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0243A - 탈수기용 타공망의 배수구조 - Google Patents

탈수기용 타공망의 배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0243A
KR20110130243A KR1020100049799A KR20100049799A KR20110130243A KR 20110130243 A KR20110130243 A KR 20110130243A KR 1020100049799 A KR1020100049799 A KR 1020100049799A KR 20100049799 A KR20100049799 A KR 20100049799A KR 20110130243 A KR20110130243 A KR 20110130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hole
dehydrator
perforated network
water draining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9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열
Original Assignee
유성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열 filed Critical 유성열
Priority to KR1020100049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0243A/ko
Publication of KR20110130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02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6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drum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배수공(101)이 형성된 탈수기용 타공망에 있어서, 상기 배수공(101)은 타공망(100)의 내주면에 형성된 원통형 배수공(110)과 상기 원통형 배수공(110)의 끝단에 연장되어 타공망(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확장형 배수공(12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기용 타공망의 배수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폐기물의 탈수를 위해 타공망에 배수공을 형성하되, 상기 배수공은 타공망의 내주면에 형성된 원통형 배수공과 상기 원통형 배수공의 끝단에 연장되어 타공망의 외주면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확장형 배수공으로 구성됨으로써 타공망은 일정두께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어 내구성 증진으로 인한 상기 타공망의 수명 연장과 함께 탈수기의 탈수 또는 세척시 상기 배수공을 막고 있는 음식물 쓰레기나 슬러지의 이물질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써 탈수기의 탈수 및 세척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탈수기용 타공망의 배수구조{Drain structure for punching plate of a dehydrator}
본 발명은 탈수기용 타공망의 배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나 슬러지의 탈수를 위해 타공망에 배수공을 형성하되, 상기 배수공은 타공망의 내주면에 형성된 원통형 배수공과 상기 원통형 배수공의 끝단에 연장되어 타공망의 외주면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확장형 배수공으로 구성됨으로써 타공망은 일정두께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어 내구성 증진으로 인한 상기 타공망의 수명 연장과 함께 탈수기의 탈수 또는 세척시 상기 배수공을 막고 있는 음식물 쓰레기나 슬러지의 이물질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써 탈수기의 탈수 및 세척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탈수기용 타공망의 배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나 슬러지, 축산폐기물 등(이하, '폐기물'이라 함)은 수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이들을 매립 또는 소각,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수분이 제거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종래에는 압축탈수 기법을 이용한 탈수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탈수기는 통상 폐기물의 이송 및 압축을 위한 압축스크루와 상기 압축스크루에 의해 압축된 폐기물의 물을 배출하기 위한 탈수용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탈수용 스크린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배수공(11)이 천공된 타공망(10)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타공망(10)의 배수공(11)은 원통 형상으로 탈수시 폐기물의 이물질에 의해 상기 배수공(11)이 막히게 되므로 상기 폐기물의 수분을 충분히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배수공(11)은 폐기물의 배출을 막고 물의 배수를 위해 통상 1~2㎜의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11)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타공망(10)도 1~2㎜의 두께로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타공망(10)의 얇은 두께로 인해 내구성이 현저히 떨어져 3~6개월마다 상기 타공망(10)을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물론 상기 타공망(10)의 내구성 증진을 위해 그 두께를 늘릴 수 있으나, 상기 타공망(10)의 두께를 일정두께 이상 늘리는 경우 상기 타공망(10)을 구성하고 있는 금속재질의 특성상 자체적으로 배수공(11)을 막아버리는 문제점이 발생할 뿐더러 상기 배수공(11)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직경을 크게 형성하는 경우 상기 배수공(11)을 통해 폐기물도 함께 배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폐기물의 탈수를 위해 타공망에 배수공을 형성하되, 상기 배수공은 타공망의 내주면에 형성된 원통형 배수공과 상기 원통형 배수공의 끝단에 연장되어 타공망의 외주면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확장형 배수공으로 구성됨으로써 타공망은 일정두께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어 내구성 증진으로 인한 상기 타공망의 수명 연장과 함께 탈수기의 탈수 또는 세척시 상기 배수공을 막고 있는 음식물 쓰레기나 슬러지의 이물질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써 탈수기의 탈수 및 세척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탈수기용 타공망의 배수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탈수기용 타공망의 배수구조는,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탈수기용 타공망에 있어서, 상기 배수공은 타공망의 내주면에 형성된 원통형 배수공과 상기 원통형 배수공의 끝단에 연장되어 타공망의 외주면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확장형 배수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폐기물의 탈수를 위해 타공망에 배수공을 형성하되, 상기 배수공은 타공망의 내주면에 형성된 원통형 배수공과 상기 원통형 배수공의 끝단에 연장되어 타공망의 외주면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확장형 배수공으로 구성됨으로써 타공망은 일정두께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어 내구성 증진으로 인한 상기 타공망의 수명 연장과 함께 탈수기의 탈수 또는 세척시 상기 배수공을 막고 있는 음식물 쓰레기나 슬러지의 이물질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써 탈수기의 탈수 및 세척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 종래의 타공망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 도 1의 단면도.
도 3 - 본 발명에 따른 타공망을 도시한 사시도.
도 4 - 도 3의 단면도.
상기한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탈수기용 타공망(100)의 배수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배수공(101)이 형성된 탈수기용 타공망에 있어서, 상기 배수공(101)은 타공망(100)의 내주면에 형성된 원통형 배수공(110)과 상기 원통형 배수공(110)의 끝단에 연장되어 타공망(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확장형 배수공(12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배수공(101)을 원통형 배수공(110)과 확장형 배수공(120)의 이중 구조로 형성하는 것은, 타공망(100)의 내구성 증진을 위해 상기 타공망(100)의 두께를 늘리더라도 상기 배수공(101)이 막히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원통형 배수공(110)과 확장형 배수공(120)의 압력차에 의한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타공망(100)의 외주면에 위치한 확장형 배수공(120)은 내주면에 위치한 원통형 배수공(110)에 비해 직경이 상대적으로 더 크고 외측을 향해 테이퍼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원통형 배수공(110)과 확장형 배수공(120)은 압력차를 가지게 되므로 폐기물의 물은 배수공(101)으로 자연스레 유입되어 배수되는 것이다.
또한, 폐기물의 탈수 후 상기 타공망(100)의 배수공(101)을 막고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타공망(100)의 외측으로부터 세척수를 분사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타공망(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확장형 배수공(120)에 의해 더 많은 세척수를 분사 받게 되므로 상기 이물질은 손쉽게 제거되어 지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탈수기용 타공망(100)의 사양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타공망(100)은 종래의 타공망이 2T로 제조되던 것과는 달리 내구성의 증진을 위해 통상 4~8T로 제조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6T로 제조되어 진다.
상기 타공망(100)에 형성되는 배수공(101)은 원통형 배수공(110)과 확장형 배수공(120)으로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원통형 배수공(110)과 확장형 배수공(120)은 1:2의 두께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원통형 배수공(110)의 두께가 2T라면 상기 확장형 배수공(120)의 두께는 4T로 제조된다.
또한, 상기 원통형 배수공(110)과 확장형 배수공(120)의 직경은 1:1.5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원통형 배수공(110)의 직경이 2㎜라면 상기 확장형 배수공(120)의 직경은 3㎜로 제조된다. 이때 상기 확장형 배수공(120)의 직경은 타공망(100)의 외주면에 위치한 직경을 의미한다.
이처럼 상기 배수공(101)을 원통형 배수공(110)과 확장형 배수공(120)으로 나누어 구성함으로써 타공망(100)은 일정두께를 가지도록 제조될 수 있어 내구성 증진으로 인한 상기 타공망(100)의 수명 연장을 기대할 수 있고, 또 폐기물의 탈수 또는 세척시 상기 배수공(101)을 막고 있는 이물질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탈수기의 탈수 및 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타공망 101: 배수공
110: 원통형 배수공 120: 확장형 배수공

Claims (2)

  1. 다수의 배수공(101)이 형성된 탈수기용 타공망에 있어서,
    상기 배수공(101)은 타공망(100)의 내주면에 형성된 원통형 배수공(110)과 상기 원통형 배수공(110)의 끝단에 연장되어 타공망(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확장형 배수공(12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기용 타공망의 배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배수공(110)과 확장형 배수공(120)의 두께는 1:2의 비율로 제조되고, 직경은 1:1.5의 비율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기용 타공망의 배수구조.
KR1020100049799A 2010-05-27 2010-05-27 탈수기용 타공망의 배수구조 KR201101302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799A KR20110130243A (ko) 2010-05-27 2010-05-27 탈수기용 타공망의 배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799A KR20110130243A (ko) 2010-05-27 2010-05-27 탈수기용 타공망의 배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243A true KR20110130243A (ko) 2011-12-05

Family

ID=45499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9799A KR20110130243A (ko) 2010-05-27 2010-05-27 탈수기용 타공망의 배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02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475B1 (ko) * 2022-08-18 2023-05-10 주식회사 하연네트웍스 슬러지분리관을 갖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475B1 (ko) * 2022-08-18 2023-05-10 주식회사 하연네트웍스 슬러지분리관을 갖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8078B2 (en) Large-sized plate pressure filter
CN205676346U (zh) 一种水利工程污泥处理装置
RU2009142203A (ru) Измельчительный валок, а также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KR101703733B1 (ko)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를 위한 스크루프레스 고액분리기
KR20110130243A (ko) 탈수기용 타공망의 배수구조
KR101028957B1 (ko) 삼중 거름망
KR100654576B1 (ko)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
CN102365406A (zh) 滤筛
US20160121241A1 (en) Large-sized filter plate
CN106494803A (zh) 一种环保垃圾桶
KR101326772B1 (ko) 수분물질 탈수기용 실린더
KR101288491B1 (ko) 필터 캡의 구조
US1892842A (en) Under drain for sewer filtering plants
JP2005052755A (ja) 土砂の脱水方法と脱水袋
CN210614043U (zh) 一种应用于虹吸式刮刀离心机的衬网
RU184863U1 (ru) Кольцо стеновое
KR20150015746A (ko) 이물질 걸림 방지형 탈수용 실린더를 구비한 음식물탈수기
KR200434935Y1 (ko) 싱크대용 탈수기의 걸름통
CN210766162U (zh) 一种纱管纸成型纸浆脱水机构
JP4859739B2 (ja) フィルタープレス
CN210409724U (zh) 一种滤网短节滤芯
KR20210071720A (ko) 탈취 생분해성 필터를 이용한 분리형 거름 장치
KR20100110966A (ko) 수분 분리와 제거를 위한 탈수통체
CN214634783U (zh) 一种多功能组合式低露点干燥机除油滤芯
KR200282578Y1 (ko) 하수구 마개의 배수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