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3005A - 푸코산틴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크림 조성물 - Google Patents

푸코산틴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크림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3005A
KR20110133005A KR1020110054184A KR20110054184A KR20110133005A KR 20110133005 A KR20110133005 A KR 20110133005A KR 1020110054184 A KR1020110054184 A KR 1020110054184A KR 20110054184 A KR20110054184 A KR 20110054184A KR 20110133005 A KR20110133005 A KR 20110133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coxanthin
obesity
cream composition
brown algae
vitam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4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스토어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스토어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스토어랩스
Priority to PCT/KR2011/00410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1152692A2/ko
Publication of KR20110133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0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4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compound
    • A61K47/542Carboxylic acids, e.g. a fatty acid or an amino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타민 C를 사용하는 추출 과정으로 인해 보다 안정화된 푸코산틴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크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항-비만용 크림 조성물은 백색 체지방에 있는 UCP 1 발현을 종래에 비해 현저히 증가시켜 지방 세포 아포토시스 작용을 일으킴으로써 셀룰라이트를 비롯한 지방 세포를 만족스러울 정도로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푸코산틴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크림 조성물{AN ANTIOBESITY CREAM COMPOSITION COMPRISING FUCOXANTHIN}
본 발명은 항-비만용 크림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갈조류로부터의 분리 정제 과정에서 비타민 C를 첨가 사용하여 수득된 안정화된 푸코산틴(fucoxanthin)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크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 들어와서 영양 상태가 풍요로워진 반면, 자동차 등의 편의 시설로 인해 운동 부족이 심해지면서 성인 및 소아 비만이 심각해지고 있다. 비만은 비만증, 고지혈증, 당뇨병, 심혈관질환, 관상동맥질환 등의 성인병과 관련될 뿐만 아니라, 미용적인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에, 여러 산업 분야에서 비만 관련 제품이 연구 개발되고 있으며, 화장품 업계에서는 셀룰라이트(cellulite)를 비롯한 지방 세포를 제거하는 제품의 연구 개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현재 시판되는 대부분의 셀룰라이트 제거용 제품, 예컨대 레비톨(Revitol: 등록상표), 뉴트로지나(Neutrogena: 등록상표), 니베아(Nivea: 등록상표), 시슬리(Sisley: 등록상표)에서 시판되는 셀룰라이트 제거용 제품은 카페인을 주성분으로 포함하고 있다.
카페인은 갈색 지방(Brown Adipose Tissue: BAT)에서 탈 결합 단백질 (uncoupling protein: UCP) 1, 2 및 3의 mRNA를 발현시키고, 골근육에서 UCP 2 및 3을 상향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 Maeda 등,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332 (2005) 392-397). UCP 1은 항-비만 효과에 있어 핵심 분자이다. UCP 1의 발현은 신체 에너지 소모의 주요 요소로 알려져 있고, UCP 1이 기능 장애를 일으킬 경우에 비만이 발생하기 쉽다(K. Miyashita, Lipid Technology, August/September 2009, Vol. 21, No. 8/9). UCP 2 및 UCP 3은 UCP 1과 높은 상동성을 갖는 미토콘드리아 음이온 운반체 상과(superfamily)에 속한 것이다(H. Maeda 등, 상동).
그러나, 성인 인체에는 BAT가 거의 없고(H. Maeda 등, 상동) 백색 체지방(white adipose tissue: WAT)이 지방의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카페인 작용에 의해 항-비만 효과가 나타날 여지가 적다.
최근, 해조류에 포함된 성분이 인체 건강에 유익하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특히, 푸코산틴 성분은 갈조류에서 풍부하게 발견되는 특유의 카로티노이드로, 항-비만 효과를 갖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푸코산틴의 항-비만 메커니즘은 WAT 미토콘드리아에서 UCP 1의 발현을 유도하여 WAT에서 지방산 산화 및 열 생성을 일으킴으로써 지방 세포 아포토시스(apoptosis) 작용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푸코산틴과 UCP 1 발현의 관련성을 나타내는 실험 및 그 실험 결과(도 1)가 선행연구결과로 개시되어 있다. 이 실험에서, 마우스에게 13% 대두 오일(대조군), 12.5% 대두 오일+0.5% 미역속(Undaria) 지질(푸코산틴(Fuco): 0.05%) 및 11% 대두 오일+2% 미역속 지질(Fuco: 0.2%)을 공급하였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0.2% 푸코산틴-공급된 마우스 WAT에서는 UCP 1이 발현되었으나, 대조군 마우스 WAT에서는 UCP 1이 거의 발현되지 않았다. 또한, 0.2% 푸코산틴-공급된 마우스 WAT에서는 UCP 1 mRNA가 발현되었으나, 대조군 마우스 WAT에서는 UCP 1 mRNA가 거의 발현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푸코산틴이 WAT에서 UCP 1의 단백질 및 mRNA 발현을 유도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푸코산틴의 구조적 특징 즉, 하기와 같이 푸코산틴 대사물질인 푸코산틴올(fucoxanthinol) 및 아마로우시아산틴(amarouciaxanthin) A의 측쇄 기 위에 있는 부가적인 하이드록시 치환기 및 알렌 결합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H. Maeda, Molecular Medicine Reports 2: 897-902, 2009).
Figure pat00001

푸코산틴은 갈조류로부터 아세톤 추출법이나 헥세인 추출법으로 추출하여 분리, 정제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 방법으로 푸코산틴을 추출할 경우, 푸코산틴의 높은 항산화성으로 인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푸코산틴이 파괴되고, 추출, 정제 시에 푸코산틴 수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당업계에서는 미역 시료에 회분을 처리함으로써 색소를 안정화 또는 고정화하려는 시도가 있었다(Bull. Korean Fish Soc. 3(2)). 또한, 일본에 소재하는 오리자 오일 앤드 팻 케미칼 캄파니(Oriza oil & Fat chemical co.)에서는 지용성 항산화제인 토코페롤을 사용하여 토코페롤이 먼저 산화되도록 함으로써 푸코산틴을 보호하거나, 또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을 사용하여 푸코산틴을 캡슐화함으로써 푸코산틴을 보호하도록 시도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들에 의해서는 푸코산틴이 만족스러울 정도로 안정화되지 못하여, 이로부터 제조된 항-비만용 제품에서도 푸코산틴에서 기대할 수 있었던 항-비만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안정화된 푸코산틴을 포함하는 크림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갈조류로부터의 추출 과정에서 수용성 항산화제인 비타민 C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안정화된 푸코산틴을 제조하고, 백색 체지방에서 UCP 1 발현을 증가시켜 지방 세포 아포토시스 작용을 일으킴으로써 셀룰라이트를 비롯한 지방 세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항-비만 크림 조성물을 제조하고 평가함으로써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푸코산틴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크림 조성물을 인체 피부에 도포하는 경우, 보다 안정화된 푸코산틴이 백색 체지방에서 UCP 1 발현을 증가시켜서 셀룰라이트를 비롯한 지방 세포를 제거하므로 피부가 보다 매끄럽고 탄력있게 된다.
도 1은 푸코산틴-공급된 마우스 WAT에서의 UCP 1 발현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푸코산틴의 HPLC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푸코산틴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크림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갈조류로부터의 추출 과정에서 수용성 항산화제인 비타민 C를 사용하여 수득된 보다 안정화된 푸코산틴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크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태양에 따르면, 갈조류에 그의 중량 기준으로 0.1 내지 5.0%의 비타민 C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3회 반복 추출하여 상기 갈조류로부터 엽록소를 제거하는 단계; 수득된 푸코산틴 분획물을 농축하여 알코올을 제거한 후에, 비극성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3회 반복 추출하여 물을 제거하는 단계; 및 수득된 푸코산틴 분획물에 사이클로덱스트린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푸코산틴을 수득한다.
본 발명에서 ‘갈조류’라 함은 갈색을 띄는 해조류를 말하며, 예컨대, 미역(Undaria pinnatifida), 다시마(Laminaria), 톳(Hijikia fusiforme), 모자반(Sargassum fulvellum)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갈조류는 미역이다. 또한, 3, 4, 5월 일조 동안에 광합성-활성의 복사선 및 해수 온도가 가장 낮아서, 갈조류 중 제아산틴(zeaxanthin)의 푸코산틴으로의 형성이 증가하므로, 3, 4, 5월에 채취한 갈조류가 푸코산틴 함량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1년생 갈조류가 바람직하다.
갈조류는 끓는 물에 데쳐서 염분 및 효소를 제거한다. 이후, 흐르는 물로 씻어서 식히면서 다시 염분을 제거한다. 세척 후에는 물기를 제거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타민 C는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분말 상태이다. 비타민 C는 갈조류의 중량 기준으로 0.1 내지 5.0%로 사용되고, 바람직하게는 갈조류 1kg당 1g의 비타민 C가 사용된다. 비타민 C는 지용성 푸코산틴을 캡슐화(capsulating)하고, 비타민 C 자신이 먼저 산화됨으로써 푸코산틴을 안정화시킨다.
본 발명에서 ‘추출’이라 함은 에탄올, 메탄올 등의 유기 용매에 침제시키는 것, 또한 CO2를 이용한 초임계 추출법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추출 용매로는, 엽록소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헥세인 및 에탄올을 부피비 3:7의 비율로 섞은 유기 용매가 바람직하고, 물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헥세인이 바람직하다.
추출된 푸코산틴에 사이클로덱스트린을 첨가하여 푸코산틴을 더욱 안정화시킬 수 있다.
푸코산틴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크림 조성물에 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푸코산틴은 크림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10.0중량%의 양으로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크림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서 푸코산틴 이외에 올리고당과 같은 피부 혈류 촉진 성분 및 피부 영양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1~0.5중량%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크림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담체 성분으로는 동물성 오일, 식물성 오일,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즈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 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크림 조성물은 화장품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방법에 의해 인체 피부에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크림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 도포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의 크림 조성물 이외의 다른 화장품 조성물과 중복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비만 정도에 따라 그 사용 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되지만,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푸코산틴의 제조
갈조류 시료의 준비
3, 4, 5월에 채취한 1년생 갈조류 1kg를 준비하였다. 갈조류를 끓는 물에 5분간 데쳐서, 염분을 제거하고, 갈조류에 존재하는 효소를 죽였다. 이어서, 흐르는 물로 잘 씻어서 식히며, 남아있는 염분을 제거하였다. 세척 후에 물기를 제거하였다. 이어서, 수용성 항산화제인 분말 상태의 1g의 비타민 C를 골고루 뿌린 후에 잘 섞어서 갈조류 시료를 준비하였다. 이어서, 갈조류 시료를 5mm 간격으로 절단하였다.
추출
상기 절단된 갈조류 시료를, 99% 에탄올 3L를 사용하여 2시간씩 3차례에 걸쳐 25℃에서 추출하였다. 3차에 걸쳐 반복 추출된 1차 추출물에 헥세인과 에탄올을 부피비 3:7의 비율로 혼합한 유기 용매를 첨가한 후에 잘 흔든 후에 엽록소를 분리 제거하는 과정을 3차에 걸쳐 반복 실시하여서 2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80℃, 200bar에서 진공 증발기를 사용하여 상기 2차 추출물에서 에탄올을 제거함으로써 3차 추출물을 만들었다. 상기 3차 추출물에 헥세인을 넣고 잘 흔들어서 푸코산틴 분획물을 분리한 후, 다시 진공 증발기를 사용하여 상기 분획물로부터 헥세인을 제거하였다. 이로부터 약 5%의 푸코산틴을 수득하였다.
분석
상기 추출방법에 따라 수득한 푸코산틴 시료를 하기 HPLC 분석조건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colume:YMC corotenoid S3 (1.6×100)
Flow rate: 1ml/min
Movile phase A: MeOH : MTBE (10:90), B: MeOH : H2O (95:5)
Gradient condition : 0min = B -100%
45min = B - 30% (10min, B-17.5%)
50min = B - 30%
55min = B - 100%
carotenoid detection = 445nm
injection volume = 10mL
상기 HPLC에 의해 최종 농축물 중에 푸코산틴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도 2).
정제
상기 푸코산틴 분획물로 확인된 최종 추출물을 1차 및 2차에 걸친 CPC(Centrifiugal partitio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정제한 결과, 95%이상의 순도를 갖는 푸코산틴을 추출하였다(표 1).
Figure pat00002

제조예 1: 항-비만용 크림 조성물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방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는 5중량%~10중량% 푸코산틴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항-비만용 크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표 2).
Figure pat00003

항-비만 효과
본 실험예에서는 3T3 세포로부터 유래된 세포주인 3T3-L1 전구지방세포(preadipocyte)를 이용하여 상기에서 제조된 크림 조성물의 지방축적 억제, 글리세롤 3-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게나아제의 활성 억제 및 세포 독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지방축적 억제
한국 세포주 은행으로부터 분양받은 3T3-L1 세포를 10% BS(Bovine Serume, Gibco) 및 1% PS(Penicillin-Streptomycin, Lonza)가 보충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Lonza)을 사용하여 CO2 인큐베이터(37 ℃, 5 % CO2)에서 배양하고, 3 내지 4일 간격으로 계대배양하여 전구지방세포(preadipocyte) 상태로 유지시켰다(Morikawa M, et al. 1982. Cell. 9: 783).
상기 전구지방세포 상태인 3T3-L1 세포를 배양 용기로부터 탈착시키고 10% FBS(Fetal Bovine Serum, Lonza)가 함유된 DMEM 배지로 4 x 104개의 세포/ml로 희석시킨 후 24 웰 플레이트에 웰당 500 ㎕씩 분주하고 CO2 인큐베이터(37 ℃, 5 % CO2)에서 4일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3T3-L1 세포가 합류 단계(confluent stage)에 도달하면 분화유도 물질인 0.25 μM 덱사메타손(Dex, Sigma), 0.5 mM 3-이소부틸-1-메틸산틴(Mix, Sigma)와 10 ㎍/㎖ 인슐린(Ins, Sigma)를 첨가한 배양액으로 4일간 더 배양하여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유도시켰다. 분화유도물질(MDI:Mix+Dex+Ins)에 의한 분화유도 후, 4일 동안 10 ㎍/㎖ 인슐린만을 첨가한 배양액으로 교환하여 세포 내에 지방을 축적시켰다. 이때,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크림 조성물의 지방 축적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각 100 ㎍/㎖로 상기 분화유도 배지에 첨가하였다. 배양액은 2일 간격으로 새로운 배양액으로 교환하였다.
8일간 배양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세포를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Lonza)로 세척하고, 10 % 포르말린으로 고정시킨 후 세포 내에 축적된 지방을 오일 레드 O(Oil Red O)로 염색하였다. 염색 후 70 % 에탄올을 사용하여 세척한 후 건조시켜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용해하여 ELISA 판독기(Model 550, Bio-Rad)를 이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지방함량은 대조구의 평균흡광도 값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냈다.
실험결과, 지방세포 내 지방 함량은 본 발명 크림 조성물 없이 처리된 대조구 대비 각각 61%, 59% 감소했다.
즉, 본 발명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크림은 지방세포에서 지방의 축적을 억제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글리세롤 3- 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게나아제 ( GPDH ) 활성의 억제
분화유도물질(MDI) 단독 또는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약용식물 추출물과 조합된 분화유도제의 존재 하에 3T3-L1을 8일간 배양한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로 세척한 후, 세포 용해 완충액(120 mM Tris-HCl, 2 mM DTT, 1 mM EDTA, 10% 글리세롤, 및 1% 트리톤 X-100)을 이용하여 세포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GPDH 활성측정은 Wise 등의 방법(Wise LS, et al. 1979. J Bio chem. 254: 273~275)을 응용하여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100 mM 트리에탄올아민-HCl 완충액, pH 7.5, 0.12 mM NADH, 2.5 mM EDTA, 0.2 mM 데히드록시 아세톤 포스페이트(Dehydroxy acetone phosphate) 및 0.1 mM β-머캅토에탄올을 포함하는 반응액에 세포로부터 분리된 단백질을 첨가하고 340 nm에서 1분 간격으로 10분간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여 GPDH의 활성을 계산하였다. 효소활성 1 유닛은 1 nmol NADH/분이 산화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단백질 정량은 브래드포드법(Bradford MM, et. al. 1976. Analytical Biochemistry. 72: 248-254)을 사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단백질 함량을 계산하여 세포 내 총 단백질량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지방축적에 관여하는 효소인 GPDH는 3T3-L1 전구지방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가 진행될수록 발현이 증가되며, GPDH의 활성은 분화유도물질(MDI: Mix+Dex+Ins)을 처리한 군에서 129.4 U/㎎으로, 분화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해서 약 5.8배 활성이 증가되었으며, 100 ㎍/㎖의 크림 조성물을 분화유도물질과 함께 처리한 군은 분화유도물질만을 처리한 대조구와 비교시 GPDH의 활성이 70 % 감소되었다. 이는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크림 조성물은 지방축적에 관여하는 GPDH의 활성을 억제하여 지방 세포 내의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세포독성
세포독성 테스트는 Moseman의 방법(Moseman T. 1983. J Immunol Methods. 65: 55) 및 Skaper 등의 방법(Skaper SD, et al. 1990. Cell Culture. 2: 17-33 )을 응용한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2Htetrazolium bromide) 측정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실시예 1 및 2에서 수득된 크림 조성물을 DMSO에 용해시켜 0-100 ㎍/㎖로 배양액에 첨가하고, 상기 배양액에서 세포를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MTT 용액(5 ㎎/㎖)을 처리하여 4시간 더 배양 시킨 다음, 생성된 청색 결정인 포르마잔의 양을 ELISA 판독기를 이용하여 595nm에서 측정하였다. 세포에 대한 독성은 각각의 대조구의 평균 흡광도 값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냈다.
3T3-L1 지방세포에서 HEM의 세포독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0-100 ㎍/㎖ 농도의 크림 조성물을 처리하였을 때, 대조구인 DMSO만을 처리한 것과 비교하여 세포증식의 변화 정도를 계산하여 세포독성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림 조성물의 3T3-L1 전구지방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고농도인 100㎍/㎖에서도 세포 생존율이 100 %로 나타나, 본 발명 크림 조성물은 세포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항-비만용 크림 조성물을 인체 피부에 도포하는 경우에도 푸코산틴으로부터 기대된 셀룰라이트를 비롯한 지방 세포의 감소가 나타났다.
본 발명은 보다 안정화된 푸코산틴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크림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화장품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갈조류로부터의 추출 과정에서 비타민 C를 첨가 사용하여 수득된 안정화된 푸코산틴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크림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비타민 C가 갈조류의 중량 기준으로 0.1 내지 10.0%의 양으로 첨가되는 것이 특징인 항-비만용 크림 조성물.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혈류 촉진 성분 및 피부 영양 성분을 더 포함하는 항-비만용 크림 조성물.
KR1020110054184A 2010-06-03 2011-06-03 푸코산틴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크림 조성물 KR201101330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1/004107 WO2011152692A2 (ko) 2010-06-03 2011-06-03 푸코산틴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크림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514 2010-06-03
KR20100052514 2010-06-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005A true KR20110133005A (ko) 2011-12-09

Family

ID=45500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184A KR20110133005A (ko) 2010-06-03 2011-06-03 푸코산틴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크림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30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61295A (zh) * 2022-03-14 2022-05-31 福建农林大学 一种促进微藻岩藻黄素积累和脂质合成的培养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61295A (zh) * 2022-03-14 2022-05-31 福建农林大学 一种促进微藻岩藻黄素积累和脂质合成的培养方法
CN114561295B (zh) * 2022-03-14 2023-10-31 福建农林大学 一种促进微藻岩藻黄素积累和脂质合成的培养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84397B2 (ja) 皮膚化粧料、頭髪化粧料および飲食品
US10987296B2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 containing exopolysaccharide produced by Ceriporia lacerata as active ingredient
WO2022215441A1 (ja) 新規ポリフェノール化合物
CN113730291B (zh) 一种香榧复合油、制作方法及应用
KR101758144B1 (ko) 이고들빼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 조성물
CN104610054B (zh) 一种咖啡酰对羟基苯酚酯及其制备方法和在制备酪氨酸酶抑制剂中的应用
WO2011152692A2 (ko) 푸코산틴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크림 조성물
Wang et al. Apple phlorizin oxidation product 2 inhibits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KR20110133005A (ko) 푸코산틴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크림 조성물
KR101904501B1 (ko) 퓨코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45553B1 (ko) 천연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단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동물세포 배양용 무혈청 배지 및 피부개선조성물
JP2009013104A (ja) 抗酸化作用を有するキサントン誘導体、それらの製造方法、それらからなる化粧品
KR20170052556A (ko) 퓨코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 개선용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45562B1 (ko) 천연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단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동물세포 배양용 무혈청 배지 및 피부개선조성물
KR20220141191A (ko) 닥나무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보습, 피부 장벽 강화, 피부 재생 촉진 및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258991B1 (ko) 우방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미생물을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크티게닌의 제조 방법
KR20110133000A (ko) 해조류 유래의 푸코산틴의 정제 방법
JP6831049B2 (ja) NF−κB抑制作用を呈するグランジフロル酸誘導体の製造方法
KR20150012164A (ko) 푸코산틴 유도체를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101245554B1 (ko) 천연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단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동물세포 배양용 무혈청 배지 및 피부개선조성물
KR101245557B1 (ko) 천연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단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동물세포 배양용 무혈청 배지 및 피부개선조성물
JP7134322B2 (ja) AGEs形成抑制用組成物
KR102573041B1 (ko) 매생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JP5992661B2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WO2011152689A2 (ko) 해조류 유래의 푸코산틴의 정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