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1865A - 금불초 추출물을 함유한 여드름용 화장품 - Google Patents

금불초 추출물을 함유한 여드름용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1865A
KR20110131865A KR1020100051524A KR20100051524A KR20110131865A KR 20110131865 A KR20110131865 A KR 20110131865A KR 1020100051524 A KR1020100051524 A KR 1020100051524A KR 20100051524 A KR20100051524 A KR 20100051524A KR 20110131865 A KR20110131865 A KR 20110131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ne
extract
triclosan
cosmetics
chinene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문삼
김연원
정해준
최인화
김다은
김미지
이주연
배민진
이혜원
백설희
김다현
정주희
Original Assignee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51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1865A/ko
Publication of KR20110131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86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0Anti-acn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불초 추출물을 함유한 여드름용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드름원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에 트리클로산과 금불초 추출물을 함께 함유하여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것을 이용한 여드름용 화장품, 의약외품, 의약품으로의 응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금불초 추출물을 함유한 여드름용 화장품 {Anti-acnes Cosmetics with Elecampane Extract}
본 발명은 금불초 추출물을 함유한 여드름용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드름원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에 트리클로산과 금불초추출물을 함께 함유하여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것을 이용한 여드름용 화장품, 의약외품, 의약품으로의 응용에 관한 것이다.
여드름(acne vulgaris)이란 피지선과 모낭의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사춘기와 젊은 연령층에 많이 발생되는데 여드름의 원인으로는 호르몬, 가족력, 환경요인 등이 있다. 호르몬의 영향으로는 안드로젠(Androgen)이란 남성호르몬이 피지선을 자극하면 피지선이 커지고 피지분비를 많이 하게 된다.. 이러한 피지들은 땀, 먼지 등과 함께 모낭의 입구를 막아 여드름의 특징인 면포(Comedone)를 생성하는데 여기에 여드름을 일으키는 세균들이 모여 염증을 일으킨다. 가족력의 영향으로는 정확한 유전방식은 나타나지 않았지만 부모 중 누군가 여드름을 심하게 앓았던 사람이 있으면 자녀도 여드름이 심해질 가능성이 높다. 환경요인으로는 화장품, 약물, 기름이나 강한 자외선으로 인한 경향이 있다. 화장품의 성분이 여드름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고, 약물로는 부신피질 호르몬제(국소 및 전신 투여), 항결핵제(INH), 브로마이드(Bromide) 등이 여드름을 일으킬 수 있다. 이 밖에도 금속이나 기계를 다루는 기술자들이 만지는 기름, 왁스, 절삭류 등도 여드름을 유발시킨다.
지금까지 개발된 여드름약은 합성물질이 대부분이고, 부작용이 수반될 수 있어, 화장품영역에서 부작용이 없으면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에 항균력을 지니는 천연항균제 개발이 절실하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드름 질환에 대한 원인균으로 알려진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에 대한 항균력을 나타내는 천연추출물을 개발하여 트리클로산과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천연물질을 검색하고자 하였다.
여드름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은 여드름 피부에서 주로 발견되어 여드름원인균으로 인식되었다. 피부자극이 적은 화장품에만 사용되고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에 대한 항균력이 알려진 트리클로산과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천연물질을 대상으로 항균력 실험을 실시하였다.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에 대한 항균력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최소저해농도측정법 (MIC, Minimum Inhibition Concentration)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화장품에 항균제로 사용되는 트리클로산과 금불초 추출물이 상승효과를 나타내었고, 이를 통해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여드름 원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에 대한 항균력이 알려진 트리클로산과 금불초 추출물을 함께 함유하였을 때 상승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고, 이를 함유한 여드름용 화장품, 의약외품, 의약품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밝혀진 여드름 원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에 대한 항균력을 측정한 결과 트리클로산과 금불초 추출물을 함계 함유한 복합물에 대한 항균력 결과 트리클로산에 대한 MIC가 20 ppm 이였고, 금불초 추출물의 MIC는 30 ppm이고, 트리클로산과 금불초 추출물을 같이 함유한 복합추출물의 MIC는 10 ppm의 시험결과를 나타내어 상승효과가 확인되었다.
표 1은 트리클로산과 금불초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품과 의약외품, 의약품을 구성한 것이다. 비교예는 전형적인 크림이나 연고의 처방이고 실시예 1은 항균제인 트리클로산을 함유한 처방이고 실시예2는 금불초 추출물을 함유한 처방이며, 실시예 3은 트리클로산과 금불초 추출물을 동시에 함유한 처방이다.
비교예와 실시예
순서 원료 비교예 실시예 1 실시예2 실시예3
1
2
3
4
5
6
스테아릭애씨드
세토스테아릴알코올
액상파라핀
스쿠알란
실리콘
정제수
3.0
2.5
12.0
1.0
1.0
To 100
3.0
2.5
12.0
1.0
1.0
To 100
3.0
2.5
12.0
1.0
1.0
To 100
3.0
2.5
12.0
1.0
1.0
To 100
7
8
트리클로산
금불초 추출물
-
-
1.0
-
-
1.0
1.0
1.0
여드름질환에 대한 패널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여드름이 심한 나이 20-40세로 구성된 100여명(남자 40명, 여자 60명)을 대상으로 25명씩 4그룹으로 비교예와 실시예1,2,3을 매일 3회씩 4주간 도포하여 여드름시험을 평가하였다. 평가항목은 설문을 통한 패널 테스트로 진행하였다.
- 패널 테스트 척도 -
100 % : 완전치유
50 % : 상당히 치유
25 % : 약간 개선
0 % : 억제효과없음
패널테스트
설문평균(%) 1주 사용후 2주 사용후 3주 사용후 4주 사용후
비교예 2.4 3.4 4.7 3.8
실시예1 37.4 48.4 52.4 62.6
실시예2 12.5 28.6 33.3 37.1
실시예3 68.2 74.5 89.6 97.4
위의 결과에서 나타난 것처럼 실시예1의 트리클로산을 함유한 처방이 실시예2의 금불초 추출물을 함유한 처방보다 더욱 효과적인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실시예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트리클로산과 금불초 추출물을 동시에 함유할 때 예상치않게 상승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

  1. 여드름질환에 대한 항균기작의 금불초 추출물의 함량은 0.001% 내지 10% 중량분율과 트리클로산의 함량은 0.001 % 내지 10 % 중량분율을 동시에 함유하는 여드름 치유용 화장품, 의약외품, 의약품 조성물.
KR1020100051524A 2010-06-01 2010-06-01 금불초 추출물을 함유한 여드름용 화장품 KR201101318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524A KR20110131865A (ko) 2010-06-01 2010-06-01 금불초 추출물을 함유한 여드름용 화장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524A KR20110131865A (ko) 2010-06-01 2010-06-01 금불초 추출물을 함유한 여드름용 화장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865A true KR20110131865A (ko) 2011-12-07

Family

ID=45500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524A KR20110131865A (ko) 2010-06-01 2010-06-01 금불초 추출물을 함유한 여드름용 화장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186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16679A (zh) * 2014-07-31 2014-10-29 广州丹奇日用化工厂有限公司 一种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60136972A (ko) * 2015-05-21 2016-11-3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 선복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90083265A (ko) * 2018-01-03 2019-07-1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된 선복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16679A (zh) * 2014-07-31 2014-10-29 广州丹奇日用化工厂有限公司 一种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60136972A (ko) * 2015-05-21 2016-11-3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 선복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90083265A (ko) * 2018-01-03 2019-07-1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된 선복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euter et al. Anti‐inflammatory potential of a lipolotion containing coriander oil in the ultraviolet erythema test
US20080015155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Conditions of the Mucosae, Skin and the Eye
JP2009184951A (ja) 皮膚外用剤組成物
US20200384055A1 (en) Topical Skin Care Compositions
US20110129552A1 (en) Acne Treatment
ZA202207551B (en) Surfactants for use in healthcare products
ZA202210741B (en) Surfactants for healthcare products
GB2586731A (en) Topical skin care compositions
JP5578880B2 (ja) 抗マラセチア菌剤
JP6646390B2 (ja) 外用組成物
US20150328222A1 (en) Pain relief cream
KR20110131865A (ko) 금불초 추출물을 함유한 여드름용 화장품
AU2008203101A1 (en) Topical compositions comprising telmesteine for treating dermatological disorders
TW201836599A (zh) 水性製劑
KR20110055829A (ko) 피탄트리올과 헥사미딘디이세치오네이트를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ZA202301109B (en) Branched amino acid surfactants for use in healthcare products
EP1553967B1 (en) Use of amide derivative of ge 2270 factor a3 for the treatment of acne
US11633368B2 (en) Enhanced moisturizing lotion compositions
KR20110131855A (ko) 자색고구마 추출물을 함유한 아토피용 화장품
Turegano et al. Cosmeceuticals for acne and rosacea
WO2017020036A1 (en) Composition and related methods for treatment of pilosebaceous diseases
CN105496851A (zh) 一种补水美白面膜
US20140106002A1 (en) Homeopathic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skin irritations and other skin diseases
JP6929339B2 (ja) 外用組成物
Farrisa Cosmeceuticals for Acne and Rosace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