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7659A - 탐폰, 탐폰의 제조 방법 및 탐폰의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탐폰, 탐폰의 제조 방법 및 탐폰의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7659A
KR20110127659A KR1020117019271A KR20117019271A KR20110127659A KR 20110127659 A KR20110127659 A KR 20110127659A KR 1020117019271 A KR1020117019271 A KR 1020117019271A KR 20117019271 A KR20117019271 A KR 20117019271A KR 20110127659 A KR20110127659 A KR 20110127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mpon
coating
water
agent
soluble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9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츠히로 와다
사토시 노자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27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76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61F13/2082Apparatu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 A61F13/2085Catamenial tampons
    • A61F13/2088Catamenial tampons shaping the tampon by compres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61F13/2071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structure of the outer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61F13/2074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impregnated with hydrophobic, hydrophilic, skin enhancers, medicinal et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61F13/2077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having a visual effect, e.g. printed or embos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61F13/2082Apparatu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61F13/2082Apparatu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 A61F13/2085Catamenial tamp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rmat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체를 갖는 탐폰이다. 흡수체는 그 외표면에 제제가 도공된 도공부를 구비하고, 도공부는 2개 이상의 도공층을 갖는다. 2개 이상의 도공층은, 약효 성분과 약효 성분을 담지하는 제1 수용성 담지체를 구비하는 제1 제제가 도공된 제1 도공층과, 약효 성분과 상기 약효 성분을 담지하며 제1 수용성 담지체의 융점보다 작은 융점을 갖는 제2 수용성 담지체를 구비하는 제2 제제가 제1 도공층 상에 중첩되어 도공된 제2 도공층을 갖는다.

Description

탐폰, 탐폰의 제조 방법 및 탐폰의 제조 장치{TAMPON, METHOD FOR PRODUCING TAMPON,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AMPON}
본 발명은 탐폰, 탐폰의 제조 방법 및 탐폰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경혈 등의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체를 갖는 탐폰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러한 탐폰 중에는 흡수체의 외표면에 제제가 도공되어 있는 것이 있다.
[특허문헌]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표 2005-536237호 공보
그런데, 제제가 도공되어 있는 전술한 탐폰을 질강 내에 삽입했을 때 제제의 효과가 적절하게 발휘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제제의 효과가 적절하게 발휘되는 탐폰이 요청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질강 내에 삽입되었을 때 제제의 효과가 적절하게 발휘되는 탐폰을 구현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된 발명은,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체를 갖는 탐폰으로서,
상기 흡수체는 그 외표면에 제제가 도공된 도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공부는 2개 이상의 도공층을 가지며,
상기 2개 이상의 도공층은,
약효 성분과 상기 약효 성분을 담지하는 제1 수용성 담지체를 구비하는 제1 제제가 도공된 제1 도공층과,
약효 성분과 상기 약효 성분을 담지하며 상기 제1 수용성 담지체의 융점보다 작은 융점을 갖는 제2 수용성 담지체를 구비하는 제2 제제가 상기 제1 도공층 상에 중첩되어 도공된 제2 도공층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폰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밝히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질강 내에 삽입되었을 때 제제의 효과가 적절하게 발휘되는 탐폰이 구현된다.
도 1은 탐폰(10)의 구성 요소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탐폰(10)의 구성 요소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a는 탐폰 본체(20)의 외관도이고, 도 3b는 도공부(23)에서의 도공층의 모습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는 외통(40)의 외관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외통(40)을 선단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1 또는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탐폰 본체(20)의 제조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탐폰 본체(20)가 제조될 때까지의 변천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탐폰(10) 제조 장치(100) 중 탐폰 본체(20)의 제조 부분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제조 장치(100)를 상방에서 보았을 때의 모식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무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무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명백해진다.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체를 갖는 탐폰으로서,
상기 흡수체는 그 외표면에 제제가 도공된 도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공부는 2개 이상의 도공층을 가지며,
상기 2개 이상의 도공층은,
약효 성분과 상기 약효 성분을 담지하는 제1 수용성 담지체를 구비하는 제1 제제가 도공된 제1 도공층과,
약효 성분과 상기 약효 성분을 담지하며 상기 제1 수용성 담지체의 융점보다 작은 융점을 갖는 제2 수용성 담지체를 구비하는 제2 제제가 상기 제1 도공층 상에 중첩되어 도공된 제2 도공층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폰.
이러한 경우에는, 질강 내에 삽입되었을 때 제제의 효과가 적절하게 발휘되는 탐폰이 구현되게 된다.
이러한 탐폰으로서,
상기 제2 도공층은,
상기 제2 제제가 상기 제1 도공층 상에 상기 제1 도공층으로부터 튀어나온 부분이 없도록 중첩되어 도공된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질강 내에 삽입되었을 때 제제의 효과가 훨씬 적절하게 발휘되는 탐폰이 구현되게 된다.
이러한 탐폰으로서,
상기 흡수체는 그 외표면에 제제가 도공된 상기 도공부와 도공되지 않은 비도공부를 구비하며,
상기 도공부 및 상기 비도공부에 의해 상기 외표면에 무늬가 그려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확실하게 탐폰을 매력적으로 보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탐폰으로서,
상기 제1 수용성 담지체는 체온을 넘는 융점을 가지며,
상기 제2 수용성 담지체는 체온 이하의 융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질강 내에 삽입되었을 때 제제의 효과가 적절하게 발휘되는 탐폰이 보다 확실하게 구현되게 된다.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체를 갖는 탐폰의 제조 방법으로서,
흡수체 재료를 압축 성형함으로써 상기 흡수체를 얻는 단계와,
약효 성분과 상기 약효 성분을 담지하는 제1 수용성 담지체를 구비하여 용융한 제1 제제를 상기 제1 수용성 담지체의 응고점 이하의 온도인 상기 흡수체의 외표면에 도공하는 단계와,
약효 성분과 상기 약효 성분을 담지하며 상기 제1 수용성 담지체의 융점보다 작은 융점을 갖는 제2 수용성 담지체를 구비하여 용융한 제2 제제를 상기 제2 수용성 담지체의 응고점 이하의 온도인 상기 제1 제제에 중첩하여 도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이러한 경우에는, 질강 내에 삽입되었을 때 제제(제1 제제 및 제2 제제)의 효과가 적절하게 발휘되는 탐폰의 제조 방법이 구현된다.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체를 갖는 탐폰의 제조 장치로서,
흡수체 재료를 압축 성형함으로써 상기 흡수체를 얻는 압축 성형 유닛과,
약효 성분과 상기 약효 성분을 담지하는 제1 수용성 담지체를 구비하여 용융한 제1 제제를 상기 제1 수용성 담지체의 응고점 이하의 온도인 상기 흡수체의 외표면에 도공하고,
약효 성분과 상기 약효 성분을 담지하며 상기 제1 수용성 담지체의 융점보다 작은 융점을 갖는 제2 수용성 담지체를 구비하여 용융한 제2 제제를 상기 제2 수용성 담지체의 응고점 이하의 온도인 상기 제1 제제에 중첩하여 도공하는 도공 유닛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장치.
이러한 경우에는, 질강 내에 삽입되었을 때 제제(제1 제제 및 제2 제제)의 효과가 적절하게 발휘되는 탐폰의 제조 장치가 구현된다.
=== 탐폰의 구성에 대해===
먼저, 탐폰(10)의 구성에 대해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탐폰(10)의 구성 요소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은 내통(50)을 수축시킨 상태의 탐폰(10)을, 도 2는 내통(50)을 신장시킨 상태의 탐폰(10)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3a는 탐폰 본체(20)의 외관도이다. 도 3b는 도공부(23)에서의 도공층의 모습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는 외통(40)의 외관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외통(40)을 선단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1 또는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부분 확대도이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서, 탐폰(10)의 길이 방향에서, 질강 내에 삽입되는 쪽을 선단이라고 하고, 반대쪽을 후단이라고 한다.
본 실시 형태의 탐폰(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체의 일례로서의 탐폰 본체(20)와, 수납통의 일례로서의 외통(40) 및 압출 부재의 일례로서의 내통(50)을 구비하는 어플리케이터(30)를 갖는다.
탐폰 본체(20)는 질강을 폐색하여 경혈 등의 액체를 흡수하는 것이다. 이 탐폰 본체(20)는 레이온 섬유로 이루어지는 흡수체 본체(면체)를 폴리에스테르 스펀 본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커버체로 덮은 것으로서, 대략 탄환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한, 탐폰 본체(20)의 외표면(21)에는 제제(M)가 도공되어 있다(제제(M)가 도공된 도공부(23)가 구비되어 있다). 이 제제(M)는 연갈색의 착색성 물질(색이 입혀진 물질)로서, 질강 내에 투여되어 항산화 작용, 항염증 작용, 항균 작용, 항바이러스 작용, 항알레르기 작용, 탈취 작용, 혈관 확장 작용, 지질 과산화 억제 작용 등을 발휘하는 약효 성분의 일례로서의 소나무 껍질 추출물(도요 신야쿠사(TOYO SHINYAKU Co., Ltd.) 제조 플라반제놀(FLAVANGENOL))과 상기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담지하는 수용성 담지체의 일례로서의 폴리에틸렌글리콜과의 혼합물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공부(23)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도공층(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도공층. 이하, 제1 도공층(24a) 및 제2 도공층(24b)이라고 함)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제2 도공층(24b)이 제1 도공층(24a) 상에 중첩되어 도공되어 있다(즉, 제2 도공층(24b)이 제1 도공층(24a)보다 외측에 위치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도공층(24b)은 후술하는 제2 제제(M2)가 제1 도공층(24a) 상에 상기 제1 도공층(24a)으로부터 튀어나온 부분이 없도록 중첩되어 도공된 층이다.
또한, 어느 도공층도 소나무 껍질 추출물과 폴리에틸렌글리콜과의 혼합물이 도공된 층으로 되어 있으나, 제1 도공층의 폴리에틸렌글리콜과 제2 도공층의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서로 융점(바꾸어 말하면, 응고점)이 다른 종류의 서로 다른 폴리에틸렌글리콜로 되어 있다. 즉, 제1 도공층(24a)에서 도공된 제제(M)(이하, 편의상 제1 제제(M1)라고 함)는, 소나무 껍질 추출물과 제1 수용성 담지체의 일례로서의 분자량이 1540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이하, 제1 폴리에틸렌글리콜이라고 함)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제2 도공층에서 도공된 제제(M)(이하, 편의상, 제2 제제(M2)라고 함)는, 소나무 껍질 추출물과 제2 수용성 담지체의 일례로서의 분자량이 1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이하, 제2 폴리에틸렌글리콜이라고 함)을 구비하고 있다. 제1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융점(응고점)은 약 45℃로서, 체온(37℃로 함)을 넘는 온도로 되어 있다. 그 한편으로, 제2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융점(응고점)은 약 37℃로서, 제1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융점보다 작은 온도이면서도 체온 이하의 온도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제1 제제(M1)에서의 소나무 껍질 추출물과 제1 폴리에틸렌글리콜과의 혼합비는 1:4이다(즉, 소나무 껍질 추출물이 20 중량%에 대해, 제1 폴리에틸렌글리콜이 80 중량%). 그리고, 제2 제제(M2)에서의 소나무 껍질 추출물과 제2 폴리에틸렌글리콜과의 혼합비도 1:4이다(즉, 소나무 껍질 추출물이 20 중량%에 대해, 제2 폴리에틸렌글리콜이 80 중량%). 즉, 제1 폴리에틸렌글리콜이 제1 제제(M1)에서의 주성분으로 되어 있고, 제2 폴리에틸렌글리콜이 제2 제제(M2)에서의 주성분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탐폰 본체(20)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표면(21)에 무늬를 가지고 있다. 즉, 탐폰 본체(20)는 외표면(21)에 제제(M)가 도공된 도공부(23)와 도공되지 않은 비도공부(25)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도공부(23) 및 비도공부(25)에 의해(즉, 도공부(23)와 비도공부(25)와의 색의 차이에 의해) 외표면(21)에 무늬가 그려져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늬는 도공부(23)와 비도공부(25)가 교대로 규칙적으로 배치됨으로써 그려진 무늬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무늬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폭 4 mm)이 탐폰 본체(20)의 길이 방향에서 나란한 모양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탐폰 본체(20)에는, 끈의 일례로서의 취출끈(22)이 (꿰매) 붙여져 있다. 이 취출끈(22)은 면으로 된 꼰실이다. 취출끈(22)은 탐폰 본체(20)의 후단측으로부터 뻗어 있으며, 질강 내에 있는 탐폰 본체(20)를 질강 밖으로 빼낼 때 탐폰의 사용자 등에 의해서 쥐어진다. 또한, 취출끈(22)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터(30) 내를 지나 상기 어플리케이터(30)(내통(50))의 후단으로부터 약간 인출되어 있다. 즉, 취출끈(22)에서는 그 일부가 어플리케이터(30)(내통(50))의 후단으로부터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탐폰 본체(20)에 제제(M)가 도공되어 있는(도공부(23)를 갖는) 한편, 외부에 노출된 상기 취출끈(22)의 노출 부분(22a)에는 제제(M)가 도공되어 있지 않다(도공부(23)를 갖지 않는다). 나아가서는, 취출끈(22)은 도공부(23)를 갖지 않는다(취출끈(22)의 어디에도 도공부(23)는 존재하지 않는다).
어플리케이터(30)는 탐폰 본체(20)를 질강 내에 용이하게 집어넣기 위한 보조구이다. 어플리케이터(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통(40)과 내통(50)을 구비하고 있다.
외통(40)은, 탐폰 본체(20)를 수납하기 위한 것이다. 이 외통(40)은 열가소성 수지(본 실시 형태에서는 폴리에틸렌 수지)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된 원통체로서, 적절한 가요성을 갖는다. 외통(40)은 외통에 수납된 탐폰 본체(20)(바꾸어 말하면, 탐폰 본체(20)에 그려진 상기 무늬)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투명도(예컨대, 헤이즈치로 90% 이하. 본 실시 형태에서는 47%)를 가지고 있다. 또한, 외통(40)은 착색되어 있을 수도 착색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으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통(40)의 전체면이 연분홍색으로 착색되어 있다.
또한, 외통(40)은, 선단측(바꾸어 말하면, 외통(40)의 길이 방향에서의 일단측)에 위치하는 대직경부(41)와, 상기 대직경부(41)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며, 상기 선단측과 반대측의 후단측(바꾸어 말하면, 외통(40)의 길이 방향에서의 타단측)에 위치하는 소직경부(42)를 구비하고 있다(또한, 외경에 대해서도 대직경부(41)가 소직경부(42)보다 크다). 즉, 외통(40)의 선단부의 외경(내경)은 후단부의 외경(내경)보다 크게 된다. 그리고, 이에 따라, 대직경부(41) 및 소직경부(42) 사이에는 환형의 단차(47)가 형성되어 있다.
대직경부(41)는, 외통(40) 중에서 주로 내부에 탐폰 본체(20)를 수납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탐폰(10)에서는, 대직경부(41) 및 소직경부(42) 중 대직경부(41)에만 탐폰 본체(20)가 수납되어 있다(따라서, 외통(40)의 길이 방향에서의 대직경부(41)의 길이는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탐폰 본체(20)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대직경부(41)는, 탐폰(10)의 사용시에 탐폰 본체(20)를 수납한 상태에서 질강 내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또한, 대직경부(41)(외통(40))는 선단에 개구(이하, 선단 개구(43)라고 함)를 구비하고 있으며, 나아가, 상기 선단 개구(43)를 에워싸는 복수 개(본 실시 형태에서는 6개)의 꽃잎형 부분(44)을 가지고 있다. 복수 개의 꽃잎형 부분(44) 각각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통(40)의 직경 방향에서 내측으로 활모양으로 굴곡되어 있다. 따라서, 외통(40)을 질강 내에 삽입하는 시점에서는, 상기 외통(40)의 선단부가 도 1이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반구형을 이루고 있고, 선단 개구(43)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폐쇄된 상태에 있다. 그리고, 탐폰 본체(20)가 후술하는 내통(50)에 의해 선단 개구(43)로부터 압출될 때, 상기 선단 개구(43)가 개방되게 된다.
소직경부(42)는, 외통(40) 중에서 주로 후술하는 내통(50)이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이다(단, 당연히 내통(50)은 소직경부(42) 내뿐만 아니라, 대직경부(41) 내에서도 이동한다). 또한, 상기 소직경부(42)는 탐폰(10)의 사용시에 사용자에 의해 쥐어지는 부분이다.
또한, 소직경부(42)(외통(4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단에 개구(이하, 후단 개구(45)라고 함)를 구비하고 있으며, 나아가, 상기 후단 개구(45)보다 다소 선단측에 형성된 환형 리브(rib; 4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외통(40)은, 도 1, 도 2,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외통(40)의) 내면(40a)에 외통(40)의 길이 방향을 따른 리브(이하, 길이 방향 리브(54)라고 함)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외통(40)은, 적어도 상기 외통(40)의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중앙(C)(도 1 참조)보다 선단측에 길이 방향 리브(5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통(40)이 대직경부(41) 및 소직경부(42) 중 대직경부(41)에만 길이 방향 리브(54)를 구비하고 있다.
길이 방향 리브(54)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면(40a)의 내주 방향에서 등간격으로 나란히 32개 배치되어 있다. 즉, 외통(40)(대직경부(41))은 내면(40a)의 내주 방향에서 등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된 3개 이상의 길이 방향 리브(5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길이 방향 리브(54)는 접해 있지 않다(인접해 있지 않다).
그리고, 각각의 길이 방향 리브(5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직경부(41)의 선단측에서부터 후단측까지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길이 방향 리브(54)는 대직경부(41)의 최후단(E2)까지 설치되어 있는 한편, 대직경부(41)의 최선단까지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즉, 상기 꽃잎형 부분(44)에는 길이 방향 리브(54)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며, 대직경부(41)의 꽃잎형 부분을 제외한 부분의 최선단(E1)까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길이 방향 리브(54)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직경부(41)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된 리브로서, 상기 리브의 폭은 직경 방향 중심에 근접할수록 좁아져 있다. 그리고, 대직경부(41)의 직경 방향에서의 길이 방향 리브(54)의 돌출 높이(h)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직경부(41)와 소직경부(42)의 내경차(대직경부(41)의 내반경(R)-소직경부의 내반경(r)=R-r)보다 작게 되어 있다(h<R-r). 바꾸어 말하면, 길이 방향 리브(54)를 고려했을 때의 대직경부(41)의 내경(R-h)(이하, 편의상 리브 고려 내경이라고 함)은 소직경부의 내경(r)보다 크게 되어 있다(r<R-h).
그리고, 탐폰 본체(20)는, 리브 고려 내경과 대략 동일한 외경을 가지고 있으며, 탐폰 본체(2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면(40a) 및 길이 방향 리브(54) 중 길이 방향 리브(54)에만 접촉한 상태에서 외통(40)의 대직경부(41)에 수납되어 있다. 즉, 탐폰 본체(20)의 외표면(21)은 내면(40a)과는 접촉하지 않고, 길이 방향 리브(54)의 직경 방향에서의 돌출 선단부와만 접촉해 있다.
내통(50)은 외통(40) 내에서 이동하여 탐폰 본체(20)를 선단 개구(43)로부터 외통(40) 밖으로 밀어내기 위한 것이다. 이 내통(50)은 외통(40) 내에 삽입되어 있으며, 외통(40) 내에서 탐폰 본체(20)보다 후단측에 위치해 있다. 그리고, 외통(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탐폰 본체(20)를 선단 개구(43)를 향해 후방으로부터 밀어나간다. 이에 따라, 탐폰 본체(20)가 복수 개의 꽃잎형 부분(44) 각각을 외통(40)의 직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밀어제치면서(바꾸어 말하면, 상기 선단 개구(43)를 개방하면서), 외통(40) 밖으로 밀려나온다. 이와 같이 내통(50)은 외통(40) 내를 이동하여 탐폰 본체(20)를 외통(40) 밖으로 밀어내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내통(50)은 탐폰(10)의 전체 길이를 보다 컴팩트하게 하기 위해 신축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통(50)이 수축했을 때, 상기 내통(50)의 길이는 외통(40)의 길이보다 짧아져 탐폰(10)을 휴대하기에 적합한 길이가 된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통(50)이 신장하면 상기 내통(50)의 길이는 탐폰 본체(20)를 외통(40) 밖으로 밀어내기에 충분한 길이가 된다. 이상과 같이 내통(50)을 신축 가능하게 하기 위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통(50)이 2단 구조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 형태의 내통(5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통(51)과, 상기 제1 내통(5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제2 내통(52)을 갖는다.
제1 내통(51)은 플라스틱에 의해 사출 성형된 원통체이다. 이 제1 내통(51)은 외통(40)의 소직경부(42)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외경을 갖는다. 또한, 제1 내통(51)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소직경부(4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제1 내통(51)의 선단부의 외주면 상에는 환형의 플랜지부(5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51a)는 외통(40)의 대직경부(41)의 상기 리브 고려 내경보다 약간 작은 외경을 가지며, 상기 단차(47)의 내벽면에 걸림으로써 내통(50)이 외통(40)의 후단 개구(45)로부터 빠지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그리고, 내통(50)이 탐폰 본체(20)를 외통(40) 밖으로 밀어낼 때, 상기 내통(50)은 상기 플랜지부(51a)의 외주면이 대직경부(41)의 길이 방향 리브(54)와 접하도록 이동한다. 나아가, 제1 내통(51)의 내주면의 후단부에는, 도 1이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내통(51)의 직경 방향에서 내측으로 돌출한 환형 돌기(51b)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내통(52)은,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사출 성형된 원통체이다. 이 제2 내통(52)은 제1 내통(51)의 내경보다 다소 작은 외경을 갖는다. 또한, 제2 내통(52)은 내통(50)이 수축한 상태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통(51) 내에 삽입되어 있고, 내통(50)이 신장한 상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내통(52)의 선단부에서 제1 내통(51)의 후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제2 내통(52)의 선단부의 외주면 상에는, 원호형의 플랜지부(52a)와, 상기 플랜지부(52a)보다 후단측에 위치하는 볼록부(52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52b)의 높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단으로 갈수록 낮게 되어 있다. 또한, 제2 내통(52)의 플랜지부(52a)와 볼록부(52b)와의 간격은 제1 내통(51)의 환형 돌기(51b)의 두께보다 다소 길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내통(52)이 후단측으로 잡아당겨지면, 제1 내통(51)의 환형 돌기(51b)가 제2 내통(52)의 플랜지부(52a)와 볼록부(52b)와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환형 돌기(51b)가 상기 플랜지부(52a) 및 볼록부(52b)에 걸리고, 제1 내통(51)과 제2 내통(52)이 연결된다.
나아가, 도 1이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내통(52)의 후단부에는 플레어형 부분(52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레어형 부분(52c)의 외경은 적어도 제1 내통(51)의 내경보다 크고, 외통(40)의 소직경부(42)의 내경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탐폰(10)의 유효성에 대해===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탐폰(10)에서는, 탐폰 본체(20)가 그 외표면(21)에 제제(M)가 도공된 도공부(2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도공부(23)는 2개 이상의 도공층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2개 이상의 도공층은, 약효 성분의 일례로서의 소나무 껍질 추출물과 상기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담지하는 제1 수용성 담지체의 일례로서의 제1 폴리에틸렌글리콜을 구비하는 제1 제제(M1)가 도공된 제1 도공층(24a) 및 소나무 껍질 추출물과 상기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담지하며 제1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융점보다 작은 융점을 갖는 제2 수용성 담지체의 일례로서의 제2 폴리에틸렌글리콜을 구비하는 제2 제제(M2)가 제1 도공층(24a) 상에 중첩되어 도공된 제2 도공층(24b)을 갖는다. 그리고, 이에 따라 질강 내에 삽입되었을 때 제제(M)의 효과가 적절하게 발휘되는 탐폰(10)이 구현되게 된다.
상기에 대해, 본 실시 형태(본 건 예)에 따른 탐폰(10)과 비교예에 따른 탐폰을 비교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탐폰(10)과 비교예에 따른 탐폰을 비교하면, 탐폰 본체(20)가 그 외표면(21)에 제제(M)가 도공된 도공부(23)를 구비하는 점, 제제(M)가 소나무 껍질 추출물과 폴리에틸렌글리콜이 혼합된 혼합물인 점에 대해서는 공통된다. 그러나, 비교예에 따른 탐폰에서는 도공층은 1층이며, 상기 도공층에서 1종류의 폴리에틸렌글리콜만이 소나무 껍질 추출물과 혼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로서 융점이 작은 것(예컨대, 체온 이하의 융점을 갖는 전술한 제2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선택한 경우에는, 고온인 장소(예컨대, 창고)에서 탐폰이 보관되었을 때 제제가 용융되어 버려 탐폰 본체의 내부에 흡수되어 버리거나, 탐폰 본체로부터 탈락되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흡수나 탈락이 발생한 탐폰을 사용한 경우(즉, 질강 내에 삽입한 경우)에는, 외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제제의 양이 적어졌기 때문에, 질 점막에 제제가 적절하게 전사되지 않게 된다. 즉, 탐폰이 질강 내에 삽입되었을 때 제제의 효과가 적절하게 발휘되지 않게 된다.
한편으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로서 융점이 큰 것(예컨대, 체온을 넘는 융점을 갖는 전술한 제1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선택한 경우에는, 탐폰이 질강 내에 삽입되었다고 해도 제제가 좀처럼 용융되지 않아, 제제의 용융이 현저하게 지연된다(제제의 용융은 생리전에는 좀처럼 일어나지 않으며, 생리가 되어 경혈 등의 수분이 충분히 나와 폴리에틸렌글리콜이 상기 수분에 녹는 상황이 될 때까지 지연된다). 즉, 탐폰이 질강 내에 삽입되었을 때 제제의 효과가 적절하게 발휘되지 않게 된다(제제의 즉효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비교예에 따른 탐폰에서는, 융점의 대소와 관계없이, 탐폰이 질강 내에 삽입되었을 때 제제의 효과가 적절하게 발휘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본 건 예에서는 도공부(23)가 2개 이상의 도공층을 갖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두 종류의 제제(제1 제제(M1), 제2 제제(M2))를 2개의 도공층(제1 도공층(24a), 제2 도공층(24b))에 나누어 도공할 수 있다. 그리고, 두 종류의 융점을 구비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상기 두 종류의 제제에 나누어 포함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체온을 넘는 융점을 갖는 제1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체온 이하의 융점을 갖는 제2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제1 제제(M1) 및 제2 제제(M2)에 나누어 포함시킬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융점이 높은 편인 제1 폴리에틸렌글리콜을 구비하는 제1 도공층(24a) 상에 융점이 낮은 편인 제2 폴리에틸렌글리콜을 구비하는 제2 도공층(24b)을 중첩함으로써 전술한 문제가 적절하게 해소되게 된다.
즉, 고온인 장소(예컨대, 창고)에서 탐폰(10)이 보관된 결과 융점이 낮은 제2 폴리에틸렌글리콜(제2 제제(M2))이 용융되어 버린 경우라 하더라도, 내측에 위치하는 제1 도공층(24a)의 응고된 제1 폴리에틸렌글리콜(제1 제제(M1))이, 외측에 위치하는 제2 도공층(24b)의 용융된 제2 폴리에틸렌글리콜(제2 제제(M2))이 탐폰 본체의 내부에 흡수되는 것을 적절하게 차단한다. 따라서, 전술한 흡수 문제의 발생이 억지(抑止)되게 된다. 또한, 제2 폴리에틸렌글리콜(제2 제제(M2))의 용융에 의해 제2 도공층(24b)의 제2 폴리에틸렌글리콜(제2 제제(M2))이 탈락되었다고 해도, 제1 도공층(24a)의 제1 폴리에틸렌글리콜(제1 제제(M1))이 잔존해 있기 때문에, 1종류의 폴리에틸렌글리콜만밖에 존재하지 않아 이것이 탈락되는 상기 비교예와 비교하여, 탈락의 정도는 적어도 된다. 그리고, 이들 사실로부터, 외표면(21)에 부착되어 있는 제제(M)의 양이 적어진 것으로 인해 질 점막에 제제(M)가 적절하게 전사되지 않게 되는 전술한 문제는 적절하게 회피되게 된다.
또한, 탐폰(10)이 질강 내에 삽입되었을 때에는, 제1 폴리에틸렌글리콜(제1 제제(M1))은 응고되어 있는 한편 제2 폴리에틸렌글리콜(제2 제제(M2))은 체온에 의해 용융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곧바로 외측에 위치하는 제1 도공층(24a)의 제2 폴리에틸렌글리콜(제2 제제(M2))이 질 점막에 전사되게 된다. 즉, 경혈 등의 수분이 충분히 나오기 전(예컨대, 생리전)에서도 제2 제제(M2)의 작용에 의해 제제(M)의 효과가 적절하게 발휘되게 된다(제제(M)의 즉효성이 뛰어난 것이 된다). 그리고, 생리가 되어 경혈 등의 수분이 충분히 나와 제1 폴리에틸렌글리콜(제1 제제(M1))이 상기 수분에 녹는 상황이 되면, 제1 제제(M1)의 작용에 의해 제제(M)의 효과가 적절하게 발휘되게 된다. 즉, 단계적이면서 이상적으로 제제(M)의 효과를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질강 내에 삽입되었을 때 제제(M)의 효과가 적절하게 발휘되는 탐폰(10)이 구현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2 도공층(24b)은, 제2 제제(M2)가 제1 도공층(24a) 상에 상기 제1 도공층(24a)으로부터 튀어나온 부분이 없도록 중첩되어 도공된 층인 것으로 했다. 따라서, 고온인 장소(예컨대, 창고)에서 탐폰(10)이 보관된 결과 제2 제제(M2)가 용융되어 버린 경우에, 내측에 위치하는 제1 도공층(24a)의 제1 제제(M1)가, 외측에 위치하는 제2 도공층(24b)의 제2 제제(M2)가 탐폰 본체의 내부에 흡수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차단한다. 따라서, 질강 내에 삽입되었을 때 제제(M)의 효과가 훨씬 적절하게 발휘되는 탐폰(10)이 구현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탐폰 본체(20)가 그 외표면(21)에 제제(M)가 도공된 도공부(23)와 도공되지 않은 비도공부(25)를 구비하며, 도공부(23) 및 비도공부(25)에 의해 외표면(21)에 무늬가 그려져 있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탐폰 본체(20)의 외관이 미려해져 탐폰(10)을 매력적으로 보이는 것이 가능해진다(이러한 효과는 탐폰(10)을 삽입하는 저항감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이어진다). 나아가, 도공부(23)는 2개 이상의 도공층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2개의 도공층은, 약효 성분의 일례로서의 소나무 껍질 추출물과 상기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담지하는 제1 수용성 담지체의 일례로서의 제1 폴리에틸렌글리콜을 구비하는 제1 제제(M1)가 도공된 제1 도공층(24a) 및 소나무 껍질 추출물과 상기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담지하며 제1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융점보다 작은 융점을 갖는 제2 수용성 담지체의 일례로서의 제2 폴리에틸렌글리콜을 구비하는 제2 제제(M2)가 제1 도공층(24a) 상에 중첩되어 도공된 제2 도공층(24b)인 것으로 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탐폰(10)의 보관시에 제제(M)가 탐폰 본체(20)로부터 탈락되는 탈락의 정도는 적어도 된다(제2 제제(M2)가 탈락되더라도 제1 제제(M1)가 잔존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탐폰(10)에서는 무늬가 흐트러질 가능성이 낮아, 확실하게 탐폰(10)을 매력적으로 보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수용성 담지체(제1 폴리에틸렌글리콜)는 체온을 넘는 융점을 가지며, 제2 수용성 담지체(제2 폴리에틸렌글리콜)는 체온 이하의 융점을 갖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질강 내에 삽입되었을 때 제제(M)의 효과가 적절하게 발휘되는 탐폰(10)이 보다 확실하게 구현되게 된다.
===탐폰(10)의 제조 방법에 대해===
다음으로, 전술한 탐폰(10)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에 대해 도 8 내지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탐폰 본체(20)의 제조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탐폰 본체(20)가 제조될 때까지의 변천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탐폰(10)의 제조 장치(100) 중 탐폰 본체(20)의 제조 부분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제조 장치(100)를 상방에서 보았을 때의 모식도이다.
또한, 탐폰(10)의 제조 프로세스는, 탐폰(10)을 구성하는 각 부품(즉, 탐폰 본체(20), 외통(40), 제1 내통(51) 및 제2 내통(52))을 제조하는 프로세스와 이들 부품을 조립하는 프로세스로 나뉜다. 여기서는, 탐폰 본체(20)(보다 정확하게는, 취출끈(22)이 달린 탐폰 본체(20))를 제조하는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의 제조 순서는 흡수체 재료 형성 단계(단계 S 1)부터 시작된다. 상기 단계에서는, 먼저, 상기 흡수체 본체(62)(면체)를 상기 커버체(64)로 덮는다(상기 커버체(64)로 감는다). 그 후, 커버체(64)로 덮인 흡수체 본체(62)를 소정의 형상 및 크기로 재단한다. 그리고, 이에 따라 흡수체 재료(60)(즉, 탐폰 본체(20)의 기재)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계에서는, 흡수체 재료(60)에 취출끈(22)을 꿰매붙이는 공정도 실시된다(상기 단계 종료 후의 흡수체 재료(60)의 모습을 도 9a)에 도시했다).
다음으로, 상기 흡수체 재료(60)를 압축 성형함으로써 상기 탐폰 본체(20)를 얻는다(단계 S3의 압축 성형 단계).
도 10 및 도 11에는 압축 성형 유닛의 일례로서의 압축 성형 드럼(102)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압축 성형 드럼(102)이 흡수체 재료(60)를 압축 성형하는(나아가, 이에 따라 탐폰 본체(20)를 얻는) 역할을 한다. 즉, 압축 성형 드럼(102)은 회전 가능한 드럼형의 유닛으로서, 복수 개(본 실시 형태에서는 8개)의 유지부(102a)를 방사형으로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흡수체 재료(60)가 차례차례로 제1 위치(P1)(도 10)에서 상기 유지부(102a)에 삽입되고, 유지부(102a)에 삽입된 흡수체 재료(60)는 압축 성형 드럼(102)의 회전에 따라 제2 위치(P2)(도 10)까지 회전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 이동중에 유지부(102a) 내에서 흡수체 재료(60)는 그 양측방으로부터 압축된다(흡수체 재료(60)가 압축되는 모습을 도 9b)에 도시했다).
다음으로, 압축 성형 드럼(102)이 흡수체 재료(60)를 압축 성형함으로써 얻어진 탐폰 본체(20)를 가열함으로써 탐폰 본체(20)의 형상을 고정한다(단계 S5의 가열 단계).
도 10 및 도 11에는 가열 유닛의 일례로서의 가열 드럼(104)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가열 드럼(104)이 압축 성형 드럼(102)이 흡수체 재료(60)를 압축 성형함으로써 얻어진 탐폰 본체(20)를 가열하는(나아가, 이에 따라 탐폰 본체(20)의 형상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가열 드럼(104)은, 예컨대 110℃(100℃ 내지 180℃의 온도가 바람직하다)로 온도가 컨트롤된 회전 가능한 드럼형의 유닛으로서, 다수 개의 유지부(104a)를 방사형으로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탐폰 본체(20)가 차례차례로 제2 위치(P2)(도 10)에서 푸셔(미도시)의 압입에 의해 압축 성형 드럼(102)의 유지부(102a)로부터 가열 드럼(104)의 유지부(104a)로 넘겨진다(푸셔의 압입 방향을 도 11에서 화살표 A1으로 도시했다). 그리고, 유지부(104a)로 넘겨진 탐폰 본체(20)는, 가열 드럼(104)의 회전에 따라, 제3 위치(P3)(도 10)까지 회전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 이동중에, 유지부(104a) 내에서 탐폰 본체(20)는 가열되고, 상기 탐폰 본체(20)의 형상이 고정된다. 또한, 유지부(104a)는 탐폰 본체(20)의 형상에 매치되는 형상을 구비하는 구멍부로 되어 있으며(탐폰 본체(20)가 상기 구멍부에 정확히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탐폰 본체(20)에 가열 드럼(104)의 열이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탐폰 본체(20)가 압축 성형 드럼(102)으로부터 가열 드럼(104)으로 넘겨질 때, 탐폰 본체(20)의 선단을 탄환형으로 성형하는 공정이 함께 실시된다. 또한, 가열 단계가 종료했을 때의 탐폰 본체(20)의 모습을 도 9c)에 도시했다.
다음으로, 가열 드럼(104)에 의해 형상이 고정된 탐폰 본체(20)를 냉각한다(단계 S7의 냉각 단계).
도 10 및 도 11에는 냉각 유닛의 일례로서의 냉각 드럼(106)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냉각 드럼(106)이 가열 드럼(104)에 의해 형상이 고정된 탐폰 본체(20)를 냉각하는 역할을 한다. 즉, 냉각 드럼(106)은, 예컨대 25℃로 온도가 컨트롤된 회전 가능한 드럼형의 유닛으로서, 다수 개의 유지부(106a)를 방사형으로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탐폰 본체(20)가 차례차례로 제3 위치(P3)(도 10)에서, 푸셔(미도시)의 압입에 의해 가열 드럼(104)의 유지부(104a)로부터 냉각 드럼(106)의 유지부(106a)로 넘겨진다(푸셔의 압입 방향을 도 11에서 화살표 A2로 도시했다). 그리고, 유지부(106a)로 넘겨진 탐폰 본체(20)는, 냉각 드럼(106)의 회전에 따라 제4 위치(P4)(도 10)까지 회전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 이동중에 유지부(106a) 내에서 탐폰 본체(20)는 냉각된다. 또한, 유지부(106a)도 유지부(104a)와 마찬가지로 탐폰 본체(20)의 형상에 매치되는 형상을 구비하는 구멍부로 되어 있으며(탐폰 본체(20)가 상기 구멍부에 정확히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탐폰 본체(20)가 냉각 드럼(106)에 의해 효과적으로 냉각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4 위치(P4)(도 10)까지 회전 이동한 탐폰 본체(20)는, 상기 제4 위치(P4)에서 차례차례로 푸셔(미도시)의 압입에 의해 냉각 드럼(106)의 유지부(106a)로부터 이송 유닛(108)(구체적으로는, 이송 유닛(108)에 구비된 이송 벨트(108a))로 넘겨진다(푸셔의 압입 방향을 도 11에서 화살표 A3로 도시했다). 이송 벨트(108a)는 무단의 탐폰 본체 컨베어 벨트로서, 탐폰 본체(20)의 길이 방향이 상기 이송 벨트(108a)의 폭 방향을 따르는 상태에서 탐폰 본체(20)를 유지하여 회전 이동함으로써 상기 탐폰 본체(20)를 이송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 벨트(108a)의 온도도 예컨대 25℃로 컨트롤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 벨트(108a)도 탐폰 본체(20)를 냉각하는 냉각 유닛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즉, 가열 드럼(104)에 의해 형상이 고정된 탐폰 본체(20)는 냉각 드럼(106), 이송 벨트(108a)의 순으로 냉각 유닛에 의해 냉각된다.
다음으로, 소나무 껍질 추출물과 상기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담지하는 제1 폴리에틸렌글리콜을 구비하여 용융한 제1 제제(M1)를 탐폰 본체(20)의 외표면(21)에 도공한다(단계 S9의 제1 도공 단계). 이 제1 도공 단계는 제1 도공층(24a)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도 10 및 도 11에는 도공 유닛으로서 제1 도공 유닛(110)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도공 유닛(110)이 용융한 제1 제제(M1)를 탐폰 본체(20)의 외표면(21)에 도공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도공 유닛(110)은 제1 공급 유닛(110a)과 제1 전사 벨트(110b)를 구비하고 있다.
제1 공급 유닛(110a)은 제1 전사 벨트(110b)에 용융한 제1 제제(M1)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 이 제1 공급 유닛(110a)은 제1 제제(M1)를 용융하며, 용융한 제1 제제(M1)를 제1 전사 벨트(110b)에 바른다.
제1 전사 벨트(110b)는 탐폰 본체(20)의 외표면(21)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외표면(21)에 용융한 제1 제제(M1)를 전사하여 도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 이 제1 전사 벨트(110b)는 무단의 제제 컨베어 벨트로서, 제1 공급 유닛(110a)에 의해 발라진 제1 제제(M1)를 유지하여 회전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 제제(M1)를 이송한다. 그리고, 이송된 제1 제제(M1)는 머지않아 상기 이송 벨트(108a)에 의해 이송되는 탐폰 본체(20)의 외표면(21)에 제1 전사 벨트(110b)가 접촉하는 접촉 위치에 이르며, 제1 제제(M1)가 상기 외표면(21)에 전사되어 도공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제제(M1)가 상기 외표면(21)에 도공될 때에는, 탐폰 본체(20)는 제1 전사 벨트(110b)와 이송 벨트(108a)와의 사이에 낀 상태가 되는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0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하는 방향(이하, 단순히 좌우 방향이라고 함)에서의 제1 전사 벨트(110b)의 이동 속도가 이송 벨트(108a)의 상기 좌우 방향에서의 이동 속도보다 빨라지도록 이동 속도가 컨트롤되어 있다. 따라서, 탐폰 본체(20)가 제1 전사 벨트(110b)와 이송 벨트(108a)와의 사이에 낀 상태에서, 이송 벨트(108a) 상에서 회전하면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때문에(회전하기 때문에), 탐폰 본체(20)의 외표면(21)에는 둘레 방향에서 빠짐없이 제1 제제(M1)가 도공되게 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탐폰 본체(20)는 25℃로 온도가 컨트롤된 냉각 유닛에 의해 냉각 드럼(106), 이송 벨트(108a)의 순으로 냉각된다. 따라서, 제1 도공 유닛(110)은 냉각 유닛에 의해 약 25℃로 냉각된 탐폰 본체(20)의 외표면(21)에 용융한 제1 제제(M1)를 도공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제제(M1)의 제1 수용성 담지체(제1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융점(응고점)은 약 45℃이므로, 용융한 제1 제제(M1)가 탐폰 본체(20)의 외표면(21)에 도공될 때에는 급속하게(즉시) 제1 제제(M1)가 응고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단계 S7의 냉각 단계에서는, 냉각 유닛이 가열 드럼(104)에 의해 형상이 고정된 탐폰 본체(20)를 그 외표면(21)의 온도가 제1 제제(M1)의 제1 수용성 담지체(제1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응고점 이하가 되도록 냉각하고, 단계 S9의 제1 도공 단계에서는 제1 도공 유닛(110)이 용융한 제1 제제(M1)를 제1 수용성 담지체(제1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응고점 이하의 온도인(즉, 제1 수용성 담지체(제1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응고점 이하의 온도로 냉각된) 탐폰 본체(20)의 외표면(21)에 도공한다.
다음으로, 외표면(21)에 도공된 제1 제제(M1)에 제1 제제(M1)의 제1 수용성 담지체(제1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응고점(본 실시 형태에서는 약 45℃) 이하의 온도로 냉각된 냉각체를 접촉시킨다(단계 S11의 제1 냉각체 접촉 단계).
도 10 및 도 11에는 냉각체를 접촉시키는 제1 냉각체 접촉 유닛으로서 제1 냉풍 분사 유닛(112)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냉풍 분사 유닛(112)이 제1 도공 유닛(110)에 의해 외표면(21)에 도공된 제1 제제(M1)에 상기 제1 제제(M1)의 제1 수용성 담지체(제1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응고점 이하의 온도로 냉각된 냉각체로서의 냉풍을 접촉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제1 냉풍 분사 유닛(112)은 45℃ 이하의 온도(본 실시 형태에서는 25℃)로 냉각된 냉풍을 제1 제제(M1)에 분사함으로써 냉각체를 제1 제제(M1)에 접촉시킨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 벨트(108a)의 온도는 25℃로 컨트롤되고, 상기 이송 벨트(108a)는 냉각되어 있으며, 나아가, 탐폰 본체(20)가 제1 전사 벨트(110b)와 이송 벨트(108a)와의 사이에 낀 상태에서 이송 벨트(108a) 상에서 회전하기 때문에, 외표면(21)에 도공된 제1 제제(M1)는 즉시 이송 벨트(108a)에 접촉한다. 따라서, 이송 벨트(108a)도 제1 수용성 담지체(제1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응고점 이하의 온도로 냉각된 냉각체로서의 역할을 한다. 즉, 바꾸어 말하면, 이송 유닛(108)은 외표면(21)에 도공된 제1 제제(M1)에 제1 수용성 담지체(제1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응고점 이하의 온도로 냉각된 냉각체로서의 이송 벨트(108a)를 접촉시키는 제1 냉각체 접촉 유닛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용융한 제1 제제(M1)가 제1 수용성 담지체(제1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응고점 이하의 온도로 냉각된 탐폰 본체(20)의 외표면(21)에 도공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외표면(21)에 도공된 제1 제제(M1)에 제1 수용성 담지체(제1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응고점 이하의 온도로 냉각된 냉각체가 접촉하도록 했기 때문에, 용융한 제1 제제(M1)가 탐폰 본체(20)의 외표면(21)에 도공될 때에는 훨씬 급속하게 제1 제제(M1)가 응고하게 된다.
다음으로, 소나무 껍질 추출물과 상기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담지하며 제1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융점보다 작은 융점을 갖는 제2 폴리에틸렌글리콜을 구비하여 용융한 제2 제제(M2)를 제1 제제(M1)에 중첩하여 도공한다(단계 S13의 제2 도공 단계). 이 제2 도공 단계는 제2 도공층(24b)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도 10 및 도 11에는 도공 유닛으로서 제2 도공 유닛(120)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도공 유닛(120)이 용융한 제2 제제(M2)를 제1 제제(M1)에 중첩하여 도공하는 역할을 한다. 제2 도공 유닛(120)은 제2 공급 유닛(120a)과 제2 전사 벨트(120b)를 구비하고 있다.
제2 공급 유닛(120a) 및 제2 전사 벨트(120b)는 전술한 제1 공급 유닛(110a) 및 제1 전사 벨트(110b)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제2 공급 유닛(120a)은 제2 전사 벨트(120b)에 용융한 제2 제제(M2)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 이 제2 공급 유닛(120a)은 제2 제제(M2)를 용융하고, 용융한 제2 제제(M2)를 제2 전사 벨트(120b)에 바른다.
제2 전사 벨트(120b)는 탐폰 본체(20)의 외표면(21)(구체적으로는, 외표면(21) 상의 제1 도공층(24a))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외표면(21)(제1 도공층(24a))에 용융한 제2 제제(M2)를 전사하여 도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 이 제2 전사 벨트(120b)는 무단의 제제 컨베어 벨트로서, 제2 공급 유닛(120a)에 의해 발라진 제2 제제(M2)를 유지하여 회전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 제제(M2)를 이송한다. 그리고, 이송된 제2 제제(M2)는 머지않아 상기 이송 벨트(108a)에 의해 이송되는 탐폰 본체(20)의 외표면(21)(제1 도공층(24a))에 제2 전사 벨트(120b)가 접촉하는 접촉 위치에 이르고, 제2 제제(M2)가 상기 제1 도공층(24a)에 전사되어 도공된다. 즉, 제2 제제(M2)가 제1 제제(M1)에 중첩되어 도공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제제(M2)가 제1 제제(M1)에 중첩되어 도공될 때에는, 탐폰 본체(20)는 제2 전사 벨트(120b)와 이송 벨트(108a)와의 사이에 낀 상태가 되는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0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하는 방향(이하, 단순히 좌우 방향이라고 함)에서의 제2 전사 벨트(120b)의 이동 속도가 이송 벨트(108a)의 상기 좌우 방향에서의 이동 속도보다 빨라지도록 이동 속도가 컨트롤되어 있다. 따라서, 탐폰 본체(20)가 제2 전사 벨트(120b)와 이송 벨트(108a)와의 사이에 낀 상태에서 이송 벨트(108a) 상에서 회전하면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때문에(회전하기 때문에), 탐폰 본체(20)의 외표면(21)에는 둘레 방향에서 빠짐없이 제2 제제(M2)가 도공되게 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단계 S11의 제1 냉각체 접촉 단계에서는, 제1 제제(M1)에 25℃로 냉각된 냉각체(냉풍 및 이송 벨트(108a))가 접촉한다. 따라서, 제2 도공 유닛(120)은 약 25℃로 냉각된 제1 제제(M1)에 용융한 제2 제제(M2)를 중첩하여 도공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제제(M2)의 제2 수용성 담지체(제2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융점(응고점)은 약 37℃이므로, 용융한 제2 제제(M2)가 제1 제제(M1)에 중첩되어 도공될 때에는, 급속하게(즉시) 제2 제제(M2)가 응고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단계 S11의 제1 냉각체 접촉 단계에서는, 제1 냉각체 접촉 유닛이 제1 제제(M1)를 제2 제제(M2)의 제2 수용성 담지체(제2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응고점 이하의 온도로 냉각하고, 단계 S13의 제2 도공 단계에서는, 제2 도공 유닛(120)이 용융한 제2 제제(M2)를 제2 수용성 담지체(제2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응고점 이하의 온도인(즉, 제2 수용성 담지체(제2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응고점 이하의 온도로 냉각된) 제1 제제(M1)에 중첩하여 도공한다.
다음으로, 제2 제제(M2)에 제2 제제(M2)의 제2 수용성 담지체(제2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응고점(본 실시 형태에서는 약 37℃) 이하의 온도로 냉각된 냉각체를 접촉시킨다(단계 S15의 제2 냉각체 접촉 단계).
도 10 및 도 11에는 냉각체를 접촉시키는 제2 냉각체 접촉 유닛으로서 제2 냉풍 분사 유닛(122)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냉풍 분사 유닛(122)이 제2 도공 유닛(120)에 의해 제1 제제(M1)에 중첩되어 도공된 제2 제제(M2)에 상기 제2 제제(M2)의 제2 수용성 담지체(제2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응고점 이하의 온도로 냉각된 냉각체로서의 냉풍을 접촉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제2 냉풍 분사 유닛(122)은 37℃ 이하의 온도(본 실시 형태에서는 25℃)로 냉각된 냉풍을 제2 제제(M2)에 분사함으로써 냉각체를 제2 제제(M2)에 접촉시킨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 벨트(108a)의 온도는 25℃로 컨트롤되고, 상기 이송 벨트(108a)는 냉각되어 있으며, 나아가, 탐폰 본체(20)가 제2 전사 벨트(120b)와 이송 벨트(108a)와의 사이에 낀 상태에서 이송 벨트(108a) 상에서 회전하기 때문에, 제2 제제(M2)는 즉시 이송 벨트(108a)에 접촉한다. 따라서, 이송 벨트(108a)도 제2 수용성 담지체(제2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응고점 이하의 온도로 냉각된 냉각체로서의 역할을 한다. 즉, 바꾸어 말하면, 이송 유닛(108)은 제1 제제(M1)에 중첩되어 도공된 제2 제제(M2)에 제2 수용성 담지체(제2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응고점 이하의 온도로 냉각된 냉각체로서의 이송 벨트(108a)를 접촉시키는 제2 냉각체 접촉 유닛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용융한 제2 제제(M2)가 제2 수용성 담지체(제2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응고점 이하의 온도로 냉각된 제1 제제(M1)에 도공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도공된 제2 제제(M2)에 제2 수용성 담지체(제2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응고점 이하의 온도로 냉각된 냉각체가 접촉하도록 했기 때문에, 용융한 제2 제제(M2)가 제1 제제(M1)에 중첩되어 도공될 때에는 훨씬 급속하게 제2 제제(M2)가 응고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냉각체 접촉 단계가 실행되어 탐폰 본체(20)의 제조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제2 냉각체 접촉 단계가 종료되었을 때의 탐폰 본체(20)의 모습을 도 9d)에 도시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탐폰(10)의 제조 방법(제조 장치(100))에서는, 흡수체 재료(60)를 압축 성형함으로써 탐폰 본체(20)를 얻는 압축 성형 단계(압축 성형 드럼(102))와, 소나무 껍질 추출물과 상기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담지하는 제1 폴리에틸렌글리콜을 구비하여 용융한 제1 제제(M1)를 상기 제1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응고점 이하의 온도인 탐폰 본체(20)의 외표면(21)에 도공하는 제1 도공 단계(도공 유닛)와, 소나무 껍질 추출물과 상기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담지하며 제1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융점보다 작은 융점을 갖는 제2 폴리에틸렌글리콜을 구비하여 용융한 제2 제제(M2)를 상기 제2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응고점 이하의 온도인 제1 제제(M1)에 중첩하여 도공하는 제2 도공 단계(도공 유닛)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질강 내에 삽입되었을 때 제제(M)(제1 제제(M1) 및 제2 제제(M2))의 효과가 적절하게 발휘되는 탐폰(10)의 제조 방법(제조 장치(100))이 구현되게 된다.
상기에 대해, 본 실시 형태(본 건 예)에 따른 탐폰(10)의 제조 방법(제조 장치(100))과 두 종류의 비교예에 따른 탐폰의 제조 방법(제조 장치)을 비교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비교예는, 흡수체 재료를 압축 성형하기 전에 제1 제제 및 제2 제제(이하, 단순히 제제라고 함)를 탐폰 본체의 외표면에 도공하는 제조 방법(제조 장치)이다. 예컨대, 상기 비교예에서는, 커버체에 제제를 도공하고 나서 상기 커버체로 흡수체 본체를 덮어 흡수체 재료를 형성한다. 그 후, 형성된 흡수체 재료를 압축 성형함으로써 탐폰 본체를 얻는다.
그러나, 이러한 제조 방법(제조 장치)은 이하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즉, 압축 성형 전의 흡수체 재료에 제제가 도공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체 재료가 압축 성형될 때 제제가 탈락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탈락이 발생한 탐폰을 사용한 경우(즉, 질강 내에 삽입한 경우)에는, 외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제제의 양이 적어져 있기 때문에, 질 점막에 제제가 적절하게 전사되지 않게 된다. 즉, 탐폰이 질강 내에 삽입되었을 때 제제의 효과가 적절하게 발휘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탈락의 발생에 의해 제조 장치가 제제로 더럽혀져 버리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회피시키기 위해, 제2 비교예로서, 흡수체 재료를 압축 성형함으로써 탐폰 본체를 얻고 나서, 상기 탐폰 본체를 제제에 담그는 제조 방법(제조 장치)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조 방법(제조 장치)에는, 탐폰 본체를 제제에 담근 경우에 탐폰 본체의 내부에 제제가 흡수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흡수가 발생한 탐폰을 사용한 경우(즉, 질강 내에 삽입한 경우)에는, 외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제제의 양이 적어져 있기 때문에, 질 점막에 제제가 적절하게 전사되지 않게 된다. 즉, 탐폰이 질강 내에 삽입되었을 때 제제의 효과가 적절하게 발휘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흡수의 발생에 의해 탐폰 본체의 크기가 과대해지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교예에 따른 탐폰의 제조 방법(제조 장치)에서는, 어느 것에서도 제조된 탐폰이 질강 내에 삽입되었을 때 제제의 효과가 적절하게 발휘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탐폰(10)의 제조 방법(제조 장치(100))에서는, 흡수체 재료(60)를 압축 성형함으로써 탐폰 본체(20)를 얻고 나서 제제(M)를 탐폰 본체(20)의 외표면(21)에 도공하기 때문에, 상기 탈락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용융한 제1 제제(M1)를 제1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응고점 이하의 온도인 탐폰 본체(20)의 외표면(21)에 도공하고, 용융한 제2 제제(M2)를 제2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응고점 이하의 온도인 제1 제제(M1)에 중첩하여 도공하기 때문에, 용융한 제1 제제(M1) 및 제2 제제(M2)가 도공될 때에는 급속하게(즉시) 제1 제제(M1) 및 제2 제제(M2)가 외표면(21)에서 응고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제제(M1) 및 제2 제제(M2)가 외표면(21)보다 안에(즉, 탐폰 본체의 내부에) 흡수되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탈락이나 흡수가 억지되기 때문에, 외표면(21)에 부착되어 있는 제제(M)의 양이 적어져 있는 것으로 인해 질 점막에 제제(M)가 적절하게 전사되지 않게 되는 전술한 문제는 적절하게 회피되게 된다. 즉, 질강 내에 삽입되었을 때 제제(M)의 효과가 적절하게 발휘되는 탐폰(10)의 제조 방법(제조 장치(100))이 구현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탈락의 발생에 의해 제조 장치가 제제로 더렵혀져 버리는 문제나 흡수의 발생에 의해 탐폰 본체의 크기가 과대해지는 문제도 적절하게 회피된다. 나아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탈락이나 흡수가 억지되기 때문에, 외표면(21)에 무늬를 예쁘게 그릴 수 있다는 효과도 발생한다.
===그 밖의 실시 형태===
이상 상기 실시 형태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탐폰 등을 설명했으나, 상기한 발명의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벗어나지 않고, 변경, 개량될 수 있음과 아울러,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탐폰으로서 어플리케이터(30)가 구비된 탐폰(10)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어플리케이터가 없는 탐폰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무늬로서 링이 탐폰 본체(20)의 길이 방향에서 나란한 모양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물방울 무늬일 수도 있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체크 무늬일 수도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도 3a에 대응한 도면으로서,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무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제(M)의 약효 성분으로서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레드 클로버, 쪽(Persicaria tinctorium) 엑기스, 인디루빈(Indirubin) 등의 식물 추출물일 수도 있다. 또한, 소나무 껍질 추출물로서 플라반제놀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일본 시버헤그너사(NIHON SIBERHEGNER K.K)사가 취급하는 피크노제놀(Pycnogenol)이나 발렌타인사가 취급하는 엔조제놀(Enzogenol)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수용성 담지체로서 분자량이 1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융점은 약 37℃)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분자량이 6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융점은 약 20℃)일 수도 있다.
분자량이 1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은 탐폰(10)의 보관시에 잘 용융되지 않아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전술한 흡수나 탈락이 보다 적절하게 억지되는 점에서 우위성을 가지며, 분자량이 6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은 탐폰(10)이 질강 내에 삽입되었을 때 쉽게 용융되어 제제(M)의 즉효성이 훨씬 뛰어나다는 점에서 우위성을 갖는다.
10…탐폰, 20…탐폰 본체(흡수체), 21…외표면, 22…취출끈, 22a…노출 부분, 23…도공부, 24a…제1 도공층, 24b…제2 도공층, 25…비도공부, 30…어플리케이터, 40…외통, 40a…내면, 41…대직경부, 42…소직경부, 43…선단 개구, 44…꽃잎형 부분, 45…후단 개구, 46…환형 리브, 47…단차, 50…내통, 51…제1 내통, 51a…플랜지부, 51b…환형 돌기, 52…제2 내통, 52a…플랜지부, 52b…볼록부, 52c…플레어형 부분, 54…길이 방향 리브, 60…흡수체 재료, 62…흡수체 본체, 64…커버체, 100…제조 장치, 102…압축 성형 드럼, 102a…유지부, 104…가열 드럼, 104a…유지부, 106…냉각 드럼, 106a…유지부, 108…이송 유닛, 108a…이송 벨트, 110…제1 도공 유닛(도공 유닛), 110a…제1 공급 유닛, 110b…제1 전사 벨트, 112…제1 냉풍 분사 유닛, 120…제2 도공 유닛(도공 유닛), 120a…제2 공급 유닛, 120b…제2 전사 벨트, 122…제2 냉풍 분사 유닛, C…중앙, E1…최선단, E2…최후단, M…제제, M1…제1 제제, M2…제2 제제

Claims (6)

  1.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체를 갖는 탐폰으로서,
    상기 흡수체는 그 외표면에 제제가 도공된 도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공부는 2개 이상의 도공층을 가지며,
    상기 2개 이상의 도공층은,
    약효 성분과 상기 약효 성분을 담지하는 제1 수용성 담지체를 구비하는 제1 제제가 도공된 제1 도공층과,
    약효 성분과 상기 약효 성분을 담지하며 상기 제1 수용성 담지체의 융점보다 작은 융점을 갖는 제2 수용성 담지체를 구비하는 제2 제제가 상기 제1 도공층 상에 중첩되어 도공된 제2 도공층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공층은,
    상기 제2 제제가 상기 제1 도공층 상에 상기 제1 도공층으로부터 튀어나온 부분이 없도록 중첩되어 도공된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그 외표면에 제제가 도공된 상기 도공부와 도공되지 않은 비도공부를 구비하며,
    상기 도공부 및 상기 비도공부에 의해 상기 외표면에 무늬가 그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성 담지체는 체온을 넘는 융점을 가지며,
    상기 제2 수용성 담지체는 체온 이하의 융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탐폰.
  5.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체를 갖는 탐폰의 제조 방법으로서,
    흡수체 재료를 압축 성형함으로써 상기 흡수체를 얻는 단계와,
    약효 성분과 상기 약효 성분을 담지하는 제1 수용성 담지체를 구비하여 용융한 제1 제제를 상기 제1 수용성 담지체의 응고점 이하의 온도인 상기 흡수체의 외표면에 도공하는 단계와,
    약효 성분과 상기 약효 성분을 담지하며 상기 제1 수용성 담지체의 융점보다 작은 융점을 갖는 제2 수용성 담지체를 구비하여 용융한 제2 제제를 상기 제2 수용성 담지체의 응고점 이하의 온도인 상기 제1 제제에 중첩하여 도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6.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체를 갖는 탐폰의 제조 장치로서,
    흡수체 재료를 압축 성형함으로써 상기 흡수체를 얻는 압축 성형 유닛과,
    약효 성분과 상기 약효 성분을 담지하는 제1 수용성 담지체를 구비하여 용융한 제1 제제를 상기 제1 수용성 담지체의 응고점 이하의 온도인 상기 흡수체의 외표면에 도공하고,
    약효 성분과 상기 약효 성분을 담지하며 상기 제1 수용성 담지체의 융점보다 작은 융점을 갖는 제2 수용성 담지체를 구비하여 용융한 제2 제제를 상기 제2 수용성 담지체의 응고점 이하의 온도인 상기 제1 제제에 중첩하여 도공하는 유닛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장치.
KR1020117019271A 2009-03-23 2010-03-10 탐폰, 탐폰의 제조 방법 및 탐폰의 제조 장치 KR201101276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70647 2009-03-23
JP2009070647A JP5463061B2 (ja) 2009-03-23 2009-03-23 タンポン、タンポンの製造方法、及び、タンポンの製造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659A true KR20110127659A (ko) 2011-11-25

Family

ID=42780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9271A KR20110127659A (ko) 2009-03-23 2010-03-10 탐폰, 탐폰의 제조 방법 및 탐폰의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20065598A1 (ko)
EP (1) EP2412350A4 (ko)
JP (1) JP5463061B2 (ko)
KR (1) KR20110127659A (ko)
CN (1) CN102438566A (ko)
BR (1) BRPI1006362A2 (ko)
EA (1) EA201101375A1 (ko)
WO (1) WO20101100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15993B2 (ja) * 2012-09-12 2015-05-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タンポン用アプリケータ
JP5716141B2 (ja) * 2015-01-28 2015-05-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タンポン用アプリケータ
USD772409S1 (en) 2015-11-09 2016-11-22 Edgewell Personal Care Brands, Llc Applicator with telescoping plunger
USD787673S1 (en) 2015-11-09 2017-05-23 Edgewell Personal Care Brands, Llc Telescoping plunger
CN107669407A (zh) * 2017-10-12 2018-02-09 青岛创想机器人制造有限公司 卫生棉组装系统
JP7269151B2 (ja) * 2019-10-31 2023-05-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タンポン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91017A (en) * 1946-09-28 1949-12-13 Vera E Robinson Tampon with built-in applicator
US3595236A (en) * 1969-03-17 1971-07-27 Kimberly Clark Co Coating to aid tampon insertion and tampons coated therewith
US4237888A (en) * 1979-03-23 1980-12-09 The Upjohn Company Two-membrane medicated device for rate-controlled administration of prostaglandins
US7341737B2 (en) * 1997-06-11 2008-03-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dicated tampon
US7344732B2 (en) * 2002-01-10 2008-03-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dicated tampon
US6888043B2 (en) 2001-12-21 2005-05-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eminine care products for the delivery of therapeutic substances
US7060867B2 (en) * 2002-11-27 2006-06-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a body facing liner having discretely placed lotion deposits
PT1704841E (pt) * 2005-03-25 2008-12-22 Georgia Pacific France Conjunto aplicador de tampão
ATE516000T1 (de) * 2007-02-23 2011-07-15 Procter & Gamble Druckrol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12350A4 (en) 2012-12-26
EA201101375A1 (ru) 2012-04-30
CN102438566A (zh) 2012-05-02
EP2412350A1 (en) 2012-02-01
JP2010220765A (ja) 2010-10-07
BRPI1006362A2 (pt) 2018-02-14
US20120065598A1 (en) 2012-03-15
JP5463061B2 (ja) 2014-04-09
WO2010110073A1 (ja) 2010-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6207B2 (ja) タンポンの製造方法、及び、タンポンの製造装置
KR20110139685A (ko) 탐폰
KR20110127659A (ko) 탐폰, 탐폰의 제조 방법 및 탐폰의 제조 장치
JP5463060B2 (ja) タンポン
AU2006226641B2 (en) A tampon applicator assembly
CN101232825B (zh) 用于抽吸制品的液体释放装置
JP5460187B2 (ja) タンポンの製造方法、及び、タンポンの製造装置
US7527614B2 (en) Protective tube for a medicated tampon
EP2404585B1 (en) Tampon
US20230039375A1 (en) Tampon and method of making
KR20020028883A (ko) 상대습도가 감소된 기저귀
WO2018076118A1 (en) Hemostatic nose plugs
EP1622557B1 (en) A process for producing stabilized tampons
IE60174B1 (en) Lubricated absorbent tamp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