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0948A - 착용감이 개선된 자기제어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착용감이 개선된 자기제어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0948A
KR20110130948A KR1020100050526A KR20100050526A KR20110130948A KR 20110130948 A KR20110130948 A KR 20110130948A KR 1020100050526 A KR1020100050526 A KR 1020100050526A KR 20100050526 A KR20100050526 A KR 20100050526A KR 20110130948 A KR20110130948 A KR 20110130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yarn
self
moisture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0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경찬
양광웅
최호연
Original Assignee
벤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벤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벤텍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0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0948A/ko
Publication of KR20110130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09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7Shapes or effects upon shrinkage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2Elastic yarns or threads ; Production of plied or cored yarns, one of which is elastic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4Yarns or threads for use in sports appl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elastic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7/00Sport; Milita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분흡수시 길이방향으로 신장사와 천연섬유, 재생섬유, 합성섬유 중 선택되는 하나 또는 2이상 혼합하여 제조되는 일반사로 제직 또는 편직되되, 상기 신장사는 임의의 모양을 갖는 다수의 변형부로, 상기 일반사 또는 일반사와 신장사는 상기 변형부를 감싸는 지지부로 제직 또는 편직되어 수분흡수시 변형부가 오목 또는 볼록하게 형태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개선된 자기제어원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착용감이 개선된 자기제어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SELF CONTROL TYPE FABRIC HAVING ENHANCED WEARING SENSATIONS AND THE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육상이나 구기종목 등의 스포츠용 의류 착용감을 개선한 자기제어원단에 관한 것으로, 수분을 흡수함에 따라 직물이 구조적인 변형으로 착용감을 비약적으로 상향시키는 착용감이 개선된 자기제어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에 사용되는 원단은 물을 흡수하면 피부에 부착되어 불쾌감을 유발한다. 특히 육상이나 구기종목 등의 스포츠용 의류는 격렬한 운동과 활동을 취할 때 착용하는 의류이므로 기본적으로 외부환경으로 부터 착용자 신체를 쾌적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흡습, 속건을 가지는 원단이 주로 개발되었다.
종래의 스포츠용 의류에 사용되는 원단은 투습성이 우수한 소재 또는 방수성이 우수한 소재를 겉감으로 적용하고 있고, 이 겉감의 내측에는 사용자의 피부와 겉감간에 일정의 통기 간극을 형성토록 하여 상호간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망사 직물을 안감으로 적용하여 제작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원단은 실사용시 겉감과 착용자 피부간에 효과적인 통기 간극을 제공할 수 없어 착용도중 땀과 같은 분비물을 다량 발산 시에는 초기 목적한 통기성도 제공할 수 없음은 물론이고, 피부와 겉감간의 접촉을 방지하지 못하여 더운 여름철에도 착용자는 이를 방지하고자 속옷을 껴입은 상태로 착용을 취하여야만 하는 불편이 있었다.
최근에는 발생되는 수분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하고 외부의 수분이 침투되지 못하도록 하는 친수성 폴리우레탄를 이용한 투습방수 원단이 스포츠용 의류 또는 생활의류에 많이 사용되었다.
상기의 친수성 폴리우레탄를 이용한 투습방수 원단은 라미네이팅 방식, 건식 및 습식 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으로 일본 공개특허 평3-213581호에는 L-라이신과 유기산의 반응물로 된 분말을 0.1% 이상 함유하는 폴리아미노산계 폴리우레탄으로 제조된 투습필름을 원단에 라미네이트 시켜 제조한 내마모성이 우수한 투습방수 원단이 기재되어 있으며, 일본 공개특허 평2-47058호에는 친수화된 폴리아미노산계 우레탄과 폴리우레탄의 혼합비가 10:0에서 2:8이며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소수성 유기용제, 친수성 유기용제 및 물로 제조된 수지 조성물을 시트상에 도포, 건조한 후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로 라미네이트 시켜 제조한 투습방수 원단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평4-249142호에는 제전성 섬유로 만든 원단면에 미세다공질피막을 형성하는 코팅을 하며, 코팅수지의 내층에는 소취성을 지닌 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코팅막의 공극율이 20~70%인 소취 제전성 투습방수 원단이 기재되어 있고, 일본 공개특허 평4-146275호에는 섬유 표면에 불소 변성 폴리우레탄 수지로된 다공질 투습막을 형성시키고 여기에 유화계 폴리우레탄 수지 중합체로 다공질 투습막을 형성시킨 투습방수 원단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의 친수성 폴리우렌탄 수지를 이용한 투습방수 원단은 폴리우레탄이 가지는 친수성으로 인해 수분이 원활하게 통과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제조과정에서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경우, 원단의 염료가 유기용매에 의해 빠져나와 오염을 유발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투습방수 원단은 친수성 폴리우레탄 수지가 투습시킬 수 있는 수분의 양에 한계가 있어 순간적으로 많은 양의 수분이 발생되었을 경우에는 이를 전부 투습시키지 못하는 단점으로 의류로 사용될 경우 오히려 착용감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스포츠 의류용으로 개발된 통기성이 형상된 원단이나 투습방수 원단은 아무리 우수한 속건성을 가진 원단이라도 원단에 흡수된 수분이 건조되기 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흡수된 수분이 건조되기까지는 원단이 몸에 부착되어 착용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수분이 흡수됨에 따라 길이가 신장하는 섬유를 사용하여 수분을 흡수함에 따라 직물의 형태가 변형되어 원단이 몸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착용감이 개선된 자기제어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직물의 형태가 변형됨으로서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통기성을 향상하여 원단의 속건성을 개선된 자기제어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분흡수시 길이방향으로 신장사와 천연섬유, 재생섬유, 합성섬유 중 선택되는 하나 또는 2이상 혼합하여 제조되는 일반사로 제직 또는 편직되되, 상기 신장사는 임의의 모양을 갖는 다수의 변형부로, 상기 일반사 또는 일반사와 신장사는 상기 변형부를 감싸는 지지부로 제직 또는 편직되어 수분흡수시 변형부가 오목 또는 볼록하게 형태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개선된 자기제어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분흡수시 길이방향으로 신장사를 이용하여 제직 또는 편직되되, 상기 직물 또는 편물을 임의의 모양을 갖는 다수의 변형부를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을 열고정 또는 경화수지 코팅으로 변형부를 감싸는 지지부로 형성하여 수분흡수시 변형부가 오목 또는 볼록하게 형태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개선된 자기제어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신장사는 레이온,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개선된 자기제어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신장사의 흡수신장율은 10%이상인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개선된 자기제어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신장사는 커버링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개선된 자기제어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변형부의 건조상태의 표면적은 5~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개선된 자기제어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변형부는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개선된 자기제어원단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제어원단의 건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제어원단의 흡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편직으로 제조된 자기제어원단의 건조상태의 사진이고,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편직으로 제조된 자기제어원단의 흡수상태의 사진이다.
본 발명은 수분의 흡수시 길이방향으로 신장사만으로 제조되는 자기제어원단 또는 신장사와 천연섬유, 재생섬유, 합성섬유 중 선택되는 하나 또는 2이상 혼합하여 제조되는 일반사로 제조되는 자기제어원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신장사가 물을 흡수하여 신장되는 융기하게되어 변형을 일으키는 변형부와 상기 변형부 100를 지지하여 원단의 형태를 안정시키는 지지부 200로 구성된다.
상기 변형부 100는 수분의 흡수시 길이방향으로 신장사로 제조되는 부위로 건조시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평평한 원단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나 수분을 흡수하면 변형부의 단면적이 팽창하여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변형부 100가 융기되어 볼록하게 원단을 굴곡진 형태로 변형시킨다.
상기 변형부 100는 침강되어 오목하게 원단을 굴곡진 형태로 변형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변형부 100가 수분을 흡수하여 오목 또는 볼록하게 형태변환하면 피부에 접촉되는 면적을 적게하고 원단이 피부에 달라 붙는 현상이 억제되어 원단의 착용감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변형부 100의 수분의 흡수시 길이방향으로 신장하는 신장사는 수분흡수시 길이방향의 신장율이 7%미만인 경우 변형부의 형태변환 현상이 미미하여 효과적이지 못하므로 흡수신장율이 7%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신장율이 10%이상의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신장사는 상기와 같이 신장율을 가지는 신장사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으며, 습수 신장율이 우수한 레이온을 사용할 수 있으며,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세그먼트는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지고 하드세그먼트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폴리에테르 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장사를 폴리에테르 에스테르와 같은 합성섬유를 사용할 경우에는 원단의 자연스럽고 터치감과 외관을 위해 커버링사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커버링사로 제조할 경우에는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등의 합성섬유를 심사로 사용하고 재생섬유 또는 합성섬유를 권취사로 사용하여 천연 사와 같은 터치감과 외관으로 원단을 터치감과 외관을 향상시킨다.
상기 지지부 200는 상기 변형부 100가 변형시 변형부 100의 형태를 지지하고 원단의 형태를 안정될 수 있도록 하는 형태를 잡아주는 부위로 제조방법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지지부 20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착용감이 개선된 자기제어원단의 제조방법은 신장사와 천연섬유, 재생섬유, 합성섬유 중 선택되는 하나 또는 2이상 혼합하여 제조되는 일반사를 이용하여 제직(weaving) 또는 편직(knitting)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신장사만을 이용하여 원단가공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직 또는 평직으로 제조할 경우에는 상기 신장사로 임의의 모양을 갖는 다수의 변형부 100를 형성하고 상기 일반사 또는 일반사와 신장사는 상기 변형부를 감싸는 지지부 200를 형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자기제어원단을 편직으로 제조시에는 변형부 100를 형성하는 신장사와 지지부 200를 형성하는 일반사 또는 일반사와 신장사를 변형부 100의 크기 및 모양, 지지부을 넓이 등을 설계에 맞도록 배열하여 본 발명의 착용감이 개선된 자기제어원단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기제어원단을 제직으로 제조시에는 단층구조로 제직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원단의 형태안정성을 위해 다중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직하여 다중직으로 제직시에는 신장사로 변형부 100를 표면층으로 형성하고 일반사 또는 일반사와 신장사로 지지부 및 이면층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형부 100의 크기는 자기제어원단의 용도에 따라 조절하여야 하지만 변형부 100의 건조상태의 표면적은 5㎟ 미만일 경우에는 변형부 100가 융기하여도 그 면적이 작아 효과가 미미하고 표면적이 70㎟를 초과할 경우에는 변형부 100가 융기하여도 그 형태를 유지되기 어려워 접촉면적을 줄이는 효과가 크지 못하고 외관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변형부의 면적은 5~3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일반사는 일반사는 천연섬유, 재생섬유, 합성섬유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2이상 혼합한 혼합사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자기제어원단을 신장사만으로 제조하는 방법은 신장사를 제직 또는 편직하여 상기 직물 또는 편물로 제조한 후, 상기 직물 또는 편물을 설계된 임의의 모양을 갖는 다수의 변형부 100를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을 열융착으로 신장사의 신장기능을 상실하도록 열고정하거나 신장사를 경화하여 신장사의 신장기능을 상실하도록 경화수지 코팅하여 변형부를 감싸는 지지부 200로 형성하여 본 발명의 착용감이 개선된 자기제어원단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열고정은 임의적으로 설계된 변형부 형태의 홈이 형성된 롤러나 형틀을 제조하여 롤러나 형틀에 열을 가하여 열고정 시킬 수 있으며, 상기 경화수지 코팅을 라미네이팅 공법이나 프린팅 공법으로 경화수지로 코팅하여 본 발명의 자기제어원단의 지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변형부 100의 형태는 임의적으로 설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원형,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하여 수분 흡수시 원단 표면에 다양한 형상이 시각적으로 노출되어 원단에 미적효과를 발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착용감이 개선된 자기제어원단은 수분을 흡수하면 변형부가 융기되어 원단에 굴곡이 발생하여 원단이 피부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착용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직물의 형태가 변형됨으로서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통기성을 향상되고 원단의 속건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변형부를 원형, 사각형, 삼각형 등 다양한 모양을 형성하여 수분이 흡수함에 따라 원단의 표면이 변형되어 원단의 미적효과가 있으며 시각적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제어원단의 건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제어원단의 흡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편직으로 제조된 자기제어원단의 건조상태의 사진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편직으로 제조된 자기제어원단의 흡수상태의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착용감이 개선된 자기제어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실시예
수분흡수시 길이방향으로 신장하는 70D/3F의 폴리에테르 에스테르사를 심사로, 50D/36F 폴리에틸렌 섬유를 권축사로 제조되는 커버링사를 신장사로, 150D/144F의 폴리에틸렌 섬유를 일반사로 하여 26.5게이지(gauge)로 위편으로 편직하였으며, 변형부는 육각형태로, 약 30㎟로 설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착용감이 개선된 자기조절원단을 제조하였다.
도 3는 상기 실시예의 건조상태의 사진이며, 도 4은 상기 실시예의 흡수상태의 사진이다.
도 3,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착용감이 개선된 자기제어원단은 수분을 흡수함에 변형부가 융기하여 피부와 접촉되는 접촉면이 줄어들어 착용감을 개선하고 통기성을 향상시킨다.
100 : 변형부 200 : 지지부

Claims (1)

  1. 수분흡수시 길이방향으로 신장사와 천연섬유, 재생섬유, 합성섬유 중 선택되는 하나 또는 2이상 혼합하여 제조되는 일반사로 제직 또는 편직되되,
    상기 신장사는 임의의 모양을 갖는 다수의 변형부로, 상기 일반사 또는 일반사와 신장사는 상기 변형부를 감싸는 지지부로 제직 또는 편직되어 수분흡수시 변형부가 오목 또는 볼록하게 형태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개선된 자기제어원단.
KR1020100050526A 2010-05-28 2010-05-28 착용감이 개선된 자기제어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101309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526A KR20110130948A (ko) 2010-05-28 2010-05-28 착용감이 개선된 자기제어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526A KR20110130948A (ko) 2010-05-28 2010-05-28 착용감이 개선된 자기제어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948A true KR20110130948A (ko) 2011-12-06

Family

ID=45499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0526A KR20110130948A (ko) 2010-05-28 2010-05-28 착용감이 개선된 자기제어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094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68485A1 (en) Apparel including interconnected wicking structure
JP5982257B2 (ja) 積層体布帛
KR101227578B1 (ko) 두께가 자기제어되는 보온성 원단
CN206663897U (zh) 一种松紧带
CN205474218U (zh) 一种吸湿快干全棉纱布
US20190209394A1 (en) Novel Reusable Swim Diaper
JP4390514B2 (ja) 多層構造編地
KR101569812B1 (ko) 착용감이 개선된 자기제어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08434B1 (ko) 이중 직조 구조의 흡습속건성 원단
KR101608406B1 (ko) 고수분 전이성을 갖는 냉감성 섬유시트
TW201514014A (zh) 可重覆塑型透氣織物結構及其總成
KR20110130948A (ko) 착용감이 개선된 자기제어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56412B1 (ko) 통기성이 개선된 자기제어원단
US20100304632A1 (en) Covering material
CN205871405U (zh) 防水透湿垫
KR100907991B1 (ko) 자외선 차단을 위한 마스크를 포함하는 가리개
KR100486881B1 (ko) 밀도 차이를 이용한 방수 흡습속건성 원단
CN206858735U (zh) 一种新型保温抗菌面料
CN210184647U (zh) 一种吸湿排汗防水靴
JP2007239154A (ja) 透湿防水性布帛
CN109177375A (zh) 吸湿排汗防水面料
CN215662159U (zh) 一种降温排汗吸湿复合纺织面料
CN216782898U (zh) 一种高弹性的透气型运动纺织面料
CN210970155U (zh) 一种保暖透气透湿的面料
CN213369927U (zh) 一种新型耐穿透气针织袜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