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4850A - 레이저의 안전한 조사를 위한 부항 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의 안전한 조사를 위한 부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4850A
KR20110124850A KR1020100044268A KR20100044268A KR20110124850A KR 20110124850 A KR20110124850 A KR 20110124850A KR 1020100044268 A KR1020100044268 A KR 1020100044268A KR 20100044268 A KR20100044268 A KR 20100044268A KR 20110124850 A KR20110124850 A KR 20110124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cupping
pressure
irradiation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4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2019B1 (ko
Inventor
김서곤
김일
허현
최광일
최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Priority to KR1020100044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019B1/ko
Publication of KR20110124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4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8Cupping glasses, i.e. for enhancing blood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9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using suction to fix the applicator to the tiss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리치료를 위하여 이용되는 레이저를 조사하는 부항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항컵의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부항컵 내부의 압력에 따라서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부항컵이 시술되는 부분 이외의 신체상의 다른 부위에 레이저가 조사되거나 타인에게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고, 레이저 조사량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레이저의 안전한 조사를 위한 부항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레이저의 안전한 조사를 위한 부항 장치{Cupping device for safe irradiation of laser}
본 발명은 물리치료를 위하여 이용되는 레이저를 조사하는 부항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항컵의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부항컵 내부의 압력에 따라서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부항컵이 시술되는 부분 이외의 신체상의 다른 부위에 레이저가 조사되거나 타인에게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고, 레이저 조사량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레이저의 안전한 조사를 위한 부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항 요법은 한방에서 고래로부터 시술되어온 치료 방법으로서, 진공 저압 흡착 요법 가운데 하나이다.
이러한 부항 요법에 이용되는 부항기는 치료하고자 하는 환부에 부항컵을 엎어놓고 흡착 장치를 이용하여 부항컵 내부의 공기를 배기시켜 진공 상태를 만들어 줌으로써, 시술 부위의 피부 일부가 부항컵의 내부로 흡입되어 근육이 풀리고 신경이 안정되며, 피부의 땀구멍이 개방되어 모세관에 존재하는 인체내의 노폐물과 독소 성분을 유출시켜 원활한 혈액 순환을 돕게 된다. 또한, 치료 목적에 따라서는 어혈 또는 고름을 추출하기 위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특히, 근래에는 부항컵의 내측에 인체에 유용한 레이저 광선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발생수단을 장착함으로써 부항 치료 뿐만 아니라 레이저 광선에 의한 혈액 순환 및 신진대사 촉진의 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하는 레이저 발생장치가 장착된 부항기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장치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385505 호의 레이저 조사수단을 갖는 원적외선 방사체로 되는 부황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43194 호의 부항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376206 호의 부항장치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447440 호의 레이저와 저주파 자극기가 부착된 부항기 등의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레이저 발생수단을 내장한 부항장치들은 공통적인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
즉, 종래의 기술들에 사용되는 레이저 발생장치는 이와 연결된 조작 스위치에 의하여 사용자가 수동적으로 레이저 발생장치를 구동시키거나 정지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한 스위치를 실수로 잘못 조작하여 레이저가 조사되고 있는 상태로 부항컵을 이동시키다가 자칫 조사되고 있는 레이저에 환부 이외의 신체상의 다른 부위 또는 타인에게 레이저가 노출될 수 있으며, 특히 이러한 레이저가 얼굴의 눈 부분에 조사될 경우에는 눈의 망막 부분이 레이저에 의하여 손상을 입을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레이저가 부항 장치의 압력에 따라서 조사되게 함으로써 레이저가 환부 이외의 다른 부위나 타인에게로 노출되지 않게 하여 레이저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나아가 일정한 량의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 부항장치의 구성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레이저의 안전한 조사를 위한 부항 장치의 구성은, 하부는 개구되고 상부는 공기의 배출구를 형성한 부항컵과, 상기 부항컵 내부 공간에 설치된 평판 형상의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 저면에 결합되며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모듈을 내장한 조사부와, 상기 받침판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부항컵의 내부 공간의 압력에 따라서 상기 레이저 모듈의 레이저 조사를 제어하는 제어기가 실장된 제어기판과, 상기 부항컵의 상부에 설치되어 배출구에 배기되는 공기의 유동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자동차단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 레이저의 안전한 조사를 위한 부항장치는, 부항컵 내부가 일정한 압력 이하로 내려갈 경우에만 레이저 모듈에 의한 레이저가 조사되며 부항컵에 음압이 작용하여 특정 압력 이하로 되지 않을 경우에는 레이저가 전혀 조사되지 아니하므로, 종래 레이저가 환부 이외의 다른 부위나 타인에게로 노출되어 일어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일정한 량의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부항 요법의 효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은 본 발명 부항장치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 부항장치의 종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 흡입기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4 는 본 발명 부항장치의 제어기의 블럭다이어그램,
도 5a 및 도 5b 는 본 발명 부항장치의 자동차단밸브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 레이저의 안전한 조사를 위한 부항 장치의 구성과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개시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태양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 부항 장치의 사시도로서, 그 일부를 절개한 부분절개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 부항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 부항장치는 환부의 부항 요법을 위하여 환부에 접촉되며, 하부가 개구되고 상부는 공기를 빼내어 배기시키는 배출구(11)를 형성한 부항컵(10)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부항컵(10) 내부에는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모듈(30)을 내장한 조사부(20)가 배치되는데, 상기 조사부(20)는 부항컵(10) 내부 공간에 설치된 평판 형상의 받침판(40)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받침판(40)은 상기 부항컵(10)의 내부 벽면에 고정된 지지대(41)와 결합되되, 그 저면에는 상기 조사부(20)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42)가 형성된다.
상기 조사부(20)는 상기 결합부재(42)에 결합되는 나사선 등의 결합수단(22)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42)와 결합수단(22)이 상호 합치됨으로써 상기 조사부(20)가 상기 받침판(40)과 결합되며, 상기 조사부(20)의 바닥면에는 상기 레이저 모듈(30)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를 통과시키는 조사홀(21)이 형성된다.
상기 받침판(40)의 상면에는 상기 레이저 모듈(30)의 레이저 조사 및 후술할 압력센서부 등을 제어하는 제어기판(50)이 배치된다. 상기 제어기판(50)은 통상의 나사(미도시) 등의 체결수단에 의하여 상기 받침판(40)에 결합된다.
상기 부항컵(10)의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11)에는 배출구(11)를 통하여 배기되는 공기의 유동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자동차단밸브(60)가 설치된다.
상기 자동차단밸브(60)는 후술할 소켓(70)이 배출구(11)에 결합되면 공기의 유로를 자동적으로 개방시키고, 소켓(70)이 배출구(11)와 분리되면 공기의 유로를 자동적으로 폐쇄하는 자동차단밸브로서, 주로 파이프 등의 관로의 입출구에 결합되는 공지된 모든 형태의 자동차단밸브가 채용 가능하다.
본 발명 실시예의 자동차단밸브(6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65)를 형성하는 밸브관(61)과, 상기 밸브관(61)의 하부에 결합된 하부막(62)과, 상기 하부막(62)의 홀(62a)에 결합되고 코크베이스(64)을 가진 코크(63)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 부항 장치는 상기 부항컵(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켜 부항컵(10)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흡입기(80)를 가지고 있다.
상기 흡입기(80)는 통상의 부항 장치에 널리 이용되는 수동 방식의 흡입기를 이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 실시예는 음압(陰壓)을 발생시키는 펌프를 이용한 자동 방식의 흡입기를 이용한다.
즉,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기(80)는 배출구(11)에 결합되는 소켓(70)과, 상기 소켓(70)에 연결되어 부항컵(10)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배기관(90)과, 배기관(90)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수용하는 공기탱크(81)와, 부항컵(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음압을 발생시키는 펌프(82)와, 상기 공기탱크(81) 내부의 공기를 흡입기(80)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밸브(83)와, 상기 펌프(82) 및 배기밸브(83)의 작동을 제어하는 흡입기 제어부(84)로 구성된다.
도 4 는 본 발명 부항 장치의 제어기판(50)에 실장된 제어기의 블럭다이어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어기판(50)에 실장되는 제어기는 통상의 중앙처리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을 이용한 제어기로서, 주로 후술할 압력센서(미도시)에 의하여 생성되는 센서신호에 따라서 조사부(20)에 내장된 레이저모듈(30)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기는 제어기판(50) 상에 실장되어 부항컵(10)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미도시)의 센서신호를 생성하는 압력센서부(120)와, 상기 압력센서부(120)로부터 압력센서의 센서 신호를 입력받아 조사부(20)에 내장된 레이저모듈(30)의 작동을 제어하는 레이저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100)와, 상기 제어부(100)의 레이저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레이저 모듈(30)의 작동을 위한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레이저 구동부(140)와, 상기 각 부의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부(130)는 본 발명 제어기판(50) 상에 장착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것이 좋으며, 예를 들어 리튬-이온 전지 등의 박층(薄層)의 전지 등을 채용할 수 있다. 그러나, 부항컵(10) 내부의 부피를 고려하여 외부 전원을 이용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전원부(130)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단자 등을 상기 부항컵(10) 외측에 부설하는 태양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본 발명 부항 장치의 작동 상태를 알려주는 부저음을 출력하는 부저를 구동하는 부저구동부(15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외부의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제어부(100)에 내장되는 제어용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데이터 입력부(1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입력부(110)는 통상의 RS-232C 방식의 직렬 데이터 통신이나, 통상의 USB(Universal Serial Bus) 방식의 직렬 데이터 통신이나, 적외선 통신 또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의 통상의 무선 데이터 통신 방식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채용 가능하며, 그 이외에도 제어부(1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모든 공지된 데이터 통신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는 제어용 프로그램의 저장을 위하여 ROM 또는 RAM 과 같은 비휘발성 또는 휘발성 메모리 소자와 연결되거나, 또는, 제어부에 이용되는 CPU 가 이러한 메모리 소자를 내장한 타입의 CPU 일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부(120)는 부항 요법을 시술하기 위하여 부항컵(10)의 내부를 흡입기(80)에 의하여 진공상태로 조성되는 과정에서 부항컵(10)의 내부의 압력을 압력센서에 의하여 감지하여 센싱신호를 생성시키며, 생성된 센싱 신호를 연속적 또는 적어도 일정한 타이밍에 따라서 불연속적으로 제어부(100)로 입력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압력센서부(120)에 사용되는 압력센서는 공지된 타입의 압력 센서를 채용할 수 있으나, 레이저 모듈(30)의 레이저 조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점을 감안하여 바람직하게는 고정밀도의 센서 감도를 가진 압력센서를 채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어부(100)는 입력된 압력센서의 센싱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AD Convert)하여 압력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 압력 데이터를 연동된 메모리 소자에 기설정된 압력 데이터와 비교하여, 부항컵(10) 내부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하일 경우에 레이저 모듈(30)을 작동시켜 레이저를 환부에 조사시키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레이저의 안전한 조사를 위한 부항 장치의 작동을 상술한 도 1 내지 4 및 도 5 의 작동 상태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본 발명 부항 장치를 이용하여 환부에 부항 요법을 실시하기 위하여, 환부상에 본 발명 부항 장치의 부항컵(10)의 하단의 개구면을 접촉시킨다.
그리고, 흡입기(80)의 소켓(70)을 배출구(11)에 결합시키면, 상기 자동차단밸브(60)가 작동되어 평상시 도 5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되었던 밸브가 도 5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되면서 공기의 유로가 개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흡입기(80)의 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하여 흡입기(80)를 작동시키면, 흡입기제어부(84)가 펌프(82)를 작동시켜 부항컵(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려는 음압이 부항컵(10)에 가해진다.
그러면, 부항컵(10) 내부의 공기가 개방된 배출구(11)를 따라서 배출되어 배기관(90)을 경유하여 공기탱크(81)에 수용된다. 이렇게 공기 탱크(81) 내부에 수용된 공기는 배기밸브(83)가 작동되면 외부로 배출된다.
이어서, 부항컵(10)의 내부가 흡입기(80)에 의하여 진공 상태로 조성되는 과정에서 압력센서부(120)에 실장된 압력센서가 부항컵(10)의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면서 센싱신호를 생성시키며, 생성된 센싱 신호는 연속적 또는 적어도 일정한 타이밍에 따라서 불연속적으로 제어부(100)로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는 입력된 압력센서의 센싱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AD Convert)하여 압력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 압력 데이터를 연동된 메모리 소자에 기설정된 압력 데이터와 비교한다.
비교 결과, 부항컵(10) 내부의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 데이터 이하로 감소되된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레이저 모듈(30)을 작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레이저 구동부(140)로 전달하고, 레이저 구동부(140)는 전달받은 레이저 제어신호에 따라서 레이저 모듈(30)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레이저 모듈(30)로 부터 레이저가 발생되고, 발생된 레이저는 조사부(20)의 조사홀(21)을 통하여 환부에 조사되면서 부항 요법이 실시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밸브(60)가 차단될 경우 부저구동부(150)에 의하여 부저를 작동시켜 시술자에게 부항컵(10) 내부가 부항 요법을 실시할 정도로 진공 상태가 되었음을 알려주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부항 장치는 부항컵(10) 내부가 일정한 압력 이하로 내려갈 경우에만 레이저 모듈(30)에 의한 레이저가 조사되고, 부항 컵(10)에 음압이 작용하여 특정 압력 이하로 되지 않을 경우에는 레이저가 전혀 조사되지 아니하므로, 종래 레이저가 환부 이외의 다른 부위나 타인에게 노출되면서 일어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일정한 량의 레이저가 조사되어 부항 요법의 효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레이저의 안전한 조사를 위한 부항 장치의 구성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부항컵 11; 배출구
20; 조사부 21; 조사홀
22; 결합수단
30; 레이저 모듈
40; 받침판 41; 지지대
42; 결합부재
50; 제어기판
60; 자동차단밸브
70; 소켓
80; 흡입기 81; 공기탱크
82; 펌프 83; 배기밸브
84; 흡입기 제어부
90; 배기관
100; 제어부 110; 데이터 입력부
120; 압력센서부 130; 전원부
140; 레이저 구동부 150; 부저 구동부

Claims (5)

  1. 레이저의 조사를 수행하는 부항 장치에 있어서,
    하부는 개구되고 상부는 공기의 배출구(11)를 형성한 부항컵(10)과,
    상기 부항컵(10) 내부 공간에 설치된 평판 형상의 받침판(40)과,
    상기 받침판(40) 저면에 결합되며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모듈(30)을 내장한 조사부(20)와,
    상기 받침판(40)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부항컵(10)의 내부 공간의 압력에 따라서 상기 레이저 모듈(30)의 레이저 조사를 제어하는 제어기가 실장된 제어기판(50)과,
    상기 부항컵(10)의 상부에 설치되어 배출구(11)에 배기되는 공기의 유동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자동차단밸브(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의 안전한 조사를 위한 부항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항컵(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켜 부항컵(10)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흡입기(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의 안전한 조사를 위한 부항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판(50)에 실장된 제어기는,
    상기 부항컵(10)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가지며, 이 압력센서의 센서신호를 생성하는 압력센서부(120)와,
    상기 압력센서부(120)로부터 압력센서의 센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조사부(20)에 내장된 레이저모듈(30)의 작동을 제어하는 레이저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100)와,
    상기 제어부(100)의 레이저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레이저 모듈(30)의 작동을 위한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레이저 구동부(140)와,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100)는 입력된 압력센서의 센싱신호를 압력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 압력 데이터를 연동된 메모리 소자에 기설정된 압력 데이터와 비교하여, 부항컵(10) 내부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하일 경우에 레이저 모듈(30)을 작동시켜 레이저를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의 안전한 조사를 위한 부항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판(50)에 실장된 제어기는,
    외부의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제어부(100)에 내장되는 제어용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데이터 입력부(1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의 안전한 조사를 위한 부항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판(50)에 실장된 제어기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부항 장치의 작동 상태를 알려주는 부저음을 출력하는 부저를 구동하는 부저구동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의 안전한 조사를 위한 부항장치.
KR1020100044268A 2010-05-12 2010-05-12 레이저의 안전한 조사를 위한 부항 장치 KR101142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268A KR101142019B1 (ko) 2010-05-12 2010-05-12 레이저의 안전한 조사를 위한 부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268A KR101142019B1 (ko) 2010-05-12 2010-05-12 레이저의 안전한 조사를 위한 부항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850A true KR20110124850A (ko) 2011-11-18
KR101142019B1 KR101142019B1 (ko) 2012-05-17

Family

ID=45394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4268A KR101142019B1 (ko) 2010-05-12 2010-05-12 레이저의 안전한 조사를 위한 부항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0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26816A (zh) * 2012-02-14 2012-07-04 王守庆 医疗保健罐
CN110339037A (zh) * 2019-08-26 2019-10-18 郑州意特斯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拔罐系统及其控制方法
CN110339037B (zh) * 2019-08-26 2024-05-31 郑州意特斯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拔罐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20302B (zh) * 2016-10-11 2018-11-27 宁波若恒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中医学定量研究的本安型拔火罐
KR102390468B1 (ko) 2021-11-16 2022-04-25 한기홍 부항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9388A (ko) * 1999-08-23 2001-03-15 김태환 찜질부항컵
KR100385505B1 (ko) * 2001-03-13 2003-05-27 장계숙 레이저 조사수단을 갖는 원적외선 방사체로 되는 부황기
KR200243219Y1 (ko) 2001-05-08 2001-10-15 이천한 레이저 다이오드를 갖는 부항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26816A (zh) * 2012-02-14 2012-07-04 王守庆 医疗保健罐
CN110339037A (zh) * 2019-08-26 2019-10-18 郑州意特斯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拔罐系统及其控制方法
CN110339037B (zh) * 2019-08-26 2024-05-31 郑州意特斯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拔罐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2019B1 (ko) 201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7680B1 (ko) 쑥뜸용 뜸침대
KR101292562B1 (ko) 고주파를 이용한 부항 장치
KR101940012B1 (ko) 플라즈마 치료 장치
KR101142019B1 (ko) 레이저의 안전한 조사를 위한 부항 장치
CN100536810C (zh) 作为药草辅助医疗的拔罐艾灸器具
KR101042837B1 (ko)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한 휴대용 부항 장치
NZ589600A (en) Device and method for opening an airway
CN102755247B (zh) 智能熏蒸罩调温装置
KR101940009B1 (ko) 플라즈마 치료 장치
WO2018049929A1 (zh) 一种灸罐及药灸设备
KR101268313B1 (ko) 수직으로 이동되는 조사부를 갖는 레이저 부항기
KR100931959B1 (ko)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부항기
WO2018058910A1 (zh) 促进健康的自动感应供氧枕头
CN205286921U (zh) 风湿灸疗器
WO2018058905A1 (zh) 促进健康的自动感应供氧方法
CN209451027U (zh) 一种多用保健理疗用具
KR101685509B1 (ko) 드레인 튜브의 막힘 확인 방법 및 상처 부위의 체적 재산출 방법
KR101142020B1 (ko) 내부 압력 감지형 레이저 부항 장치
KR101240316B1 (ko) 터치 센서 내장형 레이저 부항 장치
CN209500250U (zh) 一种艾灸仪在人体上的固定结构
CN104368051A (zh) 美容减肥仪
KR101292564B1 (ko) 수직으로 이동되는 고주파 발생부를 가지는 부항 장치
CN205683415U (zh) 一种负压吸附式聚焦超声波美容仪
KR20070098234A (ko) 원적외선 및 자력이 발산되는 부항기
CN108392393A (zh) 一种中医热疗熏蒸双用治疗医疗内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