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1886A - 응축수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시스템 - Google Patents

응축수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1886A
KR20110131886A KR1020100051556A KR20100051556A KR20110131886A KR 20110131886 A KR20110131886 A KR 20110131886A KR 1020100051556 A KR1020100051556 A KR 1020100051556A KR 20100051556 A KR20100051556 A KR 20100051556A KR 20110131886 A KR20110131886 A KR 20110131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evaporator
expansion valve
condenser
condens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7627B1 (ko
Inventor
민은기
임홍영
이대웅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1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7627B1/ko
Publication of KR20110131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33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densed liquid drain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71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liquid ducts, e.g. for coolant liquids or refriger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33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densed liquid drainage means
    • B60H1/32331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densed liquid drainage means comprising means for the use of condensed liquid, e.g. for humidification or for improving condenser perform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0/00Subcoolers, desuperheaters or superheaters
    • F25B40/02Subcoo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7Condensate pipe for drainage of condensate from the evapo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축수를 이용해 냉방효율을 증대시키는 응축수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개시발명은, 압축기(10), 응축기(20), 팽창밸브(30) 및 증발기(40)를 하나의 폐회로로 구성하고 상기 폐회로를 순환하는 냉매와 공기의 열교환을 통해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40)가 설치되는 공조케이스(70)에는 상기 증발기(40)의 작동시 발생되는 응축수가 모여 드레인되는 응축수 드레인부(50)가 형성되고, 상기 응축기(20)와 상기 팽창밸브(30)를 연결하는 제1냉매유로(60)가 상기 응축수 드레인부(50)를 통과한다. 따라서, 응축수에 의해 버려지는 에너지를 재활용하여 과냉각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이중관 열교환기를 구성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냉방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공조시스템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응축수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시스템{AIR-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S USING CONDENSED WATER}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응축수를 이용해 냉방효율을 증대시키는 응축수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냉방시스템은,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압축기에 의하여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로 보내고, 응축기에서 냉각팬의 강제 송풍에 의하여 냉매를 응축시킨 다음, 냉매를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차례로 거치도록 하여 다시 압축기로 복귀시키는 과정에서, 공조케이스의 입구단에 설치되는 블로어 유니트(Blower Unit)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와 증발기를 거치는 냉매를 열교환시켜, 냉기상태가 된 송풍공기를 자동차 실내로 토출시킴으로써, 자동차 실내를 냉방시킨다.
또한, 차량용 냉방시스템에는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응축기의 출구의 고압,고온 냉매와 증발기의 출구의 저온 저압의 냉매를 상호 열교환시키는 이중관 열교환기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이중관 열교환기를 이용한 차량용 냉방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냉방시스템은, 엔진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압축기(1)와, 상기 압축기(1)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2)와, 상기 응축기(2)에서 응축된 냉매를 교축시키는 팽창밸브(3)와, 상기 팽창밸브(3)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4)와, 상기 응축기(2)의 출구의 냉매와 상기 증발기(4) 출구의 냉매를 상호 열교환시키는 이중관 열교환기(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중관 열교환기(5)는 응축기(2) 출구와 연결된 내측관(5a)과 증발기(4) 출구와 연결된 외측관(5b)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차량용 냉동 사이클의 냉매 순환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차량 공조장치의 냉방스위치(미도시)가 온(On) 되면, 먼저 압축기(1)가 엔진의 동력으로 구동하면서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를 흡입,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로 응축기(2)로 송출하고, 상기 응축기(2)는 그 기상 냉매를 외기와 열교환하여 고온고압의 액체로 응축한다.
그리고, 응축기(2)에서 고온 고압의 상태로 송출되는 액상 냉매는 팽창밸브(3)의 교축작용으로 급속히 팽창되어 저온 저압의 습포화 상태로 증발기(4)로 보내어지고, 상기 증발기(4)는 냉매를 블로어(미도시)가 차량 실내로 송풍하는 공기와 열교환시킨다.
이때 상기 응축기(2)의 출구의 고온,고압의 냉매는 이중관 열교환기(5)의 내측관(5a)으로 유동되고, 증발기(4) 출구의 저온, 저압의 냉매는 이중관 열교환기(5)의 외측관(5b)으로 유동되어 상호 열교환됨으로써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이중관 열교환기를 이용한 차량용 냉방시스템은, 이중관 열교환기를 구성해야 하므르 구조가 복잡해지고 생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과, 이중관 시스템이 압축기 입력측의 저온의 냉매를 냉각원으로 활용한다는 측면에서 시스템 내에서 트레이드 오프(Trade-off)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이중관 열교환기를 구성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냉방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응축수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각원으로 압축기의 입력측을 사용하지 않아 트레이트 오프가 발생될 우려가 없는 응축수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하나의 폐회로로 구성하고 상기 폐회로를 순환하는 냉매와 공기의 열교환을 통해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가 설치되는 공조케이스에는 상기 증발기의 작동시 발생되는 응축수가 모여 드레인되는 드레인부가 형성되고, 상기 응축기와 상기 팽창밸브를 연결하는 제1냉매유로가 상기 드레인부를 통과하도록 하여 상기 팽창밸브로 유입되는 냉매를 과냉각시킨다.
상기 공조케이스의 일측벽에는, 상기 제1냉매유로, 상기 증발기와 상기 압축기를 연결하는 제2냉매유로, 그리고 상기 팽창밸브와 증발기를 연결하는 제3냉매유로가 관통되는 플랜지가 설치되며, 상기 플랜지의 외측에는 상기 팽창밸브가 설치된다.
상기 제1냉매유로는 상기 팽창밸브를 통과하되 냉매가 교축되지 않고 바이패스된다.
상기 응축수 드레인부에는 탄성을 가진 개폐보조수단에 의해 상기 응축수 드레인부를 개폐하는 드레인 플러그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시스템에 의하면, 응축수에 의해 버려지는 에너지를 재활용하여 과냉각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이중관 열교환기를 구성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냉방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공조시스템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냉각원으로 압축기의 입력측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시스템 내에서 트레이 오프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중관 열교환기를 이용한 차량용 냉방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냉방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증발기와 팽창밸브 사이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냉방시스템을 도시한 몰리에르 선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냉방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냉방시스템은, 압축기(10), 응축기(20), 팽창밸브(30), 증발기(40) 및 응축수 드레인부(50)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기(10)는 증발기(40)로부터 증발이 완료되어 토출된 가스냉매를 흡입하여 액화되기 쉬운 고온고압의 가스냉매 상태로 압축하여 응축기(20)로 토출한다. 이러한 압축기(10)는 엔진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된다.
상기 응축기(20)는 압축기(10)로부터 유입된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를 쿨링팬을 사용하여 강제 냉각시킨 후 냉매를 액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냉매가스는 튜브 내부를 흐르면서 외기로 열을 방출하고, 핀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로 열을 방출한다.
상기 팽창밸브(30)는 응축기(20)에서 응축된 냉매를 교축시킨다. 이러한 팽창밸브(30)는 응축기(20)로부터 이송되는 액상의 냉매를 교축작용을 통하여 냉매를 저온저압의 습포화상태로 변화시킨다.
상기 응축수 드레인부(50)는 증발기(40) 작동시 증발기(40) 내를 흐르는 냉매와 외부 공기 사이의 열교환 과정에서 증발기(40)의 표면에 발생되는 응축수를 모아 외부로 드레인시킨다. 응축기(20)와 팽창밸브(30)를 연결하는 제1냉매유로(60)는 응축수 드레인부(50)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냉매 순환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냉방스위치(미도시)가 온(On) 되면, 먼저 압축기(10)가 엔진의 동력으로 구동하면서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를 흡입,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로 응축기(20)로 토출하고, 상기 응축기(20)는 그 기상 냉매를 외기와 열교환하여 고온고압의 액체로 응축한다.
그리고, 응축기(20)에서 고온 고압의 상태로 송출되는 액상 냉매는 팽창밸브(30)로 이송되기 전 응축수 드레인부(50)를 통과하면서 과냉된다. 과냉된 액상 냉매는 팽창밸브(30)의 교축작용으로 급속히 팽창되어 저온 저압의 습포화 상태로 증발기(40)로 보내어지고, 상기 증발기(40)는 그 냉매를 블로어(미도시)가 차량 실내로 송풍하는 공기와 열교환시킨다.
도 3은 도 2의 증발기와 팽창밸브 사이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상기 증발기(40)는 공조케이스(70) 내에 설치되며, 공조케이스(70)의 하부에는 증발기(40) 작동시 발생되는 응축수가 드레인되는 상기 응축수 드레인부(50)가 형성된다. 응축수 드레인부(50)에는 드레인 플러그(52)가 개폐보조수단(54)과 함께 설치된다. 개폐보조수단(54)은 탄성을 가진 스프링을 포함한다. 드레인 플러그(52)가 응축수 드레인부(50)를 폐쇄하면 응축수 드레인부(50)에는 응축수가 고일 수 있다. 응축수 드레인부(20)에 고인 응축수량이 스프링의 탄성을 초과하면 드레인 플러그(52)는 응축수 드레인부(50)를 개방시켜 응축수 드레인부(20)에 고인 응축수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공조케이스(70)의 일측벽에는 응축기(20)와 팽창밸브(30)를 연결하는 제1냉매유로(60), 증발기(40)와 압축기(10)를 연결하는 제2냉매유로(80), 및 팽창밸브(30)와 증발기(40)를 연결하는 제3냉매유로(90)가 관통되는 플랜지(100)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100)의 외측에는 상기 팽창밸브(30)가 설치된다.
상기 제1냉매유로(60)는 팽창밸브(30)를 통과하되 냉매가 교축되지 않고 바이패스되며, 공조케이스(70) 내에서는 응축수 드레인부(50)를 통과하면서 응축수에 의해 그 내부를 흐르는 액상의 냉매를 과냉시키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의 냉방시스템을 도시한 몰리에르 선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축에는 압력(P)을 나타내고, 가로축에는 엔탈피(h)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액상선보다 좌측 영역에서의 냉매는 액상상태를 나타내고, 기상선보다 우측 영역에서의 냉매는 기상상태를 나타내며, 액상선과 기상선 사이의 영역에서의 냉매는 2-상 상태 즉, 기액혼합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a-b 과정은 냉매가 압축기(10)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되는 압축과정이고, b-c 과정은 상기 고온,고압의 냉매가 응축기(20)에서 냉각되는 냉각과정이며, c-d 과정은 상기 냉각된 냉매가 팽창밸브(30)에 의해서 저온,저압으로 교축되는 교축과정이고, d-a 과정은 상기 교축된 냉매가 증발기(40)에 의해서 증발되는 증발과정이다.
상기에서 d점에서 a점까지의 엔탈피차가 냉각에 작용하는 열량에 상당하는 것이고, 이 엔탈피차가 큰 만큼 냉동능력이 커지게 된다.
제1냉매유로(60)를 통해 응축기(20)로부터 팽창밸브(30)로 이송되는 냉매가 응축수 드레인부(50)를 통과하게 되면, c가 c1지점으로 이동하게 되고, d는 d1 지점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c 점에서 c1 지점까지는 과냉각 영역이 되어 저온화가 촉진된다.
따라서, 과냉각 영역(d점에서 d1지점)만큼 냉방능력이 향상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기재된 범주 내에서 변경할 수 있다.
10 : 압축기 20 : 응축기
30 : 팽창밸브 40 : 증발기
50 : 응축수 드레인부 52: 드레인 플러그
54: 개폐보조수단 60 : 제1냉매유로
70 : 공조케이스 80 : 제2냉매유로
90 : 제3냉매유로 100 : 플랜지

Claims (4)

  1. 압축기(10), 응축기(20), 팽창밸브(30) 및 증발기(40)를 하나의 폐회로로 구성하고 상기 폐회로를 순환하는 냉매와 공기의 열교환을 통해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40)가 설치되는 공조케이스(70)에는 상기 증발기(40)의 작동시 발생되는 응축수가 모여 드레인되는 응축수 드레인부(50)가 형성되고, 상기 응축기(20)와 상기 팽창밸브(30)를 연결하는 제1냉매유로(60)가 상기 응축수 드레인부(50)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70)의 일측벽에는 상기 제1냉매유로(60), 상기 증발기(40)와 상기 압축기(10)를 연결하는 제2냉매유로(80), 그리고 상기 팽창밸브(30)와 증발기(40)를 연결하는 제3냉매유로(90)가 관통되는 플랜지(100)가 설치되며, 상기 플랜지(100)의 외측에는 상기 팽창밸브(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냉매유로(60)는 상기 팽창밸브(30)를 통과하되 냉매가 교축되지 않고 바이패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드레인부(50)에는 탄성을 가진 개폐보조수단(54)에 의해 상기 응축수 드레인부(50)를 개폐하는 드레인 플러그(5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시스템.
KR1020100051556A 2010-06-01 2010-06-01 응축수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시스템 KR101667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556A KR101667627B1 (ko) 2010-06-01 2010-06-01 응축수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556A KR101667627B1 (ko) 2010-06-01 2010-06-01 응축수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886A true KR20110131886A (ko) 2011-12-07
KR101667627B1 KR101667627B1 (ko) 2016-10-19

Family

ID=45500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556A KR101667627B1 (ko) 2010-06-01 2010-06-01 응축수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76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081A (ko) 2018-08-08 2020-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048A (ko) * 1998-08-17 2000-03-06 황한규 차량용 에어콘의 냉각시스템
JP2000103226A (ja) * 1998-09-28 2000-04-11 Calsonic Corp 自動車用空調装置
KR100737548B1 (ko) * 2005-10-17 2007-07-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냉방 장치
JP2010048463A (ja) * 2008-08-21 2010-03-04 Denso Corp 冷凍サイクル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048A (ko) * 1998-08-17 2000-03-06 황한규 차량용 에어콘의 냉각시스템
JP2000103226A (ja) * 1998-09-28 2000-04-11 Calsonic Corp 自動車用空調装置
KR100737548B1 (ko) * 2005-10-17 2007-07-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냉방 장치
JP2010048463A (ja) * 2008-08-21 2010-03-04 Denso Corp 冷凍サイクル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081A (ko) 2018-08-08 2020-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7627B1 (ko) 201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04909B2 (ja) エジェクタ式サイクル
KR101639814B1 (ko) 냉장 및 냉동 복합 공조시스템
KR101324935B1 (ko) 공기조화기
KR20100096858A (ko) 공기 조화기
WO2007052898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communication equipmen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10192181A1 (en) Refrigerant system
CN109442788A (zh) 空调的化霜方法和空调
KR20100096857A (ko) 공기 조화기
KR19980084034A (ko) 공기조화기
US20100192622A1 (en) Refrigerating system
KR20100032200A (ko) 공기조화기
US20130219944A1 (en) Heat exchanger
JP2007051788A (ja) 冷凍装置
JP2007100987A (ja) 冷凍システム
CN216481291U (zh) 空调器
EP2431685B1 (en) Air conditioner
KR101173736B1 (ko) 냉장 및 냉동 복합 공조시스템
KR20110131886A (ko) 응축수를 이용한 차량용 공조시스템
KR20120062144A (ko) 냉매시스템
KR101146783B1 (ko) 냉매시스템
KR101120371B1 (ko) 냉매시스템
KR100863992B1 (ko) 냉동 및 냉방장치
KR100770594B1 (ko)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
KR20080076302A (ko) 이중관 열교환기를 이용한 차량용 냉동사이클
KR200371335Y1 (ko) 착상 방지 건조기를 구비한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