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8499A - 기체분석장치 - Google Patents

기체분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8499A
KR20110128499A KR1020100047988A KR20100047988A KR20110128499A KR 20110128499 A KR20110128499 A KR 20110128499A KR 1020100047988 A KR1020100047988 A KR 1020100047988A KR 20100047988 A KR20100047988 A KR 20100047988A KR 20110128499 A KR20110128499 A KR 20110128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valve
gas
probe
pu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7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7279B1 (ko
Inventor
김득중
Original Assignee
서원티엠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원티엠에스(주) filed Critical 서원티엠에스(주)
Priority to KR1020100047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279B1/ko
Publication of KR20110128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8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브와 분석기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히터블럭; 및 상기 히터블록에 마련되어 상기 프로브와 분석기를 연결하는 샘플링 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퍼지부는, 상기 프로브와 공기탱크의 일 측을 연결하는 제1배관; 상기 공기탱크의 타 측과 외부를 연결하는 제2배관; 및 상기 제1배관과 제2배관 사이를 연결하는 제3배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 배관 사이에는, 각 관로를 개폐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분석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퍼지기능을 수행 시, 저온의 공기로 인한 결로현상이 방지됨으로, 그에 따른 기체의 변성 및 밸브의 저온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퍼지기능을 수행 시, 제1밸브의 개방에 의한 공기의 압력만으로 샘플링 배관 및 제3배관의 체크밸브가 폐쇄됨으로 필터의 재생이 용이하며, 밸브의 구성을 최소화시키고, 그에 따른 배관라인을 최적화하여 종래의 설비 구성에 비해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어 제작자로 하여금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PLC에 의한 제어밸브를 최소화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밸브 제어 작업에 따른 작업영역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샘플가스의 변성과 결로를 모든 공간에서 방지함으로써, 가스측정시스템의 목적인 정확하고 연속성 있게 최적의 측정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체분석장치{Gas analysis equipment}
본 발명은 대기중의 기체를 수집하여 분석하기 위한 분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검출기체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기체에 의해 오염된 프로브 및 프로브에 설치된 필터를 퍼지 시, 저온의 퍼지 기체로 인한 결로를 방지하여 피검출기체의 변성과, 밸브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체분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체분석장치는 기체를 대상으로 하는 화학분석으로 기체의 색, 냄새, 연소성 및 조연성 또는 어떤 물질에 흡수되는가 등을 조사하여 정상적으로 기체의 성분 및 조성을 알아내기 위한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기체분석장치는 본원 출원인이 선출원한 기체분석용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기체분석 장치(국내 특허등록 제609510호)가 있는데, 이 선출원의 기체분석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검출기체가 유입되어 필터(11)에 의해 여과된 후, 다이어프램 밸브(12)가 설치된 샘플링 배관(15)을 통해 분석기(13)로 기체를 수집시키기 위한 프로브(10)와, 상기 프로브(10)가 피검출기체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피검출기체에 의해 필터(11)가 오염 시, 이를 퍼지시키기 위한 퍼지부(20)로 구성된다.
상기 퍼지부(20)는 퍼지기능 수행시 전 주기 동안 개방되며, 상기 개방에 의한 공압으로, 다이어프램 밸브(12)를 폐쇄하는 제1밸브(21)와, 제1밸브(21)와 함께 개방되어 필터(11)를 퍼지하는 제2밸브(22)와, 제2밸브가 폐쇄됨과 함께 개방되는 제3밸브(23)와, 제3밸브(23)의 개방과 함께 진공을 형성하는 진공에덕터(25)와, 제3밸브(23)가 개방된 후, 퍼지 기체가 배출구(26)를 통해 배출되도록 개방되는 제4밸브(24)로 구성된다.
즉, 제1밸브(21)를 개방하여 샘플링 배관(15)에 구비된 다이어프램 밸브를 차단하고, 제2밸브(22)는 공압을 이용한 퍼지 기체를 통해 프로브(10)를 퍼지시킨다. 이후, 제2밸브(22)는 폐쇄하고, 제3밸브(23)가 개방되어 진공에덕터(25)에서 진공을 조성하고, 제4밸브(24)가 개방되어 퍼지 기체를 배출구(26)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공정이 완료된 후, 제4밸브(24)가 폐쇄되고, 제1밸브(21) 및 제3밸브(23)가 동시에 폐쇄되어 퍼지 단계는 완료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퍼지를 위한 종래의 밸브 구성은, 프로브(10)에 의해 수집된 기체의 변성과 온도차에 의한 결로현상 및 결로현상에 의한 밸브의 훼손 등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퍼지기능을 수행 시, 제1밸브(21)의 개방으로 인해 저온의 공기압이 다이어프램 밸브(13)로 전달되어 샘플링 배관(15)이 차단되나, 이때, 샘플링 배관(15) 및 다이어프램 밸브(12)의 온도가 프로브(10)에 설치된 히터(14)에 의해 일정온도(120℃ 내지 130℃) 유지된 상태이므로, 가열, 보온에서 개방되어 주변 열손실에 의한 결로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결로현상은 샘플링 배관(15)을 통해 분석기(13)로 유입되는 기체의 변성을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제2밸브(22)의 개방으로 인해 샘플링 배관(15)을 통해 유입되는 저온의 공기압으로 인해 프로브(10) 내부에서 결로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필터(11)의 퍼지기능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필터(11)의 퍼지기능을 수행한 후, 퍼지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제2밸브(22)를 폐쇄하고, 제3밸브(23) 및 제4밸브(24)를 개방 시, 퍼지 기체가 제3밸브(23)를 지나 진공에덕터(25)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나, 온도차에 따른 결로현상으로 수분을 포함한 퍼지 기체에 의해 제3밸브(23)를 부식시킬 수 있으며, 또한, 부식된 제3밸브(23)에 의해 외부 공기가 제3밸브(23)를 통해 내부로 혼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비 가열 및 방열로 인한 결로현상에 의해 수집되는 기체가 변성 및 밸브의 훼손은 물론, 훼손된 밸브에 의해 외부 공기가 혼입되어 정확한 분석이 어렵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정확한 분석이 이루어질 수 없으며, 장치의 훼손 등으로 인해 사용자로 하여금 경제적 피해를 유발시키는 문제점 또한 많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퍼지기능을 수행 시, 비 가열 및 방열로 인한 결로현상에 의한 기체의 변성을 방지하고, 밸브의 저온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기체분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퍼지기능을 수행 시, 제1밸브의 개방에 의한 공기의 압력만으로 샘플링 배관 및 제3배관의 체크밸브가 폐쇄됨으로 필터의 재생이 용이한 기체분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밸브의 구성을 최소화시키고, 그에 따른 배관라인을 최적화하여 종래의 설비 구성에 비해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는 기체분석장치를 제공한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PLC에 의한 제어밸브를 최소화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밸브 제어 작업에 따른 작업영역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기체분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피검출기체를 수집하는 프로브와, 상기 프로브와 연결되어 유입된 피검출기체를 분석하는 분석기, 및 공기탱크를 통해 상기 프로브 및 각 연결배관의 퍼지기능을 수행하는 퍼지부를 포함하는 기체분석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와 분석기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히터블럭; 및 상기 히터블록에 마련되어 상기 프로브와 분석기를 연결하는 샘플링 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퍼지부는, 상기 프로브와 공기탱크를 연결하는 제1배관; 상기 공기탱크와 외부를 연결하는 제2배관; 및 상기 제1배관과 제2배관 사이를 연결하는 제3배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 배관 사이에는, 각 관로를 개폐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분석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밸브는, 상기 샘플링 배관에 설치된 제1체크밸브; 상기 제1배관에 설치된 제1밸브; 상기 제2배관에 설치된 제2밸브; 및 상기 제3배관에 설치된 제2체크밸브;로 구성되며, 상기 제1체크밸브와 제2체크밸브는, 퍼지기능 수행 시, 상기 공기탱크로부터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체크밸브는, 관 형태로서, 프로브와 경사를 이루어 설치되는 제1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 내에서 경사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샘플링 배관을 개폐하는 제1볼;을 포함하며, 상기 제1볼은, 상기 프로브로부터 피 검출기체가 유입 시, 상기 샘플링 배관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나, 상기 퍼지기능을 수행 시에는 공압에 의해 상기 샘플링 배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샘플링 배관을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체크밸브는, 관 형태로서, 밸브의 양측 단부로 갈수록 호퍼형태를 이루는 제2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 내에서 공압에 의해 상/하 수직 이동되어, 제3배관을 개폐하는 제2볼;을 포함하며, 상기 제2볼은, 상기 제1배관을 통해 퍼지기능을 수행 시, 공기탱크에서 유입되는 기체의 공압에 의해 제3배관을 폐쇄하고, 상기 제2배관을 통해 퍼지기능을 수행 시, 제2배관을 통해 배출되는 기체의 공압에 의해 제3배관에 미치는 흡입력으로 인해 상기 제2볼이 상기 제2하우징의 양단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3배관이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배관과 제3배관의 교차부위에 설치되며, 상기 제2배관을 통한 퍼지기능을 수행 시, 상기 각 배관에 잔류하는 퍼지에 사용한 기체를 흡입하여 외부로 강제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장치;가 더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밸브 및 제2밸브는, PLC에 의해 제어되는 솔레노이드(solenoid)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체크밸브는, 히터블록에 마련되어 상기 샘플링 라인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퍼지기능을 수행 시, 비 가열 부와 자연냉각 구조가 없는 이유와 저온의 공기로 인한 결로현상이 방지됨으로, 그에 따른 기체의 변성 및 밸브의 저온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퍼지기능을 수행 시, 제1밸브의 개방에 의한 공기의 압력만으로 샘플링 배관 및 제3배관의 체크밸브가 폐쇄됨으로 필터의 재생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밸브의 구성을 최소화시키고, 그에 따른 배관라인을 최적화하여 종래의 설비 구성에 비해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어 제작자로 하여금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프로브를 사용으로 샘플 가스의 변성 및 결로가 방지됨으로, 정확하고 연속성 있게 최적의 측정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PLC에 의한 제어밸브를 최소화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밸브 제어 작업에 따른 작업영역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체분석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전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체분석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전체도, 그리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에에 따른 기체분석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체분석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체분석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전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분석장치(100)는 피검출기체를 수집하기 위한 프로브(110)와 검출된 기체를 분석하는 분석기(170) 및 피검출기체에 의해 오염된 프로브(110)를 퍼지하기 위한 퍼지부(130)로 크게 구성된다.
프로브(110)는 원통형상으로 일단에 피검출기체가 유입되는 흡인구(111)가 마련되고, 그 내부에 흡인구(111)를 통해 유입된 피검출기체의 불순물을 여과 후, 분석기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필터(113)가 설치된다.
필터(113)는 먼지의 성상 및 스크러빙 공정에 따라 다양한 종류를 적용시킬 수 있는데, 여기서는 10㎛메시 SUS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양하게는, 기타 습식스커러빙에서는 10㎛메시 SUS필터를, 건식소각로인 경우 5㎛메시의 세라믹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측정하는 장소 및 여건에 따라 각각 대응하는 필터를 적용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프로브(110)의 내부온도를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결로 등으로 인한 기체의 변성을 방지하기 위한 히터(117)가 더 설치된다.
이러한 히터(117)는 프로브(110)의 내부온도를 조절 및 설정이 용이하도록 온도 조절부(T)에 의해 제어되며, 이때, 프로부(110)의 내부온도는 120℃ 내지 130℃가 유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프로브(110)와 분석기(170) 사이에 히터블록(121)이 설치되며, 이러한 히터블록(121)은 프로브(110)와 분석기 사이를 연결하는 샘플링 배관(119)의 개폐를 위한 제1체크밸브(123)가 더 마련된다.
또한, 히터블록(121)은 퍼지기능을 수행 시, 저온의 퍼지 기체로 인해 샘플링 배관(119)에서의 결로를 방지하고, 특히 퍼지기능을 수행 시, 퍼지 기체가 분석기(17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퍼지시 퍼지기체의 완출을 제거하여 퍼지효율을 높이 및 제1체크밸브(123)에서의 결로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샘플링 배관(119)을 개폐하는 제1체크밸브(123)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것으로, 피검출기체를 수집할 경우, 제1체크밸브(123)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나, 퍼지기능을 수행 시, 공압에 의해 샘플링 배관(119)을 페쇄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1체크밸브(123)는 원통의 관체형상인 제1하우징(125)과 제1하우징(125) 내부에 마련된 제1볼(127)로 구성된다. 이때, 제1하우징(125)은 제1볼(127)이 내부에서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제1볼(127)의 지름보다 내주면이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하우징(125)은 수평으로부터 소정의 경사는 가지며, 이때, 소정의 경사는 분석기(170)로 유출되는 타단이 기체가 유입되는 일단에 비해 높게 기울어진 형태인 것이다.
또한, 제1하우징(125)의 타단은 호퍼 형태 즉, 단부로 갈수록 내주면이 좁아지는 것으로 이때, 내주면은 제1볼(127)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피검출기체를 수집 및 분석 시, 제1볼(127)은 제1하우징(125) 내부에서 자중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며, 퍼지기능을 수행 시, 공압에 의해 제1볼은 제1하우징(125)의 타단이 폐쇄되고, 퍼지 기체가 분석기(170)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퍼지부(190)는 퍼지기능을 수행시 고압의 공기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탱크(150)와 프로브(110)를 연결하는 제1배관(131), 공기탱크(150)에서 외부로 연결된 제2배관(135) 및 제1배관(131)과 제2배관(135) 사이를 연결하는 제3배관(143)으로 구성된다.
이때, 제1배관(131)을 통해 고압의 공기를 공급 및 차단하기 위한 제1밸브(133)가 마련되고, 제2배관(135)을 통해 고압의 공기를 배출 및 차단하기 위한 제2밸브(137)가 더 마련된다.
또한, 제1배관(131)와 제2배관(135) 사이를 연결하는 제3배관(143)에는 공압에 의해 개폐되는 제2체크밸브(145)가 마련되며, 제3배관(143)과 제2배관(135)이 연결되는 일면 즉, 제2배관(135)과 제3배관(143)의 교차부위에 퍼지 기체의 배출을 위한 배출장치(141)가 더 마련된다.
제2체크밸브(145)는 원통의 관체형상인 제2하우징(147)과 제2하우징(147) 내부에 마련된 제2볼(149)로 구성되며, 제1하우징(147)의 내주면은 제1볼(149)이 내부에서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제2볼(149)의 지름보다 내주면이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하우징(147)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양측 단부로 갈수록 호퍼형태 즉, 단부로 갈수록 내주면이 좁아지는 것으로, 이때, 양단부의 내주면은 제2볼(149)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한편, 제1밸브(133) 및 제2밸브(137)는 PLC에 의해 제어가 용이한 솔레노이브 밸브(solenoid)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기체분석장치(10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160)에 의해 케이스(180)에 고정되는 프로브(110)가 케이스(180) 및 플랜지(160)에 의해 방열되어 프로브(110)의 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스(180)와 프로브(110) 사이에 보온재(115)를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케이스(180)는 프로브(110) 및 퍼지부(130)를 함께 수용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간략한 설명을 위해 전체의 케이스 중 일부만을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작동 상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에에 따른 기체분석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3은 프로브(110)를 통해 피검출기체를 수집 및 분석이 진행중인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흡인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피검출기체는 필터(113)를 통해 여과된 후, 샘플링 배관(119)을 통해 분석기(170)로 유입된다. 이때, 제1체크밸브(123)는 개방된 상태이며, 이는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제1하우징(125) 내에서 제1볼(127)이 경사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 치우친 상태이기 때문이다.
한편, 퍼지부(130)의 제1배관(131) 및 제2배관(135)은 폐쇄된 상태이며, 제3배관(135)의 제2체크밸브(14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하우징(147) 내에서 제2볼(149)이 자중에 의해 제3배관(143)을 폐쇄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도 4는 피검출기체의 수집 및 분석을 마친 후, 피검출기체에 의해 오염된 필터(113)의 퍼지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제1밸브(133)를 개방하여 고압의 공기를 제1배관(131)을 통해 프로브(110)의 내부로 유입되며, 이때, 공압에 의해 제1체크밸브(123)가 폐쇄됨에 따라 분석기(170)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때, 제1배관(131)과 연통된 제3배관(143)의 제2체크밸브(145) 또한, 공압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볼(149)이 제3배관(143)을 차단하여 고압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고압의 공기는 프로브(110) 내부로 유입되어 오염된 필터(113)를 퍼지하고, 퍼지에 따른 오염된 공기는 흡인구(1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일정한 온도로 유지된 프로브(110)에 저온의 공기가 유입됨에 샘플링 배관(119)으로 결로현상이 발생되어 기체의 변성을 유발시킬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브(110)와 분석기(170) 사이에 설치된 히터블록(121)에 의해 지속적인 온도유지가 가능하므로 이러한 결로현상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때, 히터블록(121)에 이상 발생할 경우, 즉각적인 대체가 용이하도록 듀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필터(113)의 퍼지수행을 마친 후, 프로브(110) 내에 잔류하는 퍼지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필터(113)의 퍼지가 종료됨과 동시에 제1밸브(133)가 폐쇄되고, 제2밸브(137)가 개방되며, 제3배관(143)과 연결된 배출장치(141)가 작동된다.
이에 따른 퍼지 기체의 배출과정은, 제2밸브(137)의 개방과 함께 배출장치(141)가 작동되어 그 배출장치(141)의 흡입력에 의해 제2체크밸브(145)의 제2볼(149)은 제2하우징(147) 내에서 소정의 높이만큼 상승 되면서 제3배관(143)을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브(110) 내부의 퍼지 기체는 제1배관(131)과 연결된 제3배관(143)을 지나 배출장치(141)를 통해 제2배관(135)의 배출구(139)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마친 후, 제2밸브(137)가 폐쇄되고, 이와 함께 배출장치(141)의 동작이 정지되어 일련의 과정을 마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체분석장치는 기체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프로브가 오염을 감지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한 퍼지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이후에는 다시 기체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즉, 도 3 내지 도 5의 과정을 순환하여 작동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기체분석장치 110 : 프로브
111 : 흡인구 113 : 필터
115 : 보온재 117 : 히터
119 : 샘플링 배관 121 : 히터블록
123 : 제1체크밸브 125 : 제1하우징
127 : 제1볼 130 : 퍼지부
131 : 제1배관 133 : 제1밸브
135 : 제2배관 137 : 제2밸브
139 : 배출구 141 : 배출장치
143 : 제3배관 145 : 제2체크밸브
147 : 제2하우징 149 : 제2볼
150 : 공기탱크 160 : 플랜지
170 : 분석기 180 : 케이스

Claims (7)

  1. 피검출기체를 수집하는 프로브와, 상기 프로브와 연결되어 유입된 피검출기체를 분석하는 분석기, 및 공기탱크를 통해 상기 프로브 및 각 연결배관의 퍼지기능을 수행하는 퍼지부를 포함하는 기체분석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와 분석기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히터블럭; 및
    상기 히터블록에 마련되어 상기 프로브와 분석기를 연결하는 샘플링 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퍼지부는, 상기 프로브와 공기탱크를 연결하는 제1배관; 상기 공기탱크와 외부를 연결하는 제2배관; 및 상기 제1배관과 제2배관 사이를 연결하는 제3배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 배관 사이에는, 각 관로를 개폐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분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샘플링 배관에 설치된 제1체크밸브;
    상기 제1배관에 설치된 제1밸브;
    상기 제2배관에 설치된 제2밸브; 및
    상기 제3배관에 설치된 제2체크밸브;로 구성되며,
    상기 제1체크밸브와 제2체크밸브는, 퍼지기능 수행 시, 상기 공기탱크로부터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분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크밸브는,
    관 형태로서, 프로브와 경사를 이루어 설치되는 제1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 내에서 경사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샘플링 배관을 개폐하는 제1볼;을 포함하며,
    상기 제1볼은, 상기 프로브로부터 피 검출기체가 유입 시, 상기 샘플링 배관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나, 상기 퍼지기능을 수행 시에는 공압에 의해 상기 샘플링 배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샘플링 배관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분석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크밸브는,
    관 형태로서, 밸브의 양측 단부로 갈수록 호퍼형태를 이루는 제2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 내에서 공압에 의해 상/하 수직 이동되어, 제3배관을 개폐하는 제2볼;을 포함하며,
    상기 제2볼은,
    상기 제1배관을 통해 퍼지기능을 수행 시, 공기탱크에서 유입되는 기체의 공압에 의해 제3배관을 폐쇄하고,
    상기 제2배관을 통해 퍼지기능을 수행 시, 제2배관을 통해 배출되는 기체의 공압에 의해 제3배관에 미치는 흡입력으로 인해 상기 제2볼이 상기 제2하우징의 양단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3배관이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분석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관과 제3배관의 교차부위에 설치되며, 상기 제2배관을 통한 퍼지기능을 수행 시, 상기 각 배관에 잔류하는 퍼지 기체를 흡입하여 외부로 강제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장치;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분석장치.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 및 제2밸브는,
    PLC에 의해 제어되는 솔레노이드(solenoid)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분석장치.
  7.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크밸브는,
    히터블록에 마련되어 상기 샘플링 라인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분석장치.
KR1020100047988A 2010-05-24 2010-05-24 기체분석장치 KR101187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988A KR101187279B1 (ko) 2010-05-24 2010-05-24 기체분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988A KR101187279B1 (ko) 2010-05-24 2010-05-24 기체분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499A true KR20110128499A (ko) 2011-11-30
KR101187279B1 KR101187279B1 (ko) 2012-10-05

Family

ID=45396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7988A KR101187279B1 (ko) 2010-05-24 2010-05-24 기체분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2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74363A (zh) * 2018-12-25 2019-02-22 同方威视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鼻采样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912Y1 (ko) 1996-12-14 2000-10-02 이구택 부압용 산소분석장치
JP2000074798A (ja) 1998-08-31 2000-03-14 Shimadzu Corp ガス分析装置
KR100890062B1 (ko) 2008-08-19 2009-03-25 서원환경기술주식회사 시료가스 채취용 프로브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배기가스 원격측정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74363A (zh) * 2018-12-25 2019-02-22 同方威视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鼻采样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7279B1 (ko) 201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82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itu testing of filtration systems
US86778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ntamination of tubing
KR20150047097A (ko) 오염도 측정을 위한 멀티 샘플링 포트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KR100567621B1 (ko) 오염 제어 장치 및 이를 갖는 오염 관리 시스템
KR101729934B1 (ko) 가스센서 흡입관의 역세척 방법
KR102198919B1 (ko) 가스 측정 장치 및 그의 세척 방법
TWI581305B (zh) 檢測污染位置的設備、檢測污染位置的方法及電腦可讀取記錄媒體
KR101027645B1 (ko) 샘플링 포트 클리닝 수단을 구비한 가스 모니터링 시스템
KR101187279B1 (ko) 기체분석장치
AU2017397675B2 (en) Air-guiding component
US20160096135A1 (en) Door assembly with scanning mechanism, and containment system with same
CN107630931B (zh) 斗提机尾轮传动轴承装置
CN109550582B (zh) 一种气体监测装置和一种磨煤机系统
CN207585975U (zh) 一种污染气体连续采样装置
CN108026688A (zh) 特别用于对洁净室服装和配件进行干燥的干燥机
CN207601049U (zh) 一种新型cems用反向吹扫装置
KR102357186B1 (ko) 시험물질 분배기를 가지는 필터 어셈블리
TWI657887B (zh) 整合型揮發性有機物質分析機台
TWM561793U (zh) 整合型揮發性有機物質分析機台
TWM560586U (zh) 流體取樣裝置
CN113917054A (zh) 一种自动测量大气痕量级voc组分的装置
KR20150131411A (ko) 자동변속기 조립공정 라인에서 세정오일로 자동변속기 품질을 실시간 감시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변속기 품질 감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