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1961A -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1961A
KR20110131961A KR1020100051681A KR20100051681A KR20110131961A KR 20110131961 A KR20110131961 A KR 20110131961A KR 1020100051681 A KR1020100051681 A KR 1020100051681A KR 20100051681 A KR20100051681 A KR 20100051681A KR 20110131961 A KR20110131961 A KR 20110131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scan
control
light emitting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2856B1 (ko
Inventor
황영인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1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2856B1/ko
Priority to US12/969,539 priority patent/US9047817B2/en
Publication of KR20110131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1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used for counteracting undesired variations, e.g. feedback or autozero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09G2300/0861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with additional control of the display period without amending the charge stored in a pixel memory, e.g. by means of additional select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09G2300/0861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with additional control of the display period without amending the charge stored in a pixel memory, e.g. by means of additional select electrodes
    • G09G2300/0866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with additional control of the display period without amending the charge stored in a pixel memory, e.g. by means of additional select electrodes by means of changes in the pixel supply volt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2The addressing of the pixel, in a display other than an active matrix LCD, involving the control of two or more scan electrodes or two or more data electrodes, e.g. pixel voltage dependent on signals of two data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하는 휘도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주사선들 및 데이터선들의 교차부에 위치되는 화소들과; 상기 화소들로 전류를 공급하기 제 1전원과 k(k는 홀수 또는 짝수)번째 수평라인에 위치된 화소들 사이에 형성되는 제 1제어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전원과 k+1번째 수평라인에 위치된 화소들 사이에 형성되는 제 2제어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및 제 2제어 트랜지스터는 한 프레임 기간 중 주사기간 동안 교번적으로 턴-온 및 턴-오프된다.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하는 휘도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평판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평판 표시장치로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플라즈마 표시패널(Plasma Display Panel) 및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이 있다.
평판 표시장치 중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의하여 빛을 발생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빠른 응답속도를 가짐과 동시에 낮은 소비전력으로 구동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화소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에서 화소들에 포함되는 트랜지스터들은 엔모스(NMOS)로 설정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화소(4)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와, 데이터선(Dm) 및 주사선(Sn)에 접속되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제어하기 위한 화소회로(2)를 구비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전극은 화소회로(2)에 접속되고, 캐소드전극은 제 2전원(ELVSS)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화소회로(2)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대응되어 소정 휘도의 빛을 생성한다.
화소회로(2)는 주사선(Sn)에 주사신호가 공급될 때 데이터선(Dm)으로 공급되는 데이터신호에 대응되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로 공급되는 전류량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화소회로(2)는 제 1전원(ELVDD)과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사이에 접속된 제 2트랜지스터(M2)(즉, 구동 트랜지스터)와, 제 2트랜지스터(M2), 데이터선(Dm) 및 주사선(Sn)의 사이에 접속된 제 1트랜지스터(M1)와, 제 2트랜지스터(M2)의 게이트전극과 제 2전극 사이에 접속된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구비한다.
제 1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전극은 주사선(Sn)에 접속되고, 제 1전극은 데이터선(Dm)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 1트랜지스터(M1)의 제 2전극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일측단자에 접속된다. 여기서, 제 1전극은 소오스전극 및 드레인전극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고, 제 2전극은 제 1전극과 다른 전극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제 1전극이 드레인전극으로 설정되면 제 2전극은 소오스전극으로 설정된다. 주사선(Sn) 및 데이터선(Dm)에 접속된 제 1트랜지스터(M1)는 주사선(Sn)으로부터 주사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되어 데이터선(Dm)으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신호를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로 공급한다. 이때,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데이터신호에 대응되는 전압을 충전한다.
제 2트랜지스터(M2)의 게이트전극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일측단자에 접속되고, 제 1전극은 제 1전원(ELVDD)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 2트랜지스터(M2)의 제 2전극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다른측단자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전극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제 2트랜지스터(M2)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전압값에 대응하여 제 1전원(ELVDD)으로부터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경유하여 제 2전원(ELVSS)으로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일측단자는 제 2트랜지스터(M2)의 게이트전극에 접속되고, 다른측단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전극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데이터신호에 대응되는 전압을 충전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화소(4)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충전된 전압에 대응하는 전류를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로 공급함으로써 소정 휘도의 화상을 표시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제 2트랜지스터(M2)의 문턱전압 편차에 의하여 균일한 휘도의 영상을 표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다른측 단자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전극에 접속되기 때문에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저장되는 전압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열화에 대응하여 변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하는 휘도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주사선들 및 데이터선들의 교차부에 위치되는 화소들과; 상기 화소들로 전류를 공급하기 제 1전원과 k(k는 홀수 또는 짝수)번째 수평라인에 위치된 화소들 사이에 형성되는 제 1제어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전원과 k+1번째 수평라인에 위치된 화소들 사이에 형성되는 제 2제어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및 제 2제어 트랜지스터는 한 프레임 기간 중 주사기간 동안 교번적으로 턴-온 및 턴-오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사기간 동안 상기 주사선들로 주사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주사 구동부와, 상기 주사기간 동안 상기 데이터선들로 데이터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와, 상기 주사기간 동안 상기 제 1트랜지스터로 제 1제어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제 2트랜지스터로 제 2제어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제어신호 생성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주사 구동부는 i-1(i는 자연수)번째 주사선으로 공급되는 주사신호와 일부기간 중첩되게 i번째 주사선으로 주사신호를 공급한다. 상기 주사 구동부는 2H의 기간 동안 상기 주사신호를 공급하며, 상기 일부기간은 1H의 기간이다.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는 하나의 주사신호가 공급되는 기간 동안 상기 제 1제어 트랜지스터 및 제 2제어 트랜지스터가 턴-온 및 턴-오프 동작을 반복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제어신호를 공급한다.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는 상기 한 프레임 기간 중 상기 주사기간을 제외한 발광기간 동안 상기 제 1 및 제 2제어 트랜지스터가 턴-온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제어신호를 공급한다. i(i는 자연수)번째 수평라인에 위치된 상기 화소들 각각은 캐소드전극이 제 2전원과 접속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와; 제 2전극이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접속되며,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하는 제 1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트랜지스터의 제 2전극과 데이터선 사이에 접속되며, i번째 주사선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되는 제 2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트랜지스터의 제 1전극과 게이트전극 사이에 접속되며, i-1번째 주사선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되는 제 3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과 상기 제 1전원 사이에 접속되는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구비한다. 상기 제 1트랜지스터의 제 1전극은 상기 제 1제어 트랜지스터 또는 제 2제어 트랜지스터에 접속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3트랜지스터는 엔모스(NMOS)이다. 상기 주사기간 동안 상기 제 2전원으로 하이레벨의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주사기간을 제외한 발광기간 동안 상기 제 2전원으로 로우레벨의 전압을 공급하는 제 2전원 생성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한 프레임 기간이 초기화기간, 주사기간 및 발광기간으로 나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주사선들 및 데이터선들의 교차부에 위치되는 화소들과; 상기 주사기간 동안 상기 주사선들로 주사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주사 구동부와; 상기 데이터선들로 데이터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와; 상기 화소들과 공통적으로 접속되는 제 1제어선으로 상기 초기화기간 및 발광기간 동안 제 1제어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제어선 구동부와; 상기 화소들이 초기화기간 및 주사기간 동안 비발광 상태로 설정되도록 제 2전원으로 하이레벨의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발광기간 동안 제 2전원으로 로우레벨의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제 2전원 생성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i(i는 자연수)번째 수평라인에 위치된 상기 화소들 각각은 캐소드전극이 상기 제 2전원과 접속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와; 제 2전극이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접속되며,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하는 제 1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트랜지스터의 제 2전극과 데이터선 사이에 접속되며, i번째 주사선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되는 제 2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트랜지스터의 제 1전극과 게이트전극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i번째 주사선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되는 제 3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트랜지스터의 제 1전극과 제 1전원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 1제어선으로 상기 제 1제어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되는 제 4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과 상기 제 1전원 사이에 접속되는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구비한다. 상기 주사 구동부는 상기 초기화기간 동안 상기 주사선들로 주사신호를 동시에 공급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트랜지스터는 엔모스(NMOS)이다.
상기 주사선들과 나란하게 수평라인마다 형성되는 제 2제어선들을 더 구비한다. 상기 주사 구동부는 상기 초기화기간 동안 상기 제 2제어선들로 제 2제어신호를 동시에 공급하며, 상기 주사기간 동안 상기 제 2제어선들로 상기 제 2제어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상기 주사기간 동안 공급되는 상기 제 2제어신호는 상기 주사신호보다 넓은 폭으로 설정된다. 상기 주사 구동부는 상기 주사기간 동안 i(i는 자연수)번째 주사선으로 공급되는 주사신호와 동시에 i번째 제 2제어선으로 상기 제 2제어신호를 공급한다. i(i는 자연수)번째 수평라인에 위치된 상기 화소들 각각은 캐소드전극이 상기 제 2전원과 접속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와; 제 2전극이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접속되며,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하는 제 1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트랜지스터의 제 2전극과 데이터선 사이에 접속되며, i번째 주사선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되는 제 2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트랜지스터의 제 1전극과 게이트전극 사이에 접속되며, i번쩨 제 2제어선으로 제 2제어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되는 제 3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트랜지스터의 제 1전극과 제 1전원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 1제어선으로 상기 제 1제어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되는 제 4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과 상기 제 1전원 사이에 접속되는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트랜지스터는 엔모스(NMOS)이다.
본 발명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과 무관하게 원하는 휘도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서 스토리지 커패시터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열화와 무관하게 원하는 전압을 충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소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화소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화소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화소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화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화소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주사선들(S0 내지 Sn) 및 데이터선들(D1 내지 Dm)과 접속되도록 위치되는 화소들(140)과, 주사선들(S0 내지 Sn)을 구동하기 위한 주사 구동부(110)와, 데이터선들(D1 내지 Dm)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120)와, 주사 구동부(110), 데이터 구동부(120), 제어신호 생성부(160) 및 제 2전원 생성부(170)를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부(150)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k(k는 홀수 또는 짝수)번째 수평라인마다 형성되는 제 1제어 트랜지스터(CM1)와, k+1번째 수평라인마다 형성되는 제 2제어 트랜지스터(CM2)와, 제 1제어 트랜지스터(CM1) 및 제 2제어 트랜지스터(CM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 생성부(160)와, 제 2전원(ELVSS)을 생성하기 위한 제 2전원 생성부(170)를 구비한다.
주사 구동부(110)는 타이밍 제어부(150)로부터 주사 구동제어신호(SCS)를 공급받는다. 주사 구동제어신호(SCS)를 공급받은 주사 구동부(110)는 주사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주사신호를 주사선들(S0 내지 Sn)로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여기서, i(i는 자연수)번째 주사선(Si)으로 공급되는 주사신호는 i-1번째 주사선(Si-1)으로 공급되는 주사신호와 일부기간 중첩되도록 공급된다. 예를 들어, 주사 구동부(110)는 1H의 기간 동안 중첩되도록 주사신호들을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주사신호의 폭은 1H의 이상의 기간, 예를 들면 2H의 기간으로 설정된다.
데이터 구동부(120)는 타이밍 제어부(150)로부터 데이터 구동제어신호(DCS)를 공급받는다. 데이터 구동제어신호(DCS)를 공급받은 데이터 구동부(120)는 주사신호가 공급될 때 데이터선들(D1 내지 Dm)로 데이터신호를 공급한다.
타이밍 제어부(15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동기신호들에 대응하여 데이터 구동제어신호(DCS) 및 주사 구동제어신호(SCS)를 생성한다. 타이밍 제어부(150)에서 생성된 데이터 구동제어신호(DCS)는 데이터 구동부(120)로 공급되고, 주사 구동제어신호(SCS)는 주사 구동부(110)로 공급된다. 그리고, 타이밍 제어부(15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Data)를 데이터 구동부(120)로 공급한다.
제 1제어 트랜지스터(CM1)는 k번째 수평라인에 위치된 화소들(140)과 제 1전원(ELVDD) 사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 1제어 트랜지스터(CM1)는 제 1제어신호(CS1)에 대응하여 주사기간 동안 턴-온 및 턴-오프되고, 발광기간 동안 턴-온 상태를 유지한다.
제 2제어 트랜지스터(CM2)는 k+1번째 수평라인에 위치된 화소들(140)과 제 1전원(ELVDD) 사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 2제어 트랜지스터(CM2)는 제 2제어신호(CS2)에 대응하여 주사기간 동안 턴-온 및 턴-오프되고, 발광기간 동안 턴-온 상태를 유지한다.
제어신호 생성부(160)는 제 1제어 트랜지스터들(CM1)로 제 1제어신호를 공급하고, 제 2제어 트랜지스터들(CM2)로 제 2제어신호를 공급한다. 여기서, 제어신호 생성부(160)는 주사기간 동안 제 1제어 트랜지스터들(CM1) 및 제 2제어 트랜지스터들(CM2)이 교번적으로 턴-온 및 턴-오프되도록 제 1 및 제 2제어신호(CS1, CS2)를 공급한다. 실제로, 제어신호 생성부(160)는 하나의 주사신호가 공급되는 기간 동안 제 1제어 트랜지스터(CM1) 및 제 2제어 트랜지스터(CM2)가 턴-온 및 턴-오프될 수 있도록 제 1제어신호(CS1) 및 제 2제어신호(CS2)를 공급한다. 그리고, 제어신호 생성부(160)는 발광기간 동안 제 1제어 트랜지스터들(CM1) 및 제 2제어 트랜지스터들(CM2)이 턴-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 1제어신호(CS1) 및 제 2어신호(CS2)를 공급한다.
제 2전원 생성부(170)는 주사기간 동안 제 2전원(ELVSS)의 전압을 하이레벨로 설정하고, 발광기간 동안 제 2전원(ELVSS)의 전압을 로우레벨로 설정한다. 제 2전원(ELVSS)이 하이레벨로 설정되는 주사기간 동안 화소들(140)은 비발광 상태로 설정되고, 로우레벨로 설정되는 발광기간 동안 화소들(140)은 발광 상태로 설정된다.
화소부(130)는 외부로부터 제 1전원(ELVDD) 및 제 2전원(ELVSS)을 공급받아 각각의 화소들(140)로 공급한다. 제 1전원(ELVDD) 및 제 2전원(ELVSS)을 공급받은 화소들(140) 각각은 데이터신호에 대응하는 빛을 생성한다. 이를 위하여, 화소들(140) 각각은 엔모스(NMOS)로 이루어진 복수의 트랜지스터들을 구비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소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하여 제 n주사선(Sn) 및 제 m데이터선(Dm)과 접속된 화소(140)를 도시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소(140)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와, 주사선(Sn-1, Sn) 및 데이터선(Dm)과 접속되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로 공급되는 전류량을 제어하기 위한 화소회로(142)를 구비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전극은 화소회로(142)에 접속되고, 캐소드전극은 제 2전원(ELVSS)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화소회로(142)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대응하여 소정 휘도의 빛을 생성한다.
화소회로(142)는 제 1트랜지스터(즉, 구동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 및 데이터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충전하고, 충전된 전압에 대응하여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로 공급되는 전류량을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화소회로(142)는 제 1 내지 제 3트랜지스터(M1 내지 M3)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구비한다.
제 1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전극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제 1단자에 접속되고, 제 1전극은 제 1제어 트랜지스터(CM1)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 1트랜지스터(M1)의 제 2전극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전극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제 1트랜지스터(M1)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충전된 전압에 대응하는 전류를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0로 공급한다.
제 2트랜지스터(M2)의 제 1전극은 데이터선(Dm)에 접속되고, 제 2전극은 제 1트랜지스터(M1)의 제 2전극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 2트랜지스터(M2)의 게이트전극은 제 n주사선(Sn)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제 2트랜지스터(M2)는 제 n주사선(Sn)에 주사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되어 데이터선(Dm)과 제 1트랜지스터(M1)의 제 2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제 3트랜지스터(M3)의 제 1전극은 제 1트랜지스터(M1)의 제 1전극에 접속되고, 제 2전극은 제 1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전극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 3트랜지스터(M3)의 게이트전극은 제 n-1주사선(Sn-1)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제 3트랜지스터(M3)는 제 n-1주사선(Sn-1)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되어 제 1트랜지스터(M1)를 다이오드 형태로 접속시킨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제 1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전극과 제 1전원(ELVDD) 사이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데이터신호 및 제 1트랜지스터(M1)의 문턱전압에 대응하는 전압을 충전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화소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원 발명의 한 프레임 기간은 주사기간 및 발광기간으로 나누어진다. 주사기간 동안에는 하이레벨의 제 2전원(ELVSS)이 공급되어 화소들(140)이 비발광 상태로 설정된다. 주사기간 동안 화소들(140) 각각은 데이터신호 및 제 1트랜지스터(M1)의 문턱전압에 대응하는 전압을 충전한다. 발광기간 동안에는 로우레벨의 제 2전원(ELVSS)이 공급된다. 발광기간 동안 화소들(140)은 주사기간 동안 충전된 전압에 대응하여 소정의 빛을 생성한다.
또한, 제 1제어 트랜지스터(CM1) 및 제 2제어 트랜지스터(CM2) 각각은 주사신호가 공급되는 기간 동안 턴-온 및 턴-오프 동작을 반복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이전 주사선(예를 들어, 제 i-1주사선) 및 현재 주사선(예를 들어, 제 i주사선)에 접속된 특정 화소와 접속된 제어 트랜지스터(CM1 또는 CM2)는 이전 주사선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되는 기간 동안 턴-온되고, 이전 주사선 및 현재 주사선으로 동시에 주사신호가 공급되는 기간 동안 턴-오프된다.
도 3 및 도 4를 결부하여 동작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제 n-1주사선(Sn-1)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되어 제 3트랜지스터(M3)가 턴-온된다. 이때, 제 1제어신호(CS1)에 의하여 제 1제어 트랜지스터(CM1)가 턴-온 상태로 설정되기 때문에 제 1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전극은 제 1전원(ELVDD)의 전압으로 초기화된다.
이후, 제 1제어신호(CS1)에 의하여 제 1제어 트랜지스터(CM1)가 턴-오프 상태로 설정되며, 제 n주사선(Sn)으로 공급되는 주사신호에 의하여 제 2트랜지스터(M2)가 턴-온된다. 제 2트랜지스터(M2)가 턴-온되면 데이터선(Dm)으로부터의 데이터신호가 제 1트랜지스터(M1)의 제 2전극으로 공급된다. 이때, 다이오드 형태로 접속된 제 1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전극의 전압은 데이터신호의 전압으로부터 제 1트랜지스터(M1)의 문턱전압을 합한 값으로 설정되고,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이에 대응하는 전압을 충전한다.
발광기간 동안 제 2전원(ELVSS)의 전압이 로우레벨로 설정되고, 제어 트랜지스터들(CM1, CM2)이 턴-온 상태로 설정된다. 이와 같은 발광기간 동안 화소들(140)은 주사기간 동안 충전된 전압에 대응하는 전류를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로 공급하면서 소정 휘도의 빛을 생성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제어 트랜지스터들(CM1, CM2)이 화소(240)의 내부에 포함되도록 형성될 뿐 실질적인 구조는 동일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주사선들(S1 내지 Sn) 및 데이터선들(D1 내지 Dm)과 접속되도록 위치되는 화소들(240)과, 주사선들(S1 내지 Sn)을 구동하기 위한 주사 구동부(210)와, 데이터선들(D1 내지 Dm)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220)와, 제어선(CL1)(또는 제 1제어선)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 생성부(260)와, 제 2전원(ELVSS)을 생성하기 위한 제 2전원 생성부(270)와, 주사 구동부(210), 데이터 구동부(220), 제어신호 생성부(260) 및 제 2전원 생성부(270)를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부(250)를 구비한다.
주사 구동부(210)는 타이밍 제어부(250)로부터 주사 구동제어신호(SCS)를 공급받는다. 주사 구동제어신호(SCS)를 공급받은 주사 구동부(210)는 한 프레임 기간 중 초기화기간 동안 주사선들(S1 내지 Sn)로 주사신호를 동시에 공급한다. 그리고, 주사 구동부(110)는 한 프레임 기간 중 주사기간 동안 주사선들(S1 내지 Sn)로 주사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데이터 구동부(220)는 타이밍 제어부(250)로부터 데이터 구동제어신호(DCS)를 공급받는다. 데이터 구동제어신호(DCS)를 공급받은 데이터 구동부(220)는 주사기간 동안 주사신호와 동기되도록 데이터선들(D1 내지 Dm)로 데이터신호를 공급한다.
제어신호 생성부(260)는 초기화기간 및 발광기간 동안 제어선(CL1)으로 제어신호를 공급한다. 여기서, 제어선(CL1)은 화소들(240) 각각에 포함되는 제 4트랜지스터(M4)와 공통적으로 접속된다.
타이밍 제어부(25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동기신호들에 대응하여 주사 구동부(210), 데이터 구동부(220), 제어신호 생성부(260) 및 제 2전원 생성부(270)를 제어한다.
제 2전원 생성부(270)는 초기화기간 및 주사기간 동안 하이레벨의 제 2전원(ELVSS)을 공급하고, 발광기간 동안 로우레벨의 제 2전원(ELVSS)을 공급한다. 여기서, 하이레벨의 제 2전원(ELVSS)이 공급되는 초기화기간 및 주사기간 동안 화소들(240)은 비발광 상태로 설정된다.
화소부(230)는 외부로부터 제 1전원(ELVDD) 및 제 2전원(ELVSS)을 공급받아 각각의 화소들(240)로 공급한다. 제 1전원(ELVDD) 및 제 2전원(ELVSS)을 공급받은 화소들(240) 각각은 데이터신호에 대응하는 빛을 생성한다. 이를 위하여, 화소들(240) 각각은 엔모스(NMOS)로 이루어진 복수의 트랜지스터들을 구비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화소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소(240)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와, 주사선(Sn) 및 데이터선(Dm)과 접속되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로 공급되는 전류량을 제어하기 위한 화소회로(242)를 구비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전극은 화소회로(242)에 접속되고, 캐소드전극은 제 2전원(ELVSS)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화소회로(242)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대응하여 소정 휘도의 빛을 생성한다.
화소회로(242)는 제 1트랜지스터(즉, 구동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 및 데이터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충전하고, 충전된 전압에 대응하여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로 공급되는 전류량을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화소회로(242)는 제 1 내지 제 4트랜지스터(M1 내지 M4)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구비한다.
제 1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전극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제 1단자에 접속되고, 제 1전극은 제 4트랜지스터(M4)의 제 2전극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 1트랜지스터(M1)의 제 2전극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전극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제 1트랜지스터(M1)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충전된 전압에 대응하는 전류를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로 공급한다.
제 2트랜지스터(M2)의 제 1전극은 데이터선(Dm)에 접속되고, 제 2전극은 제 1트랜지스터(M1)의 제 2전극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 2트랜지스터(M2)의 게이트전극은 제 n주사선(Sn)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제 2트랜지스터(M2)는 제 n주사선(Sn)에 주사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되어 데이터선(Dm)과 제 1트랜지스터(M1)의 제 2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제 3트랜지스터(M3)의 제 1전극은 제 1트랜지스터(M1)의 제 1전극에 접속되고, 제 2전극은 제 1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전극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 3트랜지스터(M3)의 게이트전극은 제 n주사선(Sn)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제 3트랜지스터(M3)는 제 n주사선(Sn)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되어 제 1트랜지스터(M1)를 다이오드 형태로 접속시킨다.
제 4트랜지스터(M4)의 제 1전극은 제 1전원(ELVDD)에 접속되고, 제 2전극은 제 1트랜지스터(M1)의 제 1전극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 4트랜지스터(M4)의 게이트전극은 제어선(CL1)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제 4트랜지스터(M4)는 제어선(CL1)으로 제어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되어 제 1전원(ELVDD)과 제 1트랜지스터(M1)의 제 1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제 1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전극과 제 1전원(ELVDD) 사이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데이터신호 및 제 1트랜지스터(M1)의 문턱전압에 대응하는 전압을 충전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화소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원 발명의 한 프레임 기간은 초기화기간, 주사기간 및 발광기간으로 나누어진다. 초기화기간 동안 제 1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전극의 전압이 제 1전원(ELVDD)의 전압으로 초기화되고, 주사기간 동안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데이터신호 및 제 1트랜지스터(M1)의 문턱전압에 대응하는 전압이 충전된다. 그리고, 발광기간 동안 화소들(240) 각각은 주사기간에 충전된 전압에 대응하는 전류를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로 공급하고, 이에 따라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에서 소정 휘도의 빛이 생성된다.
도 6 및 도 7을 결부하여 동작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초기화기간 동안 주사선들(S1 내지 Sn)로 주사신호가 공급되고, 제어선(CL1)으로 제어신호가 공급된다.
제어선(CL1)으로 제어신호가 공급되면 제 4트랜지스터(M4)가 턴-온된다. 주사선들(S1 내지 Sn)로 주사신호가 공급되면 제 2트랜지스터(M2) 및 제 3트랜지스터(M3)가 턴-온된다. 제 3트랜지스터(M3) 및 제 4트랜지스터(M4)가 턴-온되면 제 1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전극으로 제 1전원(ELVDD)의 전압이 공급된다. 제 2트랜지스터(M2)가 턴-온되면 데이터선(Dm)과 제 1트랜지스터(M1)의 제 2전극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때, 데이터선(Dm)으로는 소정의 전압, 예를 들면 제 1전원(ELVDD)과 동일한 전압이 공급된다.
주사기간에는 주사선들(S1 내지 Sn)로 주사신호가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주사기간 동안 제 4트랜지스터(M4)는 턴-오프 상태로 설정된다.
제 n주사선(Sn)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되면 제 2트랜지스터(M2) 및 제 3트랜지스터(M3)가 턴-온된다. 제 3트랜지스터(M3)가 턴-온되면 제 1트랜지스터(M1)가 다이오드 형태로 접속된다. 제 2트랜지스터(M2)가 턴-온되면 데이터선(Dm)으로부터의 데이터신호가 제 1트랜지스터(M1)의 제 2전극으로 공급된다. 이때, 제 1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전극의 전압은 데이터신호의 전압으로부터 제 1트랜지스터(M1)의 문턱전압을 합한 값으로 설정되고,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이에 대응하는 전압을 충전한다.
발광기간 동안 제어선(CL1)으로 제어신호가 공급됨과 아울러 제 2전원(ELVSS)이 로우레벨의 전압으로 설정된다. 제어선(CL1)으로 제어신호가 공급되면 제 4트랜지스터(M4)가 턴-온된다. 제 4트랜지스터(M4)가 턴-온되면 제 1트랜지스터(M1)의 제 1전극이 제 1전원(ELVDD)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이에 따라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충전된 전압에 대응하는 전류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로 공급된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화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설명할 때 도 6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할당함과 아울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소(240)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와, 주사선(Sn) 및 데이터선(Dm)과 접속되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로 공급되는 전류량을 제어하기 위한 화소회로(242')를 구비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전극은 화소회로(242')에 접속되고, 캐소드전극은 제 2전원(ELVSS)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화소회로(242')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대응하여 소정 휘도의 빛을 생성한다.
화소회로(242')는 제 1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 및 데이터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충전하고, 충전된 전압에 대응하여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로 공급되는 전류량을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화소회로(242')는 제 1 내지 제 4트랜지스터(M1 내지 M4)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구비한다.
제 3트랜지스터(M3')의 제 1전극은 제 1트랜지스터(M1)의 제 1전극에 접속되고, 제 2전극은 제 1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전극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 3트랜지스터(M3)의 게이트전극은 제 2제어선(CL2n)에 접속된다. 여기서, 제 2제어선(CLn)은 주사선들(S1 내지 Sn)과 동일하게 수평라인마다 형성된다.
주사 구동부(210)는 초기화기간 동안 제 2제어선들(CL21 내지 CL2n)로 제 2제어신호를 동시에 공급하고, 주사기간 동안 제 2제어선들(CL21 내지 CL2n)로 제 2제어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여기서, 주사기간 동안 제 2제어선들(CL21 내지 CL2n)로 공급되는 제 2제어신호는 주사신호보다 넓은 폭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i번째 제 2제어선(CL2i)으로 공급되는 제 2제어신호는 i번째 주사선(Si)으로 공급되는 주사신호와 동시에 공급된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화소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초기화기간 동안 제 1제어선(CL1)으로 제 1제어신호가 공급되고, 제 2제어선(CL2)으로 제 2제어신호가 공급된다. 제 1제어선(CL)으로 제 1제어신호가 공급되면 제 4트랜지스터(M4)가 턴-온된다. 제 2제어선(CL2)으로 제 2제어신호가 공급되면 제 3트랜지스터(M3')가 턴-온된다. 제 3트랜지스터(M3) 및 제 4트랜지스터(M4)가 턴-온되면 제 1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전극으로 제 1전원(ELVDD)의 전압이 공급된다.
주사기간 동안 주사선들(S1 내지 Sn)로 주사신호가 순차적으로 공급됨과 아울러 제 2제어선(CL21 내지 CL2n)으로 제 2제어신호가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주사기간 동안 제 4트랜지스터(M4)가 턴-오프 상태로 설정된다.
주사선(Sn)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되면 제 2트랜지스터(M2)가 턴-온된다. 제 2트랜지스터(M2)가 턴-온되면 데이터선(Dm)으로부터의 데이터신호가 제 1트랜지스터(M1)의 제 2전극으로 공급된다. 제 2제어선(CL2n)으로 제 2제어신호가 공급되면 제 3트랜지스터(M3')가 턴-온된다. 제 3트랜지스터(M3')가 턴-온되면 제 1트랜지스터(M1)가 다이오드 형태로 접속된다. 이때, 제 1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전극의 전압은 데이터신호의 전압으로부터 제 1트랜지스터(M1)의 문턱전압을 합한 값으로 설정되고,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이에 대응하는 전압을 충전한다.
한편, 제 2제어선(CL2n)으로 공급되는 제 2제어신호는 주사선(Sn)으로부터 공급되는 주사신호보다 넓은 폭으로 설정되고, 이에 따라 제 2트랜지스터(M2)가 턴-오프된 이후에 소정기간 동안 제 3트랜지스터(M3')는 턴-온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제 1트랜지스터(M1)의 제 2전극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기생 커패시터(미도시)에 의하여 데이터신호의 전압을 유지한다. 따라서, 제 3트랜지스터(M3')가 턴-온 상태를 유지하는 기간 동안 추가적으로 제 1트랜지스터(M1)의 문턱전압이 보상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다 정확한 계조의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발광기간 동안 제 1제어선(CL1)으로 제 1제어신호가 공급됨과 아울러 제 2전원(ELVSS)이 로우레벨의 전압으로 설정된다. 제 1제어선(CL1)으로 제 1제어신호가 공급되면 제 4트랜지스터(M4)가 턴-온된다. 제 4트랜지스터(M4)가 턴-온되면 제 1트랜지스터(M1)의 제 1전극이 제 1전원(ELVDD)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이에 따라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충전된 전압에 대응하는 전류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로 공급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142,242 : 화소회로 4,140,240 : 화소
110,210 : 주사 구동부 120,220 : 데이터 구동부
130,230 : 화소부 150,250 : 타이밍 제어부
160,260 : 제어신호 생성부 170,270 : 제 2전원 생성부

Claims (20)

  1. 주사선들 및 데이터선들의 교차부에 위치되는 화소들과;
    상기 화소들로 전류를 공급하기 제 1전원과 k(k는 홀수 또는 짝수)번째 수평라인에 위치된 화소들 사이에 형성되는 제 1제어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전원과 k+1번째 수평라인에 위치된 화소들 사이에 형성되는 제 2제어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및 제 2제어 트랜지스터는 한 프레임 기간 중 주사기간 동안 교번적으로 턴-온 및 턴-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간 동안 상기 주사선들로 주사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주사 구동부와,
    상기 주사기간 동안 상기 데이터선들로 데이터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와,
    상기 주사기간 동안 상기 제 1트랜지스터로 제 1제어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제 2트랜지스터로 제 2제어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제어신호 생성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 구동부는 i-1(i는 자연수)번째 주사선으로 공급되는 주사신호와 일부기간 중첩되게 i번째 주사선으로 주사신호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 구동부는 2H의 기간 동안 상기 주사신호를 공급하며, 상기 일부기간은 1H의 기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는 하나의 주사신호가 공급되는 기간 동안 상기 제 1제어 트랜지스터 및 제 2제어 트랜지스터가 턴-온 및 턴-오프 동작을 반복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제어신호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생성부는 상기 한 프레임 기간 중 상기 주사기간을 제외한 발광기간 동안 상기 제 1 및 제 2제어 트랜지스터가 턴-온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제어신호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i(i는 자연수)번째 수평라인에 위치된 상기 화소들 각각은
    캐소드전극이 제 2전원과 접속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와;
    제 2전극이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접속되며,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하는 제 1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트랜지스터의 제 2전극과 데이터선 사이에 접속되며, i번째 주사선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되는 제 2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트랜지스터의 제 1전극과 게이트전극 사이에 접속되며, i-1번째 주사선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되는 제 3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과 상기 제 1전원 사이에 접속되는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트랜지스터의 제 1전극은 상기 제 1제어 트랜지스터 또는 제 2제어 트랜지스터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트랜지스터는 엔모스(NMO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간 동안 상기 제 2전원으로 하이레벨의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주사기간을 제외한 발광기간 동안 상기 제 2전원으로 로우레벨의 전압을 공급하는 제 2전원 생성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11. 한 프레임 기간이 초기화기간, 주사기간 및 발광기간으로 나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주사선들 및 데이터선들의 교차부에 위치되는 화소들과;
    상기 주사기간 동안 상기 주사선들로 주사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주사 구동부와;
    상기 데이터선들로 데이터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와;
    상기 화소들과 공통적으로 접속되는 제 1제어선으로 상기 초기화기간 및 발광기간 동안 제 1제어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제어선 구동부와;
    상기 화소들이 초기화기간 및 주사기간 동안 비발광 상태로 설정되도록 제 2전원으로 하이레벨의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발광기간 동안 제 2전원으로 로우레벨의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제 2전원 생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i(i는 자연수)번째 수평라인에 위치된 상기 화소들 각각은
    캐소드전극이 상기 제 2전원과 접속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와;
    제 2전극이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접속되며,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하는 제 1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트랜지스터의 제 2전극과 데이터선 사이에 접속되며, i번째 주사선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되는 제 2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트랜지스터의 제 1전극과 게이트전극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i번째 주사선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되는 제 3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트랜지스터의 제 1전극과 제 1전원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 1제어선으로 상기 제 1제어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되는 제 4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과 상기 제 1전원 사이에 접속되는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 구동부는 상기 초기화기간 동안 상기 주사선들로 주사신호를 동시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트랜지스터는 엔모스(NMO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선들과 나란하게 수평라인마다 형성되는 제 2제어선들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 구동부는 상기 초기화기간 동안 상기 제 2제어선들로 제 2제어신호를 동시에 공급하며, 상기 주사기간 동안 상기 제 2제어선들로 상기 제 2제어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간 동안 공급되는 상기 제 2제어신호는 상기 주사신호보다 넓은 폭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 구동부는 상기 주사기간 동안 i(i는 자연수)번째 주사선으로 공급되는 주사신호와 동시에 i번째 제 2제어선으로 상기 제 2제어신호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19. 제 15항에 있어서,
    i(i는 자연수)번째 수평라인에 위치된 상기 화소들 각각은
    캐소드전극이 상기 제 2전원과 접속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와;
    제 2전극이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접속되며,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하는 제 1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트랜지스터의 제 2전극과 데이터선 사이에 접속되며, i번째 주사선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되는 제 2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트랜지스터의 제 1전극과 게이트전극 사이에 접속되며, i번쩨 제 2제어선으로 제 2제어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되는 제 3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트랜지스터의 제 1전극과 제 1전원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 1제어선으로 상기 제 1제어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되는 제 4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과 상기 제 1전원 사이에 접속되는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트랜지스터는 엔모스(NMO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0100051681A 2010-06-01 2010-06-01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1162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681A KR101162856B1 (ko) 2010-06-01 2010-06-01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US12/969,539 US9047817B2 (en) 2010-06-01 2010-12-15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681A KR101162856B1 (ko) 2010-06-01 2010-06-01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961A true KR20110131961A (ko) 2011-12-07
KR101162856B1 KR101162856B1 (ko) 2012-07-06

Family

ID=45021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681A KR101162856B1 (ko) 2010-06-01 2010-06-01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047817B2 (ko)
KR (1) KR1011628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8612A (ko) * 2012-02-28 2013-09-0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9336714B2 (en) 2012-11-22 2016-05-10 Samsung Display Co., Ltd. Threshold voltage compensating pixel circuit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sing the same
US9589502B2 (en) 2012-11-23 2017-03-07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ith initialization circuit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43008A (ja) * 2013-08-26 2015-03-0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有機el表示装置
CN103927991A (zh) * 2014-04-29 2014-07-16 何东阳 一种amoled像素电路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5278A (ja) * 2002-08-30 2004-05-20 Seiko Epson Corp 電子回路、電子回路の駆動方法、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及び電子機器
JP2004145300A (ja) * 2002-10-03 2004-05-20 Seiko Epson Corp 電子回路、電子回路の駆動方法、電子装置、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及び電子機器
KR100965161B1 (ko) 2003-06-12 201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구동회로와, 이를 갖는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KR100560780B1 (ko) * 2003-07-07 2006-03-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 화소회로 및 그의 구동방법
US7663615B2 (en) 2004-12-13 2010-02-16 Casio Computer Co., Ltd. Light emission drive circuit and its drive control method and display unit and its display drive method
KR101219049B1 (ko) 2005-04-29 2013-0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압기입방식의 능동구동 유기발광소자를 위한 화소 구조
KR101261607B1 (ko) * 2006-07-25 2013-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0893481B1 (ko) 2007-11-08 2009-04-1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90112199A (ko) 2008-04-23 2009-10-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0952836B1 (ko) 2008-07-21 2010-04-15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화소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1142636B1 (ko) * 2009-04-23 2012-05-0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8612A (ko) * 2012-02-28 2013-09-0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9336714B2 (en) 2012-11-22 2016-05-10 Samsung Display Co., Ltd. Threshold voltage compensating pixel circuit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sing the same
US9589502B2 (en) 2012-11-23 2017-03-07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ith initialization circuit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2856B1 (ko) 2012-07-06
US9047817B2 (en) 2015-06-02
US20110292014A1 (en) 201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6882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JP5070266B2 (ja) 画素及びこれを用いた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
JP5074468B2 (ja) 画素及びこれを用いた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
KR101056302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JP4981098B2 (ja) 画素及びこれを用いた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
KR100873078B1 (ko) 화소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구동방법
KR100931469B1 (ko) 화소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0739334B1 (ko) 화소와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구동방법
KR100911981B1 (ko) 화소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1040806B1 (ko) 화소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1142729B1 (ko) 화소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0952836B1 (ko) 화소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0922065B1 (ko) 화소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1142660B1 (ko) 화소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024240B1 (ko) 화소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와 그의 구동방법
JP2008040451A (ja) 画素及びこれを利用した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
JP2011053635A (ja)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20090059384A (ko) 화소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20062250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20009672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080080754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20044506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10050080A (ko) 화소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1748743B1 (ko) 화소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20009673A (ko) 화소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