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8279A - 가구 아이템용 자기안정화 지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가구 아이템용 자기안정화 지지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8279A
KR20110128279A KR1020117019745A KR20117019745A KR20110128279A KR 20110128279 A KR20110128279 A KR 20110128279A KR 1020117019745 A KR1020117019745 A KR 1020117019745A KR 20117019745 A KR20117019745 A KR 20117019745A KR 20110128279 A KR20110128279 A KR 20110128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formation
support
guided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9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9714B1 (ko
Inventor
로리 브룩
Original Assignee
헤더라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헤더라 에이비 filed Critical 헤더라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10128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8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16Self-levelling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05Support b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47B91/022Adjustable feet using screw means
    • A47B91/028Means for rotational adjustment on a non-rotational foo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Hing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 아이템용 지지 어셈블리(14)를 제공한다. 지지 어셈블리는, 하단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1 발(18)을 구비한 장형(elongated)의 지지 구조(16)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지지 구조에 고정되어 가이드 통로(34)를 한정하는 통로 한정 배열과; 상기 지지 구조에 대해 변위 가능하며, 하단부에 한 쌍의 제2 발을 구비한 지지 부재와; 변위 가능한 지지 부재에 고정되며, 통로 한정 배열에 보완적이며 통로 한정 배열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형의 가이드되는 핀(38)을 포함하며, 변위 가능한 지지 부재는 한 쌍의 발들 양쪽 간을 잇는 라인들과 횡방향을 이루는 직선 가이드 경로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변위되며, 통로 한정부(36)는 가이드되는 핀과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분할 링을 구비한 중공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분할 링과 가이드되는 핀의 치수는 상기 지지 구조와 관련하여 슬라이딩 변위에 대해 마찰로 변위 가능한 지지 부재를 자동으로 고정하기 위해 변위 가능한 지지 부재가 변위 가능한 지지 부재의 가이드 경로에 대해 횡방향을 이루는 회전축에 대해 회전하려는 것에 대응하여, 가이드되는 핀이 분할 링의 내면에 자동으로 마찰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가구 아이템용 자기안정화 지지 어셈블리{A SELF-STABILIZING SUPPORT ASSEMBLY FOR AN ITEM OF FURNITURE}
본 발명은 가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가구 아이템용 지지 어셈블리와 가구 아이템용 지지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및 가구 아이템용 자기안정화 배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가구 아이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테이블이나 스툴(stool) 또는 의자가 작동되도록 위치한 표면상에 지지되며 실질적으로 작동되도록 수평 상단이나 좌석 부분을 가지는 테이블과 스툴과 의자와 관련되어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 영역"이란 용어는 테이블 상단 및 스툴이나 의자의 좌석 부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단부가 가구 아이템의 상부 영역과 연결되는 장형(elongated)의 지지 구조;
하단부가 또는 하단부에 인접하여 상기 지지 구조와 고정되는 한 쌍의 제1 발;
상기 지지 구조와 고정되며, 상기 지지 구조에 대해 세로로 연장되는 장형의 가이드 포메이션;
상기 지지 구조에 대해 변위 가능하며, 하단부에서 또는 하단부에 인접하여 한 쌍의 제2 발을 구비한 지지 부재-상기 변위 가능한 지지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제1 발 간에 그려진 라인이 상기 한 쌍의 제2 발 간에 그려진 라인에 횡방향(transverse)이 되도록 상기 지지 구조와 연관되어 배열됨;를 포함하며,
상기 변위 가능한 지지 부재에도 상기 가이드 포메이션에 보완적이며 상기 가이드 포메이션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형의 가이드되는 포메이션(guided formation)이 제공되며, 상기 변위 가능한 지지 부재는 상기 한 쌍의 발들 양쪽 간을 잇는 상기 라인들과 횡방향을 이루는 직선 가이드 경로(rectilinear guide path)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변위되며, 상기 가이드 포메이션과 상기 가이드되는 포메이션 중 하나는 가이드되는 핀(guided pin)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 포메이션과 상기 가이드되는 포메이션 중 나머지는 상기 가이드되는 핀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가이드 통로(guide passage)를 한정하는 통로 한정부(passage defining unit)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 통로와 상기 가이드되는 핀의 치수는, 상기 지지 구조와 관련하여 슬라이딩 변위에 대해 마찰로 상기 변위 가능한 지지 부재를 자동으로 고정하기 위해, 상기 변위 가능한 지지 부재가 상기 변위 가능한 지지 부재의 가이드 경로에 대해 횡방향을 이루는 회전축에 대해 회전하려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되는 핀이 상기 가이드 통로의 표면에 자동으로 마찰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통로 한정부는 중공의 조절 가능한 가이드 부재(hollow adjustable guide member)를 가지며, 이를 통해 상기 가이드 통로의 치수는 상기 가이드되는 핀의 치수에 따라 조절 가능하며; 및
상기 통로 한정부는 일단 조절이 되면 상기 지지 구조 또는 상기 지지 부재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통로 한정부는 먼저 상기 가이드되는 핀과 합치되도록 조절되며 다음으로 상기 지지 구조 또는 상기 지지 부재에 고정되는, 가구 아이템용 지지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상단부가 가구 아이템의 상부 영역과 연결되는 장형(elongated)의 지지 구조를 제공하는 단계, 및 하단부가 또는 하단부에 인접하여 상기 지지 구조와 고정되는 한 쌍의 제1 발을 구비하는 단계, 및 상기 지지 구조와 고정되며, 상기 지지 구조에 대해 세로로 연장되는 장형의 가이드 포메이션;
상기 지지 구조에 대해 변위 가능하며, 하단부에서 또는 하단부에 인접하여 한 쌍의 제2 발을 구비한 지지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상기 변위 가능한 지지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제1 발 간에 그려진 라인이 상기 한 쌍의 제2 발 간에 그려진 라인에 횡방향(transverse)이 되도록 상기 지지 구조와 연관되어 배열되며, 상기 변위 가능한 지지 부재에도 상기 가이드 포메이션에 보완적이며 상기 가이드 포메이션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형의 가이드되는 포메이션(guided formation)이 제공되며, 상기 변위 가능한 지지 부재는 상기 한 쌍의 발들 양쪽 간을 잇는 상기 라인들과 횡방향을 이루는 직선 가이드 경로(rectilinear guide path)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변위되며, 상기 가이드 포메이션과 상기 가이드되는 포메이션 중 하나는 가이드되는 핀(guided pin)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 포메이션과 상기 가이드되는 포메이션 중 나머지는 상기 가이드되는 핀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가이드 통로(guide passage)를 한정하는 통로 한정부(passage defining unit)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 통로와 상기 가이드되는 핀의 치수는, 상기 지지 구조와 관련하여 슬라이딩 변위에 대해 마찰로 상기 변위 가능한 지지 부재를 자동으로 고정하기 위해, 상기 변위 가능한 지지 부재가 상기 변위 가능한 지지 부재의 가이드 경로에 대해 횡방향을 이루는 회전축에 대해 회전하려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되는 핀이 상기 가이드 통로의 표면에 자동으로 마찰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통로 한정부는 중공의 조절 가능한 가이드 부재(hollow adjustable guide member)를 가지며, 이를 통해 상기 가이드 통로의 치수는 상기 가이드되는 핀의 치수에 따라 조절 가능하며; 및 상기 통로 한정부는 일단 조절이 되면 상기 지지 구조 또는 상기 지지 부재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통로 한정부는 먼저 상기 가이드되는 핀과 합치되도록 조절되며 다음으로 상기 지지 구조 또는 상기 지지 부재에 고정되는, 가구 아이템용 지지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가이드 통로는 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되는 핀은 동그란 원통형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한 쌍의 대체적으로 반원의 보조 가이드 쉘 및 상기 가이드 쉘을 서로 조이기 위한 조임 메커니즘(tightening mechanism)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가이드 쉘 간에 의해 한정되는 상기 가이드 통로의 치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통로 한정부는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조절 가능한 가이드 부품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부품의 내면은 상기 가이드 통로를 한정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부품은 상기 가이드 부재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부품은 가이드 쉘에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홈(groove) 내에 수용되는 분할 링(split ring)이나 부쉬(bush)나 또는 실질적으로 반원의 가이드 부품일 수 있다.
상기 통로 한정부는 조임 포메이션(fastening formation)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조임 포메이션에 의해 상기 통로 한정부는 상기 지지 구조 또는 상기 지지 부재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조임 포메이션은 상기 가이드 부재 내에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되는 포메이션은 상기 가이드되는 핀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되는 핀은 상기 지지 부재의 상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포메이션은 상기 통로 한정부에 의해 한정된 상기 가이드 통로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통로 한정부는 상기 지지 구조와 관련하여 상기 지지 구조의 하단부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 구조는 장형의 수직한 포스트(post) 및 상기 포스트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스파이더 포메이션(spider formation)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파이더 포메이션은 방사상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는 4개의 스포크(spoke)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포크는 상기 포스트의 세로축을 중심으로 등각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각각의 스포크는 채널 형태이며 하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통로 한정부는, 상기 스파이더 포메이션의 구멍을 기준으로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구멍으로부터 중심을 따라 상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 쌍의 정렬된 스포크에는 한 쌍의 제1 발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제1 발은 각각 상기 한 쌍의 정렬된 스포크의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변위 가능한 지지 부재는 암(arm)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암은 다른 한 쌍의 정렬된 스포크에 의해 한정된 채널에 수용되며 상기 채널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제2 발 각각은 상기 암의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암과 상기 가이드되는 핀은 필수적인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대신에, 상기 가이드되는 핀은 상기 암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 어셈블리는 상기 지지 구조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변위 가능한 지지 부재를 누르기 위한 적어도 한 개의 누름 부재(urging member)를 포함할 수 있다. 알맞게는, 한 개의 누름 부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가이드되는 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 어셈블리는 상기 가이드되는 핀의 양측면에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2개의 누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누름 부재는, 다른 한 쌍의 스포크에 의해 한정된 채널 내에 위치하며 상기 스포크와 상기 암 사이에서 동작하는 압축된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 어셈블리는 상기 가이드되는 핀의 상단부와 고정되는 고정 포메이션(securing formation)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포메이션은 상기 통로 한정부 내에 포위된 상기 가이드되는 핀을 홀딩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 발 각각은 상기 가이드 포메이션의 세로축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2 발 각각이 상기 가이드 포메이션의 세로축으로부터 이격된 것처럼, 상기 한 쌍의 제1 발 각각은 상기 가이드 포메이션의 세로축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 발 간을 잇는 라인과 상기 한 쌍의 제2 발 간을 잇는 라인은 서로에 대해 직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가이드 부품이 수용되는 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비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부재는 섬유로 강화된 인조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발(foot)을 각각의 단부에 구비한 장형의 제1 지지 부품;
상기 제1 지지 부품과 고정되는 장형의 가이드 포메이션(guide formation); 및
상기 제1 지지 부품의 발과 같이,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발을 각각의 단부에 구비한 장형의 제2 지지 부품,
상기 제2 지지 부품은 상기 가이드 포메이션에 보완적이며 상기 가이드 포메이션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형의 가이드되는 포메이션(guided formation)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포메이션과 상기 가이드되는 포메이션 중 하나는 가이드되는 핀(guided pin)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 포메이션과 상기 가이드되는 포메이션 중 나머지는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품 중 관련되는 것과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되는 핀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가이드 통로(guide passage)를 한정하는 통로 한정부(passage defining unit)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2 지지 부품은 상기 제1 지지 부품과 관련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변위될 수 있으며,
상기 통로 한정부는 중공의 조절 가능한 가이드 부재(hollow adjustable guide member)를 가지며, 이를 통해 상기 가이드 통로의 치수는 상기 가이드되는 핀의 치수에 따라 조절 가능하며; 및
상기 통로 한정부는 일단 조절이 되면 상기 제1 지지 부품 또는 상기 제2 지지 부품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통로 한정부는 먼저 상기 가이드되는 핀과 합치되도록 조절되며 다음으로 상기 제1 지지 부품 또는 상기 제2 지지 부품에 고정되는, 가구 아이템용 자기안정화 배열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가구 아이템용 자기안정화 배열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자기안정화 배열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발(foot)을 각각의 단부에 구비한 장형의 제1 지지 부품과, 상기 제1 지지 부품과 고정되는 장형의 가이드 포메이션(guide formation);
상기 제1 지지 부품의 발과 같이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발을 각각의 단부에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포메이션에 보완적이며 상기 가이드 포메이션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형의 가이드되는 포메이션(guided formation)을 포함하는 장형의 제2 지지 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포메이션과 상기 가이드되는 포메이션 중 하나는 가이드되는 핀(guided pin)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 포메이션과 상기 가이드되는 포메이션 중 나머지는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품 중 관련되는 것과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되는 핀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가이드 통로(guide passage)를 한정하는 통로 한정부(passage defining unit)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2 지지 부품은 상기 제1 지지 부품과 관련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변위될 수 있으며,
상기 통로 한정부는 중공의 조절 가능한 가이드 부재(hollow adjustable guide member)를 가지며, 이를 통해 상기 가이드 통로의 치수는 상기 가이드되는 핀의 치수에 따라 조절 가능하며; 및
상기 통로 한정부는 일단 조절이 되면 상기 제1 지지 부품 또는 상기 제2 지지 부품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통로 한정부는 먼저 상기 가이드되는 핀과 합치되도록 조절되며 다음으로 상기 제1 지지 부품 또는 상기 제2 지지 부품에 고정되며,
상기 제조 방법은,
먼저 상기 가이드되는 핀에 합치되도록 상기 통로 한정부를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통로 한정부를 상기 제1 지지 부품 또는 상기 제2 지지 부품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구 아이템용 자기안정화 배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가이드 통로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되는 핀은 동그란 원통형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한 쌍의 대체적으로 반원의 보조 가이드 쉘 및 상기 가이드 쉘을 서로 조이기 위한 조임 메커니즘(tightening mechanism)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상기 가이드 쉘 간에 의해 한정되는 상기 가이드 통로의 치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알맞게는, 상기 통로 한정부는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조절 가능한 가이드 부품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부품의 내면은 상기 가이드 통로를 한정하며, 상기 가이드 부품은 상기 가이드 부재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부품은 가이드 쉘에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홈(groove) 내에 수용되는 분할 링(split ring)이나 부쉬(bush)나 또는 실질적으로 반원의 가이드 부품일 수 있다.
상기 통로 한정부는 조임 포메이션(fastening formation)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조임 포메이션에 의해 상기 통로 한정부는 상기 제1 지지 부품 또는 상기 제2 지지 부품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조임 포메이션은 상기 가이드 부재 내에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되는 포메이션은 상기 가이드되는 핀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되는 핀은 상기 제2 지지 부품의 중앙에 고정되며 상기 발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가이드 포메이션은 상기 가이드 통로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통로 한정부는 상기 제1 지지 부품과 관련하여 상기 제1 지지 부품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1 지지 부품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지지 부품과 상기 제2 지지 부품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상기 자기안정화 배열은 위치잡기 배열(locating arrangement)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위치잡기 배열은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품을 기결정된 상호 배열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위치잡기 배열은 길이방향으로 정렬된 한 쌍의 스포크(spoke)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포크는 상기 제1 지지 부품과 고정되며 상기 스포크와 상기 제1 지지 부품이 서로 직교하도록 상기 제1 지지 부품으로부터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스포크는 상기 발이 돌출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개방되는 위치잡기 채널(locating channel)을 한정하는 모양으로 지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2 지지 부품은 한 쌍의 정렬된 스포크에 의해 한정된 채널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포메이션 및 상기 가이드 부품은, 상기 가이드되는 핀 및 상기 가이드 부품의 내면 간에 제한된 간격(limited clearance)이 있도록 형상 지어지고 크기(치수) 지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가이드되는 핀의 세로축에 가로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려는 네트 모멘트(nett moment)가 상기 제2 지지 부품에 영향을 줄 때 상기 제1 지지 부품과 상기 제2 지지 부품 간에 자동으로 마찰 잠금(frictional locking)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자기안정화 배열은, 상기 발이 돌출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제1 지지 부품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제2 지지 부품을 누르기 위한 적어도 한 개의 누름 부재(urging memb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기안정화 배열은, 상기 가이드되는 핀에 탑재된 단지 한 개의 누름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가이드 포메이션의 양측면에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된 2개의 누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누름 부재는, 다른 한 쌍의 스포크에 의해 한정된 채널 내에 위치하며 상기 스포크와 상기 제2 지지 부품 사이에서 동작하는 압축된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자기안정화 배열은, 가구 아이템의 지지 구조에 가구 아이템용 자기안정화 배열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포메이션(securing form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기안정화 배열은 상기 가이드되는 핀과 고정되는 고정 포메이션(securing formation)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포메이션은 상기 통로 한정부 내에 포위된 상기 가이드되는 핀을 홀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바에 따른 지지 어셈블리와, 상기 지지 어셈블리에 탑재되는 가구 아이템의 상부 영역을 포함하는, 가구 아이템이 제공된다.
상기 가구 아이템은 테이블(table)일 수 있으며, 상기 가구 아이템의 상부 영역은 테이블 톱(table top)일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가구 아이템은 시팅 장치(seating device)일 수 있으며, 상기 가구 아이템의 상부 영역은 상기 시팅 장치의 좌석 부분(seat portion)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바에 따른 자기안정화 배열과, 상기 자기안정화 배열의 제1 지지 부품에 고정되는 가구 아이템의 상부 영역을 포함하는, 가구 아이템이 제공된다.
상기 가구 아이템은 테이블(table)일 수 있으며, 상기 가구 아이템의 상부 영역은 테이블 톱(table top)일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가구 아이템은 시팅 장치(seating device)일 수 있으며, 상기 가구 아이템의 상부 영역은 상기 시팅 장치의 좌석 부분(seat portion)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테이블의 입면을 단편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테이블을 아래에서 바라본 3차원 입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라인 Ⅲ-Ⅲ을 기준으로 절단하여 바라본 단면도.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참조번호 10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을 지칭한다. 테이블(10)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어셈블리(14) 상에 탑재된 테이블 상부(12, 단면으로 표시 안됨) 형태의 상부 영역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지지 어셈블리(14)는, 작동되도록 직립으로 길게 형성된 관형 중공 포스트(16) 및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동일한 각도로 이격되며 포스트(16)의 하단(22)에 고정된 4개의 스포크(spoke, 20)를 구비한 스파이더 포메이션(spider formation, 18)을 포함한다. 스파이더 포메이션(18)은, 스포크(20)에 의해 정의된 평면이 포스트(16)의 세로축(17)에 수직이 되도록 형성된다. 마운팅 부재(mounting member, 24)는 포스트(16)의 상단(26)에 연결되며, 마운팅 부재(24)는 동일한 각도로 이격된 4개의 마운팅 플랜지(mounting flange, 28)를 포함한다. 각각의 마운팅 플랜지(28)는 그 내부를 관통하는 한 쌍의 구멍(미도시)을 가지며, 이러한 구멍을 개구 나사(미도시)가 통과하게 되며, 이러한 나사는 테이블 상부(12)을 지지 어셈블리(14) 상에 탑재하기 위해 테이블 상부(12)에 박히게 된다.
각각의 스포크(20)는 채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방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단면형상으로 볼 때 뒤집힌 U형상을 가진다. 길게 연장되며 변위 가능한 암(arm, 30) 형태로 이루어진 변위 가능한 지지 부재(displaceable support member)는, 한 쌍의 정렬된 스포크(20) 내에 수용되며, 이러한 한 쌍의 스포크(20)를 따라 세로로 연장된다. 변위 가능한 암(30)은 연질 스틸 구조를 가지며, 주조(casting) 형태로 이루어진다. 변위 가능한 암(30)은 그 각각의 단부에 하방으로 돌출된 발(foot, 32)을 제공한다. 스파이더 포메이션(18)은, 포스트(16)의 세로축(17)을 기준으로 변위 가능한 다리(30)의 중심축이 세로축(17)을 벗어나는 것을 제함함으로써, 변위 가능한 암(30)이 다른 한 쌍의 스포크(20)에 직각을 유지하기 위한 위치잡기 배열(locating arrangement)을 형성한다.
지지 어셈블리(14)는, 이러한 스포크(20)에 대해 가운데 영역에 위치하도록, 스파이더(18)의 개방부(21)를 기준으로 스파이더(18)의 중심 부분(19)에 고정되는 통로 한정부(36)를 포함한다. 통로 한정부(36)는, 도 3에 보다 자세히 도시되어 있으며, 중앙 통로를 가지는 중공 가이드 부재(hollow guide member, 23) 및 스파이더(18)의 대응되는 구멍(27)과 정렬하는 2개의 이격된 고정 구멍(25)을 포함한다. 가이드 부재(23)는 볼트(31) 및 너트(33)를 이용하여 스파이더(18)에 고정된다. 또한, 너트(33)는 마운팅 부재(24)의 정렬된 홀을 통과하는 긴 볼트(35)를 이용하여 포스트(16)를 스파이더(18)에 부착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 부재(23)는 그 중앙 통로의 각 단부에 인접하여 홈(37)을 가지며, 각각의 홈(37)에는 분할 링(split ring, 39)이 위치한다. 이러한 분할 링(39)이 가이드 통로(guide passage, 34)를 한정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동그란 원통형 가이드되는 핀(guided pin, 38) 형태를 가진 가이드되는 포메이션(guided formation)은, 암(30)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며, 너트(43)와 볼트(45)에 의해 암(30)에 고정된다. 가이드되는 핀(38)은 포스트(16)와 같은축(coaxial)을 이룬다. 가이드되는 핀(38)은 가이드 통로(34)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며, 이로 인해 가이드되는 핀(38)은 통로 한정부(36) 내에서 변위(displaceable)될 수 있다. 가이드되는 핀(38)은 가이드되는 포메이션(guided formation)을 구성하며, 통로 한정부(36)는 가이드하는 포메이션(guide formation)을 구성한다.
가이드되는 핀(38)은 볼트(45)의 몸체가 통과하는 중앙 구멍을 가진다.
스톱 와셔(46)는 너트(43)에 의해 고정된다. 스톱 와셔(46)는 가이드 부재(23)의 중앙 통로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이로 인해 스톱 와셔(46)는 가이드 통로(34) 내에서 가이드되는 핀(38)의 슬라이딩 변위를 제한한다.
지지 어셈블리(12)는, 스파이더 포메이션(18)으로부터 하방으로 작동되도록 암(30)을 누르기(urge) 위해, 암(30)과 스파이더 포메이션(18) 사이에서 가이드되는 핀(38)을 중심으로 압축된 코일 스프링(coiled spring, 48)을 포함한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정렬된 스포크(20) 중 다른 한 쌍의 스포크(20), 즉 암(30)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스포크(20)에는 각각 그 외곽 단부에 하방으로 작동하게 돌출하는 고정발(fixed foot, 50)이 제공된다. 따라서, 이러한 한 쌍의 스포크(20)는 그 각 단부에 발(50)을 구비한 제1 지지 부재(first support member)를 형성한다. 따라서, 스파이더 포메이션(18)은, 가이드 통로(34)를 축으로 암(30)의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암(30)이 다른 한 쌍의 스포크(20)에 수직이 되도록 유지시키는 위치잡기 배열(locating arrangement)을 구성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이드 부재(23)는 한 쌍의 대체적으로 반원의 보조 가이드 쉘(guide shell, 60)을 포함하며, 가이드 쉘(60)이 중앙 통로를 한정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인접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 쉘(60)은 정렬된 가로 구멍(64)을 구비한 단부 돌기부(62)를 가지며, 가로 구멍(64)에는 2개의 가이드 쉘(60)을 서로 조이기 위해 조임 볼트(66)가 통과하며, 잠금 너트(68)을 이용하여 중앙 통로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가이드 쉘(60)은 세로 구멍(25)을 구비한 중앙 돌기부(70)를 가진다.
가이드 통로(34)의 크기를 변화시키기 위해, 분할 링(39)을 서로 인접하도록 조이거나 분할 링(39)을 서로 이격되도록 풀어줌으로써, 볼트(66)와 너트(68)에 의해 통로 한정부(36)가 조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되는 핀(38)과 합치(conform)되도록 통로 한정부(36)가 조절된 후에도, 통로 한정부(36)가 스파이더(18)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어셈블리(14)가 제조될 때, 분할 링(39)은 가이드 쉘(60)의 홈(37)에 삽입되며, 다른 가이드 쉘(60)에 상기 가이드 쉘(60)을 서로 맞물리며, 이러한 2개의 가이드 쉘(60)의 홈(37) 내에 분할 링(39)과 함께 2개의 가이드 쉘(60)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해 볼트(66)와 너트(68)가 사용된다. 이렇게 형성된 통로 한정부(36)는, 정확한 간격(correct clearance)이 얻어질 때까지 통로 한정부(36)와 함께 사용될 가이드되는 핀(38) 및 볼트(66)와 너트(68)에 의해 조여진 2개의 가이드 쉘(60) 상에 배치된다. 이렇게 구경 지어진(calibrated) 통로 한정부(36)는 가이드되는 핀(38)으로부터 떨어져서 스파이더(19)에 고정되며, 가이드되는 핀(38)은 스파이더(18)와 서로 맞물리게 된다.
분할 링(39)에 의해 한정된 것처럼 가이드 통로(34)의 직경은 가이드되는 핀(38) 및 분할 링(39)의 내면 간에 제한된 간격(여유)이 있도록 형성되며, 결과적으로 가이드되는 핀(38)의 세로축에 가로방향의 축으로 회전하려는 커플(couple) 또는 네트 모멘트(nett moment)가 암(30)에 영향을 줄 때 가이드되는 핀(38)에 마찰 잠금(frictional locking)이 작용하게 되며, 이는 테이블(10)이 바닥이 고르지 않은 곳에 위치할 때 주로 발생한다. 따라서, 2개의 고정발(50) 간을 잇는 라인(line)과 동축을 이루는 축을 회전하려는 네트 모멘트가 실질적으로 암(30)에 작용하지 않을 때, 암(30)은 가이드 통로(34) 내에서만 슬라이딩 가능하게 변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어셈블리(14)는 포스트(16) 없이 자기안정화 배열(self stabilizing arrangement)을 특징짓는다. 실제로, 지지 어셈블리(14)는 지면(미도시)과 같은 지지면에서 테이블 상부(12)을 지지한다. 지면이 고르지 않을 때, 4개의 발(50, 32) 모두가 지지면에 위치하도록 스파이더 포메이션(18)과 비교하여 암(30)을 변위하기 위해 지지 어셈블리(14)가 자동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면이 고르지 않아서 고정발 양쪽은 지면에 위치하지만 변위 가능한 발(32)은 그 중 하나만 한번에 하나씩 지면과 접촉할 때, 두 개의 고정발(50)을 서로 연결하는 라인에 정렬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려는 스파이더 포메이션(18)에 의해 테이블(10)은 흔들리려는 경향이 있다. 이런 흔들림(rocking)이 발생하는 동안, 양쪽 발(32) 모두가 지면에 없을 때, 즉 가이드되는 핀(38)을 통해 발(32)과 암(30)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변위 가능한 암(30)은 스프링(48)에 의해 하방으로 눌려지게 되며, 두 발(32) 중 어느 하나가 지면에 지지될 때 통로 한정부(36) 내에 자동적으로 자리잡아 고정된다. 따라서, 변위 가능한 암(30)은 양쪽 발(32) 뿐만 아니라 고정발(50)이 지면에 위치하는 곳을 찾아 자동적으로 자리를 잡는다.
예를 들어 지면이 고르지 않은 곳에서 변위 가능한 발(32) 양쪽은 지면에 위치하지만 고정발(50)은 그 중 하나만 지면에 위치하는 경우, 암(30)은 상방향으로 변위하며, 가이드되는 핀(38)은 고정발(50) 양쪽 모두가 지면에 위치할 때까지 가이드 통로(34) 내에서 움직인다. 암(30)이 평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지면에 의해 변위 가능한 발(32)에 가해진 상방향 힘(upward forces)은 서로에 대해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이는 두 발(32)이 가이드되는 핀(guided pin, 38)을 기준으로 동일하게 이격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방향 힘은, 테이블 지지 구조(14)가 안정적이고 정적인 상태를 얻을 때까지 스프링(48)의 누름(urging)에 대해 상방향 변위를 유발한다.
4개의 발(32, 50) 모두가 지면에 위치하게 되면, 암(30)과 결과적으로 발(32)이 효과적으로 자리를 잡음으로써, 테이블(10)은 안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는 테이블(10)이 흔들리는 어떠한 경우에도 발(32)에 동일하지 않은 힘이 가해지며, 통로 한정부(36) 내의 가이드되는 핀(38)을 통해 암(30)의 신속하고 자동적인 마찰 잠금을 유도한다.

Claims (46)

  1. 상단부가 가구 아이템의 상부 영역과 연결되는 장형(elongated)의 지지 구조;
    하단부가 또는 하단부에 인접하여 상기 지지 구조와 고정되는 한 쌍의 제1 발;
    상기 지지 구조와 고정되며, 상기 지지 구조에 대해 세로로 연장되는 장형의 가이드 포메이션;
    상기 지지 구조에 대해 변위 가능하며, 하단부에서 또는 하단부에 인접하여 한 쌍의 제2 발을 구비한 지지 부재-상기 변위 가능한 지지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제1 발 간에 그려진 라인이 상기 한 쌍의 제2 발 간에 그려진 라인에 횡방향(transverse)이 되도록 상기 지지 구조와 연관되어 배열됨;를 포함하며,
    상기 변위 가능한 지지 부재에도 상기 가이드 포메이션에 보완적이며 상기 가이드 포메이션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형의 가이드되는 포메이션(guided formation)이 제공되며, 상기 변위 가능한 지지 부재는 상기 한 쌍의 발들 양쪽 간을 잇는 상기 라인들과 횡방향을 이루는 직선 가이드 경로(rectilinear guide path)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변위되며, 상기 가이드 포메이션과 상기 가이드되는 포메이션 중 하나는 가이드되는 핀(guided pin)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 포메이션과 상기 가이드되는 포메이션 중 나머지는 상기 가이드되는 핀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가이드 통로(guide passage)를 한정하는 통로 한정부(passage defining unit)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 통로와 상기 가이드되는 핀의 치수는, 상기 지지 구조와 관련하여 슬라이딩 변위에 대해 마찰로 상기 변위 가능한 지지 부재를 자동으로 고정하기 위해, 상기 변위 가능한 지지 부재가 상기 변위 가능한 지지 부재의 가이드 경로에 대해 횡방향을 이루는 회전축에 대해 회전하려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되는 핀이 상기 가이드 통로의 표면에 자동으로 마찰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통로 한정부는 중공의 조절 가능한 가이드 부재(hollow adjustable guide member)를 가지며, 이를 통해 상기 가이드 통로의 치수는 상기 가이드되는 핀의 치수에 따라 조절 가능하며; 및
    상기 통로 한정부는 일단 조절이 되면 상기 지지 구조 또는 상기 지지 부재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통로 한정부는 먼저 상기 가이드되는 핀과 합치되도록 조절되며 다음으로 상기 지지 구조 또는 상기 지지 부재에 고정되는, 가구 아이템용 지지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통로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되는 핀은 동그란 원통형인, 가구 아이템용 지지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한 쌍의 대체적으로 반원의 보조 가이드 쉘 및 상기 가이드 쉘을 서로 조이기 위한 조임 메커니즘(tightening mechanism)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상기 가이드 쉘 간에 의해 한정되는 상기 가이드 통로의 치수를 변화시키는, 가구 아이템용 지지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 한정부는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조절 가능한 가이드 부품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 부품의 내면은 상기 가이드 통로를 한정하며, 상기 가이드 부품은 상기 가이드 부재 내에 수용되는, 가구 아이템용 지지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쉘은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홈(groove)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 부품은 상기 홈 내에 수용되는, 가구 아이템용 지지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 한정부는 조임 포메이션(fastening formation)을 가지며, 상기 조임 포메이션에 의해 상기 통로 한정부는 상기 지지 구조 또는 상기 지지 부재에 각각 고정되는, 가구 아이템용 지지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 포메이션은 상기 가이드 부재 내에 구멍을 포함하는, 가구 아이템용 지지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되는 포메이션은 상기 가이드되는 핀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되는 핀은 상기 지지 부재의 상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가이드 포메이션은 상기 통로 한정부에 의해 한정된 상기 가이드 통로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통로 한정부는 상기 지지 구조와 관련하여 상기 지지 구조의 하단부 중앙에 위치되는, 가구 아이템용 지지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는 장형의 수직한 포스트(post) 및 상기 포스트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스파이더 포메이션(spider formation)를 포함하는, 가구 아이템용 지지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더 포메이션은 방사상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는 4개의 스포크(spoke)를 포함하며, 상기 스포크는 상기 포스트의 세로축을 중심으로 등각으로 이격되며, 각각의 스포크는 채널 형태이며 하방향으로 개방되는, 가구 아이템용 지지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 한정부는, 상기 스파이더 포메이션의 구멍을 기준으로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구멍으로부터 중심을 따라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가구 아이템용 지지 어셈블리.
  12. 제10항에 있어서,
    한 쌍의 정렬된 스포크에는 한 쌍의 제1 발이 제공되며, 상기 한 쌍의 제1 발은 각각 상기 한 쌍의 정렬된 스포크의 단부에 제공되는, 가구 아이템용 지지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가능한 지지 부재는 암(arm)을 포함하며, 상기 암은 다른 한 쌍의 정렬된 스포크에 의해 한정된 채널에 수용되며 상기 채널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한 쌍의 제2 발 각각은 상기 암의 단부에 제공되는, 가구 아이템용 지지 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되는 핀은 상기 암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가구 아이템용 지지 어셈블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어셈블리는 상기 지지 구조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변위 가능한 지지 부재를 누르기 위한 적어도 한 개의 누름 부재(urging member)를 포함하는, 가구 아이템용 지지 어셈블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가이드되는 핀에 위치되는, 가구 아이템용 지지 어셈블리.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되는 핀의 양측면에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2개의 누름 부재를 포함하는, 가구 아이템용 지지 어셈블리.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되는 핀의 상단부와 고정되는 고정 포메이션(securing formation)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포메이션은 상기 통로 한정부 내에 포위된 상기 가이드되는 핀을 홀딩하는, 가구 아이템용 지지 어셈블리.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 발 각각은 상기 가이드 포메이션의 세로축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가구 아이템용 지지 어셈블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발과 같이, 상기 한 쌍의 제2 발 각각은 상기 가이드 포메이션의 세로축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가구 아이템용 지지 어셈블리.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발 간을 잇는 라인과 상기 한 쌍의 제2 발 간을 잇는 라인은 서로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가구 아이템용 지지 어셈블리.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비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가구 아이템용 지지 어셈블리.
  23. 상단부가 가구 아이템의 상부 영역과 연결되는 장형(elongated)의 지지 구조를 제공하는 단계, 및 하단부가 또는 하단부에 인접하여 상기 지지 구조와 고정되는 한 쌍의 제1 발을 구비하는 단계, 및 상기 지지 구조와 고정되며, 상기 지지 구조에 대해 세로로 연장되는 장형의 가이드 포메이션;
    상기 지지 구조에 대해 변위 가능하며, 하단부에서 또는 하단부에 인접하여 한 쌍의 제2 발을 구비한 지지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상기 변위 가능한 지지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제1 발 간에 그려진 라인이 상기 한 쌍의 제2 발 간에 그려진 라인에 횡방향(transverse)이 되도록 상기 지지 구조와 연관되어 배열되며, 상기 변위 가능한 지지 부재에도 상기 가이드 포메이션에 보완적이며 상기 가이드 포메이션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형의 가이드되는 포메이션(guided formation)이 제공되며, 상기 변위 가능한 지지 부재는 상기 한 쌍의 발들 양쪽 간을 잇는 상기 라인들과 횡방향을 이루는 직선 가이드 경로(rectilinear guide path)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변위되며, 상기 가이드 포메이션과 상기 가이드되는 포메이션 중 하나는 가이드되는 핀(guided pin)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 포메이션과 상기 가이드되는 포메이션 중 나머지는 상기 가이드되는 핀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가이드 통로(guide passage)를 한정하는 통로 한정부(passage defining unit)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 통로와 상기 가이드되는 핀의 치수는, 상기 지지 구조와 관련하여 슬라이딩 변위에 대해 마찰로 상기 변위 가능한 지지 부재를 자동으로 고정하기 위해, 상기 변위 가능한 지지 부재가 상기 변위 가능한 지지 부재의 가이드 경로에 대해 횡방향을 이루는 회전축에 대해 회전하려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되는 핀이 상기 가이드 통로의 표면에 자동으로 마찰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통로 한정부는 중공의 조절 가능한 가이드 부재(hollow adjustable guide member)를 가지며, 이를 통해 상기 가이드 통로의 치수는 상기 가이드되는 핀의 치수에 따라 조절 가능하며; 및 상기 통로 한정부는 일단 조절이 되면 상기 지지 구조 또는 상기 지지 부재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통로 한정부는 먼저 상기 가이드되는 핀과 합치되도록 조절되며 다음으로 상기 지지 구조 또는 상기 지지 부재에 고정되는, 가구 아이템용 지지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24.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발(foot)을 각각의 단부에 구비한 장형의 제1 지지 부품;
    상기 제1 지지 부품과 고정되는 장형의 가이드 포메이션(guide formation); 및
    상기 제1 지지 부품의 발과 같이,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발을 각각의 단부에 구비한 장형의 제2 지지 부품,
    상기 제2 지지 부품은 상기 가이드 포메이션에 보완적이며 상기 가이드 포메이션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형의 가이드되는 포메이션(guided formation)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포메이션과 상기 가이드되는 포메이션 중 하나는 가이드되는 핀(guided pin)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 포메이션과 상기 가이드되는 포메이션 중 나머지는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품 중 관련되는 것과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되는 핀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가이드 통로(guide passage)를 한정하는 통로 한정부(passage defining unit)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2 지지 부품은 상기 제1 지지 부품과 관련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변위 가능하며,
    상기 통로 한정부는 중공의 조절 가능한 가이드 부재(hollow adjustable guide member)를 가지며, 이를 통해 상기 가이드 통로의 치수는 상기 가이드되는 핀의 치수에 따라 조절 가능하며; 및
    상기 통로 한정부는 일단 조절이 되면 상기 제1 지지 부품 또는 상기 제2 지지 부품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통로 한정부는 먼저 상기 가이드되는 핀과 합치되도록 조절되며 다음으로 상기 제1 지지 부품 또는 상기 제2 지지 부품에 고정되는, 가구 아이템용 자기안정화 배열.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통로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되는 핀은 동그란 원통형인, 가구 아이템용 자기안정화 배열.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한 쌍의 대체적으로 반원의 보조 가이드 쉘 및 상기 가이드 쉘을 서로 조이기 위한 조임 메커니즘(tightening mechanism)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상기 가이드 쉘 간에 의해 한정되는 상기 가이드 통로의 치수를 변화시키는, 가구 아이템용 자기안정화 배열.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 한정부는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조절 가능한 가이드 부품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 부품의 내면은 상기 가이드 통로를 한정하며, 상기 가이드 부품은 상기 가이드 부재 내에 수용되는, 가구 아이템용 자기안정화 배열.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쉘은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홈(groove)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 부품은 상기 홈 내에 수용되는, 가구 아이템용 자기안정화 배열.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 한정부는 조임 포메이션(fastening formation)을 가지며, 상기 조임 포메이션에 의해 상기 통로 한정부는 상기 제1 지지 부품 또는 상기 제2 지지 부품에 각각 고정되는, 가구 아이템용 자기안정화 배열.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 포메이션은 상기 가이드 부재 내에 구멍을 포함하는, 가구 아이템용 자기안정화 배열.
  31.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되는 포메이션은 상기 가이드되는 핀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되는 핀은 상기 제2 지지 부품의 중앙에 고정되며 상기 발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가이드 포메이션은 상기 가이드 통로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통로 한정부는 상기 제1 지지 부품과 관련하여 상기 제1 지지 부품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1 지지 부품의 중앙에 위치하는, 가구 아이템용 자기안정화 배열.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품과 상기 제2 지지 부품은 서로 직교하는, 가구 아이템용 자기안정화 배열.
  33. 제24항에 있어서,
    위치잡기 배열(locating arrangement)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잡기 배열은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품을 기결정된 상호 배열로 유지하는, 가구 아이템용 자기안정화 배열.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잡기 배열은 길이방향으로 정렬된 한 쌍의 스포크(spoke)를 포함하며, 상기 스포크는 상기 제1 지지 부품과 고정되며 상기 스포크와 상기 제1 지지 부품이 서로 직교하도록 상기 제1 지지 부품으로부터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돌출되며, 상기 스포크는 상기 발이 돌출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개방되는 위치잡기 채널(locating channel)을 한정하는 모양으로 지어지며, 상기 제2 지지 부품은 한 쌍의 정렬된 스포크에 의해 한정된 채널 내에 위치되는, 가구 아이템용 자기안정화 배열.
  3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포메이션 및 상기 가이드 부품은, 상기 가이드되는 핀 및 상기 가이드 부품의 내면 간에 제한된 간격(limited clearance)이 있도록 형상 지어지고 크기(치수) 지어지며, 이로 인해 가이드되는 핀의 세로축에 가로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려는 네트 모멘트(nett moment)가 상기 제2 지지 부품에 영향을 줄 때 상기 제1 지지 부품과 상기 제2 지지 부품 간에 자동으로 마찰 잠금(frictional locking)이 발생하는, 가구 아이템용 자기안정화 배열.
  3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발이 돌출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제1 지지 부품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제2 지지 부품을 누르기 위한 적어도 한 개의 누름 부재(urging member)를 포함하는, 가구 아이템용 자기안정화 배열.
  37. 제36항에 있어서,
    한 개의 누름 부재가 상기 가이드되는 핀에 탑재되는, 가구 아이템용 자기안정화 배열.
  38. 제24항에 있어서,
    가구 아이템의 지지 구조에 가구 아이템용 자기안정화 배열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포메이션(securing formation)을 포함하는, 가구 아이템용 자기안정화 배열.
  3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되는 핀과 고정되는 고정 포메이션(securing formation)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포메이션은 상기 통로 한정부 내에 포위된 상기 가이드되는 핀을 홀딩하는 기능을 하는, 가구 아이템용 자기안정화 배열.
  40. 가구 아이템용 자기안정화 배열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자기안정화 배열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발(foot)을 각각의 단부에 구비한 장형의 제1 지지 부품과, 상기 제1 지지 부품과 고정되는 장형의 가이드 포메이션(guide formation);
    상기 제1 지지 부품의 발과 같이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발을 각각의 단부에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포메이션에 보완적이며 상기 가이드 포메이션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형의 가이드되는 포메이션(guided formation)을 포함하는 장형의 제2 지지 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포메이션과 상기 가이드되는 포메이션 중 하나는 가이드되는 핀(guided pin)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 포메이션과 상기 가이드되는 포메이션 중 나머지는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품 중 관련되는 것과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되는 핀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가이드 통로(guide passage)를 한정하는 통로 한정부(passage defining unit)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2 지지 부품은 상기 제1 지지 부품과 관련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변위될 수 있으며,
    상기 통로 한정부는 중공의 조절 가능한 가이드 부재(hollow adjustable guide member)를 가지며, 이를 통해 상기 가이드 통로의 치수는 상기 가이드되는 핀의 치수에 따라 조절 가능하며; 및
    상기 통로 한정부는 일단 조절이 되면 상기 제1 지지 부품 또는 상기 제2 지지 부품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통로 한정부는 먼저 상기 가이드되는 핀과 합치되도록 조절되며 다음으로 상기 제1 지지 부품 또는 상기 제2 지지 부품에 고정되며,
    상기 제조 방법은,
    먼저 상기 가이드되는 핀에 합치되도록 상기 통로 한정부를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통로 한정부를 상기 제1 지지 부품 또는 상기 제2 지지 부품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구 아이템용 자기안정화 배열의 제조 방법.
  41.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지지 어셈블리와, 상기 지지 어셈블리에 탑재되는 가구 아이템의 상부 영역을 포함하는, 가구 아이템.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구 아이템은 테이블(table)이며, 상기 가구 아이템의 상부 영역은 테이블 톱(table top)인, 가구 아이템.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구 아이템은 시팅 장치(seating device)이며, 상기 가구 아이템의 상부 영역은 상기 시팅 장치의 좌석 부분(seat portion)인, 가구 아이템.
  44. 제24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기안정화 배열과, 상기 자기안정화 배열의 제1 지지 부품에 고정되는 가구 아이템의 상부 영역을 포함하는, 가구 아이템.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가구 아이템은 테이블(table)이며, 상기 가구 아이템의 상부 영역은 테이블 톱(table top)인, 가구 아이템.
  46.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가구 아이템은 시팅 장치(seating device)이며, 상기 가구 아이템의 상부 영역은 상기 시팅 장치의 좌석 부분(seat portion)인, 가구 아이템.
KR1020117019745A 2009-01-29 2010-01-28 가구 아이템용 자기안정화 지지 어셈블리 KR1017097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807909P 2009-01-29 2009-01-29
US61/148,079 2009-01-29
PCT/IB2010/050379 WO2010086811A1 (en) 2009-01-29 2010-01-28 A self-stabilizing support assembly for an item of furni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279A true KR20110128279A (ko) 2011-11-29
KR101709714B1 KR101709714B1 (ko) 2017-02-23

Family

ID=42078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9745A KR101709714B1 (ko) 2009-01-29 2010-01-28 가구 아이템용 자기안정화 지지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876071B2 (ko)
EP (1) EP2398352B1 (ko)
KR (1) KR101709714B1 (ko)
CN (1) CN102300487B (ko)
AU (1) AU2010209307B2 (ko)
BR (1) BRPI1005140B1 (ko)
CA (1) CA2750621C (ko)
ES (1) ES2577605T3 (ko)
MY (1) MY157158A (ko)
PL (1) PL2398352T3 (ko)
WO (1) WO2010086811A1 (ko)
ZA (1) ZA2011063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98351B1 (en) * 2009-01-29 2016-03-30 Hedera AB A self-stabilizing support assembly for an item of furniture
PL2398352T3 (pl) 2009-01-29 2016-09-30 Samostabilizujący się zespół podpórkowy dla elementu meblowego
DE102013013213B4 (de) * 2013-08-09 2016-07-07 Kautex Textron Gmbh & Co. Kg Betriebsflüssigkeitsbehälter mit integriertem Ent- und/oder Belüftungsventil
PL3624644T3 (pl) * 2017-05-15 2021-12-20 Af Solutions Ab Oy Klejona podstawa meblowa
USD921616S1 (en) * 2018-08-06 2021-06-08 Genelec Oy Stand for a loudspeaker
US11666142B2 (en) * 2018-09-10 2023-06-06 No Rock Cafe Tables Pty Ltd Stabilising arrangements
US11925360B2 (en) * 2018-11-02 2024-03-12 Conmed Corporation Method for preventing kinked tubing in an arthroscopic irrigation pump
MX2022001621A (es) * 2019-08-04 2022-05-16 Rockless Table LLC Dispositivo de bloqueo y estabilizador para una mesa de estabilización.
CN110720770A (zh) * 2019-11-18 2020-01-24 珠海市润星泰电器有限公司 一种稳定支撑机构
US11970144B2 (en) * 2020-02-20 2024-04-30 Bil-Jax, Inc. Outrigger footpad retainer system and method of use
US11535500B1 (en) * 2021-08-31 2022-12-27 Crossjack Llc Expandable car jac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9465B1 (en) * 1996-05-31 2001-04-03 David Alan Brooks Stabilizing arrangement
KR20070012776A (ko) * 2003-10-10 2007-01-29 시라노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가구용 자동안정화 지지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984809B (it) 1973-03-05 1974-11-20 Ambasz E Basamento componibile per mobili
IT1077108B (it) 1977-04-29 1985-05-04 Castelli Sas Anonima Tavolo smontabile ad una o piu' colonne di sostegno
US4406437A (en) 1982-01-29 1983-09-27 Waymatic, Inc. Knock-down support base for merchandise display rack
US4712758A (en) 1986-01-27 1987-12-15 Casper Cuschera Nested hub knock-down pedestal
US4789122A (en) 1987-07-29 1988-12-06 Ditto Sales, Inc. Table base construction
US5690303A (en) 1996-06-24 1997-11-25 Winters-Gresham Partnership Self-stabilizing base for a table
US5899422A (en) * 1997-04-18 1999-05-04 Roman Wieland Adjustable furniture leg extension
US20030230681A1 (en) * 2001-02-20 2003-12-18 Gwynneth Mark W. Self stabilizing structural system
US6578804B2 (en) * 2001-06-08 2003-06-17 Ming Chuan Lin Securing device for positioning a seat post of office chairs
CN2569974Y (zh) * 2002-09-26 2003-09-03 李广庆 金刚石辊轮锁紧装置
JP4216672B2 (ja) 2003-08-25 2009-01-28 日東工器株式会社 ストップリング及びストップリングを備えた流体機器
AU2004322231C1 (en) * 2004-08-02 2011-09-01 Hedera Ab Tables
US7290741B1 (en) 2004-11-01 2007-11-06 Jacob Holtz Company Furniture glide
US8632038B2 (en) 2006-10-12 2014-01-21 Table Jack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s of objects
EP2398351B1 (en) 2009-01-29 2016-03-30 Hedera AB A self-stabilizing support assembly for an item of furniture
PL2398352T3 (pl) 2009-01-29 2016-09-30 Samostabilizujący się zespół podpórkowy dla elementu meblowego
CN105996513A (zh) * 2009-12-24 2016-10-12 福莱特公司 底座支架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9465B1 (en) * 1996-05-31 2001-04-03 David Alan Brooks Stabilizing arrangement
KR20070012776A (ko) * 2003-10-10 2007-01-29 시라노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가구용 자동안정화 지지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86811A1 (en) 2010-08-05
MY157158A (en) 2016-05-13
BRPI1005140B1 (pt) 2020-12-15
ES2577605T3 (es) 2016-07-15
KR101709714B1 (ko) 2017-02-23
US8876071B2 (en) 2014-11-04
PL2398352T3 (pl) 2016-09-30
BRPI1005140A2 (pt) 2018-02-20
AU2010209307B2 (en) 2015-06-18
AU2010209307A1 (en) 2011-09-01
CA2750621A1 (en) 2010-08-05
US20120091770A1 (en) 2012-04-19
EP2398352A1 (en) 2011-12-28
CN102300487A (zh) 2011-12-28
EP2398352B1 (en) 2016-03-30
ZA201106330B (en) 2012-05-30
CN102300487B (zh) 2015-09-09
CA2750621C (en) 201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28279A (ko) 가구 아이템용 자기안정화 지지 어셈블리
KR20110128280A (ko) 가구 아이템용 자기안정화 지지 어셈블리
AU2004281063B2 (en) A self-stabilizing support assembly for an item furniture
CN101489446A (zh) 带有底部框架的婴儿椅
KR101636551B1 (ko) 조립식 야외테이블
CA2588210C (en) Table with urging member for a displaceable multi-foot support
CN113116070A (zh) 吊挂式支架及吊挂式家具
WO2016144242A1 (en) Baby bouncer
CN220015733U (zh) 连接件及折叠椅架
CN212972361U (zh) 一种椅座的支撑结构及学习椅
KR200416750Y1 (ko) 테이블설치용절첩의자구조
CA2787734A1 (en) Gliding recliner armchair with footrest
KR20220111391A (ko) 낚시의자
US339131A (en) Convertible cot and seat
KR20110054525A (ko) 발 받침대가 구비된 접철식 낚시 의자
KR200184339Y1 (ko) 의자
AU2011201170A1 (en) Swing t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