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5962A - 유효성분으로 백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효성분으로 백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5962A
KR20110125962A KR1020100045621A KR20100045621A KR20110125962A KR 20110125962 A KR20110125962 A KR 20110125962A KR 1020100045621 A KR1020100045621 A KR 1020100045621A KR 20100045621 A KR20100045621 A KR 20100045621A KR 20110125962 A KR20110125962 A KR 20110125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pressure
extract
ethanol extract
ethanol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호
김인호
한대석
김영언
성기승
김병목
이현유
최준혁
이혜성
김덕일
백남인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45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5962A/ko
Publication of KR20110125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9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7Asclepiadaceae (Milkweed family), e.g. hoy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3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cleaning, e.g. washing or pee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5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e.g. chopping up, cutting or grin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7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drying, e.g. sun-drying or wil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ard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하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백하수오(Cynanchum wilfordii)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약학 조성물 및 백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압 강하 활성을 갖는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효성분으로 백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조성물{Composition for lowering blood pressure containing the ethanol extract of Cynanchum wilfordii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 백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백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은 혈압을 강하시키는 효능이 있어, 고혈압의 예방 및 치료뿐만 아니라, 고혈압으로 야기되는 합병증, 즉 뇌졸중, 동맥경화, 허혈성 심장질환 및 울혈성 심부전 등과 같은 각종 심혈관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건강식품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하수오는 크게, 마디풀과에 속하는 적하수오와 박주가리과에 속하는 백하수오로 나뉜다. 적하수오는 잎은 어긋나며 좁은 난형 혹은 심장형이고, 탁엽의 끝은 막질로 줄기를 둘러싼다. 꽃은 작고 많으며 밀집되어 가지가 여러 개인 원추화서에 달리고, 속에 작은 꽃이 2∼4송이 혹은 다시 여러 송이가 피고 꽃은 녹백색 혹은 백색이며, 길이는 6~15cm 가량이고 굵은 부분은 지름이 3~12cm가 되며 표면은 적갈색 또는 자갈색이고 가지런하지 않은 세로홈이 있으며 울퉁불퉁하고 양단에 뿌리의 흔적이 한 개씩 있다. 주산지는 중국의 하남, 호북, 귀주, 사천, 강소, 광서 등지에 분포하며 그 외 절강, 안징, 광동, 산동, 강서, 호남에서도 서식한다. 예로부터 간, 신을 보익하고 혈을 자양하며 풍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머리가 일찍 희어지는데, 허두, 눈앞이 아찔한데, 허리와 무릎 아픈데, 연약, 근골산통, 유정, 대량의 자궁 출혈, 붕루대하, 만성 학질, 만성 설사, 만성 간염, 옹종, 나력, 장풍, 치질에도 효능을 나타낸다. 또한, 백하수오는 원추형이고 길이 5 ~ 10 cm, 지름 15 ~ 35 mm이다. 바깥면은 회황색 ~ 황갈색이며 세로주름이 많고 질은 단단하다. 이 생약의 횡단면은 백색이며 현미경으로 보면 코르크층 아래 3 ~ 5층의 석세포환이 군데군데 끊어져 있다.
한편, 고혈압(hypertension)은 혈압이 정상 혈압보다 높게 유지되는 현상으로서,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 확장기 혈압이 90mmHg 이상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순환계 질환을 말한다. 통계에 따르면 선진국 성인의 약 20%가 고혈압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고혈압의 원인은 매우 다양한데, 아직 그 원인이 규명되지 않은 본태성 고혈압이 전체 고혈압 환자의 90∼95%를 차지하고 있으며, 당뇨병, 신장질환, 약물(예컨대, 싸이크로스포린 A) 복용 등에 의한 이차성 고혈압이 나머지 5%를 차지한다.
고혈압이 그 자체로서 질병인 것은 아니며 오히려 그것이 원인이 되어 유발되는 질병들 즉 고혈압 합병증이 치명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혈압이 장기간 지속되면 압력이 높은 혈관으로 혈액을 보내야 하므로 심장이 비대해지고 혈관도 혈액의 높은 압력을 견디어야 하므로 혈관이 비대해지면서 굳어지고 좁아지게 된다. 이러한 심장과 혈관의 변화에 따라 고혈압 합병증으로 심·혈관계, 뇌 및 신장 등의 장기 기능이 저하되고 심근 경색증, 동맥 경화증, 심부전증, 협심증, 신부전증, 중풍, 뇌출혈, 뇌경색, 눈과 다리의 혈관의 협착으로 인한 시력 장애나 다리의 통증 등이 발생한다고 알려지고 있다(Cowley, A.W.Jr. Long-term control of arterial blood pressure. Physiol. Rev. 72:231-300, 1992).
이에 본 발명자들은 혈압강하에 효과가 있는 성분을 개발하기 위해 계속 연구를 진행하던 중, 백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을 동물에게 투여할 경우, 혈압강하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혈압을 강하 시킬 수 있는 기능성 소재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으나, 부작용 등 안전성의 문제 때문에 많은 제약을 받고 있는 요즘, 천연물이면서 비교적 안전성이 높고 오랜 경험적 사실에 입각하여 사용되어 오고 있는 한방 소재인 백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백하수오(Cynanchum wilfordii)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백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압 강하 활성을 갖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백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은 혈압을 강하시키는 효능이 있어, 고혈압의 예방 및 치료뿐만 아니라, 고혈압으로 야기되는 합병증, 즉 뇌졸중, 동맥경화, 허혈성 심장질환 및 울혈성 심부전 등과 같은 각종 심혈관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LE5002 혈압 측정기 및 cuff, sensor 및 restrainer을 갖는 fake rat tail이다.
도 2는 백하수오 추출물을 먹인 쥐(SHR)의 몸무게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그룹은 표 1과 같다.
도 3은 5주 동안 백하수오 추출물을 먹인 고혈압쥐(SHR)의 심장 수축기의 혈압의 변화를 나타낸 그림이다. 그룹은 표 1과 같다. 데이터는 평균±표준오차를 나타낸다. a-b 도면에서 다른 첨자는 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의해 p<0.05 레벨에서 유의차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백하수오(Cynanchum wilfordii)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혈압 강하용 약학 조성물에서, 상기 백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70 ~ 90% 에탄올 추출물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에탄올 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혈압 강하용 약학 조성물에서, 상기 백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은 백하수오를 세척, 건조 및 분쇄하고, 70 ~ 90% 에탄올을 가해 초고속 진공 저온 추출기로 90 ~ 98℃에서 5 ~ 7 시간 동안 추출한 후 농축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백하수오를 세척, 건조 및 분쇄하고, 80% 에탄올을 가해 초고속 진공 저온 추출기로 95℃에서 6 시간 동안 추출한 후 농축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혈압 강하용 약학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02 내지 5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한 다양한 화합물 혹은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001 내지 1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백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압 강하 활성을 갖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혈압 강하 활성을 갖는 기능성 식품에서, 백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70 ~ 90% 에탄올 추출물이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에탄올 추출물이다.
또한, 본 발명은 혈압 강하 효과를 나타내는 백하수오 에탄올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혈압 강하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추출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추출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방법
1. 실험재료
실험에 사용된 하수오는 백하수오를 사용하였다. 하수오 시료는 완전히 마를 때까지 음건하고 Blender KA2610(Jworldtech, Korea)로 분쇄하였다. 분쇄된 분말시료 2 kg에 80% 에탄올을 1:10 비율로 첨가하여 COSMOS-660 초고속 진공 저온 추출기(kyungseo, Korea)에서 끓기 시작한 시점을 기준으로 6시간 동안 95℃에서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80℃에서 감압 농축하여 시험시료로 사용하였다.
2. 실험동물
실험동물은 7주령의 수컷 SHR(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 50마리를 (주)오리엔트 바이오에서 구입하여 1주일간 일반식이로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동물 사육실의 온도와 습도는 각각 22±0.5℃, 55±5%로 조절하였고, 명암 12시간 주기 조명아래에서 안정시키면서 1주일간의 순화기간을 거쳐 실험에 사용하였다. 1주일 적응기간을 거친 쥐(평균 체중 230±2.8 g)를 그룹별로 분류(난괴법;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하였고, 5주간 실험 식이를 급여하였다.
3. 실험식이
실험군은 정상식이군 (Ⅰ), 0.5% 백하수오 투여군(Ⅱ), 1% 백하수오 투여군(Ⅲ) 모두 3군으로 분류하였고(표 1), 군당 10마리의 흰쥐를 난괴법으로 배치하여 해당 사료를 일주일에 400g씩 급여하여 자유 섭취하도록 하였고, 물은 미세여과기를 이용하여 필터링된 지하수를 자유 섭취시켰다. 일일 사료 섭취량은 일주일 간격으로 섭취량을 조사하여 식이섭취량(g/day)을 산출하였으며, 체중은 1주에 한 번 측정하여 체중증가량(g/day)로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Ⅰ: 대조구 (대조구 식단은 AIN-93M 정식에서 요구량을 만족시킨다), Ⅱ: 0.5% 백하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실험 식이 (식단의 5g/kg), Ⅲ: 1% 백하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실험 식이 (식단의 10g/kg)
4. 혈압측정
혈압은 주 1회 측정하였으며 홀더에 쥐를 넣은 다음 꼬리정맥에 측정센서가 달린 cuff를 장착하고 37℃로 조절된 항온상자에서 10분 정도 안정시킨 후 수축기 이완기 혈압을 혈압 측정기(도 1, LE 5002 storage pressure meter, LSi Letica, Spain)를 이용하여 5회 반복 측정하였다.
5. 해부 및 장기적출
실험식이로 5주 사육 후 쥐를 12시간 절식시키고, 안와동맥에서 채혈한 후 경추 탈골시켰다. 혈액은 1시간 냉장보관 후 4℃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3000 rpm, desk-top centrifuge Hanil Sci. Ind., Seoul, korea) 혈청을 분리했고, 일부는 EDTA를 처리하여 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분리하였다. 그리고 간 조직과 신장, 비장을 채취하여 생리식염수로 씻은 다음 표면의 수분을 완전히 제거시킨 후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간 조직의 일정량을 절개하여 조직 검사를 실시하였다.
6. 혈액의 생화학적 분석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트리글리세리드(triglyceride), LDL/HDL-콜레스테롤(LDL/HDL-cholesterol) 등 지질성분 분석과 간의 손상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아미노산 전이효소인 AST, ALT 활성은 원심분리를 통해 얻은 혈청으로 자동혈액분석기(ADVIA 1650, Bayer Co., Japan)와 정량용 키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항혈전 활성은 TT(Thrombin time), aPTT(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를 Coagulation machine(STA R Evolution, STAGO, France)과 정량용 키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7. 통계처리
실험결과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sion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실험군의 평균±표준오차로 표시하였고, 일원배치분산분석으로 비교하였으며 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의해 각 실험군 간에 유의성을 p<0.05 수준에서 검정하였다.
실시예 1. 백 하수오 섭취에 따른 쥐의 식이섭취량 , 체중증가량 및 식이효율
식이섭취량, 체중증가량 및 식이효율은 다음 표 2와 같다. 정상식이 대조군인 Ⅰ군의 일일평균체중변화량은 2.05 g/day로 증가하였고, 평균사료섭취량은 18.21 g/day이었다. Ⅱ, Ⅲ군은 1.63 g/day, 1.98 g/day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Ⅱ군의 체중이 대조군에 비해 적은 이유는 식이섭취량 감소와 다른 군보다 식이 효율이 낮다는 것이 우선적인 원인이 되었을 것으로 보여진다.
각각의 실험식이로 5주간 사육한 고혈압 흰쥐의 주(week)별 체중증가 정도는 도 2와 같다. 0.5% 백하수오(Ⅱ)의 경우 정상대조군과 비슷한 경향으로 체중이 증가하였으나 4주째에는 체중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 백하수오(Ⅲ)의 경우에는 변동 폭이 거의 일정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pat00002
1) Ⅰ: 정상식이, Ⅱ: 정상식이+0.5% 백하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실험 식이, Ⅲ: 정상식이+1% 백하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실험 식이
2) 값은 평균±표준오차를 나타낸다(n=10).
3) FER : Food efficency ratio
4) 같은 컬럼에서 같은 첨자는 Duncan's test에 의해 5% 레벨에서 유의적이지 않다.
실시예 2. 백하수오 섭취에 따른 쥐의 혈압측정
SHR은 생후 7주부터 혈압이 상승하여 13주령이 되면 수축기 혈압이 200 mmHg 이상을 유지하는 백서로 혈압 증가 원인이 불분명하여 사람의 본태성 고혈압의 기전 연구에 많이 활용되어 왔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생후 7주령된 SHR에 5주 동안 하수오 추출물을 식이로 섭취 시킨 결과, 대조군에서는 거의 일정하게 혈압이 유지되는 경향을 보이다가 5주차에는 다시 증가한 반면에 백하수오 0.5% 투여군(Ⅱ)은 초기혈압에서 떨어지는 경향을 보이다가 2주째에 혈압이 상승했다가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백하수오 1% 투여군(Ⅲ)은 일정하게 혈압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리고 백하수오 추출물을 섭취시킨 군에서 2주차부터 유의적으로 체중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백하수오 추출물을 섭취시킨 군 모두는 대조군에 비해 크게 혈압을 낮추어 주는 결과를 나타내었다(도 3). 따라서 백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은 선척적으로 고혈압을 나타내는 SHR 쥐에 있어 혈압을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실시예 3. 백하수오 섭취에 따른 쥐의 장기무게
각각의 식이를 급여한 SHR을 실험종료 전 12시간 동안 절식시킨 후 측정한 장기무게는 표 3과 같다. 간장 무게는 대조군(Ⅰ) 2.52 g, 백하수오 1%군(Ⅲ) 2.61 g으로 유의한 수치를 나타냈고 백하수오 0.5%군(Ⅱ)은 2.80 g으로 유의적으로 더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p<0.05). 신장의 무게는 3군 모두 0.66 ~ 0.77 g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치를 나타냈다(p<0.05).
본 발명에서 체중 100 g으로 환산한 장기 무게는 백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을 섭취한 실험군에서 비장무게를 제외하고 유의적인 결과를 보였는데, 이는 실험군간 식이섭취량의 차이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Figure pat00003
1) Ⅰ: 정상식이, Ⅱ: 정상식이+0.5% 백하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실험 식이, Ⅲ: 정상식이+1% 백하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실험 식이
2) NS : Not significant
3) 값은 평균±표준오차를 나타낸다(n=10).
4) 두개의 신장을 의미한다.
5) 같은 컬럼에서 다른 첨자는 Duncan's test에 의해 p<0.05에서 그룹간의 유의차를 나타낸다.
실시예 4. 백하수오 섭취에 따른 쥐의 혈청 중 AST , ALT 활성측정
혈청 중의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alanine aminotransferase) 활성은 표 4에 나타내었다. AST와 ALT는 생체내 아미노산을 합성하는 효소로서 여러 장기세포에 존재하지만 그 중 간에 가장 많은 양이 존재하고 간 손상의 지표로 널리 사용되는 효소이다. 그 유출 과정은 세포내의 에너지 공급이 감소되어 세포내의 K+이온이 세포외로 유출되면 NA+, CA2 + 및 수분이 세포내로 유입이 된다. 그 결과 세포는 팽창되고 세포막이 늘어나게 되어 세포질에 존재하는 AST와 ALT가 유출된다. 그러므로 혈청 중 AST와 ALT 등의 증가는 간독성으로 인한 간세포의 괴사와 간조직의 파괴가 진행됨을 의미하므로 혈중에 이들 효소의 유리정도를 측정하여 간독성 연구에 이용하고 있다.(Plaa GL. 1994. Hayes AW, ed. Taylor & Francis, Philadelphia, USA. p 839-870). 표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AST는 대조군(Ⅰ)이 133.90 U/L인데 비해서 0.5%, 1% 백하수오군은 124.44 U/L, 133.50 U/L로 대조군 보다 낮게 나타났다. ALT의 경우에는 대조군(Ⅰ)이 40.30 U/L인데 비해서 0.5%, 1% 백하수오는 41.00 U/L, 45.63 U/L로 대조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백하수오는 대조군과 유의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차후 추출물의 투여기간을 늘려 구체적인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Figure pat00004
모든 데이터는 평균±표준오차를 나타낸다.
컬럼에서 다른 문자는 Duncan’s multiple test에 의해 평가된 유의적인 다른 값을 나타낸다(p < 0.05).
실시예 5. 백하수오 섭취에 따른 쥐의 혈청 내 혈당 및 지질 수준
백하수오를 첨가한 식이를 투여한 흰쥐의 혈청 중 글루코스, 총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리드, LDL 및 HDL 콜레스테롤 함량을 나타낸 결과는 표 5와 같다. 글루코스의 경우 대조군(Ⅰ)은 85.20 mg/dL에 비해서 0.5%, 1% 백하수오군(Ⅱ, Ⅲ)은 각각 81.11 mg/dL, 83.33 mg/dL로 대조군에 비해서 낮게 나타났다. 정상 흰쥐의 혈중 총 콜레스테롤량은 20~92 mg/dL 인데 모든 군은 정상 수치로 나타났다. 하지만 0.5% 백하수오 섭취군과 1% 백하수오 섭취군은 각각 50 mg/dL, 56 mg/dL로 대조군과 유의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HDL 콜레스테롤 또한, 백하수오를 섭취한 군에서는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LDL 콜레스테롤은 백하수오를 섭취한 군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정상 흰쥐의 혈중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은 27~108 mg/dL이며 백하수오 섭취군 모두 정상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경향을 나타냈다. 총 지질 함량은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pat00005
모든 데이터는 평균±표준오차를 나타낸다.
컬럼에서 다른 문자는 Duncan’s multiple test에 의해 평가된 유의적인 다른 값을 나타낸다(p < 0.05).

Claims (5)

  1. 백하수오(Cynanchum wilfordii)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압 강하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은 70 ~ 90%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 강하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은 백하수오를 세척, 건조 및 분쇄하고, 70 ~ 90% 에탄올을 가해 초고속 진공 저온 추출기로 90 ~ 98℃에서 5 ~ 7 시간 동안 추출한 후 농축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 강하용 약학 조성물.
  4. 백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압 강하 활성을 갖는 기능성 식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은 70 ~ 90%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KR1020100045621A 2010-05-14 2010-05-14 유효성분으로 백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조성물 KR201101259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621A KR20110125962A (ko) 2010-05-14 2010-05-14 유효성분으로 백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621A KR20110125962A (ko) 2010-05-14 2010-05-14 유효성분으로 백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962A true KR20110125962A (ko) 2011-11-22

Family

ID=45395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621A KR20110125962A (ko) 2010-05-14 2010-05-14 유효성분으로 백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596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36388B1 (en) Composition for increasing the bioavailability of saponin
WO2006073265A1 (en)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gramineae plant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schemic diseases and degenerative brain diseases and the use thereof
KR101464337B1 (ko) 고욤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JP4686173B2 (ja) ポリフェノールおよび/またはビタミンcを含有するアセロラ処理物
CN113164541B (zh) 含有西洋接骨木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男性更年期综合症的预防用、治疗用或改善用组合物
US20070003685A1 (en) Prostacyclin production-increasing agent and blood flow enhancer
KR102099147B1 (ko) 어수리 지하부 및 사상자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06094450A1 (fr) Medicaments et aliments pour le traitement ou la prevention de l&#39;obesite et/ou du diabete contenant de l’extrait de cicer arietinum
KR101326870B1 (ko) 천연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급성신부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972941B1 (ko) 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125958A (ko) 유효성분으로 백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용 조성물
KR102014922B1 (ko) 감초 유래 글라블리딘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화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20115471A (ko) 돌콩의 열처리 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110125962A (ko) 유효성분으로 백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조성물
KR101059075B1 (ko) 비파엽 추출물을 함유한 알코올성 간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JP2009126814A (ja) 高尿酸血症の予防または改善剤
KR20110125961A (ko) 유효성분으로 적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압 강하용 조성물
KR20080088163A (ko) 호장근 분획물을 함유하는 신경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
KR100538983B1 (ko)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
KR20110125960A (ko) 유효성분으로 백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전 감소용 조성물
KR20110125959A (ko) 유효성분으로 적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전 감소용 조성물
KR102236685B1 (ko) 단삼 또는 작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2586451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or alleviating hangover comprising extracts of Sophora flavescens
KR100547558B1 (ko) 산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염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1052067B1 (ko) 산채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