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8138A -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저장용기에서 벌크물질을 건조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저장용기에서 벌크물질을 건조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8138A
KR20110128138A KR1020110046041A KR20110046041A KR20110128138A KR 20110128138 A KR20110128138 A KR 20110128138A KR 1020110046041 A KR1020110046041 A KR 1020110046041A KR 20110046041 A KR20110046041 A KR 20110046041A KR 20110128138 A KR20110128138 A KR 20110128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ulk material
drying
heat exchanger
cond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6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쿠나우 홀게르
헤로 라인하드
Original Assignee
모탄홀딩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탄홀딩게엠베하 filed Critical 모탄홀딩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10128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81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solely by gravity, i.e. the material moving through a substantially vertical drying enclosure, e.g. shaft
    • F26B17/1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solely by gravity, i.e. the material moving through a substantially vertical drying enclosure, e.g. shaft the materials moving through a counter-current of gas
    • F26B17/140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solely by gravity, i.e. the material moving through a substantially vertical drying enclosure, e.g. shaft the materials moving through a counter-current of gas the gas being supplied and optionally extracted through ducts extending into the moving stack of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4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partly outside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26B21/083Humidity by using sorbent or hygroscopic materials, e.g. chemical substances, molecular sie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26B21/086Humidity by condensing the moisture in the drying medium, which may be recycled, e.g. using a heat pump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4Heating arrangements using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5Drying gases or vapours by refrigeration (conden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8Granular materials

Abstract

가공되기 전에 벌크물질이 저장용기에서 건조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바람직하게는 공기인 건조매체는 벌크물질을 통과한다. 건조매체는 벌크물질을 가열하여 그 동안에 습기를 제거한다. 건조매체를 제습하기 위해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펠티에 장치를 구비한 제습부가 제공되고 있는데 그 냉측과 그 온측이 건조매체의 흐름경로에 위치하고 있다. 습기를 간직한 그 건조매체는 냉측을 통과하며 제습된다. 펠티에 장치의 온측에 의하여, 제습된 건조매체는 사전 가열될 수 있다.

Description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저장용기에서 벌크물질을 건조하는 장치{Device for Drying Bulk Material in at least one Storage Container}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1 의 전제부에 따른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저장용기에서 벌크물질을 건조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공되기 전에, 벌크물질은 저장용기에서 건조된다. 그 목적을 위해서 건조매체, 바람직하게는 공기가 벌크물질을 통과하게 된다. 건조매체는 벌크물질을 뜨겁게 하여 습기를 제거한다. 습기를 간직한 건조매체는 배출도관을 통해서 저장용기를 떠나게 된다. 이 소위 회귀공기는 이어서 다시 건조매체를 제습하기 위해서 건조장치를 통과하게 되고 다시 벌크물질로 돌아간다.
건조매체로부터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서 종래구조의 냉장장치가 사용되었는데 이것을 통해 건조매체는 습기의 제거 목적으로 냉각되었다. 부분적으로 냉장장치의 뜨거운 소비공기는 제습과정 후의 건조매체를 벌크물질로 되돌아가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시 뜨겁게 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그러한 냉장장치는 비싼 설비일 뿐만 아니라 상당한 공간을 요구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낮은 비용과 구조비용의 구조적으로 간단한 방법을 통해 건조매체가 벌크물질을 통과한 후에 제습 될 수 있는 상기 종류의 장치를 설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류의 장치에서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부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로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는, 제습부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펠티에 장치가 제공되어 있는 데 이 장치의 냉측과 온측은 건조매체의 흐름경로에 위치해 있다. 이 펠티에 장치에 전기볼트를 인가하면 펠티에 장치에 냉측과 온측이 발생된다.
냉측에는 물의 빙점 한참 아래인 온도, 예를 들면 섭씨 -40도 씨가 발생할 수 있다. 습기를 간직한 건조매체가 펠티에 장치의 냉측을 지나가면 제습과정이 실현된다. 이렇게 하여, 건조매체의 두 단계가 발생한다. 즉 펠티에 장치의 냉측에서 건조매체에 포함한 습기의 응축이 발생하고 그때 물의 빙점 위의 이슬점이 달성된다.
그런데, 펠티에 장치의 냉측에서 건조매체로부터 냉동에 의해 습기를 제거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런 경우 이슬점은 물의 빙점 한참 아래서 달성된다.
펠티에 장치의 온측에서 제습된 건조매체는 다시 가열될 수 있으며 그래서 제습된 건조매체의 사전가열이 달성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건조과정에서 상당한 에너지량이 절약된다.
펠티에 장치 자체는 최소 규격을 가진 플레이트 형상의 작은 펠티에 장치이다. 펠티에 장치의 일반적인 규격은 대략 넓이가 55 -100 이고 높이는 55-100mm 이며 깊이는 4mm 이다. 펠티에 장치는 작은 공간만 있으면 되며 그래서 제습부는 컴팩트하게 디자인 될 수 있다. 이러한 제습부는 작용상 거의 문제가 없으면서도 건조매체의 신뢰성 있는 건조기능을 보장해준다.
펠티에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냉측과 온측 각각이 열교환기의 부분이다. 건조매체가 이들 열 교환기를 통과할 때, 열기와 냉기는 신뢰성 있게 건조매체에 전달된다. 바람직한 것으로, 여기에서 열기와 냉기가 최적으로 건조매체에 전달될 수 있는 것으로서 알류미늄 몸체 또는 어떤 다른 적당한 물질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공급도관은 유체적으로 제습부와 연결되어 있는데, 이를 통해서 제습부에서 제습된 건조매체는 제습과정 후에 즉시 저장용기로 공급된다.
바람직하게는, 제습부는 역시 저장용기의 배출도관과 흐름상 소통할 수 있다. 습기를 간직한 건조매체는 저장용기의 벌크물질을 통과한 후에 직접 제습부로 공급되고 그리고 나서 제습된다.
주변공기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흡입도관을 제습부로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어느 정도의 습기를 간직한 흡입공기는 건조매체로서 저장용기에 공급되기 전에 제습부에서 제습된다. 그러한 구성은 특히 주변공기가 많은 습기를 가지고 있는 아시아 지역에 더욱 적절하다. 제습부를 통하여 주변공기는 저장용기의 벌크물질을 건조하기 위해서 건조매체로서 사용될 정도로 효과적으로 제습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구성은 제습부가 건조매체의 순환회로 내에 배치될 때이다. 이러한 경우 건조매체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통해 순환될 수 있다. 벌크물질을 통과한 후에 습기를 간직한 건조공기는 제습부로 공급되고 거기서 제습된다. 이어서 이러한 방법으로 제습된 건조매체는 벌크물질에서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서 벌크물질로 다시 돌아오게 된다.
고효율을 달성하기 위해서 최소한 장치는 두 개의 제습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두개의 제습부가 조화롭게 작용할 때 즉, 하나의 제습부는 제빙과정에 할당되고 다른 하나의 제습부는 이 제빙과정과 병행하여 건조매체를 제습하는데 사용될 때 매우 유익한 구성이 된다. 시간이 지나 펠티에 장치의 냉측에는 최적의 제습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반드시 제거해야만 할 얼음이 형성된다. 상기 기재한 바람직한 구성의 결과로 이러한 제빙과정은 제습과정을 방해하지 않고 수행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건조매체의 흐름경로는 밸브에 의해 바뀌어질 수 있다. 온도차이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제습부에 몇 개의 펠티에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데 세로로 적층하던가 마찬가지로 서로 인접하게 함과 동시에 세로로 적층하는 형태로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낮은 비용과 구조비용의 구조적으로 간단한 방법을 통해 건조매체가 벌크물질을 통과한 후에 제습 될 수 있는 장치를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특허청구범위, 상세 기술 및 도면에 의해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제1a도는 본 발명의 따른 벌크물질을 건조시기키 위한 장치의 제습부이다.
제1b 도 및 제1c도는 제1도에 따른 제습부의 펠티에 장치의 서로 다른 배열이다.
제2도와 제3도는 제습부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제4도내지 제8도는 본발명의 따른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제9도내지 제10도는 두 개의 다른 동작위치에 있는 제습부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제11도 내지 제12도는 상관관계의 있는 제습부의 두 개의 다른 스위치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따른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제13도 내지 제14도는 상관관계에 있는 제습부가 두 개의 다른 스위칭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제15도 및 제16도는 제13도 및 제14도에 따른 본 발명의 장치의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이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벌크물질을 건조하기 위한 장치의 원리가 설명될 것이다. 벌크물질을 건조하기 위해서 제습부(10)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펠티에 장치를 갖도록 사용된다. 제습부(10)은 파티션(1) 에 의해 두개의 흐름방(2,3)으로 나뉘어진 하우징(7)을 가지고 있다. 파티션(1)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펠티에 장치(26)를 구비하고 있다. 제1b 도 및 제1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 개의 펠티에 장치(26)들이 세로로 한 개 다음에 한 개씩 연속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제1b도), 또한 연속으로 하나하나 씩 그리고 다시 연속이 이웃하도록(제1c도) 배열될 수 있다. 몇 개의 펠티에장치(26)을 사용할 때 온도차이의 증가가 가능하다.
펠티에 장치는 전류가 인가될 때 하나의 측면이 가열되고 다른 측면이 냉각되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
제1a도에 따른 실시예에서, 펠티에 장치(26)의 냉측은 흐름방(3)에 있으며 온측은 흐름방(2)에 있다. 펠티에 장치(26)의 양측에 서로 다른 온도가 인가되므로, 결과로 펠티에 장치는 열교환기(2a,3a)의 부분으로서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 열교환기 (2a,3a)의 수단에 의해 열기 또는 냉기는 건조될 각 기체로 전달된다. 열교환기(2a,3a)의 냉각 몸체는 바람직하게는 알류미늄으로 이루어져있다. 그러나 이들은 건조된 기체에 열기 또는 냉기를 전달할 수 있는 다른 적절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주입부개구부(5)를 통해서 건조되어야 할 기체는 화살표방향으로 흐름방(3)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위에서 아래로 열교환기(3a)를 통해서 흐른다. 흐름방향은 또한 아래에서 위로도 될 수 있으며 만약 이것이 건조과정을 위한 것이라면 횡으로도 될 수 있다. 기체에 포함된 습기는 응축에 의해 열교환기(3a)의 냉측표면에 침전한다.
동시에, 기체는 이로써 냉각된다. 열교환기(3a)를 통한 후에, 기체는 흐름방(8)로 들어가는 데 여기서 제습된 기체는 열교환기(2a)의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거기에서 기체는 위로 흐르게 되고 열교환기를 통과한 후에 배출구(6)에 도달하게 되며 여기를 통해 기체는 하우징(7)을 빠져 나간다.
열교환기(2a)는 펠티에 장치(26)의 온측과 상관 관계를 가지고 있어 기체가 열교환기를 통과할 때 펠비어 장치(26)의 온측에 의해 가열된다. 가열된 기체는 배출구(6)를 나와 아래 기술하는 바와 같이 건조할 벌크물질이 위치하고 있는 벌크물질 용기로 공급된다. 벌크물질을 건조하는 데 가열된 기체가 사용되기 때문에 펠티에 장치(26)의 효율 정도의 결과로서의 손실분을 포함한 전체 에너지가 사용될 수 있다. 이 에너지는 열교환기(2a)의 도움으로 기체를 가열하는 데에 사용되고 또 열교환기(3a)에 의해 기체를 제습하는데 사용된다.
열교환기(3a)에 생긴 습기는 축척에 의해 물방울을 형성하고 열교환기 (3a)로 부터 아래 방향으로 배출되며 하단 흐름방(8) 으로 떨어진다. 흐름방(8)이 아래 방향으로 원뿔형으로 테이퍼 되어 있기 때문에, 응축된 물방울은 배출파이프(4)쪽 아래방향으로 경사벽(27)을 따라서 내려가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사이펀 파이프로 구체화되어 있는데 그러므로 흐름/수거 방(8)은 방(8)에 모여진 응축액을 배출할 때 공기로 꽉 차있는 상태인 것이 확실하다.
사이펀파이프(4) 대신에, 다른 어떤 적당한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는데 이를 테면 플로트밸브(4a) 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로써 응측된 응축액이 배출될 수 있다.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펠티에 장치(26)에 의해 기체는 응축 그리고/또는 기체에 수반된 습기의 결빙으로 건조되며, 이러한 방법으로 건조기체, 바람직하게는 건조공기가 발생하게 되며 이 것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속해서 벌크물질이 제습되고 가열된다.
펠티에 장치(26)에 전기볼트를 인가함으로써 냉측에는 물의 빙점보다도 훨씬 낮은 온도 이를 테면 섭씨 -40도의 온도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구조로 건조공기의 2단계가 발생한다. 즉, 기체에 수반된 습기의 순수 응축작용을 위해 빙점 위의 이슬점에 도달한다. 습기가 기체로부터 냉동되어 제거될 때, 물의 빙점보다 훨씬 낮은 이슬점이 달성된다.
펠비어 장치(26)는 기술한 방법대로 두 가지 기능을 한다. 기체는 우선 냉각에 의해 제습되고 그런 제습과정 후 이어서 펠티에 장치(26)의 온측에 의한 가열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벌크물질을 건조시키는 데 드는 에너지가 절약된다. 더군다나 펠티에 장치(26)의 사용의 결과로 소형 건조장치가 만들어질 수 있다.
펠티에 장치는 통상적으로 55-100 mm의 넓이를 가지고 있고 55-100mm의 높이와 4mm의 깊이를 가지고 있다. 인가된 전류 그리고 채용된 펠티에 장치(26)의 실행에 따라 펠티에 장치의 두개의 평측면 사이의 작거나 큰 온도 차이가 발생한다. 이러한 온도 차이를 증가시키기 위해 몇 개의 펠티에 장치는 연속으로 연결 될 수 있다.
기체가 최소한도의 남은 습기내용물일 때까지 건조되었을 때, 펠티에 장치(26)는 매우 낮은 온도 예를 들면 섭씨 -40도에 도달하도록 설계되었다. 기체에 수반된 습기는 그런 다음 열교환기(3a)의 벽에 응축될 뿐만 아니라, 습기는 벽에 서리를 형성하게 된다. 사용의 지속으로 펠티에 장치의 냉측은 얼음이 형성되어 점차 막히게 된다.
그럼으로 펠티에 장치의 냉측은 때때로 제빙이 되어야만 한다. 그런데 바람직하게는 이런 경우 에는 펠티에 장치의 공급도관(9)의 극성을 꺼꾸로 하는 것이 매우 편리하다 이런경우 이전의 냉측은 펠티에 장치의 온측이 되기 때문에 거기에 형성된 얼음은 녹아버리게 될 것이다. 펠티에 장치(26)에 의해 방출된 열기는 차례로 벌크물질을 건조 시키기 전에 기체를 가열하는 데 사용된다.
펠티에 장치(26)의 냉측은 물론 수동적으로 제빙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벌크물질 용기로 부터 나온 뜨거운 습기를 간직한 배출공기가 먼저 펠티에 장치(26)의 얼어버린 냉측을 지나가며 그래서 냉측에 형성된 얼음이 녹는다. 더군다나 이 기체는 이러한 방법으로 사전에 냉각되며 응축에 의한 습기는 기체로 부터 제거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방출된 응축열은 펠티에 장치의 냉측에 있는 얼음을 빨리 녹이는데 기여한다. 결과적으로 기체는 기체에 남아있는 습기를 결빙시킴으로서 추가의 방에 필요한 정도의 건조상태로 도달하게 할 수 있다.
얼음이 녹으면서 승화하지 않고 액체가 되어 그러므로 응축이란 건조과정으로부터 제거되어야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응축물은 응축에 의해서 또한 결빙 또는 이어지는 액화로 형성된 응축물은 수거방(8)의 아래 방향으로 그로부터 응축물은 기술된 바대로 사이펀파이프(4)를 통해서 배출되거나 혹은 플로트밸브(4a)를 통하는 통상의 방법으로 배출된다.
제2도는 수거/흐름 방(8)이 두개의 방(8a,8b)으로 나누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방(8a)는 열교환기(2a)를 통과한 가열된 공기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도관(28)을 경유하여 건조되고 가열된 공기는 그런 다음 아래에 있는 벌크물질 저장용기로 공급된다.
방(8b)에서 열교환기(3a)를 통과하여 형성된 응축물은 기술된 대로 배출파이프(4)를 통해서 과정에서 배출된다. 기체는 열교환기(3a)로부터 배출된 후 횡으로 연결된 파이프(29)로 흐른다.
제3도에 따른 실시예 에서, 펠티에장치(26)은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극성이 거꾸로 될 수 있는 데 그렇게 하여 극성에 의존하는 열교환기(2a,3a)는 기체의 가열 또는 냉각에 사용될 수 있다. 펠티에 장치의 냉측에 형성된 얼음을 제거하기 위해서 , 펠티에 장치는 극성이 거꾸로 되고 그렇게 하여 얼음이 녹고 그리고 응축물들이 형성되어 서로로 부터 분리된 수거방(8c)으로 흐르게 될 것이다. 응축물은 아래로 흘러 배출파이프(4)로 흐르는데 실시예의 방법에서는 사이펀 파이프로 구체화되고 있는 배출파이프(4)로 흐른다. 기체 자체는 각각의 수거방(8c)으로부터 횡으로 연결된 파이프(29)로 흐른다. 기체 방향의 파이프(29)는 열교환기(2a,3a)의 아래에 위치되어 있다.
제4도는 저장용기(15)내 벌크물질(16)을 건조하기 위한 장치를 보여주고 있다. 용기(15)는 건조매체를 위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배출구(18)를 그 상단에 구비하고 있다. 건조매체는 공기필터(19)를 통해 주변환경으로 배출된다.
건조매체로서 주변공기가 사용되는데 송풍기(12)를 통해서 흡입된다. 주변공기는 송풍기(12)에 의해 제습부(10)으로 공급되기 전에 공기필터(11)을 통해 처음 유입된다. 흡입된 공기는 아래로부터 제습부(10)의 열교환기(3a)로 흘러들어간다. 주변공기에 수반된 습기는 응축되고 아래로 수거방(8)에 떨어진다. 여기에서부터 응축물은 배출파이프(4)로 도달하는데 여기에서 응축물들은 플로트밸브(4a)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열교환기(3a)를 통과한 공기는 오른쪽으로 방향이 바뀌어 열교환기(2a)로 들어가는 데 여기를 통해서 주변공기는 위에서 밑으로 흐르게 된다. 열교환기(2a)에서 제습된 주변공기는 가열된다. 이 제습과정의 소모열이 사용되는 사전가열 단계 후에, 제습된 주변공기는 가열장치(13)가 위치하고있는 공급도관(30)으로 흐르게 된다. 이 공기는 저장용기(15)로 들어가기 전에 요구되는 건조온도로 가열된다.
공급도관(30)의 하단 가까이는 저정용기(15)로 가는 컨테이터축(31)과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공급도관(30)의 끝단부는 저장용기(15)에서 중앙에 배열되어 있고 밑을 지향하도록 하였다. 공급도관(30)의 배출단부(14)는 원뿔형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아래방향의 주변공기의 흐름방향으로 넓어 지도록 하였다. 가열된 제습 주변공기는 그리고 나서 저장용기(15)의 하단방향의 하단 끝단 가까이로 들어가게 된다.
벌크물질(16)에서 주변공기는 도시된 화살표 흐름방향인 위로 흐르게 되고 건조 주변공기와 습한 벌크물질(16) 사이의 증기확산의 결과로 벌크물질에 포함된 습기를 빨아들이게 된다. 그렇게 할 때, 주변공기는 냉각되고 저장용기(15)의 상단 단부에서 배출구(18)과 공기필터(19)를 통해서 외부로 빠져 나가게 된다.
저장용기(15)는 배출구(18)의 방향(25)으로 벌크물질(16)을 통해서 위로 흐르는 공기를 편향하게 하는 카버(17)에 의해서 상단 끝단에서 닫혀진다. 벌크물질(16)을 통한 후의 그 주변공기가 바깥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열림과정조절이 벌크물질(16)을 건조하기 위해 주변공기를 이용하는 장치와 함께 사용된다. 그러한 열림 과정 조절은 벌크물질(16)을 약 섭씨 0 도씨 위의 이슬점을 가진 기체를 건조하는 데에 있어 매우 편리하다.
제5도의 실시예 에서, 주변공기가 흡입되는 송풍기(12)는 제습부(10)로의 아래 흐름방향에 설치되어있다.
흡입된 공기는 공기필터(11)로 흐르고 그 다음 제습부(10)의 방(8)으로 흐르게 된다. 여기에서 부터, 주변공기는 열교환기(3a)로 아래에서 위로 흐르게 된다. 열교환기(3a)의 뒤에 흐름방향에서, 송풍기(12)는 열교환기(3a)에 의해 제습된 주변공기를 제습부(10)의 열교환기(2a)로 공급하도록 배치되어있다. 그것은 위에서 아래로 흐르도록 되어 있으며 펠티에 장치에 의하여 파티션(1)에서 가열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습되고 사전 가열된 주변공기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습부(10)에 연결된 공급도관(30)으로 흐르게 된다.
여기에 내장된 가열장치(13)는 사전 가열 및 제습된 주변공기를 저장용기(15)의 벌크물질(16)을 건조하는 데에 필요한 온도까지 가열한다. 공급도관(30)은 제4도에서 도시된 실시 예와 같은 방식으로 구체화되어 있어, 가열된 공기는 저장용기(15)의 하단 단부 가까이에 있는 깔때기 형상의 배출 단부(14)를 통해 벌크물질(16)로 가게된다. 공기는 벌크물질로 위 쪽으로 흐르고, 벌크물질(16)을 뜨겁게 하게 되며 이런 방식으로 벌크물질로 부터 습기를 흡수하게 된다. 가열된 주변공기의 온도는 어느 정도로만 높기 때문에 너무 높은 건조온도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벌크물질(16)의 손상이 신뢰성 있게 방지된다.
배출구(18)가 저장용기(15)의 측벽에 있는 카바(17)의 가까이에 있는 제4도의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구(18)가 카버(17)안에 있다. 주변공기는 배출구(18)와 공기필터(19)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열교환기(3a) 안의 응축물은 밑으로 흘러 수거방(8)으로 모이고 거기서 부터 배출파이프(4)로 배출된다
저장용기(15)는 하단 원뿔형 테이퍼 끝단(32)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예를 들면 슬라이드 또는 플랩이 되는 덮개(20)에 의해 닫혀진다.
제6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송풍기(12)는 제습부(10)의 하류흐름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주변공기는 공기필터(1)를 통해서 제습부(10)으로 들어간다. 공기는 아래쪽으로 열교환기(3a)를 통해 흐르고 흐름방(8)으로 도착한 다음 거기서 다시 열교환기(2a)로 흐른다. 열교환기(3a)에서 공기는 제습된다. 발생된 응축물은 밑으로 흘러 수거방(8)으로 떨어지고 배출파이프(4)를 통해 배출된다. 열교환기(2a)에서, 제습된 주변공기는 사전 가열되고 공급도관(30)으로 흐른다. 공급도관(30)에 위치한 가열장치(13)로써, 아래로 흐르는 주변공기는 가열된 다음 배출단부(14)를 통해 저장용기 안에 있는 벌크물질(16)로 들어간다.
가열된 주변공기는 벌크물질(16)에서 위로 올라가며 배출구(18)와 연결된 공기필터(19)를 통해서 외부로 나가게 된다. 배출구(18)은 이전 실시예 에서와 같이 저장용기(17)의 측벽 가까이에 있는 덮개(17)에 구비되어 있다. 제6도에 따른 구체적 실시예에서, 송풍기(12)는 열교환기(2a)의 뒤 흐름방향에 구비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압축기(12)가 열교환기(2a)의 위에 그리고 열교환기 (3a)의 뒤 흐름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제7도에 따른 실시예 에서, 공기필터(19)를 통과한 후의 공기는 배출구(18)에서 방출되지 않고 제습부(10)으로 공급된다. 이들 장치는 폐쇄 회로로서 동작하며 플랩카바(17)을 통해서 가끔 손으로 벌크물질(16)로 채워진다. 오직 플랩카바(17)을 열 때, 흐름방과 주변공기 사이의 공기교환이 일어난다.
이러한 실시예는 특히 저장용기(15)의 벌크물질(16)이 작은 양의 습기만을 가지고 있을 때 특히 적절하다. 이러한 방법으로 벌크물질(16)을 통과할 때 공기는 습기를 조금 흡수하기 때문에 그 결과 회귀공기는 다른 주변공기 이를 테면, 습기를 많이 가지고 있는 아시아지역 같은 곳의 공기보다도 훨씬 건조하다. 회귀공기의 적은 습기의 결과로 건조장치의 에너지 소모량은 그러므로 상당히 절약된다.
회귀공기는 연결도관(21)을 통해 공기필터(19)로 부터 제습부(10)로 흐른다. 회귀공기는 처음 열교환기(3a)를 통과하게 되는 데 여기서 제습이 일어난다. 형성된 응축물은 수거방(8)을 통과하고 난 뒤 사이펀 파이프로 구체화된 배출파이프(4)로 흐른다. 공기는 열교환기(3a)에서 아래로 흐르고 흐름방(8)으로 들어간다. 여기에서 공기는 열교환기(2a)로 쪽으로 편향되고 이를 통해 다시 공기는 아래에서 위로 흐르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공기는 펠티에 장치(26)의 온측으로 부터 사전 가열된다. 제6도에 따른 열교환기(2a)의 하류로의 흐름 방향에 , 송풍기가 배치되어 있는데 이 송풍기로 사전 가열된 공기는 공급도관(30)으로 흐르게 된다. 여기에 내장된 가열장치(13)은 공기가 저장용기(15)로 들어가기 전에 공기를 가열한다. 이전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열된 공기는 깔때기 형상의 배출단부(14)를 통해서 아래 방향쪽 벌크물질(16)로 흐르게 되며 거기서 공기는 다시 위로 흐르게 된다. 그것은 벌크물질(16)로 부터 습기를 흡수하고 배출구(18)와 공기필터(18)를 통해 연결도관(21)으로 다시 들어간다.
이러한 방식으로, 건조공기는 순환적으로 안내되는 데 건조공기에 포함된 습기는 열교환기(3a)에서 제거된다. 열교환기(2a)를 통과하는 동안 사전가열 되고 가열장치(13)에서 가열되어 건조공기는 상당한 온도가 되며 너무 강한 가열작용으로 벌크물질이 손상됨이 없이 벌크물질(16)로 부터 최대로 습기를 흡수하게 된다.
제8도에 따른 실시예에서 , 사전단계로서 제습부(10)은 종래의 벌크물질용 건조장치의 상위에 배치되어 있다. 건조장치의 상위에 있는 제습부는 건조기(33)으로 들어가기 전의 주변공기가 충분히 제습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러한 장치는 주변공기가 많은 습기를 가지고 있는 지역에서 사용할 때 상당히 유용하다. 그러한 지역조건은 이를 테면 아시아 지역에서 존재한다. 제습부(10)를 위에 배치함으로서 종래의 건조기는 이러한 방식에서 에너지효율의 상당한 진보가 이루어지면서 벌크질을 건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송풍기(12)에 의해, 주변공기는 에어필터(11)로 흡입되고 그런 다음 건조기(33)으로 흡입된다. 공기는 열교환기(3a)를 위에서 부터 아래로 통과하면서 흐르고 그렇게 하여 전술한 방법에 따라 제습된다. 형성된 응축물은 배출파이프(4)로 배출될 수 있다. 주변공기는 연속해서 열교환기(2a)로 흐르는데 여기에서 아래에서 위로 흐르며 그러는 과정에서 사전 가열된다. 제습된 사전 가열된 주변공기는 도관(34)을 통과하는 데 이로서 주변공기는 건조기(33)에 공급된다. 도관(34)안에는 밸브(35)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로 인해 사전 가열된 제습된 공기는 차단될 수 있다.
도관(34)는 연결도관(21)으로 열려져 있는데 연결도관은 벌크물질(16)의 저장용기(15)의 배출구(18)를 건조기(33)에 연결한다. 공기필터(19)는 건조기내 송풍기(12)의 하류 연결도관(21)에 배치되어 있다. 도관(34)는 송풍기(12)와 공기필터(19)사이 부위에서 연결도관(21)쪽으로 통하여 있다.
건조기(33)내에는 , 전환밸브(36)가 송풍기(12)의 밑에 배치되어 있는 데 이로써 두 개의 건조 카드리지(37,38)는 선택적으로 시스템에 연결된다. 도시된 실시예 에서, 전환밸브(36)은 스위치작용을 하여 사전 가열된 제습공기가 건조 카드리지(38)로 들어가도록 한다. 건조 카드리지(38) 뒤의 흐름방향에 가열장치(39)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로써 저장용기(15)에 들어가기 전에 공기는 원하는 건조온도로 가열된다.
사전 가열된 공기는 공급도관(30)으로 흐르게 되는데 여기에는 가열장치(13)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가열된 건조공기는 저장용기(15)를 밑에서 위로 벌크물질을 통과하여 흐르게 되고 그 습기를 흡수한다. 배출구(18)에서, 회귀공기는 연결도관(21)과 공기필터(19)를 통과해서 흐르고 다시 건조기(33)로 들어온다. 도관(34)내 밸브(35)는 닫혀지고 그런 다음 회귀공기가 건조기를 순환하는 한 어떤 새로운 주변공기도 공급되지 않는다. 회귀공기는 다시 건조카트리지(38)를 통과할 때 종래의 방법대로 건조되고 그렇게 하여 가열장치(39)와 (13)의 수단에 의해 다시 가열되고 난 다음 저장용기(15)를 통과하게된다.
전환밸브(36)은 스위치되며 그렇게 하여 회귀공기는 건조카트리지(37)로 통해 들어간다 그리고 거기서부터 외부로 방출된다. 전환밸브(36)이 다시 스위치 되었을 때, 밸브는 개방되고 그렇게 하여 송풍기(12)수단에 의해 주변공기가 흡입되어 처음 제습부(10)을 통과하여 흐른 다음 그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용기(15)로 공급된다.
제9도와 제10도 따른 실시예는 섭씨 0도아래 이슬점에서 시스템에 가장 적당하다. 제습부(10)로서, 저장용기(15)의 벌크물질(16)을 건조하기 위한 두 단계 제습이 실시된다. 제습부는 펠티에 장치(26)을 구비하고 있는데 이로써 과정 중의 공기는 사전 제습된다..
얼음이 형성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펠티에 장치(26)의 냉측은 온도 T1에서 유지되는데 이는 실시예 에서는 섭씨 +5도이다. 공기필터(11)을 통해 송풍기(12)에 의해서 흡입된 주변공기는 펠티에장치(26)의 냉측을 지나가며 흐른다. 그렇게 하여 응축된 응축물은 배출파이프(4)로 아래로 떨어지며 이 실시예 에서는 플로트밸브(4a)에 의해 제거된다. 주변공기는 펠티에장치(26)의 냉측을 지나가며 위로 흐르게 되며 밸브(41)이 위치한 도관(40)으로 들어간다.
밸브의 스위치작용으로 사전 제습된 주변공기는 밑으로 흘러 도관(42)으로 들어간다. 도관(42)에서 주변공기는 펠티에 장치(26')의 냉측을 지나 아래 방향으로 흐르며 그렇게 하여 회귀도관(43)을 통과한다. 그곳에서 제습에서 건조공기로 바뀐 공기는 펠티에 장치(26)의 온측을 지나 위로 흐르며 그렇게 하여 건조공기는 사전 가열된다.
회귀도관(43)내에는 밸브(44)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로써 건조공기는 도관(45)를 통과할 수 있다. 이 같은 방법으로, 건조공기는 펠티에 장치(26')의 온측을 지나가며 그런 다음 공급도관(30)에 도착하며, 이것에 의해 건조공기는 저장용기(15)로 들어갈 수 있다(미도시). 공급도관(30) 내의 가열장치(13)로서, 제습되고 사전 가열된 건조공기는 저장용기(15)내에 벌크물질(16)을 건조하는데 요구되는 온도로 가열된다.
펠티에 장치(26')은 가능한 낮은 온도로 유지되는데 낮은 이슬점에 상응하는 온도에 도달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섭씨 0도 아래 5도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펠티에 장치(26')에서는 얼음이 형성된다.
이것과 병행해서, 펠티에장치(26")의 냉측은 극성변환에 의해 가열되고 그렇게 하여 제빙이 이루어진다. 제습된 건조공기가 펠티에장치(26,26')의 온측을 지나가는 동안, 이 단계에서 펠티에장치(26")는 전술한 방법으로 제빙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재발생 과정 동안 이 펠티에장치(26")은 제습부(10)에서의 공기의 흐름경로와 분리된다.
일단 펠티에장치(26")이 제빙 되었으면, 두 개의 밸브(41,44)는 스위치 된다(제10도에 도시되어있음). 그러면 제습된 주변공기는 밸브(41)을 통해 도관(40)으로 들어가고 도관(46)으로 들어가는데 여기에서 공기는 펠티에 장치(26")의 냉측을 통과한다. 밸브(41)를 스위칭함으로서 펠티에 장치(26')는 공기의 흐름경로에서 제거된다. 이 펠티에 장치(26')는 간단한 극성전환으로 스위치 되어서 이제 냉측은 온측이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 펠티에 장치(26')의 냉측 위의 공기로부터 습기제거의 결과로 형성된 얼음은 제거된다. 제빙과정이 완료되었을 때, 밸브(41,44)는 다시 스위치되어 이제 펠티에 장치(26")는 제빙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펠티에 장치(26',26")는 각각 교대로 제빙된다.
펠티에 장치(26')의 제빙과정 중에, 밸브(44)는 스위치되며 그렇게 하여 펠티에 장치(26)의 온측을 통과한 후 회귀도관(43)을 통해 공급된 제습된 건조공기는 공급도관(30)에 도달하는데 여기서 건조공기는 펠티에 장치(26")의 온측과 가열장치(13)에 의하여 저장용기의 벌크물질을 건조하는데 필요한 온도까지 가열된다.
이러한 두 단계 펠티에 건조는 제9도 와 제10도 와 관련해서 설명된 것처럼 개방과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아울러 폐쇄과정으로도 수행될 수 있다. 제11도와 제12도에 따른 실시예 에서는, 빙점 이하 이슬점을 구비한 폐쇄시스템이 기술되어 있다. 이 장치는 펠티에 장치가 구비된 두 개의 제습부(10,10')를 가지고 있다.
저장용기(15)에 내장된 벌크물질(16)에는 가열된 제습공기가 위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저장용기(15)의 카버(15)에 있는 배출구(18)와 공기필터(19)를 통해서 공기는 연결도관(21)으로 통과한다.
저장용기(15)의 카버(17)위에는, 충진장치(22)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를 통해서 저장용기(15)는 벌크물질(16)으로 채워지게 된다. 충진장치(22)은 종래기술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이다.
밸브(23)은 연결도관(21)이 공급도관(47)과 유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스위칭 한다. 이를 통해서 회귀공기는 저장용기(15)로 부터 제습부(10)의 열교환기(3a)로 공급된다. 이 제습부에서, 펠티에 장치는 동작하지 않는다. 그러나, 제11도 및 제12도 사이의 선택과정에 관여하기 때문에 얼음은 제12도의 이전과정 후에 이 방에서 형성된다.
회귀공기는 열교환기를 위에서 아래로 통과하면서 흐르는데, 여기에서 습기는 얼음에 응축되고 그리고 동시에 형성된 얼음은 열 회귀공기 및 응축열 때문에 녹게 된다. 열교환기(3a)에서 형성된 응축물은 사이펀을 구비한 배출파이프(4)를 통해서 배출된다.
열교환기(3a)로 부터 배출된 후에, 이 사전 제습된 회귀공기는 흐름방(8)을 통해서 다른 제습부(10')의 흐름방(8)으로 통해 있는 연결도관(48)으로 흐른다. 이 제습된 회귀공기는 이 추가의 제습부(10)의 열교환기를 통해 위로 흐르며 밸브(23)을 통해 도관(49)으로 가이드 되고 여기에서 회귀공기는 제습부(10')의 열교환기(3a)로 공급된다. 이 두 번째 냉열교환기(3a)에서 회귀공기의 습기는 펠티에 장치에 의해 열교환기에서의 얼음 형성에 의해 제거되며 그렇게 하여 매우 낮은 이슬점에 다다를 수 있다.
제습된 회귀공기는 그러므로 건조공기로 변환되고 열교환기(2a)를 통해 아래에서 위로 통과하며 가열되고 그런 다음 회귀도관(50)에 도달하는데 여기서 제습되고 사전 가열된 건조공기는 밸브(23)를 통해서 공급도관(30)에 제공된다. 거기에는 송풍기(12)가 구비되어 있다. 건조공기는 공급도관(30)내의 가열장치(13)에 의해서 저장용기(15)에 들어가기 전에 벌크물질(16)을 건조하기 위해 필요한 온도로 가열된다. 저장용기(15)안에서, 건조공기는 아래방향쪽 공급도관(30)의 배출단부(14)로 부터 배출되어 벌크물질(16)을 아래에서 위로 통과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따라 건조공기는 순환안내된다.
충진장치(22)로, 벌크물질(16)은 여러 묶음으로 저장용기(16)에 들어간다. 용기배출구(20)에 의하여 ,벌크물질은 또한 건조작업후에 여러 묶음으로 제거된다. 이 충진장치(22)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것과 마찬가지로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두 개의 제습부(10,10')는 연속으로 연결 함으로서, 증가된 제습 실행력 그리고 그렇게 함으로서 제습과정의 상당한 진보가 달성된다. 원칙적으로, 회귀공기와 응축열로 얼음을 녹임으로서, 얼음방의 재발생이 특별히 에너지 절약방식으로 달성된다.
밸브(23)을 통해서 회귀공기는 공급되고 공급도관(47)을 통해서 열교환기(3a)로 들어간다. 열교환기(3a)의 냉측에 형성된 얼음은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단계 동안에 제빙된다. 저장용기(15)로 부터의 습한 회귀공기는 벌크물질(16)을 건조하는 건조과정에서 남은 상당한 양의 열을 보지하고 있다. 습한 응축물과 함께 열회귀 공기 그리고 방출된 응출열은 결과로 얼음이 녹게 하며 그래서 응축물이 시스템으로부터 배출파이프(4)를 통해 제거되게 한다. 이 응축으로부터 습한 회귀공기는 건조되고 냉각된다. 이러한 과정은 열교환기(3a)에 형성된 얼음이 완전이 제거될 때 까지 그리고 제습부(10')의 열교환기(3a)에 제거할 만한 충분한 얼음이 모일 때 까지 실행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밸브(23)에 의해 저장용기(15)로 부터 나온 회귀공기의 흐름방향은 바뀌어진다(제12도에 도시됨). 회귀공기는 이제 연결도관(21)에서 공급도관(51)로 흐르게 되는데 이를 통해서 회귀공기는 제습부(10')의 열교환기(3a)로 공급된다. 회귀공기(15)는 열교환기(3a)를 통해 위에서 부터 아래로 흐르게 된다.
그렇게 하는데 있어서, 습한 회귀공기는 제습되며 이전과정의 얼음은 녹게 된다. 그 결과의 응축물은 아래쪽 방향의 배출 파이프(4)로 흐를 수 있다. 열교환기(3a)를 통과한 후에 제습된 회귀공기는 흐름방(8)을 통해서 연결도관(48)으로 흐르게 된다. 제11도의 밸브(23)의 스위칭 위치(20)와는 반대로 제습된 회귀공기는 반대방향의 연결도관(48)로 흐르고 제습부(10)의 흐름방을 통해서 펠티에 장치가 작동중인 그 열교환기(3a)에 도착하게 된다.
이 열교환기(3a)를 밑에서 부터 위로 통과할 때, 회귀공기는 더욱 제습되고 얼음이 형성된다. 공급도관(47)과 밸브(23)를 통해서, 제습에 의해 건조공기로 바뀐 회귀공기는 도관(49)로 흐르게 되고 거기에서 제습부의 열교환기(2a)를 통과하게된다.
열교환기(2a)에서 건조공기는 가열된다. 그것은 열교환기(2a)를 밑에서 위로 통과하며 연결도관(52)에 도착하는데 여기서 사전 가열된 건조공기는 스위치된 밸브(23a)를 통해 공급도관(30)으로 흘러 들어 간다. 저장용기(15)에 들어가기 전에, 사전 가열된 건조공기는 가열장치(13)에 의해 가열되어 벌크물질(16)을 건조시키는 데 필요한 온도까지 가열된다. 그것은 저장용기(15) 안의 배출단부(14)로 부터 빠져 나가 벌크물질(16)을 통해 위 방향으로 흐른다. 그렇게 하는 동안 그것은 벌크물질(16)로 부터 습기를 흡수하게 된다.
습한 회귀공기는 그런 다음 배출구(18)과 공기필터(19)를 통해 안내되어 새로운 건조 순환에 회귀공기를 쓰도록 하기 위해 연결도관(21)로 돌아가게 된다.
두 개의 밸브(23,23a)는 항상 제11도에 따른 스위칭 위치와 제12도에 따른 스위칭 위치 사이에서 스위치 된다. 회귀 기체가 제습부(10,10')의 열교환기(3a)를 통과한 후에 건조공기인 제습된 회귀공기는 소모열과 냉각과정의 열 손실을 흡수하기 위해 열교환기(2a)의 온측을 통과한다.
제11도에 따른 밸브위치에서, 건조공기는 제습부(10)의 열교환기(2a)를 통하는 것은 안내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제빙과정이 여기서 수동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인데 이러한 이유로 도관부분은 밸브(23a)에서 차단된다. 제습부(10')의 온측(열교환기2a)을 지나 공급된 회귀공기는 해당 스위치밸브(23a)를 통해서 공급도관(30)을 통과하게 된다.
전술한 제빙작용이 두개의 제습부(10,10') 또는 그들의 열교환기(3a)에서 수행될 때, 밸브(23,23a)는 동시에 스위칭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송풍기는 밸브(23a)의 하류에 흐름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송풍기(12)는 흐름방향에서 연결도관(21)내 밸브(23)의 상류 흐름방향에도 위치될 수 있다. 송풍기(12)는 전술한 대로 벌크물질(16)을 제습하기 위해서 가열장치(12)을 통해서 재차 건조공기를 저장용기(15)로 밀어 넣는다.
상기 전술한 과정은 끊임없이 반복된다. 밸브(23,23a)의 스위칭 주파수는 벌크물질(16)이 간직한 습기량에 의존한다. 기술한 장치는 빙점 아래 이슬점을 가진 폐쇄시스템이다.
제11도와 제21도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열교환기(3a)를 통해 습한 회귀공기를 수동으로 통과시키는 방법으로 녹는 작용이 수동으로 이루어 지는데 비해, 제13도 및 제14도에 따른 실시예 에서의 녹는 과정은 제습부의 펠티에 장치가 극성이 바뀌어 펠티어 장치의 냉측이 온측으로 되면서 활발하게 수행된다.
그렇게 할 때, 앞서 온측은 펠티어 장치의 냉측이 된다. 제13도 및 제14도에 따른 장치는 기본적으로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사양이다. 저장용기(15)로부터 배출구(18)과 공기필터(19)를 통해 배출된 회귀공기는 연결도관(21)과 밸브(23)를 통해 제습부(10)의 열교환기(2a)로 흐르게 된다.
이전 실시예와 달리 제습부(10)의 펠티에 장치는 극성이 달라져서 현재의 냉측은 펠티에 장치의 온측이 된다. 따라서, 이전 냉측의 얼음은 뜨거운 회귀공기에 의해서 그리고 응축물과 응축열의 방출에 의하여 녹게 된다. 회귀공기는 위에서 아래로 열교환기(2a)를 통과하여 흐르고 흐름방(8)을 통하여 열교환기(3a)에 도달한다. 여기서 회귀공기는 상 방향으로 흐르고 연결도관(52)과 밸브(23a)를 통해서 도관(49)에 도달한다. 열교환기(3a)에서 발생된 응축물은 연결방(8)을 통해서 배출파이프(4)로 흘러 들어 가게 되고 여기를 통해 응축물은 과정에서 제거된다.
열교환기(3a)를 통한 회귀공기는 냉각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공기온도는 더욱 감소한다. 이는 응축물이 떨어지고 연결방(8)을 통해 배출파이프(4)에 도달하게 된다는 뜻이 된다. 냉각온도는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열교환기(3a)에서는 얼음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회귀공기는 도관(49)로 흘러 들고 밸브(23)과 공급도관(51)을 통해서 제습부(10')의 열교환기(3a)로 흐른다. 열교환기(3a)를 통과할 때, 회귀공기의 습기는 제거되고 펠티에 장치의 냉측에 얼음으로서 침전된다. 회귀공기는 열교환기(3a)를 통해서 위에서 아래로 흐르며 제습에 의해 건조공기로 바뀌어져서 흐름방을 통해 열교환기(2a)에 도달하는데 건조공기에 의해서 아래로부터 위로 흐르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전 가열된 건조공기는 회귀도관(50)과 밸브(23a)를 통해서 공급도관(30)으로 흐르게 된다.
가열장치(13)에 의하여, 건조공기는 저장용기(15)에 들어가기 전에 원하는 온도로 가열된다. 가열된 건조공기는 저장용기(15)에 구비된 배출단부(14)로 부터 배출되어 벌크물질(16)을 통해 위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그것은 벌크물질(16)로 부터 습기를 빼앗아서 습한 회귀공기가 연결도관(21)로 돌아갈 때 배출구(18)로 흐르게 된다.
제14도에 따른 위치에서, 두개의 밸브(23,23a)는 스위치 된다. 이렇게 하여 습한 회귀공기가 배출구(18)로 부터 배출되어 연결도관(21)과 밸브(23)을 통해 공급도관(51)로 들어가게 된다. 습한 회귀공기는 배출도관(51)을 통해서 제습부(10')의 열교환기(2a)로 흘러 들어 간다.
양 제습부(10,10')의 펠티에 장치는 극성이 변화되고 그래서 처음의 냉측은 온측이 된다. 따라서 습한 뜨거운 회귀공기 때문에 이전 냉측에 생겼던 얼음은 녹는다. 그 결과의 응축물은 배출파이프(4)로 흐를 수 있다. 흐름방(8)을 통해 부분적으로 제습된 회귀공기는 아래에서 위로 제습부(10')의 열교환기(3a)를 통과하는데 여기서 회귀공기는 더욱 냉각되고 더욱 응축물은 침전된다.
회귀도관(50)과 밸브(23a)를 통하여, 회귀공기는 도관(49)으로 들어가게 되고 여기서 그것은 밸브(23)과 공급도관(47)을 통하여 제습부(10)의 열교환기(3a)로 흐르게 된다. 열교환기(3a)는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데 여기서 남아 있는 습기는 열교환기(3a)위에서의 얼음형성에 의해 회귀 공기로부터 분리된다. 제습된 회귀공기는 제습에 의해 건조공기로 바뀌게 되고 그런 다음 제습부(10)의 열교환기(2a)를 통해 사전 가열을 위해 위로 흐르며 연결도관(52)와 밸브(23a)를 통해 송풍기(12)가 있는 공급도관(30)으로 들어 간다.
저장용기(15)에 들어가기 전에 가열장치(13)에 의해 건조공기는 벌크물질을 건조하는 데 필요한 온도로 가열된다. 가열된 건조공기는 배출단부(14)를 통해서 저장용기로 들어가고 위 방향으로 벌크물질(15)을 통과한다. 배출구(18)을 통해서 습한 회귀공기는 연결도관(21)으로 회귀한다.
밸브(23,23a)는 얼리고 제빙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스위칭된다. 제15도와 제16도에 따른 장치는 빙점 아래 이슬점으로 건조공기의 건조과정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펠티에 장치의 냉측에 형성된 얼음이 펠티에 장치가 극성이 바뀌면서 활발하게 녹게 되고 동시에 회귀공기의 소모열이 열교환기(25)에 의해서 이용되도록 한다. 역시 재발생 및 건조는 별개의 순환회로로 수행된다.
이 실시예에서 분리된 공기 순환은 제습부(10,10')에 형성된 얼음을 녹이기 위해 구성된 것이다.
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습기를 간직한 회귀공기는 저장용기(15)로부터 벌크물질(16)을 통과한후 배출구(18)과 공기필터(19)를 통해 연결도관(21)으로 지나 열교환기(25)에로 공급된다.
공기필터(24)를 통해 주변공기는 열교환기(25)로 공급된다.
습기를 간직한 공기는 열교환기(25)를 지나면서 냉각된다. 동시에 주변공기는 공기필터(24)를 통해서 흡입되고 펠티에 장치의 냉측에 형성된 얼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열교환기(25)에서 사전가열된다.
열교환기(25)를 통해 통과한 후에 공기는 밸브(23)가 자리하고 있는 도관(53)으로 통과한다. 그것은 회귀공기가 제습부(10')의 열교환기(3a)에 들어 가도록 스위치된다. 열교환기(3a)를 위에서부터 아래로 통과한 회귀공기는 그렇게 하면서 냉각되고 습기의 얼음형성 또는 응축에 의해 건조된다. 형성된 응축물은 배출파이프(4) 방향 밑으로 흐르게 되며 형성된 얼음은 열교환기에 쌓이게 된다.
흐름방(8)을 통해서, 대부분 제습된 회귀공기는 제습부(10')의 열교환기(2a)로 흘러 들어 가고 그런 다음 제습에 의해 건조한 공기로 바뀌게 된다. 건조공기는 밑에서 위로 열교환기(2a)를 통과하게 되고 회귀도관(50)으로 들어가고 다시 밸브(23a)를 통해 공급도관(30)과 유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송풍기를 통과한다.
저장용기(15)로 들어가기 전에, 제습된 그리고 사전 가열된 건조공기는 가열장치(13)의 수단을 통해 벌크물질을 건조하는데 필요한 온도로 가열된다. 배출단부(14)를 통해서 가열된 건조공기는 저장용기(15)로 들어가고 위 방향으로 벌크물질을 통과하게 된다. 배출구(18)과 공기필터(19)를 통해서 습기를 머금은 건조공기는 회귀공기로서 연결도관(21)로 들어 가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회로내 회귀공기는 장치를 통과하게 되는 데 이렇게 하여 제습되고 사전 가열되고 또 벌크물질(16)을 건조하는데 필요한 온도로 가열된다. 공기필터(24)를 통해서 열교환기(25)로 흡입된 공기는 열교환기를 통과한 후에 밸브(23)을 통해서 제습부(10)까지 연장되어 있는 공급도관(47)과 유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도관(54)으로 흐르게된다. 열교환기(25)에서 가열된 주변공기는 제습부(10)의 열교환기(2a)의 아래에서 부터 위로 흐르게 된다.
제습부(10)의 펠티에 장치는 극성이 변함으로서 냉측이 온측으로 된다. 앞서 냉측에 형성되었던 얼음은 펠티에 장치의 새로운 온측과 열교환기(2a)를 통과한 사전가열된 주변경기에 의해 녹는다. 열교환기(2a)를 통과한 후에 주변공기는 흐름방(8)을 통해서 열교환기(3a)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를 통과할 때는 위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냉각된 주변공기는 연결도관(52)를 통해서 그리고 밸브(23a)를 통해서 바깥으로 빠져나간다. 연결도관(52)에는 송풍기(12)가 위치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서 주변공기가 흡입된다.
공급도관(50)안에 위치한 송풍기(12)는 제습된 그리고 사전 가열된 건조공기를 구동시킨다. 건조순환회로를 위한 송풍기는 도관(21)에 그리고 재발생과 제빙을 위해 도관(54)에 그리고 이중 순환회로동작을 가능케 하는 다른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제습부(10)에서의 제빙은 전술한 방식대로 건조과정과 관계된 별개의 공기흐름으로 수행된다. 각각의 제습장치(10,10')의 재발생은 벌크물질(16)의 건조와 병행된다.
시간이 흐르면 제습부(10')의 펠티에장치 냉측에는 얼음이 형성된다. 거기에 형성된 얼음의 증가하는 두께에 따라 제습부의 제습능력은 감소하게 된다. 재생을 수행하는 것의 한가지 가능성은 확실한 시간 간격이 지난 후에 그 과정을 스위칭 제빙을 실시하는 것이다. 또한 공급도관(30)에서 센서(31)로 이슬점을 재고 그런 다음 제15도에서 제16도의 과정회로를 스위칭하거나 또는 최소한의 이슬점이 더 이상 유지될 수 없는 경우 거꾸로 스위칭하는 것이다.
얼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밸브(23,23a)는 흡입된 공기와 마찬가지로 회귀공기가 다른 흐름경로를 갖도록(제16도) 스위칭하도록 되어 있다. 벌크물질(16)을 통과한 후에 저장용기(15)로부터 배출구(18)로 빠져 나온 습한 회귀공기는 공기필터(19)를 통해 연결도관(21)을 통과하는데 연결도관으로 습한 공기는 열교환기(25)로 공급된다.
밸브(23)의 스위칭 작용의 결과로, 열교환기(25)에 의해 냉각된 습한 회귀공기는 공급도관(47)을 경유하여 제습부(10)의 열교환기(3a)를 통과한다. 이 회귀공기는 열교환기(3a)를 위에서 아래로 흐르고 그렇게 냉각되고 그 습기는 대부분 응축과 얼음형성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대부분 분리된다. 흐름방(8)을 통해서 회귀공기는 제습부(10)의 열교환기(2a)에 도달한다.
열교환기(2a)는 아래에서 위로 흐르며 이렇게 하여 회귀공기는 가열된다. 건조된 회귀공기는 그런다음 가열된 건조공기로 바뀌게 된다. 연결도관(52) 및 송풍기(12)와 스위치된 밸브(23a)를 통과한 건조공기는 공급도관(30)으로 들어간다. 가열장치(13)에 의하여 건조공기는 벌크물질(16)을 건조하는데 필요한 온도로 가열된다.
건조공기는 배출단부(14)를 통해서 저장용기(15)로 배출되며 벌크물질(16)을 통과하여 위로 흐른다. 벌크물질(16)을 통과한 후의 습한 회귀공기는 재차 배출구(18)과 공기필터(19) 와 연결도관(21)을 통해서 열교환기(25)로 공급된다.
공기필터(24)를 통해서 흡입된 주변공기는 열교환기(25)를 통해서 흐르며 그렇게 하여 가열된다. 도관(54)과 스위치된 밸브(23)를 경유한 가열된 주변공기는 제습부(10')의 열교환기(2a)로 흘러 들어간다. 이러한 구조에서 , 가열된 주변공기에 의해서 그리고 제습부(10')의 펠티에 장치의 극성전환에 의해서 앞서의 과정순환에서 형성된 얼음은 녹게 된다 .
형성된 응축물은 배출파이프(4)로 흘러들어가고 이를 통해 응축물은 시스템에서 제거된다. 주변공기는 흐름방(8)을 통하여 제습부(10')의 열교환기(3a)로 흐르게 된다. 제습부(10')의 펠티에 장치는 극성이 변해서 제빙작용을 촉진하게 된다. 주변공기는 회귀도관(50), 송풍기(12) 그리고 스위칭밸브(23a)를 통해 바깥으로 배출된다.
밸브(23,23a)를 스위칭 함으로서, 두 개의 제습부(10,10')는 주변공기로 병행 또는 동시적인 벌크물질(16)의 건조가 수행되는 동안 교대로 제빙된다.
제13도 내지 제16도의 실시예에서, 벌크물질을 구비한 저장용기로의 보따리 넓이 충진이 가능한 충진장치(22) 가 제11도 및 제12도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5)의 카바(17)에 제공되어 있다.
충진장치(22)는 모든 저장용기에게 유용한 실시예이며 제4,5,6 도 및 제7도에서도 가능하다. 충진은 그러한 충진장치(22)가 없이 다른 방법으로도 가능하다.
제11도에서 제14도에 이르는 실시예에서, 재생을 위해 또는 제빙을 위한 과정순환의 스위칭은 역시 제15도 및 제16도의 실시예에 따라 시간간격 또는 공급도관(30)에서 건조공기의 이슬점이 이슬점센서(31)의 수단에 의해 측정되어 스위칭이 특정한 제습실행 밑으로 떨어질 경우 수행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벌크물질(16) 저장용기(15) 제습부(10,10')
열교환기(2a,3a) 공급도관(30) 송풍기(12)
충진장치(22) 공기필터(19) 배출구(6)
펠티에 장치(26,26',26")

Claims (10)

  1. 바람직하게는 공기인 기체의 건조매체를 위한 한 개 이상의 공급도관이 통하여 있고, 벌크물질을 통과한 후에 습기를 간직한 회귀공기 형태의 건조매체가 통과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배출도관이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건조매체가 제습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습부를 구비하고 있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저장용기를 구비하고 있는 벌크물질 건조장치에 있어서, 제습부(10,10')는 냉측과 온측이 상기 건조매체의 흐름경로 내에 위치하고 있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펠티에 장치(26,26',26")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물질을 건조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
    상기 펠티에 장치(26,26',26")의 냉측과 온측이 각각 열교환기(2a,3a)의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물질을 건조하기 위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
    공급도관(30)은 제습부(10,10')와 유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물질을 건조하기 위한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
    제습부(10,10')는 저장용기(15)의 배출도관(21)과 유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물질을 건조하기 위한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에 있어,
    주변공기를 위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흡입도관(5)이 상기 제습부(10,1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물질을 건조하기 위한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에 있어,
    상기 제습부(10,10')는 장치에 사전 단계(prestage) 로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물질을 건조하기 위한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에 있어,
    상기 제습부(10,10')는 상기 건조매체의 순환회로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벌크물질을 건조하기 위한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에 있어,
    상기 장치는 최소한 두 개의 제습부(10,10')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중 하나의 제습부는 제빙과정을 담당하고 다른 하나의 제습부는 상기 건조매체를 제습하기 위해 병행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벌크물질을 건조하기 위한 장치
  9. 제8항에 있어,
    상기 건조매체의 흐름경로는 밸브(23,23a)의 수단에 의해서 스위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벌크물질을 건조하기 위한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에 있어,
    상기 제습부(10,10')는 서로 인접하도록 그리고/또는 하나하나 연속으로 배치된 펠티에 장치(26)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벌크물질을 건조하기 위한 장치
KR1020110046041A 2010-05-20 2011-05-17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저장용기에서 벌크물질을 건조하는 장치 KR201101281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21742A DE102010021742A1 (de) 2010-05-20 2010-05-20 Vorrichtung zum Trocknen von Schüttgut in wenigstens einem Vorratsbehälter
DE102010021742.5 2010-05-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138A true KR20110128138A (ko) 2011-11-28

Family

ID=44484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6041A KR20110128138A (ko) 2010-05-20 2011-05-17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저장용기에서 벌크물질을 건조하는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10283554A1 (ko)
EP (1) EP2388543A3 (ko)
JP (1) JP2011242126A (ko)
KR (1) KR20110128138A (ko)
CN (1) CN102252511A (ko)
BR (1) BRPI1102124A2 (ko)
DE (1) DE102010021742A1 (ko)
TW (1) TW20120734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39366B2 (en) * 2014-04-30 2020-01-21 Stephen B. Maguire Method and apparatus for vacuum drying granular resin material
KR101343736B1 (ko) * 2011-11-22 2013-12-19 갑을오토텍(주) 차량용 냉난방기의 응축수 제거장치
JP6399409B2 (ja) * 2013-10-24 2018-10-0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薬液収納容器およびそのドライエア置換方法
DE102014102833B3 (de) * 2014-03-04 2015-05-21 Solramic Ag Trocknungsvorrichtung
CN204787390U (zh) * 2014-09-09 2015-11-18 青岛海尔特种电冰柜有限公司 喷淋式制冷制热设备
CN105402930B (zh) * 2015-10-29 2018-06-22 东莞市绿康能电器科技有限公司 储冷式冷凝水装置
CN106482390B (zh) * 2016-09-18 2019-10-11 华南理工大学广州学院 智能空气调节装置及控制方法
JP2019049380A (ja) * 2017-09-08 2019-03-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シート乾燥装置
US11364657B2 (en) 2018-04-04 2022-06-21 Novatec, Inc. Reducing moisture in granular resin material using inert gas
US20190308344A1 (en) 2018-04-04 2019-10-10 Novatec,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olymer drying using inert gas
WO2019244131A2 (en) 2018-06-21 2019-12-26 Cfa Properties, Inc. Modular humidity control and heat preservation system
US11918153B2 (en) 2018-06-21 2024-03-05 Cfa Properties, Inc. Food transportation and humidity control elements
CN110800861A (zh) * 2019-11-21 2020-02-18 台州黄岩博友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增骨蛋白粉的制备装置
ES2856092B2 (es) * 2020-03-26 2022-06-29 Herrero Desiderio Rubio Método y sistema de desescarche para frigorificos de secaderos
US11428467B2 (en) * 2020-04-08 2022-08-30 Next-Gen Graphene Polymers Co., Ltd Facility for forming wood plastic composite with microwave and degassing device
CN112325395B (zh) * 2020-10-23 2021-08-10 重庆阿泰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制造低露点空气的风道结构
US20220324002A1 (en) * 2021-04-09 2022-10-13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Multi waste processor
EP4134153A1 (de) * 2021-08-12 2023-02-15 FRONIUS INTERNATIONAL GmbH Verfahren zur trocknung eines wasserstoff-wasserdampf-gemisches und wasserstofftrocknungs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9810U (de) * 1967-12-22 1968-02-29 Siemens Ag Geraet zur trocknung von luft mit einem peltier-kuehlblock.
JPS63162020A (ja) * 1986-12-26 1988-07-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除湿機
DE3716733A1 (de) * 1987-05-19 1988-12-01 Meteor Siegen Apparat Schmeck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trocknen eines gutes mit einem trocknungsgas
US5119640A (en) * 1990-10-22 1992-06-09 Conrad Richard H Freeze-thaw air dryer
US5485686A (en) * 1994-05-25 1996-01-23 Dri-Air Industries, Inc. Hi-performance desiccant tower
AT413080B (de) * 2004-04-29 2005-11-15 Arbeiter Peter Trocknungsvorrichtung
DE102006052122B4 (de) * 2006-11-06 2009-07-30 Rittal Gmbh & Co. Kg Klimatisierungs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88543A3 (de) 2012-07-25
TW201207340A (en) 2012-02-16
JP2011242126A (ja) 2011-12-01
BRPI1102124A2 (pt) 2013-05-14
EP2388543A2 (de) 2011-11-23
CN102252511A (zh) 2011-11-23
US20110283554A1 (en) 2011-11-24
DE102010021742A1 (de) 2011-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28138A (ko)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저장용기에서 벌크물질을 건조하는 장치
US5664426A (en) Regenerative gas dehydrator
US6094835A (en) Heat pump dryer with desciccant enhanced moisture removal
EP1550829A1 (en) Drying apparatus
CN105986446B (zh) 烘干系统及其使用方法
CN105671850A (zh) 具有热泵循环的衣物处理装置
JP2005315570A (ja) 乾燥装置
KR20090045372A (ko) 유체의 수분 함유량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2395840A (zh) 冷冻冷藏库和冷却库
KR100751060B1 (ko) 히트펌프를 이용한 건조장치
CN106714937A (zh) 用于被压缩空气的冷却干燥器和对应的方法
CN101199914A (zh) 复合式高压空气冷冻除湿系统
WO2011080244A2 (en) A heat pump system for a tumble dryer
JP2014519003A (ja) 凝縮除湿機
NO334581B1 (no) Innretning og fremgangsmåte for samtidig avkjøling og fjerning av væske fra en gass fra en kompressor.
KR101116036B1 (ko) 액체식 제습장치
JP2530859B2 (ja) 都市ガス等の脱水方法
JP5196722B2 (ja) 圧縮空気の除湿装置
KR101691593B1 (ko) 워터트랩 및 이를 포함하는 수분제거시스템
JP3838595B2 (ja) 水冷凝縮装置およびエアードライヤー
JPH11132582A (ja) 空気冷媒式冷凍装置
JP3932385B2 (ja) 被回収機器の冷媒回収充填用オイルセパレーター
KR200453902Y1 (ko) 냉. 온풍 교차건조기
KR102101185B1 (ko) 축냉 고온 제습장치
US20240053054A1 (en) Air conditioner having water nozzle cleaning system and water nozzle cleaning method used there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