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3185A - 분리 및 연결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 - Google Patents

분리 및 연결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3185A
KR20110133185A KR1020100052779A KR20100052779A KR20110133185A KR 20110133185 A KR20110133185 A KR 20110133185A KR 1020100052779 A KR1020100052779 A KR 1020100052779A KR 20100052779 A KR20100052779 A KR 20100052779A KR 20110133185 A KR20110133185 A KR 20110133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table
work
detachable
coup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2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8819B1 (ko
Inventor
박홍주
박대근
Original Assignee
박홍주
(주)화인인터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홍주, (주)화인인터코리아 filed Critical 박홍주
Priority to KR1020100052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8819B1/ko
Publication of KR20110133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00Tables of rigid construction
    • A47B7/02Stackable tables; Nest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 및 연결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작업의 필요에 따라 쉽게 분리 및 연결이 가능하고 작업 후 테이블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테이블은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바닥면에 비해서 입구가 넓게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는 테이블의 하부에 설치되어 테이블을 지지한다. 연결판은 테이블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다른 작업 테이블과 연결시 다른 작업 테이블의 일측 상부에 위치한다. 한 쌍의 탈착 레버는 다른 작업 테이블의 테이블과 접하는 테이블의 일측면에 이웃하는 양측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결합대는 탈착 레버가 설치되는 쪽의 반대쪽의 테이블의 양측면에 설치되며, 다른 작업 테이블의 탈착 레버가 결합된다. 또한 테이블의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배출부는 관통 구멍에 연결되어 테이블 아래로 연장된 배출관과, 관통 구멍에 설치되어 배출관을 개폐하는 덮개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리 및 연결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Separable working table}
본 발명은 작업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의 필요에 따라 쉽게 분리 및 연결이 가능하고 작업 후 테이블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테이블에서 제거할 수 있는 분리 및 연결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멸치, 쥐포, 오징어포 등과 같은 건어물을 포함하여 각종 농수산물을 수작업으로 분류하거나 포장할 때, 작업자가 농수산물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면서 농수산물을 분류하거나 포장할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작업 테이블이 사용된다. 즉 작업할 농수산물을 작업 테이블에 펼쳐 놓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수작업으로 농수산물에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작업할 농수산물의 양이 많거나, 하나의 작업 테이블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 복수의 작업 테이블을 서로 붙여서 작업을 진행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작업 테이블을 붙여서 작업을 진행할 경우, 작업 테이블 간에 존재하는 틈으로 분류하는 농수산물이 떨어지고, 떨어진 농수산물로 인해 작업장이 지저분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을 완료한 이후에 또는 작업 중간에 복수의 작업 테이블 아래로 떨어진 농수산물을 청소하는 작업을 별도로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그리고 종래의 작업 테이블은 상부가 개방된 사각 형태의 테이블을 구비하고, 하부에 테이블을 지지하는 복수의 다리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테이블은 사각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작업 테이블의 사용 빈도가 증가할수록 테이블의 모서리 부분에 이물질이 쉽게 낄 수 있다. 또한 테이블의 모서리 부분에 낀 이물질은 잘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작업 테이블을 오염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작업을 완료한 이후에 분류된 이물질을 제거할 때, 테이블로부터 이물질을 들어 수거함으로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이물질을 수거함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작업장에 떨어져 작업장을 지저분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의 필요에 따라 쉽게 분리 및 연결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작업 테이블을 연결하여 작업을 진행할 때 작업 테이블 사이로 농수산물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분리 및 연결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테이블의 모서리 부분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억제하고, 작업 후 테이블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테이블에서 제거할 수 있는 분리 및 연결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테이블, 지지부, 연결판, 한 쌍의 탈착 레버 및 결합대를 포함하는 분리 및 연결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을 제공한다. 상기 테이블은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바닥면에 비해서 입구가 넓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테이블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테이블을 지지한다. 상기 연결판은 상기 테이블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다른 작업 테이블과 연결시 상기 다른 작업 테이블의 일측 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한 쌍의 탈착 레버는 다른 작업 테이블의 테이블과 접하는 상기 테이블의 일측면에 이웃하는 양측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대는 상기 탈착 레버가 설치되는 쪽의 반대쪽의 상기 테이블의 양측면에 설치되며, 다른 작업 테이블의 탈착 레버가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 및 연결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은, 상기 테이블의 일측 테두리에서 상향 단차진 단차부, 상기 단차부에 연결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다른 작업 테이블과 연결시 상기 다른 작업 테이블의 일측 테두리에 위치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 및 연결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은, 상기 탈착 레버의 뒤쪽의 상기 테이블에 설치되며, 상기 탈착 레버가 거치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 및 연결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탈착 레버는, 회전 가능하게 상기 테이블의 측면에 설치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서 연장되어 있으며, 중심 부분에 상기 결합대 또는 상기 거치대에 결합되는 절곡부를 갖는 탈착부, 상기 탈착부의 말단에 형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 및 연결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은, 상기 연결판이 연장된 상기 테이블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결합 안내부와, 상기 결합 안내부가 설치된 일측부에 반대되는 상기 테이블의 타측부에 설치되며, 다른 작업 테이블과 연결시 상기 다른 작업 테이블의 결합 안내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 및 연결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의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작업 테이블은 상기 관통 구멍에 연결되어 상기 테이블 아래로 연장된 배출관과, 상기 관통 구멍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관을 개폐하는 덮개를 구비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분리 및 연결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상기 테이블의 아래에서 상기 관통 구멍에 일정 깊이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덮개는 상기 관통 구멍이 삽입된 상기 배출관의 상단에 탑재되는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무게추와, 상기 덮개판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덮개판을 통하여 상기 무게추에 체결되는 손잡이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부는 상기 테이블의 모서리쪽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 테이블은 다른 작업 테이블과 연결되는 양측에 탈착 레버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탈착 레버의 조작을 통하여 쉽게 복수의 작업 테이블을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작업 테이블을 연결할 때, 작업 테이블의 경계 부분을 덮는 연결판이 각각의 작업 테이블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 테이블 사이로 농수산물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작업 테이블 사이로 농수산물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테이블은 바닥면에 비해서 입구가 넓은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테이블의 모서리 부분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테이블의 모서리 부분의 각도가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테이블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테이블의 적어도 일측에 배출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 후 테이블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배출부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테이블에서 제거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 및 연결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연결판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탈착 레버 및 거치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결합 안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결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결합 안내부에 결합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배출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배출부의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작업 테이블을 분리 및 연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 및 연결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100; 이하 '작업 테이블'이라 한다)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작업 공간(15)이 형성된 테이블(10)이 지지부(20)에 의해 지면에서 일정 높이로 지지되고, 테이블(10)의 외곽에 다른 작업 테이블과 분리 및 연결하기 위한 분리 및 연결 부재가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100)은 테이블(10), 지지부(20), 연결판(30), 탈착 레버(40) 및 결합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테이블(10)은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바닥면(13)에 비해서 입구가 넓게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20)는 테이블(10)의 하부에 설치되어 테이블(10)을 지지한다. 연결판(30)은 테이블(10)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다른 작업 테이블과 연결시 다른 작업 테이블의 일측 상부에 위치한다. 한 쌍의 탈착 레버(40)는 다른 작업 테이블의 테이블과 접하는 테이블(10)의 일측면에 이웃하는 양측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결합대(50)는 탈착 레버(40)가 설치되는 쪽의 반대쪽의 테이블(10)의 양측면에 설치되며, 다른 작업 테이블의 탈착 레버가 결합된다. 이때 분리 및 연결 부재는 연결판(30), 탈착 레버(40) 및 결합대(50)를 포함한다.
그 외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100)은 거치대(60), 결합 안내부(70), 결합부(80) 및 배출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치대(60)는 탈착 레버(40)의 뒤쪽에 설치되며 탈착 레버(40)가 거치될 수 있다. 결합 안내부(70)는 연결판(30)이 연장된 테이블(10)의 일측부에 설치된다. 결합부(80)는 결합 안내부(70)가 설치된 일측부에 반대되는 테이블(10)의 타측부에 설치되며, 다른 작업 테이블과 연결시 다른 작업 테이블의 결합 안내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배출부(90)는 테이블(10)의 바닥면(13)을 관통하여 테이블(10)에 설치되며, 테이블(10)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테이블(10) 밖으로 배출시킨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100)은 다른 작업 테이블과 연결되는 양측에 탈착 레버(4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탈착 레버(40)의 조작을 통하여 쉽게 복수의 작업 테이블(100)을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복수의 작업 테이블(100)이 결합될 때, 작업 테이블(100)의 경계 부분을 덮는 연결판(30)이 각각의 작업 테이블(100)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 테이블(100) 사이로 농수산물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작업 테이블(100) 사이로 농수산물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테이블(10)은 바닥면에 비해서 입구가 넓은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테이블(10)의 모서리 부분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테이블(10)의 모서리 부분의 각도가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테이블(10)의 모서리 부분에 이물질이 위치하더라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테이블(10)의 일측에 배출부(9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 후 테이블(10)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배출부(90)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테이블(10)에서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1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테이블(10)은 사각판 형태로 상부면에서 일정 깊이로 포켓 형태의 작업 공간(15)이 마련되어 있다. 즉 테이블(10)은 사각의 테두리면(11)에 대해서 바닥면(13)이 일정 깊이로 하향 단차지게 형성되어 마련된 작업 공간(15)을 갖는다. 테이블(10)은 바닥면(13)에 비해서 입구가 넓은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작업 공간(15)의 내측면에 해당되는 단차면(13a)이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테이블(10)의 모서리 부분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테이블(10)의 모서리 부분의 각도가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테이블(10)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테이블(10)의 바닥면(13)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17)이 형성되며, 관통 구멍(17)에 각각 배출부(9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관통 구멍(17)이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10)은 작업 공간(15)이 형성된 테이블 판(12)과, 테이블 판(12)의 하부에 격자 모양으로 설치되어 테이블 판(12)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테이블 판(12)은 금속판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절곡하여 작업 공간(15)을 포함한 외형을 형성하고, 모서리 부분은 용접으로 접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14)은 테이블 판(12)의 하부의 외곽에 설치되는 외부프레임(16)과, 외부프레임(16)의 내측에 서로 이웃하는 외부프레임(16)을 연결하는 내부프레임(18)을 포함한다. 예컨대 외부프레임(16)은 테이블(10)의 장변을 따라서 설치된 한 쌍의 제1 외부프레임(16a)과, 한 쌍의 제1 외부프레임(16a)의 양단을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제2 외부프레임(16b)을 포함한다. 즉 외부프레임(16)은 테이블 판(12)의 하부에 사각 모양으로 설치될 수 있다. 내부프레임(18)은 외부프레임(16) 사이에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마주보는 한 쌍의 제2 외부프레임(16b)에 각각 결합 안내부(70) 및 결합부(80)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20)는 수직프레임(21), 수평프레임(23), 높이조절 받침대(25) 및 바퀴(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직프레임(21)은 테이블(10)을 지탱할 수 있도록 테이블(10) 하부면에 복수개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때 수직프레임(21)은 테이블(10) 하부면의 네모서리에 근접한 지점에 각각 설치되며, 그 외 테이블(10)의 다른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수직프레임(21)은 외부프레임(16)의 하부에 설치되며, 특히 제1 외부프레임(16a)에 설치될 수 있다.
수평프레임(23)은 수직프레임(21)을 사이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여 수직프레임(21)을 지지한다. 예컨대 테이블(10) 하부에 네 개의 수직프레임(21)이 설치되는 경우, 수평프레임(23)은 네 개의 수직프레임(21)을 연결하여 사각을 형성할 수 있도록, 수직프레임(21)의 하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높이조절 받침대(25)는 수직프레임(21)의 하단에 각각 설치된다. 높이조절 받침대(25)는 작업장의 지면 굴곡에 따라 테이블(10)의 높이를 조절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높이조절 받침대(25)는 회전 방식으로 회전시켜 길이를 증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바퀴(27)는 수평프레임(23)에 복수개 설치되며, 작업 테이블(100)을 이동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때 수평프레임(23)에 설치된 복수의 바퀴(27)가 테이블(10)을 안정적으로 지탱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프레임(21)에 근접한 수평프레임(23)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바퀴(27)가 제1 외곽프레임(16a)에 수평한 수평프레임(23)에 각각 두 개씩 설치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제2 외곽프레임(16b)에 수평한 수평프레임(23)에 각각 두 개씩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바퀴(27)를 이용하여 작업 테이블(100)을 이동시키는 경우, 높이조절 받침대(25)가 지면에 접촉된 바퀴(27) 위쪽에 위치할 수 있도록 높이를 조절한다. 반대로 작업 테이블(10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경우, 높이조절 받침대(25)가 바퀴(27)가 지면 위로 떠 있거나 거의 떨어질 수 있도록 높이를 조절한다.
연결판(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부(31) 및 연장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차부(31)는 테이블(10)의 일측 테두리면(11)에서 상향 단차지게 형성된다. 연장부(33)는 단차부(31)에 연결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다른 작업 테이블과 연결 시 다른 작업 테이블의 일측 테두리면에 위치한다. 이때 연결판(30)은 테이블 판(12)의 일측 단변의 테두리면(11)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결합 안내부(70)가 설치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판(30)을 테두리면(11)에 대해서 상향 단차지게 형성한 이유는, 다른 작업 테이블과 연결할 때 다른 작업 테이블과의 간섭을 억제하면서 연결되는 다른 작업 테이블의 일측 테두리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탈착 레버(4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41), 탈착부(45) 및 손잡이부(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전부(41)는 회전 가능하게 테이블(10)의 측면에 설치된다. 탈착부(45)는 회전부(41)에서 연장되어 있으며, 중심 부분에 결합대(50) 또는 거치대(60)에 결합되는 절곡부(43)를 갖는다. 그리고 손잡이부(47)는 탈착부(45)의 말단에 형성된다. 이때 회전부(41)는 제1 외부프레임(16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부(41)는 결합부(70)가 설치되는 측면에 이웃하는 제1 외부프레임(16a)의 외측면의 말단부에 근접하게 설치된다. 절곡부(43)의 외주면에는 거치대(70) 및 결합대(6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균일하게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대(50)는, 도 1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 레버(40)가 설치된 위치에 대해서 반대되는 제1 외부프레임(16a)의 외측면의 말단부에 근접하게 설치된다. 결합대(50)는 제1 외부프레임(16a)의 외측면에서 일정 길이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결합대(50)의 외주면에는 탈착 레버(40)의 절곡부(43)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51)이 형성될 수 있다.
거치대(60)는, 도 5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41)의 뒤쪽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1 외부프레임(16a)에 설치된다. 거치대(60)는 제1 외부프레임(16a)의 외측면에서 일정 길이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거치대(60)의 외주면에는 탈착 레버(40)의 절곡부(43)가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거치홈(6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탈착 레버(40)는 회전부(41)를 축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작업 테이블(100)을 단독으로 사용할 때는 거치대(60)에 거치된다. 그리고 복수의 작업 테이블(100)을 연결할 경우, 탈착 레버(40)는 거치대(60)에서 이탈시켜 연결할 작업 테이블(100)의 결합대(50)에 결합시켜 복수의 작업 테이블(100)을 연결할 수 있다.
결합 안내부(70) 및 결합부(8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작업 테이블(100)을 연결할 때, 작업 테이블(100) 간의 연결 위치를 정렬하고, 안정적인 연결을 안내하는 가이드 역할을 수행한다.
결합 안내부(70)는,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판(30)이 연장된 테이블(10)의 일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 즉 결합 안내부(70)는 제2 외부프레임(16b)의 하부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결합 안내부(70)는 결합 안내부(70)이 설치된 제2 외부프레임(16b)와 마주보는 쪽의 제2 외부프레임(16b)의 하부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판(71)과, 한 쌍의 가이드판(71)을 연결하는 지지판(73)을 포함한다. 한 쌍의 가이드판(71)의 상부에는 각각 결합부(80)의 결합바(85)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홈(75)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가이드판(71)의 외측에서 끼움홈(75)으로 부드럽게 결합바(85)가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홈(75)에 연결되는 부분은 라운드지게 형성되거나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8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안내부(70)가 설치된 일측부에 반대되는 테이블(10)의 타측부에 설치되며, 다른 작업 테이블과 연결시 다른 작업 테이블의 결합 안내부(70)에 결합된다. 이때 결합부(80)는 한 쌍의 지지편(81)을 갖는 바 하우징(83) 및 한 쌍의 지지편(81) 사이에 결합된 결합바(85)를 포함한다. 바 하우징(83)은 테이블 판(12) 일측의 테두리면(11) 아래에 고정 설치되며, 테두리면(11)에서 밖으로 연장된 한 쌍의 지지편(81)을 구비한다.
한편 결합부(80)가 결합 안내부(7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바(85)는 한 쌍의 가이드판(71)의 폭보다는 길게 형성된다. 또한 결합바(85)와 끼움홈(75)은 지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80)가 결합 안내부(70)에 결합될 때, 결합부(80)의 결합바(85)는 라운드지거나 경사면으로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판(71)을 따라 이동하여 끼움홈(75)에 결합된다. 이때 가이드판(71)의 끼움홈(75)에는 결합바(85)가 위치하며, 끼움홈(75) 밖으로 연장된 결합바(85)의 양단부에 설치된 지지편(81)은 한 쌍의 가이드판(71)의 외곽에 위치한다.
그리고 배출부(9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후 테이블(10)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테이블(10)에서 제거할 때 배출 통로를 제공한다. 배출부(90)는 배출관(91) 및 덮개(93)를 포함한다. 배출관(91)은 테이블(10)의 관통 구멍(17)에 연결되어 테이블(10) 아래로 연장되어 있다. 덮개(93)는 관통 구멍(17)에 설치되어 배출관(91)을 개폐한다.
이때 배출관(91)은 테이블(10)의 아래에서 관통 구멍(17)에 일정 깊이로 삽입되어 고정 설치된다. 배출관(93)은 테이블(10) 하부의 관통 구멍(17)을 통하여 일정 깊이로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상단부에 고정턱(9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고정턱(92) 상부의 배출관(91) 부분은 관통 구멍(17)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다.
덮개(93)는 덮개판(95), 무게추(97) 및 손잡이(9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덮개판(95)은 관통 구멍(17)에 삽입된 배출관(91)의 상단에 탑재된다. 무게추(97)는 덮개판(95)의 하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손잡이(99)는 덮개판(95)의 상부에 설치되며 덮개판(95)을 통하여 무게추(97)에 체결 볼트(98)를 매개로 체결된다. 덮개(93)로 관통 구멍(17)을 막은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때, 무게추(97)는 작업자의 손이나 농수산물에 의해 덮개(93)가 관통 구멍(170에서 빠지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작업 중 덮개(93)가 빠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관통 구멍(17)에 결합된 덮개(93)의 손잡이(99)는 상부면이 테이블(10)의 바닥면(13)과 동일면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손잡이(99)가 덮개판(95)의 상부면 위로 돌출된 형태로 설치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덮개판은 중심 부분에 손잡이가 설치될 수 있는 설치홈이 손잡이보다는 넓게 형성되고, 덮개판의 상부면에서 손잡이의 상단부는 테이블의 바닥면과 동일면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무게추의 무게에 의해 덮개가 관통 구멍에 고정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덮개판의 외주면 또는 관통 구멍의 내주면에 탄성부재를 형성하여 덮개판을 관통 구멍에 탄성적으로 삽입시켜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덮개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무게추를 제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작업 테이블(100a,100b)을 분리 또는 연결하는 과정을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작업 테이블(100a,100b)을 분리 및 연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 내지 도 15에서는 두 개의 작업 테이블(100a,100b)을 연결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같은 방식으로 세 개 이상의 작업 테이블을 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두 개의 작업 테이블(100a,100b)을 서로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도 11에서 왼쪽에 있는 작업 테이블(100a)을 제1 작업 테이블(100a)이라 하고, 오른쪽에 있는 작업 테이블(100b)을 제2 작업 테이블(100b)이라 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할 제1 및 제2 작업 테이블(100a,100b)을 준비한다. 제1 작업 테이블(100a)의 결합 안내부(70)가 형성된 쪽과, 제2 작업 테이블(100b)의 결합부(도 2의 80)가 형성된 쪽이 서로 근접할 수 있도록 위치를 정렬한다.
이때 제1 및 제2 작업 테이블(100a,100b)은 바퀴(27)를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27)는 지면에 접촉되어 있고 높이조절 받침대(25)는 위치가 조정되어 지면 위에 떠 있다. 탈착 레버(40)는 거치대(60)에 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작업 테이블(100a)의 결합 안내부(70)에 제2 작업 테이블(100b)의 결합부(8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마주보는 제1 및 제2 작업 테이블(100a,100b)을 서로 근접시킨다. 이때 제1 작업 테이블(100a)의 연결판(30)은 제2 작업 테이블(100b)의 일측 테두리면(11) 위에 배치된다.
결합부(80)의 결합바(85)는 결합 안내부(70)의 끼움홈(75)에 삽입됨으로써, 제1 및 제2 작업 테이블(100a,100b) 간의 연결을 위한 기본적인 위치 정렬이 이루어진다. 이때 결합 안내부(70)와 결합부(80) 간에, 즉 결합바(85)와, 한 쌍의 가이드 판(71) 사이에는 유격이 존재하기 때문에, 끼움홈(75)을 따라서 결합바(85)를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제1 및 제2 작업 테이블(100a,100b)의 연결할 위치를 정렬할 수 있다.
아울러 바퀴(27)가 지면 위로 떠 있거나 거의 떨어질 수 있도록 높이조절 받침대(25)의 길이를 신장시킨다.
그리고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작업 테이블(100b)의 탈착 레버(40)를 회전시켜 제1 작업 테이블(100a)의 결합대(50)에 결합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작업 테이블(100a,100b)이 서로 연결된다. 즉 제2 작업 테이블(100b)의 탈착 레버(40)를 거치대(60)에서 분리하여 제1 작업 테이블(100a)의 결합대(50)로 이동시키고, 탈착 레버(40)의 절곡부(43)를 결합대(50)에 결합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탈착 레버(40)로 제1 및 제2 작업 테이블(100a,100b)을 서로 연결하기 전에 높이조절 받침대(25)의 높이를 신장시키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탈착 레버(40)로 제1 및 제2 작업 테이블(100a,100b)을 서로 연결한 이후에 높이조절 받침대(25)의 높이를 신장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연결된 제1 및 제2 작업 테이블(100a,100b)을 살펴보면, 탈착 레버(40)의 조작을 통하여 쉽게 제1 및 제2 작업 테이블(100a,100b)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작업 테이블(100a,100b)의 경계 부분이 연결판(30)에 의해 가려지기 때문에, 제1 작업 테이블(100a)에서 제2 작업 테이블(100b)로 농수산물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농수산물이 제1 및 제2 작업 테이블(100a,100b)의 경계 부분을 통하여 아래로 떨어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판(30)이 연결된 단차면(13a)이 경사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농수산물을 제1 작업 테이블(100a)에서 제2 작업 테이블(100b)로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연결된 제1 및 제2 작업 테이블(100a,100b)을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분리하는 방법은 연결하는 방법의 반대의 순으로 진행될 수 있다.
먼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작업 테이블(100a)의 결합대(50)에 결합된 제2 작업 테이블(100b)의 탈착 레버(40)를 분리하고, 분리한 탈착 레버(40)를 제2 작업 테이블(100b)의 거치대(60)에 거치시킨다.
이어서 바퀴(27)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작업 테이블(100a,100b)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높이조절 받침대(25)의 끝단을 지면 위로 이동시킨다. 이때 바퀴(27)는 지면에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 작업 테이블(100a,100b) 간을 간격을 벌려 결합 안내부(70)에서 결합부(도 2의 80)를 분리함으로써, 제1 및 제2 작업 테이블(100a,100b)을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탈착 레버(40)를 분리한 이후에 높이조절 받침대(25)의 길이를 조절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높이조절 받침대(25)의 길이를 조절한 이후에 탈착 레버(40)를 분리할 수도 있다.
또한 높이조절 받침대(25)의 길이를 조절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제1 및 제2 작업 테이블(100a,100b)을 분리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제1 및 제2 작업 테이블(100a,100b)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필요 이상의 기계적인 스트레스가 높이조절 받침대(25)에 작용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된 복수의 작업 테이블(100a,100b)을 이용하거나, 개별 작업 테이블(100a,100b)을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할 때 또는 수행한 이후에 테이블(10)에 잔류하는 이물질은 배출부(90)를 통하여 깨끗하게 테이블(10)에서 제거할 수 있다. 즉 테이블(10)에서 이물질의 제거가 필요한 경우, 테이블(10)에 설치된 덮개(93)를 분리하여 배출관(91)과 연결된 관통 구멍(17)을 개방한다. 그리고 관통 구멍(17)쪽으로 이물질을 이동시켜 관통 구멍(17)에 연결된 배출관(91)을 통하여 테이블(10)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배출관(91) 아래에는 이물질을 수거할 수 있는 수거함을 위치시킬 수 있다. 수거함은 배출관(91)과 별도로 배출관(91) 아래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수거함은 배출관((1)에 탈착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작업 테이블에서 작업하는 작업물로서 농수산물을 예시하였지만, 작업물은 작업자에 의해 이물질 제거나 분류 작업이 필요한 가공품, 공산품 등도 가능하다.
10 : 테이블 11 : 테두리면
12 : 테이블 판 13 : 바닥면
13a : 단차면 14 : 지지프레임
15 : 작업 공간 16 : 외부프레임
17 : 관통 구멍 18 : 외부프레임
20 : 지지부 21 : 수직프레임
23 : 수평프레임 25 : 높이조절 받침대
27 : 바퀴 30 : 연결판
31 : 단차부 33 : 연장부
40 : 탈착 레버 41 : 회전부
43 : 절곡부 45 : 탈착부
47 : 손잡이부 50 : 결합대
60 : 거치대 70 : 결합 안내부
80 : 결합부 90 : 배출부
91 : 배출관 93 : 덮개
95 : 덮개판 97 : 무게추
98: 체결 볼트 99 : 손잡이
100 : 분리 및 연결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

Claims (8)

  1.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바닥면에 비해서 입구가 넓은 테이블;
    상기 테이블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테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테이블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다른 작업 테이블과 연결시 상기 다른 작업 테이블의 일측 상부에 위치하는 연결판;
    다른 작업 테이블의 테이블과 접하는 상기 테이블의 일측면에 이웃하는 양측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탈착 레버;
    상기 탈착 레버가 설치되는 쪽의 반대쪽의 상기 테이블의 양측면에 설치되며, 다른 작업 테이블의 탈착 레버가 결합되는 결합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및 연결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은,
    상기 테이블의 일측 테두리에서 상향 단차진 단차부;
    상기 단차부에 연결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다른 작업 테이블과 연결시 상기 다른 작업 테이블의 일측 테두리에 위치하는 연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및 연결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레버의 뒤쪽의 상기 테이블에 설치되며, 상기 탈착 레버가 거치되는 거치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및 연결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레버는,
    회전 가능하게 상기 테이블의 측면에 설치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서 연장되어 있으며, 중심 부분에 상기 결합대 또는 상기 거치대에 결합되는 절곡부를 갖는 탈착부;
    상기 탈착부의 말단에 형성된 손잡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및 연결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이 연장된 상기 테이블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결합 안내부;
    상기 결합 안내부가 설치된 일측부에 반대되는 상기 테이블의 타측부에 설치되며, 다른 작업 테이블과 연결시 상기 다른 작업 테이블의 결합 안내부에 결합되는 결합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및 연결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의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 구멍에 연결되어 상기 테이블 아래로 연장된 배출관과, 상기 관통 구멍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관을 개폐하는 덮개를 구비하는 배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및 연결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상기 테이블의 아래에서 상기 관통 구멍에 일정 깊이로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덮개는 상기 관통 구멍이 삽입된 상기 배출관의 상단에 탑재되는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무게추와, 상기 덮개판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덮개판을 통하여 상기 무게추에 체결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및 연결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테이블의 모서리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및 연결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
KR1020100052779A 2010-06-04 2010-06-04 분리 및 연결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 KR101098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779A KR101098819B1 (ko) 2010-06-04 2010-06-04 분리 및 연결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779A KR101098819B1 (ko) 2010-06-04 2010-06-04 분리 및 연결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185A true KR20110133185A (ko) 2011-12-12
KR101098819B1 KR101098819B1 (ko) 2011-12-26

Family

ID=45500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2779A KR101098819B1 (ko) 2010-06-04 2010-06-04 분리 및 연결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88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1999A (ko) * 2021-05-07 2022-11-15 주식회사 아이파워아이엔씨 싱크대 겸용 테이블
KR102496624B1 (ko) * 2022-12-12 2023-02-06 최영주 가이드 분리형 김장용 테이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690B1 (ko) * 2019-12-30 2020-06-03 최재영 작업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505B1 (ko) 2009-08-19 2010-04-22 이승렬 자유로운 배치가 가능한 테이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1999A (ko) * 2021-05-07 2022-11-15 주식회사 아이파워아이엔씨 싱크대 겸용 테이블
KR102496624B1 (ko) * 2022-12-12 2023-02-06 최영주 가이드 분리형 김장용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8819B1 (ko) 2011-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8819B1 (ko) 분리 및 연결이 가능한 작업 테이블
CN201009166Y (zh) 家具打磨除尘装置
KR101398694B1 (ko) 컨베이어 리턴벨트 상부 이면 크리닝 시스템
CN214802857U (zh) 一种碎屑收集工作台
CN107497597A (zh) 一种高低可调节建筑用除铁器
EP1878526A1 (de) Holzbearbeitungsmaschine
CN205614623U (zh) 一种防尘工作台
CN213916984U (zh) 一种密封圈组装装置
CN211727839U (zh) 一种火焰切割废渣收集装置
KR102345243B1 (ko) 붉바리 등 어류 치어 선별작업장치
CN210115734U (zh) 一种自动收集废屑的铝材切割机
JP5173056B1 (ja) 清掃用フォークリフトアタッチメント
KR101716478B1 (ko) 불똥 받이판
CN113798172A (zh) 一种马铃薯加工用筛选除杂设备
KR20130006720U (ko) 절단 칩 수거대
CN217516097U (zh) 一种皮带尾轮夹料自动清理装置
KR101467915B1 (ko) 컨베이어 리턴 벨트 상부 이면 크리닝 시스템
CN210411851U (zh) 一种用于清洁治具的工作桌
CN219210620U (zh) 一种除杂过滤筛
CN215147290U (zh) 一种立式加工中心后排排屑结构
CN213765041U (zh) 一种铣床加工用废料收集装置
CN110977371B (zh) 一种自动装配机
CN214489923U (zh) 一种用于不锈钢制管机的打磨轮防护结构
CN213538364U (zh) 一种减少污染的服装加工用平车
CN210675499U (zh) 一种碎木铁屑去除调节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