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9517A - 전기자동차 배터리펙 충전을 위한 서비스 방법 과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 배터리펙 충전을 위한 서비스 방법 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9517A
KR20110129517A KR1020100048913A KR20100048913A KR20110129517A KR 20110129517 A KR20110129517 A KR 20110129517A KR 1020100048913 A KR1020100048913 A KR 1020100048913A KR 20100048913 A KR20100048913 A KR 20100048913A KR 20110129517 A KR20110129517 A KR 20110129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charger
battery
plug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병호
Original Assignee
나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병호 filed Critical 나병호
Priority to KR1020100048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9517A/ko
Publication of KR20110129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95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G06Q50/4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50Charging stations characterised by energy-storage or power-generation means
    • B60L53/53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3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 response to network 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4Optimising energy costs, e.g. responding to electricity 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80Exchanging energy storage elements, e.g. removable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5/00Arrangements for supplying energy stored within a vehicle to a power network, i.e. vehicle-to-grid [V2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H02J2310/48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for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6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i.e. power aggregation of EV or HEV, vehicle to grid arrangements [V2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4Details associated with the interoperability, e.g. vehicle recognition,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or billing

Abstract

본 고안은 다양한 충전기술로 구현 충전기가 전기자동차 충전시 좀더 효율적이면 편리한 충전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측면에서 고안하였다.
전기자동차 충전시 사용되는 전기충전기는 전기자동차를 정차하고 나서 프러그를 자동차 콘센트에 연결하여 충전(급속,완속)하는 방식과 배터리 자동교환 장치를 통해서 교환하는 방식으로 전기자동차 구동원을 확보한다.
현재까지 전기자동차의 구동원을 확보하는데 제일 합리적인 방안은 충전된 배터리를 교환하는 방식으로 신속한 충전서비스 제공으로 자동차 충전시 소요되는 대기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식이다. 물론 배터리와 교환방식에 대한 표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초기의 전기자동차 시범 운영기간중에 많이 채택하는 충전기 설치는 초기에는 완속충전기를 사용하다 차량 댓수가 많아지면 급속충전기로 단계적으로 UpGrade하여 유지운영비 절감 및 비용대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추진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두가지 측면을 고려하여 설계한 충전기이다.
첫번째가 임대배터리 교환서비스 측면에서의 아래와 같은 충전시스템을 고안하였다. 교환가능한 임대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 수동으로 충전기에 임대배터리들을 장착하여 충전함과 동시에 임대배터리 교환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충전기를 고안하였다.
교환서비스의 주요특징은 (1)배터리 교환용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충전비용이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충전기를 고안하였다. 전기충전기에서 임대밧데라를 충전하기 위해서 절감모드와 신속모드로 설정가능하면 절감모드로 동작시 값싼 심야전력(또는 전력공급사에서 잉여전력)으로 임대밧대리를 충전하여 충전비용을 절감하도록 고안하였다.
(2)배터리 교환를 하기 위해서 전기 자동차의 빈 배터리를 반납하여야 충전된 배터리를 반출되도록 고안하였다. 이유는 고가의 임대배터리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3)현재의 전력망이 스마트그리드 전력망으로 향상 되었을때는 충전기의 배터리들은 전력망의 효율적 관리에 기여 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져 있다.
즉 전기생산이 전기수요보다 많을 때는 배터리에 전력을 저장했다가 전기수요가 증가할 때는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다시 전력망에 다시 재 공급하는 시스템형태로 고안하였다.
두 번째가 전기자동차에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해서 전기충전기의 충전프러그를 전기자동차의 주유구 콘센트에 연결하는 방식의 충전서비스에 관한 내용이다.
(1) 기존 충전기는 본체에 설치된 인증장치( RF카드,스마트폰등)에서 인증을 받도록 고안되어 있으나 , 본 고안은 충전기와 연결된 인증장치가 부착된 충전프러그를 전기자동차의 콘센트에 접속하면 본인을 인증하라는 음성메세지가 나온다. 이 때 운전자는 카드 혹은 인증 가능한 매체를 충전프러그에 부착된 인증기에 인증카드를 접근하게 하여 사용자 유무를 판독하여 전기자동차에 충전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또한 인증카드가 없는 경우 핸드폰(스마폰)을 통한 인증번호 부여받아서 스마트프러그의 키패드로 부여받은 인증번호 입력하여 충전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이러한 기능을 지원하는 충전프러그를 사용해서 충전하는 경우 충전하기 위해서 이동하는 범위와 조작행위를 최소화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사항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상기에 기술된 프러그를 스마트 충전프러그라 칭한다.
(2)기존 충전기는 하나충전기에서 한대/두대의 차량만 서비스하지만 본고안은 하나의 충전기에서 4대이상의 차량을 동시에 서비스지원이 가능함으로 설치비 절감 및 간단한 사용방법으로 사용편의성을 제공 한다.
이상과 같은 특징은 불특정 다수가 충전할 수 있는 장소에서 시용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으며 , 주로 공동주택(아파트,주상복합시설,사무실등) , 공공건물, 주차장 , 도로등에 설치하여 충전기 등록 고객이면서 후불정산 계약자인 경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충전기 후불정산으로 등록하지 않은 고객은 충전기 본체에서 제공하는 정산방법으로 충전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 배터리펙 충전을 위한 서비스 방법 과 시스템 {Service method and the system for electric motorcar battery pack charging}
전기자동차의 구동원을 확보하기 위한 배터리 충전을 지원하는 전기충전 기술분야이다.
[도 22]는 현재 전기자동차 구동원을 확보하는 방법으로 충전 및 교환방식에 대한 장단점을 기술하였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에 기술된 방법으로 배터리 충전이 가능한 충전서비스 방법과 시스템을 고안하여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핵심요소인 편리한 충전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전기자동차가 구동원을 확보하는 방식은 전기자동차를 정차하고 나서 충전기에 연결된 충전프러그를 자동차 콘센트에 연결하여 충전(급속, 완속)하는 방식과 [도 19]와 같은 교환 가능한 배터리를 충전하여 교환하는 방식이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도 20]과 같은 형태의 프러그는 2가지 유형으로 충전서비스를 지원한다. 먼저 [도 13]와 같이 자동차 주유구에 충전프러그를 연결하고 충전기의 콘센트에 충전프러그를 접속하는 경우와 [도 14]와 같이 충전기에 준비된 프러그를 꺼내서 전기자동차의 콘센트에 연결하여 충전하는 경우가 있다.
참고로 전기충전기는 [도 16]에 표시된 급속충전기와 완속충전기 외형도를 참조하면 된다.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한 일반적인 전기충전기 기본 계통도는 [도 17]에 도식화 하였다. 전기자동차 충전은 220V 전원을 직접 전기자동차의 충전콘센트에 프러그를 결속하여 충전하는 방식과 고전압을 이용한 급속충전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에 충전하는 방식이 있다.
[도 15]는 2가지 방식을 지원하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를 도식화한 내용이다.
본 고안을 하게 된 배경은 초기 충전인프라 구축시 전기자동차 운영 댓수의 10배가 넘는 충전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따라서 설치비는 물론 유지운영비 역시 많이 소요 될 것으로 예상된다.
교환 가능한 배터리와 자동차에 내장된 배터리를 모두 충전할 수 있는 충전시스템을 고안하여 향후 배터리 교환서비스를 차량정비소와 같은 장소에서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전기 관리 비용과 운영비용을 최소화가 가능한 충전기를 개발 하였다.
본 충전시스템의 기본개념은 인프라 유지운영비를 최소화하면서 충전인프라구축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 기존 차량관련 인프라(차량 정비소)의 장비와 인력을 최대한 활용한 충전서비스에 초점을 맞추어서 고안된 충전시스템이다.
또한 공동주택 및 공공시설의 주차장내에 적합한 스마트 충전프러그를 활용하여 충전함으로써 이동하는 범위와 조작을 최소화하였고 인증절차에 대한 처리를 다양화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충전하는 데 불편사항을 최소화 하도록 고안하였다
통상적으로 [도 18]과 같은 형태의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의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전기 모터를 구동하여 주행한다.
이러한 전기 차량에 있어서, 배터리의 충전상태(SOC ; State Of Charge)는 전기 차량의 주행중일때는 방전이 되어 점차 줄어들다.
보통의 경우 배터리의 재충전은 차량에 탑재된 충전기(On Board Charger)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며, 전기 차량의 성능 및 배터리 사양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배터리의 100% 충전까지 7~8시간 정도의 충전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급속 충전 장치를 사용하면, 보통 30~40분 정도의 충전시간 소요로 배터리 충전상태를 20%~70% 까지 충전할 수 있다. 급속 충전이란 차량 탑재형 충전기 용량(6.6KW)보다 약 4~5배 정도의 큰 파워(25KW) 용량을 가진 급속 충전기를 사용하여 최단 시간에 배터리의 충전상태(SOC)를 목표 충전상태(70%)까지 충전하는 것을 말하며, 급속충전 알고리즘의 성능은 충전 소요 시간과 배터리 온도 상승에 의해서 결정된다. 일반적인 급속 충전 알고리즘은 정전류 60A로 배터리 충전상태(SOC)가 70%까지 충전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현재까지 구현된 충전기술로는
a)Trickle Charger 충전기술로서 값싸게 이용할 수 있는 충전기이나 전원에 연결된 동안 (+)의 정전류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전극표면에서의 dendrite성장, 과충전 및 memory effect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b)Fast Charger충전기술은 공급되는 (+)의 정전류를 증가시켜 충전시간을 수 시간으로 단축시키나 여전히 Trickle Charger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c)Pulse Charger 충전기술은 Trickle Charger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펄스전류를 공급하는 방식이다. 즉, (+)의 정전류를 공급한 뒤 일정 시간후 (-)의 정전류를 짧은 시간동안 공급하는 식으로 충전시 pulse 형태의 전류를 공급하여 충전한다.
d)ACT 사의 DEW(Dynamic Electrochemical Waveform) technology로써 [도 8]과 같이 (+)의 정전류 공급후 (-)의 정전류를 2번정도의 Pulse형태의 전류로 반복적 충전하는 방식으로 충전기 성능의 관건인 전지의 충전 소요시간 단축, 장시간 충전방치시의 안전성, 충방전 횟수 개선하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충전기술을 활용하여 개발된 충전시스템이 전기자동차 충전시 효율적이면 편리한 충전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측면에서 고안하였다.
전기자동차 충전시 사용되는 전기충전기는 전기자동차를 정차하고 나서 프러그를 자동차 콘센트에 연결하여 충전(급속,완속)하는 방식과 배터리 자동교환 장치를 통해서 교환하는 방식으로 전기자동차 구동원을 확보한다.
현재까지 전기자동차의 구동원을 확보하는데 제일 합리적인 방안은 첫 번째가 급속충전에 의한 충전방식과 두 번째는 충전된 배터리를 교환하는 방식으로 신속한 충전서비스 제공으로 자동차 충전시 소요되는 대기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식이다. 물론 후자의 경우는 배터리와 교환방식에 대한 표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초기의 전기자동차 시범 운영기간중에 많이 채택하는 충전기 설치는 초기에는 완속충전기를 사용하다 차량 댓수가 많아지면 급속충전기로 단계적으로 UpGrade하여 유지운영비 절감 및 비용대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추진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두가지 측면을 고려하여 설계한 충전기이다.
첫번째가 임대배터리 교환서비스 측면에서 교환 가능한 임대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 수동으로 충전기의 배터리 수납공간에 임대배터리들을 장착하여 충전함과 동시에 임대배터리 교환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충전기를 고안하였다.
교환서비스의 주요특징은 (1)배터리 교환용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충전비용이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배터리들을 충전할 수 있도록 충전기를 고안하였다. 전기충전기에서 임대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 절감모드와 신속모드로 설정가능하면 절감모드로 동작시 값싼 심야전력(또는 전력공급사에서 남는 전원)으로 임대배터리를 충전하여 충전비용을 절감하도록 고안하였다.
(2)배터리 교환를 하기 위해서 전기 자동차의 빈 배터리를 수납공간에 반납하여야 충전된 배터리를 반출되도록 고안하였다. 이유는 고가의 임대배터리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3)현재의 전력망이 스마트그리드 전력망으로 향상 되었을때는 충전기의 배터리들은 전력망의 효율적 관리에 기여 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져 있다.
즉 전기생산이 전기수요보다 많을 때는 배터리에 전력을 저장했다가 전기수요가 증가할 때는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다시 전력망에 다시 재 공급하는 시스템형태로 고안하였다.
두 번째가 전기충전기에서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해서 전기충전기의 충전프러그를 전기자동차의 주유구 콘센트에 연결하는 방식의 충전서비스에 관한 내용이다.
(1) 기존 충전기는 본체에 설치된 인증장치( RF카드,스마트폰등)에서 인증을 받도록 고안되어 있으나 , 본 고안은 충전기와 연결된 인증장치가 부착된 충전프러그를 전기자동차의 콘센트에 접속하면 본인을 인증하라는 음성메세지가 나온다. 이 때 운전자는 카드를 충전프러그에 부착된 인증기에 인증카드를 접근하게 하여 사용자 유무를 판독하여 전기자동차에 충전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또한 인증카드가 없는 경우 핸드폰(스마폰)을 통한 인증번호 부여받아서 스마트프러그의 키패드로 부여받은 인증번호입력하여 충전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이러한 기능을 지원하는 충전프러그를 사용해서 충전하는 경우 충전하기 위해서 이동하는 범위와 조작행위를 최소화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사항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상기에 기술된 프러그를 스마트 충전프러그라 칭한다.
(2)기존 충전기는 하나의 충전기에서 한대/두대의 차량만 서비스하지만 본고안은 하나의 충전기에서 4대이상의 차량을 동시에 서비스지원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설치비 절감 및 간단한 사용방법으로 사용편의성을 제공 한다.
이상과 같은 특징은 불특정 다수가 충전할 수 있는 장소에서 시용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으며 , 주로 공동주택(아파트,주상복합시설,사무실등) , 공공건물, 주차장 , 도로등에 설치하여 충전기 등록 고객이면서 후불정산 계약자인 경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충전기 후불정산으로 등록하지 않은 고객은 충전기 본체에서 제공하는 정산방법으로 충전이 가능하다.
본 충전방법과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해결수단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가 임대배터리 교환서비스 측면에서 교환 가능한 임대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 수동으로 충전기의 수납공간에 임대배터리들을 장착하여 충전함과 동시에 임대 배터리 교환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충전기를 구현하였다.
전기충전기에 장착된 임대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 절감모드와 신속모드로 설정가능하고 절감모드로 동작시 값싼 심야전력(또는 전력공급사에서 남는 전력,스마트그리드 전력망 활용 전력)으로 배터리를 충전하여 충전비용을 절감하도록 구현하였다.
또한 충전된 임대배터리 교환서비스를 받기 위해서 전기 자동차의 빈 배터리를 반납하여야 충전된 배터리를 반출되도록 구현하였다. 이유는 고가의 임대배터리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현재의 전력망이 스마트그리드 전력망으로 향상 되었을때는 충전기의 배터리들은 전력망의 효율적 관리에 기여 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져 있다.
즉 전기생산이 전기수요보다 많을 때는 배터리에 전력을 저장했다가 전기수요가 증가할 때는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다시 전력망에 다시 재 공급하는 시스템형태로 구현하였다.
[도 1]은 전기충전기(160)에서 여러 개의 교환 가능한 임대 배터리들을 충전기의 배터리 수납공간에 장착하고 , 배터리 교환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배터리를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충전하여 언제든지 교환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충전기(160)의 스마트그리드 전력제어 기능(163)을 제공하여 충전기의 운영의 효율성을 지원하고, 충전기의 주제어기(164)의 제어프로그램은 상위관리시스템과 연동기능을 제공하는 연동모듈(100)와 여러대의 전기자동차를 충전이 가능한 전기자동차 충전제어모듈(110) , 여러대의 배터리를 최소비용으로 충전 가능하게 지원함과 동시에 충전배터리 분실을 방지하는 임대배터리 충전제어모듈(120) , 충전기와 사람간의 의사소통을 지원하는 MMI처리제어모듈(130) , 다양한 형태의 인증매체(신용카드,교통카드,하이패스카드,스마트폰,충전이용카드등)와 상호통신을 지원하는 외부장치통신모듈(140) , 충전시 소요되는 비용을 정산하는 요금정산모듈(150)으로 구성된 제어프로그램이다.
두 번째가 전기자동차에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해서 충전기 조작 및 이동경로를 최소화 함으로써 충전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고안된 스마트 충전프러그를 지원하는 충전기이다.
스마트프러그가 적용된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 3]과 같이 전기자동차에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기의 제어프로그램(320)과 스마트 충전프러그(300) 기능에 대한 개념도를 도식화 하였다.
충전기의 제어프로그램(320)의 지원기능은 상위관리시스템과 연동기능을 제공하는 연동모듈(100)와 여러대의 전기자동차를 충전이 가능한 전기자동차 충전제어모듈(110) , 여러대의 배터리를 최소비용으로 충전가능하게 지원하는 임대배터리 충전제어모듈(120) , 충전기와 사람간의 의사소통을 지원하는 MMI처리제어모듈(130) , 다양한 형태의 인증매체(신용카드,교통카드,하이패스카드,스마트폰,충전이용카드등)와 상호통신을 지원하는 외부장치통신모듈(140) , 충전시 소요되는 비용을 정산하는 요금정산모듈(150)으로 구성된 제어프로그램이다.
스마트 충전프러그(300)를 구성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는 충전을 원하는전기자동차 운전자의 신원을 인증하는 인증매체제어기(301) , 동작의 현황의 안내메세지를 보내는 스피커(302) , 충전프러그와 충전기간의 통신모듈(303) , 충전프러그에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304) , 충전프러그를 종합제어하는 주제어보드(305) , 방수 키패드를 지원하는 입력부(306) , 전기자동차 충전구와 스마트프러그와 접속하는 접속Connector부(307) 와 프러그접속 스위치(308)로 구성되어 있다.
스마트 충전프러그의 주제어보드(305)에서 동작되는 스마트충전프로그램(310)이 지원하는 기능은 충전기와 통신하는 기능(311) , 입력부/표시부/ 스피커/인증기등의 입출입 데이터 제어 및 처리기능(313) , 배터리 충전시 배터리펙의 BMS와 통신하는 기능(312)을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마트 충전프러그를 활용시 전기자동차 충전을 하기 위해서 충전기 조작 및 이동경로를 최소화하여 충전의 편의성을 최대한 제공한다.
또한 불특정 다수가 충전할 수 있는 장소에서 시용하는 경우 , 주로 공동주택(아파트,주상복합시설,사무실등) , 공공건물, 주차장 , 도로등에 설치하여 충전인프라 이용 고객이면서 후불정산 계약자인 경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 누가 충전을 얼마나 했는지에 대한 비용청구를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다.
임대 배터리를 교환하는 방식으로 충전인프라 구성시 스마트그리드 전력망 구성이 용이하고 , 가장 싼 비용으로 배터리를 충전하게 함으로써 충전비용 절감으로 충전서비스의 제공자의 이익증대를 통한 전기자동차 충전서비스의 품질을 향상 , 신속한 교환서비스로 인해서 운전자에게 전기자동차 충전대기시간에 대한 불편함을 개선함으로써 편리성을 제공한다.
즉 서비스 제공자의 이익증대에 따른 충전인프라 보급이 증대되고 , 운전자는 인프라 증대에 따른 전기자동차 사용의 편리성이 증대됨과 동시에 CO2배기 가스축소에 따른 환경개선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도 1] 전기충전시스템 구성도
[도 2] 전기자동차 충전 및 임대배터리 충전 시스템 설치 예
[도 3] 스마트 충전프러그 운영 시스템 구성도
[도 4] 지면에 설치된 멀티 충전지원 무인충전기
[도 5] 천정이 있는 공간에 설치된 멀티 충전지원 무인충전기
[도 6] 스마트 충전프러그 설치모형 예
[도 7] 스마트 충전프러그 개념도
[도 8] ACT 사의 DEW(Dynamic Electrochemical Waveform) 충전개념도
[도 9]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한 시스템 연관도
[도 10]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시스템 연관도
[도 11] 스마트프러그를 활용한 충전절차 Sequence
[도 12] 핸드폰의 SMS인증번호를 이용한 인증절차 Sequence
[도 13] 충전프러그가 없는 무인충전기
[도 14] 충전프러그가 있는 무인충전기
[도 15] 전기자동차의 콘센트가 완속충전/급속충전용 두개 있는 경우
[도 16] 급속충전기와 완속충전기 외형도 예 ( 한국전력 )
[도 17] 전기충전기 기본 계통도 예 (한국전력)
[도 18] 전기자동차 기본 구성도
[도 19] 배터리펙(Battery Pack) 상용화 예
[도 20] 전기자동차 충전용 프러그 예
[도 21] 일반적인 전기충전기 기본 기능BLOCK도
[도 22] 배터리 충전과 교환 서비스에 대한 장단점 분석표
일반적으로 충전기의 프러그는 2가지유형으로 먼저 [도 13]와 같이 자동차 주유구에 충전프러그를 연결하고 충전기의 콘센트에 충전프러그를 접속하는 경우와 [도 14]와 같이 충전기에 준비된 프러그를 꺼내서 전기자동차의 콘센트에 연결하여 충전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제일 중요한 것은 전기자동차에 충전하는 비용을 지불은 누가 할 것 인가? 따라서 충전시 비용을 즉시 지불하든지 또는 충전당사자가 누구인지를 인증하여 후불로 정산하는 방법이 있다.
현재 충전기에서 충전서비스/교환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충전비용을 즉시 지불하고 서비스를 받는 경우 , 충전비용을 후불로 정산하는 계약을 체결한 후에 본인여부를 인증하는 수단(스마트폰,RF카드등)를 신청하여 본인인증만으로 충전서비스/교환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충전서비스 비용을 즉시 지불하는 경우는 충전기 본체에서 주로 정산하여야 하고 , 현금지불을 지원하는 충전기는 경비인력 혹은 정비인력이 상주하는 장소에서만 운영된다.
충전기를 이용하는 이용고객은 편리하게 충전인프라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충전인프라를 이용계약을 맺고 본인인증으로만 편리한 충전/교환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충전인프라 이용계약을 체결한 고객과 인프라를 관리하는 관리서버 구축이 선결되어 있다는 전제 조건으로 본 고안이 구현된다.
[도 1]은 전기충전기(160)에서는 여러 개의 교환 가능한 임대 배터리를 빈 수납공간에 장착하고 배터리 교환서비스 제공할 수 있도록 배터리를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충전하여 언제든지 교환서비스를 제공한다. 충전기의 스마트그리드 전력제어 기능을 제공하여 충전기의 운영의 효율성을 지원하고, 충전기의 주제어기(164)의 제어프로그램은 상위관리시스템과 연동기능을 제공하는 연동모듈(100)와 여러대의 전기자동차를 충전이 가능한 전기자동차 충전제어모듈(110) , 여러대의 배터리를 최소비용으로 충전가능하게 지원함과 동시에 충전배터리 분실을 방지하는 임대배터리 충전제어모듈(120) , 충전기와 사람간의 의사소통을 지원하는 MMI처리제어모듈(130) , 다양한 형태의 인증매체(신용카드,교통카드,하이패스카드,스마트폰,충전이용카드등)와 상호통신을 지원하는 외부장치통신모듈(140) , 충전시 소요되는 비용을 정산하는 요금정산모듈(150)으로 구성된 제어프로그램이다.
본 고안에서 구현해야 할 첫 번째 기술적 분야는 임대배터리 교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충전소 혹은 차량정비업체에 설치된 충전기에 장착된 임대배터리를 충전은 심야시간 전력, 발전소에서 생산된 잉여 전력 , 스마트 그리드 전력망에 의한 운영전력등을 이용하여 최소비용으로 임대배터리 충전할 수 있도록 구현함과 동시에 충전된 고가의 임대 배터리를 분실하지 않고 임대 배터리 교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충전기를 구현한다.
충전기에 장착된 임대배터리 수납공간은 빈 수납공간에 임대배터리가 반납되지 않으면 충전된 배터리를 반출하지 못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 교환당사자가 배터리 교환서비스 당사자로 인증받은 경우만 충전된 배터리를 반출하여 차량에 장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충전기에서 임대배터리 반입/반출 및 충전을 지원하는 모듈은 [도 1]의 충전기의 임대배터리 충전제어모듈(120)에서 지원하도록 한다.
충전할 임대배터리수 보다 하나 많은 수납공간을 관리하여 항시 한개의빈 배터리 수납공간은 관리하도록 한다. 이렇게 관리 함으로써 고가의 배터리 분실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에서 구현해야 할 두 번째 기술적 분야는 편리한 충전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구현하는 것이다.
(1)조작 및 이동 횟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충전기와 연결된 충전프러그에 인증매체기(RF카드 Reader기,인증매체통신기등)가 부착하여 전기자동차의 콘센트에 프러그가 접속하면 , 충전프러그의 주제어보드에서 본인을 인증하라는 음성메세지가 나오면, 운전자는 인증매체(카드,스마트폰등)를 충전프러그에 부착된 인증기에 접근하게 하여 고유식별자를 판독하여 충전기로 송신하여 충전인프라 등록회원 유무를 조회하여 회원이면 전기자동차에 충전서비스를 제공하고 비회원이면 음성안매메세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2)하나의 충전기에서 여러대의 차량을 동시에 충전 서비스하여 설치비 절감 및 간단한 사용방법으로 충전기 사용편의성을 극대화 하여야 한다.
[도 6]는 스마트 충전프러그가 설치된 모형 예를 도식화 하였다.
[도 7]는 충전기에 부착된 스마트 충전프러그(710)가 지원하는 제어부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기술하였다.
충전기 인증매체의 고유번호를 판독할 수 있는 인증판독기(711)부 , 충전현황를 알려주는 안내 스피커부(712) , 충전기와 통신부(713) , 충전 스마트프러그의 현황을 표시하는 액정지원하는 표시부(714) , 전기자동차 배터리에 전기 충전을 하기 위한 처리를 담당하는 주제어보드(715) , 충전프러그 동작을 조작하는 키패드 입력부(716) , 전기자동차 충전구와 접속Connector 기계적인 부분(717) 과 프러그접속스위치(718)로 구성된 요소이다.
스마트프러그를 적용한 충전기 설치사례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도 4]은 지면에 설치된 멀티 스마트 충전프러그를 활용한 충전기와 [도 5]은 천정이 있는 공간에 설치된 멀티 스마트 충전프러그를 활용한 충전기의 설치사례를 기술하였다.
[도 9]은 본 고안의 충전시스템에 전기자동차에 장착된 배터리펙을 충전하기 위한 시스템 연관도를 도식화 하였다. 충전기(930)에서 공급되는 전력은 충전서비스를 받는 전기자동차 댓수에 따라 Load Balance를 위한 전류/전압 제어분배기(940) , 전기자동차(960)의 배터리펙에 충전을 할 수 있는 스마트충전프러그(950)로 구성되어 있다. 통신신호는 통신방식에 따라 별도의 통신선을 활용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충전시스템에 적용된 탈착식(분리)가능한 배터리펙을 충전하기 위한 시스템 연관도를 도식화 하였다. 충전기(1030)에서 공급되는 전력은 충전서비스를 받는 배터리펙 댓수에 따라 Load Balance를 위한 전류/전압 제어분배기(1040) , 배터리펙(1060)의 BMS와 통신을 할 수 있는 스마트BMS통신(1050)로 구성되어 있다. 스마트BMS통신(1050)모듈은 충전기와 배터리펙BMS간의 충방전시 상호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Gate의 역할을 수행한다. 통신신호는 통신방식에 따라 별도의 통신선을 활용할 수도 있다.
[도 11]은 스마트충전프러그를 활용한 충전절차 Sequence를 도식화한 내용으로써 , 전기자동차에 스마트충전프러그를 사용하여 충전하는 절차에 대해서 기술 한다.
충전이 필요한 전기자동차가 주차면에 주차하고 스마트보관함에서 스마트충전프러그(1110) 분리하여 전기자동차(1100)의 충전구에 스마트충전프러그(1110)를 접속하면 스마트충전프러그(1110)의 표시부와 음성메세지로 신원인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운전자에 알린다. 전기충전을 원하는 운전자는 본인을 인증할 수 있는 인증수단을 스마트충전프러그의 인증기에 제시하면 , 스마트충전프러그의 인증매체기는 제출된 인증수단의 고유번호를 판독하여 충전기(1120)로 인증고유번호를 송신하여 충전서비스 등록회원유무를 식별한다. 회원으로 판단되는 경우 충전기는 스마트충전프러그에 충전전원을 공급한다.
전기자동차에 충전을 하는 동안에는 충전완료표시등에 충전중을 표시한다.
회원이 아닌 경우는 스마트충전프러그의 표시부와 스피커부로 충전 불가능한 내용의 안내메세지를 보낸다.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서 스마트충전프러그(1110)를 분리하면 스마트충전프러그(1110)은 충전기(1120)로 충전전원공급 중단을 요청함과 동시에 충전완료표시등에 충전완료를 표시한다.
[도 12]은 핸드폰의 SMS문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본인인증을 받아서 충전서비스를 받는 절차를 도식화 하였다.
전기자동차 운전자(1200)는 공동주택 또는 공공시설의 주차장내 주차면에 전기자동차를 주차하고 충전하기 위해서 스마트 충전프러그 보관함에 보관된 스마트 충전프러그(1210)를 반출하여 전기자동차 충전구에 삽입한 후 핸드폰(스마트폰)등으로 충전프러그 고유번호를 입력하고 관리서버로 인증을 요청(1230)하면 관리서버는 무선단말기(핸드폰,스마폰)로 요청한 운전자의 신분을 확인하고 인증번호를 송신한다. 인증번호로 수신한 운전자는 스마트 충전프러그에 부착된 Key-Pad입력부로 인증번호를 입력한다(1235).
스마트 충전프러그는 입력된 인증고유번호를 충전기로 송신하여 충전유무를 확인한후 충전가부를 결정하도록 요청한다(1236).
충전기는 스마트 충전프러그에서 송신된 인증번호로 등록회원유무를 관리서버로 확인요청(1237)하여 등록회원 유무를 스마트 충전프러그로 응답한다.
등록회원이 아니면 스마트 충전프러그는 등록회원이 아니라는 음성과 문자Message를 표출하여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등록회원이면 충전기는 스마트 충전프러그로 충전전원을 공급(1240)하면서 배터리의 충전상태로 주기적으로 감시하면서(1241) 충전완료를 감지하도록 한다.
충전프러그는 충전완료를 감지하면 충전기로 충전전원공급 중단을 요청함(1243)과 동시에 충전프러그 보관함의 표시등에 충전완료표시(1244)를 한다.
충전기(1220)는 충전완료시 운전자(1200)의 무선단말기(핸드폰,스마폰등)으로 충전완료 SMS문자 메시지를 보낸다(1260). 충전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운전자는 전기자동차에 연결된 스마트 충전프러그를 분리하여 충전프러그 보관함에 반납한다.
이 때 스마트 충전프러그가 전기자동차에서 분리되고 일정시간내에 프러그보관함에서 충전프러그 반납신호가 검지되지 않으면 충전프러그 미반납 알람신호를 충전기,상위서버 그리고 운전자에게 알람신호를 보낸다.
SMS : Short Message System
RF : Radio Frequency
MMI : Man Machine Interface
BMS : Battery Monitoring System
SOC ; State Of Charge

Claims (5)

  1. 공동주택 또는 공공시설의 주차장내 주차면에 전기자동차를 주차하고 충전하기 위해서 충전기와 다수의 충전프러그가 [도 1],[도 4],[도 5],[도 9]와 같은 형태로 연결되어 있으며 , 연결된 충전프러그가 [도 3]에 기술된 기능이 구현된 스마트 충전프러그(300)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는 충전시스템.
  2. 공동주택 또는 공공시설의 주차장내 주차면에 전기자동차를 주차하고 충전하기 위해서 [도 11]에 있어서
    a)충전시스템의 프러그보관함에서 스마트 충전프러그를 분리하는 단계(1130);
    b)분리된 스마트 충전프러그를 전기자동차 충전구에 결속하는 단계(1140);
    c)스마트 충전프러그는 운전자에게 신원인증요청 음성메세지 또는 액정에 메세지를 표시하여 신분증(신원인증매체)을 제시하도록 요구하는 단계(1150);
    d)스마트 충전프러그는 제출된 인증카드를 판독하여 충전시스템으로 인증카드 고유번호를 송신하는 단계(1160);
    e)충전기(1120)은 수신받은 인증카드 교유번호로 충전인프라 사용회원유무를 판단하는 단계(1170);
    f)충전시스템은 회원으로 판단되는 경우 스마트 충전프러그로 충전용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1180);
    g)충전완료표시등에 충전중을 알리는 단계(1185);
    h)스마트 충전프러그는 전원을 전기자동차에 공급하는 단계(1190);
    i)지속적으로 배터리 충전제어 및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1191);
    j)전기자동차에서 충전완료Message Event를 수신하는 단계(1192);
    k)충전완료상태를 감지시 충전완료 표시등에 완료표시등 표시단계(1193);
    l) 충전기로 충전 전원중단 요청단계(1194);
    m)차량소유주에게 충전완료 SMS문자 메시지 전송단계(1195);
    n)스마트 충전프러그를 자동차에서 분리하여 프러그보관함에 반납하는 단계(1196);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는 방법과 충전시스템.
  3. 공동주택 또는 공공시설의 주차장내 주차면에 전기자동차를 주차하고 충전하기 위해서 [도 12]와 같이 핸드폰의 SMS인증번호를 이용한 인증절차에 있어서
    a)무선단말기(핸드폰,스마트폰등)에서 관리서버에게 충전 인증번호 요청하는 단계(1230);
    b) 수신 받은 인증번호를 스마트 충전프러그에 부착된 Key Pad입력부를 조작하여 인증번호를 입력하는 단계(1235);
    c)스마트 충전프로그는 입력된 인증번호를 충전기로 충전가능한 회원유무를 확인요청하는 단계(1236);
    d)충전기는 관리서버에서 인증번호로 등록회원유무를 확인하는 단계(1237);
    e)충전기는 회원유무에 대한 내용을 스마트 충전프러그에 통보 및 충전회원인 경우는 스마트 충전프러그를 통해서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단계(1240);
    f)스마트 충전프러그는 자동차 배터리 충전 및 상태를 지속적으로 제어 및 감시하는 단계(1241);
    g)전기자동차에서 충전완료Message Event를 수신하는 단계(1242);
    h)스마트 충전프러그는 충전기로 전기충전완료신호를 송신하는 단계(1243);
    i)스마트프러그는 충전완료표시등에 충전완료를 표시하는 단계(1244);
    j)운전자는 분리된 스마트 충전프러그를 프러그보관함에 반납하는 단계(1250);
    k)충전완료 Message를 운전자에게 송신하는 단계(1260);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는 방법과 충전시스템.
  4. 전기자동차 구동원을 확보하기 위한 배터리 교환서비스를 충전소 및 차량정비소에 설치된 [도 1],[도 2] 와 [도 10]의 충전기에서 여러개의 충전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수납 공간Case(1080)와 교환할 방전된 배터리를 수납할 수 있는 하나의 빈 수납공간Case(1090)를 가진 충전시스템에 있어서 수납공간Case(1080)에 보관된 충전배터리를 수납공간의 잠금장치(1070)를 제어 및 감시하여 배터리 반출입 관리기능을 수행하는 임대배터리 충전제어모듈(120)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는 충전시스템.
  5. 충전소 및 차량정비소에 설치된 [도 1],[도 2] 와 [도 10]의 충전기에서 배터리 교환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수납공간Case(1080)에 보관된 충전배터리를 반출하려면 ,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충전기,베터리펙)를 관리하는 충전인프라 관리서버(1000)로 배터리 교환서비스 대상자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인증절차를 받아서 사용권한을 확인후, 빈 수납공간Case(1090)에 교환 할 배터리를 반입하여야 충전된 배터리를 반출할 수 있는 관리기능을 수행하는 임대배터리 충전제어모듈(120)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는 충전시스템.
KR1020100048913A 2010-05-26 2010-05-26 전기자동차 배터리펙 충전을 위한 서비스 방법 과 시스템 KR201101295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913A KR20110129517A (ko) 2010-05-26 2010-05-26 전기자동차 배터리펙 충전을 위한 서비스 방법 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913A KR20110129517A (ko) 2010-05-26 2010-05-26 전기자동차 배터리펙 충전을 위한 서비스 방법 과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1722A Division KR20120019491A (ko) 2012-01-05 2012-01-05 임대한 전기자동차 배터리펙 충전을 위한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517A true KR20110129517A (ko) 2011-12-02

Family

ID=45498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913A KR20110129517A (ko) 2010-05-26 2010-05-26 전기자동차 배터리펙 충전을 위한 서비스 방법 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9517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668B1 (ko) * 2009-01-27 2012-05-22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KR101528079B1 (ko) * 2013-12-27 2015-06-1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 및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의 운영 방법
CN105977558A (zh) * 2016-07-01 2016-09-28 欣旺达电动汽车电池有限公司 可扩展的混合式电池管理系统
KR101860797B1 (ko) * 2018-03-08 2018-05-25 (주)모던텍 오토 핸들 장치
CN110850221A (zh) * 2019-11-29 2020-02-28 上海有个机器人有限公司 机器人自动充电成功率和充电桩寿命的测试方法和系统
CN113656056A (zh) * 2021-08-26 2021-11-16 长春捷翼汽车零部件有限公司 充电座和充电座升级的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668B1 (ko) * 2009-01-27 2012-05-22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KR101528079B1 (ko) * 2013-12-27 2015-06-1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 및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의 운영 방법
EP2889176A3 (en) * 2013-12-27 2015-11-11 Doosan Heavy Industries & Construction Co. Ltd. Battery exchange station and method of operating battery exchange station
US9573479B2 (en) 2013-12-27 2017-02-21 Doosan Heavy Industries & Construction Co., Ltd. Battery exchange station and method of operating battery exchange station
CN105977558A (zh) * 2016-07-01 2016-09-28 欣旺达电动汽车电池有限公司 可扩展的混合式电池管理系统
KR101860797B1 (ko) * 2018-03-08 2018-05-25 (주)모던텍 오토 핸들 장치
CN110850221A (zh) * 2019-11-29 2020-02-28 上海有个机器人有限公司 机器人自动充电成功率和充电桩寿命的测试方法和系统
CN113656056A (zh) * 2021-08-26 2021-11-16 长春捷翼汽车零部件有限公司 充电座和充电座升级的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
CN113656056B (zh) * 2021-08-26 2024-02-23 长春捷翼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充电座和充电座升级的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2661B2 (en) Metered electrical charging station with integrated expense tracking and invoice capabilities
US9037507B2 (en) Method to facilitate opportunity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KR101900959B1 (ko) 전력 저장 디바이스에 전류를 공급하는 충전 시스템, 키오스크 및 방법
JP5596789B2 (ja) 電池を動力源とする車両における貯蔵エネルギー管理の方法および装置
TWI486909B (zh) 用於提供車輛診斷資料之裝置、方法及物品
EP2737599B1 (en)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authentication, security and control of power storage devices, such as batteries, based on user profiles
CN102792547B (zh) 用于电网集成车辆的汇聚服务器
JP2019071780A (ja) 使用者認証コンセント又はコネクタ、電力仲介用コネクタ及び電力需要装置
KR101132770B1 (ko) 전기 자동차 충전소 운영시스템
CN103123732B (zh) 一种公用充电管理系统及充电方法
US2011022753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harging an electric vehicle
US20140266004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US20100280675A1 (en) Method for manag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loads on a local electric power infrastructure
US8896265B2 (en) Charge transfer devices for plug-in electric vehicles
KR101100363B1 (ko) 집합건물 주차장의 하이브리드 차량 충전 시스템 및 방법
CN102742113A (zh) 电动车辆充电及计费
KR101214448B1 (ko) 충전기 간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충전 설비와 그 충전 제어 방법
KR20110129511A (ko) 전기자동차 사용의 편리성을 지원하는 충전 인프라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110129517A (ko) 전기자동차 배터리펙 충전을 위한 서비스 방법 과 시스템
CN112311041A (zh) 共享电池系统和控制电池的方法及移动共享服务系统
KR101233717B1 (ko) 스마트 커넥터를 이용한 충전 및 과금시스템
JP2012098798A (ja) 充電システム
KR20130015373A (ko) 공용 전기자동차 충전과금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10591A (ko) 충전 부하 밸런싱이 가능한 전기차 충전 장치
KR20120019491A (ko) 임대한 전기자동차 배터리펙 충전을 위한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