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9080A - 페브리-페롯 필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 - Google Patents

페브리-페롯 필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9080A
KR20110129080A KR1020100048513A KR20100048513A KR20110129080A KR 20110129080 A KR20110129080 A KR 20110129080A KR 1020100048513 A KR1020100048513 A KR 1020100048513A KR 20100048513 A KR20100048513 A KR 20100048513A KR 20110129080 A KR20110129080 A KR 20110129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y
erbium
light source
perot filte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럭스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럭스퍼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럭스퍼트
Priority to KR1020100048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9080A/ko
Priority to PCT/KR2010/003315 priority patent/WO2011149122A1/ko
Publication of KR20110129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90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40Transceivers
    • H04B10/43Transceivers using a single component as both light source and receiver, e.g. using a photoemitter as a photo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81Multimode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aser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페브리-페롯 필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은 입력광을 증폭시키는 어븀 첨가 광섬유(Eribium Doped Fiber), 제 1 펌프광을 어븀 첨가 광섬유에 결합시키는 제 1 광결합기 및 어븀 첨가 광섬유에 접속되어 입력되는 신호광을 특정 파장별로 분리하고, 분리된 특정 파장의 신호광을 반사시켜 어븀 첨가 광섬유로 전달하는 페브리-페롯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페브리-페롯 필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BROADBAND LIGHT SOURCE USING FABRY PEROT FILTER}
본 발명은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페브리-페롯 필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에 관한 것이다.
광대역 광원은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크(WDM-PON,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 Passive Optical Network), 광 측정(optical measurement), 광 센싱 또는 자이로스코프(gyroscope)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주요 이용 분야인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크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해당 네트워크는 각 가입자에게 부여된 고유의 파장을 이용하여 초고속 광대역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서로 다른 파장의 신호를 해당 가입자만 수신하기 때문에 보안성이 우수하고, 각 가입자 별로 별도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통신 용량의 확대를 쉽게 수용할 수 있다.
종래에는, DFB-LD(Distributed Feedback-Laser Diode) 소자를 사용하여 중앙 기지국(CO, Central Office)과 가입자 장치(subscriber terminal)들이 서로 다른 파장의 광원을 각각 구비함으로써, WDM-PON을 구현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DFB-LD 소자가 고가이기 때문에 비용적인 측면에서 상용화에 많은 어려움이 따를 뿐만 아니라 복잡한 온도 제어 기술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저가의 페브리-페롯 레이저 다이오드(FP-LD)에 비간섭성 광대역 광원(BLS, Broadband Light Source)을 주입하여 파장 잠김을 유도하고, 그것에 의해 WDM 광 신호를 구현하는 파장 잠김된 광 신호를 이용하는 기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광대역 광원은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반도체를 이용한 구성으로는 초 발광 LED(super luminescent LED)나 반사형 반도체 광 증폭기(RSOA, Reflective Semiconductor Optical Amplifier)를 사용하여 컴팩트한 사이즈의 광대역 광원을 구성할 수 있으나, 커플링 손실등에 의해 출력을 증가시키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하여, 어븀 첨가 광섬유(EDF, Eribium Doped Fiber)를 이용한 구성에서는 어븀의 특성상 광통신에서 사용되는 두 가지 중요 대역(예를 들면, C-대역, L-대역)을 증폭 자발 방출(ASE, Amplified Spontaneous Emission)을 이용하여 손쉽게 얻을 수 있다. 그에 따라, 기지국과 가입자 장치 사이의 쌍방향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기가(giga)급 데이터 전송 특성을 갖는 WDM-PON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FP-LD 로 주입되는 비간섭성광의 파워가 증가되어야 하므로 고출력 광대역 광원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전체 파장 중 실제 광통신에 사용되는 파장별로 입력광을 분리시키고 해당 파장들에 대해서 광을 증폭시킴으로써, 펌프 레이저 다이오드의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페브리-페롯 필터를 이용하여 전체 파장 중 실제 광통신에 사용되는 파장별로 입력광을 분리시키고 해당 파장들에 대해서 광을 증폭시킴으로써, 펌프 레이저 다이오드의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페브리-페롯 필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페브리-페롯 필터를 이용하여 비용이 저렴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크기가 보다 소형화되는 고출력의 페브리-페롯 필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페브리-페롯 필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은 입력광을 증폭시키는 어븀 첨가 광섬유(Eribium Doped Fiber), 제 1 펌프광을 어븀 첨가 광섬유에 결합시키는 제 1 광결합기 및 어븀 첨가 광섬유에 접속되어 입력되는 신호광을 특정 파장별로 분리하고, 분리된 특정 파장의 신호광을 반사시켜 어븀 첨가 광섬유로 전달하는 페브리-페롯 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페브리-페롯 유닛은 특정 파장별로 광신호를 분리하는 페브리-페롯 필터 및 분리된 특정 파장의 광신호를 반사시켜 어븀 첨가 광섬유로 전달하는 미러를 포함한다.
또한, 어븀 첨가 광섬유를 통해 증폭된 광을 출력하는 아이솔레이터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제 2 펌프광을 어븀 첨가 광섬유에 결합시키는 제 2 광결합기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페브리-페롯 필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은 입력광을 증폭시키는 어븀 첨가 광섬유(Eribium Doped Fiber), 제 1 펌프광을 어븀 첨가 광섬유에 결합시키는 제 1 광결합기, 어븀 첨가 광섬유에 접속되어 입력되는 신호광을 페브리-페롯 필터로 전달하는 서큘레이터 및 서큘레이터로부터 전달받은 광신호를 특정 파장별로 분리하여 서큘레이터로 전달하는 페브리-페롯 필터를 포함하되, 서큘레이터는 페브리-페롯 필터로부터 수신한 분리된 특정 파장의 광신호를 어븀 첨가 광섬유로 전달한다.
여기서, 서큘레이터의 1번 단자는 어븀 첨가 광섬유와 연결되고, 서큘레이터의 2번 단자는 페브리-페롯 필터의 입력단과 연결되고, 서큘레이터의 3번 단자는 페브리-페롯 필터의 출력단과 연결된 것이다.
그리고, 어븀 첨가 광섬유를 통해 증폭된 광을 출력하는 아이솔레이터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 2 펌프광을 어븀 첨가 광섬유에 결합시키는 제 2 광결합기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페브리-페롯 필터를 이용하여 전체 파장 중 실제 광통신에 사용되는 파장별로 입력광을 분리시키고 해당 파장들에 대해서 광을 증폭시킴으로써, 펌프 레이저 다이오드의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페브리-페롯 필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을 제공한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페브리-페롯 필터를 이용하여 비용이 저렴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크기가 보다 소형화되는 페브리-페롯 필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에서의 양방향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광대역 광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브리-페롯 필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광의 진행 방향이 아이솔레이터의 진행 방향 또는 출력 방향과 일치하는 페브리-페롯 필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 3과 도 4a의 광대역 광원을 결합한 구조의 페브리-페롯 필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브리-페롯 필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의 구성을 도시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에서의 양방향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 광 네트워크(100)는 중앙 기지국(110)과 가입자 장치(130), 중앙 기지국(110)과 각각의 가입자 장치(130)를 연결하는 원격 노드(120) 및 광 케이블(140)을 포함한다.
중앙 기지국(110)은 A 대역 광원(111, BLS: Broadband Light Source), B 대역 광원(112, BLS), 광원 분배기(113), 제 1 1ⅹN 광 다중/역다중화기(114) 및 송/수신기(115)를 포함한다.
원격 노드(120)는 제 2 1ⅹN 광 다중/역다중화기(121)를 포함하고, 광 가입자 장치(130)는 송/수신기(131)를 포함한다.
A 대역 광원(111)은 하향 광신호로 사용되는 A 대역 광신호를 제공하며, 주로 비간섭성(incoherent) 광원이 사용된다. A 대역 광원(111)은 A 대역 광신호를 생성하여 광원 분배기(113)로 제공한다.
B 대역 광원(112)은 상향 광신호로 사용되는 B 대역 광신호를 제공하며, A 대역 광원(111)과 마찬가지로 주로 비간섭성 광원이 사용된다. B 대역 광원(112)은 B 대역 광신호를 생성하여 광원 분배기(113)로 전달한다.
광원 분배기(113)는 A 대역 광원(111)으로부터 A 대역 광신호를 수신하여 중앙 기지국(110)의 제 1 1ⅹN 광 다중/역다중화기(114)로 전송한다. 또한, 중앙 기지국(110)의 제 1 1ⅹN 광 다중/역다중화기(114)로부터 파장 잠김된 A 대역 광신호를 전달받아 원격 노드(120)와 연결된 광 케이블(140)로 전송한다.
광원 분배기(113)는 B 대역 광원(112)으로부터 B 대역 광신호를 수신하여 광 케이블(140)을 통해 원격 노드(120)의 제 2 1ⅹN 광 다중/역다중화기(121)로 전송한다. 또한, 원격 노드(120)의 제 2 1ⅹN 광 다중/역다중화기(121)로부터 파장 잠김된 B 대역 광신호를 전달받아 중앙 기지국(110)의 제 1 1ⅹN 광 다중/역다중화기(114)로 전달한다.
제 1 1ⅹN 광 다중/역다중화기(114)는 광원 분배기(113)로부터 수신한 A 대역 광신호를 파장 별로 분리하여 중앙 기지국(110)의 송/수신기(115)의 송신기에 주입시킨다.
송/수신기(115)의 송신기는, 예를 들어, 페브리-페롯 레이저 다이오드(FP-LD: Fabry Perot Laser Diode) 혹은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가 사용되며, 각 가입자들에게 전송할 하향 광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송/수신기(115)의 송신기에 파장 별로 분리된 A 대역 광신호를 주입하면, 주입된 광신호의 파장과 다른 주파수 성분들은 억제되고, 주입된 광신호와 동일한 파장은 고정(잠김)됨으로써, 파장 잠김된 A 대역 하향 광신호가 출력된다.
송/수신기(115)의 수신기는 가입자 장치(130)로부터 수신한 파장 잠김된 B 대역 상향 광신호를 전달 받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며, 포토 다이오드(PD: Photo Diod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원격 노드(120)의 제 2 1ⅹN 광 다중/역다중화기(121)는 광원 분배기(113)로부터 수신한 B 대역 광신호를 파장 별로 분리하여 가입자 장치(130)의 송/수신기(131)로 주입시킨다. 제 2 1ⅹN 광 다중/역다중화기(121)는, 제 1 1ⅹN 광 다중/역다중화기(114)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배열 도파로 격자(AWG)가 사용될 수 있다.
송/수신기(131)의 송신기는, 예를 들어, 페브리-페롯 레이저 다이오드(FP-LD) 혹은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가 사용되며, 중앙 기지국(110)으로 전송할 상향 광신호를 생성한다.
자세하게는, 송/수신기(131)의 송신기에 파장 별로 분리된 B 대역 광신호를 주입하면, 주입된 광신호의 파장과 다른 주파수 성분들은 억제되고, 주입된 광신호와 동일한 파장은 고정(잠김)됨으로써, 파장 잠김된 B 대역 상향 광신호가 출력된다.
송/수신기(131)의 수신기는 중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파장 잠김된 B 대역 상향 광신호를 수신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며, 포토 다이오드(PD)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통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광대역 광원에 대해서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광대역 광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대역 광원(200)은 입력광을 증폭시키기 위한 어븀 첨가 광섬유(220), 펌프 레이저 다이오드(Pump LD)에서 출력되는 펌프광을 어븀 첨가 광섬유(220)에 결합시키는 광결합기(210), 광을 반사시키는 골드 미러(230), 광의 흐름 방향을 고정시키는 아이솔레이터(240)를 포함한다.
이때, 펌프광으로는 파장이 980nm인 펌프광 또는 파장이 1480nm인 펌프광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펌프광이 어븀 첨가 광섬유(220)를 통과하며 증폭이 되기 때문에 증폭 자발 방출광(ASE)을 얻을 수 있다.
종래의 광대역 광원(200)에서는 어븀 첨가 광섬유(220)에 의하여 생성된 ASE 스펙트럼을 골드미러(230)를 통해 모두 반사시키고 있다. 즉, 실제 WDM-PON에서 사용되는 채널에 해당하는 파장 외에, 실제 사용되지 않는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파장에 대해서도 스펙트럼이 생성되기 때문에,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실제 필요로 하는 파장만을 생성 또는 증폭시켜 효율을 높이는 구성을 사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브리-페롯 필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대역 광원(300)은 입력광을 증폭시키기 위한 어븀 첨가 광섬유(320), 펌프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출력되는 펌프광을 어븀 첨가 광섬유(320)에 결합시키는 광결합기(310), 광을 반사시키는 페브리-페롯 유닛(330), 광의 흐름 방향을 고정시키는 아이솔레이터(3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실제 WDM-PON에서 사용되는 채널에 해당하는 특정 파장에 대해서만 증폭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페브리-페롯 유닛(330)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개수의 채널에 해당하는 특정 파장만을 반사시킬 수 있다.
페브리-페롯 유닛(330)은 입력광을 특정 파장별로 분리하고 이를 반사시켜 어븀 첨가 광섬유(320)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페브리-페롯 필터(Fabry-Perot Filter)(332)와, 페브리-페롯 필터(332)의 출력단에 접속된 미러(334)를 포함한다. 이때, 페브리-페롯 필터(332)의 출력단에 골드 코팅을 수행하여 미러(334)를 형성할 수 있다.
페브리-페롯 필터(332)는 고체 에탈론 필터(solid etalon filter)나 협대역 통과 필터 등과 같은 패브리-페롯 공진기(Fabry-Perot resonator)로서, 주기적인 파장 의존성을 가지고 투과율과 반사율이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며 입사광의 입사각에 대해서도 같은 특성을 가진다.
그리고 페브리-페롯 필터(332)의 예로서, 용융 실리카(fused silica)의 양면을 동일 반사율을 가지도록 코팅(coating)한 고체 에탈론 필터의 경우에는 입사광에 대한 투과특성에서 자유 스펙트럼 범위(free spectral range)와 피크(peak)의 FWHM(Full Width Half Maximum)의 크기가 에탈론의 두께, 굴절률, 코팅반사율의 크기, 광의 파장 및 입사각에 의존한다.
따라서, 에탈론의 두께, 굴절률, 코팅반사율의 크기가 결정된 경우에 특정파장에서 입사광의 투과율 및 반사율은 입사각에 따라 변하고, 특정 입사각에서는 파장에 따라 변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이용한 본 발명의 페브리-페롯 필터(332)는 예를 들어 굴절률을 이용하여 입력광을 특정 파장별로 분리할 수 있다. 예컨대 자연방출광이 전체 파장 중 실제 광통신에 사용되는 32개의 특정 파장별로 분리되고, 미러(334)는 페브리-페롯 필터(332)를 통하여 필터링된 광에 대해서 원래의 경로로 반사한다. 여기서 미러(334)는 연속공정에 의해서 페브리 페롯 필터(330)의 출력단에 연결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반사된 파장의 신호광은 다시 어븀 첨가 광섬유(320)를 통해 증폭된다. 따라서, 실제로 사용되는 파장의 신호광이 증폭되고, 상대적으로 불필요한 파장의 증폭을 위한 펌프 레이저 다이오드의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페브리-페롯 필터(332)를 이용하여 비용이 저렴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크기가 보다 소형화되는 고출력의 광대역 광원을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도 4a 및 도 4b는 광대역 광원(300)의 기본 구성을 응용한 예를 도시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광의 진행 방향이 아이솔레이터의 진행 방향 또는 출력 방향과 일치하는 페브리-페롯 필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광의 진행 방향이 아이솔레이터의 진행 방향 또는 출력(output) 방향과 일치하도록 광대역 광원(300)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된 도 3의 광대역 광원(300)의 경우 펌프광의 진행 방향이 출력 방향과 상이하여 카운터 펌핑(counter-pumping)구조라고 하며, 도 4a의 광대역 광원(300)은 코 펌핑(co-pumping) 구조라고 한다.
도 4a의 광대역 광원(300)은 입력광을 증폭시키기 위한 어븀 첨가 광섬유(320), 펌프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출력되는 펌프광을 어븀 첨가 광섬유(320)에 결합시키는 광결합기(312), 광을 반사시키는 페브리-페롯 유닛(330), 광의 흐름 방향을 고정시키는 아이솔레이터(3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페브리-페롯 유닛(330)은 입력광을 특정 파장별로 분리하고 이를 반사시켜 어븀 첨가 광섬유(320)로 전달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 3과 도 4a의 광대역 광원을 결합한 구조의 페브리-페롯 필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을 도시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대역 광원(300)은 도 3과 도 4a의 광대역 광원을 결합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양방향 펌핑 구조라고 한다.
여기서 광대역 광원(300)은 입력광을 증폭시키기 위한 어븀 첨가 광섬유(320), 펌프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출력되는 펌프광을 어븀 첨가 광섬유(320)에 결합시키는 제 1 및 제2 광결합기(312, 314), 광을 반사시키는 페브리-페롯 유닛(330), 광의 흐름 방향을 고정시키는 아이솔레이터(3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페브리-페롯 유닛(330)은 입력광을 특정 파장별로 분리하고 이를 반사시켜 어븀 첨가 광섬유(320)로 전달한다. 한편, 이하 도 5를 통해 페브리-페롯 필터(332) 및 서큘레이터(336)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300)의 구성에 대해서 후술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브리-페롯 필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대역 광원(300)은 입력광을 증폭시키기 위한 어븀 첨가 광섬유(320), 펌프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출력되는 펌프광을 어븀 첨가 광섬유(320)에 결합시키는 광결합기(310), 광을 특정 파장별로 분리하는 페브리-페롯 필터(332), 어븀 첨가 광섬유(320)로부터 증폭된 입력광을 수신하여 페브리-페롯 필터(332)로 전달하고, 페브리-페롯 필터(332)으로부터 수신된 특정 파장을 어븀 첨가 광섬유(320)로 전송하는 서큘레이터(336) 및 광의 흐름 방향을 고정시키는 아이솔레이터(3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서큘레이터(336)의 1번 단자는 어븀 첨가 광섬유(320)와 연결되고, 서큘레이터(336)의 2번 단자는 페브리-페롯 필터(332)의 입력단과 연결되고, 서큘레이터(336)의 3번 단자는 페브리-페롯 필터(332)의 출력단과 연결된다.
따라서, 서큘레이터(336)의 1번 단자는 어븀 첨가 광섬유(320)으로부터 증폭된 입력광을 수신하고, 서큘레이터(336)의 2번 단자는 페브리-페롯 필터(332)의 입력단으로 수신된 입력광을 전달하고, 서큘레이터(336)의 3번 단자는 특정 파장별로 분리된 광을 페브리-페롯 필터(332)의 출력단으로부터 수신하여 어븀 첨가 광섬유(320)로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은 페브리-페롯 필터(332) 및 서큘레이터(336)는 상술된 도 4a 및 도 4b와 같이, 코 펌핑 구조, 양방향 펌핑 구조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기 바란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300: 광대역 광원
310, 312: 광결합기
320: 어븀 첨가 광섬유
330: 페브리-페롯 유닛
332: 페브리-페롯 필터
334: 미러
336: 서큘레이터
340: 아이솔레이터

Claims (8)

  1. 페브리-페롯 필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에 있어서,
    입력광을 증폭시키는 어븀 첨가 광섬유(Eribium Doped Fiber),
    제 1 펌프광을 상기 어븀 첨가 광섬유에 결합시키는 제 1 광결합기 및
    상기 어븀 첨가 광섬유에 접속되어 입력되는 신호광을 특정 파장별로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특정 파장의 신호광을 반사시켜 상기 어븀 첨가 광섬유로 전달하는 페브리-페롯 유닛
    을 포함하는 페브리-페롯 필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브리-페롯 유닛은
    상기 특정 파장별로 신호광을 분리하는 페브리-페롯 필터 및
    상기 분리된 특정 파장의 신호광을 반사시켜 상기 어븀 첨가 광섬유로 전달하는 미러를 포함하는 페브리-페롯 필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븀 첨가 광섬유를 통해 증폭된 광을 출력하는 아이솔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페브리-페롯 필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
  4.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펌프광을 상기 어븀 첨가 광섬유에 결합시키는 제 2 광결합기를 더 포함하는 페브리-페롯 필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
  5. 페브리-페롯 필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에 있어서,
    입력광을 증폭시키는 어븀 첨가 광섬유(Eribium Doped Fiber),
    제 1 펌프광을 상기 어븀 첨가 광섬유에 결합시키는 제 1 광결합기,
    상기 어븀 첨가 광섬유에 접속되어 입력되는 신호광을 페브리-페롯 필터로 전달하는 서큘레이터 및
    상기 서큘레이터로부터 전달받은 신호광을 특정 파장별로 분리하여 상기 서큘레이터로 전달하는 페브리-페롯 필터를 포함하되,
    상기 서큘레이터는
    상기 페브리-페롯 필터로부터 수신한 상기 분리된 특정 파장의 신호광을 상기 어븀 첨가 광섬유로 전달하는 것인 페브리-페롯 필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큘레이터의 1번 단자는 상기 어븀 첨가 광섬유와 연결되고, 상기 서큘레이터의 2번 단자는 상기 페브리-페롯 필터의 입력단과 연결되고, 상기 서큘레이터의 3번 단자는 페브리-페롯 필터의 출력단과 연결된 것인 페브리-페롯 필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어븀 첨가 광섬유를 통해 증폭된 광을 출력하는 아이솔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페브리-페롯 필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
  8. 제 5 항에 있어서,
    제 2 펌프광을 상기 어븀 첨가 광섬유에 결합시키는 제 2 광결합기를 더 포함하는 페브리-페롯 필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
KR1020100048513A 2010-05-25 2010-05-25 페브리-페롯 필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 KR2011012908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513A KR20110129080A (ko) 2010-05-25 2010-05-25 페브리-페롯 필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
PCT/KR2010/003315 WO2011149122A1 (ko) 2010-05-25 2010-05-26 페브리-페롯 필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513A KR20110129080A (ko) 2010-05-25 2010-05-25 페브리-페롯 필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080A true KR20110129080A (ko) 2011-12-01

Family

ID=45004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513A KR20110129080A (ko) 2010-05-25 2010-05-25 페브리-페롯 필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10129080A (ko)
WO (1) WO20111491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85131A1 (en) * 2012-12-28 2014-07-0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ulti-Wavelength Light Source Apparatus
CN103067092A (zh) * 2012-12-28 2013-04-24 华为技术有限公司 多波长光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0610B1 (ko) * 2003-07-30 2006-05-1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엘-밴드 광섬유 광원
KR100539906B1 (ko) * 2003-11-18 2005-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 광원
KR20050070566A (ko) * 2003-12-30 2005-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파장 광원과 그를 이용한 파장 분할 다중 시스템
KR100767722B1 (ko) * 2006-03-28 2007-10-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초협대역 대역투과 필터 기반 광섬유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마이크로파 신호 발생기
KR101038219B1 (ko) * 2009-05-29 2011-05-31 주식회사 럭스퍼트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크용 광대역 광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49122A1 (ko) 201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6974B2 (en) Low-cost WDM source with an incoherent light injected fabry-perot laser diode
US9461750B2 (en) Optical transmitter
US6996138B2 (en) Fabry-Perot laser apparatus mode-locked to multi-frequency lasing light source and optical transmission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680815B1 (ko) Fp- ld의 상호 주입을 이용한 광대역 비간섭성 광원을주입하여 파장 고정된 fp- ld의 광 변조방법 및 그시스템
US8639119B2 (en) Remote node for wavelength-division-multiplexed passive optical network
US20050041971A1 (en) Multi-wavelength optical transmitter and bi-directional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system using the same
JP5805126B2 (ja) 両方向光通信ネットワークで分布ラマン増幅および遠隔ポンピングを使用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2005130507A (ja) 反射型利得固定半導体光増幅器を含む光信号伝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光通信システム
TW201003272A (en) Laser source based on fabry-perot laser diodes and seeding method using the same
US8538262B2 (en) Color free WDM PON based on broadband optical transmitters
US8422124B2 (en) Seed light module for passive optical network
KR100701158B1 (ko) 펌프 광원이 단일 집적된 광송수신기 및 광송수신기 모듈
US20110110665A1 (en) Anti-reflection coated quantum dot resonator for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optical communication
KR20110129080A (ko) 페브리-페롯 필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
KR101038219B1 (ko)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크용 광대역 광원
US7031048B2 (en) Hybrid broadband light source
KR100752858B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형광가입자망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광송수신기
EP2429100A2 (en) Light source for a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 optical communications capable of the high-speed transmission of an optical signal using an unpolarized light source, and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passive optical network comprising same
Shin et al. C/S-band WDM-PON employing colorless bidirectional transceivers and SOA-based broadband light sources
JP4025761B2 (ja) 多波長レージング光源及び反射型光増幅手段を用いた波長分割多重方式受動型光加入者網
KR100990264B1 (ko) 링 공진기를 구비하는 광원 장치 및 광 통신 시스템
KR20100128838A (ko) Wdm-pon용 광대역 광원
KR100915139B1 (ko)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크용 주입광 생성장치
KR101243109B1 (ko) 파장 분할 다중 방식 수동형 광가입자망의 신호 전송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