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9694A -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9694A
KR20110129694A KR1020100049213A KR20100049213A KR20110129694A KR 20110129694 A KR20110129694 A KR 20110129694A KR 1020100049213 A KR1020100049213 A KR 1020100049213A KR 20100049213 A KR20100049213 A KR 20100049213A KR 20110129694 A KR20110129694 A KR 20110129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input shaft
vehicle
shaft portion
heat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9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7060B1 (ko
Inventor
김홍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드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드림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드림텍
Priority to KR1020100049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7060B1/ko
Publication of KR20110129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9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7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7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21K1/06Making machine elements axles or shafts
    • B21K1/066Making machine elements axles or shafts spl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21C23/02Making uncoated products
    • B21C23/04Making uncoated products by direct extrusion
    • B21C23/14Making othe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6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for performing particular operations
    • B21J5/08Upset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2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plain 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상부샤프트와 하부샤프트로 이루어진 인풋샤프트를 하나의 단일체로 형성한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 제조방법은, 준비된 소재를 다이스에 삽입하고 펀치로 가압 소성 변형시켜 상부샤프트부로 성형될 부분과 하부샤프트부로 성형될 부분으로 성형하는 업세팅 공정과, 상기 상부샤프트부가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에 조립될 수 있도록 상부샤프트부의 상부쪽에 연결부가 형성될 부분을 예비성형하는 공정과, 상기 예비성형 된 부분을 대략적인 연결부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압출공정과, 상기 압출된 연결부를 스티어링 휠에 조립될 수 있는 형상으로 성형하면서 인풋샤프트가 자동차의 샤시에 장착 가능하도록 연결부와 상부샤프트 사이에 플랜지를 성형하는 공정과, 상기 하부샤프트부에 유니버셜 조인트와 조립하기 위한 스플라인을 성형하는 공정과, 상기 연결부를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에 고정할 수 있도록 연결부의 상단부에 고정홈을 형성하고, 상부샤프트 및 스플라인에는 각각의 홈을 형성하는 절삭공정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가 스티어링 휠에 연결되는 상부조인트와, 일측이 상기 상부조인트의 하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자동차의 조향장치를 구성하는 유니버셜 조인트에 조립되는 자동자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에 있어서,
상기 상부조인트와 하부조인트는 연결부 없이 단일체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 및 그 제조방법{INPUT SHAFT OF STEERING SYSTEM FOR VEHICL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샤프트와 하부샤프트로 이루어진 인풋샤프트를 하나의 단일체로 형성한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풋샤프트는 그 상부 및 하부가 자동차에 제공되는 스티어링 휠과 조향위상각을 조절하는 유니버셜 조인트와 각각 연결되어 가벼운 핸들력으로 자동차를 정확한 각도로 선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향장치의 한 부품이다.
이러한 인풋샤프트는 서로 연결되는 상부샤프트와 하부샤프트로 이루어지며, 상부샤프트는 스티어링 휠에 연결되고 하부샤프트는 유니버셜 조인트에 조립된다.
인풋샤프트를 구성하는 하부샤프트 외측면에는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이와 대응되는 세레이션이 내주연부에 형성된 유니버셜 조인트와 연결되어 인풋샤프트가 유니버셜 조인트에서 슬라이딩 되면서 작동함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인풋샤프트는 상부샤프트와 하부샤프트를 따로 제조 및 가공하여 핀에 의하여 결합하여 조립된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를 조립한 상태의 사시도로서, 상기 인풋샤프트는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샤프트(Upper shaft)(1)와,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샤프트(Lower shaft)(2) 및 이들 상,하부샤프트(1)(2)를 연결하는 핀(3)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샤프트(1)의 하단부와 하부샤프트(2)의 상단부는 서로 끼워 맞춤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가공되며, 이들 상,하부샤프트(1)(2)의 조립된 부분에는 관통홀(4)(5)이 각각 형성되어 핀(4)이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핀(3)은 홀(4)(5)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되어 상,하부샤프트(1)(2)가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핀(3)을 압입한 후 강력한 체결을 위하여 핀의 표면에는 널링 가공 등에 의하여 스크래치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홀(4)(5)은 상,하부샤프트(1)(2)를 조립한 상태로 드릴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샤프트(2)의 하부에는 유니버셜 조인트와 조립하기 위한 스플라인(6)이 성형된다.
이와 같이 인풋샤프트를 상부샤프트(1)와 하부샤프트(2)로 각각 나누어 제조하는 이유는 상부샤프트(1)와 하부샤프트(2)의 재질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즉, 스티어링 휠과 연결되는 상부샤프트(1)는 가장 큰 토크를 받는 부분이므로 강도 높은 재질을 사용하여 운전자의 안전과 스티어링 휠의 작동 오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하부샤프트(2)는 원가절감을 위하여 상부샤프트(1)에 비하여 가격이 싼 다른 재질을 사용하여 최소한의 가공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종래의 인풋샤프트는 상부샤프트(1)와 하부샤프트(2)를 핀(3)으로 조립하는 구조이므로 구조적인 강도가 약하고 사용시간이 누적되면서 연결된 부위에 유격이 발생하거나 이로 인하여 핀이 빠져나오는 문제점이 있다.
이렇게 상.하부샤프트(1)(2) 연결부위에 유격이 발생하거나 핀이 빠져나오면 자동차의 운행 중 방향 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거나 방향조절이 불가능하여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또한 상부샤프트(1)와 하부샤프트(2)를 각각 제조한 다음 홀(4)(5)을 뚫고 여기에 핀(3)을 조립해야함으로 작업이 번거롭고 제조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떨어진다.
제조를 간단하게 하기위하여 상부샤프트(1)와 하부샤프트(2)를 용접으로 연결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들 상,하부샤프트(1)(2)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용접이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용접 시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소재의 특성이 변하여 강도가 낮아지고 이로 인하여 제품의 안전성 및 신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샤프트와 하부샤프트가 하나의 단일체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 제조방법은, 준비된 소재를 다이스에 삽입하고 펀치로 가압 소성 변형시켜 상부샤프트부로 성형될 부분과 하부샤프트부로 성형될 부분으로 성형하는 업세팅 공정과, 상기 상부샤프트부가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에 조립될 수 있도록 상부샤프트부의 상부쪽에 연결부가 형성될 부분을 예비성형하는 공정과, 상기 예비성형 된 부분을 대략적인 연결부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압출공정과, 상기 압출된 연결부를 스티어링 휠에 조립될 수 있는 형상으로 성형하면서 인풋샤프트가 자동차의 샤시에 장착 가능하도록 연결부와 상부샤프트 사이에 플랜지를 성형하는 공정과, 상기 하부샤프트부에 유니버셜 조인트와 조립하기 위한 스플라인을 성형하는 공정과, 상기 연결부를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에 고정할 수 있도록 연결부의 상단부에 고정홈을 형성하고, 상부샤프트 및 스플라인에는 각각의 홈을 형성하는 절삭공정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절삭공정이 완료된 후 상,하부샤프트부에는 열처리공정이 더욱 행하여지고, 이 열처리공정은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상부샤프트부의 일부분 및 하부샤프트부에만 열처리를 행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가 스티어링 휠에 열결되는 상부조인트와, 일측이 상기 상부조인트의 하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자동차의 조향장치를 구성하는 유니버셜 조인트에 조립되는 자동자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에 있어서,
상기 상부조인트와 하부조인트는 연결부 없이 단일체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 및 그 제조방법은 하나의 단조설비에서 모든 공정이 한 번에 이루어지면서 상부샤프트와 하부샤프트가 일체형으로 제조됨으로 종래에 비하여 제품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생산성을 확보하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단일 소재를 이용하여 하나의 단조금형으로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인풋샤프트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상부샤프트, 하부샤프트, 핀을 제조하는 각각의 금형을 마련하는 것에 비하여 금형성형비용을 절약하고 설치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플라즈마 열처리로 열처리를 행하여 인풋샤프트룰 구성하는 소재의 변형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를 조립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 제조방법의 각 공정을 통하여 단조공정으로 인풋샤프트가 제조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단조공정으로 성형된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에 절삭공정을 행하여 완성된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에 열처리를 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가 제조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는 도 2에서와 같이 냉간 다단단조 공정으로 제품의 외형을 제조한 다음 도 3에서와 같이 절삭가공을 통하여 완제품의 형태로 제조되는데, 이를 위하여 먼저 도 2a에서와 같이 원소재 절단공정을 통하여 소정의 외경을 갖는 원재료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소재(M)를 마련한다.
상기 소재(M)의 절단은 원소재를 냉간 다단 단조장비에 투입하여 원형으로 감겨져 있는 원소재를 포마기 압연공급부에서 직선으로 평활하게 하여 공급하면서, 그 단부가 스토퍼에 접촉되면 커팅 나이프가 작동하면서 일정길이의 소재를 절단하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절단공정 시 절단된 소재(M)는 제조하려는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의 길이 및 체적과 펀치부의 작용으로 압축되는 비율을 정확히 계산하여 절단 길이를 미리 결정한 후 진행된다.
이렇게 소재(M)가 마련되면, 이 소재(M)를 도시되지 않은 이송장치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설치된 다이스를 차례로 이동하면서 이들 각각의 다이스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설치된 각각의 펀치로 소재(M)를 가압 소성 변형시켜, 도 2b 내지 도 2g에서와 같은 성형공정을 통하여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를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절단된 소재(M)가 마련되면, 이 소재(M)를 도 2b 및 도 2c에서와 같이 단조로 업세팅하여 소재(M)의 대략 중앙부분을 중심으로 소재(M)에 비하여 상부의 직경은 더 크게 하부의 직경은 작아지게 소성 변형시켜 상부샤프트부(10)로 성형될 부분과 하부샤프트부(20)로 성형될 부분으로 단을 나누어 성형한다. 그리고 이 단을 기준으로 뒤에서 설명되는 공정들을 통하여 상,하부샤프트부가 일체로 이루어진 인풋샤프트로 성형한다.
이러한 업세팅 공정은 본실시예에서는 제1업세팅 공정(도 2b 참조)을 행하여 소재(M)의 대략 중앙부분을 기준으로 상부샤프트부(10)로 성형될 부분과 하부샤프트부(20)로 성형될 부분으로 개략적으로 성형한 다음, 이것을 재2업세팅 공정(도 2c 참조)을 행하여 제조하려는 인풋샤프트의 상부샤프트부(10)와 하부샤프트부(20)로 성형될 부분과 유사한 비율로 성형한다.
이러한 업세팅 공정은 한 번의 공정으로도 할 수 있다. 그러나 본실시예에서와 같이 2번의 공정으로 나누어 행하면 단조성형의 취약점을 줄이면서 성형성을 높일 수 있다.
업세팅 공정이 완료되면 도 2d에서와 같이 상부샤프트부(10)가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에 조립될 수 있도록 상부샤프트부(10)의 상부쪽에 연결부(30)가 형성될 부분을 예비성형 하는 공정을 행한다. 이 공정에서는 상부샤프트부(10)의 상부쪽 직경을 작게 성형하여 이 부분이 후술하는 공정들을 통하여 연결부로 성형된다.
이렇게 예비성형공정이 완료되면 도 2e에서와 같이 상기 예비성형 된 연결부(30)를 대략적인 연결부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압출공정을 행한다. 이 공정을 통하여 연결부(30)는 완성된 형태에 좀 더 근접하게 되며, 연결부(30)와 상부샤프트(10) 사이에는 경계면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정이 완료된 다음에는 상기 압출된 연결부(30)를 스티어링 휠에 조립될 수 있는 형상으로 성형하면서 인풋샤프트가 자동차의 샤시에 장착 가능하도록 연결부(30)와 상부샤프트(10) 사이에 플랜지(40)를 성형하는 공정을 행한다. 이 공정을 통하여 연결부(30)는 단면이 원형에서 사각형으로 성형되고, 연결부(30)와 상부샤프트부(10) 사이는 원주방향으로 확장되면서 소정의 원주율을 갖는 플랜지(40)가 성형된다.
상기 공정에서 성형된 연결부(30)는 단면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삼각형 또는 다각형 등으로 성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정이 완료되면 도 2f에서와 같이 하부샤프트부(20)의 일축에 유니버셜 조인트와 조립하기 위한 스플라인(50)을 성형하는 공정을 행한다.
이러한 스플라인 성형공정은 하부샤프트부(20)의 전체길이에 걸쳐 성형할 수도 있고, 본실시예에서와 같이 하부샤프트부(20)의 끝단부로부터 일정길이만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부샤프트(20)에 성형된 스플라인(50)은 이와 조립되는 유니버셜 조인트(미도시)의 내주면에 형성된 세레이션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한다.
이 하부샤프트(20)와 유니버셜 조인트의 조립은 상호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면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조립 방식으로 서로 조립된다.
상기와 같은 스플라인 성형공정이 끝나면 냉간 다단공정이 완료되면서 상부샤프트부(10)와 하부샤프트부(20)가 일체로 이루어진 인풋샤프트가 단조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부샤프트부(10)와 하부샤프트부(20)는 완성된 형태를 이루지만 이를 조향장치에 장착하기 위한 부분이 가공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이를 다른 공정을 통하여 가공한다.
즉, 냉간 다단공정을 통하여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상,하부샤프트부(10)(20)가 성형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30)의 상부면에 고정홈(32)을 형성하고, 상부샤프트부(10) 및 스플라인(50)의 하단부에는 키홈(12) 및 장착홈(52)을 각각 형성한다.
상기 키홈(12)은 상부샤프트부(10)의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장착홈(52)은 하부샤프트부(20)의 원주방향으로 형성한다.
고정홈(32)은 토션바(Torsion-Bar)를 억지끼움 방식으로 압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홈으로서 상부샤프트부(10)가 위치한 깊이만큼 형성된다.
스플라인(50)의 끝단부에 형성된 장착홈(52)은 볼 또는 링과 같은 구름베어링을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플라인(50)의 장착홈(52)에 구름베어링을 장착하면 하부샤프트부(20)를 유니버셜 조인트에 조립하여 사용할 경우 인풋샤프트가 충격을 흡수하면서 슬립 구동 할 수 있게 된다.
이들 홈(32)(12)(52)을 성형하는 공정은 절삭가공을 이용하여 성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절삭가공 공정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절삭가공공이 완료되면 상부샤프트부(10)와 하부샤프트부(20)로 이루어진 인풋샤프트는 단일체의 구조를 갖게 된다.
이렇게 제조된 인풋샤프트는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스티어링 휠로부터 힘을 받는 상,하부샤프트부(10)(20)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열처리공정을 행할 수 있다.
이때 열처리공정은 고주파 열처리, 질화열처리, 일반열처리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열처리 방법은 소재를 변형시키거나 변형시킬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인풋샤프트 제조공정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풋샤프트 제조에 있어서 열처리공정은 소재의 변형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한 플라즈마 열처리공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플라즈마 열처리공정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열처리공정은 상부샤프트부(10)의 일정부분 및 하부샤프트부(20)에만 열처리를 행하는 부분 열처리공정으로 이루어지는데, 그 이유는 열처리되지 않은 부분에는 인풋샤프트를 제조완료 한 다음 토션바를 고정하기 위하여 관통홀 가공공정을 행하기 때문이다.
도 4는 상기와 같은 부분 열처리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인풋샤프트의 일정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열처리를 행하기 위하여 홀더(100)가 사용된다.
이 홀더(10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지지홈(110)이 형성되어 한 번에 다수개의 인풋샤프트를 열처리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지지홈(110)은 하부샤프트(20)는 통과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이보다 큰 직경을 갖는 상부샤프트(10)의 일부분은 통과하고 일부분은 걸려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지지홈(110)에 인풋샤프트를 끼우고 열처리를 행하면 지지홈(110)에 삽입된 부분은 열처리 되지 않고 그 나머지 부분만 열처리가 된다. 즉, 홀더(100)의 두께 만큼 열처리가 되지 않고 나머지 부분만 열처리가 행하여진다.
이렇게 상부샤프트부(10)의 일정부분을 제외하고 열처리 공정이 완료되면 인풋샤프트의 제조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통하여 제조된 인풋샤프트의 사용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홈(32)에 토션바(200)를 억지끼움 방식으로 강제로 압입하고, 상부샤프트부(10)의 열처리되지 않은 부분에 드릴링 등으로 관통홀(300)을 형성한 후 고정핀(Dowel Pin)(400)을 삽입하여 토션바(200)를 고정한다.
그리고 상부샤프트부(10) 및 토션바(200)는 도시되지 않은 스티어리링 휠에 고정하고, 하부샤프트부(20)는 스플라인(50)의 장착홈(52)에 구름베어링(미도시)을 장착하고 유니버셜 조인트(미도시) 내부로 끼워 조립하면 된다.
10: 상부샤프트부 12: 키홈
20: 하부샤프트부 30: 연결부
32: 고정홈 40: 플랜지
50: 스플라인 52: 장착홈
100: 홀더 110: 지지홈
200: 토션바 300: 관통홀
400: 고정핀

Claims (11)

  1. 준비된 소재를 다이스에 삽입하고 펀치로 가압 소성 변형시켜 상부샤프트부로 성형될 부분과 하부샤프트부로 성형될 부분으로 단을 나누는 업세팅 공정;
    상기 상부샤프트부의 상부에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에 조립될 수 있도록 연결부가 형성될 부분을 예비성형하는 공정;
    상기 예비성형 된 부분을 대략적인 연결부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압출공정;
    상기 압출된 연결부를 스티어링 휠에 조립될 수 있는 형상으로 성형하면서 인풋샤프트가 자동차의 샤시에 장착 가능하도록 상부샤프트부에 플랜지를 성형하는 공정;
    상기 하부샤프트부에 유니버셜 조인트와 조립하기 위한 스플라인을 성형하는 공정;
    상기 연결부를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에 고정할 수 있도록 연결부의 상단부에 고정홈을 형성하고, 상부샤프트 및 스플라인에는 각각의 홈을 형성하는 절삭공정;
    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삭공정이 완료된 후 상부샤프트부 및 하부샤프트부에는 열처리공정이 더욱 행하여지는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공정은 플라즈마 열처리를 이용하는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 제조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공정은 상부샤프트부의 일정부분을 제외하고 열처리를 행하는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 제조방법.
  5. 상부가 스티어링 휠에 연결되는 상부조인트와, 일측이 상기 상부조인트의 하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외주연부에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자동차의 조향장치를 구성하는 유니버셜 조인트에 조립되는 자동자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에 있어서,
    상기 상부조인트와 하부조인트는 연결부 없이 단일체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부샤프트부의 스플라인에는 장착홈이 형성되고, 이 장착홈에는 구름베어링이 제공된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부샤프트부 및 하부샤프트부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부샤프트부의 일부분 및 하부샤프트부는 열처리 된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부샤프트부와 하부샤프트부 사이에는 플랜지가 형성된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부샤프트부의 상부는 연결부로 이루어지고 이 연결부의 상부면에는 고정홈이 형성된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부샤프트부에는 키홈이 형성된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
KR1020100049213A 2010-05-26 2010-05-26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257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213A KR101257060B1 (ko) 2010-05-26 2010-05-26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213A KR101257060B1 (ko) 2010-05-26 2010-05-26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694A true KR20110129694A (ko) 2011-12-02
KR101257060B1 KR101257060B1 (ko) 2013-04-22

Family

ID=45498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9213A KR101257060B1 (ko) 2010-05-26 2010-05-26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706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45228A (zh) * 2012-08-04 2012-10-24 浙江金峰汽车零部件制造有限公司 一种电动助力转向管柱的输入轴
KR101348740B1 (ko) * 2012-05-29 2014-01-16 (주)영완 정밀도가 향상된 핀 샤프트, 그 제조방법 및 그 이용방법
KR101506308B1 (ko) * 2013-11-19 2015-03-27 (주)영완 접이식 자전거용 힌지 액슬 볼트의 제조방법
WO2015182826A1 (ko) * 2014-05-30 2015-12-03 주식회사 세림티앤디 측방 압출 방식의 냉간 단조를 이용한 전자동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용 헬리컬 캐리어 제조방법
KR101715518B1 (ko) * 2015-10-30 2017-03-2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냉간포머를 이용한 리액션 샤프트의 스플라인기어 성형 방법
CN109048209A (zh) * 2018-08-01 2018-12-21 张家港中环海陆特锻股份有限公司 防止42CrMo4环件辗环下表面内侧倒角开裂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716B1 (ko) 2014-02-10 2016-11-16 최광일 자동차 변속기용 인풋 샤프트 제조방법
KR101468360B1 (ko) * 2014-05-21 2014-12-04 하명세 인풋 샤프트 제조방법
KR20160096858A (ko) 2015-02-06 2016-08-17 최광일 자동차 변속기용 인풋 샤프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641569B1 (ko) * 2015-11-11 2016-07-22 (주)대일씨에프티 드라이브 샤프트의 냉간 단조 방법
KR20190108251A (ko) 2018-03-14 2019-09-24 (주)성진포머 일체형 인풋 샤프트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일체형 인풋 샤프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24949B2 (ja) * 1995-01-26 1997-06-25 関口産業株式会社 スタブシャフトの製造方法
KR20050100981A (ko) * 2004-04-16 2005-10-20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차량 조향 장치용 인텀 샤프트 제조 방법
KR20060116099A (ko) * 2005-05-09 2006-11-14 주식회사 드림텍 자동차용 유니버셜 조인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046189B1 (ko) * 2008-08-18 2011-07-04 덕창기계주식회사 중실축 유니버셜 조인트용 중실축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740B1 (ko) * 2012-05-29 2014-01-16 (주)영완 정밀도가 향상된 핀 샤프트, 그 제조방법 및 그 이용방법
CN102745228A (zh) * 2012-08-04 2012-10-24 浙江金峰汽车零部件制造有限公司 一种电动助力转向管柱的输入轴
KR101506308B1 (ko) * 2013-11-19 2015-03-27 (주)영완 접이식 자전거용 힌지 액슬 볼트의 제조방법
WO2015182826A1 (ko) * 2014-05-30 2015-12-03 주식회사 세림티앤디 측방 압출 방식의 냉간 단조를 이용한 전자동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용 헬리컬 캐리어 제조방법
KR101715518B1 (ko) * 2015-10-30 2017-03-2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냉간포머를 이용한 리액션 샤프트의 스플라인기어 성형 방법
CN109048209A (zh) * 2018-08-01 2018-12-21 张家港中环海陆特锻股份有限公司 防止42CrMo4环件辗环下表面内侧倒角开裂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7060B1 (ko) 2013-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7060B1 (ko)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인풋샤프트 및 그 제조방법
EP1566286B1 (en) Race member in hub uni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20060116099A (ko) 자동차용 유니버셜 조인트 및 그 제조방법
CN102862020B (zh) 汽车用转向装置的输入轴及其制造方法
EP3371034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rack bar
US20040060385A1 (en) One-piece axle tube housing assembly
KR20110045311A (ko) 자동차용 조향 조인트 및 그 제조방법
JPH11500977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固定組立体及びその製法
CN108367334B (zh) 中空管材的制造方法
WO2011118378A1 (ja) 自動車用ドアヒンジの製造方法
KR101930335B1 (ko) 파이프를 이용한 유니버셜 조인트 제조방법
KR20160006431A (ko) 자동차 조향장치용 파이프 조인트의 제조방법
EP3003596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metal core for resin gear
JP3787767B2 (ja) 鍔付き連結シャフトの製造方法
EP1925382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a fastening system for steering apparatus
KR20190108251A (ko) 일체형 인풋 샤프트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일체형 인풋 샤프트
EP2738408B1 (en) Cruciform-shaft universal join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1272252B1 (ko)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핀치볼트요크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29300A (ko) 냉간단조공법을 통한 장축 중공형 드라이브샤프트 제조방법
US9856965B2 (en) Metal core for resin gear and resin gear composite member
KR101592255B1 (ko) 냉간포머를 이용한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핀치요크 제조방법
KR101356132B1 (ko) 자동차용 유니버설 조인트의 파이프조인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412705B1 (ko) 자동차용 유니버설 조인트의 샤프트조인트 제조방법
JP2624949B2 (ja) スタブシャフトの製造方法
KR101497376B1 (ko) 자동차 변속기용 인풋 샤프트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