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9555A -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9555A
KR20110129555A KR1020100048992A KR20100048992A KR20110129555A KR 20110129555 A KR20110129555 A KR 20110129555A KR 1020100048992 A KR1020100048992 A KR 1020100048992A KR 20100048992 A KR20100048992 A KR 20100048992A KR 20110129555 A KR20110129555 A KR 20110129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code
product
information
bar code
ded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1341B1 (ko
Inventor
정성민
최지용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마케팅앤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마케팅앤컴퍼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마케팅앤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8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1341B1/ko
Publication of KR20110129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9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1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1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 G06V30/2247Characters composed of bars, e.g. CMC-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품의 상품 식별정보, 상기 상품의 구매를 위한 접속정보 및 해당 상품의 광고를 대행하는 바코드 사업자의 고유정보를 포함한 상기 상품의 전용 바코드를 생성하여 해당 바코드 사업자에게 발행함으로써 상기 바코드 사업자가 상기 전용 바코드를 이용하여 상품의 광고를 대행하여 지정된 판매자와 구매자를 연결하도록 하여 해당 상품을 직접 판매하는 판매자의 부가적인 노력 없이 판매율을 더욱 높이며, 바코드 사업자가 신문,잡지,텔레비전 등과 같은 오프라인 매체 또는 이메일,문자메시지,블로그, 온라인 카페 등과 같은 온라인 매체에 해당 상품의 전용 바코드를 포함한 광고를 게재함으로써 다양한 매체를 통해 상품을 광고하고 기 설정한 판매자를 통해 판매하도록 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판매 경로를 다양화하고, 판매자의 상품 및 상품별 광고 대행 수수료 정보를 전시하고, 바코드 사업자가 상기 상품에 대한 전용 바코드를 발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바코드 구매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바코드 사업자가 광고하고자 하는 상품과 판매자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새로운 상품 광고 및 판매 시장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 및 방법{GOODS ADVERTISEMENT SYSTEM USING CUMSTOMIZED BAR COD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품의 상품 식별정보, 상기 상품의 구매를 위한 접속정보 및 해당 상품을 광고하는 바코드 사업자의 고유정보를 포함한 상기 상품의 전용 바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바코드 사업자가 해당 상품의 광고를 수행하도록 하여 새로운 광고 및 판매 시장을 제공하도록 한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활용성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 마케팅 기술들이 등장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 바코드와 모바일 단말을 활용하는 방식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예를 들어, 상품에 인쇄된 바코드로 상품 정보를 인식하는 애플리케이션이 내장된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상품 정보를 수신받고 해당 상품을 구매하는 다양한 시스템을 통해 모바일 상거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 등장하는 다양한 모바일 상거래에 대한 새로운 요구사항으로 마케팅 강화에 의한 차별성이 강조되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일반적인 상품 바코드의 인식을 통한 상품 광고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상기 상품 광고 시스템은 상품(1)에 인쇄된 바코드(2)를 촬상장치(3)를 이용하여 인식하고, 인식한 바코드를 디코딩(DeCoding)하는 사용자 단말(10), 통신망(15)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상기 디코딩된 바코드정보를 수신(5)받아 이와 관련된 상품 관련정보 및 구매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10)로 전송(6)하는 상품 서버(30)를 포함한다.
상기 상품 서버(30)는 상기 상품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 관련정보가 기 저장된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40)에서 해당 상품에 대응되는 상품 관련정보 및 구매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6)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해당 상품 관련 정보의 조회(4) 및 구매(7)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 경우 상품의 구매는 상기 상품 서버(30)가 지정하는 온라인 쇼핑몰이나 판매처로 한정되는데, 실질적으로 상기 표준화된 바코드 제공자와 판매자 사이에는 관련성이 없다. 즉, 상기 단말기(10)가 연동하는 상품 서버(30) 운영자가 표준 바코드 정보를 임의로 활용하는 것이므로 가격에 대한 신뢰성이 낮고 특정 상품에 대한 마케팅 기능이 존재하지 않아 상품별 판매 유도를 위한 방식으로 적용하기 어렵다.
유사한 방식으로, 특정 상품이나 상품군에 대해서 전용 바코드를 발행하여 해당 바코드 판독을 통해 해당 상품을 용이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도 이용되고 있으나, 이 역시 바코드 발행자가 상품 판매를 겸하고 있어 신뢰성이 낮고, 상품의 마케팅이 필요한 바코드 발행자의 노력이 과중하여 제한적으로 실시된다.
다른 방식으로, 구매 연결을 제외하고 단순히 상품의 정보만 제공하거나, 최저가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단순히 바코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편의성만 제공하는 경우이므로 구체적인 구매 편의성 면이나 상품에 대한 마케팅 기능은 상당히 취약하다.
즉, 기존의 바코드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품정보제공 및 구매연동방식은 판매자(바코드 정보와 상품정보를 매칭시키는 서버를 통해 지정되는 판매자)의 관점에서 표준 바코드를 이용하거나 전용 바코드를 발행하여 구매의 즉시성(단말을 이용하므로)과 편의성(별도 제품명 입력 불필요)을 제공하는 정도에 불과하다.
하지만, 수많은 판매자와 많은 종류의 상품 설명, 부가서비스, 할인 등의 판매조건들이 다양한 상황에서 이러한 판매자 주도형 시스템은 더 이상 구매자에게 매력적이지 않다.
따라서, 상품의 마케팅 기능의 활성화를 통해 최적의 판매자와 구매자를 연결하도록 하여 좋은 판매자의 상품판매를 유도하고, 이러한 마케팅에 대한 수수료를 얻도록 하는 마케팅 기능 제공자 관점의 새로운 모바일 쇼핑 시스템으로 패러다임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 예들의 목적은 상품의 상품 식별정보, 상기 상품의 구매를 위한 접속정보 및 해당 상품의 광고를 대행하는 바코드 사업자의 고유정보를 포함한 상기 상품의 전용 바코드를 생성하여 해당 바코드 사업자에게 발행함으로써 상기 바코드 사업자가 상기 전용 바코드를 이용하여 상품의 광고를 대행하여 지정된 판매자와 구매자를 연결하도록 한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 예들의 다른 목적은 바코드 사업자가 신문,잡지,텔레비전 등과 같은 오프라인 매체 또는 이메일,문자메시지,블로그, 온라인 카페 등과 같은 온라인 매체에 해당 상품의 전용 바코드를 포함한 광고를 게재함으로써 다양한 매체를 통해 상품을 광고하고 기 설정한 판매자를 통해 판매하도록 한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 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판매자의 상품 및 상품별 광고 대행 수수료 정보를 전시하고, 바코드 사업자가 상기 상품에 대한 전용 바코드를 발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바코드 구매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바코드 사업자가 광고하고자 하는 상품과 판매자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 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판매자의 상품이 판매될 경우, 해당 상품의 전용 바코드를 이용하여 광고한 바코드 사업자에게 광고 대행 수수료를 지급함으로써 판매된 상품의 광고에 대해서만 직접적인 수수료가 발생하도록 한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 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온라인 오픈 마켓에 적용시에, 오픈 마켓이 수행하는 다양한 매체에 대한 광고 영역을 상품별 전용 바코드를 이용하여 광고하는 바코드 사업자가 대신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한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은 상품의 판매자정보, 식별정보 및 구매관련정보를 관리하는 상품관리부와, 특정 상품의 광고 대행을 위해 해당 상품의 바코드를 매체에 게재하고자 하는 바코드 사업자로부터 바코드 생성을 요청받아 상기 특정 상품의 식별정보, 상기 특정 상품의 구매를 위한 접속정보 및 상기 바코드 사업자의 고유정보를 포함한 전용 바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바코드 사업자에게 부여하고, 이후 수신되는 바코드 정보에 포함된 바코드 사업자 고유정보에 따라 광고 대행 상태를 관리하는 바코드관리부를 포함한 바코드 관리 서버, 상기 바코드 사업자가 상기 매체에 게재한 상기 전용 바코드를 인식하여 포함된 정보를 획득한 후 해당 정보를 전송하고 그에 따른 구매 관련정보를 수신하는 전용 프로그램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전용 바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전송받아, 이를 상기 바코드 관리 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전용 바코드에 대응하는 상품의 구매관련정보를 상기 바코드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바코드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바코드 관리 서버는 상품과 판매자 정보 및 상품별 광고 대행 수수료 정보를 전시하여, 상기 바코드 사업자가 상기 상품과 판매자를 선택하여 전용 바코드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바코드 구매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상품관리부는 상기 상품의 광고 대행 수수료 정보를 관리한다.
상기 바코드 관리부는 고유정보, 분류정보, 매체 종류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바코드 사업자 관련정보 및 상기 전용 바코드별 상품 판매정보를 상기 바코드 사업자 관련정보에 따라 구분하여 관리한다.
상기 전용 바코드는 상기 매체의 식별정보, 상기 상품 판매 정보의 유효기간을 설정한 유효기간정보, 상기 상품의 대체 판매자 정보인 대체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바코드 관리부는 상기 유효기간 정보, 대체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바코드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제공한다.
상기 바코드 관리 서버는 상기 상품의 판매시 결제 절차를 관리하는 결제관리부 또는 상기 상품 구매 고객의 구매 절차와 구매 상담을 관리하는 고객관리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전용 프로그램 대신 해당 전용 프로그램의 기능을 웹 접속을 통해 수행하거나 또는 위젯(Widget)을 이용하여 수행한다.
상기 매체는 신문, 잡지, 텔레비전, 포스터 중 하나 이상의 오프라인 매체 또는 이메일, 문자메시지, 블로그, 온라인 카페 중 하나 이상의 온라인 매체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은 상품의 판매자정보, 식별정보 및 구매관련정보를 관리하는 상품관리부, 특정 상품의 광고 대행을 위해 해당 상품의 바코드를 매체에 게재하고자 하는 바코드 사업자로부터 바코드 생성을 요청받아 상기 상품 관리부에서 얻은 상기 특정 상품의 식별정보, 상기 특정 상품의 구매를 위한 접속정보 및 기 등록된 상기 바코드 사업자의 고유정보를 포함한 전용 바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바코드 사업자에게 부여하고, 이후 수신되는 바코드 정보에 포함된 바코드 사업자 고유정보에 따라 광고 대행 상태를 관리하는 바코드관리부, 상기 바코드 사업자가 상기 매체에 게재한 상기 전용 바코드를 인식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전용 바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전송받아, 이를 상기 바코드 관리부에 전달하고, 상기 전용 바코드에 대응하는 상품의 구매관련정보를 상기 상품관리부로부터 전송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바코드 애플리케이션부를 구비한 바코드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방법은 바코드 관리 서버가 상품의 판매를 요청하는 판매자 및 상품 관련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바코드 관리 서버가 바코드를 매체에 게재하고자 하는 바코드 사업자로부터 사업자 등록을 요청받아 고유정보를 생성한 후 바코드 사업자로 등록하는 단계, 상기 바코드 관리 서버가 상기 등록된 상품과 판매자를 선정한 바코드 사업자에게 상기 상품의 상품 식별정보, 상기 상품의 구매를 위한 접속정보 및 상기 바코드 사업자의 고유정보를 포함한 전용 바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바코드 사업자에게 부여하는 단계, 바코드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바코드 사업자가 상기 매체에 게재한 상기 전용 바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접속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면 이를 상기 바코드 관리 서버에 제공하여 대응 판매자의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방법은 상기 특정 상품의 구매시, 상기 바코드 관리 서버가 해당 상품에 대한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단계 이후, 상기 바코드 관리 서버가 상기 수신된 바코드 포함 정보의 바코드 사업자 고유정보와 상품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바코드 사업자의 광고 대행에 따른 광고 대행 수수료를 정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 및 방법은 상품의 상품 식별정보, 상기 상품의 구매를 위한 접속정보 및 해당 상품의 광고를 대행하는 바코드 사업자의 고유정보를 포함한 상기 상품의 전용 바코드를 생성하여 해당 바코드 사업자에게 발행함으로써 상기 바코드 사업자가 상기 전용 바코드를 이용하여 상품의 광고를 대행하여 지정된 판매자와 구매자를 연결하도록 하여 해당 상품을 직접 판매하는 판매자의 부가적인 노력 없이 판매율을 더욱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 및 방법은 바코드 사업자가 신문,잡지,텔레비전 등과 같은 오프라인 매체 또는 이메일,문자메시지,블로그, 온라인 카페 등과 같은 온라인 매체에 해당 상품의 전용 바코드를 포함한 광고를 게재함으로써 다양한 매체를 통해 상품을 광고하고 기 설정한 판매자를 통해 판매하도록 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판매 경로를 다양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 및 방법은 판매자의 상품 및 상품별 광고 대행 수수료 정보를 전시하고, 바코드 사업자가 상기 상품에 대한 전용 바코드를 발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바코드 구매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바코드 사업자가 광고하고자 하는 상품과 판매자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새로운 상품 광고 및 판매 시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 및 방법은 판매자의 상품이 판매될 경우, 해당 상품의 전용 바코드를 이용하여 광고한 바코드 사업자에게 광고 대행 수수료를 지급함으로써 판매된 상품의 광고에 대해서만 직접적인 수수료가 발생하도록 하여 판매자의 입장에서 더욱 효율적인 비용으로 판매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 및 방법은 온라인 오픈 마켓에 적용시에, 오픈 마켓이 수행하는 다양한 매체에 대한 광고 영역을 상품별 전용 바코드를 이용하여 광고하는 바코드 사업자가 대신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하여 이에 따라 오픈 마켓의 광고비 및 관리비가 대폭 절감되며 수익성을 개선하여 판매자에 대한 판매 수수료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상품 바코드의 인식을 통한 상품 광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방법의 데이터 흐름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들과 실시 예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상기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은 상품의 판매자정보, 식별정보 및 구매관련정보를 관리하는 상품관리부(320), 특정 상품의 광고 대행을 위해 해당 상품의 바코드를 매체에 게재하고자 하는 바코드 사업자(200)로부터 바코드 생성을 요청(21)받아 상기 특정 상품의 식별정보, 상기 특정 상품의 구매를 위한 접속정보 및 상기 바코드 사업자(200)의 고유정보를 포함한 전용 바코드(55)를 생성하여 상기 바코드 사업자(200)에게 부여하고, 이후 수신되는 바코드 정보에 포함된 바코드 사업자 고유정보에 따라 광고대행 상태를 관리하는 바코드관리부(310), 상기 바코드 사업자(200)가 상기 매체(50)에 게재(22)한 상기 전용 바코드(55)를 인식하여 포함된 정보를 획득한 후 해당 정보를 전송하고 그에 따른 구매 관련정보를 수신하는 전용 프로그램(110)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100),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상기 전용 바코드(55)에 포함된 정보를 전송받아 이를 상기 바코드 관리 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전용 바코드(55)에 대응하는 상품의 구매 관련정보를 상기 상품관리부(320)로부터 전송(27)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25)하는 바코드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를 포함한다.
상기 상품관리부(320)는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자가 입력한 판매자 관련정보, 해당 상품의 식별정보 및 구매 관련정보를 관리한다.
상기 바코드 사업자(200)는 상기 상품의 식별정보 및 구매 관련정보를 검색하여 특정 판매자의 상품에 대한 광고를 원할 경우, 상기 바코드관리부(310)로 해당 상품의 바코드 생성을 요청(21)한다. 상기 바코드 사업자(200)는 계약을 통해 바코드를 할당받아 전시하며, 이를 통한 해당 상품의 구매가 발생할 경우, 판매자와 이익을 분배하는 사업자이다. 혹은, 오픈 마켓 판매자인 경우 오픈 마켓에서 판매 수수료의 일부를 분배받을 수도 있다.
상기 바코드관리부(310)는 상기 바코드 사업자(200)의 고유정보를 포함한 상기 특정 판매자의 상품별 전용 바코드(55)를 생성(20)하여 상기 바코드 사업자(310)에게 발행한다. 이후, 상기 바코드 사업자(310)는 소정 매체(50)에 상기 전용 바코드(55)가 포함된 광고를 게재한다.
상기 전용 바코드(55)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준화된 바코드가 아니라, 상기와 같이 바코드 사업자(200)의 고유정보를 포함하여 해당 상품의 조건에 특화된 전용 바코드이다. 이를 위해, 일반적인 바코드보다 더욱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는 이차원(2D) 바코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매체(50)는 신문, 잡지, 텔레비전, 포스터 등과 같은 오프라인 매체 또는 이메일, 문자메시지, 블로그, 온라인 카페 등과 같은 온라인 매체 등 다양한 종류가 가능하다.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촬상장치 등을 이용하여 상기 매체(50)에 게재된 전용 바코드(55)를 인식(23)하고, 상기 인식된 전용 바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해석할 수 있는 전용 프로그램(110)이 구비 혹은 설치되어 이를 이용하여 상기 전용바코드(55)에 포함된 상품 관련정보를 인식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전용 프로그램(110) 대신 해당 전용 프로그램의 기능을 웹 접속을 통해 수행하거나 또는 위젯(Widget)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인식한 바코드 포함정보를 상기 바코드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로 전송하면, 상기 바코드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는 상기 바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바코드 관리부(310)에 제공하는 것으로 상품관리부(320)에 저장된 해당 상품 관련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25)하여 사용자가 해당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제공하는 전용 구매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상품을 구매(24)할 수 있으며, 상기 전용 구매 인터페이스는 주문 및 결제 모듈을 탑재하여 신용카드, 전화결제를 통한 결제도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주문 이후, 상기 바코드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는 해당 상품의 배송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품의 상품 식별정보, 상기 상품의 구매를 위한 접속정보 및 해당 상품의 광고를 대행하는 바코드 사업자의 고유정보를 포함한 상기 상품의 전용 바코드를 생성하여 해당 바코드 사업자에게 발행하고, 상기 바코드 사업자가 상기 전용 바코드를 이용하여 상품의 광고를 대행하여 지정된 판매자와 구매자를 연결하도록 하는 상품 광고 시스템을 통하여 해당 상품을 직접 판매하는 판매자의 부가적인 노력 없이 판매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상기 상품 및 바코드 사업자 정보를 포함한 전용 바코드(55)를 생성하고 상기 바코드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를 운영하는 사업자와 해당 전용 바코드(55)를 할당받아 전시(광고)하는 바코드 사업자(200)로 분리 구성되어, 특정 상품의 표준 바코드가 아닌 특정 상품을 특정 사업자가 특정 매체를 통해 전시하기 위해 별도로 생성한 전용 바코드를 이용하며, 이를 통해 접근하는 사용자에게 전용 정보를 제공함과 아울러 그에 따른 상품을 판매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마케팅 사업자가 여러 판매자와 상품을 선정하여 바코드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와 연계하는 구성으로, 이미 매체에 대한 권리를 가진 마케팅 사업자가 바코드 사업자로 등록하여 자신이 관리하는 매체를 활용하도록 하는 새로운 방식이다.
한편, 상기 바코드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바코드 인식에 따른 상품 구매 구성이 아닌 전용 프로그램(110, 전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내장하고, 상기 바코드 관리부(310)는 특정 상품에 대한 전용 바코드(55)를 생성하되 해당 바코드에는 상품정보, 사업자 정보, 상기 바코드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의 접속 정보가 포함되도록 하여 접속자에게 상품 구매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상품 전시자 정보도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 판매에 따른 이익을 분배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바코드 사업자(200)가 신문,잡지,텔레비전 등과 같은 오프라인 매체(50) 또는 이메일,문자메시지,블로그,온라인 카페 등과 같은 온라인 매체에 해당 상품의 전용 바코드(55)를 포함한 광고를 게재할 수 있고, 다양한 매체를 통한 다양한 판매 조건에 따른 상품을 광고 및 판매할 수 있으므로 해당 상품에 대한 마케팅 경로를 다양화하며 판매를 활성화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복수의 바코드 사업자(200)가 다양한 상품 및 판매 조건에 따른 전용 바코드(301)를 구매할 수 있는 바코드 마켓(400)을 포함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품 매매 마켓 (500: 예를 들어, 온라인 오픈 마켓)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는 바코드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에 상품 정보를 연동하도록 구성된 온라인 서버(330)를 통해 해당 상품 및 관련 정보를 바코드 마켓(400)에 전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동은 특정한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상품 관련정보가 전시된 바코드 마켓(400)은 상기 판매자가 상기 바코드 마켓(400)에 상품과 판매자 정보 및 상품별 광고 대행 수수료 정보를 전시하면, 상기 복수의 바코드 사업자(200) 중 일부가 상기 상품과 판매자를 선택하여 전용 바코드(301)를 요청(420)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바코드 구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바코드 마켓(400)의 상품 관리부(410)는 상기 상품의 식별정보 및 관련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상품의 판매자 정보 및 광고 대행 수수료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바코드 마켓(400)의 바코드 사업자 관리부(430)는 고유정보, 분류정보, 매체 종류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바코드 사업자의 관련정보 및 상기 전용 바코드별 상품 판매정보를 상기 바코드 사업자 관련 정보에 따라 구분하여 관리한다.
상기 바코드 사업자(200)의 일 예로서, 대형 매체사, 광고 사업자, 블로그 또는 카페를 운영하는 개인 사업자를 들 수 있다. 더불어, 일반적인 사업자(구매 경력자)가 바코드 사업자일 수도 있다. 이때, 제조사나 수입사가 소매관련 상품 판매자와 동일한 경우(즉, 바코드 사업자와 판매자가 동일한 경우) 해당 상품의 광고를 상기 상품 매매 마켓을 대신하여 수행하는 형태가 되므로 상기 상품 매매 마켓에서 발생하는 광고비를 절감할 수 있어 판매 수수료가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코드 사업자(200)에게 발행된 전용 바코드(301)는 상기 매체의 식별정보인 매체정보, 상기 상품 판매 정보의 유효기간을 설정한 유효기간정보, 상기 상품의 대체 판매자 정보인 대체정보 또는 기타 필요한 옵션정보를 부가적으로 더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바코드 관리부(420)는 상기 유효기간정보, 대체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바코드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에 제공한다.
즉, 매체 식별정보를 부가하여 매체 종류에 따른 판매금액을 설정하거나 상품 판매의 유효기간을 설정하여 한시적으로 판매하는 상품에 대해 관리할 수도 있고, 판매자의 상품 재고가 소진되거나 또는 판매자의 탈퇴,미접속으로 인해 해당 상품의 판매 유지가 불가능할 경우 상기 판매자의 대체 판매자를 연동할 수 있는 대체정보를 부가하여 전용 바코드(301)를 구성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전용 바코드(301)의 기타 옵션정보로서, 복수의 상품 매매 마켓에서 연동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거나 매체의 종류에 따른 유효 기간을 설정할 수도 있고, 또는 바코드(301)에 상품 정보를 명시적으로 포함시켜 사용자 단말의 전용 프로그램 자체에서 검색 전에 상품 정보를 제공하여 바코드 인식을 검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용프로그램은 동일 상품에 대한 바코드 정보를 수집하여 비교하는 기능 또는 전용 바코드 정보를 인식한 후 이를 스스로 배포할 수 있도록 해당 사용자 정보가 포함된 새로운 전용 바코드 정보를 생성한 후 사진으로 제공하여 이를 다른 사람에게 전송하거나 자신의 블로그 등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부가적으로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처럼, 판매자의 상품 및 상품별 광고 대행 수수료 정보를 전시하고, 바코드 사업자가 상기 상품에 대한 전용 바코드를 발행받을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바코드 구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복수의 바코드 사업자 및 상품 판매자가 연계된 새로운 상품 광고 및 판매 시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는 오픈 마켓(500: 홈 쇼핑, 온라인 쇼핑몰), 상기 오픈 마켓(500)의 결제 및 고객 관리를 대행하는 관리대행 서버(600), 상기 상품 정보를 관리하고 바코드 사업자별 전용 바코드를 생성,관리하는 바코드 관리 서버(400) 및 모바일 단말(100)의 전용 프로그램과 통신하는 바코드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를 포함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관리대행 서버(600)는 상기 상품의 판매시 결제 절차를 관리하는 결제관리부(610), 상기 상품 구매 고객의 구매 절차와 구매 상담을 관리하는 고객관리부(620)를 포함하며,상기 바코드 관리 서버(400)와 동일 서버에 구성할 수도 있다.
상품 판매자가 홈쇼핑 또는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자신이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예를 들어, 핸드백)을 상품관리부(410)에 등록한다.
바코드 사업자(200)는 전용 바코드를 이용하여 매체에 광고할 수 있는 사업자로 바코드 사업자 관리부(430)에 등록한다. 이후, 상기 바코드 사업자(200)는 상기 상품관리부(410)에 전시된 판매자 및 상품 목록 중 원하는 조건에 맞는 판매자의 상품을 선정하여 바코드 관리 서버(400)에 해당 상품의 전용 바코드를 요청한다. 상기 바코드 관리 서버(400)의 바코드 생성관리부(420)는 해당 바코드 사업자 정보, 상품정보, 바코드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의 접속 정보를 포함한 전용 바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바코드 사업자(200)에게 발행한다. 이후, 상기 바코드 사업자(200)는 상기 발행된 전용 바코드를 포함한 상품 광고를 매체에 개재한다.
카메라 등이 탑재된 모바일 단말(100)을 소유한 사용자가 해당 광고의 전용 바코드를 촬영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에 내장되어 촬영된 전용 바코드를 디코딩(DeCoding)하는 전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전용 바코드의 상품 관련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전용 프로그램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나 마켓 등에서 다운받아 설치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모바일 단말(100)이 상기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바코드 애플리케이션 서버(300)에 접속하여 바코드 정보를 전달하면, 상기 바코드 애플리케이션 서버(300)는 상기 바코드 정보를 바코드 관리 서버(400)에 제공하고 상품관리부(410)의 상품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100)로 전송한다.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단말(100)로 전송된 상기 상품 정보를 보고 해당 상품을 구매를 결정하면, 관리 대행 서버(600)의 기 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 결제관리부(610) 및 고객관리부(620)를 통해 대응 판매자의 상품에 대한 구매 및 결제 절차가 진행된다.
상기 결제 절차가 완료된 후, 상기 결제관리부(610)는 사용자가 지급한 결제 대금 중 오픈 마켓(500)의 수수료를 제한 금액을 상기 상품의 판매자에게 지급하며, 상기 수수료 중 일부에 해당하는 마케팅 대행 수수료를 상기 바코드 사업자(200)에게 지급한다. 이때, 상기 오픈 마켓(500)의 입장에서는 해당 상품의 광고를 바코드 사업자(200)가 대신하게 되므로, 해당 상품의 광고비가 포함되어 책정된 기존의 수수료보다 저렴한 수수료를 판매자에게 책정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해당 상품의 전용 바코드를 이용하여 광고한 바코드 사업자에게 광고 대행 수수료를 지급하여 판매된 상품의 광고에 대해서만 직접적인 수수료가 발생하게 되므로 판매자의 입장에서 더욱 효율적인 비용으로 판매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일반적인 오픈 마켓의 주요 관리 기능을 도시한 것이다.
일반적인 오픈 마켓의 주요 관리 기능으로는 해당 오픈 마켓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700)를 관리하는 기능(530), 상기 상품을 다양한 매체를 통해 관리하는 마케팅 관리 기능(510) 및 오픈 마켓에서 운영하는 사이트 또는 홈쇼핑 등 해당 상품의 판매 시스템 및 절차를 관리하는 오픈 마켓 관리 기능(520)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오픈 마켓에 등록한 판매자(700)의 상품이 판매될 경우, 상기 오픈 마켓은 소정의 상품 판매 수수료를 책정하여 이를 상기 상품을 판매한 판매자(700)의 결제 대금으로부터 지급받는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오픈 마켓에서 징수하는 상기 상품 판매 수수료에는 상기 오픈 마켓의 관리 기능(520)에 책정되는 금액 이외에도 상기 오픈 마켓에서 실시하는 다양한 매체에 대한 광고 또는 캠페인 광고를 수행하고 관리하는 마케팅 관리 기능(510)에 책정되는 금액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 및 방법은 오픈 마켓이 수행하는 다양한 매체에 대한 광고 영역을 상품별 전용 바코드를 이용하여 광고하는 바코드 관리 서버(400)를 이용하는 바코드 사업자(200)가 대신하도록 구성되어, 해당 광고 영역을 다양한 바코드 사업자(200)가 대행하므로, 이에 따라 오픈 마켓의 광고비 및 마케팅 관리비가 대폭 절감되며 이로 인해 오픈 마켓의 수익성이 개선되어 판매자(700)에 대한 판매 수수료를 낮출 수 있고, 판매자는 광고비와 각종 이벤트를 위한 부가 비용을 줄일 수 있어 수익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방법의 데이터 흐름도로서, 바코드 관리 서버(400)가 상품의 판매를 요청(S610)하는 판매자(700) 및 상품 관련정보를 등록(S615)하는 단계, 상기 바코드 관리 서버(400)가 바코드를 매체에 게재하고자 하는 바코드 사업자(200)로부터 사업자 등록을 요청(S620)받아 고유정보를 생성한 후 바코드 사업자로 등록(S625)하는 단계, 상기 바코드 관리 서버(400)가 상기 등록된 상품과 판매자를 선정(S630)한 바코드 사업자(200)에게 상기 상품의 상품 식별정보, 상기 상품의 구매를 위한 접속정보 및 상기 바코드 사업자의 고유정보를 포함한 전용 바코드를 생성(S635)하여 상기 바코드 사업자(200)에게 부여하는 단계, 바코드 애플리케이션 서버(300)가 상기 바코드 사업자(200)가 상기 매체에 게재(S645)한 상기 전용 바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접속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하면(S655,S660) 이를 상기 바코드 관리 서버(400)에 제공(S665)하여 대응 판매자의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관련 정보를 수신(S670)하여 이를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S675)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방법은 상기 상품의 구매시, 상기 바코드 관리 서버(400)가 해당 상품에 대한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S685, S687, S690), 상기 결제 단계(S687) 이후, 상기 바코드 관리 서버(400)가 상기 수신된 바코드 포함 정보의 바코드 사업자 고유 정보와 상품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바코드 사업자(200)의 광고 대행에 따른 광고 대행 수수료를 정산(S695, S696, S697)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방법은 상기 주문 및 결제 완료시 판매자에게 주문 정보 또는 결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품을 주문한 사용자에게 상기 상품의 배송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0:사용자 단말 110:전용 프로그램
200:바코드 사업자 300:바코드 애플리케이션 서버
400:바코드 관리 서버 410:상품관리부
420:바코드 생성,관리부 430:바코드 사업자 관리부
500:오픈마켓 600:관리대행서버
700:판매자

Claims (11)

  1.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에 있어서,
    상품의 판매자정보, 식별정보 및 구매관련정보를 관리하는 상품관리부와, 특정 상품의 광고 대행을 위해 해당 상품의 바코드를 매체에 게재하고자 하는 바코드 사업자로부터 바코드 생성을 요청받아 상기 특정 상품의 식별정보, 상기 특정 상품의 구매를 위한 접속정보 및 상기 바코드 사업자의 고유정보를 포함한 전용 바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바코드 사업자에게 부여하고, 이후 수신되는 바코드 정보에 포함된 바코드 사업자 고유정보에 따라 광고 대행 상태를 관리하는 바코드관리부를 포함한 바코드 관리 서버;
    상기 바코드 사업자가 상기 매체에 게재한 상기 전용 바코드를 인식하여 포함된 정보를 획득한 후 해당 정보를 전송하고 그에 따른 구매 관련정보를 수신하는 전용 프로그램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전용 바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전송받아, 이를 상기 바코드 관리 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전용 바코드에 대응하는 상품의 구매관련정보를 상기 바코드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바코드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관리 서버는 상품과 판매자 정보 및 상품별 광고 대행 수수료 정보를 전시하여, 상기 바코드 사업자가 상기 상품과 판매자를 선택하여 전용 바코드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바코드 구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관리부는 상기 상품의 광고 대행 수수료 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관리부는 고유정보, 분류정보, 매체 종류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바코드 사업자 관련정보 및 상기 전용 바코드별 상품 판매정보를 상기 바코드 사업자 관련정보에 따라 구분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바코드는 상기 매체의 식별정보, 상기 상품 판매 정보의 유효기간을 설정한 유효기간정보, 상기 상품의 대체 판매자 정보인 대체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바코드 관리부는 상기 유효기간 정보, 대체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바코드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관리 서버는 상기 상품의 판매시 결제 절차를 관리하는 결제관리부 또는 상기 상품 구매 고객의 구매 절차와 구매 상담을 관리하는 고객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전용 프로그램 대신 해당 전용 프로그램의 기능을 웹 접속을 통해 수행하거나 또는 위젯(Widget)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는 신문, 잡지, 텔레비전, 포스터 중 하나 이상의 오프라인 매체 또는 이메일, 문자메시지, 블로그, 온라인 카페 중 하나 이상의 온라인 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
  9. 전용 프로그램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이 임의의 매체에 표시된 바코드를 인식하여 관련 상품을 구매하도록 하는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에 있어서,
    상품의 판매자정보, 식별정보 및 구매관련정보를 관리하는 상품관리부;
    특정 상품의 광고 대행을 위해 해당 상품의 바코드를 매체에 게재하고자 하는 바코드 사업자로부터 바코드 생성을 요청받아 상기 상품 관리부에서 얻은 상기 특정 상품의 식별정보, 상기 특정 상품의 구매를 위한 접속정보 및 기 등록된 상기 바코드 사업자의 고유정보를 포함한 전용 바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바코드 사업자에게 부여하고, 이후 수신되는 바코드 정보에 포함된 바코드 사업자 고유정보에 따라 광고 대행 상태를 관리하는 바코드관리부;
    상기 바코드 사업자가 상기 매체에 게재한 상기 전용 바코드를 인식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전용 바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전송받아, 이를 상기 바코드 관리부에 전달하고, 상기 전용 바코드에 대응하는 상품의 구매관련정보를 상기 상품관리부로부터 전송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바코드 애플리케이션부를 구비한 바코드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
  10. 바코드를 매체에 표시할 수 있는 바코드 사업자들이 원하는 판매자의 특정 상품을 광고 대행하는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방법에 있어서,
    a) 바코드 관리 서버가 상품의 판매를 요청하는 판매자 및 상품 관련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바코드 관리 서버가 바코드를 매체에 게재하고자 하는 바코드 사업자로부터 사업자 등록을 요청받아 고유정보를 생성한 후 바코드 사업자로 등록하는 단계;
    c) 상기 바코드 관리 서버가 상기 등록된 상품과 판매자를 선정한 바코드 사업자에게 상기 상품의 상품 식별정보, 상기 상품의 구매를 위한 접속정보 및 상기 바코드 사업자의 고유정보를 포함한 전용 바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바코드 사업자에게 부여하는 단계;
    d) 바코드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상기 바코드 사업자가 상기 매체에 게재한 상기 전용 바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접속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면 이를 상기 바코드 관리 서버에 제공하여 대응 판매자의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e) 상기 특정 상품의 구매시, 상기 바코드 관리 서버가 해당 상품에 대한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f) 상기 e) 단계 이후, 상기 바코드 관리 서버가 상기 수신된 바코드 포함 정보의 바코드 사업자 고유정보와 상품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바코드 사업자의 광고 대행에 따른 광고 대행 수수료를 정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방법.
KR1020100048992A 2010-05-26 2010-05-26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101161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992A KR101161341B1 (ko) 2010-05-26 2010-05-26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992A KR101161341B1 (ko) 2010-05-26 2010-05-26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555A true KR20110129555A (ko) 2011-12-02
KR101161341B1 KR101161341B1 (ko) 2012-06-29

Family

ID=45498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992A KR101161341B1 (ko) 2010-05-26 2010-05-26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13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662B1 (ko) * 2012-07-24 2014-12-08 (주)재플 순위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
KR20220103429A (ko) * 2021-01-15 2022-07-22 김윤경 코드 시트지의 매개를 이용한 온라인 상품 판촉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0605A (ko) * 2001-09-04 2003-03-10 양태균 바코드를 이용한 전자상거래시스템
KR20050103415A (ko) * 2004-04-26 2005-10-31 김진호 생활정보지 광고를 이용한 온라인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662B1 (ko) * 2012-07-24 2014-12-08 (주)재플 순위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
KR20220103429A (ko) * 2021-01-15 2022-07-22 김윤경 코드 시트지의 매개를 이용한 온라인 상품 판촉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1341B1 (ko) 201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8881B1 (ko) 웹 사이트 상에서 추천 컨텐츠를 통한 수익배분 시스템 및방법
US10176497B2 (en) Internet advertisement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commercial sample through membership-based off-line shop based on authentication key issued to target customer on-line
JP5982310B2 (ja) 販売促進システム、サーバ装置、販売促進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620749B2 (en) Customized offers for E-commerce
US20140344080A1 (en) E-commerce via web banners
KR20180103026A (ko) 온라인 쇼핑몰을 위한 관리 시스템
KR101765415B1 (ko) 판매자와 판매대행자 간의 연결 및 수익공유를 제공하는 판매대행 서비스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KR20100104515A (ko) 약품 주문 시스템 및 방법
JP2006510969A (ja) 電子決済情報を用いた電子商取引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50018737A (ko) 광고주와 가맹점을 매칭하여 소비자에게 이벤트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JP2020021419A (ja) 即時購買システム、ユーザ端末、商品情報管理サーバ、即時購買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161341B1 (ko)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 및 방법
JP2002251541A (ja) オークション管理装置、オークション管理方法、及びオークションプログラム
KR100369576B1 (ko) 사이버 에이전트를 활용한 전자상거래 방법
KR20090000031A (ko) 사용자 참여를 기반으로 인터넷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장치
JP2007140812A (ja) 商品宣伝システム、商品販売促進システム
KR102576269B1 (ko) 온라인을 통한 오프라인 광고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100952339B1 (ko) 모자이크 포스팅을 이용한 상품판매 방법, 그를 위한쇼핑몰 시스템 및 쇼핑몰 서버
KR101680892B1 (ko) 개인형 홈페이지를 이용한 상품판매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105196A (ko) 상품 매핑코드를 이용한 중개 서버
WO2015056795A1 (ja) アフィリエイト利益還元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2007206795A (ja) 広告料管理システム、広告料管理方法、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KR101488706B1 (ko) 아이디 연동을 통한 사용자 혜택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01256396A (ja) 購買支援情報提供システム
KR100359652B1 (ko) 독립 실행 파일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