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5997A - 아답터 - Google Patents

아답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5997A
KR20110125997A KR1020100045668A KR20100045668A KR20110125997A KR 20110125997 A KR20110125997 A KR 20110125997A KR 1020100045668 A KR1020100045668 A KR 1020100045668A KR 20100045668 A KR20100045668 A KR 20100045668A KR 20110125997 A KR20110125997 A KR 20110125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sheet
case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석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5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5997A/ko
Publication of KR20110125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9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043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transformers or inductor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8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 H05K3/284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for encapsulating mounted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45Casings being rigid plastic containers having a coating of shield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05K9/0088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comprising a plurality of shielding layers; combining different shielding material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아답터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회로부품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을 감싸는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는 인쇄회로기판과 부품 사이를 절연시키는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의 표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방사성 EMI 차폐기능과 그라운드 역할을 수행하는 쉴드층으로 구성되어, 시트가 한 장으로 구성되어 부품수를 줄일 수 있어 조립이 쉽고, 두께를 줄일 수 있으며, 부품들간 공기층을 없앨 수 있어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아답터 {ADAPTOR}
본 발명은 전자기기 충전용 아답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자기기는 이동시 전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가 구비되고, 이러한 배터리는 전원이 방전되었을 때 충전용 아답터를 통해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할 때에는 배터리의 외부에 배터리와 연결된 접속단자를 아답터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아답터는 외부 전원이 연결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충전용 아답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충전용 아답터는 상호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을 확보하는 제1케이스(10) 및 제2케이스(12)와, 이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12)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 전원을 전자기기에 맞는 전원으로 변환시키도록 복수의 충전 회로부품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20)과, 인쇄회로기판(20)을 외부와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인슐레이터(insulator)(30)와, 인쇄회로기판(20)에 실장된 회로부품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단 및 그라운드(ground) 역할을 수행하는 쉴드부재(shield member)(40)를 포함한다.
인슐레이터(30)는 인쇄회로기판(20)을 감싸지게 배치되며, 쉴드부재(40)는 인슐레이터(30)의 외면에 배치된다.
여기에서, 인슐레이터(30)와 쉴드부재(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공차 등으로 인하여 인슐레이터(30)와 쉴드부재(40) 사이에 밀착력이 약해져 공기층(50)이 형성되면 공기의 열 전도율이 나쁘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20)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방열되는데 문제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인쇄회로기판(20)에 실장된 발열부품에 과열에 의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슐레이터(30)와 쉴드부재(40)가 일정 강도를 유지해야되므로 그 두께가 두꺼워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슐레이터(30)와 쉴드부재(40)의 두 개의 부품을 조립해야되므로, 조립공정이 복잡해지고, 이에 따라 조립 시간 증가 및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인슐레이터와 쉴드부재를 한 장의 시트로 만들어 조립성 향상 및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아답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로서, 아답터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회로부품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을 감싸는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는 인쇄회로기판과 부품 사이를 절연시키는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의 표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방사성 EMI 차폐기능과 그라운드 역할을 수행하는 쉴드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아답터에 따르면, 절연 기능을 하는 절연층과 방사성 EMI 차폐기능과 그라운드 역할을 수행하는 쉴드층이 일체로 형성되는 시트를 구비함으로써, 부품수를 줄여 조립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인슐레이터와 쉴드부재 사이의 공기층을 제거할 수 있어 방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절연 기능과 방사성 EMI 차폐기능과 그라운드 역할을 한 장의 시트가 수행할 수 있어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어 제조비용 및 중량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아답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인슐레이터와 쉴드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답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답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아답터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아답터는 케이스(100,102)와, 이 케이스(100,102)의 내부에 배치되어 외부 전원을 휴대용 전자기기에 맞는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인쇄회로기판(110)과, 인쇄회로기판(110)의 외부에 감싸지게 배치되어 절연기능과 EMI 차폐 기능 및 그라운드 역할을 하는 시트(120)를 포함한다.
케이스(100,102)는 제1케이스(100)와 제2케이스(102)가 상호 조립되고 그 내부에 인쇄회로기판(110)과 시트(120)가 조립되는 공간을 갖는다. 그리고, 케이스(100)의 일측에는 인쇄회로기판(110)에 장착되어 외부 전원과 접속되는 접속단자(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고, 타측에는 휴대용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10)에는 외부 전원을 휴대용 전자기기에 맞는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각종 회로부품들이 실장되고, 접속 단자 및 전원 연결용 케이블이 연결된다.
여기에서, 회로부품들은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품, 전자파를 발생시키는 부품 등 다양한 부품이 실장된다. 따라서, 시트(120)는 인쇄회로기판(110)과 쉴드물 사이의 절연기능, 방사성 EMI 차폐 기능, 그라운드 역할 및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발열부품에서 발생된 열을 방출시키는 방열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야된다.
시트(120)는 인쇄회로기판(110)의 상면에 배치되고 제1케이스(100)의 내면에 장착되는 제1시트(122)와, 인쇄회로기판(110)의 하면에 배치되고 제2케이스(102)의 내면에 장착되는 제2시트(124)를 포함한다.
시트(120)는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물질로 형성되는 절연층(130)과, 이 절연층(130)의 외부 표면에 고정되어 방사성 EMI 차폐 기능 및 그라운드 역할을 수행하는 차폐층(140)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절연층(130)은 절연성능을 갖는 어떠한 재질도 사용이 가능하고, 일예로, 절연성능을 갖고 성형이 쉬운 수지재질(폴리 카보네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차폐층(140)은 절연층(130)의 표면에 접착 또는 열 압착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는 스틸 재질 또는 알루미늄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시트(120)는 그 길이방향 양쪽 측면이 직각으로 절곡되어 인쇄회로기판(110)을 감싸게 된다.
또한, 시트는 다른 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층(130)의 표면에 EMI 차폐성 도료(150)를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EMI 차폐성 도료(150)는 그라운드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아답터는 절연 기능, 방사성 EMI 차폐 기능, 그라운드 역할, 방열 기능을 한 장의 시트가 수행하기 때문에 부품수를 줄일 수 있어 조립이 쉽고, 두께를 줄일 수 있으며, 부품들간 공기층을 없앨 수 있어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제1케이스 102: 제2케이스
110: 인쇄회로기판 120: 시트
122: 제1시트 124: 제2시트
130: 절연층 140: 차폐층
150: EMI 차폐성 도료

Claims (5)

  1.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회로부품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감싸는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는 인쇄회로기판과 부품 사이를 절연시키는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의 표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방사성 EMI 차폐기능과 그라운드 역할을 수행하는 차폐층을 포함하는 아답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1시트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면에 배치되는 제2시트를 포함하는 아답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절연 기능을 갖는 수지재질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 양쪽 가 장자리가 절곡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감싸는 아답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층은 상기 절연층의 표면에 접착 또는 열 압착되고 스틸재질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아답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층은 상기 절연층의 표면에 EMI 차폐성 도료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아답터.
KR1020100045668A 2010-05-14 2010-05-14 아답터 KR201101259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668A KR20110125997A (ko) 2010-05-14 2010-05-14 아답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668A KR20110125997A (ko) 2010-05-14 2010-05-14 아답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997A true KR20110125997A (ko) 2011-11-22

Family

ID=45395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668A KR20110125997A (ko) 2010-05-14 2010-05-14 아답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59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7539A (ko) 2017-01-24 2018-08-02 리엔창코리아(주) 전력 변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7539A (ko) 2017-01-24 2018-08-02 리엔창코리아(주) 전력 변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59689B2 (ja) コイル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JP5403073B2 (ja) 電力受電装置及び電力送電装置
US10224582B2 (en) Electrochemical secondary battery having inbuilt charging circuit
US10660243B2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including a heat-dissipation module
CN109586365A (zh) 无线充电装置
WO2012172930A1 (ja) 送電装置および電力伝送システム
US20150194816A1 (en) Electrically powered portable device
JP2012221572A (ja) 電池モジュール及び携帯端末
US20220338369A1 (en) Heat dissipation apparatus, circuit board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9667075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method using the same
US20210139145A1 (en) Control assembly and aircraft
KR20110125997A (ko) 아답터
US20190245430A1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KR101941773B1 (ko) 전원 어댑터 방열기구
KR20200138885A (ko) 방열 기능이 향상된 충전기
KR20170031594A (ko) 도전성 플레이트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CN107078515A (zh) 无线充电器
KR20120055345A (ko) 전원공급장치
CN105165128B (zh) 用于在顶帽式导轨上安装的电气组件
CN202818854U (zh) 一种防辐射塑胶外壳
WO2014049920A1 (ja) 電磁波伝播システム及び電磁波インターフェースコネクタ
CN211907760U (zh) 一种用于充电器的绝缘散热结构和充电器
CN216529676U (zh) 电源适配器
JP6009286B2 (ja) 電力変換装置
KR101412028B1 (ko) 전자파 차폐용 인서트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