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0819A - 와이어 이송기구 - Google Patents

와이어 이송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0819A
KR20110130819A KR1020100050329A KR20100050329A KR20110130819A KR 20110130819 A KR20110130819 A KR 20110130819A KR 1020100050329 A KR1020100050329 A KR 1020100050329A KR 20100050329 A KR20100050329 A KR 20100050329A KR 20110130819 A KR20110130819 A KR 20110130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anger
support
transport
transfer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0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상진
Original Assignee
백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상진 filed Critical 백상진
Priority to KR1020100050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0819A/ko
Publication of KR20110130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08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10Cable traction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load-carriers suspended from overhead traction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32Noise prevention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대 통과가 자연스럽기 때문에 운반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충격과 진동 및 소음발생이 없으면서 이송기구의 수명을 길게 하여 설치와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길이방향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휠과, 상기 구동휠 대향 측에 설치되는 피동휠 사이에 연결하는 와이어와, 하단에 운반 상자를 연결하여 와이어의 정,역이동에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행거와, 상기 와이어의 중도에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지지대로 구성되는 와이어 이송기구에 있어서;
상기 행거는 하단에 운반 상자를 연결할 수 있게 연결수단을 가지는 행거바디의 상단에 와이어와 고정할 수 있는 와이어고정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고정구는 행거바디와 고정되는 리어바디와, 상기 리어바디의 전방에 고정수단으로 결합 되는 프론트바디와, 상기 리어 및 프론트바디의 연접면에 와이어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와이어홈과, 상기 리어바디의 연접면 하방 양측에는 와이어홈에 삽입되는 와이어의 방향전환을 도우는 가이드돌기와, 상기 프론트바디에 형성하여 가이드돌기를 수용하여 단속하는 돌기홈과, 상기 리어 및 프론트바디의 하방 중앙위치에는 와이어가 없는 부위를 커버 할 수 있도록 돌출되는 보상리브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와이어 이송기구{TRANSFER DEVICE USING WIRE}
본 발명은 와이어 이송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긴 길이로 연결되어 구동수단에 의하여 왕복 운동하는 와이어에 장착되어 화물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이송기구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와이어 이송기구는 주로 산업현장의 실내 또는 비닐하우스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와이어를 설치한 후, 와이어에 공산품이나 농산품은 물론 각종의 도구, 농자재 등을 적재할 수 있는 운반 상자를 연결할 수 있는 행거를 설치하여 일측에서 타측으로 왕복시켜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와이어 이송기구는 주로 긴 길이로 설치되는 비닐하우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농작물의 생산에 필요한 농자재와 수확한 농산품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농가 일손을 도우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와이어 이송기구는 종래에도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예를 도 6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와이어 이송기구(1)는 비닐하우스 등과 같은 설비장소의 내부 길이방향에 구동수단에 의하여 정,역회전하는 구동휠과 상기 구동휠 대향측에 설치되는 피동휠(2) 사이에 와이어(3)를 연결한다.
상기 와이어(3)에는 운반 상자를 하방에 연결할 수 있는 행거(5)를 설치하고, 상기 행거(5)의 상부에는 와이어고정구(6)를 구비하여 와이어(3)와 연결한다.
상기 와이어(3)의 중도에는 비닐하우스의 상부프레임과 연결되는 다수 개의 지지대(7)를 등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7)에는 와이어(3)의 저면 또는 상면이 연접될 수 있도록 지지롤러(8)를 구비하여 와이어(3)의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와이어 이송기구는 설치되는 와이어의 길이가 짧을 경우에는 특별한 문제는 없으나, 비닐하우스의 길이가 길어 설치되는 와이어의 길이가 길어질 경우에는 운반의 용이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지지대와 와이어를 고정한 와이어고정구가 와이어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지지롤러를 경유할 때 간섭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즉, 와이어고정구 와이어에 의하여 정,역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지지대에 구비되는 지지롤러를 지나갈 때마다 와이어고정구의 하단부와 지지롤러가 서로 부딪치면서 이송기구가 튀는 현상이 일어나고, 이러한 현상은 행거 하방에 연결된 운반 상자에 더 큰 충격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송기구가 지지롤러를 지나갈 때 발생하는 충격은 한 번에 그치지 않고 등 간격으로 배치한 각각의 지지롤러를 지나갈 때마다 발생하기 때문에 적재된 농자재 또는 농산물이 이탈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심할 경우에는 운반 상자의 탈락으로 인하여 비닐하우스 내에 재배하고 있는 농작물을 손상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이송기구와 지지롤러의 간섭이 심할 경우에는 이송기구가 지지롤러를 넘어가지 못하여 이송기구를 이용한 운반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제 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이러한 이송기구를 유지 또는 보수하기 위하여 많은 시간과 인력 및 비용을 투입하여야 하기 때문에 농가에 경제적으로 많은 손실을 야기하는 등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길이방향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휠과, 상기 구동휠 대향 측에 설치되는 피동휠 사이에 연결하는 와이어와, 하단에 운반 상자를 연결하여 와이어의 정,역이동에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행거와, 상기 와이어의 중도에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지지대로 구성되는 와이어 이송기구에 있어서;
상기 행거는 하단에 운반 상자를 연결할 수 있게 연결수단을 가지는 행거바디의 상단에 와이어와 고정할 수 있는 와이어고정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고정구는 행거바디와 고정되는 리어바디와, 상기 리어바디의 전방에 고정수단으로 결합 되는 프론트바디와, 상기 리어 및 프론트바디의 연접면에 와이어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와이어홈과, 상기 리어바디의 연접면 하방 양측에는 와이어홈에 삽입되는 와이어의 방향전환을 도우는 가이드돌기와, 상기 프론트바디에 형성하여 가이드돌기를 수용하여 단속하는 돌기홈과, 상기 리어 및 프론트바디의 하방 중앙위치에는 와이어가 없는 부위를 커버 할 수 있도록 돌출되는 보상리브를 포함하여, 지지대 통과가 자연스럽기 때문에 운반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충격과 진동 및 소음발생이 없으면서 이송기구의 수명을 길게 하여 설치와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이송기구를 개선하여 와이어를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지지롤러와 간섭현상 없이 스무드한 왕복운동을 가능하게 하여 이송기구를 이용한 운반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켜 농가 일손을 도우도록 하는 것은 물론, 이송기구의 설치와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우수한 품질로 대외적인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와이어 이송기구에 적용되는 행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와이어 이송기구에 적용되는 행거를 도시한 A - 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와이어 이송기구에 적용되는 행거를 도시한 B - 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와이어 이송기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와이어 이송기구의 또 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와이어 이송기구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와이어 이송기구에 적용되는 행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와이어 이송기구에 적용되는 행거를 도시한 A - 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와이어 이송기구에 적용되는 행거를 도시한 B - 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와이어 이송기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와이어 이송기구의 또 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함께 설명한다.
통상적인 와이어 이송기구(100)는 비닐하우스 내부 길이방향에 일측에는 구동수단(101)에 의하여 정,역회전하는 구동휠(102)과 상기 구동휠(102) 대향측에 설치되는 피동휠(103) 사이에 와이어(104)를 연결한다.
상기 와이어(104)에는 하방에 운반 상자가 연결되는 행거(105)를 설치하여 와이어(104)의 정,역이동에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와이어(101)의 중도에는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지지대(106)를 등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한다.
상기 지지대(106)는 비닐하우스를 구성하는 천장프레임에 연결되는 지지바(107)의 하단에 와이어(104)의 저면 또는 상면이 연접될 수 있도록 와이어홈(108)을 형성한 지지롤러(109)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행거(105)를 개선하여 지지대(106)를 경유할 때 지지대 (106)에 설치되는 지지롤러(109)와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원활한 작동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하단에 운반 상자를 연결할 수 있도록 걸고리와 같은 연결수단(110)을 가지는 행거바디(111)를 구비하고, 상기 행거바디(111)의 상단에는 와이어(104)를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고정구(112)를 구비한다.
상기 와이어고정구(112) 하방의 행거바디(111)는 와이어(104)의 이동에 간섭을 받지 않도록 설치 위치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와이어(104)의 높이만큼의 요입부(113)를 형성하고, 상기 행거바디(111)는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환봉 형태로 구성하고 있으나 판상 형태로 구성하는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와이어고정구(112)는 행거바디(111)와 고정되는 리어바디(115)와 상기 리어바디(115)의 전방에 볼트 또는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116)으로 결합되는 프론트바디(117)로 구성한다.
상기 리어 및 프론트바디(115,117)의 연접면(118)에는 와이어(104)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와이어홈(119)을 형성하고, 상기 와이어홈(119)은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으나 팽팽한 긴장상태를 유지하는 와이어(104)가 쉽게 움직이지 않으면서 고정력을 유지하여 비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옴(Ω) 형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와이어홈(119)이 형성되는 리어바디(115)의 연접면(118) 하방 양측에는 와이어홈(119)에 삽입되는 와이어(104)의 방향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가이드돌기(120)를 프론트바디(117)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돌기(120)가 형성되는 위치의 프론트바디(117)에는 가이드돌기(120)를 수용하여 단속하기 위한 돌기홈(121)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와이어홈(119)은 리어 및 프론트바디(115,117)에 각각 반원형상으로 요입되게 형성하여 단면이 원형인 와이어(104)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와이어홈(119)의 결합 된 직경이 와이어(104)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고정수단(116)에 의하여 단속력을 높이면서 와이어(104)와 와이어고정구(112)가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리어 및 프론트바디(115,117)의 하방 중앙위치에는 와이어(104)가 없는 부위를 커버 할 수 있도록 와이어(104)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의 보상리브(125)를 더 돌출시켜 와이어홈(119)을 경유하는 와이어(104)와 일직선을 유지하여 지지대(106)를 요철로 인한 진동 없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와이어 이송기구(1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가 같다.
비닐하우스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지지대(106)로 처짐 현상이 방지된 와이어(104)에 행거(105)를 설치한 후 행거(105)에 운반 상자를 연결하여 구동수단(1010을 정,역회전시켜 행거(105)를 비닐하우스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시켜 농자재, 농산품과 같은 화물을 운반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행거(105)를 와이어(104)와 결합할 때에는 행거바디(111)의 상단에 구비되는 와이어고정구(112)의 리어바디(115)에 대하여 프론트바디(117)를 분리한 후 리어 및 프론트바디(115,117)의 연접면(118)에 형성되는 와이어홈(119)에 와이어(104)를 삽입시킨 후 프론트커버(117)를 다시 결합한 후 고정수단(116)으로 견고하게 단속하면 행거바디(111)가 와이어(104)와 일체로 된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와이어(104)와 와이어어고정구(112)를 결합하면 와이어홈(119)이 옴(Ω)과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어 와이어(104)가 와이어홈(119)을 경유하면서 가이드돌기(120)에 의하여 방향이 전환되어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여 와이어(104)에 전도되는 인장력과 와이어(104)의 방향을 일치시킴으로써 비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와이어(104)의 하단부 중앙에 형성되는 공간(이격된)은 리어 및 프론트바디(115,117)의 하방 중앙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보상리브(125)에 의하여 와이어(104)와 일직선을 유지하여 공간을 상쇄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구동수단(101)에 의하여 움직이는 와이어(104)와 일체로 고정된 행거(105)가 지지대(106)를 통과하더라도 지지대(106)를 구성하는 지지롤러(109)를 진동발생이나 충격발생, 소음유발 없이 자연스럽게 통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이송기구를 구성하는 행거를 개선하여 와이어의 처짐을 방지하는 지지대 통과가 자연스럽기 때문에 운반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충격과 진동 및 소음발생이 없으면서 이송기구의 수명을 길게 하여 설치와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100; 이송기구
104; 와이어
105; 행거
106; 지지대
111; 행거바디
112; 와이어고정구
115; 리어바디
117; 프론트바디
119; 와이어홈
120; 가이드돌기
125; 보상리브

Claims (2)

  1. 길이방향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휠(102)과;
    상기 구동휠(102) 대향 측에 설치되는 피동휠(103) 사이에 연결하는 와이어(104)와;
    하단에 운반 상자를 연결하여 와이어(104)의 정,역이동에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행거(105)와;
    상기 와이어(101)의 중도에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지지대(106)로 구성되는 와이어 이송기구(100)에 있어서;
    상기 행거(105)는 하단에 운반 상자를 연결할 수 있게 연결수단(110)을 가지는 행거바디(111)의 상단에 와이어(104)와 고정할 수 있는 와이어고정구(112)를 더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고정구(112)는 행거바디(111)와 고정되는 리어바디(115)와;
    상기 리어바디(115)의 전방에 고정수단(116)으로 결합 되는 프론트바디(117)와;
    상기 리어 및 프론트바디(115,117)의 연접면(118)에 와이어(104)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와이어홈(119)과;
    상기 리어바디(115)의 연접면(118) 하방 양측에는 와이어홈(119)에 삽입되는 와이어(104)의 방향전환을 도우는 가이드돌기(120)와;
    상기 프론트바디(117)에 형성하여 가이드돌기(120)를 수용하여 단속하는 돌기홈(121)과;
    상기 리어 및 프론트바디(115,117)의 하방 중앙위치에는 와이어(104)가 없는 부위를 커버 할 수 있도록 와이어(104)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돌출되는 보상리브(1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이송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홈(119)은 인장력과 와이어(104)의 방향을 일치시켜 비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옴(Ω)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이송기구.
KR1020100050329A 2010-05-28 2010-05-28 와이어 이송기구 KR201101308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329A KR20110130819A (ko) 2010-05-28 2010-05-28 와이어 이송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329A KR20110130819A (ko) 2010-05-28 2010-05-28 와이어 이송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819A true KR20110130819A (ko) 2011-12-06

Family

ID=45499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0329A KR20110130819A (ko) 2010-05-28 2010-05-28 와이어 이송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08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78793A (zh) * 2018-07-19 2019-01-11 苏州卓诚钛设备有限公司 一种钛设备传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78793A (zh) * 2018-07-19 2019-01-11 苏州卓诚钛设备有限公司 一种钛设备传送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1235A (ko)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
US20140103168A1 (en) Umbilical member attachment device of robot
JP2001314030A (ja) ケーブル類の可撓支持案内装置
CN103354799A (zh) 用于前后致动操作的啮合链式设备
CN110092086B (zh) 一种组装装配式建筑用混凝土预制构件码放装置
KR20120024548A (ko) 트레일링 케이블 구조체의 서스펜션장치
US11530885B2 (en) Device for driving a flexible lance
KR101966700B1 (ko) 다기능 체인유닛
KR20110130819A (ko) 와이어 이송기구
KR102151090B1 (ko) 철근 밴딩기
US9573769B2 (en) System line
JP5789717B2 (ja) 伝送ライン用スリーブの支持モジュール
JP6263448B2 (ja) 配線ケーブルの整線具
CN100350692C (zh) 能量导引链
US20130136568A1 (en) Handling mechanism
KR101424427B1 (ko)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
KR101159109B1 (ko) 로보체인 시스템
KR102017509B1 (ko) 케이블 베어
JP2005521609A (ja) モジュラーベルトリンク
JP4871375B2 (ja) コンベア用フェンス取付具及びフェンス付コンベア
JP4963307B2 (ja) ケーブル保護案内装置用ガイドレール
KR100657977B1 (ko) 공동주택용 합성수지재 케이블 트레이
KR101425340B1 (ko) 현수교용 육각단면 와이어 스트랜드 제작장치에 이용되는 캐터필러,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현수교용 육각단면 와이어 스트랜드 제작장치
JP2011112224A (ja) 多関節型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2014207732A (ja) ケーブルとケーブル支持装置との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