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9786A - 이동식 소방용구함 - Google Patents

이동식 소방용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9786A
KR20110129786A KR1020100049355A KR20100049355A KR20110129786A KR 20110129786 A KR20110129786 A KR 20110129786A KR 1020100049355 A KR1020100049355 A KR 1020100049355A KR 20100049355 A KR20100049355 A KR 20100049355A KR 20110129786 A KR20110129786 A KR 20110129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re
fire extinguisher
spray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9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상식
류지황
Original Assignee
류지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지황 filed Critical 류지황
Priority to KR1020100049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9786A/ko
Publication of KR20110129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97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5/00Portable extinguishers with power-driven pumps
    • A62C25/005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 A62C33/04Supports or clamps for fire h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소방장비나 용품들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비치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소방용구함에 관한 것이다.
상하 복층으로 분리된 영역을 구축하여 그 내부가 소정의 깊이와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제1수용부 및 하측 제2수용부를 형성하고, 투명한 재질의 커버체가 일측에서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분말식 소화기 외주연을 일부 수용하는 고정구와, 후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며 이격된 거리에 대향 배치되는 거치대와, 투척식 소화기 외주연에 결착되어 유동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걸림유도구와, 전방으로 고압의 물을 분사하기 위한 살수기와, 열선이 내장되어 결빙을 방지할 수 있는 전열기 및 이러한 전기장치를 운용하기 위하여 전원을 인가하는 전기선으로 이루어지는 제1수용부;와,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고 유지하기 위한 저수조로 충만되는 제2수용부;를 포함하여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식 소방용구함{Movable Type Total Fire Safety Tool Box}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소방장비나 용품들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비치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소방용구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 구획되게 분리된 공간을 제공하여 상측에는 화재 발생시 필수 불가결한 여러 종류의 소방시설물(투척식 소화기, 분말 소화기, 고압 살수기, 삽, 깔꾸리, 양동이, 전열기 등)을 적소에 비치하고, 그 하측 공간에는 고압 살수기에 필요한 다량의 물을 보관할 수 있도록 저수로를 일체형으로 구비함으로써 화재 발생시 다양한 수단으로 초기 진화에 대응하여 대형 화재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외관이 미려하여 장식적 미감을 유도하는 것은 물론, 용이한 식별로 인해 사용자가 신속하고 능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동식 소방용구함에 관한 것이다.
화재는 인명손상과 막대한 재산피해를 일으키게 되므로, 항상 유의하면서 화재예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적재적소에 적절한 사용을 이룰 수 있는 진화 및 비상기구를 갖추어 놓아야 한다.
이러한 화재에 대비하여 갖추어 놓은 소방기구 중 업무용 빌딩이나 공동주택이 경우에는 소방호스와 스프링클러 등의 소방안전시설과 함께 잘 알려진 소화기가 규정에 의해 비치되고 주기적인 점검을 받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건설 현장이나 기타 작업장 등 야외에서 이루어지는 장소에는 대부분 이러한 소방안전시설이 미비한 실정이며, 곳에 따라서는 최소한의 진화에 필요한 소화기조차도 비치되지 않고 있다.
그 이유로, 화재에 대한 안전의식과 홍보 부족에도 그 원인을 찾을 수 있겠지만, 통상적으로 야외에 비치되는 간이소화기나 기타 소방용품들은 따로 관리하기가 사실상 어려워 쉽게 유실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고, 대부분 창고 같은 장소에 삽, 깔꾸리, 양동이, 구명로프, 비상 안전등, 방연 마스크 등의 소방안전시설물을 무방비 상태로 별도 보관하게 되어 급작스럽게 필요로 하는 경우에도 해당 물품의 위치 파악이 어려워 효과적인 사용이 어렵게 된다.
또한, 차량에 탑재된 상태로 먼지 등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지면에 물을 분사하는 살수장치가 아니고서는, 이러한 야외작업 현장에서 인위적이고 즉각적으로 운용 가능한 살수기를 찾기란 쉽지 않으며, 더욱이 살수기를 별도 비치되고 있다 하더라도 광활한 작업 현장에서 급수를 하기에는 현장 여건이 상당수 취약하여 살수기 사용이 더욱더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투척식 소화기 및 분말 소화기, 삽, 양동이 등의 소방시설물을 하나의 보관함에 구분 배치하여서 위급 상황시 사용자가 쉽고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고압 살수기와 함께 이를 위한 일정량의 물을 하나의 보관함에 비치하여 급수 공급이 어려운 건설 현장이나 기타 작업장 등에서 신속하게 살수를 행하여 초기 진화에 대응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고압 살수기가 기온이 낮은 겨울철에도 적절히 운용될 수 있도록 전열기를 탑재하여 저수조에 담수된 물이 영하권에서도 얼지 않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소방용구함을 구성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이동식 소방용구함은,
상하 복층으로 분리된 영역을 구축하여 그 내부가 소정의 깊이와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제1수용부 및 제2수용부를 형성하고,
투명한 재질의 커버체가 일측에서 왕복 슬라이드 구동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분말식 소화기 외주연을 일부 수용하는 고정구와, 내측 후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며 이격된 거리에 대향 배치되는 거치대와, 투척식 소화기 외주연에 결착되어 유동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걸림유도구와, 전방으로 고압의 물을 분사하기 위한 살수기와, 열선이 내장되어 결빙을 방지할 수 있는 전열기 및 전기장치를 운용하기 위하여 전원을 인가하는 전기선;으로 이루어지는 제1수용부;와,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고 유지하기 위한 저수조로 충만되는 제2수용부;를 포함하여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살수기는 모터의 회전 구동력으로 저수조에 충만된 물을 송수관을 통해 흡입하고 배수관을 통해 배출하는 펌프; 펌프의 배수관에 끼워져 연결되도록 중앙 영역에 연결관을 구비하며 일정 길이로 형성된 살수호스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드럼; 살수호스의 끝단에 연결되어 물을 분사하는 살수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권취드럼은 제1수용부 외측 일면에 권취손잡이를 노출되게 형성하여 상황 종료 후 간편하고 신속하게 살수호스를 권취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동식 소방용구함에 의하면, 건설 현장이나 기타 작업장 등의 야외 장소에서 소방안전시설물 내지 다양한 소방장비들을 하나의 보관함에 정리정돈하여 안전하게 수납 및 보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파손이나 유실로부터 적극적으로 보호 가능하고, 긴급을 요하는 상황에서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과 함께, 저수조와 살수기를 동시에 구비하여 화재발생시 초기 진화에 보다 유리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라 구성된 소방용구함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라 구성된 소방용구함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라 구성된 소방용구함의 개략적인 구성요소 결합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 예에 따라 구성된 소방용구함의 외형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소방용구함의 구성에 대해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도 1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라 구성된 소방용구함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라 구성된 소방용구함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라 구성된 소방용구함의 개략적인 구성요소 결합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 예에 따라 구성된 소방용구함의 외형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하나의 보관함에 여러 종류의 소방기구나 기타 용품들을 정리정돈하여 야외 현장에 비치함으로써 분실이나 파손의 위험을 일부 해소하고, 또한 사용자가 다양한 종류의 소방용품들을 신속하게 사용가능하게 되면서 초기 진화에 적극적이며, 특히 이러한 보관함에 살수기를 적용하여 물이 필요한 적지 적소에 보다 간편한 방식으로 다량의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한 소방용구함에 관련된 것임을 주지한다.
도 1 내지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식 소방용구함(100)은 상하 복층 구조로 형성하여 철저하게 상하 분리된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 각각 제1수용부(30)와 제2수용부(90)로 구분된다. 그리고, 상면 양단에 이동고리(96)를 천공하여 크레인 등의 중장비로 들어올려 이동성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고, 역시 이동의 편리함을 위해 저면에는 수개의 바퀴(60)를 등 간격으로 장착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1수용부(30)는 상하 복층으로 분리된 영역 중 상단에 해당하는 일정 공간부를 칭하는 것이며, 여기에 살수기 일체(10), 분말식 소화기(11), 투척식 소화기(12), 삽(13), 깔꾸리, 양동이 등의 소방안전기구들을 적절하게 다수 배치할 수 있다.
분말식 소화기(11)가 배치될 구역에는 소화기 몸체를 고려하여 이와 적합한 크기와 형상이 되도록 고정구(20)를 설치하되, 상기 고정구는 소화기의 하측 일부가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로 형성되고, 후면 방향으로 일정 각도 비스듬하게 설치되며, 설치된 고정구 내측으로 분말식 소화기를 인입시켜 소화기 하방 일부가 고정구(20)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또한, 사용기한이나 사용량이 비교적 제한적이어서 사용주기가 짧은 분말식 소화기의 특징을 감안해, 이러한 야외 현장에서는 다수의 소화기를 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 고정구 또한 제1수용부 내측에 일렬로 다수 구비한다. 분말식 소화기(11)가 내재되는 해당 후면에는 일정 공간을 절개하여 외부와 관통되게 함으로써 이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 고정구(20)로부터 빼내고 끼우는 일련의 행위에 편리함을 도모한다.
삽이나 깔꾸리 등은 제1수용부(30) 내측 후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거치대(21)에 수용되고, 적절한 수용을 위하여 상기 거치대를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하여서 삽이나 깔꾸리의 몸통 부분 중 균등하게 무게 중심이 이루어질 수 있는 영역에 거치될 수 있게 하였다.
투척식 소화기(12)는 통상적으로 쉽게 진입할 수 없는 구역에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에 투척하여 그 내부에 충만된 소화액이 밖으로 분출되면서 진화가 이루어지는 소방용품으로, 외부 충격에 쉽게 깨질 수 있는 캡슐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보관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를 위해, 제1수용부에는 투척식 소화기의 외주연을 감싸는 방식으로 결착 고정되는 걸림유도구(22)를 하나 이상 구비하여 이러한 특성을 가진 투척식 소화기가 유동성 없이 배치될 수 있게 한다.
제1수용부에는 전방에 대해 고압으로 물을 지속적으로 분사하기 위한 살수기(10)가 더 장착된다. 이러한 살수기는, 모터(1)의 회전 구동력으로 저수조(91)에 충만된 물을 송수관(2)을 통해 흡입하고 배수관(3)을 통해 배출하는 펌프(7);와, 펌프의 배수관(3)에 끼워져 연결되도록 중앙 영역에 연결관(45)이 구비되며 일정 길이로 형성된 살수호스(46)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드럼(47);과, 살수호스의 끝단에 연결되어 물을 분사하는 살수노즐(50);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펌프는, 인근에 배치된 모터(1)와 벨트(5)로 연결되어 일정 동력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모터의 회전에 따라 펌프와 연결 설치된 송수관(2)으로부터 일정량의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송수관의 일단은 제2수용부(90)의 저수조(91) 저면에 위치되어 동력 발생시 담수된 물을 흡입하고, 타단은 펌프 일측 저면에 고정 장착되어 흡입된 물을 펌프로 공급한다. 송수관 외주연에는 인입부재(9)를 부가 장착하여 송수관 일단이 저수조에 유입되면,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의 경계면을 단차 형성시킨 홈 영역에 상기 인입부재를 삽입함으로써 송수관이 쉽게 유동되지 않도록 방지하게 된다. 즉, 인입부재(9)는 송수관(2)에 끼워진 상태에서 소정의 홈에 안착되어 홈이 자체 형성하는 단차로 인해 홈 밖으로 벗어나지 못하고 구속됨에 따라 송수관을 고정할 수 있다.
송수관을 통해 유입된 물은, 펌프 상단에서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권취드럼의 연결관(45)에 각각 연결 설치되는 배수관(3)을 통해 살수호스(46)로 이송된다.
상기 권취드럼(47)은 살수호스를 일정량 감고 풀어 화재가 발생한 현장에 이르는 거리에 알맞게 호스를 공급하도록 하는 구성요소로, 그 일측에는 이러한 감고 푸는 조작을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권취손잡이(48)가 구비된다. 이러한 권취손잡이는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수용부(30)의 외면에 노출된 상태로 형성하여 비교적 무게가 상당한 살수호스(46)를 감거나 푸는 작업이 간편할 수 있도록 하였다.
권취드럼의 연결관(45)은 배수관의 타단과 결합되고, 배수관(3)과 결합하는 연결관의 또 다른 끝단은 살수호스(46)의 일단과 연결 구성되도록 하여 송수관으로부터 이어지는 물의 흐름을 살수노즐(50)까지 연장되게 한다.
제1수용부(30)는 상기의 여러 소방용구들을 보다 안전한 상태로 수용하기 위하여 투명한 재질의 커버체(97)를 일 측면에서 자유롭게 왕복구동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제1수용부 상하 전면에 레일을 구비하여 커버체가 일 방향 안내되면서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평상시에 외부로부터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은 물론, 살수기의 사용시 기타 전기장치 및 구성요소들에 물이나 기타 이물질이 튀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부(90)는 그 내부가 소정의 깊이와 공간으로 이루어져 다량의 물을 저장하고 유지하기 위한 저수조(91)를 포함하는 하측 공간부를 지칭한다. 이러한 저수조에 물을 담수하여 살수호스(46)에 적절하게 공급함으로써 사용자는 살수노즐(50)을 조작하여 원하는 위치에 적정량의 물을 분사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이동식 소방용구함(100)에는 다수의 바퀴(60)를 저면에 장착하여 이동에 유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 저수조(91)에 수용된 물의 잔여량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외측면에 통상의 방식으로 게이지(95)를 구비할 수 있으며, 겨울이나 기타 기온이 낮은 상황에 대비하여 저수조에 담수된 물이 얼지 않도록 전원의 인가로 작동하는 전열기(70)를 제1수용부에 내재하여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제1수용부는 그 상면에 복수의 경광등(99)을 적정 거리를 두고 이격 배치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경광등은 통상의 것으로서 몸체에 내장된 건전지 또는 전기의 인가로 작동될 수 있으며, 전기의 인가로 작동되는 경광등(99)의 경우에는 제1수용부 내측 공간에 구비된 전기선과 결부될 수 있도록 하여 화재발생시 주변 사람들에게 이러한 화재 사실을 쉽게 인식시킬 수 있게 발광한다. 이는, 일반적인 기술사항이므로 더 이상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대해 작동개요 및 그로 인해 파생되는 효과를 위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동식 소방용구함(100)은, 상하 복층으로 분리된 영역을 구축하여 그 내부가 소정의 깊이와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제1수용부(30) 및 제2수용부(90)를 형성하고, 제1수용부에는 살수기(10) 및 전열기(70)를 포함한 여러 종류의 소방안전용품 등을 내재하는 한편, 제2수용부에는 살수기의 운용시 필수 불가결한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저수조(91)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1수용부에 내재되는 물품의 종류를 투척식 소화기와 분말 소화기, 고압 살수기, 삽, 깔꾸리, 양동이, 살수기, 전열기 및 전기선 등으로 한정하여 제시하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 비상안전등, 방연마스크, 구명로프, 산호호흡기 등의 용품을 부가 수용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는 살수노즐(50)을 잡고서 권취드럼(47)에 권취된 살수호스(46)를 후면의 절개면을 통해 일부 풀어내어 화재가 발생한 장소에 다다르게 하는 한편, 전기선(80) 또한 후면의 또 다른 절개면 공간으로 권해하여 원거리에 배치된 콘센트에 끼워 전기를 흘려주게 된다. 이러한 전기선에 모터(1)를 연결하여 전기의 인가가 이루어지면 모터의 회전운동으로 풀리 상에 배치된 벨트가 회전하고, 이로써 모터가 구동되어 펌프(7)가 가동되며, 가동된 펌프의 펌핑력에 의해 송수관(2)을 타고 저수조(91)의 물이 흡입된다. 송수관을 거쳐 흡입된 물은 펌프 일측에서 권취드럼과 연결 설치된 배수관(3)을 경유하고, 권취드럼의 연결관을 거쳐 살수호스에 진입되어 살수노즐에 의해 분사됨으로써 불길을 소화시켜 진화할 수 있게 된다.
즉, 저수조에 채워진 물을 펌핑시키기 위해 펌프에 연결된 송수관을 저수조 내부에 담수시켜 펌프에 의해 일정량의 물을 펌프 선단부까지 끌어올린 후, 재차 배수관을 통해 배출하면서 살수호스 끝단에 장착시킨 살수노즐(50)을 조작하여 살수를 행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 예에 따라 구성된 소방용구함의 외형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동식 소방용구함 전면에는 화재 예방을 위한 표시부(98)를 적절히 배치하여 소방계몽문구로 활용하는 것은 물론, 이러한 표시부를 전광판 형식으로 제작하여 전면에 부착함으로써 식별력 있고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여 장식적 미감을 유도하고, 용이한 식별로 인해 사용자가 신속하고 능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전기선(80)에 인가되는 전기로 소방용구함 외면 상측에 장착된 경광등(99)을 동시에 발광시켜 주위 사람들에게 화재 사실을 알릴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모터 2: 송수관
3: 배수관 5: 벨트
7: 펌프 9: 인입부재
10: 살수기 11: 분말식 소화기
12: 투척식 소화기 20: 고정구
21: 거치대 22: 걸림유도구
30: 제1수용부 45: 연결관
46: 살수호스 47: 권취드럼
48: 권취손잡이 50: 살수노즐
80: 전기선 90: 제2수용부
91: 저수조 97: 커버체
96: 이동고리 98: 표시부
99: 경광등
100: 이동식 소방용구함

Claims (3)

  1. 여러 종류의 소방안전기구나 용품 등을 비치하고 보관하는 소방안전기구보관함에 있어서,
    일측에서 왕복 슬라이드 구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커버체(97),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분말식 소화기 외주연을 일부 수용하는 고정구(20), 내측 후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며 이격된 거리에 대향 배치되는 거치대(21), 투척식 소화기 외주연에 결착되어 유동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걸림유도구(22), 전방으로 고압의 물을 분사하기 위한 살수기(10), 열선이 내장되어 결빙을 방지할 수 있는 전열기(70) 및 이러한 전기장치를 운용하기 위하여 전원을 인가하는 전기선(80)으로 이루어지는 제1수용부(30);와,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고 유지하기 위한 저수조(91)로 충만되는 제2수용부(90);가 포함되고,
    상기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는 상하 복층의 분리된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소방용구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기(10)는,
    모터의 회전 구동력으로 저수조에 충만된 물을 송수관을 통해 흡입하고 배수관을 통해 배출하는 펌프(7); 펌프의 배수관에 끼워져 연결되도록 중앙 영역에 연결관이 구비되며 일정 길이로 형성된 살수호스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드럼(47); 살수호스의 끝단에 연결되어 물을 분사하는 살수노즐(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소방용구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드럼(47)에는 권취손잡이(48)가 제1수용부 외측 일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소방용구함.
KR1020100049355A 2010-05-26 2010-05-26 이동식 소방용구함 KR201101297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355A KR20110129786A (ko) 2010-05-26 2010-05-26 이동식 소방용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355A KR20110129786A (ko) 2010-05-26 2010-05-26 이동식 소방용구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786A true KR20110129786A (ko) 2011-12-02

Family

ID=45498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9355A KR20110129786A (ko) 2010-05-26 2010-05-26 이동식 소방용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9786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88279A (zh) * 2017-03-14 2017-08-25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施工现场的微型移动消防站
KR20190036900A (ko) 2017-09-28 2019-04-05 동림기술 주식회사 이동식 소화장치
KR20200001396U (ko) 2018-12-18 2020-06-26 김미자 이동식 소화장치
KR102146818B1 (ko) * 2020-05-18 2020-08-21 (주)선한이엔지 공동주택의 소방 안전 기구함 장치
KR102146819B1 (ko) * 2020-06-15 2020-08-21 (주) 더베스트이앤씨 공동주택의 전기 동력을 이용한 소방안전기구 장치
KR102156266B1 (ko) * 2020-02-10 2020-09-15 (주) 인곡기술사사무소 건축물의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이동식 소방 용구 보관함
KR102527910B1 (ko) 2022-05-06 2023-05-02 주식회사 비즈케어 이동식 비상 소방장비와 이를 이용한 초기 화재 진압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88279A (zh) * 2017-03-14 2017-08-25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施工现场的微型移动消防站
KR20190036900A (ko) 2017-09-28 2019-04-05 동림기술 주식회사 이동식 소화장치
KR20200001396U (ko) 2018-12-18 2020-06-26 김미자 이동식 소화장치
KR102156266B1 (ko) * 2020-02-10 2020-09-15 (주) 인곡기술사사무소 건축물의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이동식 소방 용구 보관함
KR102146818B1 (ko) * 2020-05-18 2020-08-21 (주)선한이엔지 공동주택의 소방 안전 기구함 장치
KR102146819B1 (ko) * 2020-06-15 2020-08-21 (주) 더베스트이앤씨 공동주택의 전기 동력을 이용한 소방안전기구 장치
KR102527910B1 (ko) 2022-05-06 2023-05-02 주식회사 비즈케어 이동식 비상 소방장비와 이를 이용한 초기 화재 진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29786A (ko) 이동식 소방용구함
JP7214446B2 (ja) ドローンを用いた消火システム
US20080099212A1 (en) Modified Fire Fighting Truck
WO2006083558A3 (en) Fire fighting system
US20190299038A1 (en) Mobile Sprinkler System
JP3165248U (ja) 水霧化消火装置
RU121167U1 (ru) Передвижной пожарный модуль (варианты)
AU2011310079A1 (en) Fire extinguishing device
KR101003795B1 (ko) 화재 진압용 소화기
US20090126952A1 (en) Air-borne fire extinguisher system
KR100756924B1 (ko) 휴대용 고압수 분사장치
CN210355759U (zh) 一种手抬式高压细水雾灭火装置
KR20200001396U (ko) 이동식 소화장치
KR200438803Y1 (ko) 산불 진화 장치
KR20070019257A (ko) 휴대용 자동 분무기
KR20090105195A (ko) 화재 진압용 양수장치
US20160228733A1 (en) Extended Fire Hose System
KR200431869Y1 (ko) 휴대용 산불 진화장치
KR100468892B1 (ko) 모터 펌프가 없는 화제진압 소방용 스프링 쿨 라 및공해가 없는 소화기 제조 형성 및 시공 방법
KR200177552Y1 (ko) 고지대 및 산의 화재 진화용 수조
CN205796301U (zh) 一种多功能组合高效灭火器
RU117297U1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варианты)
KR100421801B1 (ko) 소방용 카트
KR100770293B1 (ko) 휴대용 산불 진화시스템
CN103464323B (zh) 一种室内应急消防电动喷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