synchronization and timing source priority in an ad-hoc network
GB2454937A (en) * 2007-11-23 2009-05-27 Ubiquisys Ltd Acquiring time references for a telecommunications basestation from a time server
FI20085423A0 (fi) * 2008-05-08 2008-05-08 Nokia Siemens Networks Oy Synkronointi matkaviestinjärjestelmässä
US20100054237A1 (en) * 2008-09-04 2010-03-04 Motorola, Inc. Synchronization for femto-cell base stations
KR101012391B1 (ko) * 2008-11-11 2011-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하향링크로 서브프레임 지정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US8184756B2 (en) * 2008-12-18 2012-05-22 Viasat, Inc. Symbol timing acquisition using early-late interpolation
US20100189038A1 (en) * 2009-01-23 2010-07-29 Runhua Chen Circuit and method for mapping data symbols and reference signals for coordinated multi-point systems
WO2010110584A2 (en) * 2009-03-24 2010-09-30 Lg Electronics Inc. The method for identifying a mbsfn subframe at a user equipment (u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4093A (ko) * 2014-01-28 2016-10-0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Lte 에 있어서 발견 신호들 및 네트워크 동기화 신호들 설계
KR20180066281A (ko) * 2014-01-28 2018-06-18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Lte 에 있어서 발견 신호들 및 네트워크 동기화 신호들 설계
KR101869627B1 (ko) * 2014-01-28 2018-06-20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Lte 에 있어서 발견 신호들 및 네트워크 동기화 신호들 설계
KR20200008052A (ko) * 2014-01-28 2020-01-22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Lte 에 있어서 발견 신호들 및 네트워크 동기화 신호들 설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18260A1 (en) 2010-10-14
US20140064265A1 (en) 2014-03-06
JP6009526B2 (ja) 2016-10-19
EP2629573A1 (en) 2013-08-21
ES2427184T3 (es) 2013-10-29
JP5763232B2 (ja) 2015-08-12
TW201132181A (en) 2011-09-16
BRPI1012588A2 (pt) 2020-08-18
EP2629573B1 (en) 2018-05-23
EP2629574A1 (en) 2013-08-21
KR101295589B1 (ko) 2013-08-12
WO2010118260A8 (en) 2012-01-26
CN102379144A (zh) 2012-03-14
JP6312739B2 (ja) 2018-04-18
EP2417808B1 (en) 2013-06-12
TWI444071B (zh) 2014-07-01
JP2012523766A (ja) 2012-10-04
US20100260169A1 (en) 2010-10-14
EP2417808A1 (en) 2012-02-15
CN102379144B (zh) 2015-01-28
JP2014123978A (ja) 2014-07-03
JP2016187186A (ja) 2016-10-27
US8730938B2 (en) 2014-05-20
JP2015092710A (ja) 2015-05-14
BRPI1012588B1 (pt) 2021-04-20
JP5599867B2 (ja) 201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5589B1 (ko) 무선 통신 장치들에 있어서 자가 동기화의 영향을 최소화
US8774230B2 (en) Conveying synchronization stratum information
JP6995984B2 (ja) 統合アクセスバックホール(iab)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タイミングおよびフレーム構造
KR102230100B1 (ko) 네트워크 동기화를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US100759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synchronization
CN105766037B (zh) 网络同步的方法和装置
TW201822570A (zh) 毫米波(mmw)中的二步隨機存取通道(rach)程序
CN110249657A (zh) 在无线通信系统中通过终端监测无线链路的方法和支持该方法的设备
WO2011097771A1 (en) Base station aided synchron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