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9843A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9843A
KR20110129843A KR1020110107549A KR20110107549A KR20110129843A KR 20110129843 A KR20110129843 A KR 20110129843A KR 1020110107549 A KR1020110107549 A KR 1020110107549A KR 20110107549 A KR20110107549 A KR 20110107549A KR 20110129843 A KR20110129843 A KR 20110129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refrigerator
compartment
supply tank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75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21290B1 (en
Inventor
도오루 에비하라
다까시 오오와다
노리요시 오구라
히데오 구마꾸라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29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98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2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2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tank for the water/ice dispenser

Abstract

PURPOSE: A refrigerator is provided to improve the water supply and cleaning ability by detachably installing a water supply tank having an exposed supply portion in the middle part of a cold room. CONSTITUTION: A refrigerator comprises a cold room and a water supply tank(400). The cold room comprises an upper section shelf and a lower section shelf. The water supply tank is detachably supported within the cold room. The supply portion is provided in the front upp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tank. In the front of the upper section shelf, the water supply part is exposed. The water supply portion is detachably supported in the lower section shelf. The front upp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portion is slopingly projected to the front.

Description

냉장고 {REFRIGERATOR}Refrigerat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자동 제빙 장치 또는 냉수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 제빙 장치 또는 냉수 장치에 급수하기 위한 급수 탱크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having an automatic ice maker or a cold water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frigerator having a water supply tank for supplying water to an automatic ice maker or a cold water device.

최근, 자동 제빙 기능을 구비한 냉장고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들 냉장고는 냉동실에 자동 제빙 장치를 구비하고, 이 자동 제빙 장치에 급수하기 위한 급수 탱크를 냉장실에 구비한 것이 일반적이다. 이 급수 탱크는 자동 제빙 장치에만 급수하기 때문에 그 용량은 1L 정도이다.BACKGROUND ART [0002] In recent years, a refrigerator having an automatic ice-making function has become widespread. These refrigerators are generally equipped with an automatic ice maker in the freezing room, and a water supply tank for supplying water to the automatic ice maker is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Since this water tank only supplies water to the automatic ice maker, its capacity is about 1L.

한편, 양문형으로 불리는 대용량의 냉장고에 있어서는 자동 제빙 장치와 냉수 장치를 구비하고, 냉동실의 도어면에 얼음이나 냉수의 취출구를 구비한 것이 있다. 이들 냉장고는 수도로부터 도입한 수도물을 절환 밸브를 통해서 냉동실 내에 설치되는 자동 제빙 장치와, 냉장실 내에 설치되는 저수 탱크에 직접 배관하고 있다. 여기서 자동 제빙 장치에서 생성되는 얼음은 냉동실 도어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얼음 수납부에 축적되어, 냉동실 도어의 외면에 설치되는 취출구로부터 이용자에게 제공된다. 한편, 저수 탱크는 냉장실 내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이 저수 탱크로부터 인출되는 급수 파이프를 힌지를 통해서 냉동실 도어에 배관하고, 상기 취출구로부터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구조로 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a large-capacity refrigerator called a double door type, there is an automatic ice maker and a cold water device, and the door surface of the freezer room is provided with an outlet for ice or cold water. These refrigerators are directly piped to the automatic ice maker provided in the freezing chamber through a switching valve and the water storage tank installed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Here, the ice generated in the automatic ice maker is accumulated in the ice compartment install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and is provided to the user from the dispenser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On the other hand, the water storage tank is fixedly installed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and the water supply pipe drawn out from the water storage tank is piped to the freezing chamber door through a hinge and is provided to the user from the air outlet.

일본 특허 출원 공개2003-329345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3-329345 일본 특허 출원 공개2007-132644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7-132644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르면, 냉동실 도어에 설치되는 취출구로부터 얼음이나 냉수를 취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제빙 기능뿐만 아니라 냉수 기능을 구비한 냉장고에서는 대량의 물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수도로부터 직접 급수하는 구조가 일반적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냉장고에서는 정화된 물을 공급하는 수도 사정이 양호한 지역에서는 유효하지만, 수도 사정이 양호하지 않은 동남아시아나 발전도상국 등에서는 위생면의 과제가 남겨져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ice or cold water can be taken out from a blow-out opening provided in the freezing chamber door. However, since a refrigerator having a cold water function as well as these ice-making functions requires a large amount of water, a structure for directly supplying water from the water is generally used. However, in such a refrigerator, it is effective in an area where the water supply for purifying water is good, but the problem of hygiene is left in Southeast Asia and developing countries where the water supply is not satisfactory.

한편, 위생면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정수 필터를 냉장고에 설치하는 것이 유효하지만, 수도 사정이 열악한 지역에서는 이 정수 필터의 메인터넌스에 과제가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착탈 가능한 급수 탱크를 구비하는 것도 유효한 대책이지만, 제빙뿐만 아니라 냉수까지 공급하려고 하면 4L 정도의 용량이 필요해서 이 대용량의 급수 탱크를 설치하는 구조나, 이 급수 탱크에 급수하는 방법에도 과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effective to install the water filter in the refrigerato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hygiene aspect, but there is a problem in the maintenance of the water filter in an area where the water supply is poor.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it is also effective to provide a detachable water supply tank. However,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water supply tank having a large capacity, There is also a problem with how to water.

따라서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것은 대용량의 급수와 메인터넌스가 양호한 급수 탱크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rigerator having a water supply tank with a large capacity of water supply and good maintenance.

본 발명에 관한 냉장고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전방이 개방된 하우징을 단열재를 구비한 세로 구획벽을 통해서 냉동실과 냉장실로 좌우로 분할하고, 상기 냉동실과 상기 냉장실의 전방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설치한 힌지부를 통해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냉동실 도어와 냉장실 도어가 설치되고, 상기 냉동실 내에는 자동 제빙 장치와, 상기 자동 제빙 장치에서 생성한 얼음을 수납하는 얼음 수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냉장실에는 급수 탱크와 급수 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냉동실 도어의 외측 도어면에는 상기 얼음 수납부로부터의 얼음을 공급하는 얼음 공급부와, 상기 급수 펌프로부터의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 급수부를 그 상부에 구비한 오목 형상의 취출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냉장실은 상기 급수 탱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하부 구획 선반과 상기 급수 펌프의 상부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상부 구획 선반을 상기 냉장실의 중단에 배치하고, 상기 급수 탱크는 가로 폭 치수보다 높이 치수가 크고, 상기 높이 치수보다 깊이 치수가 큰 하우징 형상을 구비하는 동시에 급수부를 구비한 상면 전방부를 상기 상부 구획 선반의 전방부에 노출시켜 상기 하부 구획 선반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설치된 상태로부터 냉장실 외부로 제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housing, which is opened frontward, into left and right portions by a freezing chamber and a refrigerating chamber through a vertical partition wall having a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freezing chamber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is provided with, A freezing compartment door and a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are provided in the freezing compartment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through an installed hinge portion,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includes an automatic ice maker and an ice compartment for storing ice produced by the automatic ice maker, And a water supply pump, wherein an outer side door surface of the freezing chamber door is provided with an ice supply part for supplying ice from the ice storage part, and a cold water supply part for supplying cold water from the water supply pump, And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is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tank And the upper partitioning shelf disposed adjacent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eed pump is disposed at an end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The water supply tank has a larger height dimension than the horizontal width dimension and a larger housing dimension than the height dimension And an upper surface front portion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portion is expos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upper partition shelf to be installed in the lower partition shelf and can be removed from the installed state to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본 발명에 따르면, 구획 선반의 전방부에 급수부가 노출되는 급수 탱크를 냉장실 내의 중단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였기 때문에 냉장실에 세트한 상태에서의 급수나, 급수 탱크를 제거해서의 급수 및 청소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ater supply tank in which the water supply portion is exposed at the front portion of the partition shelf is detachably installed at the stop position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the water supply in the state of being set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and the water supply tank are removed, Can be improved.

도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2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단면도이다.
도3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각 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4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5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외관도이다.
도6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급수 탱크의 외관도이다.
도7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급수 탱크인 외관도이다.
도8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급수 탱크와 탱크 베이스부의 관계의 설명도이다.
도9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급수 탱크 근방과 야채실 종단면도이다.
도10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급수 탱크에의 급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 플로우 도이다.
도1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하부 수납 포켓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외관도이다.
도12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하부 수납 포켓의 외관도이다.
도13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상단 인출 용기의 인출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14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상단 인출 용기와 다른 인출 용기와의 대비도이다.
도15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외관도이다.
도16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개략도이다.
도17은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structural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3 is a front view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a state in which each door is opened.
4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5 is an external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6 is an external view of a water supply tan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7 is an external view of a water supply tan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8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ater supply tank and the tank b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vegetable compartment in the vicinity of a water tan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10 is an operational flow chart for explaining a water supply operation to the water supply tan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11 is an exter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lower storage pock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12 is an external view of the lower storage pock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rawing structure of the upper draw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upper draw-out vesse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another draw-out vessel.
15 is an external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16 is a schematic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17 is a schematic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이하, 도1로부터 도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냉장고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동일한 부위나 방향 등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도1로부터 도14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이고, 도15와 도16이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이며, 도17이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를 도시하고 있다.Hereinafter,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7. Fig.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parts, directions and the like, and redundant description is omitted. Here, Fig. 1 to Fig. 14 show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s. 15 and 16 show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Fig. 17 shows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제1 실시형태)(First Embodiment)

우선, 도1을 참조하여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개략 구조를 설명한다. 도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개략 구조도로서, (a)도가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정면도, (b)도가 (a)도의 A-A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a)도에서는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탱크 베이스 본체부(472)의 내부나 급수 탱크(400)의 내부를 도시하고 있다.First, a schematic structur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Fig. 1 is a schematic structural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1 (a) is a front view in a state in which a door is opened. Fig. 1 (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6A, the interior of the tank base body portion 472 and the interior of the water supply tank 400 are shown for easy understanding.

도1에 있어서, 부호(1)로 총괄적으로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는 양문형으로 불리는 저장 온도가 0°C 이하의 제1 저장실(100)과 저장 온도가 0°C 이상의 제2 저장실(200)을 좌우로 배치한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1,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generally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 includes a first storage room 100 having a storage temperature of 0 ° C or less and a second storage room 200 having a storage temperature of 0 ° C or more, As shown in Fig.

구체적으로는 냉장고(1)는 전방이 개방된 하우징(2)을 단열재로 형성되는 세로 구획벽(3)으로 좌우로 분할하여 한쪽을 상기 제1 저장실(100)로 하고 다른 쪽을 제2 저장실(200)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측의 제1 저장실(100)을 냉동실[이하, 냉동실(100)이라고도 한다]로 하고, 우측의 제2 저장실(200)을 중앙의 발포 단열재를 갖지 않는 가로 구획벽(4)을 통해서 상하로 분할하여 상부를 냉장실(210)로 하고 하부를 야채실(260)로 하고 있다.Specifically, the refrigerator 1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portions by a vertical partition wall 3 formed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so that the front housing 2 is divided into the first storage room 100 and the second storage room 100 20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storage room 100 on the left side is referred to as a freezing compartment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freezing compartment 100) and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200 on the right side is referred to as a lateral partition wall 4 And the upper part serves as a refrigerating room 210 and the lower part serves as a vegetable room 260. [

여기서 야채실(260)은 편의상 야채실로 부르나 야채 전용의 저장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냉장실(210)은 저장실 내가 개방된 저장실 공간인 데 비하여 이 야채실(260)은 보습이 필요한 식품(야채나 과일 등)의 수납을 목적으로 하는 서랍식의 수납 용기를 구비한 저장실 공간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야채 전용의 저장실이 아니라, 냉장실(210)에 수납하는 식품을 수납할 수도 있다.Here, the vegetable room 260 may be referred to as a vegetable room for convenience, but is not limited to a storage room dedicated to vegetables. That is,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210 is a storage compartment where the storage compartment i is opened, whereas the vegetable compartment 260 is a storage compartment having a drawer type storage compartment for storing foods (vegetables, fruit, etc.) The food stored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210 can be stored not in the storage room dedicated for vegetables as described above.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저장실(200)을 가로 구획벽(4)에 의해 상하로 분할하고, 이 가로 구획벽(4)에 착탈 가능한 급수 탱크(400)를 구비한 3도어 냉장고로 설명한다. 그러나, 나중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가로 구획벽(4)을 통상의 구획 선반으로 하는 2도어 냉장고에 있어서도 급수 탱크(40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 급수 탱크(400)의 배치 구조는 제1 저장실(100)을 다시 상하로 분할한 4도어 냉장고에서도 적용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이후의 2도어 냉장고의 설명에서는 제2 저장실(200)을 냉장실(200)이라고 부른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three-door refrigerator is described in which the second storage chamber 200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by a lateral partition wall 4, and a water supply tank 40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lateral partition wall 4 . However,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water supply tank 400 can be provided also in the two-door refrigerator having the lateral partition wall 4 as a normal partitioning shelf. Also,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water supply tank 400 can be applied to a four-door refrigerator in which the first storage room 100 is again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Therefor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two-door refrigerator, the second storage room 200 is referred to as a refrigerating room 200.

하우징(2)은 도시하지 않은 강판제의 외장체와, 수지 재료로 형성되는 내장재와의 사이에 단열재를 충전한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는 제1 저장실(100)과 제2 저장실(200)의 온도가 크게 다르다. 한편, 제2 저장실(200)을 구성하는 냉장실(210)과 야채실(260)은 거의 같은 온도로 설정된다.The housing 2 has a structure in which a heat insulating material is filled between an outer case made of a steel plate (not shown) and an inner material made of a resin material.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temperatures of the first storage chamber 100 and the second storage chamber 200 are greatly different. Meanwhile,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210 and the vegetable compartment 260 constituting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200 are set at substantially the same temperature.

상기 3개의 저장실은 각각 그 전방면을 냉동실 도어(50)와 냉장실 도어(60)와 야채실 도어(70)에 의해 덮여짐으로써 밀폐된 저장실을 구성한다. 각 도어는 하우징(2)과 동일한 단열재를 구비한 구조를 구비하고, 하우징(2)의 양측에 설치한 힌지부(5)을 통해서 양측으로 개방되도록 설치됨으로써 각 저장실에 식품을 출납할 수 있다.Each of the three storage rooms is covered with a freezing chamber door 50, a refrigerator chamber door 60 and a vegetable chamber door 70 to form a sealed storage chamber. Each door has a structure having the same heat insulating material as that of the housing 2 and is installed so as to open to both sides through hinge parts 5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2,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자동 제빙 장치(300)를 냉동실(100)의 최상부에 설치하고, 이 자동 제빙 장치(300)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 수납부(320)를 냉동실 도어(50)의 내벽면에 설치하고 있다. 얼음 수납부(320)는 상부가 개방되어 형성되고, 냉동실 도어(50)를 닫은 상태에서 자동 제빙 장치(300)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하우징(2)의 전단부보다 냉동실(100) 내로 돌출되어서 형성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자동 제빙 장치(300)에서 생성된 얼음은 생성되면 자동적으로 아래쪽으로 낙하해서 얼음 수납부(320)에 저장된다.In this embodiment, the automatic ice maker 300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freezer compartment 100, and the ice compartment 320 for storing the ice generated by the automatic ice maker 300 is connected to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It is installed on the inside wall. The ice storage part 320 is formed so as to be open at the top and protrudes into the freezing compartment 100 from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2 so as to be positioned below the automatic ice maker 300 in a state where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50 is closed .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ice produced in the automatic ice maker 300 is generated, it automatically drops downward and is stored in the ice storage unit 320.

한편, 얼음 수납부(320)의 하방 위치가 되는 냉동실 도어(50)의 전방면부에는 도어면(9)에 오목 형상으로 쑥 들어가게 하여 형성되는 취출구(350)가 형성된다. 이 취출구(350)와 얼음 수납부(320)는 얼음 분쇄 기구부(370)를 구비한 반송로(380)에 의해 연통된다. 이 얼음 분쇄 기구부(370)는 생성된 얼음을 그대로, 혹은 분쇄해서 취출구(350)의 상면에 형성한 얼음 공급부(381)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ront surface portion of the freezing chamber door 50, which is positioned below the ice storage portion 320, is formed with a dispensing opening 350 formed by recessing the door surface 9 in a concave shape. The outlet 350 and the ice storage part 320 are communicated by a conveying path 380 provided with an ice crushing mechanism part 370. The ice crushing mechanism unit 370 can directly or crush the generated ice and can be taken out from the ice supply unit 381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blow-out port 350.

또한, 취출구(350)의 상면에는 냉수를 공급할 수 있는 냉수 공급부(39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취출구(350)에서 얼음과 분쇄 얼음과 냉수를 선택해서 취출할 수 있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outlet 350, a cold water supply unit 390 capable of supplying cold water is provided. Therefore, the user can select and take out ice, crushed ice and cold water from the outlet 350.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1)의 큰 특징의 하나는 상기 자동 제빙 장치(300)와 냉수 공급부(390)에 공급하는 냉수를 제2 저장실(200)에 설치한 급수 탱크(400)로부터 공급하는 점에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저장실(200)인 냉장실(210) 내에 탱크 베이스부(470)를 설치하고, 이 탱크 베이스부(470)에 급수 탱크(400)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One of the great features of the refrigera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at the cold water to be supplied to the automatic ice maker 300 and the cold water supply unit 390 is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tank 400 provided in the second storage room 200 It is in supply point.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ank base unit 470 is installed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210, which is the second storage chamber 200, and the water tank 400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tank base unit 470 .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수도를 자동 제빙 장치에 직결해서 급수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냉수 장치에 있어서도 수도물을 냉각하기 위해서 일시적으로 저장 탱크에 저장하고 있다. 이 저장 탱크는 냉장고 내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되어 있다.In the prior art, water is generally supplied directly to an automatic ice maker. Also in the cold water system, the tap water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storage tank to cool the tap water. This storage tank is generally fixedly installed in a refrigerator.

본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1)는 수도와 직결되어 있던 저수 탱크를 떼어내고, 독립한 급수 탱크(400)를 구비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 급수 탱크(400)를 제2 저장실(2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급수 탱크(400)로부터 자동 제빙 장치(300)와 냉수 공급부(390)에 냉수를 공급하는 구조로 하고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빙 기능과 냉수 기능을 함께 실현하기 위해서는 대용량의 급수 탱크(400)가 필요한 점을 고려하여 제2 저장실(200)의 상하의 중단 위치가 되는 냉장실(210)의 최하부에 설치함으로써 급수탱크(400)의 착탈이나, 혹은 급수 탱크(400)에 냉수를 직접 보급할 때에 이용자에게 무리한 자세를 강요하는 것을 경감하고 있다.The refrigera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dopts a structure in which the water storage tank directly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is removed and an independent water supply tank 400 is provided. The water supply tank 400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second storage chamber 200 and the cold water is supplied to the automatic ice maker 300 and the cold water supply unit 390 from the water supply tank 400 . Particularly, in order to realize the ice-making function and the cold water func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ter storage tank 400 is provided at the lowermost part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210, which serves as the upper and lower stop positions of the second storage chamber 200 It is alleviated that forceful posture is imposed on the user when attaching / detaching the water supply tank 400 or directly supplying cold water to the water supply tank 400.

또한, 탱크 베이스부(470)는 냉장실(210) 내의 저면의 세로 구획벽(4) 측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 탱크(400)를 적재하는 베이스판(471)과 이 베이스판(471)의 후방에 형성되는 탱크 베이스 본체부(472)로 구성된다. 탱크 베이스 본체부(472)는 제빙 장치용 펌프(473)와 냉수용 펌프(474)로 이루어지는 급수 펌프(478)를 내장하고 있다.The tank base portion 470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vertical partition wall 4 in the bottom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210 and has a base plate 471 for loading the water supply tank 400, And a tank base body portion 472 formed thereon. The tank base body portion 472 incorporates a water supply pump 478 comprising a pump 473 for ice maker and a pump 474 for cold water.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빙 장치용 펌프(473)와 냉수용 펌프(474)를 급수 탱크(400)와 같은 높이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또한, 제빙 장치용 펌프(473)는 냉수용 펌프(474)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빙 장치용 펌프(473)는 급수 탱크(400)의 상부의 높이 위치에 배치되고, 냉수용 펌프(474)는 급수 탱크(400)의 하부의 높이 위치에 배치된다.In this embodiment, the ice maker pump 473 and the cold water pump 474 are disposed at the same height as the water supply tank 400. The ice maker pump 473 is dispos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cold water pump 474. The ice maker pump 473 is disposed at a height position above the water supply tank 400 and the cold water pump 474 is disposed at a height position below the water supply tank 400.

상기 제빙 장치용 펌프(473)는 제빙용 급수 파이프(6)가 인출되고, 이 제빙용 급수 파이프(6)는 세로 구획벽(3)을 따라서 상승하여 냉동실(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자동 제빙 장치(300)에 접속된다. 여기서 제빙용 급수 파이프(6)는 내부를 통과하는 냉수가 빙결되지 않도록, 세로 구획벽(3)의 내부에 매립되거나, 혹은 세로 구획벽(3)의 냉장실(210)측을 따라서 배관된다.The ice making water supply pipe 6 is lifted up along the vertical partition wall 3 and the ice making water supply pipe 6 is lifted up by the automatic ice maker And is connected to the device 300. Here, the ice-making water supply pipe 6 is embedded in the vertical partition wall 3 or piped along the refrigerating chamber 210 side of the vertical partition wall 3 so that the cold water passing through the inside thereof does not freeze.

한편, 냉수용 펌프(474)는 냉수용 급수 파이프(7)가 인출되고, 이 냉수용 급수 파이프(7)는 세로 구획벽(3)을 따라 하강되어 냉동실(100)의 하부의 하우징(2)의 저면부의 단열재 내를 통과하고, 힌지부(5)를 통과하여 냉동실 도어(50)의 단열재를 거쳐서 취출구(350)의 냉수 공급부(390)로 배관된다. 여기서 냉수용 펌프(474)도 또한 내부를 통과하는 냉수가 빙결되지 않도록 세로 구획벽(3)의 내부에 매립되거나, 혹은 세로 구획벽(3)의 냉장실(210)측을 따라 배관되고, 또한 하우징(2) 또는 냉동실 도어(50)에서는 단열재 내를 통과하도록 배관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ld water pump 474 draws the cold water supply pipe 7, and the cold water supply pipe 7 is lowered along the vertical partition wall 3 to be connected to the lower housing 2 of the freezing chamber 100, Passes through the hinge portion 5 and is piped to the cold water supply portion 390 of the blow-out port 350 through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of the freezing chamber door 50. [ The cold water pump 474 is also embedded in the vertical partition wall 3 or piped along the refrigerating chamber 210 side of the vertical partition wall 3 so that the cold water passing through the inside does not freeze, (2) or the freezing chamber door (50) so as to pass through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빙 장치용 펌프(473)와 냉수용 펌프(474)를 세로 구획벽(3)에 인접해서 설치하고 있으므로, 제빙용 급수 파이프(6)와 냉수용 급수 파이프(7)의 배관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Thus,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ice maker pump 473 and the cold water pump 474 are provided adjacent to the vertical partition wall 3, the ice-making water supply pipe 6, the cold water supply pipe 7,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length of the pipe.

그런데, 제빙용 급수 파이프(6)는 자동 제빙 장치(300)에 급수할 때에만 제빙용 급수 펌프(473)에 의해 도수하고, 그 이외의 통상의 상태에서는 물이 빠진 상태로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빙용 급수 파이프(6) 내가 동결되어 도수가 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자동 제빙 장치(300)에의 급수가 완료되면, 제빙 장치용 펌프(473)의 밸브를 개방한다. 그러면, 제빙용 급수 파이프(6) 내의 물은 중력에 의해 급수 탱크(400)로 복귀되게 된다. 또한, 제빙 장치용 펌프(473)는 급수 탱크(400)의 상부의 높이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통상시에 제빙용 급수 파이프(6) 내에 잔류될 수 있는 물을 될 수 있는 한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제빙용 급수 파이프(6) 내의 물을 급수 탱크(400)로 복귀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제빙 장치용 펌프(473)를 사용해서 제빙용 급수 파이프(6) 내의 물을 끌어 들이는 것이라도 좋다.However, the ice-making water supply pipe 6 is made water by the ice-making water supply pump 473 only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automatic ice maker 300, and water is left in a normal state other than that. By doing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reezing of the ice making water supply pipe 6 from becoming impossible. Specifically, when water supply to the automatic ice maker 300 is completed, the valve of the ice maker pump 473 is opened. Then, the water in the ice-making water supply pipe 6 is returned to the water supply tank 400 by gravity. Since the ice maker pump 473 is disposed at a height position above the water supply tank 400, water that can remain in the ice-making water supply pipe 6 can be reduced as much as possible. As a method for returning the water in the ice-making water supply pipe 6 to the water supply tank 400, water may be drawn into the ice-making water supply pipe 6 by using the ice maker pump 473.

한편, 냉수용 급수 파이프(7)는 냉수 공급부(390)에 급수할 때를 포함하여, 항상, 물이 충전된 상태로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이용자의 요구가 있으면 바로 냉수를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ld water supply pipe 7 always contains water when it is supplied with water to the cold water supply unit 390. By doing so, cold water can be provided immediately upon request of the user.

여기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빙용 급수 파이프(6)와 냉수용 급수 파이프(7)를 하우징(2) 내에서 배관하는 구조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빙 장치용 펌프(473)와 자동 제빙 장치(300) 근방의 하우징(2)의 배면벽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이 관통 구멍을 통하여 제빙용 급수 파이프(6)를 일단 하우징(2)의 외부로 인출하여 배면벽을 따라 배관하고, 다시 관통 구멍을 통해서 하우징(2)의 내부로에 복귀시킴으로써 제빙 장치용 펌프(473)와 자동 제빙 장치(300)를 접속하는 구조로 해도 좋다. 또한, 냉수용 급수 파이프(7)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냉수용 펌프(474) 근방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이 관통 구멍을 통하여 냉수용 급수 파이프(7)를 일단 하우징(2)의 외부로 인출하고, 배면벽을 따라 배관하여 힌지(5)로부터 냉동실 도어(50) 내로 배관함으로써 냉수용 펌프(474)와 냉수 공급부(390)를 접속하도록 해도 좋다. 이 구조에 따르면, 제빙용 급수 파이프(6)와 냉수용 급수 파이프(7)의 빙결을 경감할 수 있는 동시에 제빙용 급수파이프(6)와 냉수용 급수 파이프(7)의 메인터넌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tructure is described in which the ice-making water supply pipe 6 and the cold water supply water pipe 7 are piped in the housing 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rear wall of the housing 2 near the ice maker pump 473 and the automatic ice maker 300, and the ice-making water feed pipe 6 is connected to the housing The pump for the ice maker 473 and the automatic ice maker 3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being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2 and then returning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2 through the through hole again . Similarly, in the case of the cold water supply pipe 7,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cold water pump 474, and the cold water supply pipe 7 is once drawn out of the housing 2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the cold water pump 474 and the cold water supply unit 390 may be connected by piping along the back wall and piping from the hinge 5 into the freezing chamber door 50. [ According to this structure, freezing of the ice-making water supply pipe 6 and the cold water supply pipe 7 can be reduced, and at the same time, the maintenance of the ice-making water supply pipe 6 and the cold water supply pipe 7 can be improved .

또한, 이 탱크 베이스부(470)는 냉장실(210)의 최하부의 제1 구획 선반(211)과 냉장실(210)의 저면과의 사이에 설치되고, 이 탱크 베이스부(47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급수 탱크(400)는 가로 폭 치수보다 높이 치수가 크고, 이 높이 치수보다 깊이 치수가 긴 깊이가 있는 각기둥 형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냉장실(210)의 저면과 제1 구획 선반(211)과의 사이의 저장 공간은 세로 구획벽(3)측이 급수 탱크(400)의 수납 공간으로 되어 있고, 다른 쪽의 한 쪽은 개방된 통상의 저장 공간으로 되어 있다.The tank base portion 47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partitioning shelf 211 at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21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210 and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tank base portion 470 The water supply tank 400 is formed in a prismatic shape having a height larger than the widthwise dimension and a depth larger than the height dimension. Therefore, the storage spa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210 and the first compartment shelf 211 is the storage space of the water supply tank 400 on the side of the vertical partition wall 3, It is a normal storage space.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1)의 큰 특징의 다른 하나는 급수 탱크(400)는 제1 구획 선반(211)의 선단부(P1)와 하우징(2)의 선단부(P2)의 사이에 노출되는 돌출부(401)를 구비해서 형성되고, 이 돌출부(401)에 개폐 덮개(402)를 구비한 급수부(403)를 구비한 점에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급수 탱크(400)는 내부 용적을 4L 정도 구비한 대용량으로 하고 있다. 이 급수 탱크(400)는 제거하여, 수도 꼭지까지 가져가서 급수할 수도 있다. 또한 냉장고(1)에 설치한 상태에서도 패트병 등으로부터 급수할 수 있다. 이 직접 급수를 실현하기 위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수 탱크(4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구획 선반(211)의 선단부(P1)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401)를 형성하고, 이 돌출부(401)에 개폐 덮개(402)를 구비한 급수부(403)를 구비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이용자는 냉장실(210)의 최전방부의 하방의 위치에 배치되는 급수부(403)에 패트병 등의 보틀류로부터 편한 자세로 급수할 수 있다.Another feature of the refrigera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at the water supply tank 400 is exposed between the front end portion P1 of the first partitioning shelf 211 and the front end portion P2 of the housing 2 And a water supply unit 403 having an opening and closing lid 402 provided on the protruding unit 401. The water supply unit 403 includes an opening / That is, the water supply tank 40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large capacity including an internal volume of about 4L. The water supply tank 400 may be removed and water may be taken to the faucet. Further, water can be supplied from plastic bottles or the like even in the state of being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1). In order to realize this direct feed, a protruding portion 401 protruding forward from the front end portion P1 of the first partitioning shelf 211 located above the water supply tank 400 is formed in this embodiment, and the protruding portion 401 And a water supply unit 403 provided with an opening / closing lid 402. [ Thus, the user can supply water to the water supply unit 403 disposed at a position below the forefront portion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210 in a comfortable posture such as a bottle.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1)의 큰 특징의 다른 하나는 급수 탱크(400)의 돌출부(401)는 깊이가 있는 상자형의 탱크 본체(404)의 전방면 상부에 전방으로 돌출시켜서 형성하고, 또한 이 돌출부(401)의 하방이 되는 탱크 본체(404)의 전방면 하부를 후방으로 쑥 들어가게 하여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돌출부(401)의 하면 내벽면을 후방을 향해서 아래쪽으로 경사지는 하부 경사면(405)으로 하고 있다. 이 형상에 따르면, 돌출부(401)의 상부의 급수부(403)로부터 급수된 물은 이 하부 경사면(405)에 접촉하여 탱크 본체(404)의 내측으로 튀어 오르므로, 급수부(403)로부터 급수하는 물이 이용자에게 튀는 것을 경감할 수 있다.Another major feature of the refrigera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at the protruding portion 401 of the water supply tank 400 is formed by projecting forward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a box-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tank main body 404, which is below the projecting portion 401, is wedged backward. The lower inner wall surface of the projecting portion 401 is a lower inclined surface 405 which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ear.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ortion 403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40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inclined surface 405 and protrudes to the inside of the tank main body 404, Can reduce water splashing to the user.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큰 특징의 다른 하나는 급수 탱크(400)의 돌출부(401)의 하방의 오목부(406)에 이 급수 탱크(400)를 유지하기 위한 핸들부(407)를 설치한 점에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수 탱크(400)의 전방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401)의 하방 위치를 이용하여 핸들부(407)를 형성하고 있다. 이 핸들부(407)는 돌출부(401)의 투영 면적 내에 수납되는 크기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급수부(403)와 핸들부(407)를 급수 탱크(400)의 최전방부에 위치시켜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nother important feature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at a handle portion 407 for holding the water supply tank 400 is attached to the concave portion 406 below the projecting portion 401 of the water supply tank 400 It is in point of installation.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andle portion 407 is formed using the downward position of the protruding portion 401 protruding from the front portion of the water supply tank 400. The handle 407 and the handle 407 are located at the forefront portion of the water supply tank 400 to improve the usability of the water supply tank 403 .

또한, 상기 핸들부(407)는 세로로 긴 막대 형상의 파지 핸들로 하고 게다가 일단부를 상기 돌출부(401)의 하부에 접속하고 있으므로, 핸들부(407)의 강도를 향상시키면서 이용자의 유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andle portion 407 is a long bar-shaped grip handle and one en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rojecting portion 401, the strength of the handle portion 407 can be improved and the retention of the user can be improved .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큰 특징의 다른 하나는 급수 탱크(400)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냉장실 도어(60)의 내벽면에 하부 수납 포켓(220)을 설치하고, 이 하부 수납 포켓(220)에 돌출부(401)의 전방으로의 돌출량을 흡수하는 절결부(221)를 형성한 점에 있다. 이에 의해, 급수 탱크(400)와 하부 수납 포켓(220)의 사용 편의성을 확보하고 있다.Another important feature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at the lower storage pocket 220 is provid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efrigerator chamber door 60 locat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water supply tank 400, 220 is formed with a cutout portion 221 for absorbing a projecting amount of the projecting portion 401 forward. As a result, the ease of use of the water supply tank 400 and the lower storage pocket 220 is ensured.

이하, 도2 내지 도14를 참조하여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14. Fig.

우선, 도2, 도3을 참조하여 양문형으로 불리는 냉장고(1)의 기본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2는 냉장고의 단면도이며, (a)도가 제1 저장실의 종단면도, (b)도가 제2 저장실의 종단면도, (c)도가 송풍 팬 근방의 횡단면도이다. 도3은 각 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정면도이다.First, the basic structure of the refrigerator 1, which is called a double door typ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Fig. 2 (a)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first storage chamber, (b)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second storage chamber, and FIG. 2 (c) is a transverse sectional view in the vicinity of the blower fan. 3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each door is opened.

도2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1)에서는 하우징(2)의 이면측 하부에 오목 형상의 기계실(12)을 형성하고, 이 기계실(12)에 압축기(1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2)의 내측을 세로 구획벽(3)에 의해 좌우로 분할하고, 좌측을 냉동 온도대의 제1 저장실(100)로 하고 우측을 냉장 온도대의 제2 저장실(200)로 설정하고 있다. 이로 인해, (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저장실인 냉동실(100)의 이면측에 냉기 발생원인 열교환기(13)와 이 열교환기(13)에서 생성된 냉기를 저장실 내로 순환시키는 송풍 팬(14)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열이 발생하는 압축기(11)는 제2 저장실(200)의 후방의 기계실(12) 내에 배치되어 있다.2, in the refrigera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recessed mechanical chamber 12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back side of the housing 2, and the mechanical chamber 12 is provided with a compressor 11. The inner side of the housing 2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portions by the vertical partition wall 3 and the left side is set as the first storage room 100 of the refrigeration temperature range and the right side is set as the second storage room 200 of the refrigeration temperature range . As a result, as shown in Fig. 6A, a blower for circulating cold air generated by the heat exchanger 13 and a cold air generating heat exchanger 13 on the back side of the freezer compartment 100, which is the first storage room, And a fan 14 is provided. Further, the compressor 11 in which heat is generated is disposed in the machine room 12 at the rear of the second storage room 200.

(a)도, (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계실(12)은 제1 저장실(100) 및 제2 저장실(200)의 하부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a)도에 도시하는 냉동실(1OO)에서는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5)에 맞추어, 그 상방에 열교환기(13)를 구비한 냉각실(16)이 형성된다. 이 냉각실(16)은 냉장실(100)과 단열재를 구비하지 않는 이면벽(102)에 의해 구획되어, 열교환기(13) 외에 제상 히터(17)가 배치된다. 또한, 이 냉각실(16)에는 냉동실(100)의 냉기를 냉각실(16)로 도입하기 위한 냉기 복귀구(19)가 형성된다.the machine room 12 is formed so as to protrude to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first storage room 100 and the second storage room 200 as shown in FIGS. In the freezing chamber 100 shown in Fig. 6A, a cooling chamber 16 having a heat exchanger 13 is formed above the projecting portion 15 protruding inward. The cooling chamber 16 is partitioned by the refrigerating chamber 100 and the back wall 102 without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the defrost heater 17 is disposed in addition to the heat exchanger 13. The cooling chamber 16 is provided with a cool air return port 19 for introducing the cool air of the freezing chamber 100 into the cooling chamber 16.

냉동실(100)의 이면의 상방에는 송풍 팬(14)이 배치되고, 이 송풍 팬(14)과 냉각실(16)은 냉동실 이면 통로(18)에 의해 연통된다. 그리고, 송풍 팬(14)을 구동시키면, 냉각실(16)에서 생성된 냉기가 냉동실 이면 통로(18)를 통해서 송풍 팬(14)으로 끌어들여져 송풍 팬의 전방부를 덮는 이면벽(102)에 형성한 상부 냉기 분출구(103)로부터 냉동실(100) 내로 공급된다. 또한, 도3에 있어서, 냉동실(100)의 이면에는 냉동실 이면 통로(18)와 나란히 냉동실 분출 통로(10)가 형성된다. 이 냉동실 분출 통로(10)는 송풍 팬(14)의 냉기를 하방으로 유도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냉동실 분출 통로(10)에는 냉동실(100)을 상하로 구획하는 복수의 구획 선반(101)에 맞추어, 복수의 중간 냉기 분출구(104)가 형성되고, 이 중간 냉기 분출구(104)로부터도 냉기가 냉동실(100) 내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부 냉기 분출구(103) 및 복수의 중간 냉기 분출구(104)로부터 공급된 냉기는 냉동실(100) 내를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흘러, 냉기 복귀구(19)로부터 냉각실(16) 내로 도입된다.A blowing fan 14 is disposed above the back surface of the freezing chamber 100. The blowing fan 14 and the cooling chamber 16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the passage 18 in the freezing chamber. When the blowing fan 14 is driven, the cool air generated in the cooling chamber 16 is drawn into the blowing fan 14 through the passage 18 and formed in the back wall 102 covering the front portion of the blowing fan Is supplied into the freezing chamber (100) from the upper chiller outlet (103). 3, the freezing compartment outlet passage 10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freezing compartment 100 in parallel with the passage 18 on the rear side of the freezing compartment. This freezer compartment outlet passage 10 guides cool air of the blowing fan 14 downward. A plurality of intermediate cool air ejection openings 104 are formed in the freezing compartment ejection passages 10 so as to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partition shelves 101 for partitioning the freezing room 100 up and down. Cooling air is supplied into the freezing chamber 100. The cold air supplied from the upper air cooling air blowing out port 103 and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air blowing outlets 104 flows downward from the upper side in the freezing chamber 100 and is introduced into the cooling chamber 16 from the cold air return port 19 .

한편, 도2의 (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실(210)의 냉기는 이 냉장실(210)의 상부에 설치한 댐퍼(20)로부터 공급된다. 이 댐퍼(20)는 세로 구획벽(3)을 관통하는 연락풍로(21)를 통해서 송풍 팬(14)과 연통된다. 따라서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 제어에 의해, 댐퍼(20)를 개방하면 송풍 팬(14)로부터 냉기가 공급되어, 이 냉기가 댐퍼(20) 전방부를 덮는 이면벽(201)에 설치한 상부 냉기 분출구(213)로부터 냉장실(210) 내로 공급된다.2 (b), the cold air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210 is supplied from the damper 20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210. [ The damper 20 communicates with the blowing fan 14 through the communication air passage 21 passing through the vertical partition wall 3. Therefore, when the damper 20 is opened by the control device (not shown), cool air is supplied from the blowing fan 14, and the cool air is guided to the upper cool air discharge port 213 into the refrigerating chamber 210.

또한, 댐퍼(20)에는 냉장실(210)의 이면측에 형성되는 냉장실 이면 통로(21)가 연통된다. 냉장실 이면 통로(21)에는 냉장실(210)을 상하로 구획하는 구획 선반(212)에 맞춰서 복수의 중간 냉기 분출구(214)가 형성되고, 댐퍼(20)를 개방함으로써 이 중간 냉기 분출구(214)로부터도 냉기가 냉장실(210) 내에 공급된다. 또한, 상기 제1 구획 선반(211)은 냉장실(210)을 상하로 구획하는 복수의 구획 선반(212)의 최하부의 구획 선반이다.Further, the damper 20 is connected to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rear passageway 21 formed on the back sid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210. A plurality of intermediate cool air ejection openings 214 are formed in the passage 21 in correspondence with the partition shelf 212 partitioning the refrigerating chamber 210 in the passageway 21 and the damper 20 is opened, The cold air is supplied into the refrigerating chamber 210. The first compartment shelf 211 is a lowermost compartment shelf of the plurality of compartment shelves 212 for vertically dividing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210.

또한, 냉장실(210)에 공급된 냉기는 냉장실(210)을 상방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흘러서 냉장실(210)의 저면을 구성하는 가로 구획벽(4)에 도입된다. 가로 구획벽(4)은 단열재를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그 내부에 복귀 통로(22)의 일부가 형성된다. 복귀 통로(22)는 가로 구획벽(4)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평 복귀 통로(22a)와 야채실(260)의 이면측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 복귀 통로(22b)와 세로 구획벽(3)을 관통하여 냉각실(16)로 냉기를 복귀시키기 위한 횡단 복귀 통로(22c)로 구성된다.The cold air supplied to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210 flows downward from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210 and is introduced into the transverse compartment wall 4 constitu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210. Since the transverse partition wall 4 is not provid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a part of the return passage 22 is formed therein. The return passage 22 includes a horizontal return passage 22a formed in the lateral partition wall 4 and a vertical return passage 22b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back side of the vegetable chamber 260 and a vertical partition wall 3, And a transverse return passage 22c for returning the cool air to the cooling chamber 16 through the passage 22c.

냉장실(210)의 냉기는 가로 구획벽(4)의 상면 전방부에 형성한 냉기 복귀구(23)로부터 수평 복귀 통로(22a)로 도입되어 화살표를 따라서 수평 복귀 통로(22a)로부터 수직 복귀 통로(22b)를 거쳐 수직 복귀 통로(22b)의 하단부와 냉각실(16)을 연결하는 횡단 복귀 통로(22c)를 통해서 냉각실(16)로 복귀된다.The cold air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210 is introduced into the horizontal return passage 22a from the cold air return port 23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upper side of the lateral partition wall 4 and flows from the horizontal return passage 22a to the vertical return passage 22a 22b to the cooling chamber 16 through the transverse return passage 22c connecting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return passage 22b and the cooling chamber 16. [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야채실(260)의 냉각은 수평 복귀 통로(22a)와 수직 복귀 통로(22b)의 복사 냉각에 의해 기본적으로 행하여지지만, 수평 복귀 통로(22a)와 수직 복귀 통로(22b)를 지나는 냉기의 일부가 야채실(260)로 공급되어, 이 공급된 냉기로도 행하여진다.In this embodiment, the cooling of the vegetable compartment 260 is basically performed by radiating cooling of the horizontal return passage 22a and the vertical return passage 22b. However, the cooling of the vegetable chamber 260 is performed by passing through the horizontal return passage 22a and the vertical return passage 22b A part of the cool air is supplied to the vegetables room 260, and the cool air is also supplied.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야채실(260)에 냉기를 넣지 않고 주위로부터 냉각하는 복사 냉각 방식을 채용하고 있지만, 냉장실(210)의 냉기를 냉기 복귀구(23)로부터 야채실(260)로 보내서 야채실(260) 내를 냉각하고, 횡단 복귀 통로(22c)로부터 냉각실(16)로 복귀되는 구조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야채실(260)에는 보습을 유지할 수 있는 복수의 인출 용기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야채나 과일등의 식품에 적합한 수납 공간으로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adiating cooling method in which the cooler is not inserted into the vegetable room 260 but cooled from the periphery is employed. However, the cool air in the cold storage room 210 is sent from the cold return port 23 to the vegetable room 260, And return to the cooling chamber 16 from the transverse return passage 22c. In this case, the vegetable compartment 26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raw-out containers capable of maintaining moisturization, and thus can be used as a storage space suitable for foods such as vegetables and fruits.

또한, 도2의 (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자동 제빙 장치(300)를 냉동실(100)의 천정면에 설치하고 있다. 자동 제빙 장치(300)는 얼음을 생성하면 아래쪽으로 낙하시킨다. 이 낙하하는 얼음을 받는 얼음 수납부(320)는 냉동실 도어(50)의 내벽면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2 (a), the automatic ice maker 300 is provided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freezing chamber 100 in this embodiment. When the automatic ice maker 300 generates ice, it falls downward. The ice receiving part 320 receiving the falling ice is formed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reezing chamber door 50.

취출구(350)는 얼음이나 냉수를 받는 컵 등의 용기를 놓을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구비해서 냉동실 도어(50)의 전방면에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다. 취출구(350)의 천정면과 얼음 수납부(320)는 얼음 분쇄 기구부(370)를 구비한 반송로(380)에 의해 연통된다. 또한, 취출구(350)에는 냉수 공급부(390)도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취출구(350)의 상부 위치에는 조작 패널(90)이 설치되어 있어 이용자가 이 조작 패널(90)을 조작하면,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가 얼음 분쇄 기구부(370)나 2개의 펌프(473, 474)를 동작시켜서 조작 지시에 따른 냉수 또는 얼음 또는 분쇄 얼음을 제공한다.The outlet 350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eezing chamber door 50 with sufficient space for placing a container such as a cup for receiving ice or cold water. The ceiling surface of the air outlet 350 and the ice storage part 320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by a conveying path 380 provided with an ice crushing mechanism part 370. The blow-out port 350 is also provided with a cold water supply unit 390. When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panel 90, a control device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ice crushing mechanism 370 and the two pumps 473, 474) to provide cold water or ice or crushed i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structions.

도3 및 도2에 있어서, 냉동실(100)은 하우징(2) 내의 하우징 수납 공간(105)과 도어 내벽면에 형성되는 도어 수납 공간(106)으로 구성된다. 냉동실(100)의 하우징 수납 공간(105)은 복수의 구획 선반(101)으로 상하로 구획된 상부의 개방 공간(107)과 상하로 배열되는 복수의 인출 용기(108)로 이루어지는 하부의 인출 공간(109)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방 공간(107)의 상부에 자동 제빙 장치(30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어 수납 공간(106)은 상부가 얼음 수납부(320)와 취출구(350)를 수납한 돌출부(109)가 형성되고, 하부는 복수의 수납 포켓(110)이 상하로 늘어서서 배치된다.3 and 2, the freezing chamber 100 is constituted by a housing accommodating space 105 in the housing 2 and a door accommodating space 106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door. The housing accommodating space 105 of the freezing compartment 100 includes an upper open space 107 defined by a plurality of partition shelves 101 and a lower draw opening space 107 formed by a plurality of draw- 109). In this embodiment, an automatic ice maker 300 is provid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open space 107. [ The door storage space 106 is formed with a protrusion 109 in which the ice storage portion 320 and the outlet 350 are housed in the upper portion and a plurality of storage pockets 110 are arranged vertically in the lower portion.

또한, 냉장실(210)은 하우징(2) 내의 하우징 수납 공간(215)과 도어 내벽면에 형성되는 도어 수납 공간(216)으로 구성된다. 하우징 수납 공간(215)은 복수의 구획 선반(212)으로 상하로 구획된 개방 공간이다. 이 하우징 수납 공간(215)의 최상부에는 댐퍼(20)를 내장한 댐퍼 커버(217)가 설치되고, 이 댐퍼 커버(217)의 하면에는 조명 장치(218)가 설치되어 있다.The refrigerating chamber 210 includes a housing accommodating space 215 in the housing 2 and a door accommodating space 216 formed i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door. The housing accommodating space 215 is an open space partitioned by the plurality of partition shelves 212 up and down. A damper cover 217 incorporating a damper 20 is provided at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housing accommodating space 215. An illumination device 218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amper cover 217. [

또한, 하우징 수납 공간(215)의 최하부의 한 쪽에는 급수 탱크(400)가 배치된다. 또한, 냉장실(210)의 이면벽(201)에는 냉장실 이면 통로(21)의 전방면을 구성하는 복사판(222)이 설치되고, 이 복사판(222)을 통해서 냉장실(210)을 복사 냉각하는 동시에 이 복사판(222)의 양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중간 냉기 분출구(214)를 통해서 냉기가 분출된다.Further, a water supply tank 400 is disposed at the lowermost one of the housing accommodating spaces 215. The rear wall 201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210 is provided with a radiation plate 222 constituting the front 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rear passageway 21 and radiating and cooling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210 through the radiation plate 222, The cool air is blown out through a plurality of intermediate cool air outlets 214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adiation plate 222.

도어 수납 공간(216)은 깊이 치수가 적은 복수의 수납 포켓(219)과 깊이 치수가 수납 포켓(219)의 깊이 치수보다 큰 대형의 하부 수납 포켓(220)을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The door storage space 216 has a plurality of storage pockets 219 having a small depth dimension and a large size lower storage pocket 220 having a depth dimension larger than the depth dimension of the storage pockets 219.

또한, 야채실(260)은 하우징(2) 내의 하우징 수납 공간(261)과 도어 내벽면에 형성되는 도어 수납 공간(262)으로 구성된다. 하우징 수납 공간(261)은 복수의 인출 용기(263)가 상하로 배치되는 인출 공간이다. 하우징 수납 공간(261)의 최상부에 배치되는 상단 인출 용기(264) 이외의 하단 인출 용기(267)는 상방만이 개방된 용기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상단 인출 용기(264)는 인출 동작에 수반하여 개폐되는 개폐 덮개(265)를 구비하고 있다.The vegetable compartment 260 is constituted by a housing accommodation space 261 in the housing 2 and a door storage space 262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door. The housing accommodation space 261 is a draw-out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draw-out containers 263 are arranged vertically. The lower draw-out container 267 other than the upper draw-out container 264 disposed at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housing accommodating space 261 has a container shape in which only the upper portion is opened. However, the upper draw- And an opening / closing cover 265 for opening /

즉, 이 상단 인출 용기(264)의 상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가로 구획벽(4)과 냉장실 도어(60)가 인접해서 배치되므로, 하단 인출 용기(267)의 구조에서는 식품을 출납하는 공간이 좁아지는 과제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단 인출 용기(264)를 전방으로 인출하면, 그 이동에 따라, 개방되면서 가로 구획벽(4)의 하부에 수납되는 개폐 덮개(265)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있다. 이 상세 구조에 대해서는 도13, 도14에서 설명한다.That is, since the lateral partition wall 4 protruding forward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60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upper drawer vessel 264, the space of the lower drawer vessel 267 is narrowed There is a challenge.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bove-described problem is solved by providing the opening and closing lid 265 which is open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ateral partition wall 4 while being opened when the upper draw-out container 264 is pulled forward. This detail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Fig. 13 and Fig.

또한, 도어 수납 공간(262)은 복수의 수납 포켓(268)이 상하로 배치된다.In the door storage space 262, a plurality of storage pockets 268 are arranged vertically.

또한, 도3에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것은 냉기의 흐름을 도시하는 것이며, 여기에서는 도2와 중복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the arrows in FIG. 3 indicate the flow of cool air,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since it is the same as FIG.

다음에, 도4와 도5를 참조하여 냉장고(1)의 외관 형상을 설명한다. 여기서 도4는 냉장고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5는 냉장고의 외관도로서, (a)도가 평면도, (b)도가 정면도, (c)도가 우측면도, (d)도가 도어 핸들부의 부분 수평 단면도이다.Next, the outer shape of the refrigerator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Fig. 4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refrigerator. Fig. 5 is an external view of the refrigerator. Fig. 5 (a) is a plan view, Fig. 5 (b) is a front view, Fig. 5 is a right side view and Fig.

도4와 도5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방이 개방된 상자형의 하우징(2)의 전방면에 냉동실 도어(50)와 냉장실 도어(60)와 야채실 도어(70)가 개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냉동실 도어(50)는 하우징(2)의 좌측 전체를 덮는 크기를 구비하고, 좌측 상하단부에 설치한 힌지부(5)에 의해 개방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의 우측에는 냉장실 도어(60)와 야채실 도어(70)가 상하로 배치되고, 우측 상하단부와 우측 중앙에 설치한 힌지부(5)를 통해서 개방할 수 있다.4 and 5, in this embodiment, a freezing chamber door 50, a refrigerating chamber door 60 and a vegetable chamber door 70 are provided so as to be openable on the front surface of a box-shaped housing 2 which is opened frontward have. The freezing chamber door 50 is sized to cover the entire left side of the housing 2 and can be opened by a hinge portion 5 provided at the upper left and lower ends.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60 and the vegetable compartment door 70 are vertically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housing 2 and can be opened through the hinge portions 5 provided on the right and left upper and lower ends.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측의 냉동실 도어(50)와 우측의 냉장실 도어(60)와 야채실 도어(70)를 중앙의 분할 라인(8)을 통해서 양측으로 여닫이 식으로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분할 라인(8)을 따라 도어 핸들부(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도어 핸들부(40)는 냉동실 핸들부(41)와 냉장실 핸들부(42)와 야채실 핸들부(43)로 구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ft freezer compartment door 50, the right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60 and the vegetable compartment door 70 can be opened to both sides through the central divided line 8 in a hinged manner. The door handle portion 40 is provided along the dividing line 8. The door handle 40 includes a freezer compartment handle 41, a refrigerating compartment handle 42, and a vegetable compartment handle 43.

냉동실 핸들부(41)는 냉동실 도어(50)의 단부 코너부를 상하에 걸쳐서 절결한 손잡이 오목부(51)와 막대 형상 핸들부(52)로 구성되고, 이 막대 형상 핸들부(52)는 중앙의 막대 형상 파지부(53)와 이 막대 형상 파지부(53)를 상하로 지지하는 상부 설치부(54)와 하부 설치부(55)로 구성된다. 이 막대 형상 핸들부(521), (c)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면으로부터 보아서 상하단부가 도어면(9)과 위화감이 없도록 활형상으로 형성된다.The freezer compartment handle portion 41 is constituted by a handle recess portion 51 and a bar-shaped handle portion 52 which are cut vertically from the end corner portion of the freezing chamber door 50. The bar- Shaped grip portion 53 and an upper mounting portion 54 and a lower mounting portion 55 for supporting the rod-shaped grip portion 53 up and down. As shown in these rod-shaped handle portions 521 and 522, the upper and lower end portions are formed in an arc shape so as not to be discomfortable with the door surface 9 when viewed from the side.

또한, 냉장실 핸들부(42)와 야채실 핸들부(43)는 이 2개의 핸들을 상하로 조합함으로써 냉동실 핸들부(41)와 같은 형상을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즉, 냉장실 핸들부(42)는 냉장실 도어(60)의 단부 코너부를 상하에 걸쳐서 절결한 손잡이 오목부(61)와 막대 형상 핸들부(62)로 구성되고, 이 막대 형상 핸들부(62)는 중앙의 막대 형상 파지부(63)와 이 막대 형상 파지부(63)를 상하로 지지하는 상부 설치부(64)와 중앙 설치부(65)로 구성된다.The refrigerator compartment handle portion 42 and the vegetable compartment handle portion 43 are formed to have the same shape as the freezer compartment handle portion 41 by combining the two handles vertically. That is,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handle portion 42 is constituted by a handle recess portion 61 and a bar-shaped handle portion 62 that are cut up and down at an end corner portion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60, An upper mounting portion 64 for vertically supporting the rod-shaped grip portion 63 and a central mounting portion 65. The rod-

마찬가지로, 야채실 핸들부(43)는 야채실 도어(70)의 단부 코너부를 상하에 걸쳐서 절결한 손잡이 오목부(71)와 막대 형상 핸들부(72)로 구성되고, 이 막대 형상 핸들부(72)은 중앙의 막대 형상 파지부(73)와 이 막대 형상 파지부(73)를 상하로 지지하는 중앙 설치부(74)와 하부 설치부(75)로 구성된다.Likewise, the vegetable-room handle portion 43 is composed of a handle recess portion 71 and a bar-shaped handle portion 72 that are cut up and down at the end corner portion of the vegetable-room door 70, And includes a central rod-shaped grip portion 73 and a central mounting portion 74 for vertically supporting the rod-shaped grip portion 73 and a lower mounting portion 75.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1)는 냉동실 도어(50)에 얼음 수납부(320)나 얼음 분쇄 기구부(370) 등을 구비하고, 또한, 이들을 도어 내에 수납하기 때문에 통상의 냉장고 도어의 두께(도어의 깊이 치수)가 크므로, 도어 전체의 중량이 커진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하로 분할되어서 높이 치수가 작은 냉장실(210)과 야채실(260)의 용량을 확보하기 위해서 분할라인(8)을 냉동실(100)측으로 오프셋하여 냉동실 도어(50)의 가로 폭을 작게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중량이 있는 냉동실 도어(50)의 개폐에 큰 힘이 필요하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도어를 확실하게 유지 가능한 막대 형상 핸들로 하여 상기 과제를 개선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frigera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ice storage unit 320, the ice crushing unit 370, and the like in the freezing chamber door 50 and stores them in the door. Since the thickness (depth dimension of the door) is large, the weight of the whole door increases. Particularly,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secure the capacity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210 and the vegetable room 260 which are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have a small height, the dividing line 8 is offset toward the freezing chamber 100 side, . Therefore, a large force is required to open and close the heavy freezing chamber door 50.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re solved by using a bar-shaped handle capable of reliably holding each door.

그러나, 이 막대 형상 핸들은 도어면(9)으로부터 크게 돌출하는 과제도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어면(9)의 단부에 손잡이 오목부(51, 61, 71)를 형성하고, 이 한층 낮은 오목부에 막대 형상 핸들부(52, 62, 72)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있다. 또한, 막대 형상 핸들부(52)의 상하단부를 도어면(9)과 위화감이 없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도어 핸들부(40)의 전방으로의 돌출된 인상을 경감하고 있다.However,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bar-shaped handle projects largely from the door surface 9.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andle recesses 51, 61 and 71 are formed at the end of the door surface 9, and the bar-shaped handle portions 52, 62 and 72 are provided in the lower recessed portion, It is solving. The upper and lower end portions of the rod-like handle portion 52 are made to have no discomfort with the door surface 9, thereby reducing the protruding impression of the door handle portion 40 forward.

또한, 냉동실 도어(50)의 전방면에 설치한 오목 형상의 취출구(350)는 통상의 컵 등을 수납하기에 충분한 크기를 구비하고 있다. 오목 형상의 취출구(350)의 내부 저면에는 착탈 가능한 그물 형상의 컵 거치대(351)가 있고, 그 하부에는 넘친 물을 받도록 오목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취출구(350)의 상면 후방에는 냉수 공급부(390)가 설치되어 취출구(350)의 배면벽에 설치한 냉수 스위치(391)를 컵 등으로 압박하면 냉수용 펌프(474)가 동작해서 냉수 공급부(390)에서 냉수를 내보낼 수 있다.The concave outlet 350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50 has a sufficient size for accommodating a normal cup or the like.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oncave outlet 350 there is a detachable mesh cup rest 351 which is recessed to receive the overflowing water. The cold water supply unit 390 is provided behind the top surface of the air outlet 350 so that when the cold water switch 391 provided on the rear wall of the air outlet 350 is pressed by a cup or the like, the cold water pump 474 operates, The cold water can be discharged from the hot water supply unit 390.

또한, 취출구(350)의 상부의 도어면(9)에는 조작 패널(90)이 설치되고, 이 조작 패널(90)에 이 냉장고(1) 전체의 동작 상황을 표시하는 운전 상태 표시부(91)와 얼음 분쇄 기구부(370)의 동작을 지시하는 얼음 선택 버튼(92)이 설치되어 있다.An operation panel 90 is provided on the door surface 9 of the upper portion of the air outlet 350. The operation panel 90 is provided with a driving status display 91 for indicat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entire refrigerator 1 An ice selection button 92 for instructing the operation of the ice crushing mechanism 370 is provided.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냉동실 도어(50) 등의 각 도어 구조는 도어면(9)의 주위를 수지 재료의 프레임(43)으로 둘러싸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도어면(9)을 강판으로 형성하거나, 혹은 투명 판재로 표면 처리된 강판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장고(1)의 설치 환경에 대응해서 도어면(9)을 다양하게 개변할 수 있으므로,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Each door structure such as the freezing chamber door 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eriphery of the door surface 9 is surrounded by a frame 43 made of a resin material. Therefore, the door surface 9 can be formed of a steel plate or a steel plate surface-treated with a transparent plate material. Thereby, the door surface 9 can be variously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of the refrigerator 1, so that designability can be improved.

다음에 도6과 도7을 참조하여 대용량의 급수 탱크(400)의 구체적인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도6은 급수 탱크의 외관도로서, (a)도가 사시도, (b)도는 중앙 종단면된 사시도이다. 도7은 급수 탱크에 외관도로서, (a)도는 평면도, (b)도는 좌측면도, (c)도는 정면도, (d)도는 저면도, (e)도는 우측면도, (f)도는 개폐 기구의 개념도를 도시하는 부품 구성도이다. 또한, 도7에서는 도시하는 관계로부터 (c)도를 정면도로 정의하고 있지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b)도를 정면도로서 설명한다.The concrete structure of the large-capacity water supply tank 4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FIG. 6 is an external view of the water supply tank, and FIG. 6 (a) is a perspective view, and FIG. 6 (b) is a perspective view with a central longitudinal section. Fig. 7 is an external view of the water supply tank. Fig. 7 (a) is a plan view, Fig. 7 (b) is a left side view, And Fig. 7 (c) is defined as a front view from the relationship shown in Fig. 7.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b) is described as a front view.

도6, 도7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급수 탱크(400)는 투명한 수지 재료로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410)와 불투명한 수지 재료로 형성되는 상부 케이스(411)로 탱크 본체(404)를 구성하고 있다. 하부 케이스(410)는 깊이가 있는 상부가 개방된 컵 형상을 구비하여 물을 수납하는 주체가 되는 것이다. 한편, 상부 케이스(411)는 하부 케이스(410)의 상단부의 개방부를 덮는 캡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411)는 하부 케이스(41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하부 케이스(410) 내를 청소할 수 있다.6 and 7, the water supply tank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lower case 410 formed of a transparent resin material and an upper case 411 formed of an opaque resin material, Respectively. The lower case 410 has a cup shape having an open upper part and serves as a main body for storing water. On the other hand, the upper case 411 has a cap shape covering the opening of the upper end of the lower case 410. The upper case 411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lower case 410, so that the lower case 410 can be cleaned.

탱크 본체(404)는 가로 폭 치수(W1)보다 높이 치수(H1)가 크고, 이 높이 치수(H1)보다 깊이 치수(D1)가 큰 깊이가 있는 상자형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4L 정도의 용량을 구비하도록 하고 있다.The tank main body 404 has a box-like shape having a height H1 larger than the lateral width dimension W1 and a depth larger than the height dimension H1. In the present embodiment, a capacity of about 4L is provided.

하부 케이스(410)의 정면측의 벽면은 하방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져 그 상단부가 서서히 경사져 하부 경사면(405)을 형성하도록 전방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된다. 한편, 상부 케이스(411)는 기본적으로는 얇은 형상을 구비하고 있지만, 정면측의 선단부는 그 상면이 단부로부터 서서히 세워져서 경사면(412)을 형성하도록 융기시키고, 이 융기부(413)의 후단부는 후방의 평탄부(4l4)와 하강하는 경사면으로 접속되는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The wall surface on the front side of the lower case 410 is formed by being vertically erected from below and projecting forward so as to form the lower inclined surface 405 with its upper end gradually inclined. The front end of the upper case 411 is basically thin, but the front end of the upper case 411 is raised from the end gradually to form the inclined face 412, and the rear end of the raised portion 413 And has a shape that is connected to the rear flat portion 4l4 by a descending slope.

그리고 경사면(412)에 크게 개방된 급수부(403)가 형성되고, 이 급수부(403)를 덮도록 개폐 가능한 개폐 덮개(402)가 설치되어 있다.A water supply section 403 is formed in the inclined plane 412 and is opened. An opening and closing lid 402 is provided so as to cover the water supply section 403.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부 케이스(410)의 전방부 상단부와, 이 전방부 상단부를 덮는 상부 케이스(411)의 선단부로 돌출부(401)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 돌출부(401)는 선단부가 가늘고, 상면은 상방으로 세워지고, 하면은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후방을 향해서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형상에 따르면, 급수부(403)를 이용자측에서 보기 쉽게 할 수 있는 동시에 급수부(403)의 전단부를 낮게 해서 패트병의 주입구를 대기 쉽게 하고 있다. 또한, 하면은 하방으로 경사시킴으로써 급수한 물의 튕김을 경감하고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protruding portion 401 is formed at the front upper end portion of the lower case 410 and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upper case 411 covering the front upper end portion. Therefore, the projecting portion 401 has a shape that the distal end portion thereof is thin, the upper surface thereof is raised upward, and the lower surface thereof is inclined downward, so as to open rearwar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ccording to this shape, the water supply portion 403 can be made easy to see from the user side, and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water supply portion 403 is made low to make the filling opening of the plastic bottle easy. 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is inclined downward to reduce the water splashing.

또한, 개폐 덮개(402)는 경사면(412)의 후단부에 형성한 수평한 회전축 Q1을 중심으로 개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개폐 덮개(402)의 전방부가 되는 경사면(412)의 전방부에는 개폐 덮개(40)의 개폐 버튼(415)이 설치되어 있다.The opening / closing lid 402 is provided so as to be openable around a horizontal rotation axis Q1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inclined surface 412. [ An opening / closing button 415 of the opening / closing lid 40 is provided at a front portion of the inclined surface 412 to which the opening / closing lid 402 is attached.

여기서 도7의 (f)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폐 덮개(402)의 후단부에 관통 구멍(416)을 형성하고, 이 관통 구멍(416)에 코일 스프링을 구비한 회전축 부재(417)를 삽입한다. 이 회전축 부재(417)는 중앙의 코일 스프링(417a)의 양측에 축 부재(417b)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급수부(403)의 후단부의 양측에는 회전축 부재(417)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축 고정부(418)와 회전축 부재(417)의 타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리 베어링부(419)를 쌍으로 설치하고 있다.7 (f), in this embodiment, a through hole 416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opening / closing lid 402, and a through hole 416 is formed in the through- (417). In this rotary shaft member 417, shaft members 417b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il spring 417a at the center. On both sides of the rear end of the water supply portion 403, a shaft fixing portion 418 for fixing one end portion of the rotation shaft member 417 and a free bearing portion 419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rotation shaft member 417 Respectively.

회전축 부재(417)는 프리 베어링부(419)와 끼워 맞추어지는 축 부재(417b)가 관통 구멍(416)에 고정되도록 삽입된다. 그리고, 이 고정된 축 부재(417b)와 프리 베어링부(419), 고정 베어링부(418)와 다른 쪽의 축 부재(417b)를 개폐 덮개(402)를 개방한 상태를 기준으로 해서 설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417a)의 작용에 의해, 해방한 상태로 복귀하려고 하는 개폐 덮개(402)를 개폐 보턴(415)에 의해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The rotary shaft member 417 is inserted such that the shaft member 417b to be fitted to the pre-bearing portion 419 is fixed to the through hole 416. [ The fixed shaft member 417b and the free bearing portion 419 and the fixed bearing portion 418 and the other shaft member 417b are provided on the basis of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402 is opened . By the action of the coil spring 417a, the opening / closing lid 402 to be returned to the released state is held in the closed state by the opening / closing button 415. [

이 구조에 따르면, 개폐 버튼(415)을 조작해서 개폐 덮개(402)가 폐쇄된 상태를 해제하면, 코일 스프링(417a)의 작용에 의해 개폐 덮개(402)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구조에서는 스프링 기능을 막대 형상의 회전축 부재(417)에 구비할 수 있으므로, 개구 기구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부가하여, 이 구조에 따르면, 코일 스프링(417a)을 압축한 상태로 프리 베어링부(419)와 고정 베어링부(418)의 사이에 삽입하면, 코일 스프링(417a)의 양측으로 신장되고자 하는 작용에 의해, 회전축 부재(417)가 프리 베어링부(419)와 고정 베어링부(418)의 사이에 확실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조립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조에서는 개방시의 개폐 덮개(402)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면, 코일 스프링(417a)이 더욱 연장되어 회전축 부재(417)가 프리 베어링부(419)와 고정 베어링부(418)의 사이에서 빠지게 되므로 파손을 경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the open / close lid 402 is released from the closed state by operating the open / close button 415, the open / close lid 402 can be opened by the action of the coil spring 417a. Further, in this structure, since the spring function can be provided in the rod-shaped rotary shaft member 417, the opening mechanism can be made compact. In addition, 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the coil spring 417a is inserted between the pre-bearing portion 419 and the fixed bearing portion 418 in a compressed state, the action to extend to both sides of the coil spring 417a The rotatable shaft member 417 is securely held between the pre-bearing portion 419 and the fixed bearing portion 418, so that the assembling property can be improved. In this structure, when an exc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opening / closing lid 402 at the time of opening, the coil spring 417a is further extended so that the rotating shaft member 417 is positioned between the free bearing portion 419 and the fixed bearing portion 418 So that breakage can be reduced.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방으로 돌출되고, 게다가 앞으로 기우뚱한 경사면(412)에 급수부(403)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냉장실(210)에 이 급수 탱크(400)를 세트한 상태에서도 패트병 등으로부터 급수할 수 있다. 또한, 이 급수시에는 개폐 버튼(415)을 조작해서 개폐 덮개(402)를 후방을 향해서 개방할 수 있으므로, 개폐 덮개(402)가 급수 시에 방해될 일이 없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water supply portion 403 is provided on the inclined surface 412 projecting forward and further inclined forward, even when the water supply tank 400 is set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210, You can water. When the water supply is performed, the open / close lid 402 can be opened rearward by operating the open / close button 415, so that the open / close lid 402 is not obstructed at the time of water supply.

또한, 도7의 (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부(403)에 급수된 물은 일단부, 하부 경사면(405)에 접촉하여 급수 탱크(400) 내로 투입되므로, 투입된 물이 튕겨져서 이용자에게 튕겨지는 것을 경감할 수 있다.7 (c),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unit 403 is put into the water supply tank 400 by contacting the one end portion and the lower inclined surface 405, so that the introduced water is repelled It is possible to alleviate the bounce to the user.

또한, 돌출부(401)의 하방의 하부 케이스(410)의 벽면은 후방으로 움푹 들어간 오목부(406)로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돌출부(401)의 하방의 공간을 이용해서 핸들부(407)를 설치하고 있다. 이 핸들부(407)는 길이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는 파지 핸들이며, 하단부를 오목부(406)의 하방에 설치하고, 상단부를 돌출부(401)의 하부에 접속하고 있다.In addition, the wall surface of the lower case 410 below the projecting portion 401 is formed as a concave portion 406 recessed rearwar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andle portion 407 is provided using a space below the projecting portion 401. [ The handle portion 407 is a gripping handle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ower end portion is disposed below the concave portion 406 and the upper en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rojecting portion 401.

이 구조에 따르면, 핸들부(407)를 돌출부(401)의 투영 면적 내로 수납할 수 있으므로 급수 탱크(400)를 상자형의 콤팩트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게다가, 급수부(403)를 구비한 돌출부(401)와 함께 급수탱크(400)의 최전방부에 핸들부(407)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급수 탱크(400)의 착탈이 용이하다. 또한, 핸들부(407)는 종형의 파지 핸들로 하고 있으므로, 착탈 시에 사용자에게 무리한 자세를 강요하는 것이 경감된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the handle portion 407 can be housed within the projected area of the projecting portion 401, the water supply tank 400 can be formed into a box-like compact shape. In addition, since the handle portion 407 can be provided at the foremost portion of the water supply tank 400 together with the protruding portion 401 having the water supply portion 403, the water supply tank 400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In addition, since the handle portion 407 is a vertically-shaped grip handle, it is less likely to force the user to an excessive posture at the time of attaching / detaching.

또한, 도6의 (a)도, (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급수 탱크(400)는 상면 후단부에 단차부(420)를 형성하고, 이 단차부(420)를 구성하는 상부 케이스(411)의 후단부로부터 한 쌍의 접속 파이프(421)가, 하부 케이스(410)의 투영 면적 내에 수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접속 파이프(421)는 제빙 장치용 펌프(473)와 냉수용 펌프(474)에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 케이스(410)의 투영 면적 내에 수납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이 단차부(420)의 상부에 돌출되는 접속 파이프(421)가 반송시에 다른 것과 접촉하여 파손하는 것을 경감하고 있다.6 (a) and 6 (b), the water supply tank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step portion 420 at the rear end of the upper surface, A pair of connection pipes 421 are provided so as to be accommodated in the projected area of the lower case 410 from the rear end of the upper case 411 constituting the lower case 410. This connecting pipe 421 is provided for connecting to the ice maker pump 473 and the cold water pump 474 and is disposed so as to be accommodated in the projected area of the lower case 410, The connection pipe 421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due to contact with another member during transportation.

또한, 접속 파이프(421)의 다른 일단부는 상부 케이스(411)의 내벽면을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고, 그 선단부는 아래쪽으로 굴곡되어 그 선단부에 급수 필터부(422)가 설치된다. 이 급수 필터부(422)는 저면이 격자 형상의 그물로 개방된 상자형 형상을 구비하고, 그 내부에 급수 필터(423)가 내장된다. 급수 필터부(422)의 개방 부분은 하부 케이스(410)의 내부 저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될 수 있도록 접속 파이프(421)의 다른 일단부에 설치된다.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ipe 421 extends horizontally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upper case 411.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connection pipe 421 is bent downward and the water supply filter portion 422 is provided at the distal end thereof. The water supply filter portion 422 has a box-like shape whose bottom surface is opened by a lattice-like net, and a water supply filter 423 is incorporated therein. The opening portion of the water supply filter portion 422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ipe 421 so that a gap can be generated between the opening portion of the water supply filter portion 422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ase 410.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급수 필터부(422)의 개방 부분으로부터 도입된 물은 급수 필터부(422)에서 정화되어, 접속 파이프(421)로부터 제빙 장치용 펌프(473) 또는 냉수용 펌프(474)로 도입된다.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open portion of the water supply filter section 422 is purified by the water supply filter section 422 and is supplied from the connection pipe 421 to the ice maker pump 473 or the cold water pump 474, Lt; / RTI >

또한, 도7의 (d)도에 있어서, 하부 케이스(410)의 양측에는 한 쌍의 유지 오목부(424)가 형성되고, 또한, 저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는 한 쌍의 돌기 리브(425)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급수 탱크(400)를 냉장실(410)로부터 취출할 때에는 예를 들어, 오른손으로 핸들부(407)를 유지하고, 그대로 앞으로 인출하게 된다. 이때, 돌기 리브(425)를 구비함으로써, 급수 탱크(400)와 베이스판(471)의 접촉 마찰이 경감되어, 가벼운 힘으로 인출할 수 있다. 또한, 급수 탱크(400)를 냉장실(210)로부터 인출하면, 이 급수 탱크(400)를 왼손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지만, 이때, 유지 오목부(424)에 왼손을 대어 하방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으므로, 유지 오목부(424)를 통해서 왼쪽 손의 미끄러짐을 경감할 수 있다.7 (d), a pair of holding recesses 424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case 410, and a pair of projection ribs 425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Respectively. In this embodiment, when the water supply tank 400 is taken out from the refrigerating chamber 410, the handle portion 407 is held with the right hand, for example, and is drawn out as it is. At this time, by providing the protruding ribs 425, the contact friction between the water supply tank 400 and the base plate 471 is reduced, so that it can be drawn out with a light force. When the water supply tank 400 is taken out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210, it is necessary to keep the water supply tank 400 with the left hand. At this time, since the left hand can be supported by the holding recess 424 from below, The slip of the left hand can be reduced through the concave portion 424.

다음에 도8과 도9를 참조해서 급수 탱크(400)의 냉장실(210)의 설치 상태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8은 급수 탱크와 탱크 베이스부의 관계의 설명도로서, (a)도가 설치 구성을 도시하는 전개도, (b)도가 베이스판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9는 급수 탱크 근방과 야채실의 종단면도이다.Next,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210 of the water supply tank 4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FIG. Here, FIG. 8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ater supply tank and the tank base portion, and FIG. 8 (a)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and FIG. 8 (b) is a parti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ed state of the base plate. 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vicinity of the water tank and the vegetable compartment.

도8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수 탱크(400)를 냉장고(1)에 설치할 때에 탱크 베이스부(470)를 통해서 설치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 탱크 베이스부(470)는 냉장실(210)의 후방에 설치되는 탱크 베이스 본체부(472)와 그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베이스판(471)으로 구성된다.8,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ter supply tank 400 is installed through the tank base portion 470 when the water supply tank 400 is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1. [ As described above, the tank base portion 470 includes a tank base body portion 472 provided at the rear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210 and a base plate 471 extending forwardly of the tank base body portion 472.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장실(210)과 야채실(260)을 구획하는 단열재가 없는 가로 구획벽(4)의 위에 급수 탱크(400)를 설치한다. 이 가로 구획벽(4)은 냉장실 도어(60)와 야채실 도어(70)의 밀착을 도모하기 위한 강도 부재(450)와 이 강도 부재(450)와 후방의 구획판(451)을 포함해서 구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 이 가로 구획벽(4)이 내부에 단열재가 없는 것을 이용하여, 구획판(451)을 2중 구조로 하여 냉장실(210)의 수평 복귀 통로(22a)를 형성하고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water supply tank 400 is provided on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4 without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partitioning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210 and the vegetable compartment 260. The transverse partition wall 4 is composed of a strength member 450 for intimately contacting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60 and the vegetable compartment door 70 and a reinforcing member 450 and a rear partition plate 451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4 has a double-layered structure of the partition plate 451 to form the horizontal return passage 22a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210 by using the partition wall 451 having no heat insulating material inside.

즉, 구획판(451)은 냉장실(210)의 내부 저면을 형성하는 상부 구획판(452)과 하부를 구성하는 하부 구획판(453)을 포함해서 구성된다. 또한, 하부 구획판(453)은 알루미늄 재료 등으로 형성되는 복사 기능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단 인출 용기(264)의 상부를 덮는 덮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부 구획판(452)은 복사 기능을 구비한 하부 구획판(453)을 냉장실(210)로부터 시각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투명판(454)과 이것을 주위로부터 지지하는 프레임(455)으로 구성된다.That is, the partition plate 451 includes an upper partition plate 452 forming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210 and a lower partition plate 453 constituting a lower portion. The lower partition plate 453 has a lid function that has a radiation function formed of an aluminum material or the like and also covers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drawing container 264. The upper partition plate 452 includes a transparent plate 454 and a frame 455 for supporting the lower plate 453 from the periphery so that the lower partition plate 453 having a radiating function can be visually recognized from the refrigerating chamber 210 do.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급수 탱크(400)는 가로 구획벽(4)의 상면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착탈을 행한다. 이로 인해, 급수 탱크(400)의 이동에 수반되는 가로 구획벽(4)의 손상이 큰 과제가 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4L의 용량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약 4Kg의 중량물이 가로 구획벽(4) 위를 이동하면 상기 과제는 큰 것이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가로 구획벽(4)은 그 내부에 수평 복귀 통로(22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급수 탱크(400)를 지지하는 강도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로 구획벽(4)을 투명판(454)으로 구성하고, 또한, 그 상면이 요철 형상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과제는 한층 더 큰 것이 된다.Thus, the water supply tank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etachable by moving the upper surface of the lateral partition wall 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a result, damage to the lateral partition wall 4 accompanying the movement of the water supply tank 400 becomes a big problem. Particularly,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capacity of 4 L is provided, when the heavy object of about 4 Kg is moved on the lateral partition wall 4, the above problem becomes large. Furth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horizontal return passage 22a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lateral partition wall 4, the strength of supporting the water supply tank 400 also needs to be strengthened. 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lateral partition wall 4 is formed of the transparent plate 454 and the upper surface thereof has the concavo-convex shape, the above problem becomes even larger.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수 탱크(400)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지지, 안내하는 베이스판(471)을 설치하고 있다. 이 베이스판(471)은 그 양단부를 강도 부재(450)와 냉장실(210)의 이면벽으로 지지하는 길이를 갖고 형성되므로,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판(471)은 세로 구획벽(3)과 대향하는 한 쪽에상방으로 돌출된 안내 리브(475)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삽입되는 급수 탱크(400)를 소정의 위치로 안내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base plate 471 for supporting and guiding the movement of the water supply tank 4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rovided. The base plate 471 has a length for supporting both ends of the base plate 471 by the strength member 450 and the back wall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210, so that the above problem can be solved. Since the base plate 471 is provided with the guide ribs 475 protruding upward on one side opposite to the vertical partition wall 3, it is possible to guide the inserted water supply tank 400 to a predetermined position.

또한, 탱크 베이스 본체부(472)는 베이스판(471)의 후방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탱크 베이스 본체부(472)의 전방면 상부에는 급수 탱크(400)의 단차부(420)와 끼워 맞추어지는 돌출부(476)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476)에 급수 탱크(400)의 접속 파이프(421)에 끼워 맞추어지는 파이프 수용부(477)가 설치되어 있다.The tank base body portion 472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rear side of the base plate 471. A protruding portion 476 fitted to the step portion 420 of the water supply tank 40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ank base main body portion 472 and the connection pipe 474 of the water supply tank 400 is connected to the protruding portion 476. [ And a pipe accommodating portion 477 fitted to the pipe 421.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급수 탱크(400)를 베이스판(471)을 따라 삽입하여 압입함으로써, 접속 파이프(421)와 파이프 수용부(477)를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on pipe 421 and the pipe accommodating portion 477 can be simply connected by inserting the water supply tank 400 along the base plate 471 and press-fitting.

도9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급수 탱크(400)의 상면은 전방부에 융기부(413)가 형성되고, 그 후방부가 융기부(413)보다 한단 낮게[높이 치수(d1)] 형성되는 평탄부(414)로 되어 있다. 그리고, 급수 탱크(400)를 세트한 상태에서 이 평탄부(414)의 상방에 제1 구획 선반(211)이 수납되도록 제1 구획 선반(211)의 크기를 설정하고 있다.9,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tank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raised portion 413 formed at the front portion thereof and a rear portion thereof formed at a lower height (height dimension d1) than the raised portion 413 And is a flat portion 414. The size of the first compartment shelf 211 is set so that the first compartment shelf 211 is stored above the flat portion 414 when the water supply tank 400 is set.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융기부(413)의 후단부가 되는 최정상부(P3)와 제1 구획 선반(211)의 선단부(P1)와의 사이에 간극(d2)이 형성되도록, 제1 구획 선반(211)의 전후의 길이를 설정함으로써 개폐 덮개(402)를 크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gap d2 is formed between the apex P3 of the rear end of the ridge portion 413 and the front end portion P1 of the first partitioning shelf 211, So that the opening / closing lid 402 can be largely opened.

또한, 제1 구획 선반(211)의 두께(상하의 높이)와 설치 높이는 제1 구획 선반(211)의 상면이 최정상부(P3)의 높이와 거의 일치하도록, 높이 치수(d1)를 설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1 구획 선반(211)에 출납되는 식품 등이 융기부(413)나 제1 구획 선반(211)의 선단부에 부딪쳐 융기부(413)나 제1 구획 선반(211)을 파손하거나, 혹은 식품등을 떨어뜨리거나, 나아가서는 컵 등에 들어있는 것을 흘리거나 하는 것을 경감하고 있다.The height (height) of the first partitioning shelf 211 and the height of the first partitioning shelf 211 are set such that the height of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partitioning shelf 211 substantially coincides with the height of the topmost portion P3. As a result, the food or the like stored in the first compartment shelf 211 may hit the protruding portion 413 or the front end of the first compartment shelf 211 to break the protruding portion 413 or the first compartment shelf 211, Or to drop the food or the like, and to reduce the shed in the cup or the like.

또한, 급수 탱크(400)의 선단부(P4)는 제1 구획 선반(211)의 선단부(P1)와 하우징(2)의 선단부(P2)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그 크기가 설정된다.The size of the tip end portion P4 of the water supply tank 400 is set so as to be located between the tip end portion P1 of the first compartment shelf 211 and the tip end portion P2 of the housing 2. [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닥면으로부터 세로 구획벽(4)의 상면까지의 높이(H10)를 830mm로 설정하고, 그 가로 구획벽(4)의 상면에 높이 치수(H1)가 20Omm인 급수 탱크(400)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닥면으로부터 급수 탱크(400)의 최정상부(P3)까지의 높이 치수(H11)가 1000mm 정도의 위치에 배치되는 급수부(403)에 급수하는 것이 된다. 이 높이는 표준적인 어른의 팔꿈치의 높이와 같은 정도의 높이에 설정되어 있으므로, 무리한 자세를 강요하는 일 없이, 패트병등을 통해서 급수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ight H10 from the bottom surface to the top surface of the vertical partition wall 4 is set to 830 mm and the height of the water supply tank 400) are installed.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unit 403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height dimension H11 from the bottom surface to the apex P3 of the water supply tank 400 is about 1000 mm. This height is set at a height as high as the height of a standard adult elbow, so that water can be dispensed through plastic bottles without forcing unreasonable posture.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수 탱크(400)의 핸들부(407)도 900mm 정도의 높이에 위치하므로, 이 핸들부(407)를 유지한 채로의 급수 탱크(400)의 착탈도 이용자에게 무리한 자세를 강요하는 일이 없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andle 407 of the water supply tank 400 is also located at a height of about 900 mm, so that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water supply tank 400 while holding the handle 407 is not too difficult for the user There is no compulsion.

다음에 도10을 참조하여 이 급수 탱크(400)의 냉장실(400)에 세트한 상태에서의 사용 편의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도10은 급수 탱크로의 급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 플로우도이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10, the ease of use in a state where the water supply tank 400 is set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4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ere, FIG. 10 is an operation flow chart for explaining a water supply operation to the water supply tank.

우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양문형으로 불리는 냉장고(1)는 다른 외국에 있어서는 표준적인 스타일의 저장실의 레이아웃 구성이다. 따라서 급수 탱크(400)의 용량 설정에 있어서는 다른 외국의 소비량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중근동 지역의 UAE나 사우디아라비아에서의 동종 양문형 냉장고의 사용실태를 조사하면, 샘플수 100세대에서의 결과에서는 차가워진 물을 마시는 횟수는 1일 최대 10회이며, 1회의 사용량은 20Occ라고 하면 최대 1일 2L의 소비량이 있다. 또한, 얼음의 사용빈도는 1일 최대 11 내지 12회 이빙하고, 1회에 10Occ라고 하면, 최대 1일1.1L 내지 1.2L의 소비량이 있다.First, the refrigerator 1, which is called a double door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layout configuration of a storage room of a standard style in other foreign countries. Therefore, in setting the capacity of the water supply tank 400, it is necessary to take account of consumption amounts of other foreign countries. For example, when the UAE in Saudi Arabia or Saudi Arabia in the Ryukyu region surveyed, the number of samples per 100 households consumed cold water was 10 times a day, The maximum daily consumption is 2L. In addition, the frequency of use of ice is 11 to 12 times a day maximum, and when it is 100 cc at a time, the consumption amount of 1.1 L to 1.2 L is maximum at one day.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냉수와 제빙의 합계 소비량 3.2L에 플러스 알파의 여분량을 가미하여 급수 탱크(400)의 용량을 3.5L 내지 4L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물의 사용빈도를 고려하여 얼음 수납부의 용량을1.7L로 하고 있다. 이 용량이면 물의 사용량이 증가해도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이 4L의 급수 탱크(400)이면, 이 충분한 물의 용량을 확보해도 2, 3L의 냉수가 확보되므로, 상기 냉수의 소비량이 다소 늘어나도 대응할 수 있다.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capacity of the water supply tank 400 is set to 3.5L to 4L by adding a plus amount of alpha to the total consumption amount of 3.2L of the cold water and the ice making. In this embodiment, the capacity of the ice storage portion is set to 1.7 L in consideration of the frequency of use of water. This capacity can be accommodated even if the amount of water used is increased. With this 4 L water supply tank 400, even if sufficient water capacity is secured, 2 or 3 L of cold water is secured, so that even if the consumption amount of the cold water is slightly increased, it can be coped with.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급수 탱크(400)는 냉장실(210)로부터 제거하여 상수도로부터 급수하거나, 내부 청소를 가능하게 하기는 하지만, 중량이 있는 급수 탱크(400)를 빈번하게 떼어내는 것에는 과제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 탱크(400)를 냉장실(210)에 세트한 상태에서도 편한 자세로 급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Although the water supply tank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removed from the refrigerating chamber 210 to supply water from the water supply or to enable internal cleaning, there is a problem in frequently removing the heavy water supply tank 400 .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0, the water supply tank 400 can be supplied in a comfortable position even in a state where the water supply tank 400 is set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210. [

즉, 도10에 있어서, 냉장실 도어(60)를 개방하면 (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 탱크(400)가 냉장실(210)의 하부 좌측에 세트되어 있다. 이 세트된 상태에서는 제1 구획 선반(211)의 전방부에 개폐 덮개(402)에 의해 폐쇄된 급수부(403)가 노출되어 있다. 이 급수부(403)가 폐쇄된 상태라면, 제1 구획 선반(211)에 식품을 출납할 때에 진애가 급수 탱크(400) 내로 혼입할 일이 없다. 또한, 급수부(403)를 구비한 경사면(412)이 제1 구획 선반(211)과 단차없이 연속하고 있으므로, 식품을 실은 용기가 급수 탱크(400)에 부딪쳐 식품을 떨어뜨리거나 하는 것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구획 선반(211)은 투명하게 되어 있으므로, 냉장실(210) 내의 식품을 빠짐없이 감시할 수 있다.10, whe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60 is opened, the water supply tank 400 is set on the lower left sid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210, as shown in Fig. The water supply portion 403 closed by the opening / closing cover 402 is expos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first partition shelf 211. In this state, If the water supply unit 403 is closed, the dust is not mixed into the water supply tank 400 when food is put into and discharged from the first compartment shelf 211. Since the inclined surface 412 provided with the water supply portion 403 is continuous with the first partitioning shelf 211 step by step,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that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food hits the water supply tank 400 to drop the food . In addition, since the first compartment shelf 211 is transparent, the food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210 can be completely monitored.

한편, 이 (a)도의 상태로부터, (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 탱크(400)의 상면 최전방부에 설치한 개폐 보턴(415)을 조작하면, (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덮개(402)가 후방으로 개방되어 (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덮개(402)가 개방된 상태로 할 수 있다. 즉, 원 터치로 개폐 덮개(402)를 간단하게 개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n / close button 415 provided at the foremost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tank 400 is operated from the state shown in (a), as shown in (b) The opening / closing lid 402 can be opened as shown in FIG. 4 (d) so that the opening / closing lid 402 is opened. That is, the opening / closing cover 402 can be easily opened with one-touch.

이 (d)도의 개방 상태는 급수부(403)가 크게 개방되고, 그 후방에 개폐 덮개(402)가 세워진 자세의 상태로 되어 제1 구획 선반(211)과 급수부(403)를 명확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급수부(403)의 앞쪽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내려가도록 되어 있으므로, (e)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부(403)의 앞쪽에 패트병의 주입구를 대고 급수를 편안히 행할 수 있다.The opened state of Fig. (D) is a state in which the water supply portion 403 is largely opened, and the opening / closing lid 402 is put in a posture position behind the water supply portion 403, so that the first partition shelf 211 and the water supply portion 403 are clearly separated . In addition, since the front portion of the water supply portion 403 is forwardly moved from the rear, water can be easily supplied with an injection port of a plastic bottle in front of the water supply portion 403 as shown in Fig.

게다가, 급수부(403)로부터 주입되는 물은 도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경사면(405)에 의해 사용자측으로의 튕겨짐이 경감되고, 또한, 후방으로의 튕김은 세워진 자세의 개폐 덮개(402)에 의해 저지되어서 경감된다. 또한, 급수시는 개폐 덮개(402)의 개방 상태가 유지되므로, 패트병을 양손으로 유지하면서 급수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C, the water injected from the water supply section 403 is less likely to be repelled by the lower inclined surface 405 toward the user, and further, Is closed by the opening / closing cover (402). Further, since the open / close lid 402 is maintained in the open state during water supply, water can be supplied while keeping the plastic bottle with both hands.

그리고 (f)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가 종료되면, 개폐 덮개(402)를 폐쇄하는 동작에 의해 개폐 덮개(402)의 선단부가 개폐 버튼(415)에 의해 로크 상태가 되므로, 원 터치로 폐쇄 동작을 행할 수 있다.As shown in (f), when the supply of water is completed, the front end of the opening / closing lid 402 is locked by the opening / closing button 415 by the operation of closing the opening / closing lid 402, Clos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다음에 도11과 도12를 참조하여 급수 탱크(400)에 인접하는 하부 수납 포켓(220)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11이 하부 수납 포켓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외관도이며, (a)도가 하부 수납 포켓을 설치한 냉장실 도어의 외관 사시도, (b)도가 냉장실 도어의 개폐 상태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12는 하부 수납 포켓의 외관도로서, (a)도가 정면에서 본 사시도, (b)도가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Next, a specific structure of the lower storage pocket 220 adjacent to the water supply tank 4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and 12. FIG. Fig. 11 is an external view of the lower storage pocket; Fig. 11 (a)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provided with a lower storage pocket; and Fig. 11 (b) is a transverse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FIG. 12 is an external view of the lower storage pocket, and FIG. 12 (a) is a perspective view as viewed from the front and FIG. 12 (b) is a perspective view as seen from behind.

도11과 도12에 있어서, 상부에 냉장실을 구비한 지극히 일반적인 냉장고에 있어서는 냉장실 도어의 내벽에 수납 포켓을 설치해서 수납성을 향상하고 있다. 특히 냉장실 도어의 내벽의 하부에 설치한 수납 포켓은 사용하기 편리한 높이에 있으므로 구획 선반의 전방부에 큰 공간을 확보하여 대형의 수납 포켓을 설치하고 있다.In Fig. 11 and Fig. 12, in an extremely common refrigerator having a refrigerating compartment at the top, a storage pocket is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to improve the storage capacity. In particular, since the storage pocket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inner wall of the refrigerator door has a convenient height, a large space is secured in the front part of the partition shelf, and a large storage pocket is provided.

본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1)에 있어서도 냉장실 도어(60)의 내벽의 하부에대형의 하부 수납 포켓(220)을 배치하고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수 탱크(400)의 선단부[돌출부(401)]가 제1 구획 선반(211)의 전방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대형의 수납 포켓을 설치하는 것이 곤란한 환경에 있다.In the refrigera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well, a large lower storage pocket 220 is disposed below the inner wall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60. However,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tip end (protruding portion 401) of the water supply tank 400 protrudes forward of the first partitioning shelf 211, it is difficult to provide a large storage pocket.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형의 수납 포켓과 급수 탱크(400)가 겹쳐지는 부분을 절결하여 절결부(221)를 형성한 하부 수납 포켓(220)을 채용하고 있다. 이 절결부(221)는 냉장실 도어(60)를 개폐해도 하부 수납 포켓(220)이 급수 탱크(400)와 접촉하지 않는 정도의 적당한 간극을 갖고 또한 코너부에는 큰 라운딩을 갖고 형성된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wer storage pocket 220 in which the cutout portion 221 is formed by cutting off the portion where the large storage pocket and the water supply tank 400 are overlapped is adopted. The cutout portion 221 is formed to have a suitable clearance such that the lower storage pocket 220 does not contact the water supply tank 400 even whe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60 is opened or closed and the corner portion has a large rounding.

이와 같은 특징을 구비한 하부 수납 포켓(220)의 외관을 도11의 (a)와 도12에 도시한다. 이 하부 수납 포켓(220)은 냉장실 도어(60)의 내벽면의 양측에 형성한 설치 리브(66)에 다른 수납 포켓(219)과 마찬가지로 양측을 끼워 맞추어 설치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로 인해 하부 수납 포켓(220)의 가로 폭은 다른 수납 포켓(219)의 가로 폭과 같은 길이로 설정되고, 그 양측면벽에 상단부가 폐쇄되고 하방이 개방되는 설치 홈(223)이 형성되어 있다.The appearance of the lower storage pocket 220 having such features is shown in Figs. 11 (a) and 12. The lower storage pocket 220 has a structure in which both sides are fitted to the installation ribs 66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60 like the other storage pockets 219. The lateral width of the lower storage pocket 220 is set to the same length as the width of the other storage pockets 219 and both side walls thereof are provided with installation grooves 223 in which the upper end is closed and the lower side is opened.

이 구조에 따르면, 설치 리브(66)에 형성한 도시하지 않은 설치 돌기부에 설치 홈(223)을 통하여 상방으로부터 끼워 맞춤으로써 하부 수납 포켓(220)을 냉장실 도어(60)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조이면, 하부 수납 포켓(220)을 다른 수납 포켓으로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급수 탱크(400)를 채용하지 않는 기종으로의 전개가 가능하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lower storage pocket 220 can be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60 by fitting the installation protrusion portion (not shown) formed in the installation rib 66 through the installation groove 223 from above. In addition, with this structure, since the lower storage pocket 220 can be replaced with another storage pocket, it is possible to expand to a model that does not employ the water supply tank 400.

한편, 본 실시형태에 관한 하부 수납 포켓(220)은 절결부(221)를 채용함으로써 깊이 치수가 큰 제1 수납부(426)와 절결부(221)에 인접해서 형성되는 깊이 치수가 작은 제2 수납부(427)를 구비하고 있다. 이로 인해, 큰 제1 수납부(426)에는 패트병이나 맥주병 등의 대형 식품을 수납하고, 작은 제2 수납부(427)는 사용 빈도가 많은 소형 식품을 수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storage pocket 2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first storage portion 426 having a large depth dimension and a second storage portion 426 having a small depth dimension, which are formed adjacent to the cutout portion 221, And a storage portion 427. Thus, large food such as a plastic bottle or a beer bottle can be stored in the large first storage portion 426, and a small food having a high frequency of use can be stored in the small second storage portion 427.

또한, 이 하부 수납 포켓(220)은 이면측을 개방하여 냉장실 도어(60)의 내벽면을 이면벽으로 하는 구조로 하고 있다. 또한, 하부 수납 포켓(220)을 상하로 2분할하여 상부를 투명한 수지 재료로 형성하고, 하부를 불투명한 수지 재료로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바닥에 고인 먼지 등을 은폐하면서 높이가 낮은 식품이 수납되어도 투명부를 통해서 내부를 확인하기 쉽게 하고 있다.Further, the lower storage pocket 22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ack side is opened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efrigerator chamber door 60 is a back wall. Further, the lower storage pocket 220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the upper portion is made of a transparent resin material, and the lower portion is made of an opaque resin material. As a result, even if food having a low height is housed while concealing dust and the like stuck on the floor, the inside can be easily confirmed through the transparent part.

다음에 도9와 도13, 도14를 참조하여 야채실(260)의 상단 인출 용기(264)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13은 상단 인출 용기의 인출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14는 상단 인출 용기와 다른 인출 용기의 대비도이다.Next, the upper draw-out container 264 of the vegetable compartment 26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13, and 14.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rawing structure of the upper drawing container. 14 is a contrast diagram of the upper drawing container and another drawing container.

우선, 도9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야채실(210)의 하우징 수납 공간(261)을 복수의 인출 용기(263)로 구성되는 복수의 밀폐된 수납 공간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 수납 공간(261)을 상하로 3분할하여 상단을 개폐 덮개(265)를 구비한 상단 인출 용기(264)로 하고 중단과 하단을 상부가 개방된 용기(268)로 이루어지는 하단 인출 용기(267)로 하고 있다. 이들 상하 3단의 인출 용기(263)는 야채실(260)의 양측의 내벽면에 설치한 도시하지 않은 지지 레일을 통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하우징 수납 공간(261)으로부터 출납할 수 있다.9, in this embodiment, the housing accommodation space 261 of the vegetable room 210 is a plurality of closed storage spaces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drawing out containers 263. Specifically, the housing accommodating space 261 is vertically divided into three parts, and the upper end is formed as an upper draw-out container 264 having an open / close lid 265. The lower draw- (267). The upper and lower three-stage drawing containers 263 can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through support rails (not shown) provided on the inner wall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vegetable room 260, and can be taken in and out of the housing accommodation space 261.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밀폐된 수납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단 인출 용기(264)는 수납 상태에 있어서, 가로 구획벽(4)에 의해 상방이 덮여지고, 또한, 중단 및 하단의 하단 인출 용기(267)는 인출 용기(263)의 인출 동작 여부에 상관없이 상단 인출 용기(264)의 하방 및 중단의 하단 인출 용기(267)의 하방에 배치되어 용기(268)의 상부를 덮는 밀폐 덮개(269)를 구비하고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n order to form a closed storage space, the upper drawer 264 is covered by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4 in the stored state, and the lower drawer 264 Is disposed below the upper drawer 264 and below the lower drawer 267 of the interruption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268 regardless of whether the drawer 263 is pulled out or not Respectively.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인출 용기(263)의 수납 용량을 동일하게 확보하기 위해서 기계실(12)의 존재에 의해 수납 용량이 적어지는 하단의 하단 인출 용기(267)를 하우징(2)의 선단부(P2)까지 전방으로 돌출시켜 설치하고, 다른 중단의 하단 인출 용기(267)와 상단 인출 용기(264)의 전방부에는 공간(270)을 형성하고, 이 공간(270)을 이용해서 도어 수납 공간(262)으로 하고 있다.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ensure the same storage capacity of the three draw-out containers 263, the lower draw-out container 267 at the lower end where the storage capacity is reduced by the presence of the machine room 12, A space 270 is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lower draw-out container 267 and the upper draw-out container 264 of the other interrupter, (262).

도13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상단 인출 용기(264)는 가로 구획벽(4)의 하방에 인접해서 배치되고, 또한, 그 전방부에 도어 수납 공간(262)을 확보하기 위해서 야채실(260)의 후방에 배치된다. 부가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1)는 자동 제빙 장치(300)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냉동실 도어(50)에 얼음 수납부(320)나 취출구(350)를 설치하고 있다. 이로 인해, 냉동실 도어(50)의 두께가 있게 되어 필연적으로 냉장실 도어(60)의 두께도 큰 것이 된다. 따라서 상단 인출 용기(264)에 있어서는 가로 구획벽(4)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냉장실 도어(60)의 도어면(9)과 상단 인출 용기(264)의 선단부까지의 길이(Dl0)가 식품을 출납할 때의 장해물이 되므로, 이 장해물을 넘어서 상단 인출 용기(264)를 전방으로 인출하지 않으면, 상단 인출 용기(264)로부터 식품을 출납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13, the upper drawer 26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adjacent to the lower side of the lateral partition wall 4 and further includes a vegetable compartment 260 (not shown) for securing the door compartment 262 in the front portion thereof. As shown in Fig. In addition, since the refrigera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automatic ice maker 300, the ice storage portion 320 and the air outlet 350 are provided in the freezing chamber door 50. As a result, the thickness of the freezing chamber door (50) becomes large,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refrigerator chamber door (60) is inevitably large. Therefore, in the upper drawer container 264, the length Dl0 from the door surface 9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60 located at the front of the lateral partition wall 4 to the distal end of the upper drawer container 264,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ood can not be taken out from the upper draw-out container 264 unless the upper draw-out container 264 is drawn forward beyond the obstacle.

그러나, 상단 인출 용기(264)를 전방으로 인출하는 경우에는 야채실(260)의 양쪽 내벽면에 형성한 도시하지 않은 지지 레일과 어느 정도 겹치게 하지 않으면 상단 인출 용기(264)를 유지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가 있기 때문에 상단 인출 용기(264)를 전방으로 크게 인출하는 해결책에는 한도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pulling out the upper drawer container 264 forwar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pper drawer vessel 264 can not be held unless it is overlapped with a support rail (not shown) formed on both inner wall surfaces of the vegetable chamber 260 There is a limit to the solution for drawing the upper drawer container 264 forward greatly.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단 인출 용기(264)의 전방면에 상단 인출 용기(264)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개방되고, 개방시는 가로 구획벽(4)의 하방에 수납되는 개폐 덮개(265)를 채용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방이 개방되고, 전방면측이 비스듬히 컷트된 수납 용기(271)와, 개폐 덮개(265)와, 이 개폐 덮개(265)를 가동 가이드 수단(272)을 통해서 양측에서 지지하는 양측판(273)를 포함해서 구성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ning and closing lid 265 is opened on the front face of the upper draw-out container 264 in accordance with the forward movement of the upper draw-out container 264 and housed below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4 when opened. .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storage container 271 in which the upper side is opened and the front side is obliquely cut, the opening and closing lid 265, and the opening and closing lid 265 are supported from both sides through the movable guide means 272 And the side plates 273 are formed.

가동 가이드 수단(272)은 개폐 덮개(265)의 양측의 상하단부에 형성되는 상부 지지돌기(274a)와, 하부 지지돌기(274b)와, 2개의 돌기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제1 지지 레일(275a)과 제2 지지 레일(275b)로 구성된다. 제1 지지 레일(275a)은 후방인 향하여 형성되는 홈으로서, 상부 지지돌기(274a)를 양측에서 지지하여 상부 지지돌기(274a)를 거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제2 지지 레일(275b)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으로서, 하부 지지돌기(274b)를 양측에서 지지하여 하부 지지돌기(274b)를 거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킨다.The movable guide means 272 includes upper support protrusions 274a and lower support protrusions 274b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both sides of the opening and closing lid 265 and first support rails 275a And a second support rail 275b. The first support rails 275a are grooves formed toward the rear and support the upper support protrusions 274a on both sides to move the upper support protrusions 274a 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direction.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support rail 275b is a groov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supports the lower support protrusion 274b on both sides to move the lower support protrusion 274b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도13의 (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덮개(265)는 수납 상태에서는 수납 용기(271)의 컷트된 전방면부를 가로막도록 수직한 자세로 유지된다. 한편 (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 인출 용기(264)를 인출한 상태에서는 가로 구획벽(4)과 하단 인출 용기(267)의 사이에 수평한 자세로 유지된다.As shown in Fig. 13 (a), the opening and closing lid 265 is held in a vertical posture so as to intercept the cut front face por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271 in the stored state. On the other hand, when the upper drawer 264 is pulled out, it is held in a horizontal posture between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4 and the lower drawer 267 as shown in FIG.

다음에 도13를 참조하여 이 상단 인출 용기(264)의 이동에 수반하는 개폐 덮개(265)의 개폐 동작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Next,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opening / closing lid 265 accompanying the movement of the upper draw-out container 264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우선, (a)도에 도시하는 상단 인출 용기(264)를 수납한 상태에서는 상단 인출 용기(264)의 전방면은 핸들 부분(276)을 구비한 수납 용기(271)의 전방부와, 그 상부에 배치되는 세로 자세의 개폐 덮개(265)에 의해 덮어져 있다. 이 상태로부터, 핸들 부분(274)을 통해서 수납 용기(271)를 전방으로 인출하면, 세로 자세의 개폐 덮개(265)의 하단부가 수납 용기(271)의 양측의 비스듬히 컷트된 벽면 상부의 가이드 레일(277)에 의해 전방으로 밀리는 작용을 받는다. 그러나, 개폐 덮개(265)의 하단부는 하부 지지돌기(274b)와 제2 지지 레일(275b)과의 끼워맞춤 구조에 의해, 전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되어 그 응력이 하부 지지돌기(274b)를 제2 지지 레일(275)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First, in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drawing container 264 shown in FIG. 6A is housed,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drawing container 264 is divided into a front por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271 having the handle portion 276, And is covered by a vertical posture opening / closing cover 265 disposed in the vertical posture. When the storage container 271 is pulled forward through the handle portion 274 from this state, the lower end of the opening / closing lid 265 in the vertical posture is guided by the guide rails (not shown) on the obliquely cut wall surfaces on both sides of the storage container 271 277, respectively. However, the lower end of the opening / closing lid 265 is prevented from moving forward due to the fitting structure of the lower support protrusion 274b and the second support rail 275b, so that the stress acts on the lower support protrusion 274b 2 support rails 275. [0043]

이에 따라, 상부 지지돌기(274a)는 제1 지지 레일(275a)을 따라서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 동작에 의해, 수납 용기(271)가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개폐 덮개(265)의 하단부가 가이드 레일(277) 상을 위를 이동하여 상방으로 이동해 가므로, 결과적으로, (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덮개(265)는 가로 구획벽(4)과 이동한 수납 용기(271)의 사이에 수평한 자세로 수납된다.Accordingly, the upper support protrusion 274a moves rearward along the first support rail 275a. This operation moves the storage container 271 forwar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lid 265 moves upward on the guide rail 277 and moves upward. As a result, as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the opening / closing cover 265 is housed in a horizontal posture between the lateral partition wall 4 and the moved storage container 271.

또한, 수납 용기(271)를 (c)도로부터 (b)도와 같이 압입하면, 가이드 레일(277)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개폐 덮개(265)도 그 자중에 의해, 가이드 레일(277)을 따라 서서히 하강하여, (c)도와 같이 되어 (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원래의 수납 상태로 복귀한다.The opening and closing lid 265 supported by the guide rail 277 is also gradually moved along the guide rail 277 by its own weight when the storage container 271 is press- And returns to the original housed state as shown in Fig. 5 (a) as shown in Fig. 5 (c).

도14의 (b)도에는 상부가 개방된 수납 용기(271a)를 구비한 종래 기술을 도시하고 있다. 이 종래 기술에 따르면, 수납 용기(271a)가 상방으로부터 밖에 식품의 출납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수납 용기(271a)의 개방부의 전방면 상단부와, 냉장실 도어(60)의 하단부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식품 출납 공간(D20)이 좁아져버리는 과제가 있다.FIG. 14 (b) shows a prior art having a storage container 271a with its top opened. According to this conventional technology, since the food container 271a can not carry food into and out of the food container 271a only from the upper side, food and beverage, which is formed between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front face of the opening por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271a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refrigerator door 6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pace D20 becomes narrow.

그러나 (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납 용기(271)의 전방부의 벽면은 컷트되어 있으므로, 수납 용기(271)의 개방부의 전방면 상단부와 냉장실 도어(60)의 하단부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식품 출납 공간(D20)은 (b)도의 종래 기술의 것보다 크게 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폐 덮개(265)는 가로 구획벽(4)의 하방으로 은폐되므로, 식품의 출납에 장해가 될 일이 없다.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wall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271 is cut, the upper end of the front portion of the opening por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271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60 Can be made larger than that of the prior art shown in (b).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ning / closing lid 265 is hidden below the lateral partition wall 4, so that there is no obstacle to the receipt and payment of food.

(제2 실시형태)(Second Embodiment)

다음에 도15와 도16를 참조하여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1a)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도15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개략 구조도이며, (a)도가 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정면도, (b)도가 (a)도의 A-A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Next, the refrigerator 1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5 and 16. Fig. Here, FIG. 15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2 is a schematic structural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2 (a) is a front view in a state in which a door is opened, and Fig. 2 (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도15와 도16에 있어서, 부호 1a로 총괄적으로 도시하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는 제1 실시형태의 냉장고(1)를 2도어 냉장고(1a)에 적용한 것이다.In Fig. 15 and Fig. 16,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hown generally by the reference numeral 1a is the refrigerator 1 of the first embodiment applied to the two-door refrigerator 1a.

즉, 냉장고(1a)는 전방이 개방된 하우징(2)을 단열재를 구비한 세로 구획벽(3)을 통해서 제1 저장실이 되는 냉동실(100)과 제2 저장실이 되는 냉장실(200)로 좌우로 분할하고 있다. 냉동실(100)과 냉장실(200)의 전방부에는 하우징(2)의 양측에 설치한 힌지부(5)를 통해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냉동실 도어(50)와 냉장실 도어(60a)가 설치된다. 냉동실(100) 내에는 자동 제빙 장치(300)와 상기 자동 제빙 장치(300)에서 생성한 얼음을 수납하는 얼음 수납부(320)가 설치된다. 냉장실(100)에는 급수 탱크(400)와 급수 펌프(478)가 설치된다. 냉동실 도어(50)의 외측 도어면(9)에는 얼음 수납부(320)로부터의 얼음을 공급하는 얼음 공급부(381)와 급수 펌프(478)로부터의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 급수부(390)를 그 상부에 구비한 오목 형상의 취출구(350)가 설치되어 있다.That is, the refrigerator (1a) includes a housing (2) opened frontward and a freezer compartment (100) serving as a first storage compartment and a refrigerating compartment (200) serving as a second storage compartment through a vertical partition wall (3) . A freezing chamber door 50 and a refrigerating chamber door 60a are provid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freezing chamber 100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200 through a hinge portion 5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2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In the freezing room 100, an automatic ice maker 300 and an ice storage unit 320 for storing ice generated by the automatic ice maker 300 are installed.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100, a water supply tank 400 and a water supply pump 478 are installed. An ice supply portion 381 for supplying ice from the ice storage portion 320 and a cold water supply portion 390 for supplying cold water from the water supply pump 478 are connected to the outer door surface 9 of the freezing chamber door 50 And a concave-shaped outlet 350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thereof.

상기 냉장실(200)은 상기 급수 탱크(400)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하부 구획 선반(4a)과 급수 탱크(400)의 상부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제1 구획 선반(상부 구획 선반)(211)을 냉장실(210)의 중단에 배치하고 있다.The refrigerating chamber 200 is divided into a lower compartment shelf 4a for supporting the water supply tank 400 from below and a first compartment shelf (upper compartment shelf) 211 disposed adjacent to an upper portion of the water supply tank 400, (210).

상기 급수 탱크(400)는 가로 폭 치수보다 높이 치수가 크고, 이 높이 치수보다 깊이 치수가 큰 하우징 형상을 구비하는 동시에 급수부(403)를 구비한 상면 전방부(412a)를 상기 제1 구획 선반(상부 구획 선반)(211)의 전방부에 노출시켜 하부 구획 선반(4a)에 설치되고, 또한, 이 설치된 상태로부터 냉장실(1a) 외부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도 탱크 베이스부(470)를 통하여 급수 탱크(400)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The water supply tank 400 has a housing shape having a height larger than the lateral width dimension and a depth dimension larger than the height dimension and an upper surface front portion 412a provided with the water supply portion 403, (Upper partition shelf) 211 and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ition shelf 4a and can be removed to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a from the state where it is installed. Also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supply tank 400 is detachably installed through the tank base portion 470. [

또한, 하부 구획 선반(4a)은 냉장실(210)을 복수의 구획 선반(212)을 통해서 상하로 구획된 개방된 상부의 저장실(215)과, 전후 방향으로 인출 가능한 복수의 인출 용기(263)를 상하로 배열한 하부의 저장실(261)을 분할하는 구획 선반으로 하고 있다.The lower compartment shelf 4a includes an upper storage compartment 215 and a plurality of draw-out containers 263 which can be drawn out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210 being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storage compartments 215, And the lower storage chamber 261 arranged vertically is divided into partition shelves.

상기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1)에서는 냉장실 도어(60)와 야채실 도어(70)의 밀폐를 도모하기 위해서 가로 구획벽(4)의 선단부가 돌출되어서 형성되지만, 이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1a)는 냉장실(200)을 한장의 냉장실 도어(60a)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하부 구획 선반(4a)과 냉장실 도어(60a)의 내벽면 사이에는 상부의 저장실(215)로부터 하부의 저장실(261)로 냉기를 흘리는 냉기 통로(224)가 되는 간극이 형성된다.In the refrigerato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lateral partition wall 4 protrudes in order to seal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60 and the vegetable compartment door 70. However, Since the refrigerator 1a comprises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200 as on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60a, the lower compartment shelf 4a is connect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60a from the upper storage compartment 215 to the lower compartment 261 to form a cool air passage 224 for cooling air.

이 구조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8의 (b)도의 강도 부재(450) 대신에 복귀 통로 커버(456)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복귀 통로 커버(456)의 후방에는 하부의 저장실(261)의 냉기를 수평 복귀 통로(22a)로 도입하는 냉기 복귀구(24)를 형성하고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in this embodiment, the return passage cover 456 is provided instead of the strength member 450 shown in Fig. 8 (b). A cool air return port 24 is formed in the rear of the return passage cover 456 to introduce cold air from the lower storage chamber 261 into the horizontal return passage 22a.

또한, 다른 구조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같기 때문에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other structure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수 탱크(400)의 착탈이나 취급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부의 저장실(261)의 최상부에 설치한 상단 인출 용기(264)는 제1 실시형태와 같이 강도 부재(450)나 냉장실 도어(60)가 장해가 안되므로, 이 장해가 없는 만큼, 큰 식품 출납 공간(D20)을 얻을 수 있다.(도14 참조)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operations and effects similar to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can be obtained with respect to detachment and handling of the water supply tank 400. 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draw-out container 264 provided at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lower storage chamber 261 does not interfere with the strength member 450 or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60 as in the first embodiment, , It is possible to obtain a large food storage space D20 (see Fig. 14).

(제3 실시형태)(Third Embodiment)

다음에 도17을 참조하여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1b)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도17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개략도이며, (a)도는 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정면도, (b)도는 냉동실의 가로 부분 단면도이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부나 화살표 등은 동일한 부호로써 설명하여 중복한 설명을 생략한다.Next, the refrigerator 1b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Here, FIG. 17 is a schematic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wherein (a) or (b) is a front view when the door is opened, and FIG. In addition, the same par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like are used fo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17에 있어서, 상기한 제1, 제2 실시형태에서는 자동 제빙 장치(300)를 냉동실(100)의 하우징 수납 공간(105)의 천정면에 설치하고, 이 자동 제빙 장치(300)에서 생성한 얼음을 냉동실 도어(50)의 내벽면에 설치한 얼음 수납부(320)에서 받아서 축적하는 구조로 했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동실 도어(50)의 내벽면에 자동 제빙 장치(300)와 얼음 수납부(320)를 설치하는 구조라도 적용가능하다.17,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automatic ice maker 300 is provided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housing accommodating space 105 of the freezer compartment 100, and the automatic ice maker 300 The ice is received and accumulated in the ice storage portion 320 provid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reezing chamber door 5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structur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7, a structure in which the automatic ice maker 300 and the ice storage portion 320 are provid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reezing chamber door 50 is also applicable.

이 경우, 탱크 베이스부(470)의 제빙 장치용 펌프(473)와 자동 제빙 장치(300)의 접속은 냉동실 도어(50)의 상부의 힌지부(5)를 통해서 제빙용 급수 파이프(6)를 배관하도록 한다. 또한, 냉동실(100) 내의 제빙용 급수 파이프(6)의 배관은 제빙용 급수 파이프(6) 내의 냉수가 얼지 않도록, 하우징(2)의 단열재 내를 배관하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connection of the ice maker pump 473 of the tank base 470 and the automatic ice maker 300 is performed by connecting the ice-making water supply pipe 6 through the hinge 5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reezing chamber door 50 Piping should be done. The piping of the ice making water supply pipe 6 in the freezing chamber 100 is piped i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of the housing 2 so that the cold water in the ice making water supply pipe 6 does not freeze.

또한, 다른 구조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 공통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other structure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1 : 냉장고
2 : 하우징
3 : 세로 구획벽
4 : 가로 구획벽
4a : 하부 구획 선반
5 : 힌지부
6 : 제빙용 급수 파이프
7 : 냉수용 급수 파이프
8 : 분할 라인
9 : 도어면
10 : 냉동실 분출 통로
11 : 압축기
12 : 기계실
13 : 열교환기
14 : 송풍 팬
50 : 냉동실 도어
60 : 냉장실 도어
70 : 야채실 도어
90 : 조작 패널
91 : 운전 상태 표시부
100 : 제1 저장실(냉동실)
200 : 제2 저장실(냉장실)
201 : 이면벽
210 : 냉장실
211 : 제1 구획 선반
220 : 하부 수납 포켓
221 : 절결부
260 : 야채실
300 : 자동 제빙 장치
320 : 얼음 수납부
350 : 취출구
370 : 얼음 분쇄 기구부
400 : 급수 탱크
401 : 돌출부
402 : 개폐 덮개
403 : 급수부
404 : 탱크 본체
405 : 하부 경사면
406 : 오목부
407 : 핸들부
410 : 하부 케이스
411 : 상부 케이스
412 : 경사면
412a : 상면 전방부
413 : 융기부
414 : 평탄부
415 : 개폐 버튼
416 : 관통 구멍
417 : 회전축 부재
417a : 코일 스프링
417b : 축 부재
418 : 축 고정부
419 : 프리 베어링부
420 : 단차부
421 : 접속 파이프
422 : 급수 필터부
423 : 급수 필터
424 : 유지 오목부
425 : 돌기 리브
426 : 제1 수납부
427 : 제2 수납부
470 : 탱크 베이스부
471 : 베이스판
472 : 탱크 베이스 본체부
473 : 제빙 장치용 펌프
474 : 냉수용 펌프
475 : 안내 리브
476 : 돌출부
477 : 파이프 수용부
478 : 급수 펌프
P1 : 제1 구획 선반의 선단부
P2 : 하우징의 선단부.
1: Refrigerator
2: Housing
3: vertical partition wall
4:
4a: Lower compartment shelf
5: Hinge section
6: Ice-making water supply pipe
7: Water supply pipe for cold water
8: Split line
9: Door surface
10: freezer compartment passage
11: Compressor
12: Machine room
13: Heat exchanger
14: blowing fan
50: Freezer door
60: Fridge door
70: Vegetable door
90: Operation panel
91: Operation status display section
100: First storage room (freezer compartment)
200: Second storage room (refrigerator room)
201: back wall
210: Refrigerator
211: First compartment shelf
220: Lower storage pocket
221:
260: Vegetable room
300: Automatic deicing device
320: Ice compartment
350:
370: Ice crushing machine part
400: Water tank
401: protrusion
402: opening / closing cover
403:
404: tank body
405: lower inclined surface
406:
407:
410: Lower case
411: upper case
412:
412a:
413:
414:
415: opening / closing button
416: Through hole
417:
417a: coil spring
417b:
418:
419: pre-bearing part
420: stepped portion
421: connecting pipe
422:
423: Water filter
424:
425: projection rib
426: First storage part
427: Second compartment
470: tank base portion
471: base plate
472: tank base body portion
473: Pump for ice maker
474: Pump for cold water
475: Guide ribs
476:
477:
478: Feed pump
P1: the tip of the first compartment shelf
P2: The tip of the housing.

Claims (5)

상부 구획 선반과 하부 구획 선반을 구비하는 냉장실을 적어도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 내에 착탈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는 급수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급수 탱크는, 그 상면 전방부에 급수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구획 선반의 전방부에서 노출되며 상기 하부 구획 선반에 착탈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고 있고,
상기 급수부는, 상면 전방부가 전방으로 경사져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 A refrigerator having at least a refrigerator compartment having an upper compartment shelf and a lower compartment shelf,
And a water supply tank detachably held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Wherein the water supply tank is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portion in a front portion of its upper surface and is exposed at a front portion of the upper partition shelf and detachably held on the lower partition shelf,
Wherein the water supply portion is formed so that a front surface portion of the water supply portion is inclined forward to protru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상기 상면 전방부에 개폐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급수 탱크를 상기 하부 구획 선반에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개폐 덮개의 개방이 가능해지도록, 상기 상부 구획 선반과 상기 급수 탱크의 사이에 간격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 supply unit includes an open /
Wherein a gap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compartment shelf and the water supply tank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lid can be opened in a state where the water supply tank is installed on the lower compartment shelf.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덮개는 상기 급수 탱크의 후방을 향해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opening / closing lid is opened toward the rear of the water supply ta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탱크는, 하우징 전방면에 핸들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refrigerator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water supply tank has a handle on the front side of th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획 선반으로부터 상기 상부 구획선반에 걸친 높이보다도, 상기 급수 탱크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상면 전방부에 걸친 높이가 낮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refrigerator of claim 1, wherein a height from the bottom of the water supply tank to the top of the upper surface is lower than a height from the lower partitioning shelf to the upper partitioning shelf.
KR1020110107549A 2008-05-30 2011-10-20 Refrigerator KR10112129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41862 2008-05-30
JP2008141862A JP5588604B2 (en) 2008-05-30 2008-05-30 refrigerato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8503A Division KR20110052549A (en) 2008-05-30 2011-03-30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843A true KR20110129843A (en) 2011-12-02
KR101121290B1 KR101121290B1 (en) 2012-03-22

Family

ID=41407215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8942A KR101052150B1 (en) 2008-05-30 2008-12-18 Refrigerator
KR1020110028503A KR20110052549A (en) 2008-05-30 2011-03-30 Refrigerator
KR1020110028514A KR101067107B1 (en) 2008-05-30 2011-03-30 Refrigerator
KR1020110107549A KR101121290B1 (en) 2008-05-30 2011-10-20 Refrigerator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8942A KR101052150B1 (en) 2008-05-30 2008-12-18 Refrigerator
KR1020110028503A KR20110052549A (en) 2008-05-30 2011-03-30 Refrigerator
KR1020110028514A KR101067107B1 (en) 2008-05-30 2011-03-30 Refrigerato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588604B2 (en)
KR (4) KR101052150B1 (en)
CN (3) CN102116567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67523A (en) * 2018-12-12 2021-07-23 Lg电子株式会社 Ice making mach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49632A (en) * 2010-07-13 2011-01-19 海尔集团公司 Refrigerator
CN101948029A (en) * 2010-07-13 2011-01-19 海尔集团公司 Vacuum preservation device,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of vacuum preservation device
CN102183118A (en) * 2011-03-28 2011-09-14 海尔集团公司 Ice making system of refrigerator
CN102213524B (en) * 2011-05-31 2013-07-03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Refrigerator
CN102305506B (en) * 2011-07-18 2016-06-08 海尔集团公司 Ice making water supply installation and be provided with the refrigerator of this ice making water supply installation
KR101754365B1 (en) * 2011-08-09 2017-07-07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CN103782119B (en) * 2011-08-09 2016-08-31 东部大宇电子株式会社 Refrigerator
KR101754360B1 (en) * 2011-08-09 2017-07-07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CN102435030A (en) * 2011-09-05 2012-05-02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Refrigeration equipment and ice maker used for refrigeration equipment
KR20140001465A (en) * 2012-06-27 2014-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140075291A (en) * 2012-12-11 2014-06-19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EP3056842B1 (en) 2013-02-20 2017-10-0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1476299B1 (en) * 2013-04-16 2014-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CN106338177B (en) * 2015-07-08 2020-08-11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Refrigerating device
CN106766657A (en) * 2016-12-27 2017-05-3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The refrigerator water path control system and the refrigerator with it of a kind of automatic water-supply
CN107036380A (en) * 2017-04-17 2017-08-11 海信容声(广东)冰箱有限公司 A kind of refrigerator water storage case assembly and refrigerator
CN108955029B (en) * 2018-05-25 2020-09-29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Refrigerator with ice-making water storage box
CN109357472A (en) * 2018-07-18 2019-02-19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A kind of mounting structure for display screen for household appliances
KR20200095887A (en) 2019-02-01 2020-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JP7453011B2 (en) * 2020-02-13 2024-03-19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refrigerator
JP2021143813A (en) * 2020-03-13 2021-09-24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Refrigerator and water supply tank
CN114322433B (en) * 2020-09-29 2024-03-12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Water supply system and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6367Y1 (en) * 1970-06-03 1973-02-17
US4800935A (en) * 1988-04-05 1989-01-31 Whirlpool Corporation Control lever for refrigerator with water and/or ice dispenser in door
US5083442A (en) * 1991-01-11 1992-01-28 Mary Vlock Refrigerator with purified water supply
JP2735170B2 (en) * 1993-09-07 1998-04-02 松下冷機株式会社 Freezer refrigerator ice making equipment
JP3076717B2 (en) * 1994-03-29 2000-08-14 松下冷機株式会社 Ice making equipment
JP3467622B2 (en) * 1995-09-14 2003-11-17 松下冷機株式会社 Ice making equipment
JP3108855B2 (en) * 1995-09-14 2000-11-13 松下冷機株式会社 Ice making equipment
JP3391638B2 (en) * 1996-08-27 2003-03-31 松下冷機株式会社 Ice making equipment
JPH11101538A (en) * 1997-09-26 1999-04-13 Sanyo Electric Co Ltd Refrigerator
JP2001153512A (en) * 1999-11-30 2001-06-08 Toshiba Corp Deep freezer refrigerator having automatic ice making device
JP2002364952A (en) * 2001-06-11 2002-12-18 Sanyo Electric Co Ltd Freezing refrigerator
JP2003028547A (en) * 2001-07-19 2003-01-29 Fujitsu General Ltd Feed water supply system for refrigerator
CN2539113Y (en) * 2002-03-26 2003-03-05 海尔集团公司 Refrigerator
KR100432752B1 (en) * 2002-05-31 2004-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JP2005114198A (en) * 2003-10-03 2005-04-28 Sanyo Electric Co Ltd Ice tray and refrigerator with automatic ice making machine
CN1683884A (en) * 2004-04-12 2005-10-19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Electric refrigerator
JP2006010206A (en) * 2004-06-25 2006-0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Water purifying pot mounted on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JP4603895B2 (en) * 2005-01-06 2010-12-22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refrigerator
CN100464145C (en) * 2005-05-09 2009-02-25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Water supplying pipe of distributor for refrigerator
CN100464144C (en) * 2005-05-09 2009-02-25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Water supply pipe for refrigerator distributor
JP2007212088A (en) * 2006-02-10 2007-08-23 Sharp Corp Automatic icemaker and refrigerator equipped therewith
KR100954035B1 (en) * 2006-05-08 2010-04-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Method of charging rechargeable battery and Protection circuit for rechargeable battery
KR20070108769A (en) * 2006-05-08 2007-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67523A (en) * 2018-12-12 2021-07-23 Lg电子株式会社 Ice mak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16567B (en) 2013-12-04
CN101592427B (en) 2011-03-23
KR101052150B1 (en) 2011-07-26
KR101067107B1 (en) 2011-09-22
KR20110052550A (en) 2011-05-18
JP2009287857A (en) 2009-12-10
KR101121290B1 (en) 2012-03-22
KR20110052549A (en) 2011-05-18
JP5588604B2 (en) 2014-09-10
KR20090124902A (en) 2009-12-03
CN102116566A (en) 2011-07-06
CN102116567A (en) 2011-07-06
CN101592427A (en) 200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1290B1 (en) Refrigerator
KR101584805B1 (en) Refrigerator
KR101584806B1 (en) Refrigerator
KR101050303B1 (en) Refrigerator
KR101621578B1 (en) Refrigerator
EP3561414B1 (en)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20110146335A1 (en) Refrigerator
US20110146331A1 (en) Refrigerator
KR100780836B1 (en) A ice bank fixation device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ame
KR101631089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110112377A (en) Refrigerator
KR101761739B1 (en) Refrigerator having a drawer
KR20110046403A (en) Refrigerator
JP5286340B2 (en) refrigerator
KR101467271B1 (en) Refrigerator
KR100848918B1 (en) A Refrigerator
KR101810460B1 (en) Refrigerator
KR20240051634A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