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4916A - 생약식물 복합추출액을 함유하는 아토피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 - Google Patents

생약식물 복합추출액을 함유하는 아토피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4916A
KR20110124916A KR1020100044373A KR20100044373A KR20110124916A KR 20110124916 A KR20110124916 A KR 20110124916A KR 1020100044373 A KR1020100044373 A KR 1020100044373A KR 20100044373 A KR20100044373 A KR 20100044373A KR 20110124916 A KR20110124916 A KR 20110124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erbal
skin
cosmetic composition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4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식
김기환
이유리
Original Assignee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4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4916A/ko
Publication of KR20110124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491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5Linaceae (Flax family), e.g. Lin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2Nymphaeaceae (Water-lily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약식물 복합추출액을 총중량에 대하여 0.1 ∼ 3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인체에 안전한 천연 생약재인 마카, 타마린드, 연자육, 아마씨, 참다래로부터 얻은 예비 생약식물 복합추출물에 아마씨 오일 추출액을 혼합한 생약식물 복합추출액을 배합한 것으로써, 항균 및 보습효과, 피부막 보호 효과뿐 아니라 면역세포 생육활성 증진 효과 및 피부 1차 자극 후 홍반완화 효과가 우수한 생약식물 복합추출액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약식물 복합추출액을 함유하는 아토피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herbextracts mixture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effect}
본 발명은 생약식물 복합추출액을 함유하는 아토피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아토피성 피부염 관련 가려움증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인체에 안전한 천연 생약재인 마카, 타마린드, 연자육, 참다래, 및 아마씨로부터 얻은 생약식물 복합추출액을 배합함으로써, 항균 및 보습효과, 피부막 보호 효과뿐 아니라 면역세포 생육활성 증진 효과 및 피부 1차 자극 후 홍반완화 효과가 우수한 생약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생약식물 복합추출액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알러지는 그리스어인 “allon argon"에서 유래되었는데 ‘정상에서 벗어나 다르게 반응하려 하는’이란 의미이며 1910년 뷔르케란 소아과 의사가 책에 쓴 제목으로 사용된 용어로 사람의 변화된 반응능력(changed action)을 의미하는 것이다. 알러지의 경우에는 이물질이 실제로 크게 해롭지 않은 것인데도 과잉면역반응을 일으킨 결과로 우리 몸에 여러 가지 증상들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즉, 외부 침입자가 해롭지 않은 것인데 해로운 것으로 착각하여 과잉반응이 나타나는 것이다. 알러지는 .Coombs and Gell에 의한 분류법에서 기본적으로 Ⅰ∼Ⅳ형으로 분류된다. 그 중에서도 Ⅰ형 알러지는 ”즉시형“알러지라고 말하고 아토피성 질환 등을 일으킨다. 또, Ⅳ형 알러지는 ”지연형“ 알러지라고 말한다. 이 중 알러지 Ⅰ형은 과도한 면역 반응에 의해 일어나는 것으로 IgE 항체에 의한 히스타민 매개반응이 대표적이며 크게 천식, 알러지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과민증으로 나뉘는데, 4가지 질환 중 피부에 관련된 것은 아토피성 피부염이다.
“Atopy"란 용어는 1923년 Coca가 처음 기술하였으며, a(no)+top(place)+y(ness)로 ”이상한“ 또는 ”부적절한“이란 의미로 음식물이나 흡입물에 알러지를 쉽게 일으키는 유전적 성향이 있는 체질을 지칭한다. 말 그대로 다양한 원인이 복잡하게 뒤엉켜 발병하고 완화와 재발을 반복한다. 원인이 복잡하고 다양하다는 것은 그만큼 치료가 어렵다는 것을 뜻한다. 아토피는 아토피 소인을 가지고 있는 개인에서 피부, 호흡기 점막, 안점막, 장점막 등에 나타나는 일련의 알레르기 증상을 말하며 이러한 아토피 소인은 뉴전되어 가족력으로 나타난다. 아토피 소인에 의한 알러지 질환으로 알레르기 피부염,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 알레르기성 결막염, 아토피 피부염 등이 있으며 이들 질환은 단독 또는 여러 질환이 동시에 나타날 수 있다.
아토피는 아토피 유발인자를 가지고 있는 개인에서 피부, 호흡기 점막, 안점막, 장점막 등에 나타나는 일련의 알러지 증상을 말한다. 아토피 유발인자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집먼지, 진드기, 동물의 털, 음식물, 꽃가루, 곰팡이 등과 같이 자주 외부환경에서 접하는 단백물질에 대한 피부반응검사에서 흔히 두드러기 반응을 나타내고, 특정한 단백물질을 먹거나 흡입할 때 가려움증, 피부발작, 두드러기, 혈관부종, 재채기, 콧물, 코막힘, 결막충혈, 눈물,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이러한 아토피 유발인자는 유전되어 가족적으로 나타낸다.
아토피 알레르기의 메카니즘을 보면 알레르겐이 각질층을 통해 침입해서 표피세포에까지 이르게 되면 백혈구의 일종인 대식세포가 이를 포식하여 조각조각 분해시키게 된다. 침입한 알레르겐의 양이 많아 대식세포가 다 처리하지 못할 경우에는 미처 처리하지 못한 알레르겐의 존재에 대한 정보를 같은 백혈구의 일종인 T세포(면역 촉진과 억제의 조절 기능을 말고 있다)에 보내주고 T세포는 그 정보를 다시 백혈구의 일종인 호산구(호산성 백혈구)에 전하여 혈중에 널리 분포된 호산구를 알레르겐이 침입한 장소로 불러 모으게 된다. 이때 환부에 집적(모려 쌓임)된 호산구가 화학전달물질(활성산소)을 과잉으로 방출시켜 염증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알레르기 반응의 원인이 된다.
아토피 피부염(태열)의 증상은 심한 가려움증을 가지며, 급성기에는 피부가 가렵고, 붉어지거나 붓거나 좁쌀처럼 돋아 오르거나, 작은 물집이 잡히거나 습하고 딱지가 앉거나 하며, 만성기에는 가렵고, 피부가 딱딱하거나 두꺼워지거나 줄이 가거나 쌀가루 같은 비늘이 앉거나 검어지거나 또는 희게 탈색되거나 하는 모양을 보인다. 대개 아토피 피부염은 흔히 태열이라 부르는 영아기 습진으로부터 시작한다.
이러한 아토피 피부를 개선하기 위하여 원칙적으로 피부를 청결히 하여 항원으로 작용할 수 있는 물질을 제거하고 피부장벽기능을 강화하여 건조화로부터 피부를 지키기 위하여 부족한 세포간지질 성분인 세라마이드(ceramides)를 공급하며 각질층에 자극을 주지 않도록 물리적 자극을 피하는 방법을 사용해 왔다. 또한 아토피 피부를 개선하기 위해 상기의 세라마이드 외에 공지의 리놀레인산, 식물유 또는 광물성 오일 등의 성분들, 하이드로코티손(hydrocortisone)과 같은 스테로이드(steroid) 제제 또는 특정의 단일 식물추출물을 일반적인 유화제품의 처방에 함유시키거나 인지질 성분인 레시틴(lecithin)을 이용하려 리포좀(liposome) 형태로 만들어 피부 각질층에 공급함으로써 보습효과 및 수분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오일막을 만들어주고 세균 오염 등을 막아주기 위해 항균항염 기능의 성분을 강화한 피부외용제 또는 화장료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방법들은 아토피 피부의 예방과 치료에 있어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고 있으나, 효과적인 측면이나 피부안전성 측면에 있어서 아직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아토피 피부용 외용제에 사용되는 스테로이드제의 사용은 표피의 성장억제나 부작용 등의 역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우레아 퍼록사이드 등은 피부의 자극성과 또 다른 접촉성 피부염의 우려가, 항히스타민제와 같은 항생물질은 내균성의 발생과 광과민 작용의 가능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공지의 상기생, 합환피, 창이자, 맥아, 쑥 등 종래의 동양 약재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에 유효한 화장료 조성물은 심한 소양증상(가려움증)이 해소되지 않아 계속 손으로 긁어대므로 증세의 악화가 줄어들지 않는 등 그 효능에 있어서 미미하거나 유효한 효과는 인정하지만 민감한 아토피 피부에 대해서는 경우에 따라 알레르기 과민반응을 보이는 경우도 있어 그 사용범위가 다소 한정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세라마이드에 의한 피부 장벽의 보습 물질 강화로만은 아토피 피부의 다양한 피부 병증을 완전히 해소하기엔 역부족이다. 그 외에 일반적인 아토피 피부용 제품에 들어가 있는 계면활성제, 향료, 알코올 등은 보호 능력이 약한 아토피 피부에는 쉽게 흡수되어 가려움을 촉진하고 아토피를 악화시킬 위험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질층의 수분손실에 의한 건조화를 막기 위해 세라마이드와 같은 보습제를 이용한 강한 보습막과 표피조직이 각화되는 것을 막아주는 각화방지제, 아토피성 피부염 관련 2차 세균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 오염된 세균을 부작용없이 지속적으로 없애주는 항균항염성분, 표피조직을 정상적으로 만들어주는 피부재생촉진에 의한 표피조직회복제, 더 나아가 확실한 항소양제재 등이 동시에 사용되어져야 하는 대안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아토피의 특성으로 볼 때, 아토피 치료제의 필수 사항으로 항균효과, 보습효과, 항염효과, 피부막 보호 효과뿐 아니라 면역세포 생육활성 증진 효과를 지닌 물질의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마카(Lepidium meyenii Walp)는 페루의 안데스의 고지를 원산으로 하는 십자화과의 식물로 잎이 지면을 따라 뻗어나가듯이 넓게 생육 되고, 그 뿌리는 순무와 같은 형태를 하고 있는 식물이다. 안데스 지방에서는 마카를 거의 2천년 이상 전부터 재배되고 있고, 건강 유지를 위한 식품으로서 식용되어 온 식물이다. 마카의 효능에 관해서는 예로부터 활력 재생, 자양강장에 효과가 있고, 또한 항암작용이나 성기능 개선 작용을 나타내는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미국특허 제 6267995호 공보). 또한 사슴의 뿔(antler)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인체 중의 테스토스테론 농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갖는 조성물이 나타내어지고 있다(일본공표특허공보 2003-523945호). 또한 마카의 항담증 작용이나 항알레르기제로서의 가능성이 기대되는 취지의 보고도 있다. 그러나 이를 이용한 화장료사용, 그것도 복합 추출액을 이용하는 사례는 찾을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경시적 안정성이 우수하고 피부 부작용이 적으면서 아토피 피부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천연 약용 식물 자원에서 탐색하던 중 생약 추출 혼합물 즉, 마카, 타마린드, 연자육, 아마씨, 참다래 추출물로 이루어진 생약식물 복합추출액에서 항염증, 보습, 피부세포 활성촉진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가 우수하며, 천연추출물로써 안정성 및 피부에 대한 안전성도 뛰어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토피의 원인과 증상으로 알려져 있는 각질층의 세포간지질의 감소에 따른 각질층의 수분유지기능 저하와 피부 건조, 피부장벽 기능 저하에 대해 강한 보습기능과 표피조직이 각화되는 것을 막아주는 각화방지제, 아토피성 피부염 관련 2차 세균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 오염된 세균을 부작용없이 지속적으로 없애주는 항균항염성분, 표피조직을 정상적으로 만들어주는 피부재생 촉진기능 및 아토피 피부 개선효과가 탁월한 화장료조성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인체에 안전한 천연 생약재인 마카, 타마린드, 연자육, 아마씨, 참다래 등으로부터 얻은 생약식물 복합추출액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 30.0중량%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생약식물 복합추출액을 함유하는 화장료로써, 항균 및 항진균 효과, 보습효과뿐 아니라 면역세포 생육활성 증진 효과 및 피부 1차 자극 후 홍반완화 효과가 우수한 생약식물 복합추출액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마카(Lepidium meyenii Walp)는 페루의 안데스의 고지를 원산으로 하는 십자화과의 식물로 잎이 지면을 따라 뻗어나가듯이 넓게 생육 되고, 그 뿌리는 순무와 같은 형태를 하고 있는 식물이다. 안데스 지방에서는 마카를 거의 2천년 이상 전부터 재배되고 있고, 건강 유지를 위한 식품으로서 식용되어 온 식물이다. 이 마카의 주성분은 다당류, 단백질 등이고 또한, 아미노산이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체내에서 합성할 수 없어 식품으로 섭취할 필요가 있는 필수아미노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그 외에도 각종 비타민(비타민 B군, C, E 등)이나 미네랄 (칼슘, 철, 아연 등) 등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페루에서는 마카를 사용한 식품이 몇십 품목에나 이른다. 그 중에서도 마카를 넣은 쿠키나 쥬스, 마카주를 비롯하여 마카의 분말을 요구르트에 뿌려서 먹기도 하는 등 건강 유지용의 식품으로서 많은 사람들에게 친숙해져 있는 식물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연자육은 수련과 (Nymphae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수생식물 연꽃 (Nelumbo mcifera Gaertner)의 성숙한 열매의 껍질 부분을 제거한 종자로서 맛은 달며, 성질은 평이하다. 연밥 혹은 연자로 불리우며 예로부터 한방 및 민간에서 약재 혹은 식용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연꽃은 사용부위에 따라 명칭을 달리하는데 잎은 하엽, 뿌리는 우절, 과방은 연방, 압술은 연수, 종자 안의 녹새 배아를 연자심이라 한다. 연자육은 한방에서 주로 지혈, 어혈제거, 해혈, 토혈, 혈뇨, 혈변을 치료하는데 사용되고 있으며, 지사, 이뇨, 해열, 항균 및 항당뇨, 항산화 등의 효능이 있다. 연자육의 주요 성분으로는 nuciferine, N-nornuciferine, O-nornuciferine, roemerine등의 aporphine계 alkaloid와 liensinine, isoliensinine, neferine 등의 phenolic alkaloid 및 (+)-1(R)-coclaurine, (-)-1(S)-norcoclaurine 등 benzylisoquinoline alkaloid 성분들이 있으며, 그밖에 (+)-catechin, (+)-gallocatechin, quercetin, kaempferol 등의 flavonoid 화합물 및 tryptophan, asparagine, tyrosine 등 amino acid 성분들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타마린드 종피는 콩과에 속하는 식물인 타마린드(Tamarindus indica L.) 종자의 껍질부분이다. 타마린드 과실은 곤봉형상의 자갈색의 협과로서 약간 만곡하고, 길이 7∼20cm, 폭 1.5cm 정도이며, 과실의 껍질은 얇으면서 약하고, 그 안에 부드러운 대갈색의 과육이 있고, 그 안에 갈색이며 광택이 있는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는 길이가 약 1∼1.5cm, 두께가 약 4mm 정도의 편평한 사변형상을 띠고 있다. 타마린드 과육은 달면서 신맛이 있고, 생식 외에 스파이스(spice)로 식품에 첨가되며, 또한 과육을 모아서 갈고, 과육을 갈을 것에 스파이스를 첨가하여 카레에 곁들이는 것으로 사용되는 쳐트니(chutney)로 하거나 또는 물에 과육을 갈은 것을 녹여서 설탕을 첨가하여 음료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종자 안에는 배젖부가 있고, 배젖부에 크기 약 40∼80㎛인 세포의 덩어리로서 다당류가 함유되어 있으며, 배젖부는 증점 안정제나 겔화제, 호소로 사용되는 타마린드 검(tamarind gum) 혹은 타마린드시이드 검(tamarind seed gum)으로 널리 식품 제조용에 사용되고 있다. 타마린드는 그 과육이 항괴혈병약, 해열제, 진통제, 항류마티스약, 치칠치료약 등으로 종자가 적리 치료약으로, 꽃과 잎이 목욕제 등의 민간약으로 사용되어 왔지만, 지금까지 종피는 항비만제 그리고 당질분해 소화효소 저해제, 혈당상승 억제제, 단당흡수 억제제, 콜산 흡착 배설 작용제, 콜레스테롤 저하제, 혈중 트리글리세리드 저하제 및 리파아제 저해제로서는 사용된 일이 없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키위(Actinidia chinensis YANGGAO)는 일본, 중국 및 우리나라 각 지방의 산지 해발 100-1600m지역 수림 하에 자생한다. 다래라고도 불리며 과수농가에서 재배하는 열매가 큰 것은 참다래 또는 양다래라고 한다. 길이가 7m에 달하고 줄기의 골속은 갈색이며 계단 모양이고, 어린 가지에 잔털이 있으며 피목이 뚜렷하다. 열매는 난상원형으로 10월에 황록색으로 익으면 맛이 좋다. 키위에는 Vit. C, A, 칼슘, Vit. E, 섬유질, 칼륨 등이 함유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Vit. C의 함량이 높아 저항력을 높여주며, 혈관의 노화방지 및 스트레스 해소에 큰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마씨(Linum Usitatissium(Linseed) Seed)는 추운 겨울 고산지대에서 자라는 특성이 있다 보니, 생육 기간이 100일이 넘지 않고, 토양의 양분을 흡수하기 위해 최대 지하 4미터까지 뿌리를 내릴 만큼 강한 생명력을 가지고 있다. 아피게닌, 베타-카로텐, 베타-시토스테롤, 캄페스테롤, 클로로겐산, 시클로아르테놀, 레시틴, 루테올린, 미리스트산, 스쿠알렌, 스티그마스테롤, 바이렉신, 아미노산, 칼슘, 필수 지방산, 철, 마그네슘, 망간, 인, 칼륨, 황, 바나듐, 아연, 비타민 B1, B2, B3, B5, E등 수많은 영양성분들이 있으며 그 중 함유량이 높고 가장 중요한 3가지 성분들은 식이섬유와 오메가-3 지방산, 식물성 phytochemical인 리그난이다. 특히 아마씨 속에는 불포화 지방이라고 불리는 리놀레산(linoleic acid), 리놀렌산(linolenic acid)이 많이 들어있다. 아마씨 안의 지방 성분의 특이점은 식물임에도 불구하고, 생선이나 동물에 많은 불포화 지방(오메가-3)의 함유량이 월등히 많이 함유하고 있다. 아마씨의 오메가-3라고 불리우는 불포화지방산은 우리 몸안의 지방대사를 관장하고 혈관벽을 튼튼히 하며, 중성지방을 몸 밖으로 배출하여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염증과 통증을 완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뇌와 망막의 재료가 되고, 뇌의 활동 에너지 역할을 하는 DHA를 합성하는 원료가 된다. 불포화지방산은 혈소판의 응집을 억제하여 혈전형성을 막는 효과가 있어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을 줄여 준다. 아마씨에 들어있는 오메가-3의 특징은 자연식품이며, 식물성이어서 안전성과 흡수율이 좋아 동물성 오메가-3에 비해 안전하고 효율이 높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아마씨는 오메가-4 지방산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는데, 생선에도 많이 들어있는 오메가-3 지방산의 유방암 억제효과는 지구상에서 오메가-3 지방산이 가장 많이 함유된 식사를 하는 그린란드의 에스키모 여성들이 유방암에 전혀 걸리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아마씨유에는 에스트로겐 효과가 없고 아마씨를 섭취하였을 때 에스트로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마카, 타마린드, 연자육, 참다래를 혼합 추출한 예비 생약식물 혼합추출액을 사용하며, 이에 아마씨 추출액을 별도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아마씨 오일 형태의 아마씨 추출액은 Ningbo Honor Chemtech Co., Ltd 회사에서 제공하는 원료를 사용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생약식물 복합추출액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마카, 타마린드, 연자육, 참다래를 각각 10∼20 중량부, 10∼20 중량부, 15∼25 중량부, 20∼30 중량부 비율로 혼합하고, 이에 추출용매를 첨가한다.
상기 비율은 각 생약식물의 효과가 골고루 나타날 뿐 아니라 최대의 상승 효과가 나타나는 범위로 상기 비율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상기 효과의 균형이 깨어지게 된다.
상기 생약 식물들의 추출용매로는 메탄올, 이소프로필알콜, 프로필렌글라이콜, 에탄올 등의 알콜류, 정제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방부 효과가 있으며 식물성 다당류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30% 알코올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이를 50∼60℃에서 4∼6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재차 70∼80℃에서 6∼8시간 동안 가열하면서 40kHz 진동수 영역의 초고주파 감압하에 추출 및 여과시켜 추출액을 얻는다. 이를 다시 감압 농축 플라스크에서 600∼900mmHg의 압력으로 고형물의 농도가 20∼30%가 되게 농축한 후, 원적외선 처리를 한다. 상기 원적외선 처리는 104∼106nm 파장의 원적외선이 방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맥반석 용기에서 24시간 방치하여 원적외선을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원적외선 방사 맥반석 용기에서 숙성시키는 등의 원적외선 처리 과정을 거침으로써 유효성분의 활성도를 증가시켜 방부 및 원료의 안정성, 피부안전성(높은 피부 친화성에 기인한 피부 자극 완화 효과)에 있어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얻어진 예비 생약식물 추출액에 아마씨 오일추출액을 동량으로 혼합하여 사용하여,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에센스 등의 아토피 피부 개선 관련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으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 3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중량% 미만으로 첨가하면 효능 정도가 매우 미미하며, 30.0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그 효능이 그리 증대되지 않기 때문에 비 효율적이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 제조예, 시험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비교예 1]
(아마씨 오일 추출물의 제조)
Ningbo Honor Chemtech Co., Ltd 회사에서 제공하는 원료를 사용한다.
[ 비교예 2∼5]
(생약 식물 추출액의 제조)
피부에 유효한 효능을 갖는 생약 식물인 마카, 타마린드, 연자육, 참다래의 추출액(생약식물 추출액)을 하기의 방법에 따라 각각 제조하였다.
우선, 상기 각 생약 식물을 중량의 변화가 없을 때까지 음건한 후, 각 200g을 5∼40메쉬로 분쇄하였다. 각 분쇄물에 30% 알코올 수용액을 6배량(1,200g) 가한 다음, 수욕조 5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재차 수욕조 75℃의 높은 온도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하면서 40kHz 진동수 영역의 초고주파 감압하에서 추출하고, 400메쉬의 체로 여과하였다. 이를 다시 감압 농축 플라스크에서 600∼900mmHg의 압력으로 고형물의 농도가 30%정도가 되게 농축하고, 맥반석 용기에서 24시간 방치하여 생약식물 추출액(60g)을 각각 제조하였다.
(생약 식물 복합 추출액의 제조 1)
마카, 타마린드, 연자육, 참다래를 중량의 변화가 없을 때까지 음건한 후 각각 5∼40메쉬로 분쇄하였다. 분쇄한 생약제를 각각 40g, 40g, 60g, 60g 혼합하여 200g을 얻었다. 이를 30% 알콜용액 1200그람의 추출용매에 첨가하는 일련의 이하 과정을 상기 비교예 2∼6 과정와 동일한 과정으로 수행하여 생약식물 복합 추출액(60g)을 제조하였다.
(생약 식물 복합 추출액의 제조 2)
마카, 타마린드, 연자육, 참다래를 중량의 변화가 없을 때까지 음건한 후 5∼40메쉬로 분쇄하였다. 분쇄한 생약제를 각각 50g, 50g, 50g, 50g 혼합하여 200g을 얻었다. 이를 30% 알콜용액 1200그람의 추출용매에 첨가하는 일련의 이하 과정을 상기 비교예 2∼6 과정와 동일한 과정으로 수행하여 생약식물 복합 추출액(60g)을 제조하였다.
[시험 예]
(시험예 1) 항염증 효과 측정
본 추출물에 대한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마우스 좌측 귀를 대조부위, 우측 귀를 시험부위로 하여 시료를 적용 전 에탄올로 귀를 깨끗하게 세척하고 시료 20㎕를 1일 1회 4일간 지속적으로 도포하고 마지막 도포 1시간 후에 좌측 귀에 에탄올을, 우측 귀에는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을 2㎎/ear을 도포하여 1시간 후 귀의 부종(ear ede ma)정도를 마이크로미터로 양쪽 귀를 3회씩 반복 측정하였다.
항염효과는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처리군을 기준으로 부종억제 정도로 판정하였으며 이는 다음 수학식(억제율)로 계산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억제율(%)={(A-B)×100/A}
A: 대조군 귀의 평균두께(아라키돈산 처리 귀의 두께-비처리 귀의 두께)
B: 시료도포군 귀의 두께(시료처리 귀의 두께-비처리 귀의 두께)
시 료 농도(%) 용매 귀두께(㎛) 억제율(%)
시료처리 전 시료처리 후
아라키돈산 2㎎/ear 에탄올 290 542 -
비교예 1 추출물 0.5 에탄올 288 510 12.1
비교예 1 추출물 1.0 에탄올 280 496 14.3
비교예 1 추출물 2.0 에탄올 291 498 17.7
비교예 2 추출물 0.5 에탄올 286 504 13.3
비교예 2 추출물 1.0 에탄올 292 501 17.1
비교예 2 추출물 2.0 에탄올 287 494 17.9
비교예 3 추출물 0.5 에탄올 277 498 12.3
비교예 3 추출물 1.0 에탄올 283 495 15.7
비교예 3 추출물 2.0 에탄올 294 504 16.7
비교예 4 추출물 0.5 에탄올 279 492 15.4
비교예 4 추출물 1.0 에탄올 287 492 18.8
비교예 4 추출물 2.0 에탄올 292 491 20.9
비교예 5 추출물 0.5 에탄올 290 505 14.8
비교예 5 추출물 1.0 에탄올 276 487 16.2
비교예 5 추출물 2.0 에탄올 285 493 17.5
실시예 1 추출물 0.5 에탄올 289 487 21.3
실시예 1 추출물 1.0 에탄올 291 485 23.2
실시예 1 추출물 2.0 에탄올 293 483 24.6
실시예 2 추출물 0.5 에탄올 278 468 24.8
실시예 2 추출물 1.0 에탄올 287 472 26.4
실시예 2 추출물 2.0 에탄올 293 471 29.2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생약 식물 추출액이 처리군으로 사용된 아라키돈산 보다 염증 억제율이 우수함을 보여 주었으며, 특히 각각의 생약식물 추출액 시료보다 생약식물 복합 추출액 시료를 처리한 것이 염증 억제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항균 및 항진균 효과 측정
생약식물 추출액인 상기 비교예 1∼5 및 실시예 1, 2의 생약식물 복합 추출액을 사용하여 항균 및 항진균 효과를 측정하였다.
항균성 및 항진균성 실험은 종이 디스크(paper disc)를 이용한 한천 확산법 (agar diffusion)으로 측정하였다. 균주를 액체배지 100㎖에 한 백금이를 접종하고 37℃에서 48시간 배양하여 활성화시켰다(표2). 상기 균주 배양액 100㎕을 탑 한천(top agar; 0.75% agar) 플레이트에 접종 (107-108cfu/㎖)하고 플레이트 위에 도포하였다. 생약 추출물을 멸균된 종이 디스크에 20㎕씩 주입하고 건조한 후, 디스크를 플레이트 표면 위에 올려놓았다. 36시간 배양하여 한천 플레이트 주위에 생성된 투명 범위 (clear zone)로 항균력 및 항진균력을 측정하였다.
균주로는 다음과 같은 미생물 공시균주를 사용하였다; 칸디다 알비칸(Candida albicans, ATCC 10259),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25922),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스(Staphylococcus aureus, ATCC 29737), 바실러스 섭틸리스(Bacillus subtilis, ATCC 6633).
균주의 생육배지는 보통 한천 (nutrient agar) 또는 트립티케이스 콩 한천(trypticase soy agar; Difco)을 사용하였으며, 균주별 배양조건은 표 2에 나타나 있다. 실험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나 있다.
(균주별 배양조건)
번호 균주 배지 타입
1 칸디다 알비칸 보통 한천 호기
2 대장균 트립티케이스 콩 한천 호기
3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스 보통 한천 호기
4 바실러스 섭틸리스 보통 한천 호기
균주 대장균 스타필로.
아우레스
바실러스
섭틸리스
칸디다
알비칸
추출물
농도(중량%)
비교예 실시예 비교예 실시예 비교예 실시예 비교예 실시예
1 2 3 4 5 1 2 1 2 3 4 5 1 2 1 2 3 4 5 1 2 1 2 3 4 5 1 2
0.5 3 4 3 5 4 6 6 3 5 3 4 4 6 7 4 4 5 4 4 6 6 3 4 5 4 4 6 7
1.0 5 6 6 6 6 8 8 6 6 5 5 6 8 9 5 6 6 6 6 8 8 5 5 8 5 6 8 9
3.0 6 7 7 8 7 10 9 7 8 7 7 7 10 10 6 7 8 7 7 10 10 7 7 9 6 7 10 10
5.0 8 9 8 9 8 11 11 8 9 8 9 9 11 12 7 8 9 8 8 11 11 8 9 12 7 8 11 12
10.0 9 9 10 11 10 16 15 10 11 9 10 9 16 14 10 10 11 10 10 16 16 9 10 14 10 10 16 14
상기 표 3에서 볼 수 있듯이 생약식물 복합추출액은 탁월한 항균작용을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각각의 생약식물 추출액 시료보다 생약추출 복합 추출액 시료를 처리한 것이 더욱 우수한 항균 및 항진균 효과가 있고, 농도 의존적으로 항균 및 항진균 작용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보습효과 측정
상기 비교예 1∼5의 생약식물 추출액 및 실시예 1, 2의 생약식물 복합추출액에 대하여 수분측정기[Corneometer CM 825, Courage+Khazaka 사]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보습효과를 측정하였다.
30대 건강한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상박부 2× 2 ㎠, 8 구획을 물로 여러 차례 세정한 후 자극 없이 수분을 제거한다. 5분 경과 후, 정제수, 비교예 1∼5의 생약식물 추출액 및 실시예 1의 생약식물 복합추출액, 실시예 2의 생약식물 복합추출액을 각각 2 구획에 대하여 10㎕씩 점적하여 고르게 도포하였다. 10분 후, 수분측정기(Corneometer)를 이용하여 하나의 구획당 5회 측정하였다. 1구획에 대하여 5분 간격으로 6회 다음 수학식(수분율)에 의해 측정하고, 데이터 값은 20명에 대한 평균치로 표 4에 나타내었다.
측정조건은 실내온도 20℃, 상대습도 30%로 항온항습을 유지하였다.
수분율(%) = 시료 도포 후 수분측정기의 수치 - 시료 도포 전 수분측정기의 수치
시 료

시간(분)
정제수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실시예 1 실시예 2
10 25 26 27 28 26 27 30 32
15 14 16 17 19 18 19 27 28
20 8 10 14 17 16 16 25 25
25 4 6 11 14 14 13 22 23
30 2 4 8 12 11 10 20 20
35 1 3 6 9 8 6 18 19
40 0 3 5 7 7 6 17 19
상기 표 4에서 볼 수 있듯이 생약추출물이 대조군 정제수 보다 시간에 따른 수분보유 능력이 뛰어남을 알 수 있으며, 또한 각각의 생약추출물 시료보다 생약추출 혼합물 시료를 처리한 것이 보습력이 월등히 우수함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생약추출 혼합물은 보습효과가 우수함을 증명할 수 있었다.
(시험예 4) 면역세포의 생육활성 측정
MTT assay 시험법은 살아있는 세포의 수를 측정함으로써 세포 증식이나 독성에 많이 사용되는 실험법으로, 살아있는 세포는 미토콘드리아 내에서 수용성이고 노란색의 염인 MTT(3-[4,5-dimethylthiazole-2
-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가 숙신산탈수소효소에 의해 수불용성인 파란색의 formazan 유도체로 환원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생성된 formazan 유도체에 용해제를 넣고 용해시킨 후 흡광도를 측정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사람 면역세포인 Raji(Human B cell)과 Jurkat(Human T cell)을 MTT(3-[4,5-dimethylthiazole-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세포의 생육은 RPMI1640(GIBCO, USA) 배지에서 10% FBS를 사용하여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면역세포 생육활성 측정은 24well plate에 세포농도를 4× 104 cells/㎖로 하여 배양 24시간 후 각 시료를 농도별로 적용한다. 48시간 배양 후 각각의 well에 있는 배지를 버리고 MTT 용액을 well당 1000㎕씩 가한 후 4시간 후에 MTT를 제거하고 DMSO를 well당 1000㎕씩 가한 후 하룻밤 37℃에서 인큐베이션 후 57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생약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고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한 것을 대조군으로 하여 상대적인 흡광도의 차이를 총 8일에 걸쳐 측정하여 세포의 생육활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반응액중에 함유시킨 생약 추출물의
최종농도(㎍/㎖)
생육활성(%)
B 세포 T 세포
비교예 1 200.0 101 102
비교예 2 200.0 104 103
비교예 3 200.0 103 102
비교예 4 200.0 102 105
비교예 5 200.0 105 104
실시예 1 200.0 111 117
실시예 2 200.0 115 121
상기 표 5에서 볼 수 있듯이 사람 면역세포인 Raji(Human B cell)과 Jurkat(Human T cell)을 사용하여 면역세포의 생육활성을 측정한 결과 실시예 2의 생약추출 혼합물을 적용한 경우 가장 좋은 생육활성을 보여 면역활성을 높여줌을 알 수 있다.
[제조 예]
(제조예1) 에센스의 제조
하기 조성에 따라 수상과 유상을 구분하여 계량한 후, 80± 2℃에서 따로 혼합, 용해하고, 유상을 수상에 넣으며 혼합하였다. 이어서 중화제인 원료 17을 투입하여 중화시킨 후, 45℃까지 냉각시켰다. 냉각 후, 원료 18을 투입하고 35℃까지 냉각시켜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구분 원료명 중량(%)
처방1 처방2 처방3 처방4 처방5 처방6 처방7



1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2 비교예 2의 생약 추출물 - 12.50 - - - - -
3 비교예 3의 생약 추출물 - - 12.5 - - - -
4 비교예 4의 생약 추출물 - - - 12.5 - - -
5 비교예 5의 생약 추출물 - - - - 12.5 - -
6 실시예 1의 생약추출 혼합물 - - - - - 12.5 -
7 실시예 2의 생약추출 혼합물 - - - - - - 12.5
8 카보머 0.10 0.100 0.100 0.100 0.100 0.100 0.100
9 디소듐이이디티에이 0.05 0.050 0.050 0.050 0.050 0.050 0.050
10 부티렌글리콜 3.50 3.500 3.500 3.500 3.500 3.500 3.500


11 천연방부제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12 마카데미아넛 오일 4.00 4.000 4.000 4.000 4.000 4.000 4.000
13 비교예 1의 생약 오일 추출물 6.00 6.00 6.00 6.00 6.00 6.00 6.00
14 미네랄 오일 3.00 3.000 3.000 3.000 3.000 3.000 3.000
15 디 메치콘 1.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6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00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중화 17 트리에탄올아민 0.25 0.25 0.25 0.25 0.25 0.25 0.25
18 향료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상기 표에서 생약 추출물은 생약식물 추출액이며, 생약추출 혼합물은 생약식물 복합추출액을 간략히 표기하였다.
(비교 제조예1)
비교예 1의 아마씨 오일 추출액 대신 미네랄오일 및 마카데미아넛 오일을 동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의 처방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5) 피부 1차 자극 후 홍반완화 효과 측정(폐쇄첩포실험)
처방 1, 2, 3, 4, 5, 6, 7과 비교 제조예 1의 에센스에 피부자극제인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Sodium Laurly Sulfate)이 0.5% 되도록 넣고 피부 도포시 홍반 완화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임상 확인 실험을 하였다. 아토피 피부염과 다른 습진의 현병력 및 과거력이 없는 현재 피부질환이 없다고 판단된 20대 여성 및 남성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피험자의 양측 전완부 내측 부위에 시료를 도포하기 전에 홍반지수(erythema index: E-index)를 측정하고 large finn chamber(Epitest, Hyryla Finland)와 여과지를 이용하여 각 시료의 일정량(0.2g)을 24시간 동안 첩포를 부착하였다. 첩포를 제거하고 홍반지수측정은 공기의 이동이 없고 직사광선이 없는 공간에서 피험자가 검사 부위를 노출시킨 다음 30분 동안 안정을 취한 후 시행하였다.
Mexameter(Courage+Khazaka 사)를 이용하여 측정 후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실내온도 23℃, 상대습도 60%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시 료 BL DAY0 DAY1 DAY2 WEEK1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 0.5% 210 340 318 293 271
처방 1 211 294 269 238 224
처방 2 211 296 270 235 223
처방 3 210 285 254 226 219
처방 4 210 299 252 233 221
처방 5 209 289 250 231 218
처방 6 211 280 245 229 213
처방 7 210 275 234 218 211
비교 제조예 1 209 329 293 264 248
상기 표 7의 결과로 볼 때 생약식물 추출액 및 생약식물 복합추출액을 첨가하여 제조한 처방 1, 2, 3, 4, 5, 6, 7의 화장료가, 첨가되지 않고 제조한 비교 제조예 1보다 피부 홍반완화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6) 아토피 피부 개선효과의 임상평가 측정
제조예 1의 처방 1 내지 비교 제조예 1의 화장료에 대한 아토피 피부 개선효과의 임상평가를 측정하였다.
제조예 1의 처방 1 내지 비교 제조예 1의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아토피성 피부를 가지고 병원 및 한의원에 내원하여 치료받는 소인 20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시료를 이중 맹검법(double-blinded test)에 의하여 각각 오른쪽과 왼쪽으로 나누어 전신에 도포하되, 가능한 한 시험시료의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보습제의 사용은 금지하였다. 시험 시료를 도포한 지 1, 2, 3, 4주 후의 효과를 스코래드 SCORAD(SCORing Atopic Dermatitis) 측정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1) 판정기준
① 정도 기준 (Extent criteria) : 면적 = 피손부위/100
② 강도 기준 (Intensity criteria)
- 홍반 (1/2/3)
- 부종 (1/2/3)
- 삼출 (1/2/3)
- 피부 벗겨짐 (1/2/3)
- 태선화 정도 (1/2/3)
- 건조 정도 (1/2/3)
③ 주관적 기준
- 가려움 (1-10)
- 불면증 (1-10)
* 스코래드 계산 = (정도기준/5) + (강도기준/7) + 주관전기준
분류 0주 1주 2주 3주 4주
처방 1 65.2 52.3 43.6 29.8 24.2
0% 19.8% 33.1% 54.3% 62.9%
처방 2 63.7 51.8 45.2 33.7 26.1
0% 18.7% 29.0% 47.1% 59.0%
처방 3 64.3 51.5 46.3 35 23.9
0% 19.9% 28.0% 45.6% 62.8%
처방 4 62.5 48.7 40.6 29.2 20.3
0% 22.1% 35.0% 53.3% 67.5%
처방 5 61.8 48.5 41.2 28.5 19.5
0% 21.5% 33.3% 53.9% 68.4%
처방 6 62.1 37.6 23.6 17.4 11.7
0% 39.5% 62.0% 72.0% 81.2%
처방 7 61.7 32.2 17.1 10.4 7.5
0% 47.8% 72.3% 83.1% 87.8%
비교 제조예 1 63.4 49.2 45.1 40.3 38.4
0% 22.4% 28.9% 36.4% 39.4%
상기 표 8에서 알 수 있듯이, 제조예 1의 처방 1 내지 처방 7에서 제조된 생약 추출물 및 생약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처방예는 아토피 피부 개선효과가 뚜렷이 나타남을 알 수 있으며, 비교 제조예 1에 비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4주 후의 결과를 보면 평균 70% 이상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생약 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처방 7은 88% 정도의 우수한 개선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보호자가 느끼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제조예 1의 처방 1 내지 비교 제조예 1의 화장료를 1개월 동안 사용한 후, 사용자의 부모가 하기 기준에 따라 피부염의 가려움증, 홍반 변화, 피부 건조증에 대한 만족도와 함께 전반적인 피부염 개선 정도 및 시험시료에 의한 부작용 여부 등을 평가하도록 하여 하기 표 9,10에 나타내었다.
(판정기준)
1 2 3 4 5
효과없음 약간있음 보통 우수 매우우수
매우불만 불만 보통 만족 매우만족
분류 피부 가려움증 홍반 변화 피부 건조증 전반적 개선효과 부작용
처방 1 4.0 4.0 4.0 4.0 4.5
처방 2 4.0 4.5 4.0 4.0 4.0
처방 3 4.5 4.5 4.5 4.5 4.0
처방 4 4.5 4.5 4.0 4.0 4.0
처방 5 4.0 4.5 4.0 4.0 4.0
처방 6 4.5 4.5 4.5 4.5 4.0
처방 7 5.0 5.0 4.5 4.5 4.5
비교제조예 1 2.0 3.0 3.0 2.5 3.5
상기 표 10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처방 1 내지 처방 7은 피시험자인 아토피성 피부를 갖는 사람에 대하여 전 평가항목에서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제조예 2 내지 제조예 4에서는 상기 시험에서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난 처방 7의 생약 추출 혼합물 및 생약 오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유연 화장수의 제조
하기 조성(중량%)에 따라 수상과 에탄올상을 구분하여 계량한 후, 따로 혼합, 용해시키고, 에탄올상을 수상에 넣으며 혼합하였다. 이어서 첨가제를 넣고 혼합하였다. 이를 멤브레인 필터(삼덕여과상사, 페이퍼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하여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구분 원료명 중량

1 정제수 잔량
2 실시예 2의 생약 추출 혼합물 12.50
3 글리세린 1.00
4 소듐피씨에이액 3.00


5 변성알코올 4.00
6 천연방부제 미량


7 향료 미량
(제조예 3)
영양 화장수의 제조
하기 조성(중량%)에 따라 수상과 유상을 구분하여 계량한 후, 80 ± 2℃에서 따로 혼합, 용해하고, 유상을 수상에 넣으며 혼합하였다. 이어서 중화제인 원료 13를 투입하여 중화시킨 후, 45℃까지 냉각시켰다. 냉각 후, 원료 14을 투입하고 35℃까지 냉각시켜 영양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구분 원료명 중량



1 정제수 잔량
2 실시예 2의 생약 추출 혼합물 12.50
3 카보머 0.15
4 디소듐이이티에이 0.02
5 부틸렌글리콜 1.00



6 천연방부제 미량
7 마카데미아넛오일 2.00
8 미네랄오일 4.00
9 디메티콘 2.00
10 비교예 1의 생약 오일 추출물 6.00
11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40
12 폴리소르베이트 60 1.60

13 트리에탄올아민 0.15
14 향료 미량
(제조예 4)
영양 크림의 제조
하기 조성(중량%)에 따라 수상과 유상을 구분하여 계량한 후, 80± 2℃에서 따로 혼합, 용해하고, 유상을 수상에 넣으며 혼합하였다. 이어서 중화제인 원료 11를 투입하여 중화시킨 후, 45℃까지 냉각시켰다. 냉각 후, 원료 12을 투입하고 35℃까지 냉각시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원료 2인 실시예 2의 생약 추출 혼합물은 생약식물 복합추출액이며, 원료 10인 비교예 1의 생약 오일 추출물은 생약오일 추출액이다. 이는 이전의 제조예에 나타낸 원료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구분 원료명 중량



1 정제수 잔량
2 실시예 2의 생약 추출 혼합물 12.50
3 디소듐이이디티에이 0.05
4 하이알루론산 추출물 6.00
5 글리세린 3.00
6 카보머 0.20



7 천연방부제 미량
8 레시틴 1.00
9 마카데미아넛오일 4.00
10 비교예 1의 생약 오일 추출물 6.00

11 트리에탄올아민 0.15
12 향료 미량

Claims (3)

  1. 생약추출 혼합물인 생약식물 복합추출액을 함유하며, 상기 생약식물 복합추출액은 아마씨 오일 추출물 및 마카, 타마린드, 연자육, 참다래로부터 수득한 예비 생약식물 복합추출액과 아마씨 오일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식물 복합추출액을 함유하는 아토피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생약식물 복합추출액과 아마씨 오일 추출액의 양은 화장료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1 ∼ 30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식물 복합추출액을 함유하는 아토피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예비 생약식물 복합추출액과 아마씨 오일 추출액은 1:1 비율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식물 복합추출액을 함유하는 아토피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20100044373A 2010-05-12 2010-05-12 생약식물 복합추출액을 함유하는 아토피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201101249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373A KR20110124916A (ko) 2010-05-12 2010-05-12 생약식물 복합추출액을 함유하는 아토피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373A KR20110124916A (ko) 2010-05-12 2010-05-12 생약식물 복합추출액을 함유하는 아토피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916A true KR20110124916A (ko) 2011-11-18

Family

ID=45394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4373A KR20110124916A (ko) 2010-05-12 2010-05-12 생약식물 복합추출액을 함유하는 아토피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49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86272A (ja) * 2011-05-10 2020-11-19 丸善製薬株式会社 Tie2活性化剤、血管新生抑制剤、血管の成熟化剤、血管の正常化剤、及び血管の安定化剤、並びに経口用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86272A (ja) * 2011-05-10 2020-11-19 丸善製薬株式会社 Tie2活性化剤、血管新生抑制剤、血管の成熟化剤、血管の正常化剤、及び血管の安定化剤、並びに経口用組成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206B1 (ko)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284656B1 (ko) 화장료 조성물
KR101828584B1 (ko) 참여로, 가래나무, 도깨비 부채 및 모과나무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KR20120056594A (ko) 모자반 추출물, 청각 추출물 및 참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88997A (ko) 생캐비어 추출물 및 발효추출물을 이용한 육모, 발모, 탈모방지 및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24986A (ko) 죽순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errara Nutritional and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Tamarindus indica L
KR101574556B1 (ko) 둥근마, 신선초, 오크라 및 토란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조성물
US20200078290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Medicinal Herbs As Active Ingredient
CN107625690A (zh) 滋润保湿油茶果润唇膏及其制备方法
KR101822092B1 (ko) 알로에베라 잎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85371A (ko) 천연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두피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82971B1 (ko) 딱총나무 및 으아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35799B1 (ko) 프로폴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101195577B1 (ko) 피부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81344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69763B1 (ko) 무좀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120077889A (ko) 송엽 또는 송절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00012325A (ko) 한방 마사지팩 및 그 제조방법
KR101713115B1 (ko) 발효 오신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124916A (ko) 생약식물 복합추출액을 함유하는 아토피피부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1183484B1 (ko) 쏘팔메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Wąsik et al. Extracts from as a source of antioxidants useful in cosmetic preparations
KR102520908B1 (ko) 영여자 숙성액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영여자 숙성액
KR20160081211A (ko) 유색 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