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9905A - 경각상태를 위한 오레가노 추출물 - Google Patents

경각상태를 위한 오레가노 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9905A
KR20110129905A KR1020117021796A KR20117021796A KR20110129905A KR 20110129905 A KR20110129905 A KR 20110129905A KR 1020117021796 A KR1020117021796 A KR 1020117021796A KR 20117021796 A KR20117021796 A KR 20117021796A KR 20110129905 A KR20110129905 A KR 20110129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ertness
active ingredient
oregano extract
oregano
alph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1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지나 고랄지크
요나스 비트베르
하산 모하제리
Original Assignee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filed Critical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10129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99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2Anxi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6Psychostimulants, e.g. nicotine, coc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성제로서 작용할 수 있지만, 카페인과 같은 많은 각성제가 할 수 있는 방식으로 수면 양상을 방해하거나 신경과민을 유도하지 않는 오레가노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오레가노 추출물은 또한 개선된 경계상태를 증진하고,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능력 및 주의를 개선하고, 일반적인 경각상태를 개선하는 이점을 가진다.

Description

경각상태를 위한 오레가노 추출물{OREGANO EXTRACT FOR ALERTNESS}
본 발명은 각성제(stimulant)(예컨대, 카페인)를 섭취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경험하는 신경과민 또는 흥분을 수반하지 않고, 초점(focus), 경각상태(alertness) 및 경계상태(vigilance)를 유지하는 인간의 능력을 증가시키는 오레가노 추출물 및 이의 활성 성분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서양 사회의 인간들이 보다 긴 수명을 경험함에 따라, 독립성을 유지하기 위한 요구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독립성을 유지하고 노년의 건강한 삶을 보장하기 위하여, 인간은 신체 및 정신 둘다의 건강을 유지하여야 한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인간은 종종 감소된 주의(attention), 정보 처리 속도, 융통성 및 단기 기억을 경험한다. 그러나, 심지어 인구의 비-노인 부분도 새로운 직장의 시작, 과도한 업무 최종 기한, 학교 경쟁 또는 소비적이고 피곤한 사회적인 상호작용과 같은 인생 경험에 기인한 스트레스 및 정보 과부하에 직면하는 경우 유사한 기억 문제를 종종 경험할 수 있다.
천연 성분이, 인간이 자연적으로 피곤함과 싸우고, 주의 및 경계상태를 증가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천연 성분중에서, 커피는 가장 많이 소비되는 것중 하나이다. 커피는 각성(wakefulness) 및 운동 활성을 증가시키고, 정신적 능력 및 작업 능력을 개선할 수 있는 주의 및 경각상태를 개선할 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커피는 또한 소비자 및 커피 섭취량에 따라 부작용을 갖는다. 한번에 몇 잔 이상의 커피를 소비하는 민감한 음용자는 불면증, 과민성, 수전증, 안전부절, 신경과민, 두통, 규정보다 빠른 심장박동을 경험하고, 집중(concentration)하기 어려운 시간을 가질 수 있다. 다른 부작용은 혈압, 호흡 속도 및 대사의 일시적인 상승이다.
따라서, 커피의 긍정적인 자극 효과를 가지지만, 불리한 부작용은 없는 천연 성분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뇌전도(Electro Encephalogram: EEG) 및 유발 전위 시험에 근거하여, 오레가노 추출물 및/또는 이의 활성 성분의 투여가 경계상태, 즉, 각성, 경각상태, 초점화의 능력과 조합된 이완의 상태를 실현하고/하거나 주의를 자극함이 밝혀졌다.
본 발명의 한 양상은 대상의 경계상태, 즉, 각성, 경각상태 및 초점을 강화시키기 위한 오레가노 추출물 및/또는 이의 활성 성분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효과량의 오레가노 추출물 및/또는 이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경계상태, 즉, 각성, 경각상태 및 초점화의 능력을 강화시키는 식품, 기능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이다. 다른 양상은 효과량의 오레가노를 대상에게 투여하고 강화된 경계상태를 관찰함을 포함하는, 경계상태를 강화시키는 방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태는 알파-1 및 베타-1 파(wave)를 증가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오레가노 추출물을 섭취함을 포함하는, 경계상태, 즉 각성, 경각상태 및 초점을 유지하면서 이완된 상태를 달성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오레가노 추출물 또는 이의 활성 성분을 투여함을 포함하는, P300 피크 진폭을 증가시키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섭취 후, 인간이 경각상태, 경계상태, 초점 및 주의를 유지하면서 이완을 느끼도록 하는 식품 성분 또는 식품 보충제로서의 오레가노 추출물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오레가노 추출물을 투여하고, 강화된 경계상태를 관찰함을 포함하는, 경계상태를 개선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각성을 유도할 수 있지만, 수면 양상을 방해하지 않는 오레가노 추출물 또는 이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기능식품, 약학 조성물, 식품 또는 식품 보충제이다.
도 1은, 플라시보와 비교되는, 절대 에너지, 알파-1 및 베타-1 파에 대한 오레가노 추출물 120mg의 파마코(Pharmaco)-EEG 인터-키네틱(inter-kinetic) 맵을 나타낸다.
도 2는, 플라시보와 비교되는, 섭취 후 2 내지 6시간에서의 30mg 오레가노 추출물 투여량에 대한 P300 진폭의 유의한 양성 변화(p<0.01), 및 섭취 후 2시간에서의 60mg 오레가노 추출물 투여량에 대한 진폭의 유의한 양성 변화(p<0.01)를 나타내는 통합된 P300 반응의 S300 매핑(mapping)(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맵)이다.
도 3은 두정부 리드(두부상의 중심 전극)상에서의 투약 전(기준치)에 대한 오레가노 추출물 및 플라시보에 대한 P300 피크 진폭(%)을 나타낸다.
도 4는 오레가노 추출물 대 플라시보의 P300 피크 잠복기 변화(밀리세컨드: ms)를 나타낸다.
도 5a 및 5b는 수면 프로파일 변수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어떠한 변수도 유의적으로 변화하지 않았다.
용어 "오레가노 추출물 및/또는 이의 활성 성분"은 추출가능한 화합물의 완전한 혼합물뿐만 아니라 단지 단독으로 취해진 식물의 휘발성 성분, 또는 이들 서로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함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레가노 추출물의 가장 중요한 휘발성 성분은 카바크롤, 티몰, 티모퀴논 및 티모퀴놀이다. 따라서, "오레가노 추출물 및/또는 이의 활성 성분"은 오레가노 추출물, 카바크롤, 티몰, 티모퀴논, 티모퀴놀 또는 상기 성분중 2개 이상의 혼합물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오레가노 추출물"이란 표현은, 차가 단지 미량의 휘발성 성분을 함유하므로, 신선한 잎 또는 건조된 잎, 또는 오레가노(Oregano) 종의 임의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제조된 차 또는 고온 수성 추출물을 포함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증기 증류에 의해 수득된 추출물은 본 발명의 범주내에 속한다. 이러한 추출물은 용이하게 열화되지 않는 휘발성 화합물을 일반적으로 함유한다. 임의의 티모퀴논 및 다른 휘발성 물질은 증기 증류중에 더욱 신속하게 열화되므로, 증류된 오일은 이들을 거의 함유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들은 많은 양의 카바크롤을 함유할 수 있다. SFCO2 추출물(초임계 유체 이산화 탄소)이 이들의 안정성(밀폐된 용기에서 5년까지)을 위해 특히 바람직하다.
용어 "경계상태"는 하나 이상의 하기 특성을 포함한다: 각성, 경각상태, 주의, 집중 및 초점. 구체적으로, 집중을 증가시키고/시키거나 유지하는 능력은 상황과 관련이 없는 주변 신호를 무시하는 능력과 함께 강화된다.
용어 "강화된 경계상태를 관찰하는"은 관찰자가 활성 성분을 섭취하는 인간이거나, 또는 다른 관찰자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관찰은 자가-평가일 수 있거나, 또는 객관적으로 측정가능한 기준에 근거할 수 있다.
각성의 평가
인지 기능 및 경계상태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시험될 수 있다. 공간 학습(인지 개발) 또는 기억과 같은 인지의 상이한 개념을 측정하는 여러 가지 인지 시험이 개발되고 입증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시험은 개선된 인지의 결과를 기술하지만, 신경-생물학적 활성에 초점을 맞추지는 않는다. 또한, 이들은 종종 인지 능력에서의 작은 변화를 확인하는데 실패한다. 설명된 바와 같이, 가벼운 인지 손상에서 발생하는 작은 변화를 측정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경계상태, 환기(arousal), 경각상태 및 주의와 같은 특성을 평가하는 것에 관한 질문사항은 상기 상태의 정확하고 확고한 측정법으로서 일반적으로 고려되지 않는다. 이들은 종종 인종적으로/문화적으로 편향된 해석을 거치거나, 또는 교육의 수준 또는 질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신경-이미지화 기술은 상이한 뇌 구역에서의 여러 가지 자극 또는 상태에 대한 응답으로서 신경 활성을 직접 조사하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덜 편향된 기술의 하나의 유형이다. 전반적인 뇌 활성의 상이한 수준을 평가하기 위하여, 동기성 피질 신경 매스 활성(synchronized cortical neuronal mass activity)의 시간적-공간적 패턴을 반영하고, 충분한 시간 해상도(time resolution)를 갖고 직접적으로 신경 활성을 측정하기 위한 유일한 비침습성 방법이므로, 뇌전도(EEG) 및 사건-관련 전위(Event-Related Potential: ERP)가 바람직한 방법이다.
EEG는 상이한 주파수의 뇌파를 유도하는 뇌의 신경에 의해 생성된 진행성 전기 활성(ongoing electrical activity)을 측정한다. 이러한 파는 여러 가지 주파수 밴드, 구체적으로 델타(0.5 내지 3.5Hz), 쎄타(4 내지 7.5Hz), 알파(8 내지 12.5Hz) 및 베타(13 내지 32Hz)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파는 다음과 같이 인간이 기록 순간에 경험하는 뇌 작용의 상태를 반영한다: 델타 파는 통상적으로 깊은 수면중에 발생하고; 쎄타 파는 직관, 백일몽 및 몽상과 관련하여 보이고, 이에 따라, 각성과 수면 사이의 상태를 반영하고; 알파 파는 이완상태 및 경각상태를 반영하고, 학습 및 정보 사용과 관련된 뇌의 가장 중요한 파이고; 베타 파는 "경계상태"의 모든 요소인 정신 활동, 경각상태, 문제 해결, 판단, 결정 및 정보 처리와 관련된다.
ERP의 하나의 측정법은 "P300" 피크이다. 이러한 피크는 큰 양성 전압 피크를 갖고 300ms 잠복기 영역에서 발생하는 "인지" 또는 "사건-관련 반응"으로서 지칭되는 유발 전위(예를 들어, 시각 또는 청각 자극에 의함)이다. 주의 및 환기 상태는 P300 반응을 유도하는 2개의 가장 중요한 인자이다. P300 진폭 및 잠복기는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및 치매를 갖는 환자를 평가하기 위하여 임상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신경퇴행성 질환을 갖는 환자는 연장된 P300 잠복기를 갖는 경향이 있고, 신경전달물질의 변화와 관련된 것으로 여겨진다. P300 잠복기는, 인지 기능이 감소함에 따라, (진폭은 감소하면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라서, 오레가노 추출물 및 이의 활성 성분이 휴식 조건에서 알파-1 및 베타-1 EEG 변수를 유의하게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알파 활성의 증가는 이완, 증가된 창조성, 스트레스하의 증가된 능력 및 개선된 학습 및 집중, 및 감소된 불안과 관련되었다(문헌[Eschenauer et al., 2006, Am J Syst Pharm 63:26-30]; 문헌[Boutcher et al., 1988, Physcophysiology 25:696-702]). 베타 활성의 증가는 보다 높은 피질 활성(문헌[Kubitz et al., 1996, Res Q Exerc Sport 67:91-96]), 증가된 경각상태(문헌[Porjesz et al., 2002, BiolPhychol 61:229-48]) 및 인지 처리(문헌[Karrasch et al., 2004, Neurosci Lett 366:18-23])와 관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서, 오레가노 추출물 또는 이의 활성 성분은, 알파-1 파를 증가시킴에 따라, 이완을 개선하고, 창조성을 증가시키고, 스트레스하의 능력을 증가시키고, 집중을 개선하고,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 베타-1 파를 증가시킴으로써, 오레가노 추출물 또는 이의 활성 성분은 경각상태, 집중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경계상태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오레가노 추출물 및 이의 활성 성분이 표면 P300 피크 진폭(S300) 및 두정부 리드상의 P300 피크 진폭을 유의하게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300 피크 진폭의 증가는 보다 높은 양의 선택적인 주의와 관련되는 반면에(문헌[van Nunen et al., 1994, Acta Phychiatr Belg 94:96-97]), 보다 짧은 P300 피크 잠복기는 자극의 구별, 대조 및 평가를 위한 보다 신속한 처리 시간에 의한 보다 우수한 인지 능력과 관련되었다(상기 판 누넨(van Nunen)의 문헌; 문헌[Hansenne, 2000, Neurophysiol Clin 30:191-210]; 문헌[Emmerson et al., 1989, Exp. Aging Res 15:151-9]).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예를 들어 점심(정오) 전후의, 주의, 각성 및 경각상태(경계상태)의 일간 일주기 감소를 보충하기 위한 오레가노 추출물의 용도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오레가노 추출물을 수용한 대상이 많은 인간이 종종 느끼는 정오 전후의 주의의 감소를 경험하지 않았음이 또한 밝혀졌다. 본 발명자들의 실험에 따르면, 플라시보 군은, 두정부 리드상의 P300 피크 진폭의 감소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점심 시간쯤의 선택적인 주의, 경각상태, 각성, 및 할당된 업무에 관한 초점의 감소를 경험하였다. 그러나, 오레가노 추출물을 수용한 군에서, 이러한 감소가 관찰되지 않았다. 오레가노 추출물을 수용한 대상은 이른 아침의 주의에 비해 7%의 주의의 증가를 나타냈다.
정오쯤의 주의의 일주기 감소는 또한 문헌[Kirkcaldy, 1984, Eur J Appl Physiol Occup Physiol 52:375-9]에 의해 제시되었다. 키르크칼디(Kirkcaldy)의 연구에서, 대상은 정오쯤(오전 11시와 대략 오후 2시 사이)에 덜 활성화되고 덜 경각상태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오전 11시와 오후 2시 사이, 또는 점심 식사 후 1시간 전에 효과량의 오레가노 추출물을 투여함으로써 정오쯤의 주의 및/또는 경각상태의 감소를 피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오레가노 추출물이 각성, 경각상태 및 초점과 조합된 이완의 상태를 지지함을 나타낸다.
투여량
평균 체중의 성인에 대한 투여량은 1일 당 25 내지 200mg, 바람직하게는 1일 당 30 내지 180mg의 오레가노 추출물 또는 이의 활성 성분의 범위이다. 필요에 따라, 투여량은 조정될 수 있다. 영양 보충제의 경우, 투여형은 캡슐, 정제, 사쉐의 형태, 또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통상적인 투여 형태일 수 있다.
최적 경계상태 및 경각상태를 위해서, 성인이 아침에 60mg의 단일 투여량을 섭취하는 것이 추천된다. 편리하게는, 투여 형태는 캡슐의 형태일 수 있다. 60mg의 두 번째 캡슐(또는 다른 투여 형태, 예컨대 정제)은, 오후의 점심 후 감소를 방지하기 위하여, 점심에 또는 점심 직후에 섭취될 수 있다. 다르게는, 120mg의 하나의 캡슐이 1일 당 1회, 바람직하게는 아침에 섭취될 수 있다. 선택적인 양태에서, 30mg의 투여량은 매일 3회, 즉 아침, 점심 및 늦은 오후(개인이 각성을 연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저녁)에 섭취될 수 있다. 이러한 적용은 밤중에 어떠한 불면도 초래하지 않을 것이다.
다르게는, 투여형은 기능성 식품의 형태일 수 있고, 이때 오레가노 추출물은 음료를 비롯한 다양한 식료품에 첨가된다.
적합한 오레가노 추출물은 시판중이다. 하나의 바람직한 추출물은 독일 레린겐 소재 플라벡스 게엠베하(Flavex Gmbh)에서 시판중인 SFCO2 추출물이다.
하기 비제한적인 실시예가 본 발명을 더욱 잘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실시예
실시예 1:
인간의 임상적인 시험에서 정량적인 각성 및 수면 EEG 및 각성 ERP에 의한 신경 작용에 대한 오레가노 추출물의 효과의 평가
20명의 건강한 젊은 남자 지원자에 대한 단일 중심의 랜덤화되고 플라시보 제어된 크로스오버 인간 임상 시험에서, 각성 상황의 뇌 활성에 대한 3개의 상이한 투여량의 오레가노 추출물(독일 레린겐 소재 플라벡스 게엠베하에서 구입함)(30mg/60mg/120mg)의 효과가 정량적인 뇌전도(qEEG) 및 사건-관련 전위(ERP)의 방법을 사용하여 플라시보에 대해 시험되었다. 또한, 20명의 지원자의 수면다원검사 기록 및 밤새도록의 수면 EEG 스펙트럼 분석은 30mg, 60mg 또는 120mg의 오레가노 추출물의 추가 투여 후 수면에 대한 오레가노 추출물의 효과를 시험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방법:
4개의 연속적인 평가 기간은 서로 5일 이상 떨어져 있었다(세척 기간(wash-out period)). 이러한 기간에서, 각각의 대상은 단일 평가로서 시험된 3개의 투여량(30mg, 60mg 또는 120mg)중 하나, 또는 플라시보를 수용하였다. 3명의 대상은 전체 연구 기간을 완료하지 못했다.
각각의 기간의 각각의 연구 일에, qEEG를 투여량 투여 후 기록하였다. 상세하게는, 28 EEG 리드를 귀에 연결된 기준물 및 4개의 인공물 채널(artifact channel)을 사용하여 기록하였다(안구 운동, 근육 활성 및 다른 인공물의 전위 유발의 검출). EEG를 첫 번째 3분 경계상태 제어된 기록(VC) 조건(대상은 기록 조건 하에 2개의 손잡이를 누르도록 요청됨), 및 이어지는 3분 휴식(R) 기록 조건(대상은 눈을 감은 채 쉬도록 요청됨)하에 취해진다.
이중 기준치는 투약 전 1 및 0.5시간에 수행되었다. 두 번째 기준치만을 분석에 사용하고, 첫 번째 기준치는 연습기이었다. 추가의 qEEG 측정을 투약 후 1, 2, 4 및 6시간에 수행하였다. 변수의 추출은, 이들을 표준 주파수 EEG 밴드로 분류함으로써, 개별적인 스펙트럼상에서 수행되었다: 델타(0.5 내지 3.5Hz), 쎄타(4 내지 7.5Hz), 알파(8 내지 12.5Hz) 및 베타(13 내지 32Hz). 알파 및 베타 밴드는 또한 각각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알파-1(8 내지 9.5Hz) 및 알파-2(10 내지 12.5Hz), 및 베타-1(13 내지 17.5Hz), 베타-2(18 내지 20.5Hz) 및 베타-3(12 내지 32Hz).
또한, ERP 측정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ERP는 표준 청각 P300 "오드-볼(odd-ball)" 패러다임에 근거하였다. 각각의 대상은 빈번한 음을 위한 500Hz의 주파수, 및 드문 음 또는 표적 음을 위한 2,000Hz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일련의 2개의 음을 청취하였다. 대상은 드문 음을 계수하도록 요청되었다. 이러한 계수에 의해, 피크가 약 300ms 후에 EEG에 나타났다. 이러한 피크, P300 진폭으로부터, 모든 전극에 대한 S300(P300 파형하의 면적) 및 Cz(중심) 전극상의 잠복기가 측정될 수 있다. 청각 P300 측정 시점은 qEEG와 동일하였다.
각각의 연구 일의 저녁에, 연구 지원자들은 두 번째 투여량의 오레가노 추출물(30mg/60mg/120mg) 또는 플라시보를 섭취하고, 2시간 후에 수면다원검사 기록(수면 EEG)을 밤새(8시간) 받았다. 각각의 치료의 밤은, 첫-밤 효과 문제, 즉 건강한 대상이 통상적이지 않은 설정에서 첫 번째로 기록되는 밤 동안 일반적으로 경험하는 개시 및/또는 유지 수면의 어려움에 기인하여 분석되지 않는 습관화의 밤으로 진행되었다. 수면 단계는 완전한 기록 기간 동안(오후 11시로부터 오전 7시까지) 30초 간격으로 단계 0(각성), 단계 1, 단계 2, 단계 3, 단계 4, 단계 5(급속 안구 운동[REM] 수면) 또는 단계 6(운동 시간)으로 시각적으로 점수화되었다. 상이한 시각적 수면 변수는 힙노스(Hypnos)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기록의 시각적인 점수화로부터 유도된다.
결과:
EEG:
정량적인 EEG 기록 및 분석은 화합물-유도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한 체계적인 평가 방법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분석은, 각성 qEEG에서, 알파-1 및 베타-1 EEG 변수의 휴식 조건하에 절대 전력에서 일시적인 유의한 증가(p<0.05)가 1시간 초과 동안 지속되는 120mg 투여량의 경우에 발생함을 밝혀냈다(도 1). 또한, 120mg의 투여량의 오레가노 추출물의 섭취 후 2시간에서, 알파-1 파는, 비록 통계학적으로 더 이상 유의하지 않지만(p<0.1), 플라시보에 비해 증가되었다.
ERP:
두정부 리드상의 P300 피크 잠복기 및 진폭의 분석은, 플라시보와 비교되는, 오레가노 추출물에 의한 일부 유의한 개질을 나타냈다. 좌측 전방 및 중심 두피 영역에 걸친 30mg 오레가노 추출물 투여량에 대한 P300 진폭 맵에서의 증가가 가장 분명하였지만, 플라시보와 비교되는, 두피의 전방 절반에 걸친 60mg 오레가노 추출물 투여량에 대해서 가장 확연하였다. 이러한 개질은 오레가노 추출물 섭취 후 1시간과 2시간 사이에 발생하기 시작하였고, 30mg 투여량의 경우에 6시간까지, 60mg 투여량의 경우에 2 내지 3시간까지 지속되었다(도 2). 또한, P300 피크 잠복기는, 플라시보와 비교하여, 60mg 및 120mg의 오레가노 추출물 투여량의 섭취 후 1시간에 감소되었다(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지만, 경향이 관찰된다)(도 3).
두정부 리드(두피상의 중심 리드)상의 P300 피크 진폭만을 관찰하는 경우, 60mg의 오레가노 추출물은 기준치에 비해 7.4%, 및 2시간 섭취 후 플라시보에 비해 21.2%만큼 P300 진폭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도 4).
30mg 투여량은 기준치에 비해 8%, 및 4시간의 섭취 후 플라시보에 비해 15%까지 P300 진폭을 증가시켰지만,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흥미롭게도, 플라시보 군의 진폭은 플라시보 섭취 후 2시간에 감소되었고, 이는 주의의 일주기 감소(점심 전후)와 유사하다. 60mg(및, 어느 정도까지, 30mg 또한) 오레가노 추출물은 이러한 감소를 완화시킬 수 있었고, 심지어 기준치보다 높은 수준까지 P300 진폭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오레가노 추출물을 사용하여 수득된 결과는 오레가노 추출물이 주의를 자극하고 정오에 통상적으로 경험하는 주의의 일일 감소를 완화시킴을 나타낸다.
수면 EEG:
오레가노 추출물이 수면 연속성 또는 구성에 영향을 주는지 여부를 시험하기 위하여, 수면다원검사 기록을 수행하였다. 수면다원검사 데이터 기록은 연구 일에 연구 화합물의 두 번째 섭취 후 2시간에 시작되었다. 모든 대상의 수면 변수 데이터의 완전한 집합을 분석한 후, 수면 연속성 또는 구조에 대한 어떠한 효과도 관찰되지 않았다(도 5a 및 5b).
본 발명에 따라서, 오레가노 추출물 및 이의 활성 성분이 2시간 이하 동안 120mg의 투여량을 사용하여 알파-1 및 베타-1 EEG 변수의 휴식 조건하에 알파-1 및 베타-1 EEG 변수(절대 에너지)를 유의하게 증가시킬 수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P300 표면 피크 진폭(S300)은 30mg 및 60mg 투여량에 대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1시간 후 발생하고 6시간 후 기준치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또한, 두정부 리드상의 P300 피크 진폭은 플라시보과 비교하여 60mg의 오레가노 추출물 투여 후 2시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22%). 또한, 기준치과 비교하여, 60mg 투여량은 2시간 후 두정부 리드상의 P300 진폭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7%). 또한, P300 피크 잠복기는 플라시보와 비교하여 60mg 및 120mg 오레가노 추출물 투여량의 섭취 후 1시간에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다(-10ms).
알파 활성의 증가는 이완, 증가된 창조성, 스트레스하의 증가된 능력 및 개선된 학습 및 집중, 및 감소된 불안5,6과 관련되었다. 베타 활성의 증가는 보다 높은 피질 활성8, 경각상태의 증가된 상태7 및 인지 처리9와 관련된다.
실시예 2:
액체 캡슐( LiCap )의 제조
하기 성분을 포함하는 액체 캡슐(LiCap)을 제조할 수 있다:
Figure pct00001
참고 문헌:
1. 문헌[Davis, M. & Whalen, P.J. The amygdala: vigilance and emotion. Mol Psychiatry 6, 13-34 (2001)].
2. 문헌[Hegerl, U. et al., EEG-vigilance differences between patient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patients with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and healthy controls. Eur Arch Psychiatry Clin Neurosci 258, 137-43 (2008)].
3. 문헌[Klerman, E.B., Boulos, Z., Edgar, D.M., Mistlberger, R.E. & Moore-Ede, M.C. EEG delta activity during undisturbed sleep in the squirrel monkey. Sleep Res Online 3, 113-9 (2000)].
4. 문헌[Bodizs, R., Sverteczki, M. & Meszaros, E. Wakefulness-sleep transition: emerging electroencephalographic similarities with the rapid eye movement phase. Brain Res Bull 76, 85-9 (2008)].
5. 문헌[Eschenauer, G. & Sweet, B.V. Pharmacology and therapeutic uses of theanine. Am J Health Syst Pharm 63, 26, 28-30 (2006)].
6. 문헌[Boutcher, S.H. & Landers, D.M. The effects of vigorous exercise on anxiety, heart rate, and alpha activity of runners and nonrunners. Psychophysiology 25, 696-702 (1988)].
7. 문헌[Porjesz, B. et al., Linkage and linkage disequilibrium mapping of ERP and EEG phenotypes. Biol Psychol 61, 229-48 (2002)].
8. 문헌[Kubitz, K.A. & Mott, A.A. EEG power spectral densities during and after cycle ergometer exercise. Res Q Exerc Sport 67, 91-6 (1996)].
9. 문헌[Karrasch, M., Laine, M., Rapinoja, P. & Krause, C.M. Effects of normal aging on event-related desynchronization/synchronization during a memory task in humans. Neurosci Lett 366, 18-23 (2004)].
10. 문헌[Kugler, C.F., Taghavy, A. & Platt, D. The event-related P300 potential analysis of cognitive human brain aging: a review. Gerontology 39, 280-303 (1993)].
11. 문헌[Polich, J. & Herbst, K.L. P300 as a clinical assay: rationale, evaluation, and findings. Int J Psychophysiol 38, 3-19 (2000)].
12. 문헌[Polich, J., Howard, L. & Starr, A. P300 latency correlates with digit span. Psychophysiology 20, 665-9 (1983)].
13. 문헌[Schellenberg, R., Sauer, S. & Dimpfel, W. Pharmacodynamic effects of two different hypericum extracts in healthy volunteers measured by quantitative EEG. Pharmacopsychiatry 31 Suppl 1, 44-53 (1998)].
14. 문헌[Rechtschaffen, A. & Kales, A. A manual of standardized terminology techniques and scoring system for sleep stage of human subjects. Washington DC: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Publication 204(1968)].
15. 문헌[van Nunen, P.E. & Declerck, A.C. P300, alertness and cognition. Acta Psychiatr Belg 94, 96-7 (1994)].
16. 문헌[Hansenne, M. [The p300 cognitive event-related potential. I. Theoretical and psychobiologic perspectives]. Neurophysiol Clin 30, 191-210 (2000)].
17. 문헌[Emmerson, R.Y., Dustman, R.E., Shearer, D.E. & Turner, C.W. P3 latency and symbol digit performance correlations in aging. Exp Aging Res 15, 151-9 (1989)].

Claims (16)

  1. 효과량의 오레가노 추출물 또는 이의 활성 성분을 섭취함을 포함하는, 알파-1 및/또는 베타-1 뇌파 활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활성 성분이 카바크롤, 티몰, 티모퀴논, 티모퀴놀 및 이들중 2개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알파-1 및/또는 뇌파 활성이, 각성(wakefulness), 경각상태(alertness), 경계상태(vigilance) 또는 초점(focus)을 유지하면서 이완된 상태를 달성함으로써, 관찰되는 방법.
  4. 효과량의 오레가노 추출물 또는 이의 활성 성분을 섭취함을 포함하는, 수면 양상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주의(attention) 또는 경계상태를 개선하는 방법.
  5. 효과량의 오레가노 추출물 또는 이의 활성 성분을 대상에게 투여함을 포함하는, 유발 전위 P300 피크 진폭을 증가시키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활성 성분이 카바크롤, 티몰, 티모퀴논, 티모퀴놀 및 이들중 2개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P300 피크 진폭이, 대상이 각성, 경각상태, 경계상태 또는 초점을 유지하면서 이완된 상태를 달성하도록 하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레가노 추출물 또는 이의 활성 성분이 오전 11시 내지 오후 2시에 섭취되는 방법.
  9. 알파-1 및/또는 베타-1 뇌파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오레가노 추출물 또는 이의 활성 성분의 용도.
  10. 제 9 항에 있어서,
    활성 성분이 카바크롤, 티몰, 티모퀴논, 티모퀴놀 및 이들중 2개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도.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알파-1 및/또는 뇌파 활성이, 각성, 경각상태, 경계상태 또는 초점을 유지하면서 이완된 상태를 달성함으로써, 관찰되는 용도.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면 양상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주의 또는 경계상태를 개선하는 용도.
  13. 제 9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발 전위 P300 피크 진폭을 증가시키는 용도.
  14. 제 13 항에 있어서,
    P300 피크 진폭이, 대상이 각성, 경각상태, 경계상태 또는 초점을 유지하면서 이완된 상태를 달성하도록 하는 용도.
  15. 제 9 항 내지 제 1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전 11시 내지 오후 2시에 사용하는 용도.
  16. 오레가노 추출물 또는 이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섭취시 인간의 경계상태를 증진하는 기능식품, 식품 또는 식품 보충제.
KR1020117021796A 2009-02-20 2010-02-19 경각상태를 위한 오레가노 추출물 KR201101299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402309P 2009-02-20 2009-02-20
US61/154,023 2009-02-20
US22221309P 2009-07-01 2009-07-01
US61/222,213 2009-07-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905A true KR20110129905A (ko) 2011-12-02

Family

ID=42341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1796A KR20110129905A (ko) 2009-02-20 2010-02-19 경각상태를 위한 오레가노 추출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20142786A1 (ko)
EP (1) EP2398340A2 (ko)
JP (2) JP2012518618A (ko)
KR (1) KR20110129905A (ko)
CN (1) CN102438464B (ko)
BR (1) BRPI1008382A8 (ko)
WO (1) WO201009476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17967A1 (en) 2010-07-29 2012-02-15 Visiotact Pharma A transmucosal composition containing anthocyanins for alleviating a visual discomfort
JP5986793B2 (ja) * 2012-04-26 2016-09-06 小川香料株式会社 セイボリーエキスの製造方法
JP2015522003A (ja) * 2012-07-02 2015-08-03 ディーエスエム アイピー アセッツ ビー.ブイ. チモキノンを含有するカプセル
BR112016017612A2 (pt) * 2014-01-30 2022-07-12 Kemin Ind Inc Uso de um extrato de uma planta do gênero mentha da família lamiaceae
EP3194028A4 (en) * 2014-09-15 2018-10-10 Kemin Industries, Inc. Plant extracts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JP7432501B2 (ja) * 2017-09-12 2024-02-16 ジャイナ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チモキノン含有組成物の調製法
US20200330640A1 (en) * 2017-11-28 2020-10-22 Sharp Kabushiki Kaisha Ion generator, apparatus, method for providing climate-controlled space, method of stress reduction, method of improving degree of concentration, and method of improving degree of comfort
CN108419702A (zh) * 2018-01-16 2018-08-21 淄博南庚商贸有限公司 一种兔掌套
CN108157217A (zh) * 2018-01-16 2018-06-15 淄博南庚商贸有限公司 一种猫掌套
US11495126B2 (en) 2018-05-09 2022-11-08 Cavh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riving intelligence allocation between vehicles and highway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R1002451B (el) * 1995-06-29 1996-10-14 ������ �. Αντιφλεγμονωδεις συνθεσεις που εχουν ως βαση ενεργα συστατικα ορισμενων βοτανων χρησιμοποιουμενες για σκοπους ιατρικους και κτηνιατρικους, και μεθοδοι παρασκευης φαρμακων και σκευασματων για τους παραπανω σκοπους.
RU2114629C1 (ru) * 1997-04-10 1998-07-10 Бабаскина Людмила Ивановна Сбор лекарственных трав, обладающий общеукрепляющим и нормализующим гормональный статус в климактерическом периоде действием
JP2004002237A (ja) * 2002-05-31 2004-01-08 Noriko Yagi 老化防止ハーブ
US7067159B2 (en) * 2003-12-05 2006-06-27 New Chapter, Inc. Methods for treating prostate cancer with herbal compositions
EP1768491B1 (en) * 2004-07-21 2010-03-10 Alltech, Inc. Composition and its use for controlling protozoal infections of animals
ES2399667T3 (es) * 2006-08-09 2013-04-02 Dsm Ip Assets B.V. Nuevos agentes para el tratamiento de trastornos conectados con neurotransmisión deteriorada
CN102988330A (zh) * 2007-10-18 2013-03-27 帝斯曼知识产权资产管理有限公司 用于认知功能的含有百里香酚和/或对-伞花烃的新颖的药物组合物或植物提取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038131A (ja) 2015-02-26
EP2398340A2 (en) 2011-12-28
BRPI1008382A2 (pt) 2015-08-25
WO2010094761A3 (en) 2010-10-21
JP2012518618A (ja) 2012-08-16
BRPI1008382A8 (pt) 2017-07-25
WO2010094761A2 (en) 2010-08-26
US20120142786A1 (en) 2012-06-07
CN102438464A (zh) 2012-05-02
CN102438464B (zh) 2014-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29905A (ko) 경각상태를 위한 오레가노 추출물
Terzano et al. CAP variables and arousals as sleep electroencephalogram markers for primary insomnia
JPWO2005097101A1 (ja) 睡眠改善用組成物
US20220023376A1 (en) Compositions for enhancing brain activity
Gevins et al. Long-term and within-day variability of working memory performance and EEG in individuals
JP2008174512A (ja) 起床時疲労感改善用組成物
KR102091620B1 (ko) 엘­세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뇌장벽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Riemann et al. The tryptophan depletion test: impact on sleep in primary insomnia—a pilot study
Hongratanaworakit et al. Human behavioral and physiological reactions to inhalation of sweet orange oil
Kumari et al. Effects of acute procyclidine administration on prepulse inhibition of the startle response in schizophrenia: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RU2571271C2 (ru) Растительные экстракты из sideritis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для усиления когнитивной способности
US20190216872A1 (en) Compositions for enhancing brain activity
Bongartz et al. Sleep Promoting Effects of IQP‐AO‐101: A Double‐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Exploratory Trial
US20110070326A1 (en) Oregano extract and its components for enhancing vigilance
KR101791217B1 (ko) 측백엽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집중력 및 기억력 강화용 한약 조성물
JP2005289948A (ja) 睡眠改善用組成物
JP2020103172A (ja) 睡眠の質改善剤
JP6175166B2 (ja) 睡眠障害改善剤
Sasaki et al. The effects of dark chocolate on cognitive performance during cognitively demanding tasks: A randomized, single-blinded, crossover, dose-comparison study
KR100697316B1 (ko) 치매 증상 개선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A3056731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essential oils for topical use
US20230414681A1 (en) Bifidobacterium longum ncimb 41676
Maciejewska et al. Single Dose of an Energy Dietary Supplement with a Small Amount of Caffeine Prevents an Increase of a Low Frequency Resting State EEG in Possible Mental Fatigue
Bencze et al. Comparing Neurootological Complaints in Patients at the End of Their Professional Lives (51-60 Years) with Those During the First Phase of Retirement (61-70 Years)
WO2018189100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essential oi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